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7651B1 - System for inputting a character and method for inputting a character - Google Patents
System for inputting a character and method for inputting a charact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17651B1 KR101117651B1 KR1020090126958A KR20090126958A KR101117651B1 KR 101117651 B1 KR101117651 B1 KR 101117651B1 KR 1020090126958 A KR1020090126958 A KR 1020090126958A KR 20090126958 A KR20090126958 A KR 20090126958A KR 101117651 B1 KR101117651 B1 KR 10111765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put
- touch
- user
- module
- charact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9—Textured surface identifying touch areas, e.g. overlay structure for a virtual keybo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자입력 시스템 및 문자입력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하나의 키에 터치 입력 동작 및 8방향의 입력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입력을 보정하여 문자를 쉽게 입력할 수 있는 문자입력 시스템 및 문자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입력에 오차가 있더라도 이를 보정하여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를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는 문자입력 시스템 및 문자입력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터치 입력 동작 및 8방향의 입력 동작을 지원하여 하나의 키에 멀티 터치를 포함하여 최대 18가지의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문자입력 시스템 및 문자입력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 시스템은 'SPACE' 키에 터치 입력 동작 및 최대 8방향의 입력 동작을 지원하여 'SPACE' 키가 입력 동작에 따라 '백 스페이스'키와 '스페이스' 키 및 '엔터'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문자입력 시스템 및 문자입력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acter input system and a character input method, and in particular, a character input system capable of performing a touch input operation and an eight-direction input operation on one key, and easily inputting characters by correcting a user's input. And a character input method.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character input system and a character input method capable of correcting a character input by a user by correcting it even if there is an error in the user's input.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text input system and a text input method capable of inputting up to 18 characters including multi-touch on one key by supporting a touch input operation and an 8-direction input operation. In addition, the character inpu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a touch input operation and an input operation of up to 8 directions to the 'SPACE' key so that the 'SPACE' key is used as a 'back space' key, 'space' key and 'enter' according to the input opera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haracter input system and a character input method capable of performing a key operation.
한글, 영어, 문자, 입력, 터치, 드레그, 멀티터치, 멀티터치 드레그, 보정 Korean, English, Text, Input, Touch, Drag, Multitouch, Multitouch Drag, Correc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문자입력 시스템 및 문자입력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하나의 키에 터치 입력 동작 및 8방향의 입력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입력을 보정하여 문자를 쉽게 입력할 수 있는 문자입력 시스템 및 문자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acter input system and a character input method, and in particular, a character input system capable of performing a touch input operation and an eight-direction input operation on one key, and easily inputting characters by correcting a user's input. And a character input method.
기존에는 단순히 통화만을 수행하였으나, 휴대폰과, PDA 등과 같은 단말기, 즉, 정보화 기기가 발달함에 따라 통화 이외에도 문자를 이용하여 필요한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보편화되었다. 또한, 최근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단말기가 보편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자판을 사용자에게 시인시켜 문자를 입력하고 있다.Conventionally, only a call was performed, but as a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and a PDA, that is, an information device has been developed, it has become popular to transmit necessary information using texts in addition to calls. In addition, recently, a terminal using a touch screen is becoming more common, and accordingly, a character is inputted by visual recognition of a keyboard to a user using a touch screen.
하지만, 이러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단말기는 기기의 종류, 예를 들어 제조회사 등에 따라 문자입력 시스템과 방법이 상이하여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기존의 문자입력 시스템 및 문자입력 방법은 하나의 문자 입력키를 한번 또는 여러번 누르거나, 애스테리스크(*) 또는 파운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최종 문자를 입력하였다. 또한, 이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최종 문자가 어떤 문자인지 정확하게 인지할 수 없으므로 입력 대기 상태를 소정 시간, 예를 들어 3초 정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문자를 입력하는데 대기 상태로 인해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물론, 이를 해결하기 위해 'SPACE(빈칸)'에 해당하는 키를 누르면 다음 문자 입력 지점으로 이동하지만 사용자가 하나의 문자를 입력할 때마다 'SPACE(빈칸)'을 눌러줘야 되므로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할 때, 사용자마다 입력 특징이 다르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를 정확하게 입력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a terminal using such a touch screen has a difficulty in inputting text by a user since the method and method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device, for example, a manufacturer. 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character input system and character input method, a single character input key is pressed once or several times, or the final character desired by the user is input using an asterisk (*) or pound (#). In addition, since the user cannot accurately recognize which character the last character desired is, the input standby state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about 3 seconds.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takes a lot of time due to the standby state for entering characters. Of course, if you press the key corresponding to the 'SPACE (blank)' to solve this problem, but moves to the next character input point, but the user has to press the 'SPACE (blank)' every time you enter a single character has a problem. In addition, when the user inputs a charact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can not accurately enter the desired character because the input characteristics are different for each user.
본 발명의 목적은 문자를 쉽게 입력할 수 있는 문자입력 시스템 및 문자입력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aracter input system and a character input method that can easily enter a charact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문자를 빠르게 입력할 수 있는 문자입력 시스템 및 문자입력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aracter input system and a character input method capable of quickly entering a characte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문자 입력 오차를 보정할 수 있는 문자입력 시스템 및 문자입력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haracter input system and a character input method capable of correcting a character input error of a user.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터치를 통해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터치스크린 모듈과, 상기 터치스크린 모듈과 대응하여 구비되며 상기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문자가 배열된 자판 모듈과, 상기 터치스크린 모듈을 통한 상기 사용자의 동작을 보정하여,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를 인지하는 입력 처리 모듈과, 상기 입력 처리 모듈에서 전달된 위치 정보와 분류 정보를 전달받아 문자를 병합하고 사용자에게 시인시키는 프로세싱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입력 처리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상기 터치스크린 모듈에 대한 문자 입력 여부를 판단하는 터치 판단 모듈과, 상기 터치 판단 모듈에서 판단된 상기 사용자의 문자 입력에 따라 문자의 입력 순서를 어순에 맞도록 보정하는 입력 보정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터치 판단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상기 터치스크린 모듈에 대한 터치 동작을 판단하는 터치 모듈과, 상기 사용자의 상기 터치스크린 모듈에 대한 드레그 동작을 판단하는 드레그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상기 터치 판단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상기 터치스크린 모듈에서 두 개 이상의 영역에 멀티터치 동작을 수행하는지를 판단하는 멀티터치 모듈과, 상기 사용자가 상기 터치스크린 모듈에서 두 개 이상의 영역에 멀티터치 한 후 드레그 동작을 수행하는지를 판단하는 멀티터치 드레그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보정 모듈은 상기 사용자가 터치스크린 모듈을 통해 입력한 드레그 동작의 일정 각도 범위를, 상기 드레그 동작의 기준 각도로 보정하는 입력 각도 보정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력 보정 모듈은 상기 사용자가 터치스크린 모듈을 통해 입력한 드레그 동작의 입력 길이를, 상기 드레그 동작의 기본 입력 길이로 보정하는 입력 길이 보정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력 보정 모듈은 상기 사용자가 터치스크린 모듈을 통해 입력한 터치 동작 또는 드레그 동작의 입력 시간을, 상기 터치 동작 또는 드레그 동작의 기본 입력 시간으로 보정하는 입력 시간 보정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드레그 동작은 8방향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문자는 'SPACE' 키를 포함하고, 상기 'SPACE' 키는 터치 동작 수행 시 공백을 입력하고, 일 방향으로 드레그 동작 수행 시 백 스페이스 기능을 수행하고, 타 방향으로 드레그 동작 수행 시 엔터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터치스크린 모듈 상에 구비된 자판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판 가이드는 투명 재질의 필름 형태이되, 상기 문자의 중심부에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판 모듈은 한글을 포함하고, 상기 한글은 'ㄱ', 'ㅁ', 'ㅅ', 'ㅇ', 'ㅡ', 'ㅣ' 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문자입력 방법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한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된 입력을 보정하는 단계와, 상기 보정된 입력을 터치와 드레그, 멀티터치, 멀티터치 드레그로 분류하는 단계와, 상기 분류된 입력에 의해 결정된 문자를 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된 입력을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입력에 대한 문자 입력 순서를 기준 문자 입력 순서와 비교하여, 상기 기준 문자 입력 순서와 상이할 경우 기준 문자 입력 순서로 보정하는 입력 순서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자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한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문자 입력을 위해 터치스크린 모듈에 처음으로 터치하는 시작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터치스크린 모듈에 터치 입력 동작을 취한 문자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초음을 터치한 후 최종 터치를 종료한 터치 종료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ouch screen module for a user to input text through a touch, a keyboard module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touch screen module and arranged for the user to input text; Correcting the operation of the user through the touch screen module, the input processing module for recognizing the character input by the user,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class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input processing module is received and merges the characters and acknowledged to the user And a touch determination module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inputs a character to the touch screen module, and input characters according to the user's character input determined by the touch determination module. And an input correction module for correcting an order to match the word order. The touch module may include a touch module that determines a touch operation of the user's touch screen module, and a drag module that determines a drag operation of the user's touch screen module.
The touch determination module may include a multi-touch module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s touch screen module performs a multi-touch operation in two or more areas, and the user drags the multi-touch area in two or more areas of the touch screen module.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multi-touch drag module that determines whether to perform an operation.
The input correction module may include an input angle correction module for correcting a predetermined angle range of the drag operation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touch screen module to a reference angle of the drag operation.
The input correction module may include an input length correction module configured to correct an input length of a drag operation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touch screen module to a basic input length of the drag operation.
The input correction module may include an input time correction module configured to correct an input time of a touch operation or a drag operation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touch screen module to a basic input time of the touch operation or a drag operation.
The drag operation may be performed in eight directions, wherein the letter includes a 'SPACE' key, and the 'SPACE' key inputs a space when a touch operation is performed and a back space function when a drag operation is performed in one direction. And performing the enter function when the drag operation is performed in the other direction.
On the other hand, further comprising a keyboard guide provided on the touch screen module, the keyboard guide is in the form of a film of a transparent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jection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letter.
The keyboard module may include Korean characters, and the Korean characters may include 'ㄱ', 'ㅁ', 'ㅅ', 'ㅇ', 'ㅡ', and 'ㅣ' keys.
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haracter input method in which a user inputs a character using a touch screen, the user detecting the input to the touch screen, correcting the detected input, and the corrected input Categorizing into touch, drag, multi-touch and multi-touch drag, and merging the characters determined by the classified input, and correcting the sensed input comprises: character for the detected input. And comparing the input order with the reference character input order, and correcting the input order for correcting the reference character input order when it is different from the reference character input order.
The detecting of the input on the touch screen by the user may include detecting a start position of the user's first touch on the touch screen module for text input, and performing a touch input operation on the touch screen module. And storing a text, and detecting a touch end position where the user touches the initial sound and ends the last touch.
삭제delete
본 발명은 사용자의 입력에 오차가 있더라도 이를 보정하여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를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는 문자입력 시스템 및 문자입력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character input system and a character input method capable of correcting a character input by a user by correcting it even if there is an error in the user's input.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키에 터치 입력 동작과 8방향의 입력 동작을 지원하여 하나의 키에 멀티 터치를 포함하여 최대 18가지의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문자입력 시스템 및 문자입력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haracter input system and a character input method capable of inputting up to 18 characters including multi-touch on one key by supporting a touch input operation and an 8-direction input operation on one key. Can b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 시스템은 'SPACE' 키에 터치 동작과 최대 8방향의 입력 동작을 지원하여 'SPACE' 키가 입력 동작에 따라 '백 스페이스'키와 '스페이스' 키 및 '엔터'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문자입력 시스템 및 문자입력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haracter inpu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a touch operation and a maximum 8-direction input operation to the 'SPACE' key, so that the 'SPACE' key is used as a 'back space' key, 'space' key and 'enter' according to the input operation. A character input system and a character input method capable of performing an operation of a key can be provided.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의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It is provided to let you know.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refer to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 시스템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 시스템의 한글 자판 모듈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 시스템의 공백키를 설명하기 위한 'SPACE' 키의 개념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 시스템의 입력 각도 보정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축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 시스템의 입력 길이 보정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터치스크린 모듈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 시스템의 보호필름을 도시한 평면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character inpu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Hangul keyboard module of the character inpu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PACE' key for explaining a blank key of the character inpu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axial views illustrating the input angle correction module of the character inpu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schematic diagram of a touch screen module for explaining the input length correction module of the character inpu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 section. 7 is a plan view showing a protective film of the character inpu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 모듈(100)과, 자판 모듈(200)과, 입력처리 모듈(300)과, 프로세싱 모듈(400)과, 스피커(5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character inpu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터치스크린 모듈(100)은 사용자가 직접 터치를 하여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터치 패널을 포함한다. 이러한 터치 패널은 구조 및 구동 방식에 따라 접촉식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Overlay), 압력식 저항막 방식(Registive Overlay), 적외선 감지 방식(Infrared Beam), 초음파 방식(Surface Acoustic Wave),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Integral Strain Guage), 피에조 효과 방식(Piezo Electri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종류에 상관없이 모든 터치 패널을 사용할 수 있다.The
자판 모듈(200)은 사용자에게 자판을 시인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터치 모듈의 하부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자판을 터치하면 해당 문자의 위치에 해당하는 터치스크린 모듈(100)이 터치되어 문자가 입력된다. 이러한 자판 모듈(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열된 자판 모듈(200)의 크기를 넓혀 문자 입력 오타를 줄이기 위해 'ㄱ', 'ㅁ', 'ㅅ', 'ㅇ', 'ㅣ', 'ㅡ'를 포함하는 6개의 버튼으로 구현될 수 있다. 물론, 도 2에서는 자판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 시스템이 적용되는 기기에 따라 자판의 배열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된 6개의 버튼을 구비한 자판 모듈(200)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에서 제안된 8방향 입력 동작이 적용된다면, 자판 모듈(200)의 크기, 즉, 자판 모듈(200)에 구비된 버튼과 이의 크기는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다.The
또한, 도 2에 도시된 자판 모듈(200)에서 'SPACE' 키와, 한글과 영어 및 일어 등과 같은 자판의 문자를 변경하는 '언어설정' 키 등을 추가시킬 수도 있다. 또한, 전술된 자판 모듈(200)은 사용자의 입력 동작에 따라 하나의 키에 적어도 3개 이상의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표 1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 시스템의 입력 동작에 따른 문자 입력을 나타낸 것이다.Table 1 shows the character input according to the input operation of the character inpu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표 1을 참조하면, 일 예로, 'ㄱ'의 경우, 터치를 수행할 경우 'ㄱ' 이 입력되며, 상 드레그 동작을 수행할 경우 'ㄴ'이 입력된다. 또한, 하 드레그 동작을 수행할 경우, 'ㄲ'이 입력되고, 좌 드레그 동작을 수행할 경우 'ㄷ'이 입력된다. 또한, 우 드레그 동작을 수행할 경우 'ㄸ'이 입력된다. 물론, 표 1은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특정 키에 대한 상 드레그와 하 드레그 등과 같은 사용자의 입력 동작은 변경될 수 있다.Referring to Table 1, as an example, in the case of 'a', 'a' is input when performing a touch, and 'b' is input when performing a phase drag operation. In addition, 'h' is input when the lower drag operation is performed, and 'c' is input when the left drag operation is performed. In addition, 'ㄸ' is input when the right drag operation is performed. Of course, Table 1 is only one example, and the user's input operation such as the upper drag and the lower drag for a specific key may be changed.
입력처리 모듈(300)은 사용자가 자판 모듈(200)과 터치스크린 모듈(100)을 통한 입력을 터치, 드레그, 멀티터치, 멀티터치 드레그로 분류하고 위치 정보와 분류 정보를 프로세싱 모듈(400)로 전달한다. 이러한 입력처리 모듈(300)은 터치 판단 모듈(320)과 입력 보정 모듈(340)을 포함한다.The
터치 판단 모듈(320)은 사용자가 터치스크린 모듈(100)을 터치하는 것을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터치 모듈(322)과, 드레그 모듈(324)과, 멀티터치 모듈(326)과, 멀티터치 드레그 모듈(328)을 포함한다.The
터치 모듈(322)은 사용자가 터치스크린 모듈(100)에서 터치를 시작한 지점을 감지한다.The
드레그 모듈(324)은 사용자가 터치스크린 모듈(100)에서 터치를 종료한 지점을 감지하고, 감지된 터치 종료 지점과 터치 모듈(322)에서 감지된 터치를 시작한 지점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수행한 드레그 동작을 인지한다. 이는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드레그를 수행하고자 하더라도 터치스크린 모듈(100)에 우선 압력을 가하여 터치부터 수행해야 하므로, 드레그 모듈(324)은 터치스크린 모듈(100)에서 감지된 터치 시작 지점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고 자신이 감지한 터치 종료 지점에 대한 정보를 더하여 최종적으로 드레그 동작을 인지한다.The
멀티터치 모듈(326)은 사용자가 터치스크린 모듈(100)에서 둘 이상의 지점을 동시에 터치한 것을 감지한다.The
멀티터치 드레그 모듈(328)은 사용자가 터치스크린 모듈(100)에서 둘 이상의 지점을 동시에 터치한 후, 터치된 상태를 유지하며 이동한 드레그 동작을 감지한다. 이를 위해 멀티터치 드레그 모듈(328)은 둘 이상의 지점에 대한 터치 종료 지점과 멀티터치 모듈(326)에서 감지된 멀티터치에 대한 터치 시작 지점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멀티터치 드레그 동작을 인지한다. 물론, 본 발명은 일반 터치 동작과 드레그 동작만을 수행 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전술된 멀티터치 모듈(326)과 멀티터치 드레그 모듈(328)은 생략될 수도 있다.The
또한, 본 발명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키에 대해 터치 입력 동작과 좌 드레그(①), 우 드레그(②), 상 드레그(③), 하 드레그(④), 좌하 드레그(⑤), 좌상 드레그(⑥), 우상 드레그(⑦), 우하 드레그(⑧)를 포함하는 8방향의 입력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SPACE' 키의 경우, 터치 동작을 수행하면 일반적인 공백키로 동작한다. 또한, 좌 드레그(①) 동작을 수행하면 '백스페이스키'로 동작하며, 우 드레그(②) 동작을 수행하면 '엔터키'로 동작할 수 있다. 물론, 이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에 따른 'SPACE'키는 상 드레그(③) 동작을 수행할 때 '백스페이스키'로 동작하며, 하 드레그(④) 동작을 수행할 때 '엔터키'로 동작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3, the touch input operation for all the keys and the left drag (①), the right drag (②), the upper drag (③), the lower drag (④), the lower left drag (⑤) 8 inputs including the upper left drag (⑥), the upper right drag (⑦), and the lower right drag (⑧) are possible.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SPACE' key, if a touch operation is performed, it operates as a general blank key. In addition, when the left drag (①) operation is performed as the 'backspace key', and the right drag (②) operation can be operated as the 'enter key'. Of course, this is only one embodiment, the 'SPACE' k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as the 'backspace key' when performing the upper drag (③) operation, 'enter key' when performing the lower drag (④) operation It can also work.
한편, 본 실시예는 한글 입력만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 시스템은 영문 등과 같은 외국어를 입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언어설정을 통해 영문을 입력할 경우 역시 전술된 한글 입력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입력할 수 있다. 즉, 특정 알파벳 키를 터치하거나 특정 방향으로 드레그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하여 특정 알파벳 키에서 하나 이상의 알파벳을 입력할 수 있다.Meanwhile, the present embodiment exemplifies only Korean input, but the character inpu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put a foreign language such as English. For example, when entering English through language setting, it may also be input in a similar manner to the above-described Korean input method. That is, one or more alphabets may be input from a specific alphabet key by touching or dragging a specific alphabet key in a specific direction.
입력 보정 모듈(340)은 사용자가 터치스크린 모듈(100)을 통해 입력한 동작을 보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입력 각도 보정 모듈(342)과, 입력 길이 보정 모듈(344), 입력 시간 보정 모듈(346), 및 입력 순서 보정 모듈(348)을 포함한다.The
입력 각도 보정 모듈(342)은 사용자가 터치스크린 모듈(100)을 통해 입력한 드레그 동작의 각도를 보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드레그는 y축을 따라 입력되고 좌우 드레그는 x축을 따라 입력된다. 하지만, 사용자는 드레그 입력 시 수직 방향(상하 드레그) 또는 수평 방향(좌우 드레그)으로 정확하게 입력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입력 각도 보정 모듈(342)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드레그 입력 시 오차 범위를 산정하여 입력이 정확하게 인식되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제 1 각도(θ1) 내에서 입력되는 드레그는 좌우 드레그로 인식하고, 제 2 각도(θ2) 내에서 입력되는 드레그는 상하 드레그로 인식한다. 이때, 제 1 각도(θ1)와 제 2 각도(θ2)는 예를 들어, 0도 내지 25도일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 1 각도(θ1)와 제 2 각도(θ2)는 0도 내지 45도일 수도 있다. 또한, 입력 각도 보정 모듈(342)은 사용자의 입력 특징에 따라 이를 학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 1 각도(θ1)와 제 2 각도(θ2)는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이는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사용자가 양손으로 문자를 입력할 경우, 왼손과 오른손은 입력 각도(A)가 서로 상이하게 된다. 이 경우, 사용자가 주로 드레그하는 각도에 따라서 기준 좌표축(도 4의 x축과 y축)을 사용자의 입력 특성에 맞도록 보정한다. 이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손가락의 각도, 즉, 드레그하는 각도를 매회 업데이트하여 사용자의 입력 특성에 부합하는 가장 이상적인 각도로 보정한다. 또한,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 시스템은 제 1 각도(θ1)와 제 2 각도(θ2)를 사용자의 입력 특성에 맞도록 좁힐 수 있으며, 연산과정을 간소화할 수 있어 문자입력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The input
입력 길이 보정 모듈(344)은 사용자가 터치스크린 모듈(100)을 통해 입력한 드레그 동작의 길이를 보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레그 동작을 통해 터치되는 터치스크린 모듈(100)의 픽셀(P)의 개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길이(L1)이하의 드레그 입력은 터치로 인식하며, 제 1 길이(L1) 이상, 즉, 제 2 길이(L2)의 드레그 입력은 드레그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 시스템은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드레그 동작을 방지하여 문자입력의 정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The input length correction module 344 is for correcting the length of the drag operation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입력 시간 보정 모듈(346)은 사용자가 터치스크린 모듈(100)을 통해 입력한 드레그 동작의 지연 시간 또는 터치 동작의 지연 시간을 보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드레그 동작 후 터치를 중지하지 않고 지연시킬 경우,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입력 시간 보정 모듈(346)은 상기 이벤트 발생 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드레그 동작의 지연 시간 보정은, 사용자가 드레그 동작 후 0.5초 이상 터치를 유지하고 있을 때 해당 키의 입력을 자동으로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터치 동작의 지연 시간 보정은 사용자가 특정 키에 대해 터치 동작을 한 후 0.5초 이후 해당 특정 키를 다시 터치 할 때 이를 더블 터치(더블 클릭)으로 판단한다. 이때, 사용자가 특정 키에 대해 터치 동작을 수행한 후 0.5초 이내에 해당 특정 키를 다시 터치 할 경우 한번의 터치 동작으로 간주한다.The input
입력 순서 보정 모듈(348)은 사용자의 문자 입력 순서 오류를 보정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가'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ㄱ'과 'ㅏ'을 순차적으로 입력해야 한다. 하지만, 문장 입력 시 'ㄱ'과 'ㅏ'을 순차적으로 입력하지 못하고, 'ㅏ'과 'ㄱ'순으로 입력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은 'ㅏㄱ'으로 입력되지 않고, 입력된 'ㅏ'과 'ㄱ'을 저장한 후 '가'로 표시한다.The input
프로세싱 모듈(400)은 입력처리 모듈(300)에 의해 감지된 문자를 병합하고 이에 대한 영상 신호를 사용자에게 시인시키는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에 전송하여 사용자가 자신이 입력한 문자를 시인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이에 대한 청각 신호, 예를 들어, 문자 입력에 따른 비프음 등을 스피커(500)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이를 들을 수 있게 한다.The
스피커(500)는 프로세싱 모듈(400)에서 전송된 청각 신호를 재생하여 사용자가 이를 들을 수 있게 한다. 물론, 이러한 스피커(500)는 생략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 시스템이 적용될 수 있는 기기, 예를 들어, 휴대폰, PDA 등에 기본적으로 구비되어 있으므로 이를 이용할 수 있다.The
한편, 본 발명은 사용자가 터치스크린 모듈을 터치 하였을 때 사용자에게 터치된 것을 인지시키는 모터(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모터(600)는 진동 모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모터(600)에 의해 사용자가 터치스크린 모듈을 터치하였을 때 진동으로 버튼 눌림을 인지할 수 있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입력 동작을 취한 문자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두 개의 문자, 즉, 자음과 모음을 동시에 입력할 경우, 사용자가 처음 터치 입력 동작을 취한 문자가 최종 입력 문자인지, 처음 터치 입력 동작을 취한 후 드레그 등과 같은 입력 동작을 취할지 알 수 없다. 따라서, 사용자의 모든 입력 동작은 터치 입력 동작부터 시작되므로 최종 입력 문자가 결정되기 전까지 이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첫 번째 문자로 'ㄱ'을 누른 상태에서 두 번째 문자로 'ㅣ'을 누르게 되면, 첫 번째 문자가 터치 입력 동작을 통해 'ㄱ'으로 입력될지 드레그 입력 동작을 통해 'ㅋ'으로 입력될지 선택이 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런 경우, 'ㄱ'과 'ㅣ'을 문자로 표시하지 않고 메모리에 'ㄱ'과 'ㅣ'을 저장한다. 이때, 첫 번째 문자로 'ㄱ'이 선택된 경우, 메모리에서 'ㄱ'을 로딩하여 표시하고, 그렇지 않고 드레그 입력 동작을 통해 'ㅋ'이 선택된 경우, 바로 'ㅋ'을 표시한다. 이후, 모음으로 'ㅣ'이 선택되었다면, 메모리에서 'ㅣ'를 로딩하여 최종적으로 '기'를 표시한다. 하지만, 그렇지 않고 드레그 입력 동작을 통해 두 번째 문자로 'ㅏ'가 선택된 경우, 최종적으로 '가'를 표시하게 된다.The invention also includes a memory for storing characters in which the user has made an input operation. When a user simultaneously inputs two letters, that is, consonants and vowels, it is not known whether the user first touches an input character is the last input character or takes an input operation such as a drag after the first touch input operation. Therefore, since all input operations of the user start with the touch input operation, they are stored in the memory until the final input character is determined. For example, if the user presses the first letter 'ㄱ' and then press 'ㅣ' as the second character, the first letter is entered as 'ㄱ' through the touch input operation or 'd' through the drag input operation. 'Is input or not selected. In this case, 'ㄱ' and 'ㅣ' are stored in memory instead of the letters 'ㄱ' and 'ㅣ'. At this time, when 'ㄱ' is selected as the first character, 'AB' is loaded and displayed in the memory. Otherwise, 'ㅋ' is immediately displayed when 'ㅋ' is selected through the drag input operation. After that, if 'ㅣ' is selected as a vowel, 'ㅣ' is loaded from memory and finally 'GI' is displayed. Otherwise, if '경우' is selected as the second character through the drag input operation, 'ga' is finally display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 시스템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자판 모듈(200)에 구비된 문자 키(K)의 위치를 눈으로 보지 않더라도 손끝의 감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자판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자판 가이드는 일반적인 보호 필름의 형태일 수 있으며, 상기 보호 필름의 표면에 문자 키(K)의 중심 위치에 돌출된 돌기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보호 필름과 돌기는 고무 또는 실리콘 등과 같은 투명한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은 문자 키(K)의 중심부에 육안으로 보기에 아주 작고, 사용자가 화면을 시인하는데 방해가 되지 않도록 투명한 재질의 자판 가이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자판 모듈(200)을 직접 보지 않더라도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haracter inpu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7, a keyboard that allows the user to sense the sense of the fingertips even if the user does not see the position of the character key (K) provided in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 시스템은 사용자의 입력에 오차가 있더라도 이를 보정하여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를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 시스템은 하나의 키에 터치 입력 동작과 8방향의 입력 동작을 지원하여 하나의 키에 멀티 터치를 포함하여 최대 18가지의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 시스템은 'SPACE' 키에 터치 입력 동작과 멀티 터치를 포함하여 최대 8방향의 입력 동작을 지원하여 'SPACE' 키가 입력 동작에 따라 '백 스페이스'키와 '스페이스' 키 및 '엔터'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haracter inpu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orrect the user's input even if there is an error, so that the user can correctly input the character to be input. In addition, the character inpu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a touch input operation and an 8-direction input operation on one key, so that up to 18 characters including multi-touch may be input on one key. In addition, the character inpu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the input operation of up to 8 directions including the touch input operation and the multi-touch in the 'SPACE' key, so that the 'SPACE' key is 'Backspace' and 'Space' according to the input operation. The operation of the 'key and the' enter 'key can be performed.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 방법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후술할 내용 중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 시스템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Next, a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Descriptions overlapping with the description of the character inpu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or briefly described.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 방법의 순서도이다.8 is a flowchart of a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 방법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언어를 설정하는 단계(S1)와,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S2)와, 입력을 보정하는 단계(S3)와, 입력을 분류하는 단계(S4)와, 문자를 병합하는 단계(S5)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8, 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etting a language (S 1 ), detecting an input (S 2 ), correcting an input (S 3 ), and Classifying (S 4 ) and merging characters (S 5 ).
언어를 설정하는 단계(S1)는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언어의 종류에 따라 언어를 설정한다. 본 실시예는 언어 설정을 통해 한글 또는 영어를 입력하는 것으로 예시한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한글과 영어 이외의 모든 언어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 방법이 적용된 시스템에서 하나의 언어만을 사용할 경우, 전술된 언어를 설정하는 단계(S1)는 생략될 수도 있다.In the setting of the language (S 1 ), the language is set according to the type of language to be input by the user. This embodiment exemplifies inputting Korean or English through language setting.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pplied to all languages other than Korean and English. On the other hand, if only one language is used in the system to which 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step (S 1 ) of setting the aforementioned language may be omitted.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S2)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의 터치스크린 모듈 입력을 감지한다. 이때, 본 발명은 사용자가 문자 입력을 터치와 드레그 등으로 구분하여 입력하므로, 사용자의 문자 입력을 정확하게 인지하기 위해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S2)는 터치의 시작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S2-1)와, 터치 시작 위치의 문자를 저장하는 단계(S2-2)와, 터치의 종료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S2-3)를 포함한다.Detecting an input (S 2 ) detects a user's touch screen module input for inputting a character. In this cas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the user and because the input by separating the character input in such a touch and drag, the method comprising: detecting the input to recognize correctly the user of the character input (S 2) is detected the starting position of the touch (S 2 -1 ), storing the character of the touch start position (S 2-2 ), and sensing the end position of the touch (S 2-3 ).
터치의 시작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S2-1)는 사용자가 문자 입력을 위해 터치스크린 모듈에 처음으로 터치하는 시작 위치를 감지한다. 이때, 터치의 시작 위치를 감지함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하려는 문자의 초음, 즉, 드레그 또는 멀티터치 드레그에 의해 변형되지 않은 가장 처음의 자음 또는 모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터치의 시작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에서는 터치 타입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사용자가 터치스크린 모듈의 일 지점만을 터치하였는지, 둘 이상의 지점을 동시에 터치, 즉, 멀티터치 하였는지를 감지한다.In the detecting of the starting position of the touch (S 2-1 ), the starting position of the first touch by the user to the touch screen module for text input is detected. In this case, as the first position of the touch is detected, the first consonant or vowel that is not deformed by the user's input character, that is, the drag or the multi-touch drag, may be known. Also, in the step of detecting the start position of the touch, in order to collect touch type information, the user detects whether the user touches only one point of the touch screen module or touches two or more points at the same time, that is, multi-touch.
터치 시작 위치의 문자를 저장하는 단계(S2-2)는 사용자가 터치스크린 모듈에 터치 입력 동작을 취한 문자를 저장한다. 이는 사용자가 두 개의 문자, 즉, 자음과 모음을 동시에 입력할 경우, 사용자가 처음 터치 입력 동작을 취한 문자가 최종 입력 문자인지, 처음 터치 입력 동작을 취한 후 드레그 등과 같은 입력 동작을 취할지 알 수 없다. 따라서, 사용자의 모든 입력 동작은 터치 입력 동작부터 시작되므로 최종 입력 문자가 결정되기 전까지 이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첫 번째 문자로 'ㄱ'을 누른 상태에서 두 번째 문자로 'ㅣ'을 누르게 되면, 첫 번째 문자가 터치 입력 동작을 통해 'ㄱ'으로 입력될지 드레그 입력 동작을 통해 'ㅋ'으로 입력될지 선택이 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런 경우, 'ㄱ'과 'ㅣ'을 문자로 표시하지 않고 메모리에 'ㄱ'과 'ㅣ'을 저장한다.In operation S 2-2 , the character at the touch start position is stored in the character in which the user performs a touch input operation on the touch screen module. This means that when a user enters two letters, ie, consonants and vowels at the same time, the user does not know whether the first touch input action is the last input character or whether the user takes an input action such as a drag after the first touch input action. . Therefore, since all input operations of the user start with the touch input operation, they are stored in the memory until the final input character is determined. For example, if the user presses the first letter 'ㄱ' and then press 'ㅣ' as the second character, the first letter is entered as 'ㄱ' through the touch input operation or 'd' through the drag input operation. 'Is input or not selected. In this case, 'ㄱ' and 'ㅣ' are stored in memory instead of the letters 'ㄱ' and 'ㅣ'.
터치의 종료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S2-3)는 사용자가 초음을 터치한 후 최종 터치의 종료를 수행한 터치 종료 위치를 감지한다.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초음의 위치에서 가로, 세로 또는 사선으로 드레그 또는 멀티 드레그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최종적으로 입력하려는 문자의 종음, 즉, 드레그 또는 멀티터치 드레그에 의해 최종적으로 입력하려는 자음 또는 모음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기 위해 사용자가 터치를 종료한 위치를 감지한다.In the detecting of the end position of the touch (S 2-3 ), after the user touches the initial sound, the touch end position of the last touch is sensed. The user may drag or multi-drag horizontally, vertically or diagonally at an initial position to input a desired character. Accordingly, the terminal senses a position at which the user ends the touch in order to acquire information about the final sound of the character to be finally input, that is, the consonant or vowel to be finally input by the drag or multi-touch drag.
입력을 보정하는 단계(S3)는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S2)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입력 동작을 보정한다. 이러한 입력을 보정하는 단계(S3)는 입력 각도를 보정하는 단계(S3-1)와, 입력 길이를 보정하는 단계(S3-2)와, 입력 시간을 보정하는 단계(S3-3), 및 입력 순서를 보정하는 단계(S3-4)를 포함한다.Correcting the input (S 3 ) corrects the input operation of the user input through the sensing (S 2 ) of the input. Correcting the input (S 3 ) comprises the step of correcting the input angle (S 3-1 ), the step of correcting the input length (S 3-2 ), and the step of correcting the input time (S 3-3 And correcting the input order (S 3-4 ).
입력 각도를 보정하는 단계(S3-1)는 사용자가 드레그 동작 또는 멀티터치 드레그 동작을 수행할 경우, 사용자의 입력 각도 오차를 보정한다. 이는 x축과, x축과 수직하게 교차하는 y축을 기준으로 하고, x축과 y축에서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x축 또는 y축과 근접한 드레그 동작 또는 멀티터치 드레그 동작을 해당 축의 드레그 동작 또는 멀티터치 드레그 동작으로 간주한다. 이는 예를 들어, x축과 근접한 각도 범위 내의 드레그 동작은 드레그 방향에 따라 상 드레그 또는 하 드레그로 분류하며, y축과 근접한 각도 범위 내의 드레그 동작은 드레그 방향에 따라 좌 드레그 또는 우 드레그로 분류한다.Correcting the input angle (S 3-1 ) corrects an input angle error of the user when the user performs a drag operation or a multi-touch drag operation. It is based on the x-axis and the y-axis that intersects the x-axis vertically, and drag or multi-drag drag motions that are close to the x- or y-axis within a range of angles on the x- and y-axes. Consider it as a touch drag operation. This means, for example, that a drag motion in an angular range close to the x axis is classified as an upper drag or a lower drag according to the drag direction, and a drag motion in an angular range close to the y axis is classified as a left drag or a right drag according to the drag direction. .
입력 길이를 보정하는 단계(S3-2)는 사용자가 드레그 동작 또는 멀티터치 드레그 동작을 수행할 경우, 사용자의 입력 길이 오차를 보정한다. 이는 터치스크린 모듈의 픽셀 개수에 따라 일정 픽셀 개수 이내의 드레그 동작 또는 멀티터치 드레그 동작은 터치로 인식하며, 일정 픽셀 개수 이상의 드레그 동작 또는 멀티터치 드레그 동작은 해당 드레그 동작 또는 멀티터치 드레그 동작으로 판단하여 수행할 수 있다.Correcting the input length (S 3-2 ) corrects an input length error of the user when the user performs a drag operation or a multi-touch drag operation. The device recognizes a drag operation or a multi-touch drag operation within a certain number of pixels according to the number of pixels of the touch screen module as a touch, and a drag operation or a multi-touch drag operation of a predetermined number or more is determined as a corresponding drag operation or a multi-touch drag operation. Can be done.
입력 시간을 보정하는 단계(S3-3)는 사용자가 터치 동작 또는 멀티터치 동작 또는 드레그 동작 또는 멀티터치 드레그 동작을 수행할 경우, 사용자의 입력 시간 오차를 보정한다. 이때, 입력 시간을 보정하는 단계(S3-3) 중 드레그 동작의 지연 시간을 보정하는 단계는 드레그 동작 또는 멀티터치 드레그 동작 후 터치를 중지하지 않고 일정 시간 이내에서 지연시킨 후 터치를 중지할 경우, 일반적인 터치 동작으로 판단하여 수행할 수 있다. 물론, 드레그 동작 또는 멀티터치 드레그 동작 후 터치를 중지하지 않고 일정 시간 이상 지연시킬 경우, 반복 입력 등의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입력 시간을 보정하는 단계(S3-3) 중 터치 동작의 지연 시간을 보정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특정 키에 대해 터치 동작을 수행한 후 일정 시간 이내에 해당 특정 키를 다시 터치할 경우, 한번의 입력으로 간주하여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가 특정 키에 대해 터치 동작을 수행한 후 일정 시간 이후에 해당 특정 키를 다시 터치할 경우, 두 번의 입력(더블 클릭)으로 판단한다.Correcting the input time (S 3-3 ) corrects an input time error of the user when the user performs a touch operation, a multi-touch operation, a drag operation, or a multi-touch drag operation. At this time, the step of correcting the delay time of the drag operation during the step (S 3-3 ) of correcting the input time is to stop the touch after a delay within a certain time without stopping the touch after the drag operation or multi-touch drag operation It may be determined by a general touch operation. Of course, if a delay is delayed for a predetermined time without stopping the touch after the drag operation or the multi-touch drag operation, an event such as a repeated input may be generated. In addition, the step of correcting the delay time of the touch operation during the step of correcting the input time (S 3-3 ), if the user touches the specific key again within a certain time after the touch operation on the specific key, This can be done by considering the input of. Of course, if the user touches the specific key again after a certain time after performing a touch operation on the specific key, it is determined as two inputs (double clicks).
입력 순서를 보정하는 단계(S3-4)는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할 때, 문자 입력 순서의 실수를 보정한다. 이는 사용자가 문자의 입력 순서를 잘못 입력할 경우, 즉, 한글 입력에서 모음과 자음의 순서를 반대로 입력할 경우, 해당 입력된 자음과 모음을 저장한 후 이를 다시 배열하여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를 표현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Correcting the input order (S 3-4 ), when a user inputs a character, corrects a mistake in the character input order. This is because when the user inputs a letter in the wrong order, that is, when the vowel and consonant are reversed in the Hangul input, the corresponding consonant and the vowel are saved and rearranged. Can be done by expression.
입력을 분류하는 단계(S4)는 터치의 시작 위치와 터치의 종료 위치를 감지함에 따라 취득된 터치 시작 위치 정보와 터치 종료 위치 정보 및 터치 타입 정보(터치 또는 멀티터치)에 따라 입력을 분류한다. 또한, 이러한 분류에 따라, 사용자의 입력은 터치 모듈의 일 지점만을 가압한 터치, 터치 모듈의 일 지점에서 타 지점까지 가압한 상태로 이동한 드레그, 터치 모듈의 둘 이상의 지점을 동시에 가압한 멀티터치, 터치 모듈의 둘 이상의 지점을 동시에 가압한 상태로 특정 지점까지 이동한 멀티터치 드레그로 분류될 수 있다.In step S 4 , the input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ouch start position information, the touch end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touch type information (touch or multi-touch) obtained by detecting the start position and the end position of the touch. . In addition, according to this classification, the user's input is a touch that presses only one point of the touch module, a drag moved while pressing from one point of the touch module to another point, and a multi-touch that presses two or more points of the touch module simultaneously. The multi-touch drag may be classified as a multi-touch drag that moves to a specific point while simultaneously pressing two or more points of the touch module.
문자를 병합하는 단계(S5)는 취득된 터치 시작 위치 정보와 터치 종료 위치 정보 및 터치 타입 정보 및 이에 따라 분류된 입력에 따라 문자 병합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한다. 본 실시예는 문자입력 방법을 통해 입력되는 언어를 한글과 영어로 예시하며, 이에 따라, 문자를 병합하는 단계는 언어를 설정하는 단계에서 설정된 언어에 따라 한글을 위한 자음과 모음을 버퍼에 저장하는 단계(S5-1-1)와, 자음과 모음을 병합하는 단계(S5-1-2) 또는 영어를 위한 알파벳을 저장하는 단계(S5-2-1)와 알파벳을 병합하는 단계(S5-2-2)를 포함한다.In the merging of the characters (S 5 ), the characters are merged according to the acquired touch start position information, touch end position information and touch type information, and the input classified accordingly, and displayed to the user. This embodiment exemplifies a language input through a character input method in Korean and English. Accordingly, in the merging of characters, the consonants and vowels for the Korean characters are stored in a buffer according to the language set in the language setting step. Merging the alphabet with step S 5-1-1 , merging consonants and vowels (S 5-1-2 ), or storing alphabets for English (S 5-2-1 ); S 5-2-2 ).
자음과 모음을 버퍼에 저장하는 단계(S5-1-1)는 취득된 터치 시작 위치 정보와 터치 종료 위치 정보 및 터치 타입 정보 및 이에 따라 분류된 입력에 따라 최종 결정된 자음과 모음을 병합하기 전 버퍼에 저장한다. 이는 사용자가 입력한 자음의 종음과 모음의 종음을 사용자가 입력한 순서대로 나열하거나 결합할 경우 정상적인 문자가 구현될 수 없으므로 자음의 종음과 모음의 종음을 병합하기 전 버퍼에 저장한다.Storing the consonants and vowels in the buffer (S 5-1-1 ) may be performed before merging the consonants and vowels final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acquired touch start position information, touch end position information and touch type information, and the classified input accordingly. Store in a buffer. This means that if the user's input consonants and vowels are listed or combined in the order entered by the user, normal characters cannot be implemented. Therefore, the consonants and vowels are stored in the buffer before merging.
자음과 모음을 병합하는 단계(S5-1-2)는 버퍼에 저장된 자음의 종음과 모음의 종음 중 문자로 결합될 수 있는 자음의 종음과 모음의 종음을 병합한다.Merging the consonants and the vowels (S 5-1-2 ) merges the final consonants and the vowels of the vowels, which can be combined into letters among the final consonants and the vowels stored in the buffer.
알파벳을 저장하는 단계(S5-2-1)는 알파벳을 병합하기 전 버퍼에 사용자가 입력한 알파벳을 저장한다. 물론, 영어는 입력되는 알파벳을 순서대로 나열해도 문자를 구현하는데 문제가 없으므로 알파벳을 저장하는 단계는 생략될 수도 있다.Saving the alphabet (S 5-2-1 ) stores the alphabet entered by the user in the buffer before merging the alphabet. Of course, English has no problem in implementing the letters even if the alphabetical order is input, the step of storing the alphabet may be omitted.
알파벳을 병합하는 단계(S5-2-2)는 사용자가 입력하거나, 버퍼에 저장된 알파벳을 병합한다.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단어와, 단어를 나열한 문장이 완성된다.Merging the alphabet (S 5-2-2 ) merges the alphabet entered by the user or stored in the buffer. This finally completes the word the user wants and a sentence listing the word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 방법은 사용자의 입력에 오차가 있더라도 이를 보정하여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를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 방법은 하나의 키에 터치 입력 동작과 8방향의 입력 동작을 지원하여 하나의 키에 멀티 터치를 포함하여 최대 18가지의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 방법은 'SPACE' 키에 터치 입력 동작과 멀티 터치를 포함하여 최대 8방향의 입력 동작을 지원하여 'SPACE' 키가 입력 동작에 따라 '백 스페이스'키와 '스페이스' 키 및 '엔터'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orrect the user's input even if there is an error, thereby accurately inputting the character that the user wants to input. In addition, 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a touch input operation and an eight-direction input operation on one key, so that up to 18 characters including multi-touch may be input on one key. In addition, 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the input operation of up to 8 directions including the touch input operation and the multi-touch in the 'SPACE' key, so that the 'SPACE' key is 'backspace' and 'space' according to the input operation. The operation of the 'key and the' enter 'key can be performed.
이상에서는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nd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 can understan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 시스템의 개념도.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character inpu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 시스템의 한글 자판 모듈.2 is a Hangul keyboard module of the character inpu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 시스템의 공백키를 설명하기 위한 'SPACE' 키의 개념도.3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PACE' key for explaining a blank key of the character inpu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 시스템의 입력 각도 보정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축도면.4 and 5 are axial views for explaining the input angle correction module of the character inpu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 시스템의 입력 길이 보정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터치스크린 모듈의 개략 단면도.Figure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touch screen module for explaining the input length correction module of the character inpu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 시스템의 보호필름을 도시한 평면도.7 is a plan view showing a protective film of the character inpu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 방법의 순서도.8 is a flow chart of a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터치스크린 모듈 200: 자판 모듈100: touch screen module 200: keyboard module
300: 입력처리 모듈 320: 터치 판단 모듈300: input processing module 320: touch determination module
322: 터치 모듈 324: 드레그 모듈322: touch module 324: drag module
326: 멀티터치 모듈 328: 멀티터치 드레그 모듈326: multi-touch module 328: multi-touch drag module
340: 입력 보정 모듈 342: 입력 각도 보정 모듈340: input correction module 342: input angle correction module
344: 입력 길이 보정 모듈 346: 입력 시간 보정 모듈344: input length correction module 346: input time correction module
348: 입력 순서 보정 모듈 400: 프로세싱 모듈348: input sequence correction module 400: processing module
500: 스피커 600: 모터500: speaker 600: motor
Claims (18)
Priority Applications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90126958A KR101117651B1 (en) | 2009-12-18 | 2009-12-18 | System for inputting a character and method for inputting a character |
| PCT/KR2010/006782 WO2011043574A2 (en) | 2009-10-08 | 2010-10-05 | System for inputting characters, and method for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90126958A KR101117651B1 (en) | 2009-12-18 | 2009-12-18 | System for inputting a character and method for inputting a character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10070222A KR20110070222A (en) | 2011-06-24 |
| KR101117651B1 true KR101117651B1 (en) | 2012-03-09 |
Family
ID=44401770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90126958A Expired - Fee Related KR101117651B1 (en) | 2009-10-08 | 2009-12-18 | System for inputting a character and method for inputting a characte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117651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990976B1 (en) * | 2012-10-12 | 2019-06-20 |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 System and method for correcting touch error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478020B1 (en) * | 1996-02-19 | 2005-10-07 | 미사와홈 가부시키가이샤 | On-screen key input device |
| KR100749557B1 (en) * | 2006-06-17 | 2007-08-16 | 박노수 | Character input device |
-
2009
- 2009-12-18 KR KR1020090126958A patent/KR10111765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478020B1 (en) * | 1996-02-19 | 2005-10-07 | 미사와홈 가부시키가이샤 | On-screen key input device |
| KR100749557B1 (en) * | 2006-06-17 | 2007-08-16 | 박노수 | Character input devic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10070222A (en) | 2011-06-24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0996851B2 (en) | Split virtual keyboard on a mobile computing device | |
| US9740399B2 (en) | Text entry using shapewriting on a touch-sensitive input panel | |
| US8281251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numerals for communication terminal | |
| US20100225592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numerals for communication terminal | |
| US8300023B2 (en) | Virtual keypad generator with learning capabilities | |
| KR100478020B1 (en) | On-screen key input device | |
| KR101636705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letter in portabl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 |
| JP2006524955A (en) | Unambiguous text input method for touch screen and reduced keyboard | |
| JP2003015808A (en) | Touch-type key input apparatus | |
| CN102177486A (en) | Communication device with multi-level virtual keyboard | |
| KR101632750B1 (en) | Method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using touch screen | |
| CN102279652A (en) | Electronic device and input method thereof | |
| KR101117651B1 (en) | System for inputting a character and method for inputting a character | |
| JP5463241B2 (en) | Input device | |
| JP4614505B2 (en) | Screen display type key input device | |
| KR101141728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in small eletronic device | |
| KR101384859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letter using touch-screen | |
| KR20110038426A (en) | Character input system and character input method | |
| JP6605921B2 (en) | Software keyboard program, character input device, and character input method | |
| WO2011043574A2 (en) | System for inputting characters, and method for same | |
| JP4027964B2 (en) | Keyboard sheet setting method | |
| EP2662752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acter entry 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 JP3766695B2 (en) | Screen display type key input device | |
| KR20090022111A (en) | Character input method and device | |
| KR20110079988A (en) | Hangul input method using a touch screen, Hangul input device and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the sam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5021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5021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