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8791B1 - Refrigerator and compartment cover - Google Patents
Refrigerator and compartment cov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38791B1 KR101038791B1 KR1020090116977A KR20090116977A KR101038791B1 KR 101038791 B1 KR101038791 B1 KR 101038791B1 KR 1020090116977 A KR1020090116977 A KR 1020090116977A KR 20090116977 A KR20090116977 A KR 20090116977A KR 101038791 B1 KR101038791 B1 KR 10103879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ver
- refrigerator
- water
- state
- transpar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0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8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014 free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2776 aggreg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5341 toughened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220 aggre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054 agglom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057 refrig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45 dietary chan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00 visua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4—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 F25D2317/041—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 F25D2317/0411—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의 수납부재 커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수납부재 커버는, 야채 과일 등이 수납되는 수납부재의 상방에서 상기 수납부재를 차폐하는 커버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수납부재의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투명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커버의 하면에는 상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어 수분이 응집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불투명하고, 수분이 응집된 상태에서는 투명하게 되는 다수개의 집수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야채실 내부의 습도를 가시화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using member cover of a refrigerator, wherein the housing member cover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ver for shielding the housing member from above a housing member in which vegetables, fruit, and the like are housed. It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that can see the inside of the housing member,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in the shape of a horn narrowing toward the upper side is opaque in the non-aggregated state of water, transparent in the coagulated state of water A plurality of catchment grooves are form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humidity inside the vegetable room can be visualized.
냉장고, 야채실, 집수, 커버 Refrigerator, vegetable room, catchment, cover
Description
본 발명은 냉장고 및 냉장고의 수납부재 커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and a housing member cover of the refrigerator.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로서,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general, a refrigerator is a home appliance that allows food to be stored at a low temperature in an interior storage space shielded by a door, and is stored by cooling the inside of the storage space using cold air generated through heat exchange with a refrigerant circulating in a refrigeration cycle. It is configured to keep foods in optimal condition.
이와 같은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와 사용자의 기호가 다양해 짐에 따라 대형화 및 다기능화의 추세에 있으며, 저장공간의 구성에 따라 그 형태 또한 다양해지고 있다.Such refrigerators are becoming larger and more versatile as the dietary changes and user's preferences are diversified.
이러한 냉장고의 고내에 구비된 선반과 서랍, 바스켓 등에는 냉장 또는 냉동저장을 위한 다양한 식품들이 적절하게 보관될 수 있다. 이와같은 상기 서랍과 선반, 바스켓 등은 고내 공간에 다양하게 배치되어 다양한 크기와 저장조건을 가지는 식품을 저장할 수 있게 된다.Various foods for refrigeration or freezing storage may be suitably stored in shelves, drawers, baskets, etc. provided in the refrigerator. Such drawers, shelves, baskets, etc. are variously disposed in the interior space to store food having various sizes and storage conditions.
한편, 야채와 과일과 같은 식품들은 장기간 신선함을 유지하면서 저장되기 위해서는 다른 식품과 별도로 저장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다른 공간과 구획되는 서랍과 커버에 의해 야채실이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foods such as vegetables and fruits should be stored separately from other foods to be stored while maintaining freshness for a long time. For this purpose, a vegetable compartment is formed by drawers and covers partitioned from other spaces.
상기 커버에는 상기 야채실 내부가 일정습도를 유지함과 동시에 고내에 형성된 물방울들이 저장중인 식품에 떨어져 식품이 상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집수수단이 형성되며, 이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9-0037493호와,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221578호에 개시되어 있다.The cover is provided with water collecting means to prevent the food drops from being stored in the water droplets formed in the inside of the vegetable chamber at the same time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humidity, which is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999-0037493 and, It is disclosed in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21578.
이와 같은 집수수단은 돌출형성되는 다수의 돌기형상으로 형성되며, 돌기와 돌기사이에 표면장력에 의해 물방울이 집수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집수수단은 집수된 물방울이 무게에 의해 하방으로 낙하되지 않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된다. Such water collecting means is formed in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ing, and is formed so that water droplets are collected by the surface tension between the protrusions and the protrusions. The water collecting means is formed to a size such that the collected water droplets do not fall downward by weight.
그러나, 종래의 커버는 집수수단에 의해 물방울을 집수하는 단순 기능 뿐이며, 야채실 내부의 습도나 집수수단에 집수된 물방울을 양을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cover has only a simple function of collecting water droplets by the water collecting means,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mount of water droplets collected in the humidity or the water collecting means inside the vegetable chamber cannot be confirmed.
본 발명의 실시예는, 투명소재로 형성되는 커버에 뿔 형상의 홈이 다수개 형성되어 수분이 응집되지 않았을 때에는 불투명해지고, 수분이 응집되었을 때에는 투명하게 되어 수납공간의 내부 습도와 수분의 집수량을 가시화 할 수 있는 냉장고 및 냉장고의 수납부재 커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horn-shaped grooves are formed in a cover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which becomes opaque when moisture is not agglomerated, and becomes transparent when moisture is agglomerate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and a storage cover of a refrigerator capable of visualizing the refrigerator.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수납부재 커버는, 야채 과일 등이 수납되는 수납부재의 상방에서 상기 수납부재를 차폐하는 커버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수납부재의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투명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커버의 하면에는 상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어 수분이 응집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불투명하고, 수분이 응집된 상태에서는 투명하게 되는 다수개의 집수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orage member cover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ver for shielding the housing member from above the housing member in which the vegetables, fruit, etc., wherein the cover is transparent material capable of seeing the interior of the housing member It i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ver is formed in a recessed shape narrowed toward the upper side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collecting grooves are opaque in the non-aggregated state of water, and transparent in the aggregated state of water is formed. .
또한, 상기 집수홈은 내측 경사면은 40˚~ 50˚ 각도를 가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atchment groov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inclined surface is formed to be inclined to have an angle of 40 ° ~ 50 °.
또한, 상기 집수홈은 정사각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llecting groove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square pyramid shape.
또한, 상기 다수의 집수홈은 개구된 하단의 각 선단이 서로 이웃하여 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water collecting grooves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end of each of the open lower end is formed adjacent to each other.
또한, 상기 집수홈은 가로 세로 높이의 비율이 1:1:0.5의 비율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atchment groov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atio of the height and width is formed to have a ratio of 1: 1: 0.5.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측에 구비되며, 야채 및 과일이 수납되는 수납부재; 상기 수납부재의 상면을 차폐하며, 상기 수납부재의 내부가 투시 가능한 커버; 투명한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커버에 장착되며, 하면에는 상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뿔 형상으로 함몰된 다스의 집수홈이 형성되어 상기 집수홈에 수분이 응집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불투명하고 수분이 응집된 상태에서는 투명해지는 집수부재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binet in which the storage space is formed; An accommodation member provided inside the cabinet and accommodating vegetables and fruits; A cover which shields an upper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member and is transparent to an inside of the accommodating member; It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is mounted on the cover, and on the lower surface is formed a dozen collecting grooves recessed in the shape of a horn narrowing upwards and is opaque in the state where water is not agglomerated in the collecting groove, and transparent in the agglomerated state. The catcher includes a collecting member.
또한, 상기 집수홈은 내측 경사면은 40˚~ 50˚ 각도를 가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atchment groov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inclined surface is formed to be inclined to have an angle of 40 ° ~ 50 °.
또한, 상기 집수홈은 정사각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llecting groove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square pyramid shape.
또한, 상기 다수의 집수홈은 개구된 하단의 각 선단이 서로 이웃하여 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water collecting grooves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end of each of the open lower end is formed adjacent to each other.
또한, 상기 집수홈은 가로 세로 높이의 비율이 1:1:0.5의 비율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atchment groov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atio of the height and width is formed to have a ratio of 1: 1: 0.5.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 및 냉장고의 수납부재 커버에 의하면, 수납부재의 내측에 습도가 높아지게 되면, 집수홈의 내측에 물방울이 응집되기 시작하며, 물방울의 응집에 의해 내부의 투시가 가능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refrigerator and the accommodating member cover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humidity is increased inside the accommodating member, the water droplets begin to agglomerate inside the water collecting groove, and the inside of the water may be condensed by the agglomeration of the water droplets. do.
따라서, 커버의 투명도를 확인하여 상기 수납부재 내부의 습도를 알 수 있으며, 실제 수분의 응집량 또한 가시화 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에게 상기 수납부재 내부의 습도 상태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되어 저장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Therefore, by checking the transparency of the cover can be seen the humidity inside the housing member, the amount of actual agglomeration of the moisture can also be visualized so that the user can effectively communicate the humidity state inside the housing member to improve the storage properties You can expect.
또한, 상기 수납부재의 습도가 높아져 수분의 응집량이 과도하게 많아지는 경우 습도를 낮추는 추가의 작업을 진행하거나, 응집된 물방울을 닦거나 직접 제거하는 등의 작업을 통해 수분에 의해 야채 또는 과일이 상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저장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humidity of the storage member is increased and the amount of moisture is excessively increased, the vegetable or fruit may be damaged by moisture through an additional operation of lowering the humidity or by wiping or directly removing the agglomerated droplets. It can prevent the effect can be expected to improve the storag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and other embodiments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other inventive inventions o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added by adding, changing, or deleting other elements. I can suggest.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이드바이사이드타입의 냉장고를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수납부재와 커버가 구비되는 모든 타입의 냉장고에 적용 가능함을 미리 밝혀 둔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ide by side type refrigerator is described as an example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and explana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all types of refrigerators provided with a storage member and a cover. Reveal in advan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정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of an open door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40)에 의해 그 외형이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1, a
상기 캐비닛(10)은 전방으로 개구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베리어(12)에 의해 좌우 양측으로 구획되어 각각 냉동실(20)과 냉장실(30)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냉장실(30)과 냉동실(20)의 내측에는 다수의 서랍과 선반들이 구비되어 내부에 다양한 식품들이 수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특히, 상기 냉장실(30)의 하측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수납부재(200)와 커버(300)가 구비되며, 상기 수납부재(200)와 커버(300)에 의해 야채, 채소, 과일 등이 수납되는 야채실(100)이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야채실(100)은 냉장실(30) 내부 공간과 밀폐 또는 구획되어 형성되며, 내부 습도의 유지 및 조절이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lower side of the refrigerating
그리고, 상기 야채실(100)은 상기 냉장실(30)의 내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통상 다수의 서랍이 구비되는 경우 최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The
그리고, 상기 도어(40)는 상기 냉장실(30)과 냉동실(20)을 각각 차폐할 수 있도록 각각 냉장실(30)의 개구된 전면과 대응하는 냉장실 도어(44)와, 냉동실(20)의 개구된 전면과 대응하는 냉동실 도어(42)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상기 냉장실 도어(44)와 냉동실 도어(42)는 각각 상기 캐비닛(1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냉장실 도어(44)와 냉동실 도어(42)의 회동에 의해 상기 냉장실(30)과 냉동실(20)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장실 도어(44)와 냉동실 도어(42)의 배면에는 식품의 수납을 위한 다수의 바스켓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냉장실 도어(44)와 냉동실 도어(42)에는 아이스 메이커와 디스펜서, 홈바 등이 필요에 따라서 구비될 수 있다.The refrigerating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수납부재 및 커버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의 배면 사시도이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ousing member and a cover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cov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수납부재(200)는 상기 냉장실(30)의 내측에 장착되는 서랍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며, 주로 야채 또는 과일 등이 수납 저장될 수 있 도록 형성된다.2 and 3, the
상기 수납부재(200)는 상방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인출입 가능하게 구성되어 인출시 개구된 상면이 외부로 노출되어 야채, 과일 등의 식품을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그리고, 상기 수납부재(200)의 개구된 상면에는 커버(3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300)는 상기 수납부재(200)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는 것으로, 상기 수납부재(200)가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수납부재(200)와 상기 냉장실(30)의 내부 공간과 밀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상기 수납부재(200)가 다수의 서랍 중 가장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기 커버(300)는 상기 수납부재(200)의 상면을 차폐함과 동시에 상기 냉장실(30)의 내측에서 선반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When the
상기 커버(300)는 전체가 하나의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형성될 수 있으며, 테두리 부분만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며, 테두리를 제외한 부분은 투명한 플라스틱 또는 강화유리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The
그리고, 상기 커버(300)는 상기 수납부재(200)의 내부의 투시가 가능하도록 투명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아래에서 설명할 집수홈(310)에 의해 상기 수납부재(200) 내부의 습도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투명 또는 불투명하게 된다.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커버(300)의 하면에는 다수의 집수홈(310)이 형성된다. 상기 집수홈(310)은 상기 수납부재(200) 내부의 습기가 응집되어 물방울 상태로 집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뿔 모양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collecting
상세히, 상기 집수홈(310)은 상기 수납부재(200) 내부의 수분 응집이 용이하도록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며, 경사면(312)이 형성하는 표면장력에 의해 물방울이 상기 집수홈(310)의 내측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형성된다.In detail, the
한편, 상기 다수의 집수홈(310)은 내측이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방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되며, 이때 상기 경사면(312)의 각도는 대략 40˚~ 50˚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lurality of collecting
그리고, 상기 집수홈(310)의 내측에 물방울이 집수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경사면(312)에 의한 굴절에 의해 상기 커버(300)의 상방에서 바라볼 때 상기 집수홈(310) 부분이 불투명한 상태가 된다. In the state where the water droplets are not collected inside the
반면에, 상기 집수홈(310)의 내측에 물방울이 집수된 상태에서는 상기 집수홈(310)의 내측에 채워진 물에 의해 빛의 굴절이 일어나지 않게 되어, 상기 커버(300)의 상방에서 바라볼 때 상기 집수홈(310) 부분이 투명한 상태가 되며, 상기 집수홈(310)이 다수개 형성된 상기 커버(300)의 영역이 투명한 상태가 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a state in which water droplets are collected inside the collecting
상기 집수홈(310)은 정사각뿔 또는 사각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수의 상기 집수홈(310)들은 서로 연속하여 접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집수홈(310)은 하나의 독립된 셀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며, 다수의 집수홈(310)은 서로 접하는 상태로 인접하는 집수홈(310)의 개구된 하면의 선단이 서로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catching
즉, 상기 커버(300) 하면의 전체 또는 수분의 집수를 위한 영역 전체가 다수 의 상기 집수홈(310)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다수의 집수홈(310)들은 독립된 셀이 서로 연속하여 배치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That is, the entire area of the lower surface of the
한편, 상기 집수홈(310)의 개구된 하면은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개구된 하면의 가로 및 세로 길이와 상기 집수홈(310)의 높이는 대략 1:1:0.5의 비율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pened lower surface of the collecting
이때, 상기 집수홈(310)은 내부에 응집되는 물방울의 양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나, 표면장력 및 내부에 수용되는 물방울의 무게 등을 고려하여 상기 수납부재(200)의 인출입에 의한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상기 집수홈(310) 내부의 물방울이 용이하게 떨어지지 않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예컨데, 상기 집수홈(310)의 개구된 하면의 가로 길이는 대략 0.5 ~ 5mm로 형성되어 내부에 집수된 물방울이 응집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집수홈(310)을 통한 가시화의 정도에 따라 상기 집수홈(310)이 원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opened lower surface of the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부재의 습도 상태에 따른 커버의 상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state of the cover according to the humidity state of the hous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수홈에 수분이 응집되지 않은 상태의 커버 단면도로서, 도 2의 A-A'의 단면을 도시한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수홈에 수분이 응집되지 않은 상태의 커버 상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ver of the water collecting gro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where moisture is not aggregated, and illustrates a cross-sectional view of AA ′ of FIG. 2. 5 is a top view of a cover in a state in which water is not agglomerated in a water collecting gro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수납부재(200)의 내측에 야채나 과일 등이 수납되지 않거나, 수납 후 내부의 습도가 낮은 경우에는 상기 커버(300)의 집수홈(310)에 물방울이 맺히지 않게 된다. 4 and 5, when vegetables or fruits are not stored inside the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커버(300)의 상방에서 상기 수납부재(200)의 내측을 바라보게 되면,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경사면(312)에서 빛이 굴절되어 내부를 투시하는 것이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커버(300)의 하면에 형성된 집수홈(310)의 패턴만이 외부로 표현될 뿐 상기 커버의 집수홈(310)이 형성된 부분은 불투명한 상태가 된다.In this state, when looking toward the inside of the
상기 수납부재(200) 내부의 습도가 올라가게 되면, 상기 집수홈(310)의 내부에 수분이 응집되기 시작할 것이며, 상기 집수홈(310)의 내부에 물방울이 맺혀 상기 경사면(312)을 완전히 덮기 전 까지는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불투명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When the humidity inside the
사용자는 상기 커버(300)가 불투명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상기 수납부재(200)의 내부 습도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수납부재(200) 내부의 습기를 제거하거나 상기 커버(300)에 맺혀진 물방울을 제거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됨을 쉽게 판단 가능하게 된다.The user may check the internal humidity of the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수홈에 수분이 응집된 상태의 커버 단면도로서, 도 2의 A-A'의 단면을 도시한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수홈에 수분이 응집된 상태의 커버 상면도이다.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ver of the water collecting gro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where water is agglomerated, and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 of FIG. 2. And, Figure 7 is a top view of the cover in a state where water is aggregated in the water collecting gro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수납부재(200) 내부의 습도가 높아지게 되면, 상기 집수홈(310)의 내부에는 수분의 응집이 시작되며, 습도가 높아질수록 상기 집수홈(310)의 내부에 응집되는 수분의 양이 증가하게 되어 상기 집수홈(310)의 내부 에는 물방울이 맺히게 된다.6 and 7, when the humidity inside the
이와 같이 상기 집수홈(310)의 내부가 물방울로 채워지게 되면,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집수홈(310) 내부의 물방울이 상기 경사면(312)을 덮게 되며, 상기 경사면(312)에서의 빛 반사가 일어나지 않게 되어 상기 집수홈(310) 부분이 투명한 상태가 된다.As such, when the inside of the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커버(300)를 상방에서 바라보게 되면,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물방울이 채워진 집수홈(310)의 영역이 투명하게 되며, 상기 커버(300)를 통해 상기 수납부재(200)의 내부를 투시 가능한 상태가 된다.When the
상기 커버(300)의 하면 전체 또는 일부가 상기 다수의 집수홈(310)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집수홈(310)들은 모두 연속하여 접하고 있는 상태가 되므로, 다수의 서로 인접한 집수홈(310)에 물이 채워지게 될 경우 이 부분들은 전체적으로 투명한 상태가 될 수 있게 된다.The whole or part of the lower surface of the
따라서, 상기 수납부재(200)의 내부에 습도가 높아지게 되면, 상기 커버(300)의 중앙부에 형성된 집수홈(310)에서부터 투명해지기 시작하며, 점차 습도가 높아짐에 따라서 상기 커버(300)의 투명한 영역이 중앙부분에서 확장되기 시작한다.Therefore, when the humidity of the interior of the receiving
물론, 상기 집수홈(310) 하나의 크기는 물방울이 완전히 채워진 상태에서도 표면장력에 의해 물방울이 하방으로 떨어지지 않게 되며, 상기 하나의 집수홈(310) 내측에 물방울이 완전히 채워진 후에는 인접한 다른 집수홈(310)에 수분의 응집이 시작되어 점차적으로 번져나갈 수 있게 된다.Of course, the size of one of the catching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커버(300)의 투명한 영역의 넓이로 상기 수납부재(200)의 습도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300)의 투명한 영역의 넓이가 일정한 수준 이상이 될 경우에는 상기 수납부재(200) 내부의 습도가 적정수준을 넘은 것으로 판단되므로 이에 따른 조치를 취하게 된다. Therefore, the user can determine the humidity of the
즉, 상기 수납부재(200) 내부의 습도가 일정 수준 이상이 된 것으로 가시화되는 경우에는 상기 수납부재(200) 내부의 습도를 줄일 수 있는 다른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커버(300)의 집수홈(310)에 맺혀진 물방울들을 닦아서 제거하여 상기 수납부재(200) 내부에 수납된 야채 또는 과일에 물방울이 떨어지거나 맺히지 않도록 하게 된다.That is, when it is visualized that the humidity inside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 및 냉장고의 수납부재 커버는 전술한 실시예 외에도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 및 냉장고의 수납부재 커버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The refrigerator and the accommodating member cover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 embodiments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spect to the accommodating member cover of the refrigerator and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 및 냉장고의 수납부재 커버는 커버의 구조에 있어서만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들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표시하기로 한다.The refrigerator and the accommodating member cover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ffer only in the structure of the cover, and thus other components are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us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Will be displayed.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부재 및 커버의 분해 사시도이다.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ousing member and a co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1, 도 1 참조)의 내부에는 야채 또는 과일을 수납하기 위한 상기 수납부재(200)가 구비된다.Referring to FIG. 8, the
상기 수납부재(200)의 개구된 상면은 커버(400)에 의해 차폐되며, 상기 수납부재(200)의 전후방 인출입에 의해 상기 수납부재(200)의 개구된 상면이 선택적으 로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opened upper surface of the
상기 커버(400)는 상기 수납부재(200)의 상방에 구비되며, 상기 냉장실(30, 도 1 참조)의 내부에 고정 장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상기 수납부재(200)의 상측에 접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The
상기 커버(400)는 상기 수납부재(200)의 내부를 투시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둘레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투명한 플라스틱 또는 강화유리로 형성될 수 있다.The
그리고, 상기 커버(400)의 하측에는 집수부재(410)가 형성된다. 상기 집수부재(410)는 상기 수납부재(200) 내측의 수분을 응집시켜, 상기 수납부재(200)의 내부 습도를 유지하는 한편, 상기 수납부재(200)의 내부 습도를 가시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다수의 상기 집수홈(412)이 형성된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collecting
상세히, 상기 집수부재(410)는 상기 커버(400)와 같이 투명한 플라스틱 또는 강화유리 소재로 형성되어 내부의 투시가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커버(400)의 하면과 접하도록 상기 커버(400)에 장착되거나, 별도의 부재를 사용하여 상기 커버(400)의 하측에 장착된다.In detail, the collecting
상기 집수부재(410)의 하면 전체 또는 일부에는 다수의 집수홈(41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다수의 집수홈(412)에 의해 상기 집수부재(410)는 상기 수납부재(200) 내부의 수분을 응집하여 습도를 유지하는 한편, 상기 수납부재(200) 내부의 습도를 가시화시킬 수 있게 된다.A plurality of
즉, 상기 집수홈(412)의 내부에 수분이 응집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집수 홈(412) 부분이 불투명하게 되며, 상기 집수홈(412)의 내부에 수분이 응집된 상태에서는 상기 집수홈(412) 부분이 투명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상기 집수부재(410)의 상태로 상기 수납부재(200)의 내부 습도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커버(400)를 통해서 상기 집수부재(410)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집수부재(410)가 투명하게 되어 상기 커버(400)를 통해 상기 수납부재(200)의 내부가 보이는 상태가 되면 상기 수납부재(200) 내부의 습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하게 되고, 상기 집수부재(410)가 불투명하여 상기 커버(400)를 통해 상기 수납부재(200)의 내부가 보이지 않고 상기 집수부재(410)에 형성된 상기 집수홈(412)의 패턴이 보이는 불투명 상태가 되면 상기 수납부재(200) 내부의 습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Thus, the user can check the state of the
한편, 상기 집수홈(412)의 구조 및 작용은 전술한 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 및 냉장고의 수납부재 커버는 전술한 실시예들 외에도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 및 냉장고의 수납부재 커버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The refrigerator and the accommodating member cover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 embodiments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accommodating member cover of the refrigerator and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 및 냉장고의 수납부재 커버는 수납부재 및 커버의 구조에 있어서만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들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표시하기로 한다.The refrigerator and the accommodating member cover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only in the structure of the accommodating member and the cover, and other components are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us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reference numerals will be used to indicate the same.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부재 및 커버의 분해 사시도이 다.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receiving member and a co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1, 도 1 참조)의 내부에는 야채 또는 과일을 수납하기 위한 상기 수납부재(200)가 구비된다.9, the
상기 수납부재(200)는 상기 냉장실(30, 도 1 참조)의 내측에 구비되는 외부 케이스(600)의 내측에 장착되며, 상면이 개구되어 내부에 식품의 수납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 케이스(600)는 전면과 상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수납부재(200)가 전방으로 인출입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그리고, 상기 외부 케이스(600)의 상측에는 커버(610)가 구비된다. 상기 커버(610)는 상기 외부 케이스(600)의 상면을 차폐하는 것으로, 상기 수납부재(200)가 인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수납부재(200) 또한 차폐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상기 커버(610)는 투명 플라스틱 또는 강화유리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외부 케이스(600)의 내측에 구비된 상기 수납부재(200)의 내부를 투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610)의 하방에는 상기 집수부재(700)가 구비될 수 있다.The
상기 집수부재(700)는 상기 수납부재(200) 내부의 수분이 응집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수납부재(200) 내부의 습도를 가시화하는 것으로, 하면에는 다수의 상기 집수홈(710)이 형성된다. 상기 집수부재(700)는 그 장착위치에만 차이가 있을 뿐 전술한 다른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collecting
상기 집수부재(700)는 상기 커버(610)의 하면과 접하도록 상기 커버(610)의 하면에 장착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외부 케이스(600)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The collecting
따라서, 상기 수납부재(200)의 습도가 낮은 상태에서는 상기 집수부재(700)의 집수홈(710)이 불투명한 상태가 되므로, 상기 커버(610)의 상측에서 바라보면 상기 커버(610)를 통해 상기 집수홈(710)의 패턴만이 불투명한 상태로 보여지게 된다.Therefore, in a state in which the humidity of the
반면에, 상기 수납부재(200)의 습도가 높은 상태에서는 사기 집수부재(700)의 집수홈(710)이 투명한 상태가 되므로, 상기 커버(610)의 상측에서 바라보면 물방울이 맺혀진 상기 집수홈(710)이 투명한 상태가 되어 상기 커버(610)를 통해 상기 수납부재(200)의 내부를 볼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a state where the humidity of th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정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of an open door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수납부재 및 커버의 분해 사시도이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ousing member and a cover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의 배면 사시도이다.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cov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수홈에 수분이 응집되지 않은 상태의 커버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ver in a state in which water is not agglomerated in a collecting groov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수홈에 수분이 응집되지 않은 상태의 커버 상면도이다.5 is a top view of a cover in a state in which water is not agglomerated in a collecting gro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수홈에 수분이 응집된 상태의 커버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ver in a state in which water is aggregated in a water collecting gro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수홈에 수분이 응집된 상태의 커버 상면도이다.7 is a top view of a cover in a state in which water is aggregated in a collecting gro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부재 및 커버의 분해 사시도이다.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ousing member and a co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부재 및 커버의 분해 사시도이다.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ousing member and a co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0)
Priority Applications (4)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90116977A KR101038791B1 (en) | 2009-11-30 | 2009-11-30 | Refrigerator and compartment cover |
| EP10192603.8A EP2333469B1 (en) | 2009-11-30 | 2010-11-25 | Refrigerator and storing device for refrigerator |
| US12/955,406 US8590334B2 (en) | 2009-11-30 | 2010-11-29 | Refrigerator and storing device for refrigerator |
| CN2010105878387A CN102080917B (en) | 2009-11-30 | 2010-11-30 | Refrigerator and storing device for refrigera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90116977A KR101038791B1 (en) | 2009-11-30 | 2009-11-30 | Refrigerator and compartment cover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038791B1 true KR101038791B1 (en) | 2011-06-03 |
Family
ID=44404974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90116977A Active KR101038791B1 (en) | 2009-11-30 | 2009-11-30 | Refrigerator and compartment cove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038791B1 (en) |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30071577A (en) * | 2011-12-21 | 2013-07-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Refrigerator |
| KR20140140199A (en) * | 2013-05-28 | 2014-12-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Vegetables contain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 KR20150089765A (en) * | 2014-01-28 | 2015-08-0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Vegetables contain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524785B1 (en) | 2002-10-23 | 2005-10-3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Vegetable room optimum preservation apparatus for refrigerator |
| KR20070020832A (en) * | 2005-08-17 | 2007-02-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Refrigerator |
| KR100830463B1 (en) | 2006-03-03 | 2008-05-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Refrigerator and its control method |
| KR100844329B1 (en) | 2002-05-28 | 2008-07-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irtight vegetable compartment structure of the refrigerator |
-
2009
- 2009-11-30 KR KR1020090116977A patent/KR10103879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844329B1 (en) | 2002-05-28 | 2008-07-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irtight vegetable compartment structure of the refrigerator |
| KR100524785B1 (en) | 2002-10-23 | 2005-10-3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Vegetable room optimum preservation apparatus for refrigerator |
| KR20070020832A (en) * | 2005-08-17 | 2007-02-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Refrigerator |
| KR100830463B1 (en) | 2006-03-03 | 2008-05-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Refrigerator and its control method |
Cited By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30071577A (en) * | 2011-12-21 | 2013-07-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Refrigerator |
| KR101868624B1 (en) * | 2011-12-21 | 2018-06-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Refrigerator |
| KR20140140199A (en) * | 2013-05-28 | 2014-12-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Vegetables contain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 KR102104439B1 (en) * | 2013-05-28 | 2020-04-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Vegetables contain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 KR20150089765A (en) * | 2014-01-28 | 2015-08-0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Vegetables contain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 KR102184537B1 (en) * | 2014-01-28 | 2020-11-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Vegetables contain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8590334B2 (en) | Refrigerator and storing device for refrigerator | |
| KR101104567B1 (en) | Refrigerator drawer | |
| KR102629953B1 (en) | Refrigrator | |
| EP2808628B1 (en) | Vegetable container for refrigerator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
| KR101437170B1 (en) | Refrigerator | |
| KR20130053214A (en) | Refrigerator | |
| EP2594877A2 (en) | Refrigerator | |
| KR101038791B1 (en) | Refrigerator and compartment cover | |
| KR101121887B1 (en) | Refrigerator and drawer cover for refrigerator | |
| JP2013104594A (en) | Refrigerator | |
| RU2010110579A (en) | FRIDGE | |
| JP6302308B2 (en) | refrigerator | |
| KR101132434B1 (en) | Refrigerator and drawer cover for refrigerator | |
| JP2011179695A (en) | Refrigerator | |
| RU2435117C2 (en) | Refrigerator | |
| KR100651307B1 (en) | Refrigerator | |
| KR102184537B1 (en) | Vegetables contain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
| JP2012159275A (en) | Refrigerator | |
| KR20130053215A (en) | Refrigerator | |
| KR20120086634A (en) | Vertical sliding door for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
| KR20110051350A (en) | Refrigerator | |
| CN206459408U (en) | Refrigerator | |
| JP5609156B2 (en) | refrigerator | |
| JP7340932B2 (en) | refrigerator | |
| KR20100085237A (en) | Basket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130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20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5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05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4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4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4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14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4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13 Year of fee payment: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41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41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41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09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