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9015B1 - Multimedia craft souvenir with sound and video output - Google Patents
Multimedia craft souvenir with sound and video outpu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59015B1 KR101059015B1 KR1020080101164A KR20080101164A KR101059015B1 KR 101059015 B1 KR101059015 B1 KR 101059015B1 KR 1020080101164 A KR1020080101164 A KR 1020080101164A KR 20080101164 A KR20080101164 A KR 20080101164A KR 101059015 B1 KR101059015 B1 KR 10105901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ultimedia
- sound
- decorative
- souvenir
- craf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5/00—Musical or noise- producing devices for additional toy effects other than acoustical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3/00—Toy figures with self-moving parts, with or without movement of the toy as a whole
- A63H13/20—Toy roundabouts with moving figures; Toy models of fairs or the like, with moving figur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006—Dolls provided with electrical lighting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36—Details; Accessories
- A63H3/50—Frames, stands, or wheels for dolls or toy animal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36—Details; Accessories
- A63H3/52—Dolls' houses, furniture or other equipment; Dolls' clothing or footwear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200/00—Computerized interactive toys, e.g. do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공예 기념품에 관한 것으로, 그 기술구현의 목적은 다양한 놀이모습 내지 형상적 이미지를 역동성(力動性)을 갖는 케릭터 인형으로 형상화하여, 여기에, 기구적 제어수단인 구동장치, 그리고, 각종 영상 및 음향 데이터를 저장하고, 그 저장된 데이터의 입,출력 관계를 컨트롤하는, 멀티미디어 제어장치를 더 구비되게 하여, 단순 기념물품으로서 뿐만 아니라, 첨단 정보기술이 접목된 형태로서, 시,청각적인 효과를 통해 민속 문화를 간접 체험하고 학습할 수 있도록 한, 음향 및 영상 출력기능을 갖는 멀티미디어 공예 기념품을 제공함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uvenir for multimedia crafts, and the object of the technical implementation is to form a character doll having various dynamics and shape images into a dynamic character, wherein the driving device is a mechanical control means, and It is equipped with a multimedia control device that stores various video and audio data, and controls the input and output relations of the stored data, and is not only a simple monument but also a form incorporating advanced information technology. It is to provide a multimedia craft souvenir with sound and video output function, which enables the indirect experience and learning of folk culture through the effects.
이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상부면이 개방되고, 내측면에 설치공간부가 형성되며, 그 측면둘레가 투명보호창으로 이루어진 장식케이스;An upper surface of which is opened and an installation space portion is formed on an inner side thereof, and a decorative case having a side surface formed of a transparent protective window;
상기 투명호보창 내측면 둘레에 설치되는 액정모니터;A liquid crystal monitor installed around an inn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hobo window;
상기 설치공간부 중앙부에 직립설치되는 회동축을 구비한 구동모터;A drive motor having a rotating shaft installed upright in the center of the installation space;
상기 구동모터의 회동축 상단부에 결합되는 장식판;A decorative plate coupled to an upper end of a rotation shaft of the driving motor;
상기 장식물 설치공에 탈,부착 결합되는 케릭터 장식물; A character ornament that is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ornament installation hole;
그리고, 상기 장식케이스의 설치공간부 내측 일면에 장착되는 멀티미디어 제어장치를 구비되게 함으로서, 달성된다.And, it is achieved by having a multimedia control device mounted on one inner surface of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decorative case.
Description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공예 기념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물놀이, 농악, 산조(散調) 등과 같은 전통 민속음악의 연주모습, 또는, 제기차기, 널뛰기, 강강술래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민족 고유의 놀이모습을 장식적 물품형태를 갖는 미니어처(Mminiature)로 제작하고, 여기에 프로그램화된 음향재생기능과 모니터를 통한 영상출력기능을 부여되도록 하여, 시,청각적인 효과를 통해 민속 문화를 간접 체험할 수 있도록 한 음향 및 영상 출력기능을 갖는 멀티미디어 공예 기념품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media craft souvenir, and more particularly, to the playing of traditional folk music such as Samulnori, Nongak, Sanjo, etc. The figure is made into a miniature with a decorative item shape, and the program is provided with a sound reproduction function and a video output function through a monitor, so that the folk culture can be indirectly experienced through visual and auditory effect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media craft souvenir with sound and video output function.
사람, 동물, 건축물, 기하학 도형 등, 기타 다양한 형태의 형상적 이미지를 장식적 소품으로 축소화 시켜 제작한 일반적 기념용도로서의 공예품, 여기서도 특히, 민속공예품이라 함은 자신들의 삶의 터전에서 이루어지는 생활의 풍습과 감정, 취미 및 기호 따위 등에 맞추어 제작한 실용적인 형태의 조형 예술품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민속공예품은 크게 서민적 문화유산인 고(古) 민예품과, 고(古) 민예품의 장점을 현대생활에 연장,적응시킨 신작민예품으로 나눌 수 있다. Crafts as general souvenirs made by miniaturizing various images of figures such as people, animals, buildings, geometric figures, etc. into decorative props, and in particular, folk crafts are customs of life in the place of their lives. It refers to a practical form of art created in accordance with emotions, feelings, hobbies and preferences, and these folk crafts extend the advantages of old folk arts, which are common cultural heritages, and old folk arts to modern life. It can be divided into adapted new folk arts.
특히, 여기서, 옛 장인(匠人)들이 땀과 혼을 담아 수공(手) 제작한 물건들을 고민예품으로 분류하여, 이를, 유산(遺産)적 가치와, 그에 따른 원형 보존, 그리고, 계승(繼承)적 차원에 중점을 두고 취급된 것이 일반적인 것이었으나, 현대에 이르러서는, 상기한 고 민예품의 소박한 미(渼)가 많은 사람의 기호에 맞게 되자, 이러한 민속공예품은 일반, 대중화되어, 세계적으로 자신들의 전통문화 내지 풍습를 알리는 도구로서, 유행하게 되었고, 그에 따라 현재 각 국가 또는 지방 차원에서, 그 지역 전통에 바탕을 둔 신작민예품이 양산되고 있으며, 그 일 예로, 서아시아의 도자기,염직물, 동,북유럽이나 러시아의 목공품, 서유럽의 금속공예품, 남유럽의 피혁제품 등에서 그 뿌리깊은 민속의 전통을 엿볼 수 있는 것이다.In particular, here, the old artisans classify the hand-crafted items with sweat and soul as distressed artefacts, which are the heritage values, the preservation of the archetypes, and the succession. Although it was common to be treated with an emphasis on the dimensional dimension, in modern times, when the above-mentioned simple beauty of folk crafts fits the tastes of many people, these folk crafts are generalized, popularized, As a tool to inform traditional culture or custom, it has become popular and accordingly, new national crafts based on local traditions are being produced at each national or local level. For example, ceramics, textiles, east and northern Europe of West Asia. You can get a glimpse of its deeply rooted folklore in Russian woodwork, Western European metalwork, and leather goods in Southern Europe.
이에, 수많은 분야의 신작민예품에 있어서, 특히, 국,내외 관광객을 대상으로 우리나라의 전통문화 내지 풍습 등을 알리기 위해 제작, 판매되는 장식용 공예품, 즉, 관광기념품의 일반적 구성을 살펴보면;Thus, in the new folk crafts of many fields, in particular, look at the general configuration of decorative crafts, that is, tourist souvenirs produced and sold to inform the domestic and foreign tourists of the traditional culture or customs;
이는, 통상, 문화적 호기심을 시각적으로 가장 효과 있게 충족시킬 수 있는 형태로서, 신분에 따라 전통 의복을 차려입고, 다양한 모습의 장식적 포즈를 취하고 있는 각종 인형, 혹은, 각종 전통악기 내지 전통 생활도구 등을 장식적인 물품형태로 소형화하여, 미니어처(Mminiature)로 제작한 기념품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 실정이다. This is usually a form that can most effectively satisfy cultural curiosity, and is a variety of dolls dressed in traditional clothes according to their status and posing decorative poses of various shapes, or various traditional instruments or living tools. Miniaturized in the form of decorative items, souvenirs made in miniature (Mminiature) is the mainstream.
하지만, 상기와 같이 축소된 모형 구조를 이루는 전통공예품(기념품)으로서의 인형 내지 각종 미니어처(Mminiature) 등의 기념품은, 단순한 고정식 장식물에 불과한 것으로, 이는, 사용자에게 방문국가 내지 방문지역을 추억할 수 있는 기념적 기능과, 기타, 시각적인 호기심을 만족시키는 기능을 행하는 것이기는 하나, 이 와 같은 단순 추억 및 시각적 측면의 장식기능 이외에는, 별도의 부가적 기능은 전혀 행하지 못하는 것으로, 이에, 사용자에게 쉽게 식상 함을 갖게 하는 것이었으며, 특히, 그 미니어처(Mminiature) 기념품이, 사용용도를 쉽게 파악할 수 없는 전통악기 내지 생활도구 등의 장식물일 경우에 있어서는, 일부, 사용자(외국인 등)들에게 그 기념품의 용도에 대한 의아심만을 자아내게 할 뿐, 그 물품의 사용용도 내지 기능 등에 관하여는 결코 설명할 수 없는, 제한적인 취급상의 문제점을 상존되게 하는 것이다. However, souvenirs such as dolls and various miniatures (miniatures) as the traditional crafts (souvenirs) forming the reduced model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are merely fixed decorations, which can remind the visited country or region of visit to the user. Although it performs a memorial function and other functions that satisfy visual curiosity, except for such simple memories and decorative functions of visual aspect, it does not perform any additional functions at all, thus making it easy for the user to eat food. In particular, when the miniature souvenir is a decoration such as a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 or a living utensil that cannot be easily used, the use of the souvenir may be used by some users (foreigners, etc.). It only raises doubts about the use of the product, and it does not explain the purpose or function of the item. It can not, that would be the lingering problems of limited handling.
한편, 근래에는 장식적 용도로 이용되는, 종래 민속공예품의 일부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서, 본원 발명자에 의해 선출원 등록(특허등록 제0346041호)된 "멜로디 재생장치를 갖는 민속공예품"이 창안된바 있다.On the other hand, recently solved som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folk crafts, which are used for decorative purposes, the "folk crafts having a melody playback device" has been invented by the inventor of the present application (Patent No. 0346041). .
하지만, 이와 같은 선등록 기술로서의 "멜로디 재생장치를 갖는 민속공예품" 은 그 장식물로서의 대상이 장구 내지 북과 같은 우리 민족 고유의 전통 타악기에 한정되고, 단순히, 그러한 타악기의 원음을 저장한 후, 그 저정된 음향을 출력되게 하는 기능만을 행하는 것으로, 이에, 장식물품의 적용범위가 매우 제한적일 수밖에 없는 것이었으며, 아울러, 이와 같은, 물품적용의 한정성과 기능적 측면의 제한된 문제로 인해, 활용가치 또한 상대적으로 반감될 수밖에 없는 등, 예견하지 못한 또 다른 문제점 등을 상존되게 하는 것이다. However, the "folk crafts with melody reproducing apparatus" as such a pre-registered technology is limited to traditional percussion instruments unique to our nation, such as Janggu or Drum, and simply stores the original sound of such percussion instruments. It only functions to output the stored sound, and thus the scope of application of the decorative article is very limited, and also, due to the limited problems of the application and limited functional aspects, the utilization value is also relatively high. Another problem that could not be foreseen, such as being foreseen, is to exist.
따라서, 본 발명은 장식적 기념물품으로 이용되는 종래 공예기념품의 제한적 기능과 활용 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 of the limited function and utilization of the conventional craft souvenirs used as decorative monuments;
본 발명의 목적은, 사물놀이, 농악, 산조(散調) 등과 같은 전통 민속음악의 연주모습, 또는, 제기차기, 널뛰기, 강강술래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민족 고유의 놀이모습을 역동성(力動性)을 갖는 케릭터 인형으로 형상화하여, 이들을, 일군(一群)의 장식적 물품 형태를 취하는 미니어처(Mminiature)로 제작하고, 재차, 이와 같이, 제작된 물품에 기구적 작동제어수단인 구동장치, 그리고, 각종 영상 및 음향 데이터를 저장하고, 그 저장된 데이터의 입,출력 관계를 컨트롤하는, 또 다른 기능의 멀티미디어 제어장치를 더 구비되게 하여, 단순한 장식기능의 기념물품으로서 뿐만 아니라, 첨단 정보기술(Information Technology)이 접목된 형태로서, 시,청각적인 효과를 통해 민속 문화를 간접 체험하고 학습할 수 있도록 한, 음향 및 영상 출력기능을 갖는 멀티미디어 공예기념품을 제공함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ynamically play a variety of ethnic forms such as samulnori, Nongak, Sanjo, etc. Shaped as a character doll having a shape, these are produced as a miniature taking a form of a group of decorative articles, and again, a drive device which is a mechanical operation control means for the manufactured article in this way, and various A multimedia control device having another function for storing video and audio data and controlling the input / output relationship of the stored data is further provided, so that it is not only a monument of a simple decorative function, but also an information technology. In this grafted form, multimedia crafts with sound and image output functions that allow indirect experience and learning of folk culture through visual and audio effects. In offering souvenirs.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미니어처(Mminiature)로 제작된 케릭터 인형을 선택적으로 탈,부착 교환가능하도록 하여, 장식물의 주제를 사용자 임의에 따라 변경가능하게 함으로서, 활용성을 증대되도록 하고, 특히, 이와 같은, 케릭터 인형의 선택적 교환기능에 따라, 사용자 자신의 모습이나, 연인, 친구, 가족들의 모습을 별도 주문제작을 통해 또 다른 케릭터 인형으로 형상화하여, 기존에 마련된 민속 케릭터 인형과 조합된 형태 내지 단독형태로 장식하고, 아울러, 이와 함께, 멀티미디어 제어장치를 통해 자신이 직접 촬영 편집한 문화관광지의 영상 및 음향자료, 또는 기타 음성 메세지 등을 선택적으로 저장, 입,출력가능하게 함으로서, 사용기능을 극대화 되도록 한 음향 및 영상 출력기능을 갖는 멀티미디어 공예 기념 품을 제공함에 있다. On the other hand,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the character doll made of miniature (Mminiature) selectively detachable, attachable and replaceable, so that the theme of the decoration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s arbitrary, so as to increase the usability, Particularly, according to the selective exchange function of the character doll, the figure of the user himself or his / her lover, friend, or family member is made into another character doll through custom-made, and combined with the existing folk character doll. Decorate in form or stand alone, and together with the multimedia control device,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store, input and output video and audio data or other voice messages of cultural tourism sites which have been photographed and edited by the user directly. It is to provide a multimedia craft memorial with sound and video output function to maximize the function.
이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향 및 영상 출력기능을 갖는 멀티미디어 공예 기념품의 구체적 수단으로는;Thus, as a specific means of a multimedia craft souvenir having a sound and video outpu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상부면이 개방되고, 내측면에 설치공간부가 형성되며, 그 측면둘레가 투명보호창으로 이루어진 장식케이스; An upper surface of which is opened and an installation space portion is formed on an inner side thereof, and a decorative case having a side surface formed of a transparent protective window;
상기 투명호보창 내측면 둘레에 설치되는 액정모니터;A liquid crystal monitor installed around an inn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hobo window;
상기 설치공간부 중앙부에 직립설치되는 회동축을 구비한 구동모터;A drive motor having a rotating shaft installed upright in the center of the installation space;
상기 구동모터의 회동축 상단부에 결합되는 원판형 구성으로, 그 상부면에 장식물 설치공이 배치 형성된 장식판;A decorative plate having a disk-like configuration coupled to an upper end of a rotation shaft of the driving motor, the decorative plate having a decorative installation hole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상기 장식물 설치공에 탈,부착 결합되는 케릭터 장식물; A character ornament that is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ornament installation hole;
그리고, 상기 장식케이스의 설치공간부 내측 일면에 장착되는 멀티미디어 제어장치를 구비되게 함으로서, 달성된다.And, it is achieved by having a multimedia control device mounted on one inner surface of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decorative case.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음향 및 영상출력기능을 갖는 멀티미디어 공예 기념품은 다양한 형태의 민족 고유의 놀이모습을 역동성(力動性)을 갖는 케릭터 인형으로 형상화하여, 이들을, 일군(一群)의 장식적 물품 형태를 취하는 미니어처로 제작하고, 여기에, 기구적 제어수단인 구동장치, 그리고, 영상 및 음향 데이터를 저장하고, 그 저장된 데이터의 입,출력 관계를 컨트롤하는, 또 다른 기능의 멀티미디어 제어장치를 더 구비되게 함으로서, 단순한 장식기능의 기념물품으로서 뿐만 아니 라, 첨단 정보기술이 접목된 형태로, 시,청각적인 효과를 통해 민속 문화를 간접 체험하고 학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Accordingly, the multimedia craft souvenir having a sound and image outpu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various types of ethnic unique play figures into character dolls having dynamics, and they are a group of decorative articles. It is made into a miniature taking a form, and furthermore, a driving device which is a mechanical control means, and a multimedia control device of another function for storing image and audio data and controlling the input / output relationship of the stored data. By providing them, not only as a monument of simple decorative functions, but also in the form of high-tech information technology, indirect experience and learning of folk culture through visual and audio effects;
또 다르게, 미니어처(Mminiature)로 제작된 케릭터 인형을 선택적으로 탈,부착 교환가능하도록 하여, 장식물의 주제를 사용자 임의에 따라 변경가능하게 하여 활용성을 증대되도록 한 것으로, 매우 유용한 기대효과를 제공한다.Alternatively, the character dolls made of miniatures can be selectively detachable and exchanged, and thus the theme of the decoration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thereby increasing usability, thereby providing a very useful expectation effect. .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음향 및 영상출력기능을 갖는 멀티미디어 공예기념품의 바람직한 실시예 구성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ultimedia craft souvenir having a sound and image outpu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향 및 영상출력기능을 갖는 멀티미디어 공예기념품의 부분 분해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 및 영상출력기능을 갖는 멀티미디어 공예기념품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향 및 영상출력기능을 갖는 멀티미디어 공예기념품의 요부확대 작용상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전원 접속잭의 구성상태도 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멀티미디어 제어장치의 블럭도로서, 그 일련의 구성을 살펴보면;1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ultimedia craft souvenir having a sound and image outpu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mbined state of the multimedia craft souvenir having a sound and image outpu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nlarged main state of a multimedia craft souvenir having a sound and image output funct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power connection jack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multimedia control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block diagram, look at the set of configurations;
이는, 기구적 부품 구성으로서, 장식케이스(1)와, 액정모니터(2)와, 메인 구동모터(3), 그리고, 장식판(4)과, 케릭터 장식물(5)로 이루어지고, 여기에, 전기,회로적 제어수단으로서, 멀티미디어 제어장치(6)를 더 연계, 구비토록 하여, 구성된다.This is a mechanical component configuration, which comprises a
여기서, 먼저, 상기 장식케이스(1)는, 본 발명의 기초적 외관몸체 구성을 취하는 것인바, 이에, 이와 같은 장식케이스(1)는 도 1 또는 도 2로 도시된 바와 같 이, 상부면이 개방된 원통형 구조로 하여, 그 외관몸체의 측면 둘레를 내부 투시가 가능한 투명보호창(11)으로 형성하고, 이어, 상기 투명보호창(11)으로 이루어진 장식케이스(1) 내측면에 상호 이격된 배치형태로서, 모터 장착홈(121)과, 배터리 장착구(122)가 구비된 설치공간부(12)를 형성하며, 이어, 상기 투명보호창(11)으로 이루어진 장식케이스(1) 외측 일면에 도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샌디스크(SD) 메모리가 탈,착되는 메모리삽입구(131)와, 유에스비(USB) 접속잭(132), 그리고, 다수개의 조작버튼(전원 온/오프 버튼, 구동제어 버튼, 영상출력 제어버튼, 조명 온/오프 버튼, 음향 출력버튼, 녹음버튼, 조명 온/오프 버튼 등)(B1, B2, B3, B4,.....)이 구비된 컨트롤 보드(13)를 형성하고, 재차, 상기 컨트롤 보드(13)와 대칭되는 장식케이스(1) 타측면에 외부 전원을 연결하는 전원 접속잭(14)을 더 구비되게 하여, 형성함이 바람직하다.(도면 미설명 부호 15는 리모콘 수신부)Here, first, the
또한, 상기 액정모니터(LCD)(2)는 두개의 유리판 사이에 고체와 액체의 중간성질을 지닌 액정을 넣어 전기자극을 줄때 마다 액정안에 생기는 빛을 굴절시켜 문자 및 화상 등을 띄워주는 통상의 장치로서, 이에, 이와 같은 액정모니터(2)를 본 발명에 적용함에 있어서는, 도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체를 이루는 다수개의 액정모니터(2)를 전술한 장식케이스(1) 내측면에 설치 용이하도록, 원통형 프레임 연결 구조로 장착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liquid crystal monitor (LCD) (2) is a conventional device that displays the characters and images by refraction of the light generated in the liquid crystal whenever the electric stimulation is put into the liquid crystal having a solid and liquid intermediate between the two glass plates As such, in applying the
또한, 상기 메인 구동모터(3)는 통상의 동력 발생수단으로서, 이는 후술하는 장식판(4)을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되는 것인바, 따라서, 이러한 메인 구동모터(3)는, 일반 산업분야에서 널리 이용되는 구동수단, 즉, 회동축(31)이 구비된 통상의 모터를 필요한 용량으로 선택하여, 그대로 적용 이용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장식판(4)은, 후술하는 케릭터 장식물(5)을 장착, 배치시킨 상태하에, 회전작용을 행하게 되는 부품구성인바, 이에, 이러한 장식판(4)은, 도 1 내지 도 3로 도시된 바와 같은, 원판형 구조로서, 그 상부면 외측 둘레에 소정의 깊이를 갖는 다수개의 장식물 설치공(41)을 규칙적이고, 반복적인 배열 구성으로, 배치형성하고, 상기 배치 형성된 각 장식물 설치공(41)과 근접한 위치, 즉, 도 1 또는 도 2로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식판(4)의 상부 내측 일면에 규칙적이고 반복적이 다수개의 배열구성으로, 발광다이오드(LED)가 내설된 조명창(42)을 형성하며, 재차, 상기 배치 형성된 각 장식물 설치공(41) 내측 하부면에,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센서(C)가 장착된 보조 걸림홈(43)을 형성하고, 이러한, 보조 걸림홈(43) 하부면에 보조구동장치(44)를 더 내설 구비되게 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이때, 보조구동장치(44)는, 전술한 장식물 설치공(41)에 있어, 상기 보조 걸림홈(43) 내측면으로 구성되는 또 하나의 보조 동력장치로서, 이러한, 보조구동장치(44)는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저속모터(441)를 기초구성으로 하여, 상기 저속모터(441) 상부면 중에, 외경부가 이송스크류로 이루어진 구동축(442)을 소정길이로 돌출 형성하고, 상기 돌출 형성된 구동축(442) 상단부에, 한쌍의 걸림편(H)이 대칭 형성된 회동결합구(443)를, 더 결합 형성시키며, 재차, 상기 구동축(442)의 이송스크류에 나사 결합 되어 상,하 이송작용을 행하는 원형 판체 구조로서, 승,하강 안내판(444)을 더 구비되게 함으로서,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또한, 상기 케릭터 장식물(5)은, 사용자에게 시각적이 심미감을 제공하기 위 한 장식수단으로서, 이에, 이와 같은 케릭터 장식물(5)은, 그 하단부에 조립설치공(511)이 형성된 하나의 장착유도블럭(51)을 일체로 결합하여,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character ornament (5), as a decorative means for providing a visual aesthetic to the user, such a character ornament (5), one mounting induction in which the
이때, 케릭터 장식물(5)은 사용자 선택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설정, 제작되는 구성으로서, 이는, 사물놀이, 농악, 산조(散調) 등과 같은 전통 민속음악의 연주모습, 또는, 제기차기, 널뛰기, 강강술래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민족 고유의 놀이모습을 역동성(力動性)을 갖는 캐릭터 인형으로 형상화하여, 이들을, 일군(一群)의 장식적 물품 형태를 취하는 미니어처(Mminiature)로 제작가능 한 것이며, 또 다르게, 사랑하는 연인, 가족, 또는 기타 자신의 모습 등을, 주문제작을 통해 캐릭터 인형으로 형상화 하여, 다양한 장식적 효과로 표출되게 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character ornament (5) is configured and produc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which is, the playing of traditional folk music such as Samulnori, Nongak, Sanjo (또는), or, kick kick, skipping, It is possible to form various forms of ethnic indigenous forms of play, such as Kang Kangsullae, into character dolls with dynamics, and to produce them as miniatures that take the form of a group of decorative items. Differently, a beloved lover, family, or other self can be shaped into a character doll through custom-made, and can be expressed in various decorative effects.
끝으로, 상기 멀티미디어 제어장치(6)는, 외부로 부터 입력되는 음향 및 영상정보 데이터를 녹음, 편집, 저장, 출력되게 하는 통상의 시스템 구성으로서, 이에, 이와 같은 멀티미디어 제어장치(6)는, 외부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61)와, 입,출력되는 일련의 명령을 해독하고, 실행하는 중앙 처리부(62), 그리고, 외부 데이터 신호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부(63)를 기초구성으로 하여, 여기에, 비디오 처리모듈(641), 오디오 처리모듈(642), 녹음처리모듈(643)로 이루어진 데이터 처리부(64)와, 상기 일련의 처리된 데이터를 저정하는 데이터 저장부(64), 그리고, 디스플레이부(65)를 더 구비토록 하고, 재차, 외부 데이터 제공수단으로서, 메모리 카드와, 유에스비 메모리를 연결하는 데이터 제공부(66)로 구성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는, 통상의 정보처리 시스템과 상이함이 없는 동일 구성을 취함에 따라, 상 기 나열된 각 구성요소의 세부적인 기능 내지 작용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도면 미설명 부호 S는 스피커)Finally, the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일련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음향 및 영상출력기능을 갖는 멀티미디어 공예기념품의 상호 결합관계를 살펴보면;Therefore, looking at the mutual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multimedia craft souvenir having a sound and image outpu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osed of a series of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도 1 또는 도 2로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면 둘레가 투명보호창(11)으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 설치공간부(12)를 형성한 장식케이스(1)를 기초 구성으로 하여, 상기 투명보호창(11) 내측면 둘레에 구획된 원형 프레임 구조로 액정모니터(2)를 설치한다.As shown in Figure 1 or 2,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made of a transparent
이어, 상기 장식케이스(1)에 있어, 설치공간부(12) 중앙으로 형성된 모터 장착홈(121)을 고정수단으로 하여, 상기 모터 장착홈(121)에 메인 구동모터(3)를 직립구조로 설치하고, 상기 메인 구동모터(3)가 설치된 설치공간부(12) 내측 일면에 도 2로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회로기판 구조로 이루어진, 멀티미디어 제어장치(6)를 장착한다.Subsequently, in the
이때, 상기 설치공간부(12)로 장착되는 멀티미디어 제어장치(6)는, 도 2로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식케이스(1)로 형성된 컨트롤 보드(13)와 전원접속잭(14), 그리고, 상기 설치된 액정모니터(2)와 회로적 연결관계를 이루게 된다. At this time, the
이후, 마무리 조립 과정으로서, 상기 설치된 메인 구동모터(3)의 회동축(31) 상단부에 장식판(4)을 회동구조로 결합시키고, 재차, 상기 장식판(4)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장식물 설치공(41)에, 도 2 또는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케릭터 장식물(5)을 탈, 부착 구조로, 결합되게 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음향 및 영상출력 기능을 갖는 멀티미디어 공예기념품을 구현한다.Thereafter, as a final assembly process, the
이에, 상기와 같은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음향 및 영상출력기능을 갖는 멀티미디어 공예기념품의 사용관계 및 그에 따른 상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us, look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 of the multimedia craft souvenir having a sound and image output function and the intera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de of a combination as described above.
먼저, 장식케이스(1)의 컨트롤 보드(13)에 구비된 전원 온/오프 버튼(B1)을 조작하여, 전원공급부(61)를 통해 본 발명에 전원을 인가되도록 한다, First, by operating the power on / off button (B1) provided on the
이어, 통상의 데이터 저장수단인, 샌디스크(SD) 메모리 또는 유에스비(USB) 메모리에, 설정된 영상과 음향, 또는, 사용자 자신이 직접 촬영, 편집, 또는 녹음한 영상 및 음향 데이터를 별도 저장하여 구비한 후, 그 구비된 샌디스크(SD) 메모리 또는 유에스비(USB) 메모리를, 본 발명의 장식케이스(1)로 형성된 메모리 삽입구(131) 내지 유에스비(USB) 접속잭(132)을 통해 연결한다.Subsequently, the set image and sound, or the image and sound recorded or edited or recorded by the user, are separately stored in the SanDisk (SD) memory or the USB memory, which is a normal data storage means. Afterwards, the provided SanDisk (SD) memory or USB bus (USB) memory is connected through the
이후, 장식케이스(1)의 컨트롤 보드(13)로 구비된 구동제어 버튼(B2)을 조작하여, 본 발명을 작동시키게 되면, 메인 구동모터(3)의 회전력에 의해, 장식판(4)이 회전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보조구동장치(44)의 저속모터(441)는,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동력에 의해, 장식물 설치공(41)으로 결합된 캐릭터 장식물(5)을 각각 개별적인 형태로 회전시키게 된다.Then, when operating the drive control button (B2) provided by the
이때, 보조구동장치(44)의 저속모터(441)에 의해 회전되는 캐릭터 장식물(5)은 저속모터(441)로 형성된 이송스크류 구조의 구동축(442)과, 회동결합구(443), 그리고, 승,하강 안내판(444)의 작동 및 상기, 일련의 구성으로서, 보조구동장치(44)가 설치된 보조걸림홈(43)의 위치센서(C)에 의한 감지 작용에 의해 상기, 케 릭터 장식물(5)에 회전 작용 뿐만 아니라, 승,하강 안내작용을 동시에 부여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character ornament (5) rotated by the low-
또한, 상기와 같이 장식판(4)과 캐릭터 장식물(5)이 회전작용을 행함에 있어, 연속하여, 영상 출력버튼(B3)을 조작하게 되면, 그 조작신호에 의해 멀티미디어 제어장치(6)는 샌디스크(SD) 메모리 또는 유에스비(USB)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과 음향을 일련의 데이터 처리를 통해 액정모니터(2)와 스피커(S)를 통해 영상과 음향을 출력되게 하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이때, 출력되는 영상과 음향은 캐릭터 장식물(5)을 부각시키거나, 그 캐릭터 장식물(5)의 배경이 되는 이론적 설명 내지 그러한 영상, 또는, 사용자가 타인에게 선물로 제공하기 위해 상황에 맞추어 직접 녹음하거나, 편집 제작한 음향 및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output image and sound are emphasized to the character ornament (5), the theoretical description that is the background of the character ornament (5), or the recording directly in accordance with the situation for the user to present to others as a gift Or output the edited and produced sound and video data.
한편, 상기와 같은 일련의 작동관계에 있어, 부가적인 작동구성으로서, 장식케이스(1)의 컨트롤 보드(13)로 구비된 조명 온/오프 버튼(B4)을 조작하게 되면, 장식판(4) 상부로 구비된 조명창(42)의 발광작용에 의해 캐릭터 장식물(5)을 시각적으로, 더 꾸며주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described series of operating relationship, as an additional operating configuration, when operating the illumination on / off button B4 provided by the
또한, 본 발명은 그 작동을 위해, 전원접속잭(14)을 통해 외부 전기를 인가하여 사용할수 있으며, 또 다르게, 배터리 장착구(122)에 의해, 별도의 축전지를 장착하여, 본 발명 작동에 필요한 전기 에너지를 제공받을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by applying external electricity through the
또한, 본 발명을 조작하는 일련의 작동제어관계는, 단순히 장식케이스(1)로 구비된 컨트롤 보드(13)의 각종 조작버튼(전원 온/오프 버튼, 구동제어 버튼, 영상 출력 제어버튼, 조명 온/오프 버튼, 음향 출력버튼, 녹음버튼, 조명 온/오프 버튼 등)(B1, B2, B3, B4,.....)을 수동으로 제어하여 작동되게 하는 기능으로서 뿐만 아니라, 도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 구비된 리모콘(100)의 제어신호를, 장식케이스(1)로 구비된 리모콘 수신부(15)를 통해 입력되게 하여, 제어할 수도 있는 것으로,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In addition, a series of operation control relationships for operating the present invention is simply a variety of operation buttons (power on / off button, drive control button, video output control button, illumination on) of th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향 및 영상출력기능을 갖는 멀티미디어 공예 기념품의 부분 분해사시도 1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ultimedia craft souvenir having a sound and image outpu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 및 영상출력기능을 갖는 멀티미디어 공예 기념품의 결합상태 단면도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mbined state of the multimedia craft souvenir having a sound and image outpu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향 및 영상출력기능을 갖는 멀티미디어 공예 기념품의 요부확대 작용상태 단면도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enlarged action state of the multimedia craft souvenir having a sound and image outpu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전원 접속잭의 구성상태도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power connection jack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멀티미디어 제어장치의 블럭도5 is a block diagram of a multimedia control apparatus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jor Parts of Drawings>
1 : 장식 케이스 2 : 액정모니터 3 : 메인구동모터 1: decorative case 2: LCD monitor 3: main drive motor
4 : 장식판 5 : 케릭터 장식물 6 : 멀티미디어 제어장치 4: decorative plate 5: character ornament 6: multimedia control device
11 : 투명보호창 12 : 설치공간부 13 : 컨트롤 보드 11: transparent protective window 12: installation space portion 13: control board
14 : 전원접속잭 41 : 장식물 설치공 42 : 조명창 14: power connection jack 41: ornament installation 42: lighting window
43 : 보조걸림홈 44 : 보조구동장치 51 : 장착유도블럭 43: auxiliary locking groove 44: auxiliary drive device 51: mounting guide block
61 : 전원공급부 62 : 중앙처리부 63 : 인터페이스부 61
64 : 데이터 저장부 64: data storage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80101164A KR101059015B1 (en) | 2008-10-15 | 2008-10-15 | Multimedia craft souvenir with sound and video outpu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80101164A KR101059015B1 (en) | 2008-10-15 | 2008-10-15 | Multimedia craft souvenir with sound and video output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00042046A KR20100042046A (en) | 2010-04-23 |
| KR101059015B1 true KR101059015B1 (en) | 2011-08-25 |
Family
ID=42217512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80101164A Expired - Fee Related KR101059015B1 (en) | 2008-10-15 | 2008-10-15 | Multimedia craft souvenir with sound and video output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059015B1 (en)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6174215B1 (en) | 1999-07-16 | 2001-01-16 | Barry Shih | Double deck rotational music box |
| US6663461B2 (en) | 2001-11-21 | 2003-12-16 | Peter Sui Lun Fong | Animated display |
| KR200371869Y1 (en) | 2004-03-25 | 2005-01-15 | 이춘수 | A toy of a pack radiation |
| JP2007125171A (en) | 2005-11-02 | 2007-05-24 | Sente Creations:Kk | Accessories toy |
-
2008
- 2008-10-15 KR KR1020080101164A patent/KR10105901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6174215B1 (en) | 1999-07-16 | 2001-01-16 | Barry Shih | Double deck rotational music box |
| US6663461B2 (en) | 2001-11-21 | 2003-12-16 | Peter Sui Lun Fong | Animated display |
| KR200371869Y1 (en) | 2004-03-25 | 2005-01-15 | 이춘수 | A toy of a pack radiation |
| JP2007125171A (en) | 2005-11-02 | 2007-05-24 | Sente Creations:Kk | Accessories toy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00042046A (en) | 2010-04-23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7946977B2 (en) | Phallic devices with audio features and related methods | |
| CN201919136U (en) | underwater speaker | |
| US9827504B2 (en) | Vibratory device for bobble toys | |
| US20080264816A1 (en) | Ornament with 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 | |
| US10157552B2 (en) | Educational lamp | |
| US20100173561A1 (en) | Crystal ball with dynamic audio and video (AV) effect | |
| US20130186346A1 (en) | Decorative water display having sound and lighting | |
| KR101059015B1 (en) | Multimedia craft souvenir with sound and video output | |
| CN105828241A (en) | Functional household fountain sound box | |
| US20150288914A1 (en) | Apparatus for Electronic Presentation of Time-Varying Digital Imagery With or Without Accompanying Audio Under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Form in Response to Sensor Data | |
| CN204093028U (en) | Toy type learning machine | |
| US20150196853A1 (en) | Multiple activity toy | |
| CN204561220U (en) | Music Video Rotating Jewelry Box | |
| CN215962150U (en) | Electronic pacifying instrument | |
| CN217821279U (en) | Intelligent alarm clock of granule class building blocks toy concatenation module formula | |
| CN206103322U (en) | Story machine | |
| KR101098287B1 (en) | Multifunction Top | |
| CN215495470U (en) | Programming robot with interactive expansion function | |
| CN206963447U (en) | A kind of Bluetooth music flowerpot | |
| CN221708417U (en) | Assembled multimedia music box with digital radio | |
| CN210786226U (en) | a toy | |
| CN201325275Y (en) | Crystal ball with video and audio dynamic effect | |
| TWM668107U (en) | Smart Bluetooth Speaker Motor Driven Pedestal Device | |
| CN101721056A (en) | Furniture television | |
| CN107438211A (en) | Acoustooptic horn and the electronic installation comprising acoustooptic horn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4081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40818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