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5993B1 - An order tool for outdoor optical cable - Google Patents
An order tool for outdoor optical cab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25993B1 KR101125993B1 KR1020110102504A KR20110102504A KR101125993B1 KR 101125993 B1 KR101125993 B1 KR 101125993B1 KR 1020110102504 A KR1020110102504 A KR 1020110102504A KR 20110102504 A KR20110102504 A KR 20110102504A KR 101125993 B1 KR101125993 B1 KR 10112599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munication cable
- strand
- support
- main body
- stranded wir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title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8
- 238000009966 trimming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677 Nyl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78 nyl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384 rear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6—Suspensions for lines or cables along a separate supporting wire, e.g. S-hook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06—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extensible carrier for the cable, e.g. self-coiling spring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 H02G7/205—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extending along a pole
Landscapes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신주에 설치되는 통신케이블 접속함의 양측으로 통신케이블을 연결할 때, 신규 가입자의 통신선을 연결하거나 보수작업을 고려하여 구비하는 통신케이블 여장을 통신케이블 접속함과 분리해제하지 아니하면서도 깔끔하고 간편하게 정리할 수 있고, J형 볼트를 이용하여 간편하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강연선에 장착이 용이한 옥외용 통신케이블 무여장 정리구에 관한 것이다
즉, 말굽형으로 절곡부가 형성되고 반대편은 통신케이블을 끼울 수 있도록 양측에 접속구멍부가 형성되는 정리구 본체가 구비되되 상기 본체는 단면이 반원형으로 통신케이블이 내삽가능하게 통신케이블 착설홈이 상,하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는 상,하부 지지관체와; 상기 본체의 접속구멍부 내측면에 위치하는 지지관체(에 일체로 연결되어 본체의 절곡형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정지지부와; 상기 지지관체의 일측을 상호 연결하는 형태로 구비되어 지지관체를 절첩할 수 있도록 하는 힌지 체결된 경첩부와; 상기 지지관체를 상호 대응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체결부와; 상기 지지관체의 및 고정지지부에 각각 J형 볼트를 결합하여 J형 볼트의 머리부에 강연선을 끼움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제1,2 강연선 고정부로 이루어진 강연선에 장착이 용이한 옥외용 통신케이블 무여장 정리구를 특징으로 한다.When the communication cable is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communication cable junction box installed in the telephone pol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eat and convenient arrangement without disconnecting the communication cable head which is provided in consideration of maintenance work or connecting the communication line of the new subscriber. It is related to the outdoor communication cable-less organizer which can be easily attached to the stranded wire, which can be fixed simply and firmly using the J-type bolt.
That is, the bent portion is formed in a horseshoe shape, the opposite side is provided with a rearranging body main body is formed in the connection hole on both sides so that the communication cable can be inserted into the semi-circular cross section of the communication cable installation groove, Upper and lower support bodie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lower part; A fixed support part integrally connected to a support tube body located on the inner side of the connection hole of the main body so as to maintain a bent shape of the main body; A hinged hinge portion configured to allow a hinge to be coupled to each other, a coupling portion configured to allow the support tube to be mutually coupled to each other, and a J-type bolt coupled to each of the support tube body and the fixed support portion to form a stranded wire at the head of the J-type bolt.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door telecommunication cable is equipped with an easy-to-mount communication cable consisting of the first and second strand wire fixing portion for fixing the fitt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강연선에 장착이 용이한 옥외용 통신케이블 무여장 정리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전신주에 설치되는 통신케이블 접속함의 양측으로 통신케이블을 연결할 때, 신규 가입자의 통신선을 연결하거나 보수작업을 고려하여 구비하는 통신케이블 여장을 통신케이블 접속함과 분리해제하지 아니하면서도 깔끔하고 간편하게 정리할 수 있고, J형 볼트를 이용하여 간편하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강연선에 장착이 용이한 옥외용 통신케이블 무여장 정리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utdoor communication cable unpacking arrangement that can be easily mounted on the stranded wire, more specifically, when connecting the communication cable to both sides of the communication cable junction box installed in the telephone pole, connecting the communication line of the new subscriber or repair work It is possible to cleanly and easily organize the communication cable cabinets that are considered in consideration without separating them from the communication cable junction box, and the outdoor communication cable which is easy to be installed on the stranded wire that can be fixed simply and firmly using the J-type bolt. It is about organizing phrases.
일반적으로 전신주에 통신케이블이 설치되는 구조를 살펴보면, 일정 거리 간격으로 설치되는 전신주들의 상부는 강연선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강연선과 함께 통신케이블이 설치되는데, 상기 통신케이블은 강연선에 걸쳐지는 후크를 통해 상기 강연선에 체결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In general, when looking at the structure in which the communication cable is installed in the telephone poles, the upper poles of the telephone pole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terval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stranded wire, the communication cable is installed along with the stranded wire, the communication cable is hooked over the stranded wire It is installed in a structure that is fastened to the strand through.
상기와 같이 전신주의 강연선에 후크를 통해 걸쳐지는 구조로 설치되는 통신케이블은 일정 길이마다 통신케이블 접속함을 통해 연결되는데, 통상적으로 상기 통신케이블 접속함은 전신주에 설치되어 두 개의 통신케이블을 연결하는 것이 보통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communication cable installed in the structure of the hook over the pole of the telephone pole is connected through a communication cable connection box every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communication cable connection box is typically installed in the telephone pole to connect two communication cables. Is common.
즉, 전신주의 상부에는 통신케이블 접속함이 설치되고, 그 양측에는 강연선을 통해 전신주 사이에 체결되는 서로 다른 통신케이블의 단부를 상기 통신케이블 접속함을 통해 연결하게 된다.
That is, a communication cable junction box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telephone pole, and both ends thereof connect end portions of different communication cables which are fastened between the telephone poles through a stranded wire through the communication cable connection box.
한편, 상기 통신케이블은 그 특성상 해당 통신망에 새로운 고객이 가입하게 되면, 상기 통신케이블 접속함과 연결되는 통신케이블로부터 일부 통신선을 뽑아내어 신규가입자의 통신선과 연결해 주어야 하는데, 이러한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통신케이블이 좀 더 필요한 경우가 많으므로, 상기 통신케이블 접속함에 연결되는 통신케이블의 말단에는 여장을 구비하여 두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communication cable, when a new customer joins the communication network due to its characteristics, it is necessary to extract some communication lines from the communication cabl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cable connection box and connect them with the communication line of the new subscriber. Since a communication cable is more necessary in many cases, a terminal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communication cabl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cable connection box.
상기와 같이 전신주에 설치되는 통신케이블 접속함의 양측에 형성되는 통신케이블 여장은 반경 50여 센티미터 정도의 원형으로 통신케이블이 여러번 권취된 형태로 매달아놓은 것으로, 상기 전신주가 도로가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은 점을 고려할 때 미관이 매우 좋지 아니하고, 하나의 전신주에 여러 전력케이블을 비롯하여 여러 통신케이블이 교차설치되는 경우에는 미관이 매우 흉할 뿐 아니라 여러 전력케이블 또는 통신케이블의 교차설치로 인하여 케이블 관련 보수가 용이하지 아니할 뿐 아니라 상기 케이블끼리 합선되는 상황이 발생할 우려가 매우 크다.
As described above, the communication cable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mmunication cable junction box installed in the telephone pole is a round of about 50 centimeters in the form of the communication cable is wound several times, the telephone pole is often installed on the road Considering this point, the aesthetics are not very good, and if multiple communication cables including multiple power cables are installed in one telephone pole, the aesthetics are very unsatisfactory and cable maintenance is easy due to the cross installation of multiple power cables or communication cables. Not only tha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a situation in which the cables are shorted occurs.
그리고 선행기술로서 본 발명자에 의하여 특허 제20-0454611호로 개시된 옥외용 통신케이블 무여장 정리구에서는 본 발명은 말굽형으로 절곡형성된 통로형으로서 단면은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통신케이블이 내삽 가능한 통신케이블 착설홈이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대응되게 단면이 반원형인 통로형으로 형성되는 덮개부와; 상기 본체부의 개방면과 덮개부의 개방면 양측에 각각 대응되게 형성되되, 나사체결이 가능한 플랜지형으로 형성되는 체결부와; 일정 두께의 판상으로서 상기 본체부의 일측면에 고정체결되어 본체부의 절곡된 형태를 유지케 하는 고정지지부와; 상기 본체부 개방면의 외둘레 일측과 그에 대응되는 덮개부 개방면의 외둘레 일측을 힌지체결하는 경첩부;로 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In the prior art,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munication cable without the opening of the communication cable is disclosed in the patent No. 20-0454611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ssage type bent in the shape of a horseshoe is formed in a semi-circular cross-section and the communication cable interpolated therein A main body portion having a mounting groove formed thereon; A cover part formed in a passage shape having a semicircular cross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main body part; A fastening part which is formed to correspond to both the open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and the open surface of the cover part, respectively, and is formed in a flange shape capable of screwing; A fixed support part fix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part as a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to maintain a bent shape of the main body part; Consists of a hinge portion hinged to one side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main body opening surface and the outer side of the cover portion opening surface corresponding thereto.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새로운 통신망 가입자의 통신선과 연결을 하거나 통신케이블 보수에 필요한 통신케이블 여장을 통신케이블 접속함과 분리하지 아니하고 원형으로 권취되어 있던 것을 풀어내어 기존 통신케이블이 체결되어 있던 강연선에 상기 풀어낸 통신케이블을 또 한번 더 겹치게 체결하는 이중 체결로써 여장이 없는 것처럼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되었으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내용을 기반으로 하는 또 다른 무여장 정리구를 제공함에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cable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line of the new network subscriber or the cable cable for repairing the communication cable is disconnected from the communication cable junction box and the cable is wound in a circular shape. The double communication fastening the unfolded communication cable overlaps again and again to be able to be neatly organized as if there is no heading,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other heading organizer based on the technical content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새로운 통신망 가입자의 통신선과 연결을 하거나 통신케이블 보수에 필요한 통신케이블 여장을 통신케이블 접속함과 분리하지 아니하고 원형으로 권취되어 있던 것을 풀어내어 기존 통신케이블이 체결되어 있던 강연선에 상기 풀어낸 통신케이블을 또 한번 더 겹치게 체결하는 이중 체결로써 여장이 없는 것처럼 깔끔하게 정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신케이블 삽입할 수 있는 착설홈이 형성되고 말굽형으로 이루어진 상하 지지관체로 이루어진 본체의 체결이 용이하면서 J형 볼트를 이용하여 본체를 강연선에 간편하고 견고하게 걸 수 있도록 하여 작업능률을 높이면서 외관이 미려하도록 한 강연선에 장착이 용이한 옥외용 통신케이블 무여장 정리구를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possible to connect the communication line of the new communication network subscribers or to solve the communication cable is necessary to repair the communication cable without the separation of the communication cable junction box that was wound in the original The upper and lower support tubes made of horseshoe type are formed with a groove for inserting a communication cable, which is arranged to neatly arrange it as if there is no heading by double fastening of the communication cable once again overlapped on the stranded wire to which the communication cable was fastened. It is easy to fasten the main body consisting of J-type bolts, so that the main body can be easily and firmly hooked on the stranded wire to increase work efficiency and make the exterior beautiful. The purpose.
말굽형으로 절곡부가 형성되고 반대편은 통신케이블을 끼울 수 있도록 양측에 접속구멍부가 형성되는 정리구 본체가 구비되되 상기 본체는 단면이 반원형으로 통신케이블이 내삽가능하게 통신케이블 착설홈이 상,하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는 상,하부 지지관체와; 상기 본체의 접속구멍부 내측면에 위치하는 지지관체에 일체로 연결되어 본체의 절곡형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정지지부와; 상기 지지관체의 일측을 상호 연결하는 형태로 구비되어 지지관체를 절첩할 수 있도록 하는 힌지 체결된 경첩부와; 상기 지지관체를 상호 대응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체결부와; 상기 지지관체의 및 고정지지부에 각각 J형 볼트를 결합하여 상기 J형 볼트의 머리부에 강연선을 끼움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제1,2 강연선 고정부;로 이루어져서 강연선에 장착이 용이한 옥외용 통신케이블 무여장 정리구를 특징으로 한다.
A bend is formed in a horseshoe shape, and the opposite side is provided with a rearranging main body having connection holes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so that the communication cable can be inserted into a semicircular cross section. An upper and lower support tubes formed to be formed; A fixed support part integrally connected to a support tube positioned on the inner side of the connection hole part of the main body to maintain a bent shape of the main body; A hinged hinge portion provided to form one side of the support tube body so as to interconnect the support tube body; A fastening part to allow the support pipe to be coupled to each other; Outdoor communication cable that is easy to install on the stranded wire consisting of; first and second stranded wire fixing part for coupling the J-type bolts to the support pipe and the fixed support respectively to fit the stranded wire to the head of the J-type bolt; Characterized by a no dressing tool.
또한, 상기 지지관체의 체결부는 상부 지지관체에 걸편이 형성되고 하부 지지관체에 걸편이 끼워질 수 있는 걸림홈이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하부 지지관체를 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support pipe body is formed in the upper support pipe is formed with a locking groove that can be fitted into the hook and the lower support pip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and lower support pipes can be fastened.
또한, 상기 경첩부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고정지지부의 일측에 볼트체결부를 구비하여 고정지지부를 볼트로 체결 고정하게 됨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olt fastening portion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xed support portion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hinge portion to fasten and fix the fixed support portion with a bolt.
또한, 상기 제1 강연선 고정부는 상부 지지관체의 절곡된 중앙 내측단에 강연선이 끼워지는 J형 볼트의 머리부가 삽입되어 너트로 체결할 수 있는 제1 결합관이 일체로 형성되고, 제2 강연선 고정부는 하부 고정지지부에 관통되게 상부 고정지지부의 중앙에 직교로 J형 볼트의 머리부가 삽입되어 너트로 체결할 수 있는 제2 결합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first strand wire fix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head of the J-type bolt is inserted into the bent central inner end of the upper support pipe body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st coupling pipe that can be fastened with a nut, the second strand wire fixed The par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coupling pipe which can be fastened with the nut is inserted into the head of the J-shaped bolt perpendicularly to the center of the upper fixed support to penetrate the lower fixed support.
또한, 상기 J형 볼트의 머리부는 강연선이 끼워질 수 있는 크기로 일측이 개구되어 있고 머리부의 곡면 크기는 강연선의 굵기와 같은 크기를 갖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head of the J-type bol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ne side is opened to the size that the strand can be fitted and the curved surface size of the head to have the same size as the thickness of the strand.
또한, 상기 제1,2 강연선 고정부에 J형 볼트를 체결하여 본체의 중심선상으로 강연선이 장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J-type bolts are fastened to the first and second strand wire fixing portions so that the strand wire is mounted on the centerline of the main body.
또한, 상기 제1,2 결합관의 상부는 J형 볼트의 머리부가 안착될 수 있는 삽지부가 형성되고 삽지부의 벽면에 강연선 안내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ip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ion portion to be seated on the head of the J-shaped bolt is formed and the strand guide groove is formed on the wall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또한, 상기 안내홈은 벽면에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강연선이 안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guide groove is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on the wal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and is seated.
본 발명은 종래 전신주의 상부에 설치되는 통신케이블 접속함과 그 양측으로 여러번 둥글게 권취하여 구비하였던 종래의 통신케이블 여장을 마치 없는 것 같이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도록 하면서 통신케이블 접속함과 통신케이블이 연결된 상태에서도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정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communication cable junction box and the communication cabl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cable junction box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telephone pole and the conventional communication cable was provided by rounded both times on both sides as if there is no neatly arranged neatly.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organized easily and efficiently.
또, 통신케이블 접속함에 연결된 통신케이블의 여장을 절단하거나 분리해제하지 아니하고도, 연결된 상태에서 무여장인 것처럼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전신주 상부와 같은 높은 위치에서 J형 볼트를 이용하여 본체를 강연선에 간편하고 견고하게 걸 수 있게 되어 작업능률을 높이면서 외관이 미려하고 안정된 설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without cutting or disconnecting the cable of the communication cabl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cable box, the main body can be neatly arranged using J-type bolts at a high position such as the upper part of the telephone pole without necessity of cutting or disconnecting the cable. It can be easily and firmly hooked on, thus improving work efficiency while maintaining a beautiful and stable installation state, thereby preventing safety accident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통신케이블 무여장 정리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통신케이블 무여장 정리구의 구성을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통신케이블 무여장 정리구의 사용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통신케이블 무여장 정리구의 펼친상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통신케이블 무여장 정리구에서 본체를 J형 볼트를 이용하여 강연선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 및 일부확대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통신케이블 무여장 정리구의 실시예시도
도 7은 전신주의 강연선에 설치되는 본 발명에 의한 통신케이블 무여장 정리구의 전체 사용예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mmunication cable without the rearranging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mmunication cable without the rearranging arrang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illustration of the use of the communication cable without the rearranging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mmunication cable without the rearranging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ain body is mounted on the strand using a J-type bolt in the communication cable without the rearing arrang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view of a communication cable without a rearranging arrang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xample of the overall use of the communication cable without the rearranging arrang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on the pole of the telephone pol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강연선에 장착이 용이한 옥외용 통신케이블 무여장 정리구는, 통상적으로 전신주(E)의 통신케이블 접속함(B)에 통신케이블(D)을 연결하되 추후 신규 가입자의 통신선과 연결하거나 보수작업을 할 때에 여분의 통신케이블(D)이 필요한 경우가 많으므로 여장의 통신케이블을 구비하게 된다.
The outdoor communication cable unpacking arrangement that is easy to be attached to the strand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connecting the communication cable (D) to the communication cable junction box (B) of the telephone pole (E) in general, but later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line of the new subscriber or repair work The extra communication cable (D) is often needed when doing so, so you will have a communication cable.
이때, 상기 통신케이블 여장을 형성할 때 기존에는 원형으로 여러번 권취하여 전신주(E)에 설치되는 강연선(A)에 걸쳐놓게 되는데, 이러한 형태는 환경미화적인 관점에서 볼 때, 도로 주변의 미관을 현저하게 손상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In this case, when forming the communication cable gown, it is conventionally wound several times in a circle and laid over the strand A installed on the telephone pole E. This form, from the point of view of environmental beautification, remarkably aesthetics around the road. It causes the damage.
이에 따라, 상기 여분의 통신케이블(D)을 한 곳에 집중적으로 권취하여 구비할 것이 아니라 통신케이블 접속함(B)과의 연결상태는 그대로 두되, 원형으로 여러번 권취된 상태로 강연선(A)에 걸쳐져 있던 기존의 통신케이블 여장을 길게 풀어내어 여타 통신케이블(D)과 마찬가지로 강연선(A)에 나란하게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마치 무여장인 것처럼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Accordingly, the redundant communication cable (D) is not intensively wound and provided in one place, but the connection state with the communication cable connection box (B) is left as it is, and is wound over the strand (A) in a state of being wound several times in a circle. By loosening the existing communication cable length that existed in the same way as the other communication cable (D) and side by side to the strand (A), so that it can be arranged neatly as if it is not.
이때, 상기 강연선(A)에 나란히 걸쳐지는 통신케이블(D)은 일측이 말발굽 형태로 절곡되어 강연선(A)에 걸쳐지는데, 이러한 구조는 형성하기가 용이하지 아니할 뿐더러 상기 통신케이블(D)의 절곡된 부분은 단선이 발생할 우려가 매우 크므로, 이에 본 발명에 의한 통신케이블 무여장 정리구를 이용하여 통신케이블(D)의 단선을 방지하면서 J형 볼트(64)를 이용하여 강연선(A)에 간편하고 견고하게 걸쳐지도록 하여 통신케이블 여장이 없는 것처럼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At this time, the communication cable (D) that extends parallel to the strand (A) is one side is bent in the form of a horseshoe is stretched over the strand (A), such a structure is not easy to form and also the bending of the communication cable (D) Since the disconnected part is very likely to cause disconnection, the communication cable 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o prevent the disconnection of the communication cable D while preventing the disconnection of the communication cable D to the stranded wire A using the J-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통신케이블 무여장 정리구는, 말굽형으로 절곡부(12)가 형성되고 반대편은 통신케이블을 끼울 수 있도록 양측에 접속구멍부(14)가 형성되는 정리구 본체(10)가 구비되되 상기 본체(10)는 단면이 반원형으로 통신케이블(D)이 내삽가능하게 통신케이블 착설홈(22)이 상,하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는 상,하부 지지관체(20)(20')와; 상기 본체(10)의 접속구멍부(14) 내측면에 위치하는 지지관체(20)(20')에 일체로 연결되어 본체(10)의 절곡형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정지지부(30)(30')와; 상기 지지관체(20)(20')의 일측을 상호 연결하는 형태로 구비되어 지지관체(20)(20')를 절첩할 수 있도록 하는 힌지 체결된 경첩부(40)와; 상기 지지관체(20)(20')를 상호 대응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체결부(50)와; 상기 상부 지지관체(20) 및 상부 고정지지부(30)에 각각 J형 볼트(64)를 결합하여 J형 볼트(64)의 머리부(64a)에 강연선(A)을 끼움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제1,2 강연선 고정부(61)(62)로 이루어져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cable-less organizer is provided with a
상기 지지관체(20)(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단면이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통로형으로서, 그 내측에는 통신케이블 착설홈(2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통신케이블 착설홈(22)의 반경은 통신케이블(D)이 여유있게 착설가능한 정도의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상,하부 지지관체(20)(20')는 경첩부(40)를 기준으로 펼친 상태에서 본체(10)의 양측 접속구멍부(14)를 통해 통신케이블이 끼우질 수 있도록 하부 지지관체(20')의 착설홈(22)에 통신케이블(D)을 절곡하여 끼우고, 끼워진 상기 통신케이블(D)의 상측으로 상부 지지관체(20)를 덮게 되면, 상기 통신케이블(D)의 절곡된 부분은 말굽형으로 절곡형성되는 지지관체(20)(20')에 감싸지게 됨에 따라 절곡된 형태를 유지하게 되어 강연선(A)과 이중으로 나란하게 체결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The upper and
아울러, 상기 지지관체(20)(20')의 일측을 상호 연결하는 형태로 경첩부(40)롤 힌지 체결하여 주면 상기 지지관체(20)(20')를 경첩부(40)를 기준으로 절첩하여 지지관체(20)(20')의 착설홈(22)이 개방되도록 하는 펼친상태가 되거나 지지관체(20)(20')가 대응되게 결합되어 착설홈(22)이 통로형을 이루도록 하므로 이에 따라, 전신주의 상부와 같은 높은 위치에서 통신케이블(D)의 절곡되는 부분에 보다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상기 지지관체(20)(20')의 체결부(50)는 상부 지지관체(20)에 걸편(52)이 형성되고 하부 지지관체(20')에 걸편(52)이 끼워질 수 있는 걸림홈(54)이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하부 지지관체(20)(20')를 결합위치로 대응시킨 다음 걸편(52)과 걸림홈(54)을 끼움 체결하여 통신케이블(D)이 끼워진 상태로 상,하 지지관체(20)(20')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된다.
The
또한, 상기 지지관체(20)(20')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경첩부(40)와 반대편에 위치하는 고정지지부(30)(30')의 일측에 구비한 볼트체결부(32)에 볼트(34)로 체결고정함으로써 고정지지부(30)(30')가 긴밀하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지지관체(20)(20')가 체결부(50)와 함께 체결되어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In addi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또한, 상기 지지관체(20)(20')는 금속재로 형성하므로 잘 휘어지지 아니하나, 인장력이 높아 절곡하기가 용이하지 아니한 통신케이블(D)을 억지로 절곡시키는 것이므로, 오랜 기간동안 사용하게 되면, 절곡정도가 벌어지게 되는 경우가 생길 우려가 있으나, 이를 고정지지부(30)(30')에 의해 휘어지지 아니하고 초기의 절곡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즉, 상기 고정지지부(30)(30')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는 일정 두께의 판넬형으로 형성하여 상기 말굽형으로 절곡된 지지관체(20)(20')에 일체로 연결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통신케이블(D)을 착설하더라도, 본체(10)의 일측부와 타측부의 간격은 고정지지부(30)(30')에 의해 벌어지지 아니하고 초기의 절곡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since the
상기 제1 강연선 고정부(61)는 상부 지지관체(20)의 절곡된 중앙 내측단에 강연선이 끼워지는 J형 볼트(64)의 머리부(64a)가 삽입되어 너트(66)로 체결할 수 있는 제1 결합관(71)이 일체로 형성되고, 제2 강연선 고정부(62)는 하부 고정지지부(30')에 관통되게 상부 고정지지부(30)의 중앙에 직교로 J형 볼트(64)의 머리부(64a)가 삽입되어 너트(66)로 체결할 수 있는 제2 결합관(72)이 형성되어 J형 볼트(64)를 체결하는 수단으로 본체(10)의 중심선상으로 강연선(A)이 장착되게 함으로써 본체(10)를 안정적으로 걸 수 있게 된다.
The first strand
상기 J형 볼트(64)를 나사결합으로 체결하는 너트(66)는 풀림방지용 너트를 사용하되 너트(66)의 나사산 일측에 나일론 수지 등으로 이루어져서 강한 마찰저항을 발휘하는 풀림방지부재(66a)가 구비되어 J형 볼트(64)의 나사산이 풀림방지부재(66a)를 파고 들어가 변형되는 수단으로 마찰 증대가 이루어져 풀림방지를 하게 된다.
The
즉, 본체(10)를 강연선(A)에 걸어 장착하게 될 때 본체(10)가 중심선상으로 놓여지게 되어 제1,2 결합관(71)(72)에 의해 안정되게 걸려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됨과 아울러 강연선(A)에 본체(10)를 장착하는 경우에도 J형 볼트(64)를 체결하는 수단으로 J형 볼트(64)의 머리부(64a)에 끼워지는 강연선(A)을 장착하게 되므로 전신주 상부와 같은 높은 위치에서도 강연선(A)의 본체(10)의 걸이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That is, when the
또한, 상기 J형 볼트(64)의 머리부(64a)는 강연선(A)이 끼워질 수 있는 크기로 일측이 개구되어 있고 머리부(64a)의 곡면 크기는 강연선(A)의 굵기와 같은 크기를 갖도록 하여 J형 볼트(64)의 머리부(64a)에 끼워진 강연선(A)이 긴밀히 밀착된 상태로 체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강연선(A)이 미끌림없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제1,2 결합관(71)(72)의 상부는 J형 볼트(64)의 머리부(64a)가 안착될 수 있는 상광하협상의 삽지부(74)가 형성되고 삽지부(74)의 벽면(76)에 강연선 안내홈(78)이 형성되어 J형 볼트(64)의 머리부(64a)를 삽지부(74)내에서 너트(66)로 조임이 이루어지도록 하면 머리부(64a)에 끼워지는 강연선(A)이 안내홈(78)에 밀착된 상태로 지지되어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And the upper part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ipes (71, 72) is formed of the
상기 강연선 안내홈(78)은 삽지부(74)의 벽면(76)에 상향 개구된 반구형으로 구비되어 강연선(A)의 하부 접촉부분은 안내홈(78)에 밀착된 상태로 안착되므로 강연선(A) 상부를 J형 볼트(64)의 머리부(64a)에 의해 누르는 압지작용이 이루어지게 되면 강한 압지상태로 체결된다.
The strand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의 강연선에 장착이 용이한 옥외용 통신케이블 무여장 정리구에서는 통상적으로 전신주(E)의 통신케이블 접속함(B)에 통신케이블(D)을 연결하되 추후 신규 가입자의 통신선과 연결하거나 보수작업을 할 때에 여분의 통신케이블(D)이 필요한 경우가 많으므로 여장의 통신케이블을 구비하게 되는 것으로서, 통신케이블(D)을 한 곳에 집중적으로 권취하지 않고 통신케이블 접속함(B)과의 연결상태는 그대로 두면서 원형으로 여러번 권취된 상태로 강연선(A)에 걸쳐져 있던 기존의 통신케이블 여장을 길게 풀어내어 여타 통신케이블(D)과 마찬가지로 강연선(A)에 나란하게 체결되도록 하여 마치 무여장인 것처럼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outdoor communication cable-free rearranging port which is easy to be mounted on the stranded wi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cable (D)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cable connection box (B) of the telephone pole (E), but then connected with the communication line of the new subscriber. In many cases, extra communication cable (D) is required when repairing or repairing. Therefore, a communication cable (D) is provided with a female communication cable. Leave the connection state as it is and wound up several times in a circular state, unscrewing the existing communication cable line that spans the strand (A), and then fasten it side by side to the line (A) like other communication cables (D). I can tidy it up neatly.
즉, 본 발명에 의한 통신케이블 무여장 정리구를 이용하되 말굽형으로 절곡부(12)가 형성되고 반대편은 통신케이블을 끼울 수 있도록 양측에 접속구멍부(14)가 형성되는 정리구 본체(10)에 의해 통신케이블(D)의 단선을 방지하면서 강연선(A)에 용이하게 걸쳐지도록 하여 통신케이블 여장이 없는 것처럼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using the communication cable without the rearranging organ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즉, 본체(10)의 양측 접속구멍부(14)를 통해 통신케이블이 끼우질 수 있도록 본체(10)에 구비된 지지관체(20)(20')를 경첩부(40)를 기준으로 절첩하여 지지관체(20)(20')의 착설홈(22)이 개방되도록 하는 펼친상태가 되도록 한 다음 하부 지지관체(20')의 착설홈(22)에 통신케이블(D)을 절곡하여 끼우고, 끼워진 상기 통신케이블(D)의 상측으로 상부 지지관체(20)를 덮어 체결하게 되면, 상기 통신케이블(D)의 절곡된 부분은 말굽형으로 절곡형성되는 지지관체(20)(20')에 감싸지게 됨에 따라 본체(10)내부에서 강연선(A)이 절곡된 형태를 유지하게 되어 강연선(A)가 이중으로 나란하게 체결된 상태가 된다.
That is, the
이러한 본체(10)를 강연선(A)에 걸어 장착하게 될 때는 상기 지지관체(20) 및 고정지지부(30)에 구비된 제1,2 강연선 고정부(61)(62)에 J형 볼트(64)를 각각 결합하는 수단으로 J형 볼트(64)의 머리부(64a)에 강연선(A)을 끼움 고정함으로서 본체(10)가 강연선(A)에 용이하게 체결이 된다.
When the
이때 본체(10)는 상부 지지관체(20)의 절곡된 중앙 내측단에 강연선이 끼워지는 J형 볼트(64)의 머리부(64a)가 삽입되어 너트(66)로 체결할 수 있는 제1 결합관(71)이 일체로 형성된 제1 강연선 고정부(61)와, 하부 고정지지부(30')에 관통되게 상부 고정지지부(30)의 중앙에 직교로 J형 볼트(64)의 머리부(64a)가 삽입되어 너트(66)로 체결할 수 있는 제2 결합관(72)이 형성되어 있는 제2 강연선 고정부(62)에 의해 본체(10)의 중심선상으로 강연선(A)이 장착되게 함으로써 본체(10)를 안정적으로 걸 수 있게 되고, J형 볼트(64)를 체결하는 수단으로 J형 볼트(64)의 머리부(64a)에 끼워지는 강연선(A)을 장착하게 되므로 전신주 상부와 같은 높은 위치에서도 본체(10)를 강연선(A)에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A : 강연선 B : 통신케이블 접속함
C : 통신케이블 인입구 D : 통신케이블
E : 전신주 10 : 본체
12 : 절곡부 14 : 접속구멍부
20,20' : 지지관체 22 : 착설홈
30,30' : 고정지지부 32 : 볼트체결부
34 : 볼트 40 : 경첩부
50 : 체결부 52 : 걸편
54 : 걸림홈 61,62 : 제1,2 강연선 고정부
64 : J형 볼트 64a : 머리부
66 : 너트 66a : 풀림방지부재
71,72 : 제1,2 결합관 74 : 삽지부
76 : 벽면 78 : 안내홈A: stranded wire B: communication cable connection box
C: Communication cable inlet D: Communication cable
E: telephone pole 10: main body
12: bend portion 14: connection hole portion
20,20 ': Supporting body 22: Installation groove
30,30 ': Fixed support part 32: Bolted part
34: bolt 40: hinge portion
50: fastening portion 52: hook
54: engaging
64:
66:
71,72: 1st, 2nd coupling tube 74: insertion part
76: wall 78: guide groove
Claims (9)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cable is fitted with the organizer 10, the main body 10 is the upper and lower support pipe body 20, 20 'and the communication cable installation groove 22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upper and lower; Fixed support parts 30 and 30 'integrally connected to the support pipe bodies 20 and 20'; A hinge portion 40 provided in a form of interconnecting one side of the support tube body 20 and 20 '; A fastening part 50 to allow the support pipe bodies 20 and 20 'to correspond to each other; The first coupled to the J-shaped bolts 64 to the support tube 20 and the fixed support 30, respectively, so that the strand (A) can be fitted to the head portion 64a of the J-shaped bolts 64. , 2 stranded wire fixing portion (61, 62); easy to be mounted on the stranded wir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munication cable for outdoor use.
상기 지지관체(20)(20')의 체결부(50)는 상부 지지관체(20)에 걸편(52)이 형성되고 하부 지지관체(20')에 걸편(52)이 끼워질 수 있는 걸림홈(54)이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하부 지지관체(20)(20')를 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연선에 장착이 용이한 옥외용 통신케이블 무여장 정리구.
The method of claim 1,
The fastening portion 50 of the support pipe body 20 and 20 'is a hooking groove in which a hook piece 52 is formed in the upper support pipe body 20 and the hook piece 52 can be fitted into the lower support pipe body 20'. (54) is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upper and lower support pipes 20, 20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of the outdoor communication cable is easy to install on the stranded wire characterized in that the arrangement.
상기 경첩부(40)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고정지지부(30)(30')의 일측에 볼트체결부(32)를 구비하여 고정지지부(30)(30')를 볼트(34)로 체결 고정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연선에 장착이 용이한 옥외용 통신케이블 무여장 정리구.
The method of claim 1,
A bolt fastening part 32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xed support part 30, 30 ′ located opposite the hinge part 40 to fasten and fix the fixed support part 30, 30 ′ with the bolt 34. Easy to install on the stranded wir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munication cable for outdoor use.
상기 제1 강연선 고정부(61)는 상부 지지관체(20)의 절곡된 중앙 내측단에 강연선이 끼워지는 J형 볼트(64)의 머리부(64a)가 삽입되어 너트(66)로 체결할 수 있는 제1 결합관(71)이 일체로 형성되고, 제2 강연선 고정부(62)는 하부 고정지지부(30')에 관통되게 상부 고정지지부(30)의 중앙에 직교로 J형 볼트(64)의 머리부(64a)가 삽입되어 너트(66)로 체결할 수 있는 제2 결합관(7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연선에 장착이 용이한 옥외용 통신케이블 무여장 정리구.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strand wire fixing portion 61 may be fastened with a nut 66 by inserting the head portion 64a of the J-shaped bolt 64 into which the strand is inserted into the bent central inner end of the upper support pipe 20. The first coupling pipe 71 is integrally formed, and the second strand wire fixing portion 62 is orthogonal to the center of the upper fixing support portion 30 so as to pass through the lower fixing support portion 30 '. The head portion 64a of the insertion is easy to install on the stranded wir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coupling pipe 72 is formed to fasten with the nut (66).
상기 J형 볼트(64)를 나사결합으로 체결하는 너트(66)는 나사산 일측에 강한 마찰저항을 발휘하는 풀림방지부재(66a)가 구비되어 J형 볼트(64)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연선에 장착이 용이한 옥외용 통신케이블 무여장 정리구.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nut 66 for fastening the J-shaped bolt 64 by screwing is provided with an anti-loosening member 66a exerting a strong frictional resistance on one side of the screw thread to prevent the J-shaped bolt 64 from loosening. Easy to install on the stranded wir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munication cable for outdoor use.
상기 J형 볼트(64)의 머리부(64a)는 강연선(A)이 끼워질 수 있는 크기로 일측이 개구되어 있고 머리부(64a)의 곡면 크기는 강연선(A)의 굵기와 같은 크기를 갖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연선에 장착이 용이한 옥외용 통신케이블 무여장 정리구.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head portion 64a of the J-shaped bolt 64 has a size to which the strand A can be fitted and is open at one side thereof, and the curved surface size of the head 64a has the same size as the thickness of the strand A. Easy-to-install communication cable for outdoor use on stranded wires.
상기 제1,2 강연선 고정부(61)(62)에 J형 볼트(64)를 체결하여 본체(10)의 중심선상으로 강연선(A)이 장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연선에 장착이 용이한 옥외용 통신케이블 무여장 정리구.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J-type bolts 64 are fastened to the first and second strand wire fixing portions 61 and 62 so that the strand wire A can be mounted on the center line of the main body 10. Outdoor communication cable no trimming organizer.
상기 제1,2 결합관(71)(72)의 상부는 J형 볼트(64)의 머리부(64a)가 안착될 수 있는 삽지부(74)가 형성되고 삽지부(74)의 벽면(76)에 강연선 안내홈(78)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연선에 장착이 용이한 옥외용 통신케이블 무여장 정리구.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ipes 71 and 72 is formed with an insertion portion 74 on which the head 64a of the J-shaped bolt 64 can be seated, and the wall surface 76 of the insertion portion 74. The telecommunication line is easy to be mounted on the stranded wire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anded guide groove 78 is formed in the outside.
상기 안내홈(78)은 벽면(76)에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강연선(A)이 안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연선에 장착이 용이한 옥외용 통신케이블 무여장 정리구.
The method of claim 8,
The guide groove 78 is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on the wall (76) so that the strand (A) is seated, characterized in that the easy to install on the stranded wire communication cable for outdoor communication.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10102504A KR101125993B1 (en) | 2011-10-07 | 2011-10-07 | An order tool for outdoor optical cab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10102504A KR101125993B1 (en) | 2011-10-07 | 2011-10-07 | An order tool for outdoor optical cable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125993B1 true KR101125993B1 (en) | 2012-03-20 |
Family
ID=46142168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10102504A Active KR101125993B1 (en) | 2011-10-07 | 2011-10-07 | An order tool for outdoor optical cabl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125993B1 (en)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11326647A (en) | 1998-05-11 | 1999-11-26 | Mitsubishi Cable Ind Ltd | Excessive-length housing metal fitting for optical fiber cable |
| JP2002311315A (en) | 2001-04-10 | 2002-10-23 | Kyushu Uchida Tanko Kk | Metal fitting for supporting surplus length part of optical fiber cable |
| KR200320788Y1 (en) | 2003-04-08 | 2003-07-22 | 정종삼 | Box for remaining cable |
| KR200454611Y1 (en) | 2011-03-21 | 2011-07-13 | (주)국제광엔지니어링 | Outdoor communication cable |
-
2011
- 2011-10-07 KR KR1020110102504A patent/KR10112599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11326647A (en) | 1998-05-11 | 1999-11-26 | Mitsubishi Cable Ind Ltd | Excessive-length housing metal fitting for optical fiber cable |
| JP2002311315A (en) | 2001-04-10 | 2002-10-23 | Kyushu Uchida Tanko Kk | Metal fitting for supporting surplus length part of optical fiber cable |
| KR200320788Y1 (en) | 2003-04-08 | 2003-07-22 | 정종삼 | Box for remaining cable |
| KR200454611Y1 (en) | 2011-03-21 | 2011-07-13 | (주)국제광엔지니어링 | Outdoor communication cable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20180031795A1 (en) | Spring assist cable clamps | |
| BRPI0710576A2 (en) | univerasal arm mounting on a connection terminal | |
| US9709192B1 (en) | Strap for suspending wires that is reconfigurable for various attachment systems | |
| US8744228B2 (en) | Telecommunications patching system with cable management system and related cable management equipment | |
| US20090104811A1 (en) | Extension cord featuring length adjustable ends | |
| KR200453855Y1 (en) | Cable hanger | |
| US6464179B1 (en) | System and method for mounting pendant light fixtures | |
| KR100584843B1 (en) | Optical Cable Branch Distribution Junction | |
| KR200454611Y1 (en) | Outdoor communication cable | |
| KR101125993B1 (en) | An order tool for outdoor optical cable | |
| US6325338B1 (en) | Bridle ring saddle | |
| JP5702239B2 (en) | Wiring / piping material fixing tool, wiring / piping material fixing structure and wiring / piping material fixing method | |
| EP1070894A2 (en) | Cable support and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 |
| KR101421942B1 (en) | Hanger for arranging optical cable | |
| US20190086003A1 (en) | Multi-sided cable clamps | |
| CN107078484A (en) | Adapters for use in cable channels and cable distribution systems | |
| KR102788808B1 (en) | Clamp for air branch | |
| KR100978133B1 (en) | Tee-type entry clamp | |
| KR101058873B1 (en) | Hanger for Cable Splitter | |
| KR20130001570U (en) | Cable supporting apparatus for communication cable | |
| CN215772364U (en) | Step type wire and cable bridge | |
| CN211878267U (en) | A kind of tensile fitting for optical cable | |
| KR100495559B1 (en) | connection apparatus of light weight buffer metal for a high-tension wire | |
| CN216530340U (en) | Groove type horizontal tee joint stable in installation | |
| CN220186176U (en) | Elbow type steel-plastic adapte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007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1110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100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3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3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3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27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1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11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3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3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30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3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1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20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