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1141B1 - Plates for Laminated Heater Cores - Google Patents
Plates for Laminated Heater Cor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11141B1 KR101011141B1 KR1020030055649A KR20030055649A KR101011141B1 KR 101011141 B1 KR101011141 B1 KR 101011141B1 KR 1020030055649 A KR1020030055649 A KR 1020030055649A KR 20030055649 A KR20030055649 A KR 20030055649A KR 101011141 B1 KR101011141 B1 KR 10101114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ead
- beads
- tube
- protruding
- flow path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02—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 F28F3/04—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integral with the element
- F28F3/042—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integral with the element in the form of local deformations of the element
- F28F3/044—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integral with the element in the form of local deformations of the element the deformations being pontual, e.g. dimpl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3/00—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 F28F13/06—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by affecting the pattern of flow of the heat-exchange media
- F28F13/12—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by affecting the pattern of flow of the heat-exchange media by creating turbulence, e.g. by stirring, by increasing the force of circul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75/00—Fastening; Joining
- F28F2275/04—Fastening; Joining by braz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층형 히터코어용 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튜브의 유로상에 비드를 다양한 형태로 형성하여 강도와 내구성을 향상하고 유로내를 흐르는 냉각수를 난류화시키므로서 열교환성능을 향상한 적층형 히터코어용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te for a laminated heater core, and more particularly, to form a bead in various shapes on a flow path of a tube to improve strength and durability, and to improve heat exchange performance by turbulizing cooling water flowing in the flow path. It relates to a plate for a heater core.
이에 본 발명은 컵(113)으로 이루어진 상,하부 탱크(112)(112a); 상기 상,하부 탱크(112)(112a)를 연통하는 유로(114); 상기 유로(114)내를 흐르는 작동유체를 난류화시키기 위해 서로 마주하는 양측면을 각각 내측으로 돌출 형성한 돌출비드(117)와 상기 돌출비드(117) 중 대향하는 비드를 접합한 접합비드(118)로 이루어진 비드열(116)이 유로(114)를 따라 다수열 구비되는 열교환부(115)로 구성된 튜브(110)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and lower tanks 112 and 112a made of a cup 113; A flow passage 114 communicating the upper and lower tanks 112 and 112a; Bonding beads 118 are formed by joining the protruding bead 117, which protrudes inwardly from each other to face each other, and the opposing beads of the protruding bead 117, in order to make the working fluid flowing in the flow passage 114 turbulent. The bead row 116 is formed of a tube 110 consisting of a heat exchange unit 115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ows along the flow path (114).
열교환기, 히터코어, 플레이트, 튜브, 비드Heat Exchanger, Heater Core, Plate, Tube, Bead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히터코어를 나타내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heater cor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히터코어를 나타내는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eater c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히터코어에서 튜브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tube in the heater co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튜브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부분단면도,4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 sectional view showing a tub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에서의 튜브의 비드 배열을 변형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부분단면도,5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ed state of the bead arrangement of the tube in FIG.
도 6은 도 5에서의 튜브의 비드 배열을 변형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부분단면도,6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ed state of the bead arrangement of the tube in FIG.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튜브를 변형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부분단면도,7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ube is deforme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튜브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부분단면도,8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ub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튜브를 변형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부분단면도,9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ube is deforme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튜브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부분단면 도이다.10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ub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Description of Signs of Major Parts of Drawings>
100: 히터코어 101,112: 상부탱크100: heater core 101,112: upper tank
102,112a: 하부탱크 103: 방열핀102, 112a: lower tank 103: heat dissipation fin
104: 사이드서포트 105: 입구파이프104: side support 105: inlet pipe
106; 출구파이프 110: 튜브106; Outlet pipe 110: tube
111,111a: 플레이트 113: 컵111,111a: plate 113: cup
114: 유로 115: 열교환부114: euro 115: heat exchange unit
116,116a,116b,116c: 비드열116,116a, 116b, 116c: bead row
117: 돌출비드 118: 접합비드117: protruding beads 118: bonding beads
120: 장방형비드열 121: 장방형 접합비드120: rectangular bead row 121: rectangular bonded beads
본 발명은 적층형 히터코어용 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튜브의 유로상에 비드를 다양한 형태로 형성하여 강도와 내구성을 향상하고 유로내를 흐르는 냉각수를 난류화시키므로서 열교환성능을 향상한 적층형 히터코어용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te for a laminated heater core, and more particularly, to form a bead in various shapes on a flow path of a tube to improve strength and durability, and to improve heat exchange performance by turbulizing cooling water flowing in the flow path. It relates to a plate for a heater core.
열교환기는 그 내부에 작동유체가 흐를 수 있는 유로를 구비함으로써 작동유체와 외기가 열교환되도록 이루어진 장치로서 각종 공조장치에 사용되며 사용조건 에 따라 핀 튜브 타입, 서펜틴 타입, 드론 컵 타입, 패러렐 플로우 타입 등 여러가지 형식이 사용되고 있다.The heat exchanger is a device that allows the working fluid and the outside air to be exchanged by providing a flow path through which the working fluid flows. It is used in various air-conditioning apparatuses. Many different formats are used.
상기한 열교환기 중에서 냉각수를 작동유체로 사용하는 일반적인 히터코어(1)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하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상,하부 헤더탱크(2)(3)와, 상기 상,하부 헤더탱크(2)(3)가 상호 연통하도록 이들을 연결하는 다수의 튜브(4)와, 상기 튜브(4)들 사이에 각각 개재되는 다수의 방열핀(5)과, 그리고, 상기 상,하부 헤더탱크(2)(3) 중 소정의 위치에 냉각수를 각각 유입하고 배출하도록 연결되는 입,출구 파이프(7)(8)로 이루어진다.In the heat exchanger, a
그리고, 상기 튜브(4)들과 방열핀(5)들을 보강하기 위해 이들의 최외측에 사이드 서포트(6)가 구비된다.And, in order to reinforce the
여기서, 상기 입,출구파이프(7)(8)는 사용목적에 따라 상기 헤더탱크(2)(3)의 다양한 방향에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Here, the inlet and
따라서, 상기 냉각수는 상기 입구파이프(7)를 통해 상기 상부 헤더탱크(2) 내부로 유입되어 충전된 후 상기 튜브(4)들을 통과하면서 상기 하부 헤더탱크(3) 내부로 흘러가게 된다.Therefore, the cooling water flows into the
계속해서, 상기 하부 헤더탱크(3)로 흘러간 냉각수는 상기 출구파이프(8)를 통해 배출되는 것이다.Subsequently, the cooling water flowing into the
아울러, 상기 냉각수는 상기 튜브(4)들을 통과하면서 외부공기와 활발한 열교환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cooling water is to perform an active heat exchange with the outside air while passing through the tubes (4).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히터코어용 튜브(4)는 일정한 길이와 폭을 갖는 평탄 형으로 이루어져 별도의 강도보강을 위한 구조가 없기 때문에 튜브(4)내를 흐르는 냉각수의 압력이 상승할 경우 튜브(4)에 크랙이 발생하는 등 강도 및 내구성이 취약한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heater core tube (4) is made of a flat type having a constant length and width, there is no structure for additional strength reinforcement, so if the pressure of the cooling water flowing in the tube (4) increases, the tube (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strength and durability were weak such as cracks in 4).
또한, 냉각수가 접촉하며 흐르는 상기 튜브(4)의 내측면 역시 평탄면으로 이루어져 열교환효율에 크게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다.In addition, the inner surface of the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튜브의 유로상에 열교환면적을 증가시키고 유동하는 냉각수를 난류화시키기 위해 일정한 형태의 돌출비드들을 일부는 접합하고 일부는 미접합하도록 형성함으로서 플레이트의 강도와 내구성을 향상함과 아울러 열교환성능을 향상한 적층형 히터코어용 플레이트를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is to form a portion of the joint beads, some of which are joined and some of which are not bonded, in order to increase the heat exchange area on the tube flow path and turbulence the flowing cooling water. To improve the strength and durab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provide a plate for laminated heater core with improved heat exchange performanc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컵으로 이루어진 상,하부 탱크; 상기 상,하부 탱크를 연통하는 유로; 상기 유로내를 흐르는 작동유체를 난류화시키기 위해 서로 마주하는 양측면을 각각 내측으로 돌출 형성한 돌출비드와 상기 돌출비드 중 대향하는 비드를 접합한 접합비드로 이루어진 비드열이 유로를 따라 다수열 구비되는 열교환부로 구성된 튜브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made of a cup upper, lower tank; A flow path communicating the upper and lower tanks; In order to turbulize the working fluid flowing in the flow path, a plurality of rows of bead rows are formed along the flow path, including a plurality of bead rows formed by protruding beads formed by protruding inwardly facing each other facing each other and opposing beads among the protruding beads. Characterized in that the tube consisting of a heat exchanger.
또한, 컵으로 이루어진 상,하부 탱크; 상기 상,하부 탱크를 연통하는 유로; 상기 유로내를 흐르는 작동유체를 난류화시키기 위해 서로 마주하는 양측면을 각각 내측으로 돌출하여 접합한 장방형 접합비드로 이루어진 장방형비드열이 상기 유로 를 따라 다수열 구비되는 열교환부로 구성된 튜브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pper and lower tanks made of a cup; A flow path communicating the upper and lower tanks; In order to turbulize the working fluid flowing in the flow path, a rectangular bead row consisting of rectangular joint beads formed by joining protruding inner sides of the two opposite sides, respectively, constitutes a tube composed of heat exchange part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ows along the flow path. do.
또한, 컵으로 이루어진 상,하부 탱크; 상기 상,하부 탱크를 연통하는 유로; 상기 유로내를 흐르는 작동유체를 난류화시키기 위해 서로 마주하는 양측면을 각각 내측으로 돌출 형성한 돌출비드가 교차 반복되는 돌출비드열과 상기 돌출비드를 서로 접합한 접합비드로 이루어진 접합비드열이 상기 유로를 따라 교번적으로 구비되는 열교환부로 구성된 튜브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pper and lower tanks made of a cup; A flow path communicating the upper and lower tanks; In order to make the working fluid flowing in the flow path turbulent, a joint bead row consisting of a projecting bead row in which projecting beads formed by protruding inwardly on both sides facing each other and cross-joint beads and joining beads joining the protruding beads to each other forms the flow path. It characterized by forming a tube consisting of a heat exchanger provided alternately.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종래에 있어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고, 그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The same parts as in the prior art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peat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히터코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히터코어에서 튜브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튜브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부분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의 튜브의 비드 배열을 변형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부분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에서의 튜브의 비드 배열을 변형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부분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튜브를 변형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부분단면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eater c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tube in the heater co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ub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ed state of the bead arrangement of the tube in FIG. 4, FIG. 6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odified state of the bead arrangement of the tube in FIG. A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ube is deforme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히터코어(100)는, 상,하단에 각각 컵(113)으로 이루어진 탱크(112)(112a)를 갖는 다수의 튜브(110)들을 적층하여 상기 각 튜브(110)의 유로(114)와 연통하는 길이방향의 상,하부 탱크(101)(102)를 구비하며, 상기 각 튜 브(110)들 사이에는 열교환을 촉진시키는 방열핀(103)이 개재된다.
그리고, 상기 튜브(110)와 방열핀(103)들을 보강하기 위해 이들의 최외측에는 사이드 서포트(104)가 구비된다.In addition, a
또한, 상기 상,하부 탱크(101)(102)의 일측에는 냉각수를 각각 유입하고 배출할 수 있도록 입,출구 파이프(105)(106)가 구비된다.In addition, inlet and
이렇게 구성된 각 구성품들은 가조립된 상태에서 브레이징 접합되게 된다.Each of these components is brazed in a preassembled state.
상기 튜브(110)는 박판의 플레이트(111)(111a) 두 개가 접합되어 이루어짐과 아울러,The
상,하단에 각각 컵(113)으로 이루어진 상,하부 탱크(112)(112a)가 형성되고, 상기 접합되는 두 개의 플레이트(111)(111a) 내부에 상기 상,하부 탱크(112)(112a)를 연통하는 유로(114)가 형성된다.Upper and
그리고, 상기 유로(114)내를 흐르는 냉각수를 난류화시킴과 동시에 강도와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상기 마주하는 두 개의 플레이트(111)(111a)를 각각 내측으로 돌출되게 엠보싱 성형한 돌출비드(117)와 상기 돌출비드(117) 중 대향하는 비드를 서로 접합한 접합비드(118)로 이루어진 수평방향의 비드열(116)이 상기 유로(114)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열 구비되어 열교환부(115)를 구성한다.In addition, the projecting
이하, 상기 열교환부(115)의 각 비드(117)(118)들의 배열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arrangement of the
먼저, 도 4에서는 상기 두 개의 플레이트(111)(111a) 내측으로 각각 돌출 형성된 돌출비드(117)가 서로 교차되게 형성되고 이들 중 대향하는 비드는 서로 접합 하여 접합비드(118)를 형성하도록 한 것이다.First, in FIG. 4, the
아울러, 상기 각 비드열(116)의 접합비드(118)는 인접하는 다른 비드열(116)의 접합비드(118)와 상호 어긋나는 위치에 배열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즉,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각 비드열(116)의 접합비드(118)는 좌측, 중앙, 우측의 위치에 각각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반복 형성된다.That is, as shown in the drawing, the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은 도 4와 다른 비드 배열구조로서, 상기 각 비드열(116)의 접합비드(118)는 인접하는 다른 비드열(116)의 접합비드(118)와 상호 교번적으로 배열되도록 형성한 것이다.Next, FIG. 5 and FIG. 6 have a bead arrangement different from that of FIG. 4, wherein the
즉, 도 5에서는, 상기 하나의 비드열(116)은 접합비드(118)가 각각 외곽측에 형성되고, 중앙측에는 돌출비드(117)가 서로 교차되게 형성되며, 인접한 다른 비드열(116)은 상기 접합비드(118)가 중앙측에 형성되고 돌출비드(117)는 외곽측에 각각 교차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That is, in FIG. 5, the one
그리고, 도 6에서는, 상기 하나의 비드열(116)은 접합비드(118)가 좌측에 형성되고 우측에는 돌출비드(117)가 서로 교차되게 형성되며, 인접한 다른 비드열(116)은 상기 접합비드(118)가 우측에 형성되고, 좌측에는 돌출비드(117)가 서로 교차되게 형성된 것이다.In FIG. 6, the one
다음으로, 도 7은 앞에서 설명한 원형상의 돌출비드(117) 및 접합비드(118)로 이루어진 다수의 비드열(116) 일측에 두 개의 플레이트(111)(111a)를 내측으로 돌출 성형하여 접합한 장방형접합비드(121)로 이루어진 장방형비드열(120)이 유로(114)를 따라 다수열 더 구비된 것이다.
Next, FIG. 7 is a rectangular shape in which two
즉, 도 4 내지 도 6의 배열구조를 갖는 원형의 비드열(116)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장방형의 접합비드(121)를 더 형성한 것이다.That is, a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튜브(110)를 이루는 플레이트(111)(111a)에 각각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비드(117)와 상기 돌출비드(117) 중 대향하는 비드를 접합한 접합비드(118)로 이루어진 비드열(116)을 일정간격으로 반복 형성함으로서, 상기 튜브(110)의 유로(114)내를 흐르는 냉각수를 난류화시킴과 아울러 열교환면적이 극대화되어 열교환성능이 향상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otruding
즉, 상기 유로(114)내를 흐르는 냉각수는 상기 돌출비드(117) 및 접합비드(118)들을 거치면서 난류화되어 흐르게되고, 또한 상기 돌출된 비드(117)(118)들에 의해 종래의 평탄형 튜브(4:종래) 보다 표면적이 증대되어 열교환성능이 향상되는 것이다.That is, the cooling water flowing in the
아울러, 상기 플레이트(111)(111a)를 내측으로 돌출 성형하여 접합한 접합비드(118)들에 의해 특히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장방형의 접합비드열을 통해 상기 두 개의 플레이트(111)(111a)의 강도 및 내구성이 보다 향상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따라서, 냉각수의 압력이 설정치 이상 상승하더라도 상기 플레이트(111)(111a)의 크랙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even if the pressure of the cooling water rises above the set valu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racks of the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튜브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부분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튜브를 변형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부분단면도로서, 상기한 제 1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8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ub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ed state of the tub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Only the configuration different from th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and repeated description is omitted.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튜브(110)의 유로(114)내를 흐르는 냉각수를 난류화시킴과 동시에 강도와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상기 마주하는 두 개의 플레이트(111)(111a)를 각각 내측으로 돌출되게 성형하여 접합한 장방형 접합비드(121)로 이루어진 장방형비드열(120)이 상기 유로(114)를 따라 다수열 구비되는 것이다.As shown, the two facing
그리고, 상기 장방형비드(121)는 유로(114)를 따라 교번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장방형비드(121)는 상기한 제 1 실시예와 같은 비드배열로 구성 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the
즉, 장방형 비드열(120)에서 일부는 비드를 접합한 장방형 접합비드(121)를 형성하고 일부는 접합하지 않고 교차되게 장방형비드를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That is, some of the
도 9는 상기 장방형 접합비드(121)로 이루어진 장방형비드열(120)의 일측에 상기 플레이트(111)(111a)를 각각 내측으로 돌출하여 접합한 원형 접합비드(118)로 이루어진 비드열(116a)이 유로(114)를 따라 다수열 더 구비된 것이다.9 is a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튜브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부분단면도로서, 상기한 실시예들과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10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ub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nly a different configuration from the above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and repeat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튜브(110)의 유로(114)내를 흐르는 냉각수를 난류화시킴과 동시에 강도와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상기 마주하는 두 개의 플레이트(111)(111a)를 각각 내측으로 돌출되게 성형한 돌출비드(117)가 교차 반복 되어 이루어진 돌출비드열(116b)과 상기 돌출비드(117)를 서로 접합한 접합비드(118)로 이루어진 접합비드열(116c)이 상기 유로(114)를 따라 교번적으로 구비된 것이다.As shown, the two facing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히터코어(100)는 상기 입구파이프(105)로 냉각수가 유입되면 상기 냉각수는 상기 상부탱크(101)에 충전되고, 계속해서 상기 충전된 냉각수는 상기 각 튜브(110)들에 고루 분배되어 튜브(110)의 유로(114)를 따라 유동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이 과정에서 상기 냉각수는 외부 공기와 활발한 열교환을 수행하게 되고 계속해서 상기 하부탱크(102)로 흘러간 후 상기 출구파이프(106)를 통해 배출된다.In this process, the cooling water undergoes active heat exchange with the outside air, and then flows to th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적층형 히터코어용 플레이트의 강도 및 내구성, 그리고 열교환성능을 향상할 수 있도록 상기 플레이트(111)(111a)에 돌출비드(117) 및 접합비드(118)를 형성하고 이들 비드(117)(118)의 형상 및 배열을 상기한 실시예로 구체화하여 설명하였지만,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비드(117)(118)의 형상 및 배열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 내에서 더욱 다양하게 변형 실시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protruding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튜브의 유로내를 흐르는 냉매를 난류화시킴과 아울러 열교환면적이 증가되도록 상기 서로 마주하는 플레이트를 각각 내측으로 돌출 형성한 돌출비드 및 상기 돌출비드의 일부를 접합한 접합비드를 형성함으로서 상기 튜브를 이루는 플레이트의 강도와 내구성이 향상되어 크랙이 방 지되고, 열교환성능은 향상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jecting bead and a part of the protruding bead are formed by protruding the facing plates to each other so as to turbulent the refrigerant flowing in the flow path of the tube and increase the heat exchange area. By forming a bonding bead, the strength and durability of the plate constituting the tube are improved to prevent cracking and heat exchange performance.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30055649A KR101011141B1 (en) | 2003-08-12 | 2003-08-12 | Plates for Laminated Heater Cor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30055649A KR101011141B1 (en) | 2003-08-12 | 2003-08-12 | Plates for Laminated Heater Cores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50017990A KR20050017990A (en) | 2005-02-23 |
| KR101011141B1 true KR101011141B1 (en) | 2011-01-26 |
Family
ID=37227593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30055649A Expired - Fee Related KR101011141B1 (en) | 2003-08-12 | 2003-08-12 | Plates for Laminated Heater Cores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011141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141838B1 (en) * | 2005-05-13 | 2012-05-07 | 한라공조주식회사 | Tube for Heat Exchanging |
| KR101349305B1 (en) * | 2013-05-24 | 2014-01-13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Device for electrowinning rare metals using channelled cell, and method thereof |
| KR101336627B1 (en) * | 2013-05-28 | 2013-12-03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Device for electrowinning europium with channelled cell, and method thereof |
| KR102295491B1 (en) * | 2019-06-13 | 2021-08-30 | 에스티씨 주식회사 | The heat dissipation plate module in which the embossing is formed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7167581A (en) * | 1993-10-22 | 1995-07-04 | Zexel Corp | Tube elements of lamination type heat exchanger |
| KR20010002769A (en) * | 1999-06-17 | 2001-01-15 | 황한규 | Evaporation of airconditioner and processing method |
-
2003
- 2003-08-12 KR KR1020030055649A patent/KR10101114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7167581A (en) * | 1993-10-22 | 1995-07-04 | Zexel Corp | Tube elements of lamination type heat exchanger |
| KR20010002769A (en) * | 1999-06-17 | 2001-01-15 | 황한규 | Evaporation of airconditioner and processing method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50017990A (en) | 2005-02-23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JP3814917B2 (en) | Stacked evaporator | |
| JPH08285407A (en) | Laminated type heat exchanger | |
| JPH06123571A (en) | Heat exchanger | |
| JP3044436B2 (en) | Stacked heat exchanger | |
| JP2887442B2 (en) | Stacked heat exchanger | |
| KR101011141B1 (en) | Plates for Laminated Heater Cores | |
| CN100533046C (en) | plates for heat exchangers | |
| JP2001116485A (en) | Stacked heat exchanger | |
| JP2016161136A (en) | Flat tubes and heat exchangers | |
| KR20090101008A (en) | Stacked Heat Exchanger | |
| KR100528997B1 (en) | Multilayer Heat Exchanger | |
| JP2003343993A (en) | Heat exchanger | |
| JP2018155468A5 (en) | ||
| KR102605805B1 (en) | Laminated type heat exchanger | |
| KR101472778B1 (en) | heat transmitter | |
| KR100819010B1 (en) | heat transmitter | |
| JP3639722B2 (en) | Plate heat exchanger | |
| KR100819011B1 (en) | heat transmitter | |
| KR200363497Y1 (en) | A Fixed-Plate Type Heat Exchanger | |
| KR100506628B1 (en) | Multilayer Heat Exchanger and Manufacturing Method | |
| JPS6242293Y2 (en) | ||
| KR100509638B1 (en) | tube element for laminated type heat exchanger | |
| WO2000040914A1 (en) | Evaporator | |
| JPH08159687A (en) | Heat exchanger | |
| KR200343597Y1 (en) | Laminated heat exchange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26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09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7012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7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