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1759B1 - Financial Automation Equipment - Google Patents
Financial Automation Equip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01759B1 KR101001759B1 KR1020060079316A KR20060079316A KR101001759B1 KR 101001759 B1 KR101001759 B1 KR 101001759B1 KR 1020060079316 A KR1020060079316 A KR 1020060079316A KR 20060079316 A KR20060079316 A KR 20060079316A KR 101001759 B1 KR101001759 B1 KR 10100175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withdrawal
- housing
- main unit
- extension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5—Housing aspects of ATM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출금 모듈 장착의 용이함을 제공할 수 있는 금융자동화기기가 개시된다. 금융자동화기기는 출금홀이 형성된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어 종이매체를 이송하는 메인유닛, 입구단이 메인유닛의 출구와 인접하고 출구단이 출금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되되 선택적으로 출구단의 높이가 변경될 수 있도록 메인유닛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연장유닛을 포함한다. 연장유닛은 선택적으로 메인유닛에 대해 상대 회전되며 그 출구단의 높이가 변경될 수 있으며 출금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Disclosed are an automated teller machine that can provide ease of mounting a withdrawal module. The automatic teller machine is arranged so that the withdrawal hole is formed, the main unit which is mounted inside the housing to transfer the paper medium, the inlet end is adjacent to the outlet of the main unit, and the outlet end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thdrawal hole. It includes an extension unit that is mounted to be relatively rotatable to the main unit so that the height of the stage can be changed. The extension unit may be selectively rotated relative to the main unit, and the height of the exit end thereof may be changed, and may be mount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thdrawal hole.
메인유닛, 연장유닛, 출금홀, 높이, 회전, 가이드부재, 탄성부재 Main unit, extension unit, withdrawal hole, height, rotation, guide member, elastic member
Description
도 1은 종래 금융자동화기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automatic teller machine.
도 2는 종래 금융자동화기기로서, 출금 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구성도이다.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withdrawal module as a conventional automatic teller machine.
도 3은 종래 금융자동화기기로서, 출금 모듈의 장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mounting structure of a withdrawal module as a conventional automatic teller machin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automatic teller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로서, 출금 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5 is a sid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withdrawal module as an automatic teller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6 is a sid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automated teller machi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7 and 8 are a side view and a plan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automatic teller machi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 금융자동화기기 120 : 하우징110: automatic teller machine 120: housing
130 : 출금 모듈 140 : 메인유닛130: withdrawal module 140: main unit
170 : 연장유닛 200 : 힌지170: extension unit 200: hinge
210 : 가이드부재 220 : 탄성부재210: guide member 220: elastic member
230 : 가이드판230: guide plate
본 발명은 금융자동화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출금 모듈의 장착시 발생할 수 있는 파손 및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장착의 용이함을 제공할 수 있는 금융자동화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ed teller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tomatic teller machine that can prevent damage and deformation that may occur when the withdrawal module is mounted and can provide ease of installation.
금융자동화기기는 금융서비스와 관련하여 시간 및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은행 직원 없이도 입금 또는 출금과 같은 기본적인 금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자동화 장치이다.The automated teller machine is an automated device that can provide basic financial services such as deposit or withdrawal without a bank employee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with respect to financial services.
금융자동화기기는 크게 입출금 여부에 따라 현금출금기와 현금입출금기로 구분될 수 있으며, 최근 들어 금융자동화기기는 현금 입출금은 물론 수표(Check) 입출금, 통장 정리, 지로요금 납부, 티켓 발매 등 여러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The automated teller machines can be divided into cash dispensers and cash dispensers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y are withdrawn.In recent years, the automated teller machines have been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cash withdrawals, check deposits, bank accounts, payment of giro fees, ticket releases, etc. have.
도 1은 종래 금융자동화기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금융자동화기기로서, 출금 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구성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automatic teller machine, Figure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withdrawal module as a conventional automatic teller machine.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금융자동화기기(10)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20), 각각 기능 단위별로 구별되어 하우징(20)에 설치되는 여러 개의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 기능별 모듈로서는 마그네틱 카드 리딩 모듈, 통장 정리 모듈,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 출금 모듈 등이 있다.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conventional
상기 마그네틱 카드 리딩 모듈은 카드 투입부(21)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은 디스플레이화면(23)이나 키입력부(25)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The magnetic card reading module is install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상기 출금 모듈(30)은 직접 배출 방식에 따른 것으로서 하우징(20)의 내부에 장착되되, 하우징(20)의 전면에 형성된 출금홀(27)을 통해 그 출구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The
상기 출금 모듈(30)은 크게 상부유닛(60), 상부유닛(6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유닛(50) 및 상기 하부유닛(50)으로부터 연장되도록 고정 설치되어 그 출구단이 상기 출금홀(27)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연장유닛(7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The
상기 하부유닛(50)에는 현금이 수용된 현금 카세트(cash cassette)(51)가 하나 또는 두개 이상 구비되어 있고, 상부유닛(60) 및 연장유닛(70)에는 각각 현금 카세트(51)의 현금을 출금홀(27)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이송수단은 일정 이송경로를 순환하면서 현금을 이송하는 복수개의 순환이송벨트(82) 및 순환이송벨트(82)의 이동 궤적을 정의하는 복수개의 이송롤러(8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The
또한 상기 출금 모듈(30)에서는 현금요청신호에 따라 준비된 현금이 출금홀(27)을 통해 스택(stack) 단위로 제공될 수 있다. 하지만, 현금을 보관하고 있는 현금 카세트(51)에서는 현금을 낱장 단위로만 제공하기 때문에 출금 모듈(30) 내에서 현금을 스택 단위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현금을 일시로 적재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상부유닛(60)에는 현금 카세트(51)로부터 전달되는 현금이 스 택(stack) 단위로 고객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일정 경로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며 선택적으로 현금을 적재시키기 위한 일시스택부(temporary stacking section)(62)가 구비되어 있다.In the
한편, 도 3은 종래 금융자동화기기로서, 출금 모듈의 장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Meanwhile, FIG. 3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a mounting state of a withdrawal module as a conventional automatic teller machine.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출금 모듈(30)은 하우징(20)의 후방으로부터 삽입되며 연장유닛(70)의 출구단이 출금홀(27)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장착된다.As shown in FIG. 3, the
그러나 종래 금융자동화기기에 있어서는, 출금 모듈(30)을 하우징(20)의 내부에 장착할 시 장착높이가 맞지 않을 경우 출금 모듈(30)의 장착높이를 조절하기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automated teller machin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very difficult to adjust the mounting height of the
즉, 연장유닛(70)의 출구단이 출금홀(27)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기 위해서는 연장유닛(70)의 장착높이와 출금홀(27)의 높이가 정확하게 일치된 상태로 출금 모듈(30)이 하우징(20) 내부에 장착되어야 한다. 그러나, 설계 및 제작상 오차 또는 작업자의 부주의 등에 의해 출금 모듈(30)의 장착높이 즉, 연장유닛(70)의 출구단 높이가 출금홀(27)의 높이와 맞지 않을 경우 하우징(20)과 출금 모듈(30) 간의 장착높이를 맞추긴 위해서는 출금 모듈(30) 전체의 높이를 조절하거나 출금홀(27)의 위치 자체를 변경해야 하지만, 이와 같이 작업이 매우 어렵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That is, in order for the exit end of the
또한, 연장유닛(70)의 출구단 높이가 출금홀(27)의 높이와 맞지 않은 상태에 서 출금 모듈(30)이 하우징(20)의 내부에 강제로 장착될 경우에는 연장유닛(70)의 선단부가 하우징(20)의 내벽면에 접촉되며 상호 접촉부위에 파손 및 변형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고, 이에 따라 장착성 및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따라서, 본 발명은 장착의 용이함을 제공할 수 있는 금융자동화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ed teller machine that can provide ease of mounting.
특히, 본 발명은 출금 모듈 전체의 높이를 변경하거나 하우징의 출금홀 높이를 변경할 필요없이 연장유닛의 출구단 높이를 용이하게 가변시켜 장착할 수 있는 금융자동화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particula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inancial automation device that can be easily mounted by varying the height of the outlet end of the extension unit without changing the height of the entire withdrawal module or the height of the withdrawal hole of the housing.
또한, 본 발명은 설계 및 제작상 오차에 따른 부담을 해소하고 출금 모듈의 장착시 발생할 수 있는 파손 및 변형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금융자동화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nancial automation device capable of relieving the burden caused by design and manufacturing errors and preventing damages and deformations that may occur when mounting a withdrawal module.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금융자동화기기는 출금홀이 형성된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어 종이매체를 이송하는 메인유닛, 입구단이 메인유닛의 출구와 인접하고 출구단이 출금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되되 선택적으로 출구단의 높이가 변경될 수 있도록 메인유닛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연장유닛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omatic teller machine is a housing having a withdrawal hole, a main unit which is mounted inside the housing and conveys a paper medium, the inlet end of the outlet of the main unit And an extension unit disposed adjacent to the outlet and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thdrawal hole, and selectively mounted to the main unit so that the height of the outlet can be changed.
메인유닛과 연장유닛은 종이매체가 저장되는 카세트 및 종이매체를 이송하는 이송수단을 포함하여 출금 모듈을 구성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출금 모듈이라 함은 출금 기능을 포함하는 장치로서, 출금 전용 모듈 및 입출금 모듈 모두 출금 모듈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출금 모듈에서 취급하는 종이 매체라 함은 지폐, 수표, 상품권, 티켓 등과 같이 일정한 가치를 갖는 시트 형상의 물건으로서, 그 재질은 종이 외에도 플라스틱 박막 등과 같이 종이를 대체할 수 있는 재질로도 구성될 수가 있다.The main unit and the extension unit constitute a withdrawal module including a cassette in which the paper medium is stored and a conveying means for transferring the paper medium.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ithdrawal module is a device including a withdrawal function, and both the withdrawal module and the withdrawal module may be understood as a withdrawal module. In addition, the paper medium handled by the withdrawal module is a sheet-shaped object having a certain value such as a bill, a check, a gift certificate, a ticket, etc., and its material is made of a material that can replace paper such as a plastic thin film. Can be.
종래에는 메인유닛 및 연장유닛을 포함하는 출금 모듈을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할 시 설계 및 제작상 오차 또는 작업자의 부주의 등에 의해 출금 모듈의 장착높이 즉, 연장유닛의 출구단 높이가 출금홀의 높이와 맞지 않을 경우 출금 모듈의 장착높이를 조절하기 매우 어려웠지만,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과 출금 모듈 간의 장착높이가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을 경우 출금 모듈 전체의 높이를 조절할 필요없이 단순히 연장유닛을 메인유닛에 대해 회전시켜 연장유닛의 장착높이와 출금홀의 높이를 일치시킬 수 있다.Conventionally, when mounting the withdrawal module including the main unit and the extension unit inside the housing, the mounting height of the withdrawal module, that is, the height of the exit end of the extension unit does not match the height of the withdrawal hole due to design and manufacturing errors or inadvertent operator's care. If not, it was very difficult to adjust the mounting height of the withdrawal module,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mounting height between the housing and the withdrawal module does not exactly match, the extension unit is simply rotated relative to the main unit without the nee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entire withdrawal module. The mounting height of the unit can match the height of the withdrawal hole.
하우징의 내측에는 연장유닛의 출구단을 하우징의 출금홀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는 출금홀로부터 멀어질수록 확장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연장유닛의 출구단이 출금홀 측으로 접근될수록 연장유닛이 가이드부재에 접촉되며 그 출구단이 하우징의 출금홀로 안내되도록 회전될 수 있게 한다. 가이드부재는 연장유닛이 접촉될 시 발생되는 충격이 완화될 수 있도록 하우징에 대해 탄성적으로 유동 가능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블록형태로도 제공될 수 있다. 또, 가이드부재는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다른 기울기 및 크기를 갖는 가이드 부재로 교체할 수 있도록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Inside the housing may be provided with a guide member for guiding the outlet end of the extension unit to the withdrawal hole of the housing. The guide member is formed to have an enlarged diameter away from the withdrawal hole, so that as the exit end of the extension unit approaches the withdrawal hole, the extension unit contacts the guide member and the outlet end can be rotated to guide the withdrawal hole of the housing. do. The guide member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that are elastically movable with respect to the housing so that the impact generated when the extension unit is in contact can be alleviated, and in some cases, may also be provided in a block form. In addition, the guide member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housing, and in some cases, may be detachably coupled so as to be replaced with a guide member having a different inclination and size according to a required condition.
한편, 출금 모듈에는 메인유닛에 대한 연장유닛의 상대 회동이 탄성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일단은 메인유닛에 연결되고 타단은 연장유닛에 연결되는 탄성부재가 구비될 수 있고, 메인유닛과 연장유닛의 종이매체 이송경로가 연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일단은 메인유닛 상에 걸쳐지도록 배치되고 타단은 연장유닛 상에 걸쳐지도록 배치되어 메인유닛과 연장유닛 사이에서 종이매체의 이송경로를 정의하는 가이드판이 제공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withdrawal module may be provided with an elastic member, one end is connected to the main unit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extension unit so that the relative rotation of the extension unit with respect to the main unit can be made elastically, the paper of the main unit and the extension unit One end may be disposed to span the main unit so that the medium transfer path may be continuously connected, and the other end may be disposed to span the extension unit to provide a guide plate defining a transfer path of the paper medium between the main unit and the extension unit. .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may be omitted for clarity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로서, 출금 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automated teller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sid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withdrawal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에 적용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출금 장치라 함은 출금 기능을 포함하는 장치로서, 출금 전용 모듈 및 입출금 모듈 모두 출금 장치로 이해될 수 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an example applied to the withdrawal device of the automatic teller machine. Here, the withdrawal device is a device including a withdrawal function, and both the withdrawal module and the withdrawal module may be understood as withdrawal device.
도 4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110)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20), 각각 기능 단위별로 구별되어 하우징(120)에 설치되는 여러 개의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 기능별 모듈로서는 마그네틱 카드 리딩 모듈, 통장 정리 모듈,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 출금 모듈 등이 있다.As shown in Figures 4 and 5, the
상기 마그네틱 카드 리딩 모듈은 카드 투입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은 디스플레이화면이나 키입력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The magnetic card reading module is install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a card input unit, and the user interface module is install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a display screen or a key input unit.
상기 출금 모듈(130)은 직접 배출 방식에 따른 것으로서 하우징(120)의 내부에 장착되되, 하우징(120)의 전면에 형성된 출금홀(127)을 통해 그 출구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The
이와 같은 출금 모듈(130)은 하우징(120)의 내부에 장착되어 종이매체를 이송하는 메인유닛(140), 입구단이 메인유닛(140)의 출구와 인접하고 출구단이 출금홀(127)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되되 선택적으로 출구단의 높이가 변경될 수 있도록 메인유닛(140)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연장유닛(17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The
아울러 상기 각각의 유닛(140,170)의 각 구성부품은 서로 대향되며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프레임 플레이트(도 8의 142,172 참조)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프레임 플레이트(142,172)에는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조가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이 동력은 벨트를 이용한 동력전달구조에 의해 각 기어 또는 순환이송벨트로 전달될 수 있다.In addition, each component of each of the
상기 메인유닛(140)은 크게 상부유닛(160), 상부유닛(16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유닛(1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유닛에는 종이매체가 수용된 카세트(151)가 하나 또는 두개 이상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상부유닛에는 카세트(151)의 종이매체를 출금홀(127)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이송수단은 일정 이송경로를 순환하면서 종이매체를 이송하는 복수개의 순환이송벨트(177) 및 순환이송벨트(177)의 이동 궤적을 정의하는 복수개의 이송롤러(17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종이매체의 이송경로가 순환이송벨트에 의해 정의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순환이송벨트 대신 가이드판 등과 같은 통상의 이송수단에 의해 종이매체의 이송경로가 정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출금 모듈(130)에서는 요청신호에 따라 준비된 종이매체가 출금홀(127)을 통해 스택(stack) 단위로 제공될 수 있다. 하지만, 종이매체를 보관하고 있는 카세트(cassette)(151)에서는 종이매체를 낱장 단위로만 제공하기 때문에 출금 모듈(130) 내에서 종이매체를 스택 단위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종이매체를 일시로 적재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상부유닛(160)에는 카세트(151)로부터 전달되는 종이매체가 스택(stack) 단위로 고객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일정 경로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며 선택적으로 종이매체를 적재시키기 위한 일시스택부(temporary stacking section)(162)가 구비될 수 있다.In the
상기 연장유닛(170)은 그 입구단이 메인유닛(140)의 출구에 인접하고 출구단이 출금홀(127)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되어 메인유닛(140)으로부터 전달된 종이매체가 출금홀(127) 측으로 이송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연장유닛(170)에는 메인유닛(140)으로부터 전달된 종이매체를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수단이 구비되어 있으며, 연장유닛(170)의 이송수단은 메인유닛(140)의 이송수단과 동일 또는 유 사한 통상의 이송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아울러 상기 연장유닛(170)은 선택적으로 출구단의 높이가 변경될 수 있도록 입구단 하부가 메인유닛(140)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 메인유닛(140)에 대한 연장유닛(170)의 상대 회전은 연장유닛(170)의 프레임 플레이트(172)와 메인유닛(140)의 프레임 플레이트(142)가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각 프레임 플레이트(142,172)의 연결은 통상의 힌지(20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힌지(200)가 연장유닛(170)의 하단부에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설계 조건 및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각 프레임 플레이트(142,172)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가 연장유닛(170)의 중앙부 또는 상단부에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러한 구성에 의해 카세트(151)로부터 배출된 종이매체는 메인유닛(140)의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되, 일시스택부(45)에서 소정의 금액만큼 적재된 후 스택 단위로 이송되고, 최종적으로 연장유닛(170)의 이송수단을 통해 출금홀(127)로 이송될 수 있다.The paper medium discharged from the
이렇게 출금 과정이 완료됨에 따라 고객은 출금홀(127)을 통해서 요청한 종이매체를 수령할 수가 있다.As the withdrawal process is completed, the customer can receive the requested paper medium through the
아울러, 상기 카세트(151)로부터 배출된 종이매체는 메인유닛(140)의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동안 감지센서(도시하지 않음)를 통과하게 되는 바, 상기 감지센서는 통과하는 종이매체의 이매(double sheet) 여부, 지폐의 훼손, 지폐의 권종 진위, 위조 여부 등을 검지하게 된다.In addition, the paper medium discharged from the
이와 같이 통과하는 종이매체가 정상적인 거래를 할 수 없는 경우에는 이동판(도시하지 않음)이 진입공간으로 이동하여 일시스택부(162) 상부를 차단하게 되고, 이송된 종이매체는 개방된 회수부(164)를 통해 회수될 수 있다.In this case, if the paper medium passing through is not able to make a normal transaction, a moving plate (not shown) moves to the entry space to block the upper part of the
한편, 상기와 같은 출금 모듈(130)은 유지 및 보수 또는 카세트의 교체 등의 이유로 하우징(120)으로부터 탈장착될 수 있다. 종래에는 출금 모듈(130)을 하우징(120)의 내부에 장착할 시 설계오차 또는 작업자의 부주의 등에 의해 출금 모듈(130)의 장착높이 즉, 연장유닛(170)의 출구단 높이가 출금홀(127)의 높이와 맞지 않을 경우 연장유닛(170)이 하우징(120)의 내벽면에 접촉되며 파손 및 변형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출금 모듈(130)의 장착높이를 조절하기 매우 어려웠다.On the other hand, the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출금 모듈(130)의 연장유닛(170)이 메인유닛(140)에 대해 상하로 회전되며 연장유닛(170)의 출구단 높이가 선택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120)과 출금 모듈(130) 간의 장착높이가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도 출금 모듈(130) 전체의 높이를 조절할 필요없이 단순히 연장유닛(170)을 회전시켜 연장유닛(170)의 장착높이와 출금홀(127)의 높이를 일치시킬 수 있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연장유닛(170)이 메인유닛(140)에 대해 상대 회전되며 연장유닛(170)의 출구단 높이가 선택적으로 변경될 수 있게 함으로써, 출금 모듈(130)을 보다 쉽게 안정적으로 하우징(120)의 내부에 장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출금 모듈(130)의 장착시 연장유닛(170)과 하우징(120)이 접촉됨에 따른 파손 및 변형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6 is a sid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automated teller machi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울러, 전술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동일 상당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same or equivalent portions as those 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re denoted by the same or equivalent reference numeral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110)는 하우징(120), 메인유닛(140), 메인유닛(140)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연장유닛(170)을 포함하며, 하우징(120)의 내측에는 연장유닛(170)의 출구단을 하우징(120)의 출금홀(127)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재(210)가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6, the
상기 가이드부재(210)는 출금홀(127)에 인접하도록 하우징(120)의 내측에 구비되어 하우징(120)의 후방으로부터 출금 모듈(130)이 삽입될 시 연장유닛(170)의 출구단 높이가 출금홀(127)의 높이와 맞지 않을 경우 연장유닛(170)의 출구단이 출금홀(127)로 안내될 수 있게 한다.The
즉, 상기 가이드부재(210)는 출금홀(127)로부터 멀어질수록 확장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연장유닛(170)의 출구단이 출금홀(127) 측으로 접근될수록 연장유닛(170)이 가이드부재(210)에 접촉되며 그 출구단이 하우징(120)의 출금홀(127)로 안내되도록 회전될 수 있다.That is, the
이와 같은 가이드부재(210)는 연장유닛(170)이 접촉될 시 발생되는 충격이 완화될 수 있도록 하우징(120)에 대해 탄성적으로 유동 가능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가이드부재는 하우징(120)에 대해 탄성적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하우징(120)의 내벽면에 한쪽만 고정된 외팔보(cantilever) 방식으로 제공 되거나 소위 깔대기(funnel)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가이드부재가 판재 형상으로 이루어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가이드부재가 중앙부에 경사면을 갖는 블록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는 사출 또는 용접 등의 방법으로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선택적으로 하우징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member is described as an example having a plate shape, but in some cases, the guide member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block having an inclined surface at the center thereof. In addition, the guide member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housing by injection or welding, and in some cases, may be selectively separated from the housing.
한편,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s 7 and 8 are a side view and a plan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automated teller machi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출금 모듈(130)에는 메인유닛(140)에 대한 연장유닛(170)의 상대 회동이 탄성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일단은 메인유닛(140)에 연결되고 타단은 연장유닛(170)에 연결되는 탄성부재(220)가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7 and 8, the
상기 탄성부재(220)로서는 통상의 스프링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탄성부재(220)의 설치 위치는 설계 환경 및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연장유닛(170)에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는 조건하에서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As the
이와 같은 탄성부재(220)에 의해 연장유닛(170)은 메인유닛(140)에 대해 더욱 부드럽게 회전될 수 있으며, 출금 모듈(130)이 하우징(120)으로부터 탈착될시에는 탄성부재(220)의 탄성력에 의해 연장유닛(170)이 수평하게 지지될 수 있다.By the
또한, 상기 출금 모듈(130)에는 메인유닛(140)과 연장유닛(170)의 사이에서 종이매체의 이송경로를 정의하기 위한 가이드판(230)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판(230)의 일단은 메인유닛(140) 상에 걸쳐지도록 배치되고 타단은 연장유닛(170) 상에 걸쳐지도록 배치되어 메인유닛(140)과 연장유닛(170)의 사이에서 종이매체의 이송경로가 정의될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the
상기 가이드부재(210)는 메인유닛(140) 및 연장유닛(170)의 각 이송수단을 구성하는 각 순환이송벨트(177) 사이에 배치되도록 메인유닛(140)의 프레임 플레이트(142) 또는 연장유닛(170)의 프레임 플레이트(172) 중 어느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합된 가이드부재(210)는 메인유닛(140)과 연장유닛(170)의 사이에서 종이매체의 이송경로를 정의하며 메인유닛(140)과 상기 연장유닛(170)의 종이매체 이송경로가 연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한다. The
이와 같은 구조는 연장유닛(170)이 메인유닛(140)에 대해 회전될 시 메인유닛(140)과 상기 연장유닛(170) 사이에 종이매체 이송경로가 꺽여짐에 따른 잼(jam)을 미연에 방지하며 메인유닛(140)의 종이매체가 연장유닛(170)으로 안정적으로 이송될 수 있게 한다.Such a structure has no jam as the paper medium transfer path is bent between the
아울러 상기 탄성부재(220) 및 가이드판(230)을 제외한 여타 구성 부분은 전술한 각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other components except for the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에 의하면 연장유닛이 메인유닛에 대해 상대 회전되며 연장유닛의 출구단 높이가 선택적으로 가변될 수 있게 함으로써, 연장유닛을 포함하는 출금 모듈을 하우징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automatic teller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nsion unit is rotated relative to the main unit and the height of the exit end of the extension unit can be selectively varied, thereby dispensing the withdrawal module including the extension unit of the housing. It can be easily mounted inside.
특히 본 발명은 하우징과 출금 모듈 간에 장착 높이 오차가 발생할 경우 하우징의 출금홀 높이를 변경하거나 출금 모듈 전체의 높이 조절할 필요없이 단순히 연장유닛의 출구단 높이를 가변 시킴으로써 출금 모듈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mounting height error occurs between the housing and the withdrawal module, the withdrawal module can be easily installed by simply changing the exit end height of the extension unit without changing the height of the withdrawal hole of the housing 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entire withdrawal module. .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과 출금 모듈이 접촉될 시 출금 모듈의 연장유닛이 메인유닛에 대해 회전될 수 있게 함으로써, 설계 및 제작상 오차에 따른 부담을 해소할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extension unit of the withdrawal module to b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main unit when the housing and the withdrawal module is in contact, thereby eliminating the burden due to design and manufacturing error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 can understand that you can.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60079316A KR101001759B1 (en) | 2006-08-22 | 2006-08-22 | Financial Automation Equipm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60079316A KR101001759B1 (en) | 2006-08-22 | 2006-08-22 | Financial Automation Equipment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80017742A KR20080017742A (en) | 2008-02-27 |
| KR101001759B1 true KR101001759B1 (en) | 2010-12-15 |
Family
ID=39385016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60079316A Expired - Fee Related KR101001759B1 (en) | 2006-08-22 | 2006-08-22 | Financial Automation Equipment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001759B1 (en)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1173541A (en) | 1997-08-28 | 1999-03-16 | Oki Electric Ind Co Ltd | Automatic transaction system |
| KR100597105B1 (en) | 2005-08-11 | 2006-07-05 | 엘지엔시스(주) | Paper feeder of printer for automation equipment |
-
2006
- 2006-08-22 KR KR1020060079316A patent/KR10100175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1173541A (en) | 1997-08-28 | 1999-03-16 | Oki Electric Ind Co Ltd | Automatic transaction system |
| KR100597105B1 (en) | 2005-08-11 | 2006-07-05 | 엘지엔시스(주) | Paper feeder of printer for automation equipment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80017742A (en) | 2008-02-27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JP5919953B2 (en) | Drawer and medium transaction device | |
| KR101089655B1 (en) | Paper sheet handling device | |
| JP6369196B2 (en) | Medium processing apparatus and medium transaction apparatus | |
| JP6303921B2 (en) | Media transaction equipment | |
| JP6052059B2 (en) | Medium stacking apparatus and medium processing apparatus | |
| JP2015215845A (en) | Thickness detection device and medium transaction device | |
| JP5898041B2 (en) | Paper sheet handling device with transport unit | |
| KR100970975B1 (en) | Check deposit apparatus and method of automatic teller machine | |
| JP6544068B2 (en) | Medium discrimination device and automatic transaction device | |
| KR101001759B1 (en) | Financial Automation Equipment | |
| KR200388998Y1 (en) | Structure for holding a paper medium in a dispensing part | |
| KR200411493Y1 (en) | Withdrawal device of automatic teller machine | |
| US9388002B2 (en) | Medium conveyance device | |
| KR101099900B1 (en) | Withdrawal device of automatic teller machine | |
| KR101123340B1 (en) | Cash transaction machine | |
| JP6409525B2 (en) | Antistatic mechanism and medium transaction device | |
| KR101122454B1 (en) | Apparatus of temporarily stacking bills and method of returning the bills in a cash transaction machine | |
| JP7593076B2 (en) | Media storage device and media processing device | |
| KR101120933B1 (en) | Apparatus and method of temporarily stacking bills in a cash transaction machine | |
| KR200374273Y1 (en) | Apparatus of temporarily stacking bills in a cash transaction machine | |
| KR200411490Y1 (en) | Financial Automation Equipment | |
| KR20110055815A (en) | Paper ejection device of the automatic teller machine | |
| KR101123683B1 (en) | Apparatus of drawing bills in a cash transaction machine | |
| KR101177936B1 (en) | Structure for drawing a bill in a cash transaction machine | |
| KR101016494B1 (en) | Withdrawal device of automatic teller machin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111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03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28 Year of fee payment: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29 Year of fee payment: 1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3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31210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3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