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95026B1 - 비스(스티릴)피리미딘 및 비스(스티릴)벤젠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베타아밀로이드 집적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비스(스티릴)피리미딘 및 비스(스티릴)벤젠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베타아밀로이드 집적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5026B1
KR101095026B1 KR1020090006092A KR20090006092A KR101095026B1 KR 101095026 B1 KR101095026 B1 KR 101095026B1 KR 1020090006092 A KR1020090006092 A KR 1020090006092A KR 20090006092 A KR20090006092 A KR 20090006092A KR 101095026 B1 KR101095026 B1 KR 1010950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s
pyrimidine
styryl
hydroxy
beta amyloi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6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6715A (ko
Inventor
신계정
노은주
이윤석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006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5026B1/ko
Priority to US12/429,552 priority patent/US8410116B2/en
Priority to JP2009126637A priority patent/JP5113802B2/ja
Publication of KR20100086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6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5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502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 C07D23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9/2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39/2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 C07D23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9/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one double bond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a ring member and a non-ring member
    • C07D239/0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one double bond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a ring member and a non-ring member with hetero atom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2
    • C07D239/12Nitrogen atoms not forming part of a nitro radical
    • C07D239/14Nitrogen atoms not forming part of a nitro radical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said nitroge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Pyridazines; Hydrogenated pyridaz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13Organic compounds, e.g. phospholipids, fats
    • A61K9/2018Sugars, or sugar alcohols, e.g. lactose, mannitol;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2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05Polysaccharides, e.g. alginate, gums; Cyclodextrin
    • A61K9/2059Starch, including chemically or physically modified derivatives; Amylose; Amylopectin; 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41Filling 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4858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41Filling 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4866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9/00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hydroxy or O-metal group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39/205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hydroxy or O-metal group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polycyclic, containing only six-membered aromatic rings as cyclic parts with unsaturation outside the rings
    • C07C39/21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hydroxy or O-metal group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polycyclic, containing only six-membered aromatic rings as cyclic parts with unsaturation outside the rings with at least one hydroxy group on a non-condensed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3/00Ethers; Compounds having groups, groups or groups
    • C07C43/02Ethers
    • C07C43/20Ethers having an ether-oxygen atom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43/23Ethers having an ether-oxygen atom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containing hydroxy or O-meta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 C07D23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9/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one double bond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a ring member and a non-ring member
    • C07D239/0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one double bond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a ring member and a non-ring member with hetero atom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2
    • C07D239/10Oxygen or sulfur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 C07D23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9/2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39/2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39/32One oxygen, sulfur or nitrogen atom
    • C07D239/38One sulfur ato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eur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euro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비스(스티릴)피리미딘 및 비스(스티릴)벤젠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베타아밀로이드 집적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유도체 화합물은 베타아밀로이드 집적을 저해하고 베타아밀로이드의 독성을 감소시키며, 베타아밀로이드 집적 관련 질환에서 나타나는 학습 및 기억력 저하를 개선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므로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유도체 화합물은 베타아밀로이드 집적 관련 질환의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09004773789-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상기 R1, R2, R3 및 X는 본 명세서 내에 정의한 바와 같다.)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베타아밀로이드, 베타아밀로이드 집적 관련 질환

Description

비스(스티릴)피리미딘 및 비스(스티릴)벤젠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베타아밀로이드 집적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Bis(styryl)pyrimidine and bis(styryl)benzene derivatives,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thereof,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diseases associated with beta amyloid accumulation containing the same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비스(스티릴)피리미딘 및 비스(스티릴)벤젠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베타아밀로이드 집적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 평균수명이 늘어나고 노인 인구가 증가하는 고령화 사회로 되면서 알츠하이머병으로 대표되는 노인성 치매, 뇌졸중 또는 파킨슨병과 같은 퇴행성 뇌질환의 발병률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보건사회연구원 조사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노인 인구는 2000년에 7%를 넘어 고령사회에 진입한 이래 2003년 397만 명으로 노인인구의 비율이 8.3%에 이르렀고 2019년에는 14.4%에 이르러 완전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견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75∼79세 노인인구의 15%가 치매를 앓고 있으며 80세 이상의 노인인구의 39%가 치매환자이다. 또한 여성이 남성에 비해서 2∼3배 정도 높은 발병률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치매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정상적으로 발달한 뇌가 후천적인 외상이나 질병 등의 외부적 요인에 의해 기질적으로 손상되거나 파괴되어 언어, 학습, 지능 등에 대한 전반적인 인지기능과 고등정신기능이 비정상적으로 감퇴되는 복합적인 임상증후군을 포괄하는 것으로 점진적인 기억력 장애가 실어증, 실인증, 실행증 등의 행동적인 장애가 함께 나타나 사회 직업적 기능의 장애를 가져온다. 치매를 크게 원인별로 보면 알츠하이머병에 의한 치매, 혈관성 치매, 특정뇌질환 및 전신성 질환에 의한 치매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 중 알츠하이머병에 의한 치매가 50%이상을 차지한다.
알츠하이머병의 해부학적인 특징은 기억 및 인식을 담당하는 신경세포의 감소와 사멸이다. 병리학적인 특징은 신경세포 내부의 신경섬유 뭉치(neurofibrillary tangle)와 신경세포 외부의 노인성 반(senile plaque)의 발견이다. 알츠하이머 질환은 면역학적 요인, 유전적 요인, 바이러스 감염, 독성물질을 포함한 다양한 환경적 요인, 머리를 다쳤을 경우 등 여러 요인에 의해 유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지금까지 알려진 바에 의하면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이 뇌에 축 적되어서 생기는 신경반의 신경독성에 의한 신경세포 파괴와, 과인산화 타우 단백질이 뇌에 축적되어 신경섬유다발이 생성되고 이에 의해 신경퇴행을 일으키는 것이 알츠하이머성 치매의 주요 원인으로 보고되어 있다.
상술한 베타아밀로이드는 알츠하이머병 환자에서 발견되는 단백질로, 40개의 아미노산(베타아밀로이드 1-40) 또는 42개의 아미노산(베타아밀로이드 1-42)으로 구성되어 있다.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 전구체는 β-, γ-분해효소에 의하여 베타아밀로이드 42 단량체가 된 후 집적하여 올리고머를 형성하고 이 올리고머의 집적으로 프로토피브릴(protofibril), 피브릴(fibril), 플라그(plaque)의 단계를 거치게 된다. 최근 연구에서 올리고머가 머리카락구조의 피브릴보다 신경 독성을 갖는다고 보고되었고 올리고머의 생성을 줄이는 것이 알츠하이머병의 치료방법으로 주목받게 되었다.
현재까지 개발된 치료제로는 알츠하이머형 치매 환자들의 뇌에서 아세틸콜린이라는 물질이 정상인에 비해 감소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뇌 내의 아세틸콜린의 양을 증가시키거나 콜린성 신경세포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개발된 콜린 계통의 약제들이 있다. 그러나 시중에 판매중인 알츠하이머병 치료제인 도네페질(Donepezil), 리바스티그민(Rivastigmin), 갈란타민(Galantamin), 메만틴(Memantine) 등은 병을 근본적으로 치료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기억력 장애 증상을 개선하기 위한 약물로 부작용 및 치료의 한계가 있기 때문에 개선이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베타아밀로이드의 집적을 저해하는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해 연구하던 중, 신규한 비스(스티릴)피리미딘 및 비스(스티릴)벤젠 유도체 화합물들이 베타아밀로이드의 집적을 저해하고 베타아밀로이드의 독성을 감소시킬 수 있어 알츠하이머병과 같은 베타아밀로이드 집적 관련 질환의 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신규한 비스(스티릴)피리미딘 및 비스(스티릴)벤젠 유도체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신규한 유도체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신규한 유도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베타아밀로이드 집적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비스(스티릴)피리미딘 및 비스(스티릴)벤젠 유도체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9004773789-pat00002
(상기 화학식 1에서, 상기 R1, R2, R3 및 X는 본 명세서 내에 정의한 바와 같다).
또한, 본 발명은 베타아밀로이드 집적을 저해할 수 있고, 베타아밀로이드로부터 유래한 독성을 경감시킬 수 있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비스(스티릴)피리미딘 및 비스(스티릴)벤젠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베타아밀로이드 집적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유도체 화합물은 베타아밀로이드 집적을 저해하고 베타아밀로이드의 독성을 감소시키며, 알츠하이머병 등과 같은 베타아밀로이드 집적 관련 질환에서 나타나는 학습 및 기억력 저하를 개선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므로,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유도체 화합물은 알츠하이머병의 치료제 및 이와 유사성이 있는 질환의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비스(스티릴)피리미딘 및 비스(스티릴)벤젠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Figure 112009004773789-pat00003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의 유도체 화합물에 있어서,
상기 X는 서로 독립적으로 질소 또는 탄소이고;
상기 R1은 수소, 하이드록시, C1~C4의 알콕시 및 C1~C4의 알킬싸이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고;
상기 R2 및 R3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하이드록시, C1~C4의 알콕시 및 디(C1~C4) 알킬아미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유도체 화합물에 있어서,
상기 X는 서로 독립적으로 질소 또는 탄소이고;
R1은 수소, 하이드록시, 메톡시, 에톡시, 메틸싸이오 및 에틸싸이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고;
R2 및 R3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하이드록시, 메톡시, 에톡시, 디메틸아미노 및 디에틸아미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도체 화합물은,
(1) (E,E)-4,6-비스(3'-하이드록시-4'-메톡시스티릴)피리미딘;
(2) (E,E)-4,6-비스[4'-하이드록시-3'-(N,N-디메틸아미노)스티릴]피리미딘;
(3) (E,E)-1,3-비스(3'-하이드록시-4'-메톡시스티릴)벤젠;
(4) (E,E)-4,6-비스(4'-하이드록시스티릴)피리미딘;
(5) (E,E)-4,6-비스(3'-하이드록시스티릴)피리미딘;
(6) (E,E)-4,6-비스(4'-하이드록시-3'-메톡시스티릴)피리미딘;
(7) (E,E)-4,6-비스[3'-하이드록시-4'-(N,N-디메틸아미노)스티릴]피리미딘;
(8) 2-메톡시-(E,E)-4,6-비스(4'-하이드록시스티릴)피리미딘;
(9) 2-메톡시-(E,E)-4,6-비스(3'-하이드록시스티릴)피리미딘;
(10) 2-메톡시-(E,E)-4,6-비스(4'-하이드록시-3'-메톡시스티릴)피리미딘;
(11) 2-메톡시-(E,E)-4,6-비스(3'-하이드록시-4'-메톡시스티릴)피리미딘;
(12) 2-메톡시-(E,E)-4,6-비스[4'-하이드록시-3'-(N,N-디메틸아미노)스티릴]피리미딘;
(13) 2-메톡시-(E,E)-4,6-비스[3'-하이드록시-4'-(N,N-디메틸아미노)스티릴]피리미딘;
(14) 2-메틸싸이오-(E,E)-4,6-비스(4'-하이드록시스티릴)피리미딘;
(15) 2-메틸싸이오-(E,E)-4,6-비스(3'-하이드록시스티릴)피리미딘;
(16) 2-메틸싸이오-(E,E)-4,6-비스(4'-하이드록시-3'-메톡시스티릴)피리미딘;
(17) 2-메틸싸이오-(E,E)-4,6-비스(3'-하이드록시-4'-메톡시스티릴)피리미딘;
(18) 2-메틸싸이오-(E,E)-4,6-비스[4'-하이드록시-3'-(N,N-디메틸아미노)스티릴]피리미딘;
(19) 2-메틸싸이오-(E,E)-4,6-비스[3'-하이드록시-4'-(N,N-디메틸아미노)스티릴]피리미딘;
(20) (E,E)-1,3-비스[4'-하이드록시-3'-(N,N-디메틸아미노)스티릴]벤젠;
(21) (E,E)-1,3-비스[3'-하이드록시-4'-(N,N-디메틸아미노)스티릴]벤젠;
(22) (E,E)-3,5-비스(4'-하이드록시스티릴)페놀;
(23) (E,E)-3,5-비스(3'-하이드록시스티릴)페놀;
(24) (E,E)-3,5-비스(4'-하이드록시-3'-메톡시스티릴)페놀;
(25) (E,E)-3,5-비스(3'-하이드록시-4'-메톡시스티릴)페놀;
(26) (E,E)-3,5-비스[4'-하이드록시-3'-(N,N-디메틸아미노)스티릴]페놀; 및
(27) (E,E)-3,5-비스[3'-하이드록시-4'-(N,N-디메틸아미노)스티릴]페놀
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비스(스티릴)피리미딘 및 비스(스티릴)벤젠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뿐만 아니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로부터 제조될 수 있는 가능한 용매화물 또는 수화물을 모두 포함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제법 1: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유도체는 하기 반응식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화학식 2의 피리미딘 유도체 화합물과 화학식 3의 벤즈알데하이드 유도체 화합물을 염기 조건 하에서 축합반응 시키는 단계(단계 1); 및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화학식 4의 화합물을 탈보호 반응시키는 단계(단계 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Figure 112009004773789-pat00004
(상기 반응식 1에서, R1, R2, R3 및 X는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R4와 R5는 상기 R2 및 R3와 동일하되, 하이드록시인 경우에는 이를 보호하는 p-메톡시벤질 또는 메톡시메틸이고, 화학식 1a는 화학식 1의 유도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법 1을 단계별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단계 1은 피리미딘 모핵을 갖는 화학식 2의 화합물인 4,6-디메틸피리미딘 화합물과 화학식 3의 벤즈알데하이드 화합물을 축합 반응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단계 1은 4,6-디메틸피리미딘 화합물과 벤즈알데하이드 화합물을 상이동촉매(PTC, phase transfer catalyst) 존재 하에 염기성 용액에서 가열 환류시켜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이동촉매는 테드라부틸암모늄 하이드로젠 설 페이트(Bu4NHSO4), 벤질트리메틸암모늄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염기성 용액은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화학식 3의 벤즈알데하이드 화합물은 히드록시기가 보호기로 보호된 하기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Figure 112009004773789-pat00005
(상기 화합물 구조에서 PMB는 p-메톡시벤질이고, MOM은 메톡시메틸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단계 2는 단계 1에서 제조한 화학식 4의 화합물에 대하여 보호기를 제거하는 단계이다. 이때, 보호기는 염산/에탄올(3:1)의 용매에서 가열 환류시키거나 트리플루오르아세트산을 포함하는 메틸렌클로라이드 용매에서 교반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제법 2: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유도체는 하기의 반응식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화학식 5의 벤젠 유도체 화합물과 화학식 3의 벤즈알데하이드 유도체 화합물을 에테르류의 유기용매에 용해시킨 후, 0 ℃에서 염기를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단 계(단계 A); 및 상기 단계 A에서 제조한 화학식 6의 화합물을 탈보호 반응시키는 단계(단계 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Figure 112009004773789-pat00006
(상기 반응식 2에서, X, R1, R2 및 R3는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R4와 R5는 상기 R2 및 R3와 동일하되, 하이드록시인 경우에는 이를 보호하는 p-메톡시벤질 또는 메톡시메틸이고, 화학식 1b는 화학식 1의 유도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법 2를 단계별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단계 A는 화학식 5의 1,3-비스(디에틸포스포노메틸)벤젠 또는 3,5-비스(디에틸포스포노메틸)페놀과 화학식 3의 벤즈알데하이드 화합물을 호너-에몬스(Horner-Emmons olefination) 반응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단계 A는 1,3-비스(디에틸포스포노메틴)벤젠 또는 3,5-비스(디에틸포스포노메틸)페놀과 화학식 3의 벤즈알데하이드를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용매에 용해 후, 0 ℃에서 염기를 첨가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염기는 수소화나트륨(NaH), 수소화리튬(LiH), 수소화칼륨(KH) 등의 알칼리금속수소화합물, 나트륨메톡사이드, 나트륨에톡사이드, 나트튬프로폭사이드, 나트륨 t-부톡사이드, 포타슘 t-부톡사이드, 포타슘이소프로폭사이드, 리튬이소프로폭사이드 등의 금속알콕사이드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포타슘 t-부톡사이드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화학식 3의 벤즈알데하이드 화합물은 제법 1에서 사용한 히드록시기가 보호기로 보호된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단계 B는 단계 A에서 제조한 화학식 6의 화합물에 대하여 보호기를 제거하는 단계이다. 이때, 보호기는 염산/에탄올 (3:1)의 용매에서 가열 환류시키거나 트리플루오르아세트산을 포함하는 메틸렌클로라이드 용매에서 교반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베타아밀로이드 집적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베타아밀로이드 집적 관련 질환은 치매, 알츠하이머병, 다운증후군, 아 밀로이드맥관병증, 대뇌 아밀로이드 맥관병증, 전신성 아밀로이드병, 더취(Dutch)형 아밀로이드증, 봉입체 구염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의 유도체는 ThT 형광세기를 이용한 베타아밀로이드(1-42) 화이브릴 형성에 대한 저해효과 측정실험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낮은 형광세기를 나타냄으로써 우수한 베타아밀로이드 화이브릴 형성 저해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실험예 1 참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유도체는 HT-22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측정한 실험결과, 대부분의 실시예의 화합물은 70% 이상의 높은 세포 생존율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실험예 2 참조).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의 유도체는 베타아밀로이드에 의한 세포독성의 경감 정도를 측정한 실험에서, 대조군으로 사용된 베타아밀로이드(Aβ 23-35)에 비하여 세포 생존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측정되었으며, 이로부터 베타아밀로이드의 독성을 효과적으로 경감시킴을 알 수 있다(실험예 3 참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의 유도체는 급성 알츠하이머병(Acute AD) 쥐에 대한 Y-미로 검사, 물체인식 검사, 수동회피 검사, 수중미로 검사를 통해 학습력 및 기억력을 평가하는 실험결과, 베타아밀로이드(1-42)를 주입한 후 본 발 명에 따른 실시예 화합물을 투여한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기억력 회복, 인지학습 능력 회복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실험예 4, 표 6, 도 1 및 도 2 참조).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의 유도체는 형질전환 쥐에 대한 Y-미로 검사, 물체인식 검사를 통해 학습능력 및 기억력을 평가한 실험 결과, 다소 기억력 장애가 회복되는 것을 알 수 있다(실험예 5, 도 3의 (A) 및 (B) 참조). 또한, 배경공포 조건화 검사를 통한 기억력 검사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투여한 경우 베타아밀로이드 독성에 의한 해마손상이 감소됨을 알 수 있다(실험예 5, 도 3의 (C) 참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의 유도체는 대뇌피질과 해마의 아밀로이드 플라그 양과 베타아밀로이드 양을 측정한 결과, 대조군에 비하여 이들의 양이 감소하였으며(실험예 6, 도 4의 (A), (B), (C), (D) 참조), 신경세포의 양은 더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의 유도체는 베타아밀로이드의 집적을 저해함으로써 상술한 베타아밀로이드 집적 관련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학식 1의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베타아밀로이드 집적 관련 질환의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의 유도체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베타아밀로이드 집적 관련 질환의 예방제 또는 치료제는 하기의 다양한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 형태로 제형화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경구 투여용 제형으로는 예를 들면 정제, 환제, 경/연질 캅셀제. 액제. 현탁제, 유화제, 시럽제. 과립제, 엘릭시르제 등이 있는데, 이들 제형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충진제, 증량제, 습윤제, 붕해제, 활택제, 결합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1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붕해제로는 한천, 전분, 알긴산 또는 이의 나트륨염, 무수인산일수소 칼슘염 등이 사용될 수 있고, 활택제로는 실리카, 탈크, 스테아르산 또는 이의 마그네슘염 또는 칼슘염,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결합제로는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 페이스트, 젤라틴, 트라가칸스, 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딘, 저치환도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외에도 락토즈,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만니톨, 소르비톨, 셀룰로오스. 글리신 등을 희석제로 사용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비등 혼합물, 흡수제, 착색제, 향미제, 감미제 등을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1의 유도체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 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신경질환의 예방제 또는 치료제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는 피하주사제, 정맥주사제, 근육 내 주사제 또는 흉부 내 주사제를 주입하는 방법에 의한다. 이때, 비경구 투여용 제형으로 제제화하기 위하여 상기 화학식 1의 유도체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을 안정제 또는 완충제와 함께 물에서 혼합하여 용액 또는 현탁액으로 제조하고, 이를 앰플 또는 바이알의 단위 투여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멸균되거나 또는 방부제, 안정화제, 수화제 또는 유화 촉진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완충제 등의 보조제 및 기타 치료적으로 유용한 물질을 함유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인 혼합, 과립화 또는 코팅 방법에 다라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의 유도체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신경질환의 예방제 또는 치료제를 단위 용량 형태로 제형화하는 경우, 유효성분으로서 화학식 1의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약 0.1~1,500 mg의 단위용량으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나이 및 질병의 특수한 성질과 심각성과 같은 요인에 따라 의사의 처방에 따른다. 그러나, 성인 치료에 필요한 투여량은 투여의 빈도와 강도에 따라 하루에 약 1~500 mg 범위가 보통이다. 성인에게 근육 내 또는 정맥 내 투여 시 일 회 투여량으로는 분리하여 하루에 보통 약 5~300 mg의 전체 투여량이면 충분할 것이나, 일부 환자의 경우 더 높은 일일 투여량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제조예 1> 출발물질의 제조 1
본 발명에 따른 제법 1에서 출발물질로 사용되는 화학식 2의 4,6-디메틸피리미딘 화합물을 하기 반응식 3에 나타난 바와 같은 유기화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는 방법으로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즉, 화학식 7의 화합물과 2,4-펜타디온을 탄산 칼륨 수용액에서 가열 환류시켜 얻었다.
Figure 112009004773789-pat00007
(상기 반응식 3에서 R1은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 제조예 2> 출발물질의 제조 2
본 발명에 따른 제법 2에서 출발물질로 사용되는 화학식 5의 1,3-비스(디에틸포스포노메틸)벤젠은 하기 반응식 4에서 나타난 바와 같은 유기화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는 아부조브(Arbuzof) 반응을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즉, α-디브로모-m-자일렌을 트리에틸포스핀과 함께 톨루엔에서 가열 환류시켜 얻었다.
Figure 112009004773789-pat00008
< 제조예 3> 출발물질의 제조 3
본 발명에 따른 제법 2에서 출발물질로 사용되는 화학식 5의 3,5-비스(디에틸포스포메틸)페놀을 하기 반응식 5에서 나타난 바와 같은 유기화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는 방법으로 아부조브(Arbuzof) 반응을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즉, 3, 5-디(하이드록시메틸)페놀을 무수 1,4-디옥산에 용해한 후 BF3·Et2O와 포타슘 아이오다이드를 첨가하여 3,5-비스(아이오도메틸)페놀을 얻을 후, 이를 트리에틸포스핀과 함께 톨루엔에서 가열 환류시켜 3,5-비스(디에틸포스포메틸)페놀을 얻었다.
Figure 112009004773789-pat00009
< 실시예 1> (E,E)-4,6-비스(3'- 하이드록시 -4'- 메톡시스티릴 )피리미딘의 합성
Figure 112009004773789-pat00010
단계 1 : (E,E)-4,6-비스[4'-메톡시-3'-(4"-메톡시벤질옥시)스티릴]피리미딘의 합성
10 mL의 5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에 4,6-디메틸피리미딘 0.21 g (2.0 mmol), 4-메톡시-3-(4-메톡시벤질옥시)벤즈알데하이드 1.1 g (4 mmol), 테트라부틸암모늄 하이드로젠 설페이트 0.1 g (0.29 mmol)를 가하고 5시간 동안 가열 환류하였다. 고체를 여과하고 물로 세척하였다. 얻어진 고체는 진공 건조기에서 건조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ethylacetate)에서 재결정하여 (E,E)-4,6-비스[4'-메톡시-3'-(4"-메톡시벤질옥시)스티릴]피리미딘 1.06 g을 얻었다
1H NMR (DMSOd6, 400 MHz) δ 3.81 (s, 6H), 3.91 (s, 6H), 5.12 (s, 4H), 6.87 (d, J = 15.9 Hz, 2H), 6.91 (d, J = 8.6 Hz, 2H), 6.92 (d, J = 8.5 Hz, 4H), 7.18 (d, J = 8.6 Hz, 2H), 7.19 (s, 2H), 7.22 (s, 1H), 7.40 (d, J = 8.5 Hz, 4H), 7.78 (d, J = 15.9 Hz, 2H), 9.03 (s, 1H)
단계 2 : (E,E)-4,6-비스(3'-하이드록시-4'-메톡시스티릴)피리미딘의 합성
상기 단계 1에서 얻은 (E,E)-4,6-비스[4'-메톡시-3'-(4"-메톡시벤질옥시)스티릴]피리미딘 1.06 g을 90 mL의 에탄올과 30 mL의 1N HCl 혼합용액에 용해한 후 20시간 동안 가열 환류 하였다. 반응액을 실온까지 식힌 후 침전물을 여과하고 물과 핵산으로 세척하여 (E,E)-4,6-비스(3'-하이드록시-4'-메톡시스티릴)피리미딘 0.6 g(79%)을 얻었다.
1H NMR (DMSOd6, 400 MHz) δ 3.80 (s, 6H), 6.97 (d, J = 8.3 Hz, 2H), 6.98 (d, J = 15.9 Hz, 2H), 7.11 (dd, J = 1.9, 8.3 Hz, 2H), 7.13 (d, J = 1.9 Hz, 2H), 7.62 (d, J = 1.0 Hz, 1H), 7.78 (d, J = 15.9 Hz, 2H), 8.95 (d, J = 1.0 Hz, 1H), 9.17 (s, 2H)
<실시예 2> (E,E)-4,6-비스[4'-하이드록시-3'-(N,N-디메틸아미노)스티릴]피리미딘의 합성
Figure 112009004773789-pat00011
단계 1 : (E,E)-4,6-비스[4'-(메톡시메톡시)-3'-(N,N-디메틸아미노)스티릴]피리미딘의 합성
10 mL의 5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에 4,6-디메틸피리미딘 0.21 g(2.0 mmol), 3-(N,N-디메틸아미노)-4-(메톡시메톡시)벤즈알데하이드 0.83 g(4 mmol), 테트라부틸암모늄 하이드로젠 설페이트 0.1 g(0.29 mmol)을 가하고 5시간 동안 가열 환류 하였다. 반응액을 에틸아세테이트(ethylacetate)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감압 증류하여 얻어진 화합물을 관 크로마토그라피법으로 정제하여 (E,E)-4,6-비스[4'-(메톡시메톡시)-3'-(N,N-디메틸아미노)스티릴]피리미딘 0.51 g을 얻었다.
1H NMR (DMSOd6, 400 MHz) δ 2.77 (s, 12H), 3.42 (s, 6H), 5.24 (s, 4H), 7.05 (d, J = 8.9 Hz, 2H), 7.11 (d, J = 15.9 Hz, 2H), 7.23 (d, J = 1.9 Hz, 2H), 7.24 (dd, J = 1.9, 8.9 Hz, 2H), 7.67 (d, J = 1.0 Hz, 1H), 7.87 (d, J = 15.9 Hz, 2H), 8.97 (d, J = 1.0 Hz, 1H)
단계 2 : (E,E)-4,6-비스[4'-하이드록시-3'-(N,N-디메틸아미노)스티릴]피리미딘의 합
상기 단계 1에서 얻은 (E,E)-4,6-비스[4'-(메톡시메톡시)-3'-(N,N-디메틸아미노)스티릴]피리미딘 0.51 g을 45 mL의 에탄올과 15 mL의 1N HCl 혼합용액에 용해 한 후 10시간 동안 가열 환류 하였다. 반응액을 실온까지 식힌 후 탄산 수소 나트륨 1.26 g을 가한다. 물 400 mL를 가하고 결정을 여과하여 (E,E)-4,6-비스[4'-하이드록시-3'-(N,N-디메틸아미노)스티릴]피리미딘 0.31 g(38%)을 얻었다.
1H NMR (DMSOd6, 400 MHz) δ 2.73 (s, 12H), 6.81 (d, J = 8.1 Hz, 2H), 7.01 (d, J = 15.9 Hz, 2H), 7.16 (dd, J = 1.8, 8.1 Hz, 2H), 7.19 (d, J = 1.8 Hz, 2H), 7.59 (s, 1H), 7.81 (d, J = 15.9 Hz, 2H), 8.93 (s, 1H), 9.62 (bs, 2H)
< 실시예 3> (E,E)-1,3-비스(3'- 하이드록시 -4'- 메톡시스티릴 )벤젠의 합성
Figure 112009004773789-pat00012
단계 A: (E,E)-1,3-비스[4'-메톡시-3'-(메톡시메톡시)스티릴]벤젠의 합성
1,3-비스(디에틸포스포노메틸)벤젠 0.75 g과 4-메톡시-3-(메톡시메톡시)벤즈알데하이드 0.78 g을 THF 용액에 용해한 후, 반응액을 0 ℃로 냉각하고 포타슘 t-부톡사이드 0.88 g을 가하였다. 반응액은 실온에서 2 시간동안 반응하였다. 반응액에 200 mL의 물을 가해주고 침전물을 여과하여 흰색 고체인 (E,E)-1,3-비스[4'- 메톡시-3'-(메톡시메톡시)스티릴]벤젠 0.69 g을 얻었다.
1H NMR (DMSOd6, 400 MHz) δ 3.41 (s, 6H), 3.78 (s, 6H), 5.20 (s, 4H), 7.01 (d, J = 8.5 Hz, 2H), 7.07 (d, J = 16.4 Hz, 2H), 7.21 (dd, J = 1.9, 8.5 Hz, 2H), 7.23 (d, J = 16.4 Hz, 2H), 7.32-7.34 (m, 5H), 7.79 (s, 1H)
단계 B : (E,E)-1,3-비스(3'-하이드록시-4'-메톡시스티릴)벤젠의 합성
상기 단계 1에서 얻은 (E,E)-1,3-비스[4'-메톡시-3'-(메톡시메톡시)스티릴]벤젠 0.69 g을 60 mL의 에탄올과 20mL의 1N HCl 혼합용액에 용해한 후 1 시간 동안 가열 환류 하였다. 반응액을 실온까지 식힌 후, 물 100 mL를 가해주고 침전물을 여과하여 (E,E)-1,3-비스(3'-하이드록시-4'-메톡시스티릴)벤젠 0.52 g(77%)을 얻었다.
1H NMR (DMSOd6, 400 MHz) δ 3.77 (s, 6H), 6.91 (d, J = 8.3 Hz, 2H), 6.98 (d, J = 16.3 Hz, 2H), 6.98 (dd, J = 1.9, 8.3 Hz, 2H), 7.04 (d, J = 1.9 Hz, 2H), 7.16 (d, J = 16.3 Hz, 2H), 7.29-7.41 (m, 3H), 7.74 (s, 1H), 9.03 (s, 2H)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다양한 비스(스티릴)피리미딘 유도체를 합성하였으며, 그 구조 및 1H NMR 데이터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구 조 NMR 데이터



4
Figure 112009004773789-pat00013
6.84 (d, J = 8.6 Hz, 4H), 7.06 (d, J = 16.0Hz, 2H), 7.58 (d, J = 8.6 Hz, 4H), 7.67 (s, 1H), 7.90 (d, J = 16.0 Hz, 2H), 8.99 (s, 1H), 9.96 (bs, 2H)



5
Figure 112009004773789-pat00014
6.79 (dd, J = 1.7, 7.9 Hz, 2H), 7.07 (d, J = 1.7 Hz, 2H), 7.13-7.25 (m, 6H), 7.74 (d, J = 0.8 Hz, 1H), 7.84 (d, J = 16.0 Hz, 2H), 9.04 (d, J = 0.7 Hz, 1H), 9.57 (bs, 2H)



6
Figure 112009004773789-pat00015
3.84 (s, 6H), 6.82 (d, J = 8.1 Hz, 2H), 7.09 (d, J = 16.0 Hz, 2H), 7.13 (dd, J = 1.6, 8.1 Hz, 2H), 7.32 (d, J = 1.6 Hz, 2H), 7.57 (s, 1H), 7.83 (d, J = 16.0 Hz, 2H), 8.95 (s, 1H), 9.48 (bs, 2H)



7
Figure 112009004773789-pat00016
2.75 (s, 12H), 6.83 (d, J = 8.0 Hz, 2H), 6.91 (d, J = 15.9 Hz, 2H), 7.06 (d, J = 8.0 Hz, 2H), 7.07 (s, 2H), 7.63 (s, 1H), 7.76 (d, J = 15.9 Hz, 2H), 8.93 (s, 1H), 9.48 (bs, 2H)



8
Figure 112009004773789-pat00017
.96 (s, 3H), 6.81 (d, J = 8.5 Hz, 4H), 6.98 (d, J = 15.9 Hz, 2H), 7.20 (s, 1H), 7.54 (d, J = 8.5 Hz, 4H), 7.79 (d, J = 15.9 Hz, 2H), 9.87 (bs, 2H)



9
Figure 112009004773789-pat00018
3.98 (s, 3H), 7.78 (dd, J = 1.8, 6.0 Hz, 2H), 7.05(s, 2H), 7.11 (d, J = 15.9 Hz, 2H), 7.12 (d, J = 6.0 Hz, 2H), 7.22 (dd, J = 7.8, 7.8 Hz, 2H), 7.37 (s, 1H), 7.79 (d, J = 15.9 Hz, 2H), 9.58 (bs, 2H)



10
Figure 112009004773789-pat00019
3.84 (s, 6H), 3.97 (s, 3H), 6.81 (d, J = 8.1 Hz, 2H), 7.04 (d, J = 15.9 Hz, 2H), 7.12 (dd, J = 1.7, 8.1 Hz, 2H), 7.22 (s, 1H), 7.30 (d, J = 1.7 Hz, 2H), 7.79 (d, J = 15.9 Hz, 2H), 9.53 (bs, 2H)



11
Figure 112009004773789-pat00020
3.80 (s, 6H), 3.96 (s, 3H), 6.92-6.98 (m, 4H), 7.09-7.13 (m, 4H), 7.28 (s, 1H), 7.75 (d, J = 15.9 Hz, 2H), 9.18 (bs, 2H)



12
Figure 112009004773789-pat00021
2.71 (s, 12H), 3.95 (s, 3H), 6.79 (d, J = 8.0 Hz, 2H), 6.94 (d, J = 15.9 Hz, 2H), 7.13 (dd, J = 1.8, 8.0 Hz, 2H), 7.17 (d, J = 1.8 Hz, 2H), 7.24 (s, 1H), 7.76 (d, J = 15.9 Hz, 2H), 9.58 (bs, 2H)



13
Figure 112009004773789-pat00022
2.74 (s, 12H), 3.95 (s, 3H), 6.82 (d, J = 8.7 Hz, 2H), 6.85 (d, J = 15.8 Hz, 2H), 7.05-7.06 (m, 4H), 7.29 (s, 1H), 7.71 (d, J = 15.8 Hz, 2H), 9.36 (bs, 2H)



14
Figure 112009004773789-pat00023
2.58 (s, 3H), 6.81 (d, J = 8.6 Hz, 4H), 6.96 (d, J = 15.9 Hz, 2H), 7.24 (s, 1H), 7.55 (d, J = 8.6 Hz, 4H), 7.79 (d, J = 15.9 Hz, 2H), 9.90 (bs, 2H)



15
Figure 112009004773789-pat00024
2.94 (s, 3H), 6.81 (d, J = 8.0 Hz, 2H), 7.09-7.27 (m, 8H), 7.81 (s, 1H), 7.89 (d, J = 15.9 Hz, 2H), 9.63 (bs, 2H)



16
Figure 112009004773789-pat00025
2.58 (s, 3H), 3.83 (s, 6H), 6.80 (d, J = 8.1 Hz, 2H), 7.02 (d, J = 15.9 Hz, 2H), 7.12 (dd, J = 1.6, 8.1 Hz, 2H), 7.25 (s, 1H), 7.30 (d, J = 1.6 Hz, 2H), 7.78 (d, J = 15.9 Hz, 2H), 9.47 (s, 2H)



17
Figure 112009004773789-pat00026
2.57 (s, 3H), 3.80 (s, 6H), 6.92 (d, J = 15.9 Hz, 2H), 6.96 (d, J = 8.3 Hz, 2H), 7.10 (dd, J = 1.9, 8.3 Hz, 2H), 7.13 (d, J = 1.9 Hz, 2H), 7.31 (s, 1H), 7.74 (d, J = 15.9 Hz, 2H), 9.17 (bs, 2H)



18
Figure 112009004773789-pat00027
2.57 (s, 3H), 2.71 (s, 12H), 6.79 (d, J = 8.1 Hz, 2H), 6.94 (d, J = 15.9 Hz, 2H), 7.15 (dd, J = 1.7, 8.1 Hz, 2H), 7.17 (d, J = 1.7 Hz, 2H), 7.29 (s, 1H), 7.76 (d, J = 15.9 Hz, 2H), 9.60 (bs, 2H)



19
Figure 112009004773789-pat00028
2.65 (s, 3H), 2.75 (s, 12H), 6.84-6.88 (m, 4H), 7.06-7.08 (m, 4H), 7.35 (s, 1H), 7.73 (d, 2H), 9.41 (bs, 2H)


상기 실시예 3과 같은 방법으로 다양한 비스(스티릴)벤젠 유도체를 합성하였으며, 그 구조 및 1H NMR 데이터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구 조 NMR 데이터



20
Figure 112009004773789-pat00029
2.71 (s, 12H), 6.75 (d, J = 8.1 Hz, 2H), 7.00 (d, J = 15.6 Hz, 2H), 7.03 (d, J = 8.1 Hz, 2H), 7.10 (s, 2H), 7.18 (d, J = 15.6 Hz, 2H), 7.27-7.37 (m, 3H), 7.74 (s, 1H), 9.25 (bs, 2H)



21
Figure 112009004773789-pat00030
2.69 (s, 12H), 6.82 (d, J = 8.1 Hz, 2H), 6.94 (d, J = 16.3 Hz, 2H), 6.96 (dd, J = 1.7, 8.1 Hz, 2H), 6.99 (d, J = 1.7 Hz, 2H), 7.15 (d, J = 16.3 Hz, 2H), 7.28-7.39 (m, 3H), 7.73 (s, 1H), 9.11 (s, 2H)



22
Figure 112009004773789-pat00031
6.75 (d, J = 8.5 Hz, 4H), 6.78 (s, 2H), 6.91 (d, J = 16.3 Hz, 2H), 7.07 (d, J = 16.3 Hz, 2H), 7.16 (s, 1H), 7.41 (d, J = 8.5 Hz, 4H), 9.38 (bs, 1H), 9.56 (bs, 2H)



23
Figure 112009004773789-pat00032
6.65-6.68 (m,2H), 6.86 (s, 2H), 6.95 (s, 2H), 7.02 (d, J = 7.8 Hz, 2H), 7.05 (d, J = 16.2 Hz, 2H), 7.12 (d, J = 16.2 Hz, 2H), 7.15 (dd, J = 7.8, 7.8 Hz, 2H), 7.28 (s, 1H), 9.42 (s, 2H), 9.48 (s, 1H)



24
Figure 112009004773789-pat00033
3.81 (s, 6H), 6.75 (d, J = 8.1 Hz, 2H), 6.78 (s, 2H), 6.97 (d, J = 16.3 Hz, 2H), 6.97 (dd, J = 1.5, 8.1 Hz, 2H), 7.08 (d, J = 16.3 Hz, 2H), 7.18 (d, J = 1.5 Hz, 2H), 7.19 (s, 1H), 9.13 (bs, 2H), 9.39 (s, 1H)



25
Figure 112009004773789-pat00034
3.77 (s, 6H), 6.79 (d, J = 1.0 Hz, 2H), 6.99 (d, J = 16.4 Hz, 2H), 6.90 (d, J = 8.3 Hz, 2H), 6.97 (dd, J = 1.9, 8.3 Hz, 2H), 7.02 (d, J = 1.9 Hz, 2H), 7.05 (d, J = 16.4 Hz, 2H), 7.20 (s, 1H), 9.00 (bs, 2H), 9.40 (bs, 1H)



26
Figure 112009004773789-pat00035
2.69 (s, 12H), 6.74 (d, J = 8.0 Hz, 2H), 6.76 (s, 2H), 6.90 (d, J = 16.3 Hz, 2H), 7.01 (dd, J = 1.7, 8.0 Hz, 2H), 7.06 (d, J = 16.3 Hz, 2H), 7.08 (d, J = 1.7 Hz, 2H), 7.20 (s, 1H), 9.24 (bs, 2H), 9.36 (bs, 1H)



27
Figure 112009004773789-pat00036
2.77 (s, 12H), 6.82 (s, 2H), 6.90 (d, J = 16.3 Hz, 2H), 7.00-7.02 (m, 6H), 7.07 (d, J = 16.3 Hz, 2H), 7.23 (s, 1H), 9.34 (s, 2H), 9.43 (bs, 1H)
<실험예 1> 베타아밀로이드 화이브릴 형성 저해 실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화합물의 베타아밀로이드 화이브릴 저해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ThT 형광세기를 이용하여 하기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베타아밀로이드(1-42)와 본 발명의 실시예 1-27의 화합물을 DMSO 용액에 녹이고 이것을 PBS(phosphate-buffered saline, pH 7.4) 용액에 희석하였다. 베타아밀로이드(1-42)(대조군)와 실시예 화합물 1-27의 최종 농도는 각각 25 μM, 10 μM이 되었다.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한 후, 글리신-NaOH 완충용액에 녹아 있는 티오플라빈 T(ThT, 5 μM, pH 8.5)를 가하였다. 다중 표시 형광 계수기 (multi label fluorescence counter)를 사용하여 96 마이크로플레이트 (microplate)에서 형광 세기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형광 측정 시, 여기 (excitation)와 발광 (emission) 파장은 450 nm (슬릿 10 nm)와 485 nm (슬릿 10 nm)가 바람직하다.
화합물 화이브릴 형성(%) 화합물 화이브릴 형성(%)
대 조 군 100±10.7 실시예 14 32.6±7.4
실시예 1 19.1±0.6 실시예 15 153.3±16.3
실시예 2 16.5±2.6 실시예 16 32.4±12.5
실시예 3 32.1±1.1 실시예 17 24.8±11.1
실시예 4 35.7±7.0 실시예 18 21.4±10.3
실시예 5 85.9±19.7 실시예 19 11.2±4.2
실시예 6 20.7±5.4 실시예 20 36.1±10.1
실시예 7 6.3±1.8 실시예 21 44±8.3
실시예 8 32.6±7.3 실시예 22 19.3±1.1
실시예 9 128.7±11.6 실시예 23 92.9±12.4
실시예 10 32.0±11.6 실시예 24 21±2.4
실시예 11 45.0±9.2 실시예 25 15.5±3.8
실시예 12 25.9±7.3 실시예 26 25.8±5.8
실시예 13 9.6±3.7 실시예 27 16.7±0.7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ThT 형광 세기를 이용한 베타아밀로이드(1-42) 화이브릴 형성을 저해하는 정도를 측정한 결과, 베타아밀로이드(1-42)를 실시예 화합물들과 함께 배양한 군은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낮은 형광 세기를 나타내었다. 낮은 형광 세기는 베타아밀로이드 화이브릴의 양이 적음을 의미하는바, 본 발명의 실시예 화합물들은 베타아밀로이드 화이브릴 형성을 저해함을 알 수 있다. 특히, 실시예 7 및 실시예 13은 화이브릴 형성을 현저하게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2> HT-22 세포를 이용한 화합물의 세포독성 검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화합물의 세포에 대한 독성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HT-22 세포를 이용하여 하기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생쥐의 신경세포주인 HT-22를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지에 10% FBS(Fetal Bovine Serum)와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이 첨가된 배지를 사용하여 37℃, 5% CO2 조건의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실험 전 HT-22 세포를 96 웰 플레이트에 5×103 세포/웰의 밀도로 평판 배양하고 혈청이 제거된 DMEM 배지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HT-22 세포를 배양한 후 실시예 1-27의 화합물을 25 μM 농도로 첨가하고 1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5 mg/㎖ MTT (3-(4,5-디메틸-2-티아졸릴)-2,5-디페닐-2H-테트라졸륨 브로마이드) 용액을 웰 당 15 ㎕씩 넣고, 4시간 배양 후 용해화 완충액(10% SDS, 50% 디메틸포름아미드, pH 4.7)을 100 ㎕ 씩 첨가하여 반응시켰다. 18시간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를 이용하여 570 nm/63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화합물 세포 생존율 (%) 화합물 세포 생존율(%)
실시예 1 135.6±6.1 실시예 15 43.7±6.6
실시예 2 146.2±26.6 실시예 16 79.0±7.9
실시예 3 69.5±4.2 실시예 17 78.8±9.3
실시예 4 104.2±7.1 실시예 18 77.3±15.1
실시예 5 142.5±5.6 실시예 19 85.3±8.1
실시예 6 215.6±3.5 실시예 20 95.7±8.3
실시예 7 132.8±41.1 실시예 21 100.8±7.6
실시예 8 101.2±31.8 실시예 22 37.4±4.7
실시예 9 45.9±4.2 실시예 23 59.2±15.4
실시예 10 75.2±12.5 실시예 24 80.9±13.1
실시예 11 98.4±2.7 실시예 25 73.5±14.1
실시예 12 96.6±13.7 실시예 26 66.0±12.1
실시예 13 101.4±2.5 실시예 27 64.4±4.2
실시예 14 65.3±6.0 - -
상기 표 4를 참조하면, HT-22 세포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화합물들은 거의 대부분 70% 이상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들은 세포에 독성을 유발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3> 베타아밀로이드(1-42) 독성에 대한 화합물의 독성 경감 효과 검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화합물의 베타아밀로이드에 의한 독성의 경감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하기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상기 실험예 2와 같은 방법으로 HT-22 세포를 배양한 후 실시예 1-27의 화합물을 첨가하고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응집이 된 베타아밀로이드(Aβ25-35)를 25 μM의 농도로 처리한 후 18시간 동안 배양하여 베타아밀로이드 독성에 의한 세포 괴사를 유도하였다. 5 mg/㎖ MTT 용액을 웰 당 15 ㎕씩 넣고, 4시간 배양 후 용해화 완충액을 100 ㎕씩 첨가하여 반응시켰다. 18시간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를 이용하여 570nm/63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화합물 세포 생존율 (%) 화합물 세포 생존율 (%)
Aβ25-35 56.0±0.6 실시예 14 34.2±4.0
실시예 1 91.8±8.8 실시예 15 39.6±0.4
실시예 2 85.3±0.1 실시예 16 49.0±4.2
실시예 3 54.7±5.3 실시예 17 78.3±0.4
실시예 4 81.0±1.2 실시예 18 50.9±5.7
실시예 5 43.5±13.4 실시예 19 69.7±0.4
실시예 6 103.0±13.0 실시예 20 45.8±9.1
실시예 7 76.6±12.1 실시예 21 52.8±7.2
실시예 8 100.5±7.0 실시예 22 50.6±10.1
실시예 9 47.7±3.3 실시예 23 47.7±11.1
실시예 10 71.7±14.8 실시예 24 39.9±9.5
실시예 11 66.2±11.5 실시예 25 43.2±10.0
실시예 12 59.0±5.7 실시예 26 47.4±0.6
실시예 13 67.4±5.1 실시예 27 50.5±3.9
상기 표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화합물을 투여한 경우, 베타아밀로이드(Aβ25-35)로 처리된 세포의 독성을 현저하게 감소시킴으로써 세포의 생존율을 증가시킴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4> 급성 알츠하이머병( Acute AD ) 쥐에 대한 베타아밀로이드의 투여와 화합물의 학습 및 기억력 회복 효과 측정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화합물들이 알츠하이머병을 유발하는 베타아밀로이드가 투여된 쥐의 학습능력 및 기억력을 회복시키는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하기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단계 1: 쥐에 대한 베타아밀로이드(1-42)와 화합물의 투여
실험에는 4∼5주령, 20∼25 g 무게의 생쥐를 사용하였으며 각 군별로 6마리씩 사용하였다. 뇌실 내 주사는 문헌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뇌실 내에 주사했다(Laursen & Belknap, J. Pharmacol. Methods. 1986, 16, 355). 50 μl 해밀턴 주사기에 26 게이지 주사바늘을 꼽고 주사 끝 2.4 mm을 두정(bregma)에 삽입하여 투여하였다. 모든 샘플은 경구 투여(per oral) 혹은 푸드펠릿(food pellet)을 통하여 각각 10 마리씩의 생쥐에 투여하였다. 뇌실 내 주사 후 화합물을 2 일간 투여하고 2 일에 Y-미로검사, 2-3 일에 물체인식검사, 3-4 일에 수동회피검사, 3-7 일에 수중미로검사를 실시하였다. 모든 자료는 6 마리에서 평균값을 구하였다.
단계 2: 급성 알츠하이머병( Acute AD ) 모델 동물 실험 - Y-미로, 물체인식, 수동회피, 수중미로
Y-미로를 통하여 단기 기억력을 평가하였고, 공간적인 기억력을 자발적 교차 행동(spontaneous alternation behavior)으로 측정하였다. Y자형 모양의 통로에 한 끝에 생쥐의 머리 부분이 향하도록 두고 8분 동안 자유롭게 세 개의 통로에서 왕래시켰다. 교차 횟수는 생쥐가 연속적으로 세 통로를 통과했을 때 한번 교차한 것으로 정했다. 자발적인 교차 통행량은 교차 횟수 통로를 통과한 전체 횟수(number of arm entities)의 백분비로 계산했다.
물체인식검사는 동일한 물체를 두 모서리에서 5 cm 떨어진 곳에 각각 위치시킨 후 제시했던 물체와 새로운 물체를 탐색하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탐색은 물체를 향하여 반경 2 cm 안에 머리를 두고 냄새를 맡거나 물체를 만지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수동회피검사는 문헌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실시했다(Song et al. J. Neurochem., 1998, 71, 875). 밝게 조명된 방과 어두운 방으로 이루어지고 바닥에는 전기충격을 줄 수 있도록 장치된 수동회피상자를 사용했다. 생쥐를 밝은 방에 놓고 생쥐가 어두운 방으로 들어가는 즉시 0.25 mA로 1 초간 전기충격을 주었다. 훈련 후 24 시간 뒤 생쥐를 밝은 방에 놓고 어두운 방으로 들어가기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여 수동회피반응시간으로 정하였다.
수중미로검사는 생쥐를 풀(pool)의 사분면 중 한쪽에서 생쥐의 머리가 향하도록 놓고 각 시행시마다 임의의 사분면에서 출발하도록 하였다. 생쥐가 도피대를 찾아 올라갈 때까지 지연시간(latency)을 측정하고, 만약 60 초 내에 도피대의 위치를 찾아내지 못했다면 실험자가 도피대로 인도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하기 표 6,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화합물
행동 실험
Y미로 물체인식 수동회피
자발적인 교차(%)a 선호도b % of control 지연시간(초) % of control
대조군 - 0.64±0.02 - 178.1 100
Aβ1-42 61.6 0.54±0.02 84 89.9 50.4
실시예 1 72.2 0.59±0.03 92 144.2 80.9
실시예 2 71.3 0.53±0.05 82 117.8 66.1
실시예 6 67.9 0.61±0.03 95 139.2 78.1
실시예 7 67.0 0.57±0.02 89 122.5 68.7
a자발적인 교차 행동량(% spontaneous alternation)=(실제 교차 횟수 / 최대 가능한 교차횟수)×100
b사물 인지 선호도= 새로운 탐색시간 / 전체 물체 탐색 시간
상기 표 6을 참조하면, 베타아밀로이드(1-42) 주입 후 실시예 1, 2, 6 및 7의 화합물을 투여한 쥐들에게서 화합물을 투여하지 않은 쥐들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기억력 회복 효과가 나타났다. 베타아밀로이드(1-42)를 주입한 생쥐는 새로운 물체에 대한 관심 정도가 대조군에 비하여 약 16% 감소하였고, 여기에 실시예 화합물을 투여한 쥐는 최고 11%(실시예 6)까지 기억력을 회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동회피검사에서 베타아밀로이드(1-42)를 주입한 쥐는 인지 능력이 대조군에 비하여 약 50% 감소하였고, 여기에 실시예 화합물을 처리함으로써 인지 능력이 약 16%-30% 정도 개선된 것으로 측정되었다. 그 중 실시예 1의 화합물이 가장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도 1을 참조하면, 생쥐의 공간적인 인지 학습 능력을 측정하는 수중미로검사 결과 베타아밀로이드(1-42)를 투여한 군은 인지 학습 능력 결핍 증상을 나타내었고, 실시예 1 및 6(도 1의 (A) 참조)과 실시예 2 및 7(도 1의 (B) 참조)의 화합물을 복용한 군은 인지 학습 능력이 베타아밀로이드(1-42)를 투여한 군에 비하여 세션이 증가할수록 지연시간이 단축되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시간이 경과할수록 회복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화합물은 농도의존적으로 학습 및 기억력 회복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4가지 화합물들은 기억력 및 인지 학습 능력을 개선시킴으로써 베타아밀로이드 형성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5> 형질전환 쥐에 대한 화합물의 학습 및 기억력 효과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화합물들이 형질전환 쥐의 학습 및 기억력을 회복시키는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하기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형질전환 쥐는 APP와 프리세닐린 1(presenilin 1) 유전자를 조작한 이중형질전환 쥐를 사용하였다. 실험에는 26-39 g 무게의 8 개월령 형질전환 쥐를 사용하였으며 각 군별로 10마리씩 사용하였다. 2-3 개월 동안 푸드펠릿(3 mg/pellet)을 통하여 실시예 1의 화합물을 투여하고 행동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시예 1의 화합물 투여 2 개월 후(10 개월령) 학습 및 기억력 회복을 확인하기 위하여 Y-미로검사, 물체인식검사를 진행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하기 도 3의 (A), (B)에 나타내었다.
도 3의 (A), (B)를 참조하면, 전반적으로 급성알츠하이머병(acute AD) 모델과 비교하면 학습 및 기억력 효과가 다소 작게 나타났지만, 형질전환 쥐에서 나타나는 기억력 장애가 실시예 1의 화합물의 투여에 의해 다소 회복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경 공포 조건화(context fear conditioning) 검사를 사용하여 다른 방법으로 기억력 검사를 수행하였다. 조건자극-비조건자극(CS-US, conditioned stimulus-unconditioned stimulus)에 대해서 생쥐에게 tone-shock pairing 자극을 5회 실시하였다. 다음날 자극을 제시하지 않은 상태에서 쥐를 자극을 준 훈련 박스 (context)에 두고 동결반응(freezing)을 관찰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하기 도 3의 (C)에 나타내었다. 도 3의 (C)를 참조하면, 실시예 1의 화합물을 처리한 생쥐는 대조군에 비하여 동결반응이 길었고 베타아밀로이드 독성에 의한 해마 손상이 실시예 1의 화합물에 의하여 감소된 것으로 판단된다. 상기의 실험동안 두 그룹의 평균 몸무게 차이는 없었다.
상기의 형질전환 생쥐에서 행동 실험 결과, 실시예 1의 화합물은 형질전환 생쥐에서 학습 및 기억력 개선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 효과가 베타아밀로이드의 집적 저해와 베타아밀로이드 양의 감소에 의해서 나타난 결과인지 알아보기 위하여 형질전환 생쥐의 대뇌를 면역조직화학적인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행동실험이 끝난 11 개월령 형질전환 생쥐의 우측 대뇌반구(right hemisphere)를 절단하고 염색 (staining)이나 효소면역법(ELISA,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을 사용하여 대뇌피질(cerebral cortex)과 해마(hippocampus)의 아밀로이드 플라그 양과 베타아밀로이드 양을 측정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하기 도 4에 나타내었다.
콩고 레드(Congo red)로 아밀로이드 플라그를 염색하여 그것의 수를 셈하였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실시예 1의 화합물을 처리한 군은 대조군보다 아밀로이드 플라그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도 4의 (B), (C)를 참조하면, 효소면역법을 이용하여 베타아밀로이드(1-40)과 베타아밀로이드(1-42)의 양을 측정한 결과, 아밀로이드 플라그와 마찬가지로 그것의 양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도 4의 (D)를 참조하면, 신경세포의 양에 있어서는 실시예 1의 화합물을 처리한 군에서 더 많이 나타났다.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이 유도체 화합물은 베타아밀로이드의 집적을 저해하여 베타아밀로이드에 의한 독성을 감소시키고 신경세포를 보호함으로써 알츠하이머병과 같은 베타아밀로이드 집적 관련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하기에 본 발명의 베타아밀로이드 집적 관련 질환의 예방제 또는 치료제를 위한 제제예를 예시한다.
제제예 1: 약학적 제제의 제조
1-1. 산제의 제조
화학식 1의 비스(스티릴)피리미딘 또는 비스(스티릴)벤젠 유도체 2g
유당 1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1-2. 정제의 제조
화학식 1의 비스(스티릴)피리미딘 또는 비스(스티릴)벤젠 유도체 100mg
옥수수전분 100mg
유당 100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m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1-3. 캡슐제의 제조
화학식 1의 비스(스티릴)피리미딘 또는 비스(스티릴)벤젠 유도체 100mg
옥수수전분 100mg
유당 100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m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1-4. 주사제의 제조
화학식 1의 비스(스티릴)피리미딘 또는 비스(스티릴)벤젠 유도체 100mg
만니톨 180mg
Na2HPO4ㆍ2H2O 26mg
증류수 2974mg
통상적인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 성분들을 제시된 함량으로 함유시켜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험예 4의 생쥐의 공간적인 인지 학습 능력을 측정하는 수중미로검사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험예 4의 급성 알츠하이머병(acute AD) 모델에서의 베타아밀로이드의 투여와 화합물의 학습 및 기억력 효과를 측정하는 Y-미로, 물체인식, 수동회피검사 결과이고((A) Y-미로 : 1은 Aβ1-42 10nM; 2는 Aβ1-42 10nM + 실시예 1 50mg/kg. p. o; 3은 Aβ1-42 10nM + 실시예 1 100mg/kg. p. o;4는 Aβ1-42 10nM + 실시예 1 200mg/kg. p. o , (B) 물체인식 : 1은 대조군; 2는 Aβ1-42 10nM; 3은 Aβ1-42 10nM + 실시예 1 50mg/kg. p. o; 4는 Aβ1-42 10nM + 실시예 1 100mg/kg. p. o; 5는 Aβ1-42 10nM + 실시예 1 200mg/kg. p. o, (C) 수동회피 : 1은 대조군; 2는 Aβ1-42 10nM; 3은 Aβ1-42 10nM + 실시예 1 50mg/kg. p. o; 4는 Aβ1-42 10nM + 실시예 1 100mg/kg. p. o; 5는 Aβ1-42 10nM + 실시예 1 200mg/kg. p. o );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험예 5의 형질전환 쥐에 대한 베타아밀로이드의 투여와 화합물의 학습 및 기억력 효과를 측정하는 Y-미로, 물체인식, 배경 공포 조건화 결과이고((A): Y-미로,(B): 물체인식, (C): 배경 공포 조건이고, 1은 대조군이며 2는 실시예 1의 화합물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험예 5의 형질전환 쥐에서의 학습 및 기억력 개선 효과가 베타아밀로이드의 집적 저해와 베타아밀로이드 양의 감소에 의해서 나타난 결과인지 알아보기 위하여 형질전환 쥐의 대뇌를 면역조직학적인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이다((A) : 콩고 레드로 염색하여 아밀로이드 플라그의 양을 측정, (B) : 효소면역법을 이용하여 베타아밀로이드(1-40)의 양을 측정, (C) : 효소면역법을 이용하여 베타아밀로이드(1-42)의 양을 측정, (D) : 신경세포의 양을 측정).

Claims (15)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비스(스티릴)피리미딘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화학식 1]
    Figure 712011004047557-pat00044
    상기 화학식 1에서,
    X는 질소이고; R1은 수소, 하이드록시, C1~C4의 알콕시 및 C1~C4의 알킬싸이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고; R2 및 R3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하이드록시, C1~C4의 알콕시 및 디(C1~C4) 알킬아미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며;
    단, R1, R2 및 R3가 모두 수소이거나, R1이 수소이고, R2 및 R3 중 어느 하나는 수소이고 다른 하나는 메톡시인 경우는 제외한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X는 질소이고; 상기 R1은 수소, 하이드록시, 메톡시, 에톡시, 메틸싸이오 및 에틸싸이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고; 상기 R2 및 R3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하이드록시, 메톡시, 에톡시, 디메틸아미노 및 디에틸아미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며;
    단, R1, R2 및 R3가 모두 수소이거나, R1이 수소이고, R2 및 R3 중 어느 하나는 수소이고 다른 하나는 메톡시인 화합물은 제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스(스티릴)피리미딘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유도체는:
    (1) (E,E)-4,6-비스(3'-하이드록시-4'-메톡시스티릴)피리미딘;
    (2) (E,E)-4,6-비스[4'-하이드록시-3'-(N,N-디메틸아미노)스티릴]피리미딘;
    (4) (E,E)-4,6-비스(4'-하이드록시스티릴)피리미딘;
    (5) (E,E)-4,6-비스(3'-하이드록시스티릴)피리미딘;
    (6) (E,E)-4,6-비스(4'-하이드록시-3'-메톡시스티릴)피리미딘;
    (7) (E,E)-4,6-비스[3'-하이드록시-4'-(N,N-디메틸아미노)스티릴]피리미딘;
    (8) 2-메톡시-(E,E)-4,6-비스(4'-하이드록시스티릴)피리미딘;
    (9) 2-메톡시-(E,E)-4,6-비스(3'-하이드록시스티릴)피리미딘;
    (10) 2-메톡시-(E,E)-4,6-비스(4'-하이드록시-3'-메톡시스티릴)피리미딘 ;
    (11) 2-메톡시-(E,E)-4,6-비스(3'-하이드록시-4'-메톡시스티릴)피리미딘;
    (12) 2-메톡시-(E,E)-4,6-비스[4'-하이드록시-3'-(N,N-디메틸아미노)스티릴]피리미딘;
    (13) 2-메톡시-(E,E)-4,6-비스[3'-하이드록시-4'-(N,N-디메틸아미노)스티릴]피리미딘;
    (14) 2-메틸싸이오-(E,E)-4,6-비스(4'-하이드록시스티릴)피리미딘;
    (15) 2-메틸싸이오-(E,E)-4,6-비스(3'-하이드록시스티릴)피리미딘;
    (16) 2-메틸싸이오-(E,E)-4,6-비스(4'-하이드록시-3'-메톡시스티릴)피리미딘;
    (17) 2-메틸싸이오-(E,E)-4,6-비스(3'-하이드록시-4'-메톡시스티릴)피리미딘;
    (18) 2-메틸싸이오-(E,E)-4,6-비스[4'-하이드록시-3'-(N,N-디메틸아미노)스티릴]피리미딘; 및
    (19) 2-메틸싸이오-(E,E)-4,6-비스[3'-하이드록시-4'-(N,N-디메틸아미노)스티릴]피리미딘;
    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스(스티릴)피리미딘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의 화학식 1의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베타아밀로이드 집적에 의한 세포독성 및 기억력 손상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13. 제1항의 화학식 1의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매, 알츠하이머병, 다운증후군, 아밀로이드맥관병증, 대뇌 아밀로이드 맥관병증, 전신성 아밀로이드병, 더취(Dutch)형 아밀로이드증 및 봉입체 구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베타아밀로이드 집적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베타아밀로이드의 집적을 저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의 화학식 1의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베타아밀로이드 집적에 의한 세포독성 및 기억력 손상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15. 삭제
KR1020090006092A 2009-01-23 2009-01-23 비스(스티릴)피리미딘 및 비스(스티릴)벤젠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베타아밀로이드 집적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Expired - Fee Related KR101095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6092A KR101095026B1 (ko) 2009-01-23 2009-01-23 비스(스티릴)피리미딘 및 비스(스티릴)벤젠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베타아밀로이드 집적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US12/429,552 US8410116B2 (en) 2009-01-23 2009-04-24 Bis(styryl)pyrimidine or bis(styryl)benzene compounds,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thereof,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diseases featuring amyloids comprising the same as an active ingredient
JP2009126637A JP5113802B2 (ja) 2009-01-23 2009-05-26 ビス(スチリル)ピリミジン及びビス(スチリル)ベンゼン誘導体、その薬学的に許容可能な塩、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βアミロイド集積関連疾患の予防または治療用医薬組成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6092A KR101095026B1 (ko) 2009-01-23 2009-01-23 비스(스티릴)피리미딘 및 비스(스티릴)벤젠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베타아밀로이드 집적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6715A KR20100086715A (ko) 2010-08-02
KR101095026B1 true KR101095026B1 (ko) 2011-12-20

Family

ID=42354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6092A Expired - Fee Related KR101095026B1 (ko) 2009-01-23 2009-01-23 비스(스티릴)피리미딘 및 비스(스티릴)벤젠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베타아밀로이드 집적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410116B2 (ko)
JP (1) JP5113802B2 (ko)
KR (1) KR1010950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19590A2 (de) * 2010-09-20 2013-07-31 Technische Universität Darmstadt Verbindungen für die diagnostik neurodegenerativer erkrankungen an der retina
DE102010045797A1 (de) * 2010-09-20 2012-03-22 Klinikum Darmstadt Gmbh Verbindungen für die Diagnostik neurodegenerativer Erkrankungen am Riechepithel
BR112013025881A2 (pt) 2011-04-11 2017-10-17 Pharma Eight Co Ltd composto representado pela fórmula geral (i), composto ou um sal do mesmo, inibidor deagregação tau, inibidor de b-secretase, inibidor de agregação de b-proteína amiloide, composição farmacêutica, preparação oral ou parenteral e composto representado pela fórmula geral (ii)
CN102321031A (zh) * 2011-07-15 2012-01-18 中国海洋大学 一种多取代4,6-二苯乙烯基嘧啶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8846013B2 (en) 2012-06-29 2014-09-30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Topical application of 1-hydroxyl-3,5-BIS(4′hydroxy styryl)benzene
KR20150023891A (ko) * 2012-06-29 2015-03-05 존슨 앤드 존슨 컨수머 캄파니즈, 인코포레이티드 1-하이드록실 3,5-비스(4''하이드록실 스티릴)벤젠의 국소 적용
KR102212146B1 (ko) 2012-10-10 2021-02-03 그린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신규 피라졸 유도체
ES2921180T3 (es) * 2014-04-16 2022-08-19 Kyowa Kirin Co Ltd Método para medir la toxicidad del CSF humano
CN105198820B (zh) * 2015-09-22 2019-10-01 中国海洋大学 一种含异硫脲基团的取代嘧啶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EP3455201A1 (en) 2016-05-10 2019-03-20 Basf Se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hydroxy-substituted aromatic compound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31059A2 (en) * 2007-04-17 2008-10-30 Codman & Shurtleff, Inc. Intranasally administering curcumin in a bolus of helium gas to treat alzheimer's diseas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7672B2 (ja) * 1989-01-14 1995-12-18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非線形光学有機材料
JPH02282262A (ja) * 1989-04-24 1990-11-19 Kao Corp 電子写真感光体
JPH04103571A (ja) * 1990-08-21 1992-04-06 Toshiba Corp 芳香族ヘテロ環を含んだ長い共役系を有する化合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61973A (ja) * 1992-06-18 1994-01-11 Konica Corp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DE69618765T2 (de) * 1995-02-15 2002-10-17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Verwendung von kompocedinderivaten zur inhibierung der bildung oder sekretion von beta-amyloid-protein
HU225960B1 (en) * 1997-02-27 2008-01-28 Takeda Pharmaceutical Amine compounds, their production and use
JP2000072837A (ja) * 1998-08-31 2000-03-07 Asahi Chem Ind Co Ltd ジリチウム開始剤を用いたブロックコポリマーの製造方法
JP4490690B2 (ja) * 2001-11-28 2010-06-30 ビーティージー・インターナショナル・リミテッド 含窒素芳香複素環化合物を含有するアルツハイマー病の予防薬若しくは治療薬又はアミロイド蛋白線維化抑制剤
US7112616B2 (en) * 2003-03-25 2006-09-26 Fuji Photo Film Co., Ltd. Two-photon absorbing polymerizable composition and polymerization process thereof
KR100836753B1 (ko) * 2006-09-08 2008-06-1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베타 아밀로이드 피브릴 형성 억제 화합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31059A2 (en) * 2007-04-17 2008-10-30 Codman & Shurtleff, Inc. Intranasally administering curcumin in a bolus of helium gas to treat alzheimer's diseas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ynthetic Communications, 31(20), 3167~3173쪽(2001.09.3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410116B2 (en) 2013-04-02
KR20100086715A (ko) 2010-08-02
US20100190803A1 (en) 2010-07-29
JP2010168344A (ja) 2010-08-05
JP5113802B2 (ja) 2013-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5026B1 (ko) 비스(스티릴)피리미딘 및 비스(스티릴)벤젠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베타아밀로이드 집적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US11760735B2 (en) Compoun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conditions associated with NLRP activity
EP2527315B1 (en) Compounds,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amyloid diseases and synucleinopathies such as Alzheimer&#39;s disease, type 2 diabetes and Parkinson&#39;s disease
US8394794B2 (en) Therapeutic compounds
ES2235374T3 (es) Alfa-aril-n.allquilnitronas y composiciones farmaceuticas que las contienen.
US20100261727A1 (en) 2-arylbenzothiophene derivatives or pharceutically acceptable salts thereof,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pharceutical composition for the diagnosis or treatment of degenerative brain disease containing the same as active ingredient
RU2501792C2 (ru) Соединения, композиции и способы, предназначенные для лечения бета-амилоидных заболеваний и синуклеинопатий
KR900001511B1 (ko) 카테콜 유도체 및 그것을 함유하는 중추신경계 퇴행성질환의 진행방지 및 치료제
US20130072496A1 (en) Formulations containing pyridazine compounds
CN105481796B (zh) 一类氨基甲酸查尔酮酯类化合物、其制备方法和用途
CN105481706A (zh) 一类2-羟基查尔酮类化合物、其制备方法和用途
EA022395B1 (ru) Соединение пиперидинила в качестве модулятора активности хемокинового рецептора
JP2021512060A (ja) 神経系疾患を治療するための化合物及びその応用
EP2002863A1 (en) [1,10]-phenanthroline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of neurodegenerative or haematological diseases
KR102409583B1 (ko) 신규 화합물 및 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US20250161319A1 (en) Use of hpk1 inhibitor in treatment of interferon-related diseases
KR102042411B1 (ko) 데커신 유도체를 포함하는 결핵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9666013B (zh) 双哌啶取代的异黄酮化合物及其用途
CN109665969B (zh) 3-甲氧基-4-羟基查尔酮双曼尼希碱类化合物、其制备方法和用途
US7799830B2 (en) Cinnamic acid dimers, their preparation and the use thereof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ease
KR101126080B1 (ko) 베타-아밀로이드 피브릴 형성 저해 효능을 갖는 스티릴벤조퓨란 화합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0117302B (zh) 神经退行性疾病的治疗药物及其应用
CN104230770B (zh) 苯乙烯基砜类化合物、其制备方法以及其作为神经保护剂的应用
WO2012001438A1 (en) Use of kynurenic acid amide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of huntington&#39;s disease
US20220257570A1 (en) Calpain inhibitors and uses thereof for treating neurological disord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AMND Amendment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N-2-6-B10-B15-exm-PE0601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3-3-V10-V11-apl-PJ0201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St.27 status event code: A-6-3-E10-E12-rex-PB0901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St.27 status event code: A-3-4-F10-F13-rex-PB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7-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61210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6121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