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6111B1 - Interchangeable lenses for quasi-expert camera - Google Patents
Interchangeable lenses for quasi-expert camera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26111B1 KR101026111B1 KR1020090032568A KR20090032568A KR101026111B1 KR 101026111 B1 KR101026111 B1 KR 101026111B1 KR 1020090032568 A KR1020090032568 A KR 1020090032568A KR 20090032568 A KR20090032568 A KR 20090032568A KR 101026111 B1 KR101026111 B1 KR 10102611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ns
- whole
- refractive power
- convex
- object sid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64—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more than six component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18—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with lenses having one or more non-spherical faces, e.g. for reducing geometrical aberration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2—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G02B5/23—Photochromic filter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2—Diaphrag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준전문가용 카메라 교환렌즈 광학계에 관한 것으로서, 물체측에 볼록면을 형성하고 상측으로는 오목면을 형성하며 전체적으로 양의 굴절력을 갖는 제1렌즈와; 물체측에 볼록면을 형성하고 상측으로는 오목면을 형성하며 전체적으로 음의 굴절력을 갖는 제2렌즈와; 물체측에 볼록형 비구면을 형성하고 상측으로 오목형 비구면을 형성하며 전체적으로 음의 굴절력을 갖는 제3렌즈와; 물체측에 오목 또는 볼록의 비구면을 형성하고 상측으로는 볼록의 비구면을 형성하며 전체적으로 양의 굴절력을 갖는 제4렌즈와; 상측으로 볼록면을 형성하며 전체적으로 양의 굴절력을 갖는 제5렌즈, 물체측으로 오목면을 형성하며 전체적으로 음의 굴절력을 갖는 제6렌즈, 전체적으로 양의 굴절력을 갖는 제7렌즈가 순차적으로 상호 접합되는 트리플릿구조의 구면접합렌즈군과; 비구면으로 이루어진 제3렌즈와 제4렌즈의 사이에 배치되며, 제3렌즈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선택적으로 수렴하는 조리개를 포함하는 기술구성이 개시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mi-professional camera interchangeable lens optical system, comprising: a first lens having a convex surface on an object side, a concave surface on an image side, and having positive refractive power as a whole; A second lens having a convex surface on an object side and a concave surface on an image side, and having a negative refractive power as a whole; A third lens having a convex aspherical surface on the object side, a concave aspherical surface on the image side, and having a negative refractive power as a whole; A fourth lens having a concave or convex aspherical surface on the object side and a convex aspherical surface on the image side and having positive refractive power as a whole; A triplet in which convex surfaces are formed on the image side and a fifth lens having a positive refractive power as a whole, a concave surface is formed on the object side, a sixth lens having a negative refractive power as a whole, and a seventh lens having a positive refractive power as a whole. A spherical spherical lens group having a structure; Disclosed is a technical configuration including an aperture disposed between an aspherical third lens and a fourth lens and selectively converging light incident from the third lens.
카메라, DSLR, 교환렌즈, 하이엔드, 초광각, 밝은 렌즈, 비구면, 트리플릿(triplet), 아포크로맷(apochromat) Camera, DSLR, Interchangeable Lens, High End, Ultra Wide, Bright Lens, Aspheric, Triplet, Apochromat
Description
본 발명은 준전문가용 카메라 교환렌즈 광학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유도가 큰 비구면의 사용과 구면의 트리플릿(triplet) 구조에 의한 특성을 최대한 활용함으로써 동일한 렌즈배열의 구성으로 쓰임새가 전혀 다른 초광각 광학계와 밝기가 좋은 표준 광학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경제성 있는 광학엔진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준전문가용 카메라 교환렌즈 광학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mi-professional camera interchangeable lens optical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ultra wide angles of which the use of the same lens array is completely different by maximi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herical triplet structure and the use of a large degree of freedom aspherical surfa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mi-professional camera interchangeable lens optical system that enables the use of an optical system and a standard optical system with good brightness to realize an economical optical engine.
일반적으로 디지털카메라는 렌즈를 교환하는 DSLR(교환렌즈식) 카메라와, 상기 DSLR 카메라와 유사한 외형으로 수동 기능과 줌 성능을 강화시킨 하이엔드(1000만 화소 이상) 디지털카메라와, 휴대와 조작이 간편해 가장 대중적으로 사용되는 컴팩트 디지털카메라로 크게 구분되며, 하이엔드와 DSLR이 결합된 유형도 있다.In general, digital cameras are DSLR (exchangeable lens type) cameras that exchange lenses, high-end digital cameras (more than 10 million pixels) that enhance the manual function and zoom performance with appearance similar to the DSLR cameras, and are easy to carry and operate. It is largely divided into the most popular compact digital camera, and there is a combination of high-end and DSLR.
이때, 교환렌즈를 사용하는 DSLR(렌즈교환식) 카메라는 전문가용으로 렌즈의 종류에 따라 광각, 표준, 준망원, 망원, 줌, 컨버터 광학계 등이 있고, 전통적으로 CCD 촬상소자를 이용한 CCD 카메라를 사용하는데 최근 들어서는 제품의 가격대가 좀 더 경제적으로 바뀌면서 CMOS 촬상소자를 이용한 CMOS 카메라들도 속속 출시되고 있다.At this time, DSLR (lens interchangeable) camera using interchangeable lens is for professional use. There are wide angle, standard, semi-telephoto, telephoto, zoom, and converter optical system according to the type of lens. In recent years, as the price of the product has changed more economically, CMOS cameras using CMOS imagers are being introduced one after another.
또한, 기존의 디지털카메라에 사용되는 교환렌즈 광학계는 시장의 특성상 대단히 복잡하고 가격대 또한 높게 형성되어 있었으나, 시장이 점점 커지면서 사용자들의 영역이 전문가에서 일반인으로 넓어지고 있고, 이에 상응하게 카메라업체도 시장을 다각화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점점 휴대하기 편하도록 소형화하고 있다.In addition, the interchangeable lens optical system used in the existing digital cameras was very complicated and the price range was formed very high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rket, but as the market became larger, the range of users is expanding from the experts to the general public. We are trying to diversify and miniaturizing to make it more portable.
나아가, 시장의 여러 업체들이 렌즈를 교환할 수 있는 전문가용 DSLR 카메라의 영역과 대중적으로 사용되는 일반 컴팩트 디지털카메라와의 영역을 허물려고 수많은 시도를 하고 있다.In addition, many companies in the market are making numerous attempts to break down the realm of professional DSLR cameras that can exchange lenses and the common compact digital cameras that are popular.
하지만, 공교롭게도 이에 상응하는 작은 형태의 소형으로 단순하면서도 성능이 좋은 교환렌즈의 개발이 아직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카메라 공급자와 더불어 일반인의 사용자 또한 상기한 교환렌즈의 사용을 원하고 있어 이에 상응하도록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Unfortunately, the development of interchangeable lenses that are simple and high in performance with their small size and small size has not been achieved yet, and users of the general public as well as camera suppliers also want to use the interchangeable lenses. It is required.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도 사용할 수 있고 컴팩트하면서도 성능이 좋은 교환렌즈를 제공하도록 하되, 자유도가 큰 비구면의 사용과 구면의 트리플릿(triplet) 구조에 의한 특성을 최대한 활용함으로써 동일한 렌즈배열의 구성으로 쓰임새가 전혀 다른 초광각 광학계와 밝기가 좋은 표준 광학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준전문가용 카메라 교환렌즈 광학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o provide an interchangeable lens that can be used by non-professional general public, but also compact and good performance, the use of aspherical surface with large degree of freedom and spherical triplet structur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mi-professional camera interchangeable lens optical system that can be used as a standard optical system with good brightness and a very wide-angle optical system that is completely used in the same lens array by maximizing the characteristics of
즉, 본 발명은 당해 관련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가장 일반화 되어 쓰이는 화각의 40~60도 전후의 화각을 갖고 구경비(F/#)가 2.0 이하인 매우 밝은 표준렌즈와, 화각이 110도가 넘지만 어안타입(Fisheye-type)과 같은 왜곡(Optical Distortion)을 전혀 갖고 있지 않는 초광각렌즈의 쓰임새가 전혀 다른 두 영역을 동일한 렌즈배열 구성으로 두 영역에 모두 다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경제성 있는 광학엔진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준전문가용 카메라 교환렌즈 광학계를 제공하는데 있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a very bright standard lens having an angle of view of about 40 to 60 degrees of the field of view commonly used in the related art and having an aperture ratio (F / #) of 2.0 or less, and an angle of view of more than 110 degrees, but a fisheye type ( The ultra wide-angle lens that does not have any optical distortion such as fisheye-type can be used in both areas with the same lens array configuration, and economical optical engine can be implemented. To provide a semi-professional camera interchangeable lens optical system.
본 발명은 물체측에 볼록면을 형성하고 상측으로는 오목면을 형성하며 전체적으로 양의 굴절력을 갖는 제1렌즈와; 물체측에 볼록면을 형성하고 상측으로는 오목면을 형성하며 전체적으로 음의 굴절력을 갖는 제2렌즈와; 물체측에 볼록형 비구면을 형성하고 상측으로 오목형 비구면을 형성하며 전체적으로 음의 굴절력을 갖는 제3렌즈와; 물체측에 오목 또는 볼록의 비구면을 형성하고 상측으로는 볼록의 비구면을 형성하며 전체적으로 양의 굴절력을 갖는 제4렌즈와; 상측으로 볼록면을 형성하며 전체적으로 양의 굴절력을 갖는 제5렌즈, 물체측으로 오목면을 형성하며 전체적으로 음의 굴절력을 갖는 제6렌즈, 전체적으로 양의 굴절력을 갖는 제7렌즈가 순차적으로 상호 접합되는 트리플릿구조의 구면접합렌즈군과; 비구면으로 이루어진 제3렌즈와 제4렌즈의 사이에 배치되며, 제3렌즈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선택적으로 수렴하는 조리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ght emitting device comprising: a first lens having a convex surface on an object side and a concave surface on an image side and having positive refractive power as a whole; A second lens having a convex surface on an object side and a concave surface on an image side, and having a negative refractive power as a whole; A third lens having a convex aspherical surface on the object side, a concave aspherical surface on the image side, and having a negative refractive power as a whole; A fourth lens having a concave or convex aspherical surface on the object side and a convex aspherical surface on the image side and having positive refractive power as a whole; A triplet in which convex surfaces are formed on the image side and a fifth lens having a positive refractive power as a whole, a concave surface is formed on the object side, a sixth lens having a negative refractive power as a whole, and a seventh lens having a positive refractive power as a whole. A spherical spherical lens group having a structure; It is disposed between the third lens and the fourth lens consisting of an aspherical surfa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perture for selectively converging the light incident from the third lens.
본 발명은 동일한 렌즈배열을 가지고 매우 컴팩트한 교환렌즈를 구성 및 초광각 형성으로 도시건물이나 풍경사진 등에 적합한 초광각 광학계를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때로는 매우 밝은 렌즈로 언제 어디서나 사용 및 실내외 상관없이 인물촬영에 적합한 밝기가 좋은 표준 광학계를 구현할 수 있는 등 쓰임새가 전혀 다른 두 영역에 활용할 수 있어 경제성있는 광학엔진을 구현할 수 있으며, 광학성능을 좋게 하면서도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도 사용할 수 있는 교환렌즈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able to implement an ultra-wide optical system suitable for urban buildings or landscape photography by constructing a very compact interchangeable lens with the same lens array and forming an ultra-wide angle, but also sometimes a very bright lens, suitable for portrait shooting anytime, anywhere, indoor or outdoor. It can be applied to two completely different areas, such as realizing a standard optical system with high brightness, and can realize an economical optical engine, and can provide interchangeable lenses that can be used by non-professional users while improving optical performance.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 및 도표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h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준전문가용 카메라 교환렌즈 광학계는 초광각을 형성하기 위한 렌즈배열을 갖는 구성으로, 2매의 비구면렌즈(30)(40)와 3매의 트리플릿(triplet) 구조를 갖는 구면접합렌즈(50)(60)(70)를 포함하여 7매로 형성되는 렌즈계 및, 조리개(8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1, the semi-professional camera interchangeable lens optical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ens array for forming an ultra wide angle, and includes two
상기 렌즈계는 물체측에 볼록면(R1)을 형성하고 상측으로는 오목면(R2)을 형 성하며 전체적으로 양의 굴절력을 갖는 제1렌즈(10)와; 물체측에 볼록면(R3)을 형성하고 상측으로는 오목면(R4)을 형성하며 전체적으로 음의 굴절력을 갖는 제2렌즈(20)와; 물체측에 볼록형 비구면(R5)을 형성하고 상측으로는 오목형 비구면(R6)을 형성하며 전체적으로 음의 굴절력을 갖는 제3렌즈(30)와; 물체측과 상측 모두에 볼록형 비구면(R7)(R8)을 형성하며 전체적으로 양의 굴절력을 갖는 제4렌즈(40)와; 물체측에 평면(R9)을 형성하고 상측으로는 볼록면(R10)을 형성하며 전체적으로 양의 굴절력을 갖는 제5렌즈(50), 물체측에 오목면(R11)을 형성하고 상측으로는 평면(R12)을 형성하며 전체적으로 음의 굴절력을 갖는 제6렌즈(60) 및, 물체측에 평(R13)을 형성하고 상측으로는 볼록면(R14)을 형성하며 전체적으로 양의 굴절력을 갖는 제7렌즈(70)가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순차 배열되어 상호 접합되는 트리플릿(triplet) 구조의 구면접합렌즈군으로 구성된다.The lens system includes a
상기 제1렌즈(10)는 최외곽에 배치되어 노출되는 렌즈로 일반인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준전문가용으로 적합하도록 강한 렌즈를 적용함이 바람직한데, 환경변화에 강한 크라운(crown)계열의 렌즈를 사용하거나 또는 강도가 매우 우수한 플린트-크라운(flint-crown)계열의 렌즈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비구면으로 형성되는 제3렌즈(30) 및 제4렌즈(40)는 글라스몰딩프레스(GMP; 유리에 열을 가해 성형하는 방식)로 성형한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글라스몰딩성형을 통해 렌즈계의 전체적인 두께를 줄일 수 있어 소형화를 구현할 수 있고 고화질의 광학성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되며 매우 낮은 온도에서 성형하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렌즈의 양산시 문제되는 변형 및 스트레스 등의 사안들 을 최소화할 수 있어 양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Preferably, the
여기서, 상기 제3렌즈(30)는 초저분산렌즈로 구성함이 바람직한데 일본 수미타글라스(sumita glass)사의 PG325모델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4렌즈(40)는 일본 수미타글라스(sumita glass)사의 PSK100모델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상기 제5렌즈(50) 내지 제7렌즈(70)에 의한 트리플릿(triplet) 구조의 구면접합렌즈군은 3개의 렌즈를 조합시켜 빛의 3가지 파장에 대한 색수차를 없앨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화소를 가능하게 하는 매우 유용함을 발휘하게 되고, 이는 여러 광원의 색분산과 구면수차를 동시에 조율 가능한 아포크로맷(apochromat; 고차색지움렌즈) 형태를 갖게 한 것으로서, 상기 제6렌즈(60)는 광학성능의 향상을 위해 고굴절의 고분산렌즈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6렌즈(60)는 아주 얇게 형성되고 연질특성을 갖는 것으로 앞뒤로 접합되는 상기 제5렌즈(50) 및 제7렌즈(70)를 강도가 있고 열변형 및 화학적 변형이 없는 재질로 구성하여 상기 제6렌즈(60)를 완벽히 보호할 수 있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부품생산 및 조립과정에서 발생되던 부품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spherical splicing lens group of the triplet structure by the
여기서, 상기 제5렌즈(50) 내지 제7렌즈(70)의 구면접합렌즈군은 트리플릿(triplet) 구조와 적합한 곡률반경(R)으로 조합함에 의해 구면수차와 색수차 및 비축수차를 보다 우수하게 개선하여 고화소를 가능하게 한다.Here, the spherical joint lens group of the
상기 조리개(80)는 비구면 렌즈로 구성되는 제3렌즈(30)와 제4렌즈(40)의 사이에 배치시키되 제4렌즈(40)측에 최대한 밀착되도록 배열하며, 상기 제3렌즈(30)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선택적으로 수렴할 수 있게 한다.The
또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일 실시예의 준전문가용 카메라 교환렌즈 광학계는 렌즈계를 구성하는 제1렌즈(10) 내지 제7렌즈(70)의 각 곡률반경 및 상호 간격을 적절하게 조정함에 의해 시야각을 넓혀 도시건물이나 풍경사진 등의 촬영에 적합하도록 초광각 광학계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the semi-professional camera interchangeable lens optical system of the exemplary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provides a viewing angle by appropriately adjusting respective curvature radii and mutual spacing of the first to
한편,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준전문가용 카메라 교환렌즈 광학계는 주변광량의 확보 등 밝기 향상을 위한 렌즈배열을 갖는 구성으로, 2매의 비구면렌즈(130)(140)와 3매의 트리플릿(triplet) 구조를 갖는 구면접합렌즈(150)(160)(170)를 포함하여 7매로 형성되는 렌즈계 및, 조리개(18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5, the semi-professional camera interchangeable lens optical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ens arrangement for improving the brightness, such as to secure the amount of ambient light, two aspherical lenses 130 ( The lens system includes a lens system formed of seven elements including a
이때, 상기한 7매로 구성되는 렌즈계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일 실시예의 렌즈계의 구성과 동일한 재질 및 배열로 이루어지며, 이를 준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lens system composed of the seven sheets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and arrangement as the configuration of the lens system of th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and shall be used mutatis mutandis.
다만, 상기 제4렌즈(140)에 있어 물체측을 오목면(R7)으로 형성하고, 상기 제5렌즈(150)에 있어 물체측을 볼록면(R9)으로 형성하며, 상기 제6렌즈(160)의 상측을 오목면(R12) 및 이에 접하는 상기 제7렌즈(170)의 물체측을 볼록면(R13)으로 형성하는 차이를 갖게 된다.However, in the
또한, 제1렌즈(110) 내지 제7렌즈(170)의 각각에 대한 곡률반경 및 상호간 간격이 다른 차이를 갖게 되며,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다른 실시예의 준전문가용 카메라 교환렌즈 광학계는 이러한 제1렌즈(110) 내지 제7렌즈(170)의 각 곡률반경 및 상호 간격을 적절하게 조정함에 의해 광학왜곡을 없애고 중심밝기 및 주변광량 을 높임으로써 실내외에 관계없이 인물촬영에 적합하도록 초광각보다는 밝기가 좋은 표준 광학계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the curvature radius and the distance between each of the
여기서, 미설명부호 W1,W11은 윈도우글라스로 촬상소자의 보호 및 이물질 유입 등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미설명부호 C1,C11은 촬상소자로 빛을 전기적 신호로 전환시켜 영상정보를 입력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Here, the non-explained symbols W1 and W11 serve as a window glass to protect the image pickup device and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and the unexplained symbols C1 and C11 convert image light into an electrical signal to input image information. To perform the function.
나아가, 상기 제7렌즈(70)(170)와 윈도우글라스(W1)(W11)의 사이에 밝기조정필터나 색보정필터 등의 광학필터(F1)(F11)를 배열하여 광학성능의 향상을 도모하게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광학필터는 특별히 광학적 길이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Furthermore, optical filters F1 (F11) such as a brightness adjusting filter and a color correction filter are arranged between the
그리고,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광학계는 제1렌즈(10)(110) 내지 제7렌즈(70)(170)에 대하여 적절하게 배율 분배하고 생산성 있는 곡률반경(R) 및 간격(d)을 갖도록 구성함에 의해 양산성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였고, 도 1을 참조한 일 실시예는 광학전장 48mm±2mm와 구경비 F/#:2.8 및 화각(시계각) 114도로 선정하여서 구성하였으며, 도 2를 참조한 다른 실시예는 광학전장 117mm±5mm와 구경비 F/#:1.4 및 화각(시계각) 57도로 선정하여서 구성하였으며, 이들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의 광학계는 다음의 조건 1,2,3을 동일하게 만족하도록 설계하였다.In addition, the optical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may be suitably multiplied with respect to the
[조건 1][Condition 1]
1.3 ≤ B/f ≤ 1.61.3 ≤ B / f ≤ 1.6
여기서, 전체 렌즈계의 초점거리를 f라 하고, 제7렌즈(70)(170)의 제14 면(R14)에서 초점까지의 후면 초점거리(back focal length)를 B라 한다.Here, the focal length of the entire lens system is f, and the back focal length from the fourteenth surface R14 of the
[조건 2][Condition 2]
4.0 ≤ T/f ≤ 6.04.0 ≤ T / f ≤ 6.0
여기서, 광학계의 첫 번째 제1렌즈(10)(110)에서 마지막 제7렌즈(70)(170)까지의 거리를 광학전장 T라 하고, 전체 렌즈계의 초점거리를 f라 한다.Here, the distance from the first
[조건 3][Condition 3]
1.43≤n≤1.80, 30≤v≤95 [제3렌즈]1.43≤n≤1.80, 30≤v≤95 [Third Lens]
1.43≤n≤1.80, 30≤v≤95 [제4렌즈]1.43≤n≤1.80, 30≤v≤95 [Fourth Lens]
1.80≤n≤2.01, 18≤v≤30 [제6렌즈]1.80≤n≤2.01, 18≤v≤30 [Sixth Lens]
여기서, n은 렌즈의 굴절률이고, v는 렌즈의 분산률이다.Where n is the refractive index of the lens and v is the dispersion of the lens.
이어, 다음의 표 1과 표 2는 상술한 구성 및 조건을 갖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대하여 적절하게 배율 분배된 상태의 광학계 분석데이터를 나타낸 것으로서, 곡률반경과 중심 간격, 렌즈의 굴절률 및 렌즈의 분산률 등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Next, Table 1 and Table 2 below show the optical system analysis data in the appropriately magnified state with respect to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conditions, the radius of curvature and the center interval, the refractive index of the lens and the len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dispersion rate and the like are shown.
[표 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초광각 구성의 교환렌즈 분석데이터[Table 1] Interchangeable lens analysis data of ultra-wide angle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색 보정 필터Brightness Filter
or
Color correction filter
여기서, 제5면(R5)의 K = 0.0, AD = 0.124E-02, AE = -0.17765E-04, AF = 0.31245E-06, AG = -0.17098E-08이며;Where K = 0.0, AD = 0.124E-02, AE = -0.17765E-04, AF = 0.31245E-06, AG = -0.17098E-08 on the fifth surface R5;
제6면(R6)의 K = 0.0, AD = 0.1883E-02, AE = -0.18126E-04, AF = 0.19302E-05, AG = -0.73702E-08이며;K = 0.0, AD = 0.1883E-02, AE = -0.18126E-04, AF = 0.19302E-05, AG = -0.73702E-08 of the sixth surface R6;
제7면(R7)의 K = 0.0, AD = 0.31593E-04, AE = 0.31142E-05, AF = 0.000000E-00, AG = 0.000000E-00이며;K = 0.0, AD = 0.31593E-04, AE = 0.31142E-05, AF = 0.000000E-00, AG = 0.000000E-00 of the seventh surface R7;
제8면(R8)의 K = 0.0, AD = 0.435E-03, AE = -0.2856E-05, AF = 0.53642E-06, AG = -0.14987E-07, AH = 0.21747E-09, AI = -0.10635E-11이다.K = 0.0, AD = 0.435E-03, AE = -0.2856E-05, AF = 0.53642E-06, AG = -0.14987E-07, AH = 0.21747E-09, AI = -0.10635E-11.
[표 2]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밝기를 위한 교환렌즈 분석데이터[Table 2] Interchangeable lens analysis data for brightnes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제5면(R5)의 K = 0.0, AD = 0.76796E-04, AE = -0.22051E-06, AF = 0.48221E-09, AG = -0.47265E-12이며;Wherein K = 0.0, AD = 0.76796E-04, AE = -0.22051E-06, AF = 0.48221E-09, AG = -0.47265E-12 on the fifth surface R5;
제6면(R6)의 K = 0.0, AD = 0.12E-03, AE = 0.34672E-06, AF = -0.33165E-08, AG = 0.23067E-10이며;K = 0.0, AD = 0.12E-03, AE = 0.34672E-06, AF = -0.33165E-08, AG = 0.23067E-10 of the sixth surface R6;
제7면(R7)의 K = 0.0, AD = -0.16478E-04, AE = -0.11352E-07, AF = 0.000000E-00, AG = 0.000000E-00이며;K = 0.0, AD = -0.16478E-04, AE = -0.11352E-07, AF = 0.000000E-00, AG = 0.000000E-00 of the seventh surface R7;
제8면(R8)의 K = 0.0, AD = 0.47438E-05, AE = 0.31609E-08, AF = 0.000000E-00, AG = 0.000000E-00이다.K = 0.0, AD = 0.47438E-05, AE = 0.31609E-08, AF = 0.000000E-00, and AG = 0.000000E-00 on the eighth surface R8.
나아가, 본 발명은 내경을 투영측정기(PROFELE PROJECTOR)에서 측정한 유효경(dl:mm), 구면계(SPHEROMETER)로 전체 렌즈계의 초점거리 측정치를 f, 후면 초점거리를 B, 광학계의 첫 번째 제1렌즈(10)(110)에서 마지막 제7렌즈(70)(170)까지의 거리를 T, 투영검사기에 의한 화각측정치 θ, 해상력측정치의 중심(CR)과 주변(PR)의 구경비(f/dl=F/1.4 or F/2.8)라 할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광학계의 렌즈 형상과 렌즈 배열 등이 상기한 바와 같은 조건 1, 2, 3을 모두 만족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the focal length of the entire lens system with an effective diameter (dl: mm) and a spherometer measuring the inner diameter with a PROFELE PROJECTOR, a rear focal length B, and a first first lens of the optical system. (10) (110) is the distance from the last seventh lens (70, 170) T, the angle of view measurement θ by the projection tester, the aperture ratio of the center (CR) and the peripheral (PR) of the resolution measurement (f / dl = F / 1.4 or F / 2.8), it can be seen that the lens shape and lens arrangement of the optical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atisfy all of the
즉, [조건 1] That is, [condition 1]
1.3 ≤ B/f ≤ 1.6과,1.3 ≤ B / f ≤ 1.6,
[조건 2][Condition 2]
4.0 ≤ T/f ≤ 6.0과,4.0 ≤ T / f ≤ 6.0,
[조건 3][Condition 3]
1.43≤n≤1.80, 30≤v≤95 [제3렌즈]1.43≤n≤1.80, 30≤v≤95 [Third Lens]
1.43≤n≤1.80, 30≤v≤95 [제4렌즈]1.43≤n≤1.80, 30≤v≤95 [Fourth Lens]
1.80≤n≤2.01, 18≤v≤30 [제6렌즈]를 만족시키고 있다.1.80≤n≤2.01 and 18≤v≤30 [sixth lens] are satisfied.
부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초광각을 갖는 준전문가용 카메라 교환렌즈 광학계는 소형이고 고화소이면서 시야각을 넓힐 수 있는 광학성능을 발휘하게 되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밝기 우선의 표준광학계를 위한 준전문가용 카메라 교환렌즈 광학계는 광학왜곡없이 중심밝기 및 주변광량을 높일 수 있게 된다.In other words, the semi-professional camera interchangeable lens optical system having an ultra wide ang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an optical performance capable of widening the viewing angle while being compact and high pixel, and the brightness priority standar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mi-professional camera interchangeable lens optical system for optical system can increase the central brightness and the amount of ambient light without optical distortion.
도 2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의한 준전문가용 카메라 교환렌즈 광학계의 수차특성을 각각 나타낸 분석 그래프로서, 도면의 좌측에서부터 자오상면 수차와 구결상면 수차를 각각 광축 상에 나타내고 있고, 초점거리에 따른 자오상면 만곡(T: Tangential Field Curvature; + 표시된 곡선) 및 구결상면 만곡(S: Sagittal Field Curvature; ×표시된 곡선)의 비점수차(Astigmatism) 와, 백분왜곡(Distortion)과, 측면색수차(Lateral Color) 및, 광선도를 보여주고 있다.2 and 6 are analytical graphs showing aberration characteristics of a semi-professional camera interchangeable lens optic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other embodiment. Astigmatism and Percent Distortion of Tangential Field Curvature (T) and Curved Field Curvature (X) And, Lateral Color Aberration, and Ray Diagram.
이러한 도 2 및 도 6의 분석 그래프에 보여주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각각의 교환렌즈 광학계는 거의 모든 필드에서 상들의 값이 축에 인접하게 나타나고 있어 구면수차나 자오상면 수차, 백분왜곡, 색수차의 보정 상태가 양호함을 보여주고 있다.As shown in the analysis graphs of FIGS. 2 and 6, each interchangeable lens optic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ther embodiment shows spherical aberration or aberration in which values of images are shown adjacent to an axis in almost all fields. It is shown that the correction state of top aberration, percent distortion, and chromatic aberration is good.
또한, 도 3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의한 준전문가용 카메라 교환렌즈 광학계의 MTF(Modulation Transfer Function) 성능곡선을 나타낸 그래프로서, 중심 및 공간주파수(spatial frequency)가 40l/mm이상에서 중심이 80%대로 전필드 평균은 대략 60% 이상대역에 분포되어 있어 일반적인 선명도(40%선) 기준하여 선명한 화상을 얻을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3 and 7 are graphs illustrating a performance transfer function (MTF) curve of a semi-professional camera interchangeable lens optic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enter and spatial frequency are The average of all fields is over 60% as the center is over 80% at 40 l / mm , which shows that a clear image can be obtained based on the general sharpness (40% line).
나아가, 도 4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의한 준전문가용 카메라 교환렌즈 광학계 각각에 대해 화면왜곡상태를 시뮬레이션하여 나타낸 도면으로서, 광학계에 매치는 실제 이미지는 오른쪽 이미지의 수직과 수평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여 이 이미지 내에 위치해서 대략 마름모꼴의 직사각형상으로 촬상된 상이 맺히는 것으로 화면왜곡이 없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는 왼쪽 위치된 물체의 형상과 본 광학계를 통해 촬상되는 오른쪽 이미지가 거의 동일한 형상으로 나타나고 있어 화면왜곡이 없음을 보여주고 있다.4 and 8 are diagrams showing simulated screen distortion states for each of the semi-professional camera interchangeable lens optical systems according to one or mor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is located in this imag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and horizontal center lines, and the image captured in the shape of a roughly rhombus is formed. This shows that there is no distortion of the screen, which is the shape of the object located on the left side and the image on the right image captured by the optical system. Appears in almost the same shape, indicating no distortion.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준전문가용 카메라 교환렌즈 광학계에 대한 필드별 주변광 데이터를 나타낸 것으로, 전체적으로 주변광량이 97% 이상을 나타내고 있어 매우 밝은 렌즈임을 보여주고 있다.On the other hand, Figure 9 shows the per-field ambient light data for the semi-professional camera interchangeable lens optical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that the total amount of ambient light is 97% or more, which is a very bright lens.
따라서, 본 발명은 동일한 렌즈배열을 가지고 곡률반경과 간격 및 배율을 적절하게 조정함에 의해 광학전장이 48mm로 매우 컴팩트한 교환렌즈를 구성 및 초광각 형성으로 도시건물이나 풍경사진 등에 적합한 초광각 광학계를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때로는 구경비 F/# 1.4의 매우 밝은 렌즈로 언제 어디서나 사용 및 실내외 상관없이 인물촬영에 적합한 밝기가 좋은 표준 광학계를 구현할 수 있게 되며, 경제성있는 광학엔진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realize an ultra-wide optical system suitable for urban buildings and landscape photographs by constructing a very compact interchangeable lens having an optical length of 48 mm and adjusting ultra-wide angle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curvature radius, spacing and magnification with the same lens array. In addition, the very bright lens with a ratio of F / # 1.4 sometimes makes it possible to realize standard optical system with high brightness suitable for portrait shooting regardless of use anytime, anywhere and indoors, and economical optical engin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준전문가용 카메라 교환렌즈 광학계를 나타낸 것으로 초광각을 위한 렌즈 배열상태를 보인 도면.1 is a view showing a lens array for an ultra-wide angle as showing a semi-professional camera interchangeable lens optic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있어 도 1의 구성에 대한 수차특성을 나타낸 도면.2 is a view showing aber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configuration of FIG. 1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있어 도 1의 구성에 대한 MTF특성을 나타낸 도면.3 is a view showing the MTF characteristics for the configuration of Figure 1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 도 1의 구성에 대한 화면왜곡 시뮬레이션의 결과를 나타낸 도면.4 is a view showing the results of screen distortion simulation for the configuration of Figure 1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준전문가용 카메라 교환렌즈 광학계를 나타낸 것으로 밝기가 좋은 표준광학계를 위한 렌즈 배열상태를 보인 도면.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 lens arrangement for a standard optical system having high brightness, showing a semi-professional camera interchangeable lens optical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6은 본 발명에 있어 도 5의 구성에 대한 수차특성을 나타낸 도면.6 is a view showing aber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configuration of FIG. 5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있어 도 5의 구성에 대한 MTF특성을 나타낸 도면.7 is a view showing the MTF characteristics for the configuration of Figure 5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있어 도 5의 구성에 대한 화면왜곡 시뮬레이션의 결과를 나타낸 도면.8 is a view showing the results of screen distortion simulation for the configuration of FIG. 5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있어 도 5의 구성에 대한 필드별 주변광 데이터를 나타낸 도면.FIG. 9 is a view showing field-specific ambient light data for the configuration of FIG. 5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110: 제1렌즈 20,120: 제2렌즈10,110: first lens 20,120: second lens
30,130: 제3렌즈 40,140: 제4렌즈30,130: third lens 40,140: fourth lens
50,150: 제5렌즈 60,160: 제6렌즈50,150: fifth lens 60,160: sixth lens
70,170: 제7렌즈 80,180: 조리개70, 170: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90032568A KR101026111B1 (en) | 2009-04-15 | 2009-04-15 | Interchangeable lenses for quasi-expert camera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90032568A KR101026111B1 (en) | 2009-04-15 | 2009-04-15 | Interchangeable lenses for quasi-expert camera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00114167A KR20100114167A (en) | 2010-10-25 |
| KR101026111B1 true KR101026111B1 (en) | 2011-04-05 |
Family
ID=43133393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90032568A Expired - Fee Related KR101026111B1 (en) | 2009-04-15 | 2009-04-15 | Interchangeable lenses for quasi-expert camera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026111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20017454A (en) * | 2018-05-29 | 2022-02-11 | 삼성전기주식회사 | Optical imaging system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10656410B2 (en) | 2015-03-04 | 2020-05-19 | Lg Innotek Co., Ltd. | Imaging lens, camera module and digital device comprising same |
| KR102815917B1 (en) * | 2018-07-12 | 2025-06-02 | 삼성전기주식회사 | Image Capturing Lens System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4114115A (en) * | 1990-09-04 | 1992-04-15 | Minolta Camera Co Ltd | Two-element zoom lens |
| JPH05113534A (en) * | 1991-10-23 | 1993-05-07 | Canon Inc | Retrofocus type lens |
| JP2003315687A (en) | 2002-04-18 | 2003-11-06 | Pentax Corp | Eyepiece zoom optical system |
| JP2004354829A (en) | 2003-05-30 | 2004-12-16 | Tamron Co Ltd | Unifocal lens for visible light and near-infrared light |
-
2009
- 2009-04-15 KR KR1020090032568A patent/KR10102611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4114115A (en) * | 1990-09-04 | 1992-04-15 | Minolta Camera Co Ltd | Two-element zoom lens |
| JPH05113534A (en) * | 1991-10-23 | 1993-05-07 | Canon Inc | Retrofocus type lens |
| JP2003315687A (en) | 2002-04-18 | 2003-11-06 | Pentax Corp | Eyepiece zoom optical system |
| JP2004354829A (en) | 2003-05-30 | 2004-12-16 | Tamron Co Ltd | Unifocal lens for visible light and near-infrared light |
Cited By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20017454A (en) * | 2018-05-29 | 2022-02-11 | 삼성전기주식회사 | Optical imaging system |
| KR102493047B1 (en) | 2018-05-29 | 2023-01-31 | 삼성전기주식회사 | Optical imaging system |
| KR20230017903A (en) * | 2018-05-29 | 2023-02-06 | 삼성전기주식회사 | Optical imaging system |
| KR102597165B1 (en) | 2018-05-29 | 2023-11-03 | 삼성전기주식회사 | Optical imaging system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00114167A (en) | 2010-10-25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CN103513407B (en) | Zoom lens | |
| CN106980170B (en) | Optical lens for ultra-wide-angle high-definition aerial photography instrument | |
| CN206321862U (en) | A 360° panoramic fisheye lens | |
| CN208156286U (en) | Imaging optical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 |
| CN112505902B (en) | Wide-angle lens and imaging apparatus | |
| WO2022111437A1 (en) | Optical lens and imaging device | |
| CN202433590U (en) | A day and night dual-purpose high-resolution surveillance lens | |
| CN111856728A (en) | A wide-angle non-distortion lens and imaging equipment including the lens | |
| CN109324395B (en) | Fixed-focus undistorted glass-plastic lens | |
| CN212905664U (en) | Deformation lens | |
| CN105259639B (en) | Exchangeable lens and non-reflective digital camera comprising same | |
| CN211857039U (en) | Optical system, image capturing module and electronic equipment | |
| KR101026111B1 (en) | Interchangeable lenses for quasi-expert camera | |
| KR101057139B1 (en) | Optical system for large diameter wide angle camera | |
| CN116626858B (en) | Six-piece-type-architecture miniature VR perspective lens | |
| CN106094183B (en) | High-image-quality internal focusing type optical imaging system | |
| CN205121050U (en) | An interchangeable lens and a mirrorless digital camera including the lens | |
| CN219143183U (en) | Full-frame super-long-focus high-magnification deformation lens | |
| CN115185068B (en) | Optical lens | |
| CN217587744U (en) | Wide-angle low-distortion lens | |
| TWI476472B (en) | Imaging lens | |
| CN103064169A (en) | Capture lens | |
| CN103901582B (en) | A kind of 360 degree of high definitions look around full shot | |
| JP4248956B2 (en) | Imaging lens with 4 elements in 3 groups | |
| CN205121049U (en) | An interchangeable lens and a mirrorless digital camera including the lens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218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06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8032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80325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