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4685B1 - Fastener - Google Patents
Faste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54685B1 KR101154685B1 KR1020100057103A KR20100057103A KR101154685B1 KR 101154685 B1 KR101154685 B1 KR 101154685B1 KR 1020100057103 A KR1020100057103 A KR 1020100057103A KR 20100057103 A KR20100057103 A KR 20100057103A KR 101154685 B1 KR101154685 B1 KR 10115468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ttachment member
- attachment
- male
- fastener
- hea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 F16B19/04—Rivets; Spigots or the like fastened by riveting
- F16B19/08—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 F16B19/10—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fastened by expanding mechanically
- F16B19/1027—Multi-part rivets
- F16B19/1036—Blind rivets
- F16B19/1081—Blind rivets fastened by a drive-pi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 F16B21/08—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tud, pin, or spigot has a resilient part
- F16B21/08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tud, pin, or spigot has a resilient part the shank of the stud, pin or spigot having elevations, ribs, fins or prongs intended for deformation or tilting predominantly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inser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부착부재와 피부착부재를 원터치로 부착할 수 있음과 아울러, 상기 부착부재 및 피부착부재의 두께에 관계없이 요동이 없고 또한 빠지지 않게 부착할 수 있는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해결수단) 본 발명의 고정구는, 암부재(11)에 수부재(21)를 삽입함에 의해서 상기 암부재(11)에 형성된 통형상부(113)를 외측으로 벌림으로써 부착부재(41)와 피부착부재(42)가 서로 떨어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이다. 암부재(11)는 적어도 삽입구멍(111)이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부(112)와, 플랜지부(112)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통형상부(113)와, 통형상부(113)에 형성된 복수의 슬릿(114,144)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부재(21)는 적어도 머리부(211)와 축부(212)와 다리부(214,214')로 구성되어 있다. 수부재(21)에는 상기 머리부(211)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암부재(11)의 통형상부(113)에 삽입되어 상기 통형상부(113)를 외측으로 벌리는 축부(212)가 형성되어 있다. 축부(212)의 하단부는, 축부(212)가 암부재(11)의 통형상부(113)에 삽입되었을 때에 통형상부(133)의 하부를 외측으로 벌릴 수 있는 원통형상의 원통부(213)로 할 수 있다. 다리부(214,214')에는 걸어맞춤부(217,217)가 형성되어 있으며, 부착부재(41) 및 피부착부재(42)를 협지하였을 때에 요동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stener capable of attaching the attachment member and the skin attachment member with one touch and attaching them without shaking and without falling out regardless of the thickness of the attachment member and the skin attachment member.
(Measures) The fastener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nserting the male member 21 into the female member 11 by opening the tubular portion 113 formed on the female member 11 to the outside and the attachment member 41 and The adhesion member 42 is to be fixed so as not to fall off each other. The arm member 11 includes at least a flange portion 112 having an insertion hole 111 formed therein, a tubular portion 113 extending downward from the flange portion 112, and a plurality formed in the tubular portion 113. Of slits 114 and 144. The male member 21 is comprised by the head part 211, the shaft part 212, and the leg parts 214 and 214 'at least. The male member 21 has a shaft portion 212 extending downward from the head portion 211 and inserted into the cylindrical portion 113 of the female member 11 to open the cylindrical portion 113 outward. It is. The lower end of the shaft portion 212 is a cylindrical cylindrical portion 213 that can open the lower portion of the cylindrical portion 133 to the outside when the shaft portion 212 is inserted into the cylindrical portion 113 of the arm member 11. You can do The engaging portions 217 and 217 are formed in the leg portions 214 and 214 ', and are prevented from swinging when the attachment member 41 and the skin adhesion member 42 are sandwiched.
Description
본 발명은 부착부재와 피부착부재를 원터치로 부착할 수 있음과 아울러, 상기 부착부재 및 피부착부재의 두께에 관계없이 요동이 없고 또한 빠지지 않게 부착할 수 있는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부착부재와 피부착부재를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음과 아울러, 해제시에 공구를 전혀 사용하는 일 없이 해제할 수 있는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stener capable of attaching the attachment member and the skin attachment member with one touch and attaching them without shaking and without falling out regardless of the thickness of the attachment member and the skin attachment member.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fastener which can be easily attached to the attachment member and the skin attachment member and can be released without using any tool at the time of release.
종래의 고정구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실용신안 평6-40428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있다. 도 6(A) 및 도 6(B)는 종래의 고정구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단면 정면도이고, 도 6(C)는 상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에 있어서, 푸시 리벳(고정구)은 리벳 본체(암부재)(61)와 핀(수부재)(62)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리벳 본체(61)는 플랜지(611)와 통형상부(612)와 슬릿(613)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핀(62)은 머리부(621)와 축부(622)와 드라이버 홈(623)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플랜지(611)와 머리부(621)의 사이에 공구 삽입홈(624)이 형성되어 있다.As a conventional fastener, there exist some which were described, for example in Unexamined-Japanese-Patent No. 6-40428. 6 (A) and 6 (B) are partial cross-sectional front views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fastener, and FIG. 6 (C) is a top view. In FIGS. 6A to 6C, the push rivet (fixing tool) is composed of a rivet main body (female member) 61 and a pin (male member) 62. The rivet
상기 푸시 리벳은, 상기 핀(62)이 상기 리벳 본체(61)의 플랜지(611) 측에서 삽입됨에 의해서 상기 통형상부(612)를 외측으로 벌림으로써 도시하지 않은 부착부재와 피부착부재를 부착할 수 있다. 또, 상기 리벳 본체(61)와 상기 핀(62)의 걸어맞춤을 해제할 경우에는, 드라이버(625)와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공구 삽입홈(624)에 삽입하고서 상기 리벳 본체(61)에서 핀(62)을 끌어 올림에 의해서 해제하도록 하고 있었다.
The push rivet attaches an attachment member and an adhesion member (not shown) by opening the
상기한 종래의 푸시 리벳은 리벳 본체와 핀의 탄성에 의해서 부착부재와 피부착부재를 부착하고 있었다. 상기 푸시 리벳은, 이것을 재차 이용할 때에 부재 자체가 헐거워지는 경우가 있으며, 이 경우에는 본래의 상태로 되돌아가지 않게 되어 빠져 버리는 일이 있기 때문에 신뢰성에 문제가 있었다. 또, 상기 푸시 리벳은 부착부재 및 피부착부재가 얇은 경우에 부착구멍에서 요동이 생긴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상기 푸시 리벳은 상기 리벳 본체와 상기 핀의 걸어맞춤을 해제할 경우에 공구를 사용하여 강제적으로 해제하여야만 했다.In the conventional push rivet, the attachment member and the attachment member are attached by the elasticity of the rivet body and the pin. When the said push rivet uses this again, the member itself may loosen. In this case, since it does not return to an original state, it may fall out and there existed a reliability problem. In addition, the push rivet has a problem in that rocking occurs in the attachment hole when the attachment member and the skin attachment member are thin. In addition, the push rivet had to be forcibly released using a tool when releasing the engagement between the rivet body and the pin.
이상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부착부재 및 피부착부재의 두께가 얇다 하더라도 부착구멍에서 요동이 없고, 또한 수부재 및 암부재가 빠지는 일이 없는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부착부재 및 피부착부재의 부착구멍에서 요동이 없고, 또한 빠지는 일이 없음과 아울러, 상기 암부재에서 상기 수부재를 해제할 때에 특별한 공구를 필요로 하지 않는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astener which is free of fluctuations in the attachment hole even when the thickness of the attachment member and the skin attachment member is thin and that the male member and the female member do not fall out.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astener that is free from swinging and falling out of the attachment hole of the attachment member and the skin attachment member, and does not require a special tool when releasing the male member from the female member. For the purpose of
《제 1 발명》<< first invention >>
본 발명의 고정구는, 삽입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통형상부와, 상기 통형상부에 형성된 복수의 슬릿으로 구성되어 있는 암부재와: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암부재의 통형상부에 삽입되어 상기 통형상부를 외측으로 벌리는 축부와, 상기 축부의 하부에서 상부로 향해서 형성되되 외측으로 벌어짐과 아울러 상기 통형상부의 슬릿을 통해서 외측으로 돌출된 걸어맞춤부를 구비하고 있는 다리부로 구성되어 있는 수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수부재를 상기 암부재의 삽입구멍에 압입함에 의해서, 상기 통형상부를 외측으로 벌려서 부착부재 및 피부착부재의 부착구멍의 가장자리에 맞닿게 하여 고정함과 아울러, 상기 다리부의 걸어맞춤부를 상기 슬릿의 외측으로 돌출시켜서 상기 부착부재 및 피부착부재의 부착구멍의 가장자리에 걸어맞춰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aste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ange portion having an insertion hole, a cylindrical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flange portion, and an arm membe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lits formed in the cylindrical portion: a head portion; A shaft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head portion and inserted into the cylindrical portion of the arm member and spreading the cylindrical portion outwardly, forme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shaft portion toward the upper portion, and spreading outwardly through the slit of the cylindrical portion; And a male member composed of a leg portion having an engaging portion projecting outwardly, wherein the male member is opened to the outside by pushing the male member into the insertion hole of the female member, thereby attaching and attaching the skin member. The abutment portion of the leg is projected to the outside of the sli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xed by engaging the edge of the attachment hole of the attachment member and the skin attachment member.
《제 2 발명》<< second invention >>
제 2 발명의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의 선단은 상기 머리부의 하부에서 외측으로 향해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부착부재 및 피부착부재와의 걸어맞춤을 해제하기 위한 조작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fastener of the second invention, the tip of the leg portion protrudes outwar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head portion,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n operation portion for releasing engagement with the attachment member and the skin attachment member.
《제 3 발명》<< third invention >>
제 3 발명의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쐐기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조작부가 상기 머리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사이로 끼워져 들어감에 의해서 상기 암부재와 수부재를 떼어 놓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fastener of the third invention, the operation portion is formed in a wedge shape, and the operation portion is separated between the female member and the male member by being inserted between the head portion and the flange portion.
《제 4 발명》<< fourth invention >>
제 4 발명의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 또는 플랜지부에는 적어도 일측에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fastener of the fourth invention, the inclined portion is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operation portion or the flange portion.
본 발명의 고정구에 의하면, 암부재에 있어서의 탄성이 풍부한 통형상부의 외측으로의 벌어짐 및 수부재에 있어서의 다리부가 통형상부의 슬릿을 통해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부착부재 및 피부착부재의 부착구멍의 가장자리에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에 의해서, 상기 부착부재 및 피부착부재의 두께가 다른 경우라 하더라도 요동이 없으며, 또 수부재 및 암부재의 빠짐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asten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aring outwardly of the cylindrical portion rich in elasticity in the female member and the leg portion of the male member protrude outward through the slit of the cylindrical portion, so that the attachment hole of the attachment member and the skin attachment member is formed. By the engagement engaged with the edge, even if the thickness of the attachment member and the skin attachment member is different, there is no fluctuation,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ale member and the female member from being pulled out.
본 발명의 고정구에 의하면, 수부재와 암부재가 반송 중에 따로 떨어져 있지 않고 일체로 하기 위한 임시고정 돌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조립을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수부재 및 암부재를 부착부재 및 피부착부재의 부착구멍에 삽입한 후, 상기 수부재의 머리부를 압입함에 의해서 상기 암부재의 통형상부를 외측으로 벌림으로써 상기 부착부재와 피부착부재가 서로 부착되기 때문에, 조립을 용이하게 또한 신속하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astener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ale member and the female member have a temporary fixing protrusion for unifying without being separated during conveyance, assembly can be performed quickly. Further, after inserting the male member and the female member into the attachment hole of the attachment member and the skin attachment member, the attachment member and the skin attachment member are spread out by spreading the tubular portion of the female member outward by pressing the head of the male member. Since they are attached to each other, the assembly can be made easily and quickly.
본 발명의 고정구에 의하면, 머리부의 하부에 조작부를 형성하고, 상기 조작부를 집듯이 내부 방향으로 누르는 누름조작만에 의해서 상기 부착부재 및 피부착부재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기 때문에, 공구를 사용하는 일 없이 상기 부착부재 및 피부착부재와의 걸어맞춤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astener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operation portion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head and the engagement with the attachment member and the skin attachment member is released only by pressing operation pressed inwardly as if the operation portion is picked up, a tool is used. The engagement with the attachment member and the attachment member can be easily released without work.
본 발명의 고정구에 의하면, 조작부를 쐐기형상으로 형성하거나 혹은 플랜지부의 일부에 경사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조작부를 누르는 누름조작만에 의해서 공구를 사용하는 일 없이 간단하게 상기 수부재와 암부재를 용이하게 떼어 놓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asten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le member and the female member can be easily formed without using a tool by only pressing operation of pressing the operation member by forming the operation portion in a wedge shape or by forming an inclination portion in a part of the flange portion. Can be separated.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암부재의 일부 단면 정면도, 도 1(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암부재의 상면도, 도 1(D)는 도 1(C)의 A-A선 단면도(제 1 실시형태)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수부재의 일부 단면 정면도,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수부재의 상면도
도 3(A)는 암부재와 수부재가 떨어져 있는 상태를 설명하는 정면도, 도 3(B)는 암부재와 수부재가 일부 걸어맞춰져 있는 상태를 설명하는 정면도, 도 3(C)는 암부재와 수부재가 완전히 걸어맞춰진 상태를 설명하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로서, 암부재와 수부재에 의해서 부착부재 및 피부착부재를 부착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제 2 실시형태)
도 6(A) 및 도 6(B)는 종래예에 관한 고정구의 일부 단면 정면도, 도 6(C)는 상면도1 (A) and 1 (B) are partial cross-sectional front views of the arm memb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 (C) is a top view of the arm memb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 (D). )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1 (C) (first embodiment)
2 (A) and 2 (B) are partial cross-sectional front views of the male memb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C) is a top view of the male memb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A)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emale member and the male member are separated, and FIG. 3 (B)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emale member and the male member are partially engaged, and FIG. Front view explaining the state where the female member and the male member are fully engaged
Figure 4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ront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attachment member and the skin attachment member is attached by the female member and the male member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cond embodiment).
6 (A) and 6 (B) are partial cross-sectional front views of the fasten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example, and FIG. 6 (C) is a top view.
《제 1 발명》<< first invention >>
제 1 발명의 고정구는 부착부재 및 피부착부재에 형성된 부착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양자를 서로 부착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구는, 암부재에 수부재를 압입함에 의해서 상기 암부재에 형성된 통형상부를 외측으로 벌림으로써 부착부재와 피부착부재가 서로 떨어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이다. The fastener of the first invention is inserted into an attachment hole formed in the attachment member and the skin attachment member to attach the two to each other. The fastener is to secure the attachment member and the skin attachment member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opening the tubular portion formed on the female member to the outside by press-fitting the male member to the female member.
상기 암부재는 적어도 삽입구멍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에서 하측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통형상부와, 상기 통형상부에 형성된 대략 십자형상으로 형성된 슬릿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십자형상으로 형성된 슬릿은 후술하는 다리부 및 슬라이드 볼록부를 삽입할 수 있는 홈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암부재 및 수부재는 예를 들면 금형을 이용하여 탄성을 가지는 합성수지부재에 의해서 성형된다.The arm member is composed of at least a flange portion in which an insertion hole is integrally formed, a tubular portion extending integrally downward from the flange portion, and a slit formed in a substantially cross shape formed in the tubular portion. The slit formed in the cross shape is formed in the shape of a groove into which the leg portion and the slide convex portion described later can be inserted. The female member and the male member are molded by a synthetic resin member having elasticity, for example, using a mold.
상기 수부재는 적어도 머리부와 축부와 다리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부재에는 상기 머리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암부재의 통형상부에 삽입되어 상기 통형상부를 외측으로 벌리는 축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축부는 상기 암부재의 상기 십자형상으로 형성된 슬릿에 삽입되는 1쌍의 다리부와 1쌍의 슬라이드 볼록부와, 하단부에 있어서 상기 암부재의 통형상부에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통형상부의 하부를 외측으로 벌리는 원통부로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다리부는 축부의 하부에서 상부로 향해서 형성되되 외측으로 벌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중간부 근방에는 부착부재 및 피부착부재의 부착구멍의 가장자리에 걸어맞춰짐과 아울러, 후술하는 조작부를 누름에 의해서 상기 부착부재 및 피부착부재와의 걸어맞춤을 해제하여 상기 암부재에서 수부재를 빠지기 쉽게 하는 걸어맞춤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걸어맞춤부는 상기 다리부에서 완만하게 돌출된 돌기로 할 수 있다. 상기 다리부에 형성된 걸어맞춤부는 두꺼운 부착부재 및 피부착부재를 협지하였을 때에 요동이 없도록 할 수도 있다.The male member is composed of at least a head, a shaft, and a leg. The male member has a shaft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head and inserted into a cylindrical portion of the female member to open the cylindrical portion outward. The shaft portion includes a pair of leg portions and a pair of slide convex portions inserted into the slit formed in the cross shape of the arm member, and a lower portion of the cylindrical portion when inserted into the cylindrical portion of the arm member at a lower end portion. It consists of a cylindrical part spreading outward. In addition, the leg portion is formed from the lower portion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haft portion and is formed in a shape that spreads outward, and in the vicinity of the middle portion thereof is engaged with the edges of the attachment holes of the attachment member and the attachment member, and an operation portion to be described later. An engaging portion for releasing the engagement between the attachment member and the skin attachment member by pressing to easily pull out the male member from the female member is provided. The engaging portion may be a protrusion projecting gently from the leg portion. The engaging portion formed on the leg portion may be free from shaking when the thick attachment member and the skin attachment member are sandwiched.
상기 부착부재와 피부착부재를 부착할 경우, 상기 수부재를 상기 암부재의 삽입구멍에 압입한다. 상기 복수의 슬릿을 구비한 통형상부는 상기 수부재의 삽입에 의해서 외측으로 벌어짐으로써 상기 부착부재 및 피부착부재의 부착구멍의 가장자리에 맞닿게 된다. 또, 상기 다리부는 상기 통형상부의 슬릿을 통해서 그 일부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부착구멍의 가장자리에 걸어맞춰짐으로써 상기 부착부재와 피부착부재가 부착된다. 상기 고정구는 상기 수부재의 다리부가 상기 부착부재 및 피부착부재의 부착구멍의 가장자리에 걸어맞춰짐으로써, 상기 부착부재 및 피부착부재의 두께가 다른 경우라 하더라도 요동이 없으며, 또 수부재 및 암부재의 빠짐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고정구는 상기 부착부재 및 피부착부재가 얇은 경우에는 상기 걸어맞춤부 상에 걸어맞춰지고, 두꺼운 경우에는 상기 걸어맞춤부의 경사부를 이용하여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두께가 다르더라도 요동 없게 고정할 수 있다.When attaching the attachment member and the skin attachment member, the male member is pressed into the insertion hole of the female member. The tubular portion having the plurality of slits is opened outward by the insertion of the male member to abut on the edges of the attachment holes of the attachment member and the skin attachment member. In addition, a part of the leg portion protrudes outward through the slit of the tubular portion and engages with the edge of the attachment hole, thereby attaching the attachment member and the attachment member. The fastener has the legs of the male member engaged with the edges of the attachment holes of the attachment member and the skin attachment member, so there is no fluctuation even when the thickness of the attachment member and the skin attachment member is different, and the male member and the female The member can be prevented from coming off. That is, the faste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ngaged on the engaging portion when the attachment member and the skin attachment member are thin, and is fixed using the inclined portion of the engaging portion when the attachment member and the skin attachment member are thick, so that the fixing member is free from fluctuation even if the thickness is different. Can be fixed
상기 수부재 및 암부재는 탄성을 가지는 합성수지 등에 의해서 금형으로 성형한 후, 상기 수부재를 암부재에 삽입한다. 상기 수부재는 상기 다리부의 슬라이드 볼록부에 형성된 임시고정 돌기를 상기 암부재의 플랜지부에 걸어맞춘 상태로 조립하여 공장에서 반송된다. 상기 수부재 및 암부재는 반송 중에 따로 떨어져 있지 않고 일체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부재 및 암부재를 부착부재 및 피부착부재의 부착구멍에 삽입한 후, 상기 수부재의 머리부를 압입함에 의해서 상기 암부재의 통형상부를 외측으로 벌림으로써 상기 부착부재와 피부착부재가 서로 부착되기 때문에, 조립을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수부재 및 암부재는 십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다리부와 슬라이드 볼록부를 슬릿 및 슬라이드 홈에 안정하게 또한 신속하게 삽입할 수 있다.The male member and the female member are molded into a mold by an elastic resin having elasticity, and then the male member is inserted into the female member. The male member is assembled in a state where the temporary fixing protrusion formed on the slide convex portion of the leg portion is engaged with the flange portion of the female member, and is conveyed from the factory. The male member and the female member are integrated without being separated during conveyance. Then, after inserting the male member and the female member into the attachment hole of the attachment member and the attachment member, the attachment member and the attachment member are opened by spreading the tubular portion of the female member outward by pressing the head of the male member. Are attached to each other, so that assembly can be performed quickly. In addition, the male member and the female member can stably and quickly insert the leg portion and the slide convex portion formed in the cross shape into the slit and the slide groove.
《제 2 발명》<< second invention >>
제 2 발명의 고정구는 상기 수부재에 형성된 상기 다리부의 선단에 조작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다리부의 선단은 상기 머리부의 하부에서 외측으로 향해서 돌출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머리부의 하면을 따라서 외측으로 향해서 돌출된 1쌍의 조작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머리부의 하부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를 내부 방향으로 누름으로써 걸어맞춤부와 걸어맞춰져 있던 상기 부착부재 및 피부착부재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상기 조작부를 내부 방향으로 누르는 누름조작만에 의해서 상기 다리부를 좁히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외측으로 벌어진 상기 암부재의 통형상부를 원래의 위치로 되돌릴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부착부재 및 피부착부재와의 걸어맞춤을 공구를 사용하는 일 없이, 또 상기 수부재와 암부재의 걸어맞춤을 용이하게 해제시킬 수 있다.In the fastener of the second invention, an operation portion is formed at the tip of the leg portion formed in the male member. The tip of the leg portion protrudes outwar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head portion and is provided with a pair of operation portions that protrude outwardly along the lower surface of the head portion. Under the head, the engagement with the attachment member and the skin attachment member which is engaged with the engagement portion is released by pressing the operation portion inward. By moving the leg portion of the arm member opened outward to its original position only by pressing the operation portion inwardly, the leg portion can be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The engagement between the male member and the female member can be easily released without using a tool for the alignment.
《제 3 발명》<< third invention >>
제 3 발명의 고정구는 상기 조작부가 쐐기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암부재의 플랜지부에 상기 조작부가 출입할 수 있는 조작부 삽입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작부를 집듯이 누르는 누름조작만에 의해서 상기 머리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사이에 형성된 조작부 삽입 오목부 내로 끼워져 들어감으로써, 상기 암부재와 수부재를 떼어 놓을 수 있다. 상기 고정구에서는 상기 조작부를 쐐기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조작부를 누르는 누름조작만에 의해서 간단하게 상기 수부재와 암부재의 걸어맞춤을 용이하게 해제시킬 수 있다.In the fastener of the third invention, the operation portion is formed in a wedge shape, and an operation portion insertion recess in which the operation portion can enter and exit is formed in the flange portion of the arm member. The female member and the male member can be separated by being pushed into the operation portion insertion recess formed between the head and the flange by only pressing operation that pushes the operation portion. In the fastener, the operation portion is formed in a wedge shape, whereby the engagement between the male member and the female member can be easily released simply by the pressing operation of pressing the operation portion.
《제 4 발명》<< fourth invention >>
제 4 발명의 고정구는, 상기 조작부 또는 플랜지부 중 적어도 일측에 경사부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경사부는 상기 조작부의 하부 또는 플랜지부에 있어서의 조작부 삽입 오목부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작부는 상기 경사부에 형성된 경사면에 의해서 수부재를 용이하게 빼낼 수 있도록 끌어 올릴 수 있다.The fastener of 4th invention forms the inclination part in at least one side of the said operation part or a flange part. The said inclined part is formed in the front-end | tip part of the operation part insertion recessed part in the lower part or the flange part of the said operation part. The operation unit may be pulled up to easily remove the male member by the inclined surface formed on the inclined portion.
〈실시형태〉<Embodiment>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고정구에 대해서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fastener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with reference to drawings is demonstrated.
본 실시형태에 관한 고정구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착부재(41) 및 피부착부재(42)에 형성된 부착구멍(43)에 삽입되어 이들 부착부재(41)와 피부착부재(42)를 서로 부착시키는 것이다. 상기 고정구는 자동차의 내장부 등에 사용되며, 그 외 항공기, 철도 혹은 주택 설비 등의 내장에 적용할 수 있다. 또, 상기 고정구는 어패럴 분야의 버클, 배관 고정, 배송박스의 로크 등에 사용할 수 있다.The faste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inserted into the
상기 고정구는 암부재(11)(도 1 참조)와 수부재(21)(도 2 참조)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암부재(11) 및 수부재(21)는 예를 들면 금형을 이용하여 합성수지부재에 의해서 성형되어 있다. 상기 고정구는,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임시고정된 암부재(11)와 수부재(21)를 부착부재(41) 및 피부착부재(42)의 부착구멍(43)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수부재(21)를 상기 암부재(11)의 삽입구멍(111) 내로 압입하면, 대략 십자형상으로 형성된 슬릿(114) 및 슬라이드 홈(118)의 협동에 의해서 상기 수부재(21)의 축부(212)가 상기 암부재(11)의 통형상부(113)를 외측으로 벌림으로써 상기 부착부재(41)와 상기 피부착부재(42)가 서로 떨어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이다.The fixture consists of a female member 11 (see FIG. 1) and a male member 21 (see FIG. 2). The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암부재의 일부 단면 정면도이고, 도 1(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암부재의 상면도이고, 도 1(D)는 도 1(C)의 A-A선 단면도이다. 1 (A) and 1 (B) are partial sectional front views of the arm memb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 (C) is a top view of the arm memb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 ( D)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1 (C).
상기 암부재(11)는 도 1(A) 내지 도 1(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어도 삽입구멍(111)이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부(112)와, 상기 플랜지부(112)에서 하측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통형상부(113)와, 상기 통형상부(113)에 형성된 복수의 슬릿(114) 및 슬라이드 홈(118)으로 구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1A to 1D, the
상기 통형상부(113)는 그 하부가 상기 슬릿(114) 및 슬라이드 홈(118)에 의해서 복수 부분(본 실시형태에서는 4부분)으로 분리되고, 그 상부가 플랜지부(112)의 하부에 일체로 연이어 형성되어 있다.The lower portion of the
상기 플랜지부(112)에는 그 상부에 후술하는 수부재(21)의 머리부(211)가 끼워맞춰지는 머리부 삽입 오목부(115)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플랜지부(112)에는 후술하는 조작부(215)가 끼워맞춰지는, 상기 머리부 삽입 오목부(115)보다도 깊이가 깊은 조작부 삽입 오목부(116)가 형성되어 있다. The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수부재의 일부 단면 정면도이고,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수부재의 상면도이다. 2 (A) and 2 (B) are partial cross-sectional front views of the male memb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C) is a top view of the male memb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수부재(21)는 도 2(A) 내지 도 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어도 머리부(211)와 축부(212)와 다리부(214,214')와 슬라이드 볼록부(219,219')로 구성되어 있다. The
상기 머리부(211)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축부(212)는 상기 암부재(11)의 통형상부(113)에 삽입되며, 상기 슬릿(114) 및 슬라이드 홈(118)에 의해서 상기 통형상부(113)를 외측으로 벌린다. 상기 슬라이드 볼록부(219,219')는 상기 암부재(11)의 통형상부(113)에 형성된 슬라이드 홈(118)에 안내되어 삽입되며, 제 1 임시고정 돌기(220,220') 및 제 2 임시고정 돌기(221,221')에 의해서 후술하는 걸어맞춤부(217,217')와 함께 암부재(11)와 수부재(21)를 임시로 고정할 수 있다.The
상기 축부(212)의 하단부에는, 상기 축부(212)가 상기 암부재(11)의 통형상부(113)에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통형상부(133)의 하부를 외측으로 벌릴 수 있는 대략 원통형상의 원통부(2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원통부(213)는 상기 암부재(11)의 통형상부(113)를 상기 슬릿(114) 및 슬라이드 홈(118)에 의해서 확실하게 벌릴 수 있다. 또, 상기 다리부(214,214') 및 상기 슬라이드 볼록부(219,219')는 그 단면이 십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암부재(11)의 슬릿(114) 및 슬라이드 홈(118)에 곧게 삽입된다.On the lower end of the
또, 상기 축부(212)에는 하부에서 상부로 향해서 형성되되 외측으로 벌어지는 1쌍의 다리부(214,214')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다리부(214,214')의 중간부 근방에 상기 부착부재(41) 및 피부착부재(42)의 부착구멍(43)의 가장자리에 걸어맞춰짐과 아울러 조작부(215,215')를 집는 듯한 누름조작에 의해서 상기 부착부재(41) 및 피부착부재(42)와의 걸어맞춤을 해제하여 상기 암부재(11)에서 수부재(21)를 빠지기 쉽게 하는 걸어맞춤부(217,217')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다리부(214,214')는 상기 걸어맞춤부(217,217')가 탄성을 갖도록 하고 있다. 상기 걸어맞춤부(217,217')는 상기 다리부(214,214')에서 완만하게 돌출된 돌기로 할 수 있다. 상기 다리부(214,214')에 형성된 걸어맞춤부(217,217')는 비교적 두꺼운 부착부재(41) 및 피부착부재(42)를 협지하였을 때에 요동이 없도록 경사를 가진 형상으로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다리부(214,214')에 있어서의 상기 머리부(211)의 하부에 위치하는 선단에는 1쌍의 조작부(215,21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다리부(214,214')의 선단은 상기 머리부(211)의 하부에서 외측으로 향해서 연장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머리부(211)의 하면을 따라서 외측으로 향해서 돌출된 1쌍의 조작부(215,215')가 일체로 연이어 형성되어 있다.A pair of
상기 수부재(21)에 있어서는, 상기 머리부(211)의 하부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215,215')를 집듯이 내부 방향으로 누름조작함으로써 걸어맞춤부(217,217')와 걸어맞춰져 있던 상기 부착부재(41) 및 피부착부재(42)와의 걸어맞춤이 완화됨과 아울러, 상기 걸어맞춤부(217,217')의 경사가 찌부러짐으로써 상기 부착부재(41) 및 피부착부재(42)와의 걸어맞춤이 용이하게 해제된다. 상기 조작부(215,215')를 집듯이 내부 방향으로 누르는 누름조작만에 의해서 상기 다리부(214,214')를 좁히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외측으로 벌어진 상기 암부재(11)의 통형상부(113)를 원래의 위치로 되돌릴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부착부재(41) 및 피부착부재(42)와의 걸어맞춤을 공구를 사용하는 일 없이, 또 상기 수부재(21)와 암부재(11)와의 걸어맞춤을 용이하게 해제시킬 수 있다.In the
상기 고정구에 있어서는, 상기 조작부(215,215')의 형상이 상기 머리부(211)의 하부로 향해서 경사져 있는 쐐기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암부재(11)의 플랜지부(112)에는 상기 조작부(215,215')가 출입할 수 있는 조작부 삽입 오목부(116)가 머리부 삽입 오목부(115)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작부(215,215')가 이것을 집듯이 누르는 누름조작만에 의해서 상기 머리부(211)와 상기 플랜지부(112)의 사이에 형성된 조작부 삽입 오목부(116) 내로 끼워져 들어감으로써, 상기 암부재(11)와 수부재(21)를 떼어 놓을 수 있다.In the fastener, the shape of the
상기 고정구에 있어서는, 상기 조작부(215,215') 또는 플랜지부(112) 중 적어도 일측에 경사부(117){도 1(B) 참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경사부(117)는 상기 조작부(215,215')의 하부 또는 플랜지부(112)에 있어서의 조작부 삽입 오목부(116)의 선단부에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215,215')는 상기 경사부(117)에 형성된 경사면에 의해서 수부재(21)를 용이하게 빼낼 수 있도록 끌어 올릴 수 있다.In the fastener, the inclined portion 117 (see FIG. 1B)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도 3(A)는 암부재와 수부재가 떨어져 있는 상태를 설명하는 정면도이고, 도 3(B)는 암부재와 수부재가 일부 걸어맞춰져 있는 상태를 설명하는 정면도이고, 도 3(C)는 암부재와 수부재가 완전히 걸어맞춰진 상태를 설명하는 정면도이다. FIG. 3 (A)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the female member and the male member are separated, and FIG. 3 (B)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emale member and the male member are partially engaged, and FIG. It is a front view explaining the state in which the female member and the male member are completely engaged.
도 3(A)에 있어서, 암부재(11)와 수부재(21)는 각각 다른 금형에 의해서 성형되는 2개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3(B)에 있어서, 상기 암부재(11)는 상기 수부재(21)가 일부 삽입되어 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 상기 수부재(21)의 걸어맞춤부(217,217')가 암부재(11)의 플랜지부(112)의 하부에 걸어맞춰져 있다. 상기 암부재(11) 및 수부재(21)는 상기 플랜지부(112)에 대한 걸어맞춤부(217,217')의 걸어맞춤에 의해서 2개의 부품이 따로 떨어져 있지 않고 항상 1쌍의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을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도 3(C)에 있어서, 상기 수부재(21)는 그 머리부(211)를 하부로 눌러 내림으로써 암부재(11)의 삽입구멍(111)에 압입된다.In Fig. 3A, th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로서, 암부재와 수부재에 의해서 부착부재 및 피부착부재를 부착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4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attachment member and the skin attachment member are attached by the female member and the male member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있어서, 부착부재(41) 및 피부착부재(42)의 부착구멍(43)에 암부재(11)와 수부재(21)가 임시고정된 고정구를 삽입한 후, 상기 암부재(11)의 통형상부(113) 내로 수부재(21)의 축부(212)를 압입한다. 상기 암부재(11)에 있어서의 복수의 슬릿(114) 및 슬라이드 홈(118)을 구비한 통형상부(113)는 상기 수부재(21)의 축부(212)의 삽입에 의해서 외측으로 벌어짐으로써 상기 부착부재(41) 및 피부착부재(42)의 부착구멍(43)의 가장자리에 맞닿게 된다. 또, 상기 다리부(214)는 상기 통형상부(113)의 슬릿(114)을 통해서 그 일부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부착구멍(43)의 가장자리에 걸어맞춰짐으로써 상기 부착부재(41)와 피부착부재(42)가 부착된다. In Fig. 4, after inserting the fixing member to which the
상기 고정구는 상기 수부재(21)의 다리부(214)가 상기 부착부재(41) 및 피부착부재(42)의 부착구멍(43)에 걸어맞춰짐으로써, 상기 부착부재(41) 및 피부착부재(42)의 두께가 다른 경우라 하더라도 요동이 없으며, 또 수부재(21) 및 암부재(11)의 빠짐을 방지할 수 있다.The fastener has the
〈다른 실시형태〉<Other embodiment>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있어서, 고정구는 암부재(51)와 수부재(52)로 구성되며, 합성수지 등에 의해서 금형으로 성형되어 있다. 상기 암부재(51) 및 수부재(52)는 상기한 실시형태와 거의 같은 형상의 것이다. 본 실시형태의 수부재(52)는 다리부(523)에 조작부가 없는 점에서 상기한 실시형태와 다르다. 상기 고정구는 떼어낼 필요가 없는 경우이며, 조작부의 부분이 없다. 상기 다리부(523)는 걸어맞춤부(524)에 의해서 부착부재 및 피부착부재가 부착되는 형상이면 된다.In Fig. 5, the fastener is composed of a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사항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각종의 설계변경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고정구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범위에 의해서 각부의 형상 및 치수를 일부 변경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 본 발명의 고정구는 사용 장소에 따라서 다른 공지 또는 주지의 재료를 이용하여 탄성 등을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As mentioned above, although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was described in detail,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aid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claims. Needless to say, the fasten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artially change the shape and dimensions of each part by the range described in the claims. Moreover, the fastener of this invention can arbitrarily change elasticity etc. using another well-known or well-known material according to a use place.
11 - 암부재 111 - 삽입구멍
112 - 플랜지부 113 - 통형상부
114 - 슬릿 115 - 머리부 삽입 오목부
116 - 조작부 삽입 오목부 117 - 경사부
21 - 수부재 211 - 머리부
212 - 축부 213 - 원통부
214,214' - 다리부 15,215' - 조작부
217,217' - 걸어맞춤부 41 - 부착부재
42 - 피부착부재 43 - 부착구멍11-Female member 111-Insertion hole
112-flange 113-tubular
114-Slit 115-Head Insert Recess
116-control panel insert recess 117-inclined section
21-Male 211-Head
212-Shaft 213-Cylindrical
214,214 '-Leg 15,215'-Control panel
217,217 '-Fitting 41-Attachment member
42-Skin Attachment 43-Mounting Hole
Claims (4)
머리부(211)와, 상기 머리부(211)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암부재(11)의 통형상부(113)에 삽입되어 상기 통형상부(113)를 외측으로 벌리는 축부(212)와, 상기 축부(212)의 하부에서 상부로 향해서 형성되되 외측으로 벌어짐과 아울러 상기 통형상부(113)의 슬릿(114,114)을 통해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어맞춤부(217,217')를 구비하고 있는 다리부(214,214')로 구성되어 있는 수부재(21);를 구비하며,
상기 수부재(21)를 상기 암부재(11)의 삽입구멍(111)에 압입함에 의해서, 상기 통형상부(113)를 외측으로 벌려서 부착부재(41) 및 피부착부재(42)의 부착구멍(43)의 가장자리에 맞닿게 하여 고정함과 아울러, 상기 다리부(214,214')의 걸어맞춤부(217,217')를 상기 슬릿(114,114)의 외측으로 돌출시켜서 상기 부착부재(41) 및 피부착부재(42)의 부착구멍(43)의 가장자리에 걸어맞춰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A flange portion 112 having an insertion hole 111 formed therein, a tubular portion 113 extending downward from the flange portion 112, and a plurality of slits 114 and 114 formed in the tubular portion 113; Arm member 11 is composed of:
A head 211 and a shaft 212 extending downward from the head 211 and inserted into the tubular portion 113 of the arm member 11 to open the tubular portion 113 outward; And a leg portion which is forme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shaft portion 212 to the upper portion and has an engaging portion 217, 217 'that protrudes outwardly through the slits 114 and 114 of the tubular portion 113. And a male member 21 composed of (214, 214 '),
By press-fitting the male member 21 into the insertion hole 111 of the female member 11, the tubular portion 113 is opened to the outside to attach the attachment member 41 and the attachment member 42 to the attachment hole. In addition to being fixed to the edge of the 43, the engaging portions 217 and 217 'of the leg portions 214 and 214' protrude outward of the slits 114 and 114, thereby adhering the attachment member 41 and the skin attachment member. A fasten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engaged with and fixed to the edge of the attachment hole (43) of (42).
The tip of the leg portions 214 and 214 'protrude outwar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head 211, and release the engagement of the attachment member 41 and the attachment member 42. Fixtures,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ng unit (215,215 ').
3. The arm member 11 of claim 2, wherein the operation parts 215 and 215 ′ are formed in a wedge shape, and the operation parts 215 and 215 ′ are sandwiched between the head part 211 and the flange part 112. Fasteners, characterized in that to separate and the male member (21).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JPJP-P-2009-147576 | 2009-06-22 | ||
| JP2009147576A JP5360480B2 (en) | 2009-06-22 | 2009-06-22 | Fastener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00137371A KR20100137371A (en) | 2010-12-30 |
| KR101154685B1 true KR101154685B1 (en) | 2012-06-08 |
Family
ID=43386403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00057103A Expired - Fee Related KR101154685B1 (en) | 2009-06-22 | 2010-06-16 | Fastener |
Country Status (4)
| Country | Link |
|---|---|
| JP (1) | JP5360480B2 (en) |
| KR (1) | KR101154685B1 (en) |
| CN (1) | CN102459931B (en) |
| WO (1) | WO2010150631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5636566B2 (en) * | 2011-05-16 | 2014-12-10 | トヨタ車体株式会社 | Vehicle inlet box mounting structure |
| CN102815316A (en) * | 2012-08-22 | 2012-12-12 | 北京二七轨道交通装备有限责任公司 | Wearing plate and steering frame |
| JP5968935B2 (en) * | 2014-03-17 | 2016-08-10 | 中国電力株式会社 | Clamp cover for electric wire |
| JP6426836B2 (en) * | 2015-04-20 | 2018-11-28 |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 Parts fixture |
| CN106015218A (en) * | 2016-06-22 | 2016-10-12 | 柳州市瑞日信息科技有限公司 | Motherboard mounting nail |
| JP6858867B2 (en) * | 2017-08-24 | 2021-04-14 | 株式会社ニフコ | clip |
| KR102022993B1 (en) * | 2019-05-02 | 2019-09-19 | 최광수 | Ultrasonic welding machine |
| JP7350695B2 (en) * | 2020-07-08 | 2023-09-26 | 株式会社ニフコ | Clip structure and pin member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2039131A (en) | 2000-07-21 | 2002-02-06 | Nifco Inc | Mounting device for component |
Family Cites Families (9)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18944B (en) * | 1985-08-14 | 1992-11-04 | 柯特·诺德斯特龙 | self drilling hollow rivets |
| JP2727454B2 (en) * | 1988-06-28 | 1998-03-11 | 株式会社ニフコ | Board binding clip |
| JPH0222409U (en) * | 1988-07-29 | 1990-02-14 | ||
| JP2509814Y2 (en) * | 1991-02-06 | 1996-09-04 | 株式会社ニフコ | Fastener |
| JPH0581516U (en) * | 1992-04-03 | 1993-11-05 | ポップリベット・ファスナー株式会社 | clip |
| JP2599725Y2 (en) * | 1993-03-10 | 1999-09-20 | ポップリベット・ファスナー株式会社 | clip |
| CN2285846Y (en) * | 1995-12-10 | 1998-07-08 | 许越男 | Expansion nail |
| JP3768295B2 (en) * | 1996-07-16 | 2006-04-19 |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 Fastener |
| CN2447555Y (en) * | 2000-09-11 | 2001-09-12 | 赖五长 | Rivet |
-
2009
- 2009-06-22 JP JP2009147576A patent/JP5360480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0
- 2010-06-03 CN CN201080027750.8A patent/CN102459931B/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0-06-03 WO PCT/JP2010/059413 patent/WO2010150631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0-06-16 KR KR1020100057103A patent/KR10115468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2039131A (en) | 2000-07-21 | 2002-02-06 | Nifco Inc | Mounting device for component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00137371A (en) | 2010-12-30 |
| JP5360480B2 (en) | 2013-12-04 |
| JP2011002076A (en) | 2011-01-06 |
| CN102459931B (en) | 2013-12-25 |
| WO2010150631A1 (en) | 2010-12-29 |
| CN102459931A (en) | 2012-05-16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154685B1 (en) | Fastener | |
| KR101481360B1 (en) | Two-piece clip | |
| US8763217B2 (en) | Buckle | |
| US20050152765A1 (en) | Fastener for panels or the like | |
| US20070186394A1 (en) | Side release buckle | |
| US20040091334A1 (en) | Connector with male part for final fixing | |
| CN101692940A (en) | Buckle | |
| KR20120099427A (en) | Push-in fastener assembly | |
| JP6764883B2 (en) | buckle | |
| JPH0629428U (en) | Locking device | |
| CN108603524B (en) | Fixing piece | |
| KR940005249A (en) | Detachable bottom end stop assembly for concealed slide fastener and its assembly and disassembly method | |
| JP2008281169A (en) | Retainer | |
| JP5324443B2 (en) | Blind mount fastener | |
| JPWO2014103009A1 (en) | Connector | |
| US20100158632A1 (en) | Fastener | |
| EP2489887B1 (en) | Attachment structure and attachment tool | |
| JP2010112508A (en) | Fixture of intrusion type | |
| US20050152764A1 (en) | Fastener | |
| CN206220707U (en) | door locator | |
| JPH07246106A (en) | Buckle for belt | |
| JPH06237805A (en) | buckle | |
| EP2282067A1 (en) | Connecting fitting | |
| JP2011027214A (en) | Fastener | |
| JPH10274222A (en) | Shaft body operating handl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31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31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8060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806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