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8471B1 - Indoor space variable mechanism for motorhome - Google Patents
Indoor space variable mechanism for motorho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48471B1 KR101048471B1 KR1020090121528A KR20090121528A KR101048471B1 KR 101048471 B1 KR101048471 B1 KR 101048471B1 KR 1020090121528 A KR1020090121528 A KR 1020090121528A KR 20090121528 A KR20090121528 A KR 20090121528A KR 101048471 B1 KR101048471 B1 KR 10104847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joint
- camping
- space
- motorhom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B60P3/34—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the living accommodation being expansible, collapsible or capable of rearrange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6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the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being readily removable
- B60P1/6409—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the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being readily removable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B60P3/36—Auxiliary arrangements; Arrangements of living accommodation; Detail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10)의 적재함(15)에 캠핑룸을 탑재 가능한 캠핑카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15)에 상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2방향의 안내레일(21)(22)를 구비하는 본체프레임(20); 상기 본체프레임(20)의 X축안내레일(21)을 개재하여 캠핑룸의 공간확장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관절링크(33)를 개재하여 중앙프레임(31)을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전후방연장부(30); 상기 본체프레임(20)의 Y축안내레일(22)을 개재하여 캠핑룸의 공간확장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관절링크(43)을 개재하여 측면프레임(41)을 양측방향으로 이동하는 양측방연장부(40); 및 상기 중앙프레임(31)과 측면프레임(41)의 관절링크(33)(43)에 구동축(25)을 개재하여 연결되고, 중앙프레임(31)과 측면프레임(41)의 동시 이동을 수행하는 작동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전후방향과 양측방향으로 신속하고 편리하게 확장 가능하여 원하는 크기 설정에 의한 활용성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캠핑카, 룸, 공간, 확장, 가변, 유압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camping vehicle in which a camping room can be mounted in a loading box 15 of a vehicle 10, the camping car can be detachably mounted on the loading box 15 and provided with guide rails 21 and 22 in two directions. Body frame 20; The front and rear extension is installed to expand the space of the camping room via the X-axis guide rail 21 of the main body frame 20, and to move the center frame 31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rough the first joint link 33. Part 30; Both sides of the main body frame 20 through the Y-axis guide rail 22 is installed so as to expand the space of the camping room, the side frame 41 to move in both directions via the second joint link 43 Cog 40; And a drive shaft 25 connected to the joint links 33 and 43 of the center frame 31 and the side frame 41 to perform simultaneous movement of the center frame 31 and the side frame 41. Actuator 50;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xpanded quickly and conveniently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nd both directions, and thus the usability of the desired size can be expected.
RV, room, space, extension, variable, hydraulic
Description
본 발명은 캠핑카의 실내공간 가변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후방향과 양측방향으로 신속하고 편리하게 확장 가능하여 원하는 크기 설정에 의한 활용성을 기대할 수 있는 캠핑카용 실내공간 가변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space mechanism of a motorho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variable space mechanism for a motorhome that can be expected to be useful by the desired size setting can be expanded quickly and conveniently in the front and rear and both directions. .
일부 선진국의 경우 자동차 업계가 시장의 포화 상태로 고전함에도 캠핑카 시장은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보도된다. 캠핑카 시장 중에서 소위 '개조 캠핑카'가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점은 아직도 고가의 캠핑카가 시장 성장의 걸림돌로 작용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주차공간의 확보가 어려운 현실에서 필요에 따라 크기를 확장할 수 있는 형태로 발전될 가능성이 크다.In some developed countries, the camping car market is reported to be growing steadily despite the saturation of the automobile industry. The so-called 'model car' accounting for more than half of the camping car market is estimated to be an obstacle to market growth. And in the reality that it is difficult to secure a parking space, it is likely to develop into a form that can be expanded in size as needed.
이러한 점을 감안한 일예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5-36939호는 『화물차의 적재함(C)에 삽입되는 안착부(10A)와 일체로 형성되어 가이드레일(12)이 구비되고, 양단이 개방되어 제1,2스토퍼(14)(14')와 함께 패킹(16)이 설치되는 동체(10);와, 상기 동체(10)의 양단에 위치하여 가이드레일(12)에 삽입되는 로드바(22)와 함께 확장판(24)이 설치되고, 구동수단(30)에 의해 좌ㆍ우이송되는 보조동체(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을 개시한다.In consideration of this point, Korean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5-36939 discloses, `` It is formed integrally with a seating portion 10A inserted into a loading box C of a truck, and is provided with a guide rail 12, and both ends thereof are opened. The
또한, 다른 예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6-0133292호는 『앞뒤의 절단면에 형성된'n'자홈으로 결합되고 확장되는 상하단 박스커버와, 각각 앞뒤면의 요철과, 좌우측의 'n'홈으로 상하결합되는 좌우상단 좌우 하단박스와, 캠핑카 밑면 4모서리에, 롤러가 부착된 'n'자형태의 유압다리걸이와, 캠핑카 박스 내부의 앞뒤에 상단박스를 확장시키고 상부하중을 지탱하는 상단 박스지지대와, 캠핑카하부와 내부상단에 각각 고정되어 회전하며 박스를 확장시키는 상하부 와이어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을 제안한다.Further, as another example,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6-0133292 discloses "up and down box cover coupled and expanded by 'n' groove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cut surfaces, irregularities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and vertically coupled by 'n' groove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Left and right upper and lower left and right bottom box, four corners of the bottom of the motorhome, 'n'-shaped hydraulic leg hanger attached to the roller, and the upper box support to extend the upper box before and after the inside of the motorhome box and to support the upper load, The upper and lower wire gears, which are fixed to the lower part of the camper and the inner top and rotate and expand the box, are proposed.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실내공간을 좌우로 넓히고 상하로 높여서 주거공간을 확장시키도록 하는 것이나 좌우로 넓히는 것만으로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지 않을 수 있고 상하로 높이는 것은 평면적 영역확보에 그다지 기여하지 않는다. 더구나 후자의 경우 좌우와 상하의 작동순서를 숙지해야 하므로 초심자에게 불편을 초래하거나 실제 활용성을 낮추는 요인이 된다.Such a prior art is to expand the indoor space to the left and right and up and down to expand the residential space or to increase the space to the left or right may not secure enough space, and to increase the vertical space does not contribute much to the planar area. In addition, in the latter case, it is necessary to know the operation order of left and right and up and down, thus causing inconvenience to beginners or lowering the practical utility.
종래기술의 문헌정보Literature Information of the Prior Art
[문헌1]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5-0036939호 “차량 탑재용 캠핑하우스”[Patent 1] Korean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5-0036939 “Vehicle Camping House”
[문헌2]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6-0133292호 “확장캠핑카”[Document 2] Korean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6-0133292 “Expansion Camper”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후방향과 양측방향으로 신속하고 편리하게 확장 가능하여 원하는 크기 설정에 의한 활용성을 기대할 수 있는 캠핑카용 실내공간 가변기구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undamentally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expand quickly and conveniently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nd both directions, the interior space variable mechanism for a camping car that can be expected to use the desired size setting The purpose is to provid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량의 적재함에 캠핑룸을 탑재 가능한 캠핑카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에 상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2방향의 안내레일를 구비하는 본체프레임; 상기 본체프레임의 X축안내레일을 개재하여 캠핑룸의 공간확장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관절링크를 개재하여 중앙프레임을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전후방연장부; 상기 본체프레임의 Y축안내레일을 개재하여 캠핑룸의 공간확장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관절링크을 개재하여 측면프레임을 양측방향으로 이동하는 양측방연장부; 및 상기 중앙프레임과 측면프레임의 관절링크에 구동축을 개재하여 연결되고, 중앙프레임과 측면프레임의 동시 이동을 수행하는 작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tor vehicle that can be mounted in a camping room in a loading box of a vehicle, comprising: a main body frame detachably installed on the loading box and having a guide rail in two directions; Front and rear extension parts which are installed to expand the space of the camping room via the X-axis guide rail of the main body frame, and moving the center fram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through the first joint link; Both side extension parts are installed to extend the space of the camping room via the Y-axis guide rail of the main body frame, and move the side frame in both directions via a second joint link; And an operation unit connected to the joint link between the center frame and the side frame via a drive shaft and performing simultaneous movement of the center frame and the side frame.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전후방연장부와 양측방연장부는 상하로 이격 배치되어 동시에 작동하는 이중 방식의 관절링크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and rear extension portion and both side extension portion is arranged up and down spaced apart to form a joint joint of a dual type to operate at the same time.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작동부는 구동축의 하단에 회동아암을 개재하여 유압실린더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necting the hydraulic cylinder via the rotating arm to the lower end of the drive shaft.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작동부는 전후방연장부의 이동에 연동하여 양측방연장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보조링크를 더 구비하며, 보조링크는 본체프레임과 중앙프레임을 연결하는 제3관절링크, 제3관절링크의 관절과 측면프레임을 연결하는 로드, 제3관절링크와 로드를 각각 연결하는 지지아암, 지지아암의 일단을 로드 상에 미끄럼 운동하는 슬라이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unit further comprises an auxiliary link for moving both side extension parts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front and rear extension, the auxiliary link is a third joint link, the third joint link connecting the main frame and the center frame A rod connecting the joint and the side frame of the support, the third arm link and the support arm connecting the ro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lider for sliding one end of the support arm on the rod.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On the other hand,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the inventors should us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explain the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and concepts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properly defined.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alternatives may be substituted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캠핑카용 실내공간 가변기구는 전후방향과 양측방향으로 신속하고 편리하게 확장 가능하여 원하는 크기 설정에 의한 활용성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in the abov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the interior space variable mechanism for a camping ca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xpanded quickly and conveniently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nd both directions, and thus the usability of the desired size setting can be expec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캠핑카의 확장전 상태를 나타내는 3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캠핑카의 확장후 상태를 나타내는 3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본체프레임을 나타내는 3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주요 프레임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가변기구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1 is a three side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expansion of the motorho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three side view showing a state after the expansion of the motorho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three side view showing a body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ain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ain part of a variable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차량(10)의 적재함(15)에 캠핑룸을 탑재 가능한 캠핑카에 관련된다. 트럭과 같은 차량(10)을 소지한 일반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적재함(15)에 상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용도이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고가의 전용 캠핑카에도 적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torhome that can be mounted in a camping room in the
본 발명에 따르면 2방향의 안내레일(21)(22)를 구비하는 본체프레임(20)이 상기 적재함(15)에 상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체프레임(20)은 차량(10)의 적재함(15)에 고정하는 부분으로서, 후면이 완전히 개방되고 상면과 측면의 일부가 개방되는 상자형 구조이다. X축안내레일(21)은 전후방향으로 설치되고 Y축안내레일(22)은 양측방향으로 설치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제1관절링크(33)를 개재하여 중앙프레임(31)을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전후방연장부(30)가 상기 본체프레임(20)의 X축안내레일(21)을 개재하여 캠핑룸의 공간확장 가능하게 설치된다. 중앙프레임(31)은 길이가 긴 상면에 완전한 형태의 후면과 길이가 짧은 저면이 연결되고 양측면은 거의 완전하게 개방되는 ㄷ자형 구조이다. 중앙프레임(31)의 전후방향 이동이 원활하도록 X축안내레일(21)은 상하 이중으로 설치하는 것이 좋다. 제1관절링크(33)는 2개의 로드를 관절로 연결한 것으로 후술하는 작동부(50)의 작동력을 받아 중앙프레임(31)의 전후 방 이동을 수행한다. 제1관절링크(33)의 타단은 중앙프레임(31)의 지지대(35)에 연결되어 전후방 이동력을 전달한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and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제2관절링크(43)을 개재하여 측면프레임(41)을 양측방향으로 이동하는 양측방연장부(40)가 상기 본체프레임(20)의 Y축안내레일(22)을 개재하여 캠핑룸의 공간확장 가능하게 설치된다. 측면프레임(41)은 캠핑카의 양측면을 구성하는 부분으로서 일측면이 개방되는 상자형 구조이다. 측면프레임(41)의 양측방향 이동이 원활하도록 Y축안내레일(22)은 상하 이중으로 설치하는 것이 좋다. 제2관절링크(43)는 2개의 로드를 관절로 연결한 것으로 후술하는 작동부(50)의 작동력을 받아 측면프레임(41)의 양측방 이동을 수행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oth
물론 중앙프레임(31)과 측면프레임(41)은 다수의 롤러를 개재하여 안내레일(21)(22)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f course, the
이때, 상기 전후방연장부(30)와 양측방연장부(40)는 상하로 이격 배치되어 동시에 작동하는 이중 방식의 관절링크(33)(43)를 구성한다. 상부의 관절링크(33)(43)와 하부의 관절링크(33)(43)가 중앙프레임(31)과 측면프레임(41)의 원활한 이동을 조력한다. 하부의 관절링크(33)(43)를 수용하기 위해 본체프레임(20)의 저면에 소정의 공간을 확보한다.At this time, the front and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본체프레임(20) 상에 전후방연장부(30)와 양측방연장부(40)가 일체로 결합되는 구성이므로 본체프레임(20)을 차량(10)의 적재함(15)에 볼트로 체결하는 방식으로 설치가 용이하다. 후술하는 유압실린더(54)도 하나의 함에 유니트로 구성하고 단지 차량(10)의 전원만 연결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ront and
한편, 본체프레임(20)의 상면에 윈도우(28)를 설치하고 측면프레임(41)에 윈도우(48)를 설치하여 채광과 환기 기능을 수행한다. 도시에는 생략되나 도어는 측면프레임(41) 그리고/또는 중앙프레임(31)의 후면에 설치한다.On the other hand, by installing the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중앙프레임(31)과 측면프레임(41)의 동시 이동을 수행하는 작동부(50)가 상기 중앙프레임(31)과 측면프레임(41)의 관절링크(33)(43)에 구동축(25)을 개재하여 연결된다. 구동축(25)은 실내공간 상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부의 관절링크(33)(43)와 하부의 관절링크(33)(43)를 동시에 연결한다. 구동축(25)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별도의 관에 수용할 수도 있으며, 어느 경우에나 좁은 실내공간에서 안전손잡이 역할을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때, 본 발명의 상기 작동부(50)는 구동축(25)의 하단에 회동아암(52)을 개재하여 유압실린더(54)를 연결한다. 도시에는 생략되나 유압실린더(54)는 유압펌프, 유압탱크, 밸브 등을 포함한 유압 유니트에 연결된다. 구동축(25)의 하단에 회동아암(52)을 연결하고, 회동아암(52)에 유압실린더(54)를 연결한다. 유압실린더(54)의 전원은 차량(10)의 전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작동 스위치는 실내공간과 운전석에 복수로 설치한다.At this time, the
물론, 전후방연장부(30)와 양측방연장부(40)를 이동하는 부하가 크지 않은 경우에는 유압실린더(54) 대신에 서보모터나 기어드모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Of course, when the load moving the front and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작동부(50)는 전후방연장부(30)의 이동에 연동하여 양측방연장부(40)를 이동시키기 위한 보조링크(6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전후방연장부(30)와 양측방연장부(40)의 길이가 긴 경우 일측의 관절링크(33)(43)만으로 원 활한 이동이 곤란하면 타측에 보조링크(60)를 구성한다. 보조링크(60)의 세부 구성과 작동은 후술하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한다.In addition, the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가변기구의 작동전 상태를 나타내는 3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가변기구의 작동후 상태를 나타내는 3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가변기구의 보조링크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Figure 6 is a three side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operation of the variable mechanism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7 is a three side view showing a state after the operation of the variable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shows an auxiliary link of the variable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block diagram.
본 발명의 보조링크(60)는 본체프레임(20)과 중앙프레임(31)을 연결하는 제3관절링크(63), 제3관절링크(63)의 관절과 측면프레임(41)을 연결하는 로드(64), 제3관절링크(63)와 로드(64)를 각각 연결하는 지지아암(66), 지지아암(66)의 일단을 로드(64) 상에 미끄럼 운동하는 슬라이더(68)를 구비한다. 도 8에서 제3관절링크(63), 로드(64), 지지아암(66), 슬라이더(68)는 마치 접고 펴는 우산 형태의 골격을 지닌다. 제3관절링크(63)의 일단부 부호 63a는 본체프레임(2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 부호 63b는 중앙프레임(3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로드(64)의 내측단은 제3관절링크(63)의 관절부에 연결되고 외측단은 측면프레임(41)의 장홈(46)에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3관절링크(63)의 관절부에 연결된 양측 로드 사이의 각도가 넓어지면 슬라이더(68)가 관절부로 접근하면서 로드(64)가 관절부에서 외측으로 멀어진다.The
작동에 있어서, 사용자가 차량(10)을 운전하여 목적지에 도착한 다음 작동부(50)를 조작하는 스위치를 온하면, 유압실린더(54)의 작동으로 구동축(25)이 회전하고, 구동축(25)에 연결된 2개의 관절링크(33)(43)가 펴지면서 중앙프레임(31)을 후방으로 미는 동시에 측면프레임(41)을 양측으로 밀어낸다. 물론 캠핑장소 주 변의 환경을 고려하여 완전하게 펴지지 않은 상태에서 멈출 수도 있다. 캠핑을 종료한 후에 스위치를 이용하여 유압실린더(54)를 반대로 작동하면 관절링크(33)(43)가 접히면서 중앙프레임(31)이 전진하여 원위치로 이동하는 동시에 측면프레임(41)도 원위치로 이동한다.In operation, when the user drives the
만일 전술한 본 발명의 보조링크(60)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중앙프레임(31)의 후진시 제3관절링크(63)가 펴지고 로드(64)가 외측으로 멀어지면서 측면프레임(41)의 이동을 조력한다. 이 경우 보조링크(60)가 구비되지 않으면 중앙프레임(31)이 펴지는 동안 측면프레임(41)의 일부만 이동하여 왜곡되므로 전체적인 변형이나 파손을 유발할 우려가 있다.If the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체프레임(20) 상에 중앙프레임(31)과 측면프레임(41)의 틈새를 기밀하도록 고무재질의 스트립과 함께 방수재와 단열재를 접합한 형태의 시트를 설치한다. Although not shown, a sheet in which a waterproof material and a heat insulating material are bonded together with a strip of rubber material is installed on the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will have to belong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캠핑카의 확장전 상태를 나타내는 3면도,1 is a three side view showing a state before expansion of the motorhome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캠핑카의 확장후 상태를 나타내는 3면도,Figure 2 is a three side view showing a state after the expansion of the motorhome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본체프레임을 나타내는 3면도,3 is a three side view showing a main body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주요프레임을 나타내는 구성도,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ain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가변기구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구성도,5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main part of a variable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가변기구의 작동전 상태를 나타내는 3면도,6 is a three side view showing a state before operation of the variable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가변기구의 작동후 상태를 나타내는 3면도,7 is a three side view showing a state after the operation of the variable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가변기구의 보조링크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8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auxiliary link of the variable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차량 15: 적재함10: vehicle 15: loading box
20: 본체프레임 21, 22: 안내레일20:
25: 구동축 30: 전후방연장부25: drive shaft 30: front and rear extension part
31: 중앙프레임 33: 제1관절링크31: center frame 33: first joint link
40: 양측방연장부 41: 측면프레임40: both sides extending part 41: side frame
43: 제2관절링크 46: 장홈43: second joint link 46: long groove
50: 작동부 52: 회동아암50: operating part 52: rotating arm
54: 유압실린더 60: 보조링크54: hydraulic cylinder 60: auxiliary link
63: 제3관절링크 64: 로드63: third joint link 64: rod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90121528A KR101048471B1 (en) | 2009-12-09 | 2009-12-09 | Indoor space variable mechanism for motorho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90121528A KR101048471B1 (en) | 2009-12-09 | 2009-12-09 | Indoor space variable mechanism for motorhom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10064790A KR20110064790A (en) | 2011-06-15 |
| KR101048471B1 true KR101048471B1 (en) | 2011-07-11 |
Family
ID=44398161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90121528A Expired - Fee Related KR101048471B1 (en) | 2009-12-09 | 2009-12-09 | Indoor space variable mechanism for motorhom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048471B1 (en) |
Cited By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847706B1 (en) | 2016-04-15 | 2018-04-11 | 김현수 | Car camping trailer |
| KR101990732B1 (en) | 2018-01-03 | 2019-06-18 | 성용호 | Living space expansion type camping car |
| KR20190101006A (en) | 2018-02-22 | 2019-08-30 | 김용재 | A Special Vehicles having Rotating Extensible Roof |
| WO2020116764A1 (en) | 2018-12-04 | 2020-06-11 | 이승욱 | Variable expansion apparatus for activity space of camping car |
| KR102238683B1 (en) | 2020-11-23 | 2021-04-08 | 장경섭 | Internal space expansion device for camping car |
| KR20220001077A (en) | 2020-06-29 | 2022-01-05 | 주식회사 엠케이카라반 | A Camping Car with expanding Spac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7878298B (en) * | 2017-11-23 | 2024-05-14 | 陈兴忠 | Pickup lifting roof caravan |
| CN111891028B (en) * | 2020-05-26 | 2024-05-28 | 王金虎 | Novel extend car as a house |
| KR102239145B1 (en) * | 2020-11-20 | 2021-04-12 | 주식회사 한국특장 | Wing body special purpose vehicle with expanded space |
| KR102245063B1 (en) * | 2020-11-20 | 2021-04-28 | 주식회사 한국특장 | Wing body special purpose vehicle with expanded space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333434Y1 (en) * | 2003-08-12 | 2003-11-15 | (주)미래에스앤티 | Leisure vehicle for camping |
| KR20050117508A (en) * | 2005-11-29 | 2005-12-14 | 세정캠핑카주식회사 | The solid type where the various leisure facility is had built-in it loads the vehicle and all type the cam ping car which is had all |
| KR20060022899A (en) * | 2004-09-08 | 2006-03-13 | 김두철 | Motorhome |
-
2009
- 2009-12-09 KR KR1020090121528A patent/KR10104847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333434Y1 (en) * | 2003-08-12 | 2003-11-15 | (주)미래에스앤티 | Leisure vehicle for camping |
| KR20060022899A (en) * | 2004-09-08 | 2006-03-13 | 김두철 | Motorhome |
| KR20050117508A (en) * | 2005-11-29 | 2005-12-14 | 세정캠핑카주식회사 | The solid type where the various leisure facility is had built-in it loads the vehicle and all type the cam ping car which is had all |
Cited By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847706B1 (en) | 2016-04-15 | 2018-04-11 | 김현수 | Car camping trailer |
| KR101990732B1 (en) | 2018-01-03 | 2019-06-18 | 성용호 | Living space expansion type camping car |
| KR20190101006A (en) | 2018-02-22 | 2019-08-30 | 김용재 | A Special Vehicles having Rotating Extensible Roof |
| WO2020116764A1 (en) | 2018-12-04 | 2020-06-11 | 이승욱 | Variable expansion apparatus for activity space of camping car |
| KR20220001077A (en) | 2020-06-29 | 2022-01-05 | 주식회사 엠케이카라반 | A Camping Car with expanding Space |
| KR102238683B1 (en) | 2020-11-23 | 2021-04-08 | 장경섭 | Internal space expansion device for camping car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10064790A (en) | 2011-06-15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048471B1 (en) | Indoor space variable mechanism for motorhome | |
| US6536821B1 (en) | Suspended slide-out room for mobile living quarters | |
| US6325447B1 (en) | Electric lift camper top | |
| US6659534B2 (en) | Hard-top convertible roof system | |
| US20200156714A1 (en) | Deployable aerodynamic device for rear of a cargo body | |
| US4848830A (en) | Combined pickup truck and disappearing camper | |
| US6669278B2 (en) | Automotive vehicle roof system having multiple sunroofs | |
| JP6018953B2 (en) | Sunroof device | |
| US7243965B2 (en) | Convertible camper shell and hard tonneau | |
| US20180079348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a rear slide-out compartment in a recreational vehicle for increasing interior space | |
| CN211969275U (en) | Car as a house of roof liftable formula | |
| US6679541B1 (en) | Chain driven linkage assemblies for room extensions | |
| AU2012201196A1 (en) | Recreational vehicle lift mechanism | |
| US9586463B2 (en) | Top for an openable vehicle roof | |
| US6905154B1 (en) | Universal room extension | |
| US3362373A (en) | Amphibious structure | |
| JP4534236B2 (en) | Canvas top structure | |
| CN113442699B (en) | Passenger car roof with variable height of front and rear added curtain pieces | |
| AU2008101284A4 (en) | A vehicle having a slide out | |
| JPH0456628A (en) | Roof device for automobile | |
| JP4049573B2 (en) | Vehicle carrier cover structure with wall opening and closing device | |
| JP2000108775A (en) | Expansible body structure for automobile | |
| ITMI20061229A1 (en) | MOBILE HOME WITH A BED IN ALCOVA | |
| CN218085032U (en) | Folding partition door and vehicle with same | |
| EP2093103A1 (en) | Recreational vehicle with variable volume house cell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420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01 Year of fee payment: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9070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90706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