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2350B1 - Refrigerator and its control method - Google Patents
Refrigerator and its control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62350B1 KR101062350B1 KR1020080113438A KR20080113438A KR101062350B1 KR 101062350 B1 KR101062350 B1 KR 101062350B1 KR 1020080113438 A KR1020080113438 A KR 1020080113438A KR 20080113438 A KR20080113438 A KR 20080113438A KR 101062350 B1 KR101062350 B1 KR 10106235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water level
- water supply
- level
- refrigerat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4—Water supply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C2700/04—Level of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용 제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냉장고의 제빙트레이에 일정 수위의 물을 급수하도록 급수량을 제어하는 제빙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ce maker for a refrigerator.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ce making apparatus for controlling a water supply amount to supply water at a predetermined level to an ice making tray of a refrigerato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냉장고, 제빙장치, 제빙트레이, 정전용량센서 Refrigerator, ice maker, ice tray, capacitive sensor
Description
본 발명은 제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 수위의 물을 급수할 수 있는 제빙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ce mak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ce making apparatus capable of supplying water at a predetermined level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일반적으로 제빙장치는 냉동 장치에 장착되어 냉기에 의해 얼음을 제조하는 장치이다. 특히, 냉장고를 비롯하여 정수기나 자동판매기, 얼음 제조장치 등(이하 "냉장고")에서 일정한 용기에 물을 담아 이를 빙점 이하로 냉각시켜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장치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an ice making apparatus is a device that is mounted on a refrigerating device to produce ice by cold air. In particular, ice makers for producing ice by placing water in a predetermined container in a water purifier, a vending machine, an ice making device, etc. (hereinafter, a "freezer"), cooling it below a freezing point, such as a refrigerator, are mainly used.
과거에는 냉각실에 물이 담긴 제빙용기를 넣어 두고 빙점 이하로 냉각이 이루어지는 얼음이 생성되면 이를 사용자가 직접 꺼내도록 하는 단순한 방식의 제빙이 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기술이 발전하면서 사람의 손을 빌리지 않고 자동적으로 제빙과 이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빙장치가 개발되고 있다.In the past, ice-making vessels containing water were placed in the cooling chamber and ice making, which cools below the freezing point, was mainly performed. However, as technology advances, ice making devices are being developed to automatically make ice and ice without borrowing human hands.
최근에는 냉장고 등에 구비되는 제빙용기에 자동으로 급수가 이루어지고, 급수된 물이 제빙용기에서 얼음이 되며, 그 얼음이 이빙되도록 하기 위해 가열장치를 제빙용기와 인접하도록 설치하여 상기 가열장치로 제빙용기를 가열하도록 하는 방식의 제빙장치가 사용되고 있다.Recently, water is automatically supplied to an ice making container provided in a refrigerator, and the water supplied becomes ice in the ice making container, and a heating device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ice making container so that the ice is iced. An ice making device of a method of heating the is used.
그러나, 자동으로 급수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지역별로 수압의 차이가 있고, 또한 수도 시설에 따라 공급되는 수압의 편차가 생겨 상기 제빙용기에 급수되는 물의 양이 일정치 못해 발생하는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re are various problems in which water pressure is different for each region in the process of automatically supplying water, and there is a variation in the water pressure supplied according to the water supply facilities, resulting in an inconsistent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ice making container.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냉장고에 설치되는 제빙장치에 급수되는 물의 양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냉장고용 제빙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ice mak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for maintaining a constant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ice maker installed in the refrigerato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냉장고용 제빙트레이(5)에 물을 급수하는 급수밸브(9), 상기 제빙트레이(5)에 공급되는 물을 측정하는 수위감지부(7), 상기 수위감지부(7)의 측정결과에 따라 상기 급수밸브(9)를 개폐하여 상기 제빙트레이(5)에 공급되는 공급수의 수위가 기설정된 기준수위(Ho)까지 도달되도록 조절하는 제어부(1)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ter supply valve (9) for supplying water to the ice making tray (5) for the refrigerator, the water level sensing unit (7) for measuring the water supplied to the ice making tray (5), the water level The controller 1 controls the
상기 수위감지부(7)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전용량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water
상기 수위감지부(7)는 상기 제빙트레이(5)의 상면 또는 측면에서 공급수의 수위가 감지 가능하도록 배치된다.The water
상기 수위감지부(7)는 제빙트레이(5) 측면에서 높이를 달리하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정전용량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ater
상기 수위감지부(7)는 제1수위감지센서(7a)와, 상기 제1수위감지센서(7a)보다 높은 곳에 배치되는 제2수위감지센서(7b)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ater
상기 제어부(1)는 상기 수위감지부(7)에 감지된 수위가 기설정수위에 도달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급수밸브(9)를 개방하여 상기 기준수위(Ho)까지 소정 량의 물을 추가급수 할 수 있다.When the controller 1 determines that the water level detected by the water
냉장고용 제빙트레이(5)의 급수밸브(9)에 개방신호를 인가하는 신호인가단계(S100), 상기 개방된 급수밸브(9)를 통해 제빙트레이(5)에 급수가 이루어지는 급수단계(S200), 상기 급수단계(S200)이 완료되면 상기 급수밸브(9)를 정지하는 단계(S300), 상기 제빙트레이(5)에 급수되는 공급수를 수위감지부(7)에서 측정하는 수위감지단계(S410, S420), 상기 수위감지단계의 결과에 따라 상기 공급수의 급수량을 기준수위(Ho)까지 도달되도록 상기 급수밸브(9)를 개방(S510, S520)하여 추가급수하는 단계(S610, S620), 상기 추가급수단계가 완료되면 급수밸브(9)를 차단하는 단계(S700)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A signal applying step of applying an open signal to the
상기 급수단계(S100)는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기준수위(Ho) 보다 적은양을 급수하고 급수밸브(9)르 폐쇄하는 타이머(Timer)급수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ater supply step S100 may further include a timer water supply step of supplying a smaller amount than the reference water level Ho for a set time and closing the
상기 급수단계(S100)가 종료하면 급수밸브(9)를 폐쇄하고 수위감지단계로 진행될 수 있다.When the water supply step S100 ends, the
상기 수위감지단계(S410, S420)는 물과 직접 접촉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전용량센서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The water level sensing steps S410 and S420 may be performed by at least one capacitive sensor that does not directly contact water.
상기 수위감지단계(S410, S420)에서 측정된 수위가 기설정수위에 도달된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기준수위(Ho)까지 기설정된 양의 물을 추가하는 추가급수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f it is detected that the water level measured in the water level detection step (S410, S420) has reached a predetermined level, it may further include an additional water supply step of add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up to the reference level (Ho).
상기 수위감지단계(S410, S420)에서 수위를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 재급수를 실시하고, 상기 수위감지단계에서 급수된 물의 수위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수위를 감지한 순간부터 상기 급수밸브가 폐쇄완료되는 순간까지 시간차에 의한 급수시간의 딜레이타임(Delay Time)을 고려하여 상기 추가급수 시간이 유동가능하도록 급수될 수 있다.If the water level is not detected in the water level detection step (S410, S420), the water supply is re-supplied. If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upplied in the water level detection step is detected, the moment the water supply valve is closed from the moment of detecting the water level The additional water supply time may be supplied so that the additional water supply time may flow in consideration of the delay time of the water supply time due to the time difference.
상기 수위감지단계에서 감지된 수위가 기준수위(Ho)에 도달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급수밸브(9)를 차단할 수 있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water level detected in the water level detection step reaches the reference water level Ho, the
본 발명에 따른 제빙장치는 제빙트레이에 기설정된 양의 물을 일정하게 급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ice ma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constantly supply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to the ice making tray.
또한, 지역별로 수압차에 의한 급수 높이를 감지하고, 기준급수량에 대한 급수 수위의 편차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detect the water supply height by the pressure difference for each region, and minimize the deviation of the water supply level with respect to the standard water supply.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can specifically realize the above object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제빙장치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refrigerator ice ma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냉장고용 제빙트레이(5)에 물을 급수하는 급수밸브(9), 상기 제빙트레이(5)에 공급되는 물의 높이를 측정하는 수위감지부(7), 상기 수위감지부(7)의 측정결과에 따라 상기 제빙트레이(5)에 공급되는 공급수의 급수량을 기준수위(Ho)까지 조절되도록 하는 제어부(1)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Referring to FIG. 1, a
이와 같은 냉장고는 식생활의 개선과 다양한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대형화 및 다기능화의 추세에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다양한 구성들이 부가되고 있다.Such refrigerators are in the trend of being enlarged and multi-functionalized according to the improvement of eating habits and various user preferences, and various configurations are added for the convenience of users.
대표적으로 정수된 물을 외부로 공급하는 디스펜서나 얼음을 자동으로 만드는 제빙장치 등이 냉장고에 구비되어 본체에 마련된 도어를 열지 않고 물이나 얼음을 취출할 수 있다.Typically, a dispenser for supplying purified water to the outside or an ice making device for automatically making ice may be provided in the refrigerator to extract water or ice without opening a door provided in the main body.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제빙장치는 일정한 양의 물을 공급하여 제빙트레이(5)로부터 넘치거나 모자라지 않게 하여 일정한 크기의 얼음을 만들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refore, the ice maker for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ly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so as not to overflow or run short from the ice maker tray 5 to provide ice to a user of a predetermined siz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제빙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2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an ice maker for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제빙트레이(5) 사시도를 도시한다.Figure 3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n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빙트레이(5)는 다수개의 구획된 저장실을 구비하고 급수밸브(9)로 부터 물을 공급받아 냉장고에 구비된 냉동사이클에 의한 냉기로 냉각되어 상기 제빙트레이(5)의 저장실과 같은 형태의 얼음이 만들어진다.2 and 3, the
또한, 상기 제빙트레이(5)에 공급되는 공급수는 일정한 기준수위(Ho)를 만족하는 높이로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upply water supplied to the
상기 기준수위(Ho)는 상기 제빙트레이(5)에서 제빙이 실행되는 양의 물이 급수된 수위이고, 상기 측정수위는 상기 센서부(7)에서 수위를 감지한 수위이며, 하기되는 기설정수위(H1)는 초기 급수시 설정된 시간동안 물이 급수되는 양의 수위를 칭한다.The reference water level Ho is a water level at which the amount of water deicing is performed in the
상기 수위감지부(7)는 상기 제빙트레이(5)에 공급되는 공급수가 지역 또는 급수시설의 편차에 따른 수압의 차이를 감안하여 기준수위(Ho)를 만족하는 양의 물을 공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전용량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ater
상기 정전용량센서는 수위감지센서로 사용되는데 특히 공급수를 저장하는 공간 내부에 저장된 공급수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한 정전용량 감지센서를 저장공간의 외부에 설치함으로써 공급수와의 반응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여 수위감지공정에서 발생하는 오작동률을 현저히 낮추게 하는 정전용량형 수위 감지센서가 마련될 수 있다.The capacitive sensor is used as a water level sensor, in particular, by installing a capacitive sensor for measuring the level of the supply water stored inside the space for storing the supply water to the outside of the storage space to prevent corrosion due to reaction with the supply water. Capacitive water level sensor may be provided to prevent the malfunction rate generated in the water level detection process to significantly lower.
상기 수위감지부(7)는 상기 제빙트레이(5)의 상면 또는 측면에서 감지 가능하도록 배치된다.The water
상기 수위감지부(7)는 제빙트레이(5) 측면에서 높이를 달리하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정전용량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ater
상기 수위감지부(7)는 제1수위감지센서(7a)와, 상기 제1수위감지센서(7a)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곳에 배치되는 제2수위감지센서(7b)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ater
상기 수위감지부(7)는 수압에 따라 가변되는 급수량에 의해 상기 제1수위감지센서(7a)와 제2수위감지센서(7b)에서 급수된 물의 수위가 차등 감지될 수 있도록 초기 급수량이 제1수위감지센서(7a)에 못미치는 경우, 초기 급수량이 제1수위감지센서(7a)를 초과한 경우 또는 초기 급수량이 제2수위감지센서(7b)에서 반응하는 수위에 도달한 경우 등으로 세분화하여 기준수위(Ho)를 달성하기 위해 추가 급수량을 감안한 위치에 배치된다.The water
따라서, 상기 수위감지부(7)는 기준수위(Ho)보다 아래쪽에 배치되며, 수압이 약하거나 또는 수압의 편차가 큰 경우를 감안하여 상기 제빙트레이(5) 바닥으로부터 제1수위감지센서(7a)까지의 높이(H1)가 상기 제1수위감지센서(7a)로부터 제2수이감지센서(7b)까지의 높이(H2-H1)차 보다 더 크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refore, the water
상기 제어부(1)는 상기 제1수위감지센서(7a)의 높이까지 기설정된 양의 물을 공급하기 위해 소정 시간으로 제어되는 타이머(3)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 may further include a
상기 제어부(1)는 상기 제1수위감지센서(7a)와 상기 제2수위감지센서(7b)에서 감지신호를 전달받으면 기준수위(Ho)까지 각각 다른 양의 물을 공급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 may supply different amounts of water to the reference water level Ho when receiving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first
따라서, 상기 기준수위(Ho)까지 공급되는 추가급수량은 상기 제1수위감지센서(7a)에서 감지 후 공급되는 제1추가급수량(Ho-H1)이 상기 제2수위감지센서(7b)에서 감지 후 공급되는 제2추가급수량(Ho-H2)보다 더 많이 공급된다.Therefore, the additional water supply amount supplied to the reference water level Ho is detected by the first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제빙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한 작동순서도이다.4 is an operation flowchart of an embodiment of an ice maker for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작동순서를 설명한다.Referring to Figure 4 describes the operation of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냉장고용 제빙트레이(5)의 급수밸브(9)에 개방신호를 인가하는 신호인가단계(S100), 상기 개방된 급수밸브(9)를 통해 제빙트레이(5)에 급수가 이루어지는 급수단계(S200), 상기 급수단계(S200)가 완료되면 급수밸브를 정지(S300)하고, 상기 제빙트레이(5)에 급수되는 공급수를 수위감지부(7)에서 측정하는 수위감지단계(S410, S420), 상기 수위감지단계(S410, S420)의 결과에 따라 상기 공급수의 급수량을 기준수위(Ho)까지 도달되도록 상기 급수밸브(9)를 개방하여 추가급수하는 단계(S610, S620), 상기 추가급수단계가 완료되면 급수밸브를 차단하는 단계(S700)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Signal supply step of applying an open signal to the water supply valve (9) of the refrigerator ice making tray (5) (S100), the water supply step of supplying water to the ice making tray (5) through the open water supply valve (S200) When the water supply step (S200) is completed, the water supply valve is stopped (S300), and the water level detection step (S410, S420) for measuring the water supply to the ice-making tray (5) in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7),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water level detection step (S410, S420) to open the
상기 급수단계는 상기 타이머(3)에 기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수위감지부(7)의 높이까지 급수하고 급수밸브(9)가 닫히는 타이머(Timer)급수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ater supply step may further include a timer water supply step of supplying water to the height of the water
상기 급수단계가 종료하면 급수밸브(9)를 닫고 수위감지단계(S410, S420)로 진행될 수 있다.When the water supply step ends, the
상기 수위감지단계(S410, S420)는 물과 직접 접촉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전용량센서를 사용하여 감지할 수 있다.The water level detection step (S410, S420) can be detected using at least one capacitive sensor that is not in direct contact with water.
상기 수위감지단계에서 측정된 수위가 기설정수위에 도달되어 감지되는 경우, 상기 기준수위(Ho)까지 기설정된 양의 물을 추가하는 추가급수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water level measured in the water level detection step reaches the preset water level and is detected, the water supply may further include an additional water supply step of add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up to the reference water level Ho.
상기 수위감지단계(S410, S420)에서 수위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에는 급수밸브(9)를 계속 개방시킬 수 있다.When the water level is not detected in the water level detection step (S410, S420), it is possible to continue to open the water supply valve (9).
초기 급수시간이 경과되면 급수밸브(9)를 닫고 상기 수위감지단계(S410, S420)로 진행되되, 상기 급수된 물의 수위를 감지되는 경우 상기 수위를 감지한 순간부터 상기 급수밸브가 폐쇄완료되는 순간까지 시간차에 의한 급수시간의 딜레이타임(Delay Time)을 고려하여 상기 추가급수 시간이 유동가능하도록 급수될 수 있다.When the initial water supply time has elapsed, the
상기 수위감지단계(S410, S420)에서 수위가 기준수위(Ho)까지 도달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급수밸브(9)를 차단할 수 있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water level reaches the reference water level Ho in the water level detection steps S410 and S420, the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preferred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w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drawings, the scope of a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이처럼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것이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can be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장치의 블럭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n ice ma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장치에 대한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ce ma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트레이에 대한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ce t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장치의 작업순서도.Figure 4 is a flow chart of the ice ma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제어부 3 : 타이머(Timer)1: control unit 3: timer
5 : 제빙트레이 7 : 수위감지센서5: ice tray 7: water level sensor
7a : 제1수위감지센서 7b : 제2수위감지센서7a: 1st
Claims (13)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80113438A KR101062350B1 (en) | 2008-11-14 | 2008-11-14 | Refrigerator and its control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80113438A KR101062350B1 (en) | 2008-11-14 | 2008-11-14 | Refrigerator and its control method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00054489A KR20100054489A (en) | 2010-05-25 |
| KR101062350B1 true KR101062350B1 (en) | 2011-09-05 |
Family
ID=42279211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80113438A Active KR101062350B1 (en) | 2008-11-14 | 2008-11-14 | Refrigerator and its control method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062350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023412B1 (en) * | 2012-06-12 | 2019-09-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Refrigerator |
| CN103575008A (en) * | 2012-08-11 | 2014-02-12 |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ice making assembly of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s thereof |
| US10948331B2 (en) | 2018-11-06 | 2021-03-16 |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 Capacitive sensing system and related method |
| KR102808041B1 (en) * | 2019-07-29 | 2025-05-19 | 주식회사 대창 | Ice maker,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
| KR102273101B1 (en) * | 2019-08-13 | 2021-07-0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Ice making device |
| KR102135938B1 (en) * | 2019-08-13 | 2020-07-2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Ice making device |
| KR102452971B1 (en) * | 2020-06-11 | 2022-10-0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Ice making device |
| KR20220115185A (en) * | 2021-02-10 | 2022-08-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150318Y1 (en) | 1996-09-25 | 1999-07-01 | 전주범 | Water supply device of refrigerator automatic ice maker |
| JP2002295931A (en) | 2001-03-30 | 2002-10-09 | Mitsubishi Electric Corp | Automatic ice machine |
-
2008
- 2008-11-14 KR KR1020080113438A patent/KR10106235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150318Y1 (en) | 1996-09-25 | 1999-07-01 | 전주범 | Water supply device of refrigerator automatic ice maker |
| JP2002295931A (en) | 2001-03-30 | 2002-10-09 | Mitsubishi Electric Corp | Automatic ice machin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00054489A (en) | 2010-05-25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062350B1 (en) | Refrigerator and its control method | |
| US9085453B2 (en) | Refrigerator with automatic liquid dispenser | |
| KR101166640B1 (en) |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 US9896321B2 (en) | Auto water dispenser cutoff | |
| KR101668251B1 (en) |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 |
| EP1939559A2 (en) | Sensor system for a refrigeration dispenser | |
| KR101559775B1 (en) | Deic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 US20120111031A1 (en) |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 KR101182276B1 (en) |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 US7373789B2 (en) | Refrigerator and ice making apparatus | |
| US20100229574A1 (en) | System and method for ice making of refrigerator | |
| KR20090020951A (en) | Refrigerator and its control method | |
| CN113906263A (en) | Refrigeration appliance with ice storage box | |
| KR20030021529A (en) | Ice amount sensing apparatus of ice maker for refrigerator | |
| US11560299B2 (en) | Auto-water shut-off for an external door water dispenser | |
| KR20110096873A (en) |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same and ice supply method of the refrigerator | |
| KR20110101750A (en) |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same and ice supply method of the refrigerator | |
| KR20090099908A (en) | Refrigerator and its control method | |
| CN114111139A (en) | Ice making device and refrigerator | |
| WO2010003954A1 (en) | A cooling device | |
| KR101636230B1 (en) |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 KR101442838B1 (en) | De-icing assembly for refrigerator and method for preventing overflow of ice-making assembly | |
| KR100373070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 remainder of ice of refrigerator | |
| KR101500732B1 (en) | Method for estimating completion of ice-making for an ice making assembly of refrigerator | |
| KR101255875B1 (en) | Deicing control method for refrigerato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3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