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8020B1 - Ceiling panel assembly structure - Google Patents
Ceiling panel assembly struc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08020B1 KR101008020B1 KR1020100084886A KR20100084886A KR101008020B1 KR 101008020 B1 KR101008020 B1 KR 101008020B1 KR 1020100084886 A KR1020100084886 A KR 1020100084886A KR 20100084886 A KR20100084886 A KR 20100084886A KR 101008020 B1 KR101008020 B1 KR 10100802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xing bar
- fixing
- ceiling
- unit
- ho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22—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24—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or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 E04B9/0435—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having connection means at the e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정용 판넬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천장에 하방으로 연장되게 설치된 다수의 고정볼트에 설치되는 고정바와, 고정바의 하면에 삽입공간이 마련되기 위해 고정바의 길이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고정바의 양측단부에 각각 하측으로 연장형성되되, 하측으로 갈수록 상호 이격거리가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클립부재가 마련된 행거유닛과, 고정바의 상면에 안착 지지되는 베이스부재와, 베이스부재의 하면에 하측으로 고정바로부터 클립부재의 하단부까지의 길이에 대응되게 연장형성된 다수의 결합부재가 마련된 구속유닛과, 결합부재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1관통구가 형성된 메인판과, 행거유닛에 상기 메인판이 지지되기 위해 삽입공간에 삽입되어 클립부재들에 의해 클램핑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판의 가장자리에 상측으로 돌출형성되는 플랜지부재가 마련된 다수의 천장판넬과, 상기 천장판넬을 상기 구속유닛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제1관통구에 관통되게 삽입되며, 단부는 상기 결합부재에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천장용 판넬 조립구조는 고정바에 구속된 구속유닛에 마감용 판넬을 고정시키므로 외부에서 인가되는 충격에도 판넬이 고정바에서 분리되지 않고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iling panel assembly structure, the fixing bar is installed on a plurality of fixing bolts installed to extend downwards to the ceiling, and in the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ing bar to provide an insertion space on the bottom of the fixing bar A hanger unit having a clip member extending downwardly at both end portions of the fixed fixing bar, the clip member being inclined so as to be narrowed toward the lower side thereof, a base member seated and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bar, and a lower surface of the base member. A constraining unit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engaging members extending to correspond to the length from the fixed bar to the lower end of the clip member downward, a main plate having a first through hol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ngaging member, and a main unit in the hanger unit. At the edge of the main plate so that the plate can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to be supported and clamped by the clip members. A plurality of ceiling panels and the ceiling panel with a flange member that is formed to project provided side to secure to the restriction unit is inserted to be through to obtain the first through the ends is provided with a fixing member coupled to the coupling member.
Ceiling panel assembl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erit that the panel is fixed to the restraint unit bound to the fixing bar, so that the panel is not separated from the fixing bar and can be maintained firmly even when applied from the outside.
Description
본 발명은 천장용 판넬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장에 마감재용 판넬을 부착 시공하는 데 있어서 견고하게 판넬을 결합할 수 있는 천장용 판넬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iling panel assembly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eiling panel assembly structure that can be firmly coupled to the panel in the installation of the finishing panel to the ceiling.
일반적으로 지하철의 역사나 빌딩의 로비와 같은 대형 건축물의 실내 천장에는 전기 배선이나 배관 등을 가려주고 외관을 미려하게 하기 위한 내장재로서 마감재용 천장 판넬을 조립하여 설치하게 된다. In general, ceiling panels for finishing materials are assembled and installed as interior materials to cover electrical wiring and plumbing and to make the exterior beautiful in the interior ceiling of a large building such as the subway station or the lobby of a building.
일반적으로 마감재용 천장 판넬의 조립구조를 이용하여 다수의 판넬을 조립하게 되는 데, 천장에 다수의 고정볼트를 설치하고, 상기 고정볼트에 고정바의 고정부를 결합시키며, 고정바의 클립부에 판넬들의 플랜지를 밀어 끼운다. In general, assembling a plurality of panels by using the assembly structure of the ceiling panel for the finishing material, install a plurality of fixing bolts on the ceiling, couple the fixing part of the fixing bar to the fixing bolt, the clip part of the fixing bar Slide the flanges on the panels.
플랜지의 측면에 돌출형성된 결합돌부가 클립부에 탄성지지되어 판넬은 고정바에 결합된다. 천장에 설치된 다수의 고정바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단위판넬을 연속 조립하여 천장을 마감처리한다. The engag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side of the flange is elastically supported on the clip portion, the panel is coupled to the fixing bar. The ceiling is finished by assembling a number of unit panels continuous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a plurality of fixed bars installed on the ceiling.
그러나 상기 언급된 일반적인 마감재용 천장 판넬의 조립구조는 판넬이 고정바의 클립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므로, 조립과정 중에 판넬에 충격이 가해지면 판넬의 플랜지가 고정바의 클립부에 이탈되어 판넬이 고정부에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However, in the above-described assembly structure of the ceiling panel for finishing materials, the panel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clip portion of the fixing bar, so if an impact is applied to the panel during the assembly process, the panel flange is detached from the clip portion of the fixing bar and the panel is fixed. The problem of falling to the government arise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마감처리 과정 중에 외부에서 인가되는 충격에도 천장 마감재용 판넬이 고정바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판넬이 견고하게 고정바에 고정될 수 있는 천장용 판넬 조립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panel for ceiling that can be fixed to the fixed bar firmly fixed to the fixed bar so that the panel for the ceiling finishing material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xed bar even during the impact applied from the outside during the finishing process. The purpose is to provide an assembly structur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천장용 판넬 조립구조는 천장에 하방으로 연장되게 설치된 다수의 고정볼트에 설치되는 고정바와, 상기 고정바의 하면에 삽입공간이 마련되기 위해 상기 고정바의 길이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상기 고정바의 양측단부에 각각 하측으로 연장형성되되, 하측으로 갈수록 상호 이격거리가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클립부재가 마련된 행거유닛과, 상기 고정바의 상면에 안착 지지되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하면에 하측으로 상기 고정바로부터 상기 클립부재의 하단부까지의 길이에 대응되게 연장형성된 다수의 결합부재가 마련된 구속유닛과, 상기 결합부재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1관통구가 형성된 메인판과, 상기 행거유닛에 상기 메인판이 지지되기 위해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클립부재들에 의해 클램핑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판의 가장자리에 상측으로 돌출형성되는 플랜지부재가 마련된 다수의 천장판넬과, 상기 천장판넬을 상기 구속유닛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제1관통구에 관통되게 삽입되며, 단부는 상기 결합부재에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구비한다. Ceiling panel assembl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fixed bar that is installed on a plurality of fixing bolts installed to extend downward to the ceiling, the fixing bar to be provided with an insertion space on the bottom of the fixing bar A hanger unit having a clip member extending downwardly at both side ends of the fixing bar extending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clip member being inclined so as to be narrowed toward the lower side, and being sea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xing bar; A constraining unit provided with a base member, a plurality of engaging members extending downwardly corresponding to a length from the fixing bar to the lower end of the clip member on a lower surface of the base member, an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ngaging member; A main plate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therein, and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so that the main plate is supported by the hanger unit; A plurality of ceiling panels provided with a flange member protruding upward from an edge of the main plate so as to be clamped by the clip members, and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to fix the ceiling panel to the restraint unit. It is inserted so that, the end has a fixing member coupled to the coupling member.
상기 구속유닛은 상기 베이스부재를 상기 고정바에 클램핑하는 클램핑부재를 더 구비하고, The restraining unit further includes a clamping member for clamping the base member to the fixing bar.
상기 클램핑부재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하면에 상기 고정바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슬롯이 형성되기 위해 상기 고정바의 폭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하방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삽입슬롯으로 삽입된 상기 고정바 방향으로 구부러질 수 있도록 형성된 복수의 구속편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lamping member protrudes downward at a position spaced apart at intervals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fixing bar to form an insertion slot into which the fixing bar can be inserted into a lower surface of the base member, and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lot. It is preferable to have a plurality of restraining pieces formed to bend in the direction of the fixed bar.
상기 클립부재는 상기 고정바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폭방향의 가장자리 양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되, 하방으로 갈수록 사이간격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제1경사부분과, 상기 제1경사부분의 하단에 하방으로 연장되되, 상기 제1경사부분보다 완만한 경사각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2경사부분을 구비하고, The clip member extends downward from both sides of an edge in the width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ing bar, the first inclined portion formed to be inclined so that the interval therebetween narrows toward the lower side,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inclined portion downward. A second inclined portion extending to be inclined at a gentle inclination angle than the first inclined portion,
상기 구속편은 상기 베이스부재의 하면에 하측으로 돌출형성된 제1구속부분과, 상기 구속편을 상기 행거유닛 측으로 절곡시 상기 제2경사부분에 용이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구속부분의 하단부에 상기 행거유닛에 대해 멀이지는 방향으로 절곡되게 연장형성된 제2구속부분을 구비한다. The restraining piece is formed at a lower end portion of the first restraining part so that the first restraining part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member and the restraining piece can be easily adhered to the second inclined part when the restraining piece is bent toward the hanger unit. And a second constraining portion extending to be bent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hanger unit.
상기 결합부재의 하면에는 내주면에 다수의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홀이 마련되고, The lower surface of the coupl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fastening hole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eads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상기 고정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체결홀에 나사결합될 수 있게 외주면에 다수의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부분과, 상기 체결부분의 타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체결홀에 상기 체결부분을 체결시 상기 천장판넬이 상기 고정부재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관통구보다 큰 반경으로 형성된 머리부분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xing member has a fastening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thread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so that one end thereof can be screwed into the fastening hole, and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fastening portion, when the fastening portion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It is preferable to have a head portion formed with a radius larger than the first through hole so as to prevent the fixing member from being separated.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천장용 판넬 조립구조는 상기 천장판넬들의 상호 밀접되는 부분을 덮기 위해 상기 천장판넬들이 상호 접하는 위치의 상기 천장판넬들과 상기 고정부재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부재의 단부가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각 상기 천장판넬들의 상기 제1관통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관통구가 형성된 커버부재를 더 구비한다.On the other hand, the ceiling panel assembly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between the ceiling panels and the fixing member in the position where the ceiling panel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cover the mutually close portions of the ceiling panels, The cover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cover member having a second through hol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through hole of each of the ceiling panels so that an end portion of the fixing member may be inserted therethrough.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천장용 판넬 조립구조는 천장에 하방으로 연장되게 설치된 다수의 고정볼트에 설치되는 고정바와, 상기 고정바의 하면에 삽입공간이 마련되기 위해 상기 고정바의 길이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상기 고정바의 양측단부에 각각 하측으로 연장형성되되, 하측으로 갈수록 상호 이격거리가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클립부재가 마련된 행거유닛과, 상기 고정바의 상면에 안착 지지되며, 상기 고정바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제3관통구가 형성된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를 상기 고정바에 클램핑시키는 클램핑부재가 마련된 구속유닛과, 상기 제3관통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4관통구가 형성된 메인판과, 상기 행거유닛에 상기 메인판이 지지되기 위해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클립부재들에 의해 클램핑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판의 가장자리에 상측으로 돌출형성되는 플랜지부재가 마련된 다수의 천장판넬과,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제5관통구가 형성된 결속판과, 상기 제3 및 제4관통구에 관통되게 삽입되기 위해 상기 제4관통구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된 위치의 각각 상기 결속판에 상기 결속판의 수선방향으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결속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사이 간격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복수의 결속부재와, 상기 결속부재들의 단부에 연장형성되되, 상기 결속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사이간격이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간섭부재가 마련된 다수의 삽입유닛과, 상기 제3 및 제4관통구에 삽입된 상기 삽입유닛의 상기 간섭부재가 상기 베이스부재 또는 상기 메인판에 간섭되어 상기 삽입유닛이 상기 베이스부재 및 상기 메인판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5관통구에 삽입되어 상기 결속부재를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절곡시키는 가압부재를 구비한다. Ceiling panel assembly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xed bar is installed on a plurality of fixing bolts installed to extend downward to the ceil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ing bar to be provided with an insertion space on the bottom of the fixing bar Hanger unit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xed end extending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end formed on each side, the hanger unit is provided with an inclined clip member so as to narrow the separation distance toward the lower side, and is seated and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bar, A base member having a third through hole formed at a position away from the fixed bar, a restraining unit provided with a clamping member for clamping the base member to the fixed bar, and a fourth through hol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ird through hole; The main plate and the hanger unit ar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for supporting the main plate by the clip members. A plurality of ceiling panels provided with a flange member protruding upwards at the edge of the main plate to be clamped, a binding plate formed with a fifth through hole to penetrate upward and downward, and penetrates through the third and fourth through holes. A plurality of protrusions formed on the binding plates at the mutually opposite positions relative to the center of the fourth through hole so as to be inserted in the repair direction of the binding plate, the inclined intervals become narrower as the distance from the binding plate increases. A plurality of insertion units provided with a binding member, an interference member extending at an end of the binding members, the interference member being inclined so as to be wider as the distance from the binding plate increases, and the third and fourth insertion holes inserted therein; The interference member of the insertion unit interferes with the base member or the main plate so that the insertion unit is connected to the base member and the main plate. It is provided with a pressing member inserted into the fifth through hole to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plate to bend the binding member in a direction that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본 발명에 따른 천장용 판넬 조립구조는 고정바에 구속된 구속유닛에 마감용 판넬을 고정시키므로 외부에서 인가되는 충격에도 판넬이 고정바에서 분리되지 않고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eiling panel assembl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erit that the panel is fixed to the restraint unit bound to the fixing bar, so that the panel is not separated from the fixing bar and can be maintained firmly even when applied from the outsid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용 판넬 조립구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용 판넬 조립구조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용 판넬 조립구조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천장용 판넬 조립구조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천장용 판넬 조립구조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천장용 판넬 조립구조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천장용 판넬 조립구조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천장용 판넬 조립구조의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eiling panel assembl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eiling panel assembl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eiling panel assembl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ceiling panel assembly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eiling panel assembly structure of FIG.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ceiling panel assembly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ceiling panel assembly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eiling panel assembly structure of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천장용 판넬 조립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ceiling panel assembly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tail as follows.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용 판넬 조립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1 to 3 illustrate a ceiling panel assembl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천장용 판넬 조립구조(10)는 천장에 설치되며, 행거유닛(20), 구속유닛(30), 다수의 천장판넬(40)과, 고정부재(50)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ceiling
행거유닛(20)은 천장에 하방으로 연장되게 설치된 다수의 고정볼트(15)에 설치되는 고정바(21)와, 고정바(21)의 하면에 삽입공간(23)이 마련되기 위해 고정바(21)의 길이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고정바(21)의 양측단부에 각각 하측으로 연장형성되되, 하측으로 갈수록 상호 이격거리가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클립부재(22)가 마련된다.
고정바(21)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고, 천장의 면적에 대응되게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고정바(21)는 천장에 폭방향 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위치에 다수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클립부재(22)는 고정바(21)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폭방향의 가장자리 양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되, 하방으로 갈수록 사이간격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제1경사부분(24)과, 상기 제1경사부분(24)의 하단에 하방으로 연장되되, 상기 제1경사부분(24)보다 완만한 경사각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2경사부분(25)을 구비한다. The
이때, 제2경사부분(25)은 고정바(21)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제1경사부분(24)이 이루는 경사각보다 더 큰 경사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second
클립부재(22)는 제1경사부분(24) 및 제2경사부분(25)에 의해 삽입공간(23)이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후술되는 천장판넬(40)의 플랜지부재(42)가 삽입공간(23)으로 삽입시 클립부재(22)의 하단이 플랜지부재(42)를 파지하여 클립부재(22)의 탄성력에 의해 플랜지부재(42)가 삽입공간(23)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The
이때, 클립부재(22)는 상호 다른 경사각으로 형성된 제1경사부분(24) 및 제2경사부분(25)이 마련되어 있어 후술되는 구속유닛(30)의 클램핑부재(33)가 절곡시 클램핑부재(33)에 의해 용이하게 지지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또한, 클립부재(22)의 하단에는 후술되는 천장판넬(40)의 플랜지부재(42)가 클립돌기들 사이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고정바(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홈이 형성되기 위해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절곡되게 가이드편(26)이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클립부재(22)는 상기 가이드편(26) 상측의 상호 대향되는 내측면에는 후술되는 플랜지부재(42)의 내측면에 돌출형성된 결합돌기(미도시)가 삽입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홈(27)이 형성되어 있다.
구속유닛(30)은 고정바(21)의 상면에 안착 지지되는 베이스부재(31)와, 베이스부재(31)의 하면에 하측으로 고정바(21)로부터 클립부재(22)의 하단부까지의 길이에 대응되게 연장형성된 다수의 결합부재(32)와, 베이스부재(31)를 고정바(21)에 클램핑하는 클램핑부재(33)를 구비한다. The
베이스부재(31)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된다. 베이스부재(31)는 고정바(21)의 상면에 용이하게 안착되며, 하면에 결합부재(32)의 형성공간이 마련될 수 있도록 고정바(21)의 상면 폭보다 더 큰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이때, 베이스부재(31)는 천장판넬(40)들이 상호 접하는 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의 고정바(21)에 안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베이스부재(31)가 4개의 천장판넬(40)이 상호 접하는 위치의 고정바(21)에 안착되는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베이스부재(31)의 안착위치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천장판넬(40)의 제1관통구(43)의 형성위치에 따라 2개의 천장판넬(40)이 접하는 위치 또는 단일한 천장판넬(40)에 대응되는 위치의 고정바(21)에 안착될 수도 있다. Meanwhile,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structure in which the
결합부재(32)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베이스부재(31)에 하방으로 돌출형성된다. 결합부재(32)는 상호 밀접된 4개의 천장판넬(40)에 대응되게 베이스부재(31)의 하면 사방 모서리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결합부재(32)는 베이스부재(31)의 사방 모서리측에 각각 형성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결합부재(32)의 형성위치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상호 인접된 천장판넬(40)들의 제1관통구(43) 위치나 개수에 대응되게 다수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한편, 결합부재(32)의 하단부에는 후술되는 고정부재(50)의 체결부분(51)이 나사결합할 수 있도록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체결홀(34)이 마련된다. On the other hand, the lower end of the
클램핑부재(33)는 베이스부재(31)의 하면에 형성되어, 고정바(21)의 상면에 상기 베이스부재(31)를 클램핑시킨다. 클램핑부재(33)는 베이스부재(31)의 하면에 고정바(21)가 삽입되는 삽입슬롯(35)이 마련되기 위해 고정바(21)의 상면 폭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하방으로 각각 돌출형성된 복수의 구속편(36)을 구비한다. The
구속편(36)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고, 베이스부재(31)의 하면에 하측으로 돌출형성된 제1구속부분(37)과, 구속편(36)을 상기 행거유닛(20) 측으로 절곡시 상기 제2경사부분(25)에 용이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구속부분(37)의 하단부에 상기 행거유닛(20)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되게 연장형성된 제2구속부분(38)을 구비한다.The restraining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구속편(36)은 고정바(21)에 대한 베이스부재(31)의 구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삽입슬롯(35)에 삽입된 고정바(21) 방향으로 구부러질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nstraining
고정바(21)가 구속편(36)들의 사이에 형성된 삽입슬롯(35)에 삽입되면, 구속편(36)들을 고정바(21) 방향으로 절곡시켜 구속유닛(30)을 고정바(21)에 구속시킨다. 이때, 제2구속부분(38)이 행거유닛(20)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으므로 구속편(36)을 절곡시 클립부재(22)의 제2경사부분(25)에 밀착되어 클립부재(22)에 대한 구속력을 향상시킨다. When the fixing
천장판넬(40)은 구속유닛(30)의 결합부재(32)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1관통구(43)가 형성된 메인판(41)과, 행거유닛(20)에 메인판(41)이 지지되기 위해 삽입공간(23)에 삽입되어 상기 클립부재(22)들에 의해 클램핑될 수 있도록 메인판(41)의 가장자리에 상측으로 돌출형성되는 플랜지부재(42)가 마련된다.The
메인판(41)은 다수의 천장판넬(40)이 행거유닛(20)에 결합시 다수의 천장판넬(40)이 격자구조를 이루며 행거유닛(20)에 결합될 수 있도록 사각단면으로 형성된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메인판(41)이 사각단면으로 형성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메인판(41)의 단면은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육각단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천장판넬(40)이 밀접되는 위치의 고정바(21)에 안찬 지지된 구속유닛(30)의 결합부재(32)에 대응되게 메인판(41)의 상면에 형성된 제1관통구(43)는 메인판(41)의 사방 모서리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four
제1관통구(43)는 천장판넬(40)이 행거유닛(20)에 결합시 고정부재(50)가 용이하게 결합부재(32)에 결합될 수 있도록 클립부재(22)의 하단으로부터 결합부재(32)의 하단까지의 거리에 대응되는 길이만큼 메인판(41)의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The first through
플랜지부재(42)는 메인판(41) 상면의 전후단부 및 좌우단부에는 각각 상방으로 플랜지부재(42)가 연장형성된다. 플랜지부재(42)는 상기 클립부재(22)의 삽입공간(23)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방으로 갈수록 면적이 좁아지는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천장판넬(40)의 플랜지부재(42) 내측면에는 클립부에 삽입시, 클립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클립돌기의 결합홈(27)에 구속되는 결합돌기(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천장판넬(40)은 2개가 한쌍이 되어 상기 고정바(21)에 고정되며, 한쌍의 찬장판넬들은 고정방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클립부에 각각 결합된다.The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50)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fixing
고정부재(50)는 일단부가 상기 체결홀(34)에 나사결합될 수 있게 외주면에 다수의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부분(51)과, 상기 체결부분(51)의 타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체결홀(34)에 상기 체결부분(51)을 체결시 상기 천장판넬(40)이 상기 고정부재(50)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관통구(43)보다 큰 반경으로 형성된 머리부분(52)을 구비한다. The fixing
체결부분(51)은 체결홀(34)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다수의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체결홀(34)에 억지끼워맞춤할 수 있도록 체결홀(34)에 대응되는 반경으로 형성된다. 체결부분(51)의 일단부는 체결홀(34)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제1 및 제2분기부재(53,54)로 분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체결부분(51)의 단부가 제1 및 제2분기부재(53,54)로 분기되어 제1 및 제2분기부재(53,54) 사이에 이격공간이 마련되므로 체결홀(34)에 삽입시, 상기 이격공간에 의해 제1 및 제2분기부재(53,54)가 상호 인접될 수 있어 용이하게 체결홀(34)에 체결된다. As mentioned above, the end of the
또한, 체결홀(34)에 상호 인접되어 체결된 제1 및 제2분기부재(53,54)는 상호 이격되려는 탄성력에 의해 결합부재(32)에 대한 결합력을 향상시킨다. In addition, the first and
머리부분(52)은 체결부분(51)의 타단부에 형성되며, 천장판넬(40)이 고정부재(50)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1관통구(43)보다 큰 반경의 원판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머리부분(52)의 단부에는 작업자가 파지하여 용이하게 고정부재(5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조작부분(55)을 더 구비한다. The
조작부분(55)은 작업자가 파지하여 체결부분(51)을 체결홀(34)에 용이하게 체결시킬 수 있도록 구속부분의 단부에 연장형성된다. 조작부분(55)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나, 도면에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육각렌치와 같은 공구를 사용하여 조작부분(55)을 조작할 수 있도록 육각단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조작부분(55)의 단면에는 일(一)자 드라이버로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일(一)자 형태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조작부분(55)의 단면에는 십(十)자 드라이버로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십(十)자 형태의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A single-shaped groove is formed in the cross section of the operating
또한,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조작부분(55)의 외주면에는 작업자가 손으로 직접 파지하여 조작부분(55)을 조작할 수 있도록 다수의 미끄럼방지 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 plurality of anti-slip protrusions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결합부재(150)와 체결부분(51)이 도시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Figure 6 shows a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Elements having the same function as in the above-described drawing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면을 참조하면, 결합부재(150)의 하단면에는 하방으로 돌출형성되며, 외주면에는 다수의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돌기(151)가 형성되고, 체결부분(51)의 상단면에는 상기 체결돌기(151)가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구(161)가 마련되어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bottom surface of the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다른 천장용 판넬 조립구조(10)에 의한 천장판넬(40)의 조립과정은 다음과 같다. The assembly process of the
고정바(21)의 클립부에 천장판넬(40)의 플랜지부재(42)를 삽입하여 고정바(21)에 천장판넬(40)을 결합시킨다. 이때, 측면에 상호 결합된 한쌍의 천장판넬(40)들을 고정바(21)의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4개의 천장판넬(40)이 상호 접하는 위치의 상기 고정바(21) 상면에 구속유닛(30)의 베이스부재(31)를 안착시킨다. 이때, 클램핑부재(33)에 의해 형성된 삽입슬롯(35)에 고장바의 상면이 삽입되도록 베이스부재(31)를 안착시키고, 구속편(36)를 고정바(21) 방향으로 구부려서 구속유닛(30)을 고정바(21)에 구속시킨다. The
다음으로, 고정부재(50)의 체결부분(51)을 천장판넬(40)의 제1관통구(43)에 삽입관통시켜 결합부재(150)의 체결홀(34)에 체결시킨다. 이때, 클램핑부재(33)에 의해 천장판넬(40)은 간섭되어 고정부재(5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Next, the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천장용 판넬 조립구조(10)는 고정바(21)에 구속된 구속유닛(30)에 천장판넬(40)을 고정시키므로 외부에서 인가되는 충격에도 판넬이 고정바(21)에서 분리되지 않고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mentioned above, the ceiling
한편, 도 4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천장용 판넬 조립구조(11)가 도시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Figure 4 to Figure 6 shows a ceiling
도면을 참조하면, 천장용 판넬 조립구조(11)는 천장판넬(40)들이 상호 접하는 위치의 천장판넬(40)들 하면에 설치되며, 고정부재(50)에 의해 구속유닛(30)에 고정되기 위해 고정부재(50)의 단부가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천장판넬(40)들의 제1관통구(43)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관통구(43)가 형성된 커버부재(60)를 더 구비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ceiling
커버부재(6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결합부재(32)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관통구(43)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정판넬의 하단부가 하방으로 갈수록 단면이 작아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된 경우, 커버부재(60)의 상면에는 천정판넬들의 상기 경사면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경사면에 대응되는 삼각단면으로 형성된 돌출돌기(61)가 형성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the figure, when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such that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ceiling panel becomes smaller toward the lower side, the upper surface of the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커버부재(60)는 4개의 천장패널이 상호 접하는 부분에 설치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커버부재(60)의 설치위치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상호 인접된 천장판넬(40)들의 제1관통구(43) 위치나 개수에 대응되게 다수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커버부재(60)는 천정판넬들의 상호 접하는 부분에 결합되므로 천정판넬들이 외부에서 인가되는 충격에 의해 상호 이격되는 것을 방지한다. The
한편, 도 7 내지 도 8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천장용 판넬 조립구조(200)가 도시되어 있다. Meanwhile, FIGS. 7 to 8 illustrate a ceiling
도면을 참조하면, 천장용 판넬 조립구조(200)는 천장에 설치되며, 행거유닛(20), 구속유닛(230), 다수의 천장판넬(40), 다수의 결속유닛(240), 다수의 가압부재(250)를 구비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ceiling
행거유닛(2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행거유닛 및 천장판넬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구속유닛(230)은 고정바(21)의 상면에 안착 지지되는 베이스부재(231)와, 베이스부재(231)를 고정바(21)에 클램핑하는 클램핑부재(233)를 구비한다. The restraining
상기 클램핑부재(233)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클램핑부재(33)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구비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Since the clamping
베이스부재(231)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된다. 베이스부재(231)는 고정바의 상면에 용이하게 안착되며, 고정바로부터 벗어난 위치의 상방 모서리 측에 각각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제3관통구(232)가 형성된다. The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4개의 제3관통구(232)가 베이스부재(231)의 사방 모서리 측에 각각 형성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제3관통구(232)의 형성위치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천장판넬(40)의 결합개수에 대응되는 수가 형성될 수도 있다. As shown in the drawings, the four third through
천장판넬(40)은 구속유닛(230)의 제3관통구(232)에 대향되는 위치에 제4관통구(143)가 형성된 메인판(41)과, 행거유닛(20)에 메인판(41)이 지지되기 위해 삽입공간(23)에 삽입되어 상기 클립부재(22)들에 의해 클램핑될 수 있도록 메인판(41)의 가장자리에 상측으로 돌출형성되는 플랜지부재(42)가 마련된다.The
메인판(41)은 다수의 천장판넬(40)이 행거유닛(20)에 결합시 다수의 천장판넬(40)이 격자구조를 이루며 행거유닛(20)에 결합될 수 있도록 사각단면으로 형성된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메인판(41)이 사각단면으로 형성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메인판(41)의 단면은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육각단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제4관통구(143)는 천장판넬(40)이 행거유닛(20)에 결합시 결속유닛(240)이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클립부재(22)의 하단으로부터 제3관통구(232)의 하단까지의 거리에 대응되는 길이만큼 메인판(41)의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ourth through
삽입유닛은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제5관통구(244)가 형성된 결속판(241)과, 상기 제3 및 제4관통구(143,232)에 관통되게 삽입되기 위해 상기 제4관통구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된 위치의 각각 상기 결속판(241)에 상기 결속판(241)의 상측으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상측으로 갈수록 사이 간격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복수의 결속부재(242)와, 상기 결속부재(242)들의 상단부에 연장형성되되, 상측으로 갈수록 사이간격이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간섭부재(243)를 구비한다. The insertion unit has a
결속판(241)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판형으로 형성되며, 중심부분에 제5관통구(244)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결속판(241)은 삽입유닛이 제3 및 제4관통구(143,232)에 삽입 시 삽입유닛이 제3 및 제4관통구(143,232)를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4관통구(143)의 내경보다 더 큰 외경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결속부재(242)들은 용이하게 제3 및 제4관통구(143,232)에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고정바(21)로부터 클립부재(22)의 하단부까지의 길이보다 더 길게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binding
간섭부재(243)들은 가압부재(250)에 의해 결속부재(242)의 절곡시 베이스부재(231)에 간섭될 수 있도록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결속부재(242)의 상단부에 절곡되게 형성된다. The
가압부재(250)는 상기 제3 및 제4관통구(143,232)에 삽입된 상기 삽입유닛의 상기 간섭부재(243)가 상기 베이스부재(231) 또는 상기 메인판에 간섭되어 상기 삽입유닛이 상기 베이스부재(23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5관통구(244)에 삽입되어 상기 결속부재(242)를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절곡시킨다. The pressing
가압부재(250)는 연장부분(252), 거치돌기(253) 및 간섭부분(251)을 구비한다. The pressing
연장부분(252)은 제5관통구(244)의 크기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원형단면으로 형성되며, 용이하게 제3 및 제4관통구(143,232)에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고정바(21)로부터 클립부재(22)의 하단부까지의 길이보다 더 길게 연장형성된다.
거치돌기(253)는 연장부분(252)의 상단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형성되며, 제5관통구(244)에 연장부분(252)이 삽입시 간섭부재(243)에 간섭되어 연장부분(252)이 제5관통구(244)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The mounting
간섭부분(251)은 연장부분(252)의 하단부에 연장형성되며, 가압부재(250)가 제5관통구(244)를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5관통구(244)의 내경보다 큰 외경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천장용 판넬 조립구조(200)의 조립과정은 다음과 같다. As mentioned above, the assembling process of the ceiling
고정바(21)의 클립부에 천장판넬(40)의 플랜지부재(42)를 삽입하여 고정바(21)에 천장판넬(40)을 결합시킨다. 이때, 측면에 상호 결합된 한쌍의 천장판넬(40)들을 고정바(21)의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4개의 천장판넬(40)이 상호 접하는 위치의 상기 고정바(21) 상면에 구속유닛(230)의 베이스부재(231)를 안착시킨다. 이때, 클램핑부재(233)에 의해 형성된 삽입슬롯(35)에 고장바의 상면이 삽입되도록 베이스부재(231)를 안착시키고, 구속편(36)를 고정바(21) 방향으로 구부려서 구속유닛(230)을 고정바(21)에 구속시킨다. The
다음으로, 각 제3 및 제4관통구(143,232)에 결속유닛(240)을 삽입시키고, 결속유닛(240)의 삽입이 완료되면 각 결속판(241)의 제5관통구(244)에 가압부재(250)를 삽입한다. 이때, 제5관통구(244)에 삽입되는 가압부재(250)의 연장부분(252)은 삽입과정 중 결속부재(242)들을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절곡시킨다. Next, the binding
절곡되는 결속부재(242)들의 상단은 상호 이격되며, 결속부재(242)의 상단에 형성된 간섭부재(243)는 베이스부재(231)의 간섭된다. 상기 간섭부재(243)에 의해 결속유닛(240)은 베이스부재(231)에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어 결속유닛(240)의 하단부에 구속되어 있는 천장판넬(40)을 베이스부재(231)에 클램핑하게 된다. Upper ends of the binding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10: 찬장용 판넬 조립구조
20: 행거유닛
30: 구속유닛
31: 베이스부재
32: 결합부재
33: 클램핑부재
36: 구속편
40: 천장판넬
50: 고정부재
60: 커버부재10: Cupboard panel assembly structure
20: hanger unit
30: restraint unit
31: base member
32: coupling member
33: clamping member
36: restraint
40: ceiling panel
50: fixing member
60: cover member
Claims (6)
상기 고정바의 상면에 안착 지지되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하면에 하측으로 상기 고정바로부터 상기 클립부재의 하단부까지의 길이에 대응되게 연장형성된 다수의 결합부재가 마련된 구속유닛과;
상기 결합부재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1관통구가 형성된 메인판과, 상기 행거유닛에 상기 메인판이 지지되기 위해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클립부재들에 의해 클램핑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판의 가장자리에 상측으로 돌출형성되는 플랜지부재가 마련된 다수의 천장판넬과;
상기 천장판넬을 상기 구속유닛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제1관통구에 관통되게 삽입되며, 단부는 상기 결합부재에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용 판넬 조립구조.Fixing bars installed on a plurality of fixing bolts installed to extend downward to the ceiling, and both sides of the fixing bar extending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ing bar to provide an insertion spac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xing bar, respectively A hanger unit extending downwardly and provided with a clip member inclined so as to be narrowed toward each other so as to have a narrower distance therebetween;
A restraining unit provided with a base member seated and suppor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xing bar, and a plurality of coupling members extending downwardly corresponding to a length from the fixing bar to a lower end of the clip member on a lower surface of the base member;
A main plate having a first through hol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member, and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so as to be supported by the hanger unit at an edge of the main plate so as to be clamped by the clip members. A plurality of ceiling panels provided with flange members protruding upward;
And a fixing member inserted into the first through hole to fix the ceiling panel to the restraining unit, and having an end portion coupled to the coupling member.
상기 구속유닛은 상기 베이스부재를 상기 고정바에 클램핑하는 클램핑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클램핑부재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하면에 상기 고정바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슬롯이 형성되기 위해 상기 고정바의 폭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하방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삽입슬롯으로 삽입된 상기 고정바 방향으로 구부러질 수 있도록 형성된 복수의 구속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용 판넬 조립구조. The method of claim 1,
The restraining unit further includes a clamping member for clamping the base member to the fixing bar.
The clamping member is
Protruding downwardly at a position spaced at intervals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fixing bar to form an insertion slot into which the fixing bar can be inser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member, in the direction of the fixing bar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lot Panel assembly structure for a ceiling comprising a; a plurality of restraining pieces formed to be bent.
상기 클립부재는
상기 고정바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폭방향의 가장자리 양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되, 하방으로 갈수록 사이간격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제1경사부분과;
상기 제1경사부분의 하단에 하방으로 연장되되, 상기 제1경사부분보다 완만한 경사각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2경사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구속편은
상기 베이스부재의 하면에 하측으로 돌출형성된 제1구속부분과;
상기 구속편을 상기 행거유닛 측으로 절곡시 상기 제2경사부분에 용이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구속부분의 하단부에 상기 행거유닛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되게 연장형성된 제2구속부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용 판넬 조립구조. The method of claim 2,
The clip member is
A first inclined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both sides of an edge in a width direction orthogonal to a lengthwise direction of the fixing bar, and formed to be inclined so as to be narrowed toward the bottom;
A second inclined portion extending downward at a lower end of the first inclined portion and formed to be inclined at a gentle inclination angle than the first inclined portion;
The restraining piece
A first restraining portion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base member;
And a second restraining part extended to be bent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hanger unit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restraining part so that the restraining piece is easily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inclined part when the restraining piece is bent toward the hanger unit. Ceiling panel assembly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결합부재의 하면에는 내주면에 다수의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홀이 마련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체결홀에 나사결합될 수 있게 외주면에 다수의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부분과;
상기 체결부분의 타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체결홀에 상기 체결부분을 체결시 상기 천장판넬이 상기 고정부재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관통구보다 큰 반경으로 형성된 머리부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용 판넬 조립구조. The method of claim 3,
The lower surface of the coupl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fastening hole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eads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The fixing member
A fastening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thread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so that one end thereof can be screwed into the fastening hole;
And a head portion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fastening portion, the head portion having a radius larger than the first through hole so as to prevent the ceiling panel from leaving the fixing member when the fastening portion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Ceiling panel assembly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천장판넬들의 상호 밀접되는 부분을 덮기 위해 상기 천장판넬들이 상호 접하는 위치의 상기 천장판넬들과 상기 고정부재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부재의 단부가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각 상기 천장판넬들의 상기 제1관통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관통구가 형성된 커버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용 판넬 조립구조.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eiling panels are installed between the ceiling panels and the fixing member at positions where the ceiling panel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cover the mutually intimate portions of the ceiling panels, and the ends of the ceiling panels may be inserted through the fixing members. And a cover member having a second through hol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through hole.
상기 고정바의 상면에 안착 지지되며, 상기 고정바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제3관통구가 형성된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를 상기 고정바에 클램핑시키는 클램핑부재가 마련된 구속유닛과;
상기 제3관통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4관통구가 형성된 메인판과, 상기 행거유닛에 상기 메인판이 지지되기 위해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클립부재들에 의해 클램핑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판의 가장자리에 상측으로 돌출형성되는 플랜지부재가 마련된 다수의 천장판넬과;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제5관통구가 형성된 결속판과, 상기 제3 및 제4관통구에 관통되게 삽입되기 위해 상기 제4관통구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된 위치의 각각 상기 결속판에 상기 결속판의 수선방향으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결속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사이 간격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복수의 결속부재와, 상기 결속부재들의 단부에 연장형성되되, 상기 결속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사이간격이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간섭부재가 마련된 다수의 삽입유닛과;
상기 제3 및 제4관통구에 삽입된 상기 삽입유닛의 상기 간섭부재가 상기 베이스부재 또는 상기 메인판에 간섭되어 상기 삽입유닛이 상기 베이스부재 및 상기 메인판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5관통구에 삽입되어 상기 결속부재를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절곡시키는 가압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용 판넬 조립구조.
Fixing bars installed on a plurality of fixing bolts installed to extend downward to the ceiling, and both sides of the fixing bar extending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ing bar to provide an insertion spac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xing bar, respectively A hanger unit extending downwardly and provided with a clip member inclined so as to be narrowed toward each other so as to have a narrower distance therebetween;
A restraining unit seated and suppor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xed bar, the base member having a third through hole formed at a position away from the fixed bar, and a clamping member configured to clamp the base member to the fixed bar;
A main plate having a fourth through hol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ird through hole, and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so that the main plate is supported by the hanger unit so that the main plate can be clamped by the clip members. A plurality of ceiling panels provided with flange members protruding upward at edges;
The binding plate formed with a fifth through hole formed to penetrat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nd the binding plate at positions opposed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fourth through hole so as to be inserted through the third and fourth through holes. A plurality of binding members protruding in the repair direction of the plate and formed to be inclined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binding plates becomes narrower as the distance from the binding plate extends, and extends at ends of the binding members, and the distance between them is wider as the distance from the binding plate increases. A plurality of insertion units provided with interference members which are formed to be inclined so as to be supported;
The interference member of the insertion unit inserted into the third and fourth through holes may interfere with the base member or the main plate to prevent the insertion unit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base member and the main plate. And a pressurizing member inserted into a through hole and bending the binding member in a direction in which the binding member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00084886A KR101008020B1 (en) | 2010-08-31 | 2010-08-31 | Ceiling panel assembly struc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00084886A KR101008020B1 (en) | 2010-08-31 | 2010-08-31 | Ceiling panel assembly structure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008020B1 true KR101008020B1 (en) | 2011-01-14 |
Family
ID=43616272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00084886A Expired - Fee Related KR101008020B1 (en) | 2010-08-31 | 2010-08-31 | Ceiling panel assembly structur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008020B1 (en) |
Cited By (7)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462058Y1 (en) | 2012-05-08 | 2012-08-22 | 합자회사 거광산업 | A closing structure for ceiling |
| KR101204897B1 (en) * | 2012-07-23 | 2012-11-26 | 주식회사 문창 | A water tank having a united heat retention panel with sts |
| KR101617779B1 (en) | 2015-11-20 | 2016-05-03 | 차주병 | Ceiling Finish panel fastener |
| KR101797437B1 (en) * | 2017-05-24 | 2017-11-13 | 김철 | Fixing member for ceiling finish |
| WO2019004715A1 (en) * | 2017-06-28 | 2019-01-03 | 황보민 | Panel fixing assembly |
| KR101972902B1 (en) * | 2018-10-12 | 2019-05-02 | 주식회사 건영메탈 | Assembling method of prefabricated metal ceiling for building interior decoration |
| CN112282181A (en) * | 2020-11-03 | 2021-01-29 | 金螳螂精装科技(苏州)有限公司 | Assembled ceiling structure capable of being spliced quickly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90005211U (en) * | 2009-05-11 | 2009-05-29 | 박성룡 | Ceiling plate clamp |
-
2010
- 2010-08-31 KR KR1020100084886A patent/KR10100802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90005211U (en) * | 2009-05-11 | 2009-05-29 | 박성룡 | Ceiling plate clamp |
Cited By (7)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462058Y1 (en) | 2012-05-08 | 2012-08-22 | 합자회사 거광산업 | A closing structure for ceiling |
| KR101204897B1 (en) * | 2012-07-23 | 2012-11-26 | 주식회사 문창 | A water tank having a united heat retention panel with sts |
| KR101617779B1 (en) | 2015-11-20 | 2016-05-03 | 차주병 | Ceiling Finish panel fastener |
| KR101797437B1 (en) * | 2017-05-24 | 2017-11-13 | 김철 | Fixing member for ceiling finish |
| WO2019004715A1 (en) * | 2017-06-28 | 2019-01-03 | 황보민 | Panel fixing assembly |
| KR101972902B1 (en) * | 2018-10-12 | 2019-05-02 | 주식회사 건영메탈 | Assembling method of prefabricated metal ceiling for building interior decoration |
| CN112282181A (en) * | 2020-11-03 | 2021-01-29 | 金螳螂精装科技(苏州)有限公司 | Assembled ceiling structure capable of being spliced quickly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008020B1 (en) | Ceiling panel assembly structure | |
| KR101348039B1 (en) | Clamp for fixing cable | |
| KR20190119570A (en) | Ceiling structure with increased workability and space utilization and construction method | |
| US20090126295A1 (en) | Ceiling panel system | |
| EP3387197A1 (en) | Securing clip and system for installation of flooring elements comprising such a securing clip | |
| JP6180180B2 (en) | Shelf column fixture | |
| JP7373381B2 (en) | Ceiling louver installation structure and installation method | |
| KR102113954B1 (en) | Joint for connecting square pipe without using screw and welding | |
| JP4794005B2 (en) | Fabric board slip prevention jig | |
| US20060169849A1 (en) | Quick joint without bolts or accessories for cable hangers | |
| KR101105594B1 (en) | Hanger clip for cable tray | |
| JP6573422B2 (en) | Wiring equipment attachment device and equipment support | |
| CN106481730B (en) | Suspension type vibration isolator | |
| WO2018237365A1 (en) | NUT FIXING CLAMP AND NUT FIXING CLAMP | |
| JP5327536B2 (en) | Electrical junction box | |
| KR20160000774U (en) | Clip for packing of ceiling panel supported bar | |
| KR200441206Y1 (en) | T-bar suspension device for fixing of ceiling panel | |
| KR200371856Y1 (en) | Fixing hanger for ceiling panel | |
| KR100538280B1 (en) | Fixing hanger for ceiling panel | |
| JP7369368B2 (en) | cross clip | |
| JP4137411B2 (en) | Wiring device and wiring frame | |
| JP7555071B2 (en) | Equipment shared cable rack | |
| JP6852900B2 (en) | Piping mounting bracket | |
| KR20120002259U (en) | Tray Cover Clamp | |
| CN214255486U (en) | A fixing device for fixing a tubular member on an I-shaped membe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 P16-X000 | Ip right document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6-nap-X000 |
|
| Q16-X000 | A copy of ip right certificate issu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6-nap-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06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8010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80107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