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7197B1 - Ice maker - Google Patents
Ice mak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37197B1 KR101037197B1 KR1020080076499A KR20080076499A KR101037197B1 KR 101037197 B1 KR101037197 B1 KR 101037197B1 KR 1020080076499 A KR1020080076499 A KR 1020080076499A KR 20080076499 A KR20080076499 A KR 20080076499A KR 101037197 B1 KR101037197 B1 KR 10103719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ce making
- ice
- water level
- temperature
- wat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2
- 238000005057 refrige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014 free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529 body temperature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4—Wate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급수탱크없는 수위조절수단을 통하여 제빙기내 실린더의 수위가 유지되는 방식의 오거식 제빙장치로서,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uger deicing device of the type in which the level of the cylinder in the ice maker is maintained through a water level adjustment means without a water tank,
급수된 물을 제빙하고, 제빙전 정수위를 유지하도록 급수 되며, 제빙시 얼음을 분리해내고,제빙후 얼음을 보관하는 제빙부(200)와; 상기 제빙부(200)의 실린더 외측에서 부터 증발기, 압축기,응축기, 팽창밸브,냉매순환파이프로서 응축,팽창,증발,압축의 냉동사이클 과정을 통하여 상기 증발기에서 제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냉동사이클부(300)와; 상기 냉동사이클부의 제빙상태등을 검출하여 제빙능력의 변동에 따라 냉동싸이클부의 냉동작용을 제어하는 제빙부하제어회로(A); 및 상기 제빙부(200)에 급수함에 있어 실린더의 수위를 정수위로 유지하도록 상,기 상,하부바디사이에 다이아프램밸브를 분할 형성함과 아울러 다이아프램밸브의 승강축과 유입구사이에 개폐부재를 편심되게 연동설치하여 승강축의 승강과 동시에 개폐부재가 시이소오 연동되어 유입구를 개폐하는 수위조절장치(100)를 포함하므로서 종래 오거식 제빙장치가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할 정수위조절밸브,급수탱크, 급수탱크내 플로트, 수위검지스위치를 제거한 제빙장치이다.An ice making unit 200 for making iced water and maintaining the water level before ice making, separating ice during ice making, and storing ice after making ice; Refrigeration cycle unit 300 to make ice from the evaporator through the refrigeration cycle process of condensation, expansion, evaporation, and compression as an evaporator, a compressor, a condenser, an expansion valve, and a refrigerant circulation pipe from the outside of the cylinder of the ice making unit 200. )Wow; An ice making load control circuit (A) for detecting an ice making state of the refrigerating cycle unit and controlling a refrigerating operation of the refrigerating cycle unit according to a change in ice making capability; And dividing the diaphragm valve between the upper body,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so as to maintain the water level of the cylinder at the water level in supplying the ice making unit 200, and opening / closing member between the lifting shaft and the inlet of the diaphragm valve. Equipped with an eccentrically interlocked installation, the water level control valve, water supply tank, water supply tank, which must be equipped with a conventional auger deicing device, including a water level control device 10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at the same time as the elevating shaft is elevated. It is an ice maker that removes float and water level detection switch.
제빙장치,정수위조절장치,제빙부,냉동사이클부 Ice maker, water level controller, ice maker, refrigeration cycle
Description
본 발명은 소정크기의 얼음을 제빙하는 오거식 제빙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ger ice maker that ices a predetermined size of ice.
일반적으로 제빙장치 혹은 일부 정수기등에는 냉동사이클(얼음의 제조) 혹은 냉각사이클(냉수 배출)이 적용되는 제빙장치는, 압축기를 통한 냉매의 순환과 동시에 증발기를 통하여 실린더내 물을 냉각시키거나 냉동시켜 얼음 혹은 냉수를 얻고자 하는 경우 사용되는 냉동사이클과, 이러한 냉동사이클의 증발기로 둘러싸여 소정의 얼음 및 냉수를 생산하는 제빙부로 이루어지며, 이 제빙부의 실린더 내부에는 물이 일정수위에 도달하면 이를 검출하여 물의 공급을 자동 차단하고 있으며, 실린더와 급수탱크의 수위를 같은 높이로 유지하여야 했다. 이러한 급수탱크가 있어야 하는 이유는 실린더의 공간 최대높이에 이르면 자동제빙(냉각)이 이루어져 냉동 및 냉각사이클이 개시되어 얼음이 생산되는 것이다.Generally, an ice making device in which a refrigerating cycle (manufacturing ice) or a cooling cycle (cold water discharge) is applied to an ice making device or some water purifiers, cools or freezes water in a cylinder through an evaporator simultaneously with circulation of a refrigerant through a compressor. It consists of a refrigerating cycle used to obtain ice or cold water and an ice making unit surrounded by the evaporator of the refrigerating cycle to produce a predetermined ice and cold water. When the water reaches a certain level in the cylinder of the ice making unit, The water supply was automatically shut off and the level of the cylinder and water tank had to be maintained at the same level. The reason for having such a water supply tank is that automatic deicing (cooling) is performed when the maximum height of the space of the cylinder is reached, and a freezing and cooling cycle is started to produce ice.
즉, 첨부 도면중 도 1은 종래 오거식 제빙장치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That is, FIG. 1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is a figure which shows the example of the conventional auger ice-making apparatus.
이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종래 제빙 및 냉각설비는 급수탱크를 중심으로 급수측에 급수전자밸브와, 정수위 콘트롤회로를 형성하고, 이에 연동되도록 급수탱크내 에 풀로트(부구)와 수위감지센서를 설치하여 수위 변동시 급수전자밸브 를 작동토록하며, 오버훌로우되는 물은 오버훌로우관을 통하여 배출되는 시스템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this figure, the conventional ice making and cooling facilities have a water supply solenoid valve and a water level control circuit on the water supply side centered on the water supply tank, and a pull lot and a water level sensor in the water supply tank so as to be linked thereto. The water supply solenoid valve is operated when the water level changes, and the overflowed water consists of a system discharged through the overflow pipe.
급수전자밸브(1), 급수관(10), 급수탱크(2),실린더(220)로 제빙수를 공급하는 급수관(6),실린더(220)내의 물을 배수하는 배수관(7),급수탱크(2)나 상·하의 각 드레인 팬(미도시)으로부터 넘치는 물을 배출하는 오버플로우배수관(5)으로 형성된다. Water supply solenoid valve (1), water supply pipe (10), water supply tank (2), water supply pipe (6) for supplying ice-making water to the
급수탱크(2)에는, 제빙수의 액면을 검지하는 수위검지스위치(3a)가 수용되고, 그 플로트(3)가 정수위 보다 낮을 때, 수위검지스위치(3a)가 온(ON)되어 급수전자밸브(1)가 열림 작동되어 제빙수를 급수탱크(2)에 보급한다. 플로트(3)가 상승되어 정수위에 이르면, 수위검지스위치(3)가 OFF되고, 이것에 연결 작동하여 급수전자밸브(1) 가 닫힘 작동되어 급수탱크(2)로의 급수가 정지된다.The water level detection switch 3a which detects the liquid level of ice-making water is accommodated in the
이렇게 하여 다음에 수위검지스위치(3a)가 ON으로 될 때까지의 그 사이에, 즉 급수전자밸브(1)가 다음에 열림 작동을 개시할 때까지의 동안에, 연속제빙 기계로서의 오거식 제빙장치에 의해 급수탱크(2)내의 제빙수는 전부 얼음이 생산되어 왔다.In this way, the auger deicing device as a continuous ice making machine is provided between the time until the water level detection switch 3a is turned ON, that is, until the water
따라서, 이러한 제빙원리를 이루는 종래 제빙실린더내의 정수위 유지 이유는 물이 충분히 채워지지 않는 상태에서 냉동 및 냉각사이클이 개시될 경우 일부 빈공간 상태에서 제빙이 이루어지면, 부분적으로 결빙된 얼음의 과냉각에 의해 실린더 내의 스크류회전이 구속되어 기계적인 사고로 이어지면서, 한편으로는 충분한량의 얼음으로 냉에너지로 소비되지 않은 냉매가 압축기로 흡입되는 "액백(LIQUID BACK)"현상에 의한 냉동시스템 파괴로 이어지는 장치상의 치명적인 사고가 발생되는 반드시 피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the reason for maintaining the water level in the conventional ice-making cylinder which forms the principle of this ice-making principle is that if ice-making is performed in some empty spaces when the refrigeration and cooling cycles are started when the water is not sufficiently filled, it is caused by the subcooling of the partially frozen ice. A device that leads to mechanical failure due to constrained screw rotation in the cylinder, leading to mechanical accidents, while destroying the refrigerating system by the "liquid back" phenomenon where refrigerant is not consumed by cold energy as a sufficient amount of ice into the compressor. There was a problem that must be avoided to cause a fatal accident.
이에 그동안 급수탱크와 제빙실리더의 수위가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급수탱크의 설계가 이루어져 왔다.In the meantime, the design of the water supply tank has been made so that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upply tank and the ice making cylinder are located on the same line.
아울러 이러한 급수시스템의 설비한계로 인하여 제빙 및 냉각 능력이 급수탱크 설계여부에 좌우되므로 결국 콤팩트화한 제빙장치의 제작에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In addition, due to the equipment limitations of the water supply system, the deicing and cooling capacity depends on the design of the water supply tank, thus making it difficult to manufacture a compact ice maker.
따라서 이러한 제빙장치(정수기 등)의 구조를 간단화하고 소형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급수전자밸브,급수탱크, 오버훌로우관 및 정수위콘트롤회로 시스템없이 급수측의 수위조절장치가 개선됨이 요구되어 왔다.Therefore, in order to simplify and reduce the structure of such an ice making device (water purifier), it has been required to improve the water level control device on the water supply side without a feedwater solenoid valve, a water supply tank, an overflow pipe, and a water level control circuit system.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문제점을 개선하여 오거식 제빙장치에서 실린더내 수위의 조절방법을 급수탱크의 수위에 의존하지 않고 급수되는 물의 단위면적당 통과량과 수압과 이에 위하여 상,하이동되는 다이아프램밸브의 승하강력에 의하여 실린더의 물을 정수위로 채워주는 제빙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such a conventional problem by adjusting the water level in the cylinder in the auger ice-making device without relying on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upply tank.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ce making device that fills water in a cylinder with a lifting force.
본 발명은 종래 급수시스템의 정수위콘트롤회로와 정수위콘트롤회로에 의해 제어되는 급수전자밸브, 급수탱크, 급수탱크내 플로트와 수위검지스위치 및 오버훌로우관 등에 의해 복잡하게 구성되는 "정수위조절장치"를 제거한 제빙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ter level control device" composed of a water solenoid valve, a water supply tank, a float in a water supply tank, a water level detection switch, an overflow pipe, and the like, which are controlled by a water level control circuit and a water level control circuit of a conventional water supply system. Its purpose is to provide a removed ice making device.
본 발명은 실린더내 수위를 유지하기 위하여 실린더내 채워지는 물의 수위를 콘트롤하도록 정수위조절장치를 구비한 제빙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ce making apparatus having a water level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level of water filled in a cylinder to maintain the level in the cylinder.
본 발명은 제빙장치에 적용된 정수위조절장치의 급수량 개폐부재가 다이아프램밸브의 승강축에 일단이 힌지 설정되고, 타단이 유입구측에 힌지 설정되어 다이아프램밸브의 승강에 연동되는 정수위조절장치를 마련한 제빙장치를 제공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ce-making device having a water level opening and closing member of a water level control device applied to an ice making device, the one end of which is hinged to the lifting shaft of the diaphragm valve, the other end of which is hinged to the inlet side, thereby providing a water level control device interlocked with the lifting of the diaphragm valve. It is also an object to provide a devi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제빙장치는, The present invention ice making apparatu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급수된 물을 제빙하고, 제빙전 정수위를 유지하도록 급수 되며, 제빙시 얼음을 분리해내고,얼음을 보관하는 제빙부와; 상기 제빙부의 실린더 외측에서 부터 증발기,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냉매순환파이프로서 응축,팽창,증발,압축의 냉동사이클 과정을 통하여 상기 증발기에서 제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냉동사이클부와; 상기 냉동사이클부의 제빙상태(제빙된 얼음의 빙질,얼음의 견고성등)을 검출하여 제빙능력(얼음을 형성하는 능력이며,이하에서는 제빙능력이라함)의 변동에 따라 냉동사이클부의 냉동사이클을 제어하는 제빙부하제어회로(A); 및 상기 제빙부에 급수함에 있어 실린더의 수위를 정수위로 유지하도록 상,기 상,하부바디사이에 다이아프램밸브를 분할 형성함과 아울러 다이아프램밸브의 승강축과 유입구사이에 개폐부재를 편심되게 연동설치하여 승강축의 승강과 동시에 개폐부재가 시이소오 연동되어 유입구를 개폐하는 수위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제빙장치. 공급된 물을 냉동시켜 제빙하는 제빙부; 냉동사이클부의 제빙상태를 검출하여 제빙능력의 변동에 따라 냉동싸이클부의 냉동작용을 제어하는 제빙부하제어회로(A); 및 상기 냉동사이클부에 급수함에 있어 그 수위를 조절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하부바디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분할하는 다이아프램밸브을 형성함과 동시에 유출구측에 편심되게 힌지축을 형성하되 선단부가 다이아프램밸브의 승강축에서 힌지로 연결되는 개폐부재를 형성하여 승강축의 승강과 동시에 개폐부재가 시이소오 연동되어 유출구를 개폐하는 수위조절장치를 포함하여서 된다.An ice making unit for making iced water and maintaining the water level before ice making, separating ice during ice making, and storing ice; A refrigeration cycle unit configured to perform deicing in the evaporator through a refrigeration cycle process of condensation, expansion, evaporation, and compression as an evaporator, a compressor, a condenser, an expansion valve, and a refrigerant circulation pipe from the outside of the cylinder of the ice making unit; Control the refrigeration cycle of the refrigeration cycle unit in accordance with the variation of the ice making capacity (the ability to form 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ice making capacity) by detecting the ice state of the refrigeration cycle unit (ice ice of ice, solidity of ice, etc.) An ice making load control circuit (A); And dividing the diaphragm valve between the upper body,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so as to maintain the water level of the cylinder in the water supply in the ice making unit, and interlock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between the lifting shaft and the inlet of the diaphragm valve. An ice making apparatus comprising a water level control device installed and lifted at the same time as the elevating shaft,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nterlocked with the iso-so. An ice making unit for freezing and supplying iced water; An ice making load control circuit (A) for detecting an ice making state of the refrigeration cycle unit and controlling a freezing operation of the freezing cycle unit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ice making capacity; And a diaphragm valve for dividing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body to control the water level in the water supply to the refrigeration cycle unit, and at the same time to form a hinge shaft eccentrically on the outlet side of the diaphragm valve. Form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connected to the hinge from the lifting shaft to include a water level control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simultaneously connected to the lifting shaf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제빙장치의 상기 개폐부재의 선단부가 다이아프램밸브의 승강축에 제1축핀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타측이 제2축핀으로 연결되어 승강축의 승강과 동시에 제2축핀이 시이소오 연동되어 유입구를 개폐하는 특징을 갖는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front end of the opening / closing member of the present ice making device is connected to the lifting shaft of the diaphragm valve by the first shaft pin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by the second shaft pin. It is interlocked and has the characteristic of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제빙장치의 상기 하부바디의 유입구는 첨두부가 뾰족하게 오리피스를 이루고, 이에 덮여져 개폐되는 개폐부재는 컵과 개폐시트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inlet of the lower body of the present ice making apparatus has a sharp orifice with a sharp tip,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which is covered and opened is preferably formed with a cup and an opening shee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제빙장치의 상기 제빙부하제어회로(A)의 신호 입력값으로 응축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제빙부하제어회로(A)의 출력 값으로 팬 모터를 연동 형성함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temperature sensor measuring a temperature of a condenser as a signal input value of the ice making load control circuit A of the present ice making device and an output value of the ice making load control circuit A are linked to each other. It is preferable to.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제빙장치의 상기 제빙부하제어회로(A)의 신호 입력값으로 외기온도센서를 더 구비함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n outside temperature sensor as a signal input value of the ice making load control circuit (A) of the ice ma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제빙장치의 상기 제빙부하제어회로(A)의 신호 입력값으로 압축기의 입출구 압축비를 측정하는 압력센서를 더 구비함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pressure sensor for measuring the inlet / outlet compression ratio of the compressor as the signal input value of the ice making load control circuit (A) of the ice ma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제빙장치의 상기 제빙부하제어회로(A)의신호 입력값으로 외기온도센서를 더 구비함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n outside temperature sensor as a signal input value of the ice making load control circuit A of the ice ma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제빙장치의 상기 제빙부하제어회로(A)의신호 입력값으로 증발기 온도측정용 온도센서를 더 구비함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evaporator temperature as a signal input value of the ice making load control circuit A of the ice ma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제빙장치의 상기 제빙부하제어회로(A)의신호 입력값으로 급수 온도센서를 더 구비함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water supply temperature sensor is further provided as a signal input value of the ice making load control circuit A of the ice mak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제빙장치의 상기 제빙부하제어회로(A)의 신호 입력값으로 증발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제빙부하제어회로(A)의 출력값으로 팬 모터를 연동형성함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temperature sens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evaporator as the signal input value of the ice making load control circuit 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an motor are interlocked with the output value of the ice making load control circuit A. This is preferr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제빙장치의 상기 제빙부하제어회로(A)의 신호 입력값으로 급수 온도측정용 온도센서를 더 구비함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water supply temperature as a signal input value of the ice making load control circuit A of the ice ma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제빙장치의 상기 제빙부하제어회로(A)의 신호 입력값으로 급수되는 물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센서와, 제빙부하제어회로(A)의 출력값으로 팬 모터를 연동 형성함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flow sensor for measuring the flow rate of water supplied to the signal input value of the ice making load control circuit A of the present ice making device and the fan motor are interlocked with the output value of the ice making load control circuit A. It is preferable to.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제빙장치의 상기 제빙부하제어회로(A)의 신호 입력값으로 급수 온도센서와, 증발기 온도측정센서를 더 구비함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water supply temperature sensor and an evaporator temperature measuring sensor as a signal input value of the ice making load control circuit A of the ice mak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제빙장치의 상기 수위조절장치는,The water level control device of the ice ma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원판형의 상면부 저부에 개구공간을 형성하고, 외주연부를 따라 체결공이 형성된 체결단자를 형성하고, 상면부의 중심부에는 원형 기둥을 이루고 이 기둥(112) 의 내부는 중공을 이루되 상면 중심에는 나선이 형성된 나사공이 형성되어 내부와 연통되며, 이 나사공에는 나선이 형성된 조절구가 나사맞춤되며, 그 하방에는 조절편에 의하여 탄성부재를 탄착하여서 되는 상부바디와; 다이아프램밸브은 상부판체와 하부판체 및 결합구로 나누어지며, 상부판체의 중심에는 통공과 상기 탄성부재의 하단이 지지되는 링형 요입부를 형성하고, 하부판체는 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됨과 아울러 상기 통공과 연통되는 통공을 형성하면서 길게 연장된 승강축를 형성하여서 된다. 이 승강축의 하부 양측에는 축공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개폐부재의 포오크형 단부의 양측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다이아프램밸브와; 물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유입구와, 유출구를 형성하는 하부바디; 및 선단부가 다이아프램밸브의 승강축 양측에 제1축핀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포오크형의 암을 이루고 타측에는 승강축의 승강과 동시에 시이소오 연동하도록 제2축핀이 포오크형 암 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더욱 연장되어 하부가 개방된 캡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바디의 공간내에 유입구측에서 제2축핀을 형성하되 한 쪽은 길게 다른 한쪽은 짧게 편심 작동되는 개폐부재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An opening space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upper surface of the disk shape, and a fastening terminal formed with fastening holes is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and a circular column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inside of th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수위조절장치의 상기 하부바디의 유입구는 오리피스를 형성하고,이에 개폐되는 개폐부재는 컵형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Inlet of the lower body of the water level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o form an orifice,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preferably formed to form a cup.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수위조절장치의 상기 유입구측에 역류방지용 체크밸브를 더 형성함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further form a check valve for preventing the backflow on the inlet side of the water level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본 발명은 급수조절수단이 제빙장치의 제빙챔버에 채워지는 수위와 같은 높 이로 급수탱크가 위치해야 되는 문제점을 개선한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problem that the water supply tank is located at the same height as the water level is filled in the ice making chamber of the ice making device.
본 발명은 종래 오거식 제빙장치가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할 정수위콘트롤회로와 정수위콘트롤회로에 의해 제어되는 급수전자밸브, 급수탱크, 급수탱크내 플로트와 수위검지스위치 및 오버훌로우관 등에 의해 복잡하게 구성되는 수위조절수단을 제거하고 간단한 정수위조절수단을 강구한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icated by a water supply solenoid valve, a water supply tank, a float and a water level detection switch and an overflow pipe, which are controlled by a water level control circuit and a water level control circuit, which are required to have a conventional auger ice maker. It has the effect of removing the water level adjusting means and devising a simple water level adjusting means.
첨부 도면중 도 2는 본 발명 제빙장치의 도면이다.2 is a view of the ice mak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급수관(10)의 적당한 위치에 수위조절장치(100)가 연결되고, 급수관(10)은 다시 공급된 물을 냉동시켜 제빙하는 제빙부(200)와, 제빙부의 제빙상태를 검출하여 제빙능력의 변동에 따라 제빙부의 냉동능력을 조정하는 제빙부하제어회로(A)(미도시)와, 수위조절장치(100)로 이루어진다. The water
상기 수위조절장치(1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빙부(200)의 공급수의 수위를 조절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바디(110)(120)사이에 형성된 공간(123)을 분할하는 다이아프램밸브(130)을 형성함과 동시에 유입구(121)측에서 선단부가 다이아프램밸브(130)에 연결되는 개폐부재(140)를 형성하여 승강축의 승강과 동시에 개폐부재(140)가 연동되어 유입구를 개폐하여서 된다.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water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given below.
첨부 도면중 도 3은 본 발명 수위조절장치(100)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수위조절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도 5는 본 발명 수위조절장치의 1실시예의 단면도이고,도 6a.6b는 본 발명 수위조절장치의 제2 실시예의 작용단면도이다.Figure 3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상기 도면들에 따르는 본 발명은 급수된 물을 제빙하되, 제빙전 정수위를 유지하도록 급수되며, 제빙시 얼음을 분리해내고, 보관하는 제빙부(200)와, 제빙부(200)의 실린더 외측에서 부터 증발기,압축기,응축기,팽창밸브,냉매순환파이프로서 응축,팽창,증발,압축의 냉동사이클 과정을 통하여 상기 증발기에서 제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냉동사이클부(300)와, 제빙된 얼음의 빙질을 검출하여 냉동사이클부를 제어하는 제빙부하제어회로(A)(미도시)로 이루어진다.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drawings, the ice making water but the water supply to maintain the water level before ice making, ice-making
상부바디(110)는 판형의 상면부(111)의 중심에 원형 기둥(112)을 형성하고, 이 기둥(112)의 내부는 중공을 이루되 저부 공간과 연통된다. 상기 상부바디(110)의 기둥(112)에는 조절구(115)가 나사맞춤되며, 상기 조절구(115)의 하단과 상기 다이아프램밸브(130)의 요입부(132)사이에 탄력을 갖고 탄성부재(117)가 지지된다.The
상기 상부바디(110)의 기둥(112) 상면 중심에 나선(112b)이 형성된 나사공(112a)이 형성되어 내부와 연통되며, 이 나사공(112a)에는 나선(115a)이 형성된 조절구(115)가 나사맞춤되어 상기 탄성부재(117)의 탄력을 조절한다.
상기 조절구(115)는 그 하단에서 조절편(116)과 결합되고, 조절편(116)은 양측으로 걸림턱(116a)을 형성하여 상기 탄성부재(117)에 넣어짐과 아울러 걸림턱(116a)가 걸려져 탄력을 받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조절구(115)의 나사맞춤 조절로서 승하강될 때 탄성부재(117)의 탄성 압력을 조절하게 된다. 미설명부호 116b는 조절구(115)와의 결합공이고,116c는 나선을 나타낸다.A
The adjusting
삭제delete
하부바디(120)는 상기 상부바디(110)와 결합하여 내부에 소정의 공간(123)을 형성하고, 그 하측으로 오리피스(121a)를 형성한 유입구(121)와, 유출구(122)를 형성한다.The
다이아프램밸브(130)는 다이아프램밸브(130)는 상부판체(131)와 하부판체(134) 및 결합구(133)로 이루어진다. 상부판체(131)는 그 중심에 통공(131a)을 형성하고, 탄성부재(117)의 하단이 지지되는 링형 요입부(132)를 형성하며, 하부판체(134)는 하방으로 승강축(135)을 연장함과 아울러 상기 통공(131a)과 연통되는 결합공(134a)을 형성하며, 승강축(135)의 양측으로 축공(136)을 형성한다. 이러한 상부판체(131)와 하부판체(134)는 결합구(133)로 결합된다. 결합구(133)의 외주면은 나선(133a)를 형성하고 상,하부판체(110)(120)을 결합할 때 통공(131a)을 지나 하부의 결합공(134a)에서 나사로 결합된다. 승강축(135)은 그 양측으로 축공(136)을 형성하여 후술하는 포오크형 암(143)의 양측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The
상기 다이아프램밸브(130)의 승강축(135)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하부바디(120)의 유입구(121)측에 축지됨과 아울러 유입구(121)를 개 폐하는 개폐부재(140)는,One e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lifting
일단부가 포오크형의 암(143)을 이루고, 타단부는 개폐캡(144)을 형성하되 다이아프램(130)의 승강축(135) 양측을 둘러싸는 암(143)에서 제1축핀(141)으로 회동가능하게 축고정함과 아울러 상기 개폐캡(144)의 내측으로는 제2축핀(142)이 하부바디(120)의 유입구(121)측에 축고정하여 상기 개폐부재(140)가 승강축(135)의 승강과 동시에 시이소오 연동하면서 개폐하며,상기 개폐부재(140)의 개폐캡(144)에는 상기 유입구(121)의 오리피스(121a)를 차단하기 위한 개폐공(144a)이 형성되어 있다.One end forms the fork-shaped
즉, 개폐캡(144)이 오리피스(121a)위에 덮여지면 개폐공(144a)가 오리피스(121a)상단에 안착되면서 물 공급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opening and
이상에서 설명한 정수위조절장치는, 공급수의 압력이나 유량에 무관하게 본 장치를 통과한 "출수수압"에 의하여 등가로 형성되는 "수위(水位)"만에 의해 개폐수단이 동작되는 시스템으로서, 즉 개폐수단을 통과한 출수의 수압에 의하여 다이아프램의 상승력을 부여하므로서 제빙실린더의 목표수위인 최대수위로 상승되는 순간 다이아프램밸브에 의해 공급수 유입이 정지되고, 아울러 제빙에 의해 소모되는 유량에 의해 수위가 하강하면 다이아프램밸브의 하강으로 개폐수단이 다시 개방되어 유입구를 통하여 물이 유입되어 정수위를 항상 유지하게 된다.The water level regulator described above is a system in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are operated only by the "water level" formed equivalently by the "water pressure" passed through the apparatus irrespective of the pressure or flow rate of the feed water, that is, The supply of water is stopped by the diaphragm valve as soon as the diaphragm is raised to the maximum level, which is the target level of the ice making cylinder, by giving rise force of the diaphragm by the water pressure passing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When the water level is lowered,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is opened again by the lowering of the diaphragm valve, so that water is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to maintain the water level at all times.
본 발명 제빙장치의 제빙부(200)와 냉동사이클부(300)는 종래 도면 도 1에 나타낸 오거식 제빙장치와 같다.The
즉, 제빙부(200)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실린더(220)와, 실린더(220) 외주면에 면접촉시켜 감아 장착한 증발기(310)와, 이 실린더(220)내에서 구동모터(250) 에 의해 회전하는 나선날(241)을 갖는 스크류(240)와, 증발기(310)를 외기로부터 차단하도록 실린더(220) 전체를 피복하는 냉동 케이싱(210)으로 이루어진다. 실린더(220) 내주면에 빙결되는 얼음은, 나선날(241)에 의해 상방으로 긁어올려져 커터로 잘린다.That is, the
냉동사이클부(300)는, 압축기(360),응축기(330),응축기(330)의 냉각용 팬(341)을 구동하는 휀모터(340),팽창밸브(320),증발기(310) 및 냉매통로(350)로 이루어지고, 냉매는 냉매통로를 따라 순환한다.The
그리고, 휀모터(340)는 예컨대 DC 모터로 형성되고, 제빙부하제어회로(A)의 출력값에 의해 그 회전수가 제어(증속, 감속, 유지, 정지 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The
이하 본 발명의 전체적인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에 의거 구체적으로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overall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 도면중 도 7a 내지 7l은 본 발명 여러가지 실시예들의 도면을 나타내고, 도 8a 내지 8h는 본 발명 여러가지 실시예들에 따른 훌로우차트를 나타낸다.7A through 7L show drawings of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8A through 8H illustrate a flow chart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도면들에 따르는 본 발명 제빙장치는 종래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급수전자밸브(1), 급수관(10), 급수탱크(2),실린더(220)로 제빙수를 공급하는 급수관(6),실린더(220)내의 물을 배수하는 배수관(7),급수탱크(2)나 상·하의 각 드레인 팬(미도시)으로부터 넘치는 물을 배출하는 오버플로우배수관(5)으로 이루어진 수위조절장치 대신 전술한 수위조절장치(100)가 적용된다. The ice mak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se drawings is a
본 발명 제빙장치의 냉동사이클부(300)는, 압축기(360), 응축기(330), 응축기(330)의 냉각용 팬(341)을 구동하는 휀모터(340),팽창밸브(320),증발기(310) 및 냉매통로에 의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냉매는 냉매통로를 따라 흐른다.The
그리고, 휀모터(340)는 제빙부하제어회로(A)에 의해 적절히 그 회전수가 가변(증속, 감속, 유지, 정지 등)제어되도록 구성한다.The
제빙부(200)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실린더(220)와, 실린더(220) 외주면에 면접촉시켜 감아 장착한 증발기(310)와, 이 실린더(220)내에서 구동모터(250)에 의해 회전하는 나선날(241)을 갖는 스크류(240)와, 증발기(20)를 외기로부터 차단하도록 실린더(220) 전체를 피복하는 냉동 케이싱(210)으로 이루어진다. 실린더(220) 내주면에 빙결되는 얼음은, 나선날(241)에 의해 상방으로 긁어올려져 커터로 잘린다.The
제빙중 제빙장치가 가동되는 분위기(주위온도, 급수온도, 전압/전류 등) 여건의 변화에 의하여 발생되는 얼음의 빙질,굔고한 상태등의 제빙능력이 변동함에 의해 자연스럽게 단위시간당 제빙량의 변동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의해 급수량의 변동이 발생하게 되는 바, 이는 실린더내의 수위 변동을 전술한 개선된 "정수위조절장치"에 의해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킴에 따라 가동중 변화가 있어도 자동 조절함에 의하여 해결된다.Due to the change in the ice-making capacity such as ice quality and solid state caused by the change of the conditions (ambient temperature, water supply temperature, voltage / current, etc.) of the ice maker during operation This results in a change in the water supply, which is solved by automatic adjustment even if there is a change in operation as the water level change in the cylinder is always kept constant by the above-described improved " water level controller ".
본 발명은 급수구를 상수도에 연결하면, 제빙장치의 가동여부에 무관하게 항상 정수위를 유지하도록 하여 어느때라도 항상 제빙이 가능하게 해준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water inlet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the water supply is always maintained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 ice making device is operated.
이때 제빙부하제어회로(A)가 후술하는 실시예1의 응축기(330) 온도센서(332)에 의하여 온도를 검지하여 그 온도에 따라 휀모터(340)을 조절하여 구동하므로서 응축기(330)온도가 기준값에 비하여 높으면 팬(341)을 증속시켜 제빙능력을 제어가 능하게 된다. 물론 압축기(360)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At this time, the ice making load control circuit A detects the temperature by the
이와 같은 작동은 제빙장치의 가동중에 반복하여 실행되고, 전원을 끊음으로써 정지한다. 이에 의해, 제빙능력의 변동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고, 예컨대 얼음을 별로 필요로 하지 않는 겨울철에 응축기(330)의 응축능력을 의도적으로 저하시킴으로써 과잉 제빙(얼음의 형성이 지나쳐 불필요하게 제빙부 주위 까지 젱빙상태를 유발하는 현상, 이하에서는 과이 제빙이라함)을 원활하게 회피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제빙부(200)에 과부하가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is operation is repeatedly execut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ice making apparatus and stopped by turning off the power supply. This makes it possible to accurately determine the fluctuation of the ice making capacity, and for example, by deliberately lowering the condensing capacity of the
먼저, 첨부 도면중 도 8a 내지 도 8h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First, an operation process of FIGS. 8A to 8H will be described.
도 8a는 제빙기가 동작을 개시하고 나서 응축기의 온도를 측정하여 이를 기준온도와 비교한 뒤 휀모터에 반영하여 응축온도를 제어토록하는 것이고, 도 8b는 제빙작동후 응축기 온도를 측정하여 기준온도와 비교한 뒤 그 차이를 압축기에 연동하여 압축기의 압축력을 증,감하는 것에 반영하여 제빙효율을 제어하는 것이고,도 8c는 제빙시작후 증발기의 온도를 측정하여 온도를 측정하여 이를 기준온도와 비교한 뒤 휀모터에 반영하여 응축온도를 제어토록하는 것이고,도 8d는 제빙시작후 증발기의 온도를 측정하여 기준치와 비교하여 기준치에 미치지 못하면 이를 압축기의 압축 작동에 반영하여 압축기를 증속시키고,기준치에 비하여 높으면 압축기를 감속시켜 제어하며, 도 8e는 제빙시작후 압축기의 증발기온도를 측정하여 기준치와 비교하여 기준치에 미치지 못하면 이를 압축기의 압축기 작동에 반영하여 압축기를 증속시키고,기준치에 비하여 높으면 휀모터를 가동시켜 제어하며, 도 8f는 제빙시작후 급수량을 측정하여 기준급수량과 비교하여 기준치에 미치지 못하면 이를 압축기의 압축기 작동에 반영하여 압축기를 증속시키고,기준치에 비하여 높으면 휀모터를 가동시켜 제어하며, 도 8g는 제빙시작후 급수량을 측정하여 기준치와 비교한 뒤 기준치에 미치지 못하면 다시 이를 급수량에 반영하고,기준치에 비하여 높으면 휀모터를 가동시켜 응축효율을 제어하며, 도 8g는 제빙시작후 급수량을 측정하여 기준치와 비교하여 기준치에 미치지 못하면 다시 이를 압축기의 압축기 작동에 반영하여 압축기를 증속시키고,기준치에 비하여 높으면 휀모터를 가동시켜 제어하도록 한다.Figure 8a is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condenser after the operation of the ice maker to compare it with the reference temperature and to reflect on the motor to control the condensation temperature, Figure 8b is to measure the condenser temperature after the ice making operation and the reference temperature and After the comparison, the difference is linked to the compressor to increase and decrease the compression force of the compressor to control the ice making efficiency. FIG. 8C measures the temperature of the evaporator after the start of ice making and measures the temperature and compares it with the reference temperature. 8D shows that the condensation temperature is controlled by reflecting it to the back motor. In FIG. 8D, if the temperature of the evaporator is measured after the start of ice making, and the temperature is lower than the standard value, the compressor is increased in the compression operation of the compressor and the compressor is increased. If it is high, the compressor is decelerated and controlled. FIG. 8E shows the reference value by measuring the evaporator temperature of the compressor after the start of ice making. If it is not reached, the compressor is increased to reflect the compressor's operation, and if it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compressor is operated to control the motor. FIG. 8F measures the water supply after the start of ice making. The compressor is increased to reflect the operation, and if it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motor is controlled and operated. FIG. 8g measures the water supply amount after the start of ice making, compares it with the reference value, and if it does not reach the reference value, reflects it again in the water supply amount. If it is high, it controls the condensation efficiency by operating the motor. Figure 8g measures the water supply after the start of ice making and if it does not reach the standard value, it is reflected in the compressor operation of the compressor and the compressor is increased again. To control it.
이하 각 실시예별 작동을 설명한다. The operation of eac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elow.
실시예1Example 1
실시예1은 도 7a와 도 8a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응축기 (330)의 온도를 검지하는 온도센서(332)를 설치하고, 이 온도센서(332) 에 의해 측정된 응축기(330)의 측정온도와 소정의 임의의 기준온도의 대소가 비교된다. 그리고 온도센서 (332) 로 측정된 측정온도가 기준온도 보다 낮아진 경우에, 제빙부하제어회로(A)에 의해 휀모터(340)의 회전수가 정지되거나 정지되도록 제어된다. 이에 의해, 응축능력을 의도적으로 저하시켜, 과잉으로 제빙되는 것을 억제한다.In the first embodiment, as shown in FIGS. 7A and 8A, a
따라서, 제빙운전이 개시되면, 온도센서(332)가 응축기(330)의 온도측정을 개시하고, 측정온도와 기준온도의 대소가 비교판단된다. 그리고 측정온도가 기준온도보다 낮은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제빙부하제어회로(A)는 제빙장치가 과잉 제빙 상태로 된 것으로 판단하여 응축기(330)의 냉각용 휀모터(340)의 회전수 제어를 개시하고, 휀모터(340)의 회전이 정지되거나 감속되도록 제어한다.또한 온도센서(332)로 응축기(330)의 중앙 온도를 측정하면, 측정지점을 최소로 하여 냉동사이 클부의 상황을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ice making operation is started, the
첨부 도면중 도 7f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실시예의 제빙장치에 외기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6)를 설치하므로서 본 발명의 제빙상태를 외기온도를 감안하여 제어할 수 있다. 즉, 제빙부하제어회로(A)에는,응축기(330)에 관하여 서로 다른 복수의 기준온도가 미리 설정되어 있다. 제빙상태는 외기온도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응축기(330)의 온도에 의거하여 냉각용 휀모터(340)의 회전수 제어를 실시함과 동시에 외기온도에 의거하여 회전수 제어에서 사용되는 응축기(330)의 기준온도를 선택함으로서, 제빙능력을 주위환경에 맞춰 적합하게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shown in FIG. 7F, the ice mak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trolled in consideration of the outside air temperature by providing a
실시예2Example 2
첨부 도면 도 7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실시예1의 제빙장치에 있어서, 압축기(360)의 고압측 압력 및 저압측 압력을 검지하는 압력센서(미도시)를 설치하고, 이들 압력센서에 의해 입구의 압력과 출구의 압력차를 검출하여 압력차이가 많으면 휀모터를 가동(또는 증속)시키고, 낮으면 정지(또는 감속)하도록 한다. 그 외의 구성은 실시예1과 동일하므로, 상이한 구성만을 설명한다.As shown in FIG. 7B, in the ice making apparatus of Example 1, a pressure sensor (not shown) for detecting the high pressure side pressure and the low pressure side pressure of the
압축기(360)입출구에 각각 설치된 압력센서(362)로 측정된 고압측 압력 및 저압측 압력으로부터 압축비를 산출하고, 이 압축비와 임의의 기준값 의 대소가 비교된다.The compression ratio is calculated from the high pressure side pressure and the low pressure side pressure measured by the
그리고 압축비가 기준값 보다 작아진 경우에, 제빙부하제어회로(A)에 의해 휀모터(340)의 회전수가 느려지도록 제어된다. 이에 의해 응축능력을 의도적으로 저하시켜, 과잉으로 제빙되는 것을 억제한다. When the compression ratio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ice load control circuit A controls the rotation speed of the
이러한 압축비의 제어와 함께 외기온도에 따라 제빙장치를 가동하도록 하므로서 제빙효율을 증가시킨다.In addition to controlling the compression ratio, the ice making apparatus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outside air temperature, thereby increasing the ice making efficiency.
첨부 도면중 도 7j는 본 발명 제빙장치의 다른 실시예로서 압축기의 입,출구압력을 비교하여 휀모터(340)을 증속,감속,정지되도록 하는 실시예로서 여기에 외기온도를 반영하여 제빙장치를 보다 능률적으로 운영하게 된다. Figure 7j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ice ma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mparing the inlet and outlet pressure of the compressor to increase, decrease, stop the
바람직하게는 첨부 도면 도 7f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급수관으로 급수되는 급수온도를 온도센서(14)로서 검출하여 이를 반영하도록 하는 제빙장치이다.Preferably, it is an ice making apparatus which detects the water supply temperature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pipe as the
첨부 도면중 도 8b,8c,8d,8f,8h는 응축기온도(332)를 측정한 뒤 이를 압축기의 압축력 증,감에 반영하도록 하며(8b,8c),증발기온도를 측정하여 압축기의 증감에 반영하고(8f), 급수량을 측정하여 이를 압축기에 반영하므로써 효율적인 제빙작동을 얻을 수 있다.8b, 8c, 8d, 8f, and 8h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measure the
실시예 3Example 3
실시예 3은 도 7c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 제빙장치에 있어서, 증발기(310)와 팽창밸브(320)사이에 설치된 온도센서(312)를 통하여 제빙부하제어회로(A)에 설정된 증발기 온도 기준 값과 비교하여 낮으면 휀모터(340)를 정지시키거나 감속시키고, 높으면 가동시키거나 증속시켜 효율적인 제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증발기(310)의 입구에 온도센서(312)를 설치하여 증발기(310)에서의 냉매의 증발온도를 측정하고, 이 온도센서(312)에 의해 증발온도로 제빙능력을 검지 할 수 있다.The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빙운전이 개시되면, 온도센서(312)가 냉매의 증발온도 의 측정을 개시하고, 증발온도와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준온도가 비교된다. 비교 결과, 증발온도가 기준온도보다 낮은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제빙부하제어회로 (A)는 본 발명 제빙장치가 과잉 제빙의 상태로 된 것으로 판단하고, 응축기(330) 의 냉각용 휀모터 (340)의 회전을 감속시키거나 정지시켜 제빙능력을 저하시킨다. 또한 증발온도가 기준온도보다 높은 것으로 판정되면, 제빙부하제어회로(A)는 본 발명 제빙장치가 원하는 제빙능력에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응축기(330)의 냉각용 휀모터(340)의 회전수를 증속시켜 제빙능력을 향상시킨다. 또 증발온도가 기준온도와 같은 것으로 판정되면, 제빙부하제어회로(A)는 냉각용 휀모터(340)의 회전수를 그대로 유지시킨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hen the ice making operation is started, the
한편,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7g에서 도시하는 본 발명 실시예의 제빙장치는 급수되는 물의 온도를 검출함과 아울러 증발기온도를 검출한 뒤 이 온도를 각 기준값과 비교하여 제빙부하제어회로(A)를 통하여 응축기 휀모터(340)의 증속과 감속 및 정지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따라서 급수온도와 증발기 온도등을 동시에 고려한 제빙작동이 이루어지므로서 종래 제빙장치에 비하여 효율적인 제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ice making apparatu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7g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ects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supplied to the water, and after detecting the evaporator temperature and compares this temperature with each reference value to determine the ice making load control circuit (A) Through the
실시예 4Example 4
본 발명 제빙장치의 실시예4는 도 7d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실시예1의 제빙장치에 급수관측에 유량센서(12)를 설치하고, 이 유량센서(12)에 의해 본 발명의 제빙부하제어회로(A)로서 제빙능력을 향상하고자 하는 것이다. 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ice mak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7D, the
즉, 실린더(220)에서 얼음으로 되어 방출된 분량만큼 새로 급수관(10)을 통하여 실린더(220)에 제빙수가 공급되므로, 유량센서(12)에 의하여 급수관(10)로부터 실린더(220)로 공급되는 제빙수의 유량을 검출함으로써, 제빙능력을 검지할 수 있다.That is, ice making water is supplied to the
제빙운전이 개시되면, 유량센서(12)가 제빙수의 유량의 측정을 개시하고, 측정된 유량과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준유량이 비교된다. 비교 결과, 측정유량이 기준유량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제빙부하제어회로(A)는 제빙장치가 과잉 제빙의 상태로 된 것으로 판단하고, 응축기(330)의 냉각용 휀모터(340)의 회전수를 감소시키거나 정지시켜 제빙능력을 저하시킨다. 한편, 측정유량이 기준유량에 미달되는 것으로 판정되면, 제빙부하제어회로(A)는 제빙장치가 원하는 제빙량에 도달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응축기(330)의 냉각용 휀모터(340)의 회전수를 증가시켜 제빙능력을 향상시킨다. 또한,측정유량이 기준유량과 같은 것으로 판정되면, 제빙부하제어회로(A)는 냉각용 휀모터(340)의 회전수를 그대로 유지시킨다. When the ice making operation is started, the
첨부 도면중 도 7h는 본 실시예에 급수 온도센서(12)와, 증발온도센서(312)로서 증발기 온도와 급수온도를 검출하여 제빙능력을 더욱 향상하고자 한다.7H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is to detect the evaporator temperature and the water supply temperature as the water
즉, 실린더(220)에서 얼음으로 되어 방출된 분량만큼 새로 급수관(10)을 통하여 실린더(220)에 제빙수가 공급되므로, 유량센서(12)에 의하여 급수관(10)로부터 실린더(220)로 공급되는 제빙수의 유량을 검출함과 아울러 급수온도를 검출토록 함으로써, 제빙부하제어회로(A)에 입력된 기준값과 비교한 뒤 그 차이를 팬 모터(340)을 통하여 제어하도록 하므로서 항상 최적의 제빙운전을 유지 할 수 있다. 더욱이 여기에 증발온도를 검출하여 이를 제빙부하제어회로(A)에 입력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그 차이를 제어토록하므로서 증발기,응축기의 제어로서 상기 실린더(220)내에 입수되어 제빙되는 유량과 온도뿐 만아니라 증발온도까지 복합적으로 제어하도록 하므로서 더욱더 안전한 제빙운전 상태를 유지 할 수 있다.That is, ice making water is supplied to the
제빙운전이 개시되면, 유량센서(12)가 제빙수의 유량과 온도 및 증발온도의 측정을 개시하고, 측정된 유량,급수온도,증발기온도와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준값들과 비교된다. 비교 결과, 측정유량이 기준유량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제빙부하제어회로(A)는 제빙장치가 과잉 제빙의 상태로 된 것으로 판단하고, 응축기(330)의 냉각용 휀모터(340)의 회전수를 감소시키거나 정지시켜 제빙능력을 제어하게 된다. When the ice making operation is started, the
실시예 5Example 5
실시예 5는 도 7e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 제빙장치에 있어서, 급수관(10)의 제빙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4)를 설치하고, 이 온도센서(14)와 응축기(330)의 온도를 검지하는 온도센서(332)에 의해 본 발명을 구성한 것이며, 여기에 제빙부하제어회로(A)는 응축기(330)에 관하여 서로 다른 복수의 기준온도가 미리 기억시켜 둔다. 제빙능력은 제빙에 사용하는 제빙수의 온도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응축기(330)의 온도에 의거하여 냉각용 휀모터(340)의 회전수 제어를 실시함과 동시에 제빙수의 온도에 의거하여 회전수 제어에서 사용되는 응축기(330)의 기준온도를 선택함으로서, 제빙능력을 주위환경에 맞춰 적합하게 제어할 수 있다.In the ice mak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fth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본 실시예에 의하여 제빙운전이 개시되면, 온도센서(14)가 제빙수의 온도의 측정을 실시하고, 제빙부하제어회로(A)에 설정되어 있는 복수의 기준온도중에서 온도센서(14)에 의한 제빙수의 온도의 측정값에 대응한 하나의 기준온도가 선택된다. 또한 온도센서(332)가 응축기(330)의 온도의 측정을 개시하고, 온도와 선택된 기준온도가 비교된다. 비교 결과, 측정온도가 기준온도보다 낮은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제빙부하제어회로(A)는 본 발명 제빙장치가 과잉 제빙의 상태로 된 것으로 판단하고, 응축기(330)의 냉각용 휀모터(340)의 회전수를 감소시켜 제빙능력을 저하시킨다. 또한 측정온도가 기준온도보다 높은 것으로 판정되면, 제빙부하제어회로(A)는 본 발명 제빙장치가 원하는 제빙능력에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응축기(330)의 냉각용 휀모터(340)의 회전수를 증가시켜 제빙능력을 향상시킨다. 또 온도가 기준온도와 같은 것으로 판정되면, 제빙부하제어회로(A)는 냉각용 휀모터 (340)의 회전수를 그대로 유지시킨다. When the ice making operation is starte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실시예 6Example 6
첨부 도면중 도 7k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제빙장치는, 외기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6)를 설치하고, 이 온도센서(16) 와 응축기(330)의 온도를 검지하는 온도센서(332)와, 증발기(310)의 온도센서(312)에 의해 본 발명의 제빙상태를 제어하게 된다. 즉, 제빙부하제어회로(A)에는,응축기(330)에 관하여 서로 다른 복수의 기준온도가 미리 설정되어 있다. 제빙상태는 외기온도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응축기(330)의 온도에 의거하여 냉각용 휀모터(340)의 회전수 제어를 실시함과 동시에 외기온도에 의거하여 회전수 제어에서 사용되는 응축기(330)의 기준온도를 선택함으로서, 제빙능력을 주위환경에 맞춰 적 합하게 제어할 수 있다. 더욱이 증 발기의 온도를 다시 셋팅시킴으로써 증발기를 통한 온도와 설정온도를 비교하여 종합 제어가 이루어지게 된다. As shown in FIG. 7K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ice making apparatus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한편, 첨부 도면 도 7l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제빙장치는, 외기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6)를 설치하고, 이 온도센서(16) 와 응축기(330)의 온도를 검지하는 온도센서(332)와, 유량센서(12)와, 증발기(310)의 온도센서(312)에 의해 본 발명의 제빙상태를 제어하게 되며, 제빙부하제어회로(A)에서 응축기(330)에서 검출된 온도를 반영하여 냉각용 휀모터(340)의 회전수 제어를 실시함과 동시에 외기온도에 의거하여 회전수 제어에서 사용되는 응축기(330)의 기준온도를 선택함으로서, 제빙능력을 주위환경에 맞춰 적 합하게 제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7L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ice making apparatus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빙운전이 개시되면, 온도센서(16)가 외기온도의 측정을 실시하고, 미리 제빙부하제어회로(A)에 설정되어 있는 복수의 기준온도중에서 온도센서(16)에 의한 외기온도의 측정값에 대응한 하나의 기준온도가 선택된다. 또한 온도센서(332)가 응축기(330)의 온도 측정을 개시하고, 온도와 선택된 기준온도 가 비교된다. 비교 결과, 온도가 기준온도 보다 낮은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제빙부하제어회로(A)는 본 발명 제빙장치가 과잉 제빙의 상태로 된 것으로 판단하고, 응축기(330)의 냉각용 휀모터(340)의 회전수를 감소시켜 제빙능력을 저하시킨다. 또한 측정온도가 기준온도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빙부하제어회로(A)는 제빙장치가 원하는 제빙량에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응축기(330)의 냉각용 휀모터(340)의 회전수를 증가시켜 제빙능력을 향상시킨다. 측정온도가 기준온도와 같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빙부하제어회로(A)는 냉각용 휀모터(340)의 회전수를 그대 로 유지시킨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hen the ice making operation is started, the
도 1은 종래 오거식 제빙장치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auger ice maker,
도 2는 본 발명 제빙장치의 도면이고, 2 is a view of the ice mak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 제빙장치에 적용된 수위조절장치(100)의 사시도이고,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도 4는 본 발명 제빙장치에 적용된 수위조절장치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고,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level adjusting device embodiment applied to the ice ma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 수위조절장치 실시예의 단면도이고,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water level adjus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6b는 본 발명 수위조절장치의 실시예의 작용단면도이고, Figure 6a.6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orking of the embodiment of the water level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a 내지 7l은 본 발명 여러가지 실시예들의 도면을 나타내고, 7A-7L show diagrams of various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도 8a 내지 8h는 본 발명 여러가지 실시예들에 따른 훌로우차트를 나타낸다. 8A-8H illustrate a flow chart in accordance with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1)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80076499A KR101037197B1 (en) | 2008-08-05 | 2008-08-05 | Ice mak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80076499A KR101037197B1 (en) | 2008-08-05 | 2008-08-05 | Ice maker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00016858A KR20100016858A (en) | 2010-02-16 |
| KR101037197B1 true KR101037197B1 (en) | 2011-05-26 |
Family
ID=42088664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80076499A Active KR101037197B1 (en) | 2008-08-05 | 2008-08-05 | Ice make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037197B1 (en)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10001312B2 (en) | 2016-01-26 | 2018-06-19 |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 Water supply system for an ice making assembly |
| US10041719B2 (en) | 2016-04-07 | 2018-08-07 |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 Water supply system for an ice making assembly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603516B1 (en) * | 2017-12-27 | 2023-11-17 | 코웨이 주식회사 | Apparatus of generating 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CN111365905B (en) * | 2020-04-09 | 2021-11-26 | 上海泰达冷暖科技有限公司 | Heat exchanger, gas-liquid separator, refrigerating system, manufacturing method and application of heat exchanger |
| CN117006762A (en) * | 2023-07-21 | 2023-11-07 | 杭州和而泰智能控制技术有限公司 | Ice making control method and ice making system |
Citations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694147A (en) * | 1992-09-10 | 1994-04-05 | Mihana Seisakusho:Kk | Diaphragm type relief valve |
| JPH0798073A (en) * | 1993-09-28 | 1995-04-11 | Ckd Corp | Tap water supply device |
| KR200206617Y1 (en) | 2000-07-25 | 2000-12-01 | 주식회사삼양발브종합메이커 | Automatic flow amount control valve |
| KR200215075Y1 (en) | 1999-03-19 | 2001-03-02 | 문건모 | A Water-flow control valve |
| KR20020006617A (en) * | 2001-12-04 | 2002-01-23 | 김형수 | Multi screw for all-purpose |
| KR20020015075A (en) * | 1999-07-22 | 2002-02-27 | 추후제출 | Discontinuous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bre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
2008
- 2008-08-05 KR KR1020080076499A patent/KR10103719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694147A (en) * | 1992-09-10 | 1994-04-05 | Mihana Seisakusho:Kk | Diaphragm type relief valve |
| JPH0798073A (en) * | 1993-09-28 | 1995-04-11 | Ckd Corp | Tap water supply device |
| KR200215075Y1 (en) | 1999-03-19 | 2001-03-02 | 문건모 | A Water-flow control valve |
| KR20020015075A (en) * | 1999-07-22 | 2002-02-27 | 추후제출 | Discontinuous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bre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 KR200206617Y1 (en) | 2000-07-25 | 2000-12-01 | 주식회사삼양발브종합메이커 | Automatic flow amount control valve |
| KR20020006617A (en) * | 2001-12-04 | 2002-01-23 | 김형수 | Multi screw for all-purpose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10001312B2 (en) | 2016-01-26 | 2018-06-19 |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 Water supply system for an ice making assembly |
| US10041719B2 (en) | 2016-04-07 | 2018-08-07 |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 Water supply system for an ice making assembly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00016858A (en) | 2010-02-16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6725675B2 (en) | Flaked ice making machine | |
| KR100446827B1 (en) | Ice making machine | |
| EP1491832B1 (en) | Method of operating auger ice-making machine | |
| KR101037197B1 (en) | Ice maker | |
| US4947653A (en) | Ice making machine with freeze and harvest control | |
| EP3183517A1 (en) | Draining the sump of an ice maker to prevent growth of harmful biological material | |
| KR20090092383A (en) | Ice making assembly for a refrigerator and method for sensing a water level thereof | |
| KR20090092386A (en) | Ice making assembly for a refrigerator and method for sensing a water level thereof | |
| WO2012018935A1 (en) | Control system for an ice maker | |
| KR20060013721A (en) | Transparent ic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 |
| US6601399B2 (en) | Ice making machine | |
| JP2678515B2 (en) | Management device for continuous ice machine | |
| KR20090092384A (en) | Ice making assembly for a refrigerator and method for sensing a water level thereof | |
| KR101507037B1 (en) | Ice dispenser Housing for use of ice maker | |
| JP2017003239A (en) | Ice-making machine | |
| JP2002372349A (en) | Auger type ice maker | |
| JP3694217B2 (en) | Automatic ice machine | |
| KR101039052B1 (en) | Water level control device of ice maker | |
| JP2004278991A (en) | Ice machine | |
| KR102447108B1 (en) | How to control the water purifier | |
| JP4435319B2 (en) | Ice machine | |
| KR20100008770U (en) | ice machine | |
| JP4307115B2 (en) | Ice machine | |
| JP2000329433A (en) | Ice machine | |
| JPH09178314A (en) | Operation protection device for auger type ice make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805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9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AMND | Amendment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1030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090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 AMND | Amendment |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 PJ0201 |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
Patent event date: 20110405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30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10516 Appeal identifier: 2011101002752 Request date: 20110405 |
|
| PB0901 |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10405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405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01103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
|
| B701 | Decision to grant | ||
| PB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Patent event date: 2011051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507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5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05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507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5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08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5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06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1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1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1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1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1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10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0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10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16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04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