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5347B1 - Low noise amplifier and gain control circuit for amplifier - Google Patents
Low noise amplifier and gain control circuit for amplifi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45347B1 KR101145347B1 KR1020090121235A KR20090121235A KR101145347B1 KR 101145347 B1 KR101145347 B1 KR 101145347B1 KR 1020090121235 A KR1020090121235 A KR 1020090121235A KR 20090121235 A KR20090121235 A KR 20090121235A KR 101145347 B1 KR101145347 B1 KR 10114534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gnal
- gain control
- control signal
- amplifier
- gai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26—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influence of noise generated by amplifying element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 H03F1/02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 H03F1/0211—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with control of the supply voltage or current
- H03F1/0216—Continuous control
- H03F1/0222—Continuous control by using a signal derived from the input signal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052—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bandpass amplifiers (H.F. or I.F.) or in frequency-changers used in a (super)heterodyne receiver
- H03G3/3068—Circuits generating control signals for both R.F. and I.F. stage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372—Noise reduction and elimination in amplifier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435—A peak detection being used in a signal measuring circuit in a controlling circuit of an amplif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mplifiers (AREA)
- Control Of Amplification And Gain Control (AREA)
Abstract
이득이 조절되는 저잡음 증폭기 및 증폭기의 이득 제어회로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다. 이러한 기술에 따르면, 제1 또는 제2이득 제어신호에 따라 조절된 이득으로 입력신호를 증폭하여 증폭신호를 출력하는 증폭부; 상기 증폭신호의 크기와 기준전압의 비교 결과에 따른 선택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증폭신호의 크기에 따른 상기 제1이득 제어신호 또는 상기 기준전압의 크기에 따른 상기 제2이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이득 조절부를 포함하는 저잡음 증폭기가 제공된다.A technique related to a low noise amplifier in which gain is adjusted and a gain control circuit of the amplifier is disclosed. According to this technique, an amplifying unit for amplifying the input signal with a gain adjusted according to the first or second gain control signal to output an amplified signal; A controller configured to generate a selection signal according to a result of comparing the magnitude of the amplified signal with a reference voltage; And a gain adjuster configured to output the first gain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amplitude of the amplified signal or the second gain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reference voltage in response to the selection signal.
증폭기, 이득, 전력 Amplifier, gain, power
Description
본 발명은 저잡음 증폭기 및 증폭기의 이득 제어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득이 조절되는 저잡음 증폭기 및 증폭기의 이득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w noise amplifier and a gain control circuit of an amplifi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low noise amplifier and a gain control circuit of an amplifier whose gain is adjusted.
최근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휴대용 단말기의 크기는 소형화되는 동시에 휴대용 단말기의 소비전력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수신기의 개별 소자의 효율뿐만 아니라 전체 시스템의 효율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또한 전송매질의 불규칙적인 전송특성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의 손상 현상인 페이딩(fading)현상 등의 채널장애로 인한 통신 장애를 극복하기 위해 이를 효과적으로 통제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Recently, in order to meet the demands of consumers for the explosive increase in portable terminals, the technology has been developed for miniaturizing the siz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minimiz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n response to these demands, research is being conducted on how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entire system as well as the efficiency of individual components of the receiver. In addition, a technique for effectively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failure due to a channel failure such as fading, which is a signal damage caused by an irregular transmission characteristic of a transmission medium, has been developed.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입력신호를 증폭시키기 위해 다수 개의 증 폭기를 사용한다. 다수 개의 증폭기를 사용하는 것은, 입력신호를 선형적으로 증폭할 수 있는 증폭기 각각의 동적 범위에는 제한이 있기 때문이며, 이러한 경우, 여러 개의 증폭기를 연결하여 사용하면 상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기 때문이다. In general, a plurality of amplifiers are used to amplify an input sig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e use of a plurality of amplifiers is because the dynamic range of each amplifier capable of linearly amplifying the input signal is limited, and in this case, the problem can be solved by connecting several amplifiers.
특히, 저잡음 증폭기의 경우 입력신호의 크기가 클 때는 저이득 모드로 동작하며, 입력신호의 크기가 작을때는 고이득 모드로 동작함으로써, 출력신호의 크기를 조절하는데, 이득이 과도하게 증가하는 경우, 불필요한 전력이 소모될 뿐만 아니라, 출력신호가 왜곡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In particular, the low noise amplifier operates in a low gain mode when the magnitude of the input signal is large, and operates in a high gain mode when the magnitude of the input signal is small, thereby controlling the magnitude of the output signal, when the gain is excessively increased. In addition to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utput signal can be distorted.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입력신호의 크기에 따라 이득이 불필요하게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증폭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n amplifier which can prevent the gain from being unnecessarily increased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an input signal.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are not mentioned above,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more clearly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it will be readily appreciated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combinations thereof indicated in the claim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1 또는 제2이득 제어신호에 따라 조절된 이득으로 입력신호를 증폭하여 증폭신호를 출력하는 증폭부; 상기 증폭신호의 크기와 기준전압의 비교 결과에 따른 선택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증폭신호의 크기에 따른 상기 제1이득 제어신호 또는 상기 기준전압의 크기에 따른 상기 제2이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이득 조절부를 포함하는 저잡음 증폭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n amplifier for amplifying an input signal with a gain adjusted according to the first or second gain control signal to output an amplified signal; A controller configured to generate a selection signal according to a result of comparing the magnitude of the amplified signal with a reference voltage; And a gain adjuster configured to output the first gain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amplitude of the amplified signal or the second gain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reference voltage in response to the selection signal.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기 증폭신호의 크기와 기준전압의 비교 결과에 따른 선택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선택신호에 응답하 여, 상기 증폭신호의 크기에 따른 상기 제1이득 제어신호 또는 상기 기준전압의 크기에 따른 상기 제2이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이득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증폭신호는 상기 제1증폭기 또는 제2증폭기에 의해 생성되는 증폭신호인 증폭기의 이득 제어회로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 selection signal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of the magnitude and the reference voltage of the amplified signal; And a gain adjuster configured to output the first gain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amplitude of the amplified signal or the second gain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reference voltage in response to the selection signal. A gain control circuit of an amplifier, which is an amplified signal generated by a first amplifier or a second amplifier, is provided.
본 발명에 따르면, 입력신호의 크기에 따른 이득이 불필요하게 증가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저잡음 증폭기의 전력소비가 감소할 수 있으며, 증폭되어 출력되는 증폭신호의 왜곡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low noise amplifier can be reduced and the distortion of the amplified signal output by being amplified can be prevented by preventing the gain of the input signal from being unnecessarily increas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저잡음 증폭기의 출력신호를 입력받는, 믹서(mixer)와 같은 소자의 입력 허용범위 내에서 저잡음 증폭기의 이득을 조절함으로써, 출력신호가 입력 허용범위를 벗어나 발생하는 비선형성 특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djusting the gain of the low noise amplifier within the input allowable range of the device, such as a mixer, which receives the output signal of the low noise amplifier, the non-linear characteristic that the output signal is out of the input allowable range is adjusted. Can be reduced.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 명을 생략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well-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잡음 증폭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low noise ampl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저잡음 증폭기는 증폭부(101), 제어부(103) 및 이득 조절부(105)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low noise ampl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본 발명에 따른 증폭부(101)는 이득 조절부(105)에서 출력하는 이득 제어신호에 따라 조절된 이득으로 입력신호를 증폭하여 증폭신호를 출력한다. 이 때, 이득 조절부(105)는 제어부(103)의 제어에 따른 이득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제어부(103)는 증폭부로부터 피드백되는 증폭신호와 기준전압의 크기를 비교하여, 비교결과에 따른 선택신호를 생성하고, 이득 조절부(105)는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이득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즉, 이득 조절부(105)는 증폭신호가 기준전압보다 크거나 작은 경우에 따른 이득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증폭부(101)는 이득 제어신호에 따라 이득을 조절한다.Th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증폭신호의 크기가 기준전압 크기 이상이 되는 경우, 조절된 이득에 의해 더 이상 크기가 증가하지 않는 증폭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이하, 증폭부(101), 제어부(103) 및 이득 조절부(105)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mplitude of the amplified signa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oltage, an amplified signal that is no longer increased by the adjusted gain may be generated. Hereinafter, the
증폭부(101)는 제1 또는 제2이득 제어신호에 따라 조절된 이득으로 입력신호를 증폭하여 증폭신호를 출력한다. 즉, 증폭부(101)는 저잡음 증폭기에서 실제로 증폭을 수행하는 역할을 하며, 증폭을 수행하는 모든 증폭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이득 제어신호는 이득 조절부(105)가 출력하는 제어신호로서 자세히 후술된다.The
제어부(103)는 증폭신호의 크기와 기준전압의 비교 결과에 따른 선택신호를 생성한다. 제어부(103)는 증폭부(101)로부터 피드백되는 증폭신호의 크기와 기준전압의 비교 결과에 따른 선택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증폭신호의 크기가 기준전압 이상일 경우에 증폭신호의 크기가 더 이상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어부(103)는 증폭신호의 크기가 더 이상 커지지 않도록 선택신호를 생성하고, 선택신호를 입력받는 이득 조절부(105)를 제어할 수 있다. The
이득 조절부(105)는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증폭신호의 크기에 따른 제1이득 제어신호 또는 기준전압의 크기에 따른 제2이득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제1 및 제2이득 제어신호는 이진 코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 제1이득 제어신호는 증폭신호의 크기에 따라 코드 값이 가변하는 이진 코드로 구성될 수 있다. 코드 값이 가변됨에 따라 증폭부(101)에서 이득이 조절될 수 있다.The gain adjusting
제2이득 제어신호는 증폭신호의 크기가 기준전압보다 큰 경우에 이득 조절부(105)로부터 출력되며, 증폭신호의 크기가 기준전압보다 크기 전 상태에 생성되는 제1이득 제어신호의 이진 코드 값 중 하나의 값을 갖는 이득 제어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증폭신호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제1이득 제어신호가 '00', '01', '10' 및 '11'의 순서로 가변되며 이득이 증가하고, 증폭신호의 크기가 기준전압보다 크기 전 상태에 생성되는 제1이득 제어신호의 이진 코드 값이 '00', '01', '10'일 경우, 제2이득 제어신호의 이진 코드 값은 '10'일 수 있다.The second gain control signal is output from th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증폭신호의 크기가 기준전압보다 큰 경우에도, 증폭신호의 크기가 기준전압보다 크기 전 상태에 생성되는 제1이득 제어신호가 증폭부(101)로 입력되기 때문에 증폭신호의 크기가 더 이상 증가되지 않을 수 있다. 이 때, 이득 조절부(105)는 피드백되는 증폭신호의 크기에 따라 증감하는 제1이득 제어신호를 저장한 상태에서,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증감하는 제1이득 제어신호 대신에 저장된 제1이득 제어신호 중 하나를 제2이득 제어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amplitude of the amplified signal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since the first gain control signal generated before the amplitude of the amplified signal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is input to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준전압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증폭신호의 최대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전술된 예시에서 기준전압을 감소시켜, 제2이득 제어신호가 '01'이 되는 경우, 증폭신호 최대 크기는 제2이득 제어신호가 '10'인 경우보다 작아질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djusting the magnitude of the reference voltag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maximum magnitude of the amplified signal. That is, in the above-described example, when the reference voltage is decreased so that the second gain control signal becomes '01', the maximum amplitude of the amplified signal may be smaller than when the second gain control signal is '10'.
결국, 본 발명에 따르면, 증폭신호의 크기에 따른 이득이 불필요하게 증가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증폭기의 전력소비가 감소할 수 있으며, 증폭되어 출력되는 증폭신호의 왜곡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증폭기의 증폭신호를 이용하는 믹서와 같은 소자의 입력 허용범위내에서 증폭신호가 스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믹서의 선형특성이 보장될 수 있다.As a resu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ain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amplified signal is prevented from being unnecessarily increased, thereby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the amplifier and preventing distortion of the amplified signal that is amplified and output. In addition, the linear characteristics of the mixer can be ensured by allowing the amplified signal to swing within an input tolerance range of a device such as a mixer using the amplified signal of the amplifier.
도 2는 도 1의 제어부(103) 및 이득 조절부(105)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2 is a diagram for describing th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득 조절부(105)는 보다 구체적으로 피크 검출부(201), AD컨버터(203), 신호 선택부(205) 및 신호 저장부(207)를 포함할 수 있 다. 그리고 제어부(103)는 비교기일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피크 검출부(201)는 증폭신호의 피크 값에 따라 충방전되는 검출신호를 생성한다. 즉, 피크 검출부(201)는 정현파 전압(sinusoidal voltage)인 증폭신호의 피크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검출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폭신호의 피크 값이 증가할수록 검출신호의 전압이 증가하고, 증폭신호의 피크 값이 감소할수록 검출신호의 전압이 감소할 수 있다.The
AD컨버터(203)는 검출신호에 따라 이진 코드로 구성된 제1이득 제어신호(PRE_SEL<0:1>)를 생성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검출신호는 증폭신호의 피크 값에 따라 충방전되는 아날로그 신호로서 AD컨버터(203)는 검출신호를 이진 코드로 구성되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AD컨버터(203)는 소정 기준전압을 복수의 전압으로 디바이딩(dividing)하고, 디바이딩된 전압과 검출신호 전압의 크기를 비교함으로써 이진 코드 값이 가변되는 제1이득 제어신호(PRE_SEL<0:1>)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AD컨버터(203)를 구성하는 비교기는 뱅뱅(bang-bang) 동작을 피하기 위하여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가질 수 있다. The
신호 선택부(205)는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제1이득 제어신호(PRE_SEL<0:1>)를 출력하거나 또는 신호 저장부(207)에 저장된 제1이득 제어신호(PRE_SEL<0:1>)를 제2이득 제어신호로 출력한다. 신호 저장부(207)는 제1이득 제어신호(PRE_SEL<0:1>)를 저장하는데, 신호 선택부(205)는 선택신호에 따라 AD컨버터(203)로부터 생성된 제1이득 제어신호(PRE_SEL<0:1>)를 바로 출력하거나 또는 신호 저장부(207)에 저장된 제1이득 제어신호(PRE_SEL<0:1>)를 제2이득 제어신호로서 출력한다. 여기서, SEL<0:1>은 제1 및 제2이득 제어신호를 모두 나타내는 신호이다.The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신호 선택부(205)는 선택신호에 응답해 온/오프되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스위치의 출력단에 래치로 구성된 신호 저장부(207)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치가 온된 상태에서는 AD컨버터(203)로부터 생성된 제1이득 제어신호(PRE_SEL<0:1>)가 증폭부(101)로 전송되지만, 스위치가 오프된 상태에서는 신호 저장부(207)에 저장된 제1이득 제어신호(PRE_SEL<0:1>)가 증폭부(101)로 전송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선택신호는 증폭신호의 크기와 기준전압의 비교 결과에 따른 신호로서, 스위치가 오프된 상태에서 신호 저장부(207)에 저장된 제1이득 제어신호는 제2이득 제어신호가 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신호 저장부(207)를 구성하는 래치는 일반적으로 하나의 비트를 저장하기 때문에, 이득 제어신호를 구성하는 이진 코드의 비트에 따라 사용되는 래치는 가변될 수 있다. 또한 신호 저장부(207)는 스위치의 출력단에 연결되기 때문에, 스위칭 동작관련하여 제1이득 제어신호 및 신호 저장부(207)에 저장된 신호가 충돌될 수 있다. 따라서, 래치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의 크기는 상기 충돌이 고려되어 설계됨이 바람직하다. Since the latch constituting 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저잡음 증폭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이득 제어신호(PRE_SEL<0:1>)의 초기값을 설정하는 초기전압 제거부(20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증폭기가 동작하기 시작할 때, AD컨버터(203)가 비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기 때문에, 초기전압 제거부(209)는 AD컨버터(203)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제1이득 제어신호(PRE_SEL<0:1>)의 초기값을 설정한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1, the low noise ampl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initial
보다 상세하게, 초기전압 제거부(209)는 비교기와 지연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비교기는 AD컨버터(203)에서 디바이딩되는 전압 중 가장 낮은 전압과 피크검출부(201)의 검출신호를 비교함으로써 AD컨버터(203)가 정상적인 제1이득 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전까지 기 설정된 값으로 제1이득 제어신호(PRE_SEL<0:1>)의 초기값을 설정할 수 있다. In more detail, the initial
도 3은 피크 검출부(201)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크 검출부(201)는 터미네이션부(301), 커패시터(303) 및 방전부(305)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3, the
터미네이션부(301)는 증폭신호 크기와 검출신호(VPEAK) 크기의 비교결과에 따라, 기 설정된 전압(VDD)으로 터미네이션(termination)된 검출신호(VPEAK)를 생성한다. The
증폭신호(Vin)는 일반적으로 [수학식 1]과 같이 Vpeak를 피크 값으로 하는 정현파 신호로서, 빠른 응답 성능을 가진 정현파 전압의 크기를 검출하기 위해 터미네이션부(301)는 넓은 선형동작 범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mplified signal V in is a sinusoidal signal having a V peak as a peak value, as shown in [Equation 1]. In order to detect the magnitude of the sinusoidal voltage having fast response performance, the
터미네이션부(301)의 비교기는 증폭신호와 검출신호(VPEAK)를 비교하고, 증폭신호가 검출신호(VPEAK)보다 클 경우, 로우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고, 증폭신호가 검출신호(VPEAK)보다 작을 경우 하이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증폭신호가 검출신호(VPEAK)보다 클 경우, 피모스 트랜지스터가 턴온되어 검출신호(VPEAK)의 전압은 상승하고, 증폭신호가 검출신호(VPEAK)보다 작을 경우, 피모스 트랜지스터가 턴오프되어 검출신호(VPEAK)의 전압은 하강한다. The comparator of the
이 때, 커패시터(303)는 검출신호(VPEAK)에 따른 전하를 충전하고, 방전부(305)는 커패시터(303)에 충전된 전하를 방전시키기 때문에, 검출신호(VPEAK)의 전압은 서서히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At this time, since the
이 때, 방전부(305)는 일실시예로서, 다이오드 커넥트된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크 검출부(201)는 다이오드 커넥션된 트랜지스터를 방전부(305)로 이용함으로써, 방전 효과를 유지하면서 피크 검출부(201)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으며, 따라서 회로 집적화에 유리한 장점이 있다. In this case, the
도 4는 AD컨버터(203)가 출력하는 제1이득 제어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서는 증폭신호의 크기에 비례하여 이득을 증가시키는 제1이득 제어신호가 일실시예로서 설명된다.4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first gain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도 4에서 DM은 Detection Mode(검출 모드)의 약자로서, AD컨버터(203)에서 디바이딩되는 전압을 나타낸다. DM1에서 DM3으로 갈수록 높은 전압을 나타낸다. 그 리고 도 4의 테이블에서 DV는 AD컨버터(203)로 입력되는 증폭신호를 나타낸다. 즉, 도4의 테이블에 따르면 DV와 DM1 내지 DM3에 따라 AD컨버터(203)는 온도계 코드(thermometer code)를 생성하고, 이를 다시 디코딩하여 이진 코드(binary code)로 구성되는 제1이득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In FIG. 4, DM stands for Detection Mode and indicates the voltage to be divided in the
도 5는 증폭부(101)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도 5에서는 2단 캐스코드 구조의 증폭부가 일실시예로서 설명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증폭부(101)는 2단으로서 제1 및 제2증폭회로(501, 503)를 포함한다. 입력신호는 제1증폭회로(501)의 제1포트(PORT1)로 입력되어 증폭되고, 제2증폭회로(503)의 제2포트(PORT2)로 출력된다.In FIG. 5, the amplifying unit of the two-stage cascode structure is described as an embodiment. As shown in FIG. 5, the
먼저, 수신단의 제일 앞에 위치하여 잡음 성분을 억제하고 원하는 신호만 증폭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저잡음 증폭기의 특성 및 설계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First, the characteristics and design of the low noise amplifier, which is located in front of the receiver and serves to suppress noise components and amplify only a desired signal, will be briefly described.
기본적인 캐스코드 구조의 입력 임피던스(Zin)는 하기의 [수학식 2]과 같다.The input impedance Z in of the basic cascode structure is shown in
[수학식 2]은 공통 접지 트랜지스터의 기본 구조에서 이론적으로 간결하도 록 하기 위해 궤환 캐패시터를 무시하고 유도된 형태이다. [수학식 2]에서, 트랜지스터의 트랜스컨덕턴스(gm)가 고정된 상태에서 소스인덕터 를 이용하면 입력 임피던스에서 요구하는 실수부를 만들 수 있다. 그리고 게이트인덕터 를 이용하여 입력 임피던스(Zin)의 허수부를 제거할 수 있다. 기본적인 캐스코드 구조에 게이트와 소스 사이에 추가적인 캐패시터를 연결하게 되면, 최적의 잡음 반사계수 과 (입력 반사계수)가 스미스 차트 상에서 한 곳에 모이는 현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이득과 잡음 정합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MOSFET의 주요 잡음전력원은 드레인 전류 잡음(channel current noise)과 게이트 잡음(induced gate noise)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전력 밀도는 [수학식 3] 및 [수학식 4]과 같다.In general, the main noise power source of the MOSFET is composed of the drain current noise (channel current noise) and the gate noise (induced gate noise), the power density of each of the equation (3) and (4).
여기서, k는 볼츠만 상수이고 T는 절대온도이다. 는 트랜지스터의 영바이어스 드레인 컨덕턴스(zero-bias drain conductance)로 V일 때 드레인과 소스사이의 컨덕턴스를 나타낸다. 는 드레인 전류의 잡음 계수로 long channel의 경우 값은 2/3이고, 는 게이트 잡음계수이며 long channel의 경우 4/3이고 게이트 잡음과 관련된 파라미터 이다. Where k is Boltzmann's constant and T is the absolute temperature. Is the zero-bias drain conductance of the transistor When V is the conductance between the drain and the source. Is the noise factor of the drain current for long channels The value is 2/3, Is the gate noise coefficient, 4/3 for the long channel, and the parameters related to the gate noise to be.
전술된 두 잡음원, 즉 드레인 전류 잡음과 게이트 잡음을 고려하여, 잡음 지수(Noise Factor)를 구할 수 있으며, 잡음 지수 특성이 가장 우수한 지점을 찾을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소모 전력과 입력 임피던스에 대해 증폭기의 잡음 지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트랜지스터의 최적의 크기가 존재한다. Considering the two noise sources described above, that is, drain current noise and gate noise, a noise factor can be obtained and a point having the best noise figure can be found. Thus, there is an optimal size of transistor to minimize the amplifier's noise figure for a given power dissipation and input impedance.
2단으로 구성된 증폭부(101)는 충분한 이득을 확보하여 안정적 수신 특성과 적절한 잡음지수 특성을 나타낸다. 제1증폭회로(501)는 이득이 변화하면서 나타나는 반사계수와 잡음지수의 악화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제2증폭회로(503)는 이득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The two-
Friis 공식에 따르면, 저잡음 증폭기의 잡음지수 값은 제1증폭회로(501)의 잡음지수 값을 따른다. 하기의 [수학식 5]는 2단 증폭기의 대한 Friis 공식이다.According to the Friis formula, the noise figure of the low noise amplifier follows the noise figure of the
여기서, 은 제1증폭회로(501)의 이득이고 는 제2증폭회로(503)의 이득이며, 과 는 제1 및 제2증폭회로(501, 503) 각각의 잡음지수를 나타낸다. here, Is the gain of the
전술된 바와 같이, 수신기의 잡음 특성은 일반적으로 저잡음 증폭기의 첫번째 단의 잡음 특성이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첫번째 단 뒤의 회로에서 잡음특성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일정 이상의 이득이 확보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수학식 5]를 고려하여, 저잡음 증폭기의 첫번째 단, 즉 제1증폭회로(501)에 제안된 전력조건하에서 잡음을 최적화시키는 방법(Power-Constrained Noise Optimization Technique)이 사용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noise characteristics of the receiver generally have an absolute effect on the noise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stage of the low noise amplifier, a certain gain or more must be secured to minimize the noise characteristics in the circuit after the first stage. To this end, in consideration of
본 발명에 따르면, 증폭부(101)는 제1 또는 제2이득 제어신호에 따라 온/오프되는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증폭부(101)에 흐르는 전류량을 조절하여 이득을 조절한다. 도 5에서는 제1 또는 제2이득 제어신호에 따라 트랜지스터 M7, M8 및 M9가 온/오프되며 이득이 조절되는 경우가 일실시예로서 설명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디코더(505)는 제1 또는 제2이득 제어신호의 이진 코드 비트수 및 이득을 조절하기위해 온/오프되는 트랜지스터의 개수에 따라 제1 또는 제2이득 제어신호를 디코딩한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또는 제2이득 제어신호가 SEL<0:1>의 2비트로 구성된 제어신호인 경우, 디코더(505)는 제1 또는 제2이득 제 어신호를 디코딩하여 3비트의 신호(SW<1:3>)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SELB<0:1>은 SEL<0:1>의 반전신호를 나타낸다. 그리고 트랜지스터 M7, M8 및 M9 각각은 3비트의 신호(SW<1:3>)에 따라 온/오프되며 이득을 조절한다.The
트랜지스터 M5, M7, M8 및 M9 각각에 흐르는 전류 I1, I2, I3, I4와 이에 따른 이득의 관계는 수학식 6 내지 9와 같다. 여기서, 이득 모드(gain mode)는 이득 제어신호에 따른 서로 다른 이득을 나타낸다.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rrents I 1 , I 2 , I 3 , I 4 and the corresponding gains flowing through the transistors M5, M7, M8, and M9, respectively, is shown in Equations 6 to 9. Here, the gain mode represents different gains according to the gain control signal.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 M5는 항상 턴온된 상태이며, 따라서, M7, M8 및 M9 중 하나가 온되는 경우가 M5만이 온되는 경우보다 높은 이득을 제공 한다. 수학식 6 내지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M7, M8 및 M9의 사이즈에 따라 이득은 조절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transistor M5 is always turned on, thus providing one of the higher gains when one of M7, M8 and M9 is on than when only M5 is on. As shown in Equations 6 to 8, the gain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s of M7, M8 and M9.
한편, 제2증폭회로(503)의 트랜지스터 M4는 입력과 출력의 격리도(isolatioon)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transistor M4 of the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저잡음 증폭기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에서는 5.2 GHz 대역에서 입력신호의 크기에 따라 효율적으로 동작하며, 0.18um CMOS 공정을 통해 설계된 저잡음 증폭기가 일실시예로서 이용되었다. 또한 도 6 내지 도 8에서 이득 조절부(105)에 대한 시뮬레이션은 HSPICE 시뮬레이터가 이용되었으며, 증폭부(101)에 대한 시뮬레이션은 Cadence spectre 시뮬레이터가 이용되었다. 6 to 8 are diagrams showing simulation results of a low noise ampl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to 8, a low noise amplifier operating efficiently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input signal in the 5.2 GHz band and designed through a 0.18um CMOS process was used as an embodiment. 6 to 8, the HSPICE simulator was used for the simulation of the
도 6은 이득 조절부(105)에서 검출신호에 따른 이득 제어신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검출신호의 크기가 증가할수록 이득 제어신호의 비트 값 역시 증가하며, 제1이득 제어신호의 이진코드 값은 도 4에 도시된 코드 값과 일치함을 알 수 있다. 도 7은, 도 5에서 설명된 저잡음 증폭기의 이득 모드에 따른 이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저잡음 증폭기, 즉 증폭부(101)에 공급된 전원은 1.8V이며, 도 6과 관련하여 제1이득 제어신호의 비트 값이 증가할수록 이득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도 8은 입력 반사손실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S11은 입력반사 계수를 나타낸다. 즉, S11 값이 낮을수록, 입력신호가 반사되지 않고 출력되는 특성이 우수하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5.2GHz 주파수 대역에서 저잡음 증폭기가 효율적으로 동작함을 알 수 있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gain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 detection signal in the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폭기의 이득 제어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9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이득 제어회로(901), 저잡음 증폭기(903, LNA), 믹서(905, MIXER) 및 가변 이득 증폭기(907, VGA)를 포함하는 수신기가 일실시예로서 설명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득 제어회로(901)는 도 1의 제어부(103) 및 이득 조절부(105)에 대응되며, 저잡음 증폭기(903)는 도 1의 증폭부(101)에 대응된다.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gain control circuit of an ampl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9, the
저잡음 증폭기(903)는 이득 제어회로(901)의 제어에 따라 입력신호를 증폭하여 증폭신호를 출력한다. 믹서(905)는 기 설정된 신호와 증폭신호를 믹싱하여 가변 이득 증폭기(907)로 출력하며, 가변 이득 증폭기(907)는 믹싱된 신호를 다시 증폭한다. 이득 제어회로(901)는 가변 이득 증폭기(907)의 출력신호에 따라 이득 제어신호를 생성하며, 저잡음 증폭기(903)는 이득 제어신호에 따라 이득을 조절한다.The
본 발명에 따른 이득 제어회로(901)는 증폭신호의 크기와 기준전압의 비교 결과에 따른 선택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증폭신호의 크기에 따른 제1이득 제어신호 또는 기준전압의 크기에 따른 제2이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이득 조절부를 포함하며, 증폭신호는 제1증폭기 또는 제2증폭기에 의해 생성되는 증폭신호일 수 있다. 여기서, 제1증폭기는 저잡음 증폭기(903), 제2증폭기는 가변 이득 증폭기(907)일 수 있다. The
즉, 본 발명에 따른 이득 제어회로(901)는 도 1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증폭기에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수신기에 별도의 통신 칩으로서 포함될 수 있다.That is, the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means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intended to be equivalent to the technical idea and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잡음 증폭기를 나타내는 도면,1 is a view showing a low noise ampl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제어부(103) 및 이득 조절부(105)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2 is a view for explaining in detail the
도 3은 피크 검출부(201)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도 4는 AD컨버터(203)가 출력하는 제1이득 제어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4 is a view for explaining a first gain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도 5는 증폭부(101)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저잡음 증폭기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시한 도면,6 to 8 show simulation results of the low noise ampl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폭기의 이득 제어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9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gain control circuit of an amplifi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90121235A KR101145347B1 (en) | 2009-12-08 | 2009-12-08 | Low noise amplifier and gain control circuit for amplifi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90121235A KR101145347B1 (en) | 2009-12-08 | 2009-12-08 | Low noise amplifier and gain control circuit for amplifier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10064567A KR20110064567A (en) | 2011-06-15 |
| KR101145347B1 true KR101145347B1 (en) | 2012-05-14 |
Family
ID=44397985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90121235A Expired - Fee Related KR101145347B1 (en) | 2009-12-08 | 2009-12-08 | Low noise amplifier and gain control circuit for amplifie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145347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25135287A1 (en) * | 2023-12-21 | 2025-06-26 | 국립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 Uwb reception device capable of adjusting band and gai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589730B1 (en) * | 2015-09-10 | 2016-01-28 |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 Adaptor type low noise amplifier and receive system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9990053981A (en) * | 1997-12-24 | 1999-07-15 | 정선종 | Gain Control Circuit of Low Noise Amplifier |
| KR100654459B1 (en) * | 2005-06-30 | 2006-12-06 | 삼성전자주식회사 | Broadband Low Noise Amplifier and RF Signal Amplification Method Using the Amplifier |
-
2009
- 2009-12-08 KR KR1020090121235A patent/KR101145347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9990053981A (en) * | 1997-12-24 | 1999-07-15 | 정선종 | Gain Control Circuit of Low Noise Amplifier |
| KR100654459B1 (en) * | 2005-06-30 | 2006-12-06 | 삼성전자주식회사 | Broadband Low Noise Amplifier and RF Signal Amplification Method Using the Amplifier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25135287A1 (en) * | 2023-12-21 | 2025-06-26 | 국립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 Uwb reception device capable of adjusting band and gain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10064567A (en) | 2011-06-15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2286408B1 (en) | Compression control of cascode power amplifiers | |
| US8072266B1 (en) | Class G amplifier with improved supply rail transition control | |
| US7420425B2 (en) | Power amplifier and method thereof | |
| US7417508B1 (en) | Multiple RF path amplifiers | |
| EP2470918B1 (en) | High linear fast peak detector | |
| US20080231358A1 (en) | Power amplifier circuit | |
| US20110043956A1 (en) | Protection circuit for power amplifier | |
| US20050093630A1 (en) | Power level controlling of first amplification stage for an integrated rf power amplifier | |
| US7622992B2 (en) | Power amplifier circuit having a bias signal inputted into input terminal and method thereof | |
| CN113169717A (en) | Load Line Switching for Push-Pull Power Amplifiers | |
| KR20080021828A (en) | Automatic Bias Control Circuit for Linear Power Amplifiers | |
| US6714071B1 (en) | Gate modulation for high power amplifiers | |
| US10547307B2 (en) | Bias circuit and power amplifier having the same | |
| CN104639052A (en) | Power amplifier bias current monitor and control mechanism | |
| KR101654221B1 (en) | Power amplifier | |
| TW201220681A (en) | Methods for determining optimum power supply voltages for radio-frequency power amplifier circuitry | |
| WO2012021461A2 (en) | System and method for biasing a power amplifier | |
| KR101145347B1 (en) | Low noise amplifier and gain control circuit for amplifier | |
| EP3360249A1 (en) | Amplification device incorporating limiting | |
| US9306515B2 (en) | Hybrid class operation power amplifier | |
| US6724251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employing gain dependent biasing to reduce offset and noise in a current conveyor type amplifier | |
| CN211791452U (en) | Control circuit of power amplifier | |
| CN100514852C (en) | Power amplifier circuit and method for amplifying RF signals | |
| JP2014209672A (en) | Power amplifier | |
| KR102338858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er improving transmit power efficiency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7050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70505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