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03331B1 - 피부 충전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충전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3331B1
KR101003331B1 KR1020100043753A KR20100043753A KR101003331B1 KR 101003331 B1 KR101003331 B1 KR 101003331B1 KR 1020100043753 A KR1020100043753 A KR 1020100043753A KR 20100043753 A KR20100043753 A KR 20100043753A KR 101003331 B1 KR101003331 B1 KR 101003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xtran
solution
skin
sodium chloride
filler composi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3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강선
Original Assignee
조강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강선 filed Critical 조강선
Priority to KR1020100043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33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3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3331B1/ko
Priority to EP11780747.9A priority patent/EP2570141B1/en
Priority to RU2012146876/15A priority patent/RU2012146876A/ru
Priority to BR112012028232A priority patent/BR112012028232B1/pt
Priority to AU2011251138A priority patent/AU2011251138B2/en
Priority to PH1/2012/502113A priority patent/PH12012502113A1/en
Priority to US13/640,697 priority patent/US9242030B2/en
Priority to PCT/KR2011/001556 priority patent/WO2011142530A2/ko
Priority to CA2794017A priority patent/CA2794017C/en
Priority to JP2013506062A priority patent/JP2013524927A/ja
Priority to CN201110095861.9A priority patent/CN102247618B/zh
Priority to HK12104352.0A priority patent/HK1163562B/xx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20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26Mixture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0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400/06Flowable or injectable implant composi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Cosme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사용되던 피부 충전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분자량이 30,000 이상의 100,000 이하인 가교된 덱스트란을 주성분으로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피부 충전제의 적용부위의 신속한 확대와 부드러운 촉감을 유지할 수 있으며,콜라겐이나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을 주요성분으로 포함하고 있는 종래의 피부 충전제와 달리 콜라겐이나 히알루론산을 함유하고 있지 않아 시술 전에 알러지 반응검사 등의 전처치가 필요 하지 않으며, 비용이 저렴하고, 체내에서 쉽게 분해, 흡수되지 않아 시술에 의한 부피확대효과를 더욱 장기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서 20cc이상의 많은 양의 피부 충전제의 주입을 필요로 하는 주사음경확대와 같은 수술에서도 사용하기 적합하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와 가교된 덱스트란을 주요성분으로 하는 종래의 피부 충전제와 달리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를 포함하고 있지 않아 이 성분이 항구적으로 분해되지 않고 생체 내에 남는데 따르는 부작용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을 없애 인체사용허가 과정이 보다 까다롭지 않으며, 제조공정이 보다 단순하여 실용화가 더 용이한 효과가 있으며, 또한, 피부아래로 주입시 감촉이 부드러워 음경의 피부 뿐만 아니라 안면을 포함한 인체의 다른 광범위한 부위의 피부에도 사용이 가능한 새로운 피부충전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주사를 통하여 체내에 주입하여 신속히 임의의 형태를 부여하면서 부드러운 촉감을 유지하는 새로운 피부 충전제의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분자량이 30,000 이상의 100,000 이하인 가교된 덱스트란, 염화나트륨 수용액 및 점도조절제를 포함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한다]하는 피부 충전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피부 충전제 조성물 10㎖당 분자량이 30,000 이상의 100,000 이하의 세포독성 제거처리된 가교된 덱스트란 0.3~0.4g, pH6~pH8의 등장액인 염화나트륨 수용액, 점도조절제 0.02~0.06g을 포함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한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충전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분자량이 30,000 이상의 100,000 이하의 가교된 덱스트란 0.3~0.4g에 생리식염수(0.9% 염화나트륨 수용액)을 넣고 지속적으로 세척하여 덱스트란 외부공간의 용액이 등장액이 되도록 맞추는 단계; 등장액으로 맞춰진 염화나트륨 수용액의 pH를 pH6~pH8로 맞추는 단계; 점도조절제를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충전제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피부 충전제 조성물{DERMAL FILLER COMPOSITION}
본 발명은 주사를 통하여 체내에 주입하여 신속히 임의의 형태를 부여할 수 있는 새로운 피부 충전제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연부조직(soft tissue)은 콜라겐, 엘라스틴 등의 단백질과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을 포함하는 세포외기질에 의해 그 구조를 유지하고 있는데, 선천성 요인 또는 외부의 충격이나 병적요인 등에 의한 연부조직의 결손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 부위에 생체 조직이나 합성 고분자 화학물질을 삽입하여 연부조직을 확장함으로써 그 형태를 복원, 교정하여 왔다. 한편, 피부조직과 유사한 성분으로 특정부위에 주사로 주입하여 연부조직을 확장시킴으로써 주름개선이나 윤곽교정 등에 사용되는 물질을 일반적으로 피부 충전제(dermal filler) 또는 필러(filler)라고 하는데, 이러한 피부 충전제는 효과를 나타내는 작용기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두 가지 형태로 분류될 수 있다. 하나는 주입한 물질이 직접 부피를 키워서 확대효과를 내는 피부 충전제이고, 다른 하나는 주입한 물질에 의한 직접적인 부피효과 외에도 물질의 자극에 의해서 주변에 새롭게 콜라겐과 같은 자가조직들을 형성시켜서 부피효과를 내는 피부 충전제가 있다.
또한 피부 충전제는 효과를 나타내는 기간에 따라 다음과 같이 세가지 형태로 분류하기도 한다.
첫째, 1년 이내에 빨리 분해되어 흡수되는 피부 충전제, 둘째, 분해되는 기간이 상기 1년 이내에 빨리 분해되어 흡수되는 피부 충전제에 비하여 길지만 결국 분해되어 흡수되는 피부 충전제, 셋째, 생체 내에서 분해되지 않고 항구적으로 머무르는 피부 충전제로 나뉜다.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피부 충전제의 주요성분인 콜라겐(collagen)이나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등은 직접 부피를 키워서 확대효과를 내면서 1년 이내에 빨리 분해되어 흡수되는 피부 충전제에 해당하고, 폴리아크릴아마이드(polyacrylamide)성분들은 직접 부피를 키워서 확대효과를 내면서 생체 내에서 분해되지 않고, 항구적으로 머무르는 피부 충전제에 해당하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는 주입한 물질에 의한 직접적인 부피효과 외에도 물질의 자극에 의해서 주변에 새롭게 콜라겐과 같은 자가조직들을 형성시켜서 부피효과를 내면서, 생체 내에서 분해되지 않고, 항구적으로 머무르는 피부 충전제에 해당하며, 가교된 덱스트란은 주입한 물질에 의한 직접적인 부피효과 외에도 물질의 자극에 의해서 주변에 새롭게 콜라겐과 같은 자가조직들을 형성시켜서 부피효과를 내면서, 분해되는 기간이 상기 1년 이내에 빨리 분해되어 흡수되는 피부 충전제에 비하여 길지만 결국 분해되어 흡수되는 피부 충전제에 해당한다.
바람직한 피부 충전제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조건을 갖출 것이 요구된다. 첫째, 생체적합성이 우수하고 안전하여야 하며, 둘째, 비용이 저렴해서 사용에 현실적으로 부담이 적어야 하고, 셋째, 이식부위의 부피효과가 2년 이상 장기간 지속되어야 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피부 충전제로는, 콜라겐이나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각각을 주성분으로 하는 제품들이 많다. 먼저 콜라겐을 주성분으로 하는 피부 충전제로는, porcine collagen을 주성분으로 하는 EVOLENCE 30(ColBar LifeScience사 피부 충전제의 상표명), bovine collagen을 주성분으로 하는 Zyderm이나 Zyplast(이상 Inamed사 피부 충전제의 상표명), human collagen을 주성분으로 하는 CosmoDerm이나 CosmoPlast(이상 Inamed사 피부 충전제의 상표명) 등이 알려져 있다.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으로는 Rofilan(Rofil/Philoderm사 피부 충전제의 상표명), Perlane, Restylane(이상 Medicis/Q-Med AB사 피부 충전제의 상표명), Teosyal(Teoxane SA사 피부 충전제의 상표명), Surgiderm(Corneal Laboratoire사 피부 충전제의 상표명) 등이 있다. 하지만, 콜라겐이나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만을 주성분으로 하는 피부 충전제들은 값이 고가인데 비해 효과의 지속기간이 너무 짧다는 것이 임상에서 실제 사용을 제한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그 밖에 효과의 지속기간이 좀 더 긴 제품으로는,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과 가교된 덱스트란(DEAE sephadex)을 주성분으로 한 MATRIDEX와 CRM Dx(BioPolymer GmbH & Co.KG사 피부 충전제의 상표명)가 있다. 주성분이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과 가교된 덱스트란 입자로 이루어진 피부 충전제의 경우는 주입 즉시 부피확대효과가 나타나며,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이 6 내지 12개월에 걸쳐 분해·흡수되고 그 공간을 가교된 덱스트란의 자극으로 인해 새롭게 형성된 자가 콜라겐이 채우게 된다.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은 표피와 진피 사이의 세포 간질 성분으로 세포를 서로 접합시키고, 세포간의 윤활유 역할을 하는 물질인데, 주입용 피부 충전제에 사용되는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은 인공적으로 합성한 것을 사용한다. 효과의 기간면에서 보면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도 결국은 1년 이내에 분해되어 없어지고, 가교된 덱스트란은 그보다 좀 더 오래인 1년 내지 2년까지 지속된 후 결국은 모두 분해되어 없어지지만, 그래도 새롭게 만들어지는 콜라겐 등의 자가조직의 형성에 의해 효과는 좀 더 오래 지속된다. 그러나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성분이 제품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피부 충전제가 상당히 비싸지는 문제점이 있다.
가교된 덱스트란을 포함하는 상기 피부 충전제보다 더욱 장기적으로 효과를 내는 제품으로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와 콜라겐을 주성분으로 한 Artefill(Artes Medical사 피부 충전제의 상표명)이 있다. 먼저, 소(牛)의 교원질 성분(bovine collagen)을 정제하여 액체상태로 만든 후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와 혼합하여 진피 아래 주입함으로써 부피확대 효과를 유지하는 상기 피부 충전제의 경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는 주입 즉시 확대효과가 나타나고, 콜라겐이 분해·흡수되면서 생기는 빈 공간을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의 자극에 의해 새롭게 형성된 자신의 콜라겐으로 채움으로써 부피확대효과를 유지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사용되는 콜라겐이 소의 추출물로 동물에서 유래한 것이기 때문에 사용 전에 반드시 피부 반응 검사(allergic skin test) 등의 전처치가 필요한데 이점이 실제 임상 적용에 있어서 큰 장애가 된다. 또한 콜라겐 성분은 상당히 고가인 관계로 시술시 환자의 경제적 부담이 크고, 제품부피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콜라겐성분이 주입시 인체 내에서 지나치게 빨리 분해, 흡수되어(3 내지 6주 만에 전부 흡수됨) 새로운 콜라겐 형성에 의한 부피유지를 장담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성분이 생체 내에서 항구적으로 분해되지 않고 남는 이유로, 먼 훗날의 부작용 발생 가능성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을 지우기 어렵다는 점도 그 사용을 방해하는데 일조를 하고 있다.
최근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와 가교된 덱스트란(cross-linked dextran)을 주성분으로 하는 피부충전제 조성물(특허 제 10-0759091호)이 등장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피부충전제들의 문제점을 일부 개선하고 있다.
이 조성물은 시술전에 알러지 반응검사 등의 전처치가 필요 없고, 비용이 저렴하며 또한 체내에서 쉽게 분해, 흡수되지도 않아 효과가 장기간 지속되는 까닭에 주사음경확대수술과 같은 20cc 이상의 많은 양의 피부충전제의 주입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상기 조성물은 피부 아래로 주입되었을 경우 그 촉감이 조금 단단하게 느껴지는 까닭에 주사음경확대에는 적합하겠지만 보다 부드러운 촉감을 요구하는 안면을 포함한 인체의 다른 광범위한 부위에 사용되는 데에는 부적합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두가지 주요 폴리머를 혼합하여 사용하는데 따르는 제조공정상의 복잡함과 인체사용허가를 얻는 과정에서의 까다로움으로 인해 실용화 하는데 있어 보다 어려운 문제점이 따른다.
그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성분이 생체 내에서 항구적으로 분해되지 않고 남는 이유로, 먼 훗날의 부작용 발생 가능성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을 지우기 어렵다는 문제점도 여전히 남는다.
한편, 피부 충전제 중에 가교된 덱스트란만을 주성분으로 단독 사용한 피부 충전제는 없었으며, 그 이유는 종래의 모든 피부 충전제에서 부수적으로 사용되었던 가교된 덱스트란은 분자량이 30,000 이하(제품명 : DEAE Sephadex 25)로서, 건조된 상태의 비드 사이즈(bead size)는 40 내지 120㎛이고, 0.15M 염화나트륨 수용액 용액에 수화시켰을 경우 비드 사이즈(bead size)의 중간값의 직경이 127㎛이며, 수화상태/건조상태의 직경비가 1.83(이를 부피비로 환산하면 6.1임)에 불과하여 부피확대효과가 매우 미미하였고 또한 주입부위의 촉감이 조직반응에 의해 형성된 단단한 캡슐로 인해 매우 단단하게 느껴졌기 때문이었다.(도 2 참조), 따라서 종래의 피부 충전제는 체내 주입하여 즉각적인 부피확대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가교된 덱스트란만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는 없었고, 반드시 콜라겐이나 히알루론산 등을 주성분으로 첨가하여 사용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KR10-0759091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사용되던 피부 충전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분자량이 30,000 이상의 100,000 이하인 가교된 덱스트란을 주성분으로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피부 충전제의 적용부위의 신속한 확대와 부드러운 촉감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콜라겐이나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을 주요성분으로 포함하고 있는 종래의 피부 충전제와 달리 콜라겐이나 히알루론산을 함유하고 있지 않아 시술 전에 알러지 반응검사 등의 전처치가 필요 하지 않으며, 덱스트란의 비용이 저렴하고, 체내에서 쉽게 분해, 흡수되지 않아 시술에 의한 부피확대효과를 더욱 장기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서 20cc이상의 많은 양의 피부 충전제의 주입을 필요로 하는 주사음경확대와 같은 수술에서도 사용하기 적합하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와 가교된 덱스트란을 주요성분으로 하는 종래의 피부 충전제와 달리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를 포함하고 있지 않아 이 성분이 항구적으로 분해되지 않고 생체 내에 남는데 따르는 부작용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을 없애 인체사용허가 과정이 보다 까다롭지 않으며, 제조공정이 보다 단순하여 실용화가 더 용이한 효과가 있으며, 또한, 피부아래로 주입시 감촉이 부드러워 음경의 피부 뿐만 아니라 안면을 포함한 인체의 다른 광범위한 부위의 피부에도 사용이 가능한 새로운 피부충전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삭제
상기의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주사를 통하여 체내에 주입하여 신속히 임의의 형태를 부여 하면서 부드러운 촉감을 유지하는 새로운 피부 충전제의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분자량이 30,000 이상의 100,000 이하인 가교된 덱스트란, 염화나트륨 수용액 및 점도조절제를 포함[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한다]하는 피부 충전제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피부 충전제 조성물 10㎖당 분자량이 30,000 이상의 100,000 이하의 세포독성 제거처리된 가교된 덱스트란 0.3~0.4g, pH6~pH8의 등장액인 염화나트륨 수용액, 점도조절제 0.02~0.06g을 포함[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한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충전제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피부 충전제 조성물 10㎖당 분자량이 30,000 이상의 100,000 이하의 가교된 덱스트란 0.3~0.4g, pH6~pH8의 등장액인 염화나트륨 수용액, 점도조절제 0.02~0.06g을 포함[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한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충전제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피부 충전제 조성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분자량이 30,000 이상의 100,000 이하의 가교된 덱스트란 0.3~0.4g에 생리식염수(0.9% 염화나트륨 수용액)을 넣고 지속적으로 세척하여 덱스트란 외부공간의 용액이 등장액이 되도록 맞추는 단계; 등장액으로 맞춰진 염화나트륨 수용액의 pH를 pH6~pH8로 맞추는 단계; 점도조절제를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충전제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때 가교된 덱스트란에 불순물이 들어있을 것을 대비하여 세포독성제거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포독성제거처리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증류수에 분자량이 30,000 이상의 100,000 이하의 가교된 덱스트란 0.3~0.4g을 넣어 수화시키고, 일정 시간 고온, 고압 하에서 멸균 처리한 후, 가교된 덱스트란 수화물 내부로 흡수되지 아니한 증류수를 제거하고, 이에 염화나트륨 수용액을 넣어 가교된 덱스트란 내부의 독소가 용출되도록 하는 가교된 덱스트란의 세포독성 제거처리단계; 상기 세포독성제거처리된 가교된 덱스트란에 생리식염수(0.9% 염화나트륨 수용액)를 넣고 지속적으로 세척하여 상기 가교된 덱스트란 외부공간의 용액이 등장액이 되도록 맞추는 단계; 상기 등장액으로 맞춰진 덱스트란 외부공간의 용액의 pH를 pH6~pH8로 맞추는 단계;; 점도조절제를 첨가하는 단계를 거쳐 피부 충전제 조성물을 제조한다.
본 발명은 분자량이 30,000 이상의 100,000 이하이며 세포독성 제거처리된 가교된 덱스트란을 주성분으로 사용함으로 인하여 기존의 피부 충전제에서는 볼 수 없었던 가교된 덱스트란만을 주성분으로 단독으로 사용한 최초의 경우이면서도, 피부 충전제의 적용부위의 신속한 확대와 부드러운 촉감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콜라겐이나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을 주요성분으로 포함하고 있는 종래의 피부 충전제와 달리 콜라겐이나 히알루론산을 함유하고 있지 않아 시술 전에 알러지 반응검사 등의 전처치가 필요 하지 않으며, 덱스트란의 비용이 저렴하고, 체내에서 쉽게 분해·흡수되지 않아, 시술에 의한 부피확대효과를 더욱 장기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서 20cc 이상의 많은 양의 피부 충전제의 주입을 필요로 하는 주사음경확대와 같은 수술에도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특히, 폴리메칠메타크릴레이트(PMMA)와 가교된 덱스트란(crosslinked dextran) 두가지를 주요성분으로 하는 피부 충전제와는 달리 주입 부위에 영구적으로 남는 폴리메칠메타크릴레이트(PMMA)를 포함하고 있지 않아, 장래에 있을 부작용 가능성에 대한 염려를 불식시켜 인체사용허가 과정이 보다 까다롭지 않으며, 제조공정이 보다 단순하여 실용화가 더 용이한 효과가 있으며, 피부아래로 주입시 부드러운 촉감을 지님으로서 음경의 피부뿐만 아니라 안면을 포함한 인체의 다른 광범위한 부위의 피부에도 사용이 가능한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피부 충전제가 담긴 바이알 사진이다.
도 2는 종래의 모든 피부 충전제 조성물에서 부수적으로 사용되었던 분자량이 30,000 이하(제품명 : DEAE Sephadex 25)인 가교된 덱스트란을 본 발명의 피부 충전제 조성물의 30,000 이상의 100,000이하의 가교된 덱스트란의 함량과 동일한 함량으로 생리식염수(0.9% 염화나트륨 수용액)에 수화시켰을 때의 바이알 사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피부 충전제가 담긴 바이알 사진이다.
도 2는 종래의 모든 피부 충전제 조성물에서 부수적으로 사용되었던 분자량이 30,000 이하(제품명 : DEAE Sephadex 25)인 가교된 덱스트란을 본 발명의 피부 충전제 조성물의 30,000 이상의 100,000이하의 가교된 덱스트란의 함량과 동일한 함량으로 생리식염수(0.9% 염화나트륨 수용액)에 수화시켰을 때의 바이알 사진이다.
본 발명의 피부 충전제 조성물의 주요 구성성분인 분자량이 30,000 이상의 100,000이하의 가교된 덱스트란은 건조된 상태의 비드 사이즈(bead size)가 40 내지 120㎛인 미세원형체로, 조직 내에 주입되면 즉각적인 부피확대 작용을 함과 동시에 대식세포에 의해 포식 당하지 않으면서 체내에서 일정기간 동안 이물반응을 일으켜 자가 콜라겐 형성을 유도하여 지속적으로 부피확대효과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기존의 피부 충전제 중에 가교된 덱스트란만을 주성분으로 단독 사용한 피부 충전제는 없었으며, 그 이유는 종래의 모든 피부 충전제에서 부수적으로 사용되었던 가교된 덱스트란은 분자량이 30,000 이하(제품명 : DEAE Sephadex 25)로서, 건조된 상태의 비드 사이즈(bead size)는 본 발명의 30,000 이상의 100,000이하의 가교된 덱스트란과 동일하나 0.15M 염화나트륨 수용액 용액에 수화시켰을 경우 비드 사이즈(bead size)의 중간값의 직경이 127㎛이고, 수화상태/건조상태의 직경비가 1.83(이를 부피비로 환산하면 6.1임)에 불과하여 부피확대효과가 미미하였고, 주입부위의 촉감이 조직반응으로 인한 단단한 캡슐형성으로 인해 매우 단단하게 느껴졌기 때문이다. 반면, 본 발명의 분자량이 30,000 이상의 100,000이하의 가교된 덱스트란은 0.15M 염화나트륨 수용액 용액에 수화시켰을 경우 비드 사이즈(bead size)의 중간값의 직경이 214㎛ 이고, 수화상태/건조상태의 직경비가 3.17(이를 부피비로 환산하면 31.8임)로 부피확대효과가 매우 우수하면서 주입부의 촉감이 부드러운 특징이 있다.
이를 도면을 통해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피부 충전제가 담긴 바이알 사진이고, 도 2는 종래의 모든 피부 충전제 조성물에서 부수적으로 사용되었던 분자량이 30,000 이하(제품명 : DEAE Sephadex 25)인 가교된 덱스트란을 본 발명의 피부 충전제 조성물의 30,000 이상의 100,000이하의 가교된 덱스트란의 함량과 동일한 함량으로 생리식염수(0.9% 염화나트륨 수용액)에 수화시켰을 때의 바이알 사진으로서, 종래의 피부 충전제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가교된 덱스트란에 비해 본 발명의 분자량이 30,000 이상의 100,000이하의 가교된 덱스트란의 부피확대효과가 매우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피부 충전제 조성물의 가교된 덱스트란은 주사를 통하여 체내에 주입할 경우 부피확대효과는 미미하면서 매우 단단한 촉감을 보였는바, 종래의 피부 충전제 조성물이 체내 주입시 즉각적인 부피확대효과와 부드러운 촉감을 보기 위해서는 반드시 콜라겐이나 히알루론산 등을 첨가하여 사용할 수 밖에 없었으나, 본 발명과 같이 분자량이 30,000 이상의 100,000이하의 가교된 덱스트란을 피부 충전제 조성물의 주성분으로 사용할 경우, 콜라겐이나 히알루론산을 혼합하여 사용하지 않고, 가교된 덱스트란만을 주성분으로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부피확대효과가 매우 우수하면서 주입부의 촉감이 부드러운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콜라겐이나 히알루론산을 함유하고 있지 않아 시술 전에 알러지 반응검사 등의 전처치가 필요 하지 않으며, 비용이 저렴하고, 체내에서 쉽게 분해·흡수되지 않아 시술에 의한 부피확대효과를 더욱 장기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서 20cc 이상의 많은 양의 피부충전제의 주입을 필요로 하는 주사음경확대와 같은 수술에도 사용하기에 적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피부 충전제 조성물에서 가교된 덱스트란의 제조과정에서 불순물이 포함될 수 있으므로 세포독성을 제거처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세포독성제거처리 단계는 가교된 덱스트란이란 증류수에 분자량이 30,000 이상의 100,000 이하의 가교된 덱스트란을 넣어 수화시키고, 일정 시간 고온, 고압 하에서 멸균 처리한 후, 가교된 덱스트란 수화물 내부로 흡수되지 아니한 증류수를 제거하고, 이에 염화나트륨 수용액을 넣어 가교된 덱스트란 내부의 독소가 용출되도록 처리하는 과정을 거쳐 이루어진다. 이때 덱스트란 입자의 부피가 더욱 효과적으로 축소되게 하기 위하여 0.9% 이상의 고농도의 염화나트륨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피부 충전제 조성물은 세포독성 제거처리된 가교된 덱스트란만을 단독으로 주성분으로 사용하여, 인체에 해가 없으면서도, 제조공정이 보다 단순하며 실용화가 더 용이한 효과가 있으며, 피부아래로 주입시 그 촉감이 말랑말랑하고, 매우 부드러워 음경의 피부뿐만 아니라 안면을 포함한 인체의 다른 광범위한 부위의 피부에도 사용이 가능한 뛰어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분자량이 30,000 이상의 100,000 이하의 가교된 덱스트란은 피부 충전제 조성물 10㎖당 0.3~0.4g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3g 이하를 사용할 경우 잉여수분이 지나치게 많아져서 잉여수분의 양 만큼 체내에서 쉽게 흡수되어 시술에 의한 부피확대효과를 더욱 장기간 안정적으로 유지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고, 0.4g이상을 사용할 경우 피부 충전제의 주입부위가 단단해져 촉감이 안 좋을 수 있는바 부피확대효과를 장기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주입부위가 부드러운 촉감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피부 충전제 조성물 10㎖당 분자량이 30,000 이상의 100,000 이하의 가교된 덱스트란 0.3~0.4g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염화나트륨 수용액은 피부 충전제가 체내 주입에 적절하도록 pH6~pH8 인 등장액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점도조절제는 가교된 덱스트란이 겔(gel)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피부 충전제의 주입을 용이하게 하는 기능을 하며, 상기 점도조절제는 피부 충전제 조성물 10㎖당 0.02~0.06 g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도조절제로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즈, 소디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키토산(chitosan),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PEG), 폴리락틱 글리콜 아미드(polylactic glycolamide, PLGA),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PVA), 덱스트란(dextran), 히알루론산(hyaluranic acid) 또는 가교된 히알루론산 등이 있으며, 이 중 택일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피부 충전제 조성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분자량이 30,000 이상의 100,000 이하의 가교된 덱스트란 0.3~0.4g에 생리식염수(0.9% 염화나트륨 수용액)을 넣고 지속적으로 세척하여 덱스트란 외부공간의 용액이 등장액이 되도록 맞추는 단계; 등장액으로 맞춰진 염화나트륨 수용액의 pH를 pH6~pH8로 맞추는 단계; 점도조절제를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충전제 조성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때 가교된 덱스트란에 불순물이 들어있을 것을 대비하여 세포독성제거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포독성제거처리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경우에는, 증류수에 분자량이 30,000 이상의 100,000 이하의 가교된 덱스트란 0.3~0.4g을 넣어 수화시키고, 일정 시간 고온, 고압 하에서 멸균 처리한 후, 가교된 덱스트란 수화물 내부로 흡수되지 아니한 증류수를 제거하고, 이에 염화나트륨 수용액을 넣어 가교된 덱스트란 내부의 독소가 용출되도록 하는 가교된 덱스트란의 세포독성 제거처리단계; 상기 세포독성제거처리된 가교된 덱스트란에 생리식염수(0.9% 염화나트륨 수용액)를 넣고 지속적으로 세척하여 상기 가교된 덱스트란 외부공간의 용액이 등장액이 되도록 맞추는 단계; 상기 등장액으로 맞춰진 덱스트란 외부공간의 용액의 pH를 pH6~pH8로 맞추는 단계;; 점도조절제를 첨가하는 단계를 거쳐 피부 충전제 조성물을 제조한다.
상기 가교된 덱스트란의 세포독성 제거처리단계는 먼저 증류수에 분자량이 30,000 이상의 100,000 이하의 가교된 덱스트란 0.3~0.4g을 넣어 수화시켜 가교된 덱스트란이 물을 흡수하여 크게 팽창되도록 한 후, 일정 시간 고온, 고압 하에서 멸균 처리한다.
그 후, 가교된 덱스트란 수화물 내부로 흡수되지 아니한 증류수를 제거하고, 이에 염화나트륨 수용액을 넣으면, 삼투압으로 인하여 가교된 덱스트란 입자 내부의 수분이 덱스트란 입자 외부의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배출되면서, 덱스트란 입자의 부피가 축소되고, 이 과정에서 가교된 덱스트란 내부의 독소가 함께 용출되게 되어 독성이 제거되게 된다. 이때 덱스트란 입자의 부피가 더욱 효과적으로 축소되게 하기 위하여 0.9% 이상의 고농도의 염화나트륨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교된 덱스트란 수화물 입자 사이의 염화나트륨 수용액이 등장액이 되도록 맞추는 단계는 상기 가교된 덱스트란의 세포독성 제거처리단계된 가교된 덱스트란 입자들 사이의 염화나트륨 수용액은, 삼투압으로 인하여 가교된 덱스트란 입자 내부의 수분이 덱스트란 입자 외부의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배출되면서, 가교된 덱스트란 입자들 사이의 염화나트륨 수용액의 단위부피당 나트륨 농도가 감소하게 되므로(또는 만약 상기 가교된 덱스트란의 세포독성 제거처리단계에서 0.9% 이상의 고농도의 염화나트륨 수용액을 사용한 경우, 삼투압으로 인하여 가교된 덱스트란 입자 내부의 수분이 덱스트란 입자 외부의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배출되어, 가교된 덱스트란 외부공간의 용액이 다소 희석되었다 하더라도 등장액에 비해서는 여전히 나트륨 농도가 높을 수 있으므로), 이 염화나트륨 수용액을 등장액으로 맞춰주기 위하여 생리식염수(0.9%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지속적으로 세척하여 상기 가교된 덱스트란 외부공간의 용액과 염화나트륨 수용액이 등장액이 되도록 맞추는 단계이다.
또한, 상기 점도조절제를 첨가하는 단계는 상기 pH가 맞추어진 가교된 덱스트란 수화물이 겔(gel)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피부 충전제의 주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점도조절제를 첨가하는 단계로서, 상기 pH가 맞추어진 피부 충전제 10 ㎖당 점도조절제 0.02~0.06g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점도조절제를 첨가하는 단계(S4)는 상기 pH가 맞추어진 가교된 덱스트란 수화물이 겔(gel)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피부 충전제의 주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점도조절제를 첨가하는 단계로서, 상기 pH가 맞추어진 피부 충전제 10 ㎖당 점도조절제 0.02~0.06g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충전제 조성물과 같이 가격이 저렴한 가교된 덱스트란만을 주성분으로 하는 피부 충전제를 시술을 하는 경우, 주사를 통하여 진피 아래에 피부 충전제를 주입하여 적용부위의 신속한 확대와 부드러운 촉감을 유지할 수 있으면서도, 종래의 피부 충전제와 달리 콜라겐이나 히알루론산을 함유하고 있지 않아 시술 전에 알러지 반응검사 등의 전처치가 필요하지 않으며, 비용이 저렴하고, 체내에서 쉽게 분해·흡수되지 않아 시술에 의한 부피확대효과를 더욱 장기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서 20cc 이상의 많은 양의 피부 충전제의 주입을 필요로 하는 주사음경확대와 같은 수술에도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특히, 폴리메칠메타크릴레이트(PMMA)와 가교된 덱스트란(crosslinked dextran) 두가지를 주요성분으로 하는 피부 충전제와는 달리 주입 부위에 영구적으로 남는 폴리메칠메타크릴레이트(PMMA)를 포함하고 있지 않아 장래에 있을 부작용 가능성에 대한 염려를 불식시켜 인체사용허가 과정이 보다 까다롭지 않으며, 제조공정이 보다 단순하여 실용화가 더 용이한 효과가 있으며, 피부아래로 주입시 부드러운 촉감을 지님으로서 음경의 피부뿐만 아니라 안면을 포함한 인체의 다른 광범위한 부위의 피부에도 사용이 가능한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분자량이 30,000 이상의 100,000 이하인 가교된 덱스트란, 염화나트륨 수용액 및 점도조절제를 포함[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한다]하는 피부 충전제 조성물.
  2. 증류수에 분자량이 30,000 이상의 100,000 이하의 가교된 덱스트란을 넣어 수화시키고, 일정 시간 고온, 고압 하에서 멸균 처리한 후, 가교된 덱스트란 수화물 내부로 흡수되지 아니한 증류수를 제거하고, 이에 염화나트륨 수용액을 넣어 가교된 덱스트란 내부의 독소가 용출되도록 하는 과정을 통해 세포독성 제거 처리한 가교된 덱스트란, 염화나트륨 수용액 및 점도조절제를 포함[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한다]하는 피부 충전제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염화나트륨 수용액은 pH6~pH8인 등장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충전제 조성물.
  4. 피부 충전제 조성물 10 ㎖당 분자량이 30,000 이상의 100,000 이하의 가교된 덱스트란 0.3~0.4g, pH6~pH8의 등장액인 염화나트륨 수용액, 점도조절제 0.02~0.06g을 포함[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한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충전제 조성물.
  5. 분자량이 30,000 이상의 100,000 이하의 가교된 덱스트란 0.3~0.4g에 생리식염수(0.9% 염화나트륨 수용액)을 넣고 지속적으로 세척하여 덱스트란 외부공간의 용액이 등장액이 되도록 맞추는 단계; 등장액으로 맞춰진 염화나트륨 수용액의 pH를 pH6~pH8로 맞추는 단계; 점도조절제를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충전제 조성물 제조방법.
  6. 증류수에 분자량이 30,000 이상의 100,000 이하의 가교된 덱스트란 0.3~0.4g을 넣어 수화시키고, 일정 시간 고온, 고압 하에서 멸균 처리한 후, 가교된 덱스트란 수화물 내부로 흡수되지 아니한 증류수를 제거하고, 이에 염화나트륨 수용액을 넣어 가교된 덱스트란 내부의 독소가 용출되도록 하는 가교된 덱스트란의 세포독성 제거처리단계; 상기 세포독성제거처리된 가교된 덱스트란에 생리식염수(0.9% 염화나트륨 수용액)를 넣고 지속적으로 세척하여 상기 가교된 덱스트란 외부공간의 용액이 등장액이 되도록 맞추는 단계; 상기 등장액으로 맞춰진 덱스트란 외부공간의 용액의 pH를 pH6~pH8로 맞추는 단계; 점도조절제를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충전제 조성물 제조방법.
KR1020100043753A 2010-05-11 2010-05-11 피부 충전제 조성물 Active KR101003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3753A KR101003331B1 (ko) 2010-05-11 2010-05-11 피부 충전제 조성물
JP2013506062A JP2013524927A (ja) 2010-05-11 2011-03-07 皮膚充填剤組成物
PH1/2012/502113A PH12012502113A1 (en) 2010-05-11 2011-03-07 Dermal filler composition
RU2012146876/15A RU2012146876A (ru) 2010-05-11 2011-03-07 Композиция наполнителя для кожи
BR112012028232A BR112012028232B1 (pt) 2010-05-11 2011-03-07 composição de preenchedor dérmico
AU2011251138A AU2011251138B2 (en) 2010-05-11 2011-03-07 Dermal filler composition
EP11780747.9A EP2570141B1 (en) 2010-05-11 2011-03-07 Dermal filler composition
US13/640,697 US9242030B2 (en) 2010-05-11 2011-03-07 Dermal filler composition
PCT/KR2011/001556 WO2011142530A2 (ko) 2010-05-11 2011-03-07 피부 충전제 조성물
CA2794017A CA2794017C (en) 2010-05-11 2011-03-07 Dermal filler composition comprising cross-linked dextran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30,000 to 100,000
CN201110095861.9A CN102247618B (zh) 2010-05-11 2011-04-14 皮肤填充剂组合物
HK12104352.0A HK1163562B (en) 2010-05-11 2012-05-03 Dermal filler compos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3753A KR101003331B1 (ko) 2010-05-11 2010-05-11 피부 충전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3331B1 true KR101003331B1 (ko) 2010-12-23

Family

ID=43513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3753A Active KR101003331B1 (ko) 2010-05-11 2010-05-11 피부 충전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9242030B2 (ko)
EP (1) EP2570141B1 (ko)
JP (1) JP2013524927A (ko)
KR (1) KR101003331B1 (ko)
CN (1) CN102247618B (ko)
AU (1) AU2011251138B2 (ko)
BR (1) BR112012028232B1 (ko)
CA (1) CA2794017C (ko)
PH (1) PH12012502113A1 (ko)
RU (1) RU2012146876A (ko)
WO (1) WO2011142530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04951A1 (ko) * 2020-07-03 2022-01-06 주식회사 메피온 필러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8203714A1 (en) * 2017-03-09 2018-09-27 Colin Campbell Marshall Moore Improved Phalloplasty Method
AU2017101856B4 (en) * 2017-05-02 2021-08-05 Oates & Family Pty Ltd Procedure for Penile Girth Enhancement
CN108653817B (zh) * 2018-05-24 2021-02-02 上海其胜生物制剂有限公司 一种新型胶原刺激剂的制备方法
CN111558085A (zh) * 2020-06-16 2020-08-21 红色未来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面部填充剂及其制备方法
CN113041397A (zh) * 2021-04-08 2021-06-29 红色未来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含有交联葡聚糖的面部填充剂及其制备方法
CN113244450A (zh) * 2021-05-31 2021-08-13 美卓(杭州)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手部抗衰的活性填充剂及其制备方法
CN114225117A (zh) * 2021-11-08 2022-03-25 红色未来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含有交联葡聚糖的综合性面部填充剂及其制备方法
CN114146221A (zh) * 2021-12-09 2022-03-08 杭州帕莱拉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可注射右旋糖苷水凝胶微球填充剂及其制备方法
CN115252896A (zh) * 2022-08-11 2022-11-01 成都恒美盛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面部填充剂生产用物料混合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96410A1 (en) * 2002-07-29 2004-05-20 Maley Joseph 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ment of dermal conditions
KR100759091B1 (ko) * 2006-12-13 2007-09-17 조강선 피부 충전제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03445A (ja) * 1991-03-29 1992-10-27 Nippon Zeon Co Ltd 創傷被覆材
US5605938A (en) 1991-05-31 1997-02-25 Gliatech,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inhibition of cell invasion and fibrosis using dextran sulfate
US5502042A (en) * 1994-07-22 1996-03-26 United States Surgical Corporatio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wounds
FR2764514B1 (fr) 1997-06-13 1999-09-03 Biopharmex Holding Sa Implant injectable en sous-cutane ou intradermique a bioresorbabilite controlee pour la chirurgie reparatrice ou plastique et la dermatologie esthetique
US6060461A (en) * 1999-02-08 2000-05-09 Drake; James Franklin Topically applied clotting material
US20040235791A1 (en) 2002-01-25 2004-11-25 Gruskin Elliott A. Scar reduction
US7131997B2 (en) 2002-03-29 2006-11-07 Scimed Life Systems, Inc. Tissue treatment
US20050287180A1 (en) 2004-06-15 2005-12-29 Chen Andrew X Phospholipi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ir preparation and use
SE0600091L (sv) 2006-01-18 2007-04-17 Bows Pharmaceuticals Ag Förfarande för framställning av en dextranmatris för kontrollerad frisättning av insulin
CN101209344B (zh) * 2006-12-28 2012-07-04 赵超英 高渗液组合物在制备促进伤口愈合的药物中的应用
KR20090043973A (ko) * 2007-10-30 2009-05-07 조강선 피부 충전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96410A1 (en) * 2002-07-29 2004-05-20 Maley Joseph 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ment of dermal conditions
KR100759091B1 (ko) * 2006-12-13 2007-09-17 조강선 피부 충전제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04951A1 (ko) * 2020-07-03 2022-01-06 주식회사 메피온 필러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2028232B1 (pt) 2018-09-04
EP2570141A4 (en) 2014-08-06
EP2570141A2 (en) 2013-03-20
JP2013524927A (ja) 2013-06-20
US20130053453A1 (en) 2013-02-28
US9242030B2 (en) 2016-01-26
WO2011142530A2 (ko) 2011-11-17
CN102247618A (zh) 2011-11-23
CA2794017A1 (en) 2011-11-17
AU2011251138B2 (en) 2013-11-14
AU2011251138A1 (en) 2012-10-11
WO2011142530A3 (ko) 2012-01-05
PH12012502113A1 (en) 2017-02-03
CN102247618B (zh) 2014-06-18
RU2012146876A (ru) 2014-06-20
EP2570141B1 (en) 2018-07-25
HK1163562A1 (en) 2012-09-14
CA2794017C (en) 2014-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3331B1 (ko) 피부 충전제 조성물
KR100759091B1 (ko) 피부 충전제 조성물
JP6660469B2 (ja) ヒアルロン酸誘導体およびdna分画物が含まれているヒアルロン酸注射用組成物およびその利用
EP2421549B1 (en) Silk fibroin hydrogels and uses thereof
CN105705137B (zh) 获得基于含有以粉末形式添加的利多卡因和碱剂的透明质酸且热灭菌的可注射水凝胶的方法
US20110111031A1 (en) Drug Delivery Platforms Comprising Silk Fibroin Hydrogels and Uses Thereof
US20070196426A1 (en) Biocompatible crosslinked gel
KR20090043973A (ko) 피부 충전제 조성물
KR20090068088A (ko) 새로운 피부 충전제 조성물
KR20220110186A (ko) 진피 필러 조성물
HK1163562B (en) Dermal filler composition
KR20240100993A (ko) 히알루론산 또는 그의 염의 가교 구조체 내 생분해성 고분자 미립자를 포함하는 필러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HK1128611B (en) Dermal filler composition
Brown Minimally Invasive Silk Biomaterials for Soft Tissue Augmentation
MLF et al. Clinical evaluation
Alam et al. Biomedical Engineering Advances
HK1150984A (en) Particles for soft tissue augmen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5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70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51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8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12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12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6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0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1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0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15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14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10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