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1709B1 - consent - Google Patents
cons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11709B1 KR101011709B1 KR1020070080904A KR20070080904A KR101011709B1 KR 101011709 B1 KR101011709 B1 KR 101011709B1 KR 1020070080904 A KR1020070080904 A KR 1020070080904A KR 20070080904 A KR20070080904 A KR 20070080904A KR 101011709 B1 KR101011709 B1 KR 10101170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re
- main body
- outlet
- extinguishing
- plu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20—Coupling parts carrying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only to wire or cable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003—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the coupling part being secured only to wires or cabl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7—Flameproof cas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센트에서 누전이나 강한 전압의 인가로 인해 발화가 시작되었을 때, 화재를 조기 진압하기 위한 소화수단을 구비한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utlet having fire extinguishing means for extinguishing a fire prematurely when ignition is started due to a short circuit or application of a strong voltage at the outlet.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는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플러그 단자가 삽입될 수 있는 플러그 삽입구가 마련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플러그 삽입구을 통해 삽입된 플러그 단자가 결합되면 전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전원공급단자와, 상기 본체 또는 상기 본체와 인접한 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전원공급단자에서 스파크가 발생하거나 누전에 의해 화재가 발생하면, 불길을 소화시키는 소화수단을 구비한다.The out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inner space,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plug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plug terminal can be inserted, and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the plug terminal inserted through the plug insertion hole to supply the current It is provided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and the main body or a point adjacent to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fire extinguishing means for extinguishing the flame when a spark occurs in the power supply terminal or a short circuit occurs.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는 콘센트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초기에 진압함으로써 큰 불이 나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안전하게 전기기구를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The out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dvantage of using the electric appliance more safely by preventing a large fire by initially extinguishing the fire occurring in the outlet.
콘센트, 소화, 가스 Outlet, fire hydrant, gas
Description
본 발명은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콘센트에서 누전이나 강한 전압의 인가로 인해 발화가 시작되었을 때, 화재를 조기 진압하기 위한 소화수단을 구비한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utlet,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utlet having fire extinguishing means for extinguishing a fire early when ignition is started due to a short circuit or application of a strong voltage.
일반적으로 가정에는 전기기구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건물의 벽면에 전기기구의 플러그를 삽입할 수 있는 매립형 콘센트가 설치된다. 또한 전기기구의 전선이 콘센트의 설치 위치까지 충분히 연장되지 못하는 경우나, 복수개의 전기기구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멀티 콘센트를 사용하기도 한다.In general, a home is provided with a receptacle for inserting the plug of the appliance to the wall of the building to supply power to the appliance. In addition, the electric wires of the electric appliance may not be extended enough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outlet, or multiple outlets may be used to supply power to a plurality of electric appliances.
한국의 경우 가정으로 공급되는 전원은 통상 정격전압이 220V이며, 정격전류는 10 ~ 50A이다.In Korea, power supplied to homes is usually rated at 220V and rated current is 10-50A.
이러한 콘센트에서의 과전압 또는 누전으로 인해 전기 화재 발생이 발생하는 일이 늘어나고 있다. The occurrence of electric fires is increasing due to overvoltage or short circuit in such an outlet.
따라서 각 가정에서는 누전이 발생하면 전원공급을 차단할 수 있도록 누전차단기를 구비하고 있는데, 이는 누전의 발생시 전원공급을 차단할 수 있으나, 누전이나 과전류에 의해 일단 발화가 된 다음에는 전원의 공급을 차단하더라도 발화된 불길은 꺼지지 않기 때문에 화재 사고로 이어질 위험성이 있다.Therefore, each home is equipped with a circuit breaker to cut off the power supply when a short circuit occurs, which can cut off the power supply when a short circuit occurs. Flames are not extinguished and there is a risk of fire.
따라서 발화가 이루어진 후, 신속하게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콘세트에 소화 기능을 갖는 소화수단이 설치될 필요가 있다.Therefore, after the ignition is made, it is necessary to install a fire extinguishing means having a fire extinguishing function in the conset so as to extinguish the fire quickly.
본 발명은 화재 발생시 신속하게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소화수단을 구비한 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utlet having a fire extinguishing means capable of extinguishing a fire quickly in the event of a fire.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는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플러그 단자가 삽입될 수 있는 플러그 삽입구가 마련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플러그 삽입구을 통해 삽입된 플러그 단자가 결합되면 전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전원공급단자와, 상기 본체 또는 상기 본체와 인접한 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전원공급단자에서 스파크가 발생하거나 누전에 의해 화재가 발생하면, 불길을 소화시키는 소화수단을 구비한다.The out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inner space,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plug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plug terminal can be inserted, and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the plug terminal inserted through the plug insertion hole to supply the current It is provided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and the main body or a point adjacent to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fire extinguishing means for extinguishing the flame when a spark occurs in the power supply terminal or a short circuit occurs.
상기 소화수단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압축용기와, 상기 압축용기에 충진되는 소화가스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압축용기에 결합되며, 일정온도 이상 온도가 상승하면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여 상기 압축용기 내부의 소화가스가 외부로 확산되어 발화지점에 산소공급을 차단케 하는 차단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e extinguishing means is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and is coupled to the compression vessel formed with an opening on one side, the extinguishing gas filled in the compression vessel, and the compression vessel to close the opening, when the temperature rises above a predetermined temperature It is preferable to have a blocking member for opening the opening to diffuse the extinguishing gas inside the compression vessel to the outside to block the oxygen supply to the ignition point.
또한 상기 소화수단은 상기 본체가 장착되는 벽체 또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압축용기와, 상기 압축용기에 충진되는 소화가스와, 상기 압축용기로부터 상기 본체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압축용기에 충진된 소화가스를 배출하는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을 개폐하는 개폐밸브와, 상기 전원공급단자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와, 상기 온도센서와 연결되어 상기 온도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개폐밸브를 개방시켜 상기 소화가스가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제어부와, 상기 배출관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공급단자를 향해 소화가스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압축용기는 상기 소화가스가 배출된 후, 재충진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전원공급단자에 직접 소화가스를 분사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extinguishing means includes a wall on which the main body is mounted or a compression vessel installed in the main body, a digestion gas filled in the compression vessel, and a digestion gas filled in the compression vessel extending from the compression vessel toward the main body. A discharge pipe for discharging, an on / off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pipe, a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power supply terminal, and the temperature sensor are connected to open the open / close valve according to a detection signal of the temperature sensor to extinguish the gas. And a spray nozzle connected to an end of the discharge pipe to inject extinguishing gas toward the power supply terminal, wherein the compressed container is to be refilled after the extinguishing gas is discharged. It is formed to be, The injection nozzle is to be able to inject the extinguishing gas directly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It is preferable to extend to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는 콘센트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초기에 진압함으로써 큰 불이 나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안전하게 전기기구를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The out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dvantage of using the electric appliance more safely by preventing a large fire by initially extinguishing the fire occurring in the outlet.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10)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콘센트(10)는 하부본체(11)와, 하부본체(11)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본체(17)와, 하부본체(11)의 내부에 설치되는 전원공급단자(15)와, 화재 발생시 불길을 소화시키기 위한 소화수단(20)을 구비한다.The
하부본체(11)는 소정의 내부공간을 가지며, 일측에는 전력선(13)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12)이 형성되어 있어서, 전력선(13)이 관통홀(12)을 통해 하부본체(11)의 내부공간으로 연결되어 있다. 하부본체(11)의 내부 일측에는 설치대(14)가 마련되어 있는데, 이는 후술하는 소화수단(20)의 압축용기(21)를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 원형의 압축용기(21)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압축용기(21)가 원통형이 아닌 다각기둥 형상인 경우에는 설치대(14)가 압축용기(21)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압축용기(21)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ower
전원공급단자(15)는 하부본체(11)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는데, 상기 전력선(1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부에 플러그의 삽입단자가 접촉하는 플러그 끼움부(16)가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 삽입단자가 양측 플러그 끼움부(16)에 끼워지면 통전이 되어 전기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The
상부본체(17)는 하부본체(11)의 상부에 결합되며 플러그를 장착할 수 있는 플러그 장착부분(18)이 상면에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2구 콘센트(10)가 적용되었기 때문에 전원공급부가 두 쌍의 플러그 끼움부(16)를 가지며, 상부본체(17)에도 두 개의 플러그 장착부분(18)이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필요에 따라서 플러그를 삽입할 수 있는 플러그 끼움부(16)와, 플러그 장착부분(18)을 가감할 수도 있다.The
소화수단(20)은 콘센트(10) 내부에서 화재 발생시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부본체(11)의 내부공간에 마련된 상기 설치대(14)에 설치된다. 소화수단(20)은 압축용기(21)와, 압축용기(21)에 충진되는 소화가스와, 압축용기(21)를 개폐하는 차단부재(23)를 구비한다.The fire extinguishing means 20 is for extinguishing a fire when a fire occurs in the
압축용기(21)는 하부본체(11)의 내부에 내장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며, 내부에 소화가스가 충진 될 수 있는 충진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압축용기(21)의 일측 에는 화재 발생시 소화가스가 외부로 분출될 수 있는 개구부(22)가 마련되어 있는데, 이 개구부(22)는 차단부재(23)에 의해 폐쇄된다.
차단부재(23)는 개구부(22)를 폐쇄하여 소화가스가 압축용기(21) 내부에 충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화재 발생시 소화가스가 외부로 확산될 수 있도록 개구부(22)를 개방한다. The blocking
본 실시예에서는 차단부재(23)로서 폴리스틸렌 수지가 적용되었다. 폴리스티렌 수지는 100℃ 이상에서 부드러워지고 185℃ 정도가 되면 점성의 액체가 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화재 발생시 불길의 온도에 의해 녹으면서 개구부(22)를 개방해 소화가스가 외부로 확산될 수 있게 한다. 차단부재(23)는 상온에서는 압축용기(21)의 개구부(22)를 안정적으로 폐쇄하지만, 화재 발생시 개구부(22)를 신속하게 개방하여 소화가스가 외부로 분출되게 할 수 있다면 이 외에도 다양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polystyrene resin is applied as the blocking
소화가스는 콘센트(10)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화재 발생 지역에 산소가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여 소화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압축용기(21) 내부에 압축하여 충진한다.The fire extinguishing gas is to extinguish the fire by blocking the supply of oxygen to the fire generating area when a fire occurs in the
본 실시예의 소화가스는 할론가스가 적용되었다. 할론가스는 브롬계열의 원소를 함유한 소화제용 가스인데, 프레온가스와 비슷한 물질로, 프레온가스에 함유된 염소 대신 같은 할로겐족 원소인 브롬이 함유되어 있다. 소화 성능이 뛰어나며 대상물을 더럽히지 않는 특성이 있어 특수한 용도의 소화기용 소화제로 많이 사용된다. 특히, 할론-1301은 컴퓨터실·은행금고실·위험물저장고·전차·잠수함의 소 화제, 미사일의 마찰방지제로 사용된다.As the digestive gas of this embodiment, halon gas was applied. Halon gas is a fire extinguishing gas containing a bromine-based element, similar to Freon gas, and contains a bromine, the same halogen group element, instead of chlorine contained in Freon gas. It has excellent extinguishing performance and does not pollute the object, so it is widely used as a fire extinguisher for special purposes. In particular, halon-1301 is used as a computer room, bank safe, dangerous goods storage, tank, submarine fire extinguisher, and missile antifriction agent.
압축용기(21)에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으로 할론가스가 충진되어 있으므로 화재 발생으로 차단부재(23)가 녹아 개구부(22)가 개방되면 할론가스는 압축용기(21)의 외부로 분출되며, 화재발생영역에 산소가 공급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소화시킬 수 있다. 특히 할론가스는 인체에 무해하므로, 소화를 위해 분출되었을 때, 할론가스가 인체에 해를 입힐 위험이 없으므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Since the
소화가스는 할론가스 외에도 이산화탄소와 같이 발화지점의 산소 공급을 차단할 수 있으며, 인체에 무해한 다른 종류의 가스가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o halon gas, the extinguishing gas may block the supply of oxygen at the ignition point, such as carbon dioxide, and other kinds of gases that are harmless to the human body may be applied.
소화수단(20)은 필요에 따라 콘센트(10) 내부에 여러 개가 설치될 수도 있으며, 압축용기(21)의 크기도 소화 성능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Fire extinguishing means 20 may be installed in the
도 3에는 소화수단(25)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3 shows another embodiment of a fire extinguishing means 25.
본 실시예의 소화수단(25)은 내부에 소정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에 개구부(29)가 형성된 제1, 제2 충진용기(26,27)와, 상기 제1, 제2 충진용기(26,27)의 개구부(29)를 차단하는 차단부재(28)와, 제1, 제2 충진용기(26,27)에 각각 충진되며, 접촉하였을 때, 화학작용으로 거품을 생성하는 황산알루미늄 수용액과 탄화수소나트륨을 포함한다.The fire extinguishing means 25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predetermined space formed therein, and the first and
차단부재(28)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차단부재(23)와 같이 화재 발생시 불길의 온도에 의해 녹아 제1, 제2 충진용기(26,27)의 개구부(29)를 개방할 수 있는 폴리스틸렌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화재 발생시 제1, 제2 충진용기(26,27)가 개방되면 각각의 충진용기에 충진되어 있던 황산알루미늄 수용액과 탄 화수소나트륨이 제1, 제2 충진용기(26,27)로부터 배출되어 콘센트(10) 내부에서 접촉하게 된다. 황산알루미늄 수용액과 탄화수소는 화학반응을 통해 거품을 형성하게 되고, 이 거품이 발화지점에 산소가 공급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소화시키게 된다.The blocking
도 4 내지 도 6에는 벽체(113)에 고정되는 콘센트(100)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4 to 6 show a second embodiment of the
본 실시예의 콘센트(100)는 벽체(113)에 형성된 장착홈(114)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전기기기의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는 플러그삽입구(111)가 마련된 커버(110)와, 상기 장착홈(114)에 설치되며, 상기 플러그삽입구(111)를 통해 삽입된 플러그 단자가 결합되면 전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전원공급단자(112)와, 상기 전원공급단자(112)에서 스파크 또는 화재 발생시, 불길을 소화시키기 위한 소화수단(120)을 구비한다.The
본 실시예의 콘센트(100)는 소화수단(120)을 제외하면 일반적인 건물의 벽면에 설치된 콘센트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소화수단(120)은 전원공급단자(112)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온도센서(128)와 이 온도센서(128)의 감지정보에 따라 불길을 소화시키도록 형성되어있다.The
소화수단(120)은 내부공간을 갖는 케이스(121)와, 상기 케이스(121)의 내부에 설치되는 충진용기(123)와, 충진용기(123)에 충진된 소화가스의 배출을 제어하는 개폐밸브(126)와, 개폐밸브(126)를 개폐하는 제어부(127) 및 제어부(12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온도센서(128)를 포함한다.The
케이스(121)는 커버(11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벽체(113)에 고정되며 소정의 내부공간을 갖는다. 케이스(121)의 전면에는 회동 가능한 개폐도어(122)가 설치되어 있어서 케이스(121)의 내부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The
충진용기(123)는 상기 케이스(121)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내부에 소화용 가스가 충진된다. 충진용기(123)는 재충전할 수 있는 주입구(124)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소화가스가 배출된 뒤에도 케이스(121)를 비롯한 충진용기(123)에 손상이 없을 때에는 주입구(124)를 통해 소화가스를 재충진함으로써 재사용이 가능하다. Filling
충진용기(123)의 일측에는 충진용기(123)에 충진된 소화가스가 배출되는 배출관(125)이 연장되어 있으며, 배출관(125)에는 개폐밸브(126)가 장착되어 있다. 개폐밸브(126)는 배출관(125)을 통해 충진가스가 충진용기(123)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고 있다가 화재 발생시 배출관(125)을 개방하여 소화가스가 전원공급부의 화재를 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One side of the filling
충진용기(123)에 충진되는 소화가스는 상기 제1 실시예의 소화가스와 마찬가지로 하론 가스 또는 이산화 탄소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the extinguishing gas filled in the filling
상기 개폐밸브(126)는 제어부(127)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부(127)는 케이스(121)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전원공급단자(112)와 인접하게 설치되는 온도센서(128)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있어서, 이 온도센서(128)의 감지정보에 따라 개폐밸브(126)를 작동시킨다. 즉, 온도센서(128)에서 설정된 일정수준 이상의 온도가 감지되면, 화재발생상황으로 인지하고 개폐밸브(126)를 개방하여 소화가스가 분사되도록 한다.The open /
온도센서(128)는 전원공급단자(112)와 인접하게 설치되며, 전원공급단 자(112)에 화재가 발생할 때, 고열에 의해 파손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제어부(127)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제작되어, 온도센서(128)가 화재에 의해 파손될 경우, 제어부(127)에 온도센서(128)만 교체함으로써 케이스(121)와 충진용기(123), 개폐밸브(126) 및 제어부(127)는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배출관(125)의 단부에는 분사노즐(129)이 설치되어 있어서, 배출관(125)을 통해 배출되는 소화가스는 분사노즐(129)을 통해 외부로 분사된다. 소화가스는 콘센트(100)를 향해 분사됨으로써 화재 발생지점의 산소 공급을 차단하여 소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출관(125)이 케이스(121)의 측면을 통해 하방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와는 달리 케이스(121)의 하부에 다수개의 분사노즐(129)이 설치되고, 각각의 분사노즐(129)이 배출관(125)과 연결되어 있어서, 복수개의 분사 노즐에서 일시에 소화가스를 분사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도시된 것과는 달리 분사노즐(129)은 전원공급단자(112)에 소화가스를 직접 분사할 수 있도록 장착홈(114)에 인입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소화가스가 화재 발생지점에 직접 분사되기 때문에 보다 확실한 소화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Unlike shown, the
본 발명의 콘센트는 콘센트에서의 화재발생시 화재를 콘센트 내부에서 소화함으로써, 대형 화재로 이어질 우려를 줄여줄 수 있으므로 각 가정용 또는 산업용 콘센트에 직접 이용될 수 있어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The outle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risk of leading to a large fire by extinguishing the fire inside the outlet when a fire occurs in the outlet, so that it can be used directly in each household or industrial outlet, there is industrial applicabilit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분리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n out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소화수단을 도시한 부분 발췌 사시도,Figure 2 is a partial excerpt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re extinguishing means of Figure 1,
도 3은 소화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ire extinguishing means;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n out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의 소화수단을 도시한 부분발췌 사시도,Figure 5 is a partial excerpt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re extinguishing means of Figure 4,
도 6은 도 4의 콘센트가 벽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utlet of FIG. 4 is installed on a wall;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콘센트 11; 하부본체 10;
15; 전원공급단자 17; 상부본체15;
20; 소화수단 21; 압축용기20; Extinguishing means 21; Compression container
22; 개구부 23; 차단부재22;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70080904A KR101011709B1 (en) | 2007-08-10 | 2007-08-10 | consent |
| PCT/KR2008/004671 WO2009022838A2 (en) | 2007-08-10 | 2008-08-11 | Socket outle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70080904A KR101011709B1 (en) | 2007-08-10 | 2007-08-10 | consent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90056970A Division KR20090079183A (en) | 2009-06-25 | 2009-06-25 | Receptacl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90016346A KR20090016346A (en) | 2009-02-13 |
| KR101011709B1 true KR101011709B1 (en) | 2011-01-28 |
Family
ID=40351293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70080904A Expired - Fee Related KR101011709B1 (en) | 2007-08-10 | 2007-08-10 | consent |
Country Status (2)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011709B1 (en) |
| WO (1) | WO2009022838A2 (en) |
Cited By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618788B1 (en) | 2014-05-19 | 2016-05-09 |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 Outle having extinguishing device |
| KR20170027963A (en) | 2015-09-03 | 2017-03-13 |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 Extinguisher cover placed on power socket for rapid fire suppression |
| KR102249270B1 (en) | 2019-12-16 | 2021-05-07 | 이진국 | Safety multi-tap equipped with a fire extinguisher |
| KR102293864B1 (en) * | 2021-04-16 | 2021-08-26 | (주)파이터코리아 | Safe multiple-tap |
| KR102385894B1 (en) * | 2021-08-18 | 2022-04-12 | (주)파이터코리아 | Electric wall outlet equipped with fire auto-extinguishing stick |
| KR20220139550A (en) | 2021-04-08 | 2022-10-17 | (주)수 | Outlet guard with fire spread prevention and initial fire suppression functio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4934765A (en) * | 2015-06-30 | 2015-09-23 | 张建生 | A universal plug provided with a self-fire-extinguishing safety apparatus and used for a welding gun |
| GB2572810B (en) | 2018-04-12 | 2021-10-13 | Charles Freeman Kenneth | Fire-safety device and system |
| KR200494085Y1 (en) * | 2020-04-13 | 2021-07-28 | 이주빈 | Electric outlet system for installing furniture |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810346A (en) * | 1994-06-30 | 1996-01-16 | Sony Corp | Extinguishing of electronic equipment and mounting device of extinguisher |
| JP2001319743A (en) | 2000-05-10 | 2001-11-16 | Fukadac Kk | Receptacle |
| KR20040016819A (en) * | 2000-11-10 | 2004-02-25 | 에이디씨 텔레커뮤니케이션스 인코포레이티드 | Telecommunications jack subassembly |
| KR200416819Y1 (en) * | 2006-03-02 | 2006-05-22 | 조봉기 | electrical switchboard fire extinguishing device |
| KR20060117411A (en) * | 2005-05-10 | 2006-11-17 | 우선전기(주) | Generation distribution board with fire extinguisher |
Family Cites Familie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316817Y1 (en) * | 2003-03-11 | 2003-06-18 | 김성훈 | Disposable fire extinguisher |
| KR100509232B1 (en) * | 2003-05-02 | 2005-08-22 |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 Automatic fire extinguisher for electric distributing board and electric panel |
-
2007
- 2007-08-10 KR KR1020070080904A patent/KR10101170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8
- 2008-08-11 WO PCT/KR2008/004671 patent/WO2009022838A2/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810346A (en) * | 1994-06-30 | 1996-01-16 | Sony Corp | Extinguishing of electronic equipment and mounting device of extinguisher |
| JP2001319743A (en) | 2000-05-10 | 2001-11-16 | Fukadac Kk | Receptacle |
| KR20040016819A (en) * | 2000-11-10 | 2004-02-25 | 에이디씨 텔레커뮤니케이션스 인코포레이티드 | Telecommunications jack subassembly |
| KR20060117411A (en) * | 2005-05-10 | 2006-11-17 | 우선전기(주) | Generation distribution board with fire extinguisher |
| KR200416819Y1 (en) * | 2006-03-02 | 2006-05-22 | 조봉기 | electrical switchboard fire extinguishing device |
Cited By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618788B1 (en) | 2014-05-19 | 2016-05-09 |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 Outle having extinguishing device |
| KR20170027963A (en) | 2015-09-03 | 2017-03-13 |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 Extinguisher cover placed on power socket for rapid fire suppression |
| KR102249270B1 (en) | 2019-12-16 | 2021-05-07 | 이진국 | Safety multi-tap equipped with a fire extinguisher |
| KR20220139550A (en) | 2021-04-08 | 2022-10-17 | (주)수 | Outlet guard with fire spread prevention and initial fire suppression function |
| KR102293864B1 (en) * | 2021-04-16 | 2021-08-26 | (주)파이터코리아 | Safe multiple-tap |
| KR102385894B1 (en) * | 2021-08-18 | 2022-04-12 | (주)파이터코리아 | Electric wall outlet equipped with fire auto-extinguishing stick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WO2009022838A3 (en) | 2009-05-07 |
| KR20090016346A (en) | 2009-02-13 |
| WO2009022838A2 (en) | 2009-02-19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011709B1 (en) | consent | |
| JP6103887B2 (en) | Power storage system | |
| KR101734514B1 (en) | Extinguisher cover placed on power socket for rapid fire suppression | |
| KR102143237B1 (en) | Automatic diffusion fire extinguisher | |
| EP3773937B1 (en) | Fire-safety device and system | |
| KR20180010798A (en) | Automatic fire extinguisher apparatus for restaurant hood | |
| KR20090079183A (en) | Receptacle | |
| KR102026969B1 (en) | Automatic fire extinguisher | |
| CN205303978U (en) | Block terminal that possesses electric work ability of putting out a fire and autotomy | |
| KR101719492B1 (en) | Thermal sensitiv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 |
| KR100509232B1 (en) | Automatic fire extinguisher for electric distributing board and electric panel | |
| JP6430308B6 (en) | Sprinkler fire extinguishing system | |
| US7231988B2 (en) | Fire protection device for domestic appliances | |
| KR101527747B1 (en) | Fire-extinguishing device for built-in wall | |
| ES2338410T3 (en) | INSTALLATION OF FIRE PROTECTION AND FIRE EXTINGUISHING FOR WATER APPLIANCES. | |
| KR100784980B1 (en) | Automatic fire extinguisher with starting head using planar heating element | |
| KR20120121593A (en) | Condensed aerosol fire extinguisher of multi actuators type | |
| JP3162290U (en) | Tracking fire extinguishing device | |
| KR20060039611A (en) | Injection head of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for electric switchboard and panel | |
| KR100832857B1 (en) | Detonator using planar heating element and starting head of fire extinguisher | |
| KR200475363Y1 (en) | A fire extinguishing device of sandwiche panel | |
| KR20000003124U (en) | Automatic Fire Extinguisher for Gas Range | |
| JP2020020942A (en) | Fire extinction experience device | |
| KR20100000568U (en) | Sprinkler fire extinguisher | |
| JP2006212205A (en) | Gas equipment and its fire extinguishing system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St.27 status event code: N-2-6-B10-B15-exm-PE0601 |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 AMND | Amendment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8-div-PA0107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6-div-PA0107 |
|
| PJ0201 |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3-3-V10-V11-apl-PJ0201 |
|
| PB0901 |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St.27 status event code: A-6-3-E10-E12-rex-PB0901 |
|
| E801 |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 ||
| B601 |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
| PB0601 |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St.27 status event code: N-3-6-B10-B17-rex-PB06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625 Effective date: 20100930 |
|
| PJ1301 | Trial decision |
St.27 status event code: A-3-3-V10-V15-crt-PJ1301 Decision date: 20100930 Appeal event data comment text: Appeal Kind Category :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ppeal Ground Text : 2007 0080904 Appeal request date: 20090625 Appellate body name: Patent Examination Board Decision authority category: Office appeal board Decision identifier: 2009101005859 |
|
| PS0901 |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6-3-E10-E12-rex-PS0901 |
|
| S901 |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 ||
| GRNO |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 ||
| PS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mand of revo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3-4-F10-F13-rex-PS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4012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40125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