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6307B1 - Multiline Reliability Support Hybrid Online Signature Verification System and Its Method for Various Applications - Google Patents
Multiline Reliability Support Hybrid Online Signature Verification System and Its Method for Various Application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56307B1 KR101056307B1 KR1020090054288A KR20090054288A KR101056307B1 KR 101056307 B1 KR101056307 B1 KR 101056307B1 KR 1020090054288 A KR1020090054288 A KR 1020090054288A KR 20090054288 A KR20090054288 A KR 20090054288A KR 101056307 B1 KR101056307 B1 KR 10105630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gnature
- signature verification
- distance
- input
- featur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47—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digital signature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F18/20—Analysing
- G06F18/24—Classification techniques
- G06F18/241—Classification techniques relating to the classification model, e.g. parametric or non-parametric approaches
- G06F18/2415—Classification techniques relating to the classification model, e.g. parametric or non-parametric approaches based on parametric or probabilistic models, e.g. based on likelihood ratio or false acceptance rate versus a false rejection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Abstract
다양한 응용을 위한 다기준 신뢰도 지원 하이브리드 온라인 서명검증 시스템 및 그 방법을 개시한다. 다기준 신뢰도 지원 하이브리드 온라인 서명검증 시스템은 참조서명에서 추출된 벡터와 입력서명에서 추출된 벡터 간의 거리인 특징기반 서명검증의 거리 계산 값을 산출하는 특징기반 서명검증 모듈; 상기 참조서명과 입력서명의 입력 시간 흐름에 따라 상기 참조서명과 입력서명의 차이를 누적한 거리인 함수기반 서명검증의 거리 계산 값을 산출하는 함수기반 서명검증 모듈; 및, 상기 특징기반 서명검증의 거리 계산 값과 함수기반 서명검증의 거리 계산 값을 직렬 또는 병렬로 융합하여 상기 입력서명의 진위를 판단하는 서명검증 결과융합 모듈을 포함한다.
서명검증, 다기준 신뢰도, 특징기반 서명검증, 함수기반 서명검증, 데이터 마이닝
Disclosed are a multi-criteria reliability support hybrid online signature verif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various applications. The multi-criteria reliability support hybrid online signature verification system includes a feature-based signature verification module that calculates a distance calculation value of feature-based signature verification, which is a distance between a vector extracted from a reference signature and a vector extracted from an input signature; A function-based signature verification module for calculating a distance calculation value of a function-based signature verification, which is a distance obtained by accumula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signature and the input signature according to an input time flow of the reference signature and the input signature; And a signature verification result fusion module for determining the authenticity of the input signature by fusing the distance calculation value of the feature-based signature verification and the distance calculation value of the function-based signature verification in series or in parallel.
Signature Verification, Multi-criteria Reliability, Feature-Based Signature Verification, Function-Based Signature Verification, Data Min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온라인 서명검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특징기반 서명검증 기법과 함수기반 서명검증 기법을 융합한 다기준 서명검증 신뢰도를 지원하는 하이브리드 온라인 서명검증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n on-line signature verific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hybrid on-line signature verif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multi-criterion signature verification reliability incorporating a feature-based signature verification technique and a function-based signature verification technique. will be.
디지털 펜 또는 테이블릿의 관련 기술의 발전에 따라 온라인 서명검증을 필요로 하는 분야 및 응용(은행거래, 카드거래, 전자문서결재 등)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본인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생체인식기술과 같은 목적으로 온라인 서명검증에서는 사람이 직접 디지털 펜 또는 테이블릿을 이용하여 입력한 서명의 진본 여부를 판단하여 서명을 입력한 사람이 본인인가를 확인한다. 따라서, 온라인 서명검증에서는 서명검증의 정확성 및 신속성이 중요하다.As the related technology of digital pens or tablelets develops, the fields and applications requiring online signature verification (bank transactions, card transactions, electronic document settlement, etc.) are greatly increasing. In order to verify the identity of the user, for online signature verification purposes, the digital signature or a tablelet is used to determine the authenticity of the signature entered by the person who entered the signature. Therefore, the accuracy and promptness of signature verification is important in online signature verification.
서명 검증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인식 오류는 위조서명 인증 오류(false acceptance error)와 진서명 거부 오류(false rejection error)의 2가지 유형이 존재한다. 만일, 서명검증의 정확성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위조서명 인증 오류 의 비율(false acceptance ratio: FAR)을 낮추고자 서명검증의 신뢰도 기준을 높게 설정하면 일반적으로 서명검증을 실시하기 위한 소요시간이 증가하고, 또한 진서명 거부 오류의 비율(false rejection ratio: FRR)이 증가하여 사용자 본인의 진서명을 위조서명으로 분류하여 사용자에게 불편을 초래하게 된다. 온라인 서명검증을 이용하는 여러 응용에서 같은 신뢰도 기준을 사용한다면 상대적으로 낮은 신뢰도를 필요로 하는 응용에서는 불필요하게 높은 FRR을 갖게 되고, 상대적으로 높은 신뢰도를 필요로 하는 응용에서는 불필요하게 높은 FAR를 갖는 문제가 존재하게 된다.There are two types of recognition errors that can occur in signature verification: false acceptance errors and false rejection errors. If the reliability criteria of signature verification are set high to reduce the false acceptance ratio (FAR)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accuracy of signature verification, the time required for signature verification generally increases. In addition, since the false rejection ratio (FRR) increases, the user's true signature is classified as a fake signature, causing inconvenience to the user. Using the same reliability criterion in multiple applications using online signature verification results in an unnecessarily high FRR for applications requiring relatively low reliability, and an unnecessarily high FAR for applications requiring relatively high reliability. It exists.
따라서, 다양한 서명검증의 응용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각 응용 서비스의 중요도 및 사용자 서명의 복잡도에 따라 다르게 서명검증의 신뢰도를 지원할 수 있는 다기준 신뢰도 지원의 온라인 서명검증 시스템 및 체계적인 다기준 신뢰도 설정 방법이 필요하다.Therefore, in order to support various signature verification applications, online signature verification system with multi-criteria reliability support and systematic multi-criteria reliability setup method are required to support the reliability of signature verification according to the importance of each application service and the complexity of user signatures. Do.
기존의 온라인 서명검증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방법은 크게 특징기반 서명검증 기법과 함수기반 서명검증 기법으로 나눌 수 있다. 특징기반 서명검증 기법은 참조서명을 대표하는 전체론적인 벡터와 입력서명을 대표하는 전체론적인 벡터간의 다차원 공간에서의 거리를 기반으로 입력서명의 진위를 판단하는 방법이고, 함수기반 서명검증 기법은 서명시간의 흐름에 따라 참조서명과 입력서명간의 지역적인 특징 비교의 결과를 누적시킨 거리를 기반으로 입력서명의 진위를 판단하는 방법이다. 서명검증의 신속성과 정확성을 증진하기 위한 목적으로 두 기법을 융합하여 사용한 하이브리드 시스템들이 존재한다.The methods used in the existing online signature verification system can be largely divided into feature-based signature verification and function-based signature verification. Feature-based signature verification is a method of determining the authenticity of an input signature based on the distance in multidimensional space between a holistic vector representing a reference signature and a holistic vector representing an input signature. It is a method of determining the authenticity of an input signature based on the distance accumulated between the results of local feature comparison between the reference signature and the input signature over the passage of the signature time. Hybrid systems exist that combine the two techniques to improve the speed and accuracy of signature verifica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온라인 서명검증을 필요로 하는 응용의 서비스 내용 및 중요도와 사용자 서명의 복잡도에 따라 시스템 관리자 및 사용자가 동적으로 서명검증의 신뢰도를 선택할 수 있는 특징기반 서명검증 기법과 함수기반 서명검증 기법을 융합한 다기준 서명검증 신뢰도를 지원하는 하이브리드 온라인 서명검증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eature-based signature verification technique and a function-based signature that allows a system administrator and a user to dynamically select the reliability of signature verification according to the service content and importance of an application requiring online signature verification and the complexity of the user signatu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ybrid online signature verif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multi-standard signature verification reliability incorporating signature verification techniques.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서명검증 입력도구를 이용한 실제 서명검증 데이터를 활용하여 데이터 마이닝 기술로 이상적인 다기준 신뢰도를 설정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온라인 서명검증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ybrid on-line signature verif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n ideal multi-criteria reliability using data mining technology by utilizing actual signature verification data using a signature verification input tool.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준 신뢰도 지원 하이브리드 온라인 서명검증 시스템은 참조서명에서 추출된 벡터와 입력서명에서 추출된 벡터 간의 거리인 특징기반 서명검증의 거리 계산 값을 산출하는 특징기반 서명검증 모듈; 상기 참조서명과 입력서명의 입력 시간 흐름에 따라 상기 참조서명과 입력서명의 차이를 누적한 거리인 함수기반 서명검증의 거리 계산 값을 산출하는 함수기반 서명검증 모듈; 및, 상기 특징기반 서명검증의 거리 계산 값과 함수기반 서명검증의 거리 계산 값을 직렬 또는 병렬로 융합하여 상기 입력서명의 진위를 판단하는 서명검증 결과융합 모듈을 포함한다.The multi-criteria reliability support hybrid online signature ve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eature-based signature verification module that calculates a distance calculation value of feature-based signature verification, which is a distance between a vector extracted from a reference signature and a vector extracted from an input signature. ; A function-based signature verification module for calculating a distance calculation value of a function-based signature verification, which is a distance obtained by accumula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signature and the input signature according to an input time flow of the reference signature and the input signature; And a signature verification result fusion module for determining the authenticity of the input signature by fusing the distance calculation value of the feature-based signature verification and the distance calculation value of the function-based signature verification in series or in parallel.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서명검증 결과융합 모듈은 상기 특징기반 서 명검증의 거리 계산 값을 상기 입력서명의 진위를 판단하는 하나의 기준인 특징기반 허용기준치와 비교하는 1차 검증 과정을 수행한 후, 상기 1차 검증 과정의 결과에 따라 상기 함수기반 서명검증의 거리 계산 값을 상기 입력서명의 진위를 판단하는 다른 기준인 함수기반 허용기준치와 비교하는 2차 검증 과정을 수행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gnature verification result fusion module performs a first verification process that compares the distance calculation value of the feature-based signature verification with a feature-based acceptance criterion which is one criterion for determining the authenticity of the input signature. After that, a second verification process is performed to compare the distance calculation value of the function-based signature verification with a function-based acceptance criterion, which is another criterion for determining the authenticity of the input signature,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first verification proces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서명검증 결과융합 모듈은 상기 특징기반 서명검증의 거리 계산 값에 해당하는 FAR과 함수기반 서명검증의 거리 계산 값에 해당하는 FAR을 이용하여 상기 참조서명과 입력서명의 유사도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유사도에 따라 상기 입력 서명의 진위를 판단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gnature verification result fusion module uses the FAR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calculation value of the feature-based signature verification and the FAR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calculation value of the function-based signature verification. Similarity is calculated and the authenticity of the input signatur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alculated similarity.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준 신뢰도 지원 하이브리드 온라인 서명검증 방법은 특징기반 서명검증 모듈과, 함수기반 서명검증 모듈과, 서명검증 결과융합 모듈을 포함한 하이브리드 온라인 서명검증 시스템의 다기준 신뢰도 지원 하이브리드 온라인 서명검증 방법에 있어서, 상기 특징기반 서명검증 모듈에서 참조서명에서 추출된 벡터와 입력서명에서 추출된 벡터 간의 거리인 특징기반 서명검증의 거리 계산 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함수기반 서명검증 모듈에서 상기 참조서명과 입력서명의 입력 시간 흐름에 따라 상기 참조서명과 입력서명의 차이를 누적한 거리인 함수기반 서명검증의 거리 계산 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서명검증 결과융합 모듈에서 상기 특징기반 서명검증의 거리 계산 값과 함수기반 서명검증의 거리 계산 값을 직렬 또는 병렬로 융합하여 상기 입력서명의 진위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multi-criteria reliability support hybrid online signature ver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ulti-criteria reliability support hybrid of a hybrid online signature verification system including a feature-based signature verification module, a function-based signature verification module, and a signature verification result fusion module. An online signature verification method, comprising: calculating a distance calculation value of feature-based signature verification, which is a distance between a vector extracted from a reference signature and a vector extracted from an input signature in the feature-based signature verification module; Calculating, by the function-based signature verification module, a distance calculation value of a function-based signature verification, which is a distance obtained by accumula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signature and the input signature according to an input time flow of the reference signature and the input signature; And determining the authenticity of the input signature by fusing the distance calculation value of the feature-based signature verification and the distance calculation value of the function-based signature verification in series or in parallel in the signature verification result fusion modul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입력서명의 진위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특 징기반 서명검증의 거리 계산 값을 상기 입력서명의 진위를 판단하는 하나의 기준인 특징기반 허용기준치와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특징기반 서명검증의 거리 계산 값이 상기 특징기반 허용기준치 이내이면 상기 함수기반 서명검증의 거리 계산 값을 상기 입력서명의 진위를 판단하는 다른 기준인 함수기반 허용기준치와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함수기반 서명검증의 거리 계산 값이 상기 함수기반 허용기준치 이내이면 상기 입력서명을 진서명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henticity of the input signature may be compared with a feature-based acceptance criterion, which is a criterion for determining the authenticity of the signature of the input signature. If the distance calculation value of the feature-based signature verification is within the feature-based acceptance criterion, comparing the distance calculation value of the function-based signature verification with a function-based acceptance criterion which is another criterion for determining the authenticity of the input signature; And determining the input signature as a true signature if the distance calculation value of the based signature verification is within the function-based acceptance criter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입력서명의 진위를 판단하는 단계는 데이터 마이닝을 이용하여 상기 참조서명에 대한 FRR과 FAR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된 FRR과 FAR에 따라 상기 입력서명의 진위를 판단하는 기준인 허용기준치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특징기반 서명검증의 거리 계산 값과 함수기반 서명검증의 거리 계산 값을 상기 설정된 허용기준치와 비교하여 상기 입력서명의 진위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henticity of the input signature may include calculating FRR and FAR for the reference signature using data mining, and authenticating the authenticity of the input signature according to the calculated FRR and FAR. Setting a threshold value, which is a criterion for determining, and determining the authenticity of the input signature by comparing the distance calculation value of the feature-based signature verification and the distance calculation value of the function-based signature verification with the set threshold value. .
이때, 상기 참조서명에 대한 FRR과 FAR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참조서명 간의 거리 중 최대 거리인 최대 진서명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참조서명 간의 거리 중 최소 거리인 최소 진서명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참조서명과 상기 참조서명을 위조한 가서명 간의 거리 중 최소 거리인 최소 가서명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최대 진서명 거리와 최소 진서명 거리의 비율인 최소 진서명 거리비율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최대 진서명 거리와 최소 가서명 거리의 비율인 최소 가서명 거리비율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최소 진서명 거리비율을 이용하여 FRR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최소 가서명 거리비율을 이용하여 FAR을 산출하는 단 계를 포함한다.The calculating of the FRR and the FAR for the reference signature may include calculating a maximum true signature distance, which is the maximum distance among the distances between the reference signatures, and calculating a minimum true signature distance, which is the minimum distance among the distances between the reference signatures. Calculating a minimum garish name distance, which is the minimum distance between the reference name and the goji name forging the reference name, and calculating the minimum signature distance ratio, which is the ratio of the maximum signature distance and the minimum signature distance. Calculating a minimum garish distance ratio which is a ratio of the maximum true signature distance and the minimum garish name distance; calculating a FRR using the minimum true signature distance ratio; Includes steps to calculate FAR using proportion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입력서명의 진위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특징기반 서명검증의 거리 계산 값에 해당하는 FAR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함수기반 서명검증의 거리 계산 값에 해당하는 FAR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특징기반 서명검증의 거리 계산 값에 해당하는 FAR과 함수기반 서명검증의 거리 계산 값에 해당하는 FAR을 이용하여 상기 참조서명과 입력서명의 유사도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된 유사도에 따라 상기 입력 서명의 진위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henticity of the input signature may include extracting a FAR corresponding to a distance calculated value of the feature-based signature verification and a FAR corresponding to a distance calculated value of the function-based signature verification. Calculating a similarity between the reference signature and the input signature using the FAR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calculation value of the feature-based signature verification and the FAR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calculation value of the function-based signature verification; Determining the authenticity of the input signature according to the similarity.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응용 서비스의 중요도 및 사용자 서명의 복잡도에 따라 동적으로 적절한 신뢰도 기준을 선택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온라인 서명검증의 응용별로 적절한 서명검증의 정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개인별 또는 서명입력 환경에 따라 동적으로 서명검증의 방법 및 신뢰도 기준을 다르게 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ppropriately selecting the appropriate reliability criteria according to the importance of the application service and the complexity of the user signature to perform the user authentication,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accuracy of the appropriate signature verification for each application of the online signature verification. Alternatively, the signature verification method and reliability criteria can be determined dynamically according to the signature input environmen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서명의 복잡도에 따라 사용자 개인별 서명검증 신뢰도를 선택함으로써 사용자 인증을 받도록 지원하는 응용, 서비스 타입/내용 및 서비스 중요도에 따라 사용자 인증 신뢰도를 선택하는 응용, 사용자가 사전에 등록한 환경에서는 서명검증 신뢰도를 낮게 지원하고 사용자가 사전 등록하지 않은 환경에서는 높은 서명검증 신뢰도로 사용자 인증을 하도록 자동으로 조정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응용 등에서 시스템 자동 또는 사용자 선택적으로 서명검증의 신뢰도를 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환경에 적합한 서명검증 보안성을 제 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pplication for supporting user authentication by selecting a signature verification reliability for each user according to the complexity of the user signature, an application for selecting a user authentication reliability according to service type / content and service importanc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signature verification automatically or in a user-selective manner in applications that provide a low level of signature verification reliability in a pre-registered environment and an automatic adjustment function for user authentication with a high signature verification reliability in an environment where the user does not pre-register. It can be dynamically adjusted to provide signature verification security suitable for the environment.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온라인 서명검증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온라인 서명검증 시스템에서의 참조서명의 등록 과정과 입력서명의 검증과정을 설명한다.1 illustrates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hybrid online signature ve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a registration process of a reference name and a verification process of an input signature in a hybrid online signature ve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서명 입력모듈(100)은 서명을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디지털 펜 또는 테이블릿 등으로 서명을 입력 받는 입력 장치 및 구동 소프트웨어 모듈을 의미한다.The
전처리 모듈(110)은 입력된 서명 정보를 전처리 과정을 통해 서명 입력 시간, 또는 서명의 크기에 따라 정규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특징정보 추출 모듈(120)은 서명의 진위를 판단하기 위해 주요하게 활용될 수 있는 특징 정보를 원시 서명 정보로부터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특징 정보는 문자 인식 및 이미지 인식 분야 등에서 활용되는 특징 정보를 참조하여 시스템 개발자가 경험적으로 선정할 수 있으며 데이터 마이닝 기법의 속성 선택 기법 등을 활용하여 분별력이 높은 구분 특징을 선정할 수 있다.The feature
특징기반 서명등록 모듈(130)은 특징기반 서명검증에 활용되는 속성정보의 추출 값들(즉, 특징 정보)을 특징기반 참조서명 DB(150)에 저장하고, 함수기반 서명등록 모듈(140)은 함수기반 서명검증에 활용되는 속성정보의 추출 값들(즉, 특징 정보)을 함수기반 참조서명 DB(160)에 저장한다.The feature-based
특징기반 서명검증 모듈(170)은 서명의 전체적인 형태 및 전체적인 속도, 시간 등을 특징 정보로 활용한 다차원 벡터를 구성하여 참조서명과 입력서명과의 다차원 벡터간의 거리를 계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feature-based
함수기반 서명검증 모듈(180)은 동적 타임 워핑 거리 함수(dynamic time warping distance function) 계산식 등을 이용하여 참조서명과 입력서명의 입력 시간 흐름에 따른 차이의 누적 거리를 계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function-based
서명검증 결과융합 모듈(190)은 특징기반 서명 검증의 거리 계산 값과 함수기반 서명검증의 거리 계산 값을 적절한 형태에 따라 융합하고 입력서명의 진본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서명검증 결과융합 모듈(190)은 다양한 응용을 지원하기 위해 특징기반 서명검증 모듈(170)과 함수기반 서명검증 모듈(180)의 결과 값들을 직렬 또는 병렬로 융합할 수 있으며 직렬로 융합하는 경우에도 다기준 서명검증 신뢰도를 지원하여 응용에 적합한 서명검증의 보안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The signature verifica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온라인 서명검증 시스템에서의 직렬 융합을 통한 서명검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ignature verification process through serial fusion in a hybrid online signature ve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온라인 서명검증 시스템은 특징기반 서명검증 모듈(170)과 함수기반 서명검증 모듈(180)을 통해 참조서명과 입력서명과 의 거리(Dfeature, Dfunction)를 산출한다(S201).Hybrid online signature ve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lculates the distance (D feature , D function ) between the reference name and the input signature through the feature-based
상세하게는, 특징기반 서명검증 모듈(170)은 사용자의 등록된 참조서명을 찾기 위해 특징기반 참조서명 DB(150)에서 서명자 ID로 k개의 참조 서명(k=5)을 검색한 후, 수학식 1을 통해 참조서명의 특징 정보들과 검증용 입력서명의 특징 정보들 간의 거리(Dfeature)를 계산한다.In detail, the feature-based
여기서, k는 각 참조 서명(k=1∼5)을 의미하며, Rk ,n은 k번째 참조서명의 n번째 특징 정보, Cn은 입력서명의 n번째 특징 정보를 의미한다. 그리고, CD는 참조 서명의 특징 정보와 입력서명의 특징 정보 간의 거리를 계산하는 방법으로 수학식 2와 같은 캔버라 거리(Canberra Distance)를 이용하여 산출한다. 이때, 여러 참조서명의 특징 정보들과 입력서명의 특징 정보의 거리 중 최소값을 취하는 이유는 입력서명의 특징 정보와 가장 근접한 참조서명의 특징 정보를 비교하기 위함이다. 캔버라 거리를 계산하는 방식은 값의 범주(range)와 단위(unit)가 서로 다른 특징 정보들을 정규화 시키는 효과를 갖는다.Here, k denotes each reference signature (k = 1 to 5), R k , n denote n-th feature information of the k-th reference signature, and C n denote n-th feature information of the input signature. The CD is calculated using the Canberra distance as shown in
함수기반 서명검증 모듈(180)은 사용자의 등록된 참조서명과 검증용으로 입력된 입력서명간의 유사도를 판단하기 위해 입력서명의 특징 정보들과 함수기반 참조서명 DB(160)에 있는 참조서명들의 특징 정보들 간의 누적 거리를 계산한다. 거리 계산은 동적 프로그램(dynamic program)의 한 종류인 동적 타임 워핑(Dynamic Time Warping)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다. 참조 서명들의 특징 정보들과 입력서명의 특징 정보들 간의 누적 거리(Dfunction)를 계산하는 방법은 수학식 3과 같다.The function-based
여기서, M은 함수기반 서명검증에서 사용하는 지역적인 특징 정보의 개수(M=4)이고, DTW(Rk ,m, Cm)은 k번째 참조서명(k=1∼5)의 m번째 특징 정보 Rk ,m과 입력서명의 m번째 특징 정보 Cm 사이의 거리를 동적 타임 워핑 알고리즘을 통해 구한 값이다. 이 때, 각 참조서명의 특징 정보들과 입력서명의 특징 정보 사이의 거리 중 최소값을 취하는 이유는 입력서명의 특징 정보와 가장 근접한 참조서명의 특징 정보를 비교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동적 타임 워핑 알고리즘으로 구하는 거리는 특징기반 서명검증에서 하나의 값으로 정해진 특징 정보들 간의 거리와는 달리 서명 입력시간에 따른 서명의 지역적인 속성을 점 대 점으로 비교하여 누적한 값이기 때문에 전체 거리 값의 편차가 클 수 있다. 따라서, 각 사용자에 대한 상대적인 거리를 구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함수기반 서명검증 모듈(180)은 수학식 4와 같은 방법으로 참조서명들 간의 거리(D(m)reference)를 계산하여 참조서명과 입력서명간의 거리를 참조서명들 간의 거리로 나누어서 정규화한다.Here, M is the number of local feature information (M = 4) used in the function-based signature verification, and DTW (R k , m , C m ) is the m-th feature of the k-th reference signature (k = 1-5). The distance between the information R k , m and the m-th characteristic information C m of the input signature is obtained through a dynamic time warping algorithm. In this case, the reason why the minimum value of the distance between the feature information of each reference signature and the feature information of the input signature is taken is to compare the feature information of the input signature with the feature information of the closest reference signature. And, the distance obtained by the dynamic time warping algorithm is a cumulative value compared with the point-to-point comparison of the local property of the signature according to the signature input time, unlike the distance between feature information determined as one value in the feature-based signature verification. The deviation of the distance value can be larg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ind a relative distance for each user. To this end, the function-based
여기서, D(m)reference는 특징정보 부분집합에 포함된 m번째 특징 정보로, 각 특징정보에 대해 참조 서명들간의 거리를 동적 타임 워핑 알고리즘으로 구한 값 중 최대값을 의미한다. DTW(Ri ,m, Rj ,m)은 i번째 참조 서명의 m번째 특징 정보 Ri ,m과 j번째 참조 서명의 m번째 특징 정보 Rj ,m 사이의 거리를 동적 타임 워핑 알고리즘을 통해 구한 값이다. 이때, i와 j는 같지 않다. 참조 서명들 간의 거리의 최대값으로 나누어 준 이유는 참조 서명들 간의 오차의 최대 허용범위에 대한 비율로 누적거리를 정규화하기 위함이다.Here, D (m) reference is the m-th featur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feature information subset, and means the maximum value of the values obtained by the dynamic time warping algorithm for each feature information. DTW (R i , m , R j , m ) calculates the distance between the m th characteristic information R i , m of the i th reference signature and the m th characteristic information R j , m of the j th reference signature through a dynamic time warping algorithm. The value obtained. At this time, i and j are not the same. The reason for dividing by the maximum value of the distance between the reference signatures is to normalize the cumulative distance as a ratio to the maximum allowable range of error between the reference signatures.
다시 도 2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온라인 서명검증 시스템은 서명검증 결과융합 모듈(190)에서 특징기반 서명검증 기법과 함수기반 서명검증 기법의 직렬 융합을 통해 입력서명에 대한 검증을 수행한다.Referring back to FIG. 2, the hybrid online signature ve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verification of an input signature through serial fusion of a feature-based signature verification technique and a function-based signature verification technique in the signature verification
상세하게, 직렬 융합 방법에서는 1차 검증 단계(S202)에서 특징기반 서명검증을 위해 참조서명과 입력서명과의 거리(Dfeature)를 허용 기준(θfeature)(이하, '특징기반 기준'이라 칭함)과 비교하여 특징기반 기준(θfeature)보다 크면 등록된 참조 서명과의 거리가 허용치를 벗어난 경우이므로 거짓 서명으로 판정한다. 한편, 참조서명과 입력서명과의 거리(Dfeature)가 특징기반 기준(θfeature) 이내일 경우에는 2차 검증 단계(S203)에서 함수기반 서명검증 기법으로 참조서명과 입력서명과의 거리(Dfunction)를 허용 기준(θfunction)(이하, '함수기반 기준'이라 칭함)과 비교한다. 참조서명과 입력서명과의 거리(Dfunction)가 함수기반 기준(θfunction) 이내이면 진서명으로 인증하고 다른 경우에는 거짓 서명으로 판정한다.Specifically, in the serial fusion method, the distance (D feature ) between the reference name and the input signature for the feature-based signature verification in the first verification step (S202) is referred to as a tolerance criterion (θ feature ) (hereinafter referred to as 'feature-based criterion'). If it is larger than the feature-based criterion (θ feature ), the distance from the registered reference signature is out of tolerance. On the other hand, when the distance (D feature ) between the reference name and the input signature is within the feature- based criterion (θ feature ), the distance between the reference name and the input signature (D) as a function-based signature verification method in the second verification step (S203). function ) is compared with an acceptance criterion (θ function )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unction based criterion”). If the distance between the reference signature and the input signature (D function ) is within the function-based criterion (θ function ), it is authenticated with the true signature and in other cases it is determined as a false signature.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특징기반 서명검증 기법과 함수기반 서명검증 기법을 직렬로 연결한 직렬 융합 방법을 사용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특징기반 서명검증 기법이 함수기반 서명검증 기법보다 검증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서명의 전체적인 형태 및 특성상 사용자의 등록된 참조서명과 확연하게 차이가 나는 입력서명을 빠르게 위조서명으로 판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함수기반 서명 검증에서는 사용자의 등록된 참조서명과 입력서명과의 거리를 계산하기 위해 서명 입력시간에 따른 특징 비교의 차이를 누적하여 두 서명간의 차이를 나타내는 누적 거리를 계산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형태 및 특성을 비교하여 거리로 표현하는 특징기반 서명 검증 기법보다 검증 시간이 오래 걸린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직렬 융합 방법은 1차 검증단계(S202)인 특징기반 서명검증을 성공적으로 통과한 입력서명에 대해서만 2차 검증단계(S203)에서 서명 검증시간이 오래 걸리는 함수기반 서명검증을 수행하기 때문에 확실한 위조서명을 직렬 융합의 1차 단계 검증만으로 빠르게 검출해 낼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serial fusion method in which a feature-based signature verification technique and a function-based signature verification technique are serially connected. In general, the feature-based signature verification technique is faster than the function-based signature verification technique. The overall form and characteristics of the signature make it possible to quickly determine the input signature, which is clearly different from the registered reference signature of the user, as a fake signature. That is, in the function-based signature verification, the cumulative distance representing the difference between two signatures is calculated by accumulating the difference in feature comparison according to the signature input time to calculate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s registered reference name and the input signature. Verification takes longer than feature-based signature verification, which compares features and expresses them as distances. Therefore, the serial fus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akes a function that takes a long time to verify signature in the second verification step (S203) only for the input signature that successfully passed the feature-based signature verification, which is the first verification step (S202). Because it performs the based signature verification, it has the advantage of quickly detecting the forged signatures only by the first step verification of serial fus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온라인 서명검증 시스템은 특징기반 서명검증 기법과 함수기반 서명검증 기법에서 사용하는 특징기반 기준 값(θfeature)과 함수기반 기준 값(θfunction)에 따라서 입력된 검증용 입력서명이 진서명/가서명으로 판정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특징기반 기준 값(θfeature)과 함수기반 기준 값(θfunction)을 어떻게 정하는지가 온라인 서명검증 시스템의 정확성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파라미터가 될 수 있다.Hybrid on-line signature ve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put based on the feature-based reference value (θ feature ) and the function-based reference value (θ function ) used in the feature-based signature verification method and function-based signature verification method You can control the degree to which the input signature is determined to be a true signature or a false signature. How to determine the feature-based reference value (θ feature ) and the function-based reference value (θ function ) can be an important parameter that affects the accuracy of the online signature verification system.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서명검증의 신뢰도를 설정하기 위해 데이터 마이닝 기술을 이용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data mining techniques to establish the reliability of signature verification.
데이터 마이닝 기술을 적용하기 위하여 온라인 서명검증을 이용하는 사용자로부터 진서명을 수집하고 진서명을 모방한 가서명을 수집한 후 수집된 진서명과 가서명을 학습 데이터로 활용한다. 이때, 진서명과 가서명의 개수는 다를 수 있다. In order to apply the data mining technology, the real name is collected from the user who uses the online signature verification, and the real name is collected and the real name is used as the learning data. At this time, the number of the true signature and the name of the go may be different.
도 3은 학습 데이터의 일례로, 70명의 사용자(u1~u70) 각각에 대하여 진서명 30개를 수집하고 각 진서명을 정교하게 모방한 가서명 30개를 수집한 것이다. 실제 온라인 서명검증을 위해 수집된 학습 데이터에서 각 사용자(u1)의 진서명 중 참조서명으로 사용하기 위한 참조용 진서명(301)을 k개(k=5) 선택하고 다른 나머지 진서명(25개)을 학습용 진서명(302)으로 사용한다. 그리고, 해당 사용자(u1)의 진서명을 모방한 가서명 30개는 전문위조 서명(303)으로 활용하고 다른 사용자(u2~u70)의 진서명 중에서 임의로 30개를 택해서 랜덤위조 서명(304)으로 활용한다. 이때, 전문위조 서명(303)과 랜덤위조 서명(304)를 학습용 가서명으로 사용하게 되는데, 학습용 가서명으로 전문위조 서명(303)만을 사용하거나, 필요에 따라서는 전문위조 서명(303)과 랜덤위조 서명(304)을 임의로 혼합하여 학습용 가서명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문위조 서명(303)과 랜덤위조 서명(304)이 혼합된 학습용 가서명을 '전문+랜덤 위조서명'이라 칭한다.FIG. 3 is an example of learning data, in which 30 authentic characters are collected for each of 70 users (u1 to u70), and 30 garrison names are elaborately copied from each true signature. In the training data collected for the actual online signature verification, select k (k = 5) reference character names (301) to be used as reference names among each user's (u1) certificate names, and the other character signatures (25) ) Is used as the
도 4는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이용한 FAR과 FRR 설정 방법의 전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학습 데이터에 대한 서명들간의 거리 계산 방법은 서명검증 방법 즉, 특징기반 서명검증 기법 또는 함수기반 서명검증 기법에 따라 상기에서 설명한 Dfeature와 Dfunction 계산식을 이용할 수 있다.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entire process of the FAR and FRR setting method using a data mining technique. Here, the distance calculation method between the signatures on the training data may use the above-described D feature and D function calculation methods according to a signature verification method, that is, a feature-based signature verification method or a function-based signature verification method.
먼저, 각 사용자 별로 선택한 참조용 진서명들간의 거리(Dr)를 계산하여(S401) 최대값을 max_Dr이라 정의한다. 참조용 진서명들과 학습용 진서명들간의 거리(Dg)를 계산하여(S402) 최소값을 min_Dg라고 정의하며 참조용 진서명들과 학습용 가서명들간의 거리(Df)를 계산하여(S403) 최소값을 min_Df라고 정의한다.First, the maximum value is defined as max_D r by calculating the distance D r between the reference document names selected for each user (S401). Calculate the distance (D g ) between the reference names and the learning name (S402) and define the minimum value as min_D g and calculate the distance (D f ) between the reference names and the study names (S403). ) The minimum value is defined as min_D f .
각 사용자 별로 을 계산하여 이를 해당 사용자의 '최소 진서명 거리비율'이라고 정의하고 모든 사용자의 최소 진서명 거리비율을 오름차순으로 정렬한다(S404). 각 사용자 별로 을 계산하여 이를 해당 사용자의 '최소 가서명 거리비율'이라고 정의하고 모든 사용자의 최소 가서명 거리비율을 오름차순으로 정렬한다(S405).For each user By calculating this, it is defined as the 'minimal signature distance ratio' of the user and sorts the minimum true signature distance ratio of all users in ascending order (S404). For each user By calculating this, it is defined as the 'minimum go street distance ratio' of the user and sorts the minimum go street distance ratio of all users in ascending order (S405).
그리고, 모든 사용자의 최소 진서명 거리비율 리스트에 대해 임의로 임계값을 0에서부터 차례로 올렸을 때 최소 진서명 거리비율이 해당 임계값보다 커서 진서명으로 인정받지 못하는(즉, 진서명 거부 오류(false reject error)) 사용자의 비율을 계산하여 해당 임계값에서의 FRR(false rejection ratio)로 정의한다(S406). 같은 방법으로, 모든 사용자의 최소 가서명 거리비율 리스트에 대해 임의로 임계값을 0에서부터 차례로 올렸을 때 최소 가서명 거리비율이 해당 임계값보다 작아서 진서명으로 잘못 인정되는(즉, 위조서명 인증 오류(false acceptance error)) 사용자의 비율을 계산하여 해당 임계값에서의 FAR(false acceptance ratio)로 정의한다(S407).In addition, when a threshold value is arbitrarily raised from 0 to a list of the minimum true signature distance ratios of all users, the minimum true signature distance ratio is larger than the corresponding threshold and thus cannot be recognized as a true signature (ie, a false reject error. The ratio of the user is calculated and defined as a false rejection ratio (FRR) at the corresponding threshold (S406). In the same way, when a random threshold value is raised from zero to the minimum garrison distance ratio list of all users in order, the minimum garrison distance ratio is smaller than the threshold and thus is falsely recognized as a true signature (i.e., false signature authentication error) acceptance error)) The ratio of the user is calculated and defined as a FAR (false acceptance ratio) at the threshold (S407).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서명검증의 신뢰도를 설정하기 위해 데이터 마이닝 기술을 이용하여 산출된 FRR과 FAR을 특징기반 기준 값(θfeature)과 함수기반 기준 값(θfunction)으로 활용할 수 있다.Accordingl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utilize FRR and FAR calculated using data mining techniques as feature-based reference values (θ feature ) and function-based reference values (θ function ) to set the reliability of signature verification. .
온라인 서명검증을 필요로 하는 응용에서는 응용서비스의 내용 및 중요도에 따라 다른 서명검증 신뢰도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중요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본인 인증을 하는 경우에는 높은 서명검증 신뢰도를 이용해야 하며 중요하지 않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서명검증이 형식적이거나 아예 서명검증을 하지 않고 입력된 서명을 이미지로 저장하는 것으로 만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사용자의 서명의 복잡도에 따라 다른 서명검증 신뢰도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위조가 어려운 정도의 복잡한 서명을 사용하는 사용자를 위해서는 낮은 신뢰도로 서명검증을 하고 위조가 쉬운 정도의 간단한 서명을 사용하는 사용자를 위해서는 높은 신뢰도로 서명검증을 실시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온라인 하이브리드 서명검증 시스템에서 특징기반 서명검증 기법과 함수기반 서명검증 기법을 직렬로 융합시키고 각 기법에서 사용하는 기준 값 θfeature와 θfunction를 다르게 설정하도록 허용함으로써 응용에 따라서 또는 사용자 등록 서명의 복잡도에 따라서 다른 신뢰도 기준으로 서명검증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Applications that require on-line signature verification may use different signature verification reliability depending on the content and importance of the application service. For example, if you authenticate yourself to provide important services, you should use a high degree of signature verification. If you provide non-critical services, signature verification is either formal or does not perform signature verification. You may be satisfied with storing. Also, different signature verification reliability can be used depending on the complexity of the user's signature. For example, signature verification may be performed with low reliability for users who use complex signatures that are difficult to forge, and signature verification may be performed with high reliability for users who use simple signatures that are easy to forge. Therefor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on-line hybrid signature verification system, the feature-based signature verification technique and the function-based signature verification technique are serially fused and the reference values θ feature and θ function used in each scheme are allowed to be applied. Depending on the complexity or complexity of the user registration signature, signature verification can be performed based on different reliability criteria.
일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다양한 응용의 서명검증을 지원하기 위한 체계적인 다기준 서명검증 신뢰도로 표 1과 같이 보안등급 0단계에서부터 7단계까지 총 8개의 신뢰도 기준을 설정할 수 있다. 다기준 서명검증 신뢰도는 임의로 설정한 것이 아니라 온라인 서명검증 데이터 집합을 대상으로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도 3과 도 4를 참조로 설명한 방법을 이용하여 체계적으로 설정한 신뢰도 기준 값들이다.For exampl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otal of eight reliability criteria can be set from 0 to 7 security levels as shown in Table 1 as a systematic multi-standard signature verification reliability to support signature verification of various applications. The multi-criterion signature verification reliability is not set arbitrarily, but is a reliability reference value systematically set by using the metho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by using a data mining technique for an online signature verification data set.
보안등급 0단계에서는 검증용 입력서명에 대해서 실제 검증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도 진서명으로 인증하는 단계이며, 보안등급 1단계에서는 직렬 융합의 첫 번째 단계인 특징기반 서명 검증 단계만 수행하는 단계이며, 보안등급 2단계에서는 이후 특징기반 서명 검증을 위한 신뢰도 기준은 보안등급 1단계와 같게 설정하고 두 번째 함수기반 서명검증 단계의 서명검증 신뢰도 기준을 보안등급 7단계까지 점차적으로 높여가는 방법으로 다기준을 설정한 것이다. 표 1에서 FAR은 위조서명 인증 오류의 비율(false acceptance ratio)을 의미하며 FRR은 진서명 거부 오류의 비율(false rejection ratio)을 의미한다. EER(equal error ratio)은 위조서명 인증 오류의 비율과 진서명 거부 오류의 비율이 같은 지점을 의미한다.In
설정된 다기준 서명검증 신뢰도의 각 보안등급 선정 이유 및 활용가능 분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The reasons for selecting each security level and the applicable fields of the established multi-criterion signature verification reliability are as follows.
보안등급 ⓞ: 검증을 위해 입력된 검증용 입력서명에 대해서 서명검증을 실시하지 않고 모두 인증과정을 통과한 것으로 인정한다. 즉, 직렬 융합에서 무조건 첫 번째 단계와 두 번째 단계를 통과한 것으로 해석하여 입력된 검증용 입력서명이 모두 진서명으로 인위적으로 판정되도록 하는 보안등급으로서 이는 보안검증을 위한 실제 서명검증이 필요 없고 입력된 서명을 단순하게 저장하는 응용에서 활용할 수 있다.Security level ⓞ: All the input signature for verification entered for verification does not carry out signature verification. In other words, in the serial fusion, the security level is interpreted as having passed the first and second steps unconditionally, so that all input verification input signatures are artificially determined as true signatures, which does not require actual signature verification for security verification. It can be used in applications that simply store the signed signature.
보안등급 ①: 직렬 융합에서 2차 검증과정을 거치지 않고 1차 검증과정만 통과하면 진서명으로 판정하는 보안등급으로서 서명의 전체적인 형태 및 특징만 유사하면 진서명으로 인정을 하는 보안등급이다. 즉, 직렬융합의 첫 번째 단계인 특징기반 서명검증 기법에서는 위조서명을 빠르게 기각시키는 것이 주요 목적이므로 가능한 진서명 거부 오류(false reject error)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FRR=0인 최소 거리 값을 θfeature 값으로 활용한다(도 5 참조). 이 보안등급은 서명의 전체적인 형태 및 글로벌 특징들로만 유사도를 비교하는 특징기반 서명 검증기법만을 이용하여 빠르게 온라인 서명의 진위를 판단하는 응용에서 활용할 수 있다. Security level ①: It is a security level that is determined as a true signature if only the first verification process is passed without the second verification process in serial fusion. It is a security level that recognizes as a true signature if the overall form and characteristics of the signature are similar. That is, in the feature-based signature verification technique, which is the first step of serial fusion, the main purpose is to quickly reject the counterfeit signature.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possible false reject error, the minimum distance value of FRR = 0 is calculated. feature It is used as a value (see FIG. 5). This security level can be used in applications that quickly determine the authenticity of online signatures using only feature-based signature verification techniques that compare similarities only with the overall form and global characteristics of the signature.
보안등급 ②: 직렬융합의 1, 2차 검증과정을 모두 사용하는 보안등급 중 가장 낮은 신뢰도를 갖는 보안등급으로 보안등급 ①의 θfeature 값으로 특징기반 서명검증을 수행하고 이를 통과한 서명에 대해서는 추가적으로 함수기반 서명검증을 수행한다. 함수기반 서명검증 기법의 기준 θfunction 값은 전문위조 서명과 랜덤위조 서명을 임의로 혼합한 '전문+랜덤 위조 서명'을 학습용 가서명으로 사용하여 구한 FRR과 FAR이 같아지는 지점(EER)의 거리 값으로 설정한다(도 6 참조). 이 보안등급은 서명의 전체적인 형태 및 글로벌 특징들만으로 유사도를 비교하는 특징기반 서명 검증기법을 통과한 서명에 대해서 서명 시간의 흐름에 따른 특징을 비교하여 좀 더 정확하게 입력서명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려는 응용에서 사용할 수 있다.Security level ②: The lowest security level among the security levels that use both the first and second verification processes of serial convergence. Θ feature of
보안등급 ③: 보안등급 ②와 유사하지만 함수기반 서명검증 기법의 기준 θfunction 값을 설정하기 위한 학습용 가서명으로 전문위조 서명만을 이용하여 FRR과 FAR이 같아지는 지점(EER)의 거리 값으로 설정한다. 학습용 가서명에 전문위조 서명만을 포함시키므로 랜덤위조 서명을 포함시킨 경우보다 FAR이 높아지므로 ERR지점이 낮아지는 효과가 있다(도 6 참조). 즉, 좀 더 정확한 함수기반 서명 검증을 통해 직렬융합의 2차 검증과정을 실시할 필요가 있는 응용에서 사용할 수 있다. Security level ③: Based on the
보안등급 ④: 보안등급 ③과 유사하지만 함수기반 서명검증 기법의 기준 θfunction 값을 설정하기 위한 학습용 가서명으로 전문위조 서명만을 이용하여 FAR이 7%인 지점의 거리 값으로 설정한다(도 6 참조). FAR을 7%로 설정한 근거는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집된 서명검증 데이터 집합(서명 시간 t에 따른 좌표 값 (x,y)와 압력 값 p로 원시 데이터 구성)에 대해 현재까지 개발된 다양한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이용하여 분류할 때 실험 결과에 의하면 정확도가 최대 93% 정도 값을 갖는 것으로 조사된다. 따라서, 허용 오류 정도를 7%로 설정한 것이다. 이 보안등급은 서명검증을 위해 사용되는 서명 입력장치가 서명시간에 따른 좌표 값과 압력 값을 제공하는 경우에 사용하면 적당하다. Security level ④: ③ security level is similar but based on function-based signature verification techniques θ function It is set as the distance value of the point where the FAR is 7% using only the fake signature as a learning name for setting the value (see FIG. 6). The reason for setting the FAR to 7% is based on various developments to date for the signature verification data set (coordinate value (x, y) and pressure value p according to signature time t) collected as described in FIG. When classified using the data mining techniqu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accuracy is up to 93%. Therefore, the tolerance level is set to 7%. This security level is appropriate when the signature input device used for signature verification provides coordinate and pressure values over the signature time.
보안등급 ⑤: 보안등급 ④와 유사하지만 함수기반 서명검증 기법의 기준 θfunction 값을 설정하기 위한 학습용 가서명으로 전문위조 서명만을 이용하여 FAR이 2%인 지점의 거리 값으로 설정한다(도 6 참조). FAR을 2%로 설정한 근거는 서명검증 알고리즘의 성능을 비교하기 위해 사용되는 이상적인 서명검증 데이터 집합(서명시간 t에 따른 좌표 값 (x,y), 압력 값 p, 펜의 각도, 펜의 기울기로 구성된 SVC 2004 데이터)에 대해 현재까지 개발된 다양한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이용하여 분류할 때 실험 결과에 의하면 정확도가 최대 98% 정도 값을 갖는 것으로 조사된다. 따라서, 허용 오류 정도를 2%로 설정한 것이다. 이 등급은 서명 시간에 따른 좌표 값과 압력 값 이외로 펜의 각도 및 기울기 등을 제공할 수 있는 서명 입력장치를 사용하는 응용을 위한 서명검증 신뢰도로 사용할 수 있다.Security level ⑤: Similar to
보안등급 ⑥: 보안등급 ⑤와 유사하지만 함수기반 서명검증 기법의 기준 θfunction 값을 설정하기 위한 학습용 가서명으로 전문위조 서명만을 이용하여 FAR이 1%인 지점의 거리 값으로 설정한다(도 6 참조). FAR을 1%로 설정한 근거는 현재까지 연구되어 실제로 개발된 서명검증 알고리즘들의 정확성 목표가 99%정도이다. 따라서, 허용 오류 정도를 1%로 설정한 것이다. 이 등급은 현재의 서명검증 기술이 목표로 하는 신뢰도 수치이므로 높은 서명검증 신뢰도를 필요로 하는 응용에서 사용할 수 있다.Security level ⑥: Similar to security level ⑤, but based on function-based signature verification technique θ function It is set as the distance value of the point where FAR is 1% using only a fake signature as a learning name for setting a value (see FIG. 6). The reason for setting FAR to 1% is about 99% accuracy target of signature verification algorithms studied so far. Therefore, the tolerance level is set to 1%. This class is the reliability figure targeted by current signature verification techniques and can be used in applications that require high signature verification reliability.
보안등급 ⑦: 보안등급 ⑥과 유사하지만 함수기반 서명검증 기법의 기준 θfunction 값을 설정하기 위한 학습용 가서명으로 전문위조 서명만을 이용하여 FAR이 0%인 지점의 거리 값으로 설정한다(도 6 참조). FAR이 0%라는 의미는 위조서명을 잘못 분류하여 진서명으로 인증하는 경우가 확률적으로 발생하지 않음을 의미하는 기준이므로 특징기반 서명검증으로는 FRR=0인 지점을 기준으로 사용하고 함수기반 서명검증에서는 FAR=0인 지점을 기준으로 사용함으로써 완벽한 정확성을 갖는 서명검증 기준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등급에서는 서명의 일관성이 떨어지는 사용자 본인도 쉽게 통과하지 못하는 서명검증 신뢰도이다. 즉, 매우 중요한 서비스를 제공하여 사용자 본인 확인이 중요한 응용에서 사용할 수 있다. Security level ⑦: Similar to security level ⑥, but based on function-based signature verification technique θ function It is set as the distance value of the point where FAR is 0% using only a fake signature as a learning name for setting a value (see FIG. 6). Since 0% of FAR means that false signatures are incorrectly classified and authenticated as true signatures, it is not a probability. Therefore, the feature-based signature verification is based on the point where FRR = 0. In the verification, it can be said that the signature verification criteria with perfect accuracy by using the point with FAR = 0. Thus, in this class, the signature verification reliability is not easily passed by the user who is inconsistent with the signature. In other words, it provides a very important service can be used in applications where user identification is important.
도면 7은 특징기반 서명검증 기법에 의한 거리 값과 함수기반 서명검증 기법에 의한 거리 값을 융합해서 사용자의 참조서명과 검증용 입력서명간의 유사도 값(0 ~100)을 출력하는 병렬 융합 과정을 표현한 것이다.7 illustrates a parallel fusion process of outputting a similarity value (0 to 100) between a user's reference name and a verification input signature by fusing a distance value by a feature-based signature verification technique and a distance value by a function-based signature verification technique. will be.
먼저, 특징기반 서명검증 기법과 함수기반 서명검증 기법에 따른 참조서명과 입력서명과의 거리(Dfeature, Dfunction)를 산출한다(S701). 참조서명과 입력서명과의 거리(Dfeature, Dfunction)를 산출하는 과정은 도 2를 참조로 설명한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4에 의한 산출 방식과 동일하다.First, a distance (D feature , D function ) between the reference name and the input name according to the feature-based signature verification technique and the function-based signature verification technique is calculated (S701). The process of calculating the distance (D feature , D function ) between the reference name and the input name is the same as the calculation method according to
그리고, 특징기반 서명검증을 위해 참조서명과 입력서명과의 거리(Dfeature)에 해당하는 FAR feature 값을 추출하고(S702) 함수기반 서명검증을 위해 참조서명과 입력서명과의 거리(Dfunction)에 해당하는 FAR function 값을 추출한다(S703).And, for the feature-based signature verification, FAR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reference name and the input name (D feature ) Extract the feature value (S702) and FAR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reference name and the input name (D function ) for function-based signature verification The function value is extracted (S703).
특징기반 서명검증 기법의 검증결과(FAR feature)와 함수기반 서명검증 기법의 검증결과(FAR function)를 이용하여 서명진위 판단을 위한 참조서명과 입력서명 간의 유사도를 산출한다(S704). 이때, 참조서명과 입력서명 간의 유사도(Similarity)는 수학식 5와 같이 정의할 수 있다.Verification result of feature-based signature verification technique (FAR) feature ) and verification results of function-based signature verification (FAR) A similarity between the reference signature name and the input signature name for determining the signature authenticity is calculated using a function ) (S704). In this case, the similarity between the reference name and the input name may be defined as shown in Equation 5.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특징기반 서명검증 기법의 검증결과(FAR feature)와 함수기반 서명검증 기법의 검증결과(FAR function)를 통합하여 하나의 유사도 값으로 사용자에게 제시하므로 두 기법의 서명검증 결과를 보완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융합 방법이며, 입력서명이 사용자의 등록된 참조서명과 어느 정도 유사한지를 보고 서명의 진위 여부를 퍼지(fuzzy) 단계로 표현하려는 응용에 적합하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tegrates the FAR feature of the feature- based signature verification technique and the FAR function of the function-based signature verification technique and presents them to the user as one similarity value. Is a fusion method that can be used as a complementary method, and is suitable for the application that wants to express the authenticity of the signature in a fuzzy step by seeing how similar the input signature is to the registered reference signature of the user.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준 신뢰도 지원 하이브리드 온라인 서명검증 시스템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8 and 9 illustrate an example of a user interface for a multi-criteria reliability support hybrid online signature ve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온라인 서명검증을 필요로 하는 응용의 특성 및 서비스 중요성, 또는 사용 자 서명의 복잡성 및 반복 일관성 정도에 따라 신뢰도에 따른 서명의 진위 판단 결과를 출력하는 인터페이스(도 8) 또는 입력서명과 등록된 참조서명과의 유사도 값을 출력하는 인터페이스(도 9)를 구성할 수 있다. 다기준 서명검증 신뢰도를 기준으로 하는 경우에는 신뢰도 버튼(801)을 선택하고 유사도를 기준으로 fuzzy한 결정을 하고자 할 때는 유사도 버튼(901)을 선택한다. 이러한 버튼 선택은 사용자가 매뉴얼 방식으로 선택할 수도 있고 상황 파악을 한 후에 시스템이 동적으로 자동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다기준 신뢰도를 선택한 경우(도 8)에는 적절한 보안등급을 관리자가 설정할 수도 있으며 시스템이 환경에 따라 동적으로 보안등급을 선택할 수도 있다. 유사도를 선택한 경우(도 9)에는 출력된 유사도 값에 따라 입력서명의 진위 여부를 fuzzy하게 결정할 수 있다.Interface to output the authenticity of the signature according to the reliabilit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and service importance of the application requiring the online signature verification, or the complexity and repetitive consistency of the user signature (FIG. 8) or the input signature and the registered reference signature It is possible to configure the interface (Fig. 9) for outputting a similarity value with. In the case of multi-criterion signature verification reliability, the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특정기반 서명검증 기법과 함수기반 서명검증 기법을 융합하여 다기준 신뢰도를 지원할 수 있으며 시스템에 의한 자동 또는 사용자 선택적으로 서명검증의 신뢰도를 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온라인 서명검증의 응용 환경에 적합한 서명검증의 정확성 및 보안성을 지원할 수 있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ort multi-criteria reliability by fusing a specific-based signature verification technique and a function-based signature verification technique, and enable on-line signature verification by dynamically adjusting the reliability of signature verification by the system automatically or user-selectively. It can support the accuracy and security of signature verification suitable for the application environmen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computer readable media including program instructions for performing various computer implemented operations.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The media may be program instructions that ar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DVDs, and magnetic disks, such as floppy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cod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specific embodiment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nd the like.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all of the equivalents or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will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온라인 서명검증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1 illustrates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hybrid online signature ve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온라인 서명검증 시스템에서의 직렬 융합을 통한 서명검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ignature verification process through serial fusion in a hybrid online signature ve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다기준 신뢰도를 설정하기 위하여 활용되는 학습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3 is a diagram for describing learning data used to set multi-criteria reliability. FIG.
도 4는 데이터 마이닝 기술을 이용한 다기준 신뢰도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method of setting multi-criteria reliability using data mining technology.
도 5와 도 6은 보안등급에 따른 다기준 서명검증 신뢰도 설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and 6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multi-criterion signature verification reliability setting process according to the security level.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온라인 서명검증 시스템에서의 병렬 융합을 통한 서명검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ignature verification process through parallel fusion in a hybrid online signature ve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준 신뢰도 지원 하이브리드 온라인 서명검증 시스템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8 and 9 illustrate an example of a user interface for a multi-criteria reliability support hybrid online signature ve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70: 특징기반 서명검증 모듈170: feature-based signature verification module
180: 함수기반 서명검증 모듈180: function based signature verification module
190: 서명검증 결과융합 모듈190: Signature verification result fusion module
Claims (9)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90054288A KR101056307B1 (en) | 2009-06-18 | 2009-06-18 | Multiline Reliability Support Hybrid Online Signature Verification System and Its Method for Various Application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90054288A KR101056307B1 (en) | 2009-06-18 | 2009-06-18 | Multiline Reliability Support Hybrid Online Signature Verification System and Its Method for Various Applications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00136100A KR20100136100A (en) | 2010-12-28 |
| KR101056307B1 true KR101056307B1 (en) | 2011-08-11 |
Family
ID=43510218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90054288A Expired - Fee Related KR101056307B1 (en) | 2009-06-18 | 2009-06-18 | Multiline Reliability Support Hybrid Online Signature Verification System and Its Method for Various Applications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056307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4200239A (en) * | 2014-09-09 | 2014-12-10 | 河海大学常州校区 | Image feature fusion identification based signature authentic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17069553A1 (en) * | 2015-10-23 | 2017-04-27 | 주식회사 피노텍 | Non-facing financial service system using user confirmation apparatus using parallel signature processing, and handwriting signature authentication technique |
| KR200485621Y1 (en) * | 2017-05-22 | 2018-02-02 | 주식회사 피노텍 | User certification device with signature parallel processing |
-
2009
- 2009-06-18 KR KR1020090054288A patent/KR101056307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Non-Patent Citations (3)
| Title |
|---|
| J. Fierrez-Aguilar et al., "An On-Line Signature Verification System Based on Fusion of Local and Global Information", Springer-Verlag Berlin Heidelberg, AVBPA 2005, LNCS 3546, pp. 523- 532, 2005* |
| J. J. Igarza et al., "Online Handwritten Signature Verification Using Hidden Markov Models", 4-th International Conference Document Analysis and Recognition, 1997* |
| L. Nanni et al., "A Novel Local On-line Signature Verification System", Elsevier, Patten Recognition Letters 29, pp. 559-568, 2008*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4200239A (en) * | 2014-09-09 | 2014-12-10 | 河海大学常州校区 | Image feature fusion identification based signature authentic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00136100A (en) | 2010-12-28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1516223B2 (en) | Secure personalized trust-based messages classification system and method | |
| US8041956B1 (en) | Method and system for biometric authentication | |
| US8520903B2 (en) | Method and system of accounting for positional variability of biometric features | |
| US7787695B2 (en) | Method for applying a signature simplicity analysis for improving the accuracy of signature validation | |
| JP5285432B2 (en) | Rolling regist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ture verification | |
| US7690032B1 (en) | Method and system for confirming the identity of a user | |
| CN108053545B (en) | Certificate verification method and device, server and storage medium | |
| JPH10105655A (en) | Method and system for verification and correction for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 |
| CN109492382B (en) | Single input box login verification method | |
| EP4492843A2 (en) | Using an enrolled biometric dataset to detect adversarial examples in biometrics-based authentication system | |
| CN105825553A (en) | Voice print verifying method and system | |
| CN112818300A (en) | Electronic contract generating method and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 |
| KR101056307B1 (en) | Multiline Reliability Support Hybrid Online Signature Verification System and Its Method for Various Applications | |
| CN110135326A (en) | A kind of identity identifying method, electronic equipment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 |
| CN113569839A (en) | Certificate identification method, system, device and medium | |
| JP6146209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 recognition method, and program | |
| US20230282032A1 (en) | Methods and systems for signature verification | |
| Boutellaa et al. | Improving online signature verification by user-specific likelihood ratio score normalization | |
| CN115604008B (en) | Occupational identity verification method and system | |
| EP2254093A1 (en) | Method and system for confirming the identity of a user background of the invention | |
| Khalifa et al. | Exploration of the Choquet integral for the fusion of biometric modalities | |
| KR102194366B1 (en) | Electronic device for generating verification model used to verify a user's signature | |
| Moon et al. | A hybrid online signature verification system supporting multi-confidential levels defined by data mining techniques | |
| US20230004630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uthenticating handwritten signature using multiple authentication algorithms | |
| CN107292146B (en) | User feature vector selection method and system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12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6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Not in force date: 2017080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70805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