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44218B1 - 스테이플러 - Google Patents

스테이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4218B1
KR101044218B1 KR1020057014417A KR20057014417A KR101044218B1 KR 101044218 B1 KR101044218 B1 KR 101044218B1 KR 1020057014417 A KR1020057014417 A KR 1020057014417A KR 20057014417 A KR20057014417 A KR 20057014417A KR 101044218 B1 KR101044218 B1 KR 101044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stapler
locking
storage chamber
gui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4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8299A (ko
Inventor
기이찌 하라미이시
가쯔노리 마나베
Original Assignee
막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막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막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98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8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4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421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FDOVETAILED WORK; TENONS; SLOTTING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 B27F7/00Nailing or stapling; Nailed or stapled work
    • B27F7/17Stapling machines
    • B27F7/38Staple 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FDOVETAILED WORK; TENONS; SLOTTING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 B27F7/00Nailing or stapling; Nailed or stapled work
    • B27F7/17Stapling machines
    • B27F7/30Driving means
    • B27F7/36Driving means operated by electric pow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 Dovetailed Work, And Nailing Machines And Stapling Machines For Wood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 Formation And Processing Of Food Products (AREA)

Abstract

스테이플러 본체에 카트리지를 안정되고 또한 덜걱거림이 없도록 하여 부착 할 수 있고, 도어 부재의 개방 동작에 연동하여 카트리지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는 스테이플러를 제공한다. 스테이플러(100)는 스테이플러 본체(101)의 카트리지 수납실(102)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된 카트리지(140)를 갖고, 카트리지 수납실(102)의 개구 하부에는 계지축(121)이 탄성 부재(126)에 의해 상방으로 압박되어 설치되어 있다. 카트리지(140)는 계지 돌기(180)와 도어 부재(185)를 갖고, 카트리지 수납실(102) 내에 압입되어 수납되었을 때, 계지 돌기(180)가 상기 계지축(121)에 계지되고, 또한 도어 부재(185)가 상기 계지축(121)에 의해 카트리지 수납실(102)의 개구를 폐쇄하도록 압박되고, 도어 부재(185)를 개방하면 도어 부재(185)가 계지축(121)을 계지 돌기(180)로부터 제거하도록 되어 있다.
스테이플러, 카트리지, 계지 돌기, 수납실, 도어 부재, 계지축

Description

스테이플러{STAPLER}
본원 발명은 스테이플러 본체와, 스테이플용 리필을 수용하고, 스테이플러 본체의 카트리지 수납실에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는 카트리지로 이루어지는 스테이플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스테이플러는 스테이플러 본체에 카트리지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카트리지를 스테이플러 본체로부터 제거하여 스테이플용 리필을 수용하고, 이 스테이플용 리필을 수용한 카트리지를 스테이플러 본체에 장착하여 사용되고 있었다.
종래의 스테이플러는 스테이플러 본체의 플라스틱 소재의 탄성 혹은 스프링의 탄성 등을 이용하여 카트리지를 압입 고정하고, 카트리지를 안정되고 또한 덜걱거림이 없도록 하여 부착할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압입 고정용 부품의 정밀도의 여하에 따라서는, 압입 설정의 공차 한계 부근에서의 카트리지의 셋트 불량, 스프링의 탄성력 부족에 의한 압박 불량 등이 발생하게 되어, 카트리지를 불안정하게 장착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 수단으로서, 쐐기 방식에 의해 카트리지를 고정하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지만, 이 쐐기를 인발하는 공정에 링크 등의 복잡한 구성이 필요하게 되어 저렴한 가격으로 제조 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쐐기 해제의 절차 추가에 의해 작업의 효율이 나빠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스테이플러는 스테이플용 리필을 교환하기 위해 스테이플러 본체로부터 카트리지를 제거하고, 이 카트리지에 새로운 스테이플용 리필을 수용하여 스테이플러 본체에 장착하도록 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 스테이플용 리필의 교환시에 실수로 카트리지를 떨어뜨려 파손하게 되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이 교환은 양손으로 행할 필요가 있어, 한 손으로는 교환 작업을 할 수 없다는 불편도 있었다. 또한, 잼 처리를 가까이에서 행할 수 있도록 카트리지에 페이스 플레이트가 부착되어 있지만, 스테이플용 리필 교환시에는 잼 처리부까지 인발하여 교환 작업을 하는 것이므로, 잼 처리부와의 혼란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스테이플러는 스테이플용 리필이 카트리지에 불완전하게 수용되어 있는 경우, 침 없음(針無) 센서가 작용하여 셋트 불량을 경고하고 있었다. 그러나, 단순히 상기 경고를 하는 것만으로 셋트 불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원 발명은 상기 문제점에 비추어 발명된 것이며, 그 제1 목적은, 스테이플러 본체에 카트리지를 안정되고 또한 덜걱거림이 없도록 하여 장착할 수 있고, 도어 부재의 개방 동작에 연동하여 카트리지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고, 복잡한 구성을 필요로 하지 않고 저렴한 가격으로 제조할 수 있고, 스테이플러 본체로부터 카트리지를 인출하여 스테이플용 리필을 교환할 수 있고, 카트리지의 낙하 방지를 도모하여 한 손으로 교환 작업을 할 수 있는 스테이플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제2 목적은, 인출 가능하게 설치된 카트리지를 스테이플러 본체로부터 제거할 수 있어, 카트리지 자체를 교환할 수 있는 스테이플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제3 목적은, 스테이플러 본체에 카트리지를 압입하여 장착하면, 스테이플용 리필을 카트리지에 자동적으로 수용할 수 있어, 스테이플용 리필의 셋트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스테이플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 청구항 1에 기재된 스테이플러는 상기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스테이플러 본체와, 스테이플러 본체의 카트리지 수납실에 인출 가능하게 장착된 카트리지로 이루어지고, 카트리지 수납실의 개구 하부에는 탄성 부재에 의해 상방으로 압박된 계지축이 설치되어 있고, 카트리지는 계지 돌기와 도어 부재를 갖고, 카트리지 수납실 내에 카트리지가 장착되었을 때에 상기 계지 돌기는 상기 계지축으로 계지되고, 상기 도어 부재는 상기 계지축에 의해 카트리지 수납실의 개구를 폐쇄하도록 압박되어 있고, 카트리지 수납실의 개구를 폐쇄하고 있는 도어 부재를 개방할 때에 도어 부재가 상기 계지축을 계지 돌기로부터 제거하도록 되어 있다.
본원 청구항 2에 기재된 스테이플러는 상기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카트리지에는 스테이플러 본체의 카트리지 수납실로부터 카트리지를 인출하였을 때에 상기 계지축으로 계지되는 계지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원 청구항 3에 기재된 스테이플러는 상기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카트리지 수납실의 양측에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카트리지의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 홈으로 안내되는 가이드 갈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갈고리를 상기 가이드 홈으로부터 제거함으로써 스테이플러 본체로부터 카트리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원 청구항 4에 기재된 스테이플러는 상기 제3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스테이플러 본체와, 스테이플러 본체의 카트리지 수납실에 인출 가능하게 장착된 카트리지로 이루어지고, 카트리지 수납실의 상부에는 카트리지에 수용된 스테이플용 리필을 카트리지를 장착하는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 부재가 형성되어 있다.
도1은 본원 발명에 관한 스테이플러의 하나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이다.
도2는 스테이플러 본체에 장착된 카트리지로부터 스테이플용 리필을 취출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3은 스테이플러 본체로부터 카트리지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4는 스테이플러 본체에 카트리지를 장착한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5는 스테이플러 본체로부터 카트리지를 인출한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6은 스테이플러 본체로부터 카트리지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7은 도6의 단면도이다.
도8은 스테이플러 본체로부터 카트리지를 인출하고 있는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9는 스테이플러 본체의 카트리지에 스테이플용 리필을 수용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10은 스테이플러 본체의 카트리지에 스테이플용 리필이 수용되는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11은 스테이플러 본체의 카트리지에 스테이플용 리필이 수용되는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12는 카트리지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13은 카트리지의 설명도이다.
도14는 카트리지에 부착되는 도어 부재의 설명도이다.
도15는 카트리지의 주요부 설명도이다.
도16은 카트리지의 주요부 설명도이다.
도17은 스테이플용 리필의 설명도이다.
도18은 스테이플용 리필의 육면도이다.
본원 발명에 관한 스테이플러는 복사기나 탁상형 전동 스테이플러 장치에 내장되는 것으로, 상기 복사기나 탁상형 전동 스테이플러 장치에 설치되는 구동 기구 및 제어 기구(도시 생략)에 의해 구동되어 복수매의 용지를 하나로 철하는 스테이플 동작을 행하는 것이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종이를 철하는 동작을 행하는 구동 기구 및 제어 기구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원 발명에 관한 스테이플러의 하나의 실시 형태를 도1 내지 도18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원 발명에 관한 스테이플러의 하나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로, (a)는 카트리지를 스테이플러 본체에 압입하여 장착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b)는 카트리지를 스테이플러 본체로부터 인출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2는 스테이플러 본체에 장착된 카트리지로부터 스테이플용 리필을 취출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3은 스테이플러 본체로부터 카트리지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4는 스테이플러 본체에 카트리지를 장착한 상태의 설명도로, (a)는 측면도이고, (b), (c)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5는 스테이플러 본체로부터 카트리지를 인출한 상태의 설명도로, (a)는 측면도이고, (b)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6은 스테이플러 본체로부터 카트리지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7은 도6의 단면도이다. 도8은 스테이플러 본체로부터 카트리지를 인출하고 있는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9는 스테이플러 본체의 카트리지에 스테이플용 리필을 수용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10, 도11은 스테이플러 본체의 카트리지에 스테이플용 리필이 수용되는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12는 카트리지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13은 카트리지의 설명도로, (a)는 상면도, (b)는 측면도, (c)는 하면도이다. 도14는 카트리지에 부착되는 도어 부재의 설명도이다. 도15, 도16은 카트리지의 주요부 설명도이다. 도17은 스테이플용 리필의 설명도이며, (a)는 상부에서 본 사시도이고, (b)는 하부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18은 스테이플용 리필의 육면도이다.
스테이플러(100)는 스테이플러 본체(101)와, 스테이플러 본체(101)의 카트리 지 수납실(102)에 인출 가능하게 장착된 카트리지(1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테이플러 본체(101)에는 종이를 철하는 스테이플 기구(도시 생략)에 대해 침(스테이플)을 공급하기 위한 스테이플용 리필(1)을 교환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스테이플용 리필(1)은 복수매 시트 형상 연결 스테이플(S)을 수용하고 있다.
스테이플러 본체(101)는 상기 스테이플용 리필(1)을 장착한 카트리지(140)를 수납하는 카트리지 수납실(102)을 갖고 있다. 또한, 스테이플러 본체(101)의 후방에는 상기 카트리지 수납실(102)의 개구(108)가 설치되어 있다.
카트리지 수납실(102)의 개구(108) 하부에는 탄성 부재(126)에 의해 상방으로 압박된 계지축(121)이 설치되어 있다. 카트리지(140)는 계지 돌기(180)와 도어 부재(185)를 갖고 있다. 카트리지 수납실(102) 내에 카트리지(140)가 장착되었을 때에, 상기 계지 돌기(180)는 상기 계지축(121)에 계지되고, 상기 도어 부재(185)는 상기 계지축(121)에 의해 카트리지 수납실(102)의 개구(108)를 폐쇄하도록 압박되도록 되어 있다. 카트리지 수납실(102)의 개구(108)를 폐쇄하고 있는 도어 부재(185)를 개방할 때에, 도어 부재(185)가 상기 계지축(121)을 계지 돌기(180)로부터 제거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카트리지 수용실(102)에 대해 스테이플용 리필(1)을 수용한 카트리지(140)를 압입하여 장착하면, 상기 계지축(121)에 대해 계지 돌기(180)가 결합하고, 카트리지(104)가 스테이플러 본체(101)에 대해 고정된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140)의 고정과 동시에, 도어 부재(185)가 계지축(121)에 의해 밀려 올 라가, 개구(108)의 일부를 덮도록 되어 있다. 이 상태로부터 도어 부재(185)를 개방하도록 당기면 도어 부재(185)가 상기 계지축(121)을 밀어 내리므로, 카트리지(140)의 계지 돌기(180)와 계지축(121)의 결합이 해제된다. 상기 도어 부재(185)의 조작에 의해, 장착된 카트리지(140)를 스테이플러 본체(101)로부터 인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카트리지(140)에는 스테이플러 본체(101)의 카트리지 수납실(102)로부터 카트리지(140)를 인출하였을 때에, 상기 계지축(121)에 계지되는 계지부(170)가 형성되어 있다. 계지부(170)는 카트리지(140)의 바닥부에 설치된 오목부로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계지부(계지 오목부)(170)에 계지축(121)이 결합함으로써 카트리지(140)를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카트리지 수납실(102)의 양측에는 가이드 홈(115)이 형성되어 있다. 카트리지(140)의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 홈(115)으로 안내되는 가이드 갈고리(160, 161)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갈고리(160, 161)를 상기 가이드 홈(115)으로부터 제거함으로써 스테이플러 본체(101)로부터 카트리지(140)를 제거할 수 있다. 가이드 갈고리(160, 161)는 가요성을 갖는 부재이며, 카트리지(140)의 양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을 갖고 있다. 상기 돌출된 부위는 상기 가이드 홈(115)으로 안내되도록 되어 있다. 가이드 갈고리(160, 161)는 내측으로 압박함으로써 휘고, 가이드 홈(115)과 상기 돌출된 부분과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스테이플러(100)는 스테이플러 본체(101)와, 스테이플러 본체(101)의 카트리지 수납실(102)에 인출 가능하게 장착된 카트리지(140)로 이루어진다. 카트리지 수납실(102)의 상부에는 카트리지(140)에 수용된 스테이플용 리필(1)을 카트리지(140)를 장착하는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 부재(138)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 스테이플러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7,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테이플용 리필(1)은 리필 본체(2)와 압박 부재(70)로 이루어진다. 리필 본체(2)는 바닥벽(3)과, 바닥벽(3)의 전방부에 대략 직각으로 설치된 전방벽(5)과, 바닥벽(3)의 우측부에 대략 직각으로 설치된 우측벽(6)과, 바닥벽(3)의 좌측부에 대략 직각으로 설치된 좌측벽(7)과, 바닥벽(3)의 후방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계지판(9)으로 이루어진다.
바닥벽(3)에는 대략 중앙에 직사각 형상의 관통 구멍(11)이 형성되고, 전단부에 대략 역ㄷ자 형상의 절결부(12)가 형성되고, 상면[본체(2) 내면측]의 좌우 양측에 시트 형상 연결 스테이플(S)의 역행을 방지하기 위한 역행 방지 돌기(18, 19)가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다. 우측벽(6)과 좌측벽(7)의 전방부에는 상하 방향을 향해 신장하는 안내 홈(20, 21)이 형성되어 있다. 안내 홈(20, 21)의 하단부에는 전방을 향해 오목부(22, 23)가 형성되고, 안내 홈(20, 21)의 상단부에는 후방을 향해 오목부(24, 25)가 형성되어 있다. 안내 홈(20, 21) 근방에는 대략 삼각 형상의 작은 돌기(26, 27)가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다.
우측벽(6)의 전방부에는 대략 수직의 전단부 모서리(31)로부터 대략 수평의 상단부 모서리(32)까지 신장하는 우측 경사 모서리(33)가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좌측벽(7)의 전방부에는 대략 수직의 전단부 모서리(35)로부터 대략 수평의 상단부 모서리(36)까지 신장하는 좌측 경사 모서리(37)가 형성되어 있다.
전방벽(5)의 하부에는 시트 형상 연결 스테이플(S)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41)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배출구(41)는 바닥벽(3)의 절결부(12)와 연통하고 있다. 배출구(41)의 상부에는 배출구(41)를 막는 덮개 부재(4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전방벽(5)의 하부 양단부에는 한 쌍의 돌기 형상의 계지부(48, 49)가 형성되어 있다.
계지판(9)의 좌우단부 상부에는 베어링 판(52, 53)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 판(52, 53)은 우측벽(6)과 좌측벽(7)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피봇 지지되어 있다. 계지판(9)에는 양측을 홈(62, 63) 사이에 끼워 형성된 가요 부재(65)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가요 부재(65)에는 계지 구멍(66)이 형성되어 있다. 계지판(9)의 내측면에는 상단부로부터 하단부까지 신장하는 접촉 돌기(64, 69)가 설치되어 있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박 부재(70)는 압박판(71)과, 압박판(71)의 좌우 양측에 설치된 보강벽(72, 73)과, 좌우의 보강벽(72, 73)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하여 설치된 안내축(75)으로 이루어져 있다. 안내축(75)의 양측은 우측벽(6)과 좌측벽(7)의 안내 홈(20, 21)으로 안내되도록 되어 있다. 안내축(75)의 근방에는 상기 작은 돌기(26, 27)에 계지하여 압박 부재(70)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저지하고, 압박 부재(70)의 하방으로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 계지 부재(76)가 설치되어 있다.
압박판(71)의 계지 단차부(86, 86)의 양측에는 가이드 돌기(80, 8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압박판(71)의 하면 대략 중앙과 가이드 돌기(80, 81)의 하면에는 시트 형상 연결 스테이플(S)을 압박하는 압박 돌기(82)가 한 쌍씩 설치되어 있 다.
시트 형상 연결 스테이플(S)은 가는 막대 형상의 스테이플을 복수 나열하여 접착하고, 1매의 시트 형상으로 형성한 것이다. 스테이플이 소정의 용지에 박힐 때에는, 선단부의 스테이플만이 박히도록 되어 있다.
스테이플러(100)의 스테이플러 본체(101)는 복사기나 인쇄기에 부착되는 것이며,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 수납실(10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카트리지 수납실(102) 내에는 카트리지(140)가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카트리지 수납실(102)은 바닥벽(103)과, 바닥벽(103)의 우측에 형성된 우측벽(105)과, 바닥벽(103)의 좌측에 형성된 좌측벽(106)과, 상부벽(107)에 의해 형성되고, 카트리지 수납실(102)의 전방부와 후방부는 개방되어 있다.
우측벽(105)과 좌측벽(106)의 후방 모서리는 후방[카트리지(140)를 인출하는 방향]을 향해 하강 경사지게 되는 경사 모서리(109, 110)와, 하방을 향해 신장하는 수직 모서리(111, 112)를 가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우측벽(105)과 좌측벽(106)의 전방부는 절결되어 있고, 이 절결부(174, 175)에는 스테이플러(100)의 드라이버(도시 생략)가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우측벽(105)과 좌측벽(106)의 내측 하부에는 후방으로 제1 가이드 홈(115, 115)이 형성되고, 전방으로 제2 가이드 홈(116, 116)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가이드 홈(115)은 제2 가이드 홈(116)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다. 제1 가이드 홈(115)의 전방부에는 대략 L자 형상의 절결부(117)를 설치함으로써 스토퍼 부재(118)가 형성되어 있다.
바닥벽(103)의 후방부(120)는 경사져 있고, 상기 후방부(120)의 상부에 바닥 벽(103)으로부터 약간 돌출되는 계지축(121)이 대략 수평하게 설치되어 있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지축(121)은 우측벽(105)과 좌측벽(106)에 형성된 상하 방향으로 신장하는 긴 구멍(122, 123)에 양단부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안내되어 있다.
또한 계지축(121)의 양단부에는 우측벽(105)과 좌측벽(106)의 외측에 설치된 지지축(125, 125)에 일단부가 고정된 스프링 형상의 탄성 부재(126, 126)의 타단부가 부착되어 있다. 계지축(121)은 상기 탄성 부재(126, 126)에 의해 상방으로 압박되어 있고, 또한 상기 계지축(121)의 양단부는 긴 구멍(122, 123)의 상단부에 접촉하고 있다.
우측벽(105)과 좌측벽(106)의 내측 상부에는 아암 부재(130, 13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아암 부재(130, 130)의 상부에는 회전축(131, 131)이 설치되고, 대략 중간부보다 상부에 스프링 베어링 부재(132, 132)가 설치되어 있다. 아암 부재(130, 130)는 우측벽(105)과 좌측벽(106)의 상부에 형성된 베어링 구멍(133, 133)에 피봇 부착된 회전축(131, 13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아암 부재(130, 130)에는 우측벽(105) 및 좌측벽(106)에 형성된 관통 구멍(113, 114)을 거쳐서 돌출되어 형성된 스프링 베어링 부재(132, 13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 베어링 부재(132, 132)에는 우측벽(105)과 좌측벽(106)의 외측에 각각 설치된 지지축(135, 135)에 일단부를 고정한 스프링 형상의 탄성 부재(134, 134)의 타단부가 고정되어 있고, 이에 의해 아암 부재(130, 130)가 하방으로 압박되어 있다.
바닥벽(103)의 전단부에는 전방벽(136)이 형성되어 있다. 전방벽(136)의 대략 중앙에는 계지 구멍(137)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벽(107)의 후단부 양측에는 대략 수평의 안내 부재(138)가 형성되어 있다.
카트리지(140)는 바닥판(141)과, 바닥판(141)의 우단부 전방부에 설치된 우측 가이드판(142)과, 바닥판(141)의 우단부 후방부에 설치된 우측판(143)과, 바닥판(141)의 좌단부 전방부에 설치된 좌측 가이드판(145)과, 바닥판(141)의 좌단부 후방부에 설치된 좌측판(146)과, 바닥판(141)의 후단부에 설치된 후방판(147)과, 바닥판(141)의 전단부에 설치된 전방판(149)으로 이루어진다.
바닥판(141)의 전방부에는 직사각 형상의 개구(148)가 형성되어 있다. 카트리지(140)의 전방부에는 스테이플 타출(打出) 가이드(150)가 설치되어 있다. 스테이플 타출 가이드(150)에는 스테이플용 리필(1)의 전방벽(5)에 설치된 계지부(48, 49)를 계지하는 한 쌍의 계지 오목부(151, 151)가 형성되고, 또한 전방벽(5)에 설치된 덮개 부재(45)가 접촉하는 접촉부(152)가 형성되어 있다.
카트리지(140)는 후방판(147)의 대략 중앙에 계지 갈고리(153)가 형성되고, 전방판(149)에 계지 돌기(155)가 설치되어 있다. 우측판(143)에는 대략 역ㄷ자 형상의 홈(156)에 의해 가이드 갈고리(160)가 형성되고, 좌측판(146)에는 대략 역ㄷ자 형상의 홈(157)에 의해 가이드 갈고리(161)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갈고리(160, 161)는 상부에 형성된 수평벽(163, 163)과, 상기 수평벽(163, 163)의 선단부 부분에 형성된 테이퍼 형상의 안내면(166, 166) 및 하부에 형성된 경사벽(165, 165)을 갖는다. 또, 가이드 갈고리(160, 161)의 후방부에는 조작부(167, 167)가 형성되어 있다.
우측판(143)과 좌측판(146)의 하단부 모서리 전방부에는 계지 오목부(170, 170)가 형성되어 있다. 계지 오목부(170)는 후방 경사 모서리(171)와, 후방 경사 모서리(171)보다 경사 각도가 큰 전방 경사 모서리(172)로 이루어진다. 전방 경사 모서리(172)의 선단부(173)는 우측판(143)과 우측판(146)의 하단부 모서리보다 약간 돌출되어 있다.
우측판(143)과 좌측판(146)의 하단부 모서리 후방부에는 계지 돌기(180, 180)가 형성되어 있다. 계지 돌기(180)는 전방부에 형성된 경사 모서리(181)와, 후방부에 형성된 수직 모서리(182)로 이루어진다.
카트리지(140)는 후방부에 도어 부재(185)를 구비하고 있다. 도어 부재(185)는 커버부(186)와, 커버부(186)의 양측에 설치된 아암부(187, 187)로 이루어진다. 아암부(187, 187)의 선단부에는 회전 구멍(189, 18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 구멍(189, 189)은 우측판(143)과 좌측판(146)의 대략 중심에 형성된 지지축(190, 190)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도어 부재(185)는 지지축(190, 190)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다. 도어 부재(185)는 우측판(143)과 좌측판(146)에 형성된 결합 돌기(191, 191)에 아암부(187, 187)가 결합하는 위치로부터 후방판(147)에 형성된 결합 부재(192)에 커버부(186)의 결합 오목부(193)가 결합하는 위치까지의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다.
다음에 스테이플러(100)의 사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테이플용 리필(1)에는 리필 본체(2) 내에 시트 형상 연결 스테이플(S)이 적층된 상태에서 수납되어 있다. 적층된 시트 형상 연결 스테이플(S)은 바닥벽(3)에 적재되고, 전방벽(5)과 계지판(9)의 접촉 돌기(64, 69)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우측벽(6)과 좌측벽(7)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압박 부재(70)는 가이드 돌기(80, 81)의 선단부가 전방벽(5)에 접촉하고, 후방부(74)가 계지판(9)의 접촉 돌기(64, 69)에 접촉하고 있다.
상기 스테이플용 리필(1)을 카트리지(140)에 장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리필 본체(2)의 계지부(48, 49)를 계지 오목부(151, 151)에 계지시킨다. 이 때, 덮개 부재(45)가 접촉부(152)에 접촉하여 배출구(41)를 개방한다. 다음에, 리필 본체(2)를 카트리지(140)측으로 압박하면, 가요 부재(65)가 계지 갈고리(153)에 접촉하여 내측으로 휘고, 가요 부재(65)에 형성된 계지 구멍(66)과 계지 갈고리(153)가 결합하면, 가요 부재(65)는 원래의 상태로 복귀한다. 이에 의해, 스테이플용 리필(1)이 카트리지(140)에 대해 고정된다.
다음에, 상기 스테이플용 리필(1)을 장착한 카트리지(140)를 스테이플러 본체(101)에 장착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카트리지(140)를 스테이플러 본체(101) 내로 압입하면, 카트리지 수납실(102)의 양측에 설치된 아암 부재(130, 130)가 압박 부재(70)의 안내축(75)의 양단부와 결합하여, 아암 부재(130, 130)가 탄성 부재(134, 134)의 탄성에 대항하여 밀려 올라간다. 따라서, 압박 부재(70)는 탄성 부재(134, 134)에 의해 하방으로 압박된 아암 부재(130, 130)에 의해 하방에 밀려 내려가고, 압박 돌기(82)가 적층된 시트 형상 연결 스테이플(S)을 압박한다.
또, 리필 본체(2)가 카트리지(140) 내에 완전히 셋트되어 있지 않은 경우, 즉 계지 구멍(66)이 계지 갈고리(153)에 계지되어 있지 않은 상태라도 도10,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140)가 스테이플러 본체(101) 내에 압입되면 리필 본체(2)의 우측 경사 모서리(33), 좌측 경사 모서리(37), 우측벽(6)의 상단부 모서리(32), 좌측벽(7)의 상단부 모서리(36)가 안내 부재(138)에 의해 안내되므로, 리필 본체(2)가 안내 부재(138, 138)에 의해 압박되어 하강하고, 계지 구멍(66)이 계지 갈고리(153)에 계지된다.
카트리지(140)를 스테이플러 본체(101)의 카트리지 수납실(102) 내에 완전히 장착하면, 상기 계지축(121)이 계지 돌기(180, 180)의 경사 모서리(181, 181)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한다. 계지축(121)은 탄성 부재(126, 126)에 의해 상방으로 압박되어 있고, 항상 카트리지(140)의 하단부 모서리와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계지축(121)이 계지 돌기(180, 180)를 타고 넘으면, 수직 모서리(182, 182)와 접촉한다. 계지축(121)이 이동할 수 있는 방향은 상하 방향뿐이므로, 계지축(121)은 상기 수직 모서리(182)에 의해 카트리지(140)의 인출 방향으로 압박되어도 하방으로 이동하지 않고, 계지 돌기(180, 180)를 타고 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즉, 계지축(121)이 상기 수직 모서리(182)와 접촉함으로써, 카트리지(140)의 후퇴를 저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140)가 스테이플러 본체(101)에 압입되면, 계지축(121)이 도어 부재(185)의 아암 부재(187, 187)와 결합하여 아암 부재(187, 187)를 밀어 올리므로, 도어 부재(185)가 폐쇄되어 카트리지 수납실(102)의 개구(108)를 막도록 되어 있다.
스테이플러(100)를 구동하면, 이송 갈고리(도시 생략)에 의해 시트 형상 연결 스테이플(S)이 배출구(41)로부터 송출되고, 선단부의 스테이플이 드라이버에 의해 종이를 철하도록 박히게 된다. 상기 이송 갈고리는 카트리지(140) 바닥부의 개구(148), 리필 본체 바닥부의 관통 구멍(11)을 거쳐서 시트 형상 연결 스테이플(S)의 바닥면과 결합하여 시트 형상 연결 스테이플(S)을 송출하도록 되어 있다.
리필 본체(2) 내로부터 시트 형상 연결 스테이플(S)이 모두 배출되면 압박판(71)이 바닥벽(3)에 접촉하고, 가이드 돌기(80, 81)가 전방벽(5)으로부터 해제되어 전방으로 이동 가능해지고, 계지판(9)이 회전 가능해지므로, 계지 구멍(66)이 계지 갈고리(153)로부터 해제 가능해진다.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 부재(185)를 밀어 내려 개방하면, 아암 부재(187, 187)가 계지축(121)을 탄성 부재(126, 126)의 탄성에 대항하여 밀어 내리고 있고, 계지축(121)을 계지 돌기(180, 180)의 수직 모서리(182, 182)로부터 제거하는 동시에, 계지축(121)을 지지점으로 하여 카트리지(140)를 인출할 수 있다[도8의 (c) 참조]. 또한 카트리지(140)를 인출하면, 계지축(121)이 계지 오목부(170, 170)에 계지하여 이 이상의 카트리지(140)의 인출이 저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 계지 오목부(170, 170)는 후방 경사 모서리(171)와 전방 경사 모서리(172)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강제로 당기면 계지축(121)이 전방 경사 모서리(172)를 타고 넘어 카트리지(140)를 인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카트리지(140)를 강제 로 당기는 경우에도 카트리지(140)가 파손되는 일이 없다.
카트리지(140)는 도5, 도8의 (d)의 상태에 있어서 가이드 갈고리(160, 161)의 조작부(167, 167)를 내측으로 압입함으로써, 가이드 갈고리(160, 161)가 제1 가이드 홈(115, 115)으로부터 해제되므로 스테이플러 본체(101)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가이드 갈고리(160, 16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140)의 측면에 설치된 부재이다. 각 가이드 갈고리(160, 161)의 상단부에는 수평벽(163, 163)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수평벽(163, 163)의 일부는 카트리지(140)의 측면보다도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평벽(163, 163)의 선단부에는 테이퍼 형상의 안내면(166, 16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평벽(163)이 스테이플러 본체(101)의 가이드 홈(115, 115)의 상단부 모서리와 결합함으로써, 카트리지(140)의 상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수평벽(163, 163)의 하부에는 돌출된 부분으로부터 비스듬하게 경사지는 경사면[경사벽(165, 16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안내면(166) 및 경사벽(165)은 스테이플러 본체(101)에 대해 카트리지(140)를 장착할 때에, 스테이플러 본체(101)의 우측벽(105), 좌측벽(106)에 접촉하여 가이드 갈고리(160, 161)를 내측으로 휘게 하는 작용을 갖고 있다.
카트리지(140)는 카트리지 수납실(102) 내의 바닥벽(103)에 전방판(149)의 하단부를 미끄럼 접촉하도록 하여 압입함으로써 스테이플러 본체(101)에 장착된다. 이 때, 가이드 갈고리(160, 161)의 경사벽(165, 165) 및 안내면(166, 166)이 우측 벽(105)과 좌측벽(106)의 개구(108) 내측 모서리에 미끄럼 접촉함으로써, 가이드 갈고리(160, 161)를 내측으로 휘게 한다. 다음에, 가이드 갈고리(160, 161)를 내측으로 휘게 한 후에, 수평벽(163, 163)의 돌출된 부분을 가이드벽(115, 115)을 형성한 홈 부분에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가이드 갈고리(160, 161)의 일단부를 휘게 한 후에 가이드 홈(115)에 결합시킴으로써, 카트리지(140)를 스테이플러 본체(101)에 미끄럼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장착과 대략 동시에 계지 오목부(170, 170)가 계지축(121)에 계지되도록 되어 있다[도5, 도8의 (d) 참조].
카트리지(140)를 전방으로 압입하면, 가이드 갈고리(160, 161)가 제1 가이드 홈(115, 115)으로 안내되고, 또한 카트리지(140) 선단부의 좌측 가이드판(145)과 우측 가이드판(142)이 스테이플러 본체(101)의 제2 가이드 홈(116, 116)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안내된다. 또한, 카트리지(140)의 계지 돌기(155)가 스테이플러 본체(101)의 전방벽(136)의 계지 구멍(137)에 계지되어 전방부가 고정된다. 그와 대략 동시에 계지축(121)이 계지 돌기(180)의 수직 모서리(182, 182)와 결합하여 카트리지(140)의 하단부를 밀어 올리도록 카트리지(140)에 접한다. 이에 의해, 카트리지(140)의 후방부가 고정되고,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140)는 스테이플러 본체(101) 내에 덜걱거리는 일 없이 안정되게 부착된다.
[발명의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에 관한 스테이플러는 스테이플러 본체와, 스테이플러 본체의 카트리지 수납실에 인출 가능하게 장착된 카트리지로 이루어지 고, 카트리지 수납실의 개구 하부에는 탄성 부재에 의해 상방으로 압박된 계지축이 설치되어 있고, 카트리지는 계지 돌기와 도어 부재를 갖고, 카트리지 수납실 내에 카트리지가 장착되었을 때에 상기 계지 돌기는 상기 계지축으로 계지되고, 상기 도어 부재는 상기 계지축에 의해 카트리지 수납실의 개구를 폐쇄하도록 압박되어 있고, 카트리지 수납실의 개구를 폐쇄하고 있는 도어 부재를 개방할 때에 도어 부재가 상기 계지축을 계지 돌기로부터 제거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스테이플러 본체에 카트리지를 안정되고 또한 덜걱거림이 없도록 하여 부착할 수 있고, 또한 도어 부재의 개방 동작에 연동하여 카트리지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고, 또한 복잡한 구성을 필요로 하지 않고 저렴한 가격으로 제조할 수 있다. 게다가, 스테이플러 본체로부터 카트리지를 인출하여 스테이플용 리필을 교환할 수 있으므로, 카트리지의 낙하 방지를 도모하여 한 손으로 교환 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원 발명에 관한 스테이플러는 카트리지에 스테이플러 본체의 카트리지 수납실로부터 카트리지를 인출하였을 때에 상기 계지축으로 계지되는 계지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카트리지를 스테이플러 본체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없는 효과가 있다.
본원 발명에 관한 스테이플러는 카트리지 수납실의 양측에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카트리지의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 홈으로 안내되는 가이드 갈고리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가이드 갈고리를 상기 가이드 홈으로부터 제거함으로써 인출 가능하게 설치된 카트리지를 스테이플러 본체로부터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어, 카트리지 자체를 교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원 발명에 관한 스테이플러는 스테이플러 본체와, 스테이플러 본체의 카트리지 수납실에 인출 가능하게 장착된 카트리지로 이루어지고, 카트리지 수납실의 상부에는 카트리지에 수용된 스테이플용 리필을 카트리지를 장착하는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 부재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스테이플 본체에 카트리지를 압입하면, 안내 부재가 스테이플용 리필을 카트리지에 자동적으로 장착할 수 있어 스테이플용 리필의 셋트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부호의 설명]
S : 시트 형상 연결 스테이플, 1 : 스테이플용 리필, 2 : 리필 본체,
3 : 바닥벽, 5 : 전방벽, 6 : 우측벽, 7 : 좌측벽, 9 : 계지판,
11 : 관통 구멍, 12 : 절결부, 18, 19 : 역행 방지 돌기, 20, 21 : 안내 홈
22, 23, 24, 25 : 오목부, 26, 27 : 작은 돌기, 31 : 전단부 모서리,
32 : 상단부 모서리, 33 : 우측 경사 모서리, 35 : 전단부 모서리,
36 : 상단부 모서리, 37 : 좌측 경사 모서리, 41 : 배출구, 45 : 덮개 부재
48, 49 : 계지부, 52, 53 : 베어링 판, 62, 63 : 홈, 64 : 접촉 돌기,
65 : 가요 부재, 66 : 계지 구멍, 69 : 접촉 돌기, 70 : 압박 부재,
71 : 압박판, 72 : 보강벽, 73 : 보강벽, 75 : 안내축, 76 : 계지 부재,
80, 81 : 가이드 돌기, 82 : 압박 돌기, 86 : 계지 단차부,
100 : 스테이플러, 101 : 스테이플러 본체, 102 : 카트리지 수납실,
103 : 바닥벽, 105 : 우측벽, 106 : 좌측벽, 107 : 상부벽, 108 : 개구,
109, 110 : 경사 모서리, 111, 112 : 수직 모서리, 113 : 관통 구멍,
115 : 제1 가이드 홈, 116 : 제2 가이드 홈, 117 : 절결부,
118 : 스토퍼 부재, 120 : 후방부, 121 : 계지축, 122, 123 : 긴 구멍,
125 : 지지축, 126 : 탄성 부재, 130 : 아암 부재, 131 : 회전축,
132 : 스프링 베어링 부재, 133 : 베어링 구멍, 134 : 탄성 부재,
135 : 지지축, 136 : 전방벽, 137 : 계지 구멍, 138 : 안내 부재,
140 : 카트리지, 141 : 바닥판, 142 : 우측 가이드판, 143 : 우측판,
145 : 좌측 가이드판, 146 : 좌측판, 147 : 후방판, 148 : 개구,
149 : 전방판, 150 : 스테이플 타출 가이드, 151 : 계지 오목부,
152 : 접촉부, 153 : 계지 갈고리, 155 : 계지 돌기, 156, 157 : 홈,
160, 161 : 가이드 갈고리, 163 : 수평벽, 165 : 경사벽, 167 : 조작부,
170 : 계지 오목부, 171 : 후방 경사 모서리, 172 : 전방 경사 모서리,
173 : 선단부, 174, 175 : 절결부, 180 : 계지 돌기, 181 : 경사 모서리,
182 : 수직 모서리, 185 : 도어 부재, 186 : 커버부, 187 : 아암부,
189 : 회전 구멍, 190 : 지지축, 191 : 결합 돌기, 192 : 결합 부재,
193 : 결합 오목부
본원 발명은 복사기, 인쇄기 등에 장비되어 있는 전동 스테이플러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5)

  1. 스테이플러 본체와, 스테이플러 본체의 카트리지 수납실에 인출 가능하게 장착된 카트리지로 이루어지고,
    카트리지 수납실의 개구 하부에는 탄성 부재에 의해 상방으로 압박된 계지축이 설치되어 있고,
    카트리지는 계지 돌기와 도어 부재를 갖고,
    카트리지 수납실 내에 카트리지가 장착되었을 때에,
    상기 계지 돌기는 상기 계지축으로 계지되고,
    상기 도어 부재는 상기 계지축에 의해 카트리지 수납실의 개구를 폐쇄하도록 압박되어 있고,
    카트리지 수납실의 개구를 폐쇄하고 있는 도어 부재를 개방할 때에, 도어 부재가 상기 계지축을 계지 돌기로부터 제거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러.
  2. 제1항에 있어서, 카트리지에는 스테이플러 본체의 카트리지 수납실로부터 카트리지를 인출하였을 때에, 상기 계지축으로 계지되는 계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러.
  3. 제1항에 있어서, 카트리지 수납실의 양측에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카트리지의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 홈으로 안내되는 가이드 갈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갈고리를 상기 가이드 홈으로부터 제거함으로써 스테이플러 본체로부터 카트리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러.
  4. 제2항에 있어서, 카트리지 수납실의 양측에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카트리지의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 홈으로 안내되는 가이드 갈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갈고리를 상기 가이드 홈으로부터 제거함으로써 스테이플러 본체로부터 카트리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카트리지 수납실의 상부에는 카트리지에 수용된 스테이플용 리필을 카트리지를 장착하는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 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러.
KR1020057014417A 2003-02-14 2004-02-16 스테이플러 Expired - Fee Related KR1010442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37516 2003-02-14
JP2003037516 2003-02-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8299A KR20050098299A (ko) 2005-10-11
KR101044218B1 true KR101044218B1 (ko) 2011-06-29

Family

ID=32866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4417A Expired - Fee Related KR101044218B1 (ko) 2003-02-14 2004-02-16 스테이플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353975B2 (ko)
EP (1) EP1595662B1 (ko)
JP (2) JP4352466B2 (ko)
KR (1) KR101044218B1 (ko)
CN (1) CN100415468C (ko)
AT (1) ATE483562T1 (ko)
DE (1) DE602004029445D1 (ko)
TW (1) TWI233870B (ko)
WO (1) WO20040717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69257B2 (ja) * 2004-10-20 2010-10-27 マックス株式会社 電動ステープラのステープルコンテナ
JP4985089B2 (ja) * 2007-05-14 2012-07-25 マックス株式会社 ステープルカートリッジ
JP4915443B2 (ja) * 2009-10-19 2012-04-11 マックス株式会社 リフィルケース
JP5104841B2 (ja) 2009-10-19 2012-12-19 マックス株式会社 ステープルのリフィルケース及びステープルカートリッジ
JP5962310B2 (ja) * 2011-10-13 2016-08-03 マックス株式会社 ステープル用リフィル
JP5954028B2 (ja) * 2011-10-13 2016-07-20 マックス株式会社 ステープル用リフィル
JP5954029B2 (ja) * 2011-10-13 2016-07-20 マックス株式会社 ステープル用リフィル
JP5866954B2 (ja) * 2011-10-13 2016-02-24 マックス株式会社 ステープル用リフィル
EP3753695B1 (en) * 2017-11-10 2024-05-22 Max Co., Ltd. Staple refill
JP7043799B2 (ja) * 2017-11-10 2022-03-30 マックス株式会社 ステープルカートリッジ及びステープラ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0578A (ja) * 1993-01-18 1994-08-02 Max Co Ltd ステープルカートリッジ並びにステープルシートパック
JPH0899273A (ja) * 1994-09-29 1996-04-16 Max Co Ltd 電動ホッチキスにおけるステープルのリフィルカートリッジ
JP2001347472A (ja) 2000-06-05 2001-12-18 Nisca Corp ステープラ装置
JP2003145505A (ja) 2001-11-15 2003-05-20 Max Co Ltd ステープルカートリッジ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24657A (en) * 1962-05-31 1965-12-21 Speedfast Corp Blind anvil fastening device
JPH0418776Y2 (ko) * 1985-07-11 1992-04-27
US5501387A (en) * 1993-01-18 1996-03-26 Max Co., Ltd. Staple cartridge and staple sheet pack
DE69607729T2 (de) * 1995-12-11 2000-11-16 Max Co. Ltd., Tokio/Tokyo Elektrischer Heftapparat
US6050471A (en) * 1996-10-23 2000-04-18 Max Co., Ltd. Electric stapler
JP2000167782A (ja) * 1998-12-02 2000-06-20 Nisca Corp ステープラ用針パッケージ及びステープラ装置
US6634536B2 (en) * 1999-12-28 2003-10-21 Max Co., Ltd. Electric stapler
JP3657174B2 (ja) * 2000-06-05 2005-06-08 ニスカ株式会社 ステープル装置
JP2002066951A (ja) * 2000-09-01 2002-03-05 Nisca Corp ステープラ装置
JP2003025248A (ja) * 2001-07-10 2003-01-29 Max Co Ltd シートステープルの送り機構
DE60234938D1 (de) * 2001-08-09 2010-02-11 Max Co Ltd Treibereinheit und elektrischer hefter
WO2003013801A1 (fr) * 2001-08-09 2003-02-20 Max Co., Ltd Cartouche
JP4857504B2 (ja) * 2001-09-10 2012-01-18 マックス株式会社 電動ステープラのステープル検出機構
JP2003145506A (ja) * 2001-11-15 2003-05-20 Max Co Ltd ステープルパック
ATE494991T1 (de) * 2003-02-07 2011-01-15 Max Co Ltd Klammernachfüllvorrichtung, heftvorrichtung und kassette
JP4042157B2 (ja) * 2004-05-06 2008-02-06 マックス株式会社 ステープルシート用カートリッ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0578A (ja) * 1993-01-18 1994-08-02 Max Co Ltd ステープルカートリッジ並びにステープルシートパック
JPH0899273A (ja) * 1994-09-29 1996-04-16 Max Co Ltd 電動ホッチキスにおけるステープルのリフィルカートリッジ
JP2001347472A (ja) 2000-06-05 2001-12-18 Nisca Corp ステープラ装置
JP2003145505A (ja) 2001-11-15 2003-05-20 Max Co Ltd ステープルカートリッ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418616A (en) 2004-10-01
US7353975B2 (en) 2008-04-08
JP4352466B2 (ja) 2009-10-28
DE602004029445D1 (de) 2010-11-18
ATE483562T1 (de) 2010-10-15
EP1595662A4 (en) 2008-06-25
JPWO2004071727A1 (ja) 2006-06-01
WO2004071727A1 (ja) 2004-08-26
KR20050098299A (ko) 2005-10-11
CN100415468C (zh) 2008-09-03
EP1595662A1 (en) 2005-11-16
EP1595662B1 (en) 2010-10-06
TWI233870B (en) 2005-06-11
CN1750915A (zh) 2006-03-22
JP2009220578A (ja) 2009-10-01
US20060054654A1 (en) 2006-03-16
JP4853840B2 (ja) 2012-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2148B1 (ko) 스테이플용 리필
JP4853840B2 (ja) ステープラ
KR100777471B1 (ko) 전동호치키스에서의 스테이플 카트리지
TWI343857B (ko)
JP4985089B2 (ja) ステープルカートリッジ
JP4042156B2 (ja) ステープル用リフィル
CN113172585A (zh) 订书机
JP4882675B2 (ja) ステープルカートリッジ
JP4830842B2 (ja) ステープルカートリッジ
JP2003062764A (ja) 電動ホッチキスにおけるステープルカートリッ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5-nap-PA010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2-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6061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60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