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6747B1 - Method of forming fine pattern of semiconductor device - Google Patents
Method of forming fine pattern of semiconductor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46747B1 KR101046747B1 KR1020070135319A KR20070135319A KR101046747B1 KR 101046747 B1 KR101046747 B1 KR 101046747B1 KR 1020070135319 A KR1020070135319 A KR 1020070135319A KR 20070135319 A KR20070135319 A KR 20070135319A KR 101046747 B1 KR101046747 B1 KR 10104674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ard mask
- forming
- pattern
- etching
- lay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105—After-treatment
- H01L21/311—Etching the insulating layers by chemical or physical means
- H01L21/31144—Etching the insulating layers by chemical or physical means using mask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 H01L21/033—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inorganic layers
- H01L21/0334—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inorganic layer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orientation, disposition, behaviour, shape, in horizontal or vertical plane
- H01L21/033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inorganic layer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orientation, disposition, behaviour, shape, in horizontal or vertical plan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involved to create the mask, e.g. lift-off masks, sidewalls, or to modify the mask, e.g. pre-treatment, post-treatmen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8—Manufacture of electrodes on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8
- H01L21/28008—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 H01L21/28017—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the insulator being formed after the semiconductor body, the semiconductor being silicon
- H01L21/28026—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the insulator being formed after the semiconductor body, the semiconductor being silicon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 H01L21/28123—Lithography-related aspects, e.g. sub-lithography lengths; Isolation-related aspects, e.g. to solve problems arising at the crossing with the side of the device isolation; Planarisation aspects
- H01L21/28141—Lithography-related aspects, e.g. sub-lithography lengths; Isolation-related aspects, e.g. to solve problems arising at the crossing with the side of the device isolation; Planarisation aspects insulating part of the electrode is defined by a sidewall spacer, e.g. dummy spacer, or a similar technique, e.g. oxidation under mask, plat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105—After-treatment
- H01L21/311—Etching the insulating layers by chemical or physical means
- H01L21/31105—Etching inorganic layers
- H01L21/31111—Etching inorganic layers by chemical means
- H01L21/31116—Etching inorganic layers by chemical means by dry-etch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105—After-treatment
- H01L21/311—Etching the insulating layers by chemical or physical means
- H01L21/31127—Etching organic layers
- H01L21/31133—Etching organic layers by chemical means
- H01L21/31138—Etching organic layers by chemical means by dry-et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rying Of Semiconductors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DEET(Double Exposure Etch Technology) 공정시 두 번에 걸친 마스크(mask) 작업으로 인한 라인(line) 선폭의 임계치수 불균일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의 미세패턴 형성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피식각층 상에 제1 하드 마스크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하드 마스크 상에 제2 하드 마스크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 하드 마스크 상에 희생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희생막을 국부적으로 식각하여 희생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희생 패턴을 포함하는 상기 제2 하드 마스크 상부면을 따라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절연막을 일부 식각하여 상기 희생 패턴의 양측벽에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희생 패턴을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스페이서를 식각 장벽층으로 상기 제2 하드 마스크를 식각하여 제1 하드 마스크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스페이서를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하드 마스크 패턴을 식각 장벽층으로 상기 제1 하드 마스크를 식각하여 제2 하드 마스크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및 제2 하드 마스크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피식각층을 식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미세패턴 형성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forming a fine pattern of a semiconductor device that can improve the non-uniformity of the critical dimension of the line line width due to two times the mask operation during the DEET (Double Exposure Etch Technology) process,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forming a first hard mask on the etched layer, forming a second hard mask on the first hard mask, forming a sacrificial film on the second hard mask, Locally etching the sacrificial layer to form a sacrificial pattern; forming an insulating film along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hard mask including the sacrificial pattern; partially etching the insulating film on both sidewalls of the sacrificial pattern; Forming a spacer, removing the sacrificial pattern, and etching the second hard mask using the spacer as an etch barrier layer to form a first spacer. Forming a hard mask pattern, removing the spacers, etching the first hard mask using the first hard mask pattern as an etch barrier layer, and forming a second hard mask pattern; And etching the layer to be etched using a second hard mask pattern.
반도체 소자, 미세패턴, DEET Semiconductor devices, fine patterns, DEET
Description
본 발명은 반도체 제조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도체 소자의 미세패턴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semiconductor manufacturing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forming a fine pattern of a semiconductor device.
최근에는 반도체 소자가 고집적화되어 감에 따라 40nm급 이하의 라인 앤드 스페이스(Line and Space; 이하, LS라 함)가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개발되어 상용화된 노광장비의 한계 상 60nm급 이하의 'LS'를 형성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따라, 현재 상용화된 노광장비를 그대로 이용하면서 60nm 이하의 미세한 'LS'를 구현하기 위하여 DEET(Double Exposure Etch Technology) 공정기술이 제안되었다. Recently, as semiconductor devices have been highly integrated, lines and spaces of 40 nm or less (hereinafter, referred to as LS) are required.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form 'LS' of 60 nm or less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exposure equipment currently developed and commercialized. Accordingly, the DEET (Double Exposure Etch Technology) process technology has been proposed to realize a fine 'LS' of 60 nm or less while using a commercially available exposure equipment.
이하, 도 1a 내지 도 1d를 결부시켜 DEET 공정을 적용한 종래기술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미세패턴 형성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내지 도 1d는 공정 단면도이다. Hereinafter, a method of forming a fine pattern of a semiconductor devic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to which the DEET process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A to 1D. 1A to 1D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process.
먼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식각층(101)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100) 상에 순차적으로 이종의 물질로 이루어진 제1 및 제2 하드 마스크(102, 103)를 형 성한다. First, as shown in FIG. 1A, first and second
이어서, 제2 하드 마스크(103) 상에 감광막을 도포한 후 포토 마스크를 이용한 노광 및 현상공정을 포함하는 마스크 공정을 실시하여 감광막 패턴(104)(이하, 제1 감광막 패턴이라 함)을 형성한다.Subsequently, a photoresist film is coated on the second
이어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감광막 패턴(104)을 이용한 식각공정을 실시하여 제2 하드 마스크(103, 도 1a참조)를 식각한다. 이로써, 제2 하드 마스크 패턴(103A)이 형성된다. Subsequently, as illustrated in FIG. 1B, the second hard mask 103 (see FIG. 1A) is etched by performing an etching process using the first
이어서,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 공정을 실시하여 제2 하드 마스크 패턴(103A) 사이에 감광막 패턴(105)(이하, 제2 감광막 패턴이라 함)을 형성한다. Subsequently, as illustrated in FIG. 1C, a mask process is performed to form a photosensitive film pattern 105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cond photosensitive film pattern) between the second
이어서,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하드 마스크 패턴(103A, 도 1c참조)과 제2 감광막 패턴(105, 도 1c참조)을 식각 마스크로 이용한 식각공정을 실시하여 제1 하드 마스크(102, 도 1c참조)를 식각한다. 이로써, 제1 하드 마스크 패턴(102A)이 형성된다. Subsequently, as illustrated in FIG. 1D, an etching process using the second
이어서, 제1 하드 마스크 패턴(102A)을 식각 마스크로 이용한 식각공정을 실시하여 피식각층(101)을 식각한다. 이로써, 미세패턴(또는, 라인)(미도시)이 형성된다. Subsequently, an etching process using the first
이와 같이, DEET 공정기술을 적용한 종래기술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미세패턴 형성방법에 있어서, 큰 문제점은 미세패턴의 선폭 균일성이 첫 번째와 두 번째 마스크의 정렬 정확성(overlay accuracy)에 좌우된다는 점이다. 소자 특성에 적합 한 미세패턴의 선폭 균일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첫 번째 마스크와 두 번째 마스크의 정렬이 '│Mean│+3σ' 기준으로 4nm 이하로 제어되어야 하나, 실제 노광 장비에선 아직 3σ를 7nm 정도 밖에 제어하지 못하고 있어 장비 개발이 요구되나, 기술적 한계로 구현되지 못하고 있다. 더욱이,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하드 마스크 패턴(103A)이 형성된 상태에서 마스크 공정을 통해 제2 감광막 패턴(105)을 형성함에 따라 제2 하드 마스크 패턴(103A)이 손실되어 제2 하드 마스크 패턴(103A)의 임계치수가 변형된다.As such, in the method of forming a micropattern of a semiconductor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to which the DEET process technology is applied, a major problem is that the linewidth uniformity of the micropattern depends on the overlay accuracy of the first and second masks. . In order to secure the line width uniformity of the micro pattern suitable for the device characteristics, the alignment of the first mask and the second mask should be controlled to 4 nm or less on the basis of '│Me│ + 3σ'. Because it can only control the equipment development is required, but it is not implemented due to technical limitations. Furthermore, as shown in FIG. 1C, the second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DEET 공정시 실시되는 두 번에 걸친 마스크 작업으로 인한 라인 선폭의 임계치수 불균일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의 미세패턴 형성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provides a method of forming a fine pattern of a semiconductor device capable of improving the critical dimension nonuniformity of the line width due to two mask operations performed during the DEET process. Its purpose is to.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비정질카본막으로 이루어진 피식각층 상에 산화막을 이용하여 제1 하드 마스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하드 마스크 상에 다결정실리콘막을 이용하여 제2 하드 마스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하드 마스크 상에 비정질카본막을 이용하여 희생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희생 패턴의 양측벽에 질화막을 이용하여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희생 패턴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스페이서를 식각 장벽층으로 상기 제2 하드 마스크를 식각하여 제1 하드 마스크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스페이서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하드 마스크 패턴을 식각 장벽층으로 상기 제1 하드 마스크 및 피식각층을 식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희생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하드마스크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피식각층을 식각하는 단계는 수직프로파일을 얻기 위해 패시베이션가스를 첨가하여 진행하는 반도체 소자의 미세패턴 형성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forming a first hard mask using an oxide film on an etched layer formed of an amorphous carbon film; Forming a second hard mask on the first hard mask by using a polysilicon film; Forming a sacrificial pattern on the second hard mask by using an amorphous carbon film; Forming a spacer on both sidewalls of the sacrificial pattern by using a nitride film; Removing the sacrificial pattern; Etching the second hard mask with the spacer as an etch barrier layer to form a first hard mask pattern; Removing the spacers; And etching the first hard mask and the etched layer using the first hard mask pattern as an etch barrier layer, forming the sacrificial pattern, forming the first hard mask pattern, and forming the etched layer. Etching step provides a method of forming a fine pattern of a semiconductor device proceeding by adding a passivation gas to obtain a vertical profile.
상기한 구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들을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첫째, 본 발명에 의하면, 한번의 마스크 공정만으로도 DEET 공정과 같은 미세패턴을 구현할 수 있다. Fir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fine pattern like the DEET process with only one mask process.
둘째, 본 발명에 의하면, 일반적인 DEET 공정시 실시되는 두번의 마스크 공정에 기인하여 발생되는 오정렬 문제에 의한 라인 임계치수의 불균일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Seco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non-uniformity of the line critical dimension due to the misalignment caused by the two mask process performed during the general DEET process.
셋째, 본 발명에 의하면, 스페이서를 제거한 후 하부 하드 마스크 패턴을 식각 장벽층으로 피식각층을 식각함으로써 스페이서를 식각 장벽층으로 피식각층을 식각하는 종래기술에서 발생되는 비대칭성 문제를 개선하여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i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mproving the yield by improving the asymmetry problem generated in the prior art of etching the spacer layer by the etching barrier layer by etching the etching target layer with the lower hard mask pattern as an etching barrier layer after removing the spacer. You ca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와 간격은 설명의 편의와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되어진 것이며, 층이 다른 층 또는 기판 '상' 또는 '상부'에 있다고 언급되어지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층 또는 기판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층이 개재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도면번호로 표시된 부분은 동일한 층을 나타내며, 각 도면번호에 영문을 포함하는 경우 동일층이 식각 또는 연마공정 등을 통해 일부가 변형된 것을 의미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addition,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es and spacings of layers and regions are exaggerated for ease of explanation and clarity, and when referred to as being on or above another layer or substrate, it is different. It may be formed directly on the layer or the substrate, or a third layer may be interposed therebetween. In addition, the parts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represent the same layer, and when the reference numerals include the English, it means that the same layer is partially modified through an etching or polishing process.
실시예Example
도 2a 내지 도 2g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미세패턴 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공정 단면도이다. 여기서는, 일례로 게이트 전극 상부에 형성된 하드 마스크를 피식각층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미세패턴 형성방법을 설명한다. 2A to 2G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forming a fine pattern of a semiconducto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as an example, a method of forming a fine pattern of a semiconductor device using a hard mask formed on the gate electrode as an etched layer will be described.
먼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 전극(미도시)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200) 상에 하드 마스크인 피식각층(201)을 형성한다. 이때, 피식각층(201)은 상기 게이트 전극과 높은 식각 선택비를 갖는 물질들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피식각층(201)은 실리콘이 함유된 산화막 또는 질화막으로 형성하거나, 카본이 함유된 막, 다결정실리콘막 또는 이들이 적층된 적층막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한다. 여기서는, 일례로 피식각층(201)은 카본이 함유된 막, 즉 비정질카본막으로 형성하며, 3000Å~6000Å, 바람직하게는 4500Å 두께로 형성한다. First, as shown in FIG. 2A, an
한편, 상기 게이트 전극은 전이 금속, 다결정실리콘막, 금속실리사이드층 또는 이들이 적층된 적층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전이 금속으로는 Sc, Ti, V, Cr, Mn, Fe, Co, Ni, Cu, Zn, Y, Zr, Nb, Mo, Tc, Ru, Rh, Pd, Ag, Cd, La, Hf, Ta, W, Re, Os, Ir, Pt, Au, Hg를 사용한다. 또한, 금속실리사이드층은 상기한 전이 금속과 실리콘의 반응을 통해 형성되며, 예컨대 텅스텐실리사이드층으로 형성한다. The gate electrode may be formed of a transition metal, a polycrystalline silicon film, a metal silicide layer, or a laminated film in which the gate electrode is stacked. In this case, as the transition metal, Sc, Ti, V, Cr, Mn, Fe, Co, Ni, Cu, Zn, Y, Zr, Nb, Mo, Tc, Ru, Rh, Pd, Ag, Cd, La, Hf, Ta, W, Re, Os, Ir, Pt, Au, Hg are used. In addition, the metal silicide layer is formed through the reaction of the above-described transition metal and silicon, for example, a tungsten silicide layer.
이어서, 피식각층(201) 상에 제1 하드 마스크(202)를 형성한다. 이때, 제1 하드 마스크(202)는 피식각층(201)과 다른 이종의 물질, 더욱 구체적으로 피식각층(201)과 높은 식각 선택비를 갖는 이종의 물질들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하드 마스크(202)는 피식각층(201)이 비정질카본막으로 이루어진 경우 산화막, 구체적으로 TEOS((Tetra Ethyle Ortho Silicate)로 형성한다. 이러한 제1 하드 마스크(202)는 300Å~500Å 정도의 두께, 바람직하게는 400Å로 형성한다. 이외에도, USG(Un-doped Silicate Glass), BPSG(BoroPhosphoSilicate Glass), PSG(PhosphoSilicate Glass), BSG(BoroSilicate Glass), HDP(High Density Plasma)로 형성할 수도 있다. Next, a first
이어서, 제1 하드 마스크(202) 상에 제2 하드 마스크(203)를 형성한다. 이때, 제2 하드 마스크(203)는 제1 하드 마스크(202)와 다른 이종의 물질, 더욱 구체적으로 제1 하드 마스크(202)와 높은 식각 선택비를 갖는 이종의 물질들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하드 마스크(202)가 산화막으로 이루어진 경우 산화막과 높은 식각 선택비를 갖는 다결정실리콘막으로 형성한다. 이러한 제2 하드 마스크(203)는 제1 하드 마스크(202)와 동일한 두께, 바람직하게는 300Å~500Å 두께로 형성한다. Next, a second
이어서, 제2 하드 마스크(203) 상에 희생막(204)을 형성한다. 이때, 희생막(204)은 제2 하드 마스크(203)와 다른 이종의 물질, 더욱 구체적으로 제2 하드 마스크(203)와 높은 식각 선택비를 갖는 이종의 물질들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희생막(204)은 건식식각공정을 통해 비교적 제거가 용이한 비정질카본막으로 형성한다. 이러한 희생막(204)은 1000Å~2000Å 정도의 두께, 바 람직하게는 1500Å로 형성한다.Subsequently, a
이어서, 희생막(204) 상에 반사 방지층(207)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반사 방지층(207)은 BARC(Bottom Anti-Reflective Coating)(206)의 단층막으로 형성하거나, 화학기상증착(Chemical Vapor Deposition, 이하, CVD라 함) 공정으로 증착되는 DARC(Dielectric Anti-Reflective Coating)(205)와 BARC(206)가 적층된 적층막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CVD-DARC(205)는 굴절률(refractive index)이 1.95이고, 소화계수(extinction coefficient)가 0.53인 물질로 형성하고, BARC(206)는 유기 물질로 형성한다. 예컨대, 희생막(204)이 비정질카본막(흡수계)으로 이루어진 경우, CVD-DARC(205)는 간섭계 반사 방지막인 실리콘산화질화막(SiON)으로 형성한다. Subsequently, an
이어서, 반사 방지층(207) 상에 감광막 패턴(미도시)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감광막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노광공정은 최종 피식각층의 'LS' 비가 1:3(L:S)가 되도록 실시하며, 공정상의 변동성을 고려하여 1:2.5~1:3.5(L:S)의 범위 내에서 실시한다.Next, a photosensitive film pattern (not shown) is formed on the
이어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광막 패턴을 이용하여 반사 방지층(207, 도 2a참조)과 희생막(204, 도 2a참조)을 식각한다. 이때, 식각공정은 제2 하드 마스크(203)를 식각 장벽층으로 이용한 건식식각공정 또는 습식식각공정으로 실시할 수 있으나, 수직한 프로파일(vertical profile)을 얻기 위하여 건식식각공정으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건식식각공정은 주(main) 식각가스로 O2 또는 H2 가스를 사용하고, 수직한 프로파일을 얻기 위해서, 이들 주 식각가스에 더하여 패시베이션 가스(passivation gas)로 사용되는 N2, COS, SO2, CO, Ar 또는 이들이 2종류 이상 혼합된 혼합가스를 첨가하여 사용한다. 이로써, 희생 패턴(204A)이 형성된다. Subsequently, as shown in FIG. 2B, the anti-reflection layer 207 (see FIG. 2A) and the sacrificial layer 204 (see FIG. 2A) are etched using the photoresist pattern. In this case, the etching process may be performed by a dry etching process or a wet etching process using the second
이어서, CVD-DARC막(205A) 상부에 감광막 패턴과 BARC(206, 도 2a참조)가 잔류되는 경우 이들을 O2 플라즈마(plasma)를 이용한 애싱(ashing) 공정으로 제거할 수도 있다. Subsequently, when the photoresist pattern and the BARC 206 (see FIG. 2A) remain on the CVD-
이어서,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CVD-DARC막(205A, 도 2b참조)을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로써, 제2 하드 마스크(203) 상에는 희생 패턴(204A)이 잔류된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2C, the CVD-
이어서, 희생 패턴(204A)을 포함하는 제2 하드 마스크(203) 상에 스페이서(spacer)용 절연막(208)을 형성한다. 이때, 스페이서용 절연막(208)은 희생 패턴(204A)을 포함하는 제2 하드 마스크(203)의 상부면을 따라 균일한 두께를 갖는 라이너 형태(liner type)로 형성하여 후속 식각공정 후 수직한 프로파일(vertical profile)을 갖도록 형성한다. 또한, 스페이서용 절연막(208)은 희생 패턴(204A) 및 제2 하드 마스크(203)와 각각 높은 식각 선택비를 갖는 물질들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할 수 있다.Next, a
예컨대, 스페이서용 절연막(208)은 희생 패턴(204A)이 비정질카본막으로 형성되고, 제2 하드 마스크(203)가 다결정실리콘막으로 형성된 경우 질화막으로 형성 한다. 구체적으로 실리콘이 함유된 질화막(SixNy)(여기서, x,y는 자연수)으로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실리콘질화막(Si3N4)으로 형성한다. 이때, 스페이서용 절연막(208)은 피복률(step coverage rate)을 90% 이상이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피복률이라 함은 증착되는 물질의 부위별 두께가 일정한 정도를 나타내는 두께 균일성을 의미한다. 즉, 희생 패턴(204A)(또는, 제2 하드 마스크(203))의 상부에 증착되는 두께(T1)와, 희생 패턴(204A)의 측벽에 증착되는 두께(T2)의 비를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피복률이 90% 이상이라는 것은 T2/T1가 0.9 이상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피복률을 얻기 위하여 ALD(Atomic Layer Deposition) 공정으로 형성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한편, 절연막(208)을 질화막으로 형성하는 경우 퍼니스 타입(furnace type) 또는 플라즈마 타입(plasma type) 모두 가능하며, 이때 증착 온도는 400℃~1000℃에서 실시한다. In the case where the insulating
이어서,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희생 패턴(204A)과 제2 하드 마스크(203)를 식각 장벽층으로 이용한 식각공정을 실시하여 희생 패턴(204A)과 제2 하드 마스크(203)의 상면이 노출되도록 스페이서용 절연막(208, 도 2c참조)을 식각한다. 이때, 식각공정은 플라즈마 식각 장비를 이용한 이등방성 건식식각공정, 예컨대 에치백(etch back) 공정으로 실시할 수 있다. 예컨대, 스페이서용 절연막(208)이 질화막으로 형성된 경우 물리적인 식각(physical etch) 특성이 강하게 작용하도록 높은 파워 조건에서 식각하고, CF4 또는 CHF3 가스와 O2 가스가 혼합된 혼합가스 를 사용하거나, CH2F2 가스를 사용한다. 이로써, 희생 패턴(204A)의 양측벽에는 스페이서(208A)가 형성된다.Subsequently, as illustrated in FIG. 2D, an etching process using the
이어서,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희생 패턴(204A, 도 2d참조)을 선택적으로 제거한다. 이때, 제거공정은 스페이서(208A)와 제2 하드 마스크(203)를 식각 장벽층으로 이용한 습식식각공정 또는 건식식각공정으로 실시할 수 있다. 예컨대, 희생 패턴(204A)이 비정질카본막으로 형성된 경우 O2 플라즈마를 이용한 애싱 공정으로 실시한다.Then, as shown in FIG. 2E, the
이어서,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208A, 도 2e참조)를 식각 장벽층으로 이용하여 제2 하드 마스크(203, 도 2e참조)를 식각한다. 이때, 식각공정은 습식식각공정 또는 건식식각공정 모두 가능하다. 예컨대, 건식식각공정의 경우 제2 하드 마스크(203)가 다결정실리콘막으로 이루어지고, 스페이서(208A)가 질화막으로 이루어진 경우 이들 간의 높은 식각 선택비를 고려하여 Cl2와 BCl3를 주 식각가스로 사용하며, 이에 더하여 스페이서(208A)에 기인한 비대칭 프로파일을 방지하기 위하여 패시베이션 가스로 CH4, C2H4, SO2, CO, Ar 또는 이들의 혼합 가스를 더 첨가할 수도 있다. Next, as shown in FIG. 2F, the second hard mask 203 (see FIG. 2E) is etched using the
이어서, 스페이서(208A)를 제거한다. 예컨대, 스페이서(208A) 제거공정은 스페이서(208A)가 질화막으로 형성된 경우 인산(H3PO4)을 이용한 습식식각공정으로 실시한다. 이로써, 제1 하드 마스크(202) 상에는 제1 하드 마스크 패턴(203A)만이 잔 류되게 된다. Next, the
이와 같이, 스페이서(208A)를 제거하는 이유는 스페이서(208A)가 좌우 비대칭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인데, 좌우 비대칭적으로 형성된 스페이서(208A)를 식각 장벽층으로 사용하여 하부층을 식각하는 경우 식각공정시 이온 산란 각도(Ion Scattering Angle)가 비대칭적으로 나타나 하부층의 프로파일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특히, 식각해야 할 하부층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 하부층의 프로파일의 변형은 더욱 심화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스페이서(208A)를 식각 장벽층으로 이용하여 피식각층(201)을 식각하는 것이 아니라, 피식각층(201)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되는 제2 하드 마스크(203)만을 식각하는데 스페이서(208A)를 사용한 후 제거하고, 피식각층(201)은 제1 하드 마스크 패턴(203A)을 식각 장벽층으로 하여 식각한다. As such, the reason why the
이어서, 도 2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드 마스크 패턴(203A, 도 2f참조)을 식각 마스크로 제1 하드 마스크(202, 도 2f참조)와 피식각층(201, 도 2f참조)을 식각한다. 이때, 식각공정은 동일 플라즈마 식각장비를 이용한 건식식각공정으로 2단계로 실시할 수 있다. 예컨대, 1단계에서는 산화막으로 이루어진 제1 하드 마스크(202)를 식각하기 위하여 CF4, CHF3 가스를 주 식각가스로 사용하여 실시한다. 2단계에서는 비정질카본막으로 이루어진 피식각층(201)을 식각하기 위하여 O2 또는 H2 가스를 주 식각가스로 사용하고, 이에 더하여 수직한 프로파일을 얻기 위하여 패시베이션 가스로 N2, COS, SO2, CO, Ar 또는 이들이 혼합된 혼합가스를 더 첨가하여 실시한다. Subsequently, as illustrated in FIG. 2G, the first hard mask 202 (see FIG. 2F) and the etched layer 201 (see FIG. 2F) are etched using the first
한편, 제1 하드 마스크 패턴(203A)은 건식식각공정 과정에서 모두 식각되어 제거될 수도 있으나, 제2 하드 마스크 패턴(202A) 상에 일정 두께 잔류될 수도 있다.Meanwhile, all of the first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비정질카본막으로 이루어진 피식각층을 적용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도전층을 포함하여 반도체 소자에서 사용되는 모든 물질에 대해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in the preferred embodiment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for the purpose of description and not of limitation. In particula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tched layer made of an amorphous carbon film is applied, but this i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may be applied to all materials used in the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the conductive layer. In addi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a 내지 도 1d는 종래기술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미세패턴 형성방법을 도시한 공정 단면도.1A to 1D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forming a fine pattern of a semiconductor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a 내지 도 2g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미세패턴 형성방법을 도시한 공정 단면도.2A to 2G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forming a fine pattern of a semiconductor devic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0 : 반도체 기판 201, 201A : 하드 마스크(피식각층)200:
202, 202A : 제1 하드 마스크 203, 203A : 제2 하드 마스크202, 202A:
204 : 희생막 204A : 희생 패턴204:
205, 205A : CVD-DARC 206 : BARC205, 205A: CVD-DARC 206: BARC
207 : 반사 방지층 208 : 절연막207: antireflection layer 208: insulating film
208A : 스페이서208A: Spacer
Claims (19)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70135319A KR101046747B1 (en) | 2007-12-21 | 2007-12-21 | Method of forming fine pattern of semiconductor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70135319A KR101046747B1 (en) | 2007-12-21 | 2007-12-21 | Method of forming fine pattern of semiconductor devic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90067607A KR20090067607A (en) | 2009-06-25 |
| KR101046747B1 true KR101046747B1 (en) | 2011-07-05 |
Family
ID=40995307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70135319A Expired - Fee Related KR101046747B1 (en) | 2007-12-21 | 2007-12-21 | Method of forming fine pattern of semiconductor devic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046747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323660B1 (en) | 2015-10-13 | 2021-11-08 | 삼성전자주식회사 | Method for fabricating the semiconductor device |
| US11521856B2 (en) * | 2020-09-30 | 2022-12-06 |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 Semiconductor patterning and resulting structures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761857B1 (en) * | 2006-09-08 | 2007-09-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Method of forming fine pattern of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using same |
-
2007
- 2007-12-21 KR KR1020070135319A patent/KR101046747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761857B1 (en) * | 2006-09-08 | 2007-09-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Method of forming fine pattern of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using sam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90067607A (en) | 2009-06-25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004691B1 (en) | Method of forming fine pattern of semiconductor device | |
| US7919414B2 (en) | Method for forming fine patterns in semiconductor device | |
| KR100955265B1 (en) | Method of forming fine pattern of semiconductor device | |
| CN101335181B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using a spacer as an etch mask | |
| US9508560B1 (en) | SiARC removal with plasma etch and fluorinated wet chemical solution combination | |
| US7576010B2 (en) | Method of forming pattern using fine pitch hard mask | |
| CN110875176B (en) | Method for forming semiconductor device | |
| US9472414B2 (en) | Self-aligned multiple spacer patterning process | |
| KR100965775B1 (en) | Method of forming fine pattern of semiconductor device | |
| US8728945B2 (en) | Method for patterning sublithographic features | |
| CN110690117A (en) | Semiconductor structur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 |
| KR20190024533A (en) | Chemical composition for tri-layer removal | |
| CN100550320C (en) | Make the method for semiconductor device | |
| KR101046747B1 (en) | Method of forming fine pattern of semiconductor device | |
| KR20070113604A (en) | Method of forming fine pattern of semiconductor device | |
| KR20090067508A (en) | Method of forming fine pattern of semiconductor device | |
| KR20090027431A (en) | Method of forming fine pattern of semiconductor device | |
| KR101073135B1 (en) | Method for forming fine pattern in semiconductor device | |
| US20070117320A1 (en) | Flash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 |
| KR100912958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fine pattern of semiconductor device | |
| KR100910865B1 (en) |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 |
| KR20080085287A (en) | Semiconductor structure for pattern formation and pattern formation method using same | |
| KR20090044878A (en) | Method of forming fine pattern of semiconductor device | |
| KR101103809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 |
| KR100772699B1 (en) |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40630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4063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