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07606B1 - Women's Shoe Midsole, Sole With Tooth And Shoe For Sole Pressure Dispersion - Google Patents

Women's Shoe Midsole, Sole With Tooth And Shoe For Sole Pressure Dispers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7606B1
KR101007606B1 KR1020090069201A KR20090069201A KR101007606B1 KR 101007606 B1 KR101007606 B1 KR 101007606B1 KR 1020090069201 A KR1020090069201 A KR 1020090069201A KR 20090069201 A KR20090069201 A KR 20090069201A KR 101007606 B1 KR101007606 B1 KR 1010076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men
shoe
heel
midsole
so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92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인식
Original Assignee
박인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인식 filed Critical 박인식
Priority to KR1020090069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7606B1/en
Priority to PCT/KR2010/004770 priority patent/WO2011013940A2/en
Priority to CN201080009698.3A priority patent/CN102333464B/en
Priority to US13/260,682 priority patent/US20120110872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7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7606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43B13/125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idsole or middle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0Met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외부 힘에 의해 쉽게 변형되지 않고 형태를 유지하면서 발의 후반부 해당 영역을 커버하도록 경질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주변에 비해 두껍게 형성되는 생크부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용 구두 중창용 아대와 이를 채용한 여성용 구주 중창 및 구두가 개시된다. It is made of a hard synthetic resin material to cover the corresponding area of the second half of the foot while maintaining its shape without being easily deformed by external force, and the shank for women's shoe midsole, which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surroundings, is formed integrally and employs the same. Women's Savior midsoles and shoes are disclosed.

본 발명에 따르면 여성용 구두에서 지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후단으로부터 지면에 닿는 부분을 연결하는 구두 바닥면 부분의 경사도를 부분별로 달리하여 발 뒤꿈치 부분이 수평으로 놓이게 함으로써 발 앞꿈치 및 엄지 발가락 부분에 가중되는 몸무게로 인한 압력을 발 뒤꿈치 부분으로 나누어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고, 사출이나 몰드를 통해 생크부를 일체로 제조하여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es are weighted to the heel and toe part by varying the inclination of the bottom portion of the shoe that connects the part touching the ground from the rear end spaced from the ground by a certain distance so that the heel part is horizontally placed. By dividing the pressure due to the weight into the heel portion can be effectively reduced, by reducing the cost by manufacturing the shank unit integrally by injection or mold.

Description

발바닥 압력 분산을 위한 여성용 구두 중창용 아대, 이를 가진 중창 및 구두 {heel setting part for pressure distribution of insole in a shoe for women, insole having the same and shoe for women havig the insole} Heel setting part for pressure distribution of insole in a shoe for women, insole having the same and shoe for women havig the insole}

본 발명은 구두 중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굽이 있는 여성용 구두에서 발바닥에 인가되는 압력을 분산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중창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midso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idsole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dispersing the pressure applied to the sole in a heeled women's shoes.

발은 정교하고 섬세한 기관으로서 많은 뼈와 관절, 인대와 수많은 근육과 건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발의 구성요소들은 선 상태와 이동 상태에서 발의 기능을 잘 수행할 수 있도록 기본적인 고정 구조를 이루기도 하고, 각각의 상태에서 달라지는 서로 간의 결합에 의해 몇 가지 정형적인 형태와 구조를 이루게 된다.The foot is an elaborate and delicate organ composed of many bones, joints, ligaments and numerous muscles and tendons. These foot components form a basic fixed structure to perform the function of the foot well in the line state and the moving state, and forms a few formal shapes and structures by the combination of each other in each state.

신발은 이러한 발을 외부의 열이나 냉기, 외부 물체와의 접촉으로 인한 손상으로부터 보호하고, 이동시 발에 미치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긍정적인 작용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신발은 다른 한편으로 자연스러운 발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발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Shoes can play a positive role in protecting these feet from damage from external heat, cold, and contact with external objects, and alleviating the impact on the feet during movement. However, shoes, on the other hand, may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foot by limiting natural foot movement.

가령, 5cm 이상의 높은 굽이 달린 여성용 드레스화, 즉, 하이힐의 경우, 보 행을 하는 발의 형태를 위주로 볼 때 자연스러운 4단계 보행이 아닌 1단계 보행이 된다. 즉, 보행시 발의 형태가 하이힐 자체의 형태에 의해 항상 뒤꿈치를 들고 있는 제2 형 족저굴곡과 비슷한 까치발 형태로 고정되어 버린다. 또한, 하이힐에서는 제1형 족저굴곡 상태 없이 계속 제2형 족저굴곡 상태에 있으면서 4단계의 앞발로 밀기가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하이힐 보행시에는 발 근육의 변형에 따른 근육의 탄력을 충분히 이용하지 못하게 되며, 족지(발가락)의 밀기 동작에서 족저굴곡(Plantarflexion) 기능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For example, women's dress shoes with high heels of 5 cm or more, that is, in the case of high heels, the first step of walking, rather than the natural four-step walking based on the shape of the walking foot. That is, when walking, the shape of the foot is fixed by the shape of the high heels itself in the form of a magpie foot similar to the type 2 plantar flexion that always holds the heel. In addition, the high heels are pushed to the forefoot in four stages while the second type plantar flexion continues without the first type plantar flexion. Therefore, when walking high heels, the elasticity of the muscles due to the deformation of the foot muscles are not fully utilized, and the plantar flexion function in the pushing motion of the toes is significantly reduced.

또한, 하이힐은 사용자가 이동하거나 정지 상태에서도 지면에 닿는 밑창을 가진 전족부와 높은 굽에 의해 지면과 일정 거리 이격된 후족부(발뒤꿈치)를 가지므로, 구두 바닥면의 경사는 필연적이며, 후족부 및 후족부와 전족부를 연결하는 부분의 경사로 인하여 발의 후족부는 구두 위에 안정되지 못하고 항상 구두 내면의 경사를 따라 구두 앞쪽으로 쏠리는 힘을 받게 된다. 이러한 힘에 따라 사용자의 체중은 발 앞꿈치에 집중되고, 구두 앞쪽의 좁은 볼로 인하여 무지외반증을 유발하기 쉽다.In addition, the high heels have a forefoot with a sole that touches the ground even when the user moves or stops, and a rear foot (heel) spaced a certain distance from the ground by a high heel, so that the inclination of the bottom of the shoe is inevitable, Due to the inclination of the portion connecting the forefoot and the forefoot, the forefoot of the foot is not stable on the shoe and is always forced to the front of the shoe along the inclina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hoe. By this force, the user's weight is concentrated on the heel, and the narrow cheeks in front of the shoe are likely to cause hallux valgus.

한편, 통상의 구두는 밑창 위에 중창이 있고, 밑창과 중창 사이에는 주변을 따라 갑피의 주변부가 끼워져 고정되어 있다. 갑피가 끼워진 주변부의 내측에는 갑피 대신 단차를 없애고 밑창과 중창을 잘 접착시키기 위해 스폰지층이 설치된다. 하이힐의 중창은, 발바닥 전면에 걸치는 종이나 가죽 혹은 인조 피혁 재질의 택션과 택션의 후반부(발의 최후단에서 발의 앞꿈치 후단 즉, 밑창이 지면과 닿는 경계 부분까지)의 아래쪽에 결합되며 종이 재질로 택션에 비해 두껍고 단단하여 일정한 형태를 이루는 아대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아대의 내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섕크(shank)라고도 불리는 금속재 허리쇠가 있어서 지지프레임의 역할을 한다. 즉, 이 부분에 미치는 사용자의 중량이나 움직임에 의해 밑창의 뒷꿈치 부분과 앞꿈치 부분을 연결하는 구두 창의 경사부가 무너지거나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구두 창의 경사진 형태를 유지한다.On the other hand, ordinary shoes have a midsole on the sole, and the periphery of the upper is fitted and fixed between the sole and the midsole along the periphery. Inside the periphery where the upper is fitted, a sponge layer is installed to remove the step instead of the upper and to adhere the sole to the midsole. The midsole of the high heels is a piece of paper, leather or artificial leather tack over the sole of the sole and the bottom of the tack (from the end of the foot to the back of the heel of the foot, ie the boundary where the sole touches the ground). Compared to the thick and hard to form a certain shape of the band. The inside of the band has a metal waistband, also called shank,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ich serves as a support frame. That is, the inclined portion of the shoe window connecting the heel portion and the heel portion of the sole is prevented from collapsing or falling due to the user's weight or movement on the portion to maintain the inclined shape of the shoe sole.

그런데, 통상의 중창은 단순히 갑피를 붙여 고정하고, 구두 내부에서 볼 때 구두 바닥에 부착된 갑피 주변부를 가려주는 역할을 할 뿐 특별히 발을 편하게 하거나, 사용자의 특성에 맞는 어떤 기능을 갖도록 하기가 어려웠다. 이 상태에서 하이힐의 바닥 창 상단은 '까레'라고 불리는 얇은 덮개층이 덧붙여져서 마감될 뿐이므로 중창의 상면이 곧 사용자의 발바닥이 닿는 구두 상면의 곡면과 동일하게 된다. 이는 근래에 개발되는 많은 기능성 운동화 등과 같이 기능성을 주기에 편하지 않은 구조이며, 특히 하이힐의 경우에는 사용자의 발에 무리를 주는 구조를 커버할만한 기능성을 부여하기 어렵게 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However, the normal midsole simply serves to fix the upper, and to cover the upper periphery attached to the sole of the shoe when viewed from the inside of the shoe, it was difficult to make the foot particularly comfortable or to have a function that sui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r. . In this state, the top of the sole of the high heels is finished with a thin layer of cover called 'carre',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midsole is the same as the upper surface of the shoe that the user's sole touches. This is a structure that is not comfortable to give functionality, such as many functional sneakers developed in recent years, especially in the case of high heels has become a factor that makes it difficult to give a functional enough to cover the structure that gives a burden to the user's feet.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하이힐 구두의 문제점을 해결 혹은 경감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이힐 구두에서 발의 뒷굼치가 전방쪽으로 쏠리는 현상을 완화시켜 발바닥에 걸리는 압력을 분산시켜 줌으로써 발을 편하게 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or alleviat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high-heeled shoes described above, and more particularly, in the high-heeled shoes to ease the phenomenon of the back squeezing of the foot in front of the configuration by distributing the pressure applied to the soles to ease the foot The purpose is to provide.

본 발명은 하이힐 구두의 중창에 기능적인 형태를 부여하여 단순 평면 중창에 비해 발바닥의 압력을 분산시켜 발의 안정과 편함을 추구할 수 있는 구두 및 부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oe and parts that can provide a functional form to the midsole of the high heel shoe to distribute the pressure of the sole compared to the simple flat midsole to pursue the stability and comfort of the foot.

본 발명은 동시에 이상 목적을 저렴하고 효율적으로 추구할 수 있는 구두 및 부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oe and a part which can at the same time pursue the above object inexpensively and efficientl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여성용 구두 중창용 아대는 외부 힘에 의해 쉽게 변형되지 않고 형태를 유지하면서 발의 후반부 해당 영역을 커버하도록 경질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주변에 비해 두껍게 형성되는 생크부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Women's shoe midsole for wome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made of a hard synthetic resin material to cover the corresponding area of the second half of the foot while maintaining the shape without being easily deformed by external force, the shank portion formed thicker than the surrounding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본 발명의 아대는 합성수지 사출성형이나 몰딩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The ban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rmed through plastic injection molding or molding.

본 발명에서 섕크부는 아대 저면이 돌출되어 형성되며, 대개 섕크부의 목적을 위해 길이방향으로 길게 뻗는 형태를 이룬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nk portion is formed by protruding the bottom of the band, and usually forms a longitudinally extending shape for the purpose of the shank portion.

본 발명에서 아대의 내측 상면에 대한 형상선(S)은 양단부를 직선으로 연결 할 때 직선으로부터 위로 볼록한 부분을 가지며, 위로 볼록한 부분 가운데 직선에서 가장 많이 이격된 점을 최대 이격점이라 할 때, 양단부를 연결한 직선의 길이와 직선으로부터 형상선까지의 최대 이격거리(D1)의 비율은 10% 이상이 될 수 있으며, 형상선(S)의 최대 이격점(X)은 이 직선의 절반 지점(M)에서 직선과 수직으로 그어 형상선과 만나는 점(M')보다 앞쪽(발앞꿈치쪽)에 존재할 수 있다.Shape line (S) for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abdomen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vex portion upward from the straight line when connecting both ends in a straight line, when the most spaced apart point in the straight line among the convex portion is the maximum separation point, both ends The ratio of the length of the straight line connecting and the maximum separation distance (D1) from the straight line to the contour line may be 10% or more, and the maximum separation point (X) of the contour line (S) is half of the straight line (M). ) Can be located perpendicular to the straight line (M ') in front of the (M) to meet the shape line.

본 발명의 아대는 중창이 구두에 적용된 상태에서 측면에서 볼 때, 길이 방향을 따라 상면이 전체적으로 지면(수평면)과 15도 이하의 약한 경사상태를 이루는 발뒤꿈치 해당부와 상기 발뒤꿈치 해당부 전방에 펼쳐지며 발뒤꿈치 해당부와 경사도에서 30도 이상의 차이가 있어서 지면과 45도 이상의 급한 경사를 형성하는 경사부 및 발뒤꿈치 해당부와 경사부를 연결하는 곡면을 이루는 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발뒤꿈치 해당부는 발 뒷단에서 복사뼈라고 불리는 부분의 직하방까지를 통상 의미하나 여기서는 발 뒷단에서 복사뼈 직하방까지 수평 길이의 적어도 2/3 이상 구간을 포함하는 부분을 의미하도록 한다. 연결부는 발뒤꿈치 해당부에 비해 40% 이하의 수평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경사부의 전방에는 통상 지면(수평면)과의 자연스러운 연결을 위해 아래로 볼록한 변곡부를 가진다.When the side of the midsole is applied to the shoe when viewed from the side, the upper surfa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a whole (horizontal plane) and the heel corresponding part and the front of the heel corresponding part which forms a weak inclined state of 15 degrees or less. It may be provided with an inclined portion that is unfolded and has a difference of 30 degrees or more from the heel corresponding portion and the inclined angle and a curved portion connecting the heel corresponding portion and the inclined portion to form a steep inclination of 45 degrees or more with the ground. The heel corresponding part generally means from the rear end of the foot to just below the part called the astragalus, but here it means a part including at least 2/3 or more of the horizontal length from the rear end of the foot to the lower part of the astragalus. The connecting portion preferably has a horizontal length of 40% or less than that of the heel portion, and the front of the inclined portion usually has a convex downward portion for natural connection with the ground (horizontal surface).

본 발명의 여성용 구두 중창은 본 발명의 아대와 이 아대 저면에 적어도 일부가 겹치도록 부착되는 택션을 구비하여 아대와 택션이 결합된 상태에서 발의 전면을 커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The women's shoe midso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tack attach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ban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bottom of the band so as to cover the front of the foot in a state where the band and the tack are coupled.

본 발명의 여성용 구두 중창에서 아대의 저면에는 발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이 저면으로부터 아래로 돌출형성된 섕크부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택션은 생크부에 해당하는 천공부를 가져 아대의 저면에 결합될 때 중창의 저면에서 단차를 가지지 않거나 섕크부의 저면으로부터의 돌출 높이에 비해 완화된 단차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In the women's shoe midso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of the band may be integrally provided with a shank portion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oot. In this case, the traction may have a perforated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hank portion so that it does not have a step at the bottom of the midsole when it is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abutment, or has a relaxed step compared to the height of protrusion from the bottom of the shank portion.

본 발명의 여성용 구두는 바닥재로서 5cm 이상의 굽(heel)을 포함하는 밑창과 중창을 구비하는 여성용 구두에 있어서, 본 발명의 여성용 구두 중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omen's sho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omen's shoe having a sole and a midsole having a heel of 5 cm or more as a flooring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the woman's shoe midso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본 발명의 여성용 구두는 중창이 택션만으로 형성된 영역에서는 갑피와 택션이 겹치는 부분은 갑피와 택션과 함께 관통하는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고정하고, 아대가 택션과 함께 겹치는 부분에서는 접착제만으로 갑피와 중창을 고정하여 형성할 수 있다.In the women's sho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portion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tack are fixed by using a fixing member penetrating together with the upper and the tack in an area in which the midsole is formed only of the tack,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lap overlaps the tack with only the adhesive to fix the upper and the midsole. Can be formed.

본 발명에 따르면 여성용 구두에서 지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후단으로부터 지면에 닿는 부분을 연결하는 구두 바닥면 부분의 경사도를 부분별로 달리하여 발 뒤꿈치 부분이 수평으로 놓이게 함으로써 발 앞꿈치 및 엄지 발가락 부분에 가중되는 몸무게로 인한 압력을 발 뒤꿈치 부분으로 나누어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es are weighted to the heel and toe part by varying the inclination of the bottom portion of the shoe that connects the part touching the ground from the rear end spaced from the ground by a certain distance so that the heel part is horizontally placed. By dividing the pressure caused by the weight into the heel can be effectively reduced.

본 발명에 따르면 중창의 아대를 섕크부까지 합성수지로 일체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중창 제조 공정 비용 및 노력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고, 따라서, 구두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and of the midsole can be easily formed integrally with synthetic resin up to the shank portion, the midsole manufacturing process cost and effort and time can be reduced, and thus, the sho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창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대의 저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대의 평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ids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ottom view of the b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lan view of the b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에서 아래쪽 층을 이루는 부분은 발 전체면에 대응하는 택션(20)이고, 대개 종이 재질로 아대에 비해 얇게 형성된다. 도1에서 택션(20) 위쪽에 발 전체면 가운데 후반부에 대응하는 영역에만 설치되는 것이 아대(10)이다. 아대(10)는 택션(20)에 비해 두껍게 형성되고, 외력에 의해 쉽게 변형되지 않는 단단한 합성수지, 즉, 경질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다. 종래의 종이 재질의 아대가 강도를 유지하여 아대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금속재질의 별도의 섕크(허리쇠)를 내부에 가짐에 비해 본 발명에서는 별도 부재를 이루는 섕크는 없고, 아대(10)는 저면에 하방으로 돌출형성되고, 길이 방향으로 길게 뻗어있는 일체형 섕크부(11)를 가진다. 합성수지 재질 아대는 몰드(금형)를 이용하여 혹은 사출성형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일단 몰드를 형성하면 섕크부를 형성하는 데 별도의 수작업에 의한 가공 비용이 들지 않아 구두 즉, 중창 제작에 있어서 시간, 비용과 노력을 절약할 수 있다.In Fig. 1, the lower layer is a tack 20 corresponding to the entire foot surface, and is generally made of paper and thinner than the band. In FIG. 1, the band 10 is provided only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latter half of the entire foot surface above the traction 20. The band 10 is formed thicker than the tack 20, and is made of a hard synthetic resin, that is, hard synthetic resin material that is not easily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shank constituting a separate member in comparison with the conventional shank of the paper material to have a separate shank (waist) of a metallic material to maintain the strength to prevent the deformation of the subband, the band 10 is It has an integral shank portion 11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ince the synthetic resin material band can be formed by using a mold or by injection molding method, once the mold is formed, it does not incur the processing cost by separate manual work to form the shank portion, so that time in manufacturing shoes or midsoles, Save money and effort.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대를 중창에 적용되어 구두에 장착될 상태로 놓고 내측(구두 착용자의 두 발의 중간지점 쪽)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며, 도5는 도4에서 아대(10)의 내측 상면에 해당하는 제일 윗선(S:이하 이를 형상선이라 함)을 통상적으로 설계된 여성용 구두의 아대와 비교하여 높이 변화 및 뒷단으로부터의 길이 변화에 따라 나타낸 그래프이다.FIG. 4 is a side view viewed from the inner side (the middle point of the two feet of the shoe wearer) while the belt is applied to the midsole and mounted on the sho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the band 10 in FIG. The uppermost line (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hape line) corresponding to the inner upper surface of is a graph showing the height change and the length change from the rear end as compared with the band of a conventionally designed women's shoe.

아대 형상선(S)은 길이 방향으로 상면이 지면(수평면)과 15도 이하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 점에서 접선이 10도 내지 15도 범위에서 경사를 이루며 전체적으로는 11도 정도의 완만한 경사상태를 이루는 발뒤꿈치 해당부(A)가 아대의 뒷단으로부터 일정 거리(수평 길이로 볼 때 아대 전체의 수평 길이의 절반)만큼 직선에 가깝게 이어진다. The sub-shape line (S) i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surface (horizontal plane) and 15 degrees or less more specifically, the tangential line at each point is inclined in the range of 10 to 15 degrees, and in general a gentle slope of about 11 degrees The corresponding heel portion (A) is made to be close to the straight line by a certain distance (half of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whole band in horizontal length) from the back end of the band.

다음으로 각 점에서의 접선 경사가 15도 내지 50도 범위에 있는 곡선부를 이루고, 양 종점을 이은 직선이 전체적으로는 35도 정도의 경사를 가지는 연결부(B)가 수평 길이로 볼 때 발뒤꿈치 해당부(A)의 35% 길이로 존재한다. Next, the heel corresponding to the heel when the connecting portion (B) in which the tangent inclination at each point is in the range of 15 degrees to 50 degrees, and the straight line connecting both ends has an overall inclination of about 35 degrees is viewed as a horizontal length. It is 35% of the length of (A).

연결부(C)에 이어 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거의 직선에 가까운 경사부(B)가 위치한다. 경사부(B)는 경사상태의 형상선 길이가 발뒤꿈치 해당부의 65% 정도이며, 경사는 52도 내지 53도이다. 경사부(B)의 전방에는 지면(수평면)과의 자연스러운 연결을 위해 아래로 볼록한 변곡부(E)를 가질 수 있다. Following the connection part C, the inclination part B which is almost straight ahea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 foot is located. The inclined portion B has a shape line length of inclined state of about 65% of the heel corresponding portion, and the inclined portion is 52 degrees to 53 degrees. In front of the inclination portion (B) may have a convex portion (E) convex downward for a natural connection with the ground (horizontal surface).

이러한 아대의 내측 상면에 대한 형상선(S)은 양단부를 직선으로 연결할 때 직선으로부터 위로 볼록한 부분과 아래로 볼록한 부분을 가지며, 위로 볼록한 부분 가운데 직선에서 가장 많이 이격된 최대 이격점을 가지게 된다. 양단부를 연결한 직선의 길이와 직선으로부터 형상선까지의 최대 이격거리(D1)의 비율은 10% 이상, 바람직하게는 12% 이상으로 하며, 착용가능한 구조에서 일정 수치, 가령, 20%를 넘기는 어렵고, 여기서는 약 15%가 된다. 또한, 이 직선을 기준으로 할 때 형상선(S)의 최대 이격점(X)은 이 직선의 절반 지점(M)에서 직선과 수직으로 그어 형상선(S)과 만나는 점보다 앞쪽(발앞꿈치쪽)에 존재한다.The shape line S of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abdomen has a convex portion upward and a convex portion downward from a straight line when connecting both ends in a straight line, and has a maximum separation point most spaced apart from the straight line among the convex portions upward. The ratio of the length of the straight line connecting both ends and the maximum separation distance (D 1 ) from the straight line to the shape line is 10% or more, preferably 12% or more, and in a wearable structure, a certain value, for example, 20% or more Difficult, about 15% here. Further, when the straight line is referred to, the maximum separation point X of the shape line S is perpendicular to the straight line at the half point M of this straight line and meets the shape line S (on the heel side). Present in)

이러한 아대 내측 상면 형상선에 대하여 종래의 같은 높이의 하이힐에서의 통상적인 아대의 내측 상면이 그리는 형상선(S')은, 본 발명의 발뒤꿈치 해당부 및 경사부가 직선에 가까운 형태임에 비해, 전반적으로 완만한 곡선에 가깝고, 무엇보다, 양단부를 직선으로 연결할 때 양단부를 연결한 직선의 길이와 직선으로부터의 형상선(S')의 최대 이격 거리(D2)의 비율은 10% 미만이 된다. 또한, 이 직선을 기준으로 할 때 최대 이격점(X')은 이 직선의 절반 지점에서 수직으로 그어 만나는 점과 거의 일치하는 위치이거나 이보다 뒤쪽에 존재한다.The shape line S 'which is drawn by the medial inner top surface of the conventional high heels with respect to such a medial top surface shape line is a form in which the heel portion and the inclined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lose to straight lines. Overall, it is close to a smooth curve, and above all, when connecting both ends in a straight line, the ratio of the length of the straight line connecting both ends and the maximum separation distance D 2 of the shape line S 'from the straight line is less than 10%. . In addition, the maximum separation point X 'based on this straight line is located at or substantially behind the point that is drawn vertically at the half point of the straight line.

본 발명의 실시예를 종래의 하이힐 중창의 아대와 비교할 때, 중창의 아대 내측 상면 형상선을 기준으로 하는 것은 발의 내측이 종아치가 발의 외측에 비해 보다 명확하며, 곡선의 기울기에 따라 체중이 인가되는 분포가 외측보다 더욱 극명하게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When compar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band of a conventional high heel midsole, the base of the midline medial top surface of the midsole is more clear than the outside of the foot with the calf and the weight is applied according to the slope of the curve. This is because the distribution becomes more distinct than the outside.

본 발명에서 이러한 아대의 내측 상면의 경사상태(기울기)는 구두 중창 위에 덮이는 덮개(까레)의 재질에 따라 안정도에서 조금 차이는 있을 수 있지만 어느 경우건 분력(힘의 특정 방향 성분) 계산을 통해 발뒤꿈치에 걸리는 체중의 대부분을 발뒤꿈치가 담당하고, 발앞꿈치 쪽으로 걸리는 압력을 종래에 비해 감소시킴을 알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clined state (tilt) of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band may be slightly different in stability depending on the material of the cover (carry) that is covered on the shoe midsole, but in any case the calculation of the component force (specific direction component of the force) It can be seen that the heel is responsible for most of the weight on the heel, and the pressure on the heel is reduced compared to the prior art.

본 발명 아대의 형상선에서 연결부는 발뒤꿈치 해당부에 비해 수평 길이를 기준으로 40% 이하의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연결부가 길고 곡률반경이 크면 경사부와 발뒤꿈치 해당부가 더 자연스럽게 연결되어 미려한 모습을 가질 수 있지만 경사부의 경사가 더 커져 접지부에서 발이 무리하게 구부러지는 문제가 있으므로 40% 이하의 길이를 가지도록 한다. 한편, 연결부 길이가 작으면 연결부의 곡률반경은 발뒤꿈치 해당부와 경사부의 경사각 차이를 맞추기 위해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연결부 길이의 상한을 정하고 곡률반경의 하한을 정하는 것은 연결부 길이의 상한과 하한을 정하는 것과 같이 아대의 형상, 특징을 제한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연결부의 구체적인 곡률은 뒷굽의 높이와 발 길이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연결부의 곡률이 너무 작으면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는 있지만 발뒤꿈치 해당부에 걸리는 체중이 연결부에 인접하여 집중되므로 그 부분의 발바닥이 집중적인 압력을 받아 발을 상하기 쉬우므로 곡률반경은 5 내지 15cm로 형성하되 바람직하게는 가장 급하게 구부러진 곳도 곡률반경이 10cm 이상으로 한다. In the shape lin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portion preferably has a length of 40% or less based on the horizontal length compared to the corresponding heel portion, and when the connecting portion is long and the radius of curvature is large, the inclined portion and the corresponding heel portion are more naturally connected. Although it may have a shape, the slope of the inclined portion is larger, so that the foot is bent excessively at the ground portion, so it should have a length of 40% or less. On the other hand, if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portion is small,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connecting portion is small to match the difference i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heel corresponding portion and the inclined portion. Therefore, determining the upper limit of the connection length and the lower limit of the radius of curvature may have the effect of limiting the shape and characteristics of the band, such as defining the upper limit and the lower limit of the connection length. The specific curvature of the connec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height of the heel and the length of the foot. However, if the curvature of the connection is too small, the object of the invention can be achieved, but since the weight of the heel is concentrated adjacent to the connection, Since the sole of the part is easily damaged by the intensive pressure of the foot, the radius of curvature is formed to 5 to 15 cm, but preferably the most urgently bent radius of curvature is 10 cm or more.

본 발명의 아대에서 상면은 발바닥의 면과 같은 완만한 곡선의 매끈한 면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부분적으로 돌출되거나 부분적으로 탄성을 가지는 기능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좌우 폭방향으로도 상면은 통상 편평한 것은 아니며, 가령, 발뒤꿈치에서는 발의 형상이 아래로 볼록하므로 이를 수용하도록 오목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구두의 밑창은 두께가 일정하며, 밑창의 형상을 통해 충족되지 않는 발 바닥 곡면, 가령, 발 내측의 종아치 등에 따른 곡면을 일부 보상하여 발바닥과의 자연스런 접촉을 늘려 체중 분산효과를 높이기 위해 아대의 두께는 내측이 외측보다 조금 두껍게 형성될 수도 있다.In the ban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surface may be made of a smooth surface of a smooth curve such as the surface of the sole, but may be provided with a functional part that partially protrudes or is partially elastic. Therefore, the upper surface is not usually flat even in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s. For example, the shape of the foot is concave so as to accommodate the shape of the foot in the heel. In addition, the sole of the shoe has a constant thickness, and compensates for the curved surface of the sole of the foot, which is not satisfied through the shape of the sole, for example, the inner surface of the foot, to increase the natural contact with the sole to increase the weight distribution effect. The thickness of the band may be formed slightly thicker than the outside on the inside.

더욱이, 본 발명의 아대는, 종래의 종이 아대에서는 종이를 적층하여 형성되는 구조의 한계로 인하여 충분한 두께 및 형상의 변화를 주기 어려웠지만, 합성수지 몰딩이나 사출성형으로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쉽기 때문에 기능성이나 발 병리 교정을 위한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부여하는 것이 더욱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가령, 아대의 상면의 경사부 중간(종심) 부분(도3의 12)을 위로 도톰하게 약간의 볼록부를 형성하여 발이 횡아치에 따른 곡면을 보상하거나, 발의 근육에 지압 효과를 주는 등의 가공과, 굽과의 결합을 위한 나사 구멍(도3의 13)을 별도의 가공없이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n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icult to give a sufficient thickness and shape change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structure formed by laminating paper in the conventional paper band, but it is easy to form integrally by synthetic resin molding or injection molding. It may be easier to impart various forms depending on the purpose for correcting the pathology. For example, a slight convex portion of the inclined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abdomen (12 in Fig. 3) is formed thickly so that the foot compensates for the curved surface along the side arch, or gives acupressure effect to the muscles of the foot. , Screw holes (13 in Figure 3) for coupling with the heel can be formed without additional processing.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이루는 중창을 형성하기 위해 택션 및 본 발명의 아대를 결합시키는 형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orm of combining the tactile and the band of the present invention to form a midsol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중창은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금속재질의 섕크(허리쇠) 부품을 내부에 가지지 않고, 아대(10)가, 저면에 하방으로 돌출형성되고, 길이 방향으로 길게 뻗어있는 일체형 섕크부(11)를 가진다. 만약 밑창이나 택션(20)이 이러한 섕크부를 수용하는 구조를 가지지 않으면, 이 부분에서 구두 바닥재가 들뜨고, 구두 바닥재를 이루는 부품들 사이의 결합력이 나빠지고, 사용자의 균형, 안정성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여기서는 점선으로 표시된 아대 섕크부(11)에 대응하는 택션(20)의 영역에는 천공부(21:hole)이 형성된다. 그러므로, 도면과 같이 섕크부(11)를 천 공부(21)에 끼우고, 여타의 접촉부분에서 택션 상면과 아대 저면에 접착제(71)를 도포하여 밀착하면 중창 전체로는 저면이 큰 단차없는 자연스런 면을 이루게 된다.The midsole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have a metal shank part to prevent deformation therein, and the sub band 10 protrudes downward on the bottom and is integrally shank lengthwis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If the sole or the tack 20 does not have a structure for accommodating the shank portion, the shoe sole is lifted in this portion,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components forming the shoe sole is bad, and the user's balance, stability is deteriorated. Therefore, here, the perforations 21 are formed in the region of the tack 20 corresponding to the sub-shank 11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Therefore, as shown in the drawing, the shank portion 11 is inserted into the fabric study 21, and when the adhesive 71 is appli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tack at other contacting portions and adheres closely, the entire midsole has no large step. It becomes a face.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이루는 중창을 적용하여 형성한 여성용 구두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 절개된 사시도이며, 도8은 절개부의 적층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Figure 7 is a partially cut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women's shoe formed by applying the midsol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laminated structure of the cut portion.

본 발명의 여성용 구두는 바닥재로서 굽(heel:50)을 포함하는, 바람직하게는 5cm 이상의 굽을 포함하는, 밑창(40)과 중창을 구비하는 여성용 구두를 주요 대상으로 한다. 성인의 발 기준으로 굽이 5cm 이상의 경우에 구두 바닥의 경사도와 하이힐의 병리나 사용감의 문제가 상대적으로 강하게 부각된다.The women's sho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inly aimed at women's shoes having a sole 40 and a midsole, which includes a heel 50 as the flooring material, preferably 5 cm or more. In the case of an adult foot of 5 cm or more, the inclination of the sole of the shoe, the pathology of the high heels, and the feeling of use are relatively strong.

본 실시예에서도 구두 창(바닥재)로 밑창(40)과 중창이 사용되고, 주변부에서 밑창(40)과 중창 사이에 갑피(30)가 개재되는 상태가 된다. 갑피(30)는 먼저 중창과 결합되고, 이 상태에서 밑창(40)과 결합되는 데 여기서는 중창이 택션(20)만으로 형성된 영역에서는 갑피(30)와 택션(20)이 겹치는 부분은 갑피와 택션과 함께 관통하는 고정부재(73)를 이용하여 고정한다. 물론 이 부분에도 접착제(71)가 추가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아대(10)가 택션(20)과 함께 겹치는 부분에서는 접착제(71)만으로 갑피와 중창을 고정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아대에 고정부재(73)를 위한 구멍이 뚫어져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중창과 갑피(30)를 서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를 설치하는 작업이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고정부재는 핀이나 못, 볼트, 호치키스심 등 기존이 여러 가지 고정부재 가운데 어느 것이 될 수도 있다.Also in this embodiment, the sole 40 and the midsole are used as the sole (bottom), the upper 30 is interposed between the sole 40 and the midsole in the periphery. Upper 30 is first coupled with the midsole, in this state is coupled with the sole 40, where the midsole is formed only of the tack 20 in the upper 30 and the portion of the tack 20 overlaps with the upper and the tack Fix using a fixing member 73 that penetrates together. Of course, the adhesive 71 may be further used in this part. In such a case, the upper portion and the midsole 10 may be formed by fixing the upper and the midsole only with the adhesive 71 at the portion where the band 10 overlaps with the traction 20. This is because it may be difficult to install the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midsole and the upper 30 to each other in the state that the hole for the fixing member 73 is not drilled in the band. Here, the fixing member may be any one of various existing fixing members such as pins, nails, bolts, stapler cores, and the like.

한편, 갑피가 중창과 결합되는 부분이 주로 발의 전방부에 집중되는 샌들형의 구두에서는 굳이 갑피(30)를 아대(10)와 결합시키기 위한 고정부재를 사용할 필요가 없고, 아대(10)가 겹치는 중창의 일부 부분에서만 끈 형태로 중창과 갑피(30)를 결합할 경우에는 아대에 고정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구멍을 몰딩과 같은 제조 단계에서 미리 형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sandal-type shoes where the upper part is coupled to the midsole and mainly concentrated on the front part of the foot, it is not necessary to use a fixing member for coupling the upper 30 to the lower arm 10, and the lower arm 10 overlaps. When combining the midsole and upper 30 in the form of a string only in a portion of the midsole can be formed in advance in the manufacturing step, such as molding a hole for coupling the fixing member to the belt.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 실시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only with respect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belong to the appended claims. .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창을 나타내는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ids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대의 저면도,Figure 2 is a bottom view of the b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대의 평면도,Figure 3 is a plan view of the b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대를 중창에 적용되어 구두에 장착될 상태로 놓고 내측에서 바라본 측면도,Figure 4 is a side view as viewed from the inner side to be placed on the shoe is applied to the mids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도4에서 아대의 내측 상면에 제일 윗선을 통상적으로 설계된 여성용 구두의 아대의 그것과 비교하여 높이 및 길이에 따라 나타낸 그래프,FIG. 5 is a graph showing height and length of the uppermost line on the medial upper surface of the belt in FIG.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이루는 중창을 형성하기 위해 택션 및 아대를 결합시키는 형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orm of combining the tack and the belt to form a midsol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이루는 중창을 적용하여 형성한 여성용 구두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 절개된 사시도, Figure 7 is a partially cut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women's shoes formed by applying the midsol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8은 도7의 절개부의 적층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FIG. 8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illustrating a laminated structure of the cutout part of FIG. 7.

Claims (8)

발의 후반부 영역을 커버하도록 경질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주변에 비해 두껍게 형성되는 생크부가 일체로 형성되고,It is made of a hard synthetic resin material to cover the second half of the foot, the shank portion formed thicker than the periphery is formed integrally, 내측 상면에 대한 형상선(S)은 양단부를 직선으로 연결할 때 상기 직선으로부터 위로 볼록한 부분을 가지며, The shape line S with respect to the inner upper surface has a convex portion upward from the straight line when connecting both ends in a straight line, 상기 위로 볼록한 부분 가운데 상기 직선에서 가장 많이 이격된 점을 최대 이격점이라 할 때, 상기 직선의 길이와 상기 직선으로부터 상기 형상선까지의 최대 이격거리의 비율은 10% 이상이고, When the largest distance from the straight line among the convex portions is the maximum separation point, the ratio of the length of the straight line and the maximum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straight line to the shape line is 10% or more, 상기 최대 이격점(X)은 상기 직선의 절반 지점(M)에서 상기 직선과 수직으로 그어 상기 형상선과 만나는 점보다 발의 앞꿈치쪽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용 구두 중창용 아대.The maximum separation point (X) is a midsole for women's shoe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esent at the heel side of the foot than the point that is perpendicular to the straight line at the half point (M) of the straight line and meets the shape lin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합성수지 사출성형 혹은 몰딩으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용 구두 중창용 아대.Midsole for women's shoe sole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injection molding or molding. 삭제delete 제 1 항 내지 제 2 항 가운데 어느 하나의 여성용 구두 중창용 아대와 상기 아대 저면에 적어도 일부가 겹치도록 부착되는 택션을 구비하여 발의 전면에 대응하는 영역을 커버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용 구두 중창.The women's shoe midso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2, wherein the women's shoe midsole has a tack attach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women's shoe midsole and overlapping the bottom thereof to cover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front of the foot.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섕크부는 상기 아대의 저면에서 아래로 돌출되어 형성되고,The shank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band, 상기 택션은 상기 아대의 생크부에 해당하는 천공부를 가져 상기 아대의 저면에 결합될 때 상기 생크부가 상기 천공부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용 구두 중창.And said tack has perforations corresponding to said shank portion of said girdle, wherein said shank portion fits into said perforation portion when coupled to the bottom of said girdle. 제 4 항의 여성용 구두 중창과,The women's shoe midsole of claim 4, 굽(heel)을 포함하는 밑창을 바닥재로 구비하는 여성용 구두.Women's shoes with a sole that includes a heel as a flooring. 제 4 항의 여성용 구두 중창과 굽을 포함하는 밑창을 바닥재로 구비하는 여성용 구두에 있어서,In the women's shoes comprising a sole comprising the sole and the heel of claim 4 as a flooring material, 상기 택션만으로 형성된 영역에서는 구두의 갑피와 상기 택션이 겹치는 부분은 상기 갑피와 상기 택션과 함께 관통하는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갑피와 상기 여성용 구두 중창을 서로 고정하고, 상기 아대가 상기 택션과 함께 상기 갑피에 겹치는 부분에서는 접착제만으로 상기 갑피와 상기 여성용 구두 중창을 고정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용 구두.In the region formed by the tack only, the upper portion of the shoe and the tack overlap the upper and the women's shoe midsoles using the fixing member penetrating together with the upper and the tack, and the bolus together with the traction. Women's shoe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fixing the upper and the women's shoe midsole with adhesive only in the portion overlapping the upper. 제 4 항의 여성용 구두 중창과 굽을 포함하는 밑창을 바닥재로 구비하는 여성용 구두에 있어서, 상기 아대는 발 내측에서 본 상면이 이루는 형성선(S)이In the women's shoes having a sole comprising the sole and the heel of claim 4 as a flooring, the band is formed by the forming line (S) formed by the upper surface viewed from the inside of the foot 지면(수평면)과 전체적으로 15도 이하의 약한 경사를 이루는 발뒤꿈치 해당부와, The heel part which forms a slight slope of 15 degrees or less generally with the ground (horizontal plane), 상기 발뒤꿈치 해당부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발뒤꿈치 해당부와 경사도에서 30도 이상의 차이가 있어서 지면과 45도 이상의 급한 경사를 형성하는 경사부 및 An inclined portion which is located in front of the heel corresponding portion and forms a steep inclination of 45 degrees or more with the ground due to a difference of 30 degrees or more from the slope of the heel corresponding portion; 상기 발뒤꿈치 해당부와 상기 경사부를 연결하는 곡면을 이루는 연결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용 구두.Women's shoe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necting portion forming a curved surface connecting the heel portion and the inclined portion.
KR1020090069201A 2009-07-29 2009-07-29 Women's Shoe Midsole, Sole With Tooth And Shoe For Sole Pressure Dispersion Active KR1010076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9201A KR101007606B1 (en) 2009-07-29 2009-07-29 Women's Shoe Midsole, Sole With Tooth And Shoe For Sole Pressure Dispersion
PCT/KR2010/004770 WO2011013940A2 (en) 2009-07-29 2010-07-21 Midsole pad for women's shoes that distributes pressure applied onto the sole of the foot, and midsole and shoe having same
CN201080009698.3A CN102333464B (en) 2009-07-29 2010-07-21 Midsole pad for women's shoes that distributes pressure applied onto the sole of the foot, and midsole and shoe having same
US13/260,682 US20120110872A1 (en) 2009-07-29 2010-07-21 Midsole pad for women's shoes that distributes pressure applied onto the sole of the foot, and midsole and shoe hav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9201A KR101007606B1 (en) 2009-07-29 2009-07-29 Women's Shoe Midsole, Sole With Tooth And Shoe For Sole Pressure Dispers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7606B1 true KR101007606B1 (en) 2011-01-12

Family

ID=43616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9201A Active KR101007606B1 (en) 2009-07-29 2009-07-29 Women's Shoe Midsole, Sole With Tooth And Shoe For Sole Pressure Dispers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760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470Y1 (en) * 2010-06-18 2013-01-08 박인식 Women's Shoe Midsole, Sole With Tooth And Shoe For Sole Pressure Dispers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75002A (en) * 1990-03-23 1991-12-05 Achilles Corp Injection-molded shoes with heel and its manufacture
JPH0870908A (en) * 1994-09-07 1996-03-19 Kooriyama Shiyuu Parts:Kk Shank for insole of shoe
KR100380261B1 (en) 1996-10-02 2003-04-16 에이치비엔 슈 엘엘씨 Shoe and method of making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75002A (en) * 1990-03-23 1991-12-05 Achilles Corp Injection-molded shoes with heel and its manufacture
JPH0870908A (en) * 1994-09-07 1996-03-19 Kooriyama Shiyuu Parts:Kk Shank for insole of shoe
KR100380261B1 (en) 1996-10-02 2003-04-16 에이치비엔 슈 엘엘씨 Shoe and method of making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470Y1 (en) * 2010-06-18 2013-01-08 박인식 Women's Shoe Midsole, Sole With Tooth And Shoe For Sole Pressure Dispers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71570B1 (en) High heel shoe
US20180199666A1 (en) Shoe having shoe sole with divided forefoot portion
US10433615B2 (en) Sole for dispersing pressure of midfoot and metatarsal bones and shoe having same
WO2011013940A2 (en) Midsole pad for women's shoes that distributes pressure applied onto the sole of the foot, and midsole and shoe having same
JP7491725B2 (en) shoes
KR102762633B1 (en) Footwear
US7041075B2 (en) Orthotic foot devices for bare feet and methods for stabilizing feet
CN112956782B (en) Sole plate
JPS6111601B2 (en)
JP2021053376A (en) Sole element
US10299534B2 (en) Midfoot orthotic shoe insert
JP6991539B2 (en) Shoe insoles
JP2001299404A (en) Shoe sole
WO2012079646A1 (en) Multi-layered sole for heeled footwear
KR200462766Y1 (en) The shank for insole
US20130061496A1 (en) Footwear support structures
KR20130103972A (en) Midsole for high heeled shoes
CN221690227U (en) Force line guide piece, midsole and shoe
KR101007606B1 (en) Women's Shoe Midsole, Sole With Tooth And Shoe For Sole Pressure Dispersion
KR200464470Y1 (en) Women's Shoe Midsole, Sole With Tooth And Shoe For Sole Pressure Dispersion
JPH09140409A (en) Shoe
JP2019181050A (en) Shoe
TW202341890A (en) Shoe and midsole molding method
KR101116323B1 (en) base of footwear for reinforcing working impetus and shoes having the same
KR101874539B1 (en) Shoe b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7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909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60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72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8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1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1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1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0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0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0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0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06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