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6877B1 - How to assemble glasses and glasses - Google Patents
How to assemble glasses and glass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06877B1 KR101106877B1 KR1020100013559A KR20100013559A KR101106877B1 KR 101106877 B1 KR101106877 B1 KR 101106877B1 KR 1020100013559 A KR1020100013559 A KR 1020100013559A KR 20100013559 A KR20100013559 A KR 20100013559A KR 101106877 B1 KR101106877 B1 KR 10110687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film
- glasses
- lens
- coupl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 in contact-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2—Goggles
- A61F9/022—Use of special optical filters, e.g. multiple layers, filters for protection against laser light or light from nuclear explosions, screens with different filter properties on different parts of the screen; Rotating slit-discs
-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00—Assemblies of lenses with bridges or browbars
- G02C1/04—Bridge or browbar secured to or integral with partial rims, e.g. with partially-flexible rim for holding lens
-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3/00—Assembling; Repairing; Cleaning
-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2—Polaris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횡형 몸체의 양측단 후방으로 연장된 안경 다리를 구비하고, 몸체의 중앙부위에 하향 돌출된 지지부가 형성되고 몸체 내측 표면에 다수의 결합 돌기가 후방으로 돌출된 가요성 재질의 제1프레임; 상단부에 상기 다수의 결합 돌기가 관통될 수 있는 다수의 관통 구멍이 형성된 필름형 렌즈; 상기 제1프레임과 형합되며, 상기 다수의 결합 돌기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다수의 결합 돌기들이 삽입될 수 있는 다수의 결합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와 대응하는 부분의 하단부에 코걸이부가 형성된 제2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안경.A first fram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having eyeglass legs extending rearward to both side ends of the horizontal body, and having a supporting portion projecting downward in a central portion of the horizontal body and having a plurality of engaging projections projecting rearwar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A film lens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holes through which the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may pass; A second frame formed with the first frame and having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through which the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can be inser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and a nose pad portion formed at a lower end of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portion; Glasses comprising a.
Description
본 발명은 안경테를 이루는 두 프레임 사이에 편광 필름을 삽입하여 조립된 안경 및 그 안경의 조립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야외 활동에서 자외선으로부터 사용자의 시력을 보호하고 사용자가 입체 영상을 관람할 수 있도록 편광 기능을 갖는 안경 및 그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glasses assembled by inserting a polarizing film between two frames constituting the spectacle fr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assembling the glasse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glasses having a polarizing function and an assembly method thereof.
일반적인 안경(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11)를 감싸고 있는 안경테(12)와, 상기 안경테(12)에 힌지(hinge)(13)를 통해 결합되어 회전하는 안경다리(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1, the
안경은 사용 용도나 사용자의 연령 또는 기호에 따라 다양한 재질과 형태를 갖는 다양한 디자인이 존재하며, 최근에는 레저 산업의 발달로 인해 야외 활동이 잦아짐에 따라 레저용 안경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레저용 안경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일반 안경(10)을 사용하는 사용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외부 활동(예를 들어, 등산, 낚시 또는 골프 등)이 활발한 사용자들이 선호하는 것으로서, 일반 안경(10)에 비해 요구되는 기능이 상대적으로 많다. 즉, 레저용 안경은 해변이나 야외 등에서 강력한 태양 빛이나 바람, 먼지 등으로부터 시력을 보호함과 동시에 미감 향상을 위해 사용되며, 자외선을 차단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 대부분이다. 자외선을 차단하기 위한 안경렌즈는 그 표면이 보호색으로 코팅되거나 편광 기능을 구비해야 하는데, 일반 안경의 렌즈가 유리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에 비해 레저용 안경의 렌즈는 편광 기능을 갖는 투명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여기에서, 상기 편광 기능이란 미세하게 배열된 결 사이로 똑바로 들어오는 빛은 통과하고, 난해하게 반사되거나 굴절된 빛은 차단되는 기능을 말한다.There are various designs with various materials and shapes according to the use purpose or age or preference of the user, and recently, the demand for leisure glasses is increasing as outdoor activities become more frequent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leisure industry. . Recreational glasses are preferred by users who are actively engaged in external activities (eg, mountain climbing, fishing or golf, etc.) as compared to the user who uses the
한편, 이러한 편광 기능은 레저용 안경 외에 입체 영상을 관람하기 위한 입체 영상 관람용 안경에도 적용될 수 있는데, 일반적인 입체 영상 관람용 안경(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광 필름(22)이 삽입된 종이 재질의 안경테(21)와, 상기 안경테(21)의 양측 끝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안경다리(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such a polarizing function may be applied to the glasses for viewing stereoscopic images for viewing stereoscopic images in addition to the leisure glasses, the general
이러한 입체 영상 관람용 안경(20)은 주로 1회용으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생산 비용이 저렴한 장점은 있으나, 입체 영상 관람용 안경이 갖는 편광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 레저용 안경으로 사용하기에는 그 디자인이 조잡하여 심미감이 떨어지고, 종이 재질의 안경테를 사용함으로 인해 견고하지 못한 단점을 갖는다. 견고하지 못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상기 안경테(21)의 재질을 플라스틱으로 변경한 형태의 입체 영상 관람용 안경이 개발되었으나, 심미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은 여전히 남아있으며, 평소에 안경을 착용하는 사용자가 일반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이러한 입체 영상 관람용 안경을 착용하게 되면, 무게감과 함께 안경다리를 귀에 걸치기에 불편함을 느끼게 되어 착용감이 떨어지는 새로운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Since the three-dimensional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가볍고 탄성이 좋은 안경 및 그 안경의 조립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ight and elastic good glasses and a method of assembling the glasse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입체 영상 관람용 및 레저용으로 겸용해서 사용할 수 있는 안경 및 그 조립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glasses and an assembly method thereof that can be used in combination for stereoscopic viewing and leisur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반 안경 착용자가 착용할 때도 무게감이나 불편함을 느끼지 못할 수 있는 정도의 착용감을 제공하는 안경 및 그 조립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glasses and a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which provide a feeling of wearing that may not feel weight or discomfort even when worn by ordinary glasses wearer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손상된 편광 필름을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안경 및 그 조립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glasses and a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which can easily replace a damaged polarizing film.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안경은 횡형 몸체의 양측단 후방으로 연장된 안경 다리를 구비하고, 몸체의 중앙부위에 하향 돌출된 지지부가 형성되고 몸체 내측 표면에 다수의 결합 돌기가 후방으로 돌출된 가요성 재질의 제1프레임; 상단부에 상기 다수의 결합 돌기가 관통될 수 있는 다수의 관통 구멍이 형성된 필름형 렌즈; 및 상기 제1프레임과 형합되며, 상기 다수의 결합 돌기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다수의 결합 돌기들이 삽입될 수 있는 다수의 결합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와 대응하는 부분의 하단부에 코받침부가 형성된 제2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Glass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se objects has a pair of spectacles legs extending to the rear end of both sides of the transverse body, the support portion protruding downwar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body and a plurality of engaging projection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to the rear A first frame of protruding flexible material; A film lens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holes through which the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may pass; And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formed in the first frame and into which the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can be inser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and a nose support portion formed at a lower end of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wo frames.
본 발명에 따른 안경의 다른 특징은 상기 제1프레임의 상단부에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결합 돌기가 형성된 위치 상부의 절곡부에 다수의 체결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프레임의 상단부에 상기 다수의 체결 홈에 체결되는 다수의 체결 돌기가 형성된 점이다.Another feature of the glass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bent portion that is bent inwardly in the upper end of the first frame,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are formed in the bent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where the plurality of engaging projections are formed, the second frame The upper end of the plurality of fastening protrusions are fastened to the plurality of fastening grooves are formed.
본 발명에 따른 안경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필름형 렌즈의 상부 양측단에 상기 제1프레임의 결합 돌기 중 양측단에 위치한 결합 돌기에 각각 걸쳐지는 걸림구가 형성된 점이다.Another characteristic of the specta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locking holes are formed on the upper both side ends of the film-type lens, respectively, which hang over the engaging projections located at both ends of the engaging projections of the first frame.
본 발명에 따른 안경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필름형 렌즈가 좌·우측 렌즈가 서로 분리된 편광 필름인 점이다.Another feature of the specta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film-type lens is a polarizing film in which left and right lense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본 발명에 따른 안경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편광 필름형 렌즈가 편광 방향이 서로 직교하는 선형 편광 필름(linear polarizer film)인 점이다.Another feature of the specta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polarizing film type lens is a linear polarizer film in which the polarization directions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본 발명에 따른 안경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편광 필름형 렌즈가 편광 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인 원형 편광 필름(circular polarizer film)인 점이다.Another feature of the specta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polarizing film type lens is a circular polarizer film in which the polarization directions are opposite to each other.
본 발명에 따른 안경의 조립방법은 상기 필름형 렌즈의 관통 구멍으로 상기 제1프레임에 형성된 다수의 결합 돌기를 관통시키고, 상기 필름형 렌즈의 걸림구가 상기 다수의 결합 돌기 중 양측단에 위치한 결합 돌기에 각각 걸쳐지도록 상기 필름형 렌즈를 제1프레임에 밀착시키는 과정; 및 상기 제2프레임의 결합 구멍에 상기 제1프레임에 형성된 다수의 결합 돌기를 삽입하고, 상기 제1프레임의 체결 홈에 제2프레임의 체결 돌기가 결합되도록 상기 제2프레임을 제1프레임에 밀착시키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thod of assembling the glass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asses through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formed in the first frame through the through-holes of the film-type lens, and the locking holes of the film-type lens are coupled at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Adhering the film-like lens to the first frame so as to span each of the protrusions; And inserting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formed in the first frame into the coupling holes of the second frame, and closely fitting the second frame to the first frame such that the coupling protrusions of the second frame are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of the first fram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ocess to make.
본 발명에 따른 안경 및 안경 조립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Glasses and glasses assembly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가볍고 탄성이 있어 일반 안경 착용자도 무게감을 느끼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First, it is light and elastic, so ordinary wearers can use it without feeling the weight.
둘째, 편광 기능을 구비하여 입체 영상 관람용 및 레저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Second, it is equipped with a polarizing function can be used for stereoscopic image viewing and leisure.
셋째, 편광 필름의 교환이 용이하다.Third, the exchange of the polarizing film is easy.
도 1은 일반적인 안경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입체 영상 관람용 안경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 조립 방법의 진행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경 조립 방법의 진행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구성 중 필름형 렌즈의 정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경 조립 방법의 진행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 방법에 의해 조립된 안경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의 제1프레임의 탄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의 사용 상태 예시도이다.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ypical glasses.
Figure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typical three-dimensional image viewing glasses.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glass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to 4C are exemplary views showing a process of assembling glass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to 5C are exemplary views showing a process of assembling glass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ront view of a film-type lens of the eyeglass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to 7C are exemplary views showing a process of assembling glass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glasses assembled by the assembl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elasticity of the first frame of the glass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specta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for simplicity of explanation,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can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제1프레임(110), 필름형 렌즈(120) 및 제2프레임(1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프레임(110) 및 제2프레임(130)은 사출성형 방식으로 제조되며, 가요성 소재를 사용하여 무게가 가볍고 신축성과 탄성이 뛰어나고, 상기 필름형 렌즈(120)는 편광 필름으로 이루어진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glass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composed of the
상기 제1프레임(110)은 횡형 몸체(111)의 양측단 후방으로 연장된 안경 다리(112)를 구비하고, 몸체(111)의 중앙부위로부터 하향으로 돌출되는 지지부(113)를 구비한다. 상기 몸체(111)의 내측 표면에는 다수의 결합 돌기(114a, 114b)가 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몸체(111)의 상단부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부(115)를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결합 돌기들(114a, 114b)이 형성된 위치 상부의 절곡부에는 다수의 체결 홈(115a)이 형성되어 있다.The
필름형 렌즈(120)의 상단부에는 상기 제1프레임(110)의 다수의 결합 돌기(114a, 114b)들이 관통될 수 있는 다수의 관통 구멍(123)이 형성되고, 상단부 양측에는 상기 제1프레임(110)의 결합 돌기(114a, 114b) 중 양측 끝에 형성된 결합 돌기(114b)에 각각 걸쳐지는 걸림구(122)를 구비한다.A plurality of through
상기 제2프레임(130)은 상기 제1프레임(110)과 형합(形合)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프레임(130)의 몸체(131) 상부에는 상기 제1프레임(110)의 다수의 결합 돌기(114a, 114b)들이 삽입될 수 있는 다수의 결합 구멍(133a, 133b)이 형성되며, 상기 제1프레임(110)의 지지부(113)와 대응하는 부분의 하단부에 코받침부(132)를 구비한다.The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의 조립방법은 도 4a 내지 도 4c에서와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도 4a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필름형 렌즈(120)를 제1프레임(110)과 결합하는데, 상기 필름형 렌즈(120)의 관통 구멍(123)으로 상기 제1프레임(110)의 내측에 형성된 다수의 결합 돌기(114a, 114b) 중 가운데 부분에 위치하는 결합 돌기(114a)를 관통시키고, 상기 필름형 렌즈(120)의 상단부 양측에 형성된 걸림구(122)가 상기 다수의 결합 돌기(114a, 114b) 중 양측단에 위치한 결합 돌기(114b)에 각각 걸쳐지도록 상기 필름형 렌즈(120)를 제1프레임(110)에 밀착시킨다.The assembly method of the glass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made as in Figures 4a to 4c. First, as shown in FIG. 4A, the film-
필름형 렌즈(120)가 제1프레임(110)에 밀착된 상태에서, 도 4b에서와 같이 제2프레임(130)을 제1프레임(110)에 밀착시키는데, 상기 제2프레임(130)의 결합 구멍(133a, 133b) 중 가운데 부분에 위치하는 결합 구멍(133a)에는 상기 제1프레임(110)의 결합 돌기(114a, 114b) 중 가운데 부분에 위치하는 결합 돌기(114a)가 삽입되도록 결합하고, 상기 제2프레임(130)의 양측단에 위치하는 결합구멍(133b)에는 상기 다수의 결합 돌기(114a, 114b) 중 양측단에 위치한 결합 돌기(114b)를 삽입하여 결합한다. 한편, 상기 제2프레임(130)의 몸체(131)를 제1프레임(110)의 몸체(111)로 밀착시키면, 상기 제2프레임(130)의 몸체(131) 상단부에 형성된 다수의 체결 돌기(134)가 상기 제1프레임(110)의 절곡부(115)에 형성된 다수의 체결 홈(115a)에 각각 체결되면서 도 4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프레임(110)과 제2프레임(130)의 사이에 필름형 렌즈(120)가 위치하도록 두 프레임(110, 130)이 결합된다.In a state where the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경 조립 방법의 진행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러한 실시예는 필름형 렌즈(120)를 빈번하게 교환함으로써 제1프레임(110)과 제2프레임(130)의 결합력이 약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제2프레임(130)의 몸체(131)를 제1프레임(110)의 몸체(111) 특히 상기 지지부(113)에 밀착시킬 때, 가압되는 힘에 의해 결합 돌기가 부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위의 실시예와 달리 제1프레임(110)의 지지부(113) 부위에 다른 결합 돌기(114b)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하나의 결합 돌기(114c)가 형성되고, 필름형 렌즈(120) 및 제2프레임(130)에도 대응하는 관통구멍(124) 및 결합 구멍(133c)가 형성된다.5A to 5C are exemplary views showing a process of assembling glass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embodiment prevents the coupling force of the
먼저, 도 5a에서와 같이, 필름형 렌즈(120)를 제1프레임(110)과 결합하는데, 상기 필름형 렌즈(120)의 관통 구멍(123)으로는 상기 제1프레임(110)의 내측에 형성된 다수의 결합 돌기(114a, 114b) 중 가운데 부분에 위치하는 결합 돌기(114a)를, 상기 필름형 렌즈(120)의 관통 구멍(124)으로는 상기 제1프레임(110)의 지지부(113) 부위에 형성된 결합 돌기(114c)를 관통시키고, 상기 필름형 렌즈(120)의 상단부 양측에 형성된 걸림구(122)가 상기 다수의 결합 돌기(114a, 114b) 중 양측단에 위치한 결합 돌기(114b)에 각각 걸쳐지도록 하여 상기 필름형 렌즈(120)를 제1프레임(110)에 밀착시킨다.First, as shown in FIG. 5A, the film-
필름형 렌즈(120)가 제1프레임(110)에 밀착된 상태에서, 도 5b에서와 같이 제2프레임(130)을 제1프레임(110)에 밀착시키는데, 상기 제2프레임(130)의 결합 구멍(133c)에는 상기 제1프레임(110)의 결합 돌기(114a, 114b, 114c) 중 지지부(113) 부위에 형성된 결합 돌기(114c)가 삽입되도록 결합하고, 상기 제2프레임(130)의 결합 구멍(133a)에는 상기 제1프레임(110)의 결합 돌기(114a)가 삽입되도록 결합하고, 상기 제2프레임(130)의 양측단에 위치하는 결합구멍(133b)에는 상기 제1프레임(110)의 결합 돌기(114b)를 삽입하면 도 5c와 같이 제1프레임(110)과 제2프레임(130)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In the state where the film-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구성 중 필름형 렌즈의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형 렌즈(120)가 좌측 필름형 렌즈(120a) 및 우측 필름형 렌즈(120b)로 분리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위의 도 5a 내지 도 5c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제1프레임(110)의 지지부(113)에 결합 돌기(114c)에 대응하도록 그루브(groove)(124a, 124b)가 형성되어 있다.6 is a front view of a film-type lens of the eyeglass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t can be seen that the
좌측 필름형 렌즈(120a)와 우측 필름형 렌즈(120b)는 서로 편광 방향이 서로 직교하는 선형 편광 필름(linear polarizer film)으로 구성하거나, 편광 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인 원형 편광 필름(circular polarizer film)으로 구성할 수 있다.The left
일반적으로 입체 영상 관람을 위한 편광 안경에는 선형 편광 필터를 이용하는 방법과 원형 편광 필터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선형 편광 안경은 좌측렌즈와 우측렌즈에 편광 방향이 서로 직교되도록 선형 편광 필터를 위치시키는데, 선형 편광의 방향은 선형 편광 필터를 통과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편광 방향에 일치시켜야 한다. 그 일치 방법은 좌측 눈이 보아야 하는 영상이 통과하는 선형 편광 필터의 방향과 입체 영상 관람용 편광 안경의 좌측 렌즈의 선형 편광 방향을 일치시키고, 우측 눈이 보아야 하는 영상이 통과하는 선형 편광 필터의 방향과 입체 영상 관람용 편광 안경의 우측 렌즈의 선형 편광 방향을 일치시키는 것이다. 이때, 좌측과 우측 영상이 통과하는 각각의 선형 편광 필터의 편광 방향은 서로 직교한다.In general, polarizing glasses for viewing stereoscopic images include a method using a linear polarization filter and a method using a circular polarization filter. The linear polarizing glasses position the linear polarizing filter on the left lens and the right lens so that the polarization directions are orthogonal to each other, and the direction of the linear polarization must match the polarization direction of the image displayed through the linear polarization filter. The matching method matches the direction of the linear polarization filter through which the image to be viewed by the left eye and the linear polarization direction of the left lens of the polarizing glasses for viewing stereoscopic images, and the direction of the linear polarization filter through which the image by the right eye is passed. And the linear polarization direction of the right lens of the polarizing glasses for viewing stereoscopic images. In this case, the polarization directions of the linear polarization filters through which the left and right images pass are orthogonal to each other.
한편, 원형 편광 안경은 좌측렌즈와 우측렌즈에 원형 편광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이 되도록 원형 편광 필터를 위치시키는데, 원형 편광의 방향은 원형 편광 필터를 통과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원형 편광 방향에 일치시켜야 한다. 그 일치 방법은 좌측 눈이 보아야 하는 영상이 통과하는 형형 편광 필터의 방향과 입체 영상 관람용 편광 안경의 좌측 렌즈의 원형 편광 방향을 일치시키고, 우측 눈이 보아야 하는 영상이 통과하는 원형 편광 필터의 방향과 입체 영상 관람용 편광 안경의 우측 렌즈의 원형 편광 방향을 일치시키는 것이다. 이때, 좌측과 우측 영상이 통과하는 각각의 원형 편광 필터의 편광 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이다.On the other hand, the circularly polarized glasses are placed on the left lens and the right lens so that the circular polarization direction is opposite to each other, the direction of the circular polarization should be matched to the circular polarization direction of the image displayed through the circular polarization filter. . The coincidence method matches the direction of the circular polarization filter through which the image to be seen by the left eye passes with the circular polarization direction of the left lens of the polarizing glasses for viewing stereoscopic images, and the direction of the circular polarization filter through which the image to be viewed by the right eye passes. And the circular polarization direction of the right lens of the polarizing glasses for viewing stereoscopic images. In this case, the polarization directions of the circular polarization filters through which the left and right images pass are opposite to each other.
선형 편광 안경과 원형 편광 안경의 사용은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이 어떤 편광필터를 통과시킬 것인가에 의해 정해지며, 원형 편광의 사용은 입체 영상의 관람에 있어서 관람자의 약간의 움직임에 있어서 선형편광보다 좌측과 우측의 영상이 약간씩 겹쳐 보이는 고스트 현상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어, 최근 입체 영상 상영시설에 원형 편광을 이용한 시설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The use of linearly polarized glasses and circularly polarized glasses is determined by which polarizing filter the image being displayed passes through. The use of circularly polarized light is left and right rather than linearly polarized in the viewer's slight movement in viewing stereoscopic images.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reduce the ghost phenomenon that the image of the superimposed slightly overlap, and recently the facility using the circular polarized light in the stereoscopic image screening facility is gradually increasing.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경 조립 방법의 진행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위의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입체 영상 관람을 하기 위해서는 좌측 필름형 렌즈(120a)와 우측 필름형 렌즈(120b)로 분리된 편광 필름을 이용하여야 하는데 그 조립방법은 다음과 같다. 이때, 상기 좌측 필름형 렌즈(120a)와 우측 필름형 렌즈(120b)는 선형 편광 또는 원형 편광 방식을 이용하여 편광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며 기능이 다를 뿐 형태는 동일하므로 이하의 조립방법은 동일하게 적용된다.7A to 7C are exemplary views showing a process of assembling glass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6, in order to view a stereoscopic image, a polarizing film separated into a left
먼저, 도 7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좌측 필름형 렌즈(120a)를 제1프레임(110)과 결합하는데, 상기 필름형 렌즈(120a)의 그루브(124a)에 상기 제1프레임(110)의 결합 돌기(114c)의 일부 즉, 좌측부분이 끼워지도록 하고, 관통 구멍(123)으로는 상기 제1프레임(110)에 형성된 결합 돌기(114a)를 관통시키고, 상기 좌측 필름형 렌즈(120a)의 상단부 일측에 형성된 걸림구(122)가 상기 제1프레임(110)의 좌측 상단부에 형성된 결합 돌기(114b)에 걸쳐지도록 하여 상기 좌측 필름형 렌즈(120a)를 제1프레임(110)에 밀착시킨다.First, as shown in FIG. 7A, the left
좌측 필름형 렌즈(120a)가 제1프레임(110)에 밀착된 상태에서, 도 7b에서와 우측 필름형 렌즈(120b)를 제1프레임(110)에 밀착시키게 된다. 즉, 상기 우측 필름형 렌즈(120b)의 그루브(124b)에 상기 제1프레임(110)의 결합 돌기(114c)의 일부 즉, 우측부분이 끼워지도록 하고, 관통 구멍(123)으로는 상기 제1프레임(110)에 형성된 결합 돌기(114a)를 관통시키고, 상기 우측 필름형 렌즈(120b)의 상단부 일측에 형성된 걸림구(122)가 상기 제1프레임(110)의 우측 상단부에 형성된 결합 돌기(114b)에 걸쳐지도록 하여 결합한다.While the left
이와 같이 좌측 필름형 렌즈(120a)와 우측 필름형 렌즈(120b)가 제1프레임(110)에 밀착된 상태에서, 제2프레임(130)을 제1프레임(110)에 밀착시키는데, 그 방법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즉, 상기 제2프레임(130)의 결합 구멍(133c)에는 상기 제1프레임(110)의 결합 돌기(114c)를 삽입하고, 결합 구멍(133a)에는 결합 돌기(114a)가 삽입되도록 결합하고, 상기 제2프레임(130)의 양측단에 위치하는 결합구멍(133b)에는 결합 돌기(114b)를 삽입하여 밀착시킨다.As described above, while the left
이와 같이 조립된 안경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관람한 후에, 레저용 안경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도 7a 내지 도 7c의 역순으로 제2프레임(130)과 좌·우측 필름형 렌즈(120a, 120b)를 제1프레임(110)으로부터 분리하고, 위의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형 렌즈(120) 및 제2프레임(130)을 제1프레임(110)에 결합하면 된다.After viewing the stereoscopic image using the glasses assembled as described above, the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 방법에 의해 조립된 안경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경은 레저용 안경으로서의 심미감을 유지할 수 있으면서 편광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입체 영상 관람용 안경으로서도 사용될 수 있다.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glasses assembled by the assembl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glass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glasses for viewing stereoscopic images by using a polarizing film while being able to maintain the aesthetics as leisure glasses.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의 제1프레임의 탄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프레임(110)의 안경 다리(112)는 플렉시블(flexible)한 소재로 제조되어 작은 힘으로도 양쪽으로 벌어질 수 있으며, 가해진 힘이 제거되면 원래 형태로 복귀할 수 있는 탄력성을 가진다.9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elasticity of the first frame of the glass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의 사용 상태 예시도이다. 위의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프레임의 안경 다리가 작은 힘으로도 좌우로 벌어질 수 있어서, 기존 안경 착용자도 무게감을 느끼지 않으면서 기존 안경 위에 착용하여 입체 영상을 관람할 수 있으며, 낚시할 때 햇빛이 물에 반사되어 눈이 피로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10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specta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9 above, the glasses legs of the first frame can be opened from side to side even with a small force, so that existing glasses wearers can view stereoscopic images by wearing over existing glasses without feeling the weight. Sunlight can be reflected off the water to prevent eye fatigue.
10: 일반 안경 11: 렌즈
12: 안경테 13: 힌지
14, 23: 안경 다리 20: 입체 영상 관람용 안경
21: 안경 프레임 22: 편광 필름
110: 제1프레임 111: 제1프레임 몸체
112: 안경 다리 113: 지지부
114a, 114b, 114c: 결합 돌기 115: 절곡부
115a: 체결 홈 120: 필름형 렌즈
120a: 좌측 필름형 렌즈 120b: 우측 필름형 렌즈
121: 필름 122: 걸림구
123, 124: 관통 구멍 124a, 124b: 그루브
130: 제2프레임 132: 코받침부
133a, 133b, 133c: 결합 구멍 134: 체결 돌기10: regular glasses 11: lens
12: frame 13: hinge
14, 23: glasses legs 20: glasses for viewing stereoscopic images
21: glasses frame 22: polarizing film
110: first frame 111: first frame body
112: glasses leg 113: support
114a, 114b, 114c: engaging projection 115: bend
115a: fastening groove 120: film lens
120a: left
121: film 122: latch
123 and 124 through
130: second frame 132: nose support
133a, 133b, 133c: engaging hole 134: fastening protrusion
Claims (10)
상단부에 상기 다수의 결합 돌기가 관통될 수 있는 다수의 관통 구멍이 형성된 필름형 렌즈;
상기 제1프레임과 형합되며, 상기 다수의 결합 돌기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다수의 결합 돌기들이 삽입될 수 있는 다수의 결합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와 대응하는 부분의 하단부에 코받침부를 구비한 제2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안경.A first frame having eyeglass legs extending to both rear ends of the horizontal body, and having a supporting portion projecting downwar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body and having a plurality of engaging projections projecting rearward at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A film lens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holes through which the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may pass;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formed in the first frame and into which the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can be insert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and having a nose support at the lower end of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portion; Glasses comprising two frames.
상기 제2프레임의 상단부에는 상기 다수의 체결 홈에 체결되는 다수의 체결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end of the first bent portion is bent inwardly is formed,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are formed in the bent portion of the upper position where the plurality of engaging projections are formed,
Glasses of the second frame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fastening projections are fastened to the plurality of fastening grooves are formed.
상기 필름형 렌즈(120)의 관통 구멍(123, 124)으로 상기 제1프레임(110)에 형성된 다수의 결합 돌기(114a, 114b, 114c)를 관통시키고, 상기 필름형 렌즈의 걸림구(122)가 상기 다수의 결합 돌기(114a, 114b, 114c) 중 양측단에 위치한 결합 돌기에 각각 걸쳐지도록 상기 필름형 렌즈(120)를 제1프레임(110)에 밀착시키는 과정;
상기 제2프레임(130)의 결합 구멍(133a, 133b, 133c)에 상기 제1프레임(110)에 형성된 다수의 결합 돌기(114a, 114b, 114c)를 삽입하고, 제1프레임(110)의 체결 홈(115a)에 제2프레임의 체결 돌기(134)가 결합되도록 상기 제2프레임(130)을 제1프레임(110)에 밀착시키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의 조립방법.In the assembling method of the glasses according to claim 3,
The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114a, 114b, 114c formed in the first frame 110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s 123 and 124 of the film lens 120, and the locking holes 122 of the film lens 120 pass through them. Adhering the film-like lens 120 to the first frame 110 such that the film-shaped lens 120 covers each of the coupling protrusions located at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114a, 114b, and 114c;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114a, 114b, 114c formed in the first frame 110 are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s 133a, 133b, and 133c of the second frame 130, and the first frame 110 is fastened. And assembling the second frame (130) to the first frame (110) such that the fastening protrusion (134) of the second frame is coupled to the groove (115a).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00013559A KR101106877B1 (en) | 2010-02-12 | 2010-02-12 | How to assemble glasses and glass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00013559A KR101106877B1 (en) | 2010-02-12 | 2010-02-12 | How to assemble glasses and glasses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10093482A KR20110093482A (en) | 2011-08-18 |
| KR101106877B1 true KR101106877B1 (en) | 2012-01-25 |
Family
ID=44930169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00013559A Active KR101106877B1 (en) | 2010-02-12 | 2010-02-12 | How to assemble glasses and glasses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106877B1 (en)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3048801A (en) * | 2011-10-17 | 2013-04-17 | 爱丽克斯株式会社 | Double frame connecting structure of eyeglass frame |
| KR102034386B1 (en) * | 2018-07-31 | 2019-10-18 | 주식회사 블랙앤귀옥 | Eye massage system with compressed air and acupressur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3226245A (en) * | 2012-01-30 | 2013-07-31 |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 Structure for pair of 3D glasses |
| CN103472619B (en) * | 2013-08-20 | 2016-03-02 |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liquid crystal lens and liquid crystal Micropole glasses |
| WO2016182097A1 (en) * | 2015-05-12 | 2016-11-17 | 주식회사 제이텍 | Goggles |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4951322A (en) | 1989-09-27 | 1990-08-28 | Lin David J T | Detachable mono-glass sports goggles |
| JPH0862544A (en) * | 1994-08-24 | 1996-03-08 | Yamaoka Kanagata Seisakusho:Kk | Assembled universal spectacles |
| KR200192247Y1 (en) | 2000-02-18 | 2000-08-16 | 박찬화 | Toy spectacles |
| KR20010092247A (en) * | 1999-01-22 | 2001-10-24 |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a gray scale display with subframes |
| JP2004133252A (en) | 2002-10-11 | 2004-04-30 | Iara Marketing Specialities Kk | Lens detachable eyeglasses |
-
2010
- 2010-02-12 KR KR1020100013559A patent/KR10110687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4951322A (en) | 1989-09-27 | 1990-08-28 | Lin David J T | Detachable mono-glass sports goggles |
| JPH0862544A (en) * | 1994-08-24 | 1996-03-08 | Yamaoka Kanagata Seisakusho:Kk | Assembled universal spectacles |
| KR20010092247A (en) * | 1999-01-22 | 2001-10-24 |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a gray scale display with subframes |
| KR200192247Y1 (en) | 2000-02-18 | 2000-08-16 | 박찬화 | Toy spectacles |
| JP2004133252A (en) | 2002-10-11 | 2004-04-30 | Iara Marketing Specialities Kk | Lens detachable eyeglasses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3048801A (en) * | 2011-10-17 | 2013-04-17 | 爱丽克斯株式会社 | Double frame connecting structure of eyeglass frame |
| KR102034386B1 (en) * | 2018-07-31 | 2019-10-18 | 주식회사 블랙앤귀옥 | Eye massage system with compressed air and acupressur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10093482A (en) | 2011-08-18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200463221Y1 (en) | 3d glasses | |
| US7712895B2 (en) | Eyeglasses structure | |
| US20170184872A1 (en) | Interchangeable Eyeglass Lens Rim Using Magnetic Retaining Forces | |
| KR101106877B1 (en) | How to assemble glasses and glasses | |
| US8366267B2 (en) | Spectacle structure | |
| KR101100586B1 (en) | Headband glasses | |
| US20190265516A1 (en) | Eyeglasses structure | |
| KR101397357B1 (en) | The spectacle frame possible replacement | |
| CN212515246U (en) | Folding frame and glasses | |
| KR20130138870A (en) | The interchangeable frames kobatchim resin | |
| KR101808415B1 (en) | Attachable sunglasses on spectacles | |
| KR20120001964U (en) | Eyeglasses with convenient lens exchange | |
| KR20120100577A (en) | Lens replacement glasses | |
| US20170336649A1 (en) | Eyeglasses with changeable frame | |
| KR101233660B1 (en) | Unshaped spectacles | |
| KR200367354Y1 (en) | Multi-purpose glasses | |
| KR20190143263A (en) | Lens exchangeable glasser | |
| KR20170074330A (en) | A giasses of assembling type | |
| KR200455089Y1 (en) | Secondary glasses | |
| KR20130062172A (en) | Common 3d glasses for both eyeglasses wearers(when wears eyeglasses) and people who do not use(when uses lens) | |
| KR101326550B1 (en) | Glasses for viewing by three dementional image | |
| KR200483592Y1 (en) | Sunglasses that can be worn over regular glasses | |
| TWI846593B (en) | Flexible eyeglass frame and eyeglass structure | |
| KR101961352B1 (en) | Detachable sunglasses for eyeglasses | |
| KR20120005840U (en) | The auxiliary glasses for Coupling frame of diopter spectacles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212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8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04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1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1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119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1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1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1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1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1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1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1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407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