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5155B1 - Horizontal linear oscillator - Google Patents
Horizontal linear oscilla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95155B1 KR101095155B1 KR1020090094733A KR20090094733A KR101095155B1 KR 101095155 B1 KR101095155 B1 KR 101095155B1 KR 1020090094733 A KR1020090094733 A KR 1020090094733A KR 20090094733 A KR20090094733 A KR 20090094733A KR 101095155 B1 KR101095155 B1 KR 10109515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il
- vibrator
- bracket
- horizontal linear
- yok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02—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 H02K33/04—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wherein the frequency of operation is determined by the frequency of uninterrupted AC energisation
- H02K33/06—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wherein the frequency of operation is determined by the frequency of uninterrupted AC energisation with polarised armatur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4—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 H02K1/146—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consisting of a generally annular yoke with salient pol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7—Stator cores with permanent magnet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6—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polarised armatures moving in alternate directions by reversal or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5/00—Genera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coil system, magnet, armature or other part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35/02—Genera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coil system, magnet, armature or other part of the magnetic circuit with moving magnets and stationary coi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평 리니어 진동자에 관한 것으로, 케이스와 조립되어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 상에 설치되되 수평 방향의 축을 구비하는 내부 중공형 코일을 포함하는 고정자; 상기 코일의 내부를 관통하되 자성체 코어의 양측에 극성을 마주보는 마그넷이 형성된 마그넷부, 상기 코일을 포함하여 상기 마그넷부의 외부를 감싸되 상기 마그넷부의 양끝단을 고정하는 요크, 및 상기 요크의 외부에 형성되되 상기 요크와 일체로 고정되어 움직이는 중량체를 포함하는 진동자; 및 상기 케이스 또는 상기 브라켓의 내측 양면에 각각 일측이 연결되어 상기 진동자를 상기 코일의 축과 평행하게 탄성지지하는 판스프링부; 를 포함하며, 수평으로 진동하면서 진동량을 증대시키는 수평 리니어 진동자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rizontal linear vibrator, comprising: a stator assembled with a case to form an inner space, and a stator including an inner hollow coil installed on the bracket and having a horizontal axis; A magnet portion penetrating the inside of the coil, but having a magnet facing both sides of the magnetic core, the yoke for wrapping the outside of the magnet portion including the coil and fixing both ends of the magnet portion, and the outside of the yoke A vibrator including a weight body which is formed and is fixedly integrated with the yoke; And a leaf spring portion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both inner sides of the case or the bracket to elastically support the vibrator in parallel with the axis of the coil. It includes, and provides a horizontal linear vibrator to increase the amount of vibration while vibrating horizontally.
보빈, 수평 리니어 진동자, 코일, 마그넷, 요크 Bobbin, Horizontal Linear Oscillator, Coil, Magnet, Yoke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평 리니어 진동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rizontal linear vibrator.
휴대전화, 게임기, 휴대 정보 단말기 등 휴대용 전자기기에 있어 타인에게 외부 음향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진동 발생 장치가 휴대용 전자기기에 장착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진동 발생 장치는 휴대전화에 탑재되어 무음의 착신신호 발생장치로 이용되는데, 최근 휴대전화의 소형화, 슬림화되는 추세에서 그에 장착되는 진동 발생 장치 또한 소형화, 고기능화를 요구하고 있다. I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game consoles and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s, various types of vibration generating devices are installed i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to prevent damages caused by external sound to others. In particular, such a vibration generating device is mounted on a mobile phone and used as a silent incoming signal generating device. Recently, in the trend of miniaturization and slimming of the mobile phone,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mounted thereon also requires miniaturization and high functionality.
현재 휴대전화와 같이 통신기기에 적용되고 있는 착신수단 중 하나인 진동발생장치는 전자기적 힘의 발생원리를 이용하여 전기적 에너지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하는 부품으로써 휴대전화에 탑재되어 무음 착신 알림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Vibration generating device which is one of the receiving means that is applied to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mobile phone is a part that converts electrical energy into mechanical vibration by using the principle of electromagnetic force. have.
종래의 일 예에 따른 진동 발생장치는 편심을 갖는 중량체를 갖는 회전자를 회전시켜 기계적 진동을 얻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회전자의 회전력은 브러쉬와 정류자의 접점을 통하여 정류작용을 거쳐 회전자의 코일에 전류를 공급하는 정류자 또는 브러쉬형 모터 구조로 구현된다. The vibration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uses a method of obtaining a mechanical vibration by rotating the rotor having a eccentric weight bod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tor through the rectifying action through the contact point of the brush and commutator It is implemented with a commutator or brushed motor structure that supplies current to the coil of electrons.
그러나, 이러한 형태를 갖는 진동 발생장치는 브러쉬가 정류자의 세그먼트와 또다른 세그먼트 사이의 극간을 지나면서 기계적인 마찰과 전기적인 스파크 및 마모를 발생시키고, 이로 인해 블랙 파우더(black powder)와 같은 이물질을 생성하여 진동 발생장치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에 따라 안정적으로 선형의 진동을 얻을 수 있는 선형 진동 장치가 제안되었다. However, vibration generators of this type generate mechanical friction, electrical sparks and wear as the brush passes between the segments of the commutator and another segment, thereby removing foreign matter such as black powder. There was a problem in generating and shortening the life of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ly a linear vibration device has been proposed that can stably obtain a linear vibration.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수직 리니어 진동자의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vertical linear vibra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수직 리니어 진동자(10)는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케이스(20), 상기 케이스(20)의 하부에 배치되며, 전류를 인가하여 자기장을 유도하는 코일(32) 및 댐퍼부재(34)가 설치된 브라켓(30), 일면이 폐쇄된 중공부가 형성된 요크(42)와 상기 중공부에 수용되고 하면에 플레이트 요크(43)가 부착된 마그넷(44) 및 상기 요크(42)의 외측에 결합된 중량체(46)를 포함하는 진동자(40), 및 상기 케이스(2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진동자(40)가 선형 운동하도록 탄성지지하는 판스프링(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요크(42)는 원판부(42a)와 상기 원판부(42a)의 양단부에서 하부로 절곡 연장된 테두리부(42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1, the vertical
이러한 구성을 갖는 수직 리니어 진동자(10)는 코일(32)에 전원이 공급되면, 마그넷(44), 플레이트 요크(43), 및 요크(42)로 이루어진 자기회로에서 발생되는 자기장과 상기 코일(32)에서 발생되는 전기장간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진동자(40)가 판스프링(50)을 매개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진동하게 된다. The vertical
종래기술에 따른 수직 리니어 진동자(10)에서는 진동량이 진동자(40)의 무게와 변위의 곱에 비례하기 때문에, 필요한 체감 진동량을 확보하기 위해 진동자(40)의 무게 또는 변위를 증가시켜야하고, 이는 수직 리니어 진동자(10)의 수직 두께를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이는 최근 휴대전화의 소형화, 슬림화 추세에 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초래하였다. In the vertical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리니어 진동자의 수직 두께를 감소하면서 진동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수평 리니어 진동자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rizontal linear vibrator that can increase the amount of vibration while reducing the vertical thickness of the linear vibrator.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수평 리니어 진동자는, 케이스와 조립되어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 상에 설치되되 수평 방향의 축을 구비하는 내부 중공형 코일을 포함하는 고정자; 상기 코일의 내부를 관통하되 자성체 코어의 양측에 극성을 마주보는 마그넷이 형성된 마그넷부, 상기 코일을 포함하여 상기 마그넷부의 외부를 감싸되 상기 마그넷부의 양끝단을 고정하는 요크, 및 상기 요크의 외부에 형성되되 상기 요크와 일체로 고정되어 움직이는 중량체를 포함하는 진동자; 및 상기 케이스 또는 상기 브라켓의 내측 양면에 각각 일측이 연결되어 상기 진동자를 상기 코일의 축과 평행하게 탄성지지하는 판스프링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horizontal linear vibr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ator including a bracket assembled with the case to form an inner space, and an inner hollow coil installed on the bracket and having a horizontal axis; A magnet portion penetrating the inside of the coil, but having a magnet facing both sides of the magnetic core, the yoke for wrapping the outside of the magnet portion including the coil and fixing both ends of the magnet portion, and the outside of the yoke A vibrator including a weight body which is formed and is fixedly integrated with the yoke; And a leaf spring portion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both inner sides of the case or the bracket to elastically support the vibrator in parallel with the axis of the coi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여기서, 상기 코일은 내부 중공형 원기둥의 형상이고, 상기 마그넷부는 원기둥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coil is in the shape of an inner hollow cylinder, the magnet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pe of the cylinder.
또한, 상기 브라켓 상에는 상기 코일을 지지하는 보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bobbin for supporting the coil is formed on the bracket.
또한, 상기 보빈은 상기 브라켓과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obbin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tegrally with the bracket.
또한, 상기 중량체는 상기 요크의 측면을 모두 감싸는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중량체의 외측 양면에 각각 상기 판스프링부의 타측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weight body is formed in a structure surrounding all of the sides of the yoke,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side of the leaf spring portion is connected to the outer both sides of the weight body, respectively.
또한, 상기 브라켓 상에는 외부입력단자와 연결되는 회로기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circuit board connected to an external input terminal is installed on the bracket.
또한, 상기 브라켓 상에는 상기 코일을 지지하도록 돌출된 가이드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guide portion protruding to support the coil is installed on the bracke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수평 리니어 진동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수평 리니어 진동자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내부 중공형 사각기둥의 형상이고, 상기 마그넷부는 사각기둥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horizontal linear vibrator according to the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horizontal linear vibrator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il has a shape of an internal hollow square pillar, and the magnet portion has a shape of a square pillar. It is characterized by that.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in a conventional and dictionary sense, and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a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its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수평 리니어 진동자는 수평방향으로 진동하기 때문에, 수직 방향으로의 진동자 운동변위 확보의 필요성이 없어 수평 리니어 진동자의 박형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Since the horizontal linear vibrator vibrat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horizontal linear vibrator does not need to secure the displacement of the vibrator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reby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horizontal linear vibrator.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마그넷이 자성체 코어의 양측에 같은 극성이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요크가 마그넷부의 외측을 감싸, 마그넷부의 자속을 원활하게 형성하여 전자기력을 증대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gnets are arranged to face the same polarity on both sides of the magnetic core, and the yoke surrounds the outer side of the magnet part, thereby forming the magnetic flux of the magnet part smoothly, thereby increasing the electromagnetic forc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중량체가 요크의 측면을 모두 감싸고, 중량체의 너비방향 면의 외부에 판스프링부가 연결되어, 판스프링부의 탄성력이 직접 중량체에 전달되는 바, 진동자가 안정되게 변위 이동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eight wraps all the sides of the yoke, the plate spring is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width direction side of the weight body, the elastic force of the plate spring portion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weight bar, the vibrator stably displacement displacement There is an advantag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코일을 내부 중공형 사각기둥으로 형성하고 마그넷부를 사각기둥으로 형성하여, 전자기력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il is formed of an internal hollow square pillar and the magnet portion is formed of a square pillar, which has the advantage of increasing electromagnetic forc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보빈으로써 코일을 지지하여 진동자가 일정하게 변위 이동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oscillator is constantly displaced by supporting the coil with a bobbin.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브라켓과 보빈을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공차가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tolerance is reduced by integrally forming the bracket and the bobbin.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보빈을 설치하지 않음으로써 제작비용을 절감하고, 구성요소 간 공차가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ufacturing cost is reduced by not installing the bobbi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tolerance between the components is reduced.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 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object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preferred embodiments associated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elem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the other drawings. In addi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수평 리니어 진동자(100a)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 내지 도 6은 도 2에 도시한 수평리니어 진동자(100a)의 조립 사시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수평 리니어 진동자(100a)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orizontal
도 2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수평 리니어 진동자(100a)는 고정자, 진동자(700), 및 판스프링부(8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2 to 6, the horizontal
여기서 고정자는 케이스(200)와 코일(400) 및 브라켓(300)으로 구성되며 수평 리니어 진동자(100a)가 진동할 때, 변위 이동하지 않고 고정되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 the stator is composed of a
케이스(200)는 다른 구성요소인 브라켓(300), 진동자(700), 및 판스프링부(800) 등을 보호하고, 브라켓(300)과 고정 형성되는 부재이다. 또한, 브라켓(300)과 함께, 다른 구성요소가 수용되는 공간을 확보하고 진동자(700)가 움직이는 변위공간을 확보한다. The
여기서, 도 2와 도 6에서는 케이스(200)의 형상을 너비방향(210)과 하부가 개방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하부가 개방된 형상이라면 모두 가능하다. 특히, 케이스(200)는 진동자(700)가 수평 변위공간을 확보하도록 진동자(700)의 진동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직육면체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2 and 6, the shape of the
코일(400)은 회로기판(370)을 통해 전원이 인가되면 전기장을 발생시키는 부재로서, 이하에 설명되는 브라켓(300) 상에 설치된다. 또한, 코일(400)은 축이 수평방향을 유지하도록 설치되며, 이는 진동자(700)의 진동방향과 평행하다.The
여기서, 코일(400)은 금속 코일선을 감은 것으로서, 내부 중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중공(410)에 마그넷부(510)가 관통하게 된다.(도 3 참조) 한편, 코일(400)은 회로기판(370)에 형성된 패턴부(미도시)와 솔더링 결합하여 연결되고,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다.Here, the
브라켓(300)은 케이스(200)와 함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부재로서, 다른 구성요소들의 하중을 지지한다(도 5 참조). 여기서, 도 2 내지 도 6에서는 브라켓(300)의 형상을 측면 중 너비방향의 면(310)만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 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케이스(200)와 결합하여 너비방향의 면이 막힌 형상을 형성한다면 어떠한 구조라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케이스(200)가 하판이 개방된 직육면체의 형상이고, 브라켓(300)이 하판만 있는 형상이라 하더라도, 케이스(200)와 브라켓(300)이 결합되면, 너비방향의 면이 막힌 형상을 형성하므로, 상기와 같은 형상도 가능하다.The
또한, 브라켓(300)의 너비방향 면(310)의 내부에는 판스프링부(800)의 일측(870)을 고정하는 고정부재(320)가 형성될 수 있다. 단, 브라켓(300)의 너비방향 면(310)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는 케이스의 너비방향 면의 내부에 판스프링부(800)의 일측(870)을 고정하는 고정부재(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a
또한, 브라켓(300)의 내주면에 판스프링부(800)와 대응하여 댐핑부재(미도시)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댐핑부재(미도시)로는 고무, 폴리프로필렌, 자성유체 등 충격을 흡수하는 재질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damping member (not shown)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한편, 브라켓(300) 상에는 회로기판(370)과, 코일(400)을 지지하는 보빈(330)이 더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
회로기판(370)은 외부입력단자와 연결되어 전원을 인가받아 코일(400)에 전달하는 부재로서, 브라켓(300)과 코일(400) 간에 형성된다. 회로기판(370)은 코일(400)을 고정하기 위하여 보빈(330)이 설치되면, 보빈(330)이 관통되기 위한 오픈부(380)를 구비할 수 있다. The
보빈(330)은 코일(400)을 지지하기 위한 부재로서, 브라켓(300)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도 2와 같이, 보빈(330)은 수직판부(340)와 원통부(350)의 결합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보빈(330)의 외부에는 코일(400)이 고정 설치되고, 보빈(330)의 중공(360)에는 마그넷부(510)가 관통한다(도 3 참조). 단, 보빈(330)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코일(400)을 지지하고 브라켓(300)과 연결되는 구조라면 가능하다. 한편, 보빈(330)이 형성됨으로써 코일(400)이 더욱 강하게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의 충격이 수평 리니어 진동자(100a)에 가해지더라도, 코일(300)이 마그넷부(510)와 쇄교하는 면적이 일정하여, 진동자(700)가 오작동 없이 일정하게 변위 이동할 수 있다.The
또한, 보빈(330)은 브라켓(30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보빈(330)이 브라켓(300)과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수평 리니어 진동자(100a)의 제작시에 보빈(330)과 브라켓(300)이 하나의 부재가 되는바, 공차가 줄어들어 상호 간 마찰이나 응력 집중을 피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보빈(330)은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고, 이러한 경우 브라켓(300) 상에 코일(400)을 지지하는 가이드부(미도시)가 추가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는 제2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겠다.In addition, the
진동자(700)는 마그넷부(510)와 요크(550)로 구성되는 자계부(500), 및 중량체(600)로 구성되며, 수평 리니어 진동자(100a)가 진동할 때, 수평 변위 이동되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마그넷부(510)는 코일(400)이 발생시키는 전기장과 대응하여, 자기장을 발생시켜 진동자(700)를 진동시키는 부재로서, 보빈(320)의 원통부(350)에 형성된 중공(360)을 관통하고 요크(550)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설치된다.The
여기서, 마그넷부(510)는 자성체 코어(530)의 양측에 마그넷(520)이 각각 접착된 형상을 갖는다. 특히, 자성체 코어(530)의 일측에 부착된 제1 마그넷(520a)과 타측에 부착된 제2 마그넷(520b)은 같은 극성이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Here, the
한편, 마그넷부(510)의 외주면에는 진동자(700)의 진동시 보빈(320)의 중공(360)과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자성유체(미도시)가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성유체(미도시)는 액체 속에 자성분말을 콜로이드 모양으로 안정하게 분산시킨 다음 중력이나 자기장 등에 의한 자성분말의 침전이나 응집이 생기지 않도록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것으로, 예를 들어 사산화삼철, 철-코발트 합금 미분자를 기름 또는 물 속에 분산시킨 것이 있다. On the other hand, a magnetic fluid (not shown) is preferably appli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요크(550)는 마그넷부(510)의 자속을 원활하게 형성하여 자기 폐회로를 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코일(400)을 포함하여 마그넷부(510)가 수용될 내부공간을 구비한다. The
여기서, 요크(550)는 사방 측면이 모두 막힌 형상이며 상, 하부가 개방된 형상일 수 있다. 요크(550)의 외부는 중량체(600)와 연결되며(도 5 참조), 요크(550) 의 내부에는 마그넷부(510)를 고정하는 고정부(560)가 더 형성될 수 있다(도 2 참조).Here, the
중량체(600)는 진동자(700)에 일정한 질량을 부가하여 진동량을 크게 하기 위한 부재로서, 요크(550)의 외부에 결합된다. The
도 2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량체(600)는 사방의 측면이 막히고, 상, 하부가 개방되어 요크(550)의 측면부를 모두 감싸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형상의 중량체(600)는 너비방향 면(610)의 외부에 고정부재(620)를 통하여 직접 판스프링부(800)의 타측(880)과 연결되어, 진동자(700)가 진동할 때 판스프링부(800)의 탄성력이 직접 중량체(600)에 전달되는바, 진동자(700)가 안정되게 진동할 수 있게 한다.As shown in Figures 2 and 5, the
한편,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요크(550)의 측면을 전부 감쌀 필요 없이, 진동자(700)에 연결되어 질량을 부가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가능하다. 또한, 중량체(600)가 요크(550)의 측면을 감싸는 형상이 아니라면, 요크(550)의 너비방향 면의 외부에 고정부재(미도시)를 형성하여, 판스프링부(800)의 타측(880)을 고정할 수 있다. 즉, 진동자(700)의 너비방향 면의 외부에 판스프링부(800)의 타측(880)을 고정한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onnected to the
판스프링부(800)는 진동자(700)가 수평으로 진동하도록 탄성지지하는 부재로서, 일측(870)이 브라켓(300) 또는 케이스(200)의 너비방향 면의 내부와 연결되고, 타측(880)이 중량체(600) 또는 요크(550)의 너비방향 면의 외부와 연결된다. The
판스프링부(800)는 마그넷부(510)와 코일(400)의 전자기적 과정에 따른 힘을 탄성력으로 바꾸어, 진동자(700)를 수평 진동시킨다.The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자계부(500)의 자속흐름(화살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요크(550)와 마그넷부(510)의 연결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크(550)를 가로지르도록 마그넷부(510)의 양 끝단이 고정부(560)에 의해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고, 고정부(560)는 요크(550)의 너비방향 면에 굴곡을 주어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마그넷(520)은 자성체 코어(530)를 사이에 두고, 같은 극성이 마주보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자속은 자성체 코어(530)에서부터 요크(550)의 길이방향 측면(570)으로 전달되어 퍼지게 된다. 이때, 요크(550)의 길이방향 측면(570)을 향하여 반경방향으로 퍼져나가는 자속은 자성체 코어(530)가 있는 부분, 즉 코일(400)과 쇄교하는 곳에 집중되기 때문에 동일 체적에서 같은 소비전류를 소비한다면 보다 큰 전자기력을 구현할 수 있게 되고, 이는 진동자(700)의 변위를 증가시켜 진동량을 크게 구현할 수 있게 된다.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magnetic flux flow (arrow) of the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수평 리니어 진동자(100b)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9 내지 도 12는 도 8에 도시한 수평 리니어 진동자(100b)의 조립 사시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수평 리니어 진동자(100b)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 한 도면부호로 지칭되며, 제1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orizontal
도 8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수평 리니어 진동자(100b)는 케이스(200), 코일(401), 브라켓(300)으로 형성된 고정자와 진동자(700), 및 판스프링부(800)로 구성되되, 코일(401)과 마그넷부(511)가 사각기둥의 형상으로 구성된다.8 to 12, the horizontal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코일(401)은 내부에 중공(411)이 형성된 사각기둥의 형상이고, 마그넷부(511)는 사각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된다.Specifically, the
한편, 코일(401)이 내부중공형 사각기둥으로 형성되는 경우, 코일(401)과 공차가 없는 사각기둥 형상의 보빈(미도시)을 만드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보빈(미도시)을 설치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보빈(미도시)을 설치하지 않는 경우, 코일(401)이 브라켓(300) 상에서 고정되지 않기 때문에, 외부의 충격에 의해 마그넷부(511)와 함께 쇄교하는 면적에 차이가 생기고 예측되지 않은 전자기력을 발생시켜, 수평 리니어 진동자(100b)가 오작동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브라켓(300) 상에 코일(401)을 지지하는 가이드부(331)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부(331)는 각각 대향되는 측면에 형성할 수 있고, 휴대전화와 같이 외부의 충격이 많이 가해질 수 있는 제품에 수평 리니어 진동자(100b)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네 측면 모두에 가이드부(331)를 형성하여 코일(401)을 고정할 수도 있다. 또한, 가이드부(331)는 회로기 판(370)이 형성된 경우, 오픈부(380)를 통하여 회로기판(370)을 관통할 수 있다. 한편, 보빈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 제작비용이 절감되고, 타 구성요소 간 공차가 줄어들어 상호 간 마찰이나 응력집중을 피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preferable to form a
또한, 본 실시예서의 코일(401)은 사각기둥의 형상이므로, 회로기판(370)의 오픈부(380)로써 코일(401)을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the
한편, 보빈(미도시)이 설치되지 않으므로, 마그넷부(511)는 코일(401)의 중공(411)을 관통하여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bobbin (not shown) is not provided, the
도 13은 도 2에 도시한 수평 리니어 진동자(100a)의 마그넷(520)과 도 8에 도시한 수평 리니어 진동자(100b)의 마그넷(521)을 비교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사각기둥으로 형성된 마그넷(521)과 원기둥으로 형성된 마그넷(520)을 비교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comparing and comparing th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수평 리니어 진동자(100b)는 마그넷(521)의 형상을 사각기둥으로 함으로써, 제1 실시예에 따른 수평 리니어 진동자(100a)의 마그넷(520)과 비교하여, 같은 공간에 있어서 마그넷(521)의 체적을 더 크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실시예의 마그넷(521)은 제1 실시예의 마그넷(520)보다 더 큰 전자기력을 발생시킬 수 있고, 진동자(700)의 진동량을 늘릴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수평 리니어 진동자는, 예를 들어 휴대전화와 같이, 설치 공간에 제약이 있는 제품에 사용되기 때문에, 공간 대비 마그넷(521)의 체적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horizontal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수평 리니어 진동자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specific embodiments, this is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nd the horizontal linear vib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general knowledge in the ar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are possible by those who have them.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All simpl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pparent from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수직 리니어 진동자의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vertical linear vibra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수평 리니어 진동자의 분해 사시도이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orizontal linear vibrator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내지 도 6은 도 2에 도시한 수평 리니어 진동자의 조립 사시도이다.3 to 6 are assembled perspective views of the horizontal linear vibrator shown in FIG. 2.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자계부의 자속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magnetic flux flow of the magnetic field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수평 리니어 진동자의 분해 사시도이다.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orizontal linear vibrator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 내지 도 12은 도 8에 도시한 수평 리니어 진동자의 조립 사시도이다.9 to 12 are assembled perspective views of the horizontal linear vibrator shown in FIG. 8.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그넷의 체적을 비교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13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comparing the volume of the magne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0 : 케이스 300 : 브라켓200: case 300: bracket
330 : 보빈 370 : 회로기판330
400 : 코일 500 : 자계부400: coil 500: magnetic field
510 : 마그넷부 550 : 요크510: magnet 550: yoke
600 : 중량체 700 : 진동자600: weight 700: vibrator
800 : 판스프링부800: leaf spring part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90094733A KR101095155B1 (en) | 2009-10-06 | 2009-10-06 | Horizontal linear oscillator |
| CN2009102248123A CN102035338B (en) | 2009-10-06 | 2009-11-24 | Horizontal linear vibra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90094733A KR101095155B1 (en) | 2009-10-06 | 2009-10-06 | Horizontal linear oscillator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10037335A KR20110037335A (en) | 2011-04-13 |
| KR101095155B1 true KR101095155B1 (en) | 2011-12-16 |
Family
ID=43887820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90094733A Expired - Fee Related KR101095155B1 (en) | 2009-10-06 | 2009-10-06 | Horizontal linear oscillator |
Country Status (2)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095155B1 (en) |
| CN (1) | CN102035338B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434264B1 (en) * | 2013-05-30 | 2014-09-23 | 주식회사 하이소닉 | Haptic actuator |
| KR101621700B1 (en) * | 2015-09-01 | 2016-05-18 | 주식회사 하이소닉 | Haptic actuator |
| CN105591512B (en) * | 2016-03-11 | 2019-02-15 | 歌尔股份有限公司 | A kind of linear vibration motor |
Family Cites Familie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079409B1 (en) * | 2009-09-24 | 2011-11-02 | 삼성전기주식회사 | horizontal linear vibrator |
| KR101071419B1 (en) * | 2009-09-29 | 2011-10-10 | 삼성전기주식회사 | Vibration Motor |
-
2009
- 2009-10-06 KR KR1020090094733A patent/KR10109515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9-11-24 CN CN2009102248123A patent/CN102035338B/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10037335A (en) | 2011-04-13 |
| CN102035338A (en) | 2011-04-27 |
| CN102035338B (en) | 2013-03-20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8299658B2 (en) | Horizontal linear vibrator | |
| US7999421B2 (en) | Horizontal linear vibrator | |
| KR101156780B1 (en) | Horizontal Linear vibrator | |
| KR101077374B1 (en) | Horizontal Linear vibrator | |
| KR101009112B1 (en) | Linear vibration device | |
| US9553497B2 (en) | Horizontal linear vibrator | |
| US8198769B2 (en) | Horizontal linear vibrator | |
| US8288899B2 (en) | Horizontal linear vibrator | |
| US8237314B2 (en) | Horizontal linear vibrator | |
| KR101077368B1 (en) | Linear vibration device | |
| KR20100119970A (en) | Linear vibrator | |
| KR101079409B1 (en) | horizontal linear vibrator | |
| KR101095155B1 (en) | Horizontal linear oscillator | |
| KR101022899B1 (en) | Horizontal linear oscillator | |
| KR101077395B1 (en) | Horizontal linear vibrator | |
| KR101197671B1 (en) | Linear Vibrator | |
| KR101055484B1 (en) | Linear vibration device | |
| KR101217760B1 (en) | Linear Vibrator and Manufacturing of Thereof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71210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7121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