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2400B1 - Protective case for protecting mobile terminal including metallic plate with locking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Protective case for protecting mobile terminal including metallic plate with locking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22400B1 KR101122400B1 KR1020110076454A KR20110076454A KR101122400B1 KR 101122400 B1 KR101122400 B1 KR 101122400B1 KR 1020110076454 A KR1020110076454 A KR 1020110076454A KR 20110076454 A KR20110076454 A KR 20110076454A KR 101122400 B1 KR101122400 B1 KR 10112240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tal plate
- mobile terminal
- protective case
- protective
- elastic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storing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pagers or smart phone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4—Fram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화면이 탑재되어 있는 전면부, 후면부 및 측면부로 구성된 휴대단말기를 보호하는 보호케이스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의 제조 방법은, 소정의 길이, 폭 및 높이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 판재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금속 판재를 상기 휴대단말기의 외형에 맞게 벤딩 가공하는 단계; 및 상기 금속 판재의 일단이 타단과 체결부에 의하여 연결 가능하도록 체결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금속 판재의 일단과 타단이 상기 체결부에 의하여 연결됨으로써 상기 금속 판재가 상기 측면부를 포위하여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화면이 탑재되어 있는 전면부, 후면부 및 측면부로 구성된 휴대단말기를 보호하는 보호케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보호케이스는, 탄성 복원력을 갖는 재질에 의하여 상기 측면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탄성 보호부; 및 소정의 길이, 폭 및 높이를 가지고, 상기 탄성 보호부를 감싸서 장착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벤딩 가공형 금속 판재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 판재의 일단은 타단과 체결부에 의하여 연결 가능하며, 상기 금속 판재의 일단과 타단이 상기 체결부에 의하여 연결됨으로써 상기 금속 판재가 상기 측면부를 포위하여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rotective case for protecting a mobile terminal consisting of a front portion, a rear portion and a side portion on which a display screen is mounted.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mobile terminal protection case, comprising: providing at least one metal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width, and height; Bending the at least one metal sheet according to the appearance of the mobile terminal; And forming a fastening part such that one end of the metal plate is connectable by the other end and the fastening part, and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metal plate are connected by the fastening part to protect the metal plate surrounding the side part. Characterized in that.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otective case for protecting a mobile terminal consisting of a front portion, a rear portion and a side portion on which a display screen is mounted. Protective cas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protective portion formed to surround the side portion by a material having an elastic restoring force; And at least one bending-processing metal plate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width, and height and formed to surround and mount the elastic protective part, wherein one end of the metal plate member is connectable by the other end and the coupling part, and the metal plate member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metal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by surrounding the side portion to protect the metal plate.
Description
본 발명은 체결식 구조를 갖는 단말기 보호케이스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이나 PDA 등의 휴대단말기를 측면에서 감싸는 보호케이스를 박형의 금속 소재로 구현하되, 하나 이상의 금속 판재를 체결식 구조에 의하여 연결함으로써 금속 소재의 보호케이스를 최대한 박형화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의 보호케이스 및 그 제조 방법에 관련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protective case having a fastening structur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implement a protective case surrounding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or PDA from the side of a thin metal material, at least one metal plat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tective case of a mobile terminal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by which the protective case of a metal material can be made as thin as possible.
최근 무선 인터넷망이 널리 보급되고 그 이용률이 급격하게 증가함에 따라,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Wi-Fi(Wireless Fidelity),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등과 같은 다양한 데이터 이동통신 기술이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다.Recently, as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is widely spread and its usage rate is rapidly increased,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and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W-CDMA) Various data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ies such as Access (LTE), Long Term Evolution (LTE), Wireless Fidelity (Wi-Fi), and Wireless Broadband Internet (WiBro) have been developed and commercialized.
그리고 휴대전화기는 이러한 데이터 통신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단순히 사용자 간의 음성 통화만을 지원하지 않고 이제는 일종의 초소형 컴퓨터로서도 기능할 수 있도록 그 기능이 대폭 강화되고 있다.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개인 휴대 단말기),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 넷북(Netbook) 등 신개념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등장함에 따라, 사용자는 언제 어디서나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여 이메일을 주고 받거나 이동 중에도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즐길 수 있게 되었다.With the development of this data communication technology, mobile phones are not only supporting voice calls between users, but their functions are being greatly enhanced so that they can function as a kind of microcomputer. With the emergence of new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such as PDAs (Personal Digital Assistance), Tablet Computers, and Netbooks, users can access e-mail anytime, anywhere, send and receive e-mail, or receive multimedia content on the go. You can enjoy it.
이 중에서도 특히 스마트폰(Smart Phone)은 휴대전화기와 개인 휴대 단말기(PDA)의 장점을 결합한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음성 통화 기능 외에 일정 관리, 팩스 송?수신 및 인터넷 접속 등의 데이터 통신 기능을 소형의 기기에 통합시켜 그 편의성과 활용도는 더욱 증대되어 가고 있다.Among them, a smart phone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ombines the advantages of a mobile phone and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By integrating into the device, its convenience and usability are increasing.
스마트폰의 가장 큰 특징은 완제품으로 출시되어 주어진 기능만 사용하던 기존의 휴대전화기와는 달리, 수백여 혹은 수만여 종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응용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설치하고 추가 혹은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 외에도 스마트폰 사용자는 무선인터넷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직접 접속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브라우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인터넷 컨텐츠에 액세스하는 것이 가능하고, 심지어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직접 제작할 수 있으며, 동일한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를 가진 스마트폰 간에 어플리케이션을 공유할 수 있다는 점도 스마트폰과 일반 휴대전화기를 구별하는 중요한 특징으로 꼽힌다.Unlike the existing mobile phone, which is released as a finished product and uses only a given function, hundreds or tens of thousands of various applications (applications) can be installed and added or deleted as desired. Is that there is. In addition, smartphone users can not only access the Internet directly using the wireless Internet, but also use various browsing programs to access Internet content in various ways, and even create their own applications. In addition, the ability to share applications between smartphones with the same operating system (OS) is also an important feature that distinguishes smartphones from ordinary mobile phones.
실제로 최근의 스마트폰은 과거의 일반 휴대전화기에 비하여 더 넓은 터치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탑재하고 있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개선되었고, 소위 도킹 스테이션(Docking Station)이라 불리는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충전과 동시에 개인용 컴퓨터에 저장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도 있으며, 수천 개에 이르는 주소를 관리할 수 있는 PIM(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개인정보 관리) 기능까지 갖추고 있다. 더 나아가 스마트폰은 이제 모바일 인터넷 뱅킹, 모바일 신용카드, 모바일 소셜 네트워킹, 모바일 쇼핑 등 활용 분야를 막론하고 실생활에 편리하게 응용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은행, 증권회사, 신용카드 회사, 소셜 커머스 업체, 인터넷 쇼핑몰 업체들은 자사만의 고유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해당 스마트폰의 운영체제에 맞게 개발하여 유료 혹은 무료로 사용자들에게 배포하고 있다.In fact, recent smartphones have a wider touch screen display interface than conventional mobile phones, improving user convenience, and charging and personalizing them using an interface called docking station. You can send and receive data stored on your computer, and even hav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PIM) to manage thousands of addresses. Furthermore, smart phones are now being used in real life regardless of the fields of application such as mobile internet banking, mobile credit card, mobile social networking, and mobile shopping.For this, banks, securities companies, credit card companies, social commerce companies, and the Internet Shopping mall companies develop their own smartphone applications for the operating systems of the smartphones and distribute them to users for a fee or free.
이처럼 컴퓨터에 버금가는 강력한 성능과 네트워크 기능에 의한 이동성까지 겸비한 휴대단말기의 상용화에 발맞추어, 휴대단말기의 보호케이스에 대한 개발도 가속화되고 있다.In line with the commercialization of portable terminals, which combines the powerful performance of a computer and mobility with network functions, the development of a protective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is also accelerated.
휴대단말기의 보호케이스는 플라스틱, 실리콘, 폴리우레탄, 금속 등을 비롯한 소재를 한 가지만 이용하거나 2 이상의 복합 소재를 사용하여 휴대단말기의 외형에 맞게 제작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이동하면서 자주 사용하는 고가의 휴대단말기가 외력에 의하여 파손되거나 다른 물체와의 접촉으로 인하여 스크래치가 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안된 제품이다.The protective case of the portable terminal is made by using only one material including plastic, silicone, polyurethane, metal, etc., or by using two or more composite materials to fit the appearance of the portable terminal. It is a product designed to prevent the terminal from being damaged by external force or getting scratched by contact with other objects.
예컨대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휴대단말기(200)의 보호케이스(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특히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휴대단말기(200)의 보호케이스(100)가 휴대단말기(200)에 장착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or example, Figures 1 and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휴대단말기(200, 예를 들면 스마트폰)의 보호케이스(100)는 측면 보호부(110)와 후면 보호부(120)로 구성되어 있다. 측면 보호부(110)는 예컨대 모서리 부분이 라운딩 처리된 직육면체 형상의 휴대단말기(200)를 측면으로부터의 외력 Fs에 대해 보호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주로 실리콘이나 플라스틱,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수지, 가죽, 금속 등의 단일 재질을 이용하거나 2 이상 복합적인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 성형함으로써 제작된다.1 and 2, the
그리고 예컨대 TPU 재질의 측면 보호부(110)는 참조번호 110a와 같이 휴대단말기(200)의 전면 및 후면까지 연장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측면 보호부(110)는 측면 보호부(110)의 연장부(110a)가 갖는 두께에 의하여 전면 및 후면으로부터 가해지는 외력 Ff 및 Fb에 대해서도 보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후면 보호부(120)는 측면 보호부(11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고, 측면 보호부(110)와 후면 보호부(120)를 일체형으로 제작하기 위한 금형을 마련하여 플라스틱 사출 성형, 고무 프레스 성형 등의 공법으로 제작 가능하다. 이 외에도, 후면 보호부(120)는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한 폴리카보네이트 평판을 이용하여 측면 보호부(110)와는 다른 재질로 제작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는 휴대단말기(200)에 보호케이스(100)를 장착한 상태에서도 휴대단말기(200) 표면에 새겨진 고유의 후면 디자인(예컨대, 도 2의 참조번호 230)을 볼 수 있고, 이는 보호케이스(100)와 휴대단말기(200)의 일체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이점이 있다.The
그리고 휴대단말기(200)의 보호케이스(100)는 통상적으로 참조번호 111 내지 113과 같은 복수의 노출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노출부(111, 112, 113)를 통해 사용자는 예컨대 휴대단말기(200)를 매다는 끈 형태의 스트랩(미도시)을 끼우거나 충전 단자(미도시)를 삽입할 수 있으며, 보호케이스(100)를 제거하지 않고도 휴대단말기(200)의 각종 버튼(210)을 조작할 수 있다. 이러한 노출부(111, 112, 113)는 측면 보호부(110)는 물론이고 후면 보호부(120)에도 필요(예컨대, 휴대단말기의 후면측에 장착된 카메라(220)를 노출시키는 용도)에 따라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최근에는 휴대단말기(200)의 전면부에 대해서는 보호부를 형성하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그 이유는 최근 스마트폰을 비롯한 다수의 휴대단말기(200)가 터치식으로 동작하는 경우가 많아 전면부를 플라스틱 재질의 보호부로 막을 경우 휴대단말기(200)의 화면을 터치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이 외에도 상술한 바와 같이 연장부(110a)가 전면 및 후면으로부터의 외력에 대해서도 어느 정도의 보호 기능을 가짐으로 인해 후면 보호부(120)를 아예 포함하지 않는 보호케이스(100)도 제작되고 있으며, 보호케이스(100)의 측면 보호부(110)와 후면 보호부(120)에 각종 로고나 색상을 적용하여 심미감을 더하거나, 가죽 재질을 금속이나 플라스틱의 재질 위에 덧붙여서 외력에 대한 보호 효과를 높임과 동시에 외관상 보호케이스(100)를 더욱 고급스럽게 만드는 경우도 있다.In recent years, the front part of the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보호케이스(100)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However, the
우선, 보호케이스(100)의 재질을 가죽이나 실리콘, 폴리카보네이트, TPU 등으로 하는 경우 보호케이스(100)가 보호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보호케이스(100)의 측면 보호부(110) 및 연장부(110a)의 두께가 일정한 두께 이상 두꺼워야 한다는 점이다.First, when the material of the
보호케이스(100)의 두께가 두꺼울 경우 휴대단말기(200)와의 일체감이 떨어지고 디자인의 측면에서도 심미감을 구현하기가 어려운 점이 있어 보호케이스(100)를 가능한 얇게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예컨대 폴리카보네이트, TPU 등의 재질을 사출 성형하여 1mm 이하의 두께를 갖는 보호케이스(100)를 구현하는 것은 제조 공정상 극히 어려울 뿐만 아니라,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나 TPU를 무리하게 얇게 사출할 경우 이들 재질이 갖는 탄성이나 내구성의 한계로 인하여 보호케이스(100)가 쉽게 변형되고 파손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가죽이나 실리콘 재질의 보호케이스(100)를 1mm 이하의 두께로 너무 얇게 제작하는 경우에는, 보호케이스(100)가 휴대단말기(200)와 강하게 밀착할 정도의 복원력을 갖지 못함으로 인해 보호케이스(100)가 휴대단말기(200)로부터 쉽게 벗겨져 버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문제는 특히 후면 보호부(120)가 없는 보호케이스(100)의 경우 더욱 심각할 수 있다.When the thickness of the
위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보호케이스(100)의 재질을 금속으로 하는 경우가 있다. 금속은 사출 성형을 적용하는 실리콘이나 플라스틱 재질에 비해서는 두께를 얇게 하기가 비교적 용이하고, 얇은 두께로도 충분한 강성을 가지기 때문에 보호케이스(100)의 재질로 적합한 측면이 있기 때문이다.In order to overcome the above problems, the material of the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르면 금속 재질의 보호케이스(100)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 덩어리를 NC(Numerical Control) 공작 기계로 가공하여 제작되는데, NC 가공의 한계로 인하여 그 두께를 얇게 하는데 한계가 있다. 특히, 1mm 이하의 두께로 금속 케이스를 제작할 경우 NC 공작 기계로 밀링(Milling, 밀링 머신으로 밀링 커터를 사용하여 공작물을 절삭하는 가공법) 가공을 해야 하는데, 이때 밀링 머신에 의하여 발생하는 진동에 의하여 가공 대상물인 금속 소재가 함께 진동함으로 인해 일정한 두께와 폭 이하에서는 정밀하게 금속 재질의 보호케이스(100)를 제작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뿐만 아니라, 금속 재질의 보호케이스(100)는 가죽이나 실리콘, 플라스틱 등의 재질에 비해 휴대단말기(200)에 씌우기가 어렵다는 문제점도 있다. 특히, 보호케이스(100)의 금속 강도가 지나치게 강할 경우 휴대단말기(200)에 보호케이스(100)를 씌우는 과정에서 휴대단말기(200)의 표면이 손상될 우려도 있기 때문에, 금속 재질의 보호케이스(100)는 금속 재질이 갖는 뛰어난 강도에도 불구하고 그 활용도가 실리콘, 플라스틱 재질에 비하여 낮은 편이다.In addition, the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스마트폰이나 PDA 등의 휴대단말기를 측면에서 감싸는 보호케이스를 박형의 금속 소재로 구현하되, 체결식 구조에 의하여 연결되는 금속 판재를 사용함으로써 금속 소재의 보호케이스를 제작함에 있어서 두께에 구애받지 않도록 한 휴대단말기의 보호케이스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by implementing a protective case surrounding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or a PDA in a thin metal material, by using a metal plate connected by a fastening structu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otective case of a mobile terminal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hich are not limited in thickness in manufacturing a protective case made of a metal material.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측면은, 디스플레이 화면이 탑재되어 있는 전면부, 후면부 및 측면부로 구성된 휴대단말기를 보호하는 보호케이스에 있어서, 소정의 길이, 폭 및 높이를 가지고, 적어도 하나의 벤딩 가공된 금속 판재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 판재의 일단은 타단과 체결부에 의하여 연결 가능하며, 상기 금속 판재의 일단과 타단이 상기 체결부에 의하여 연결됨으로써 상기 금속 판재가 상기 측면부를 포위하여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otective case for protecting a mobile terminal consisting of a front portion, a rear portion and a side portion on which a display screen is mounted,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width and height, at least It includes a bent metal plate, one end of the metal plate is connectable by the other end and the fastening portion,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metal plate is connected by the fastening portion, the metal plate surrounds the side portion It provides a mobile terminal protective case characterized in that by protecting.
또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은, 디스플레이 화면이 탑재되어 있는 전면부, 후면부 및 측면부로 구성된 휴대단말기를 보호하는 보호케이스에 있어서, 탄성 복원력을 갖는 재질에 의하여 상기 측면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탄성 보호부; 및 소정의 길이, 폭 및 높이를 가지고, 상기 탄성 보호부를 감싸서 장착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벤딩 가공형 금속 판재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 판재의 일단은 타단과 체결부에 의하여 연결 가능하며, 상기 금속 판재의 일단과 타단이 상기 체결부에 의하여 연결됨으로써 상기 금속 판재가 상기 측면부를 포위하여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otective case for protecting the mobile terminal consisting of the front portion, the rear portion and the side portion on which the display screen is mounted, the elastic protective portion formed to surround the side portion by a material having elastic restoring force ; And at least one bending-processing metal plate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width, and height and formed to surround and mount the elastic protective part, wherein one end of the metal plate member is connectable by the other end and the coupling part, and the metal plate member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protective case, characterized in that the metal plate to protect the surrounding the side portion by connecting.
상기 제 2 측면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보호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탄성 보호부는 상기 전면부 및 상기 후면부의 일부를 각각 덮도록 형성된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탄성 보호부는 상기 금속 판재를 수용할 수 있는 도랑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otective case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second side, the elastic protective part may include an extension part formed to cover a part of the front part and the rear part, respectively, in which case the elastic protective part may accommodate the metal plate. It is desirable to have a ditch structure in place.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측면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보호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후크식 연결 구조부, 나사식 연결 구조부 및 경첩식 연결 구조부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otective case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aspects, the fastening portion may be any one or a combination of a hook type connection structure, a screw connection structure, and a hinged connection structure.
또한, 상기 제 1 측면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상기 측면부 상에서 노출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외부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금속 판재는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영역이 블랭킹 가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first side, the portable terminal may include one or more external interfaces exposed on the side part, and in this case, the metal plate is preferably blank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interface.
나아가 상기 제 2 측면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상기 측면부 상에서 노출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외부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탄성 보호부는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영역을 노출시키는 노출부가 형성되도록 사출 성형되어 있으며, 상기 금속 판재는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영역이 블랭킹 가공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 측면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보호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벤딩 가공된 금속 판재와 상기 탄성 보호부가 맞닿는 모서리에 소정의 내부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탄성 보호부의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에는 함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n the second side, the portable terminal may include one or more external interfaces exposed on the side part, in which case the elastic protective part is injection molded to form an exposed part exposing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interface. More preferably, the metal sheet is blank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interface. In addition, in the protective case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second side, a depression is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corners of the elastic protective portion so that a predetermined internal space is formed at the corner where the bent metal plate and the elastic protective portion abut. It is preferable that it is done.
한편, 상기 제 1 측면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보호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금속 판재는 상기 측면부와의 사이에 내부 공간이 마련되도록 꺽임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protective case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side, the metal plate may have a bent structure such that an inner space is provided between the side plates.
끝으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3 측면은, 디스플레이 화면이 탑재되어 있는 전면부, 후면부 및 측면부로 구성된 휴대단말기를 보호하는 보호케이스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길이, 폭 및 높이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 판재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금속 판재를 상기 휴대단말기의 외형에 맞게 벤딩 가공하는 단계; 및 상기 금속 판재의 일단이 타단과 체결부에 의하여 연결 가능하도록 체결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의 보호케이스 제조 방법을 제공하며,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따르면 상기 금속 판재의 일단과 타단이 상기 체결부에 의하여 연결됨으로써 상기 금속 판재가 상기 측면부를 포위하여 보호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휴대단말기가 상기 측면부 상에서 노출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외부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금속 판재에 있어서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영역을 블랭킹 가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Finally,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rotective case for protecting a mobile terminal including a front portion, a rear portion, and a side portion on which a display screen is mounted, the predetermined length, width and height. Providing at least one metal plate having a; Bending the at least one metal sheet according to the appearance of the mobile terminal; And forming a fastening part such that one end of the metal plate is connectable by the other end and the fastening part. 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metal plate may be provided. The metal plate is surrounded by the fastening part to protect the side surface part. Here, when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one or more external interfaces exposed on the side portion,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blanking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interface in the metal sheet.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에 의하면, 스마트폰이나 PDA 등의 휴대단말기를 측면에서 감싸는 보호케이스를 박형의 금속 소재로 구현하되, 체결식 구조에 의하여 연결되는 금속 판재를 사용함으로써 금속 소재의 보호케이스를 종래기술에 비하여 획기적으로 박형으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mobile terminal protective case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mplementing a protective case surrounding the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or PDA from the side of a thin metal material, by using a metal plate connected by a fastening structure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metal protective case significantly thinner than the prior art.
나아가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라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를 탄성 보호부 및 이 탄성 보호부를 둘러싸는 금속 판재로 구성하는 경우, 종래기술처럼 금속 판재 없이 실리콘이나 폴리우레탄,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의 재질로 얇게 휴대단말기의 측면부만 보호하는 경우에 비하여 탄성 보호부의 두께는 얇게 하면서도 탄성 보호부가 휴대단말기로 벗겨질 염려가 없으며, 비록 얇지만 금속 판재의 높은 강도에서 얻을 수 있는 외력에 대한 보호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탄성 보호부에 있어서 전면부와 후면부의 일부를 덮는 연장부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휴대단말기의 측면만 감싸는 탄성 보호부와 금속 판재의 조합만으로도 휴대단말기를 떨어뜨리는 등의 사고 시 발생하는 외력으로부터 휴대단말기를 충분히 보호하는 효과를 얻어낼 수 있다.Furthermore, when the mobile terminal protective case is composed of an elastic protective part and a metal plate surrounding the elastic protective part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hinly made of a material such as silicone, polyurethane, polycarbonate resin, etc. without a metal plate as in the prior art. Compared to protecting only the side part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thickness of the elastic protective unit is thin, but there is no fear that the elastic protective unit can be peeled off by the portable terminal. Do.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forming the extension part covering the part of the front part and the rear part of the elastic protection part, the combination of the elastic protection part covering only the side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metal plate alone causes the mobile terminal to be dropped from the external force generated during an accident such as dropping the mobile terminal. The effect of fully protecting the mobile terminal can be obtained.
끝으로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보호케이스를 제조하는 경우, NC 공작 기계로 알루미늄 등의 금속 덩어리를 밀링 가공하는 경우보다 박형의 금속 보호케이스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블랭킹 및 벤딩 가공만으로도 정교한 금속 소재의 보호케이스를 제작할 수 있으므로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NC 공작 기계를 이용하는 경우보다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의 제작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가 금속 소재의 보호케이스를 휴대단말기에 장착할 때에도 스크래치를 걱정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도 있다.Finally, when manufacturing the protective case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only possible to easily implement a thin metal protective case, but also blanking than when milling a metal mass such as aluminum with an NC machine tool. And since only the bending process can produce a sophisticated metal protective case can increase the manufacturing precision of the mobile terminal protective case than when using the NC machine tool as in the prior art. Furthermor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user does not have to worry about scratches even when the metal protective case is mounted on the portable terminal.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보호케이스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보호케이스가 휴대단말기에 장착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보호케이스를 구성하는 금속 판재를 블랭킹 가공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보호케이스를 구성하는 금속 판재를 벤딩 가공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의 체결부가 후크식 연결 구조부인 경우의 다양한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의 체결부가 나사식 연결 구조부로 대체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의 체결부가 경첩식 연결 구조부로 대체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의 금속 판재가 휴대단말기 측면부와의 사이에서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꺽임 구조로 형성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변형예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탄성 보호부의 모서리에 함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의 제 2 실시형태를 휴대단말기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110 측면 보호부
120 후면 보호부 200 휴대단말기
210 버튼 220 카메라
230 휴대단말기 로고 300, 700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310, 320 제 1 및 제 2 금속 판재 330 후크식 연결 구조부
340 나사식 연결 구조부 350 경첩식 연결 구조부
400 하판 금형 450 상판 금형
500 금속 판재부 510, 520 제 1 및 제 2 금속 판재
600 탄성 보호부 600a 연장부
600b 후면 보호부 600c 후면 장식부
700a, 700b, 700c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1 is a view showing a protective cas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rotective case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mounted on the portable terminal.
3 is a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portable terminal protectiv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a is a view showing a blanking process of the metal plate constituting the protective case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b is a view showing a process for bending the metal plate constituting the protective case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a to 5c are views showing various modifications when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protectiv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hook-type connection structure.
Figure 6 is a view showing a case in which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mobile terminal protectiv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eplaced by a screw connection structure.
7 is a view showing a case in which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mobile terminal protectiv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eplaced by a hinged connection structure.
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ase where the metal plate of the portable terminal protectiv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bent structure to provide an internal space between the side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9 is a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portable terminal protectiv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A to 10C are diagrams each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mobile terminal protectiv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A to 11C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case where the depression is formed at the corner of the elastic protective part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mobile terminal protection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cond embodiment of a portable terminal protectiv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portable terminal.
<Description of the code | symbol about the principal part of drawing>
100
120
210
230 Mobile
310, 320 First and
340 Threaded
400
500
600
700a, 700b, 700c mobile terminal protection case
이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부언하자면, 복수의 도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내며,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이하에서는 휴대단말기가 스마트폰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 외에도 휴대전화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개인 휴대 단말기),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 넷북(Netbook), 노트북,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이 사용자가 이동하면서 이용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휴대용 전자 단말기에 대해서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케이스가 적용 가능하다는 점에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외력"이라 함은 대표적으로 휴대단말기를 떨어뜨렸을 때 낙하하는 휴대단말기가 지면에 닿아 발생하는 충격을 의미하지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단말기를 손상시킬 수 있는 스크래치를 비롯한 어떠한 형태의 외부적인 힘도 "외력"에 포함될 수 있는 개념이라는 점에 주의하여야 한다.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ther words, like reference numerals deno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drawing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of components using the same reference numbers will be omitted. On the other hand, the following is a case where the mobile terminal is a smart phone, in addition to the user, such as a mobile phone,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ce, personal computer), tablet computer (Tablet Computer), netbook (Netbook), notebook, MP3 player, etc.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otectiv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all types of portable electronic terminals that can be used while moving.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external force" refers to an impact caused by falling of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mobile terminal falls down to the ground,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scratches that may damage the mobile terminal are not limited thereto. It should be noted that any form of external force, including, is a concept that can be included in "external forces".
<제 1 실시형태>≪ First Embodiment >
먼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diagram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portable terminal protectiv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300)는 예컨대 알루미늄, 철, 초경량 듀랄미늄, 스테인리스 스틸, 탄소강(예컨대, S45C) 중 하나 이상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제 1 금속 판재부(310) 및 제 2 금속 판재부(320)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금속 판재부(310, 320)는 후술하는 후크식 연결 구조부(330, 330')를 포함하는 체결부에 의하여 연결 가능한 구조이다.Referring to FIG. 3, the mobile terminal
제 1 및 제 2 금속 판재부(310, 320)는 체결부(330, 330')에 의해 연결되었을 때 장착 대상 휴대단말기(200, 도 3에는 미도시)의 치수에 맞게 휴대단말기의 측면을 보호하도록 길이 L, 폭 W 및 높이 H를 갖는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금속 판재부(310, 320)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mm 이하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기술과 달리 NC 공작 기계를 이용한 밀링 가공을 하지 않고도 금속 재질의 보호케이스(300)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1mm 이하의 금속 판재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제 1 및 제 2 금속 판재부(310, 320)의 표면에는 도금이나 코팅 등의 표면 처리를 하여 강도를 조절하거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first and second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금속 판재부(310, 320)에는 각각 휴대단말기(200)의 각종 버튼(210)을 비롯한 외부 인터페이스가 노출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노출부(311, 321)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인터페이스라 함은 예를 들어 음량, 전원, 카메라 등을 조작하기 위한 기능 버튼이나 온/오프 스위치 혹은 USB 연결 커넥터나 이어폰 잭, 충전 잭 등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3, the first and second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보호케이스(300)를 구성하는 금속 판재(310, 320)를 블랭킹 가공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노출부(311, 321)가 블랭킹 가공에 의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블랭킹 가공이란 펀치(Punch)와 다이(Die)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형태로 판금 가공하는 것을 말한다.Figure 4a is a view showing a blanking process of the metal plate (310, 320) constituting the
물론, 도 4a와 같은 금속 판재(310, 320)는 와이어 커팅(Wire Cutting, 와이어와 가공물 사이에 방전을 일으켜 방전 스파크를 톱날처럼 사용하여 공작물을 가공하는 가공법)이나 레이저 커팅(Laser Cutting,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가공물을 절삭하는 가공법)을 비롯한 공법에 의해 소정의 길이와 폭으로 미리 가공된 상태에서 블랭킹 가공을 거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보호케이스(300)의 금속 판재(310, 320)는 금속 덩어리를 가공하여 제작되는 것이 아니라, 일단 소정의 치수로 기성 가공되거나 주문 가공된 금속 판재로부터 제작된다는 점에서 종래기술과 차이가 있는 것이다.Of course, the metal plate (310, 320) as shown in Figure 4a is a wire cutting (processing to produce a discharge between the wire and the workpiece to process the workpiece using a discharge spark as a saw blade) or laser cutting (Laser Cutting, laser beam) Is subjected to a blanking process in a state that has been pre-machined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width by a method including a method of cutting a workpiece by irradiation). That is, the
도 3에서 참조부호 A는 제 1 및 제 2 금속 판재부(310, 320)에 대하여 벤딩(Bending)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형성된 벤딩부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보호케이스(300)를 구성하는 금속 판재(310, 320)를 벤딩 가공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In FIG. 3, reference numeral A denotes a bending portion formed by bending the first and second
예컨대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4a와 같은 형태로 블랭킹 가공된 1mm 이하 두께의 금속 판재(310, 320)는 휴대단말기(200)의 폭과 모서리의 곡면 형태에 맞게 미리 제작된 하판 금형(400)과 상판 금형(450) 사이에 금속 판재(310 혹은 320)를 두고 프레스 가공함으로써 벤딩부 A를 갖게 된다.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4B, the
참고로, 도 3에서는 보호케이스(300)가 2 조각의 금속 판재부(310, 320)로 구성되어 있지만, 체결부(330')가 매끈하게 연결되어 있고, 체결부(330)가 휴대단말기(200)의 둘레 길이만큼 긴 금속 판재의 일단과 타단에 한쌍만 형성된 구조로도 구성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자가 실험한 바에 따르면 보호케이스(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조각의 금속 판재부(310, 320)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1 조각의 긴 금속 판재부(도 3에는 미도시)에 도 4b와 같은 벤딩 가공을 2회 실시하는 경우 가공 오차가 커져서 양산성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For reference, in FIG. 3, the
다음으로,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300)의 체결부(330, 330')가 후크식 연결 구조부인 경우의 다양한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부언하자면 도 5a 내지 도 7에 있어서 (1)은 도 3의 Y 방향에서 본 체결부의 단면도이고, (2)는 도 3의 X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도면이다.Next, FIGS. 5A to 5C are views illustrating various modifications when the
도 3 및 도 5a를 참조하면, 제 2 금속 판재부(320)의 양단에는 갈고리(331)가 형성되어 있고, 제 1 금속 판재부(310)의 양단에는 갈고리(331)를 걸 수 있는 수용부(332)가 형성되어 있다. 물론, 제 2 금속 판재부(320)의 일단에는 갈고리(331)가, 타단에는 수용부(332)가 형성되어 있고 제 1 금속 판재부(310)는 그 반대로 후크식 연결 구조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S. 3 and 5A, hooks 331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다음으로 도 5b를 참조하면 후크식 연결 구조부(330)는 볼록부(333)와 오목부(334)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도 5c를 참조하면 후크식 연결 구조부(330)는 버클(Buckle)부(335) 및 이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336)로 구성될 수 있다. 부언하자면 도 5a 내지 도 5c에서 후크식 연결 구조부(330)는 모두 체결 시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휴대단말기(200)에 보호케이스(300)를 장착한 경우 심미감을 떨어뜨리고 후크식 연결 구조부(330)에 손가락이나 옷감이 걸리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예컨대 제 1 금속 판재부(310)의 두께 범위 내에서 제 2 금속 판재부(320)의 버클부(335)나 갈고리(331)가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Next, referring to FIG. 5B, the hook-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300)의 후크식 체결부(330)가 나사식 연결 구조부(340)로 대체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1 금속 판재부(310)와 제 2 금속 판재부(320)에 각각 형성된 홀(342, 341)에 나사(343)를 고정함으로써 제 1 및 제 2 금속 판재부(310, 320)를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참고로 도 6에 있어서 나사(343)는 기성 조립될 수 있지만,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나사(343)를 삽입하고 빼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6 is a view illustrating a case where the hook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300)의 체결부(330)가 경첩식 연결 구조부(350)로 대체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 1 금속 판재부(310)와 제 2 금속 판재부(320)에 각각 형성된 고리부(352, 351)에 경첩(353)을 끼움으로써 제 1 및 제 2 금속 판재부(310, 320)를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참고로 경첩(353)은 도 7과 같은 형태로 기성 조립될 수 있지만, 사용자가 보호케이스(300)의 착탈 시 필요에 따라 고리부(352, 351)에 경첩(353)을 삽입하고 뺄 수도 있다.7 is a view showing a case in which the
다음으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300)의 금속 판재(310, 320)가 휴대단말기(200) 측면부(예컨대, 도 2에서 버튼(210)이 형성된 측면부)와의 사이에서 내부 공간 B를 마련하도록 꺽임 구조로 형성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과 같이 보호케이스(300)의 금속 판재(310, 320)를 꺽임 구조로 하는 경우 사용자가 보호케이스(300)를 쥐었을 때의 그립감을 개선하고 디자인적인 측면에서도 심미감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Next, FIG. 8 shows an inner space between the
이상 설명한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300)는 NC 가공을 필요로 하지 않고 미리 0.2mm 내지 1.0mm 정도의 두께로 형성된 금속 판재(310, 320)를 벤딩 가공하는 것만으로도 체결부(330, 340, 350)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200)에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SH, H, H*1/2, B, 2B 등 다양한 금속 경도에 따라 충격에 강한 박형의 보호케이스(300)를 구현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는 금속 판재부(310, 320)가 갖는 금속 재질의 질감을 보호케이스(300)의 디자인에 반영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1mm가 넘는 두꺼운 금속 판재의 적용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제 1 및 제 2 금속 판재(310, 320)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portable terminal
<제 2 실시형태>≪ Second Embodiment >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의 제 2 실시형태(7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부언하자면, 후술하는 도 9 내지 도 10c는 휴대단말기(200)에 보호케이스(700, 700a 내지 700c)를 장착한 상태에서 도 3의 폭 W 방향으로 자른 단면도를 나타낸다.9 is a view showing a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보호케이스(700)는 금속 판재부(500)와 탄성 보호부(600)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700)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보호케이스(300)와 비교할 때 탄성 보호부(600)를 더 포함하고 있는데, 이는 금속 판재부(310, 320)의 표면이 휴대단말기(200)의 측면과 맞닿으면서 스크래치를 유발하거나 외부 충격이 아무런 완충작용 없이 그대로 휴대단말기(200)의 측면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여기서 탄성 보호부(600)는 실리콘, TPU 등의 탄성이 있는 고무 소재나 플라스틱, 천연 가죽, 인조 가죽, 섬유 및 이들 소재의 복합물 등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금속 판재부(500)는 예컨대 알루미늄, 철, 초경량 듀랄미늄, 스테인리스 스틸, 탄소강(예컨대, S45C) 중 하나 이상의 금속 재질로 제작할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커팅, 블랭킹 및 벤딩 가공에 의하여 휴대단말기(200)의 외형에 맞추어 제작된다.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보호케이스(700)에 있어서 금속 판재부(500)는 탄성 보호부(600)의 두께가 얇더라도 휴대단말기(200)로부터 탄성 보호부(600)가 쉽게 벗겨지지 않도록 탄성 보호부(600)를 고정하는 역할도 수행한다.The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보호케이스(700)는 금속 판재부(500)의 금속 재질이 갖는 고유한 강도와 함께 탄성 보호부(600)가 갖는 탄성력을 조합할 수 있어 외부 충격으로부터의 보호 효과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보호케이스(300)에 비하여 더 뛰어난 장점이 있다.The
다음으로,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변형예(700a, 700b, 700c)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다.Next, FIGS. 10A to 10C are diagrams showing modified examples 700a, 700b and 700c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mobile terminal protectiv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예컨대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700a)의 탄성 보호부(600)는 휴대단말기(200)의 전면부와 후면부 중 일부를 덮도록 연장부(600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금속 판재부(500)가 탄성 보호부(600)로부터 쉽게 이탈하지 못하도록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보호부(600)의 외측 표면에 금속 판재(500)와 동일한 폭의 도랑 구조가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경우, 도 10a와 같은 단면상으로 볼 때 탄성 보호부(600)는 알파벳 대문자 "I"와 같은 형상을 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0A, the
도 10b를 참조하면,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700b)의 탄성 보호부(600)는 전면부의 일부를 덮는 연장부(600a) 외에 휴대단말기(200)의 후면부 전면을 보호하도록 후면 보호부(60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후면 보호부(600b)는 연장부(600a)와 동일한 탄성 재질로 제작할 수도 있고, 상술한 종래기술의 참조번호 110 및 120에서와 같이 후면 보호부(600b)와 연장부(600a)의 재질을 다르게 할 수도 있다. 따라서 후면 보호부(600b)는 예컨대 알루미늄, 철, 초경량 듀랄미늄, 스테인리스 스틸, 탄소강(예컨대, S45C) 중 하나 이상의 금속 재질로 구성하거나, 실리콘, TPU 등의 탄성이 있는 고무 소재나 투명한 플라스틱, 천연 가죽, 인조 가죽, 섬유 및 이들 소재의 복합물로 구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B, the
도 10c를 참조하면,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700c)의 탄성 보호부(600)는 연장부(600a) 외에 휴대단말기(200)의 후면부를 덮는 장식부(600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장식부(600c)는 연장부(600a)와 동일한 탄성 재질로 제작할 수도 있고, 연장부(600a)와는 다른 재질로 제작할 수도 있다. 따라서 장식부(600c)는 예컨대 알루미늄, 철, 초경량 듀랄미늄, 스테인리스 스틸, 탄소강(예컨대, S45C) 중 하나 이상의 금속 재질로 구성하거나, 실리콘, TPU 등의 탄성이 있는 고무 소재나 투명한 플라스틱, 천연 가죽, 인조 가죽, 섬유 및 이들 소재의 복합물로 구성할 수 있다. 장식부(600c)는 예컨대 휴대단말기(200)를 책상 위에 놓았을 때의 받침대로서 기능하거나, 재미있는 장식물을 포함하거나, 보호케이스(700c)가 손에 잘 잡히도록 볼륨감을 제공하는 용도를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C, the elastic
끝으로,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의 제 2 실시형태(700, 700a, 700b, 700c)에 있어서 탄성 보호부(600)의 모서리에 함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nally, FIGS. 11A to 11C illustrate a case in which the depression is formed at the corner of the elastic
탄성 보호부(600)에 있어서 함몰부는 도 11a 및 도 11b에 예시한 바와 같이 탄성 보호부(600)와 금속 판재부(500)의 사이에 소정의 내부 공간 C 혹은 C'를 제공하기 위하여 탄성 보호부(600)의 모서리 부분이 함몰된 부위를 말하는데, 이러한 함몰부는 사용자가 탄성 보호부(600)의 둘레에 금속 판재부(500)를 보다 쉽게 장착하기 위하여 마련된다.In the elastic
즉, 도 11c에 도시된 평면도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4개의 모서리 지점 P1 내지 P4에 약간의 힘만 가해도 내부 공간 C 혹은 C'에 의한 여유 공간만큼 금속 판재부(500)의 모서리 부분을 탄성 보호부(600)의 모서리 부분쪽으로 밀어서 밀착시킬 수 있고, 이 경우 예컨대 금속 판재(500)의 양단에 마련된 도 5a 내지 도 5c와 같은 후크식 연결 구조부를 용이하게 걸 수 있는 여유가 생기게 된다.That is, referring to the plan view illustrated in FIG. 11C, the user may apply the edge portion of the
끝으로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의 제 2 실시형태를 휴대단말기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본 출원인이 개발한 시제품 사진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휴대단말기(200)는 탄성 보호부(600)와 금속 판재부(500)로 이루어져 있고 도 10a의 연장부(600a)가 적용된 보호케이스(700a)에 의하여 측면부가 둘러싸여져 있다.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protectiv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portable terminal, showing a prototype photograph developed by the present applicant. Referring to FIG. 12, the
도 12에서 탄성 보호부(600)는 자체적인 탄성력에 의하여 휴대단말기(200)에 밀착하고 있지만, 금속 판재부(500)에 의하여 더욱 공고히 휴대단말기(200)와 고정되어 있다. 금속 판재부(500)는 제 1 및 제 2 금속 판재(510, 520)의 2 조각으로 나누어져 있고, 이들 제 1 및 제 2 금속 판재(510, 52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식 연결 구조부(530)에 의하여 단단히 결합되어 있다. 물론 제 1 및 제 2 금속 판재(510, 520)의 총 길이는 휴대단말기(200)를 둘러싼 탄성 보호부(600)의 둘레 길이를 감안하여 적절하게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 예컨대 금속 판재(510, 520)가 체결되었을 때의 총 길이는 탄성 보호부(600)의 둘레 길이 대비 99% 내지 100%의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부언하자면 본 발명자가 실험한 바에 따르면, 사실 금속 판재(510, 520)가 체결되었을 때의 총 길이를 탄성 보호부(600)의 둘레 길이 대비 100%로 설정하더라도 사용자가 금속 판재(510, 520)의 후크식 연결 구조부를 체결하는 것이 쉽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기 때문에, 도 11a 및 도 11b와 같은 구조를 제안하게 된 것이다. 물론, 필요에 따라 금속 판재(510, 520)가 체결되었을 때의 총 길이를 탄성 보호부(600)의 둘레 길이 대비 99% 가량 설정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치가 금속 재질의 강도나 탄성 보호부(600)의 탄성도 내지 경도, 외관적인 심미감 등을 고려하여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FIG. 12, the
휴대단말기(200)의 각종 버튼(210)은 금속 판재부(500)의 노출부(511)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노출부(511)에 대응하는 탄성 보호부(600)의 영역도 노출되어 있어야 함은 물론이다. 다만, 탄성 보호부(600)에는 휴대단말기(200)의 버튼(210)을 커버하도록 돌출부(610)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금속 판재부(500)에만 돌출부(610)가 노출되도록 노출부가 형성되어야 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700, 700a 내지 700c)에 의하면, 탄성 보호부(600)의 두께를 얇게 하면서도 탄성 보호부(600)가 휴대단말기(200)로부터 벗겨질 염려가 없도록 할 수 있고, 또한 금속 판재(500)가 갖는 높은 강도에 의해 박형의 금속 판재(500)만으로도 외력에 대하여 강력한 보호 기능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탄성 보호부(600)에 있어서 전면부와 후면부의 일부를 덮는 연장부(600a)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휴대단말기(200)의 측면만 감싸는 탄성 보호부(600)와 금속 판재(500)의 조합만으로도 휴대단말기(200)를 떨어뜨리는 등의 사고 시 발생하는 외력으로부터 휴대단말기(200)를 충분히 보호하는 효과를 얻어낼 수 있다.According to the portable terminal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첨부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라는 점에 주의하여야 한다. 예컨대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금속 판재(500)는 도 3 내지 도 7 중 어떠한 형태의 체결부를 갖는 금속 판재 보호케이스(300)로도 대체 가능하다. 따라서, 비록 도 12에는 체결부가 후크식 연결 구조부(530)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도 12의 후크식 연결 구조부(530)는 앞서 설명한 나사식 연결 구조부나 경첩식 연결 구조부로도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도 12에서는 제 1 금속 판재(510)와 제 2 금속 판재(520)가 후크식 연결 구조부(530) 상에서 일정한 높이 내지 단차를 가지고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금속 판재(510, 520)의 양단에 각각 자석을 설치함으로써 단차 없이 제 1 및 제 2 금속 판재(510, 520)가 연결되도록 구성하거나, 제 1 및 제 2 금속 판재(510, 520)의 양단에 각각 설치된 암수의 체결 구조가 제 1 및 제 2 금속 판재(510, 520)의 두께 범위 내에서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Whil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merely to illustrate. For example,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in FIGS. 9 to 12, the
또한, 도 3에서는 보호케이스(300)가 2 조각의 금속 판재(310, 320)로 구성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지만, 3 조각 이상의 금속 판재로 보호케이스(300)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복수의 체결부마다 나사식, 경첩식, 후크식 등의 서로 다른 연결 구조부를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도 5a 내지 도 7의 체결부들은 기성 조립되어 있을 수도 있고,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착탈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 있어서 "체결식 구조"란 반드시 외관상 사용자에게 노출되어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하나 혹은 2 이상의 금속 판재를 체결식으로 최초 제작하였다가, 보호케이스를 제조하는 공정 내에서 그 체결식 부위를 매끈하게 기성 용접해 버리는 경우라고 하더라도, 알루미늄 덩어리를 NC 가공하던 종래기술과는 차별화된 본원발명의 고유한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In addition, FIG. 3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이와 같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다양한 개조나 변경을 가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되어야 할 것이다.As such, those skilled in the art should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or change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
Claims (13)
탄성 복원력을 갖는 재질에 의하여 상기 측면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탄성 보호부; 및
소정의 길이, 폭 및 높이를 가지고, 상기 탄성 보호부를 감싸서 장착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벤딩 가공형 금속 판재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 판재의 일단은 타단과 체결부에 의하여 연결 가능하며, 상기 금속 판재의 일단과 타단이 상기 체결부에 의하여 연결됨으로써 상기 금속 판재가 상기 측면부를 포위하여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In the protective case for protecting the mobile terminal consisting of the front, rear and side portions on which the display screen is mounted,
An elastic protective part formed to surround the side part by a material having elastic restoring force; And
At least one bending-form metal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width and height and formed to surround and mount the elastic protective part,
One end of the metal plate can be connected by the other end and the fastening part, and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metal plate is connected by the fastening part to protect the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metal plate surrounds the side portion. .
상기 탄성 보호부는 상기 전면부 및 상기 후면부의 일부를 각각 덮도록 형성된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elastic protective unit includes a mobile terminal protective cas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xtension portion formed to cover each of the front portion and the rear portion.
상기 탄성 보호부는 상기 금속 판재를 수용할 수 있는 도랑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elastic protective unit has a ditch structure for accommodating the metal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mobile terminal protective case.
상기 벤딩 가공된 금속 판재와 상기 탄성 보호부가 맞닿는 모서리에 소정의 내부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탄성 보호부의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에는 함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And a depression is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corners of the elastic protection part so that a predetermined inner space is formed at an edge where the bent metal plate and the elastic protection part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상기 체결부는 후크식 연결 구조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5,
The fastening part is a portable terminal protective case, characterized in that the hook-type connection structure.
상기 체결부는 나사식 연결 구조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5,
The fastening part is a mobile terminal protective case, characterized in that the screw connection structure.
상기 체결부는 경첩식 연결 구조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5,
The fastening part is a mobile terminal protective case, characterized in that the hinge connection structure.
소정의 길이, 폭 및 높이를 가지고, 적어도 하나의 벤딩 가공된 금속 판재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 판재의 일단은 타단과 체결부에 의하여 연결 가능하며, 상기 금속 판재의 일단과 타단이 상기 체결부에 의하여 연결됨으로써 상기 금속 판재가 상기 측면부를 포위하여 보호하고,
상기 휴대단말기는 상기 측면부 상에서 노출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외부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금속 판재는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영역이 블랭킹 가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In the protective case for protecting the mobile terminal consisting of the front, rear and side portions on which the display screen is mounted,
Has a predetermined length, width and height and comprises at least one bent metal plate,
One end of the metal plate is connectable by the other end and the fastening part, and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metal plate is connected by the fastening part to protect the metal plate surrounding the side part,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one or more external interfaces exposed on the side portion,
The metal plate is a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interface is blanked.
상기 휴대단말기는 상기 측면부 상에서 노출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외부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탄성 보호부는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영역을 노출시키는 노출부가 형성되도록 사출 성형되어 있으며,
상기 금속 판재는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영역이 블랭킹 가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5,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one or more external interfaces exposed on the side portion,
The elastic protective part is injection molded to form an exposed part exposing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interface,
The metal plate is a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interface is blanked.
소정의 길이, 폭 및 높이를 가지고, 적어도 하나의 벤딩 가공된 금속 판재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 판재의 일단은 타단과 체결부에 의하여 연결 가능하며, 상기 금속 판재의 일단과 타단이 상기 체결부에 의하여 연결됨으로써 상기 금속 판재가 상기 측면부를 포위하여 보호하며,
상기 금속 판재는 상기 측면부와의 사이에 내부 공간이 마련되도록 꺽임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In the protective case for protecting the mobile terminal consisting of the front, rear and side portions on which the display screen is mounted,
Has a predetermined length, width and height and comprises at least one bent metal plate,
One end of the metal plate is connectable by the other end and the fastening part, and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metal plate is connected by the fastening part to protect the metal plate surrounding the side part,
The metal plate is a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bent structure so that the internal space is provided between the side portion.
소정의 길이, 폭 및 높이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 판재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금속 판재를 상기 휴대단말기의 외형에 맞게 벤딩 가공하는 단계; 및
상기 금속 판재의 일단이 타단과 체결부에 의하여 연결 가능하도록 체결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금속 판재의 일단과 타단이 상기 체결부에 의하여 연결됨으로써 상기 금속 판재가 상기 측면부를 포위하여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의 제조 방법.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protective case for protecting a mobile terminal consisting of a front portion, a rear portion and a side portion on which a display screen is mounted,
Providing at least one metal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width and height;
Bending the at least one metal sheet according to the appearance of the mobile terminal; And
And forming a fastening part so that one end of the metal plate is connectable by the other end and the fastening part.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metal plate is connected by the fastening portio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mobile terminal protective case, characterized in that the metal plate to protect the surrounding the side portion.
상기 휴대단말기가 상기 측면부 상에서 노출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외부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금속 판재에 있어서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영역을 블랭킹 가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의 제조 방법.The method of claim 12,
When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t least one external interface exposed on the side portio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protective case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blanking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interface in the metal sheet Way.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10076454A KR101122400B1 (en) | 2011-08-01 | 2011-08-01 | Protective case for protecting mobile terminal including metallic plate with locking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10076454A KR101122400B1 (en) | 2011-08-01 | 2011-08-01 | Protective case for protecting mobile terminal including metallic plate with locking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122400B1 true KR101122400B1 (en) | 2012-03-09 |
Family
ID=46141724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10076454A Expired - Fee Related KR101122400B1 (en) | 2011-08-01 | 2011-08-01 | Protective case for protecting mobile terminal including metallic plate with locking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122400B1 (en) |
Cited By (9)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342793B1 (en) * | 2012-05-31 | 2013-12-19 | 윤국영 |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 for cellular phone case mounted on edge of the same cellular phone |
| WO2014007457A1 (en) * | 2012-07-04 | 2014-01-09 | (유)유지피디자인 | Mobile phone case |
| KR101410886B1 (en) * | 2012-10-30 | 2014-06-24 | 이호승 | Mobile phone protection case |
| KR101537466B1 (en) * | 2014-01-13 | 2015-07-16 | 하명석 | Manufacture method of cellular phone case |
| CN104883420A (en) * | 2015-06-26 | 2015-09-02 | 成都迈奥信息技术有限公司 | Multifunctional mobile phone frame protective housing |
| KR101564039B1 (en) | 2014-10-17 | 2015-10-29 | 서준필 | Protective case for display device |
| KR200486692Y1 (en) * | 2015-08-18 | 2018-07-19 | 주식회사 슈피겐코리아 | Case Having Double Layers For Electronic Devices |
| JP2021164989A (en) * | 2020-04-27 | 2021-10-14 | 株式会社デンソーウェーブ | Industrial robot operating device |
| KR102390911B1 (en) * | 2020-12-18 | 2022-04-26 |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 Mobile device case interaction device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982555B1 (en) * | 2010-06-21 | 2010-09-15 | 에스지피코리아 (주) | Case for cell phone with touch screen |
| KR101043045B1 (en) * | 2009-09-14 | 2011-06-21 | 에스지피코리아 (주) | Case for electronic devices with touch display panel |
-
2011
- 2011-08-01 KR KR1020110076454A patent/KR10112240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043045B1 (en) * | 2009-09-14 | 2011-06-21 | 에스지피코리아 (주) | Case for electronic devices with touch display panel |
| KR100982555B1 (en) * | 2010-06-21 | 2010-09-15 | 에스지피코리아 (주) | Case for cell phone with touch screen |
Cited By (9)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342793B1 (en) * | 2012-05-31 | 2013-12-19 | 윤국영 |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 for cellular phone case mounted on edge of the same cellular phone |
| WO2014007457A1 (en) * | 2012-07-04 | 2014-01-09 | (유)유지피디자인 | Mobile phone case |
| KR101410886B1 (en) * | 2012-10-30 | 2014-06-24 | 이호승 | Mobile phone protection case |
| KR101537466B1 (en) * | 2014-01-13 | 2015-07-16 | 하명석 | Manufacture method of cellular phone case |
| KR101564039B1 (en) | 2014-10-17 | 2015-10-29 | 서준필 | Protective case for display device |
| CN104883420A (en) * | 2015-06-26 | 2015-09-02 | 成都迈奥信息技术有限公司 | Multifunctional mobile phone frame protective housing |
| KR200486692Y1 (en) * | 2015-08-18 | 2018-07-19 | 주식회사 슈피겐코리아 | Case Having Double Layers For Electronic Devices |
| JP2021164989A (en) * | 2020-04-27 | 2021-10-14 | 株式会社デンソーウェーブ | Industrial robot operating device |
| KR102390911B1 (en) * | 2020-12-18 | 2022-04-26 |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 Mobile device case interaction device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122400B1 (en) | Protective case for protecting mobile terminal including metallic plate with locking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 US7989085B2 (en) | Housing of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 |
| CN203252107U (en) | Protective jacket for electronic product | |
| CN202127432U (en) | Screw-free metal phone case structure | |
| US20120097412A1 (en) |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parts thereof | |
| US8720720B2 (en) | Hous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
| CN202111950U (en) | Injection molded case with antenna pattern part | |
| EP3041383B1 (en) | Cover memb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 CN204928914U (en) | Anticollision integral type cell -phone shell | |
| KR20130007175U (en) | Holder ring for mobile phone | |
| US9204568B2 (en) | Supplementary elements for a handheld device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reof | |
| CN205610699U (en) | Casing and mobile terminal | |
| KR20140002785U (en) | Mobile phone protective cover reinforcement in the structure | |
| JP2013219733A (en) | Mobile device | |
| KR101109319B1 (en) | Removable terminal plug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protective cases containing them | |
| KR101628045B1 (en) | A Protective Case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LCD Protection Function And Fabrication Method Of The Same | |
| US12284299B2 (en) | Electronic device housing with insert molded features and methods of constructing the same | |
| CN210839662U (en) | Battery protection cover and mobile terminal | |
| CN204669760U (en) | A kind of terminal enclosure and terminal equipment | |
| US20120223071A1 (en) | Housing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 CA2756319C (en) |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parts thereof | |
| CN208118319U (en) | Protective shell, mobile terminal component and molding die | |
| CN217643433U (en) | A protective housing for electronic equipment and rigidity frame thereof | |
| CN210899258U (en) | Mobile phone protective sleeve | |
| KR20120098272A (en) | Metal logo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23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23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7022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70224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