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2920B1 - Acoustic transducer - Google Patents
Acoustic transduc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02920B1 KR101002920B1 KR1020080102212A KR20080102212A KR101002920B1 KR 101002920 B1 KR101002920 B1 KR 101002920B1 KR 1020080102212 A KR1020080102212 A KR 1020080102212A KR 20080102212 A KR20080102212 A KR 20080102212A KR 101002920 B1 KR101002920 B1 KR 10100292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aphragm
- frame
- accommodating
- yoke
- assembl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16—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4—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 B06B1/045—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using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 H04R1/2811—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향 변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음향 변환 장치의 진동판과 프레임 간의 위치 조정이 용이하도록 하는 음향 변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und convers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ound conversion device for easily adjusting a position between a vibration plate and a frame of the sound conversion device.
본 발명인 음향 변환 장치는 중앙부와, 중앙부 주위에 형성된 사이드 돔으로 이루어진 진동판과, 중앙부의 저면 주위에 장착되는 코일부로 이루어진 진동판 어셈블리와, 코일부의 적어도 일부분에 직각으로 자속이 쇄교하도록 하는 자기회로와, 하측에 자기 회로를 수용하는 제1수용부와, 상측에 진동판 어셈블리를 수용하는 제2수용부를 지닌 프레임과, 진동판 어셈블리가 제2수용부의 정위치에 위치되어 수용되도록 하는 가이드 부재와, 프레임의 상측에서 진동판을 보호하는 프로텍터로 이루어진다.The acoustic convers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aphragm assembly comprising a central portion, a diaphragm comprising a side dome formed around the central portion, a coil portion mounted around the bottom surface of the central portion, and a magnetic circuit for causing magnetic flux to cross at least a portion of the coil portion. A frame having a first accommodat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a magnetic circuit at a lower side, a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a diaphragm assembly at an upper side thereof, a guide member for allowing the diaphragm assembly to be positioned in a second position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It consists of a protector to protect the diaphragm on the upper side.
Description
본 발명은 음향 변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음향 변환 장치의 진동판과 프레임 간의 위치 조정이 용이하도록 하는 음향 변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und convers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ound conversion device for easily adjusting a position between a vibration plate and a frame of the sound conversion device.
일반적으로 스피커는 전류가 흐르는 도체가 자계 속에 있으면 힘을 받는다는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의하여 공극 사이에 존재하는 보이스코일에 의해 전기적 에너지를 기계적인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것이다. 즉, 여러 주파수가 포함된 전류신호가 상기 보이스코일에 인가되면 상기 보이스코일은 전류의 세기와 주파수의 크기에 따라 기계적 에너지를 발생시키고, 상기 보이스코일에 부착되어 있는 진동판에 진동을 발생시켜 궁극적으로 인간의 귀가 인지할 수 있는 소정의 크기의 음압을 발생시키게 된다. In general, a speaker converts electrical energy into mechanical energy by a voice coil existing between pores by Fleming's left-hand law that a conductor in which current flows in a magnetic field receives a force. That is, when a current signal including several frequencies is applied to the voice coil, the voice coil generates mechanical energy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the current and the magnitude of the frequency, and generates vibration on the diaphragm attached to the voice coil. The ear will generate a sound pressure of a predetermined magnitude that can be recognized.
이러한 스피커의 자기회로는 각각 철금속 성분으로 된 요크 내에 마그네트(영구자석)와 탑 플레이트(또는 어퍼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공극 내에 존재하는 보이스코일에 직각으로 자속이 쇄교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고, 상기 보이스코일은 상기 진동판에 접착되어 있어 입력신호에 의해 상하로 가진력을 발생시켜 프레임에 접착 구속되어 있는 상기 진동판을 진동시켜서 음압을 발생시킨다. 상기 진동판은 상하 진동시에 우수한 응답성과 좌굴현상을 제거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상의 웨이브를 가지게 되며, 이러한 진동판의 형상은 주파수 특성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설계변수로 작용한다. The magnetic circuit of the speaker is designed so that the magnetic flux can be intersected at right angles to the voice coil existing in the air gap by using a magnet (permanent magnet) and a top plate (or upper plate) in the yoke made of ferrous metal, respectively. The voice coil is bonded to the diaphragm to generate an up and down excitation force by an input signal to vibrate the diaphragm bound to the frame to generate sound pressure. The diaphragm has various shapes of waves in order to remove excellent buckling and buckling during vertical vibration, and the shape of the diaphragm serves as a design variable having the greatest influence on frequency characteristics.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마이크로스피커의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icrospeak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스피커는 프레임(1)과, 상기 프레임(1)의 내측에 삽입 장착되는 요크(2)와, 상기 요크(2)로 자속을 전달하거나 상기 요크(2)로부터 자속을 전달받는 내륜 마그네트(3) 및 외륜 마그네트(4)와, 상기 내륜 마그네트(3) 또는 상기 외륜 마그네트(4)로부터 자속을 전달받아 보이스코일(7)에 직각으로 자속이 전달되도록 하는 내륜 탑플레이트(5) 및 외륜 탑플레이트(6)와, 상기 내륜 마그네트(3) 및 상기 내륜 탑플레이트(5)와, 상기 외륜 마그네트(4) 및 상기 외륜 탑플레이트(6) 간의 공극에 일부분이 삽입되는 보이스코일(7), 상기 보이스코일(7)이 부착되어 상기 보이스코일(7)의 상하 운동에 따른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판(8)과, 상기 진동판(8)의 하측의 프레임(1)에 설치된 통풍홀(9)과, 음방출공(11)이 형성되되 진동판(8)을 보호하는 프로텍터(10)와, 상기 보이스코일(7)의 인출선(미도시)은 상기 프레임(1)의 측면을 관통하여 또는 상기 프레임(1)에 형성된 홈(미도시)을 통하여 외부로 인출되어 상기 프레임(1)의 외부 측면을 따라 접속터미널(12)에 각각 납땜되어진다. 상기 접속 터미널(12)은 외부로부터 1쌍의 리드와이어(미도시)와 인출선(입력선 및 출력선)이 서로 연결되도록 한다. As shown in FIG. 1, the microspeaker includes a frame 1, a
상기 진동판(8)은 중앙에 돔형상의 중앙돔(8a)과, 상기 중앙돔(8a)의 주위에 형성된 사이드돔(8b)로 이루어진다. The
일반적인 마이크로스피커의 경우, 마이크로스피커가 장착되는 장치(예를 들면, 이동 통신 단말기 등)의 back volume의 크기에 따라 음향 특성이 크게 영향을 받는다. 헬름홀쯔의 공명방정식에 의하면, back volume은 공기의 등가강성에 큰 영 향을 미치게 되어, back volume이 작을수록 등가강성이 높아서 저역대의 음압을 저하시키고 1차공진주파수가 높아지게 된다. In the case of a general microspeaker,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are greatly affected by the size of the back volume of a device (for exampl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n which the microspeaker is mounted. According to the Helmholtz resonance equation, the back volume has a large influence on the equivalent stiffness of air. The smaller the back volume, the higher the equivalent stiffness, which lowers the sound pressure in the low range and increases the first resonant frequency.
종래 기술과 같은 자기 회로에서, 제한된 프레임의 크기 내에서, 전체 마그네트(3, 4)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것이 어렵게 되어, 전자기력의 증가가 어렵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진동판을 프레임에 안착할 때, 진동판이 연질 재질로 이루어져 있기에, 강한 힘으로 집어서 이동시키기 어려우며, 그 형태의 변형이 쉽게 이루어지게 되어, 고정 장착될 위치로의 배치가 용이하지 않다.In a magnetic circuit as in the prior art, within the limited frame size, it is difficult to increase the size of the
본 발명은 음향 변환 장치에 장착되는 마그네트의 부피가 최적화되도록 하는 음향 변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coustic transducer which allows the volume of the magnet mounted on the acoustic transducer to be optimized.
또한, 본 발명은 진동판이 프레임의 정위치에 용이하게 위치되도록 하는 음향 변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coustic transducer which allows the diaphragm to be easily positioned in position on the frame.
본 발명인 음향 변환 장치는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 주위에 형성된 사이드 돔으로 이루어진 진동판과, 상기 중앙부의 저면 주위에 장착되는 코일부로 이루어진 진동판 어셈블리와, 상기 코일부의 적어도 일부분에 직각으로 자속이 쇄교하도록 하는 자기회로와, 하측에 상기 자기 회로를 수용하는 제1수용부와, 상측에 상기 진동판 어셈블리를 수용하는 제2수용부를 지닌 프레임과, 상기 진동판 어셈블리가 상기 제2수용부의 정위치에 위치되어 수용되도록 하는 가이드 부재와,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서 상기 진동판을 보호하는 프로텍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의 제2수용부는 상기 진동판의 사이드 돔 외측에 형성된 안착부에 대응하는 진동판 안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진동판 안착부의 외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용홈과, 상기 수용홈에 대응하는 상기 진동판의 외측으로 연장된 가이드 돌기를 구비한다.The acoustic convers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aphragm assembly including a central portion, a diaphragm formed of a side dome formed around the central portion, a coil portion mounted around a bottom surface of the central portion, and a magnetic flux intersecting at least a portion at right angles to the coil portion. A magnetic circuit, a frame having a first accommodat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the magnetic circuit at a lower side, a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the diaphragm assembly at an upper side thereof, and the diaphragm assembly being positioned in the second accommodating position to be accommodated And a protector for protecting the diaphragm on the upper side of the frame, wherein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of the frame includes a diaphragm seating portion corresponding to a seating portion formed outside the side dome of the diaphragm, and the guide member At least one receiving groove on the outside of the diaphragm seating portion, It is provided with a guide projection extending outwardly of the diaphragm corresponding to yonghom.
삭제delete
본 발명인 음향 변환 장치는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 주위에 형성된 사이드 돔으로 이루어진 진동판과, 상기 중앙부의 저면 주위에 장착되는 코일부로 이루어진 진동판 어셈블리와, 상기 코일부의 적어도 일부분에 직각으로 자속이 쇄교하도록 하는 자기회로와, 하측에 상기 자기 회로를 수용하는 제1수용부와, 상측에 상기 진동판 어셈블리를 수용하는 제2수용부를 지닌 프레임과, 상기 진동판 어셈블리가 상기 제2수용부의 정위치에 위치되어 수용되도록 하는 가이드 부재와,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서 상기 진동판을 보호하는 프로텍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의 제2수용부는 상기 진동판의 사이드 돔 외측에 형성된 안착부에 대응하는 진동판 안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진동판 안착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돌기와, 상기 가이드 돌기에 대응하는 상기 진동판의 내측으로 연장된 수용홈을 구비한다. The acoustic convers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aphragm assembly including a central portion, a diaphragm formed of a side dome formed around the central portion, a coil portion mounted around a bottom surface of the central portion, and a magnetic flux intersecting at least a portion at right angles to the coil portion. A magnetic circuit, a frame having a first accommodat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the magnetic circuit at a lower side, a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the diaphragm assembly at an upper side thereof, and the diaphragm assembly being positioned in the second accommodating position to be accommodated And a protector for protecting the diaphragm on the upper side of the frame, wherein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of the frame includes a diaphragm seating portion corresponding to a seating portion formed outside the side dome of the diaphragm, and the guide member At least one guide protrusion on the diaphragm seating portion, And a receiving groove extending inwardly of the diaphragm corresponding to the id protrusion.
또한, 상기 요크의 반경 또는 상기 요크의 단축 반경은 상기 프레임의 반경 또는 상기 프레임의 단축 반경의 75~85%에 해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radius of the yoke or the short axis radius of the yoke corresponds to 75 to 85% of the radius of the frame or the short axis radius of the frame.
또한, 본 발명인 음향 변환 장치는 마그네트와, 상기 마그네트 상측에 장착된 탑 플레이트와, 상기 마그네트가 장착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주위에 상기 마그네트의 측면들과의 이격 공간이 형성되도록 장착된 사이드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요크를 포함하는 요크 어셈블리와, 평판인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 주위에 형성된 사이드 돔으로 이루어진 진동판과, 상기 중앙부의 저면 주위에 장착되는 코일부로 이루어진 진동판 어셈블리와, 하측에 상기 요크 어셈블리를 수용하는 제1수용부와, 상측에 코일부가 이격 공간 사이에 놓여지도록 상기 진동판 어셈블리를 수용하는 제2수용부를 지닌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서 상기 진동판 어셈블리를 보호하는 프로텍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의 제2수용부는 상기 진동판의 사이드 돔 외측에 형성된 안착부에 대응하는 진동판 안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은 진동판 안착부의 외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용홈을 구비하고, 상기 진동판은 상기 수용홈에 대응하는 진동판의 외측으로 연장된 가이드 돌기를 구비한다.In addition, the acoustic convers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gnet, a top plate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gnet, the base on which the magnet is mounted and the side plate mounted so that the space between the sides of the magnet is formed around the base A yoke assembly comprising a yoke made up, a diaphragm comprising a flat plate center portion and a side dome formed around the center portion, a diaphragm assembly including a coil portion mounted around a bottom surface of the center portion, and a first receiving the yoke assembly below. A frame having a receiving portion, a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accommodating the diaphragm assembly so that the coil portion is disposed between the spaced spaces on the upper side, and a protector for protecting the diaphragm assembly on the upper side of the frame; Part is formed outside the side dome of the diaphragm Comprising a diaphragm mounted in the corresponding receiving portions, and wherein the frame has the oscillation plate, and having at least one receiving groove on the outer diaphragm sea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guide projection extending outwardly of the diaphragm corresponding to the receiving groove.
삭제delete
또한, 본 발명인 음향 변환 장치는 마그네트와, 상기 마그네트 상측에 장착된 탑 플레이트와, 상기 마그네트가 장착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주위에 상기 마그네트의 측면들과의 이격 공간이 형성되도록 장착된 사이드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요크를 포함하는 요크 어셈블리와, 평판인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 주위에 형성된 사이드 돔으로 이루어진 진동판과, 상기 중앙부의 저면 주위에 장착되는 코일부로 이루어진 진동판 어셈블리와, 하측에 상기 요크 어셈블리를 수용하는 제1수용부와, 상측에 코일부가 이격 공간 사이에 놓여지도록 상기 진동판 어셈블리를 수용하는 제2수용부를 지닌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서 상기 진동판 어셈블리를 보호하는 프로텍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의 제2수용부는 상기 진동판의 사이드 돔 외측에 형성된 안착부에 대응하는 진동판 안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진동판 안착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진동판은 가이드 돌기를 수용하도록 상기 진동판의 내측으로 연장된 수용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변환 장치.In addition, the acoustic convers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gnet, a top plate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gnet, the base on which the magnet is mounted and the side plate mounted so that the space between the sides of the magnet is formed around the base A yoke assembly comprising a yoke made up, a diaphragm comprising a flat plate center portion and a side dome formed around the center portion, a diaphragm assembly including a coil portion mounted around a bottom surface of the center portion, and a first receiving the yoke assembly below. A frame having a receiving portion, a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accommodating the diaphragm assembly so that the coil portion is disposed between the spaced spaces on the upper side, and a protector for protecting the diaphragm assembly on the upper side of the frame; Part is formed outside the side dome of the diaphragm And a diaphragm seating portion corresponding to a seating portion, wherein the frame includes at least one guide protrusion on the diaphragm seating portion, and the diaphragm includes an accommodation groove extending inwardly of the diaphragm to accommodate the guide protrusion. Sound converter.
삭제delete
본 발명은 음향 변환 장치에 장착되는 마그네트의 부피가 최적화되도록 하여, 전주파수 대역의 음압 향상을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optimizing the volume of the magnet mounted on the sound conversion device to induce an improvement in sound pressure of the entire frequency band.
또한, 본 발명은 연질의 재질의 진동판이 프레임 상의 정 위치에 용이하게 위치하도록 하여,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the diaphragm made of a soft material to be easily positioned in the position on the frame, thereby improving the workability and productivity.
이하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In the following, the invention is explained in detail based on th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판의 적용된 음향 변환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요크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4a 및 4b는 도 2의 프레임의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pplied acoustic transducer of the diaphrag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yoke assembly of FIG. 2, and FIGS. 4A and 4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plan view of the frame of FIG. 2.
도 2의 음향 변환 장치는 프레임(20)과, 상기 프레임(20)의 하측에 고정 장착되어 이격 공간(A)을 형성하여 자기 회로를 구성하는 요크 어셈블리와, 이격 공간(A) 내로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는 코일부(50)와, 상기 코일부(50)가 하단(또는 저면)에 장착되고, 상기 프레임(20)에 장착되는 진동판(60)과, 음방출공(72)이 형성되되 상기 진동판(60)을 보호하는 프로텍터(70)와, 상기 진동판(60)의 하측의 프레임(20)에 설치된 통풍홀(80)을 구비하고, 상기 코일부(50)의 인출선(미도시)이 상기 프레임(20)의 측면을 관통하여 또는 상기 프레임(20)에 형성된 홈(미도시)을 통하여 외부로 인출되어 상기 프레임(20)의 외부 측면을 따라 각각 연결되는 접속터미널(90)을 구비한다. 상기 접속터미널(90)은 외부로부터 1쌍의 리드와이어(미도시)와 인출선(입력선 및 출력선)이 서로 연결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코일부(50)와 상기 진동판(60)을 통칭하여, 진동판 어셈블리라 할 수도 있다. The acoustic transducer of FIG. 2 includes a
상기 진동판(60)은 제1진동판(62)과, 제1진동판(62)의 상면에 장착된 제2진동판(64)의 적층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진동판(62)의 중앙부는 평면 형상이고, 중앙부의 주위에 사이드 돔이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 돔의 가장자리에 상기 프레임(20)에 고정 장착되는 안착부(66)가 형성된다. 상기 제2진동판(64)은 평면 형상으로 상기 제1진동판(62)의 중앙부에 위치한다. The
상기 코일부(50)는 상기 진동판(60)의 후면에 장착되되, 상기 제1진동판(62)의 중앙부 또는 상기 제2진동판(64)의 가장 자리 또는 상기 제2진동판(64)의 장착 위치에 대응하여 장착된다. The
요크 어셈블리는 베이스(30a)와, 상기 베이스(30a)의 가장자리에 벽을 형성하는 사이드 플레이트(30b)로 이루어진 요크(30)와, 상기 베이스(30a) 상면에 사이드 플레이트(30b)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이격 공간(A)을 형성하도록 장착되는 마그네트(40)와, 상기 마그네트(40) 상면에 장착되는 탑 플레이트(42)로 이루어진다. 상기 탑 플레이트(42)와, 상기 사이트 플레이트(30b) 사이의 이격 공간(A)에 자속이 지나게 되며, 자속에 상기 코일부(50)의 적어도 일부분이 직각으로 위치된다. 요크 어셈블리의 요크(30), 마그네트(40) 및 탑플레이트(42)는 도시된 바와 같이, oval type일 수도 있고, 원형, 사각형, track형일 수도 있고, 이러한 형태에 따라 상기 진동판(60) 및 상기 코일부(50)의 형태가 변형될 수도 있다. The yoke assembly has a
상기 마그네트(40)는 one-magnet type으로 형성되어, 자계 효율이 높아진다. 특히, 진동판(60)의 사이드 돔이 평면인 중앙부에 비하여 적은 면적을 차지하도록 하므로,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 중앙부보다 다소 적은 면적을 상기 마그네트(40)가 구비할 수 있으므로, 보다 넓은 면적의 상기 마그네트(40)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에 대한 상기 마그네트(40)을 포함하는 요크 어셈블리(즉, 자기회로)의 크기를 최적화하여, 상기 마그네트(40)의 면적(또는 부피)를 최적화는 자기회로의 최적화이므로, 음향 변환 장치의 음압이 전주파수 대역에서 향상될 수 있다. The
상기 요크(30)는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30b)의 상단 외측면에 상기 프레임(20)으로의 고정을 위한 고정돌기(32)를 장축 방향 및/또는 단축 방향에 평행하게 구비한다. 이러한 고정돌기(32)는 필요에 따라 그 장착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The
또한, 상기 요크(30)는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30b)의 상측에 상기 코일부(50)의 인출선과 상기 사이트 플레이트(30b) 간의 간섭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인출선이 진행하는 공간에 홈(34)을 구비한다. 이러한 홈(34)의 구비를 통하여, 음향 변환 장치의 구동시에, 상기 코일부(50)가 진동하여 인출선이 그 진동의 영향에 의해 진동하더라도, 인출선과 상기 요크(30)(특히, 사이드 플레이트(30b)) 간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홈(34)은 장축과 단축이 만나는 코너들에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도 4a 내지 도 4d는 자기 회로의 크기에 따른 음압 특성 그래프들이다.
도 4a 및 도 4b는 진동판이 원형 형태인 경우에 대한 것이고, 도 4c 및 도 4d는 진동판이 Oval 형태인 경우에 대한 것으로, 전자기력을 최대로 발생시키기 위한, 자기회로의 반경(Yr)과 상기 프레임(20)의 반경(Fr) 간의 관계를 기재한다. 4A to 4D are graphs of sound pressur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sizes of magnetic circuits.
4A and 4B show a case in which the diaphragm has a circular shape, and FIGS. 4C and 4D show a case in which the diaphragm has an Oval shape, the radius Yr of the magnetic circuit and the frame for generating the maximum electromagnetic forc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adius Fr of (20) is described.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Yr/Fr 비율이 70%, 80%, 90%인 경우, 음압의 변 화를 살펴본다, 주파수가 1kHz 이하에서는 그래프(II)의 음압이 상대적으로 낮게 되고, 주파수가 1kHz 이상에서는 그래프(III)의 음압이 상대적으로 낮아짐을 알 수 있다. 즉, Yr/Fr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저역대 및 고역대에서 보다 좋은 음압이 생성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중요한 음압 대역(500Hz~5kHz)에서 그 음압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Yr/Fr 비율이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 4A, when the Yr / Fr ratio is 70%, 80%, and 90%, the sound pressure is changed. When the frequency is 1 kHz or less, the sound pressure of graph (II) becomes relatively low, and the frequency It can be seen that the sound pressure of the graph (III) is relatively lower than 1 kHz. That is, it can be seen that by adjusting the Yr / Fr ratio, better sound pressure can be generated in the low and high frequencies. In particular, it is desirable to determine the Yr / Fr ratio at which the sound pressure is kept constant in the important sound pressure band (500 Hz to 5 kHz).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파수 500Hz에서는, Yr/Fr 비율이 85%까지는 그 음압이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나, 85%를 넘어서면 급격하게 음압이 낮아짐을 알 수 있다. 또한, 주파수 5kHz에서는, Yr/Fr 비율이 75%까지는 급격하게 변하면서 증가하게 되나, 75% 이상에서는 거의 일정하게 유지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진동판이 원형인 경우, 자기회로의 반경(Yr)을 상기 프레임(20)의 반경(Fr)의 75%~85% 정도로 설계한다. 이러한 설계정도보다 자기회로의 반경(Yr)이 작을 경우, 전자기력이 낮아져서 저용적에서의 음압향상을 가져올 수 없고, 이보다 커질 경우 상기 통풍홀(80)의 크기가 작아져 음압저하를 가져오거나 프레임(20) 두께가 얇아져 제품신뢰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As shown in FIG. 4B, at a frequency of 500 Hz, the sound pressure remains almost constant until the Yr / Fr ratio is up to 85%. However, when the frequency exceeds 500%, the sound pressure rapidly decreases. In addition, at the frequency of 5 kHz, the Yr / Fr ratio increases rapidly while increasing up to 75%, but it is seen that it remains almost constant at 75% or more. Therefore, when the diaphragm is circular, the radius Yr of the magnetic circuit is designed to be about 75% to 85% of the radius Fr of the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Yr/Fr 비율이 65%, 75%, 85%, 95%인 경우, 음압의 변화를 살펴본다, 주파수가 1kHz 이하에서는 그래프(IV)의 음압이 상대적으로 낮게 되고, 주파수가 1kHz 이상에서는 그래프(I)의 음압이 상대적으로 낮아짐을 알 수 있다. 즉, Yr/Fr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저역대 및 고역대에서 보다 좋은 음압이 생성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중요한 음압 대역(500Hz~5kHz)에서 그 음압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Yr/Fr 비율이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 서, Yr 및 Fr은 모두 Oval 또는 사각 타입에서의 단축부를 기준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단축부를 기준으로 하여, 비율을 산정하는 것은, Oval type 또는 사각 타입에서 음질에 영향을 많이 미치는 것은 단축부이며, 즉 Oval type 또는 사각 타입의 진동판에서의 구속력이 단축부에서 더욱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진동판의 설계 시에 단축부에 의한 조건만을 충족시키게 되더라도 장축부에 의한 조건을 거의 대부분 충족시키게 된다. As shown in FIG. 4C, when the Yr / Fr ratio is 65%, 75%, 85%, and 95%, the change in sound pressure is examined. When the frequency is 1 kHz or less, the sound pressure in graph IV becomes relatively low. , It can be seen that the sound pressure of the graph (I) is relatively low when the frequency is 1kHz or more. That is, it can be seen that by adjusting the Yr / Fr ratio, better sound pressure can be generated in the low and high frequencies. In particular, it is desirable to determine the Yr / Fr ratio at which the sound pressure is kept constant in the important sound pressure band (500 Hz to 5 kHz). Here, Yr and Fr are all based on the short axis portion in the Oval or square type. In this embodiment, calculating the ratio on the basis of the short axis part is that the short part affects the sound quality in the Oval type or the square type. Because of the size. Therefore, even if only the condition by the short axis is satisfied in the design of the diaphragm, the condition by the long axis is almost satisfied.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파수 500Hz에서는, Yr/Fr 비율이 70% 내지 85%까지는 그 음압이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나, 85%를 넘어서면 급격하게 음압이 낮아짐을 알 수 있다. 또한, 주파수 5kHz에서는, Yr/Fr 비율이 75%까지는 급격하게 변하면서 증가하게 되나, 75% 이상에서는 거의 일정하게 유지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Oval 또는 사각 타입의 경우 단축 자기회로 반경이 단축 프레임 크기의 75%~85%정도로 설계한다. 이러한 설계정도보다 자기회로의 반경(Yr)이 작을 경우, 전자기력이 낮아져서 저용적에서의 음압향상을 가져올 수 없고, 이보다 커질 경우 상기 통풍홀(80)의 크기가 작아져 음압저하를 가져오거나 상기 프레임(20) 두께가 얇아져 제품신뢰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As shown in FIG. 4D, at the frequency 500 Hz, the Yr / Fr ratio remains almost constant up to 70% to 85%, but if it exceeds 85%, the sound pressure rapidly decreases. In addition, at the frequency of 5 kHz, the Yr / Fr ratio increases rapidly while increasing up to 75%, but it is seen that it remains almost constant at 75% or more.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Oval or rectangular type, the uniaxial magnetic circuit radius is designed to be about 75% to 85% of the shortened frame size. When the radius Yr of the magnetic circuit is smaller than this design accuracy, the electromagnetic force is lowered to bring a negative pressure improvement at a low volume, and when larger, the size of the
상술된 도 4a 내지 4d에서와 같이, 자기회로와 프레임 간의 크기 비율을 최적화하고, 최적화된 자기회로에 의해, 자기회로에 대응하는 크기의 진동판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자기회로의 크기에 대응하는 진동판은 사이드 돔의 크기가 작아지고, 상대적으로 중앙부의 크기가 증가하게 되어, 진동판의 실효면적이 증가하게 되므로, 전대역에서의 음압의 향상을 가져온다. 4A to 4D, the size ratio between the magnetic circuit and the frame may be optimized, and the optimized magnetic circuit may include a diaphragm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magnetic circuit. The diaphragm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magnetic circuit is smaller in the size of the side dome, the size of the center portion is relatively increased, the effective area of the diaphragm is increased, thereby improving the sound pressure in the entire band.
도 5a 및 5b는 도 2의 프레임의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5A and 5B are perspective and plan views of the frame of FIG. 2.
도 5a 및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20)은 요크 어셈블리(특히, 요크(30))를 수용하여 장착되도록 하는 제1수용부(22)와, 진동판 어셈블리(특히, 진동판(60))과, 상기 프로텍터(70)를 수용 장착하는 제2수용부(25)와, 상기 코일부(50)의 인출선이 외부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인출홈(27)과, 상기 코일부(50)의 인출선이 홈(34)을 지나 인출홈(27)으로 진행하도록 하는 홈(28)을 구비한다. 다만, 프레임(20)은 절연성 재질이므로, 이 인출홈(27) 또는 홈(28)에서, 상기 코일부(50)의 인출선이 인출홈(27) 또는 홈(28)의 측면 및 저면에 접하여도 된다. 상기 인출홈(27)은 수용홈(29a)에 단차지게 형성된 공간에 해당되며, 상기 수용홈(29a)은 단축 방향에 대응하여 한 쌍으로 형성되며, 수용홈(29b)은 장축 방향에 대응하여 한 쌍이 형성된다. 이들 수용홈(29a) 및 (29b)에는 하기에서 개시되는 상기 진동판(60)의 가이드 돌기(68a), (68b)(도 8 참조)가 수용된다.As shown in FIGS. 5A and 5B, the
상기 제1수용부(22)와, 상기 제2수용부(25)는 격벽(23)에 의해 구분되며, 이 격벽(23)에는 상기 요크(30)의 고정돌기(32)를 수용하여 상기 요크(30)를 고정하는 복수개의 고정홈(2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격벽(23)에는 상기 제1수용부(22)와, 상기 제2수용부(25)를 관통하도록 하는 통풍홀(8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격벽(23)에는 상기 홈(28)이 형성되되, 이 홈(28)은 상술된 요크(30)의 홈(34)에 대응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20)의 장축과 단축이 접하는 코너 부근에 형성된다. The first
상기 제1수용부(22)의 내측면은 상기 요크(30)의 사이드 플레이트(30b)의 외측면에 접하고, 상기 고정돌기(32)가 상기 고정홈(24)에 삽입 고정되는 구조이므로, 요크 어셈블리가 상기 프레임(20)에 고정 장착된다. Since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상기 제2수용부(25)는 상기 진동판(60)의 안착부(66)가 고정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진동판 안착부(26)를 구비한다. 이 진동판 안착부(26)에는 상기 진동판(60)의 안착부(66)가 고정 장착된 이후에, 상기 프로텍터(70)가 그 위에 고정 장착된다. The second
도 6a 및 도 6b는 진동판의 제조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6A and 6B are views illustrat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diaphragm.
도 6a는 제1 진동판(62)을 형성하는 과정으로, 상기 제1진동판(62)은 진동판의 강성을 최소화하기 위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탄성체(TPU) 재질을 포함하는 제1서브 진동판(62a)과, 신뢰성을 보완하기 위해 폴리에테르이미드(PEI), 폴리에스테르(PET) 또는 폴리에스테르 에테르 켈톤(PEEK),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재질 등의 재질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제2서브 진동판(62b)을 합지한 필름으로 성형한다. TPU 재질은 연질이어서, 금형에 성형 과정 중에 붙을 수 있으므로, TPU 재질이 항상 제2서브 진동판(62b) 상면에 순차적으로 합지되도록 한다. 6A illustrates a process of forming a
이러한 성형을 통하여, 상기 제1진동판(62)은 중앙부(C)와, 사이드돔(S) 및 안착부(66)가 형성된다. 도 6a에서와 같이, 상기 사이드 돔(S)의 폭이 줄어드는 대신 연질의 진동판 재질을 사용하여 저역대의 진동특성을 향상시키고 상기 중앙부(C)의 진동판을 넓은 평판형 구조를 가짐으로써, 상기 진동판(60)의 실효면적을 넓게 하여 음압을 향상시키고 좋은 음질을 유도한다. Through this molding, the first vibrating
도 6b는 제2진동판(64)을 형성하는 과정으로, 제1 및 제2금속판(64a), (64b)와, 상기 제1및 제2금속판(64a), (64b) 사이에 탄성층(64c)의 합지를 통해 상기 제1진동판(62)의 중앙부(C)의 강성을 보완하여 음의 왜곡을 방지하는 하고자 합니다. 여기서, 상기 제1 금속판(64a) 및 제2 금속판(64b) 중의 하나의 층만이 구비될 수도 있다. 6B illustrates a process of forming the second vibrating
상기 제1 및 제2 금속판(64a), (64b)는 가볍고 강성이 큰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층이고, 이러한 알루미늄층은 제작시 변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므로, 복원력이 좋은 스티로폼(PS) 계열의 재료를 압착하여 합지하여 사용한다. The first and
또한, 상기 제2진동판(64)은 작업성을 고려하여 압착 후 두께가 0.25~0.35mm가 되도록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25mm 보다 두께가 작은 경우 상기 제1진동판(62)과의 부착 시 제어하기가 어려워진다. 예를 들면, 가이드 장치를 사용하게 될 경우 두께가 너무 얇으면 상기 제2진동판(64)을 제대로 가이드할 수가 없게 되고 또는 다른 방법을 사용할 경우 상기 제2진동판(64)의 정위치를 찾기 어려워진다. 반대로 0.35mm보다 두꺼워지게 되면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 탄성층(64c)인 PS재질의 물질의 강성이 약해져 분할이 심해지고 고주파수 대역에서 dip이 발생할 가능성이 커진다.In addition, the second vibrating
도 7은 진동판의 상세 평면도이다. 7 is a detailed plan view of the diaphragm.
강성이 작은 제1진동판(62)을 접착제인 본드를 사용하여 상기 프레임(20)의 진동판 안착부(26)에 부착 할 때, 상기 제1진동판(62)이 변형된 채로 조립될 가능성이 크고 정위치를 잡기 어렵다. 물론, 일반적인 연질의 진동판이 적용되는 경우에도 그 위치를 잡기 어렵다. When the
이에 따라, 상기 진동판(60)은 상기 안착부(66) 외측에 가이드 돌기(68a), (68b)를 구비하고, 이 가이드 돌기(68a), (68b)가 상기 프레임(20)의 수용홈(29a), (29b)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가이드 돌기(68a), (68b)에 의해 상기 진동판(60)이 상기 프레임(20)과 조립될 때 정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즉, 연질의 진동판을 이동시키고, 정위치에 위치시킬 때, 강한 힘이 요구됨이 없고, 또한 강한 힘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이동 및 정위치에 배치할 때, 진동판의 변형 정도가 현저하게 감소된다. 또한, 정위치로의 배치 시에 그 위치 조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진동판(60)의 가이드 돌기(68a), (68b) 및 상기 프레임(20)의 수용홈(29a), (29b)는 가이드 부재로 통칭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이러한 가이드 부재는 진동판에 수용홈이 형성되고, 프레임(정확하게는 진동판 안착부)에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통하여서도, 진동판의 정위치 배치를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프레임의 진동판 안착부에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진동판의 외면(또는 안착부)에 내측으로 진행하여 가이드 돌기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Such a guide member may facilitate the positioning of the diaphragm even through a receiving groove formed in the diaphragm, and a guide protrusion formed in the frame (exactly, the diaphragm seating portion). For example, the guide protrusion may be formed in the diaphragm seating portion of the frame, and the receiving groove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r the seating portion) of the diaphragm to accommodate the guide protrusion.
이상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 embodiments and drawing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limited only by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마이크로스피커의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icrospeak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판이 적용된 음향 변환 장치의 단면도이다.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coustic transducer to which the diaphrag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3은 도 2의 요크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yoke assembly of FIG. 2.
도 4a 내지 도 4d는 자기 회로의 크기에 따른 음압 특성 그래프들이다. 4A to 4D are graphs of sound pressur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size of a magnetic circuit.
도 5a 및 5b는 도 2의 프레임의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5A and 5B are perspective and plan views of the frame of FIG. 2.
도 6a 및 도 6b는 진동판의 제조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6A and 6B are views illustrat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diaphragm.
도 7은 진동판의 상세 평면도이다.7 is a detailed plan view of the diaphragm.
Claims (9)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80102212A KR101002920B1 (en) | 2008-10-17 | 2008-10-17 | Acoustic transduc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80102212A KR101002920B1 (en) | 2008-10-17 | 2008-10-17 | Acoustic transducer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00042970A KR20100042970A (en) | 2010-04-27 |
| KR101002920B1 true KR101002920B1 (en) | 2010-12-22 |
Family
ID=42218197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80102212A Expired - Fee Related KR101002920B1 (en) | 2008-10-17 | 2008-10-17 | Acoustic transduce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002920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0248294B (en) * | 2019-04-19 | 2021-02-26 | 瑞声科技(新加坡)有限公司 | sounder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298314Y1 (en) * | 2002-09-02 | 2002-12-16 | 유옥정 | Dynamic micro speaker with dual suspension |
| KR200356843Y1 (en) | 2004-04-22 | 2004-07-19 | 엔피텍주식회사 | Micro Speaker |
| KR100696367B1 (en) | 2006-06-23 | 2007-03-19 | 주식회사 블루콤 | Manufacturing method of slim micro speaker |
-
2008
- 2008-10-17 KR KR1020080102212A patent/KR10100292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298314Y1 (en) * | 2002-09-02 | 2002-12-16 | 유옥정 | Dynamic micro speaker with dual suspension |
| KR200356843Y1 (en) | 2004-04-22 | 2004-07-19 | 엔피텍주식회사 | Micro Speaker |
| KR100696367B1 (en) | 2006-06-23 | 2007-03-19 | 주식회사 블루콤 | Manufacturing method of slim micro speaker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00042970A (en) | 2010-04-27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TWI406575B (en) | Micro-speaker | |
| KR101827669B1 (en) | Speaker module | |
| KR101807276B1 (en) | Sound producing device | |
| KR101483089B1 (en) | Suspension for sound transducer | |
| US9473837B2 (en) | Sound transducer with ventilation structure | |
| CN104010254A (en) | Inner ring magnet type microspeaker | |
| JP2007251516A (en) | Speaker | |
| CN214627352U (en) | a loudspeaker | |
| CN102187687B (en) | Membrane for sound transducer and sound transducer comprising diaphragm | |
| KR101033867B1 (en) | Diaphragm for sound transducer | |
| CN107682792B (en) | Sound production device | |
| US12143793B2 (en) | Diaphragm for high pressure waterproof microspeaker and high pressure waterproof microspeaker including the same | |
| KR101622155B1 (en) | Microspeaker with improved center diaphragm | |
| KR101381255B1 (en) | Hybrid microspeaker | |
| WO2011007403A1 (en) | Electromagnetic converter | |
| KR101184537B1 (en) | Speaker | |
| CN107682793B (en) | Sound production device | |
| KR101002920B1 (en) | Acoustic transducer | |
| JP2012119845A (en) | Electromagnetic electric-acoustic transducer | |
| KR102735063B1 (en) | Microspeaker | |
| KR101012862B1 (en) | Acoustic transducer | |
| KR101518607B1 (en) | High power microspeaker | |
| KR102796271B1 (en) | Diaphragm and microspeaker including the same | |
| CN102348154B (en) | Miniature moving coil type energy transducer | |
| KR20250137334A (en) | Driver Unit and Diaphragm for Driver Unit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16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4121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K11-X000 | Ip right revival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1-oth-X000 |
|
| K12-X000 | Request for ip right revival rejected |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2-oth-X000 |
|
| K11-X000 | Ip right revival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1-oth-X000 |
|
| K12-X000 | Request for ip right revival rejected |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2-oth-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41216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