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83862B1 - 포인팅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포인팅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3862B1
KR101083862B1 KR1020067010028A KR20067010028A KR101083862B1 KR 101083862 B1 KR101083862 B1 KR 101083862B1 KR 1020067010028 A KR1020067010028 A KR 1020067010028A KR 20067010028 A KR20067010028 A KR 20067010028A KR 101083862 B1 KR101083862 B1 KR 101083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ck
subassembly
pointing device
base
base subassembl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0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7955A (ko
Inventor
조나흐 하레이
페리드 마타
Original Assignee
아바고 테크놀로지스 이씨비유 아이피 (싱가포르) 피티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바고 테크놀로지스 이씨비유 아이피 (싱가포르) 피티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아바고 테크놀로지스 이씨비유 아이피 (싱가포르) 피티이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60117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7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3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386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8Sliders, in which the moving part moves in a plane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38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limited linear or angular displacement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from a neutral position, e.g. isotonic or isometric joystick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퍽 서브 조립체(50) 및 베이스 서브 조립체(40)를 갖는 포인팅 디바이스(30)를 개시한다. 퍽 서브 조립체(50)는, 사용자와 퍽의 상호작용을 검출하는 사용자 센서를 갖는 가동 퍽을 포함한다. 퍽은 퍽 이동 영역 내에서 이동하도록 제한된다. 퍽 서브 조립체(50)는, 퍽 이동 영역의 경계를 결정하는 개구를 갖는 지지부재(52)를 포함한다. 베이스 서브 조립체(40)는, 퍽이 이동하는 베이스 표면(45)과, 퍽 이동 영역 내에서의 상기 퍽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 검출기(45)와, 장착 기구(46, 212, 221)를 포함한다. 상기 장착 기구(46, 212, 221)는, 베이스 서브 조립체(40)를 퍽 서브 조립체(50)에 연결하여 상기 퍽 서브 조립체(50)가 용이하게 제거되도록 한다. 상기 퍽 서브 조립체(50)가 베이스 조립체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베이스 표면(45)에 접근 가능하다. 퍽 서브 조립체(50)는 소정 구역으로 퍽을 복귀시키는 복원 기구(13)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포인팅 디바이스{A MODULAR ASSEMBLY FOR A SELF-INDEXING COMPUTER POINTING DEVICE}
본 발명은, 컴퓨터 등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포인팅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컴퓨터 운영 체제 및 그래픽 프로그램은 컴퓨터 디스플레이상의 커서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포인팅 디바이스(pointing device)를 필요로 한다. 데스크탑 PC의 경우에, 가장 성공적인 포인팅 디바이스는 "마우스"이다. 마우스는 키보드 부근의 평탄면 위에서 이동하여 컴퓨터 디스플레이상의 커서의 이동을 제어하는 포켓용 물체이다. 마우스가 이동하는 방향 및 거리는 커서가 디스플레이상에서 이동하는 거리 및 방향을 결정한다. 종래의 마우스는 사용자가 매우 정밀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강성 물체를 제공한다. 데스크탑 컴퓨터의 경우에, 마우스는 포인팅 물체에 대한 만족스러운 해결책을 제공한다. 마우스가 이동하고 디스플레이상의 소망하는 커서 이동을 수용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작업 공간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사용자는 단순히 마우스를 집어 마우스를 작업 공간내에서 재 중심설정한다.
마우스는 데스크탑 PC 시장에서의 포인팅 디바이스 문제점에 대한 만족할 만한 해결책을 제공하였지만, 유사한 만족스러운 장치가 휴대용 및 포켓용 컴퓨터의 경우에는 이용 가능하지 않다. 이들 컴퓨터는 마우스가 이동될 수 있는 키보드 부근의 충분히 넓은 평탄한 표면이 없는 환경에서 종종 사용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컴퓨터를 그러한 환경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어떤 다른 형태의 포인팅 디바이스가 필요하다.
이러한 환경에서 사용하기 위한 포인팅 장치는 커서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동시키는 문제점을 해결해야만 한다. 또한, 이 장치는 초보 사용자라도 과대한 지시사항 없이 이해할 수 있는 직관적인 형태로 작동해야 한다. 또한, 포인팅 디바이스는 제한된 작업 공간 내에서 동작해야 하고 컴퓨터의 폼 팩터(form factor) 또는 포켓용 장치 내에 적합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저 비용, 저 전력 소모 및 고 신뢰도의 일반적인 규제도 충족해야 한다.
현재, 랩탑 컴퓨터의 포인팅 디바이스에 관한 문제점에 대해 2가지의 지배적인 해결책, 즉 시냅티스 용량성 터치패드(Synaptics capacitive Touchpad)(상표명)와 IBM 트랙포인트(상표명)가 있다. 다른 회사에서도 유사한 기능을 갖는 이들 장치의 변형을 생산하고 있다. 이들 양자는 상기 요건을 만족시키기에는 매우 부족하다. 트랙포인트(Trackpoint)(상표명)는 랩탑 키보드의 중앙에 통상적으로 설치되는 소형 버튼이다. 이 버튼은 버튼의 중심에 손가락으로 측방향의 힘을 가하는 것에 의해서 "조이스틱"과 유사한 방식으로 움직일 수도 있다. 유감스럽게도, 이 버튼은 소량만 움직일 수 있으므로, 버튼의 이동량은 컴퓨터 디스플레이상의 커서 위치의 이동량으로 직접 맵핑될 수 없다. 대신에, 이 버튼 이동량은 커서가 움직이는 방향 및 속도를 제어한다. 사용자가 이러한 속도 제어 방식을 사용하여 커서를 위치설정하는 정밀도는, 통상의 컴퓨터에 의해 달성할 수 있는 것보다 상당히 낮다. 이러한 제약은 컴퓨터 그래픽 프로그램에서의 드로잉과 같은 작고 정밀한 이동에 필요한 작업에서 특히 명백하다.
터치패드(상표명)는 대부분의 랩탑의 키보드의 전방에 통상 배치되는 50 내지 100mm 측면상의 빈 직사각형 패드이다. 이 장치는 장치의 가장자리에 대한 직사각형의 표면상의 손가락의 위치를 감지한다. 이러한 감지는, 절연성 비 마찰 재료 밑의 일련의 전극상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도입되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측정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트랙포인트(상표명)와 마찬가지로, 터치패드(상표명)도 정밀도가 부족하다. 회로에 대해 미지의 전위를 갖는 사용자에 의해 도입되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측정하는 것은 본래 어렵다. 또한, 사용자의 손가락의 접촉 면적은 비교적 넓다. 그러므로, 손가락의 위치를 정밀하게 측정하기 위해서, 장치는 손가락과 패드 사이의 접촉 면적의 중심과 같은 어떤 변수를 판정해야만 한다. 유감스럽게도, 접촉 면적은 사용자가 가하는 압력에 따라 크기 및 형상이 변화한다. 그러한 판정은 기껏해야 제한된 정밀도를 제공한다. 실제로, 사용자는 정밀한 움직임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기가 불가능하다.
사용자가 패드를 손가락이나 손목으로 부주의하게 접촉하는 경우 잘못된 신호로부터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다. 어떤 장치에서는, 패드상에서 두드리는 것에 의해서 통상의 마우스의 "클릭" 기능이 실시된다. 그 결과, 타이핑 도중의 그러한 부주의한 동작은 타이핑 작업 도중에 새로운 위치로 커서를 건너뛰게 하고 새로운 위치에 문장을 삽입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사용자가 자신의 손가락으로 이동시키는 "퍽"을 기초로 한 장치는, 허용된 이동 영역 내에서의 퍽의 위치가 정밀하게 판정될 수 있기 때문에 고단계의 정밀도를 제공한다. 또한, 퍽은 상술한 트랙포인트(상표명)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조이스틱보다 더 먼 거리로 이동할 수 있다.
퍽 계통의 포인팅 디바이스는 보다 큰 입력 정밀도를 제공하지만, 퍽을 세정하고 또 교체하는 것은 특유의 문제점을 제시한다. 퍽은 기구에 먼지가 진입하는 것을 허용하는 일 없이 저 마찰 "감"으로 퍽 이동 영역에서 표면 위를 매끄럽게 활주해야만 한다. 또한, 퍽 기구는 먼지가 기구내에 유입하는 경우 세정이 보다 어렵다. 결국, 퍽 부품은 보다 손상되기 쉽기 때문에, 중요 부품을 저렴하게 교체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퍽 서브 조립체 및 베이스 서브 조립체를 갖는 포인팅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퍽 서브 조립체는 퍽 이동 영역 내에서 이동하도록 한정된 가동 퍽을 포함한다. 퍽 서브 조립체는 퍽 이동 영역의 경계를 결정하는 개구를 갖는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베이스 서브 조립체는, 퍽이 이동하는 베이스 표면과, 퍽 이동 영역에서 퍽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 검출기와, 장착 기구를 포함한다. 장착 기구는 베이스 서브 조립체를 퍽 서브 조립체에 연결하여, 퍽 서브 조립체가 베이스 조립체로부터 가역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한다. 퍽 조립체가 베이스 조립체로부터 분리되면 베이스 표면에 접근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퍽 서브 조립체는 퍽을 퍽 이동 영역의 소정 구역으로 복귀시키는 복원 기구를 더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부재는 퍽과 베이스 서브 조립체 사이에 전기적 접속을 형성하기 위해 베이스 서브 조립체 내의 대응하는 제 2 접점과 정합하는 제 1 접점을 포함한다. 퍽은 이 퍽을 퍽 이동 영역내의 소정 구역으로 복귀시키는 스프링을 통하여 제 1 접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a는 퍽 계통 포인팅 디바이스의 평면도,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1B-1B 선을 통해 절단한 포인팅 디바이스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퍽이 이동하는 도 1에 도시된 표면(12)의 일부분의 평면도,
도 4는 전극(151 내지 155)의 등가 회로의 개략도,
도 5는 퍽 이동 영역에서 퍽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광학 센서를 이용하는 검출 기구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디바이스의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7-7 선을 통해 절단한 포인팅 디바이스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디바이스를 갖는 랩탑 컴퓨터의 평면도,
도 9는 도 8의 9-9 선을 통해 절단한 랩탑 컵퓨터의 단면도.
본 발명이 이점을 제공하는 방식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퍽 계통 포인팅 디바이스(10)를 도시하는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보다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도 1a는 포인팅 디바이스(10)의 평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1B-1B 선을 통해 절단한 포인팅 디바이스(10)의 단면도이다. 포인팅 디바이스(10)는 퍽(11)을 포함하는데, 이것은 퍽(11)에 가해지는 측방향의 힘에 응답하여 퍽 작동 영역(19) 내에서 기판(15)의 표면(12) 위에서 이동한다. 이 힘은 통상적으로 사용자의 손가락, 손가락 끝, 엄지손가락, 엄지손가락 끝 또는 여러 손가락에 의해서 퍽(11)에 가해진다. 퍽(11)은 퍽(11)에 가해지는 수직방향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검출 기구를 포함한다. 또한, 포인팅 디바이스(10)는 표면(12)상의 퍽(11)의 위치를 판정하는 검출 기구를 포함한다.
퍽은 통상적으로 디스플레이상의 커서를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사용자가 미리설정된 역치보다 큰 수직방향의 힘을 퍽(11)에 가하면, 표면(12)상의 퍽(11)의 위치의 변화가, 포인팅 디바이스(10)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호스트 장치에 기록된다. 이러한 위치 변화는, 수직방향의 힘이 퍽(11)에 가해지는 동안 퍽(11)의 이동의 크기 및 방향에 의존하는 크기 및 방향 만큼 디스플레이상에서 커서를 이동시키는데 사용된다. 다시 말해서, 퍽(11)의 이동은 거리(d) 및 포인팅 디바이스의 각도(φ)에 의해 규정되는 방향을 특징으로 하며, 커서(101)의 이동은 거리(D) 및 디스플레이(100)상의 각도(φ)에 의해 규정되는 방향을 특징으로 한다. 호스트 장치내의 하드웨어 드라이버는 D와 d 사이의 관계를 주로 설정한다.
사용자가 자신의 손가락(16)을 떼어서 퍽(11)을 해제하면, 퍽(11)은 이 퍽을 퍽 이동 영역의 측면(14)에 연결하는 스프링(13)에 의해서 그의 중앙 위치로 복귀한다. 사용자의 손가락이 퍽의 복귀 도중에 퍽(11)에 수직방향의 힘을 가하지 않기 때문에, 복귀 동작과 관련된 위치의 변화는 호스트 장치에 기록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커서(101)는 위치(102)에 유지된다. 이것은, 마우스를 이동 영역의 중앙에서 상승시키고 재배치하는 것에 의해서 마우스에서 통상적으로 달성되는 편리한 "재 중심설정" 능력을 제공한다. 재 중심설정은 랩탑 컴퓨터, 포켓용 장치 및 이동 영역이 억제되는 다른 소형 기구에서 특히 필요하다.
상술한 포인팅 장치는 랩탑 컴퓨터에 현재 포함된 종래의 포인팅 디바이스의 많은 개량을 제공하지만, 포인팅 디바이스는 주기적인 세정을 필요로 한다. 먼지 및 부스러기가 퍽 이동 영역의 표면에 축적되어 이 표면 위에서의 원활한 이동을 방해할 수 있다. 또한, 퍽을 퍽 이동 영역내에 위치시키는 스프링이 손상될 수 있다. 결국, 제조업자 로고 또는 왼손잡이 사용자에게 이상적으로 적합한 버튼 장치를 포함하도록 용이하게 주문 제작될 수 있는 설계를 제공하는데 유리할 것이다.
본 발명은 2개의 서브 조립체 설계를 이용하여 포인팅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것에 의해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한다. 이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 시예에 따른 포인팅 디바이스(30)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 포인팅 디바이스(30)는 베이스 서브 조립체(40) 및 퍽 서브 조립체(50)를 포함한다. 퍽 서브 조립체(50)는 퍽(51), 퍽 이동 영역을 규정하는 개구(54)를 갖는 플레이트(52) 및 퍽(51)이 해제될 때 퍽(51)을 퍽 이동 영역 내의 소정 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55)을 포함한다.
베이스 서브 조립체(40)는 위치 센서(41)를 사용하여 퍽 이동 영역내의 퍽의 위치를 측정하는 표면(45)을 포함한다. 센서를 퍽으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보호 층(도시 안됨)이 이들 센서를 덮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 서브 조립체(40)는 센서(41)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이 신호로부터 퍽(51)의 위치를 연산하는 제어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위치를 판정하는 방법을 하기에 보다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베이스 서브 조립체(40)는 베이스 서브 조립체내에 퍽 서브 조립체(50)를 고정시키는 멈춤쇠(46)를 포함한다. 퍽 서브 조립체(50)는 베이스 서브 조립체(40) 내로 스냅 끼워맞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프링(49)과 같은 스프링을 사용하여 퍽 서브 조립체(50)를 멈춤쇠(46)에 대해 고정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특수 공구를 사용하는 일 없이, 베이스 서브 조립체(40)를 퍽 서브 조립체(50)에 접속 및 분리시키는 것을 허용하는 임의의 기구를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포인팅 디바이스는 퍽 서브 조립체(50) 및 베이스 서브 조립체(40)를 함께 고정시키는 복수의 스크류를 이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포인팅 디바이스(30)와 같은 포인팅 디바이스는 퍽 또는 퍽 위치 검출 기구의 원활한 이동을 방해함이 없이 먼지 또는 다른 파편을 수집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포인팅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포인팅 디바이스를 분리하고 퍽 및 하부의 표면을 세정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가 퍽 기구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하는 설계가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스프링 및/또는 퍽 부품이 마모 또는 오 사용에 기인하여 기능하지 않게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최종적으로, 특수 컴퓨터 또는 다른 호스트 장치의 제조업자는 퍽 및 주위 플레이트상에 로고 또는 다른 주문 제작 마크를 포함하기를 원할 수도 있다. 따라서, 포인팅 장치를 복수의 특수 퍽 서브 조립체 중 어느 하나와 함께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설계가 바람직하다.
또한, 베이스 서브 조립체(40)는 퍽(51)으로부터 제어기(42)로 신호를 전달하기 위하여 퍽 서브 조립체(40)상의 대응 접속기(58)와 정합하는 복수의 접속기(47)를 포함한다. 퍽(51)으로부터의 신호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55)을 통해 접속기(58)에 전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스프링은 전기 도체로 제조되거나, 그 내부에 매립되거나 피복되는 전기 도체를 갖는다.
퍽 이동 영역내의 퍽의 위치는, 복수의 방법 중 어느 것으로도 검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각 방법은 베이스 서브 조립체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부품을 이용한다. 하나의 그러한 위치 검출 기구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표면(12)의 일부분의 평면도로서, 퍽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한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표면(150)은 외부 회로에 접속된 단자를 갖는 4개의 전극(151 내지 154)을 포함한다. 도면을 간단하게 도시하기 위해서, 단자는 생략하였다. 퍽은 도면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전극(155)을 포함하는 바닥면을 갖는다. 전극(151 내지 155)은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예컨대, 전극(155)은 필요한 절연을 제공하면서도 전극(155)을 다른 전극 위로 활주시키는 것을 허용하는 유전체 층으로 덮여 있다. 실제로, 전극은 표면이 참조부호(150)로 도시된 기판의 배면에 소정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것은 퍽 전극에 대한 정전용량을 감소시키지만, 몇 밀리미터 이하의 기판 두께에 대해서 실용적일 수 있다. 전극(155)과 각 전극(151 내지 154) 사이의 중첩은 전극(151 내지 154)에 대한 퍽의 위치에 의존한다. 전극(155)과 전극(151 내지 154) 사이의 중첩은 각각 A 내지 D로 표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전극(151 내지 155)에 대한 등가 회로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전극(151)에 중첩하는 전극(155)의 일부분은 중첩부(A)에 비례하는 정전용량을 갖는 평행판 콘덴서를 형성한다. 유사하게, 전극(152)에 중첩하는 전극(155)의 부분은 중첩부(B)에 비례하는 정전용량을 갖는 평행판 콘덴서를 형성한다. 전체의 콘덴서가 전극(155)의 부분을 공유하기 때문에, 등가 회로는 공통 전극(158)에 접속된 4개의 콘덴서로 이루어져 있다. 이 전극은 바로 전극(155)이다. 그러므로, 전극(155)과 각 전극(151 내지 154) 사이의 정전용량을 측정하는 것에 의해서, 전극(151 내지 154)에 대한 전극(155)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결정은, 포인팅 디바이스의 일부 또는 포인팅 디바이스의 일부가 연결되는 호스트 장치의 일부일 수 있는 제어기(159)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다.
퍽 이동 영역이 실질적으로 퍽의 직경보다 큰 실시예에서, 4개 이상의 전극이 기판에 배치될 수 있다. 이들 전극의 각각과 퍽 사이의 정전용량의 측정을 이용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퍽 위치를 판정할 수 있다.
퍽 이동 영역에서의 퍽의 위치는, 종래의 광 마우스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광 센서를 사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그러한 검출 기구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퍽(82)의 바닥면(84)은 퍽 이동 영역의 표면(81) 바로 아래에 배치된 광 마우스 센서(83)에 의해 조명된다. 광 마우스 센서는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상세히 설명하지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서, 광 마우스 센서(83)는 퍽(82)의 바닥면을 조명하는 조명 시스템과 조명된 표면의 일부분의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센서를 갖는 것을 지적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화상 시스템은 화상들 사이에서 퍽이 이동하는 거리 및 방향을 판정하기 위해 바닥면의 연속 화상을 비교한다.
적절한 위치 검출 기구의 앞선 예가 일례로서 제공된다. 그러나,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지시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수의 위치 측정 기구를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이 명확할 것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실시예는 퍽 서브 조립체를 베이스 서브 조립체에 접속하기 위한 특정 장착 기구를 이용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일 없이 복수의 다른 장착 기구를 이용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포인팅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6은 포인팅 디바이스(200)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7은 도 6의 7-7 선을 따라 도시한 포인팅 디바이스(200)의 단면도이다. 포인팅 디바이스(200)는 퍽 서브 조립체(210) 및 베이스 서브 조립체(220)로 구성된다. 베이스 서브 조립체(220)는 대응 탭(212)을 슬롯에 통과시키는 크기로 되어 있는 2개의 슬롯(221)을 포함한다. 퍽 서브 조립체(210)는 탭을 슬롯과 정렬시키는 것에 의해서 베이스 서브 조립체(220)에 부착된다. 탭을 베이스 조립체의 상부면 밑으로 누르면, 탭이 대응하는 리셉터클(226)에 결합할 때까지 퍽 서브 조립체가 회전한다.
퍽 서브 조립체(210)와 베이스 서브 조립체(220)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은, 슬롯내의 대응하는 접점에 결합하는 탭상의 접점을 통해 이루어진다. 접점의 예시적인 쌍이 참조번호(215 및 225)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접점은 퍽(223) 내의 전극에 대한 접속이 베이스 서브 조립체(220)의 제어기(235)까지 형성되도록 한다. 이 제어기(235)는 위치 검출 전극(222)에도 접속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장착 기구는 임의의 공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사용자는 탭이 슬롯과 정렬될 때까지 퍽 서브 조립체를 단순히 비틈으로써 퍽 서브 조립체를 제거할 수 있다. 사용자가 퍽 서브 조립체를 조작하는 것을 돕기 위해 퍽 서브 조립체(210)의 표면에 적절한 톱니(indentation) 또는 돌출부가 제공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세정 및/또는 교체를 위해 퍽 조립체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퍽 조립체가 제거되면, 베이스 서브 조립체 및 퍽 자체의 바닥상의 임의의 전극을 세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랩탑 컴퓨터 또는 포인팅 디바이스를 위한 한정된 공간을 갖는 다른 호스트 장치에서 실행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이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디바이스를 갖는 랩탑 컴퓨터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은 랩탑 컴퓨터(300)의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9-9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면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는 도면에서 생략하였다. 포인팅 디바이스(310)는 랩탑 컴퓨터(300)의 키보드(320)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 서브 조립체(330)는 랩탑 컴퓨터에 끼워지고 그리고 키보드에 인접한 표면상의 오목부(well)에 장착되어 전체적으로 얇은 랩탑 컴퓨터 폼 팩터를 제공할 수도 있다. 변형예로, 베이스 서브 조립체(330)는 랩탑 컴퓨터의 표면내에 성형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베이스 서브 조립체는 사용자가 베이스 서브 조립체를 제거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식으로 이 표면에 부착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포인팅 디바이스와 랩탑 컴퓨터 사이의 접속은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 서브 조립체의 하부에 제공된다. 이러한 접속을 제공하는 예시적인 접속기가 참조부호(360 및 361)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배열에 의해 서브 조립체는, 포인팅 디바이스를 통해 랩탑 컴퓨터에 액체 또는 파편이 유입하지 않도록 하는 방식으로 랩탑 컴퓨터에 대해 밀봉되는 것이 허용된다.
퍽 서브 조립체는 상술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베이스 서브 조립체에 부착된다. 장착 기구는, 세정 및/또는 교체를 위해 사용자가 퍽 서브 조립체를 용이하게 분리하는 것을 허용한다. 퍽 서브 조립체는 퍽(341), 스프링(342), 상부 플레이트(343)를 포함한다. 상부 플레이트(343)는 퍽 이동 영역을 한정하는 구멍과 퍽 서브 조립체를 베이스 서브 조립체에 연결하기 위한 장착 기구를 갖는다.
본 발명의 상술한 실시예는 랩탑 컴퓨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포인팅 디바이스와 관련하여 설명하였지만, 상기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데이터 입력 환경에서 이용될 수도 있다는 것이 명확할 것이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포인팅 디바이스는 종래의 마우스를 대체하는 독립형(stand-alone) 포인팅 디바이스일 수 있다. 유사하게, 본 발명의 포인팅 디바이스는 이들 장치의 메뉴로부터 선택하기 위한 PDA 또는 휴대 전화기상의 포인팅 디바이스로서 사용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상술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에 대한 다양한 수정 을 가할 수 있음을 명백히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퍽 서브 조립체 및 베이스 서브 조립체를 갖는 포인팅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퍽 서브 조립체는 퍽 이동 영역 내에서 이동하도록 한정된 가동 퍽을 포함한다. 퍽 서브 조립체는 퍽 이동 영역의 경계를 결정하는 개구를 갖는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베이스 서브 조립체는, 퍽이 이동하는 베이스 표면과, 퍽 이동 영역에서 퍽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 검출기와, 장착 기구를 포함한다. 장착 기구는 베이스 서브 조립체를 퍽 서브 조립체에 연결하여, 퍽 서브 조립체가 베이스 조립체로부터 가역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한다. 퍽 조립체가 베이스 조립체로부터 분리되면 베이스 표면에 접근 가능하다.

Claims (10)

  1. 포인팅 디바이스(30)에 있어서,
    퍽 이동 영역(19) 내에서 이동하도록 제한된 가동 퍽(puck)(51)과, 상기 퍽 이동 영역의 경계를 결정하는 개구를 갖는 지지부재(52)를 포함하는 퍽 서브 조립체(50)와;
    상기 퍽이 이동하는 베이스 표면(45)과, 상기 퍽 이동 영역 내에서의 상기 퍽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 검출기(151 내지 155, 159)를 포함하는 베이스 서브 조립체(40)와;
    상기 퍽 서브 조립체(50)가 상기 베이스 서브 조립체로부터 가역적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 서브 조립체(40)를 상기 퍽 서브 조립체(50)에 연결하는 장착 기구(46, 212, 221)를 포함하며, 상기 퍽 서브 조립체(50)가 상기 베이스 서브 조립체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상기 베이스 표면(45)이 접근 가능하고;
    상기 지지부재(52)는 상기 퍽과 상기 베이스 서브 조립체(40) 사이에 전기 접속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 서브 조립체(40) 내의 대응하는 제 2 접점(225)과 정합하는 제 1 접점(215)을 더 포함하고;
    상기 퍽은 상기 퍽 이동 영역 내의 소정 구역으로 상기 퍽을 복귀시키는 스프링(13)을 통해 상기 제 1 접점(21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포인팅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퍽은 사용자와 상기 퍽의 상호작용을 검출하는 사용자 센서를 포 함하는
    포인팅 디바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서브 조립체(40)는 공구의 사용 없이 상기 퍽 서브 조립체(50)로부터 분리 가능한
    포인팅 디바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퍽 서브 조립체(50)는, 상기 퍽 이동 영역의 소정 구역으로 상기 퍽을 복귀시키는 복원 기구(13)를 더 포함하는
    포인팅 디바이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 기구는 상기 퍽에 연결된 스프링(13)을 포함하는
    포인팅 디바이스.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검출기는 상기 표면상의 복수의 표면 전극(151 내지 154)과, 상기 퍽과 함께 이동하는 퍽 전극(155)을 포함하는
    포인팅 디바이스.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서브 조립체(40)는 휴대용 호스트 장치(300)에 부착되는
    포인팅 디바이스.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서브 조립체(40)는 휴대용 호스트 장치(300)와 일체인
    포인팅 디바이스.
KR1020067010028A 2003-11-24 2004-11-10 포인팅 디바이스 Expired - Fee Related KR1010838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722,698 US7570247B2 (en) 2003-11-24 2003-11-24 Modular assembly for a self-indexing computer pointing device
US10/722,698 2003-11-24
PCT/US2004/037679 WO2005055039A2 (en) 2003-11-24 2004-11-10 A modular assembly for a self-indexing computer point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7955A KR20060117955A (ko) 2006-11-17
KR101083862B1 true KR101083862B1 (ko) 2011-11-15

Family

ID=34592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0028A Expired - Fee Related KR101083862B1 (ko) 2003-11-24 2004-11-10 포인팅 디바이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570247B2 (ko)
EP (1) EP1687703B1 (ko)
JP (1) JP4933263B2 (ko)
KR (1) KR101083862B1 (ko)
CN (1) CN100380297C (ko)
AT (1) ATE543131T1 (ko)
WO (1) WO2005055039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8220A (ko) 2015-06-16 2016-12-26 임재억 포인팅 디바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04637B2 (en) * 2004-08-30 2007-12-04 Avago Technologies Ecbuip (Singapore) Pte Ltd Puck-based input device with rotation detection
US7679600B2 (en) 2004-09-16 2010-03-16 Avago Technologies Ecbu Ip (Singapore) Pte. Ltd. Pointing device with extended travel
US7619612B2 (en) 2004-12-20 2009-11-17 Avago Technologies Ecbu Ip (Singapore) Pte. Ltd. Pointing device with light source for providing visible light through a moveable puck
US20060267933A1 (en) * 2005-05-25 2006-11-30 Li Chong Tai Eliminating mechanical spring with magnetic forces
US20080042974A1 (en) * 2006-08-17 2008-02-21 Sachs Todd S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cursor speed in a puck-based pointing device
US8188970B2 (en) * 2006-08-17 2012-05-29 Avago Technologies Ecbu Ip (Singapore) Pte. Ltd.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re-calulation and monitoring of thresholds in a puck-based pointing device
GB2441386A (en) * 2006-08-31 2008-03-05 Paul Alan Blanchard A device to capture directional input for a visual display
WO2009018330A2 (en) * 2007-07-30 2009-02-05 University Of Utah Research Foundation Shear tactile display system for communicating direction and other tactile cues
US9268401B2 (en) 2007-07-30 2016-02-23 University Of Utah Research Foundation Multidirectional controller with shear feedback
US8326462B1 (en) 2008-03-12 2012-12-04 University Of Utah Research Foundation Tactile contact and impact displays and associated methods
US20110032090A1 (en) * 2008-04-15 2011-02-10 Provancher William R Active Handrest For Haptic Guidance and Ergonomic Support
KR101014426B1 (ko) * 2008-12-08 2011-02-15 주식회사 애트랩 퍽 타입의 포인팅 장치, 포인팅 시스템 및 포인팅 방법
US8610548B1 (en) 2009-02-03 2013-12-17 University Of Utah Research Foundation Compact shear tactile feedback device and related methods
US8638306B2 (en) * 2009-11-06 2014-01-28 Bose Corporation Touch-based user interface corner conductive pad
US8994665B1 (en) 2009-11-19 2015-03-31 University Of Utah Research Foundation Shear tactile display systems for use in vehicular directional applications
KR20120049630A (ko) * 2010-11-09 2012-05-17 주식회사 이노칩테크놀로지 다방향 입력 장치
WO2013052005A2 (en) * 2011-10-07 2013-04-11 Quek Joo Hai A self-centering input device
JP6721199B1 (ja) * 2019-10-15 2020-07-08 辰男 多田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及び電子機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47938A (en) * 1990-08-18 1992-03-18 David Roger Sherriff Capacitative puck
EP1136939A2 (en) * 2000-03-14 2001-09-26 Alps Electric Co., Ltd. Capacitance change-based input device and detection device
WO2003030092A1 (en) * 2001-09-04 2003-04-10 Ziad Badarneh Operating device for controlling functions in electronic equipment

Family Cites Families (7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3957A (en) * 1900-08-13 1903-03-31 August Mietz Governor for hydrocarbon-engines.
US722698A (en) * 1902-04-12 1903-03-17 John Randolph Grymes Penholder.
US3987685A (en) * 1974-12-16 1976-10-26 Xerox Corporation Cursor position device
US4493219A (en) * 1982-08-02 1985-01-15 Illinois Tool Works, Inc. Force transducer
JPS6061465A (ja) * 1983-09-14 1985-04-09 マシ−ネンフアブリク リ−タ−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巻取装置用騒音防御装置
US4670743A (en) 1985-01-31 1987-06-02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Keyboard cursor controller
US4719455A (en) * 1986-01-24 1988-01-12 Louis William M Integrating pointing device
US4719538A (en) * 1986-12-02 1988-01-12 Cox John D Force responsive capacitive transducer
JPS6488689A (en) * 1987-09-29 1989-04-03 Toshiba Corp Three dimensional labelling device
GB2212888A (en) * 1987-12-02 1989-08-02 Philips Electronic Associated X-y signal generating device
GB8808614D0 (en) * 1988-04-12 1988-05-11 Renishaw Plc Displacement-responsive devices with capacitive transducers
JPH02222019A (ja) * 1989-02-23 1990-09-04 Tokyo Sokutei Kizai Kk 入力装置
US5263134A (en) 1989-10-25 1993-11-16 Apple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mputer displays by using a two dimensional scroll palette
GB2237486B (en) 1989-10-25 1994-02-16 Apple Computer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mputer displays by using a two dimensional scroll palette
US5541622A (en) * 1990-07-24 1996-07-30 Incontrol Solutions, Inc. Miniature isometric joystick
EP0477098B1 (en) * 1990-09-18 1996-06-26 Fujitsu Limited Cursor displacement control device for a computer display
DE4034166A1 (de) * 1990-10-26 1992-04-30 Cherry Mikroschalter Gmbh Cursorvorrichtung mit nullpunktrueckstellung
US5914465A (en) * 1992-06-08 1999-06-22 Synaptics, Inc. Object position detector
US5703356A (en) * 1992-10-05 1997-12-30 Logitech, Inc. Pointing device utilizing a photodetector array
US5421694A (en) * 1993-05-20 1995-06-06 Caterpillar Inc. Non-contacting joystick
US5659334A (en) * 1993-12-15 1997-08-19 Interlink Electronics, Inc. Force-sensing pointing device
JPH07281823A (ja) * 1994-04-15 1995-10-27 Hosiden Corp 座標入力装置
US5515044A (en) * 1994-04-18 1996-05-07 Sensormatic Electronics Corporation Controller apparatus using force sensing resistors
US5874956A (en) * 1995-11-13 1999-02-23 Platinum Technology Apparatus and method for three dimensional manipulation of point of view and object
US5615083A (en) * 1995-12-11 1997-03-25 Gateway 2000, Inc. Detachable joystick for a portable computer
DE19646226A1 (de) * 1996-03-19 1998-05-14 Bayerische Motoren Werke Ag Bedienvorrichtung für menügesteuerte Funktionen eines Fahrzeugs
CN1074843C (zh) * 1996-03-20 2001-11-14 陈美雍 游标定位装置
JP3396701B2 (ja) * 1996-05-01 2003-04-14 Smk株式会社 相対操作量の入力装置
US6288707B1 (en) * 1996-07-29 2001-09-11 Harald Philipp Capacitive position sensor
US6184865B1 (en) * 1996-10-23 2001-02-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apacitive pointing stick apparatus for symbol manipulation 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JPH10207616A (ja) * 1997-01-20 1998-08-07 Sharp Corp 入力装置
US5739821A (en) * 1997-01-30 1998-04-14 Primax Electronics Ltd. Method for pointing a window frame or an icon of a window interface
US5808603A (en) * 1997-02-06 1998-09-15 Chen; Mei Yun Computer input device
US5883690A (en) * 1997-05-30 1999-03-16 Z-Products Joystick adapter for a directional keypad on a game controller
US6292174B1 (en) * 1997-08-23 2001-09-18 Immersion Corporation Enhanced cursor control using limited-workspace force feedback devices
US6115030A (en) * 1997-12-18 2000-09-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rackpoint device
US6256012B1 (en) * 1998-08-25 2001-07-03 Varatouch Technology Incorporated Uninterrupted curved disc pointing device
US6198473B1 (en) * 1998-10-06 2001-03-06 Brad A. Armstrong Computer mouse with enhance control button (s)
NO990891L (no) 1999-02-25 2000-08-26 Steinar Pedersen Kommunikasjonsredskap med singulær operasjonstast
JP3795247B2 (ja) * 1999-03-11 2006-07-12 ナブテスコ株式会社 電磁サーボバルブの駆動方法および電磁サーボバルブ
US6492911B1 (en) * 1999-04-19 2002-12-10 Netzer Motion Sensors Ltd. Capacitive displacement encoder
US20030006956A1 (en) * 1999-05-24 2003-01-09 Charles Yimin Wu Data entry device recording input in two dimensions
JP2000357049A (ja) * 1999-06-16 2000-12-26 Alps Electric Co Ltd 回転入力装置
US6587093B1 (en) * 1999-11-04 2003-07-01 Synaptics Incorporated Capacitive mouse
JP3621860B2 (ja) * 2000-01-21 2005-02-16 ホシデン株式会社 ポインティング装置
JP2001312363A (ja) * 2000-04-28 2001-11-09 Alps Electric Co Ltd 入力装置
EP1164698B1 (en) * 2000-06-16 2007-10-10 Alps Electric Co., Ltd. Input device
WO2002003317A1 (en) 2000-07-04 2002-01-10 Steinar Pedersen Cursor control unit with patterned guide plate
FI116326B (fi) * 2000-12-27 2005-10-31 Nokia Corp Kompakti matalaprofiilinen magneettinen syöttölaite
JP3923253B2 (ja) * 2000-12-28 2007-05-30 ホシデン株式会社 ポインティング装置
US6879930B2 (en) * 2001-03-30 2005-04-12 Microsoft Corporation Capacitance touch slider
EP1433132B1 (en) * 2001-04-30 2011-12-21 Activemap LLC Interactive electronically presented map
US6816154B2 (en) * 2001-05-30 2004-11-09 Palmone, Inc. Optical sensor based user interfac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6809529B2 (en) * 2001-08-10 2004-10-26 Wacoh Corporation Force detector
US7046230B2 (en) * 2001-10-22 2006-05-16 Apple Computer, Inc. Touch pad handheld device
US7345671B2 (en) * 2001-10-22 2008-03-18 App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of rotational user inputs
US7312785B2 (en) * 2001-10-22 2007-12-25 App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lerated scrolling
US7042441B2 (en) * 2002-06-28 2006-05-09 Microsoft Corporation Input device including a scroll wheel assembly for manipulating an image in multiple directions
JP4167477B2 (ja) * 2002-11-25 2008-10-15 日本電気株式会社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及び電子機器
US6961052B1 (en) * 2003-03-17 2005-11-01 Cisco Technology,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directional navigation control
US7499040B2 (en) * 2003-08-18 2009-03-03 Apple Inc. Movable touch pad with added functionality
DE212004000044U1 (de) 2003-08-21 2006-06-01 Philipp, Harald, Hamble Kapazitiver Positionssensor
US20050052426A1 (en) * 2003-09-08 2005-03-10 Hagermoser E. Scott Vehicle touch input device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7429976B2 (en) * 2003-11-24 2008-09-30 Avago Technologies Ecbu Ip (Singapore) Pte. Ltd. Compact pointing device
US7158115B2 (en) * 2003-11-24 2007-01-02 Avago Technologies Ecbu Ip (Singapore) Pte. Ltd. Spring system for re-centering a movable object
WO2005104709A2 (en) * 2004-04-23 2005-11-10 Cirque Corporation An improved method for scrolling and edge motion on a touchpad
US20060001657A1 (en) * 2004-07-02 2006-01-05 Logitech Europe S.A. Scrolling device
US7304637B2 (en) 2004-08-30 2007-12-04 Avago Technologies Ecbuip (Singapore) Pte Ltd Puck-based input device with rotation detection
US20060062732A1 (en) * 2004-09-10 2006-03-23 Yasumi Uchida Medicine for detecting lipid components in vivo and vascular endoscope
US7616195B2 (en) * 2005-02-04 2009-11-10 Avago Technologies Ecbu Ip (Singapore) Pte. Ltd. One dimensional and three dimensional extensions of the slide pad
US7586480B2 (en) * 2005-02-28 2009-09-08 Avago Technologies Ecbu Ip (Singapore) Pte. Ltd. Hybrid pointing device
US20060267933A1 (en) * 2005-05-25 2006-11-30 Li Chong Tai Eliminating mechanical spring with magnetic forces
US20070247421A1 (en) * 2006-04-25 2007-10-25 Timothy James Orsley Capacitive-based rotational positioning input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47938A (en) * 1990-08-18 1992-03-18 David Roger Sherriff Capacitative puck
EP1136939A2 (en) * 2000-03-14 2001-09-26 Alps Electric Co., Ltd. Capacitance change-based input device and detection device
WO2003030092A1 (en) * 2001-09-04 2003-04-10 Ziad Badarneh Operating device for controlling functions in electronic equip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8220A (ko) 2015-06-16 2016-12-26 임재억 포인팅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055039A3 (en) 2005-09-15
WO2005055039A8 (en) 2005-12-01
US20050110754A1 (en) 2005-05-26
JP4933263B2 (ja) 2012-05-16
KR20060117955A (ko) 2006-11-17
WO2005055039A2 (en) 2005-06-16
EP1687703A2 (en) 2006-08-09
JP2007512628A (ja) 2007-05-17
ATE543131T1 (de) 2012-02-15
EP1687703B1 (en) 2012-01-25
US7570247B2 (en) 2009-08-04
CN100380297C (zh) 2008-04-09
CN1886720A (zh) 2006-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3862B1 (ko) 포인팅 디바이스
US7982714B2 (en) Puck-based input device with rotation detection
US7429976B2 (en) Compact pointing device
US5446480A (en) Input device for entering data for electronic equipments and so forth
CN100514267C (zh) 指向装置及将数据输入到具有显示屏幕的设备中的方法
EP3128393B1 (en) Electronic apparatus
US8816978B2 (en) Seesaw touchpad with horizontal direction hinge
US6046728A (en) Keyboard actuated pointing device
US6075522A (en) Desktop compact cursor controller structure for use with computers and keyboards
US6084570A (en) Compact cursor controller structure for use with laptop, notebook and hand-held computers and keyboards
CN101084538B (zh) 设有多个按钮的基于游标器的指点设备
US8847905B2 (en) Multi-texture for five button click pad top surface
US7978173B2 (en) Pointing device including a moveable puck with mechanical detents
US6788287B2 (en) Dual-dimension cursor control pad
WO2007086862A1 (en) A pointing device including a moveable puck with mechanical det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5-nap-PA0105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2-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41110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4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