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0540B1 - Input device for portable device - Google Patents
Input device for portable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00540B1 KR101000540B1 KR1020080105646A KR20080105646A KR101000540B1 KR 101000540 B1 KR101000540 B1 KR 101000540B1 KR 1020080105646 A KR1020080105646 A KR 1020080105646A KR 20080105646 A KR20080105646 A KR 20080105646A KR 101000540 B1 KR101000540 B1 KR 10100054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put
- input unit
- pressure
- dome switch
- pressure sens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the layers, e.g. by their material or structure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8—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the contacts or the contact sites
- H01H13/807—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the contacts or the contact sites characterised by the spatial arrangement of the contact sites, e.g. superimposed sit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ergonomic functions, e.g. for miniature keyboards; characterised by operational sensory functions, e.g. sound feedb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극의 전기적 접촉에 의해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돔 스위치 구조와 압력에 따른 정전용량변화에 의해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압력센서 구조를 통합함으로써, 문자 입력 방법을 매우 편리하게 개선한 휴대장치용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장치용 입력장치(1)는, 일정 거리(d) 이격된 상하의 극판(11)들 사이에 일정 두께(d)의 탄성층(12)이 적층된 구조로 되어 있고, 외부로부터 가해진 압력에 의해 상기 극판(11)들 사이의 거리가 복원성 있게 가변되면서, 상기 거리(d)의 변화에 따른 상기 극판(11)들 사이의 정전용량변화로부터 가해진 압력의 위치와 크기에 따라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압력센서 방식의 제1 입력부(10); 및 상기 제1 입력부(10)의 상측 또는 하측에 적층되고, 외부로부터 가해진 압력에 의해 상하의 전극(21)이 복원성 있게 전기적으로 접속되면서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돔 스위치 방식의 제2 입력부(20); 를 포함한다. 상기 압력센서 방식의 제1 입력부(10)와 상기 돔 스위치 방식의 제2 입력부(20)는 상기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압력의 크기가 서로 다르며, 각각의 입력키(2)에 배당된 2개의 입력문자 대하여, 제1 입력문자는 상기 제1 입력부(10)에 의해 입력되고, 제2 입력문자는 상기 제2 입력부(20)에 의해 입력된다. The present invention integrates a dome switch structure for generating an input signal by an electrical contact of an electrode and a pressure sensor structure for generating an input signal by a change in capacitance according to pressure, thereby greatly improving the character input method. It relates to an input device. The input device 1 for a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an elastic layer 12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d is stacked between upper and lower pole plates 11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d. The distance between the pole plates 11 is resiliently changed by the applied pressur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and magnitude of the pressure applied from the capacitance change between the pole plates 11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distance d. A first input unit 10 of a pressure sensor method for generating an input signal; And a second input unit 20 of a dome switch type stacked on the upper side or the lower side of the first input unit 10 and generating a corresponding input signal while the upper and lower electrodes 21 are electrically connected resiliently by a pressure applied from the outside. ); It includes. The first input unit 10 of the pressure sensor method and the second input unit 20 of the dome switch method have different magnitudes of pressure for generating the input signal, and two inputs assigned to the respective input keys 2. With respect to characters, first input characters are input by the first input unit 10 and second input characters are input by the second input unit 20.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장치용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전극의 전기적 접촉에 의해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돔 스위치 구조와 압력에 따른 정전용량변화에 의해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압력센서 구조를 통합함으로써, 문자 입력 방법을 매우 편리하게 개선한 휴대장치용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put device for a portabl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by integrating a dome switch structure for generating an input signal by electrical contact of an electrode and a pressure sensor structure for generating an input signal by capacitance change according to pressur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put device for a portable device, in which the character input method is very conveniently improved.
휴대전화기, 엠피쓰리, PDA, PMP, 휴대용 게임기, DMB 수신기 등 각종 휴대장치에는 그 작동과 문자 등의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소정의 입력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이런 휴대장치용 입력장치의 입력소자로서는, 돔 스위치가 가장 널리 사용되어 왔다. Various portable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MP3, PDAs, PMPs, portable game machines, and DMB receivers are equipped with predetermined input devices for inputting data such as operation and text. As an input element of such an input device for a portable device, a dome switch has been most widely used.
도4는 종래 휴대용 입력장치에 적용된 돔 스위치의 부분 개략 단면도, 도5는 휴대전화기에 적용된 종래 입력장치 키패드의 입력문자배열 개략도이다.4 is a partial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dome switch applied to a conventional portable input device, and FIG. 5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input character arrangement of a keypad of a conventional input device applied to a mobile phone.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입력장치의 돔 스위치(100)는, 기판(110), 기판(110) 상에 입력키(101)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원호형 전극(120), 원호형 전극(120)의 내부에 배치되어 원호형 전극(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아니한 상태의 선형 전극(130), 및 원호형 전극(120)에 양단이 전기적으로 접한 상태로 선형 전극(130)의 상부를 가로지르게 배치된 돔형 전극(14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런 전극(120, 130, 140)들은 스페이서(150)와 접착 필름(160) 등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된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이와 같은 구조의 돔 스위치(100)는 입력장치(키패드)에 필요한 입력키(101)에 대응하는 개수만큼, 도4에 예시된 바와 같이 매트릭스 행렬 배치되어 있으며, 손으로 원하는 입력키(101)를 가압하면 돔형 전극(140)이 눌려 선형 전극(130)에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연결됨으로써, 소정의 입력장치회로와 탑재된 프로그램에 의해 해당 돔 스위치에 대응하는 내용이 입력되는 프로세스가 실행된다. The
최근에는 휴대전화기로 대표되는 휴대장치의 기능 다양화와 소형화의 경향에 따라, 돔 스위치 방식 대신에 정전용량 방식의 입력장치(압력센서라고도 함)가 도입되고 있다. In recent years, capacitive input devices (also referred to as pressure sensors) have been introduced in place of the dome switch method in accordance with the trend of diversification and miniaturization of functions of portable devices represented by mobile phones.
본 발명자는 정전용량방식의 입력장치로서 특허등록 제10-661000호 등의 휴대용 전자장치의 입력장치(2006. 12. 22.)를 제안한 바 있으며, 본 입력장치는 일정 거리 이격된 상하의 극판 사이에 외력에 의해 그 두께가 탄성적으로 복원성 있게 가변되는 탄성층을 매개한 구조로서, 가해진 압력의 크기에 따라 가변되는 탄성층의 두께(극판 사이의 거리) 변화 및 이에 따른 정전용량의 변화로부터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입력장치이다. The present inventor has proposed an input device (Dec. 22, 2006)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such as Patent Registration No. 10-661000 as a capacitive input device, and the input device is provided between upper and lower pole plates spaced a certain distance apart. A structure that mediates an elastic layer whose thickness is elastically resiliently changed by an external force, wherein the input signal is changed from a change in thickness (distance between the electrode plates) of the elastic layer and a change in capacitance according to the applied pressure. Input device for generating.
그러나 휴대장치의 입력소자로 돔 스위치를 채용하던 압력센서를 채용하던 종래의 입력장치들은, 문자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해 지나치게 많은 버튼 조작을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conventional input devices employing a dome switch or a pressure sensor as an input element of a portable device have a problem in that too many button operations are required to input text data.
예를 들어, 도4에 예시된 휴대전화기의 입력장치(키패드)에서 입력키(101)를 눌러 문자 "크"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① 입력키 "1"을 눌러 "ㄱ"을 입력하고, ② 다시 입력키 "*"를 눌러 "ㄱ"의 격음인 "ㅋ"이 입력 되게 하고, ③ 마지막으로 입력키 "0"을 눌러 모음 "ㅡ"가 입력되도록 해야 하므로, 총 3개의 입력키를 눌러야 하는 불편이 있다. For example, in order to input the letter "k" by pressing the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장치용 입력장치를 구축함에 있어서 돔 스위치와 압력센서를 통합적으로 적용하여 문자 입력에 필요한 키 입력 횟수를 줄임으로써 입력장치의 문자입력효율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character input efficiency of the input device by reducing the number of key input required for character input by integrating the dome switch and the pressure sensor in building the input device for a portable device.
본 발명에 따라 휴대장치용 입력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input device for a portable device is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휴대장치용 입력장치, 압력센서 방식의 제1 입력부와 돔 스위치 방식의 제2 입력부가 상하 적층되어 있다. The input device for a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input part of the pressure sensor method and the second input part of the dome switch method are stacked up and down.
상기 압력센서 방식의 제1 입력부는, 일정 거리 이격된 상하의 극판들 사이에 일정 두께의 탄성층이 적층된 구조로 되어 있고, 외부로부터 가해진 압력에 의해 상기 극판들 사이의 거리가 복원성 있게 가변되면서, 상기 거리의 변화에 따른 상기 극판들 사이의 정전용량변화로부터 가해진 압력의 위치와 크기에 따라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생성한다. The first input unit of the pressure sensor type has a structure in which an elastic layer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is laminated between upper and lower pole plat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pole plates is restorably variable by pressure applied from the outside. A corresponding input signal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position and magnitude of the pressure applied from the capacitance change between the pole plates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distance.
상기 돔 스위치 방식의 제2 입력부는, 상기 제1 입력부의 상측 또는 하측에 적층되고, 외부로부터 가해진 압력에 의해 상하의 전극이 복원성 있게 전기적으로 접속되면서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생성한다. The dome switch type second input unit is stacked on the upper side or the lower side of the first input unit, and the upper and lower electrodes are electrically connected resiliently by a pressure applied from the outside, thereby generating a corresponding input signal.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는, 상기 압력센서 방식의 제1 입력부와 상기 돔 스위치 방식의 제2 입력부가 상기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압력의 크기가 서로 다르며, 각각의 입력키에 배당된 2개의 입력문자 대하여, 제1 입력문자는 상기 제1 입력부에 의해 입력되고, 제2 입력문자는 상기 제2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다. In the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ure input of the pressure sensor type first input unit and the dome switch type second input unit to generate the input signal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two input characters assigned to each input key In contrast, a first input character is input by the first input unit, and a second input character is input by the second input unit.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는, 상기 돔 스위치 방식의 제2 입력부 위에 상기 압력센서 방식의 제1 입력부가 적층되고, 상기 제1 입력부의 상측에 입력내용들이 표시되는 표시패널이 적층되며, 상기 제2 입력부의 아래에 기판이 적층된다. Preferably, in the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input part of the pressure sensor method is stacked on the second input part of the dome switch method, and a display panel on which input contents are displayed is stacked on the first input part. Substrates are stacked below the second input unit.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는, 상기 돔 스위치 방식의 제2 입력부의 상기 전극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에 필요한 상기 외부압력을 기준압력이라고 할 때, 상기 압력센서 방식의 제1 입력부는 상기 기준압력 미만의 압력이 가해질 때에는 상기 입력신호가 생성되고, 상기 기준압력 이상의 압력이 가해질 때에는 상기 입력신호가 생성되지 않는다. Preferably, in the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xternal pressure requir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electrode of the second input part of the dome switch method is referred to as the reference pressure, the first input part of the pressure sensor method is used as the reference pressure. The input signal is generated when a pressure below the pressure is applied, and the input signal is not generated when a pressure above the reference pressure is applied.
본 발명에 따른 휴대장치용 입력장치는, 압력센서 방식의 제1 입력부와 돔 스위치 방식의 제2 입력부를 상하로 적층 결합한 입력장치로서, 상기 압력센서 방식의 제1 입력부와 상기 돔 스위치 방식의 제2 입력부가 그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압력의 크기를 서도 다르게 설정하고, 각각의 입력키에 배당된 2개의 입력문자 대 하여, 제1 입력문자는 상기 제1 입력부에 의해 입력되고, 제2 입력문자는 상기 제2 입력부에 의해 입력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한글의 문자 입력에 필요한 키 입력 횟수를 줄여 입력장치의 문자입력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The input device for a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put device in which a pressure sensor type first input part and a dome switch type second input part are stack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combined, and each of the pressure sensor type first input part and the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장치용 입력장치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장치용 입력장치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input device for a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specific examples merely illustrate the input device for a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ut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휴대장치용 입력장치의 부분 개략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휴대장치용 입력장치의 부분 개략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입력장치가 적용된 휴대장치 키패드의 예시적인 입력문자배열 개략도이다. 1 is a partial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exemplary portable device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artial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xemplary portable device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portable device to which the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 exemplary input character sequence schematic of the device keypad.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장치용 입력장치(1)는, 압력센서 방식의 제1 입력부(10)와 돔 스위치 방식의 제2 입력부(20)가 상하로 적층된 구조를 가진다. As shown in Fig. 1 and Fig. 2, in the portable
일반적으로 휴대전화기와 같은 휴대장치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입력키(2)들이 행렬 매트릭스로 배열된 입력장치가 구비되어 있는바, 도1과 도2는 도면을 단순화하고 이해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모든 입력키들에 대응하는 모든 제1 입력부(10)와 제2 입력부(20)를 도시한 것이 아니라 1개의 입력키(2)에 해당하는 제1 입력부(10)와 제2 입력부(20)만을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In general, a portable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is provided with an input device in which a plurality of
압력센서 방식의 제1 입력부(10)는, 앞서 언급한 특허등록 제10-661000호 등 에 기재된 바와 같은 정전용량식 입력수단으로서,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일정 거리(d) 이격된 상하의 극판(11)들 사이에 일정 두께(d)의 탄성층(12)이 적층된 기본 구조를 가진다. The
손가락(도체일 필요는 없음)으로 누르는 것과 같이 제1 입력부(10)에 압력을 가하면, 상하의 극판(11)들 사이의 거리(d)가 탄성층(12)의 작용에 의해 복원성 있게 가변되면서, 그 거리(d)의 변화에 의해 상하 극판(11) 사이의 정전용량의 변화가 발생하고, 이때 정전용량의 변화량의 크기는 가해진 압력에 따른 거리(d) 변화의 크기에 의존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가해진 압력의 크기와 그 위치에 따라 대응하는 소정의 입력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When pressure is applied to the
즉, 제1 입력부(10)에 압력이 가해지면, 상하의 극판(11) 사이의 거리(d)가 복원성 있게 가변(줄어들게) 되며, 이런 거리(d)의 변화에 따라 해당 위치에서 C=μA/d(여기에서, C는 정전용량, μ는 유전율, A는 면적, d는 극판 사이의 거리)에 해당하는 정전용량변화가 발생하고, 이때 전전용량변화량은 누르는 압력의 크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That is, when pressure is applied to the
이와 같은 특성을 가지는 압력센서 방식의 제1 입력부(10)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 자체는 본 발명의 특징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을 뿐만 아니라 관련 기술분야에 널리 알려진 기술을 본 발명에 맞게 적용하면 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The specific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상기 돔 스위치 방식의 제2 입력부(20)는 압력센서 방식의 제1 입력부(10)의 상측 또는 하측에 적층되며, 외력에 의해 상하의 전극(21, 21a, 21b)이 복원성 있 게 전기적으로 접속되면서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널리 알려진 돔 스위치의 구조이다. The dome switch type
돔 스위치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 자체도 본 발명의 특징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을 뿐만 아니라 관련 기술분야에 널리 알려진 기술을 본 발명에 맞게 적용하면 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The specific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dome switch itself is not directly related to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technique well known in the related art may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입력장치(1)를 구성하는 제1 입력부(10)와 제2 입력부(20)에 의해 입력할 수 있는 내용, 제1 입력부(10)의 극판과 제2 입력부(20)의 전극들의 배열(입력키의 매트릭스 배열) 등은 본 발명의 입력장치(1)가 적용되는 휴대장치의 종류 및 기능에 맞게 적절히 선택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Contents that can be input by the
도1과 도2는 돔 스위치 방식의 제2 입력부(20)의 위에 압력센서 방식의 제1 입력부(10)가 적층되고, 제2 입력부(20)의 아래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1)의 작동을 제어하는 회로가 탑재된 기판(30)이 배치되고, 제1 입력부(10)의 위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1)에 의해 입력할 수 있는 입력 내용들이 표시되어 있으면서 손가락 등에 의해 직접적으로 압력이 가해지는 표시패널(40)이 적층된 예이다. 이때 제1 입력부(10)와 제2 입력부(20)의 상하 적층 위치는 서로 반대로 할 수도 있다. 1 and 2, the
도2는 제2 입력부(20)의 돔형 전극(21a)의 돌출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의 제1 입력부(10)를 오목하게 형성하여 돔형 전극(21a)이 제1 입력부(10)의 오목부분에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제1입력부(10)와 제2 입력부(20)의 적층 두께를 줄이고 적층 결합성을 향상시킨 예이다. 2 shows that the
또한, 도1과 도2에서는 제2 입력부(20) 위에 제1입력부(10)가 바로 적층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제1입력부(10)와 제2 입력부(20) 사이에 소정의 절연수단이 적용되어 극판(11)과 전극(21)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이 방지됨은 당연하다.1 and 2 illustrate that the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압력센서 방식의 제1 입력부(10)와 돔 스위치 방식의 제2 입력부(20)는 그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압력의 크기가 서로 다르게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입력키(2)에 배당된 2개의 입력문자(데이터)에 대해서, 제1 입력문자는 제1 입력부(10)에 의해 입력되고, 제2 입력문자는 제2 입력부(20)에 의해 입력된다.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pressure sensor type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압력센서 방식의 제1 입력부(10)는, 가해진 압력의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르게 변화하는 정전용량 변화량을 기초로 서로 다른 입력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회로를 구축함에 있어서, 어떤 기준압력 미만의 압력을 가했을 때에는 특정 입력신호를 생성하지만 기준압력 이상의 압력이 가해졌을 때에는 다른 입력신호를 생성하거나 입력신호를 생성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반대로 어떤 기준압력 이하의 압력을 가했을 때에는 입력신호를 생성하지 않지만 기준압력을 초과하는 압력이 가해졌을 때에는 입력신호를 생성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즉, 압력센서 방식의 제1 입력부(10)는, 압력의 강약에 따라 입력신호를 생성여부가 결정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입력신호가 생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작용은 정해진 기준압력에 해당하는 정전용량변화량과 실제 가해진 압력에 의해 측정된 정전용량변화량을 상호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에 대응 하는 정해진 입력신호가 생성되도록 입력장치(1)의 회로와 그 프로그램을 구축하면 실현할 수 있다. That is, the
이런 압력센서 방식의 제1 입력부(10)의 특징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입력장치(1)는, 압력센서 방식의 제1 입력부(10)와 돔 스위치 방식의 제2 입력부(20)가 그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압력의 크기를 서로 다르게 설정한다. By utili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도1에 도시된 구체예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돔 스위치 방식의 제2 입력부(20)는 사용된 돔형 전극(21a)이 가지는 탄성에 의해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것에 필요한 최소한의 압력(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지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압력)이 정해져 있는 바, 이런 제2 입력부(20)의 입력신호 생성에 필요한 압력을 기준압력으로 설정하고, 압력센서 방식의 제1 입력부(10)는 상기 기준압력 미만의 압력이 가해졌을 때에는 입력신호가 생성되게 하지만, 상기 기준압력 이상의 압력이 가해졌을 때에는 입력신호가 생성되지 않도록 회로가 구축되어 있다. Referring to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1 as an example, the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1)의 표시패널(40)을 상기 기준압력 보다 약하게 누르면, 압력센서 방식의 제1 입력부(10)가 작동하여 입력신호를 생성하지만, 가해진 압력이 상기 기준압력에 미달하여 제2 입력부(20)는 압력부족으로 전극(21)이 접촉되지 아니하므로 입력신호가 생성되지 않는다. As a result, when the
반면, 입력장치(1)의 표시패널(40)을 상기 기준압력 이상으로 강하게 누르면, 압력센서 방식의 제1 입력부(10)는 입력신호가 생성되지 않지만, 제2 입력부(20)에는 기준압력 이상의 압력이 가해져 전극(21)이 접촉됨으로써 입력신호가 생성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1)는, 표시패널(40)을 누르는 압력의 크기에 따라 제1 입력부(10)와 제2 입력부(20) 중에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작용하여 입력신호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각각의 입력키(2)에 배당된 2개의 입력문자에 대해서, 제1 입력문자는 제1 입력부(10)의 작동으로 입력하고 제2 입력문자는 제2 입력부(20)의 작동으로 입력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3의 입력키(2) 중에 입력키 1(2a)로 입력되는 제1 입력문자는 "ㄱ"이고 제2 입력문자는 "ㅋ"일 때, 입력키 1(2a)을 정해진 기준압력보다 약하게 누르면 제1 입력부(10)가 작용하여 "ㄱ"가 입력되고, 입력키(2a) 1을 기준압력 이상으로 강하게 누르면 제2 입력부(20)가 작용하여 "ㅋ"가 입력되게 할 수 있으므로, 입력키 1(2a)을 강하게 누르고 입력키 0(2b)을 누르는 2번의 입력키 입력만으로 "크"를 입력할 수 있고, 입력키 1(2a)을 약하게 누르고 입력키 0(2b)을 누르는 2번의 입력키 입력만으로 "그"를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의 문자 입력은 입력키 1(2a) 뿐만 아니라 필요한 다른 입력키들에도 적용된다. For example, in detail, when the first input character input to the input key 1 (2a) of the
결국, 본 발명의 입력장치(1)에 의하면, 입력키(2)에 배당된 제1 입력문자와 제2 입력문자를 입력함에 있어서, 입력키(2)에 가하는 압력의 크기를 강하게 또는 약하게 조정함으로써 제1 입력부(10)와 제2 입력부(20) 중 하나만이 입력신호를 생성하도록 하여, 해당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제1 입력문자 또는 제2 입력문자를 입력할 수 있으므로, 특히 한글 중에 격음이나 경음을 입력함에 있어서 입력키의 누름 횟수를 줄일 수 있고, 결국 문자입력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Consequently, according to the
제1 입력부(10)에 의해 생성되는 입력신호가 기준압력보다 약할 때 생성되게 할 것인지 강할 때 생성되게 할 것인지 등은,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1)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탄성계수 등의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Whether the input signal generated by the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1)는 그 입력소자로서 터치 및 가압에 의한 정전용량변화를 통해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압력센서 방식의 제1 입력부(10)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제1 입력부(10)가 휴대장치 모니터의 스크롤 기능, 포인팅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어 편리하다. In addition, since the
본 발명의 입력장치(1)에 적용될 회로와 이를 제어하는 제어부 등은, 전술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661,000호를 포함한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입력장치(1)가 적용되는 휴대용 장치에 맞게 적절히 적용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The circuit to be applied to the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휴대장치용 입력장치의 부분 개략 단면도, 1 is a partial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exemplary input device for a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휴대장치용 입력장치의 부분 개략 단면도, 2 is a partial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xemplary input device for a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본 발명의 입력장치가 적용된 휴대장치 키패드의 예시적인 입력문자배열 개략도, 3 is an exemplary input character array schematic diagram of a portable device keypad to which the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4는 종래 휴대용 입력장치에 적용된 돔 스위치의 부분 개략 단면도, 4 is a partial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dome switch applied to a conventional portable input device;
도5는 휴대전화기에 적용된 종래 입력장치 키패드의 입력문자배열 개략도.Figure 5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input character arrangement of the conventional input device keypad applied to the mobile phone.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본 발명의 입력장치1: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2, 2a: 입력키2, 2a: input key
10: 압력센서 방식의 제1 입력부10: first input unit of the pressure sensor method
11: 극판11: plate
12: 탄성층12: elastic layer
20: 돔 스위치 방식의 제2 입력부20: second input unit of the dome switch system
21, 21a, 21b: 전극 21, 21a, 21b: electrode
30: 기판30: substrate
40: 표시패널40: display panel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80105646A KR101000540B1 (en) | 2008-10-28 | 2008-10-28 | Input device for portable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80105646A KR101000540B1 (en) | 2008-10-28 | 2008-10-28 | Input device for portable devic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00046689A KR20100046689A (en) | 2010-05-07 |
| KR101000540B1 true KR101000540B1 (en) | 2010-12-14 |
Family
ID=42273907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80105646A Expired - Fee Related KR101000540B1 (en) | 2008-10-28 | 2008-10-28 | Input device for portable devic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000540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11248439A (en) * | 2010-05-24 | 2011-12-08 | Omron Corp | Capacitance type input device |
| KR101145155B1 (en) * | 2010-06-28 | 2012-05-14 | 주식회사 비젼스케이프 | Hybrid Capacitive Function Key |
| KR102187092B1 (en) * | 2019-08-21 | 2020-12-04 | 주식회사 시노펙스 | Gesture detection device using force sensor switch |
| CN115410852B (en) * | 2021-05-26 | 2025-08-26 |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 Key structure with display function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6018546A (en) * | 2004-07-01 | 2006-01-19 | Alps Electric Co Ltd | Input device |
| KR100859318B1 (en) * | 2007-01-04 | 2008-09-19 | 에이디반도체(주) | 2-stage switch using capacitive sensor and mechanical contact switch |
-
2008
- 2008-10-28 KR KR1020080105646A patent/KR10100054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6018546A (en) * | 2004-07-01 | 2006-01-19 | Alps Electric Co Ltd | Input device |
| KR100859318B1 (en) * | 2007-01-04 | 2008-09-19 | 에이디반도체(주) | 2-stage switch using capacitive sensor and mechanical contact switch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00046689A (en) | 2010-05-07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7956770B2 (en) | Data input devic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 JP4880299B2 (en) | Capacitive touch panel with button function | |
| US8497786B2 (en) | Capacitive keyboard with enhanced electrode areas | |
| US20180081480A1 (en) | Touch pressure detection module and apparatus | |
| US8228297B2 (en) | Touch sensor keypad with tactile feedback mechanisms and electronic device with the same | |
| US20130100030A1 (en) | Keypad apparatus having proximity and pressure sensing | |
| US10922515B2 (en) | Integrated fingerprint and force sensor | |
| KR101000540B1 (en) | Input device for portable device | |
| KR20090049863A (en) | Touch panel using capacitive sensor having key button and input means by touch, and its operation method | |
| KR100787834B1 (en) | Capacitive input device | |
| US7324021B2 (en) | Input device | |
| KR100894250B1 (en) | Capacitive Input / Indicator | |
| KR100706706B1 (en) | Switch matrix device that accepts mechanical and electrical contact signals simultaneously | |
| KR100764568B1 (en) | Input device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 KR20110128533A (en) | Multi-layered Capacitive Input Device | |
| KR20140136353A (en) | Capacitive Force-based Input Device Using Elasticity of Housing | |
| KR100661000B1 (en) | Input device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 KR101370811B1 (en) | Membrane switch sheet and membrane switch keyboard | |
| JP2010262483A (en) | Touchpad input device | |
| KR200412587Y1 (en) | Input device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 JP2005166466A (en) | Input device | |
| KR100867607B1 (en) | Capacitive Input | |
| KR200409431Y1 (en) | Input device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 KR100968856B1 (en) | Key input device | |
| KR100764569B1 (en) | Input device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 P16-X000 | Ip right document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6-nap-X000 |
|
| Q16-X000 | A copy of ip right certificate issu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6-nap-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S20-X000 | Security interest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S10-S20-lic-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06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6120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61207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