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04463B1 - 터치 스크린의 드래그를 이용한 메뉴 선택을 지원하는 휴대용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터치 스크린의 드래그를 이용한 메뉴 선택을 지원하는 휴대용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4463B1
KR101004463B1 KR1020080124619A KR20080124619A KR101004463B1 KR 101004463 B1 KR101004463 B1 KR 101004463B1 KR 1020080124619 A KR1020080124619 A KR 1020080124619A KR 20080124619 A KR20080124619 A KR 20080124619A KR 101004463 B1 KR101004463 B1 KR 1010044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displayed
hierarchical
point
dra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4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6002A (ko
Inventor
조준동
김재곤
황진우
진덕양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124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4463B1/ko
Priority to US12/363,861 priority patent/US20100146451A1/en
Publication of KR20100066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60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4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4463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의 드래그를 이용한 메뉴 선택을 지원하는 휴대용 단말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터치 스크린에 출력된 제1 계층 메뉴 중 하나를 터치하는 경우 제1 계층 메뉴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계층 메뉴들을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제2 계층 메뉴로 드래그가 입력된 경우 드래그된 지점에 따른 메뉴에 속하는 다수의 제3 계층 메뉴들을 디스플레이한 후 터치가 떨어지는 드롭이 입력된 경우 드롭이 발생한 지점에 따른 메뉴를 선택하는 휴대용 단말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한 번의 터치와 드래그 동작만을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메뉴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터치 스크린, 이동 단말, 드래그, 트리 구조, Draw and Drag

Description

터치 스크린의 드래그를 이용한 메뉴 선택을 지원하는 휴대용 단말 및 그 제어 방법{Handheld Terminal Supporting Menu Selecting Using Drag on the Touch Screen And Control Method Using Thereof}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의 드래그를 이용한 메뉴 선택을 지원하는 휴대용 단말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터치 스크린은 화면을 덮고 있는 터치-감지 투명 패널을 갖거나 화면 상에서의 터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는 일종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해당한다. 통상적으로,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는 프로그램 제어 하에서 동작하는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컴퓨터 또는 각종 이동 단말 상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해 터치 스크린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서 디스플레이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의 객체들을 스타일러스 또는 손가락으로 직접 터치함으로써 선택을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휴대용 단말이 제공하는 트리 메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은 사용자가 보다 편하게 메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트리 형태의 메뉴를 이용한다.
트리 구조의 메뉴는 여러 개의 계층을 포함하고 있다. 사용자는 먼저 최상위 계층 메뉴를 선택하고, 선택한 최상위 계층 메뉴에 속하는 하위 계층의 메뉴를 선택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자신이 원하는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휴대용 단말이 제공하는 "이메일"메뉴를 선택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최상위 메뉴인 "통화" 메뉴를 선택하여야 한다. "통화"메뉴를 선택하면 휴대용 단말은 "통신사 서비스", "전화걸기","전화번호부","통화목록","영상통화설정","메시지" 등의 하위 메뉴를 출력하게 된다.
사용자가 다시 "메시지"의 메뉴를 선택하면, 휴대용단말은 "메시지" 메뉴에 속해있는 "메시지보내기","수신함","발신함","이메일","사진보내기","메시지보관함","메시지 첨부파일함","스팸메시지","환경설정" 등의 메뉴를 출력한다.
사용자는 출력된 메뉴들 중 "이메일" 메뉴를 선택함으로써 자신이 원하는 "이메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종래에는 이와 같은 트리 구조의 메뉴를 이용하기 위하여 휴대용 단말의 사방향 키 등 소정의 버튼을 이용하였다. 하지만 최근에는 도 1에 도시된 트리 구조의 메뉴를 선택하기 위해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는 방법 등이 이용된다.
도 2는 종래의 휴대용 단말에서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트리 메뉴를 선택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2는 사용자는 도 1의 트리 메뉴에서 "통화" > "전화번호부" > "전화번호검색" 메뉴를 순차적으로 선택하기 위하여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는 나타낸 예이다.
사용자는 먼저 도 2의 (A)와 같이 스타일러스 또는 손가락을 "통화" 메뉴에 터치하고 뗀다. 이와 같은 터치 및 드롭 동작에 의하여 휴대용 단말은 "통화" 메뉴의 선택을 감지하고 그에 따른 하위 메뉴를 출력한다.
도 2의 (B)와 같이 "통화" 메뉴에 속하는 하위 메뉴들이 디스플레이되면 사용자는 다시 "전화번호부" 메뉴를 터치 및 드롭한다. 휴대용 단말은 다시 "전화번호부" 메뉴에 속하는 하위 메뉴들을 소정의 영역에 디스플레이한다.
비로소 사용자는 "전화번호부" 메뉴의 하위 메뉴에 속한 "전화번호검색" 메뉴를 다시 한 번 터치 및 드롭함으로써 자신이 원하는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도 2에서 설명한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종래의 트리 메뉴 선택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를 선택하기 위하여 이동 단말 상의 터치스크린을 수 회 이상 터치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메뉴를 선택하기 위하여 터치 회수가 많아짐에 따라 터치 스크린의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여러 번의 버튼을 누르거나 화면을 터치하여야 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를 선택하기 위하여 보다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한 번의 터치 및 드래그 동작을 이용하여 트리 메뉴 상의 모든 메뉴를 선택할 수 있는 Draw-Drag Pop Up 형태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채용한 휴대용 단말 및 그 제어 방법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 제어 방법은 터치 스크린에 출력된 다수의 제1 계층 메뉴 중 하나가 터치되는 경우, 터치된 제1 계층 메뉴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계층 메뉴가 제1 계층 메뉴가 표시된 위치에서 터치된 하나의 제1 계층 메뉴가 표시된 위치를 제외한 나머지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터치가 된 제1 계층 메뉴로부터 제2 계층 메뉴 중 하나의 제2 계층 메뉴로 드래그가 입력된 경우, 드래그가 종료된 지점에 따른 제2 메뉴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계층 메뉴가 제1 계층 메뉴가 표시된 위치에서 드래그가 종료된 지점에 따른 제2 메뉴가 표시된 위치를 제외한 나머지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및 터치가 떨어지는 드롭을 감지한 경우 드롭이 이루어진 지점에 따른 메뉴에 상응하는 명령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드래그가 종료된 지점에 따른 제2 메뉴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계층 메뉴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는 제1 계층 메뉴가 표시된 위치에서 드래그가 종료된 지점에 따른 제2 메뉴가 표시된 위치 및 제3 계층 메뉴가 표시된 위치를 제외한 나머지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서 상기 제2 메뉴의 상위 메뉴가 추가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휴대용 단말 제어 방법은 터치가 떨어지는 드롭을 감지한 경우 상기 드롭이 이루어진 지점에 따른 메뉴에 상응하는 명령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때 드롭이 이루어진 지점에 따른 메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에러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드래그가 이루어진 지점에 따른 메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에러 메시지 를 출력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그 후 에러 메시지를 출력한 후 사용자로부터 다음 입력을 대기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 제어 방법은 상기 터치 또는 드래그가 종료된 지점에 따른 메뉴가 멀티미디어 파일 아이콘인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 정보가 디스플레이된 영역으로 드래그가 입력된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드래그가 종료된 지점에 따른 제2 메뉴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계층 메뉴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메뉴의 상위 메뉴를 추가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상기 터치 스크린에 출력된 메뉴 중 하나를 터치하는 경우, 상기 터치가 이루어진 지점에 따른 메뉴 설명 정보 또는 하위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된 메뉴 설명 정보 또는 하위 메뉴로 드래그가 입력된 경우 상기 드래그가 종료된 지점에 따른 메뉴 설명 정보 또는 하위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터치가 떨어지는 드롭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드롭이 이루어진 지점에 따른 명령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드롭이 이루어진 지점에 따른 명령이 존재하지 않거나, 상기 드래그가 종료된 지점에 따른 정보 또는 메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에러 메시지 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러 메시지를 출력한 후 사용자로부터 다음 입력을 대기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치 또는 드래그가 종료된 지점에 따른 정보 또는 메뉴가 멀티미디어 파일 아이콘인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휴대용 단말은 디스플레이 장치와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터치 감지 장치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과 상기 터치 스크린에 출력된 다수의 제1 계층 메뉴 중 하나를 터치하는 경우, 터치된 제1 계층 메뉴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계층 메뉴가 제1 계층 메뉴가 표시된 위치에서 터치된 하나의 제1 계층 메뉴가 표시된 위치를 제외한 나머지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터치가 된 제1 계층 메뉴로부터 상기 제2 계층 메뉴 중 하나의 제2 계층 메뉴로 드래그가 입력된 경우 상기 드래그가 종료된 지점에 따른 제2 메뉴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계층 메뉴가 상기 제1 계층 메뉴가 표시된 위치에서 상기 드래그가 종료된 지점에 따른 제2 메뉴가 표시된 위치를 제외한 나머지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서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감지 장치가 터치가 떨어지는 드롭을 감지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드롭이 이루어진 지점에 따른 메뉴에 대한 명령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드롭이 이루어진 지점에 따른 메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에러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드래그가 이루어진 지점에 따른 메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에러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러 메시지를 출력한 후 사용자로부터 다음 입력을 대기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또는 드래그된 메뉴가 멀티미디어 파일 아이콘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 정보가 디스플레이된 영역으로 드래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의 드래그를 이용한 메뉴 선택을 지원하는 휴대용 단말 및 그 제어 방법은, 한 번의 터치 및 드래그 동작을 통해 트리 메뉴 상의 모든 메뉴의 선택 또는 결정이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인터페이스에 익숙해지면 종래의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메뉴를 선택하는 방법보다 메뉴 선택을 빠르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수행 횟수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터치 스크린의 고장 발생 횟수를 보다 줄일 수 있으며 자연스럽게 터치 스크린의 수명 또한 연장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의 드래그를 이용한 메뉴 선택을 지원하는 휴대용 단말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100)은 제어부(110), 터치 스크린(120), 메모리부(130), 무선 통신부(140), 오디오 처리부(150), 키패드부(16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스크린(120)은 크게 터치 감지 장치(121)와 디스플레이 장치(1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120)의 터치 감지 장치(121)는 사용자로부터의 터치를 감지함은 물론, 터치 패드 표면 상에서의 터치의 위치와 크기 등을 인식할 수 있다. 상기 터치 감지 장치(121)는 용량성 감지, 저항성 감지, 표면 탄성파(surface acoustic wave) 감지, 압력 감지, 광 감지 등의 방식 등을 통하여 다양한 터치 스크린 이벤트의 발생을 감지한다.
터치 스크린 이벤트란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 상의 어떠한 터치 또는 드래그를 입력하는 등의 이벤트를 의미한다. 그 예로 터치가 입력되는 터치 이벤트,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의 터치를 한 상태로 터치 스크린 상의 커서를 어떤 점에서 다른 점까지 움직이는 드래그 이벤트, 터치가 떨어지는 드롭 이벤트 등이 있다.
터치 감지 장치(121)는 발생한 이벤트의 종류와 그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터치가 이루어진 지점 및 크기, 드래그의 시작 위치 및 종료 위치, 터치 드롭이 발생한 위치 등의 정보)를 제어부(110)의 터치 이벤트 제어 모듈(111)로 전달한다.
터치 스크린(120)의 디스플레이 장치(122)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와 운영 체제 또는 그 상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간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등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22)는 창(window), 필드, 대화상자, 메뉴, 아이콘, 버튼, 커서, 스크롤바 등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0)는 휴대용 단말(100)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한다. 제어부(110)는 무선 통신부(140)와 연동하여 휴대용 단말(100)의 각종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오디오 처리부(150)와 연동하여 스피커(151)를 통해 음성 또는 음향을 출력하거나, 마이크(152) 등을 통하여 음성 또는 음향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키패드부(160)로부터 키 입력을 받고 종래의 휴대용 단말과 같이 사용자의 키입력에 따른 명령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제어부(110)는 터치 스크린(120) 상에 입력된 사용자의 명령에 상응하는 명령을 처리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110)는 터치 이벤트 제어 모듈(111), 메뉴 디스플레이 모듈(112), 메뉴 실행 모듈(11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이벤트 제어 모듈(111)은 터치 스크린(120)의 터치 감지 장치(121)로부터 터치 이벤트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그 후 터치 이벤트 제어 모듈(111)은 터치 이벤트에 따른 동작을 결정하고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터치 이벤트 제어 모듈(111)은 디스플레이된 제1 메뉴에 터치가 이루어지면, 메뉴 디스플레이 모듈(112)로 하여금 제1 메뉴의 하위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한다. 이 때 사용자가 하위 메뉴를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제1 메뉴와 인접하게 하위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사용자가 제1 메뉴 선택을 위한 터치를 한 상태로 디스플레이된 하위 메뉴 중 하나의 메뉴로 드래그를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드래그 이벤트를 수신한 터치 이벤트 제어 모듈(111)은 메뉴 디스플레이 모듈(112)로 하여금 드래그가 종료된 위치에 해당하는 메뉴의 하위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터치 이벤트 제어 모듈(111)은 임의의 지점에서 터치가 떨어지는 드롭이 이루어진 경우, 메뉴 실행 모듈(113)로 하여금 드롭된 위치에 해당하는 메뉴를 실행하도록 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메뉴 디스플레이 모듈(112)은 터치 이벤트 제어 모듈(111)의 제어에 따라 해당하는 메뉴를 터치 스크린(120)의 디스플레이 장치(122)에 출력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메뉴 실행 모듈(113)은 터치 이벤트 제어 모듈(111)의 제어에 따라 해당하는 메뉴를 실행하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메시지 작성"메뉴에서 터치를 드롭하는 경우 터치 이벤트 제어 모듈(111)은 "메시지 작성"의 실행을 메뉴 실행 모듈로 요청하며, 메뉴 실행 모듈(113)은 이에 따라 "메시지 작성" 어플리케이션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메뉴 실행 모듈(113)은 메모리부(130)에 저장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명령어들을 실행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이벤트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휴대용 단말(100)은 터치 스크린(120)의 디스플레이 장치(122)에 최상 위 메뉴를 디스플레이한다(S401). 이 경우 최상위 메뉴는 다수의 아이콘 또는 이미지 형태로 출력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러나 기타 다른 형태로 최상위 메뉴를 출력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100)은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영역에 터치 입력이 이루어졌는지 체크한다(S402). 최상위 메뉴가 다수의 아이콘으로 출력이 된 경우 상기 소정의 영역은 각각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된 영역과 매칭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휴대용 단말(100)은 터치가 이루어진 지점에 상응하는 메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403). 이 때 휴대용 단말(100)은 터치가 이루어진 지점에 따른 최상위 메뉴에 속하는 하위 메뉴들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이다. S401 단계와 마찬가지로 S403 단계의 하위 메뉴 디스플레이 또한 다수의 아이콘으로 출력되는 것이 사용자가 식별하기에 편리하다.
휴대용 단말(100)은 이후 터치가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후속 터치 스크린 이벤트가 입력되는지 체크한다(S404).
터치 스크린 이벤트가 감지되지 않는다면 휴대용 단말(100)은 계속하여 터치 스크린 이벤트의 입력을 대기한다. 이 때 발생 가능한 터치 스크린 이벤트로는 하위 메뉴로의 드래그 이벤트 또는 터치가 떨어지는 드롭 이벤트 등이 존재한다.
만일 터치 스크린 이벤트가 감지되는 경우 휴대용 단말(100)은 해당 터치 관련 이벤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S405). 터치가 떨어지는 드롭 이벤트와 하위 메뉴로의 드래그 이벤트에 대하여는 각각 도 5와 도 6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롭 이벤트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터치 스크린(120)의 터치 감지 장치(121)는 드롭 이벤트를 감지한다(S501). 이에 휴대용 단말(100)의 제어부(110)는 터치 감지 장치(121)로부터 드롭이 이루어진 지점의 좌표를 전달받는다(S502).
휴대용 단말(100)은 터치가 떨어지는 드롭이 발생한 지점에 상응하는 하위 메뉴의 존재 여부를 체크한다(S503). 만일 드롭이 발생한 지점에 상응하는 메뉴가 존재하는 경우 휴대용 단말(100)은 상기 메뉴에 따른 명령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S504).
다만 S503의 단계에서 터치가 떨어지는 드롭이 발생한 지점에 따른 하위 메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도 존재한다. 즉, 메뉴에 따른 아이콘,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은 영역에서 드롭이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용 단말(100)은 해당하는 메뉴 또는 명령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에러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505).
그 후 휴대용 단말(100)은 사용자로부터 다른 터치 스크린 이벤트의 입력을 대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506). 만일 에러 메시지를 출력한 후 휴대용 단말(100)의 초기 상태로 복귀하도록 설정한다면, 사용자가 실수로 터치를 떨어뜨린 경우 지금까지의 메뉴 선택 과정을 복구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휴대용 단말(100)은 다시 터치 스크린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감지한다(S507). 사용자가 다시 터치 스크린(120)에 터치 또는 드래그 등의 입력을 하게 되면 휴대용 단말(100)은 이에 따른 제어를 수행한다(S508).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래그 이벤트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터치 스크린(120)의 터치 감지 장치(121)는 사용자로부터 드래그 이벤트의 입력을 감지한다(S601). 이 경우 휴대용 단말(100)의 제어부(110)는 터치 감지 장치(121)로부터 드래그가 종료된 지점의 좌표를 입력받는다(S602).
S503 단계와 유사하게 휴대용 단말(100)은 드래그가 종료된 지점에 해당하는 메뉴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만일 드래그가 종료된 지점에 상응하는 메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하위 메뉴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에러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고(S605) 다음 터치 스크린 이벤트의 입력을 대기한다(S606).
만일 S603 단계에서 드래그가 종료된 지점에 해당하는 메뉴가 존재하는 경우, 휴대용 단말(100)은 상기 메뉴에 속한 하위 메뉴 또는 상기 메뉴에 대한 정보 등을 디스플레이한다(S604).
이 때 S604 단계에서 휴대용 단말(100)은 드래그 종료 지점에 속하는 하위 메뉴만을 디스플레이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만일 특정 가수의 앨범 아이콘에 드래그가 종료되었다면, 상기 앨범에 대한 정보 등이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또한 하위 메뉴 또는 드래그 종료 지점에 따른 관련 정보 등은 이미 디스플레이된 메뉴와 인접하게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S604 단계에 따른 하위 메뉴의 디스플레이 후 휴대용 단말(100)은 다른 터치 스크린 이벤트의 입력을 기다린다(S606). 터치 스크린 이벤트가 다시 입력되는 경우 휴대용 단말(100)은 해당 이벤트에 대한 동작을 수행한다(S608).
도 7은 도 3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의 제1 동작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7의 (A)는 도 4의 S401 단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최상위 메뉴가 디스플레이된 상태를 보여준다. 터치 스크린(120)의 디스플레이 장치(122)에는 크게 "통화", "멀티미디어", "다이어리", "설정"등의 최상위 메뉴가 표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제1 계층 메뉴).
도 7의 (B)는 도 4의 S402 단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소정의 메뉴 영역에 터치가 이루어진 경우의 동작 화면을 나타낸 이미지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최상위 메뉴 중 "통화" 메뉴에 터치를 한 경우의 동작을 보여준다.
이 경우 휴대용 단말은 S403 단계와 같이 터치가 이루어진 메뉴에 따른 하위 메뉴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7의 (B)에서 "통화"의 하위 메뉴인 "메시지", "통화화기", "전화번호부" 메뉴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모서리에 출력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제2 계층 메뉴). 구체적으로 제1 계층 메뉴가 표시된 위치에서 터치된 하나의 제1 계층 메뉴가 표시된 위치를 제외한 나머지 위치에 제2 계층 메뉴인 "통화하기", "전화번호부" 메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는 "메시지", "통화화기", "전화번호부" 등의 하위 메뉴를 선택하기 위하여 "통화"아이콘을 터치한 상태에서 자신이 원하는 하위 메뉴로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를 드래그한다. 도 7의 (C)는 사용자가 "통화" 메뉴에 터치를 하고 있는 상태에서 자신이 원하는 하위 메뉴인 "메시지" 메뉴로 드래그를 입력한 상태 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의 (D)는 도 7의 (C)의 드래그 동작에 따른 휴대용 단말(100)의 출력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의 (D)에 나타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에는 우상측의 "메시지" 메뉴가 출력되어 있다. 한편, 휴대용 단말은 S604 단계에 따라 "메시지" 메뉴의 하위 메뉴인 "받은 메시지"와 "보내기"메뉴를 좌하측, 우하측에 출력하고 있다(제3 계층 메뉴). 물론, 하위 메뉴가 출력되는 위치는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터치가 된 제1 계층 메뉴로부터 제2 계층 메뉴 중 하나의 제2 계층 메뉴로 드래그가 입력된 경우, 드래그가 종료된 지점에 따른 제2 메뉴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계층 메뉴가 제1 계층 메뉴가 표시된 위치에서 상기 드래그가 종료된 지점에 따른 제2 메뉴가 표시된 위치를 제외한 나머지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도 7의 (D) 좌상측에는 "메시지"의 상위 메뉴인 "통화 메뉴"도 출력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메시지"의 상위 메뉴인 "통화 메뉴"를 사라지게 않게하면, 사용자가 "통화" 메뉴로 드래그를 하여 최상위 메뉴로 복귀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계층적 메뉴 간 이동을 보다 쉽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계층 메뉴가 표시된 위치에서 드래그가 종료된 지점에 따른 제2 메뉴가 표시된 위치 및 제3 계층 메뉴가 표시된 위치를 제외한 나머지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서 제2 메뉴의 상위 메뉴가 추가적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7의 (D)에서 사용자는 "메시지"의 하위 메뉴 중 하나인 "보내기" 메뉴로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를 드래그를 수행하고, "보내기" 메뉴에서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를 터치 스크린(120)에서 떼는 드롭을 수행한다. 이 경우 휴대용 단말(100)은 S503 단계에 따라 드롭된 지점, 즉 "보내기" 메뉴에 해당하는 명령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도 7의 (E)에서는 휴대용 단말(100)이 "보내기"메뉴에 해당하는 명령을 실행한 결과를 살펴볼 수 있다. 휴대용 단말(100)은 "보내기" 메뉴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이다. 어플리케이션 실행 결과 "메시지 보내기"의 제목과 사용자가 전송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입력하는 메시지 필드(Message Field) 및 메시지 전송 후 메시지를 저장하도록 하는 "전송 후 저장" 선택 옵션 등이 출력된다. 또 한, 휴대용 단말(100)은 메시지 필드 또는 선택 옵션에 대한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기다린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의 제2 동작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의 (A)는 도 7의 (A)와 같이 휴대용 단말(100)이 최상위 계층의 메뉴인 "통화", "멀티미디어", "다이어리", "설정" 메뉴를 출력한 상태를 보여준다. 여기서 사용자는 "멀티미디어" 메뉴에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등을 이용하여 터치를 하게 된다.
도 8의 (B)에서 휴대용 단말(100)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멀티미디어" 메뉴의 하위 메뉴를 디스플레이한다. 구체적으로 휴대용 단말(100)은 "멀티미디어" 메뉴의 하위 메뉴인 "MP3", "무선 인터넷", "카메라"를 출력한다.
도 8의 (C)는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메뉴의 하위 메뉴 중 "MP3" 메뉴로 드래그를 수행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만일 "MP3" 메뉴에 속하는 하위 메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휴대용 단말은 드롭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아도 "MP3" 어플리케이션을 바로 실행할 수도 있다.
도 8의 (D)는 휴대용 단말이 "MP3"메뉴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화면을 나타낸다. 도 8의 (D)는 왼쪽의 스크롤바와 오른쪽의 가수의 앨범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사용자가 왼쪽의 스크롤바를 드래그 움직임에 따라 오른쪽의 가수 별 앨범을 스크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스크롤바를 아래로 드래그 하는 경우 뒤쪽 에 위치되어 있는 앨범들이 스크롤되어 가장 전면에 위치시킬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 상에서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를 떼지 않는 경우 휴대용 단말(100)은 가장 전면에 위치되어 있는 특정 앨범에 대한 정보들을 추가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앨범 정보들로는 앨범 명칭, 앨범 출판 년도, 트랙별 노래 정보, 작곡자, 저작권자, 원곡 가수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의 (E)는 사용자는 출력된 앨범 정보들을 보고 청취하고자 하는 앨범을 선택하기 위하여 전면에 위치되어 있는 앨범에 대한 아이콘 또는 이미지로 드래그를 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 경우 휴대용 단말(100)은 드래그 과정을 통해 선택된 앨범에 대한 하위 메뉴를 출력하게 된다. 도 8의 (F)에서 휴대용 단말(100)은 사용자의 드래그 동작에 따라 해당 앨범을 청취하기 위한 "▷", "□" 메뉴들이 출력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시 사용자는 해당 앨범을 청취하기 위하여 "▷" 메뉴로 드래그한 후 드롭한다. "▷"메뉴에서 드롭을 감지한 휴대용 단말(100)은 해당 앨범을 재생시키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등을 실행하게 된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 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휴대용 단말이 제공하는 트리 메뉴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휴대용 단말에서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트리 메뉴를 선택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이벤트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롭 이벤트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래그 이벤트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3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의 제1 동작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3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의 제2 동작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휴대용 단말
110 : 제어부
111 : 터치 스크린 이벤트 감지 모듈
112 : 메뉴 디스플레이 명령 모듈
113 : 메뉴 실행 모듈
120 : 터치 스크린
121 : 터치 감지 장치
122 : 디스플레이 장치
130 : 메모리부
140 : 무선 통신부
150 : 오디오 처리부
151 : 스피커
152 : 마이크
160 : 키패드부

Claims (19)

  1.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에 출력된 다수의 제1 계층 메뉴 중 하나가 터치되는 경우, 상기 터치된 제1 계층 메뉴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계층 메뉴가 상기 제1 계층 메뉴가 표시된 위치에서 상기 터치된 하나의 제1 계층 메뉴가 표시된 위치를 제외한 나머지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상기 터치가 된 제1 계층 메뉴로부터 상기 제2 계층 메뉴 중 하나의 제2 계층 메뉴로 드래그가 입력된 경우, 상기 드래그가 종료된 지점에 따른 제2 메뉴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계층 메뉴가 상기 제1 계층 메뉴가 표시된 위치에서 상기 드래그가 종료된 지점에 따른 제2 메뉴가 표시된 위치를 제외한 나머지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및
    상기 터치가 떨어지는 드롭을 감지한 경우 상기 드롭이 이루어진 지점에 따른 메뉴에 상응하는 명령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드래그가 종료된 지점에 따른 제2 메뉴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계층 메뉴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는
    상기 제1 계층 메뉴가 표시된 위치에서 상기 드래그가 종료된 지점에 따른 제2 메뉴가 표시된 위치 및 상기 제3 계층 메뉴가 표시된 위치를 제외한 나머지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서 상기 제2 메뉴의 상위 메뉴가 추가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 제어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롭이 이루어진 지점에 따른 메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에러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래그가 이루어진 지점에 따른 메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에러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 제어 방법.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에러 메시지를 출력한 후 사용자로부터 다음 입력을 대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또는 드래그가 종료된 지점에 따른 메뉴가 멀티미디어 파일 아이콘인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 정보가 디스플레이된 영역으로 드래그가 입력된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 제어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디스플레이 장치와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터치 감지 장치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과
    상기 터치 스크린에 출력된 다수의 제1 계층 메뉴 중 하나를 터치하는 경우, 상기 터치된 제1 계층 메뉴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계층 메뉴가 상기 제1 계층 메뉴가 표시된 위치에서 상기 터치된 하나의 제1 계층 메뉴가 표시된 위치를 제외한 나머지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서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터치가 된 제1 계층 메뉴로부터 상기 제2 계층 메뉴 중 하나의 제2 계층 메뉴로 드래그가 입력된 경우, 상기 드래그가 종료된 지점에 따른 제2 메뉴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계층 메뉴가 상기 제1 계층 메뉴가 표시된 위치에서 상기 드래그가 종료된 지점에 따른 제2 메뉴가 표시된 위치를 제외한 나머지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터치 감지 장치가 터치가 떨어지는 드롭을 감지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드롭이 이루어진 지점에 따른 메뉴에 대한 명령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드래그가 종료된 지점에 따른 제2 메뉴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계층 메뉴가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계층 메뉴가 표시된 위치에서 상기 드래그가 종료된 지점에 따른 제2 메뉴가 표시된 위치 및 상기 제3 계층 메뉴가 표시된 위치를 제외한 나머지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서 상기 제2 메뉴의 상위 메뉴가 추가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
  14. 삭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드롭이 이루어진 지점에 따른 메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에러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드래그가 종료된 지점에 따른 메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에러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러 메시지를 출력한 후 사용자로부터 다음 입력을 대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또는 드래그된 메뉴가 멀티미디어 파일 아이콘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 정보가 디스플레이된 영역으로 드래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
KR1020080124619A 2008-12-09 2008-12-09 터치 스크린의 드래그를 이용한 메뉴 선택을 지원하는 휴대용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0044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4619A KR101004463B1 (ko) 2008-12-09 2008-12-09 터치 스크린의 드래그를 이용한 메뉴 선택을 지원하는 휴대용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US12/363,861 US20100146451A1 (en) 2008-12-09 2009-02-02 Handheld terminal capable of supporting menu selection using dragging on touch scree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4619A KR101004463B1 (ko) 2008-12-09 2008-12-09 터치 스크린의 드래그를 이용한 메뉴 선택을 지원하는 휴대용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6002A KR20100066002A (ko) 2010-06-17
KR101004463B1 true KR101004463B1 (ko) 2010-12-31

Family

ID=42232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4619A Expired - Fee Related KR101004463B1 (ko) 2008-12-09 2008-12-09 터치 스크린의 드래그를 이용한 메뉴 선택을 지원하는 휴대용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00146451A1 (ko)
KR (1) KR1010044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4700B1 (ko) 2009-12-15 2016-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9198844A1 (ko) * 2018-04-12 2019-10-17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미디어 플레이어를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908456D0 (en) * 2009-05-18 2009-06-24 L P Touch screen, related method of operation and systems
US8638306B2 (en) * 2009-11-06 2014-01-28 Bose Corporation Touch-based user interface corner conductive pad
US8669949B2 (en) * 2009-11-06 2014-03-11 Bose Corporation Touch-based user interface touch sensor power
US20110109560A1 (en) * 2009-11-06 2011-05-12 Santiago Carvajal Audio/Visual Device Touch-Based User Interface
US9201584B2 (en) 2009-11-06 2015-12-01 Bose Corporation Audio/visual device user interface with tactile feedback
US8686957B2 (en) * 2009-11-06 2014-04-01 Bose Corporation Touch-based user interface conductive rings
US20110113371A1 (en) * 2009-11-06 2011-05-12 Robert Preston Parker Touch-Based User Interface User Error Handling
US8692815B2 (en) * 2009-11-06 2014-04-08 Bose Corporation Touch-based user interface user selection accuracy enhancement
US8350820B2 (en) * 2009-11-06 2013-01-08 Bose Corporation Touch-based user interface user operation accuracy enhancement
KR101725887B1 (ko) * 2009-12-21 2017-04-11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의 컨텐츠 검색 방법 및 장치
WO2011102656A2 (en) * 2010-02-17 2011-08-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S10788976B2 (en) 2010-04-07 2020-09-29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folders with multiple pages
US20110252349A1 (en) 2010-04-07 2011-10-13 Imran Chaudhri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Folders
JP6115867B2 (ja) * 2010-05-24 2017-04-26 テンプル,ウィル,ジョン 1つ以上の多方向ボタンを介して電子機器と相互作用できるようにする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ティングデバイス
EP2407870A1 (en) * 2010-07-16 2012-01-18 Research in Motion Limited Camera focus and shutter control
US8799815B2 (en) * 2010-07-30 2014-08-05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ctivating an item in a folder
US8826164B2 (en) 2010-08-03 2014-09-02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reating a new folder
KR101924835B1 (ko) * 2011-10-10 2018-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디바이스의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CN102541445A (zh) * 2011-12-08 2012-07-04 华为技术有限公司 交互方法及交互设备
US10078420B2 (en) * 2012-03-16 2018-09-18 Nokia Technologies Oy Electronic devices, associated apparatus and methods
US20140067366A1 (en) * 2012-08-30 2014-03-06 Google Inc. Techniques for selecting languages for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WO2014157897A1 (en) 2013-03-27 2014-10-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switching tasks
WO2014157893A1 (en) 2013-03-27 2014-10-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a private page
US10229258B2 (en) 2013-03-27 2019-03-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security content
KR102164454B1 (ko) * 2013-03-27 2020-10-13 삼성전자주식회사 개인 페이지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WO2014157894A1 (en) 2013-03-27 2014-10-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displaying user interface and method of providing the user interface
WO2014157885A1 (en) * 2013-03-27 2014-10-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menu interface
US9996246B2 (en) 2013-03-27 2018-06-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execution result of application
WO2014157886A1 (en) 2013-03-27 2014-10-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executing application
WO2014157908A1 (en) 2013-03-27 2014-10-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execution result of application
JP2014235543A (ja) * 2013-05-31 2014-12-15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4660797B (zh) * 2013-11-25 2019-06-1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操作处理方法及装置
JP6529300B2 (ja) * 2015-03-23 2019-06-12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EP3109755A1 (en) * 2015-06-26 2016-12-28 Doro AB Activation of functions through dynamic association of attributes and functions and attribute-based selection of functions
CN106325726B (zh) * 2015-06-30 2019-12-13 中强光电股份有限公司 触控互动方法
JP6677019B2 (ja) * 2016-03-02 2020-04-08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20170269805A1 (en) * 2016-03-17 2017-09-2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ile workflow board
DK201670595A1 (en) 2016-06-11 2018-01-22 Apple Inc Configuring context-specific user interfaces
KR102086578B1 (ko) 2019-04-09 2020-05-29 김효준 명령 메뉴 출력 방법
KR102140935B1 (ko) * 2019-09-26 2020-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미디어 기기의 메뉴 제어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에 대한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 매체
CN110851039B (zh) * 2019-10-08 2021-07-0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菜单显示方法及电子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927B1 (ko) * 2006-09-27 2007-1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메뉴 및 아이템 선택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81035B2 (ja) * 1989-12-12 1998-07-30 富士通株式会社 階層型編集コマンド・メニュー表示方法
JPH0756628B2 (ja) * 1990-10-22 1995-06-1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の編集装置
US5416901A (en) * 1992-12-17 1995-05-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direct icon manipulation operations in a data processing system
WO1996009579A1 (en) * 1994-09-22 1996-03-28 Izak Van Cruyningen Popup menus with directional gestures
US6057844A (en) * 1997-04-28 2000-05-02 Adobe Systems Incorporated Drag operation gesture controller
US6621532B1 (en) * 1998-01-09 2003-09-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asy method of dragging pull-down menu items onto a toolbar
US6147687A (en) * 1998-10-02 2000-11-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ynamic and selective buffering tree view refresh with viewable pending notification
JP4557374B2 (ja) * 2000-06-15 2010-10-0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記憶媒体
US7788598B2 (en) * 2001-03-16 2010-08-31 Siebel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assigning and scheduling activities
JP4096541B2 (ja) * 2001-10-01 2008-06-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画面表示方法
US7191411B2 (en) * 2002-06-06 2007-03-13 Moehrle Armin E Active path menu navigation system
US7058902B2 (en) * 2002-07-30 2006-06-06 Microsoft Corporation Enhanced on-object context menus
WO2005029269A2 (en) * 2003-09-19 2005-03-31 Stanislaw Lewak Manual user data entry method and system
US7418670B2 (en) * 2003-10-03 2008-08-26 Microsoft Corporation Hierarchical in-place menus
US20060136833A1 (en) * 2004-12-15 2006-06-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ining objects in a pointer drag path
KR100717692B1 (ko) * 2005-10-08 2007-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927B1 (ko) * 2006-09-27 2007-1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메뉴 및 아이템 선택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4700B1 (ko) 2009-12-15 2016-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9198844A1 (ko) * 2018-04-12 2019-10-17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미디어 플레이어를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200132884A (ko) * 2018-04-12 2020-11-25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미디어 플레이어를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512879B1 (ko) * 2018-04-12 2023-03-22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미디어 플레이어를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6002A (ko) 2010-06-17
US20100146451A1 (en) 2010-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4463B1 (ko) 터치 스크린의 드래그를 이용한 메뉴 선택을 지원하는 휴대용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US20220137765A1 (en)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supporting user navigations of graphical objects on a touch screen display
CN102428429B (zh) 列表搜索方法和支持该列表搜索方法的移动终端
US11029816B2 (en)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executing particular function through touch event on communication related list
AU2008100003A4 (en) Method, system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viewing multiple application windows
TWI381305B (zh) 使用者介面的顯示與操作方法以及電子裝置
CN102549931B (zh) 列表编辑方法以及适用该方法的移动设备
CN103995647B (zh) 具有界面重新配置模式的便携式多功能设备
US9817436B2 (en)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objects adaptively
US9535600B2 (en) Touch-sensitive device and touch-based folder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20345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단말에서 홈 화면의 구성 방법 및 장치
CN105706428B (zh) 提供消息的方法以及支持所述方法的用户设备
US9898111B2 (en) Touch sensitive device and method of touch-based manipulation for contents
US20090179867A1 (en)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i) to display operating guide and multimedia apparatus using the same
US20130009890A1 (en) Method for operating touch navigation function and mobile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JP2013535719A (ja)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画面のナビゲーションのためのデバイス、方法、および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JP2010079868A (ja) ユーザーインターフェースを操作する方法
WO2011037558A1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US2014024026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voice service in a portable terminal for visually disabled people
CN103189819B (zh) 触摸控制方法和支持触摸控制方法的便携式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15122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51222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