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80417B1 - 채널을 전환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채널을 전환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0417B1
KR101080417B1 KR1020060127959A KR20060127959A KR101080417B1 KR 101080417 B1 KR101080417 B1 KR 101080417B1 KR 1020060127959 A KR1020060127959 A KR 1020060127959A KR 20060127959 A KR20060127959 A KR 20060127959A KR 101080417 B1 KR101080417 B1 KR 1010804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gram
channel
time
switching
receiv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7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5082A (ko
Inventor
권오현
이병기
김찬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7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0417B1/ko
Publication of KR20080055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50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0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041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채널을 전환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신호가 수신되면, 소정의 신호가 수신된 시간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채널로 전환하도록 소정의 신호를 설정하고, 시간에 대응하는 프로그램과 같이 수신된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시간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의 방송시간을 획득하고, 획득된 방송시간 내에 설정된 소정의 신호가 수신되면, 대응하는 프로그램 채널로 전환함으로써, 다른 일로 인해 해당 프로그램의 시작시간을 놓쳤을 때, 핫키를 한번 누름으로 해서 채널을 전환하는 장치의 전원을 켜는 것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로의 전환이 바로 이루어진다. 또한, 기존의 핫키와는 달리 사용자가 시청하길 원하는 프로그램을 방송사 또는 채널에 관계없이 방송 시간이 다를 경우에는 원하는 만큼 동일한 핫키로 설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채널을 전환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channel}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을 전환하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환신호를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을 전환하는 장치가 꺼져 있는 경우에 채널을 전환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을 전환하는 장치가 켜져 있는 경우에 채널을 전환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채널을 전환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특정 요일의 특정 시간대에 TV 프로그램을 시청하길 원할 경우, 신속하게 해당 프로그램을 사용자에게 보여주기 위하여 원격제어장치에서 핫키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핫키를 이용하여 채널을 전환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핫키란 여러 단계를 거쳐 원하는 채널로 전환하던 것을 하나의 단축키로 상기 원하는 채널로 전환하도록 해 주는 키이다.
사용자가 시청을 원하는 특정 채널을 임의의 핫키로 지정하고, 상기 핫키를 입력하면, 상기 특정 채널로 바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핫키를 설정하는 방법 및 핫키를 이용한 채널 전환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핫키는 일반적으로 원격제어장치(예를 들면, 리모컨)에 위치한다. 원격제어장치는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키 코드가 메모리에서 독출된 후 적외선이나 RF신호 형태로 송출되어 TV나 각종 전자제품을 원격지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종래의 원격제어장치는 다수의 키를 구비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가 눌려짐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키 코드가 메모리에서 독출되어 TV로 송출되도록 함으로써 원격 제어를 할 수 있었으며, 한번의 입력으로 특정 방송국의 특정 채널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핫키가 구비되어 있었다.
원격제어장치의 핫키 설정 방법은 핫키를 설정하기 위해 핫키 설정모드 키를 입력하고, 외부신호를 제공하는 장치를 나타내는 키와 채널을 나타내는 키를 입력하고, 핫키 설정을 종료하고 저장하는 키를 입력함으로써 핫키를 설정한다. 상기 외부신호를 제공하는 장치를 나타내는 키는 공중파 방송을 나타내는 키임이 바람직하고, 상기 채널을 나타내는 키는 방송국 채널을 나타내는 키임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공중파 방송을 나타내는 키는 서울지역의 경우 "0"에 대응하고, MBC 방송국의 경우에는 "11"에 대응한다. 상기 외부신호를 제공하는 장치는 비디오 장치, DVD 장치, 공중파 및 위성방송을 포함한다.
상기 핫키는 특정 방송 채널이 표시된 방송국 채널키임이 바람직하고, 상기 채널키를 누를 경우 정해진 채널로 전환하게 된다.
종래 기술은 핫키로 설정된 채널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상기 채널만으로 전환이 가능하다. 그리고 각각의 채널과 핫키가 일대일 대응을 하게 되고, 핫키를 원격제어장치에 두는 경우, 수적 제한이 있으므로 핫키로 설정할 수 있는 채널의 수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또한 새로운 채널을 설정하기 전에는 핫키를 누를 경우, 기존에 핫키에 설정한 채널로만 전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시청자가 요일 및 시간에 따라 핫키를 이용하여 원하는 채널로 전환이 가능하도록 하고, TV 전원이 꺼져 있는 경우에는 상기 핫키를 이용하여 TV 전원을 켜서 원하는 채널로의 전환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핫키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핫키를 이용하여 채널을 전환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상기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채널을 전환하는 방법은 소정의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소정의 신호가 수신된 시간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채널로 전환하도록 상기 소정의 신호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시간에 대응하는 프로그램과 같이 수신된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상기 시간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의 방송시간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방송시간 내에 상기 설정된 소정의 신호가 수신되 면, 상기 대응하는 프로그램 채널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된 채널을 전환하는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채널을 전환하는 장치는 방송 중인 프로그램의 방송시간을 상기 방송 중인 프로그램과 같이 수신된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획득하는 정보 획득부; 상기 방송 중인 프로그램의 방송시간 내에 소정의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방송 중인 프로그램의 채널로 전환하도록 상기 수신된 소정의 신호를 설정하는 채널전환 설정부; 및 상기 방송 중인 프로그램의 방송시간 내에 상기 설정된 소정의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설정된 채널로 전환하는 채널 전환부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을 전환하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채널을 전환하는 장치는 제어신호 수신부(110), 설정 저장부(120), 방송신호 수신부(130), 방송정보 저장부(140), 제어부(150) 및 디스플레이부(160)로 구성된다. 제어부(150)는 정보 획득부(151), 채널전환 설정부(152) 및 채널 전환부(153)로 구성된다.
제어신호 수신부(110)는 컨트롤 장치로부터 채널을 전환하는 전환신호 또는 채널을 설정하는 설정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컨트롤 장치는 리모트 컨트롤러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설정신호는 채널에서 방송되고 있는 프로그램의 방송시간에 따라 전환신호를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되는 신호이다. 상기 전환신호는 상기 컨트롤 장치에 위치한 핫키로부터 생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환신호는 방송시간에 따라 다른 채널에 대응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전환신호는 하나의 동일한 전환신호라도 방송시간 각각에 대응하여 다른 전환신호가 된다. 따라서 하나의 전환신호가 제어신호 수신부(110)에 수신되는 시간에 따라 전환되는 채널이 달라질 수 있다.
설정 저장부(120)는 사용자에 의해 방송시간에 따라 설정된 전환신호에 대한 정보 및 최근 출력한 채널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전환신호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전환신호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의 EPG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EPG 정보 중에서 특히 상기 전환신호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의 방송시간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방송신호 수신부(130)는 외부로부터 프로그램을 수신한 후, 상기 수신된 프로그램에 대한 EPG 정보를 방송정보 저장부(140)로 출력한다. 방송신호 수신부(130)는 채널 전환부(153)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을 수신한다.
방송정보 저장부(140)는 방송신호 수신부(130)로 수신되는 프로그램의 EPG 정보를 저장한다. 바람직하게는 현재 수신하고 있는 프로그램의 EPG 정보뿐만이 아니라 다른 시간대에 수신되는 EPG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시간대에 수신되는 EPG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경우 전환신호에 대응하는 채널을 설정 할 때마다 상기 저장된 EPG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EPG(Electronic Program Guide)란, 시청자가 시간, 제목, 채널 또는 쟝르(genre) 등을 가지고 원격 제어기, 키보드 또는 전화 키패드를 이용하여 내용을 검색, 선택 또는 발견할 수 있도록 하는 스크린상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가이드이다. 방송신호의 사이사이에 삽입되어 수신자의 셋탑박스로 전송되는 해당 방송의 정보를 EPG라고 한다.
정보 획득부(151)는 제어신호 수신부(110)에 설정신호가 수신되면, 설정 저장부(120)를 검사하여 상기 설정신호가 수신된 방송시간에 대응하는 전환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전환신호 존재 여부를 확인한 결과, 상기 설정신호가 수신된 방송시간에 대응하는 전환신호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존재하는 전환신호를 변경할 것인지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기 위해 디스플레이부(160)로 입력창을 출력한다. 정보 획득부(151)는 상기 전환신호 존재 여부를 확인한 결과, 상기 설정신호가 수신된 방송시간에 대응하는 전환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방송정보 저장부(140)로 하여금 디스플레이부(160)에 상기 현재 방송 중인 프로그램의 EPG 정보를 출력하도록 한다. 상기 현재 방송 중인 프로그램의 EPG 정보는 현재 디스플레이부(160)에 출력 중인 프로그램의 EPG 정보에 한정할 것이 아니고, 다른 채널에서 현재 방송 중인 프로그램의 EPG 정보를 포함한다.
정보 획득부(151)는 제어신호 수신부(110)로 전환신호가 입력되면, 설정 저장부(120)에 상기 입력된 전환신호와 대응되는 채널설정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설정 저장부(120)를 통해 확인한다. 상기 확인 결과, 대응되는 채널설정정보가 있으면, 채널 전환부(153)로 상기 채널설정정보를 출력하고, 채널 전환부(153)은 상기 채널 설정정보를 이용하여 채널을 전환한다. 만일 설정 저장부(120)를 통해 확인한 결과, 대응되는 채널설정정보가 없으면, 핫키 설정 여부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기 위해 디스플레이부(160)로 입력창을 출력한다.
채널전환 설정부(152)는 설정신호가 입력되면, 전환신호가 입력되는 시간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프로그램의 채널로 전환하도록 설정하고 설정 저장부(120)에 저장한다. 상기 전환신호가 입력되는 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프로그램의 방송시간으로 구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채널 전환부(153)는 채널전환 설정부(152)에서 설정된 전환신호가 상기 전환신호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의 방송시간 내에 제어신호 수신부(110)로 수신되면, 상기 대응하는 프로그램이 방송 중인 채널로 전환한다. 채널 전환부(153)는 상기 대응되는 채널설정정보가 있으면 상기 설정된 채널로 전환하고, 상기 대응되는 채널설정정보가 없으면 핫키 설정 여부를 사용자에게 확인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채널 전환부(153)는 채널을 전환하는 장치가 OFF 상태에 있는 경우, 제어신호 수신부(110)로 전환신호가 입력되면, 전원장치(미도시)로 ON 신호를 출력한다. 만일 채널을 전환하는 장치가 ON 상태에 있는 경우, 제어신호 수신부(110)로 전환신호가 입력되면, 정보 획득부(151)는 설정 저장부(120)에 상기 입력된 전환신호와 대응되는 채널이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설정 저장부(120)를 통해 확인한다. 채널 전환부(153)는 상기 대응되는 채널이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설정된 채널로 전환한다.
디스플레이부(160)는 수신하는 프로그램을 출력하는 한편, 상기 출력 중인 프로그램의 EPG 정보를 화면에 출력한다. 사용자는 출력된 화면을 보고 선택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전환신호를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채널전환신호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201 단계에서 제어신호 수신부(110)는 컨트롤 장치로부터 설정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컨트롤 장치는 외부의 제어 장치(예를 들어, 리모트 컨트롤러)임이 바람직하다.
202 단계에서 정보 획득부(151)는 상기 설정신호가 수신된 시간에 대응하는 전환신호가 존재하는지를 설정 저장부(120)를 검사하여 판단한다. 상기 설정신호가 수신된 시간에 대응하는 전환신호란 설정신호가 제어신호 수신부(110)에 수신된 시간을 방송시간에 포함하는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전환신호를 의미한다. 만일 상기 대응하는 전환신호가 이미 존재한다면 전환신호의 설정을 변경할 것인지를 사용자로부터 확인받기 위해 203 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대응하는 전환신호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204 단계로 진행한다.
203 단계에서 제어신호 수신부(110)는 상기 이미 존재하는 전환신호를 변경할 것인지 여부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다. 제어신호 수신부(110)로 상기 이미 존재하는 전환신호를 변경하지 않는다는 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수신하거나 어떠한 신호도 오지 않은 채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그대로 종료함이 바람직하다. 제어신호 수신부(110)로 상기 이미 존재하는 전환신호를 변경한다는 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경우에는 204 단계로 진행한다.
204 단계에서 정보 획득부(151)는 현재 방송되는 프로그램의 EPG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60)로 출력하도록 방송정보 저장부(140)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현재 방송되는 프로그램의 EPG 정보는 현재 디스플레이부(160)에 방송 중인 프로그램만이 아니라 다른 채널에서 방송 중인 프로그램의 EPG 정보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05 단계에서 사용자는 전환신호에 대응하여 전환되는 프로그램의 채널을 선택한다.
206 단계에서 채널전환 설정부(502)는 이미 설정된 다른 전환신호의 프로그램 방송시간과 상기 205 단계에서 선택된 프로그램의 방송시간이 일부라도 겹치는 부분이 있는지 설정 저장부(120)를 검사한다. 만일 방송시간이 일부라도 겹치는 경우에는 207 단계로 진행하고, 겹치지 않는 경우에는 208 단계로 진행한다.
207 단계에서 상기 이미 설정된 다른 전환신호의 설정을 변경하는 신호가 사용자에 의해서 제어신호 수신부(110)로 입력되면, 208 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설정을 변경하는 신호는 상기 컨트롤 장치로부터 출력됨이 바람직하다. 제어신호 수신부(110)로 상기 설정을 변경하지 않는다는 신호를 수신하거나 어떠한 신호도 오지 않은 채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그대로 종료함이 바람직하다.
208 단계에서 채널전환 설정부(152)는 205 단계에서 선택된 프로그램의 방송시간 내에 전환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프로그램이 방송되는 채널로 전환하도록 설정하고 설정 저장부(120)에 상기 설정을 저장한다. 상기 방송시간은 주기성을 특징으로 하는 기간임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방송시간은 하루 단위로 설정될 수도 있고 일주일을 단위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일 저녁 9시부터 10시까지 채널 11에서 방송하는 뉴스 프로그램이 상기 전환신호로 대응하도록 설정되어 있다고 하면, 매일 저녁 9시부터 10시까지의 방송시간 중에 어느 때나 상기 전환신호가 제어신호 수신부(110)로 입력되면 채널 전환부(153)는 채널 11로 채널을 전환하도록 방송신호 수신부(130)로 제어신호를 보낸다. 또한 특정 요일의 특정 시간에 방송하는 프로그램에 대해서도 상기 전환신호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만일 상기 선택된 프로그램이 방송정보 저장부(140)에 저장된 정보로부터 판단한 결과 주기적으로 방송되는 프로그램이 아니라면 사용자에게 전환신호를 설정할 것인지 여부를 확인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선택된 프로그램이 주기적으로 방송되는 프로그램이 아니라고 하더라도, 상기 선택된 프로그램의 방송시간에 상기 전환신호가 제어신호 수신부(110)로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프로그램의 채널로 변경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전환신호는 상기 컨트롤 장치에 위치한 핫키로부터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을 전환하는 장치가 꺼져 있는 경우에 채널을 전환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301 단계에서 채널을 전환하는 장치가 꺼져 있는 상태에서 제어신호 수신부(110)로 전환신호가 입력되면, 채널 전환부(153)는 상기 채널을 전환하는 장치의 전원장치로 채널을 전환하는 장치의 전원을 ON하는 신호를 보낸다.
302 단계에서 정보 획득부(151)는 설정 저장부(120)에 저장되어 있고, 상기 입력된 전환신호에 대응하는 채널설정정보가 있는지 확인한다.
303 단계에서 설정 저장부(120)에 상기 입력된 전환신호에 대응하는 채널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최근 시청한 채널을 유지한다.
304 단계에서 설정 저장부(120)에 상기 입력된 전환신호에 대응하는 채널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설정된 채널로 전환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을 전환하는 장치가 켜져 있는 경우에 채널을 전환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401 단계에서 채널을 전환하는 장치가 켜져 있을 때 제어신호 수신부(110)로 전환신호가 입력되면, 정보 획득부(151)는 설정 저장부(120)에 상기 입력된 전환신호에 대응하는 채널이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402 단계에서는 401 단계에서 설정 저장부(120)에 채널설정정보가 있는지 확인한 결과, 상기 입력된 전환신호에 대응하는 채널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설정된 채널로 전환한다.
403 단계에서는 상기 입력된 전환신호에 대응하는 채널설정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입력된 전환신호에 대응하는 채널을 설정할 것인지를 사용자로부터 확인받는다. 사용자가 상기 입력된 전환신호에 대응하는 채널을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404 단계로 진행하고, 설정하고자 하지 않는 경우에는 종료한다.
404 단계에서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을 상기 입력된 전환신호에 대응하도록 설정하기 위해 도 2의 202 단계로 진행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 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핫키로 채널을 설정하거나 전환하는 방법에 있어서,사용자가 주기적으로 시청하는 프로그램을 핫키로 설정해 놓고, 다른 일로 인해 해당 프로그램의 시작시간을 놓쳤을 때, 핫키를 한번 누름으로 해서 채널을 전환하는 장치의 전원을 켜는 것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로의 전환이 바로 이루어진 다.
또한, 기존의 핫키와는 달리 사용자가 시청하길 원하는 프로그램을 방송사 또는 채널에 관계없이 시간만 다를 경우에는 원하는 만큼 동일한 핫키로 설정할 수 있다.

Claims (13)

  1. (a) 소정의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소정의 신호가 수신된 시간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채널로 전환하도록 상기 소정의 신호를 설정하는 단계;
    (b) 상기 시간에 대응하는 프로그램과 같이 수신된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상기 시간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의 방송시간을 획득하는 단계;
    (c) 상기 획득된 방송시간 내에 상기 설정된 소정의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대응하는 프로그램 채널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c) 단계는
    상기 설정된 소정의 신호가 수신되면, 프로그램을 화면에 출력하는 장치를 ON 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을 전환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소정의 신호는 원격제어장치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키로부터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을 전환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방송시간은 상기 방송 중인 프로그램이 주기적으로 방송되는 시간임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을 전환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방송시간은 특정 시간구간이거나 특정 요일의 특정 시간구간임 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을 전환하는 방법.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프로그램을 화면에 출력하는 장치가 ON 된 후, 상기 설정된 소정의 신호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이 없는 경우에는 최근 채널의 프로그램을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을 전환하는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4항, 및 제 6 항 중에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8. 방송 중인 프로그램의 방송시간을 상기 방송 중인 프로그램과 같이 수신된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획득하는 정보 획득부;
    상기 방송 중인 프로그램의 방송시간 내에 소정의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방송 중인 프로그램의 채널로 전환하도록 상기 수신된 소정의 신호를 설정하는 채널전환 설정부; 및
    상기 방송 중인 프로그램의 방송시간 내에 상기 설정된 소정의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설정된 채널로 전환하는 채널 전환부를 포함하며,
    상기 채널 전환부는 상기 설정된 소정의 신호가 수신되면, 프로그램을 화면에 출력하는 장치를 ON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을 전환하는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소정의 신호는 원격제어장치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키로부터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을 전환하는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방송시간은 상기 방송 중인 프로그램이 주기적으로 방송되는 시간임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을 전환하는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방송시간은 특정 시간구간이거나 특정 요일의 특정 시간구간임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을 전환하는 장치.
  12. 삭제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전환부는 상기 프로그램을 화면에 출력하는 장치가 ON 된 후, 상기 설정된 소정의 신호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이 없는 경우에는 최근 채널의 프로그램을 화면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을 전환하는 장치.
KR1020060127959A 2006-12-14 2006-12-14 채널을 전환하는 방법 및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080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7959A KR101080417B1 (ko) 2006-12-14 2006-12-14 채널을 전환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7959A KR101080417B1 (ko) 2006-12-14 2006-12-14 채널을 전환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5082A KR20080055082A (ko) 2008-06-19
KR101080417B1 true KR101080417B1 (ko) 2011-11-04

Family

ID=39801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7959A Expired - Fee Related KR101080417B1 (ko) 2006-12-14 2006-12-14 채널을 전환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041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5082A (ko) 2008-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4514B2 (en) Digital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configured for use with copy control information
JP2008118219A (ja) デジタル放送選局装置、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及びデジタル放送選局方法
KR100454474B1 (ko) 방송 녹화기기에서의 채널 절환방법
US8280228B2 (en)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KR101080417B1 (ko) 채널을 전환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539515B1 (ko) 티브이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TV Electro n i c P r o gram Guide)의 프로그램간 이동방법
KR100724348B1 (ko) 다중 매체를 통한 동일방송 수신 방법
KR20060008389A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방송 프로그램 안내장치 및방법
US8887198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searching channel
KR100735190B1 (ko) 방송 편성 정보 안내 방법 및 텔레비전 방송 수상기
KR100831796B1 (ko) 타임 쉬프트 기능을 내장한 영상표시기기 및 그 재생 방법
KR100710265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의 방송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KR100672436B1 (ko) 영상기기 및 그의 방송 프로그램 관리 방법
KR100633090B1 (ko) 디지털 tv의 제어방법
KR100793777B1 (ko) 영상기기 및 그의 방송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KR101229492B1 (ko) 방송 프로그램을 예약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239481B1 (ko) 케이비피에스 신호를 이용한 프로그램 안내장치 및 방법
KR101481687B1 (ko) 티브이 수신장치
KR100820715B1 (ko) 텔레비전의 채널 편집 방법
KR100214594B1 (ko) 방송 프로그램 뮤트 장치 및 방법
JP2008301397A (ja) 映像音声出力装置
US20050089305A1 (en) Timer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VCR having digital tuner
KR20070114600A (ko) 영상표시기기의 녹화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40097521A (ko) 서로 다른 디지털 방송에 대하여 동시에 녹화와 시청이가능한 장치
KR20080032830A (ko) 티브이 및 이를 이용한 채널 정보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4110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411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