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7489B1 - Apparatus for reducing non-point pollution material of road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reducing non-point pollution material of roa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27489B1 KR101127489B1 KR1020110068780A KR20110068780A KR101127489B1 KR 101127489 B1 KR101127489 B1 KR 101127489B1 KR 1020110068780 A KR1020110068780 A KR 1020110068780A KR 20110068780 A KR20110068780 A KR 20110068780A KR 101127489 B1 KR101127489 B1 KR 10112748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inwater
- layer
- filter
- road
- hopp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의 비점 오염물질 저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의 비점 오염물질 저감 장치는 호퍼를 구비하여 우수받이의 내부로 유입되는 우수를 여과부로 배출한다. 또한 여과부의 여과층이 조립 가능한 복수의 모듈로 형성되어 설치 비용과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초기 우수는 여과부로 보내 비점 오염물질을 여과하고 강수량이 많은 경우에는 초기 우수가 아닌 우수는 호퍼의 상부로 넘치도록 하여 배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reducing non-point pollutants on roads. The apparatus for reducing non-point pollutants on roa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pper and discharges rainwater flowing into the rainwater receiver to the filtering unit. In addition, the filtration layer of the filtration unit is formed of a plurality of modules that can be assembled can reduce the installation cost and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itial rainwater may be sent to the filtration unit to filter the boiling point contaminants, and in the case of a large amount of precipitation, the rainwater that is not the initial rainwater may overflow to the top of the hopper to control the drainage rate.
Description
본 발명은 도로의 비점 오염물질 저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로변에 설치되는 우수받이의 내부로 유입되는 우수를 여과부로 배출하는 호퍼를 구비함으로써, 초기 우수는 여과부로 보내 비점 오염물질을 여과하고 강수량이 많은 경우에는 우수가 호퍼의 상부로 넘치도록 하여 배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도로의 비점 오염물질 저감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reducing non-point pollutants on a road, and more specifically, by having a hopper for discharging rainwater flowing into a rainwater receiver installed on a roadside to a filtering unit, the initial rainwater is sent to the filtering unit to remove the boiling point pollutants. In the case of filtering and heavy precipitation, it relates to a road non-point pollutant abatement apparatus that can control the drainage rate by flooding the rainwater to the top of the hopper.
비점 오염은 오염원이 일정한 장소가 있는 것이 아니라 유동적인 오염원에 의하여 오염되는 것을 말한다. 비점 오염물질은 주로 강우시 지표면 유출수와 함께 유출되는데, 대기 또는 지표면의 먼지, 쓰레기, 농지에 살포되는 비료 및 농약, 축사 유출물 등이 대표적이다. 특히 도로에는 기름과 중금속 등의 유독성 오염 물질이 많이 있어, 강우 초기에 비점 오염물질이 빗물에 섞여 높은 농도로 집중적으로 배출되는 경향이 있다. Non-point pollution refers to pollutants being polluted by a fluid source rather than having a specific place. Boiling point pollutants are mainly discharged along with surface runoff during rainfall. Representatives include airborne or ground dust, garbage, fertilizer and pesticides applied to farmland, and barn runoff. In particular, there are many toxic pollutants such as oil and heavy metals on the road, and in the early stages of rainfall, non-point pollutants are mixed with rainwater and tend to be concentrated at high concentrations.
일반적으로 도로에는 주로 빗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관이 매설되어 있으며, 도로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측구(側溝, side gutter)가 설치되어 빗물을 배수관으로 유도한다. 측구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우수받이가 설치되어 빗물이 우수받이로 모인 후 배수관으로 배출된다. 그러나 종래의 도로변 배수 시설은 단지 빗물을 신속하게 배출하는 것만을 목적으로 설계되어 도로에서 발생되는 비점 오염물질이 그대로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general, the drainage pipe is mainly buried in the road for draining rainwater, side gutters are installed on one or both sides of the road to induce rainwater to the drainpipe. Storm drains ar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so that rainwater collects in storm drains and is discharged into drains. However, the conventional roadside drainage facility has been designed for the purpose of only draining rainwater quick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non-point pollutants generated in the road as it is discharged.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도로의 비점 오염물질을 일차적으로 제거하는 장치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으며, 그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20060호 "경계석이 일체로 된 도로 비점오염 저감설비" 등과 같은 특허가 출원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발명은 경계석이 없는 곳에는 설치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로의 빗물 배수 시설에 비점 오염물질을 저감하는 장치를 설치하는 경우 배수 속도가 느려져 강수량이 많은 경우 주변이 침수되는 문제점도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interest in the apparatus for removing the non-point pollutants of the road primarily has increased, for example, Korean Patent No. 10-0920060, such as "Road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equipment integrated with boundary stone" Filed. However, this invention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install where there is no boundary stone. In addition, when installing a device for reducing the non-point pollutants in the rainwater drainage facility of the roa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rainage rate is slowed and the surroundings are flooded when there is a lot of precipitation.
따라서 도로에서 발생되는 비점 오염물질을 감소시키면서 배수 속도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는 도로의 비점 오염물질 저감 장치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device for reducing the non-point pollutants on the road while reducing the non-point pollutants generated on the road.
본 발명의 목적은 도로에서 발생되는 비점 오염물질을 저감할 수 있는 도로의 비점 오염물질 저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비점 오염물질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 초기 우수를 집중적으로 여과함으로써 배수 속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도로의 비점 오염물질을 저감할 수 있는 비점 오염물질 저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for reducing the boiling point pollutants on the road that can reduce the boiling point pollutants generated on the road.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oiling point pollutant reduction device that can reduce the boiling point pollutants on the road without affecting the drainage rate by intensively filtering the initial rainwater containing a lot of boiling point pollutant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여재층을 조립 가능한 복수의 모듈로 형성하여 설치가 용이하고 유지 관리가 편리한 도로의 비점 오염물질 저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on-point pollutant reducing device of the road is easy to install and easy to maintain by forming a plurality of modules that can be assembled to the media layer.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비점 오염물질 저감 장치는 우수받이와 여과부를 포함한다. 우수받이는 그레이팅 덮개와 호퍼를 구비한다. 그레이팅 덮개는 우수받이의 상측을 덮는다. 호퍼는 상단이 개방되어 있고 측면 상부에 배출구가 형성된다. 호퍼는 그레이팅 덮개의 하부에 위치하고, 그레이팅 덮개를 통해 호퍼로 유입된 우수는 일정량이 되면 배출구로 배출된다. 여과부는 저장조, 여재층, 배출 유도부를 구비한다. 저장조에는 호퍼의 배출구로 배출되는 우수가 유입된다. 여재층은 저장조의 하부에 위치하여 여재를 구비하여 우수가 여과된다. 배출 유도부는 여재층의 하부에 위치하여 우수의 배출을 유도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apparatus for reducing boiling point pollutants in a ro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ainwater receiver and a filter part. The storm receiver has a grating cover and a hopper. The grating cover covers the upper side of the storm receiver. The hopper is open at the top and has an outlet at the top of the side. The hopper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grating cover, and the rainwater introduced into the hopper through the grating cover is discharged to the outlet when a certain amount. The filtration section includes a reservoir, a filter bed, and a discharge induction section. Rainwater is discharged into the reservoir into the outlet of the hopper. The filter media layer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reservoir to provide the filter media and rainwater is filtered. The discharge induction part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media layer to induce the discharge of rainwat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비점 오염물질 저감 장치의 우수받이는 그레이팅 덮개와 호퍼 사이에 위치하여 이물질을 거르는 스크린을 더 구비할 수 있다. The rainwater contaminant reduction device of the roa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creen for filtering foreign matter located between the grating cover and the hopp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비점 오염물질 저감 장치에서 여과부의 여재층은 조립 가능한 복수의 모듈로 형성될 수 있다. In the apparatus for reducing boiling point pollutants in a ro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 media layer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modules that can be assembl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비점 오염물질 저감 장치에서 여과부의 여재층은 기름 흡착부을 더 구비할 수 있다. In the apparatus for reducing boiling point pollutants in a ro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 media layer may further include an oil adsorption uni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비점 오염물질 저감 장치에서 여과부의 여재층은 서로 다른 여재를 구비하는 복수의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층 사이에는 차단벽이 설치된다. 차단벽은 상호 어긋나게 위치하여 지그재그 여과 경로를 형성한다. In the apparatus for reducing boiling point pollutants in a roa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 media lay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layers having different media. Between each layer a barrier is installed. The barrier walls are alternately positioned to form a zigzag filtration path.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비점 오염물질 저감 장치에서 여과부의 배출 유도부는 불투수층의 바닥 위에 유공관을 설치하고 유공관 주변에 자갈을 채운 형태일 수 있다. In the apparatus for reducing the boiling point pollutant of the ro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harge induction part of the filtering unit may be in the form of installing a hole on the bottom of the impermeable layer and filling gravel around the hole.
본 발명은 도로변의 우수를 여과부에서 여과함으로써 도로에서 발생되는 비점 오염물질을 저감할 수 있다. 이 경우 호퍼를 통해 비점 오염물질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 초기 우수는 집중적으로 여과부로 유입시켜 여과시킴으로써 정화 효율을 높이고, 강수량이 많은 경우 우수가 호퍼의 상부로 넘치도록 하여 배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boiling point contaminants generated on the road by filtering the rain on the road side in the filtering unit. In this case, the initial rainwater containing a lot of non-point contaminants through the hopper may be concentrated and introduced into the filtration unit to increase the purification efficiency, and in case of precipitation, the rainwater may overflow to the top of the hopper to control the drainage rate.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도로변에 설치되어 있는 우수받이와 측구를 활용하여 설치가 가능하므로 설치 비용과 설치 시간을 줄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여과부의 여재층을 조립 가능한 복수의 모듈로 형성하여,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여재층의 유지 관리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by using the rain gutter and the side opening that is installed on the existing roadside can reduce the installation cost and installation time.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rmed by a plurality of modules that can be assembled to the filter media layer, it can be easy to install, and the maintenance of the media layer can also be convenient.
또한 본 발명의 여재층은 기름 흡착부를 구비하여 도로변의 비점 오염물질 중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기름을 흡착하여 정화 효율을 높이면서 여재의 사용 기간을 길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lter medium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n oil adsorption unit to adsorb oil that occupies a large portion of the non-point pollutants on the roadside, thereby increasing the purification efficiency and extending the use period of the filter medium.
또한 본 발명의 여재층은 서로 다른 여재를 구비하는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며 각 층 사이에 지그재그 여과 경로를 형성하는 차단벽을 설치함으로써, 우수가 여재를 통과하여 정화되는 시간이 늘어나 우수의 정화 효율이 높아지게 된다.In addition, the media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layers having different media and by providing a barrier wall for forming a zigzag filtration path between each layer, the time for purifying rainwater through the mediator to increase the purification efficiency of rainwater Will be high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비점 오염물질 저감 장치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비점 오염물질 저감 장치가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과부의 여재층이 조립 가능한 복수의 모듈로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과부의 여재층이 기름 흡착부를 구비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과부의 여재층이 지그재그 여과 경로를 형성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side view conceptually showing an apparatus for reducing non-point pollutants on a roa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that the non-point pollutant reduction apparatus of the ro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3 is a view showing that the filter media layer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a plurality of modules that can be assembled.
4 is a view showing that the filter media layer of the filt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il adsorption unit.
5 is a view showing that the filter media layer of th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zigzag filtration path.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t this time, it is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represen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possible.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blur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For the same reason, some of th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비점 오염물질 저감 장치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비점 오염물질 저감 장치가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side view conceptually showing an apparatus for reducing non-point pollutants on a ro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showing an apparatus for reducing non-point pollutants on a ro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비점 오염물질 저감 장치(1000)는 우수받이(1100)와 여과부(1200)를 포함한다. 우수받이(1100)와 여과부(1200)는 도로변을 따라 지하에 매립 설치된다. As shown in FIG. 1 and FIG. 2, the
우수받이(1100)는 그레이팅 덮개(1110), 호퍼(1120), 스크린(1130)을 구비한다. 그레이팅 덮개(1110)는 쇠창살 형태로 주로 강철 등의 재질로 형성된다. 그레이팅 덮개(1110)는 우수받이(1100)의 상측에 설치되어 우수 이외의 다른 이물질이 우수받이(110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Storm
호퍼(1120)는 상단이 개방되어 있고 측면과 저면이 막혀 있다. 호퍼(1120)는 그레이팅 덮개(1110)의 하부에 위치하는데, 이를 위해 호퍼(1120)는 측면 상단에서 우수받이(1100)의 측벽을 향해 돌출한 고정 장착부를 구비할 수 있다. 호퍼(1120)의 측면 상부에는 배출구(1121)가 형성된다. 배출구(1121)는 우수받이(1100)의 측벽을 통과하여 여과부(1200)의 저장조(1210)로 연결된다. 호퍼(1120)로 유입된 우수는 배출구(1121)가 형성된 높이까지 차면 배출구(1121)를 통해 여과부(1200)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배출구(1121)가 호퍼(1120)의 측면 상부에 형성됨으로써 여과부(1200)로 유입되는 우수가 낙차를 확보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낙차를 확보하기 위한 별도의 설치 공사를 할 필요가 없다. 호퍼(1120)는 우수에 의한 하중을 견디기 위해 강철 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Hopper 1120 is open at the top and closed at the side and bottom. The
그레이팅 덮개(1100)와 호퍼(1120) 사이에는 스크린(1130)이 설치될 수 있다. 스크린(1130)은 그물과 같은 형상으로 그레이팅 덮개(1100)를 통과한 우수에 포함되어 있는 작은 이물질을 걸러준다. 스크린(1130)도 그레이팅 덮개(1110)의 하부에 위치하기 위해 우수받이(1100)의 측벽과 연결된 장착부를 구비할 수 있다.The
우수받이(1100)는 하부면에 우수를 배수관과 연결하기 위한 방류구(1140)가 형성된다. 방류구(1140)에는 이물질을 거르기 위한 그물망이 설치될 수 있다.
여과부(1200)는 저장조(1210), 여재층(1220), 배출 유도부(1230)를 구비한다. 저장조(1210)는 호퍼(1120)의 배출구(1121)를 통과한 우수가 유입되는 공간이다. 저장조(1210)가 형성됨으로써 여과부(1200)로 유입되는 우수가 낙차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유입되는 우수가 많은 경우 저장조(1210)를 따라 우수가 흐름으로써 여재층(1220) 전체로 우수가 퍼져 여과 속도가 빨라지게 된다. The
저장조(1210)는 호퍼(1120)의 배출구(1121)로부터 유입되는 우수가 낙하되는 지점에 충격 완화부(1211) 구비할 수 있다. 충격 완화부(1211)는 자갈을 금속 또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s) 등으로 형성한 망으로 둘러싸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충격 완화부(1211)를 구비함으로써 여재층(1220)이 우수의 낙하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충격 완화부(1211)에서도 우수의 여과가 이루어질 수 있다. The
저장조(1210)의 상단에는 커버(1212)가 위치할 수 있다. 평소에 커버(1212)는 저장조(1210)의 상단에 결합되어 있으며, 여과부(1200) 내부를 청소하거나 보수하는 경우 커버(1212)를 개방시킬 수 있다. The
저장조(1210)의 하부에는 여재를 구비하는 여재층(1220)이 위치한다. 우수는 여재층(1220)을 통과하면서 여과된다. 여재는 제올라이트나 활성탄, 숯, 안트라사이트, 벤트나이트, 우드칩, 모래 등이 될 수 있다. 이 밖에도 비점 오염물질 저감시키는데 적합한 다양한 여재를 사용할 수 있다. The
여재층(1220)의 하부에는 여과된 우수의 배출을 유도하는 배출 유도부(1230)가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배출 유도부(1230)는 불투수층의 바닥 위에 유공관(1232)을 설치하고 유공관(1232) 주변에 자갈(1231)을 채운 형태가 될 수도 있다. 여재층(1220)을 통과한 우수는 자갈(1231)을 지나면서 한번 더 여과되고 유공관(1232)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유공관(1232) 내부로 유입된 후 유공관(1231) 양 끝단으로 배출된다. 유공관(1232)의 양 끝단은 각각 이웃하는 우수받이로 연결되며, 유공관(1232)을 통해 배출되는 우수는 우수받이의 방류구로 배출된다.A
이와 같은 여과부(1200)는 기존의 도로변에 설치되는 U자 형상의 측구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시설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공사 기간도 줄일 수 있다.
Such a
비가 오면 도로의 비점 오염물질을 포함한 우수가 그레이팅 덮개(1110)를 통해 호퍼(1120)로 유입된다. 우수는 호퍼(1120)로 유입되기 전에 스크린(1130)을 통과하면서 작은 이물질들이 걸러진다. 호퍼(1120)로 유입된 우수는 호퍼(1120) 내에서 배출구(1121)의 높이가 될 때까지 머무르게 되면서, 토사나 슬러지, 협잡물 등과 같은 무거운 침전물이 침전하게 된다. When it rains, rainwater, including boiling point contaminants on the road, flows into the
침전물이 침전된 우수는 배출구(1121)를 통해 여과부(1200)의 저장조(1210)로 유입된다. 저장조(1210)로 유입된 우수는 충격 완화부(1211)를 통하면서 여재층(1220)으로 유입된다. 저장조(1210)로 유입된 우수의 양이 많은 경우 저장조(1210)를 따라 우수가 흐르면서 여재층(1220) 전체로 퍼지면서 여재층(1220)으로 유입된다. 여재층(1220)을 통과하면서 비점 오염물질이 여과된 우수는 배출 유도부(1230)를 따라 우수받이(1100)로 유입되고, 우수받이(1100)의 방류구(1140)를 통해 배수관 등으로 배출된다. Rainwater in which the precipitate is precipitated is introduced into the
강수량이 많은 경우에는 비점 오염물질을 많이 포함하고 있는 초기 우수는 호퍼(1120)로 유입된 후 배출구(1121)를 통해 여과부(1200)로 유입되어 여과되며, 상대적으로 비점 오염물질이 적은 우수는 호퍼(112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넘쳐 흘러 우수받이(1100)의 하부면으로 떨어져 방류구(1140)로 배출된다. 따라서 배수 속도가 빨라져 집중호우시 도로변이 침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a lot of precipitation, the initial rainwater containing a lot of non-point pollutants is introduced into th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과부의 여재층이 조립 가능한 복수의 모듈로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3 is a view showing that the filter media layer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a plurality of modules that can be assembled.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과부(2200)의 여재층(2220)은 조립 가능한 복수의 모듈로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모듈은 격자 형상으로 구멍이 형성된 케이스와, 케이스 내부에 여재가 채워져 있는 구조가 될 수 있다. 케이스는 이웃하는 케이스와 체결부 또는 억지 끼워맞춤 등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케이스에는 홈 및 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다. 케이스는 강철 또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과 같이 외부 충격에 쉽게 파손되지 않는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여재층(2220)이 조립 가능한 복수의 모듈로 형성되는 경우 여재층(2220)의 설치가 용이하다. 즉, 배출 유도부(2230)를 설치하고, 미리 제작된 모듈을 시공 현장으로 가져와 조립하여 배출 유도부(2230) 위에 올리기만 하면 설치가 완료된다. 또한 여재층(2220)을 청소하거나 보수하는 경우에도 저장조(2210)의 커버(2212)를 열고 결합된 모듈을 분리해 청소하거나 수리 또는 교체하면 된다. 따라서 설치 비용과 시간은 물론 유지 보수 비용과 시간도 줄일 수 있다.
When th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과부의 여재층이 기름 흡착부를 구비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that the filter media layer of the filt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il adsorption unit.
도로변의 우수에는 자동차 등에서 떨어지는 기름이 특히 많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기름을 여과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이 없다면, 여재층(3220)이 기름에 의해 오염되어 자주 청소하거나 교체해 주어야 한다. Roadside stormwater contains a lot of oil, especially from cars. Therefore, unless there is a separate configuration for filtering such oil, the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부(3200)의 여재층(3220)이 기름 흡착부(3221)를 구비한다. 기름 흡착부(3221)는 호퍼의 배출구(3121)로부터 유입되는 우수가 낙하되는 지점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유입된 우수가 여재층(3220)의 다른 부분과 접하기 전에 먼저 기름을 흡착하여 다른 부분이 기름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4, the
기름 흡착부(3221)는 기름을 흡착할 수 있는 다양한 물질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름 흡착부(3221)는 기름 흡착포를 적층하여 형성하거나 스폰지 등을 뭉쳐서 형성할 수 있다. 기름 흡착부(3221)의 외부는 충격에 강한 재질로 형성된 그물망으로 둘러싸일 수 있다. The
본 실시예에서는 기름 흡착부(3221)가 조립 가능한 복수의 모듈로 형성된 여재층 위에 위치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재로 채워진 하나의 여재층 위에 위치할 수도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과부의 여재층이 지그재그 여과 경로를 형성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5 is a view showing that the filter media layer of th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zigzag filtration path.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재층(4220)은 서로 다른 여재를 구비하는 복수의 층(4220a, 4220b, 4220c, 4220d)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층(4220a, 4220b, 4220c, 4220d) 사이에는 상호 어긋나게 위치하여 지그재그 여과 경로를 형성하는 차단벽(4230)이 설치된다. As illustrated in FIG. 5, the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여재층(4220)은 제1 여재층(4220a), 제2 여재층(4220b), 제3 여재층(4220c), 제4 여재층(4220d)을 구비한다. 제1 여재층(4220a), 제2 여재층(4220b), 제3 여재층(4220c), 제4 여재층(4220d)은 순서대로 적층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lurality of
제1 여재층(4220a)은 모래로 형성되어 우수에 포함된 잔류 부유물질을 여과한다. 제2 여재층(4220b)은 제1 여재층(4220a)을 통과한 우수의 미세부유물질이 여과되는 층으로써 우수에 포함된 부유물질(SS), 즉 부유성 및 용해성 미세 입자상 물질을 여과시켜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OD)을 낮추게 된다. 제2 여재층(4220b)에 사용되는 여재는 제올라이트나 활성탄, 숯, 안트라사이트, 벤트나이트, 우드칩 등이 될 수 있다. 제3 여재층(4220c)은 제2 여재층(4220b)을 통과한 우수로부터 중금속을 흡착 여과하는 층으로, 활성탄이나 화산재, 식물 바이오매스(Biomass) 등이 여재로 사용될 수 있다. 제4 여재층(4220d)은 제3 여재층(4220c)을 통과한 우수로부터 유기물을 분해 제거하기 위한 층으로써, 비점 오염물질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물을 분해하는 미생물이 서식한다. 우수에 포함된 비점 오염물질의 유기물은 제4 여재층(4220d)에서 미생물에 의해 분해된다. 이를 위하여 제4 여재층(4220d)은 미생물이 서식 및 증식할 수 있도록 자갈 등을 이용하여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차단벽(4230)은 제1 내지 제4 여재층(4220a, 4220b, 4220c, 4220d) 사이, 즉 제1 여재층(4220a)과 제2 여재층(4220b) 사이와 제2 여재층(4220b)과 제3 여재층(4220c) 사이 및 제3 여재층(4220c)과 제4 여재층(4220d) 사이에 각각 설치된다. 이러한 차단벽(4230)은 한쪽은 여과부(4200)의 내측벽에 접하고 다른 쪽은 여과부(4200)의 내측벽에서 소정 간격 떨어지게 위치하며, 각 층마다 상호 어긋나게 배치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여재층(4220a)과 제2 여재층(4220b) 사이에 배치된 차단벽(4230)과 제3 여재층(4220c)과 제4 여재층(4220d) 사이에 배치된 차단벽(4230)은 내측벽에서 떨어진 부분이 같은 수직선 상에 놓이게 되고, 제2 여재층(4220b)과 제3 여재층(4220c) 사이에 배치된 차단벽(4230)은 내측벽에서 떨어진 부분이 다른 수직선 상에 놓이게 됨으로써 제1 내지 제4 여재층(4220a, 4220b, 4220c, 4220d)을 통과하는 우수가 지그재그로 통과하게 된다. 이에 따라 우수가 제1 내지 제4 여재층(4220a, 4220b, 4220c, 4220d)을 구성하는 여재를 통과하여 정화되는 시간이 늘어나 우수의 정화 효율이 높아지게 된다.The blocking
제1 여재층(4220a)의 상단에는 작업자가 저장조(4210)의 커버(4212)를 열고 출입하여 이물질 등의 제거와 같은 작업을 할 수 있도록 발판(4221)이 설치될 수 있다. 발판(4221)은 창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발판(4221)이 설치됨으로써 모래로 형성된 제1 여재층(4220a)이 호퍼의 배출구(4121)로부터 낙하하는 우수에 의해 흩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
또한 제4 여재층(4220d)을 통과한 우수가 배출 유도부(4230)로 유출될 때, 제4 여재층(4220d)의 미생물이 함께 배출 유도부(4230)로 유출될 수 있다. 이에, 제4 여재층(4220d)과 배출 유도부(4230) 사이에는 미생물의 유출을 방지하도록 거름망이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rain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It should be noted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only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acilitat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rried out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000 : 도로의 비점 오염물질 저감 장치
1100 : 우수받이 1110 : 그레이팅 덮개
1120 : 호퍼 1121, 3121 : 배출구
1130 : 스크린 1140 : 방류구
1200, 2200, 3200, 4200 : 여과부 1210, 4210 : 저장조
1211 : 충격 완화부 1212, 2212, 4212 : 커버
1220, 2220, 3220, 4220 : 여재층 1230, 2230, 4230 : 배출 유도부
1231 : 자갈 1232 : 유공관
3221 : 기름 흡착부1000: road non-point pollutant reduction device
1100: excellent receiving 1110: grating cover
1120:
1130: screen 1140: outlet
1200, 2200, 3200, 4200:
1211:
1220, 2220, 3220, 4220:
1231: gravel 1232: merit pipe
3221: oil adsorption unit
Claims (6)
상기 호퍼의 배출구로 배출되는 우수가 유입되는 저장조와, 상기 저장조의 하부에 위치하며 여재를 구비하여 우수가 여과되는 여재층과, 상기 여재층의 하부에 위치하여 우수의 배출을 유도하는 배출 유도부를 구비하는 여과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 유도부는 불투수층의 바닥 위에 유공관을 설치하고 유공관 주변에 자갈을 채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비점 오염물질 저감 장치.A rain gutter having a grating cover covering an upper side and a hopper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grating cover and having an upper end open and having an outlet formed on an upper side thereof and hav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rainwater introduced therein; And
A storage tank into which rainwater discharged into the discharge port of the hopper flows in, a filter medium layer disposed below the storage tank, and having rainwater filtered, and a discharge induction part positioned below the filter layer to induce discharge of rainwater. It includes; filtering unit having;
The exhaust induction unit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water-permeable layer of the perforated pip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tallation of gravel filled around the perforated pipes.
상기 우수받이는 상기 그레이팅 덮개와 상기 호퍼 사이에 위치하여 이물질을 거르는 스크린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비점 오염물질 저감 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storm receiver is located between the grating cover and the hopper further comprises a screen for filtering foreign matter, the non-point pollutant reduction apparatus of the road.
상기 여재층은 조립 가능한 복수의 모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비점 오염물질 저감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media layer is a non-point pollutant reduction device of the road,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a plurality of modules that can be assembled.
상기 여재층은 기름 흡착부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비점 오염물질 저감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media layer is a non-point pollutant reduction device of the road,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ing an oil adsorption unit.
상기 여과부의 여재층은 서로 다른 여재를 구비하는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층 사이에는 상호 어긋나게 위치하여 지그재그 여과 경로를 형성하는 차단벽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비점 오염물질 저감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filter media layer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layers having different media,
A non-point pollutant abatement apparatus for a road, characterized in that a barrier wall is disposed between each layer to be offset from each other to form a zigzag filtration path.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10068780A KR101127489B1 (en) | 2011-07-12 | 2011-07-12 | Apparatus for reducing non-point pollution material of roa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10068780A KR101127489B1 (en) | 2011-07-12 | 2011-07-12 | Apparatus for reducing non-point pollution material of road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127489B1 true KR101127489B1 (en) | 2012-03-23 |
Family
ID=46142367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10068780A Expired - Fee Related KR101127489B1 (en) | 2011-07-12 | 2011-07-12 | Apparatus for reducing non-point pollution material of road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127489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1877501A (en) * | 2020-07-23 | 2020-11-03 | 周欣欣 | Sponge city rainwater shunting discharging equipment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70098971A (en) * | 2007-09-06 | 2007-10-08 | 주식회사 신화 엠앤씨 | Rainwater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SH System) |
| KR100958295B1 (en) * | 2009-08-18 | 2010-05-19 | (주)예일엔지니어링 | Non-point source a contaminant purification system of first rain |
-
2011
- 2011-07-12 KR KR1020110068780A patent/KR10112748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70098971A (en) * | 2007-09-06 | 2007-10-08 | 주식회사 신화 엠앤씨 | Rainwater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SH System) |
| KR100958295B1 (en) * | 2009-08-18 | 2010-05-19 | (주)예일엔지니어링 | Non-point source a contaminant purification system of first rain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1877501A (en) * | 2020-07-23 | 2020-11-03 | 周欣欣 | Sponge city rainwater shunting discharging equipment |
| CN111877501B (en) * | 2020-07-23 | 2022-04-15 | 中霖中科环境科技(安徽)股份有限公司 | Sponge city rainwater shunting discharging equipment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0706269B1 (en) | Non-point pollutant purification device for early rainfall runoff | |
| US6649048B2 (en) | Filter cartridge with regulated surface cleaning mechanism | |
| KR100911819B1 (en) | Nonpoint Pollutant Reduction Device | |
| US7517450B2 (en) | Pre-assembled flow control structured and related media filtration system | |
| KR101235008B1 (en) | Non point pollution reducing system | |
| US8658044B2 (en) | Stormwater filt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 |
| KR100987316B1 (en) | Non-point source contaminant purification system of combining oil-water separation with upward movement filtration by using filter medium movable filter and non-point source contaminant purification thereby | |
| KR100984676B1 (en) | Apparatus for drain treatment of first flush rainfall | |
| KR101332781B1 (en) | Apparatus for treating rainwater for bridge or manhole | |
| KR100991492B1 (en) | Non-point source contaminant purif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for an early stage rain water by multi-stage treatment | |
| KR101239389B1 (en) | Natural type and ditch infiltration type non point pollution reducing system for water reclamation | |
| KR100904081B1 (en) | Filtration channel for reducing non-point pollutants with bypass channel | |
| KR101010048B1 (en) | Stormwater treatment device | |
| KR20150114224A (en) | infiltration institution of rainwater in rainwater treatment | |
| KR101244122B1 (en) | Back washing type apparatus for disposing non-point pollution source using floating decanter | |
| KR100814790B1 (en) | Filtration channel for reducing nonpoint pollutants | |
| US10294651B2 (en) | Device for filtering storm water | |
| KR101249354B1 (en) | A treating system of rainwater | |
| KR101177714B1 (en) | Reducing apparatus for nonpoint source pollutants of early rainwater on the road | |
| KR101127489B1 (en) | Apparatus for reducing non-point pollution material of road | |
| KR100614766B1 (en) | Road surface drainage system with initial excellent treatment | |
| KR101219791B1 (en) | Non-point pollution source treatment apparatus using the purifying unit | |
| JP2003286741A (en) | Rainwater cleaning structure | |
| KR20170063126A (en) | Reducing apparatus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 |
| KR200358330Y1 (en) | Treatment apparatus of runoff using filtration zon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7-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 P16-X000 | Ip right document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6-nap-X000 |
|
| Q16-X000 | A copy of ip right certificate issu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6-nap-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 P16-X000 | Ip right document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6-nap-X000 |
|
| Q16-X000 | A copy of ip right certificate issu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6-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90310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9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