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8592B1 - Steamer - Google Patents
Steam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18592B1 KR101018592B1 KR1020100074835A KR20100074835A KR101018592B1 KR 101018592 B1 KR101018592 B1 KR 101018592B1 KR 1020100074835 A KR1020100074835 A KR 1020100074835A KR 20100074835 A KR20100074835 A KR 20100074835A KR 101018592 B1 KR101018592 B1 KR 10101859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t water
- steamer
- blower
- steam bath
- pip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10025 steam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6
- 235000002789 Panax ginseng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19
- 241000208340 Araliaceae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7
- 235000005035 Panax pseudoginseng ssp. pseudoginseng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17
- 235000003140 Panax quinquefoliu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17
- 235000008434 ginseng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7605 air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41000411851 herbal medicine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02000004190 Enzym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790 Enzym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80 active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087 diges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130 lipoly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75 main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60 me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4 pharmacolog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97 quillaja saponaria molina bar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30182490 sapon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7949 saponi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95 synerg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792 w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7/05—Tier steam-cookers, i.e. with steam-tight joints between cooking-vessels stacked while in us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47J27/16—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heated by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숙조와, 상기 증숙조를 받쳐주는 본체로 구성하여 인삼을 증숙하여 홍삼을 제조하게 되는 증숙기를 제공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며 일정량의 온수를 저장하며 바닥에는 저장된 온수를 가열하는 온수히터가 설치된 온수탱크와, 일단은 상기 온수탱크와 온수공급관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증숙조와 온수순환관으로 연결되어 상기 온수탱크에 저장된 온수를 상기 증숙조로 공급하거나, 상기 증숙조로 공급된 온수를 상기 온수탱크로 환수시키는 호스펌프와,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인가된 전원으로 발열하며 본체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에 입구가 연결되고, 출구는 상기 증숙조 바닥면을 관통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송풍기에서 흡입된 공기를 상기 증숙조로 통과시키는 블로워파이프와, 상기 블로워파이프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블로워파이프를 통과하는 공기를 데워주는 PTC히터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eamer configured to produce red ginseng by steaming ginseng by using a steamer and a main body supporting the steamer.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is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stores a predetermined amount of hot water and the hot water tank is installed on the bottom to heat the stored hot water, one end is connected to the hot water tank and hot water supply pipe, the other end is steamed A hose pump connected to a tank and a hot water circulation pipe to supply hot water stored in the hot water tank to the steam bath, or to return hot water supplied to the steam bath to the hot water tank, and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to generate heat by an externally applied power source. A blower that sucks air in the main body, an inlet is connected to the blower, and an outlet is installed to penetrate the bottom of the steam bath, and a blower pipe for passing the air sucked from the blower into the steam bath; PTC heater installed inside the blower pipe to warm the air passing through the blower pipe And that is configured including a technical base.
Description
본 발명은 증숙기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증숙에 필요한 온수가열온도 및 공기 건조온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양질의 한약재로 증숙할 수 있도록 한 증숙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am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eamer that can be steamed with a higher quality herbal medicine so that the hot water heating temperature and the air drying temperature required for steaming can be kept constant at all times.
일반적으로 한약추출기에 사용되는 홍삼과 인삼 등은 공통성분도 있지만 상기 홍삼은 인삼을 증기로 찔 때 열처리가 가해짐으로 제조과정 중 화학성분의 변환이 일어나 인삼에 존재하지 않은 새로운 약효성분들이 생성되어 인삼보다 우수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In general, the red ginseng and ginseng used in the herbal extractor has a common ingredient, but the red ginseng is heat treated when steamed with ginseng, so that the chemical composition is converted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resulting in the formation of new active ingredients that do not exist in the ginseng. It is recognized as better.
구체적으로 홍삼은 여러 종류의 인삼 중에서도 약리성분이 우수한 것으로서 주성분인 사포닌은 인체 내의 지방분해력이 우수하고, 영양분의 흡수 및 소화를 촉진시키며 세포내의 효소들을 활성화하여 신진대사를 촉진시키고, 에너지를 증가시 켜서 피로회복, 원기회복, 식용부진등을 개선하는 효능들이 증명되고 있어서 최근들어 건강증진의 목적으로 소비자들이 즐겨 찾고 있는 추세이다.Specifically, red ginseng has excellent pharmacological ingredients among various ginsengs. Saponin, the main ingredient, has excellent lipolysis ability in the human body, promotes absorption and digestion of nutrients, activates enzymes in cells, promotes metabolism, and increases energy. In turn, the effects of improving fatigue, energy recovery, and edible food have been proved, and recently, consumers are looking for the purpose of health promotion.
즉, 이러한 홍삼은 증숙기라 불리우는 기계에 인삼을 넣은 후, 중탕방식으로 인삼을 여러번 중탕 가열해가며 홍삼을 제조하게 된다.That is, red ginseng is prepared by putting ginseng in a machine called a steamer, and then heating the ginseng several times in a bath.
종래 알려져 있는 일반적인 증숙기는 일정량의 인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증숙조와, 상기 증숙조 아래에 설치되며 상기 증숙조에 담겨져 있는 온수를 가열하는 히팅수단 그리고 건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다.A conventional steamer known in the art includes a steaming tank having a receiving space for accommodating a certain amount of ginseng, heating means installed under the steaming tank, and heating means for heating hot water contained in the steaming tank, and a drying means.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증숙기는 히팅수단으로 온수를 가열하여 수증기를 생성시켜 인삼을 증숙한 다음, 이를 다시 건조시켜 인삼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제거함으로서 홍삼을 제조하게 된다.The conventional steame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produces red ginseng by heating hot water with a heating means to generate steam to steam ginseng, and then drying it again to remove moisture contained in ginseng.
그러나 위와 같은 방식으로 인삼을 홍삼으로 제조하기 위해서는 온수의 가열온도 및 건조온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여야 하나, 종래 증숙기에는 이러한 온도 제어수단이 별도로 구비되지 못함에 따라 보다 양질의 홍삼을 제조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in order to manufacture ginseng as red ginseng in the above manner, the heating temperature and drying temperature of hot water should be kept constant at all times. However, since the temperature control means is not provided separately in the conventional steamer,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red ginseng of higher quality. There is a disadvantage.
특히, 홍삼 제조시에는 위 온수가열 및 공기건조공정을 최소 9번을 반복하여야만 홍삼을 제조할 수 있게 되는 데, 종래 증숙기는 이러한 반복작업이 자동화를 이루지 못하고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존해야 함으로서 생산성 및 작업성이 떨어지는 폐단이 있었다.
In particular, red ginseng can be produced only by repeating the above hot water heating and air drying process at least 9 times in manufacturing red ginseng. In the conventional steamer, such a repetitive work cannot be automated and must rely on the manual work of the worker for productivity and work. There was a drop in castle.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증숙에 필요한 온수가열온도 및 공기 건조온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양질의 한약재로 증숙할 수 있도록 한 증숙기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is to provide a steamer that can be steamed with a higher quality herbal medicine so that the hot water heating temperature and the air drying temperature necessary for steaming can always be kept constant.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온수탱크에서 미리 일정온도 이상으로 가열된 온수를 증숙기로 투입시키도록 함으로서 온수 가열에 따른 시간을 줄여줄 수 있도록 한 증숙기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eamer to reduce the time due to hot water heating by inputting the hot water heat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in a hot water tank in advanc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열풍의 흡기 및 배기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최적의 건조상태로 하여 인삼을 건조시키록 한 증숙기를 제공함에 있다.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eamer for drying ginseng in an optimal drying state by allowing intake and exhaust of hot air to be efficiently performed.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저장공간을 가지는 증숙조와, 상기 증숙조를 받쳐주는 본체를 포함하는 증숙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며 일정량의 온수를 저장하며 바닥에는 저장된 온수를 가열하는 온수히터가 설치된 온수탱크와, 일단은 상기 온수탱크와 온수공급관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증숙조와 온수순환관으로 연결되어 상기 온수탱크에 저장된 온수를 상기 증숙조로 공급하거나, 상기 증숙조로 공급된 온수를 상기 온수탱크로 환수시키는 호스펌프와,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인가된 전원으로 발열하며 본체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에 입구가 연결되고, 출구는 상기 증숙조 바닥면을 관통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송풍기에서 흡입된 공기를 상기 증숙조로 통과시키는 블로워파이프와, 상기 블로워파이프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블로워파이프를 통과하는 공기를 데워주는 PTC히터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In a steamer including a steaming tank having a storage space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s, and a main body supporting the steaming bath, a hot water heater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stor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hot water, and heating the stored hot water at the bottom thereof. Installed hot water tank, one end is connected to the hot water tank and hot water supply pipe,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steam bath and hot water circulation pipe to supply the hot water stored in the hot water tank to the steam bath, or the hot water supplied to the steam bath A hose pump returning to the tank, a blower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and generating heat from an externally applied power source, and sucking air in the main body, an inlet connected to the blower, and an outlet passing through the bottom of the steam bath. A blower pipe installed in a state and passing air sucked from the blower into the steam bath; It is installed in the blower pipe an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TC heater for warming the air passing through the blower pipe.
상기 블로워파이프 출구에는 상기 블로워파이프 출구 상단에 설치되며 중앙으로 공기통과공이 관통 형성된 댐퍼본체와, 상기 댐퍼본체 상면에 덮혀진 상태에서 상기 공기통과공을 통과하는 공기의 압력으로 들려지며 상기 공기통과공을 개방하는 덮개판으로 구성한 댐퍼를 설치함이 바람직하다.The blower pipe outlet is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blower pipe outlet and is formed by a damper main body having an air through hole penetrating through the center, and the pressure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air through hole in the state covered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damper body. It is preferable to install a damper composed of a cover plate for opening the door.
상기 온수탱크의 내부에는 온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수온도감지센서와, 온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온수수위감지센서를 더 설치함이 바람직하다.Inside the hot water tank,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stall a hot water temperature sensor for detecting the temperature of hot water, and a hot water level sensor for detecting the level of hot water.
상기 증숙조에는 온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와, 온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비접촉식 수위감지센서를 더 설치함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steam bath further includes a temperature sensor for detecting the temperature of hot water and a non-contact water level sensor for detecting the level of hot water.
상기 증숙조의 외부 바닥면에는 상기 온도감지센서의 신호에 의해 전원을 인가받아 발열하는 증숙히터를 더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stall a steam heater on the outer bottom surface of the steam bath to generate heat by receiving power by the signal of the temperature sensor.
본 발명에 따른 증숙기는 증숙기 내부에 온수탱크를 별도로 설치하고, 상기 온수탱크에서 일차 가열된 온수를 증숙조로 공급토록 함으로서 온수 가열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The stea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separately installing a hot water tank inside the steamer and supplying hot water heated primarily in the hot water tank to the steaming tank to shorten the time required for hot water heating.
아울러 온도센서를 통해 증숙에 필요한 온수가열온도 및 공기 건조온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댐퍼를 통한 열풍의 흡기 및 배기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최적의 건조상태로 하여 홍삼을 제조할 수 있는 상승적인 효과를 가진다.
In addition, through the temperature sensor, the hot water heating temperature and air drying temperature required for steaming can be maintained at a constant time, and the red ginseng can be manufactured in an optimal drying state by allowing the intake and exhaust of hot air through the damper to be efficiently performed. Has a synergistic effect.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증숙기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증숙기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댐퍼의 구조를 분해하여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증숙기에서 증숙공정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증숙기에서 건조공정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1 is a view three-dimension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team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eamer shown in FIG. 1. FIG.
3 is an exploded three-dimensional view of the structure of the damper shown in FIG.
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steaming process in the steamer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drying process in the steamer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 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embodiments that can be present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are replaced by the description in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는 증숙기 내부에 온수탱크를 별도로 설치하고, 상기 온수탱크에서 일차 가열된 온수를 증숙조로 공급토록 함으로서 온수 가열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온도센서를 통해 증숙에 필요한 온수가열온도 및 공기 건조온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댐퍼를 통한 열풍의 흡기 및 배기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최적의 건조상태로 하여 홍삼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한 증숙기를 구현하고자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by separately installing a hot water tank in the steamer, by supplying the first hot water from the hot water tank to the steam bath to shorten the time required for hot water heating, and heating the hot water required for steaming through the temperature sensor The temperature and air drying temperature can be maintained at all times, as well as the intake and exhaust of the hot air through the damper to be made efficiently so as to implement a steamer to manufacture red ginseng in an optimal drying state.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기술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증숙기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증숙기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tea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ree dimensions, and FIG. 2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steamer shown in FIG.
도 1과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증숙기(100)는 증숙조(10)와, 상기 증숙조(10)를 받쳐주는 본체(2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As shown in FIG. 1 and FIG. 2, the
상기 본체(20)는 증숙기(100)의 외형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내부에는 온수탱크(22), 호스펌프(32), 송풍기(36) 및 블로워파이프(40)가 각각 장착된다.The
상기 온수탱크(22)는 증숙조(10)의 수용공간(12)으로 일정온도로 가열된 온수를 공급하는 수단으로서, 내부에는 일정량의 온수가 저장되고, 그 내부 바닥면에는 저장된 온수를 가열하는 온수히터(24)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온수탱크(22)의 측벽에는 저장되는 온수의 수위를 감지하여 온수의 저장량을 제어하는 수위감지센서(26)가 설치되고, 그 바닥면에는 온수히터(24)의 열원으로 가열되는 온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수온도감지센서(28)가 더 설치된다. 이때 상기 온수온도감지센서(28)는 온수의 온도가 90℃ 이하일때에는 제어부(미 도시 함)로 신호를 출력하여 온수히터(24)로 전류를 계속 흘려보내도록 하고, 온수의 온도가 90℃ 이상일때에는 이를 감지하여 온수히터(24)로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여 온수탱크(22)에 저장된 온수의 온도가 항상 90℃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상기 호스펌프(32)는 일단은 상기 온수탱크(22)에 온수공급관(30)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전술한 증숙조(10)에 온수순환관(34)으로 연결 구성되어 상기 온수탱크(22)에 저장된 온수를 상기 증숙조(10)로 공급하거나 혹은 상기 증숙조(10)로 공급된 온수를 다시 상기 온수탱크(22)로 환수시키게 된다.The
상기한 호스펌프(32)는 통상 모터와, 상기 모터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로터와, 상기 로터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롤러 그리고 상기 로터 외주를 따라 배치되며 상기 롤러가 압착되어 지는 탄성호스로 구성하여, 상기 탄성호스의 일단에 상기 온수공급관을 연결하고, 상기 탄성호스의 타단에 상기 온수순환관을 연결한 상태에서 모터의 동력으로 로터가 회전 동작하면 상기 로터에 설치되어 있는 롤러는 탄성호스의 외주면에 압착된 상태에서 상기 로터의 회전에 따라 상기 탄성호스를 밀어주도록 함으로서 온수탱크(22)의 온수를 공급 및 환수시키게 되는 바, 이러한 호스펌프(32)의 구조는 이미 공지된 기술임에 따라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상기 송풍기(36)는 외부에서 인가된 전원으로 구동하며 본체(1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송풍기(36)에는 원추 형상의 블로워파이프(42) 입구(42a)가 연결 구성되고, 상기 블로워파이프(42)의 출구(42b)는 전술한 증숙조(10)의 바닥을 관통한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한 구조를 통해 송풍기(36)에서 흡입된 공기는 상기 블로워파이프(42)를 통해 증숙조(10)로 배출되어 진다. 이때 상기 송풍기(36)의 앞쪽에는 필터(38)를 설치하여 흡입되는 공기중에 포함되어 있는 불순물을 걸러내 증숙조(10) 내부의 오염을 방지토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블로워파이프(42)의 내부에는 외부에서 인가된 전원으로 발열하는 수단인 PTC히터(43)가 내설된다. 즉, 송풍기(36)의 구동에 따라 상기 블로워파이프(42)로 흡입된 외부 공기는 상기 PTC히터(43)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PTC히터(43)에서 발생하는 열원에 의해 일정온도, 바람직하게는 50℃의 온도로 데워진 상태에서 블로워파이프(42)의 출구(42b)를 거쳐 증숙조(10)로 공급되어 진다.Inside the
상기 블로워파이프(42)의 출구(42b)에는 댐퍼(44)가 설치된다. 상기 댐퍼(44)는 블로워파이프(42)의 출구(42b)를 폐쇄시킨 상태에서 공기의 압력으로 선택적으로 동작하며 블로워파이프(42)의 출구(42b)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게 된다.A
첨부된 도 3은 상기한 댐퍼(44)의 구조를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44)는 원판 형태로 상기 블로워파이프(42)의 출구(42b)에 고정 설치되며 중앙에는 상기 블로워파이프(42)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통과시키는 공기통과공(48)이 관통 형성된 댐퍼본체(46)와, 상기 댐퍼본체(46) 상면에 덮혀지며 상기 공기통과공(48)을 폐쇄시킨 상태에서 상기 공기통과공(48)을 통과하는 공기의 압력으로 상승하며 상기 공기통과공(48)을 개방시키는 덮개판(50)을 포함한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the
상기 덮개판(50)의 하단 중앙에는 가이드샤프트(52)가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샤프트(52)는 상기 댐퍼본체(46)의 중앙에 형성된 체결구멍(47)에 끼워지며 상기 덮개판(50)이 공기 압력으로 상승할 때, 덮개판(50)의 상승 동작을 가이드하게 된다.A
상기한 구조의 댐퍼(44)는 동일한 구조로 하여 증숙조(10)의 상단에도 별도 설치하여 증숙조(10)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한다.The
한편, 상기 증숙조(10)는 본체(20)의 상면에 올려지는 것으로서, 원통 형태로 내부에는 저장공간(12)이 형성되고, 바닥면에는 전술한 블로워파이프(42)의 출구(42b)와, 전술한 호스펌프(32)에 연결되어 있는 온수순환관(34)이 각각 연결 구성된다. 이때 상기 블로워파이프(42)의 출구(42b)는 상기 증숙조(10)의 저장공간(12) 바닥면에서 일정높이 돌출된 상태로 설치함이 바람직하며, 이는 저장공간(12)으로 온수가 유입될 때, 유입된 온수가 블로워파이프(42)로 역류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증숙조(10)의 저장공간(12)에는 한약재가 담겨져 있는 여러개의 채반(70)들이 수직으로 적층된 상태로 저장된다.The
상기 증숙조(10)의 바닥면에는 온도감지센서(60)가 설치된다. 상기 온도감지센서(60)는 증숙조(10)로 공급된 온수의 온도가 90℃ 이하일때, 제어부로 신호를 출력하여 증숙조(10) 외부 바닥면에 설치되어 있는 증숙히터(62)로 전원을 인가시켜 온수를 가열하여 온수의 온도를 90℃로 유지시키게 된다.The
또한 상기 증숙조(10)의 바닥면 일측에는 비접촉식 수위감지센서(64)가 더 설치된다. 상기 비접촉식 수위감지센서(64)는 온수순환관(34)을 통해 증숙조(10)로 공급되는 온수의 수위를 감지하여 일정량 이상의 온수가 공급되면 제어부로 신호를 출력해 온수공급수단인 호스펌프(32)의 전원을 차단시키게 된다.
In addition, a non-contac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증숙기의 작용을 첨부된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stea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먼저, 한약재인 인삼이 수용된 채반(70)을 증숙조(10)의 저장공간(12)에 수용시킨 상태에서 홍삼으로 제조하고자 할 때에는 수증기를 생성시켜 인삼을 증숙하는 증숙공정과, 증숙된 인삼을 건조시키는 건조공정을 9번에 걸쳐 반복적으로 수행하며 홍삼을 제조하게 된다.First, when manufacturing a red ginseng in a state in which the medicated
즉, 증숙공정은 도 5에서와 같이 본체(20)의 온수탱크(22)에 설치되어 있는 온수히터(24)로 전원을 인가하면 온수탱크(22)에 저장되어 있는 온수는 일정온도, 바람직하게는 90℃의 온도로 가열되어 지고, 가열된 온수는 호스펌프(32)의 구동에 따라 온수순환관(34)을 거쳐 증숙조(10)의 저장공간(12)으로 공급되어 진다. 이때 공급되는 온수의 양은 증숙조(10)에 설치된 비접촉식 수위감지센서(64)가 감지하여 적정량의 온수가 공급되고 나면 제어부로 신호를 출력해 호스펌프(32)의 구동을 정지시키게 된다.That is, in the steaming process,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상기 증숙조(10)로 공급되는 온수는 언급한 바와 같이 이미 온수히터(24)에 의해 이미 90℃의 온도로 가열된 상태에서 공급됨에 따라 종래와 같이 공급된 온수를 별도로 가열할 필요 없이 증숙조(10)로 온수를 공급함과 동시에 수증기를 생성시켜 인삼을 증숙시키게 됨으로서 제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The hot water supplied to the
한편, 증숙과정에서 증숙조(10)로 공급된 온수의 온도가 떨어질 경우에는 온도감지센서(60)가 이를 감지하여 증숙조(10)의 외부 바닥면에 설치되어 있는 증숙히터(62)로 전원을 인가하여 온수를 재차 가열함으로서 온수의 온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수증기를 계속적으로 생성시켜 인삼을 증숙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supplied to the
다음, 증숙공정이 완료되고 나면 호스펌프(32)가 구동하며 온수순환관(34)을 통해 증숙조(10)에 저장된 온수를 펌핑한 다음, 온수탱크(22)로 환수시키게 되고, 이어서 송풍기(36)가 구동하여 외부 공기를 흡입시켜 홍삼으로 건조시키는 건조공정을 거치게 된다.Next, after the steaming process is completed, the
건조공정은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송풍기(36)에서 흡입된 공기는 블로워파이프(42)를 통과한 후, 증숙조(10)의 저장공간(12)으로 공급되는 데, 이때 공기는 상기 블로워파이프(42)의 내부에 설치된 PTC히터(43)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일정온도로 데워진 상태에서 증숙조(10)의 저장공간(12)으로 공급되어 진다.In the drying process, as shown in FIG. 5, the air sucked from the
특히, 공급과정에서 블로우파이프(42)의 출구(42b)에 설치되어 있는 댐퍼(44)가 출구(42b)를 폐쇄시킨 상태에서 공기의 압력으로 출구(42b)를 개방시켜 공기를 증숙조(10)로 공급하게 된다. 즉, 블로워파이프(42)의 출구(42b)를 통과하는 공기는 댐퍼본체(46)의 공기통과공(48)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댐퍼본체(46) 상면에 덮혀져 있는 덮개판(50)을 들어올려 공기통과공(48)을 개방시키게 되고, 이를 통해 가열된 공기는 증숙조(10)의 저장공간(12)으로 공급되어 채반(70)에 수용되어 있는 인삼을 홍삼으로 건조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가열된 공기가 증숙조(10)로 공급됨과 동시에 증숙조(10) 상면에 설치되어 있는 또 다른 댐퍼(44) 역시 구동하며 증숙조(10) 내부의 가열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공기를 계속적으로 순환시켜 가며 홍삼을 건조시키게 된다.In particular, in the supply process, the
상기와 같이 증삼공정 및 건조공정을 9번에 걸쳐 계속적으로 반복시켜 가며 양질의 홍삼을 제조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red ginseng process and the drying process are repeatedly repeated nine times to produce high quality red ginseng.
10: 증숙조 20: 본체
22: 온수탱크 32: 호스펌프
36: 송풍기 42: 블로워파이프
44: 댐퍼 10: steam bath 20: main body
22: hot water tank 32: hose pump
36: blower 42: blower pipe
44: damper
Claims (5)
상기 본체(20) 내부에 설치되며 일정량의 온수를 저장하며 바닥에는 저장된 온수를 가열하는 온수히터(24)가 설치된 온수탱크(22)와;
일단은 상기 온수탱크(22)와 온수공급관(30)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증숙조(10)와 온수순환관(34)으로 연결되어 상기 온수탱크(22)에 저장된 온수를 상기 증숙조(10)로 공급하거나, 상기 증숙조(10)로 공급된 온수를 상기 온수탱크(22)로 환수시키는 호스펌프(32)와;
상기 본체(20) 내부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인가된 전원으로 발열하며 본체(2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기(36)와;
상기 송풍기(36)에 입구(42a)가 연결되고, 출구(42b)는 상기 증숙조(10) 바닥면을 관통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송풍기(36)에서 흡입된 공기를 상기 증숙조(10)로 통과시키는 블로워파이프(42)와;
상기 블로워파이프(42)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블로워파이프(42)를 통과하는 공기를 데워주는 PTC히터(43)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증숙기.
In a steamer including a steamer (10) having a storage space (12) and a main body (20) supporting the steamer (10),
A hot water tank 22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20 to store a predetermined amount of hot water and a hot water heater 24 installed at the bottom to heat the stored hot water;
One end is connected to the hot water tank 22 and the hot water supply pipe 3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steam bath 10 and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34 to store the hot water stored in the hot water tank 22 in the steam bath ( 10) or a hose pump (32) for returning hot water supplied to the steam bath (10) to the hot water tank (22);
A blower (36)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20) and generating heat by power applied from the outside, and sucking air in the main body (20);
The inlet 42a is connected to the blower 36, and the outlet 42b is installed to penetrate the bottom surface of the steam bath 10, and the air sucked from the blower 36 is heated in the steam bath 10. A blower pipe 42 passing through the furnace;
And a PTC heater (43) installed inside the blower pipe (42) to warm air passing through the blower pipe (42).
상기 블로워파이프(42) 출구(42b)에는;
상기 블로워파이프(42) 출구(42b) 상단에 설치되며 중앙으로 공기통과공(48)이 관통 형성된 댐퍼본체(46)와;
상기 댐퍼본체(46) 상면에 덮혀진 상태에서 상기 공기통과공(48)을 통과하는 공기의 압력으로 들려지며 상기 공기통과공(48)을 개방하는 덮개판(50)으로 구성한 댐퍼(44)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증숙기.
The method of claim 1,
At the outlet pipe 42b of the blower pipe 42;
A damper body 46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blower pipe 42 and an outlet 42b and having an air passage hole 48 therethrough;
Damper 44 composed of a cover plate 50 which is lifted by the pressure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air passage hole 48 in the state covered with the damper body 46 and opens the air passage hole 48 is Steamer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상기 온수탱크(22)의 내부에는 온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수온도감지센서(28)와, 온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온수수위감지센서(26)가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증숙기.
The method of claim 1,
Steamer, characterized in that the hot water tank 22, the hot water temperature sensor 28 for detecting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and the hot water level sensor 26 for detecting the level of hot water is further installed.
상기 증숙조(10)에는 온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60)와, 온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비접촉식 수위감지센서(64)가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증숙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steamer (1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emperature sensor 60 for detecting the temperature of hot water, and a non-contact water level sensor (64) for detecting the level of hot water is further installed.
상기 증숙조의 외부 바닥면에는 상기 온도감지센서(60)의 신호에 의해 전원을 인가받아 발열하는 증숙히터(62)가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증숙기.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 steam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am heater (62) is further installed on the outer bottom surface of the steam bath to generate heat by receiving power from the signal of the temperature sensor (60).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00074835A KR101018592B1 (en) | 2010-08-03 | 2010-08-03 | Steam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00074835A KR101018592B1 (en) | 2010-08-03 | 2010-08-03 | Steamer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018592B1 true KR101018592B1 (en) | 2011-03-03 |
Family
ID=43938254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00074835A Active KR101018592B1 (en) | 2010-08-03 | 2010-08-03 | Steame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018592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4188505A (en) * | 2014-09-25 | 2014-12-10 |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 Control method for steam cooking device, and control system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9990022467U (en) * | 1999-02-26 | 1999-07-05 | 이영호 | Double cooking machine |
| KR20040096037A (en) * | 2003-05-07 | 2004-11-16 | 삼성전자주식회사 | Heating cooker |
| KR20060006472A (en) * | 2004-07-16 | 2006-01-19 | 삼성전자주식회사 | Heating cooker |
| JP2008014516A (en) | 2006-07-03 | 2008-01-24 | Sharp Corp | Steam generator and cooking device |
-
2010
- 2010-08-03 KR KR1020100074835A patent/KR10101859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9990022467U (en) * | 1999-02-26 | 1999-07-05 | 이영호 | Double cooking machine |
| KR20040096037A (en) * | 2003-05-07 | 2004-11-16 | 삼성전자주식회사 | Heating cooker |
| KR20060006472A (en) * | 2004-07-16 | 2006-01-19 | 삼성전자주식회사 | Heating cooker |
| JP2008014516A (en) | 2006-07-03 | 2008-01-24 | Sharp Corp | Steam generator and cooking device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4188505A (en) * | 2014-09-25 | 2014-12-10 |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 Control method for steam cooking device, and control system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CN110477761A (en) | A kind of exhaust structure and cooker and its method for exhausting with the structure | |
| KR100927436B1 (en) | Red ginseng drying device for manufacturing red ginseng | |
| BR102014002217B1 (en) | Control method of a vertical axis washing machine | |
| CN102481065A (en) | Automatic steam and drying system for food and medical herbs | |
| CN103504453A (en) | Coffee bean roaster structure and heating module with heat recovery | |
| CN111685577B (en) | Cooking appliance, control method thereof, control device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 |
| KR101018592B1 (en) | Steamer | |
| KR101198338B1 (en) | Device for making fermented food and method using the same | |
| CN206238377U (en) | The fast-drying device of bamboo shoots | |
| CN206390210U (en) | The boiling drying equipment integrating of bamboo shoots | |
| CN204683425U (en) | A kind of aseptic and there is the knife rest of sharpening function | |
| KR101004952B1 (en) | Smoke device | |
| CN108310431A (en) | A kind of steam-type medical apparatus sterilizing case | |
| CN211795801U (en) | Integrated stove with cooking device | |
| CN202204137U (en) | Multifunctional wooden foot bath barrel | |
| CN211482815U (en) | Steam inner loop gas evaporates cabinet | |
| CN206342325U (en) | A kind of steam hot wind mixed type steam box | |
| CN110558831B (en) | Steaming cooking device | |
| CN210247971U (en) | Full-automatic quail hatching device with automatic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 |
| CN209047369U (en) | A kind of tea charcoal roasting machine | |
| CN208300891U (en) | A kind of permeability type prawn machining cooking case | |
| CN220852820U (en) | Gas circulation horseshoe oven | |
| CN207384895U (en) | A kind of hot reflux cycle medicine extraction enrichment facility | |
| CN206390196U (en) | The steaming plant of bamboo shoots | |
| CN218304495U (en) | A steam oven with self-adjusting steam volum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803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0090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80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11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222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2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02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217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2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2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2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22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2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27 Year of fee payment: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3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1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22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22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22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