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6274B1 - Slide elastic module and hinge module for mobile terminal using same - Google Patents
Slide elastic module and hinge module for mobile terminal using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36274B1 KR101036274B1 KR1020100000317A KR20100000317A KR101036274B1 KR 101036274 B1 KR101036274 B1 KR 101036274B1 KR 1020100000317 A KR1020100000317 A KR 1020100000317A KR 20100000317 A KR20100000317 A KR 20100000317A KR 101036274 B1 KR101036274 B1 KR 10103627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member
- coil spring
- module
- slide
- main bod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드 탄성모듈 및 이를 이용한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코일스프링의 형상을 납작하게 형성하여 강한 탄성력을 발휘하면서 동시에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는 슬라이드 탄성모듈 및 이를 이용한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슬라이드 탄성모듈은, 막대형상으로 길게 형성된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이동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감싸면서 상기 지지부재의 타단과 상기 이동부재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부재에 탄성력을 부가하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부재 및 코일스프링은 폭길이보다 높이가 더 작은 납작한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ide elastic module and a hinge module for a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and in particular, to form a flat shape of the coil spring flat to exert a strong elastic force and at the same time thin thickness and a hinge for a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It is about a module.
Slide elastic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member formed long in the shape of a rod; A moving member slidably coupled to one end of the support member in a longitudinal direction; Wrapp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member and the movable member while wrapping the support member consists of a coil spring to add an elastic force to the movable member, the support member and the coil spring is a flat shape having a height smaller than the width length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슬라이드 탄성모듈 및 이를 이용한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코일스프링의 형상을 납작하게 형성하여 강한 탄성력을 발휘하면서 동시에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는 슬라이드 탄성모듈 및 이를 이용한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ide elastic module and a hinge module for a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and in particular, to form a flat shape of the coil spring flat to exert a strong elastic force and at the same time thin thickness and a hinge for a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It is about a module.
최근에는 전자기기, 대표적으로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보급률이 높아짐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에 대해 단순한 무선통신의 고유 기능뿐만 아니라 개폐동작에 있어서도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부가적인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Recently, as the penetration rate of electronic devices, typically portable wireless terminals, increases, additional functions that are suitable for the user's taste are required for the portable terminal as well as simple functions of wireless communication.
이러한 요구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들은 일반적인 바 타입(bar type)부터 플립 타입(flip type), 플립 업 타입(flip up type), 폴더 타입(folder type) 등으로 발전하였으며, 최근 들어서는 폴더 타입 단말기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In response to these demands, portable terminals have evolved from a general bar type to a flip type, a flip up type, a folder type, and the like. To achieve.
이는 폴더 타입 단말기가 디스플레이 장치로 와이드 엘씨디 모듈을 채택할 만 큼 공간적인 여유가 충분하며, 반으로 접어서 휴대하기 때문에 휴대성 또한 타 단말기보다 우수하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 folder type terminal has enough space to adopt the wide LCD module as a display device, and because it is folded in half and portable, the portability is superior to other terminals.
한편, 폴더 타입 단말기와 유사한 크기의 와이드 엘씨디 모듈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가질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단말기의 소형화에 이바지할 수 있는 슬라이드 타입의 단말기가 알려져 있다. On the other hand, it is possible to have a display device having a wide LCD module of a similar size as a folder type terminal, and at the same time, a slide type terminal capable of contributing to the miniaturization of the terminal is known.
이러한 슬라이드 방식 단말기는, 메인 보디 상에서 커버에 해당하는 서브 보디가 슬라이딩 동작으로 개폐되는 것으로, 기존의 폴더 타입 단말기의 장점을 그대로 살리면서 새로운 동작으로 개폐된다는 부가 장점이 있다.Such a slide type terminal has an additional advantage that the sub body corresponding to the cover is opened and closed by a sliding operation on the main body, and is opened and closed by a new operation while maintaining the advantages of the existing folder type terminal.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슬라이드 타입의 휴대단말기 및 이에 사용되는 링크 어셈블리가 나타나 있다.1 and 2 show a conventional slide type portable terminal and a link assembly used therein.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스프링 모듈(200)은 제1하우징(101) 상에 결합되며, 키패드(111) 및 송화부(113)를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제2하우징(102)을 이동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1 and 2, the
상기 스프링 모듈(200)은 모듈 하우징(201)과 상기 모듈 하우징(201)에 설치되는 링크 어셈블리(202)를 구비하고, 상기 링크 어셈블리(202)는 링크 바(link bar)(221), 슬라이더(223) 및 코일스프링(225)을 구비한다.The
상기 코일스프링(225)은 상기 링크바(221)를 감싸고 있고, 상기 슬라이더(223)에는 상기 링크바(221)의 일단이 삽입관통하는 관통홀(223a)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슬라이더(223)는 상기 코일스프링(225)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링크바(221)를 따라 슬라이딩하게 된다.The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링크 어셈블리(202) 및 스프링모듈(200)는, 상기 코일스프링(225)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더(223)가 링크바(221)를 감싸고 있기 때문에, 링크 어셈블리(202) 및 스프링모듈(200)의 두께를 얇게 하는데 한계가 있었다.However, in the
본 발명은 코일스프링 및 코일스프링이 감싸고 있는 지지부재를 폭길이보다 높이가 더 작은 납작한 형상으로 형성하여 모듈의 전체적인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는 슬라이드 탄성모듈 및 이를 이용한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il spring and the support member wrapped around the coil spring in a flat shape having a height smaller than the width length to reduce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module and provides a hinge module for a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There is a purpos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슬라이드 탄성모듈은, 막대형상으로 길게 형성된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이동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감싸면서 상기 지지부재의 타단과 상기 이동부재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부재에 탄성력을 부가하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부재 및 코일스프링은 폭길이보다 높이가 더 작은 납작한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lide elastic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member formed to have a rod shape; A moving member slidably coupled to one end of the support member in a longitudinal direction; Wrapp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member and the movable member while wrapping the support member consists of a coil spring to add an elastic force to the movable member, the support member and the coil spring is a flat shape having a height smaller than the width length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상기 코일스프링은, 상기 지지부재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폭방향과 평행한 제1직선부와; 상기 지지부재의 하부에 배치되고 제1연결부와 평행한 제2직선부와; 상기 제1직선부의 양단과 상기 제2직선부의 양단을 상호 연결하는 반원형상으로 연결하는 곡선부로 이루어진다.The coil spring may include: a first straight portion disposed above the support member and parallel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support member; A second straight portion disposed under the support member and parallel 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It consists of a curved portion that connects both ends of the first straight portion and the both ends of the second straight portion in a semicircular shape that interconnects.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이동부재가 장착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되, 상기 삽입공은, 상기 이동부재보다 큰 형상의 장착공과; 상기 장착공에 연통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슬라이드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장착공보다 작고, 상기 슬라이드공의 폭방향 길이보다 큰 폭을 갖으며 상기 지지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면부와; 상기 장착공보다 작고, 상기 슬라이드공의 폭방향 길이보다 큰 폭을 갖으며 상기 지지부재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면부와; 상기 삽입공을 관통하고, 상기 상면부와 하면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장착공에 삽입된 후 상기 슬라이드공을 따라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한다.The support member is formed with an insertion hole for mounting the moving member, the insertion hole, the mounting hole having a shape larger than the moving member; The slide member communicates with the mounting hole and is formed to be elongated in one direction of the support member. The movable member has a width smaller than the mounting hole and has a width greater than the length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lide hole. An upper surface portion disposed; A lower surface portion smaller than the mounting hole and having a width greater than the width direction length of the slide hole and disposed below the support member; It is made of a connecting portion penetrating the insertion hole, connecting the upper surface portion and the lower surface portion, the mov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and moves along the slide ho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member.
상기 지지부재의 타단에는 상기 코일스프링의 지름보다 큰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코일스프링을 지지한다.At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member, a locking step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coil spring is formed to support the coil spring.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은,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브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와 서브바디 사이에서 일단이 상기 메인바디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서브바디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서브바디가 상기 메인바디에 대해 슬라이딩하도록 탄성력을 부가하는 탄성모듈로 이루어지되, 상기 탄성모듈은, 막대형상으로 길게 형성된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이동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감싸면서 상기 지지부재의 타단과 상기 이동부재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부재에 탄성력을 부가하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부재의 타단은 상기 메인바디 또는 서브바디 중 어느 하나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메인바디 또는 서브바디 중 나머지 하나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지지부재 및 코일스프링은 폭길이보다 높이가 더 작은 납작한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hinge module for a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A subbody slid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sub-body one end is hinged to the main body and the other end is hinged to the sub-body, made of an elastic module for adding an elastic force to slide the sub-body relative to the main body, the elastic The module includes a support member elongated in a rod shape; A moving member slidably coupled to one end of the support member in a longitudinal direction; Wrapping the support member is dispos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member and the movable member is made of a coil spring to add an elastic force to the movable member,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member to any one of the main body or sub body It is hinged and the moving member is hinged to the other of the main body or the sub-body, the support member and the coil spring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flat shape having a height smaller than the width.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슬라이드 탄성모듈 및 이를 이용한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에 따르면, 코일스프링 및 코일스프링이 감싸고 있는 지지부재를 폭길이보다 높이가 더 작은 납작한 형상으로 형성하여 모듈의 전체적인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lide elastic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hinge module for a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as described above, the coil spring and the support member wrapped around the coil spring are formed in a flat shape having a height smaller than the width, thereby reducing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module. I can thin it.
도 1은 종래의 슬라이드 타입의 휴대단말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링크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모듈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모듈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모듈이 평면도,
도 6은 도 3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7은 도 3의 B-B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모듈이 장착된 힌지모듈의 작동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모듈의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일스프링과 종래의 코일스프링을 비교하기 위한 설명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slide type portable terminal,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ink assembly shown in FIG. 1;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pr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pr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of a spr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3;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8 is an operating state of the hinge module is mounted spr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lan view of a spring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comparing a coil spring and a conventional coil sp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모듈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모듈이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3의 B-B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모듈이 장착된 힌지모듈의 작동상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모듈의 평면도이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pr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pr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lan view of a spr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3,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3, and FIG. 8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of a hinge module mounted with a spr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lan view of a spring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슬라이드 탄성모듈은, 지지부재(10)와, 이동부재(20)와, 코일스프링(30)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ure 3 to Figure 7, the slide elastic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지지부재(10)는 막대형상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폭길이보다 높이가 더 작은 납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상기 지지부재(10)에는 상기 이동부재(20)가 장착되어 슬라이딩할 수 있는 폐곡선 형상의 삽입공(11)이 형성되어 있다.The
상기 삽입공(11)은, 상기 이동부재(20)보다 큰 형상을 갖는 장착공(12)과, 상기 장착공(12)에 연통되고 상기 지지부재(10)의 일단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슬라이드공(13)으로 이루어진다.The
즉, 상기 이동부재(20)는 상기 장착공(12)에 삽입된 후, 상기 장착공(12)과 연통된 상기 슬라이드공(13)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That is, the moving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10)의 타단에는 상기 코일스프링(30)의 지름보다 큰 걸림턱(15)이 형성되어 상기 코일스프링(30)을 지지한다.At the other end of the
상기 이동부재(20)는 상기 지지부재(10)의 일단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The
즉, 상기 이동부재(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장착공(12)에 삽입된 후, 상기 슬라이드공(13)을 따라 상기 지지부재(10)의 길이방향을 슬라이딩하게 된다.That is, the
이러한 상기 이동부재(20)는, 상면부(21)와, 하면부(22)와, 연결부(23)로 이루어진다.The moving
상기 상면부(21)는 평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장착공(12)의 크기보다 작고, 상기 슬라이드공(13)의 폭방향 길이보다 큰 폭을 가지고 있다.The
상기 하면부(22)는 상기 상면부(21)와 평행한 평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장착공(12)의 크기보다 작고, 상기 슬라이드공(13)의 폭방향 길이보다 큰 폭을 가지고 있다.The
상기 연결부(23)는 상기 상면부(21)와 하면부(22) 사이에서 상기 상면부(21)와 하면부(22)를 상호 이격되게 연결하고 있다.The connecting
이러한 상기 이동부재(20)는 상기 지지부재(10)의 삽입공(11)에 장착되어, 상기 상면부(21)가 상기 지지부재(10)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면부(22)가 상기 지지부재(10)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연결부(23)는 상기 삽입공(11)을 관통하여 상기 상면부(21)와 하면부(22)를 연결하게 된다.The moving
상기 이동부재(20)는 상기 장착공(12)에 삽입된 후 상기 슬라이드공(13)을 따라 상기 지지부재(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한다.The moving
상기 코일스프링(30)은 상기 지지부재(10)를 감싸면서 상기 지지부재(10)의 타단과 상기 이동부재(20)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부재(20)에 탄성력을 부가하는 한다.The
상기 코일스프링(3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10)와 같이 폭길이(W)보다 높이(H)가 더 작은 납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6, the
이러한, 상기 코일스프링(30)은, 상기 지지부재(10)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재(10)의 폭방향과 평행한 제1직선부(31)와, 상기 지지부재(10)의 하부에 배치되고 제1연결부(23)와 평행한 제2직선부(32)와, 상기 제1직선부(31)의 양단과 상기 제2직선부(32)의 양단을 상호 연결하는 반원형상으로 연결하는 곡선부(33)로 이루어진다.The
이때, 상기 제1직선부(31) 및 제2직선부(32)의 길이는 상기 곡선부(33)의 길이보다 더 길어 상기 코일스프링(30)이 폭길이(W)보다 높이(H)가 더 작은 납작한 형상으로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length of the first
상기 코일스프링(30)은 등간격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균일하지 않은 간격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코일스프링(30)의 폭길이는 모두 동일할 수도 있고 일부구간에서 다른 길이를 갖도록 할 수도 있다.The
이러한 본 발명의 탄성모듈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에 적용된다.Such an elastic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hinge module for a portable terminal as shown in FIG.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은, 메인바디(50)와, 서브바디(55)와, 탄성모듈로 이루어진다.The hinge module for a portable terminal consists of a
상기 메인바디(50)는 고정되어 있고, 상기 서브바디(55)는 상기 메인바디(50)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The
상기 서브바디(55)가 메인바디(5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는 종래의 일반적인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의 슬라이드 구조를 적용하면 충분하다.The
상기 탄성모듈은 상기 메인바디(50)와 서브바디(55) 사이에서 일단이 상기 메인바디(50)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서브바디(55)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서브바디(55)가 상기 메인바디(50)에 대해 슬라이딩하도록 탄성력을 부가한다.The elastic module has one end hinged to the
상기 탄성모듈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10), 이동부재(20) 및 코일스프링(30)으로 이루어져 있다.The elastic module is composed of the
상기 지지부재(10)의 타단은 상기 메인바디(50) 또는 서브바디(55) 중 어느 하나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이동부재(20)는 상기 메인바디(50) 또는 서브바디(55) 중 나머지 하나에 힌지결합된다.The other end of the
본 실시예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부재(20)가 상기 서브바디(55)에 제1리벳(41)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재(10)의 타단이 상기 메인바디(50)에 제2리벳(42)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있다.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ure 8, the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브바디(55)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이동부재(20)는 상기 코일스프링(30)을 압축시키면서 상기 슬라이드공(13)을 따라 이동하다가, 도 8(b)에 도시된 상기 코일스프링(30)의 최대압축지점을 지나면, 그 후부터는 압축되어 있던 상기 코일스프링(3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이동부재(20)가 상기 슬라이드공(13)을 따라 상기 지지부재(10)의 일단방향으로 이동하여,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브바디(55)는 자동으로 나머지 구간을 이동하게 된다.As shown in FIG. 8, as the
한편, 본 발명의 탄성모듈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10)가 곡선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lastic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9, the
상기 지지부재(10)를 곡선형으로 형성할 경우에는 상기 삽입공(11)도 곡선형으로 형성된다.When the
위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10)를 곡선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지지부재(10)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 상기 메인바디(50)와 서브바디(55) 사이에 배치되는 다른 부품과 상기 탄성모듈이 간섭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By forming the
도 10에는 본 발명의 코일스프링(30)과 종래의 코일스프링(A,B)을 비교하기 위하여 코일스프링의 측면이 도시되어 있다.Figure 10 shows the side of the coil spring in order to compare the
도 10(a)는 직경이 큰 종래의 원형 코일스프링(A)이고, 도 10(b)는 본 발명의 장공형상을 갖는 납작한 코일스프링(30)이며, 도 10(c)는 직경이 작은 종래의 원형코일스프링(B)이다.Figure 10 (a) is a conventional circular coil spring (A) having a large diameter, Figure 10 (b) is a
도 10(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코일스프링(30)과 동일한 탄성력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코일스프링(A)의 경우 직경이 커져야 한다.In order to have the same elastic force as the
즉, 본 발명의 코일스프링(30)은 높이가 종래의 원형 코일스프링(A)의 지름보다 작기 때문에, 힌지모듈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height of the
그리고, 도 10(c)에 도시된 본 발명의 코일스프링(30)의 높이와 동일한 직경을 갖는 종래의 원형 코일스프링(B)의 경우에는, 힌지모듈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지만 탄성력이 저하된다.And,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circular coil spring (B) having the same diameter as the height of the
따라서, 본 발명의 코일스프링(30)과 동일한 탄성력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은 지름을 갖는 원형 코일스프링(B)을 다수개 사용하여야 한다.Therefore, in order to have the same elastic force as the
그러나,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은 지름을 갖는 원형 코일스프링(B)을 다수개 사용할 경우에는, 다수개의 코일스프링(B)을 장착하여야 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게 될 수밖에 없고, 또한 다수개의 코일스프링(B)을 장착하여야 하기 때문에 조립성이 저하되고, 재료비용이 증가하게 된다.However, when using a plurality of circular coil springs (B) having a small diameter as shown in Fig. 10 (c), the structure must be complicated because a plurality of coil springs (B) must be mounted, and also Since a plurality of coil springs (B) must be mounted, the assemblability is lowered and the material cost is increased.
본 발명의 코일스프링(30)은 납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의 원형코일스프링(B)을 다수개 사용하는 것과 같은 탄성력을 가지면서 동시에 힌지모듈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Since the
본 발명인 슬라이드 탄성모듈 및 이를 이용한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The slide elastic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hinge module for a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implemented within the allowabl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지지부재, 11 : 삽입공, 12 : 장착공, 13 : 슬라이드공, 15 : 걸림턱, 20 : 이동부재, 21 : 상면부, 22 : 하면부, 23 : 연결부, 30 : 코일스프링, 31 ; 제1직선부, 32 : 제2직선부, 33 : 곡선부, 41 : 제1리벳, 42 : 제2리벳, 50 : 메인바디, 55 : 서브바디, A, B : 종래의 코일스프링,10: support member, 11: insertion hole, 12: mounting hole, 13: slide hole, 15: locking jaw, 20: moving member, 21: upper surface portion, 22: lower surface portion, 23: connection portion, 30: coil spring, 31 ; First straight portion, 32: second straight portion, 33: curved portion, 41: first rivet, 42: second rivet, 50: main body, 55: subbody, A, B: conventional coil spring,
Claims (5)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이동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감싸면서 상기 지지부재의 타단과 상기 이동부재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부재에 탄성력을 부가하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부재 및 코일스프링은 폭길이보다 높이가 더 작은 납작한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슬라이드 탄성모듈.A support member elongated in a rod shape;
A moving member slidably coupled to one end of the support member in a longitudinal direction;
Wrapping the support member is dispos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member and the movable member is made of a coil spring to add an elastic force to the movable member,
The support member and the coil spring is a slide elastic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flat shape having a height smaller than the width.
상기 코일스프링은,
상기 지지부재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폭방향과 평행한 제1직선부와;
상기 지지부재의 하부에 배치되고 제1연결부와 평행한 제2직선부와;
상기 제1직선부의 양단과 상기 제2직선부의 양단을 상호 연결하는 반원형상으로 연결하는 곡선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탄성모듈.The method of claim 1,
The coil spring is,
A first straight portion disposed above the support member and parallel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support member;
A second straight portion disposed under the support member and parallel 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 slide elastic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curved portion connecting the both ends of the first straight portion and the semi-circular connecting the both ends of the second straight portion.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이동부재가 장착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되,
상기 삽입공은,
상기 이동부재보다 큰 형상의 장착공과;
상기 장착공에 연통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슬라이드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장착공보다 작고, 상기 슬라이드공의 폭방향 길이보다 큰 폭을 갖으며 상기 지지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면부와;
상기 장착공보다 작고, 상기 슬라이드공의 폭방향 길이보다 큰 폭을 갖으며 상기 지지부재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면부와;
상기 삽입공을 관통하고, 상기 상면부와 하면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장착공에 삽입된 후 상기 슬라이드공을 따라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탄성모듈.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support member is formed with an insertion hole for mounting the moving member,
The insertion hole,
A mounting hole having a shape larger than that of the moving member;
It is made of a slide hole communicated with the mounting hole and formed long in one direction of the support member,
The moving member,
An upper surface portion smaller than the mounting hole and having a width greater than the width direction length of the slide hole and disposed on the support member;
A lower surface portion smaller than the mounting hole and having a width greater than the width direction length of the slide hole and disposed below the support member;
It is made of a connecting portion penetrating the insertion hole, connecting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The mov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slide elastic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for mov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member along the slide hole.
상기 지지부재의 타단에는 상기 코일스프링의 지름보다 큰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코일스프링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탄성모듈.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member is a slide elastic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step is formed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coil spring to support the coil spring.
상기 메인바디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브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와 서브바디 사이에서 일단이 상기 메인바디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서브바디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서브바디가 상기 메인바디에 대해 슬라이딩하도록 탄성력을 부가하는 탄성모듈로 이루어지되,
상기 탄성모듈은,
막대형상으로 길게 형성된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이동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감싸면서 상기 지지부재의 타단과 상기 이동부재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부재에 탄성력을 부가하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부재의 타단은 상기 메인바디 또는 서브바디 중 어느 하나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메인바디 또는 서브바디 중 나머지 하나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지지부재 및 코일스프링은 폭길이보다 높이가 더 작은 납작한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
Main body;
A subbody slid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sub-body one end is hinged to the main body and the other end is hinged to the sub-body, the sub-body is made of an elastic module for adding an elastic force to slide against the main body,
The elastic module,
A support member elongated in a rod shape;
A moving member slidably coupled to one end of the support member in a longitudinal direction;
Wrapping the support member is dispos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member and the moving member is made of a coil spring to add an elastic force to the moving member,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member is hinged to any one of the main body or sub body, the movable member is hinged to the other of the main body or sub body,
The support member and the coil spring is a hinge module for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flat shape having a height smaller than the width.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00000317A KR101036274B1 (en) | 2010-01-05 | 2010-01-05 | Slide elastic module and hinge module for mobile terminal using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00000317A KR101036274B1 (en) | 2010-01-05 | 2010-01-05 | Slide elastic module and hinge module for mobile terminal using same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036274B1 true KR101036274B1 (en) | 2011-05-23 |
Family
ID=44366429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00000317A Expired - Fee Related KR101036274B1 (en) | 2010-01-05 | 2010-01-05 | Slide elastic module and hinge module for mobile terminal using sam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036274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20246811A1 (en) * | 2019-06-03 | 2020-12-10 | (주)에이유플렉스 | Elastic driving body |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940000137A (en) * | 1992-06-24 | 1994-01-03 | 윌리암 에프. 마쉬 | Synthetic porous carbonaceous membrane |
| KR20040040384A (en) * | 2002-11-05 | 2004-05-12 | 라이프스캔, 인코포레이티드 | Method for manufacturing a tissue factor-based prothrombin time reagent |
| KR200440384Y1 (en) | 2007-07-26 | 2008-06-12 | 신 주 싱 컴퍼니 리미티드 | Slide latch |
| KR20090080165A (en) * | 2008-01-21 | 2009-07-24 | 주식회사 앤트 | Slide hinge devi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easy opening and closing |
| KR20090083639A (en) * | 2008-01-30 | 2009-08-04 | 에이치케이에스테크 주식회사 | Slide hinge devi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elastic band |
-
2010
- 2010-01-05 KR KR1020100000317A patent/KR101036274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940000137A (en) * | 1992-06-24 | 1994-01-03 | 윌리암 에프. 마쉬 | Synthetic porous carbonaceous membrane |
| KR20040040384A (en) * | 2002-11-05 | 2004-05-12 | 라이프스캔, 인코포레이티드 | Method for manufacturing a tissue factor-based prothrombin time reagent |
| KR200440384Y1 (en) | 2007-07-26 | 2008-06-12 | 신 주 싱 컴퍼니 리미티드 | Slide latch |
| KR20090080165A (en) * | 2008-01-21 | 2009-07-24 | 주식회사 앤트 | Slide hinge devi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easy opening and closing |
| KR20090083639A (en) * | 2008-01-30 | 2009-08-04 | 에이치케이에스테크 주식회사 | Slide hinge devi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elastic band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20246811A1 (en) * | 2019-06-03 | 2020-12-10 | (주)에이유플렉스 | Elastic driving body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566035B1 (en) | The case of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provided with the sliding module | |
| US8265720B2 (en) | Sliding device for cellular phone | |
| JP2008170002A (en) | Spring for slide type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 |
| US9197724B2 (en) | Wire arrangement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 |
| US8002484B2 (en) | Portable terminal with keypad lifting mechanism | |
| KR101036274B1 (en) | Slide elastic module and hinge module for mobile terminal using same | |
| KR100844434B1 (en) | Slide Hinge Modules for Mobile Devices | |
| KR100973299B1 (en) | Slide elasticity module for mobile terminal and slide type mobile terminal havng the same | |
| KR20090061101A (en) | Slide hinge module | |
| EP2020804A1 (en) | Slider mechanism with zigzag springs for opening and closing a portable terminal | |
| KR100754594B1 (en) | Sliding device of sliding type mobile terminal | |
| KR100998879B1 (en) | Hinge module | |
| CN201349377Y (en) | Sliding closure mechanism | |
| KR101033478B1 (en) | Elastic member for sliding module | |
| KR20090002628A (en) | Slide hinge device of mobile phone | |
| KR100964146B1 (en) | Slide hinge device of the phone | |
| KR200397454Y1 (en) | Sliding apparatus for mobile phone | |
| KR100865671B1 (en) | Slide hinge device of the phone | |
| KR100970983B1 (en) | Spring Module for Slide Device | |
| KR200397455Y1 (en) | Sliding apparatus for mobile phone | |
| KR101019165B1 (en) | Slide Elastic Module | |
| KR200376816Y1 (en) | Slide type Module of cellular phone | |
| KR101103084B1 (en) | Elastic device for sliding module | |
| KR101070868B1 (en) | Elastic body for sliding module | |
| KR20100118624A (en) | Spring hinge for slide type mobile phon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4051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40517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