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39731B1 - Cdss evaluation toolkit apparatus and evaluation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dss evaluation toolkit apparatus and evaluation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9731B1
KR101139731B1 KR1020090106908A KR20090106908A KR101139731B1 KR 101139731 B1 KR101139731 B1 KR 101139731B1 KR 1020090106908 A KR1020090106908 A KR 1020090106908A KR 20090106908 A KR20090106908 A KR 20090106908A KR 101139731 B1 KR101139731 B1 KR 101139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dss
inspection
unit
input
toolk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69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50074A (en
Inventor
정희교
강영규
박길홍
안정천
이홍식
임채승
손재범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090106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9731B1/en
Publication of KR20110050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00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9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9731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data related to laboratory analysis, e.g. patient specimen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linical Decision Support System (CDSS)의 최소한의 품질을 보장할 수 있는 기준과 규격에 대한 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의료표준 코드 변환 기능, 데이터베이스 무결성 진단 기능, 검사 항목별 검사 기능(필수 입력 값이 없을 경우의 핸들링 검사, 비임상적 수치에 대한 대응 검사, time stamp 관련 검사 등), CDSS 별 보안 수준 검사 기능을 포함하는 CDSS 검사용 툴킷 장치 및 이를 통한 검사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CDSS관련 의료기기의 기술문서 심사 및 안전성, 유효성 심사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and method for evaluating conformity to standards and standards that can guarantee the minimum quality of the clinical decision support system (CDSS), medical standard code conversion function, database integrity diagnosis function, by test item CDSS inspection toolkit device including inspection function (handling inspection in case of no required input value, response check for non-clinical value, time stamp related inspection, etc.), CDSS security level check function, and inspection method through it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echnical document screening, safety, and validity test of CDSS-related medical devices.

CDSS, 검사, 평가, 정량화, 신뢰성, U-Health CDSS, Inspection, Evaluation, Quantification, Reliability, U-Health

Description

CDSS 검사용 툴킷 장치 및 그 검사 방법{CDSS EVALUATION TOOLKIT APPARATUS AND EVALUATION METHOD USING THE SAME}CDSS inspection toolkit device and inspection method {CDSS EVALUATION TOOLKIT APPARATUS AND EVALUA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CDSS 검사용 툴킷 장치 및 그 검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Clinical Decision Support System (CDSS)의 최소한의 품질을 보장할 수 있는 기준과 규격에 대한 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한 CDSS 검사용 툴킷 장치 및 그 검사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olkit device for testing CDSS and its test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olkit device for testing CDSS for evaluating conformity to standards and standards that can ensure the minimum quality of the Clinical Decision Support System (CDSS) and It is about the inspection method.

만성질환자가 국내 전체 인구의 30%를 차지하고 건강관리비용이 GDP의 7%가 넘는 현실은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과 함께 더욱 심각해질 전망이며, 이에 대한 해결책 중 하나로 유헬스를 기반으로 한 홈헬스케어가 지속적으로 부각되어 왔다.The reality that chronically ill patients account for 30% of Korea's total population and health care costs exceeding 7% of GDP is expected to become more severe with the aging society. One of the solutions is the home health care based on u-health. Has been continuously highlighted.

홈 헬스케어 시장의 본격적인 활성화와 더불어 발전하고 있는 기반기술들 중 하나인 Clinical Decision Support System (CDSS)는 전문적인 의료지식을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구현하여 의료적 의사결정을 돕는 시스템을 일컫는다. CDSS 기술은 1950년대 초반에 그 아이디어가 발표된 이후 컴퓨터와 의학의 발전과 더불 어 계속 진보해오고 있다. 초기의 CDSS는 현대 기술의 발전 속도와 성과를 예상하지 못했기 때문에 단순히 전문 의료 인력이 임상의사결정을 내리는데 지원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Shortliffe, 1990) 으로 정의되었으나, 컴퓨터가 일반 사람들도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가전화가 되면서, WWW나 전자책과 같은 형태로 의료지식을 제공하는 모든 컴퓨터 시스템까지 포함되어버리는 문제점이 생기게 되었다 (van Bemmel and Musen, 1997). 이러한 이유로 최근까지 “의료인이 환자를 관리하는 의료인이 임상의사결정을 하는데 직접적인 도움을 줄 목적으로 설계된 지식 데이터베이스 (knowledge base; KB)를 이용한 컴퓨터 소프트웨어“ 라고 언급한 Johnston (1994)의 정의가 주로 활용되어 왔다. Clinical Decision Support System (CDSS), one of the basic technologies that are developing along with the active activation of the home healthcare market, is a system that helps medical decision making by implementing specialized medical knowledge in the form of computer software. CDSS technology has continued to evolve with the development of computers and medicine since the idea was announced in the early 1950s. Early CDSS was simply defined as a computer program (Shortliffe, 1990) that assists medical professionals in making clinical decisions because they did not anticipate the pace and outcome of modern technology, but the computer is easily accessible to the general public. As painters became involved, all computer systems that provided medical knowledge in the form of WWW or e-books had the problem of being included (van Bemmel and Musen, 1997). For this reason, Johnston (1994) 's definition of "computer software using a knowledge base (KB) designed to help healthcare practitioners directly manage their patients' decision making has been primarily used." Has been.

유비쿼터스 (ubiquitous) 시대의 시작과 함께 의료기술이 CDSS의 형태를 통해 전문 의료인력의 손이 미치지 않는 범위에서도 이용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됨에 따라 CDSS와 유비쿼터스 기술의 융합은 의료 접근성을 한 단계 진일보시켜 국민건강을 보호하고 증진하는데 효과적인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게 되었지만, 의료적 지식을 오용할 수 있다는 부정적인 측면 또한 존재한다. 따라서 국민의 건강을 보장하기 위하여 CDSS에 대한 최소한의 품질을 보장할 수 있는 기준과 규격을 필요로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인증 수단 역시 그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With the beginning of the ubiquitous era, medical technology has been created in the form of CDSS, which can be used even within the reach of professional medical personnel, and the convergence of CDSS and ubiquitous technology has taken medical accessibility to the next level. Although it can be used as an effective means to protect and promote public health, there are also negative aspects of misuse of medical knowledge. Therefore, in order to guarantee the health of the people, standards and standards that can guarantee the minimum quality of the CDSS are needed, and the certification means for this is also urgently developed.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새롭게 제안하는 본 발명의 목적은 우선적으로 CDSS를 정확하게 정의하고 그 범위를 설정한 후, 이러한 정의와 범위에 속하는 CDSS에 대한 인증을 제공하기 위해서 CDSS의 내부 공개 없이도 CDSS의 성능을 평가할 수 있는 객관적이고 신뢰성있는 결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CDSS 검사용 툴킷 장치 및 그 검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newly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first defines the CDSS accurately and sets the scope thereof, and then provides the CDSS without the internal disclosure of the CDSS in order to provide certification for the CDSS belonging to the definition and scop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oolkit for a CDSS inspection apparatus and a method of inspecting the same to provide an objective and reliable result of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the CDS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CDSS에 대한 의료표준 코드 준수, 데이터베이스 무결성, 검사 항목별 검사부에 대한 기능적 검사, 보안 수준에 대한 검사를 포함하는 다양한 방향에 대한 검사를 표준형 툴킷을 통해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한 CDSS 검사용 툴킷 장치 및 그 검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through the standard toolkit for a variety of directions, including medical standards code compliance for CDSS, database integrity, functional inspection of the inspection unit by inspection item, security level check To provide a CDSS inspection toolkit device and its inspection metho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DSS 검사용 툴킷 장치는 의료표준 코드 변환 구성, 데이터베이스 무결성 진단 구성, 검사 항목별 검사부 구성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으로 CDSS에 대한 정량적 평가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DSS inspection toolki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edical standard code conversion configuration, database integrity diagnostic configuration, inspection item configuration by inspection items quantitative evaluation of the CDSS Get results.

상기 검사 항목별 검사부 구성 내용에는 필수 입력 값이 없을 경우의 핸들링 검사, 비임상적 수치에 대한 대응 검사, time stamp 관련 검사 등을 포함한다.The inspection unit configuration for each inspection item includes a handling inspection in the absence of a required input value, a corresponding inspection for non-clinical numerical values, a time stamp related inspection, and the lik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CDSS 검사용 툴킷 장치를 이용한 검사 방법은 CDSS의 코드와 단위, 지침 및 프로토콜 활용여부를 확인하여 CDSS의 의료표준 준수를 확인는 단계와; CDSS에 입력을 제공하고 그 결과가 임상적 기준에 적합한지를 확인하여 임상적 신뢰성을 확인하는 단계와; time stamp 혼재와 필수 입력의 소실이나 손상 시 그 결과를 확인하여 소프트웨어 안정성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test method using the CDSS toolkit device for test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confirming the compliance of the medical standards of the CDSS by checking whether the code and the unit, guidelines and protocols of the CDSS; Providing clinical input to the CDSS and confirming that the results meet clinical criteria; In the event of loss or damage of time stamp mixes and required inputs, this may include verifying software stability.

상기 임상적 신뢰성을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임상적으로 나타날 수 없는 수치를 입력으로 제공하는 경우에 대한 판별 여부 확인 단계를 더 포함한다.The step of confirming the clinical reliability further includes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provide a case in which the numerical value that cannot be clinically displayed as an input.

상기 임상적 신뢰성을 확인하는 단계는 상황별 수치 차이에 대한 보상을 위한 보정 기능 제공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The step of confirming the clinical reliability further includes a step of confirming whether or not to provide a correction function for compensation for the difference in the numerical value of the situation.

한편, 상기 CDSS의 플랫폼 독립성과 시청각 장애 이용자를 위한 추가 기능의 구현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latform independence of the CDSS and whether the implementation of the additional function for the visually impaired user may further comprise the step of checking.

본 발명에 따른 CDSS 검사용 툴킷 장치 및 그 검사 방법은 인증 대상이 되는 CDSS에 대해서 그 기능이 기 설정된 규격에 적합한지를 정규화된 검사 방식으로 검사하는 툴킷을 이용하여 측정함으로써 정량적으로 수치화된 CDSS의 성능을 평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그 평가 자료에 대해 객관성과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CDSS inspection to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inspection method is the performance of CDSS quantitatively quantified by measuring by using a toolkit that checks whether the function of the CDSS to be certified to meet a predetermined standard by a normalized inspection metho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evaluated, and can provide objectivity and credibility to the evaluation data.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도면 및 표와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drawings and tables.

먼저,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CDSS에 관한 정의로부터 시작되는데, 이는 다양한 의학정보 제공 시스템들 중에서 CDSS로 분류될 수 있는 것을 필터링하기 위한 것으로, 적어도 이러한 기준에 따라 성능 평가의 대상이 되는 CDSS를 구분한 후 이러한 CDSS에 대해서 성능 평가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본 발명의 툴킷 시스템 설계가 이루어져야 한다.First of all,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starts from the definition of CDSS, which is to filter what can be classified as CDSS among various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systems, and distinguishes CDSS to be evaluated for performance according to at least these criteria. Afterwards, the toolkit system desig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erform a performance evaluation on such CDSS should be made.

특히, 이러한 CDSS에 대한 정의는 식품의약품안정청에 의한 CDSS 인증을 위한 용도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툴킷 시스템을 활용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에 해당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툴킷 시스템은 임의의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에 대한 대략적인 검사 결과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엄격히 구분된 CDSS 중에서 실질적인 CDSS로서 정확하게 기능하는 CDSS를 구분 인증하고 모자란 기능을 밝혀 이를 해당 CDSS 개선을 위한 자료로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particular, the definition of the CDSS corresponds to the guidelines for utilizing the toolkit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purpose of CDSS certification by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That is, the toolkit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intend to provide an approximate test result for any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distinguishes and authenticates a CDSS functioning correctly as a substantial CDSS among strictly classified CDSSs. This is to provide the data for improving the CDSS.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DSS는 적어도 의료법상의 법적 범위와 인증객체로서의 법적 범위와 같은 법률적 범위에 따른 고려와, 실질적인 기술적 범위에 대한 고려가 있어야 한다. To this end, the CDS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have at least a consideration according to the legal scope, such as the legal scope of the medical law and the legal scope as the authentication object, and a practical technical scope.

먼저, 의료법상 CDSS는 의료인을 위한 것과 비의료인을 위한 것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비의료인을 위한 CDSS는 의료법상 의료행위에 해당하는 진단이나 처방을 내리지 못하도록 해야 하며, 의료인용 CDSS는 의료인의 책임 하에 활용하게 되므로 의료행위에 해당하는 진단이나 처방을 내릴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검사의 대상이 되는 CDSS는 의료인용 CDSS로 한정할 수 있다.First of all, under the medical law, CDSS can be divided into those for medical personnel and those for non-medical persons. CDSS for non-medical persons should be prevented from making diagnosis or prescription for medical practice under medical law. As it is used, it is possible to make a diagnosis or prescription corresponding to a medical act.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DSS to be examined may be limited to a medical CDSS.

한편, CDSS의 인증객체로서의 법적 범위를 고려할 때, CDSS는 알고리즘이 구현된 컴퓨터 프로그램이지만, 이를 운용하기 위해서는 보안에 관한 고려 또한 필요하게 되므로 CDSS 품질 및 CDSS 운용(알고리즘 변조, 의료 데이터 유출 등을 방지하기 위한 부가적인 구성)에 대한 포괄적인 인증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On the other hand, considering the legal scope of the CDSS as an authentication object, the CDSS is a computer program in which an algorithm is implemented. However, in order to operate the CDS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security. It should be possible to provide comprehensive certification for additional configurations.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DSS 검사용 툴킷 시스템은 이러한 의료용 CDSS에 대해서 그 차제적인 알고리즘에 대한 정량적인 검사와 함께 보안에 관한 인증도 실시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CDSS inspection toolki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figured to perform security authentication for such medical CDSS as well as quantitative inspection of its subordinate algorithm.

한편, 이러한 CDSS의 전문성 보장을 위한 기술적 범위로서 단순 민간요법을 전산화한 내용과 구분하기 위하여 (1)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허가받은 의료기기나 (2)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따로 인정하는 기술로부터의 수치적 검사결과를 활용한 컴퓨터 프로그램의 조건을 명시한다. (2)의 “인정하는 기술”이란 “컴퓨터 비젼을 이용한 피부질환 진단 알고리즘“이나 ”치매진단 전문가용 알고리즘“과 같이 의료기기가 이용되지 않는 경우를 보완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distinguish the CDSS from the computerized contents of simple folk remedies as a technical scope for the professionalism of the CDSS, numerical inspection from (1) medical devices licensed by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or (2) technology separately recognized by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Specify the conditions of the computer program using the results. The "recognition technique" in (2) complements the case where the medical device is not used, such as the "diagnosis algorithm for skin diseases using computer vision" or "the algorithm for dementia diagnosis specialist".

결국 본 발명의 검사 대상이 되는 CDSS는 다음과 같이 정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a result, it is preferable that CDSS, which is the inspection target of the present invention, be defined as follows.

CDSS의 정의
식약청 인증 프로그램의 객체로서의 CDSS는
(1) 식약청 허가 의료기기에 의한 정량화된 입력
(2) 식약청이 인정한 정량화 기술
(3) 사용자의 병력 혹은 증상(symptom) 입력
(4) 전문 의료진에 의한 의료징후 (sign) 또는 소견 (opinion)
의 각호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의료적 추론결과를 제시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이다.
CDSS Definition
CDSS as an Object of the FDA Certification Program
(1) Quantified input by KFDA approved medical devices
(2) Quantification technology recognized by KFDA
(3) Enter your medical history or symptom
(4) Signs or opinions by specialist staff.
Computer software that presents medical inference results from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CDSS 검사 방법은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Therefore, the CDSS tes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as follows.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툴킷 시스템을 이용하여 CDSS의 소프 트웨어를 리뷰하고 주어진 입력에 대한 출력값의 정당성을 판단하는 것으로 CDSS에 대한 품질 인증을 실시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품질 인증을 통과하는 경우 상기 툴킷 시스템을 이용하여 보안 사항을 검사하는 것으로 운용 인증을 실시할 수 있다. First, the quality of the CDSS is performed by reviewing the software of the CDSS using the toolkit system configur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etermining the validity of the output value for a given input. In addition, when such quality certification passes, the operation certification may be performed by inspecting security matters using the toolkit system.

도 1은 Decision Support System for Healthcare(3: DSSH, CDSS보다 좀 더 넓은 개념)를 툴킷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개요를 보인 것으로, 표준화된 시나리오(1)를 CDSS에 제공하고 그 결과(2)와 실제 해당 표준화된 시나리오(1)에 맞추어 기 설정된 결과를 비교(4)하는 것으로 그 성능을 정량적으로 파악(5)할 수 있음을 보인 것이다. 이러한 툴킷 시스템(100) 이용을 통한 CDSS 성능의 정량적 평가 개념을 현실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내용을 검사할 것인지, 어떻게 정량화를 수행할 것인지, 실질적으로 CDSS와 어떠한 방식으로 연결할 것인지 등에 관한 최적 툴킷 시스템을 설계할 필요가 있다.1 shows an overview of quantitatively evaluating Decision Support System for Healthcare (3: DSSH, a broader concept than CDSS) using the toolkit system 100, which provides a standardized scenario (1) to the CDSS. Comparing the preset results (4) with the results (2) and the actual standardized scenario (1), the performance can be quantitatively identified (5). In order to realistically implement the concept of quantitative evaluation of CDSS performance through the use of the toolkit system 100, design an optimal toolkit system on what to check, how to perform quantification, and how to actually connect with the CDSS. Needs to b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CDSS의 기능적 특성을 고려한 최적의 툴킷 시스템 구현을 위한 설계 방식을 설명하도록 한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sign scheme for implementing an optimal toolkit system considering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CDSS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DSS 검사용 툴킷 장치의 구성도로서, 피평가자(10: 검사대상 CDSS)와의 입출력을 담당하는 입출력부(110), 기 설정된 임상적 입력 내용과 그에 따른 결과를 구비한 시나리오 데이터베이스(140), 피평가자에 대한 CDSS 검사를 수행하여 그 결과로써 임상적 신뢰성을 검사하는 신뢰성 확인 부(130), 상기 CDSS의 구성 및 입출력 상태를 확인하여 보안 상태를 확인하는 보안확인부(120) 및 상기 입출력부(110), 신뢰성 확인부(130) 및 보안 확인부(120)를 관리하며 상기 각 부 구성 중 일부 구성에 대한 물리적 기능을 제공하는 제어부(150)를 포함한다.2 is a block diagram of a CDSS test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and output unit 110 in charge of the input and output to the examinee 10 (test target CDSS), the predetermined clinical input content and the result accordingly Scenario database (140) having a, the reliability check unit 130 to perform a CDSS test for the examinee as a result to check the clinical reliability, the security check to confirm the security status by checking the configuration and input and output status of the CDSS The control unit 150 manages the unit 120, the input / output unit 110, the reliability check unit 130, and the security check unit 120, and provides a physical function for some of the units.

상기 입출력부(110)는 피평가자(10)와의 입출력을 담당한다. 즉, 검사 대상이 되는 CDSS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검사대상 CDSS(10)로 기 설정된 방식의 시나리오를 제공하고 그 결과를 수신 받는다.The input / output unit 110 is responsible for input / output with the subject 10. That is, in order to quantitatively evaluate the CDSS to be inspected, a scenario of a preset method is provided to the inspected CDSS 10 and the result is received.

상기 시나리오 데이터베이스(140)는 기 설정된 임상적 입력 내용과 그에 따른 결과를 구비한 표준 시나리오 데이터베이스(Standard Senario DB)로 구성되며, 상기 표준 시나리오 데이터베이스는 전문적 DB를 활용을 하거나 디렉토리 구조로 관리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scenario database 140 is composed of a standard scenario database (Standard Senario DB) having a predetermined clinical input content and results according to the above, the standard scenario database can be managed using a professional DB or a directory structure. Do.

상기 보안 확인부(120)는 검사대상 CDSS(10)의 종류 및 운용 형태에 따라 그 종류를 구분하고, 그에 따라 설정된 보안 레벨을 충족하는지 확인하도록 구성한다.The security checker 120 is configured to classify the type according to the type and operation type of the inspection target CDSS 10 and to confirm whether the security level is set accordingly.

상기 신뢰성 확인부(130)는 피평가자(10)의 실질적인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검사대상 CDSS(10)에 대한 CDSS 검사를 수행하여 의료표준 준수 여부, 소프트웨어 안정성 및 임상적 신뢰성을 측정한다.The reliability verification unit 130 performs a CDSS test on the test target CDSS 10 to evaluate the actual performance of the subject 10 to measure the compliance of medical standards, software stability and clinical reliability.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부(110)의 구성도로서, 검사대상 CDSS(10)가 의료 표준 프로토콜을 따르지 않는 경우 이를 변환하거나 다른 종류의 프로토콜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토콜 변환부(111), 기 설정된 분류방식으로 입출력 코드의 종류를 인식하여 검사대상(10)과 검사용 툴킷 시스템 사이의 입출력 코드를 변환 하는 코드 변환부(112), 의료기기의 측정치들을 표준 검사 단위로 환산하는 환산부(113)를 포함한다.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input / output unit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otocol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or using a different type of protocol when the test target CDSS 10 does not comply with a medical standard protocol. (111), the code conversion unit 112 for converting the input and output code between the inspection target 10 and the inspection toolkit system by recognizing the type of input and output code by the preset classification method, converting the measured values of the medical device into a standard inspection unit It includes a conversion unit 113 to.

검사 대상이 되는 CDSS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기 설정된 방식의 시나리오로 입력을 제공하고 그 결과를 수신 받아 평가하는 툴킷 시스템의 설계를 위하여 기존 CDSS를 입출력의 양식에 따라 구분할 필요가 있으나, 성능평가를 위하여 CDSS 개발진에 요구할 때 현실적으로 CDSS의 내부의 공개 (소스코드 등)를 요구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CDSS의 성능평가는 입력값과 출력값에 대하여 행해질 수밖에 없고, 이런 입출력 관계에 대한 CDSS는 그 입출력값의 특성에 따라 분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입출력값에 따른 기존 CDSS의 종류를 성능평가방식에 의거하여 표 1과 같이 분류한다.In order to quantitatively evaluate the CDSS to be inspected, it is necessary to classify the existing CDSS according to the type of input / output for the design of the toolkit system that provides the input in a preset scenario and receives and evaluates the results. In fact, when requesting the CDSS development team, it is almost impossible to request the inside of the CDSS (source code, etc.). Therefore,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CDSS can only be performed on the input value and the output value, and the CDSS for this input / output relationship should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put / output value. The present invention classifies the type of the existing CDSS according to the input and output values as shown in Table 1 based on the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Knowledge-base를 이용하는지에 대한 분류(PK1-PK3)는 일반적인 CDSS의 분류방식을 표현하였으며, 이는 개발방식이 공개되었을 경우 기본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분류이다. 또한, 입력값의 종류에 따른 PI분류, 그리고 출력값의 종류에 따른 PO분류로 나눌 수 있다.The classification of using knowledge base (PK1-PK3) represents the classification of general CDSS, which can be used basically when the development method is published. In addition, it can be divided into PI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input value and PO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output value.

Figure 112009068317233-pat00001
Figure 112009068317233-pat00001

상기 표 1의 PI1/PO1은 입출력값이 표준 코드와 값에 의한 입출력이 이루어질 때를 의미한다. 대부분의 표준코드에서는 CUID(Conceptual Unique ID)를 사용하므로, 가장 명확한 평가방식을 가질 수 있으며, 대부분의 u-Healthcare 기반 CDSS에서는 이러한 방식을 차후 활용하게 되리라 본다.PI1 / PO1 in Table 1 indicates when input / output values are input / output by standard codes and values. Since most standard codes use CUID (Conceptual Unique ID), they can have the most clear evaluation method, and most u-Healthcare-based CDSS will use this method later.

상기 표 1의 PI2/PO2는 입출력값이 비표준코드, 즉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코드가 아니라 CDSS의 개발당사자가 내부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응용하는 코드를 말한다. 예를 들자면 EEG 시그널을 CDSS의 외부에서 분석하여 몇가지 유형으로 나누고 그 유형을 자체 코드화하여 입력할 때 이는 PI2 CDSS라고 할 수 있다.PI2 / PO2 of Table 1 refers to codes that input / output values are used for internal use by CDSS developers rather than non-standard codes, that is, codes that are generally used. For example, when an EEG signal is analyzed outside of CDSS, divided into several types, and the types are self-coded and input, this is called PI2 CDSS.

상기 표 1의 PI3/PO3는 입출력이 Computer Vision, EEG 시그널등 코드로 표현하기 어려운 입출력의 경우이다.PI3 / PO3 in Table 1 is an input / output case in which input / output is difficult to express by code such as Computer Vision, EEG signal.

상기 코드 변환부(112)는 이러한 구분 과정을 통해 분류한 코드 종류를 인식하여 검사대상(10)과 상기 검사용 툴킷 시스템 사이의 입출력 코드를 변환한다. 원활한 인증과 범용성을 위해서 CDSS에 대해서는 특정한 의료표준 코드의 준수를 요구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외산 CDSS 등과 같이 의료표준 중에서 사용되는 코드의 상호 호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코드 변환부 구성이 필요할 수 있다. The code conversion unit 112 recognizes the classified code types through the classification process and converts the input / output code between the inspection object 10 and the inspection tool system. Although it is desirable to require compliance with a specific medical standard code for CDSS for smooth authentication and general purpose, a code conversion unit may be required to allow mutual compatibility of codes used in medical standards such as foreign CDSS.

즉, 기술적으로 피치못할 경우를 제외하고는 UMLS/SNOMED CT/KOSTOM과 같은 대외적으로 인정받는 표준코드를 입출력으로 활용하여 호환성을 확보하도록 하며, CDSS 툴킷이 제공하는 입력이 이들 중 하나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CDSS의 출력을 관리하기 위하여 이들 중 하나를 기본 코드로 한 후 다른 코드로의 변환이 가능하도록 상기 코드 변환부(112)를 구성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except when technically unacceptable, externally recognized standard codes such as UMLS / SNOMED CT / KOSTOM are used as input / output to ensure compatibility, and input provided by the CDSS toolkit can be provided as one of them. In addition, in order to manage the output of the CDSS, the code conversion unit 112 may be configured so that one of them may be converted into another code and then converted into another code.

상기 환산부(113)는 상기 의료코드 외에 표준 검사 단위를 활용할 수 있도록 의료기기의 측정치들을 표준 검사 단위로 환산한다. 또한, 상기 환산부(113)는 전문학회에서 특정 질병에 대한 지침이 명확히 제시되어 활용되고 있는 경우, 해당 지침에서 제시하는 용어, 분류, 진단법, 계량단위 등을 따르도록 한다.The conversion unit 113 converts the measurement values of the medical device to a standard test unit so that a standard test unit can be used in addition to the medical code. In addition, the conversion unit 113, if the guidelines for a particular disease is clearly presented and used in the professional society, to follow the terms, classification, diagnostic methods, units of measurement, etc. presented in the guidelines.

한편, 의료 표준 전송/문서 프로토콜을 활용하도록 툴킷의 입출력부(110)를 구성하며, CCD, CCR과 같은 의료표준문서 및 HL7과 같은 의료전송표준의 형식을 따르도록 한다. Meanwhile, the input / output unit 110 of the toolkit is configured to utilize the medical standard transmission / document protocol, and the medical standard document such as CCD and CCR and the medical transmission standard such as HL7 are followed.

상기 프로토콜 변환부(111)는 CDSS 중 이러한 표준 프로토콜을 따르지 않는 경우 이를 변환하거나 다른 종류의 프로토콜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프로토콜 변환부(111)는 기본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일부 표준을 지원하도록 구성하며, 그 외의 통신 방식은 해당 CDSS에서 표준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제공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f the protocol conversion unit 111 does not follow this standard protocol among the CDSS, it may convert it or use another kind of protocol. The protocol conversion unit 111 is basically configured to support some well-known standards, and other communication schemes are preferably induced to be converted into a standard protocol provided by the corresponding CDSS.

또한, 상기 입출력부(110)는 입출력의 과정에서 입수되는 입출력 데이터의 의료 표준 준수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를 통해 신뢰성 확인부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신뢰성 확인부가 검사대상 CDSS의 의료 표준준수 여부의 검사를 수행할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the input / output unit 110 transmits the information regarding the medical standard compliance of the input and output data obtained in the input and output process to the reliability confirmation unit through the control unit, the reliability check unit performs a test of compliance with the medical standard of the test target CDSS To do it.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뢰성 확인부(130)의 구성도로서, 상기 신뢰성 확인부(130)는 검사대상 CDSS의 실질적인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의료표준 준수, 소프트웨어 안정성 및 임상적 신뢰성을 측정한다.4 is a block diagram of a reliability check unit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iability check unit 130 is medical standards compliance, software stability and clinical reliability to evaluate the actual performance of the test target CDSS Measure

시나리오 제공부(131)는 시나리오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추출한 표준 시나리오 데이터를 가공한 후, 신뢰성 확인을 위해 추출한 시나리오를 변형한 테스트 시나리오를 검사대상 CDSS로 제공한다.The scenario provider 131 processes the standard scenario data extracted from the scenario database 140, and then provides the test scenario modified with the extracted scenario to the inspection target CDSS.

데이터 검사부(132)는 상기 입출력부가 입수하는 데이터의 의료 표준 준수에 관한 검사를 실시하며, 상기 의료 표준 준수 조건은 필요성에 따라 필수조건, 권고조건으로 나뉘고, 상기 권고조건은 그 중요성에 따라 강한 권고조건, 일반 권고조건으로 나눌 수 있다. 상기 의료 표준 준수의 조건은 다음과 같다.The data inspecting unit 132 performs a check on the medical standard compliance of the data received by the input and output unit, the medical standard compliance conditions are divided into the necessary conditions and recommendations according to necessity, the recommended conditions are strong recommendations according to their importance Can be divided into conditions and general recommendations. The conditions of compliance with the medical standards are as follows.

i) 의료 표준 코드 활용 (강한 권고조건) : 기술적으로 피치못할 경우를 제외하고는 UMLS/SNOMED CT/KOSTOM과 같은 대외적으로 인정받는 표준코드를 입출력으로 활용하여 호환성을 확보하도록 한다.i) Utilization of medical standard codes (strong recommendation): Except in the case of technical difficulties, externally recognized standard codes such as UMLS / SNOMED CT / KOSTOM are used as input / output to ensure compatibility.

ii) 표준 검사단위 활용 (강한 권고조건) : 의료기기의 측정치등의 검사치를 사용할 경우 일반적으로 활용되는 표준형 검사단위를 사용하도록 한다.ii) Use of standard test units (strong recommendation): When using test values such as measurement values of medical devices, the standard test units generally used should be used.

iii) 검사의 4요소 활용 (일반 권고조건) : 검사, ID, 측정시간, 측정항목, 검사치가 명확해야한다.iii) Use of four elements of inspection (general recommendations): Inspection, ID, measurement time, measurement items, and inspection values should be clear.

iv) 표준 진료지침 활용 (일반 권고조건) : 전문학회에서 어떠한 질병등에 대한 지침이 명확히 제시되어 활용되고 있는 경우 가급적 지침에서 제시하는 용어, 분류, 진단법, 계량단위등을 따르도록 한다.iv) Utilization of standard medical guidelines (general recommendations): When the guidelines for diseases, etc. are clearly presented and used in the professional society, the terms, classification, diagnostic method, and unit of measurement suggested in the guidelines should be followed whenever possible.

v) 의료 표준 전송/문서 프로토콜의 활용 (일반 권고조건) : CCD 혹은 CCR과 같은 의료 표준문서 및 HL7과 같은 의료 전송표준의 형식을 직접 입력으로 하는 것을 추천한다. v) Use of medical standard transmission / document protocol (general recommendation): It is recommended to directly input the format of medical standard document such as CCD or CCR and medical transmission standard such as HL7.

또한, 상기 데이터 검사부(132)는 상기 입출력부가 입수하는 데이터에 대해 소프트웨어 안정성이라는 측면에서 데이터 혼재, 입력오류등에 따른 검사를 실시하며, 상기 소프트웨어 안정성의 인증 조건도 역시 필요성에 따라 필수조건, 권고조건으로 나뉘고, 상기 권고조건은 그 중요성에 따라 강한 권고조건, 일반 권고조건으로 나눌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안정성의 인증 조건은 다음과 같다.In addition, the data inspecting unit 132 inspects the data obtained by the input / output unit according to data confusion, input error, etc. in terms of software stability, and the authentication condition of the software stability is also required and recommended according to necessity. The recommendation can be divided into strong recommendation and general recommendation according to its importance. The authentication conditions of the software stability are as follows.

i) 측정 시각 핸들링 (Date/Time Stamp Handling : 강한 권고 조건) : 어떤 CDSS입력의 검사수치등의 측정 날짜/시간등이 혼재될 경우 이를 적절히 처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u-Healthcare영역에서는 PHR등을 활용하여 각 데이터들의 상호 호환성을 추구하고 있다. 즉, A라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있던 검사결과와 B라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있던 검사결과가 병합(Merge)가 되는 경우가 생길 수 있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병합(Merge)기능 자체에서 적절한 조정이 필요하겠지만 그렇지 못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를 CDSS자체 내에서 처리할 수 있는 기능이 부가되어야 한다.i) Measurement time handling (Date / Time Stamp Handling: Strongly recommended condition): If the date / time of measurement such as the check value of a certain CDSS input is mixed, this should be handled properly. In the u-Healthcare area, PHR is used to pursue mutual compatibility of data. In other words, the result of the test stored in the database named A and the result of the test stored in the database named B may be merged. In such a situation, proper adjustment may be necessary in the merge function itself. There is a possibility of this not being possible, so the ability to handle it within the CDSS itself must be added.

ii) 삭제 데이터 핸들링 (Missing Data Handling : 필수 조건) : 어떤 CDSS에 대한 입력값이 필수 입력값인데도 불구하고 변형되거나 사라졌을 경우 이를 적절히 처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ii) Missing Data Handling (mandatory condition): If an input value for a CDSS is deformed or disappeared even though it is a required input value, it should be handled properly.

iii) 불명확 데이터 핸들링 (Unclear Data Handling: 필수 조건) : 통신 또는 데이터 일부의 손상으로 인하여 명확한 형태의 데이터가 아닌 경우가 CDSS의 입력으로 제공되었을 경우 이를 처리할 수 있어야 한다.iii) Unclear Data Handling (mandatory condition): It should be possible to handle the case where the data is not provided in the form of clear data due to communication or damage to some of the data.

상기 데이터 검사부(132)는 추가적으로 CDSS의 플랫폼을 확인하여 범용성을 검사하도록 구성할 수 있고, 시청각 장애 이용자에 대한 추가 기능을 인증 요구사항으로 더 검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The data inspecting unit 132 may additionally configure the platform of the CDSS to check the versatility, and may further configure the additional function for the visually impaired user as an authentication requirement.

상기 검사대상 CDSS가 상기 시나리오 제공부(131)에서 제공한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검사를 실시한 후, 임상적 신뢰성 확인부(133)는 그 결과에 대해 아래와 같은 임상적 신뢰성 조건을 검사하여 그 인증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검사대상 CDSS에 대한 실질적인 임상적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After the test subject CDSS performs the test using the scenario provided by the scenario providing unit 131, the clinical reliability check unit 133 checks the following clinical reliability conditions with respect to the result to determine whether the certificate is certified. By determining the actual clinical reliability of the CDSS to be tested can be confirmed.

상기 임상적 신뢰성의 인증 조건은 다음과 같으며, 그 필요성에 따라 필수조건, 권고조건으로 나뉘고, 상기 권고조건은 그 중요성에 따라 강한 권고조건, 일반 권고조건으로 나눌 수 있다.The conditions for the certification of clinical reliability are as follows, and are divided into essential conditions and recommendations according to their necessity, and the recommendations can be divided into strong recommendations and general recommendations according to their importance.

i) Minimum False Positive Ratio (필수 조건) : CDSS에서 나타나는 결과가 어떤 질병의 스크리닝(Screening)인 경우 그 결과는 식약청에서 관련학회 등을 통하여 협의를 거친 최소한의 False Positive Ratio을 만족해야 한다.i) Minimum False Positive Ratio (mandatory condition): If the result of the CDSS is screening for any disease, the result must satisfy the minimum false positive ratio that has been negotiated by the KFDA through a relevant society.

ii) Minimum False Negative Ratio (필수 조건) : CDSS에서 나타나는 결과가 어떤 질병의 스크리닝(Screening)인 경우 그 결과는 식약청에서 관련학회 등을 통하여 협의를 거친 최소한의 False Negative Ratio를 만족시켜야 한다.ii) Minimum False Negative Ratio (mandatory condition): If the result of the CDSS is screening of a disease, the result must satisfy the minimum False Negative Ratio negotiated by the KFDA through a related society.

iii) 의학적 부적합 데이터 핸들링 (Clinically Improper Data Handling : 강한 권고 조건) : 임상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 수치를 넘어선 수치가 CDSS의 입력으로 제공될 경우 이를 적절히 판별을 할 수 있는 기능이 있어야 한다.iii) Clinically Improper Data Handling (strong recommendation): There should be a function to properly determine if a value beyond the clinically acceptable value is provided as input to the CDSS.

iv) 검사 수치 보정 (Test Condition Control : 강한 권고 조건) : 혈압의 측정의 경우 병원에서 측정할 때와 가정에서 측정할 때의 수치가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식전, 식후, 운동후 등과 같이 심리적 상태, 신체적 상태에 따라 검사값의 응용을 다르게 해야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며 CDSS는 내부적으로 이를 적절히 보정할 수 있는 기능이 있어야 한다. 이러한 기능이 없을 경우는 CDSS의 사용자에게 매뉴얼이나 화면표시를 통하여 그러한 조건이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됨을 공지하든지, 일정조건하에서 CDSS를 이용할 수 있도록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iv) Test Condition Control (Strong Recommended Condition): In the case of blood pressure measurement, it is known that the value is different between the measurement at the hospital and at home. In addition, the application of the test value is often required according to the psychological state and the physical state such as before meals, after meals, and after exercise, and the CDSS should have a function for correcting it internally. In the absence of such a function, the CDSS user should be able to suggest that the CDSS can be used under certain conditions, regardless of how the manual affects the condition.

상기 임상적 신뢰성 확인부(133)는 상기 임상적 신뢰성 조건에 따른 출력을 파악하여 원하는 목표치 범위의 출력인지 확인하도록 구성한다.The clinical reliability check unit 133 is configured to determine the output of the desired target value range by grasping the output according to the clinical reliability conditions.

평가결과 제공부(134)는 상기 데이터 검사부(132) 및 상기 임상적 신뢰성 확인부(133)의 검사에 따른 해당 평가 결과를 피평가자에게 제공한다.The evaluation result providing unit 134 provides the evaluator with the corresponding evaluation result according to the examination of the data inspecting unit 132 and the clinical reliability checking unit 133.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확인부(120)의 구성도이다. 상기 보안 확인부(120)는 검사대상 CDSS의 종류 및 운용 형태에 따라 그 종류를 구분하고, 그에 따라 설정된 보안 레벨을 충족하는지 확인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보안 확인부(120)는 운용 형태에 따른 CDSS 종류를 구분하는 CDSS 운용종류 확인부(121), 구분한 CDSS의 종류에 따른 보안 레벨을 검증하는 운용보안 확인부(122)를 포함하도록 구성한다.5 is a block diagram of a security check unit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ecurity checker 120 is configured to classify the type according to the type and operation type of the inspection target CDSS, and to check whether the security level is set accordingly, the security checker 120 is operated. CDSS operation type checking unit 121 for classifying the CDSS type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nd a security check unit 122 for verifying the security level according to the type of CDSS is configured to include.

상기 CDSS 운용종류 확인부(121)는 운영 및 보안의 측면에서 검사대상 CDSS의 종류를 표 2와 같이 분류할 수 있으며, 이러한 분류는 상기 툴킷 시스템에 외부 제어 신호(사용자 입력이나 통신을 이용한 CDSS로부터의 정보 제공)로서 전달될 수 있다.The CDSS operation type checking unit 121 may classify the types of CDSSs to be inspected in terms of operation and security as shown in Table 2, and the classification is performed from an external control signal (CDSS using user input or communication) to the toolkit system. Information).

Figure 112009068317233-pat00002
Figure 112009068317233-pat00002

표 2에 표시한 것과 같이 운용 보안에 따른 CDSS의 분류는 그 분류 형태에 따라 Portability(P), Sharing(S), Networking(N), Data Storage(D), Form Factor(F)에 형식(type)의 T를 붙여 각각의 운용의 형식이 표기된다. 뒤에 따르는 숫자가 높아질수록 그 보안의 위험도가 높아지며, 그에 따른 높은 수준의 보안정책이 요구된다.As shown in Table 2, the classification of CDSS according to operational security is classified into portability (P), sharing (S), networking (N), data storage (D), and form factor (F)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type. The form of each operation is indicated by adding a T. The higher the number that follows, the higher the risk of security and the higher the level of security policy required.

상기 운용분류에 있어서의 보안의 요구사항은 항상 Worst Case Senario를 따르는 것으로 한다. 즉, 노트북 컴퓨터의 경우 휴대할 수도 있고 데스크탑 컴퓨터처럼 고정형태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TP1 과 TP2가 가능할 경우 TP1과 TP2의 기준을 둘 다 만족시켜야 한다.Security requirements in the operational classification shall always comply with Worst Case Senario. In other words, a laptop computer can be portable or can be used in a fixed form like a desktop computer. However, if TP1 and TP2 are available, both TP1 and TP2 criteria must be met.

또한, 네트웍 체계로 되어 서버측에서 CDSS를 운용하고 데이터를 보관하며 클라이언트 측에서는 접근만 하게 될 경우 서버측과 클라이언트 측면에 대하여 각각의 보안 요구사항을 만족시켜야 한다.In addition, if the network system is used to operate CDSS on the server side, store data, and access only from the client side, the security requirements for the server side and client side must be satisfied.

다음은 운용 보안에 따른 CDSS의 분류의 자세한 설명이다.The following is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lassification of CDSS according to operational security.

i) TP (Portability) : 휴대성여부에 따른 CDSS의 운용형태 분류이다. TP1은 데스크탑 컴퓨터와 같이 무게가 어느정도 이상되어 휴대가 불가능한 경우에 해당되며, TP2는 휴대가 가능한 형태로 주로 임베디드 형태로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i) TP (Portability): It is a classification of CDSS operation type according to portability. The TP1 is a case where it is impossible to carry because it is more than a certain weight like a desktop computer. The TP2 is portable and is expected to appear mainly in an embedded form.

ii) TS (Sharing) : 공유여부에 따라 TS1부터 TS4까지의 4개의 단계로 분류된다. TS1은 주로 개인적 목적으로 사용되며 타인과의 공유의 가능성이 낮은 CDSS의 운용형태이다. TS2는 가정용 유헬스기기와 같이 가족, 친지, 친구등과 같이 매우 제한된 소규모 집단에서 공유될 수 있는 형태이다. TS3는 회사등 신분이 확실한 사람들끼리 CDSS 시스템을 공유하는 경우, TS4는 찜질방의 체지방계와 같이 불특정다수의 사람들이 CDSS를 공유하게 되는 경우이다.ii) TS (Sharing): It is classified into 4 steps from TS1 to TS4 according to sharing. TS1 is a CDSS operation that is primarily used for personal purposes and is less likely to be shared with others. TS2 is a form that can be shared in very limited small groups such as family, relatives and friends, such as home health devices. TS3 is a company that shares a CDSS system with certain people, such as a company. TS4 is a case where a large number of people share CDSS, such as the body fat system of Jjimjilbang.

iii) TN (Networking) : 네트웍등으로 정보의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를 TN1로 정의하며, 핸드폰등과 같이 서비스 운영주체가 제한되어있어 그 네트웍을 통한 데이터의 위변조가 쉽지않은 경우 TN2라 한다. 그리고 국지적 무선을 통하여 데이터가 전송될 경우 TN3로 정의하며, TN4의 경우는 일반적인 인터넷 환경 또는 그 이상의 상황을 의미한다. TN3과 TN4는 동시에 정의가 가능하다.iii) TN (Networking): TN1 is defined as the case where the information cannot be moved to the network. TN2 is the case when forgery of data through the network is not easy due to the limited service operators such as mobile phones. And when data is transmitted through local wireless, it is defined as TN3, and TN4 means general Internet environment or more. TN3 and TN4 can be defined simultaneously.

iv) TD (Data Storage) : CDSS가 체계적인 디스플레이(Display)기능만 보유하고 있는 등 따로 매체에 그 정보를 보관하지 않는 경우를 TD1이라고 한다. 특정 개인의 데이터를 보관할 경우 TD2라 하며, 가족등의 특정 소규모 그룹의 데이터를 보관하게 될 경우 TD3, 회사나 회원제 헬스클럽 등 신원이 확실한 사람들의 데이터를 보관하게 될 경우 TD4, 불특정 다수의 데이터를 보관하게 될 경우 TD5라 한다.iv) TD (Data Storage): TD1 is a case where CDSS does not store the information separately in the media such as having only systematic display function. If you keep the data of a specific individual, it is called TD2. If you keep the data of a small group such as family, TD3, if you store data of people who have a certain identity, such as a company or membership gym, TD4 When stored, it is called TD5.

v) TF (Form Factor) : 하드웨어적으로 CDSS가 구현이 될 경우, 펌웨어(Firmware)의 경우, 그리고 순수 소프트웨어로 구현이 될 경우를 각각 TF1, TF2, TF3로 구분한다. v) TF (Form Factor): When CDSS is implemented in hardware, firmware, and pure software are classified into TF1, TF2, and TF3, respectively.

상기 운용보안 확인부(122)는 이렇게 구분된 CDSS 운용종류에 따른 도난시의 보안성 확보 여부, 개인 정보 관리를 위한 접근 관리여부, 교환 전송되는 데이터에 대한 기밀성 확보 여부, 인증 관리자만 개인 정보를 수정 및 변경할 수 있도록 함에 따른 데이터 무결성 여부 확인, 이러한 모든 보안이 유지된 상태에서 허가된 사용자의 접근 편의성 여부 확인등을 실시하여 검사대상 CDSS의 운용보안 요구조건의 인증 여부를 확인한다.The operation security check unit 122 is secured in the case of theft according to the type of CDSS operation, the access management for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whether to secure the confidentiality of the exchanged data, the authentication manager only personal information Verify that the operational security requirements of the subject CDSS are certified by checking the data integrity by allowing modifications and changes, and checking the accessibility of authorized users with all such security maintained.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DSS 검사용 툴킷 장치를 이용한 검사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Figure 6 shows a flow chart of the inspection method using the CDSS inspection toolki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CDSS 검사용 툴킷 장치는 CDSS의 코드와 단위, 지침 및 프로토콜 활용여부를 확인하여 검사대상 CDSS의 의료표준 준수를 확인하고(S601), 검사대상 CDSS에 입력을 제공하여 그 결과가 임상적 기준에 적합한지를 확인하여 임상적 신뢰성을 확인하며(S602), time stamp 혼재와 필수 입력의 소실이나 손상 시 그 결과를 확인하여 소프트웨어 안정성을 확인한다(S603).The CDSS toolkit device checks the code, unit, guidelines and protocol utilization of the CDSS to confirm compliance with the medical standard of the test target CDSS (S601), and provides input to the test target CDSS, and the result is based on the clinical standard. Check the suitability to confirm the clinical reliability (S602), time stamp mixed with the loss or damage of the required input to verify the results of the software stability (S603).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DSS 검사용 툴킷 장치를 이용한 검사방법의 데이터 흐름도를 나타낸 것으로, CDSS의 인증을 위한 상황과, 해당 상황별 CDSS의 분류 기준 및 CDSS 검사를 위한 설계 방식으로 구성된 툴킷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평가 방식을 통해 활용될 수 있다.7 is a data flow diagram of a test method using a CDSS inspection toolki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tuation for the authentication of the CDSS, the classification criteria of the CDSS for each situation and the design method for the CDSS inspection The configured toolkit system can be utilized through the following evaluation methods.

즉, 피평가자가 검사를 위한 평가를 신청하였을 때(S501), 평가자는 툴킷 시스템에서 평가항목들을 선택하고 표준 시나리오로부터 파생된 테스트 시나리오를 생성한다(S502). That is, when the evaluator applied for evaluation for inspection (S501), the evaluator selects evaluation items from the toolkit system and generates a test scenario derived from the standard scenario (S502).

이때 툴킷은 테스트 ID를 함께 생성하여(S503) 테스트 ID의 이름으로 된 폴더에 테스트 시나리오 파일들을 저장하며, 동시에 테스트 시나리오의 정답에 해당하는 파일(TSAE)을 따로 테스트 ID의 이름으로 생성하여 보관하게 된다(S504, S505). 이 정답파일은 추후 피평가자가 CDSS를 이용하여 생성한 답안파일과 비교하여 통계를 내게 된다. At this time, the toolkit generates the test ID together (S503) and stores the test scenario files in a folder named Test ID, and simultaneously generates and stores a file (TSAE) corresponding to the correct answer of the test scenario under the name of the test ID. (S504, S505). The correct answer file is later compared with the answer file generated by the evaluator using the CDSS.

피평가자는 평가자로부터 통보된 테스트 ID를 이용하여 해당 폴더에서 테스트 시나리오 파일들을 다운로드(S506)하여 피평가자가 개발한 CDSS를 이용하여 각 문항당 결과를 생성(S507)하여 지정된 형식으로 1개의 파일로 만들어 그 답안(TSAR)을 업로드(S508)하게 된다.The evaluator downloads the test scenario files from the folder using the test ID notified from the evaluator (S506), generates a result for each item using the CDSS developed by the evaluator (S507), and creates one file in the designated format. The answer (TSAR) is uploaded (S508).

평가자는 테스트 ID를 툴킷에 입력후 평가 버튼을 눌러 정답과 CDSS로부터의 답안을 비교하여 리포트를 생성하게 된다(S509). 이러한 답안 비교 및 리포트 생성은 툴킷 시스템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The evaluator inputs the test ID into the toolkit and then presses the evaluation button to generate a report by comparing the correct answer with the answer from the CDSS (S509). This answer comparison and report generation can be performed automatically by the toolkit system.

더불어, 상기 과정 중 피평가자와 평가가의 동작은 설정에 따라서 툴킷 시스템이 자동적으로 수행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설정은 평균적인 범위에서 일관된 결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operation of the evaluator and the evaluator during the process can be automatically performed by the toolkit system according to the setting, it is preferable that such setting is configured to provide a consistent result in the average range.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첨부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In the above described and illustrated with respect to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1은 Decision Support System for Healthcare(DSSH)를 툴킷 시스템을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개요.1 is an overview of quantitatively evaluating Decision Support System for Healthcare (DSSH) using a toolkit system.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DSS 검사용 툴킷 장치의 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of a CDSS inspection toolki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부의 구성도.3 is a block diagram of an input-outpu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뢰성 확인부의 구성도.4 is a block diagram of a reliability check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확인부의 구성도.5 is a block diagram of a security check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DSS 검사용 툴킷 장치를 이용한 검사방법의 순서도.6 is a flowchart of a test method using a CDSS test toolki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DSS 검사용 툴킷 장치를 이용한 검사방법의 데이터 흐름도.7 is a data flowchart of a test method using a CDSS test toolki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REFERENCE NUMERALS

10: 피평가자(검사대상 CDSS) 100: CDSS 검사용 툴킷 장치10: Evaluator (inspection target CDSS) 100: CDSS inspection toolkit device

110: 입출력부 120: 보안 확인부110: input and output unit 120: security check unit

130: 신뢰성 확인부 140: 시나리오 데이터베이스130: reliability verification unit 140: scenario database

150: 제어부150: control unit

Claims (13)

의료표준 코드와 단위 변환부를 구비한 입출력부와;An input / output unit having a medical standard code and a unit conversion unit; 기 설정된 시나리오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한 시나리오를 이용하거나 이를 변형한 입력을 CDSS에 제공하고 그 결과를 수신하여 해당 시나리오에 따라 기 설정된 결과와 비교하거나, 상기 변형된 입력 내용에 따라 기대되는 결과와 상기 CDSS의 결과를 비교하여 임상적 신뢰성에 대한 정량 평가 정보를 제공하는 신뢰성 확인부와;Using the scenario extracted from the preset scenario database or providing the modified input to the CDSS and receiving the result and comparing the result with the preset result according to the scenario, or the expected result and the result of the CDSS according to the modified input content A reliability verification unit that provides quantitative evaluation information on clinical reliability by comparing the; 상기 CDSS의 구성 및 입출력 상태를 확인하고, 기 설정된 방식으로 접근한 결과를 수집하여 보안 상태를 확인하는 보안 확인부와;A security checker configured to check a configuration and input / output state of the CDSS, collect a result of approaching in a preset manner, and check a security state; 기 설정된 임상적 입력 내용과 그에 따른 결과를 구비한 시나리오 데이터베이스와;A scenario database having predetermined clinical input contents and results according thereto; 상기 입출력부, 신뢰성 확인부 및 보안 확인부를 관리하며 상기 각 부 구성 중 일부 구성에 대한 물리적 기능을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And a controller for managing the input / output unit, the reliability verification unit, and the security verification unit, and providing a physical function for some of the components. 상기 신뢰성 확인부는 CDSS의 코드와 단위, 지침 및 프로토콜 활용여부를 확인하여 CDSS의 의료표준 준수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SS 검사용 툴킷 장치.The reliability check unit CDSS inspection toolki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o confirm compliance with the medical standards of the CDSS by checking the code and unit, instructions and protocol utilization of the CDS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뢰성 확인부는 필수 입력 값이 없을 경우의 핸들링 검사, 비임상적 수치에 대한 대응 검사, time stamp 관련 검사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SS 검사용 툴킷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reliability check unit comprises a handling check in the absence of a required input value, a corresponding check on non-clinical values, a time stamp related check, and the lik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부는 상기 CDSS와 상기 CDSS 검사용 툴킷 장치 사이의 입출력 코드의 종류를 기 설정된 방식으로 분류하여 변환하는 코드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SS 검사용 툴킷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input / output unit further comprises a code conversion unit for classifying and converting types of input / output codes between the CDSS and the CDSS inspection toolkit device in a predetermined mann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변환부는 상기 CDSS의 측정치를 표준 검사 단위로 환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SS 검사용 툴킷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unit converting unit converts the measured value of the CDSS into a standard test uni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부는 상기 CDSS가 의료 표준 프로토콜을 따르지 않는 경우 이를 변환하거나 또는 다른 종류의 프로토콜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토콜 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SS 검사용 툴킷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input / output unit further comprises a protocol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the CDSS if the CDSS does not conform to a medical standard protocol or enabling a different type of protoco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뢰성 확인부는 상기 CDSS의 의료 표준 코드 활용 여부, 표준 검사단위 활용 여부, 표준 진료 지침 활용 여부, 의료 표준 전송/프로토콜 활용 여부 및 검사, ID, 측정시간, 측정항목, 검사치의 명확성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SS 검사용 툴킷 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eliability check unit uses the medical standard code of the CDSS, uses a standard test unit, uses a standard medical guideline, uses a medical standard transmission / protocol, and checks, IDs, measurement time, measurement items, and test values. Device for testing CDSS tool, characterized in that for testing at least one of the clarity of.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뢰성 확인부는 상기 CDSS의 플랫폼을 확인하여 범용성을 검사하거나 또는 시청각 장애 이용자에 대한 추가 기능을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SS 검사용 툴킷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reliability check unit checks the platform of the CDSS to check versatility or to check an additional function for an audiovisual impaired us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임상적 신뢰성은 최소 오류 양 비율(Minimum False Positive Ratio), 최소 오류 음 비율(Minimum False Negative Ratio), 의학적 부적합 데이터 핸들링(Clinically Improper Data Handling), 검사 수치 보정(Test Condition Control)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SS 검사용 툴킷 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linical reliability is based on a minimum false positive ratio, a minimum false negative ratio, a clinically improper data handling, and a test condition correction. CDSS inspection toolki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확인부는 상기 CDSS의 보안 상태의 조건으로 CDSS장치의 휴대성 여부, CDSS장치의 공유 여부, 네트워크를 통한 정보 이동 여부, 정보 저장 여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구현 여부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보안 상태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SS 검사용 툴킷 장치.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urity check unit is at least a condition of the portability of the CDSS device, whether the CDSS device is shared, whether information is moved through the network, whether the information is stored, whether hardware or software is implemented as a condition of the CDSS security state CDSS inspection toolki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checking the security status using one or more. CDSS 검사용 툴킷 장치가 CDSS의 코드와 단위, 지침 및 프로토콜 활용여부를 확인하여 CDSS의 의료표준 준수를 확인하는 단계와; Checking, by the CDSS inspection toolkit device, whether CDSS code, units, guidelines, and protocols are utilized to confirm compliance with the medical standards of the CDSS; 상기 CDSS 검사용 툴킷 장치가 CDSS에 입력을 제공하고 그 결과가 임상적 기준에 적합한지를 확인하여 임상적 신뢰성을 확인하는 단계와; Confirming clinical reliability by providing an input to the CDSS by the toolkit for CDSS examination and confirming that the result conforms to clinical criteria; 상기 CDSS 검사용 툴킷 장치가 time stamp 혼재와 필수 입력의 소실이나 손상 시 그 결과를 확인하여 소프트웨어 안정성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SS 검사용 툴킷 장치를 이용한 검사 방법.And checking the results of the CDSS inspection toolkit device by checking the result when the time stamp is mixed or the required input is lost or damaged.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임상적 신뢰성을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임상적으로 나타날 수 없는 수치를 입력으로 제공하는 경우에 대한 판별 여부 확인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SS 검사용 툴킷 장치를 이용한 검사 방법.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tep of confirming the clinical reliability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provide a case for providing a value that can not be clinically displayed using the CDSS test toolki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method of inspection.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임상적 신뢰성을 확인하는 단계는 상황별 수치 차이에 대한 보상을 위한 보정 기능 제공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SS 검사용 툴킷 장치를 이용한 검사 방법.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determining of the clinical reliability further comprises determining whether to provide a correction function for compensating for the difference in numerical values for each situation.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 안정성을 확인하는 단계는 CDSS의 플랫 폼 독립성과 시청각 장애 이용자를 위한 추가 기능의 구현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SS 검사용 툴킷 장치를 이용한 검사 방법.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tep of verifying the software stability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confirming whether the platform independence of the CDSS and the implementation of additional functions for the visually impaired user, the test using the CDSS inspection toolkit device Way.
KR1020090106908A 2009-11-06 2009-11-06 Cdss evaluation toolkit apparatus and evaluation method using the same Active KR10113973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6908A KR101139731B1 (en) 2009-11-06 2009-11-06 Cdss evaluation toolkit apparatus and evaluation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6908A KR101139731B1 (en) 2009-11-06 2009-11-06 Cdss evaluation toolkit apparatus and evaluation method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0074A KR20110050074A (en) 2011-05-13
KR101139731B1 true KR101139731B1 (en) 2012-06-27

Family

ID=44360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6908A Active KR101139731B1 (en) 2009-11-06 2009-11-06 Cdss evaluation toolkit apparatus and evaluation method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973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70604B2 (en) 2018-09-27 2021-04-06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Fusion-based classifier, classification method, and classification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47683A (en) * 2007-06-15 2009-03-05 Ortho-Clinical Diagnostics Inc Performance estimator for clinical diagnostic analyzer
KR20090028368A (en) * 2007-09-14 2009-03-18 주식회사 신한은행 Program test result analysis method and system using test result log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theref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47683A (en) * 2007-06-15 2009-03-05 Ortho-Clinical Diagnostics Inc Performance estimator for clinical diagnostic analyzer
KR20090028368A (en) * 2007-09-14 2009-03-18 주식회사 신한은행 Program test result analysis method and system using test result log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theref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70604B2 (en) 2018-09-27 2021-04-06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Fusion-based classifier, classification method, and classif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0074A (en) 2011-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orton et al. Practice guidelines for ocular telehealth-diabetic retinopathy
US11531935B2 (en)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 diagnostic software tool
US20160328812A9 (en) Medical decision system including question mapping and cross referencing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US20110301976A1 (en) Medical history diagnosis system and method
US20020004727A1 (en) Broadband computer-based networked systems for control and management of medical records
US20090271218A1 (en) Patient-directed healthcare quality improvement system
US8781849B1 (en) System for and method of enhancing patient's healthcare by utilizing provider-generated data
US20020016923A1 (en) Broadband computer-based networked systems for control and management of medical records
US20110276346A1 (en) Automated method for medical quality assurance
US20070173702A1 (en) Automatic Patient Healthcare and Treatment Outcome Monitoring System
KR102367418B1 (en) Medical service recommending system based on quantitative analysis
US20200294671A1 (en) Automated Medical Diagnosis, Risk Management, and Decision Support Systems and Methods
US20110112849A1 (en) Medical decision system including interactive protocols and associated methods
Cotte et al. Safety of triage self-assessment using a symptom assessment app for walk-in patients in the emergency care setting: observational prospective cross-sectional study
US1230036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dependent assessment of image data
CA3093698A1 (en) Data management for genetic laboratory testing
Dalcól et al. Digital tools for post‐discharge surveillance of surgical site infection
JP2020042864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n-demand real-time patient-specific data analysis computing platform
US2020018508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atient care handoff
US20120253834A1 (en)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facilitating display of relevant quality measures based on diagnoses
KR102859186B1 (en) Medical devices, systems, and methods
KR101139731B1 (en) Cdss evaluation toolkit apparatus and evaluation method using the same
Yesilada et al. The role of perceived telemedicine quality in enhancing patient satisfactio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e mediation of telemedicine satisfaction
Drummond et al. Artificial intelligence in respiratory care: perspectives on critical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US20160162650A1 (en) Method for automating medical bil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2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of national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2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