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3002B1 - Automatic rebar binding device - Google Patents
Automatic rebar bindin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43002B1 KR101043002B1 KR1020090033304A KR20090033304A KR101043002B1 KR 101043002 B1 KR101043002 B1 KR 101043002B1 KR 1020090033304 A KR1020090033304 A KR 1020090033304A KR 20090033304 A KR20090033304 A KR 20090033304A KR 101043002 B1 KR101043002 B1 KR 10104300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inding
- guide
- binding line
- line
- automatic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6
- 241001589086 Bellapiscis medi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35 prolong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 E04G21/122—Machines for joining reinforcing bars
- E04G21/123—Wire twisting too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5/00—Implements for fastening, connecting or tensioning of wire or strip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65B13/24—Securing ends of binding material
- B65B13/28—Securing ends of binding material by twisting
- B65B13/285—Hand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근의 굵기 및 결속하기 위한 철근의 개수에 따라 결속선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공사비용 또한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철근자동결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철근자동결속장치는, 결속의 대상이 되는 철근이 수납되는 수납홈이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수납홈의 둘레에 원호형상의 안내로가 형성되는 안내수단; 상기 안내수단의 안내로로 결속선을 공급하는 이송수단; 상기 안내수단과 이송수단의 사이에 마련되어 결속선을 절단하는 절단수단과 상기 안내로를 따라 이송된 결속선을 꼬아 결속하는 결속수단; 상기 안내수단과 이송수단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2 이상의 안내로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이송수단으로부터 공급된 결속선의 공급방향을 선택된 안내로로 안내하는 방향전환수단; 및 상기 이송수단, 절단수단, 결속수단을 구동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되, 상기 안내로는 서로 다른 곡률반경을 갖는 2 이상의 원호로 형성되고, 상기 2 이상의 안내로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안내로를 통해 결속선을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철근, 자동결속, 결속선, 안내로, 수납홈, 방향전환수단, 곡률반경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inforcing bar automatic binding device that can adjust the length of the binding line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reinforcing bars and the number of reinforcing bars to be easy to use, shorten the working time and significantly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Reinforcing bar automatic bind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means is provided with an accommodating groove in which the reinforcing bar is bound to be received therein and an arc-shaped guide path is formed around the accommodating groove; Transfer means for supplying a binding line to the guide path of the guide means; Binding means provided between the guide means and the transfer means for cutting the binding line and the binding means for twisting the binding line transferred along the guide path; A direction switching means provided between the guide means and the transfer means and selecting one of the two or more guide paths to guide the supply direction of the binding line supplied from the transfer means to the selected guide path; And a driving motor for driving the conveying means, cutting means, and binding means, wherein the guide path is formed of two or more arcs having different radii of curvature, and through any one of the guide paths selected from the two or more guide path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charge line.
Rebar, automatic binding, binding line, guideway, receiving groove, direction switching means, radius of curvature
Description
본 발명은 철근자동결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철근의 굵기 및 결속하기 위한 철근의 개수에 따라 결속선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공사비용 또한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철근자동결속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inforcing bar automatic binding device, specifically, the length of the binding line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reinforcing bars and the number of reinforcing bars to be easy to use, shorten the working time and significantly reduce construction costs It relates to a rebar automatic binding device that can be.
건축 및 토목공사의 현장에서는 건축물이나 공작물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구조물 내에 철근을 매입하여 시설하고 있다. 즉, 콘크리트용 몰드 내에 다수의 철근을 서로 나란히 또는 직각으로 연결하여 설치한 후 그 외부에 성형하는 방식이다. In the field of construction and civil works, reinforcing bars are installed in concrete structures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buildings and works. That is,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in a mold for concret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ide by side or at a right angle and then installed in the outside.
이와 같은 작업 시 서로 연결된 철근들을 연결하여 결속하여야 하는 바, 철근들을 결속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그 중에서 2개의 철근을 서로 맞대고 용접을 하는 방법과 2개의 철근 단부가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시킨 후 와이어로 결속하는 방법이 대표적이다.In this work, it is necessary to bind the bars connected to each other, and various methods for binding the bars have been proposed. Among them, two bars are joined to each other and welded, and two bars are arranged so that the ends of the bars overlap each other, and then a method of binding with the wires is typical.
상술한 방법 중 와이어를 이용하여 2개의 철근 단부를 결속하는 방법은 모든 작업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므로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작업효율이 저하된다. 특히,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품질상태(철근의 결속력 등)가 극명하게 대비되므로, 타공정에 비하여 숙련도가 높은 기술자가 요구되며 이에 따라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In the method of binding the two reinforcing bar ends using the wire of the above-described method takes a lot of work time and work efficiency is reduced because all the work is done by hand. In particular, since the quality state (binding force, etc. of the reinforcing bar) is sharply prepared according to the skill of the operator, a skilled person with a high skill level is required as compared to other processes, and accordingly, a high cost is require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철근자동결속기(국내특허등록공보 제10-436446호)”가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바 있다. 상기 제10-436446호를 참조하여 종래의 철근자동결속기에 대해 살펴보면, 일단에 결속선 안내구가 마련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후방에 형성된 원통형의 릴에 결속선이 권취된 결속선 공급장치와, 상기 결속선 수납장치로부터 공급된 결속선을 작동레버의 동작에 의해 결속선을 물고 전방으로 이동하여 결속선을 전진시키며 제1스위치를 작동시키는 결속선 피딩장치와, 상기 결속선 피딩장치에 의해 전진된 결속선이 선회기어에 장착되고 제1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구동모터가 회전되어 선회기어를 철근둘레로 선회시켜 철근을 휘감는 선회형 결속선 안내장치와, 상기 선회형 결속선 안내장치의 선회기어가 제2스위치를 작동시켜 구동모터가 역회전되어 철근에 감긴 결속선을 절단하는 결속선 커팅장치와, 상기 결속선 커팅장치에 의해 절단된 결속선의 양끝단을 꼬아주도록 상기 구동모터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전달받아 트위스터축의 일단에 형성된 트위스터가 결속선을 꼬아주는 결속선 트위스터장치를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utomatic rebar binding machine (Domestic Patent Publication No. 10-436446)" has been filed by the present applicant. Looking at the conventional reinforcing bar automatic binder with reference to the 10-436446, the case is provided with a binding line guide at one end, and a binding line supply device wound around the cylindrical reel formed on the rear of the case, A binding line feeding device for moving the binding line supplied from the binding line receiving device to move the front of the binding line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lever to move the binding line forward, and to operate the first switch; The swivel ties are mounted on the swivel gear, and the drive motor is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first switch to revolve the swivel gear around the reinforcing bars to reinforce the reinforcing bars; Binding line cutting device for cutting the ties line wound on the reinforcing bar by operating the second switch reverse rotation of the drive motor, ties cut by the ties line cutting device To give a twisting both ends by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from the driving motor and a coupling line twister device is formed in one end twister twister shaft to twist the binding line.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철근자동결속기는 작업시간을 단축시키고 작업효율을 향상시키며 공사비용을 어느 정도 절감할 수 있으나, 철근의 굵기 및 결속하기 위한 철근의 개수가 미리 계산된 수치 또는 개수와 다를 경우 결속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The conventional automatic reinforcing bars as described above can reduce the working time, improve the work efficiency and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to some extent, but if the thickness of the reinforcing bars and the number of reinforcing bars are different from the pre-calculated value or number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binding force is lowered.
즉, 종래의 철근자동결속기를 통해 배출되어 철근의 둘레를 따라 감기는 결속선의 길이는 항상 일정하다. 따라서 철근의 굵기 및 개수가 미리 계산된 수치 및 개수 이상일 경우 결속선을 고정하기 위한 꼬임부분의 길이가 짧아져 결속력이 저하된다. 반면, 철근의 굵기 및 개수가 미리 계산된 수치 및 개수 이하일 경우 결속선을 고정하기 위한 꼬임부분의 길이가 길어져 외부로 길게 돌출되므로 작업자들에게 상해를 입힐 우려가 있다. 특히, 꼬임부분이 길면 결속선을 꼬는 과정에서 꼬임부분의 어느 한 부분에 응력이 집중되어 절단되며, 이에 따라 결속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That is, the length of the binding line which is discharged through the conventional automatic reinforcing bar automatic winding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reinforcing bar is always constant. Therefore, when the thickness and number of the reinforcing bar is more than the pre-calculated value and number, the length of the twisted portion for fixing the binding line is shortened and the binding force is lowered. On the other hand, if the thickness and number of the reinforcing bar is less than the pre-calculated value and number, the length of the twisted portion for fixing the binding line is prolong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there is a risk of injury to the workers. In particular, when the twisted portion is long, stress is concentrated at one portion of the twisted portion in the process of twisting the binding line, and thus the binding force may be lower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철근의 굵기 및 결속하기 위한 철근의 개수에 따라 결속선의 직경을 조절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공사비용 또한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철근자동결속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diameter of the binding line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reinforcing bars and the number of reinforcing bars to be easy to use, shorten the working time and significantly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The purpose is to provide a reinforcing bar automatic binding device that can be.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철근자동결속장치는, 결속의 대상이 되는 철근이 수납되는 수납홈이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수납홈의 둘레에 원호형상의 안내로가 형성되는 안내수단; 상기 안내수단의 안내로로 결속선을 공급하는 이송수단; 상기 안내수단과 이송수단의 사이에 마련되어 결속선을 절단하는 절단수단과 상기 안내로를 따라 이송된 결속선을 꼬아 결속하는 결속수단; 상기 안내 수단과 이송수단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2 이상의 안내로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이송수단으로부터 공급된 결속선의 공급방향을 선택된 안내로로 안내하는 방향전환수단; 및 상기 이송수단, 절단수단, 결속수단을 구동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되, 상기 안내로는 서로 다른 곡률반경을 갖는 2 이상의 원호로 형성되고, 상기 2 이상의 안내로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안내로를 통해 결속선을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Reinforcing bar automatic bin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with an accommodating groove for receiving the reinforcing bar to be bound is provided therein guide means for forming an arc-shaped guide path around the receiving groove; Transfer means for supplying a binding line to the guide path of the guide means; Binding means provided between the guide means and the transfer means for cutting the binding line and the binding means for twisting the binding line transferred along the guide path; A direction switching means provided between the guide means and the transfer means and selecting one of the two or more guide paths to guide the supply direction of the binding line supplied from the transfer means to the selected guide path; And a driving motor for driving the conveying means, cutting means, and binding means, wherein the guide path is formed of two or more arcs having different radii of curvature, and through any one of the guide paths selected from the two or more guide path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charge line.
상기 방향전환수단은 전환레버와, 상기 안내수단과 이송수단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전환레버 조작 시 상기 결속선을 상기 2 이상의 안내로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안내로에 공급하는 연결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direction switching means is composed of a connecting lever and a connecting pipe rotatably coupled between the guide means and the transfer means for supplying the binding line to any one of the two or more guide paths when the switch is operated. Can be.
상기 철근자동결속장치는 상기 구동모터에서 발생된 동력을 상기 이송수단, 절단수단 및 결속수단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클러치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The reinforcing bar automatic binding device may include a clutch means for selectively supplying the power generated in the drive motor to any one of the transfer means, cutting means and the binding means.
상기 안내로를 형성하는 한 쌍의 내벽 중 내측에 위치된 내벽은 결속선을 꼬아 결속하는 과정에서 결속선이 안내로로부터 이탈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inner wall located inside of the pair of inner walls forming the guide path is preferably formed to be inclined so as to be separated from the guide path in the process of twisting the binding line.
상기 철근자동결속장치는 상기 결속선의 이송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이송관이 상기 이송수단과 릴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The reinforcing bar automatic binding device may be provided between the conveying means and the reel transfer pipe for guiding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binding line.
상기 철근자동결속장치는 상기 안내수단이 일단에 마련되고, 상기 이송수단, 절단수단, 결속수단, 방향전환수단, 구동모터 및 클러치 수단이 내장되며, 타단 측 내부에 결속선이 감긴 릴이 마련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되, 길이를 연장시키거나 각도를 변경시키기 위하여, 상기 이송관의 중단에 제1벨로우즈(bellows)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 중단의 제1벨로우즈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2벨로우즈가 형성될 수 있다.The reinforcing bar automatic binding device is provided with the guide means at one end, and the conveying means, cutting means, binding means, direction switching means, drive motor and clutch means is built-in, the reel of the binding line is provided inside the other end side Further including a case, in order to extend the length or to change the angle, the first bellows (bellows) are formed in the interruption of the transfer pipe, the second bellows is form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bellows of the case interruption Can be.
상기 철근자동결속장치는 상기 구동모터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와, 상기 구동모터 및 클러치 수단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utomatic rebar binding device may include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driving moto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otor and the clutch means.
상기 철근자동결속장치는 상기 전환레버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을 제어함으로써 결속선의 공급 길이를 조절하는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utomatic reinforcing bar bind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for adjusting the supply length of the binding line by sensing the position of the switching lever and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driving motor.
상기 케이스는 타단에 돌출된 권총형상으로 손잡이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에는 조작레버가 마련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케이스는 타단에 파지공이 형성된 손잡이가 형성되고, 상기 파지공의 내측에는 조작레버가 마련될 수 있다.The case may have a handle formed in a pistol shape protruding from the other end, and the handle may be provided with an operation lever. On the other hand, the case is formed with a handle formed with a gripping hole at the other end, the operation lever may be provided inside the gripping hole.
본 발명에 의한 철근자동결속장치는 안내수단에 형성된 안내로가 서로 다른 곡률반경을 갖는 복수로 형성되는바, 작업자의 필요에 따라 결속선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철근의 굵기 및 결속하기 위한 철근의 개수에 관계없이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Automatic rebar bin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plurality of guide paths formed in the guide means having a different radius of curvature,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binding line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operator to the thickness of the rebar and the number of reinforcing bars for binding Regardless, it can be used universally.
또한, 결속선을 고정하기 위한 꼬임부분의 길이가 일정하므로 결속력을 항상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여 고장의 우려가 없다.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공사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length of the twisted portion for fixing the binding line is constant, the binding force can always be kept the same, and the structure is simple, so that there is no fear of failure. In addition, work time can be shortened and construction costs can be drastically reduced.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부가한다.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configurations or functions will be omitted. In addition, in adding the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dded to the same components as much as possible.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technical meanings and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철근자동결속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automatic reinforcing bar automatic bin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철근자동결속장치(100)는, 케이스(110)와, 결속선(400)의 배출방향을 안내하는 2 이상의 안내로(124)가 형성된 안내수단(120)과, 상기 안내수단(120)으로 결속선(400)을 공급하는 이송수단(130)과, 상기 복수의 안내로(124) 중 어느 하나에 결속선(400)을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방향전환수단(140)과, 상기 안내수단(120)과 이송수단(130)의 사이에 마련되어 결속선(400)을 절단하는 절단수단(150)과, 상기 안내로(124)을 가로지르며 안내로(124)을 따라 이송된 결속선(400)을 꼬아 결속하는 결속수단(160)과, 상기 이송수단(130), 절단수단(150) 및 결속수단(160)을 구동하는 구동모터(170)와, 상기 구동모터(170)에서 발생된 동력을 상기 이송수단(130), 절단수단(150) 및 결속수단(160)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클러치 수단(180)과, 상기 구동모터(170) 및 클러치 수단(18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9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automatic
상기 케이스(110)는 조작레버(112)가 마련된 손잡이(114)를 포함하는 권총형 상으로 형성된다. 그 내부에는 상기 구동모터(17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116)와, 상기 조작레버(112) 조작 시 상기 구동모터(170) 및 클러치 수단(18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9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10)의 한 쪽에는 결속선(400)이 감긴 릴(reel,118)이 마련되고, 상기 릴(118)에 감긴 결속선(400)의 이송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이송관(119)이 케이스(11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The
이때, 상기 이송수단(130), 절단수단(150), 결속수단(160)과 상기 구동모터(170) 사이에는 클러치수단(180)이 마련되는데, 상기 클러치수단(180)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구동모터(170)에서 발생된 동력을 이송수단(130), 절단수단(150) 및 결속수단(160)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수단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클러치수단(180)을 사용할 경우 하나의 구동모터(170)만으로 이송수단(130), 절단수단(150) 및 결속수단(160)을 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철근자동결속장치(100)의 중량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 또한 간단해지므로 고장의 우려가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clutch means 180 is provided between the transfer means 130, the cutting means 150, the binding means 160 and the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철근자동결속장치의 일단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철근자동결속장치의 방향전환수단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2 is an enlarged view of one end of the rebar automatic bin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direction switching means of the rebar automatic bin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안내수단(120), 이송수단(130), 방향전환수단(140), 절단수단(150) 및 결속수단(160)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With reference to Figures 2 and 3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above-described guide means 120, the transfer means 130, the direction switching means 140, the cutting means 150 and the binding means 160.
상기 안내수단(120)은 케이스(110)의 한쪽 끝에 마련된다. 이러한 안내수단(120)은 소정 두께를 갖는 원판형상으로 길이를 연장하기 위한 적어도 한 쌍의 철근이 수납되는 수납홈(122)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홈(122)을 중심으로 그 둘레를 따라 안내로(124)이 원호형상으로 형성된다.The guide means 120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여기서 상기 안내로(124)은 서로 다른 곡률반경을 갖는 복수(124a,124b,124c)로 형성되는데, 이는 작업자의 필요에 따라 철근(500)을 감싸는 결속선(400)의 곡률반경을 조절함으로써 철근(500)의 굵기 및 개수에 관계없이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복수의 안내로(124a,124b,124c)는 도 2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로(124a,124b,124c)를 형성하는 한 쌍의 내벽 중 내측에 위치된 내벽은 결속선(400)을 꼬아 결속하는 과정에서 상기 결속선(400)이 안내로(124a,124b,124c)로부터 용이하게 이탈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The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안내로(124a,124b,124c)의 개수를 3개로 예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작업자의 필요에 따라 그 수를 증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수단(120)을 케이스(110)와 탈착 가능한 구조로 제작할 경우, 다양한 곡률반경의 안내로가 형성된 안내수단(120)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number of the
상기 이송수단(130)은 다양한 방식이 이미 각종 산업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으므로 그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 한정할 것은 아니지만, 일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도 1의 170)에서 발생되어 클러치 수단(도 1의 180)의 출력축(182,184) 중 하나(182)를 통해 전달된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롤러(132)와, 상기 구동롤러(132)로부터 이격되는 종동롤러(134)와 상기 구동롤러(132) 및 종동 롤러(134)를 무한궤도 방식으로 연결하는 벨트(136)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수단(130)은 한 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결속선(400)의 양측에 배치된다.The
상기 방향전환수단(140)은 상기 3개의 안내로(124a,124b,124c)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배출되도록 상기 결속선(400)의 배출방향을 전환하는 수단으로, 작업자에 의해 조작이 가능하도록 외부로 노출되는 전환레버(142)와, 상기 안내로(124a,124b,124c)의 입구 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관(144)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환레버(142)의 위치를 감지하여 구동모터(170)의 회전을 제어함으로써 결속선(400)의 공급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센서(146)가 마련된다. 센서(146)는 선택된 안내로(124a,124b,124c)의 곡률반경에 따라 결속선(400)이 대상물을 꼬아 결속하기에 충분하도록 기설정된 길이만큼 결속선(400)을 공급하도록 구동모터(170)의 회전을 제어한다. The direction switching means 140 is a means for switching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이와 같이 구성된 방향전환수단(1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상기 전환레버(142)를 조작할 경우 상기 연결관(144)이 회전하며 상기 이송관(119)을 따라 이송된 결속선(400)을 복수의 안내로(124a,124b,124c)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배출시킨다. 따라서 상기 방향전환수단(140)을 이용할 경우 작업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결속선(400)의 곡률반경을 조절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when the operator manipulates the
상기 절단수단(150)은 결속선(400)을 절단하는 수단이고, 상기 결속수단(160)은 결속선(400)을 꼬아 결속하는 수단으로, 상기 구동모터(170)에서 발생되어 클러치 수단(180)의 출력축(182,184) 중 하나(184)를 통해 전달된 동력에 의해 작동된다.The
그 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절단수단(150)은 상기 클러치 수단(180)의 출력축(184) 회전 시 함께 회전하며 결속선(400)을 절단한다. 또한, 상기 결속수단(160)은 상기 안내로(124a,124b,124c)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고 상기 클러치 수단(180)의 출력축(184) 회전 시 블레이드(152)가 함께 회전하며 결속선(400)을 꼬아 결속한다. 이때, 상기 결속수단(160)은 결속선(400)을 꼬아 결속할 수 있도록 그 선단에 관통슬릿(162)이 형성된다.Looking at the structure, the cutting means 150 is rotated together when the
상술한 절단수단(150)과 결속수단(160)은 하나의 출력축(184)에 의해 작동되므로 상기 결속선(400)의 절단작업과 결속작업이 동시에 수행되므로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공사비용 또한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Since the cutting means 150 and the binding means 160 are operated by one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철근자동결속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automatic reinforcing bar automatic bin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철근자동결속장치(200)는, 케이스(210), 안내수단(220), 이송수단(230), 방향전환수단(240), 절단수단(250), 결속수단(260), 구동모터(270), 클러치 수단(280) 및 제어부(29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210)를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220~290)는 앞서 설명한 일 실시예와 모두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s shown in Figure 4, the automatic reinforcing
본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210)는 조작레버(212)가 마련된 손잡이(214)를 포함하는 권총형상이되, 그 내부에 마련되어 결속선(400)의 이송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이송관(216)의 중단에는 제1벨로우즈(bellows,217)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210) 중 상기 제1벨로우즈(217)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제2벨로우즈(219)가 형성 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벨로우즈(217,219)는 본 발명에 의한 철근자동결속장치(200)의 길이를 연장시키거나 각도를 변경시켜 작업자의 손이 닿지 않는 부분에 위치된 철근(500)을 결속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철근자동결속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철근자동결속장치(300)는, 케이스(310), 안내수단(320), 이송수단(330), 방향전환수단(340), 절단수단(350), 결속수단(360), 구동모터(370), 클러치 수단(380) 및 제어부(39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310)를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320~390)는 상술한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와 모두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5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automatic reinforc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5 automatic reinforcing
한편, 상기 케이스(310)는 타단에 파지공(316)이 형성된 손잡이(314)가 형성되고, 상기 파지공(316)의 내측에는 조작레버(312)가 마련된다. 이러한 형상의 케이스(310)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이송관(316)의 중단에 제1벨로우즈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310) 중 제1벨로우즈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2벨로우즈가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철근자동결속장치를 이용한 철근자동결속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때, 철근자동결속과정은 본 발명에 의한 철근자동결속장치의 일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6 to 8 is a view showing a reinforcing bar automatic binding process using the reinforcing bar automatic bin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this time, the automatic reinforcing bar process will be described based on an embodiment of the automatic reinforcing ba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안내수단(120)의 수납홈(122) 내에 한 쌍의 철근(500)이 수납되도록 본 발명에 의한 철근자동결속장치(100)를 배치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손잡이(114)에 마련된 조작레버(112)를 당기면 구동모터(170)가 구동하여 이송수 단(130)을 작동시키고, 상기 이송수단(130)에 의해 릴(118)에 감긴 결속선(400)이 안내수단(120) 측으로 이송된다(도 6 참조).First, the automatic reinforcing
이때, 상기 결속선(400)의 공급 길이는 전환레버(142)의 일측에 마련된 센서(도 7의 146)가 상기 전환레버(142)의 위치를 감지하여 구동모터(170)의 회전을 제어함으로써 조절한다. 그리고 상기 결속선(400)이 설정된 길이만큼 공급되면 클러치 수단(180)에 의해 상기 이송수단(130)으로 전달되던 구동모터(170)의 동력은 차단됨과 동시에 절단수단(150) 및 결속수단(160)으로 전달된다.At this time, the supply length of the
상기 안내수단(120)의 안내로(124) 입구까지 이송된 상기 결속선(4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안내로(124a,124b,124c) 중 방향전환수단(140)의 전환레버(142)를 조작하여 선택된 어느 하나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상기 안내로(124a,124b,124c)의 선택은 작업자가 철근(500)의 굵기 및 개수를 고려하여 선택한다.As shown in FIG. 7, the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상기 결속선(400)이 해당 안내로(124a,124b,124c 중 어느 하나)을 따라 이송되어 철근(500)을 감싸면, 상기 클러치 수단(도 6의 180)에 의해 구동모터(도 6의 170)의 동력이 절단수단(150) 및 결속수단(160)으로 전달되어 결속선(400)을 절단하고 꼬아 철근(500)을 결속한다(도 8참조).Through the above process, when the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철근자동결속장치(100)는 안내수단에 형성된 안내로(124a,124b,124c)이 서로 다른 곡률반경을 갖는 복수로 형성되는바, 작업자의 필요에 따라 결속선(400)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철근(500)의 굵기 및 개수에 관계없이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Rebar automatic
또한, 상기 결속선(400)을 고정하기 위한 꼬임부분의 길이가 일정하므로 결속력을 항상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여 고장의 우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공사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length of the twisted portion for fixing the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근자동결속장치의 구성 및 철근자동결속과정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configuration of the automatic reinforcing bar automatic bin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utomatic reinforcing bar binding process according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but this is just described for example and does not depart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철근자동결속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1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automatic reinforcing bar automatic bin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철근자동결속장치의 일단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Figure 2 is an enlarged view of one end of the rebar automatic bin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철근자동결속장치의 방향전환수단을 확대 도시한 도면.Figure 3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direction switching means of the automatic reinforcing bar automatic bin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철근자동결속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4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automatic reinforcing bar automatic bin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철근자동결속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5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automatic reinforcing bar automatic bin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철근자동결속장치를 이용한 철근자동결속과정을 도시하는 도면.6 to 8 is a view showing a reinforcing bar automatic binding process using the reinforcing bar automatic bin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철근자동결속장치 110: 케이스100: automatic reinforcing device 110: case
120: 안내수단 130: 방향전환수단120: guide means 130: direction switching means
140: 이송수단 150: 절단수단140: transfer means 150: cutting means
160: 결속수단 170: 구동모터160: binding means 170: drive motor
180: 클러치수단 190: 제어부180: clutch means 190: control unit
400: 결속선 500: 철근400: Binding line 500: rebar
Claims (10)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90033304A KR101043002B1 (en) | 2009-04-16 | 2009-04-16 | Automatic rebar bind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90033304A KR101043002B1 (en) | 2009-04-16 | 2009-04-16 | Automatic rebar binding devic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00114755A KR20100114755A (en) | 2010-10-26 |
| KR101043002B1 true KR101043002B1 (en) | 2011-06-21 |
Family
ID=43133856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90033304A Active KR101043002B1 (en) | 2009-04-16 | 2009-04-16 | Automatic rebar binding devic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043002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518227B1 (en) * | 2014-05-15 | 2015-05-12 | 김병수 | Steel bar unity apparatus |
| CN111691677B (en) | 2015-07-22 | 2023-08-01 | 美克司株式会社 | Strapping machine |
| JP6834485B2 (en) | 2016-12-29 | 2021-02-24 | マックス株式会社 | Cable ties |
| JP6953979B2 (en) * | 2017-10-06 | 2021-10-27 | マックス株式会社 | Cable ties |
| JP7280767B2 (en) * | 2019-07-05 | 2023-05-24 | 株式会社マキタ | rebar binding machine |
| CN110656780B (en) * | 2019-09-18 | 2024-05-28 | 上海建工五建集团有限公司 | Automatic tool for binding reinforcing steel bars and use method thereof |
| CN114418973B (en) * | 2022-01-06 | 2025-03-18 |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identifying steel bar spacing to achieve straightening and deviation correction |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8114034A (en) * | 1994-10-17 | 1996-05-07 | Max Co Ltd | Winding-round guiding device of binding wire in reinforcement binding machine |
| JP2001140471A (en) | 1999-11-17 | 2001-05-22 | Max Co Ltd | Reinforcement binding machine |
| KR20030021405A (en) * | 2001-09-06 | 2003-03-15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Plastic package having air cavity |
| KR200321405Y1 (en) | 2003-04-22 | 2003-07-31 | 김용진 | An auto-binding apparatus for reinforcing bar |
| JP2003267307A (en) | 2002-03-12 | 2003-09-25 | Max Co Ltd | Reinforcing bar binding machine |
-
2009
- 2009-04-16 KR KR1020090033304A patent/KR10104300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8114034A (en) * | 1994-10-17 | 1996-05-07 | Max Co Ltd | Winding-round guiding device of binding wire in reinforcement binding machine |
| JP2001140471A (en) | 1999-11-17 | 2001-05-22 | Max Co Ltd | Reinforcement binding machine |
| KR20030021405A (en) * | 2001-09-06 | 2003-03-15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Plastic package having air cavity |
| JP2003267307A (en) | 2002-03-12 | 2003-09-25 | Max Co Ltd | Reinforcing bar binding machine |
| KR200321405Y1 (en) | 2003-04-22 | 2003-07-31 | 김용진 | An auto-binding apparatus for reinforcing bar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00114755A (en) | 2010-10-26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043002B1 (en) | Automatic rebar binding device | |
| CN215484740U (en) | Self-walking robot for binding steel bars | |
| KR100293322B1 (en) | Knotting method and knotting device | |
| KR101312707B1 (en) | An electric hand-held binding apparatus | |
| KR100423385B1 (en) | Binding method and device of goods | |
| CN108327970B (en) | strapping machine | |
| CN101213132B (en) | Reinforcing bar binding machine | |
| CN102161197B (en) | Motor-driven machine tool | |
| JP5310525B2 (en) | Initializing method for reinforcing bar binding machine | |
| KR20200096321A (en) | Binding machine | |
| CN104226860B (en) | Trailing type bar straightening curved scissors machine | |
| AU2018204050B2 (en) | Binding machine | |
| CN114991490B (en) | Automatic wire feeding reinforcement binding device and binding method thereof | |
| CN108457474A (en) | strapping machine | |
| CN112639234A (en) | Binding machine | |
| JPH07290177A (en) | Rebar binding machine | |
| AU2022202516A1 (en) | Binding machine | |
| KR20220015987A (en) | Binding machine | |
| CN107165418B (en) | Strapping machine conveying device and split type strapping machine | |
| WO2008062213A3 (en) | Wire tying machines | |
| CN206815859U (en) | An automatic cross steel bar binding machine | |
| KR20230069154A (en) | Method and device for binding metal wires | |
| CN112720775A (en) | Continuous rib distributing device and concrete 3D printing equipment | |
| US20170066038A1 (en) | Apparatus for coupling arranged reinforcement bars | |
| KR101489506B1 (en) | Power cable guide device of electric construction machin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416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31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6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06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16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6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15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6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08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7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6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5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3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51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32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40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429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