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3929B1 - Eco-friendly parking space - Google Patents
Eco-friendly parking spa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63929B1 KR101063929B1 KR1020080122404A KR20080122404A KR101063929B1 KR 101063929 B1 KR101063929 B1 KR 101063929B1 KR 1020080122404 A KR1020080122404 A KR 1020080122404A KR 20080122404 A KR20080122404 A KR 20080122404A KR 101063929 B1 KR101063929 B1 KR 10106392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rking space
- rainwater
- space
- drainage
- lay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 E04H6/428—Devices for collecting oil or other fluids under parked car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2—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 E03F1/003—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via underground elongated vaulted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30—Flood prevention; Flood or storm water management, e.g. using flood barri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기 우수의 유출량은 최소화시키면서, 우수의 유출량을 일정 수준 이하로 제어하여, 기존 아파트 등의 주차 공간을 생태유지의 기능형 공간으로 유지할 수 있는 생태유지형 주차 공간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cologically-maintained parking space that can minimize the amount of rainwater discharged at an initial stage, while controlling the amount of rainwater discharged to a predetermined level or less, thereby maintaining a parking space of an existing apartment as a functional space of ecological maintenance.
본 발명의 생태유지형 주차 공간은 주차 공간 및 상기 주차 공간 주변에 형성된 식재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인공지반에서, 주차 공간의 일면을 따라 형성되되, 바닥면이 주차 공간의 바닥면 높이 이하인 배수로; 상기 배수로의 단부 또는 일부에 연결되어, 배수로를 거친 우수를 침전 처리한 후, 잉여 우수를 배출하는 침사조; 및, 측면 일부가 침사조에 연결되어 침사조를 거친 잉여 우수가 유입되는 트렌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Ecologically-maintained parking spa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rtificial ground consisting of the parking space and the planting space formed around the parking space, is formed along one surface of the parking space, the bottom surface of the drainage surface is less than the height of the floor surface of the parking space; A sedimentation tank connected to an end or part of the drainage passage, and after discharging the rainwater passing through the drainage passage, discharging surplus rainwater; And, a portion of the side is connected to the immersion tank, the trench flowing in surplus rain through the immersion tank;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지반이 충분한 보습력을 함유하도록 우수의 유출량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도시 홍수, 도시 열섬, 도시 기후 변화 현상을 해소할 수 있다. 즉, 주차 공간 상부면의 방열량 축소 및 식재 공간의 증발·냉각 효과로 시원한 미기후 조성이 가능하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outflow amount of rainwater can be controlled so that the soil contains sufficient moisture, urban flooding, urban heat island, urban climate change phenomenon can be eliminated. That is, a cool microclimate can be formed by reducing the heat dissipa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arking space and the evaporation / cooling effect of the planting space.
아울러 오염 농도가 높은 초기 우수의 유출량을 원천적으로 차단함과 동시에, 인공지반 하부의 토양층을 수질정화층으로 활용하기 때문에 중수 생산에 필요한 처리 비용 절감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blocks the outflow of the initial rainwater with high pollution concentration at the same time, and reduces the processing cost required for heavy water production because the soil layer under the artificial ground is used as the water purification layer.
인공지반, 주차장, 우수, 빗물, 배수로, 트렌치, 배수파이프, 침사조, 월류관, 점검구, 카 스토퍼 Artificial ground, parking lot, rainwater, rainwater, drainage, trench, drainage pipe, sedimentation basin, overflow pipe, access door, car stopper
Description
본 발명은 초기 우수의 유출량은 최소화시키면서, 우수의 유출량을 일정 수준 이하로 제어하여, 도시 홍수, 도시 열섬, 도시 기후 변화의 원인을 제공하는 기존 아파트 등의 단지 외부 공간을 생태유지 기능을 가지는 공간으로 전환할 수 있는 생태유지형 주차 공간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flow rate of rainwater to a certain level while minimizing the amount of rainwater discharged at an initial stage, and has a function of ecologically maintaining an external space of an existing apartment that provides a cause of urban flooding, urban heat island, and urban climate change It is about an ecologically maintained parking space that can be converted to
종래 아파트나, 오피스텔, 주상복합 등 건축물의 지상 공간은 대개 주차 공간과 주차 공간 주변에 형성된 식재 공간으로 이루어진다.Conventional apartments, officetels, residential complexes, such as residential complexes usually consists of a parking space and a planting space formed around the parking space.
이중, 주차 공간은 아스팔트나 콘크리트 등을 이용한 포장면이 상부에 위치되는데, 이러한 포장면은 햇빛에 노출시 복사열로 대기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Of these, the parking space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avement using asphalt or concrete, such pavement can increase the air temperature by radiant heat when exposed to sunlight.
아울러 우수시 주차 공간에 유입되는 물은 곧바로 배수되어 지중으로 사라지며, 폭우시에는 우수가 집중되어 하천 범람 등의 요인이 되기도 한다.In addition, the water flowing into the parking space in rainy season drains immediately and disappears into the ground. In the case of heavy rain, rainwater can be concentrated and cause flooding.
한편, 상기 식재 공간은 주차 공간으로부터 일정 높이의 단차를 가지고 계획 되는 부분으로, 식재 공간으로 유입되는 우수는 식재 공간에 위치하는 식물과 그 하부의 토양층으로 흡수되며, 폭우시 흡수되지 못하고 남는 잉여수는 별도의 배수로를 통하여 배출된다. On the other hand, the planting space is a part planned with a step height from the parking space, rainwater flowing into the planting space is absorbed by the plant and the soil layer beneath the planting space, surplus water remaining unabsorbed during heavy rain Is discharged through a separate drain.
따라서 지반이 장기간 충분한 보습력을 유지하지 못하여, 도시의 열섬 현상 및 기후 변화 현상을 증폭시키는바, 지반이 충분한 보습력을 유지하도록 우수의 유출량을 제어할 필요가 있다. Therefore, the ground does not maintain sufficient moisturizing power for a long time, thereby amplifying urban heat island phenomenon and climate change phenomenon, and it is necessary to control the runoff of rainwater so that the ground maintains sufficient moisturizing power.
아울러 보통 10mm 이하의 강우량에 해당하는 초기 우수는 오염 농도가 높아, 하천으로 유입되는 경우 수질 오염을 유발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여기에 함유된 미세 물질을 미리 분리하는 방법 등으로 초기 우수가 자연 상태로 배수로로 유입되는 유출량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야 한다. In addition, the initial rainwater, which usually corresponds to rainfall below 10 mm, has a high pollution concentration, which is likely to cause water pollution when introduced into the stream. Therefore, the amount of outflow flowing into the drainage in the initial state of natural rainwater should be blocked at the source by a method of separating the fine substance contained in advance.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은 지반이 충분한 보습력을 유지하도록 우수의 유출량을 제어함으로써, 도시 홍수, 도시 열섬, 도시 기후 변화 현상을 해소할 수 있는 생태유지형 주차 공간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n ecologically maintained parking space that can solve the city flood, urban heat island, urban climate change phenomenon by controlling the runoff of rainwater so that the ground maintains sufficient moisturizing power.
아울러 본 발명은 오염 농도가 높은 초기 우수가 그대로 유출되는 유출량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생태유지형 주차 공간을 제공하고자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cologically-maintained parking space that can block the outflow amount of the initial rainwater with a high pollution concentration as it is.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주차 공간 및 상기 주차 공간 주변에 형성된 식재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인공지반에서, 주차 공간의 일면을 따라 형성되되, 바닥면이 주차 공간의 바닥면 높이 이하인 배수로; 상기 배수로의 단부 또는 일부에 연결되어, 배수로를 거친 우수를 침전 처리한 후, 잉여 우수를 배출하는 침사조; 및, 측면 일부가 침사조에 연결되어 침사조를 거친 잉여 우수가 유입되는 트렌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유지형 주차 공간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artificial ground consisting of a parking space and the planting space formed around the parking space, is formed along one surface of the parking space, the bottom surface of the drainage space is less than the floor surface height of the parking space; A sedimentation tank connected to an end or part of the drainage passage, and after discharging the rainwater passing through the drainage passage, discharging surplus rainwater; And, a portion of the side is connected to the immersion tank, the trench flowing in surplus rain through the immersion tank; It provides an ecological maintenance parking space comprising a.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obtain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지반이 충분한 보습력을 유지하도록 우수의 유출량을 제어하기 때문 에, 도시 홍수, 도시 열섬, 도시 기후 변화 현상을 해소할 수 있다. 즉, 주차 공간 상부면의 방열량 축소 및 식재 공간의 증발·냉각 효과로 시원한 미기후 조성이 가능하다. First, because the soil controls the runoff of rainwater to maintain sufficient moisturizing power, urban flooding, urban heat islands, and urban climate change can be eliminated. That is, a cool microclimate can be formed by reducing the heat dissipa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arking space and the evaporation / cooling effect of the planting space.
둘째, 오염 농도가 높은 초기 우수가 유출되는 유출량을 차단함과 동시에, 인공지반 하부의 토양층을 수질정화층으로 활용하기 때문에 중수 생산에 필요한 처리 비용 절감할 수 있다. Second, the first rainwater with high pollution concentration is blocked, and at the same time, the soil layer under the artificial ground is used as a water purification layer, thereby reducing the processing cost required for heavy water production.
셋째,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으로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하기 때문에, 우수 관거 시설 및 설치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Thir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conomical construction with a simple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cost of installation and installation excellent storm.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preferred embodi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생태유지형 주차 공간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cologically maintained parking spac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생태유지형 주차 공간은 주차 공간(100) 및 상기 주차 공간(100) 주변에 형성된 식재 공간(200)으로 이루어지는 인공지반에서, 주차 공간(100)의 일면을 따라 형성되되, 바닥면이 주차 공간(100)의 바닥면 높이 이하인 배수로(300); 상기 배수로(300)의 단부 또는 일부에 연결되어, 배수로(300)를 거친 우수를 침전 처리한 후, 잉여 우수를 배출하는 침사조(400); 및, 측면 일부가 침사조(400)에 연결되어 침사조(400)를 거친 잉여 우수가 유입되는 트렌치(5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Ecologically-maintained parking spa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along one surface of the
본 발명에서 인공지반은 주차 공간(100) 및 상기 주차 공간(100) 주변에 형성된 식재 공간(200)으로 이루어지는데, 여기에서 주차 공간(100)은 주차장 뿐만 아니라 아스팔트나 콘크리트 등으로 상부에 포장면을 가진 공간을 넓게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rtificial ground is composed of a
그리고 식재 공간(200)은 식물류를 식재하는 공간으로, 일사로 인하여 인공지반 바닥면의 표면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한다. The
본 발명에서 상기 주차 공간(100)은 단독으로 또는,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으며, 주차 공간(100)과 배수로(300) 사이에는 도 1과 같이 카 스토퍼(800)를 설치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이러한 주차 공간(100)에는 주차 공간(100)의 일면을 따라 배수로(300)가 인접 배치되는데, 배수로(300)는 주차 공간(100)과 식재 공간(200)의 우수를 집수하는 부분으로 바닥면이 주차 공간(100)의 바닥면 높이 이하로 구성된다. The
다음으로, 배수로(300)를 통과한 우수는 배수로(300)의 단부 또는 일부에 연결되는 침사조(400)로 이동된다.Next, the rainwater passing through the
침사조(400)에서는 배수로(300)를 거친 우수 중에 혼입된 모래, 자갈 등의 이물질을 침전 처리한 후, 잉여 우수를 배출한다. In the
아울러 침사조(400)를 거쳐 배출되는 잉여 우수는 측면 일부가 침사조(400)에 연결되는 트렌치(500)로 유입되나, 폭우시에는 침사조(400)를 거치지 않고 트렌치(500) 부분으로 직접 우수가 유입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surplus rainwater discharged through the
여기에서 트렌치(500)는 식재 공간(200)의 일부로, 가운데 부분이 움푹 패인 형태의 녹지로 조성한다. 트렌치(500)는 우수가 임시 저장되는 일시 저류 기능 및, 증발 기능이 강한 식물의 식재로 인한 증발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이유로 트렌치(500)는 인공지반의 방열량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주변 지역의 온도를 저감시켜 도시 열섬 현상 등을 완화한다. Here, the
본 발명에서 침사조(400)를 거친 잉여 우수 또는 주차 공간(100)이나 식재 공간(200)으로부터 유입되는 우수의 유속이 완만하게 유지되도록, 트렌치(500)의 측면은 경사면으로 구성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ide of the
이렇게 트렌치(500)에 집중된 우수는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되면서, 여과 등의 과정을 거친다. The rainwater concentrated in the
한편, 본 발명에서는 침사조(400)에서 배출된 우수를 트렌치(500)로 직접 유도하기 위한 유도배수로(31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또한, 본 발명에서 주차 공간(100)은 도 1의 확대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부에서부터 차례로 포장층(110), 기반층(120), 무기 토양층(130), 토양 필터층(140) 및, 배수층(150)으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여기에서 포장층(110)은 골재 등으로 이루어지는 기반층(120) 상부에 위치되 는 부분으로, 아스팔트나 콘크리트 등으로 주차 공간(100)의 상부면을 포장하는 층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열용량이 낮은 재생 가능한 골재로 이루어지는 무기질의 미네랄 바인더로 포장층(110)을 구성할 수도 있는데, 후자의 경우 우수시 포장층(110)으로부터 유분이 유출되지 않는다. Here, the
그리고 기반층(120) 하부에 위치하는 무기 토양층(130)은 우수 중의 토양 미분을 거르는 정화 작용을 하는 부분으로, 식재 공간(200) 하부의 무기 토양층(130)과 같은 레벨을 갖도록 시공한다. In addition, the
이때 무기 토양층(130)을 거친 우수는 부직포 등 다공성 시트로 제작된 토양 필터층(140)을 거쳐 배수층(150)으로 이동된 다음, 배수층(150) 내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여 배수파이프(730)로 배출된다. At this time, the rainwater having passed through the
이 밖에, 배수층(150) 하부에는 보호 모르타르층(160)과 방수·방근층(170) 및 슬래브층(180)이 차례로 위치된다. In addition, the
본 발명에서 토양 필터층(140)과 배수층(150)은 두께를 각각 2mm와 30mm 내외로 구성 가능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한편, 트렌치(500)를 비롯한 식재 공간(200)은 상부에서부터 차례로 식재층(210), 유기 토양층(220), 무기 토양층(130), 토양 필터층(140) 및, 배수층(150)으로 이루어진다. Meanwhile, the
본 발명에서는 식재 공간(200) 표면의 증발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증발 기능이 완성한 식물을 식재층(210)에 식재함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improve the evaporation function of the surface of the
그리고 유기 토양층(220)은 오염 물질을 분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으로, 유기 토양층(220)과 무기 토양층(130)을 합친 높이는 최소 900mm 이상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식재 공간(200)에서 무기 토양층(130)을 비롯한 무기 토양층(130) 하부의 구성은 주차 공간(100) 하부의 구성과 같다. The structure of the
아울러 본 발명은 트렌치(500)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월류관(600)을 포함하여 구성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a overflow pipe (600) install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trench (500).
월류관(600)은 트렌치(500)로 집수되는 월류수를 직접 배수층(150)에 전달하는 부분으로, 폭우시 일정 수준으로 트렌치(500)에 물이 유입되더라도 인공지반의 배수 기능을 유지한다. The
여기에서 월류관(600) 내부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잔자갈층과 굵은 자갈층을 반복적으로 배치하기 때문에, 우수 중의 이물질이 어느 정도 정화된다. Here, since the residue layer and the coarse gravel layer are repeatedly arranged from the upper part to the lower part in the
또한, 본 발명은 식재 공간(200)에 설치되는 점검구(700)를 포함하여 구성 가능하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a
점검구(700)는 외부의 이물질에 의하여 배수파이프(730)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고, 배수파이프(730)의 주기적인 점검을 위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점검구(700) 하부에 위치하는 배수층(150)에 배수파이프(730)를 연결하고, 배수파이프(730)를 거친 우수를 최종 배출한다. The
다음으로, 도 2는 침사조(400)를 도시하는 사시도로, 도 2의 (a)는 침사조(400)의 상세 구성이고, 도 2의 (b)는 배수로(300)와 침사조(400) 및 유도배수로(310)와의 관계를 나타낸다. Next,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여기에서 침사조(400)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박스 형태로, 침사조(400)의 내부 공간은 수직 방향의 격벽(440)에 의하여 입수부(420)와 출수부(430)로 양분된다.Here, the
이때, 배수로(300)를 거친 우수는 입수부(420) 상단 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배수로(300)에 연결되는 입수구(422)를 통하여 침사조(400)로 유입된 다음, 우수보다 비중이 큰 물질을 입수부(420) 하부에 침전시킨다. At this time, the rainwater that passed through the
그리고 침사조(400)의 하부면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의 격벽(440)에 형성된 관통구(442)를 통하여 이물질이 걸러진 우수를 출수부(430) 측으로 전달하며, 출수부(430)의 내부에 설치된 필터(450)에 유분을 흡착·정화한 다음, 출수부(430)의 측면에 형성된 출수구(43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한다. And the rainwater is filtered through the through
이때 필터(450)는 다공성 재질의 매트 형태로 제작할 수 있으며, 침사조(400) 상부에는 상부면의 개폐가 가능한 침사조 뚜껑(410)을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침사조 뚜껑(410)에는 우수가 직접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유입공을 천공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그리고 도 3은 월류관(600)이 시공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1에서 월류관이 위치된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3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월류관(600)의 상단은 트렌치(500)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부분만큼 돌출되도록 구성한다. As can be seen in Figure 3, the upper end of the
따라서 트렌치(500) 부분은 항시 일정 수준으로 우수를 저장할 수 있어 인공지반의 보습 기능을 유지한다. 다만, 트렌치(500) 부분에 우수가 과다하게 집수된 경우에는 트렌치(500) 부분에 식재된 식물이 성장하기 어려우므로, 트렌치(500)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월류관(600)의 높이는 이를 감안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한편, 월류관(600)의 내부에는 잔자갈층과 굵은 자갈층이 상부에서 하부로 반복적으로 배치되어 우수를 정화할 수 있으므로, 월류관(600)의 하단은 배수층(150)에 직접 연결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residue layer and coarse gravel layer is repeatedly dispos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월류관(600)의 상부에는 다수 개의 유입공이 형성된 월류관(600) 뚜껑을 설치할 수 있다.The upper portion of the
마지막으로 도 4는 점검구(700)가 시공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spection opening 700 is constructed.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점검구(700)의 상단은 개폐 가능한 점검구 뚜껑(710)을 설치하고, 점검구(700)의 하단은 배수층(150)에 연결시켜 우수를 배수한다. As can be seen in Figure 4, the upper end of the
점검구(700)의 하단에는 복수 개의 배수공이 천공된 배수캡(720)이 위치될 수 있다. A
본 발명에서 우수의 이동 경로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Summarizing the movement route of rainwater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즉, 주차 공간(100) 또는 식재 공간(200)에 유입되는 우수는 배수로(300)를 통하여 침사조(400)로 유입되며, 침사조(400)에서 1차적으로 이물질을 정화한 다음, 침사조(400)에서 트렌치(500)로 직접, 또는 침사조(400)에서 유도배수로(310)를 거쳐 트렌치(500)로 우수를 배출한다. That is, rainwater flowing into the
이때 트렌치(500)로 유입된 우수의 일부는 직접 증발되고, 일부는 식재층(210)에 흡수된 다음, 유기 토양층(220) 및 무기 토양층(130)을 거쳐 여과·정화되며, 토양 필터층(140)을 거쳐 배수층(150)으로 이동한 다음, 배수파이프(73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 과정에서 배출되는 우수를 별도로 저수하여 활용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part of the rainwater introduced into the
이 밖에, 폭우시에는 주차 공간(100)과 식재 공간(200)에 유입된 우수의 일부가 직접 트렌치(500) 부분으로 이동하여, 트렌치(500)에 설치된 월류관(600)을 통하여 배수층(150)으로 이동된 다음, 배수파이프(73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In addition, during heavy rains, a part of rainwater flowing into the
아울러 점검구(700)를 통하여 우수의 일부가 직접 배수층(150)으로 유입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some of the rainwater may be introduced directly into the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건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preferred embodiment as mentioned abov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that fall within the true scope of the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생태유지형 주차 공간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cologically maintained parking spa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침사조의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ide tank.
도 3은 월류관이 시공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verflow pipe is constructed.
도 4는 점검구가 시공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inspection tool is constructed.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Major Symbols in Drawing>
100: 주차 공간 110: 포장층100: parking space 110: pavement floor
120: 기반층 130: 무기 토양층120: base layer 130: inorganic soil layer
140: 토양 필터층 150: 배수층140: soil filter layer 150: drainage layer
160: 보호 모르타르층 170: 방수·방근층160: protective mortar layer 170: waterproofing and waterproofing layer
180: 슬래브층 200: 식재 공간180: slab layer 200: planting space
210: 식재층 220: 유기 토양층210: planting layer 220: organic soil layer
300: 배수로 310: 유도배수로300: drainage passage 310: induction drainage passage
400: 침사조 410: 침사조 뚜껑400: tide tank 410: tide tank lid
420: 입수부 422: 입수구420: acquisition part 422: acquisition port
430: 출수부 432: 출수구430: water outlet 432: water outlet
440: 격벽 442: 관통구440: partition 442: through hole
450: 필터 500: 트렌치450: filter 500: trench
600: 월류관 700: 점검구600: overflow pipe 700: checkout
710: 점검구 뚜껑 720: 배수캡710: access cover lid 720: drain cap
730: 배수파이프 800: 카 스토퍼730: drain pipe 800: car stopper
Claims (10)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80122404A KR101063929B1 (en) | 2008-12-04 | 2008-12-04 | Eco-friendly parking spa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80122404A KR101063929B1 (en) | 2008-12-04 | 2008-12-04 | Eco-friendly parking spac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00064007A KR20100064007A (en) | 2010-06-14 |
| KR101063929B1 true KR101063929B1 (en) | 2011-09-08 |
Family
ID=42363753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80122404A Active KR101063929B1 (en) | 2008-12-04 | 2008-12-04 | Eco-friendly parking spac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063929B1 (en)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0336966A (en) * | 1999-06-01 | 2000-12-05 | Yuuken Kogyo Kk | Planting type drive-in multistory parking space |
| JP2003034972A (en) | 2001-07-26 | 2003-02-07 | Kenchiku Jimusho Tateishi:Kk | Rainwater disposal facilities for parking lot |
| JP2004353221A (en) * | 2003-05-28 | 2004-12-16 | Kajima Road Co Ltd | Temperature rise controlling type paving structure of of paving surface |
-
2008
- 2008-12-04 KR KR1020080122404A patent/KR10106392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0336966A (en) * | 1999-06-01 | 2000-12-05 | Yuuken Kogyo Kk | Planting type drive-in multistory parking space |
| JP2003034972A (en) | 2001-07-26 | 2003-02-07 | Kenchiku Jimusho Tateishi:Kk | Rainwater disposal facilities for parking lot |
| JP2004353221A (en) * | 2003-05-28 | 2004-12-16 | Kajima Road Co Ltd | Temperature rise controlling type paving structure of of paving surfac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00064007A (en) | 2010-06-14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012749B1 (en) | Open Rainwater Treatment Unit | |
| US7425261B2 (en) | Stormwater bioretention filtration system with overflow/bypass capability | |
| CN106284588B (en) | A kind of rainwater treatment and stocking system available for sponge city | |
| CN103306360B (en) | Multidimensional ecological drainage system for intercepting and controlling separate system rainwater pollutants into river | |
| CN101467511B (en) | Decentralized rainwater collection and infiltration irrigation device for urban road green belt | |
| KR101724155B1 (en) | Facility for purification and supply of rain water for tree | |
| CN110042724B (en) | Rainwater collecting, utilizing and discharging system for sponge facilities in collapsible loess area | |
| KR101259656B1 (en) | Drainage system of a town tree-planting | |
| CN203531109U (en) | Separate and multi-dimensional ecological drainage system used for interception and control of rainwater runoff pollutants into river | |
| KR101701387B1 (en) | Facility for infiltrating rain water | |
| CN108999056B (en) | Sponge City Road Rainwater Integrated Circulation Treatment System | |
| JP4268922B2 (en) | Drainage system with drainage system and drainage system in drainage system | |
| KR102141002B1 (en) | Eco-friendly Rainwater Management System | |
| CN105064274B (en) | Store the integrated box revetment of row | |
| CN104032793A (en) | Garden type rainwater impact resistance system used for residential area road | |
| CN113818534A (en) | Biological retention facility for sponge urban road | |
| KR20080101132A (en) | Rainforest reservoir for the green zone | |
| KR101206269B1 (en) | Rainwater management system integrated with water-storage | |
| KR100714315B1 (en) | Infiltration and Reservoir System | |
| KR101333120B1 (en) | Street tree box and structure for creating street tree space for water circulation environment using the same | |
| CN203977495U (en) | The anti-rainwater impact system of garden type for residential quarter road | |
| KR101380776B1 (en) | A Monolithic street tree box with side gutter | |
| KR101737730B1 (en) | Low impact development(LID) type facilities for reducing non-point pollution material of road | |
| KR101063929B1 (en) | Eco-friendly parking space | |
| CN111501948A (en) | Rainwater collecting and processing system for roof of residential building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02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3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