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7889B1 - Protective Cases for Mobile Devices - Google Patents
Protective Cases for Mobile Devic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37889B1 KR101037889B1 KR1020090071862A KR20090071862A KR101037889B1 KR 101037889 B1 KR101037889 B1 KR 101037889B1 KR 1020090071862 A KR1020090071862 A KR 1020090071862A KR 20090071862 A KR20090071862 A KR 20090071862A KR 101037889 B1 KR101037889 B1 KR 10103788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bile device
- inner cover
- outer cover
- cover
- patter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001—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storing portable audio devices, e.g. headphones or digital music player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storing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pagers or smart phone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8—Decorative devices for handbags or purse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45C2200/10—Transparent wall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면에 표시화면(11)을 구비한 휴대기기(10)의 외부에 결합되어 휴대기기를 보호하는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실리콘 또는 우레탄을 포함하는 연질 재료로 일체로 성형되며, 상기 휴대기기(10)의 외부를 커버하되 상기 표시화면(11)이 노출되도록 표시화면(11)에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부(22)가 형성된 내부덮개(20); 및 상기 내부덮개(20)의 외부에 결합되고, 휴대기기(10)의 표시화면(11)이 노출되는 개구부(42)와, 소정 문양을 이루는 복수개의 문양절개부(44)가 형성된 외부덮개(40);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덮개(40)의 문양절개부(44)를 통해 상기 내부덮개(20)가 부분적으로 노출되면서 내부덮개(20)와 외부덮개(40)의 질감 또는 색상 차이에 의해 문양절개부(44)의 문양을 표출하고, 외부덮개(40)에 의해 휴대기기(10)에 가해지는 충격을 1차로 보호하고 연질의 재료로 이루어진 내부덮개(20)로 휴대기기(1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킴으로써 휴대기기(10)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device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mobile device 10 having a display screen 11 on the front surface to protect the mobile device, integrally molded with a soft material including silicon or urethane An inner cover 20 covering the outside of the mobile device 10 and having an opening 22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screen 11 so that the display screen 11 is exposed; And an outer cover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inner cover 20 and having an opening 42 through which the display screen 11 of the mobile device 10 is exposed, and a plurality of pattern cutouts 44 forming a predetermined pattern. It includes; and, the inner cover 20 is partially exposed through the glyph cut 44 of the outer cover 40 to the difference in texture or color of the inner cover 20 and the outer cover 40 By expressing the pattern of the pattern cut portion 44 by the outer cover 40, the mobile device 10 by the inner cover 20 made of a soft material to primarily protect the impact applied to the mobile device 10 by the outer cover 40 By buffering the impact applied to the has a more safe effect of protecting the portable device (10).
휴대기기, 보호케이스, 내부덮개, 외부덮개, 문양절개부, 문양돌출부 Mobile device, protective case, inner cover, outer cover, glyph incision, glyph protrus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기기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하며 휴대기기에 결합되어 장식적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otective device for a mobile device having a new structure that can be more securely protected and coupled to the mobile device to enhance a decorative effect.
최근 들어, 디지털 기술의 개발로 인해 휴대폰(Mobile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과 같은 휴대기기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위와 같은 휴대기기들은 고가의 제품으로서, 휴대기기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외장에 스크래치 등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를 이용한다.Recently, due to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mobile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and portable multimedia players (PMPs) are widely used. Typically, such portable devices are expensive products, and use protective cases for portable devices to protect the portable devices from external shocks and to prevent scratches from occurring on the exterior.
종래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는 휴대기기의 전면 및 배면에 각각 착탈식으로 끼워지는 하드케이스가 주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하드케이스는 착탈 결합의 용이성에 초점을 맞춤으로 인해, 경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되고 있다. 그런데, 하드케이스는 그 재질의 특성상, 낙하에 의한 충격으로 휴대기기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는 착탈 결합이 용이한 반면에, 낙하 등의 충격에는 휴대기기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어렵다.Conventional mobile device protection case is mainly made of a hard case that is detachably fitted to the front and back of the mobile device, respectively. These hard cases are made of hard synthetic resin due to the focus on ease of detachable coupling. However, the hard case ha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safely protect the mobile device due to the impact of the fall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That is, while a conventional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device is easily detachable and coupled, it is difficult to safely protect the mobile device from an impact such as a drop.
또한, 하드케이스는 잦은 결합과 분리에 의해 휴대기기와의 결합부위가 헐거워져 휴대기기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하드케이스를 휴대기기에 대해 결합하는 과정에서 휴대기기의 외장에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hard case has a problem in that the coupling portion with the mobile device is loosened easily due to frequent coupling and separation, and easily detached from the mobile device. There is such a problem.
나아가서, 보호케이스에 소정 문양을 표시하기 위해서 하드케이스의 표면에 소정 문양을 인쇄하거나 코팅하게 되는데, 이러한 인쇄 또는 코팅공정은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의 제조공정을 복잡하게 하며, 제조원가의 상승으로 인한 제품 코스트의 상승이 유발된다.Furthermore, in order to display a predetermined pattern on the protective case, a predetermined pattern is printed or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hard case. The printing or coating process complicates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device, and increases the cost of the product. The cost rise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낙하 등의 큰 충격으로부터 휴대기기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하며, 휴대기기에 대해 결합 및 분리하는 과정에서 휴대기기의 외장에 스크래치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며, 간단한 제조공정으로 다양한 문양을 연출할 수 있도록 된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more securely protect the mobile device from a large impact such as falling, and the like that the scratch on the exterior of the mobile device in the process of coupling and detaching the mobile devic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device, which is capable of producing various patterns by a simple manufacturing proces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는, 전면에 표시화면(11)을 구비한 휴대기기(10)의 외부에 결합되어 휴대기기를 보호하는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에 있어서, 실리콘 또는 우레탄을 포함하는 연질 재료로 일체로 성형되며, 상기 휴대기기(10)의 외부를 커버하되 상기 표시화면(11)이 노출되도록 표시화면(11)에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부(22)가 형성된 내부덮개(20); 및 상기 내부덮개(20)의 외부에 결합되고, 휴대기기(10)의 표시화면(11)이 노출되는 개구부(42)와, 소정 문양을 이루는 복수개의 문양절개부(44)가 형성된 외부덮개(40);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덮개(40)의 문양절개부(44)를 통해 상기 내부덮개(20)가 부분적으로 노출되면서 내부덮개(20)와 외부덮개(40)의 질감 또는 색상 차이에 의해 문양절개부(44)의 문양을 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otective case for a mobil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device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부덮개(20)에는 상기 외부덮개(40)의 문양절개부(44)에 대응하는 위치에 소정 문양을 이루는 문양돌출부(24)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내부덮개(20)의 문양돌출부(24)가 상기 외부덮개(40)의 문양절개부(44)와 형합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부덮개(20)의 개구부(22) 둘레를 따라 단턱(26)이 돌출 형성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부덮개(20)와 외부덮개(40)에는 각각 휴대기기(10)의 외부에 형성된 키버튼(13)이 노출되도록 버튼노출공(28, 48)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덮개(20)의 버튼노출공(28) 둘레를 따라 단턱(29)이 돌출 형성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본 발명의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에 따르면, 내부덮개의 개구부를 통해 휴대기기를 삽입하여 마치 옷을 입히듯이 휴대기기에 내부덮개를 결합하고, 이 내부덮개의 외부에 소정 문양을 이루는 문양절개부가 형성된 외부덮개를 결합함으로써, 내부덮개와 외부덮개가 2층 구조를 이루어 휴대기기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함은 물론 연질 재료로 구성된 내부덮개에 의해 휴대기기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으며, 보호케이스를 결합 및 분리하는 과정에서 휴대기기에 스크래치 등이 발생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외부덮개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외부덮개에 문양절개부를 형성하는 간단한 공정으로 다양한 문양을 연출할 수 있도록 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nserting the mobile device through the opening of the inner cover, the inner cover is coupled to the mobile device as if it is clothed, and a pattern incision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inner cover to form a predetermined pattern By combining the outer cover, the inner cover and the outer cover have a two-layer structure to protect the mobile device more securely, and to cushion the impact on the mobile device by the inner cover made of soft material.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scratches, etc. in the portable device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oduce a variety of patterns by a simple process of forming a pattern cut in the outer cover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outer cover.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덮개의 표면에 외부덮개의 문양절개부에 형합되는 문양돌출부를 형성함으로써, 내부덮개와 외부덮개의 결합력을 높이고 문양돌출부와 문양절개의 형합에 의해 보다 자연스러운 문양을 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pattern protrusion formed in the glyph cut portion of the outer cover on the surface of the inner cover, to increase the coupling force of the inner cover and the outer cover and to produce a more natural pattern by the combination of the pattern protrusion and the glyph cut It can be effectiv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덮개의 개구부 둘레를 따라 단턱을 형성하여, 외부덮개의 개구부 둘레가 상기 단턱에 걸려지도록 함으로써, 내부덮개와 외부덮개의 결합력을 보다 높이고 보호케이스의 외장을 매끄럽게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step along the periphery of the opening of the inner cover, so that the periphery of the opening of the outer cover is caught on the step, thereby increasing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inner cover and the outer cover and smoothing the exterior of the protective case. There i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덮개의 버튼노출공 둘레를 따라 단턱을 형성하여, 외부덮개의 버튼노출공 둘레가 상기 단턱에 걸려지도록 함으로써, 내부덮개와 외부덮개의 결합력을 보다 높이고 보호케이스의 외장을 매끄럽게 하는 효과가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step along the button exposure hole circumference of the inner cover, so that the button exposure hole circumference of the outer cover is caught on the step, thereby increasing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inner cover and the outer cover and the exterior of the protective case It has the effect of smoothin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embodiments.
먼저, 본 발명의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는 휴대폰, PDA, PMP 등과 같이 전면에 표시화면이 구비된 휴대기기에 결합되어 휴대기기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케이스로서, 첨부된 도면의 실시예에는 상기 휴대기기 중 휴대폰을 예시하여 도시하였다.First, a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otective case for protecting a mobile device by being coupled to a mobile device having a display screen on the front surface such as a mobile phone, a PDA, a PMP, and the like. The mobile phone is illustrated as an examp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 보호용 케이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보호케이스는 휴대기기(10)의 외부를 커버하도록 결합되는 내부덮개(20)와, 이 내부덮개(20)의 외부에 결합되는 외부덮개(40)로 구성된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a mobile device protectiv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protectiv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도시된 예시에서 휴대기기(10)는 전면에 표시화면(11)이 구비되고 외부에 복수의 키버튼(13)이 형성된 휴대폰이다. 상기 표시화면(11)은 예컨대, 터치스크린이다. 본 발명의 보호케이스는 내부덮개(20)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이 내부덮개(20)를 마치 옷을 입히듯이 휴대기기(10)에 결합시킨다. 따라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에 대형의 표시화면(11)을 구비한 휴대기기(10)에 적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외부덮개(40) 역시 일체로 형성되며, 내부덮개(20)의 외부에 옷을 입히듯이 결합될 수 있다.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내부덮개(20)는 휴대기기(10)의 표시화면(11)이 노출되도록 표시화면(11)에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부(22)가 형성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덮개(20)는 표시화면(11)을 제외한 휴대기기(10) 외부 전체를 감싸는 형태로 성형되며, 실리콘 또는 우레탄과 같은 연질 재료로 일체로 성형된다.Referring to FIG. 1, the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덮개(20)의 개구부(22) 둘레를 따라 단턱(26)이 돌출 형성된다. 단턱(26)은 외부덮개(40)의 두께 정도의 높이로 돌출된다. 도시한 예에서, 단턱(26)은 개구부(22) 둘레 전체에 형성되어 있으나, 이는 소정 간격 단절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As shown, the
바람직하게는, 내부덮개(20)의 외면에는 소정 문양을 이루도록 돌출된 복수 의 문양돌출부(24)가 형성된다. 그리고, 내부덮개(20)의 측부에는 휴대기기(10)의 키버튼(13)이 노출되도록 버튼노출공(28)이 형성된다. 내부덮개(20)의 버튼노출공(28) 둘레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단턱(29)이 돌출 형성되며, 이 단턱(29) 역시 외부덮개(40)의 두께 정도의 높이로 돌출된다.Preferably, the outer surface of the
한편,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덮개(20)의 전면에는 휴대기기(10)의 전면에 형성된 키버튼(13)에 대응하여 버튼스킨부(32)가 형성될 수도 있다. 버튼스킨부(32)는 키버튼(13)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내부덮개(20)의 다른 영역에 비해 박막 형태로 구성된다. 이러한 버튼스킨부(32)는 키입력감을 유지하면서, 키버튼(13)에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the front of the
내부커버(20)의 배면에는 휴대기기(10)의 배면에 설치된 카메라(도시 안됨)에 대응하여 카메라노출공(49)이 형성될 수 있으며, 기타 휴대기기(10)에 설치된 구성품에 대응하여 다양한 형태의 통공이 더 형성될 수 있다.A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외부덮개(40)는 내부덮개(20)의 외부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내부덮개(20)와 마찬가지로 휴대기기(10)의 표시화면(11)이 노출되도록 표시화면(11)에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부(42)가 형성된다. 또한, 외부덮개(40)는 내부덮개(20)의 외부를 감싸는 형태로 성형되며,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또는 우레탄과 같은 연질 재료로 성형된다. 하지만, 외부덮개(40)는 내부덮개(20)에 비해 강도가 높은 재료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 5에 도시된 형태로 성형되는 경우 하드케이스로 외부덮개(40)를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Referring to FIG. 1, the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덮개(40)는 내부덮개(20)의 문양돌출부(24)에 대응하 는 위치에 소정 문양을 이루도록 절개된 복수의 문양절개부(44)를 구비한다. 그리고, 내부덮개(20)의 문양돌출부(24)와 외부덮개(40)의 문양절개부(44)는 서로 형합된다. 바람직하게는 문양돌출부(24)는 외부덮개(40)의 두께에 대응하는 높이를 가지며, 문양돌출부(24)가 문양절개부(44)에 완전히 결합되면 외부덮개(40)의 표면은 매끄럽지만, 내부덮개(20)와 외부덮개(40)의 질감 또는 색상 차이에 의해 소정 문양이 표출된다.As shown, the
여기서, 내부덮개(20)의 외면에는 문양돌출부(24)가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외부덮개(40)의 문양절개부(44)를 통해 내부덮개(20)가 마치 음각을 형성한 것과 같이 부분적으로 노출되면서 내부덮개(20)와 외부덮개(40)의 질감 또는 색상 차이에 의해 소정 문양이 표출된다.Here, the
외부덮개(40) 전면 및 측부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기기(10)의 키버튼(13)이 노출되는 버튼노출공(48)이 형성되며, 배면에는 카메라노출공(49)이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front and side of the
도 2 내지 4는 도 1에 분해 도시된 각 구성들이 결합되는 것을 단계적으로 보인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보호케이스를 휴대기기에 결합시키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2 to 4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step by step the components shown in Figure 1 exploded. Referring to this, a process of coupling the protectiv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mobile device will be described.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덮개(20)의 개구부(22)를 통해 휴대기기(10)를 삽입하고, 마치 휴대기기(10)에 옷을 입히듯이 내부덮개(20)의 형태를 변형시켜 휴대기기(10)에 대해 내부덮개(20)를 결합한다.As shown in FIG. 2, the
도 3은 휴대기기(10)의 외부에 내부덮개(20)가 완전히 결합된 상태를 보여준 다.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덮개(20)의 개구부(22)를 통해 휴대기기(10)의 표시화면(11)이 노출되어, 표시화면(11)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된 경우 덮개를 씌운 상태에서도 터치스크린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내부덮개(20)의 버튼노출공(28)을 통해 휴대기기(10)의 키버튼(13)이 노출됨으로써, 내부덮개(20)를 씌운 상태에서 휴대기기(10)의 다양한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3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도 4는 내부덮개(20)의 외부에 외부덮개(40)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준다. 외부덮개(40)가 우레탄 또는 실리콘 재질로 성형되었다면, 내부덮개(20)를 휴대기기(10)에 결합하는 과정과 동일한 과정으로 외부덮개(40)를 내부덮개(20)의 외부에 결합할 수 있다.4 shows a state in which the
도 4에서 부분 확대한 도면을 참조하면, 내부덮개(20)의 문양돌출부(24)가 외부덮개(40)의 문양절개부(44)에 형합된 상태를 잘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문양돌출부(24)가 문양절개부(44)에 형합됨으로써, 내부덮개(20)와 외부덮개(40)간 결합력이 향상된다. 또한, 외부덮개(40)를 결합한 상태에서 덮개 외면이 매끄럽게 형성되면서, 내부덮개(20)와 외부덮개(40)간의 질감 또는 색상 차이에 의해 소정 문양이 표출된다.Referring to the partially enlarged view in FIG. 4, it can be seen that the
또한,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덮개(20)의 개구부(22) 둘레에 형성된 단턱(26)에 외부덮개(40)의 개구부(42) 둘레가 맞물리고, 내부덮개(20)의 버튼노출공(28) 둘레에 형성된 단턱(29)에 외부덮개(40)의 버튼노출공(48) 둘레가 맞물리면서, 덮개의 외장이 전체적으로 매끄럽게 형성된다.In addition, as shown, the periphery of the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is will be described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덮개(20)에는 문양돌출부가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내부덮개(20)의 개구부(22) 둘레에 단턱이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버튼노출공(28) 둘레에도 단턱이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5, the pattern protrusion may not be formed on the
이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 상기한 실시예에 비해 내부덮개(20)와 외부덮개(40)간 형합력은 떨어지지만, 제품 구성이 간소화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외부덮개(40)의 문양절개부(44)를 통해 내부덮개(20)가 부분적으로 노출되면서, 내부덮개(20)와 외부덮개(40)의 질감 또는 색상 차이에 의해 소정 문양이 표출되며, 문양이 마치 음각을 형성한 것과 같은 표현법으로 연출되는 장식적 효과를 거둘 수 있다.In this case, the molding force between the
또한, 외부덮개(40)는 전면의 개구부(42)가 내부덮개(20)의 개구부(22)에 비해 크게 개방되며, 합성수지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재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와 같은 경우, 외부덮개(40)의 개구부(42)를 크게 개방하여, 외부덮개(40)를 하드케이스로 구성하여도 내부덮개(20)의 외부에 착탈식으로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다. 하지만, 휴대기기(10)는 내부덮개(20)에 의해 보호된 상태이므로, 외부덮개(40)를 착탈식으로 결합 및 분리하는 과정에서 휴대기기(10)에 스크래치 등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외부덮개(40)를 내부덮개(20)에 대해 억지 끼움 결합함으로써, 두 덮개간 형합력을 높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 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alter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Esau.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 보호용 케이스의 분해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ase for protecting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내부덮개에 휴대기기가 삽입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bile device is inserted into the inner cover
도 3은 내부덮개에 휴대폰이 삽입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bile phone is inserted into the inner cover
도 4는 내부덮개 외부에 외부덮개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uter cover is coupled to the outer outer cover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휴대기기 11 : 표시화면10: mobile device 11: display screen
13 : 키버튼 20 : 내부덮개13: key button 20: inner cover
22 : 개구부 24 : 문양돌출부22: opening 24: pattern projection
26 : 단턱 28 : 버튼노출공26: step 28: button exposure hole
29 : 단턱 32 : 버튼스킨부29: step 32: button skin
34 : 카메라노출공 40 : 외부덮개34: camera exposure hole 40: outer cover
42 : 개구부 44 : 문양절개부42: opening 44: glyph incision
48 : 버튼노출공 49 : 카메라노출공48: button exposure hole 49: camera exposure hole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90071862A KR101037889B1 (en) | 2009-08-05 | 2009-08-05 | Protective Cases for Mobile Devic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90071862A KR101037889B1 (en) | 2009-08-05 | 2009-08-05 | Protective Cases for Mobile Devices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10014295A KR20110014295A (en) | 2011-02-11 |
| KR101037889B1 true KR101037889B1 (en) | 2011-05-30 |
Family
ID=43773515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90071862A Expired - Fee Related KR101037889B1 (en) | 2009-08-05 | 2009-08-05 | Protective Cases for Mobile Devices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037889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19034667A1 (en) * | 2017-08-14 | 2019-02-21 | Lidan Limited |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organic material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050250B1 (en) * | 2011-02-28 | 2011-07-19 | 정성표 | LCD protective cover for mobile terminal |
| KR101531466B1 (en) * | 2013-07-18 | 2015-06-26 | 신혜림 | Method for manufacturing protecting skin for electronic appliances and protecting skin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70018250A (en) * | 2005-08-09 | 2007-02-14 | 고재흠 | Cell phone protector |
| KR100862125B1 (en) | 2007-04-27 | 2008-10-09 | 윤 호 김 | Cell phone case |
-
2009
- 2009-08-05 KR KR1020090071862A patent/KR10103788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70018250A (en) * | 2005-08-09 | 2007-02-14 | 고재흠 | Cell phone protector |
| KR100862125B1 (en) | 2007-04-27 | 2008-10-09 | 윤 호 김 | Cell phone case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19034667A1 (en) * | 2017-08-14 | 2019-02-21 | Lidan Limited |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organic material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10014295A (en) | 2011-02-11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CN105452128B (en) | For the complex protection housing of mobile phone, othe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miscellaneous equipment | |
| US10027783B2 (en) | Protective cover for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impact geometry | |
| US8326383B1 (en) | Adhesive case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 |
| US8720683B2 (en) | Protective shell applicable to a handheld electric apparatus | |
| TW201318818A (en) |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over-molded thermo-formed film | |
| KR200452011Y1 (en) | Mobile terminal case | |
| KR101037889B1 (en) | Protective Cases for Mobile Devices | |
| US20160049980A1 (en) | Phone Case | |
| KR20120008713A (en) | Protective Case for Bar Type Mobile Devices | |
| JP3162755U (en) | Portable information equipment protective case | |
| KR20100056014A (en) | Protection case of portable terminal | |
| KR200473279Y1 (en) | Mobile phone protective cover reinforcement in the structure | |
| WO2011085374A2 (en) | Disposable protection enclosur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 |
| JP6265910B2 (en) | Case protection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 |
| KR101121244B1 (en) | Protective case for display device | |
| KR20120029546A (en) | Protecting case for a portable device | |
| KR20110044190A (en) | Anti-fingerprint Screen Protector with Transparent Collar and Transparent Storage Case | |
| JP2012065108A (en) | External component and portable terminal apparatus | |
| KR20120104061A (en) | The power failure button case which is applied in the portable terminal | |
| KR101137145B1 (en) | Protective case for display device | |
| KR101216344B1 (en) | Double case for mobile device | |
| US20170079392A1 (en) | Protective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 JP2010226203A (en) | Decorative fixtures for mobile devices | |
| JP5660932B2 (en) | Electronic device cover member and battery cover | |
| KR200473005Y1 (en) | Cell phone cas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 P16-X000 | Ip right document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6-nap-X000 |
|
| Q16-X000 | A copy of ip right certificate issu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6-nap-X000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4052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40525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