KR100998253B1 - Temporary Structure - Google Patents
Temporary Struc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98253B1 KR100998253B1 KR1020080069004A KR20080069004A KR100998253B1 KR 100998253 B1 KR100998253 B1 KR 100998253B1 KR 1020080069004 A KR1020080069004 A KR 1020080069004A KR 20080069004 A KR20080069004 A KR 20080069004A KR 100998253 B1 KR100998253 B1 KR 10099825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mporary
- ground
- reinforcing
- excavation
- beam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28—Shapes rectangul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팀보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지반을 굴착할 수 있도록 개선된 흙막이용 가시설구조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roved temporary structure for masonry to excavate the ground without using a brace.
본 발명은 굴착지반의 내부에 설치된 가시설 구조체를 구비하고, 상기 가시설 구조체의 내부에 배치된 다수의 보강 빔들을 구비하며, 상기 각각의 보강 빔들은 설치된 굴착지반의 토압이 그 각각의 보강 빔 양단부를 통하여 양 측면의 굴착지반에 전달되도록, 상기 가시설 구조체의 배면에서 상기 가시설 구조체와의 사이 간격이 보강 빔의 중앙으로부터 양측 단부로 향할수록 점차 커지는 호형의 구조로 형성되는 흙막이용 가시설구조물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mporary structure installed in the excavation ground, and has a plurality of reinforcement beams disposed in the interior of the temporary structure, wherein each of the reinforcement beams has the earth pressure of the installed excavation ground at both ends of the respective reinforcement beams. Provided to the excavation ground on both sides through the back surface of the temporary structure to provide a temporary temporary structure for the wall structure is formed in an arc-shaped structure that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center of the reinforcing beam toward both ends.
본 발명에 의하면 각각의 띠장 배면에 호형 또는 양측으로 경사진 구조의 보강 빔들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버팀보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띠장의 후면을 안정되게 지지하여 토압에 의하여 지반이 붕괴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건축물 굴착 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어서 건축물의 시공이 편리하도록 개선된 우수한 효과가 얻어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einforcing beams of the arc shape or the inclined structure on both sides are installed on the back of each band, the back of the band is stably supported without using a brace to effectively prevent the ground from collapse by earth pressure. Can b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ecure a wide space for the excavation of the building, and thus the excellent effect is improved to facilitate the construction of the building.
버팀보, 흙막이용 가시설구조물, 수직 빔, 띠장, 보강 빔 Bracing, Climbing Fixture, Vertical Beam, Sash, Reinforcement Beam
Description
본 발명은 지반을 터파기 시공할 때에 사용되는 흙막이용 가시설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띠장의 배면에 보강 보를 나란하게 구축하여 버팀보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띠장의 후면을 안정되게 지지하여 토압에 의하여 지반이 붕괴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건축물 굴착 공간을 넓게 확보하여 건축물의 시공이 편리하도록 개선된 흙막이용 가시설구조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mporary construction structure for the earthquake used to excavate the ground, and more specifically, to build a reinforcement beam side by side on the back of the strip to support the back of the strip stably without the use of a brace to support the ground by earth pressure This can effectively prevent the collapse, as well as to improve the construction excavation structure for the earthquake structure to secure a wide space for excavation of the building to facilitate the construction of the building.
일반적으로 건축물, 개착 터널, 지하철, 전력구, 통신구, 하수 관거 등과 같이 지반을 소정의 깊이 및 길이방향으로 연장하여 굴착하고, 그 굴착지반의 내부 공간에 구조물을 설치하는 건설공사가 종종 이루어지고 있다.In general, construction works such as buildings, cut-off tunnels, subways, power outlets, communication ports, sewage conduits, etc. extend and excavate the ground in a predetermined depth and length direction, and install a structure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excavated ground. have.
이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 굴착된 지반 면은 항상 토압(주동토압)에 의하여 붕괴되려고 하기 때문에, 통상은 도 1과 같이 H 파일과 같은 수직 빔(210)을 먼저 지반에 항타시켜 매설시킨 후, 지반을 굴착하면서 수직 빔(210) 사이에 토류 벽(220, 흙막이판, 통상 목재를 이용하게 된다.)을 끼워 설치하는 방식으로 굴착지반 지보공을 설치하게 된다.In such a case, the excavated ground surface always tries to collapse by earth pressure (driven earth pressure). Therefore, as shown in FIG. 1, a
이때, 토류 벽(220)이 설치된 수직 빔(210)에는 수평빔 형태의 띠장(230, Wale, 통상 H 파일)을 설치하게 되는데, 이는 수직 빔(210)을 서로 수평방향으로 연결시켜 줌으로서 수직 빔(210)과 띠장(230)이 격자형태의 구조체에 작용하는 주동토압에 보다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나아가, 띠장(230)과 띠장(230) 사이에는 굴착지반을 가로질러 양단부가 띠장(230)에 지지되어 역시 토압에 저항할 수 있도록 버팀보(240, Strut)를 설치하게 되는데, 통상 이도 역시 H 파일이 이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At this time, the
이러한 버팀보(240)는 지반 굴착 면에 설치된 띠장(230)의 사이에 일종의 횡 지지빔으로써 설치되어 작용 토압에 보다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도록 한 것이므로 거의 모든 굴착지반 지보공에 이용되고 있다.Since the
하지만 종래의 굴착지반 지보공들은 나름대로 장점은 있으나 지반굴착 깊이가 커질수록 작용하는 토압의 크기가 커지기 때문에, 굴착깊이에 따른 버팀보의 설치개수가 증가되고, 그 설치간격(대부분 2-3M)이 작아짐으로써 굴착공간의 이용에 있어서 중대한 장애요인이 되고 있으며, 특히 작업도중 이미 설치된 버팀보의 위치를 이동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 특히 많은 노력과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가능한 한 버팀보의 설치개수를 최소화하거나 아예 버팀보의 설치가 필요없는 시공 기술에 대한 개발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었다.However, conventional excavated ground supporters have their advantages, but the greater the excavation depth, the greater the magnitude of the earth pressure acting, so that the number of installations of the support beams increases according to the excavation depth and the installation interval (mostly 2-3M) decreases. It is a serious obstacle in the use of the excavation space, especially when it is necessary to move the position of the brace already installed during the work takes a lot of effort and time. Therefore, in the related art, there is a great need for development of construction technology that minimizes the number of installation of the braces or does not require the installation of braces at all.
이를 감안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형태의 삼각형 받침대(351), 삼각형 정착장치(352) 및 이들을 연결해주는 연결용 받침대(353) 및 긴장 재(354)로 구성된 프리스트레스트 띠장(Prestressed-Wale)(350) 및 상기 삼각형 정착장 치(352)를 모서리 부에서 지지하는 버팀보(360)로 이루어진 가시설(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20-322945호(IPS 공법)이 소개되어 있다.In view of this, as shown in FIG. 2, a prestressed strip consisting of a horizontal
이와 같은 구조에서 상기 긴장 재(354)의 경우, 수평형태의 삼각형 받침대(351)에 포물선 형태로 배치되고, 그 양측 단부는 모서리부 버팀보(360)에 의하여 지지되는 삼각형 정착장치(352)에 긴장 후 정착되도록 하는데, 그 발췌 사시도와 같이 각각의 단부가 삼각형 받침대(351)의 측면받침대를 관통하여 굴곡되어 설치되도록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In this structure, the
이는 프리 스트레스트 띠장(350)이 지반 굴착면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긴장 재(354)를 그대로 긴장, 정착시키는 경우 프리스트레스트 띠장(350)을 달리 지지할 수가 없어서 전도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이에 굴착지반의 모서리부 버팀보(360)에 의하여 수평형태의 삼각형 받침대(351)를 먼저 지지하고, 긴장 재의 단부를 삼각형 받침대(351)를 구성하는 측면 받침대를 관통시키되, 긴장 재 긴장, 정착작업이 삼각형 받침대(351)에 의하여 간섭받지 않도록 긴장 재의 정착 위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긴장 재 단부를 절곡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This is because the
그렇지만 이는 결국 프리스트레스 띠장 설치를 위해서는 반드시 모서리부 버팀보(360) 또는 이에 해당하는 부재를 설치해야 한다는 전제가 필요하며, 결국 불필요한 버팀보 제거라는 공간상의 이익을 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상기 긴장 재의 경우 전체적으로 포물선 형태로 배치되나, 이러한 포물선 형태는 긴장 재를 지지하는 수평형태의 삼각형 받침대(351) 설치높이에 의하여 조정될 수밖에 없는 바, 긴장 재의 긴장각도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없다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지 적되었다.However, in order to install the prestressed belt, it is necessary to install the
즉, 긴장 재 설치각도는 긴장 재에 도입되는 수평 압축 프리스트레스의 크기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러한 설치각도 조정이 용이하지 않다면 프리스트레스 띠장의 현장적용성이 매우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That is, since the tension re-installation angle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size of the horizontal compression prestress introduced into the tension member, if the installation angle adjustment is not eas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ield applicability of the pre-stress band is very poo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버팀보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띠장의 후면을 안정되게 지지하여 토압에 의하여 지반이 붕괴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건축물 굴착 공간을 넓게 확보하여 건축물의 시공이 편리하도록 개선된 흙막이용 가시설구조물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purpose is to stably support the back of the belt without using a brace to effectively prevent the ground collapse by earth pressure, as well as excavating buildings It is to provide a temporary structure for the earthquake block structure to make the construction of the building convenient by securing a wide space.
그리고 본 발명은 다른 목적으로서 띠장의 후면에 긴장 재를 설치하지 않고서도 구조적으로 안정되어 토압에 의하여 지반이 붕괴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구조물의 설계 및 시공이 편리하도록 개선된 흙막이용 가시설구조물을 제공함에 있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s structurally stable without installing a tension member on the back of the strip, and effectively prevents the ground from being collapsed by earth pressure, and provides an improved temporary structure for the earthquake structure to facilitate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the structure. Is i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굴착지반에 설치된 흙막이용 가시설구조물에 있어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temporary structure structure for earthquake installed in the excavation ground,
상기 굴착지반의 내부에 설치된 가시설 구조체를 구비하고, 상기 가시설 구조체의 내부에 배치된 다수의 보강 빔들을 구비하며, 상기 각각의 보강 빔들은 설치된 굴착지반의 토압이 그 각각의 보강 빔 양단부를 통하여 양 측면의 굴착지반에 전달되도록, 상기 가시설 구조체의 배면에서 상기 가시설 구조체와의 사이 간격이 보강 빔의 중앙으로부터 양측 단부로 향할수록 점차 커지는 호형의 구조로 형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용 가시설구조물을 제공한다.And a plurality of reinforcing beams disposed in the excavation ground, and having a plurality of reinforcing beams disposed in the reinforcing structure, each of the reinforcing beams having the earth pressure of the installed excavation ground through both ends of the respective reinforcing beams. Provided to the excavation ground of the side, the rear wall of the provisional structure to provide a temporary construction structure for the mud wall,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n arc-shaped structure that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center of the reinforcing beam toward both ends do.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강 빔은 상기 가시설 구조체의 배면에 나란하게 고정된 수평 부와, 상기 수평 부의 양측으로 각각 연장된 경사 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경사 부는 상기 수평 부로부터 양측 단부로 향할수록 상기 가시설 구조체와의 사이 간격이 점차 커지는 형태로 경사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용 가시설구조물을 제공한다.And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the reinforcing beam includes a horizontal portion fixed to the rear side of the temporary structure, and inclined portions extending to both sides of the horizontal portion, the inclined portion is directed from the horizontal portion to both ends It provides a temporary structure for the mud wall, characterized in that the slope is formed in such a way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temporary structure and the gradually increases.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강 빔들은 상기 가시설 구조체와의 사이에 다수의 버팀 부재들을 통하여 연결되어 굴착지반의 토압을 받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용 가시설구조물을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provides a reinforcement structure for the masonry, characterized in that the reinforcing beams are connected to the temporary structure via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to receive the earth pressure of the excavation ground.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강 빔들은 서로 인접하는 양측 단부를 동시에 고정하는 구조를 갖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용 가시설구조물을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provides a temporary reinforcement structure for the masonry, characterized in that the reinforcing beams have a structure for simultaneously fixing both ends adjacent to each other.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강 빔은 양측 단부에 교차형의 정착 대를 구비하여 그 양측 단부를 동시에 고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용 가시설구조물을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provides a reinforcement structure for the masonry, characterized in that the reinforcing beam is provided with a cross-shaped fixing stand at both ends to fix both ends at the same time.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수의 보강 빔들은 그 상하 이격 간격이 굴착지반의 상단으로부터 그 굴착깊이가 클수록 점차 좁아지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용 가시설구조물을 제공한다.And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provides a plurality of reinforcement beams for the masonry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vertical separation interval is configured to gradually narrow as the excavation depth from the top of the excavation ground.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강 빔들은 어느 한 방향으로 복수 개가 나란하게 인접 배치되고, 상기 보강 빔 사이에는 상기 보강 빔과는 교차하는 방향으로 버팀대가 더 설치되어 보강 빔의 양단부가 지지됨으로써 사방 길이가 다 른 폭이 좁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굴착지반에 배치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용 가시설구조물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a plurality of the reinforcement beams ar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side by side in any one direction, between the reinforcement beams are further provided in the direction intersecting the reinforcement beams, so that both ends of the reinforcement beams are supported in all directions Provides a temporary reinforcement structure for the masonry, characterized in that the different length is disposed on the excavation grou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본 발명에 의하면 각각의 띠장 배면에 띠장 사이의 간격이 양측으로부터 중앙으로 향할수록 점차 축소되는 형태의 호형 또는 양측으로 경사진 구조의 보강 빔들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버팀보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띠장의 후면을 안정되게 지지하여 토압에 의하여 지반이 붕괴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건축물 굴착 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어서 건축물의 시공이 편리하도록 개선된 효과가 얻어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einforcing beams of the arc shape or the inclined structure are inclined to both sides are installed on the back of each band, the gap between the bands is gradually reduced from both sides toward the center, so that the back of the band is not used.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ground from collapsing due to the earth pressure, as well as to secure a wide range of excavation space, the improved effect is obtained to facilitate the construction of the building.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각각의 띠장 배면에 설치된 호형 또는 양측으로 경사진 구조의 보강 빔들로 인하여 띠장의 후면에 긴장 재를 설치하지 않고서도 구조적으로 안정되어 토압에 의하여 지반이 붕괴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구조물의 설계 및 시공이 편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tructurally stable without installing a tension member on the back of the belt due to the arc or the reinforcement beams inclined to both sides provided on the back of each band, effectively prevent the ground collapse by earth pressure,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the structure can achieve a convenient effec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흙막이용 가시설구조물(1)는 지반을 터파기 시공하여 건축물을 시공하기 위한 지반 구축 시설이다.Temporary construction structur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ground construction facility for constructing the building by excavating the ground.
본 발명에 따른 흙막이용 가시설구조물(1)는 도 3에 전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굴착지반의 내부에 설치된 가시설 구조체(5)를 구비하고, 상기 가시설 구조체(5)의 내부에 배치된 다수의 보강 빔(40)들을 구비한다.As shown in FIG. 3, the
본 발명의 흙막이용 가시설구조물(1)이 적용되는 가시설 구조체(5)는 예를 들면, 수직 빔(10), 띠장(20) 및 토류 벽(30)들을 포함하는 구조이다.The temporary
즉, 본 발명의 흙막이용 가시설구조물(1)이 적용되는 가시설 구조체(5)는 지반에 종(縱) 방향으로 시공되는 다수의 수직 빔(10)들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수직 빔(10)들은 통상적인 H-beam의 형태이며, 상기 수직 빔(10)들의 배면에 상하 일정 간격으로 횡(橫) 방향으로 설치되는 띠장(20)들을 갖는다.That is, the temporary
이와 같은 띠장(20)들도 통상적인 H-beam의 형태이며 이와 같은 수직 빔(10)과 띠장(20)들은 지보 공을 구성한다. 또한 상기 각각의 수직 빔(10)들의 사이에는 종래와 횡(橫)으로 설치되는 토류 벽(30)을 포함하는데, 이와 같은 토류 벽(30)은 통상적인 토류 판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se
이와 같은 구조에서 본 발명에 따른 흙막이용 가시설구조물(1)는 먼저 통상의 H 파일인 수직 빔(10)을 소정의 이격 거리를 두고 지반에 항타시킨 후, 지반을 굴착해 내려가면서 수직 빔(10) 사이사이에 목재 판 등의 토류 벽(30)들을 끼워 설치하고, 소정의 깊이에 다다른 후, 수직 빔(10)과 수직 빔(10)을 이어주도록 횡(橫) 방향으로 띠장(20) 들을 차례차례 설치함으로써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서 굴착지반 지보공은 통상의 수직 빔(10)을 이용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와는 다르게 콘크리트 파일, 강관파일, 지중 벽 형태 등으로 설치될 수 있다.In such a structure, the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흙막이용 가시설구조물(1)는 상기 띠장(20)의 배면 에 각각 호형의 구조로 배치되고, 다수의 버팀 부재(42)들을 통하여 상기 띠장(20)에 연결된 보강 빔(40)을 갖는다.And the temporary structure for the earth retaining structur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in an arc-shaped structure on the back of the
상기 각각의 보강 빔(40)들은 설치된 굴착지반의 토압이 그 각각의 보강 빔 양단부를 통하여 양 측면의 굴착지반에 전달되도록, 상기 가시설 구조체(5)의 배면에서 상기 가시설 구조체(5)와의 사이 간격(d)이 보강 빔(40)의 중앙으로부터 양측 단부로 향할수록 점차 커지는 호형의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다.The
즉 이와 같은 보강 빔(40)도 통상적인 H-beam의 형태로 이루어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강관 또는 다른 단면 구조의 철제 재료가 사용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보강 빔(40)은 전체적으로 호형의 구조로 만곡 형성되는데, 상기 보강 빔(4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띠장(20) 사이의 간격(d)이 양측으로부터 중앙으로 향할수록 점차 축소되는 형태로 호형의 구조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호형 구조를 통하여 띠장(20)의 외측으로부터 토압(土壓)을 받을 경우, 이에 효과적으로 저항하는 보강 구조물을 형성한다.That is, such a reinforcing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흙막이용 가시설구조물(1)는 상기 보강 빔(40)들이 서로 인접하는 양측 단부를 동시에 고정하는 구조를 갖는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강 빔(40)의 양측 단을 각각 고정하는 정착 대(5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정착 대(50)는 보강 빔(40)의 양측 단부를 인접 띠장(20)에 연결하여 구조적으로 견고하게 지지한다.And the
이와 같은 정착 대(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하는 보강 빔(40)들의 양측 단부를 동시에 고정하는 교차형의 구조를 갖는 구조인데, 하나의 정착 대(50)가 복수의 보강 빔(40)들을 고정하도록 "X"형으로 배치된다.As shown in FIG. 5, the fixing table 50 has a cross structure that simultaneously fixes both ends of the
또한 상기 정착 대(50)는 상기 보강 빔(40)의 양측 단부를 각각 상기 보강 빔(40)이 위치된 띠장(20)에 대해서 교차하는 인접 띠장(20)에 연결하여 고정하는데,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정착 대(50)는 보강 빔(40)이 형성하는 호형의 곡률에 일치하는 곡률을 유지하여 각각의 보강 빔(40)들이 그 호형의 곡률을 유지한 상태로 연장하여 그 양측의 인접 띠장(20)에 연결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정착 대(50)와 보강 빔(40)들은 볼트(52) 고정으로 서로 연결되고, 상기 보강 빔(40)과 띠장(20)을 연결하는 버팀 부재(42)들은 용접으로 연결된 구조이다.In addition, the fixing table 50 is connected to each of the end portions of the
상기에서 버팀 부재(42)들은 각각 직선형의 철제 부재들로서, 상기 띠장(20)의 배면과 보강 빔(40)의 전면을 직선으로 연결한다. 이와 같은 연결 구조에서는 띠장(20) 측으로 토압이 가해지면, 이는 버팀 부재(42)들을 통하여 보강 빔(40) 측으로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하고, 보강 빔(40)의 호형 구조를 통하여 상기 각각의 보강 빔(40)들은 설치된 굴착지반의 토압이 그 각각의 보강 빔(40) 양단부를 통하여 양 측면의 굴착지반에 전달되도록 하여 토압을 지지한다.The
한편 본 발명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 구조를 가질 수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흙막이용 가시설구조물(1')는 상기 보강 빔(40')이 띠장(20)의 배면에 나란하게 고정된 수평 부(45')와, 상기 수평 부(45')의 양측으로 각각 연장되고 다수의 버팀 부재(42)들을 통하여 띠장(20)에 연결된 경사 부(47a')(47b')들을 포함하는 구조이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deformable structure as shown in FIGS. 6 and 7, wherein the
여기서 상기 경사 부(47a')(47b')는 상기 수평 부(45')로부터 양측 단부로 향할수록 상기 띠장(20)과의 사이 간격(d)가 점차 커지는 형태로 경사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보강 빔(40')의 구조도 수평 부(45')의 양측에 형성된 경사 부(47a')(47b')로 인하여 띠장(20)에 가해지는 수평 방향의 토압에 대해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는 구조이다.Here, the
그리고 상기 보강 빔(40')은 수평 부(45')의 양측에 마련된 직선형의 경사 부(47a')(47b')들이 각각 그 단부가 상기 보강 빔(40')이 위치된 띠장(20)에 대해서 교차하는 인접 띠장(20)에 연결 고정된 구조이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각각의 경사 부(47a')(47b')들은 인접하는 보강 빔(40')에 마련된 경사 부(47a')(47b')들이 서로 교차하는 구조를 갖는 것이고, 그로 인하여 전체적으로는 "X"형으로 배치된다.The reinforcing beam 40 'is a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흙막이용 가시설구조물(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략 정사각형 형태의 폐합 지반굴착에 적용되어 설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즉, 수직 빔(10)과 띠장(20)으로 이루어진 굴착지반 지보공이 설치된 굴착지반면의 내측으로 띠장(20)의 배면에서 이를 둘러싸도록 다수의 호형 보강 빔(40)들이 각각의 띠장(20) 마다 설치됨을 알 수 있으며, 버팀 부재(42)들을 통하여 띠장(20)의 배면을 호형으로 지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상기 보강 빔(40)들은 각각 그 양측 단부, 즉 굴착 지반면의 모서리부에 정착 대(50)들이 설치되어 그 양단부가 구조적으로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That is, a plurality of arc-shaped reinforcement beams 40 are formed on each of the
또한 이와 같은 구조에서 상기 보강 빔(40)은 상기 띠장(20) 사이의 간격이 양측으로부터 중앙으로 향할수록 점차 축소되는 형태로 호형의 구조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호형의 만곡 구조를 통하여 띠장(20)의 외측으로부터 토압(土壓)을 받을 경우, 이에 효과적으로 저항하는 호형의 보강 구조물을 형성한다. 또한 굴착지반의 내측에는 종래와 같이 버팀대가 설치되지 않아서 그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such a structure, the reinforcing
또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흙막이용 가시설구조물(1')의 변형 구조가 개략 정사각형 형태의 폐합 지반굴착에 적용되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즉, 수직 빔(10)과 띠장(20)으로 이루어진 굴착지반 지보공이 설치된 굴착 지반 면의 내측으로 띠장(20)의 배면에서 이를 둘러싸도록 다수의 보강 빔(40')들이 각각의 띠장(20) 마다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상기 보강 빔(40')들은 각각 그 중앙에 수평 부(45')를 형성하고, 그 양측으로 경사 부(47a')(47b')들을 형성하고 있는데, 상기 수평 부(45')들은 띠장(20)의 배면에 나란하게 볼트 또는 용접 등으로 조립되어 일정길이에 걸쳐서 연결되고, 상기 경사 부(47a')(47b')들은 경사진 상태로 버팀 부재(42)들을 통하여 띠장(20)의 배면에 지지되고 있다.In addition, Figure 7 shows a state in which the deformed structure of the earthwork temporary structure (1 ')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rough ground excavation of the square shape. That is, a plurality of reinforcing
이와 같은 구조에서 상기 보강 빔(40')들은 각각 그 양측 단부, 즉 굴착 지반면의 모서리 부에서 경사 부(47a')(47b')의 양측 단부가 인접 띠장(20)에 연결되어 구조적으로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In such a structure, the reinforcing beams 40 'are respectively supported at both ends thereof, that is, at both edges of the excavated ground surface, so that both ends of the
또한 이와 같은 구조에서 상기 보강 빔(40')은 경사 부(47a')(47b')의 구조가 그 양측 단부로부터 중앙의 수평 부(45')로 향할수록 띠장(20)과의 사이 간 격이 점차 축소되는 형태로 경사진 구조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수평 부(45')의 양측으로 형성된 경사 부(47a')(47b')의 경사진 구조를 통하여 띠장(20)의 외측으로부터 토압(土壓)을 받을 경우, 상기 수평 부(45')와 경사 부(47a')(47b')는 상기 각각의 보강 빔(40')들이 설치된 굴착지반의 토압을 그 각각의 보강 빔(40') 양단부를 통하여 양 측면의 굴착지반에 전달함으로써 굴착지반의 토압에 효과적으로 저항하는 보강 구조물을 형성한다. Also, in such a structure, the reinforcing beam 40 'is spaced apart from the
또한 이와 같은 구조에서도 보강 빔(40')이 차지하는 굴착 공간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고, 굴착지반의 내측에는 종래와 같이 버팀대가 설치되지 않아서 그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even in such a structure, the size of the excavation space occupied by the reinforcing beam 40 'can be minimized, and since the brace is not installed inside the excavation ground, the space can be efficiently used.
그리고 이와 같은 상기 다수의 보강 빔(40)(40')들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하 이격 간격(h)이 굴착지반의 상단으로부터 그 굴착깊이가 클수록 점차 좁아지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는 굴착깊이가 증가할수록 토압이 커지는 것에 비례하여 그 상하 이격 간격(h)을 좁히게 되면 효과적으로 토압을 지탱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8,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흙막이용 가시설구조물(1)(1')는 지반 굴착을 실시하는 경우, 굴착지반 지보공인 띠장(20)과 그 배면에 마련된 보강 빔(40)(40')들에 의해서 종래의 버팀대 없이 토압에 충분히 저항할 수 있는 구조가 된다.Thus, when the ground excavation structure (1) (1 ')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bjected to ground excavation, by the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흙막이용 가시설구조물(1)(1')는 빌딩 터파기, 아파트 단지 터파기, 지하철 터파기, 지하차도 터파기, 공동구 터파기, 상하수 관 로 터파기, 배수펌프장 터파기, 드라이작업을 위한 교각터파기, 도로지반 터파기 등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보강 빔(40)(40')들이 그 내측에서 형성하는 시공 공간을 크게 형성할 수 있다.Such as the temporary structure (1) (1 ') for earthquak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building dig, apartment dig dig, underground dig, underground road dig dig, cavity dig dig, water and sewage pipe dig dig, drain pump plant dig It can be usefully applied to a pier breaker, a road ground dig for dry work, and the construction beams formed in the reinforcement beams 40 and 40 'can be largely formed.
한편 지반굴착 후, 본 발명에 따른 흙막이용 가시설구조물(1)(1')는 지반 굴착 면의 상부가 개방되기 때문에 그 위로 차량 등이 통과할 필요가 있는 경우라면, 예컨대 지하철공사 터파기의 경우, 복공판과 같은 상판 구조물(미 도시)을 추가로 설치할 필요가 있다.On the other hand, after the ground excavation, if the temporary construction structure (1) (1 ')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ecause the upper part of the ground excavation surface is open, if the vehicle or the like need to pass over it, for example, in the case of subway construction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further install a top plate structure (not shown) such as a perforated plate.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강 빔(40)들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한 방향으로 복수 개가 나란하게 인접 배치되고, 상기 보강 빔(40) 사이에는 상기 보강 빔(40)과는 교차하는 방향으로 버팀대(46)가 더 설치되어 보강 빔(40)의 양단부가 지지됨으로써 사방 길이가 다른 폭이 좁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굴착지반에 배치된 구조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굴착지반에서 상기 보강 빔(40)뿐만 아니라 보강 빔(40')도 동일하게 적용가능한 것임을 쉽게 알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is a plurality of reinforcement beams 40 ar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side by side in one direction, as shown in Figure 9, and between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흙막이용 가시설구조물(1)(1')는 각각의 띠장(20) 배면에 띠장(20) 사이의 간격이 양측으로부터 중앙으로 향할수록 점차 축소되는 형태의 호형 또는 경사진 보강 빔(40)(40')들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굴착 공간을 가로지르는 버팀보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띠장(20)의 후면을 안정되게 지지하여 토압에 의하여 지반이 붕괴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보강 빔(40)(40')의 내측으로는 건축물 굴착 공간이 넓게 확보되어서 이와 같은 굴착 공간을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 관리가 편리해 질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temporary temporary structure 1 (1 ')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rc-shaped or inclined reinforcement in a shape that gradually decreases as the distance between the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각각의 띠장(20) 배면에 설치된 호형 또는 경사진 보강 빔(40)(40')들로 인하여 띠장(20)의 후면에 종래와 같은 긴장 재를 설치하지 않고서도 구조적으로 안정되어 토압에 의하여 지반이 붕괴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구조물의 설계 및 시공이 편리하게 된다.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ue to the arc-shaped or inclined reinforcement beams 40, 40 'installed on the back of each
한편 본 발명은 상기에서 가시설 구조체(5)가 예를 들어서 수직 빔(10), 띠장(20) 및 토류 벽(30)들을 포함하는 구조에 적용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르게는 쉬트 파일(미 도시) 형태의 가시설 구조체(5)에 적용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실시 예에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특정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그와 같은 단순한 실시 예의 수정 또는 설계변형 구조들은 모두 명백하게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을 미리 밝혀 두고자 한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at the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버팀 대를 이용한 흙막이용 가시설구조물의 기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sic structure of the temporary structure for the wall using a bra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긴장 재를 이용한 흙막이용 가시설구조물의 기본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the basic structure of the temporary structure for the clam using a tension memb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흙막이용 가시설구조물을 도시한 외관 사시도;Figure 3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temporary structure for the earthenwa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흙막이용 가시설구조물을 도시한 평면도;Figure 4 is a plan view showing the temporary structure for the earthenwa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흙막이용 가시설구조물에 구비된 정착 대를 확대하여 도시한 외관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larged view of a fixing stand provided in the provisional structure for earthenwa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흙막이용 가시설구조물의 변형 구조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Figure 6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ed structure of the temporary structure for earthenwa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흙막이용 가시설구조물의 변형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Figure 7 is a plan view showing a modified structure of the temporary structure for the earthenwa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흙막이용 가시설구조물의 굴착 깊이에 따른 이격 간격의 차이를 도시한 측면도;Figure 8 is a side view showing the difference in the separation interval according to the excavation depth of the temporary structure for earthmov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흙막이용 가시설구조물이 폭이 좁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굴착지반에 배치된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9 is a plan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the temporary construction structure for the earthenwa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the excavation ground narrow 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1...... 본 발명에 따른 흙막이용 가시설구조물1 ...... Furniture structure for mudst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가시설 구조체5 ...... temporary structure
10..... 수직 빔 20...... 띠장10 .....
30..... 토류 벽 40,40'...... 보강 빔30 .....
42..... 버팀 부재 45'..... 수평 부42 ..... Bracing member 45 '..... Horizontal section
46..... 버팀대 47a',47b'.... 경사부 46 .....
50...... 정착 대 52..... 볼트 50 ...... Settlement vs. 52 ..... Bolt
d..... 보강 대와 띠장 사이 간격 h...... 상하 이격간격 d ..... The spacing between the reinforcing band and the belt length h ......
210...... 수직 빔 220..... 토류 벽210 ......
230...... 띠장 240..... 버팀보(Strut)230 ...... 240 ..... Strut
350...... 프리스트레스트 띠장(Prestressed-Wale)350 ...... Prestressed-Wale
351...... 삼각형 받침대 352...... 삼각형 정착장치351 ......
353...... 연결용 받침대 354...... 긴장 재353 ......
360...... 버팀보 360 ...... Burtis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80069004A KR100998253B1 (en) | 2008-07-16 | 2008-07-16 | Temporary Struc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80069004A KR100998253B1 (en) | 2008-07-16 | 2008-07-16 | Temporary Structur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00008491A KR20100008491A (en) | 2010-01-26 |
| KR100998253B1 true KR100998253B1 (en) | 2010-12-07 |
Family
ID=41817096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80069004A Expired - Fee Related KR100998253B1 (en) | 2008-07-16 | 2008-07-16 | Temporary Structur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998253B1 (en) |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80064959A (en) | 2016-12-06 | 2018-06-15 |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 retaining structure support method using tied-arch structure |
| KR102143188B1 (en) | 2019-10-30 | 2020-08-10 | 이동석 | Temporary apparatus using pile and temporary facilities system |
| KR102457616B1 (en) | 2022-03-16 | 2022-10-20 | 차석규 | Safety reinforcement structure of timbering temparary facility structur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135384B1 (en) * | 2011-07-18 | 2012-04-17 | 박이근 | Earth retaining structure having ring beam |
| KR101129017B1 (en) * | 2011-10-05 | 2012-03-23 | 주식회사 비앤비엠스틸 | Steel strip-strut structurte with its strip having wider width for underground retaining wall |
| KR101643692B1 (en) * | 2015-06-30 | 2016-07-28 | (주) 영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 Retaining structures for building construction |
| CN108487261A (en) * | 2018-04-10 | 2018-09-04 | 江西科技学院 | A kind of arch steel structure support |
| KR102179908B1 (en) * | 2019-05-29 | 2020-11-18 | 한재용 | Support assembly for water tank support |
| KR102503383B1 (en) * | 2022-01-28 | 2023-02-24 | 주식회사 씨앤에스산업 | Earth retaining wall |
-
2008
- 2008-07-16 KR KR1020080069004A patent/KR100998253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80064959A (en) | 2016-12-06 | 2018-06-15 |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 retaining structure support method using tied-arch structure |
| KR102143188B1 (en) | 2019-10-30 | 2020-08-10 | 이동석 | Temporary apparatus using pile and temporary facilities system |
| KR102457616B1 (en) | 2022-03-16 | 2022-10-20 | 차석규 | Safety reinforcement structure of timbering temparary facility structur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00008491A (en) | 2010-01-26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0998253B1 (en) | Temporary Structure | |
| US7997830B2 (en) | Barrier wall made of sheet-pile components | |
| KR102015564B1 (en) | Panel-type retaining wall structure with h-pile and joint devic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 KR100855098B1 (en) | End vertical truss type brac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 JP2012007410A (en) | Reinforcement structure for structure of rectangular cross section | |
| KR100886445B1 (en) | Soil tanks | |
| KR20110129657A (en) | Mud wall using fram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mud wall using the same | |
| KR100789210B1 (en) | Earthquake construction method using sheet pile and composite beam | |
| US11149402B2 (en) | Building elements for making retaining walls, and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same | |
| KR101599327B1 (en) | Earth self-retaining wall method | |
| KR101262357B1 (en) | Inclined Earth Retaining Structure Method | |
| KR100633796B1 (en) | Central Reinforced Connection Structure of Temporary Temporary Construction | |
| KR100742221B1 (en) | Temporary Fixture | |
| KR100789209B1 (en) | Block construction using synthetic piles and beams | |
| KR101300078B1 (en) | Variable supporting device for sheathing work pile | |
| KR100958426B1 (en) | Fixing device for support beam | |
| KR20100001516A (en) | Joint structure for connecting slant supporter and square steel strut for temporary soil sheathing work | |
| KR102185246B1 (en) | Temporary retaining wall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 KR200492883Y1 (en) | Braced wall | |
| KR100903508B1 (en) | '?' Shape Waling Method Separated from the Basement Wall | |
| KR102452587B1 (en) | Panel-type retaining wall with self-standing construction structure using EPS block and H-beam and method thereof | |
| KR102617795B1 (en) | Retaining wall system combine H-piles with steel reinforcement structure | |
| KR101055415B1 (en) | Construction Engineers | |
| KR20150010422A (en) | Mid supporting beam for temporary soil sheathing work | |
| KR20190142547A (en) | Improved earth soil pre-stress method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 P16-X000 | Ip right document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6-nap-X000 |
|
| Q16-X000 | A copy of ip right certificate issu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6-nap-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125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922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81130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9 |
|
| K11-X000 | Ip right revival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1-oth-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81130 |
|
| PR0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3-oth-PR04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15 Year of fee payment: 1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3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