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38249B1 - 가스터빈의 흡기 냉각장치 - Google Patents

가스터빈의 흡기 냉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8249B1
KR101038249B1 KR1020080106732A KR20080106732A KR101038249B1 KR 101038249 B1 KR101038249 B1 KR 101038249B1 KR 1020080106732 A KR1020080106732 A KR 1020080106732A KR 20080106732 A KR20080106732 A KR 20080106732A KR 101038249 B1 KR101038249 B1 KR 1010382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heat
gas turbine
air
cold ai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6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7716A (ko
Inventor
박명호
김용관
정현일
Original Assignee
(주)엑서지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엑서지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엑서지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80106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8249B1/ko
Publication of KR20100047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77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8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824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7/00Features, component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orm groups F02C1/00 - F02C6/00;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 F02C7/12Cooling of plants
    • F02C7/14Cooling of plants of fluids in the plant, e.g. lubricant or fuel
    • F02C7/141Cooling of plants of fluids in the plant, e.g. lubricant or fuel of working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F01D25/08Cooling; Heating; Heat-insulation
    • F01D25/12Coo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orption Type Refrigeration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터빈의 흡기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태양열을 열원으로 하는 흡수식 냉동기 또는 흡착식 냉동기가 가스터빈의 공기압축부에 설치됨에 따라 그 흡수식 냉동기 또는 흡착식 냉동기의 증발기를 통과하는 공기가 냉각되어 가스터빈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고, 상기 흡수식 냉동기 또는 흡착식 냉동기의 열원으로 태양열을 이용함에 따라 별도의 화석 연료를 사용하지 않게 되어 연료 비용을 절감하는 동시에 화석연료의 연소로 인한 환경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가스터빈, 냉동기, 태양열, 열원

Description

가스터빈의 흡기 냉각장치{AIR COOLING APPARUSTUS FOR GAS TURBINE}
본 발명은 가스터빈(Gas Turbine)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터빈으로 흡입되는 공기를 태양열을 이용하여 냉각하는 가스터빈의 흡기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터빈은 연소가스의 유동에서 에너지를 추출하는 회전동력기관이다. 상기 가스터빈은 공기압축기와 터빈 그리고 연소실로 이루어져 상기 공기압축기에서 압축된 공기가 연료와 혼합되어 연소실에서 연소됨으로써 고온 고압의 기체가 팽창되고 이 힘을 이용하여 터빈을 구동시킨다. 상기 터빈의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에너지는 터빈축을 통해 토크(Torque)로 전달되거나 추력이나 압축공기 형태로 얻는다. 이렇게 얻은 에너지로 발전기, 항공기, 기차, 선박 등을 구동하는데 쓰인다.
상기 가스터빈의 열효율은 압축기와 터빈의 효율이 높을수록 좋으며, 대체로 압축압력이 높을수록 좋다. 그리고 터빈으로 들어가는 연소가스의 온도를 높게 하면 열효율이 좋아진다. 하지만, 현재 개발된 터빈 재료는 연소가스의 온도를 약 950℃정도밖에 올릴 수가 없어 가스터빈의 효율이나 출력이 제한적이었다.
또, 대기온도가 상승하는 여름철의 경우에는, 가스터빈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가 높아져 부피가 커지게 되어 상기 연소실로 유입되는 공기의 절대량이 적어질 뿐만 아니라 공기를 압축하기 위한 에너지가 더 많이 소모되므로 결국 가스터빈의 효율 및 출력이 감소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가스터빈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 상기 연소실로 흡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효과적이면서도 저렴하고 친환경적으로 낮출 수 있는 가스터빈의 흡기 냉각장치를 제공하려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가스터빈의 입구측에 설치되어 그 가스터빈으로 흡입되는 공기를 냉각하는 공기냉각유닛; 상기 공기냉각유닛에 연결되어 그 공기냉각유닛에 냉기를 전달하는 냉기발생유닛; 및 상기 냉기발생유닛에 연결되어 그 냉기발생유닛을 작동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유닛은 태양열을 이용하여 상기 냉기발생유닛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터빈의 흡기 냉각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가스터빈의 흡기 냉각장치는, 태양열을 열원으로 하는 흡수식 냉동기 또는 흡착식 냉동기가 가스터빈의 공기압축부에 설치됨에 따라 그 흡수식 냉동기 또는 흡착식 냉동기의 증발기를 통과하는 공기가 냉각되어 가스터빈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고, 상기 흡수식 냉동기 또는 흡착식 냉동기의 열원으로 태양열을 이용함에 따라 별도의 화석 연료를 사용하지 않게 되어 연료 비용을 절감하는 동시에 화석연료의 연소로 인한 환경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가스터빈의 흡기 냉각장치를 첨부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스터빈을 보인 개략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가스터빈(1)은, 공기를 압축하는 공기압축부(10)와, 상기 공기압축부(10)에 의해 압축된 공기를 팽창시켜 공기의 유동속도를 높이는 연소부(20)와, 상기 연소부(20)에서 팽창된 고온 고압의 공기가 후술할 터빈축(31)을 회전시키도록 회전력을 발생하는 터빈부(30)로 구성된다.
상기 공기압축부(10)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고압으로 압축할 수 있도록 입구가 넓고 출구가 좁은 원추형으로 형성되고 그 축중심이 상기 터빈축(31)과 연결되어 축류식 압축기를 이루도록 다수의 날개(미도시)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소부(20)는 상기 공기압축부(10)를 통해 흡입되는 압축공기를 연소시켜 팽창시킬 수 있도록 연소실(21)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연소실(21)에는 그 연소실에 공급되는 등유나 프로판 또는 천연가스와 같은 연료를 연소시킬 수 있도록 착화기(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 연소실(21)은 복수 개가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고 환형으로 형성된 한 개가 상기 터빈축(31)의 주변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터빈부(30)는 발전기(G)와 같은 부하와 연결되는 동시에 상기 공기압축부(10)에 결합되는 터빈축(31)과, 상기 터빈축(31)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고온고압의 가스에 의한 충동력 또는 반동력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하는 다수개의 블레이드(미도시)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가스터빈은 다음과 같이 동작된다.
즉, 상기 공기압축부(10)에서 대기중의 공기를 흡입하여 고압으로 압축하고, 그 압축된 공기를 상기 연소부(20)로 보내면 그 연소부(20)로 공급되는 연료와 혼합되면서 연료가 연소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연소부(20)에서는 연료를 연소시키면서 고온 고압의 가스를 만들고, 이 고온 고압의 가스는 상기 터빈부(30)로 보내져 팽창되면서 상기 터빈부(30)의 블레이드를 가세하게 된다. 상기 블레이드(미도시)가 고압의 가스에 의해 가세되면 그 블레이드가 결합된 상기 터빈축(31)이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터빈축(31)의 다른 쪽에 결합된 발전기(G)에서 전기를 생산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공기압축부(10)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가 높으면 공기의 부피가 증가하면서 상기 연소실(21)로 유입되는 공기의 절대량이 적어지게 되는 동시에 공기를 압축하기 위한 에너지가 과도하게 소모되어 가스터빈의 효율 및 출력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스터빈으로 흡입되는 공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흡기 냉각장치를 상기 공기압축부(10)의 상류측에 설치하여 여름철 대기온도의 상승으로 인한 가스터빈의 효율 및 출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가스터빈의 흡기 냉각장치에 대한 일실시예를 보인 계통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흡기 냉각장치를 보인 계통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가스터빈의 공기냉각장치(100)는, 상기 가스터빈(1)의 공기압축부(10)로 흡입되는 공기를 냉각하기 위한 공기냉각유닛(110)과, 상기 공기냉각유닛(110)에 연결되어 그 공기냉각유닛(110)에 냉기를 전 달하는 냉기발생유닛(120)과, 상기 냉기발생유닛(120)에 연결되어 그 냉기발생유닛(120)이 작동되도록 하는 구동유닛(130)을 포함한다.
상기 공기냉각유닛(110)은 후술할 냉기발생유닛(120)의 흡수식 냉동기, 보다 정확하게는 흡수식 냉동기(121)의 재생기에 연결되는 제1 냉각수관(111)과, 상기 제1 냉각수관(111)의 중간에 연결되고 상기 가스터빈(1)의 공깁압축부(10)로 흡입되는 공기와 열교환되어 그 공기를 냉각하도록 공기냉각용 열교환기(112)와, 상기 제1 냉각수관(111)의 중간에 설치되어 상기 냉기발생유닛(120)에서 열교환된 냉각수를 펌핑 순환시키는 제1 냉각수펌프(113)가 설치된다.
상기 냉기발생유닛(120)은 냉매가 흡수제에 흡수,재생되는 작용을 이용하여 냉기를 얻는 흡수식 냉동기(121)와, 그 흡수식 냉동기(121)에 열교환되도록 배관 연결되어 상기 흡수식 냉동기(121)의 흡수과정에서 발생되는 흡수열을 방열시키는 냉각탑(122)과, 상기 흡수식 냉동기(121)와 냉각탑(122)을 배관 연결하는 제2 냉각수관(123)과, 상기 제2 냉각수관(123)의 중간에 설치되어 흡수식 냉동기(121)의 흡수열을 방열하기 위한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제2 냉각수펌프(124)로 이루어진다.
상기 흡수식 냉동기(121)는 통상, 증발기, 흡수기, 재생기(또는, 발생기라고도 함) 그리고 응축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재생기의 개수에 따라 1중효용형(단효용형이라고도 함), 2중효용형, 3중효용형 및 다중효용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1중효용 흡수식 냉동기를 예로들어 흡수식 냉동기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 증발기에서 발생한 증기가 흡수기에서 흡수제인 리튬브로마이드수용액에 흡수되어 리튬브로마이드수용액은 저농도 용액(희용액)에서 고농도 용액(농용액)으로 만들고, 이 고농도 용액은 용액펌프(Solution Pump)를 통해 용액 열교환기(SolutionHeat Exchanger)에서 온도가 상승한 후 재생기로 흘러간다. 이때, 흡수과정에서 발생하는 흡수열은 냉각탑(Cooling Tower)에서 발생되는 냉각수를 이용하여 냉각한다. 그리고 상기 재생기에서는 열원을 이용하여 고농도의 용액을 가열하여 흡수제와 냉매의 비등점 차이를 이용하여 냉매증기를 발생시킨 후 저농도 용액으로 만들고, 이 고온 저농도의 리튬브로마이드용액은 용액 열교환기에서 냉각된 후 흡수기로 되돌아온다. 상기 재생기에서 발생한 냉매증기는 응축기로 이동하고, 그 응축기에서 열을 방출하여 액체가 된 후 증발기에서 증발하면서 냉동효과를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흡수식 냉동기가 상기 가스터빈의 공기압축부에 설치되면 그 흡수식 냉동기의 증발기를 통과하는 공기가 냉각되면서 저온의 공기가 상기 가스터빈의 공기압축부로 공급되어 가스터빈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2중효용 흡수식 냉동기는, 재생기가 고온재생기와 저온재생기로 구분되고, 상기 고온재생기에서는 중압증기에 의하여 흡수액을 가열함으로써 냉매증기를 발생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매증기가 저온재생기에서 응축할 때 방출하는 열을 이용하여 다시 한번 흡수액을 가열하면서 냉매증기를 발생시킴에 따라 냉동기 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방식이다. 통상은 2중효용 흡수식 냉동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4는 2중효용 흡수식 냉동기의 일례를 보인 계통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중효용 흡수식 냉동기(121)는, 냉매가 증발되는 증 발기(125)와, 흡수제가 냉매를 흡수하는 흡수기(126)와, 냉매를 흡수한 흡수제를 가열하여 냉매를 분리 재생하는 고온재생기(127) 및 저온재생기(128)와, 증발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129)로 이루어진다.
상기 증발기(125)의 내부에는 상기 공기냉각유닛(110)의 공기냉각용 열교환기(112)와 배관 연결되는 열교환기(미부호)가 설치되고, 상기 흡수기(126)의 내부에는 흡수제가 냉매를 흡수하는 경우 발생된 열을 제거할 수 있도록 열교환기(미부호)가 설치되며, 상기 고온재생기(127)의 내부에는 흡수제 용액을 가열할 수 있도록 열교환기(미부호)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고온재생기(127)의 열교환기는 후술할 태양열 집열기, 즉 축열부(132)와 배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저온재생기(128)의 일측에는 상기 고온재생기(127)의 내부에 수용된 흡수제 용액이 유입될 수 있도록 흡수제배관(128a)이 연결되고, 상기 응축기(129)의 내부에는 냉각수가 냉매 증기와 열교환되도록 열교환기(미부호)가 설치되고, 상기 흡수기(126)와 응축기(129)를 경유한 상기 제2 냉각수(123)관 흡수기(126)와 상기 응축기(129)에서 각각 흡수한 열을 방열할 수 있도록 상기 냉각탑(122)에 배관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고온재생기(127)의 내부 열교환기에 온수가 공급되면 그 고온재생기(127)의 내부의 흡수제 용액은 가열되어 흡수제와 냉매는 비점차에 의해 서로 분리된다. 분리된 냉매와 흡수제 용액은 각각 저온재생기(128)로 이동하여 흡수제 용액은 고온의 냉매 증기에 의해 다시 가열되어 냉매가 분리됨으로써 농도가 더욱 높아지게 된다. 냉매 증기는 상기 응축기(129)로 이동되어 열교 환기에 의해 냉각되어 응축되고, 응축된 냉매는 증발기(125)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저온재생기(128)에서 더욱 농도가 높아진 흡수제 용액은 다시 흡수기(126)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증발기(125)로 이동된 냉매는 그 증발기(125)의 내부 열교환기에 의해 증발되어 냉수가 얻어지고, 이 냉수는 상기 공기냉각유닛(110)의 공기냉각용 열교환기(112)로 이동되어 상기 가스터빈의 공기압축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냉각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흡수기(126)로 이동한 농도가 높은 흡수제 용액은 증발된 냉매 증기를 흡수하고, 이때 발생된 열 에너지는 상기 냉각탑에 의해 냉각된 냉각수와 열교환되어 방열된다. 그리고 상기 고온재생기(127)의 흡수제 용액은 후술할 태양열 집열기에 의해 가열된 온수와 열교환되면서 흡수제와 냉매가 분리되는 일련의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여기서, 종래에는 고온재생기에서 고농도의 용액을 가열하기 위한 열원으로 석유나 가스와 같은 화석연료가 주로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화석연료의 경우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연료비용이 발생하게 되는 것은 물론 연소과정에서 오염물질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냉기발생유닛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유닛, 즉 상기 흡수식 냉동기(121)에서 재생기(127)의 열원으로 태양열을 이용하는 것이다.
도 5는 태양열 집열기가 적용된 흡수식 냉동기의 일례를 보인 계통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태양열 집열기(구동유닛과 혼용함)(130)는, 태양열을 흡수하는 집열부(131)와, 상기 집열부(131)에 의해 흡수되는 열을 저장하는 축열부(132)와, 상기 축열부(132)에 저장된 열을 상기 흡수식 냉동기(121)의 재생기에 전달하는 이용부(133)로 이루어진다.
상기 집열부(131)는 진공관형 히트파이프가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축열부(132)는 물과 같은 축열재가 채워지도록 소정의 내부공간을 갖는 축열탱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용부(133)는 축열재가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축열부(132)와 흡수식 냉동기(121)의 재생기(127) 사이에 배관 연결되는 온수관(135)과, 상기 온수관(135)의 중간에 설치되어 온수가 축열부(132)와 흡수식 냉동기(121)의 고온재생기(127) 사이를 순환하도록 하는 온수펌프(136)로 이루어진다.
상기 온수관(135)은 상기 축열재가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축열부(132)의 입구와 출구에 각각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축열재와 열교환될 수 있도록 그 일단이 상기 축열부(132)의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이용부(133)의 타단은 상기 흡수식 냉동기(121)의 고온재생기(127)에 설치되어 물과 흡착제를 분리하는 열교환기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태양열 집열기는 진공형 열흡수, 파라볼릭 트러프(Parabolic trope) 등이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파라볼릭 트러프 방식의 경우는 열원으로 온수를 대신하여 증기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태양열 집열기는 고정식과 태양의 복사각도에 따라 자동으로 움직이는 태양 자동 추적방식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태양열 집열기가 흡수식 냉동기에서 작동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즉, 상기 집열부(131)에서 태양열을 집열하여 그 태양열을 상기 축열부(132)에서 저장하고, 이 축열부(132)에 저장되는 태양열은 상기 이용부(133)를 순환하는 축열재, 예를 들어 물인 경우에는 그 물을 일정 온도의 온수를 가열하게 되며, 이 가열된 온수는 상기 흡수식 냉동기(121)의 고온재생기(127)에 전달되어 상기 흡수기(126)에서 유입된 고농도의 용액을 가열하게 되고, 상기 흡수기(126)에서는 고농도 용액에서 냉매 증기를 분리시켜 상기 냉매 증기가 증발기(125)로 이동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화석연료를 사용하지 않고도 흡수식 냉동기의 작동에 필요한 열원을 태양열로부터 얻어 상기 흡수식 냉동기를 원활하게 작동시킬 수 있다.
이렇게, 상기 흡수식 냉동기를 이용하여 가스터빈의 공기압축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냉각하는 경우에는 가스터빈으로 흡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낮춰 공기의 흡입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가스터빈의 효율을 높여 전력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아울러 아울러, 상기 흡수식 냉동기가 태양열 집열기를 통해 얻는 태양열을 열원으로 이용함에 따라 상기 가스터빈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냉각하기 위한 연료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화석 연료의 연소로 인한 환경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가스터빈의 흡기 냉각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가 있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즉,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스터빈의 공기압축부 입구에 태양열 집열기를 갖는 흡수식 냉동기가 설치되는 것이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흡착제와 냉매의 가열반응에 따른 발열현상과 흡열현상을 이용하여 냉력을 발생하는 흡착식 냉동기가 설치되고 그 흡착식 냉동기를 작동시키기 위해 전술한 태양열 집열기가 구비되는 것이다.
이 경우에도, 상기 흡착식 냉동기에서 열원을 필요로 하는 부분, 즉 증발기(225)와 응축기(228)에 교번되게 연결되는 제1 흡수재생기(226)와 제2 흡수재생기(227)에서 흡열측에 해당하는, 예를 들어 제1 흡수재생기(226)가 그 흡열측에 필요한 열을 흡수하여 흡착제에서 냉매(물)가 탈착될 수 있도록 태양열 집열기(130)에 연결되는 동시에 발열측에 해당하는, 예를 들어 제2 흡수재생기(227)가 그 발열측에서 발생되는 열을 냉각할 수 있도록 상기 냉각탑(122)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태양열 집열기의 구성이나 작용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한 흡착식 냉동기(221)는, 상기 제1 흡수재생기(226)에서 흡착제가 상기 태양열 집열기에 의해 만들어진 온수와 열교환되면서 그 흡착제에서 냉매(물)가 탈착되고, 이 흡착제에서 탈착된 증기는 상기 제1 흡수재생기(226)의 내부 증기압이 응축기(228)의 압력보다 높으므로 상기 응축기(228)로 이동을 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증발기(225)와 연결되는 상기 제2 흡수재생기(227)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면서 일정온도로 유지되어 상기 제2 흡수재생기(227)의 내부 증기압이 증발기(225)의 압력보다 낮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증발기(225)에서 증발되어 발생되는 증기가 상기 제2 흡수재생기(227)로 이동하여 그 제2 흡수재생 기(227)의 흡착제에 흡착되는 일련의 과정을 상기 제1 흡수재생기(226)와 제2 흡수재생기(227)에서 번갈아 진행하면서 냉동효과를 얻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상기와 같은 태양열을 열원으로 하는 흡착식 냉동기가 가스터빈의 공기압축부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그 흡착식 냉동기의 증발기를 통과하는 공기가 냉각되어 가스터빈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고 상기 흡착식 냉동기의 열원으로 태양열을 이용함에 따라 별도의 화석 연료를 사용하지 않게 되어 연료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화석연료의 연소로 인한 환경 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가스터빈의 흡기 냉각장치는, 가스터빈이 설치된 발전플랜트에 널리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스터빈을 보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가스터빈의 흡기 냉각장치에 대한 일실시예를 보인 계통도,
도 3은 도 2에 따른 흡기 냉각장치를 보인 계통도,
도 4는 도 2에 따른 흡기 냉각장치에서 2중효용 흡수식 냉동기의 일례를 보인 계통도,
도 5는 태양열 집열기가 적용된 흡수식 냉동기의 일례를 보인 계통도,
도 6은 도 2에 따른 흡기 냉각장치에서 흡착식 냉동기의 일례를 보인 계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가스터빈 10 : 공기압축부
20 : 연소부 30 : 터빈부
100 : 공기 냉각장치 110 : 공기냉각유닛
111 : 제1 냉각수관 112 : 공기냉각용 열교환기
113 : 제1 냉각수펌프 120 : 냉기발생유닛
121 : 흡수식 냉동기 122 : 냉각탑
123 : 제2 냉각수관 124 : 제2 냉각수펌프
125 : 증발기 126 : 흡수기
127 : 고온재생기 128 : 저온재생기
129 : 응축기 130 : 구동유닛
131 : 집열부 132 : 축열부
133 : 이용부 134 : 온수펌프
221 : 흡착식 냉동기 225 : 증발기
226 : 제1 흡수재생기 227 : 제2 흡수재생기
228 : 응축기

Claims (4)

  1. 가스터빈의 입구측에 설치되어 그 가스터빈으로 흡입되는 공기를 냉각하는 공기냉각유닛;
    상기 공기냉각유닛에 연결되어 그 공기냉각유닛에 냉기를 전달하는 냉기발생유닛; 및
    상기 냉기발생유닛에 연결되어 그 냉기발생유닛을 작동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유닛은 태양열을 집열하는 집열부와, 상기 집열부에서 집열된 열을 저장하는 축열부와, 상기 축열부에서 저장된 열을 상기 냉기발생유닛으로 전달하는 이용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용부는 축열재를 이송하는 축열재관과, 상기 축열재관의 중간에 설치되어 상기 축열부에서 가열된 축열재가 상기 구동유닛과 냉기발생유닛 사이를 순환하도록 하는 펌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터빈의 흡기 냉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발생유닛은 증발기, 흡수기, 적어도 한 개의 재생기 및 응축기가 배관연결되는 흡수식 냉동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흡수식 냉동기의 재생기에 순환식으로 열교환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터빈의 흡기 냉각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발생유닛은 흡착제와 냉매의 가열반응에 따른 발열현상과 흡열현상을 이용하여 냉력을 발생하는 흡착식 냉동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흡착식 냉동기의 흡열측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터빈의 흡기 냉각장치.
  4. 삭제
KR1020080106732A 2008-10-29 2008-10-29 가스터빈의 흡기 냉각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0382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6732A KR101038249B1 (ko) 2008-10-29 2008-10-29 가스터빈의 흡기 냉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6732A KR101038249B1 (ko) 2008-10-29 2008-10-29 가스터빈의 흡기 냉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7716A KR20100047716A (ko) 2010-05-10
KR101038249B1 true KR101038249B1 (ko) 2011-06-01

Family

ID=42274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6732A Expired - Fee Related KR101038249B1 (ko) 2008-10-29 2008-10-29 가스터빈의 흡기 냉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82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42655A1 (ja) * 2010-09-30 2012-04-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ガスタービンシステム、ガスタービンシステムの制御装置及びガスタービンシステムの制御方法
CN103080503B (zh) * 2010-09-30 2016-06-08 三菱日立电力系统株式会社 太阳热利用联合循环发电站
CN107384023A (zh) 2015-01-27 2017-11-24 帝国油墨制造股份公司 丝网印刷用油墨组合物、印刷物及印刷物的制造方法
WO2020202590A1 (ja) * 2019-03-29 2020-10-08 大阪瓦斯株式会社 移動体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6899A (ja) * 1995-03-03 1996-09-24 Ebara Corp ガスタービン入口空気冷却装置
JPH09133027A (ja) * 1995-11-13 1997-05-20 Kawasaki Heavy Ind Ltd ガスタービンプラントにおけるガスタービンの圧縮機入口空気の冷却方法
KR100316229B1 (ko) * 1997-03-19 2002-02-28 가나이 쓰도무 가스터빈흡기냉각장치
JP2002266656A (ja) * 2001-03-07 2002-09-18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ガスタービンコージェネレーション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6899A (ja) * 1995-03-03 1996-09-24 Ebara Corp ガスタービン入口空気冷却装置
JPH09133027A (ja) * 1995-11-13 1997-05-20 Kawasaki Heavy Ind Ltd ガスタービンプラントにおけるガスタービンの圧縮機入口空気の冷却方法
KR100316229B1 (ko) * 1997-03-19 2002-02-28 가나이 쓰도무 가스터빈흡기냉각장치
JP2002266656A (ja) * 2001-03-07 2002-09-18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ガスタービンコージェネレーション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7716A (ko) 2010-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2166384A1 (zh) 基于二氧化碳气液相变的热能转化机械能储能装置
CN103574982A (zh) 基于微小型燃气轮机的高效清洁制冷系统
KR20100014571A (ko) 통합형 냉각, 가열 및 전력공급 시스템
WO2022166391A1 (zh) 基于co2气液相变的热能转化机械能多级压缩储能装置
CN105674558A (zh) 燃气机驱动蒸气压缩与吸收复合式热泵热水机组运行方法
CN109631393A (zh) 烟气余热与太阳能耦合驱动的双效溴化锂吸收式制冷装置
CN109956509A (zh) 由风力机驱动的基于开式斯特林循环的海水淡化系统
KR101038249B1 (ko) 가스터빈의 흡기 냉각장치
JP2005315127A (ja) ガスタービン
CN105042939A (zh) 一种利用低温介质获取冷气、电能的方法及其装置
JP2002266656A (ja) ガスタービンコージェネレーションシステム
CN203454466U (zh) 一种可再生能源互补的冷热电联产系统
CN202501677U (zh) 有机朗肯循环驱动的蒸气压缩制冷装置
Lu et al. Study on a small scale solar powered organic rankine cycle utilizing scroll expander
CN203822468U (zh) 利用燃气轮机余热的有机朗肯循环发电装置
CN107588575B (zh) 一种基于多级太阳能集热器的冷热电多联供系统
CN107289665B (zh) 区域能源供应系统
CN215983321U (zh) 一种基于正逆循环耦合的供热制冷系统
CN205383781U (zh) 燃气机驱动型蒸气压缩与吸收复合式热泵热水机组
CN202361696U (zh) 热泵循环系统及蒸发系统
RU2643878C1 (ru) Способ работы воздушно-аккумулирующей газотурбинной электростанции с абсорбционной бромисто-литиевой холодильной машиной (АБХМ)
CN110736301B (zh) 高压气体冷热水机组
KR0147912B1 (ko) 가스모타 이용 절전 냉동장치
CN102748894A (zh) 一种内置发电装置的吸收式制冷系统
Gopinath et al. Performance evaluation of gas turbine by reducing the inlet air tempera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4052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40526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