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3733B1 - Reservoir with improved reinforcement - Google Patents
Reservoir with improved reinforce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13733B1 KR101013733B1 KR1020100088525A KR20100088525A KR101013733B1 KR 101013733 B1 KR101013733 B1 KR 101013733B1 KR 1020100088525 A KR1020100088525 A KR 1020100088525A KR 20100088525 A KR20100088525 A KR 20100088525A KR 101013733 B1 KR101013733 B1 KR 10101373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servoir
- wall
- panel
- edge portion
- wat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4—Linings
- B65D90/041—Rigid liners fixed to the container
- B65D90/042—Rigid liners fixed to the container fixed pointwise or linewise
- B65D90/043—Rigid liners fixed to the container fixed pointwise or linewise the liners being in the form of tiles or panel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1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water supply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7/00—Construction or assembling of bulk storage containers employing civil engineering techniques in situ or off the site
- E04H7/02—Containers for fluids or gases; Supports therefor
- E04H7/18—Containers for fluids or gases; Supports therefor mainly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선된 보강구조를 갖는 저수조에 관한 것으로 콘크리트로 제작되는 저수조를 보강토록 하기 위하여, 저수조의 내측벽에 다수 부착되어 내측벽 전체를 덮도록 구성되어지되 각각 사각판체 형태로 형성되고 그 각 테두리부가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호 마주하는 테두리부 끼리 결합되며 사각판체 상에는 내측벽 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반구 형태의 수압지지홈이 형성되는 벽체판넬과, 상기 저수조의 바닥부 일측 모서리부에 함몰 형성되며, 저수조의 외부와 연통설치된 배수관이 구비되는 집수부와, 상기 바닥부에 다수 부착되어 바닥부를 덮도록 구성되어지되 각각 사각판체 형태로 형성되는 바닥판넬과, 상기 저수조의 바닥부에 형성되며 상기 집수부와 연결되어 잔류수가 유입되도록 함몰 형성되는 배수로와, 상기 배수로에 삽입되어 상판이 바닥부와 수평 일치되어지되 상판에 다수 배수홀이 형성되는 배수판넬로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servoir having an improved reinforcement structure, in order to reinforce a reservoir made of concrete, and is attached to a plurality of inner walls of the reservoir to cover the entire inner wall, each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and each The edges are bent to the outside and the edges facing each other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wall panel is formed with a hemispherical hydraulic support groove is formed on the square plate to the inner wall side, and formed in the bottom portion of the bottom of the water tank, A water collecting part having a drain pipe installed in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of the water collecting part, and a bottom panel formed to be attached to the bottom part to cover the bottom part, each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and formed at the bottom of the water reservoir, The drainage passage is connected to the recess to be formed so that the residual water is introduced, and the top plate is inserted into the drainage passage. It consists of a drain panel which is horizontally aligned with the bottom but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drain holes in the top plate.
Description
본 발명은 저수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콘크리트로 제작되는 저수조의 라이닝 판넬 및 배수구조를 개선하여 저수조를 보강토록 하는 개선된 보강구조를 갖는 저수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servoir, in particular to a reservoir having an improved reinforcement structure to reinforce the reservoir by improving the lining panel and drainage structure of the reservoir made of concrete.
일반적으로 정수장, 배수지, 침전지, 여과지, 상수도 시설 등에 사용되어 지는 대형 저수조는 콘크리트를 사용한 구조물로 형성되는데 이렇게 제작된 저수조는 콘크리트 등에 포함된 유해물질이 물에 녹아들게 되고 이 물이 얼고 녹음의 반복에 따라 쉽게 균열이 발생하게 되어 이를 통해 지속적인 누수와 세균 침투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여 음용수로서 부적합하게 된다.In general, large water tanks used in water purification plants, drainage basins, sedimentation basins, filter papers, and tap water facilities are formed of concrete-based structures.The water reservoirs are made by dissolving harmful substances in concrete and freezing the water. According to this, cracks are easily generated, which causes problems such as continuous leakage and bacterial penetration, making them unsuitable as drinking water.
이에 저수조에는 방수 라이닝 작업을 하게 되는데 종래의 저수조에는 콘크리트 구조물 내벽면으로부터 이격시켜 거푸집을 고정 설치하고, 구조물의 내벽과 거푸집 사이에 철근을 배근하여 레미콘을 타설한 후 거푸집을 제거하고 그 표면에 방수시공을 하거나 방수성을 띠는 내부 마감재(판넬 등)로 마감하여 사용되어지거나, 저수조의 내벽면에 라이닝부재를 직접 고정하여 사용되어지고 있다.In this case, the water tank is waterproof lining work, and in the conventional water tank, it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concrete structure to fix the formwork, and reinforces the steel between the inner wall and the formwork of the structure. It is used for construction or finishing with waterproof interior finishes (panels, etc.), or it is used to directly fix the lining member on the inner wall of the reservoir.
하지만 이와 같이 구조물 내벽면에 방수시공 또는 판넬 등을 부착하여 사용하거나 라이닝부재를 직접 고정하여 사용하게 되면 저수조가 노후됨에 따라 본체를 이루는 콘크리트가 갈라지거나 부서지면서 판넬 또는 라이닝 부재가 구조물에서 쉽게 이탈될 위험이 발생하게 되므로 라이닝 효과가 상실되고 이에 경제적인 손실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when the waterproofing or panel is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the structure or the lining member is directly fixed to the inner wall, the concrete forming the main body may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structure due to the cracking or breaking of the concrete. Since there is a risk that the lining effect is lost and there was a problem that causes economic losses.
또한 저수조의 바닥부에 결로수 등의 잔류수가 남게 되면 이로 인해 바닥부에 부식이 발생하게 되므로 배수관을 별도로 벽체에 형성하고 있지만, 상기 잔류수 등이 완벽하게 배수되지 못하므로 저수조에 보관된 물의 오염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정기적인 바닥부 청소시에도 불리한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f residual water such as condensation water is left at the bottom of the reservoir, corrosion is generated at the bottom, thereby forming a drainage pipe separately on the wall, but since the residual water is not completely drained, the water is stored in the reservoir. Will result. In addition, there was a disadvantage in regular floor cleaning.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벽체의 라이닝 효과가 뛰어나면서 바닥부에 잔류수가 남지 않으면서도 청소가 용이하도록 하는 개선된 보강구조를 갖는 저수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o provide a reservoir having an improved reinforcing structure to facilitate the cleaning without remaining water at the bottom while excellent lining effect of the wall. There is this.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제작되는 보강구조를 갖는 저수조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의 내측벽에 다수 부착되어 내측벽 전체를 덮도록 구성되어지되 각각 사각판체 형태로 형성되고 그 각 테두리부가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호 마주하는 테두리부 끼리 결합되며 사각판체 상에는 내측벽 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반구 형태의 수압지지홈이 형성되는 벽체판넬과, 상기 저수조의 바닥부 일측 모서리부에 함몰 형성되며, 저수조의 외부와 연통설치된 배수관이 구비되는 집수부와, 상기 바닥부에 다수 부착되어 바닥부를 덮도록 구성되어지되 각각 사각판체 형태로 형성되는 바닥판넬과, 상기 저수조의 바닥부에 형성되며 상기 집수부와 연결되어 잔류수가 유입되도록 함몰 형성되는 배수로와, 상기 배수로에 삽입되어 상판이 바닥부와 수평 일치되어지되 상판에 다수 배수홀이 형성되는 배수판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보강구조를 갖는 저수조를 제공한다.In order to realiz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orage tank having a reinforcement structure manufactured using concrete, a plurality of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the reservoir is configured to cover the entire inner wall, each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And the respective edges are bent to the outside to be coupled to each other facing each other and the wall panel is formed with a hemispherical hydraulic support groove is formed in the inner wall side on the square plate body, and formed in the bottom corner of the bottom of the reservoir And a collecting part having a drain pipe installed in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of the reservoir, and a plurality of bottom parts attached to the bottom part to cover the bottom part, each being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and formed at the bottom of the reservoir. A drainage channel connected to a collecting part and recessed to allow residual water to flow therein; It provides a reservoir having an improved reinforcemen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top plate is horizontally matched with the bottom portion, but made of a drain panel in which a plurality of drain holes are formed in the top plate.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개선된 보강구조를 갖는 저수조는 콘크리트로 제작된 기존 저수조 또는 새로 시공되는 저수조 어디에라도 시공이 가능하며 벽체에 부착되는 벽체판넬을 정확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고 저수조의 크기에 관계없이 그 내부에 존재하는 수압에 견디기 유리하며 벽체가 부식되더라도 벽체판넬에 영향을 끼치지 않으므로 사용수명이 길며 잔보수가 필요 없는 이점이 있다.The reservoir having an improved reinforcemen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structed anywhere in the existing reservoir or newly constructed reservoir made of concrete, and can fix the wall panel attached to the wall in the correct position and the size of the reservoir. Regardless, it is advantageous to withstand the water pressure existing inside, and even if the wall is corroded, it does not affect the wall panel, so it has a long service life and requires no maintenance.
또한 바닥부에 배수로를 형성하고 배수로에 배수판넬을 구비하여 바닥부의 표면과 수평되도록 설치함으로써 바닥에 존재하는 결로수 등의 잔류수가 바닥체에 남지 않고 배수로를 통해 집수부로 유입되기 유리한 이점이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a drainage path at the bottom and having a drainage panel at the bottom, the drainage path is installed to be flush with the surface of the bottom, so that residual water such as condensation water present at the bottom does not remain at the bottom and flows into the water collecting part through the drainage path. .
또한 이로 인해 청소시 집수부만 관리하면 되므로 관리 및 보수, 유지가 유리한 이점이 있다.In addition, because of this, only the water collecting part needs to be managed during cleaning, which is advantageous in terms of management, maintenance, and maintenanc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개선된 보강구조를 갖는 저수조의 내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부 단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벽체판넬의 상호 결합을 알 수 있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벽체판넬의 내측벽 결합을 알 수 있는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닥판넬의 바닥부 결합을 알 수 있는 단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배수로와 배수판넬의 구조를 알 수 있는 단면 사시도이다.1 is an internal perspective view of a reservoir having an improved reinforcemen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utual coupling of the wall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that can know the inner wall coupling of the wall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that can be seen the bottom portion coupling of the bottom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drainage channel and the drainage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6을 함께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의한 개선된 보강구조를 갖는 저수조는, 저수조(2)의 내측벽(3)에 설치되는 벽체판넬(10)과, 저수조(2)의 바닥부(4)에 형성되는 집수부(20)와, 바닥부(4)에 구비되는 바닥판넬(30)과, 바닥부(4)에 형성되며 집수부(20)와 연결되는 배수로(40)와, 배수로(40)에 삽입되는 배수판넬(50)로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ures 1 to 6 together with a reservoir having an improved reinforcemen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저수조(2)는 주로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제작되는 대형 저수조(2)에 적용된다.The
상기 저수조(2)의 내측벽(3)에 부착 설치되는 벽체판넬(10)은 그 내측벽(3)마다 다수 부착되어 내측벽(3) 전체를 덮도록 구성되며, 그 각각은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사각판체(11) 형태로 형성되고 그 사각판체(11)의 각 테두리부(12)가 외측으로 절곡 형성되며, 상호 마주하는 테두리부(12)를 통해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The
벽체판넬(10)의 테두리부(12)에는 다수의 체결공(13)이 형성되어 그 체결공(13)을 통해 벽체판넬(10) 상호간에 피스(67) 결합이나 용접 등으로 결합이 이루어진다.A plurality of
벽체판넬(10)은 내부식성 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 스틸재로 제작되며, 벽체판넬(10)의 사각판체(11) 상에는 저수조(2)의 내측벽(3) 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수압지지홈(15)이 형성된다.The
저수조(2) 내에는 적어도 수톤 이상의 물이 저장되는데 그 수압을 견디기 위해 상기 수압지지홈(15)이 형성된다. 그 수압지지홈(15)은 도 2에서처럼 수압을 지지하기 유리한 구조의 만곡진 반구 형태로 사각판체(11) 상의 일부에 형성되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At least several tons of water are stored in the
상기 저수조(2)는 주로 직육면체 형태로 제작되고, 그 내부에 4곳의 내측벽(3)이 형성된다. 그 각각의 내측벽(3)마다 설치되는 벽체판넬(10)은 그 표면측인 사각판체(11)가 수직면으로 일치되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한데, 저수조(2)의 내벽이 완벽한 평면이 이루어지기 곤란하므로 사각판체(11)들의 전체 표면을 수직면으로 일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맨 상부에 위치되는 벽체판넬(10)의 상측 테두리부(12)의 상부에 “ㄱ”자 형태의 브라켓(60)을 내측벽(3)에 고정시킨 다음 벽체판넬(10)을 그 브라켓(60)에 고정되도록 한다.The
이때 브라켓(60)은 내측벽(3)에 고정되고, 브라켓(60)의 수평부에 벽체판넬(10)의 거리를 조절하여 용접 또는 체결함으로써 벽체판넬(10) 상호간의 표면을 일치시킬 수 있다. 이때 브라켓(60)에 벽체판넬(10)을 용접할 수 있으나, 벽체판넬(10)을 그 위치에 유지시킨 상태에서 용접작업이 힘이 들므로 브라켓(60)에 벽체판넬(1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도 2에서와 같이 브라켓(60)의 수평부에는 저수조(2)의 내측으로 향하는 거리조절용 장공(61)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되는 벽체판넬(10)의 상측 테두리부(12)에는 체결공(13)을 형성하여 피스(67)로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상기 체결공(13)은 벽체판넬(10)의 테두리부(12)에 형성된 체결공(13)을 그대로 이용하여도 되고, 별도의 체결공(13)을 형성하여도 된다.The
상기 브라켓(60)을 수평위치 되게 내측벽(3)의 상부에 피스(67) 등을 이용하여 고정시킨 다음 벽체판넬(10)을 브라켓(60)에 고정시킨다. 이때 벽체판넬(10)의 하측부가 내측벽(3)에서 일정하게 위치되지 못하기 때문에 하측 테두리부(12)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도 2에서와 같이 하측 테두리부(12)의 내측에 고정용 브라켓(65)이 접하도록 내측벽(3)에 고정용 브라켓(65)을 고정 설치한 다음 고정용 브라켓(65)의 수평부 하측면에 벽체판넬(10)의 하측 테두리부(12) 상측면이 접하도록 하여 용접 등을 통하여 고정시킨다.The
상기와 같이 하면 내측벽(3)의 맨 상단에 위치되는 벽체판넬(10)을 수직면으로 일치되게 설치할 수 있고, 그 하단에 위치되는 벽체판넬(10)은 상단 벽체판넬(10)과 용접 등을 통하여 일체 결합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다단 설치할 수 있다. 이때 맨 하단에 위치되는 벽체판넬(10)에도 그 벽체판넬(10)의 상측 또는 하측 테두리부(1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측에 고정용 브라켓(65)을 설치하여 고정시키면 되고, 하측 테두리부(12)를 바닥부(4)에 고정시켜도 무방하다. 상기 고정용 브라켓(65)에 의해 저수조(2)의 내측벽(3)에 벽체판넬(10)이 더욱 확고히 고정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한편 바닥부(4)에는 결로수 등의 잔류수가 남지 않도록 집수 및 배수시설을 구비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1 및 도 6에서와 같이 먼저 저수조(2)의 바닥부(4) 일측에 집수부(20)를 함몰 형성한다.On the other hand, the
집수부(20)는 특히 바닥부(4)의 모서리부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유리하며, 집수부(20)에는 저수조(2)의 외부와 연통되는 배수관(23)이 구비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집수부(20)에 모인 저장수를 배출시키게 된다.The
상기 집수부(20) 부분을 제외한 바닥부(4)에는 그 바닥부(4)를 덮도록 다수의 바닥판넬(30)을 구비 부착한다.The
바닥판넬(30)은 평판 형태로 구성하여도 되나, 상기한 벽체판넬(10)과 같은 구조의 사각판체(31) 형태에 각 테두리부(32)를 바닥부(4) 측으로 절곡 형성하여 마주하는 각 테두리부(32)끼리 용접이나 피스 체결등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한다.The
상기 바닥판넬(30)은 사각판체(31)의 보강을 위해 사각판체(31) 상에 저수조(2)의 내부 공간측으로 만곡지게 돌출되는 보강부(35)가 형성되게 함으로써 바닥판넬(30)의 자체 보강이 이루어진다.The
또한 바닥판넬(30)은 상기 벽체판넬(10)에서와 같이 저수조(2)의 바닥부(4)에 부착된 “ㄱ”자 형태의 브라켓(70)에 테두리부(32)의 내측면이 고정되도록 하여 바닥을 이루는 다수의 바닥판넬(30)의 전체표면이 수평면으로 일치되게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브라켓(70)의 수직부에는 저수조(2)의 내측으로 향하는 거리조절용 장공(71)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되는 바닥판넬(30)의 테두리부(32)에는 체결공(33)을 형성하여 바닥부(4)에 위치되는 바닥판넬(30)의 사각판체(31) 전체표면을 수평면으로 일치되게 구성된다.In addition, the vertical portion of the
이때 브라켓(70)의 수직부에는 저수조(2)의 내측으로 향하는 거리조절용 장공(71)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바닥판넬(30)의 테두리부(32)에는 체결공(33)이 형성되어 바닥부(4)에 위치되는 바닥판넬(30)의 사각판체(31)의 전체 표면을 수평면으로 일치시키기 유리하도록 구성한다.At this time, the vertical portion of the
브라켓(70)은 바닥판넬(30)의 정확한 위치를 잡아주는 역할을 겸비한다.Bracket 70 serves to hold the correct position of the bottom panel (30).
집수부(20)에 잔류수 등이 집수되도록 저수조(2)의 바닥부(4)에는 집수부(20)와 연결되도록 배수로(40)를 형성한다. 배수로(40)는 도 1에서와 같이 바닥부(4)의 모서리부, 중앙부 등에 형성되도록 하여 바닥부(4)에 잔류수가 남지 않고 배수로(40)로 유입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바닥부(4)는 배수로(40)측 또는 집수부(20)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A
상기 배수로(40)에는 배수판넬(50)을 삽입하여 사용한다. 배수판넬(50)은 벽체판넬(10)과 동일하게 스테인리스 스틸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배수판넬(50)의 상판(51)이 바닥부(4)와 수평 일치되게 위치되거나, 바닥부(4)보다 조금 아래 위치되어지도록 함이 배수 구조상 바람직하다. 또한 배수판넬(50)의 상판(51)에는 다수 배수홀(53)이 형성된다.The
더욱 상세하게는 도 6에서처럼 배수로(40)는 그 단면이“”형태로 형성되게 하고, 배수판넬(50)은 배수로(40)에 삽입되는 크기의 “”단면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6, the
이와 같이 콘크리트 저수조(2) 내에 벽체판넬(10), 바닥판넬(30) 및 배수판넬(50)과 같은 보강구조를 구성하게 되면 저수조(2)의 크기가 대형화되더라도 그 수압을 견디기 유리하게 되고, 바닥부(4)에 잔류수가 남지 않게 되므로 수질이 개선되는 등의 유리한 점이 있다.As such, when the reinforcing structures such as the
2 : 저수조 3 : 내측벽
4 : 바닥부 10 : 벽체판넬
11,31 : 사각판체 12,32 : 테두리부
13,33 : 체결공 15 : 수압지지홈
20 : 집수부 23 : 배수관
30 : 바닥판넬 35 : 보강부
40 : 배수로 50 : 배수판넬
51 : 상판 53 : 배수홀
60,65,70 : 브라켓 61,71 : 장공
62,72 : 통공 67 : 피스2: reservoir 3: inner wall
4: bottom part 10: wall panel
11,31:
13,33: fastener 15: hydraulic support groove
20: collecting part 23: drain pipe
30: bottom panel 35: reinforcement
40: drainage channel 50: drainage panel
51: top plate 53: drainage hole
60,65,70:
62,72: through-hole 67: piece
Claims (10)
상기 저수조(2)의 내측벽(3)에 부착되어 내측벽 전체를 덮도록 사각판체(11) 형태로 형성되고, 사각판체(11)의 각 테두리부(12)가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호 마주하는 각 테두리부(12)에 형성된 체결공(13)을 통해 벽체판넬(10) 상호간에 피스(67) 또는 용접 결합되며, 사각판체(11) 상에는 내측벽 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반구 형태의 수압지지홈(15)이 형성되는 다수의 벽체판넬(10)과;
상기 저수조(2)의 바닥부(4) 일측 모서리부에 함몰 형성되며, 저수조(2)의 외부와 연통설치된 배수관(23)이 구비되는 집수부(20)와;
상기 바닥부(4)에 부착되며, 사각판체(31) 형태로 형성되고, 그 사각판체(31) 상에 저수조(2)의 내부 공간측으로 만곡 돌출되는 보강부(35)가 형성되며, 사각판체(31)의 각 테두리부(32)가 바닥부(4) 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각 테두리부(32)의 내측면에 형성된 다수 체결공(33)에 의해 상호 마주하는 테두리부(32)를 피스(67) 또는 용접으로 결합하는 다수의 바닥판넬(30)과;
상기 저수조(2)의 바닥부(4)에 단면이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집수부(20)와 연결되어 잔류수가 유입되도록 형성되는 배수로(40)와;
상기 배수로(40)에 삽입되어 상판(51)이 바닥부(4)와 수평되게 단면이 “”형태로 형성되며, 상판(51)에 다수 배수홀(53)이 형성되는 배수판넬(50)과;
상기 벽체판넬(10)의 상측 테두리부(12)의 상부에 고정 위치되어 저수조(2)의 내측벽(3)에 고정 부착되는 “ㄱ”자 형태로 형성되며, 수평부에는 저수조(2)의 내측으로 향하는 거리조절용 장공(61)이 형성되어 상기 벽체판넬(10)의 상측 테두리부(12)의 체결공(13)에 체결됨으로써 동일 내측벽(3)에 위치되는 상기 벽체판넬(10)의 다수 사각판체(11) 전체 표면을 수직면으로 일치되게 하는 브라켓(60)과;
상기 벽체판넬(10)의 하측 테두리부(12) 내측에 구비되어 저수조(2)의 내측벽(3)에 벽체판넬(10)을 고정하는 고정용 브라켓(65)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보강구조를 갖는 저수조.In a reservoir having a reinforcement structure manufactured using concrete,
It is attached to the inner wall (3) of the reservoir (2)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plate body 11 to cover the entire inner wall, each edge portion 12 of the square plate body 11 is bent to the outside to face each other Through the fastening hole 13 formed in each of the edges 12, the wall panel 10 between the pieces 67 or welded to each other, the hemispherical hydraulic support groove formed on the square plate 11 recessed toward the inner wall side ( A plurality of wall panels 10 formed with 15);
A water collecting part 20 formed in a bottom portion 4 of one side of the water storage tank 2 and having a drain pipe 23 installed in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of the water storage tank 2;
It is attached to the bottom portion 4, is formed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plate body 31, a reinforcement portion 35 is formed on the rectangular plate body 31 to be curved protruding toward the inner space side of the reservoir 2, the rectangular plate body Each edge portion 32 of the 31 is bent toward the bottom portion 4 side and the edge portion 32 facing each other by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33 formed on the inner side of each edge portion 32 is piece ( 67) or a plurality of bottom panels 30 to be joined by welding;
The bottom portion 4 of the reservoir 2 has a cross section “ It is formed in the form of ', the drainage passage 40 is connected to the collecting portion 20 is formed so that the residual water flows;
The cross section is inserted into the drainage path 40 so that the top plate 51 is horizontal with the bottom part 4. It is formed in the form of ', the drain panel 5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drain holes 53 in the upper plate 51;
It is formed in the shape of the "b"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edge portion 12 of the wall panel 10 is fixed to the inner wall (3) of the reservoir (2),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reservoir (2) A long hole 61 for inward direction adjustment is formed to be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13 of the upper edge portion 12 of the wall panel 10 so that the wall panel 10 is located on the same inner wall 3. A bracket 60 for making the entire surface of the plurality of square plates 11 coincide with each other in a vertical plane;
The wall panel 10 is provided with a fixing bracket 65 which is provided inside the lower edge portion 12 and fixes the wall panel 10 to the inner wall 3 of the water storage tank 2. Reservoir with reinforcement structure.
상기 바닥판넬(30)은,
저수조(2)의 바닥부(4)에 부착된 “ㄱ”자 형태의 브라켓(70)에 테두리부(32)가 고정되게 하여 바닥을 이루는 다수의 바닥판넬(30)의 전체 표면이 수평면으로 일치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보강구조를 갖는 저수조.The method of claim 1,
The bottom panel 30,
The entire surface of the plurality of bottom panels 30 forming the bottom coincide with the horizontal plane by fixing the edge portion 32 to the “70” shaped bracket 70 attached to the bottom portion 4 of the reservoir 2. A reservoir with an improved reinforcemen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상기 브라켓(70)의 수직부에는 저수조(2)의 내측으로 향하는 거리조절용 장공(71)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바닥판넬(30)의 테두리부(32)에는 체결공(33)이 형성되어 바닥부(4)에 위치되는 바닥판넬(30)의 사각판체(31)의 전체 표면을 수평면으로 일치시키기 유리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보강구조를 갖는 저수조.10. The method of claim 9,
In the vertical portion of the bracket 70, a long hole 71 for adjusting the distance to the inside of the reservoir 2 is formed, and a fastening hole 33 is formed in the edge portion 32 of the bottom panel 30 corresponding thereto. A reservoir with an improved reinforcemen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advantageously match the entire surface of the rectangular plate body 31 of the bottom panel 30 located in the bottom part 4 in a horizontal plane.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00088525A KR101013733B1 (en) | 2010-09-09 | 2010-09-09 | Reservoir with improved reinforcem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00088525A KR101013733B1 (en) | 2010-09-09 | 2010-09-09 | Reservoir with improved reinforcement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013733B1 true KR101013733B1 (en) | 2011-02-14 |
Family
ID=43777293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00088525A Expired - Fee Related KR101013733B1 (en) | 2010-09-09 | 2010-09-09 | Reservoir with improved reinforcement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013733B1 (en) |
Cited By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893097B1 (en) * | 2018-05-17 | 2018-08-29 | (주)솔방이엔지 | water tank be easy to condensation |
| US10366797B2 (en) | 2015-09-17 | 2019-07-30 |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and monitoring leakage of water from tank liner |
| KR102086786B1 (en) | 2019-09-11 | 2020-03-09 | 주식회사 영성위아 | Reinforcing methods of water storage tank inner surface using metal panels and polyurea |
| KR102409419B1 (en) | 2022-03-24 | 2022-06-14 | 심성구 | Drainage Foundation Wall Structure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356088B1 (en) * | 1999-09-04 | 2002-10-12 | 주식회사 현대석재앙카시스템 | Upwardly and downwardly precise controllable apparatus of bracket for fixing stone |
| KR100407498B1 (en) * | 2002-02-21 | 2003-12-01 | 조연섭 | device for waterproofing of concrete water tank |
| KR100453944B1 (en) * | 2002-06-17 | 2004-10-26 | 주식회사 피엘테크코리아 | method for manufacture of panel water tank and structure for panel water tank |
| KR100950222B1 (en) * | 2010-02-08 | 2010-03-29 | (주)동명산업 | Lining sheet for water proof concrete tank, lining apparatus for concrete tank and method for constructing lining for concrete wall |
-
2010
- 2010-09-09 KR KR1020100088525A patent/KR101013733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356088B1 (en) * | 1999-09-04 | 2002-10-12 | 주식회사 현대석재앙카시스템 | Upwardly and downwardly precise controllable apparatus of bracket for fixing stone |
| KR100407498B1 (en) * | 2002-02-21 | 2003-12-01 | 조연섭 | device for waterproofing of concrete water tank |
| KR100453944B1 (en) * | 2002-06-17 | 2004-10-26 | 주식회사 피엘테크코리아 | method for manufacture of panel water tank and structure for panel water tank |
| KR100950222B1 (en) * | 2010-02-08 | 2010-03-29 | (주)동명산업 | Lining sheet for water proof concrete tank, lining apparatus for concrete tank and method for constructing lining for concrete wall |
Cited By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10366797B2 (en) | 2015-09-17 | 2019-07-30 |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and monitoring leakage of water from tank liner |
| KR101893097B1 (en) * | 2018-05-17 | 2018-08-29 | (주)솔방이엔지 | water tank be easy to condensation |
| KR102086786B1 (en) | 2019-09-11 | 2020-03-09 | 주식회사 영성위아 | Reinforcing methods of water storage tank inner surface using metal panels and polyurea |
| KR102409419B1 (en) | 2022-03-24 | 2022-06-14 | 심성구 | Drainage Foundation Wall Structure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0905432B1 (en) | Connecting structure of sump | |
| KR101013733B1 (en) | Reservoir with improved reinforcement | |
| US8720723B2 (en) | Modular rainwater storage tank system | |
| KR101893097B1 (en) | water tank be easy to condensation | |
| US1972513A (en) | Drain inlet | |
| KR101422783B1 (en) | Storage tank with lining panel | |
| KR100978244B1 (en) | Water tank for union type pannel | |
| KR101087644B1 (en) | Storage tank wall structure structure with integral structure | |
| KR100734047B1 (en) | Sump structure and its installation process | |
| KR101219326B1 (en) | High strength panel of synthetic resin material | |
| WO2007016721A1 (en) | Storage of water, rainwater or grey water or other liquids beneath a concrete floor slab | |
| KR200433220Y1 (en) | Sump structure | |
| KR100992934B1 (en) | Panel for water tank production and water tank using it | |
| KR100949071B1 (en) | Pannel unit for lining and water tank using the same | |
| KR101800545B1 (en) | Rainwater reservoir | |
| KR101371151B1 (en) | Valve Room | |
| KR101799872B1 (en) | Eco friendly edge protector for harbor facility | |
| KR101256570B1 (en) | Using stainless panel as a concrete water tank and its construction methods | |
| KR100821742B1 (en) | Sidewall Reinforced Sump Structure | |
| KR102754146B1 (en) | Drains with improved waterproof junction | |
| CN208329716U (en) | A kind of assembled integral vacuum toilet | |
| KR101706134B1 (en) | Elevator Pit Structure with Waterproof Function | |
| KR100950223B1 (en) | Under structure for sectional water tank | |
| CN208533581U (en) | A kind of basement inwall waterproof construction | |
| KR200425710Y1 (en) | Manhole Protection of Storage Tanks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5020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50202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