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4968B1 - Handheld terminal - Google Patents
Handheld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54968B1 KR101054968B1 KR1020050044288A KR20050044288A KR101054968B1 KR 101054968 B1 KR101054968 B1 KR 101054968B1 KR 1020050044288 A KR1020050044288 A KR 1020050044288A KR 20050044288 A KR20050044288 A KR 20050044288A KR 101054968 B1 KR101054968 B1 KR 1010549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cket
- terminal
- earphone
- protrusion
- plu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54—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 H04M1/0258—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for a headset devic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전기 단자가 형성된 소켓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소켓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돌기부가 형성된 소켓 커버와, 소켓에 삽입되어 전기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 단자가 구비되고 돌기부가 끼워지는 돌기부 수용홈이 형성된 플러그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휴대 단말기에 플러그를 연결한 상태에서도 소켓 커버가 플러그에 밀려 찢어지거나 휴대 단말기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socket having an electrical terminal, the socket cover having a protrusion formed to open and close an opening of the socket, and a connector terminal inserted into the socket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ical terminal. And a plug having a protrusion accommodating groove into which the protrusion is inserted, thereby providing a portable terminal such that the socket cover is not torn by the plug or separa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even when the plug is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휴대 단말기, 플러그, 소켓, 소켓 커버 Handset, plug, socket, socket cover
Descrip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에 이어폰이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earphone is inserted into the mobile terminal of Figure 1;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 구비되는 이어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arphone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이어폰이 삽입된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4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into which the earphone of FIG. 3 is inserted.
도 5는 도 4의 배면 사시도.5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FIG. 4.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3 : 이어폰 소켓 130 : 이어폰113: earphone socket 130: earphone
131 : 이어폰 몸체 132 : 커넥터 단자131: earphone body 132: connector terminal
133 : 리드선 134 : 돌기부 수용홈133: lead wire 134: projection receiving groove
1400 : 이어폰 소켓 커버 1401 : 이어폰 소켓 커버 몸체1400: earphone socket cover 1401: earphone socket cover body
1402 : 돌기부 1403 : 연결부1402: protrusion 1403: connection
1404 : 돌출편1404: protrusion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켓 커버의 돌기부를 수용하는 돌기부 수용홈이 형성된 플러그를 구비함으로써 휴대 단말기에 플러그를 연결한 상태에서도 소켓 커버가 플러그에 밀려 찢어지거나 휴대 단말기로부터 분리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플러그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by having a plug having a protrusion accommodating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protrusion of the socket cover, the socket cover being torn by the plug even when the plug i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or separated from the mobile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plug that does not break away.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실내 또는 실외에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 중에도 사용할 수 있는 무선 이동 통신기기로서, 초기의 음성 송수신에 한정되었던 기능이 게임, MP3 청취, 인터넷 및 TV 시청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기기로 발전되고 있다.In general, a mobile terminal is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hat can be used indoors or outdoors by the user as well as on the go. The functions previously limited to transmitting and receiving voices perform various functions such as playing games, listening to MP3s, watching the Internet, and watching TV. Is developing into a device.
특히, MP3 기능이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휴대 단말기에 이어폰을 연결하여 듣는 경우가 잦아지고 있으며, 또한 그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소모량이 증가하여 배터리 충전 케이블을 통하여 자동차에서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여행 중에 배터리를 충전하는 일이 많아지고 있다.In particular,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MP3 function, the user often hears the earphone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and accordingly, the battery consumption of the mobile terminal increases, thereby charging the battery of the mobile terminal in a car through a battery charging cable or It is becoming increasingly popular to charge the battery while traveling.
뿐만 아니라, 휴대 단말기의 저장 용량이 크게 늘어남에 따라, PC 등에 저장된 자료를 유에스비(USB) 등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에 저장하거나, 반대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다운로드 받은 자료를 유에스비(USB) 등을 이용하여 PC에 저장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In addition, as the storage capacity of the portable terminal increases significantly, the data stored in the PC or the like may be stored in the portable terminal using a USB or the like, or conversely, the downloaded data using the portable terminal may be used using the USB. Increasingly, they are stored on a PC.
이와 같은 이어폰, 배터리 충전 케이블 또는 유에스비(USB)와 같은 플러그는 휴대 단말기 본체의 소켓에 연결하여 MP3를 청취하거나,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자료를 전송하게 된다.Plugs such as earphones, battery charging cables, or USB (USB) is connected to the socket of the portable terminal body to listen to MP3, charge the battery or transmit data.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기술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구성 및 작용 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principle of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as follows.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에 이어폰이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earphone is inserted into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 단말기(1)는, 전기 단자(미도시)가 구비된 소켓(13)이 형성된 단말기 본체(10)와, 단말기 본체(10)의 전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부(20)와, 단말기 본체(10)의 소켓(13)에 삽입되어 전기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 단자(32)가 구비된 이어폰(30)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and FIG. 2, the portable terminal 1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ncludes a terminal
여기서, 상기 단말기 본체(10)는, 단말기 본체(10)의 전면에 형성되어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번호 입력부(11)와, 단말기 본체(10)의 배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12)와, 단말기 본체(10)의 측면에 형성되고 전기 단자가 내부에 구비된 소켓(13)과, 소켓(13)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단말기 본체(10)에 연결되는 가요성 재질의 소켓 커버(14)로 구성된다.Here, the
이 경우, 상기 소켓 커버(14)는 소켓 커버 몸체(141)와, 소켓 커버 몸체(141)로부터 돌출되어 소켓(13)에 끼워지는 돌기부(142)와, 소켓 커버 몸체(141)를 단말기 본체(10)와 연결하는 연결부(143)와, 소켓 커버 몸체(141)의 일단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잡을 수 있는 돌출편(144)으로 구성된다.In this case, the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부(20)는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21)와, 표시부(21)의 하단에 구비되어 전원을 온(ON)-오프(OFF) 시키거나 메뉴를 이동시키는 버튼 입력부(22)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이어폰(30)은 이어폰 몸체(31)와, 이어폰 몸체(31)로부터 돌출되고 소켓(13)의 내부에 삽입되어 소켓(13)의 전기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 단자(32)와, 이어폰 몸체(31)로부터 연장 형성된 리드선(33)과, 리드선(33)의 끝단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는 스피커(미도시)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 단말기(1)의 작용 원리는 다음과 같다.The working principle of the portable terminal 1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which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를 이용하여 MP3를 청취하고자 하는 경우, 단말기 본체(10)의 측면에 형성된 소켓(13)의 개구를 덮고 있는 소켓 커버(14)의 돌출편(144)을 손가락으로 잡아 당기면, 소켓 커버(14)가 개방되면서 소켓(13)의 전기 단자가 노출된다.When the user wants to listen to the MP3 using the mobile terminal 1, the user grips the
따라서, 이어폰(30)의 커넥터 단자(32)를 소켓(13) 내부로 삽입하면 소켓(13)의 전기 단자와 이어폰(30)의 커넥터 단자(32)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refore, when the
그러면, 사용자는 이어폰(30)의 스피커를 귀에 삽입하여 휴대 단말기(1)를 이용하여 MP3를 청취하게 된다.Then, the user inserts the speaker of th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 단말기(1)는 소켓 커버(14)를 개방하고 이어폰(30)의 커넥터 단자(32)를 소켓(13)의 내부로 삽입한 경우 소켓 커버(14)의 돌기부(142)가 이어폰 몸체(31)에 밀려나게 되어 소켓 커버(14)의 연결부(143)에 힘이 가해지게 되므로, 연결부(143)가 끊어져서 휴대 단말기(1)로부터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portable terminal 1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when the
뿐만 아니라, 가요성 재질로 구성된 소켓 커버(14)에 변형이 발생하여 이어 폰(30)의 커넥터 단자(32)를 소켓(13)으로부터 인출하고, 소켓 커버(14)의 돌기부(142)를 소켓(13)에 삽입하고자 하는 경우 제대로 끼워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deformation occurs in the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소켓 커버의 돌기부를 수용하는 돌기부 수용홈이 형성된 플러그를 구비함으로써 휴대 단말기에 플러그를 연결한 상태에서도 소켓 커버가 플러그에 밀려 찢어지거나 휴대 단말기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by having a plug formed with a projection receiving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projection of the socket cover, the socket cover is torn or torn by the plug even when the plug is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which is not separated from the device.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기 단자가 형성된 소켓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소켓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돌기부가 형성된 소켓 커버와, 소켓에 삽입되어 전기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 단자가 구비되고 돌기부가 끼워지는 돌기부 수용홈이 형성된 플러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socket having an electrical terminal, the socket cover having a protrusion formed to open and close an opening of the socket, and inserted into the socket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ical terminal. Provided is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plug having a connector terminal and a protrusion formed with a protrusion accommodating groove into which the protrusion is fitted.
이는, 플러그의 커넥터 단자를 소켓에 삽입한 경우에 소켓 커버의 돌기부가 플러그에 형성된 돌기부 수용홈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소켓 커버를 휴대 단말기로부터 연결하는 연결부가 끊어지거나, 소켓 커버의 돌기부에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means that when the connector terminal of the plug is inserted into the socket, the protrusion of the socket cover is inserted into the protrusion accommodating groove formed in the plug, so that the connection connecting the socket cover from the mobile terminal is broken, or deformation occurs in the protrusion of the socket cover. This is to prevent them.
여기서, 상기 소켓은 이어폰 소켓으로 구성하고, 상기 플러그는 이어폰으로 구성함으로써, 이어폰의 커넥터 단자를 이어폰 소켓에 삽입한 경우 이어폰 소켓 커버를 휴대 단말기로부터 연결하는 연결부가 끊어지거나, 이어폰 소켓 커버의 돌기 부에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Here, the socket is configured as an earphone socket, and the plug is configured as an earphone, so that when the connector terminal of the earphone is inserted into the earphone socket, the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earphone socket cover from the mobile terminal is cut off, or the protrusion of the earphone socket cover. The deformation can be prevented from occurring.
뿐만 아니라, 상기 소켓은 유에스비(USB) 소켓 또는 배터리 소켓으로 구성하고, 상기 플러그는 유에스비(USB) 또는 배터리 충전 커넥터로 구성함으로써, 유에스비 또는 배터리 충전 커넥터의 커넥터 단자를 유에스비 소켓 또는 배터리 소켓에 삽입한 경우, 유에스비 소켓 커버 또는 배터리 소켓 커버를 휴대 단말기로부터 연결하는 연결부가 끊어지거나, 유에스비 소켓 커버 또는 배터리 소켓 커버의 돌기부에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ocket is configured as a USB socket or a battery socket, and the plug is configured as a USB or battery charging connector, thereby inserting the connector terminal of the USB or battery charging connector into the USB socket or the battery socket.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USB socket cover or the battery socket cover from the mobile terminal to be broken or to cause deformation of the protrusion of the USB socket cover or the battery socket cover.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 및 작용 원리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principl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owev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for clarity.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 구비되는 이어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이어폰이 삽입된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배면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earphone provided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nto which the earphone of FIG. 3 is inserted, and FIG. Back perspective view of the.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전기 단자(미도시)가 구비된 이어폰 소켓(113)이 형성된 단말기 본체(110)와, 단말기 본체(110)의 전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부(120)와, 단말기 본체(110)의 이어폰 소켓(113)에 삽입되어 전기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 단자(132)가 구비된 이어폰(130)으로 구성된다.3 to 5, the
여기서, 상기 단말기 본체(110)는, 단말기 본체(110)의 배면에 착탈 가능하 게 결합되는 배터리(112)와, 단말기 본체(112)의 측면에 형성되고 전기 단자가 내부에 구비된 이어폰 소켓(113)과, 이어폰 소켓(113)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단말기 본체(110)에 연결되는 가요성 재질의 이어폰 소켓 커버(1400)로 구성된다.Here, the
이 경우, 상기 이어폰 소켓 커버(1400)는 이어폰 소켓 커버 몸체(1401)와, 이어폰 소켓 커버 몸체(1401)로부터 돌출되어 이어폰 소켓(113)에 끼워지는 돌기부(1402)와, 이어폰 소켓 커버 몸체(1401)를 단말기 본체(110)와 연결하는 연결부(1403)와, 이어폰 소켓 커버 몸체(1401)의 일단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잡을 수 있는 돌출편(1404)으로 구성된다.In this case, the
또한, 상기 이어폰(130)은 이어폰 몸체(131)와, 이어폰 몸체(131)로부터 돌출되고 이어폰 소켓(113)의 내부에 삽입되어 이어폰 소켓(113)의 전기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 단자(132)와, 이어폰 몸체(131)로부터 연장 형성된 리드선(133)과, 리드선(133)의 끝단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는 스피커(미도시)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여기서, 상기 이어폰 몸체(131)의 측면에는 상기 이어폰 소켓 커버(1400)의 돌기부(1402)가 삽입되도록 돌기부(1402)의 외경과 같은 내경으로 형성된 돌기부 수용홈(134)이 구비된다.Here, the side of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작용 원리는 다음과 같다.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MP3를 청취하고자 하는 경우, 단말기 본체(110)의 측면에 형성된 이어폰 소켓(113)의 개구를 덮고 있는 이어폰 소켓 커 버(1400)의 돌출편(1404)을 손가락으로 잡아 당기면, 이어폰 소켓 커버(1400)가 개방되면서 이어폰 소켓(113)의 전기 단자가 노출된다.When the user wants to listen to the MP3 using the
따라서, 이어폰(130)의 커넥터 단자(132)를 이어폰 소켓(113) 내부로 삽입하면 이어폰 소켓(113)의 전기 단자와 이어폰(130)의 커넥터 단자(132)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refore, when the
그러면, 사용자는 이어폰(130)의 스피커를 귀에 삽입하여 휴대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MP3를 청취하게 된다.Then, the user inserts the speaker of the
이 경우, 상기 이어폰 소켓 커버(1400)의 돌기부(1402)를 이어폰 몸체(131)의 측면에 형성된 돌기부 수용홈(134)에 삽입하면, 이어폰 소켓 커버(1400)가 이어폰 몸체(131)에 의하여 밀리는 현상이 방지됨으로써 이어폰 소켓 커버(1400)의 연결부(1403)가 끊어지거나, 이어폰 소켓 커버(1400)의 돌기부(1402)에 변형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해결되는 것이다.In this case, when th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by way of exampl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specific embodiments, and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within the scope described in the claims.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이어폰과 이어폰 소켓의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유에스비(USB)와 유에스비 소켓의 경우 또는 배터리 충전 커넥터와 배터리 소켓의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the case of earphone and earphone socket by way of examp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the case of USB and USB socket or battery charging connector The same applies to the battery socket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소켓 커버의 돌기부를 수용하는 돌기부 수용홈이 형성된 플러그를 구비함으로써 휴대 단말기에 플러그를 연결한 상태에서도 소켓 커버가 플러그에 밀려 찢어지거나 휴대 단말기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g having a protrusion accommodating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protrusion of the socket cover, thereby preventing the socket cover from being torn by the plug or being separa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even when the plug is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To provide.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50044288A KR101054968B1 (en) | 2005-05-25 | 2005-05-25 | Handheld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50044288A KR101054968B1 (en) | 2005-05-25 | 2005-05-25 | Handheld terminal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60122221A KR20060122221A (en) | 2006-11-30 |
| KR101054968B1 true KR101054968B1 (en) | 2011-08-05 |
Family
ID=37707584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50044288A Expired - Fee Related KR101054968B1 (en) | 2005-05-25 | 2005-05-25 | Handheld terminal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054968B1 (en)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40009943A (en) * | 2002-07-26 | 2004-01-3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Open and close apparatus for earphone jack of mobile phone |
-
2005
- 2005-05-25 KR KR1020050044288A patent/KR10105496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40009943A (en) * | 2002-07-26 | 2004-01-3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Open and close apparatus for earphone jack of mobile phon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60122221A (en) | 2006-11-30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20210368253A1 (en) | Neck-strap type earphone | |
| US20200304899A1 (en) | Charging case with a built-in usb cable | |
| KR100719319B1 (en) | Connector of Portable Device for Multimedia | |
| US20120172090A1 (en) | Protective Case with Speaker and Microphone | |
| US7278877B2 (en) | Connector assembly for connecting mobile phone to peripheral device | |
| TWM459668U (en) | Protecting device for electrical device | |
| KR102241395B1 (en) | Wireless Earphones And Electronic Devices That Can Store Them | |
| KR100963886B1 (en) | Multi-usb gender assembly | |
| CN212345646U (en) | A receiver and wireless earphone product subassembly for wireless earphone | |
| JP4972697B2 (en) | Electronic equipment | |
| CN102594969A (en) | Mobile phone | |
| KR101054968B1 (en) | Handheld terminal | |
| CN204836485U (en) | Blue -tooth earphone | |
| CN204517889U (en) | A kind of mobile phone protective cover and mobile phone with function of loudspeaker box | |
| JP2006121455A (en) | Headphone, headset, and recording/reproducing system using the headphone or headset | |
| CN212305625U (en) | A Bluetooth headset charging storage box that can be used as a walkie-talkie | |
| KR100802617B1 (en) | Connecting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same | |
| CN211351041U (en) | Earphone plug | |
| CN214481160U (en) | Earphone box and electronic component | |
| CN100562228C (en) | A clamshell audio player | |
| CN220383201U (en) | Bluetooth earphone assembly | |
| CN112770304B (en) | Pairing method, wireless adapter and wireless earphone | |
| CN213990979U (en) | Earphone box and electronic component | |
| KR101331165B1 (en) | Portable device with gender | |
| KR20110000270U (en) | Multifunctional charging gender with protective cove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7080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70802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