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55583B1 - A battery terminal syste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 battery terminal syste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5583B1
KR101155583B1 KR1020100067934A KR20100067934A KR101155583B1 KR 101155583 B1 KR101155583 B1 KR 101155583B1 KR 1020100067934 A KR1020100067934 A KR 1020100067934A KR 20100067934 A KR20100067934 A KR 20100067934A KR 101155583 B1 KR101155583 B1 KR 101155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hing
terminal
case
battery
terminal syste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79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07263A (en
Inventor
김대웅
안병흔
김영관
Original Assignee
세방전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방전지(주) filed Critical 세방전지(주)
Priority to KR1020100067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5583B1/en
Publication of KR20120007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26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5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5583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60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or topping-up with liquids; 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 H01M50/668Means for preventing spilling of liquid or electrolyte, e.g. when the battery is tilted or turned ov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싱의 부싱상부 높이와 안착부 폭을 크게 하여 터미널의 주조에 의한 성형 시간을 단축하고 금형을 안정되게 고정하며 케이스의 열화를 방지하고 배터리의 수명이 종료될 때까지 누액을 차단하는 배터리 터미널 시스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극주, 부싱, 터미널, 케이스를 포함하는 배터리의 터미널 시스템에 있어서 부싱은, 중앙 내부에 관통홀을 형성하는 부싱상부와, 부싱상부의 하단 외주연에 환형으로 형성되고 부싱상부의 하단 밑에서부터 상단 끝까지의 전체 높이 값에 80 % 내지 120 % 범위의 값을 외주연으로부터 환형끝단까지의 폭 값으로 하는 안착부 및 안착부의 하단에 구비되고 부싱상부의 관통홀을 연장 형성하며 결합부의 하단에 환형으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부를 구비하는 부싱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에 의하여 용융상태의 터미널 납 용액으로부터 발산하는 열이 케이스에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므로 부싱과 케이스와의 결합력을 유지하여 전해액이 누액되지 않고, 부싱의 높이를 최적으로 높이므로 터미널의 주조 성형시간을 단축하고 생산성을 높이며, 안착부 폭을 크게 하여 주조 성형용 금형을 안전하게 안착시키므로 터미널 성형의 불량률을 줄이고, 성형이 완성된 터미널의 후가공에 의한 표면처리 과정에서 토치로부터 인가되는 용접 열을 차단하여 케이스를 연화 및 열화로부터 보호하며, 하나 이상의 결합부를 형성하여 케이스와의 결합력을 높이고 차단홈, 모따기부를 형성하여 누액의 발생을 차단하며 안착부를 돌출 형성하여 케이스와 터미널의 구분을 명확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shortens the molding time by casting the terminal by increasing the height of the bushing upper part and the seating part of the bushing, stably fixes the mold, prevents deterioration of the case, and blocks leakage until the end of the battery lif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system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In particular, in a battery terminal system including a pole, a bushing, a terminal, and a case, the bushing has an annular shape in an upper portion of a bushing forming a through-hole in the center and a lower outer periphery of the upper portion of the bushing.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bushing and having a width ranging from the outer periphery to the end of the annular end with a value ranging from 80% to 120% of the total height value from the lower end to the upper end of the bushing; It is formed to include a bushing lower portion having one or more fixing portions formed in an annular shape at the bottom of the coupling portion to extend It prevents the heat emitted from the terminal lead solution in the molten state to be transferred to the case, so that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bushing and the case is maintained so that the electrolyte is not leaked and the height of the bushing is optimally increased, thus improving the casting molding time of the terminal. It reduces the defect rate of terminal molding and cuts off the welding heat applied from the torch during the surface treatment by post-processing of the completed terminal because it reduces the productivity by shortening, increasing productivity, and increasing the width of the seat. It protects against softening and deterioration, improves the bonding force with the case by forming one or more coupling parts, blocks the occurrence of leakage by forming the blocking grooves and chamfers, and protrudes the seating part to make the distinction between the case and the terminal clear. .

Description

배터리 터미널 시스템 및 그 제조방법{A battery terminal syste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Battery terminal syste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용 배터리에서 전류를 입출력하는 터미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터미널용 부싱의 부싱상부 높이와 안착부 폭을 크게 하여 터미널의 주조에 의한 성형 시간을 단축하고 금형을 안정되게 안착하며 케이스의 연화를 방지하고 배터리의 수명이 종료될 때까지 누액을 차단하는 배터리 터미널 시스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system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current from a vehicle battery, and more particularly, to increase the height of the upper part of the bushing and the width of the seating part of the terminal bushing, thereby shortening the molding time by casting the terminal and stably seating the mo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terminal system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hich prevent softening and block leakage from the end of battery life.

배터리(battery)는 충전(charging)된 전류를 방전(discharge)에 의하여 공급하고 방전이 진행됨에 따라 내부에서 전압강하(voltage drop)가 발생하며 내부전압이 설정된 최저 전압이 될 때까지 방전하고, 허용된 최저 전압이 되기 전에 다시 충전하며 다시 방전에 의하여 전류를 공급하는 과정을 허용된 횟수 동안 반복하므로 반복 재사용이 가능한 이차전지(secondary battery) 또는 축전지(이하, ‘배터리’라 한다.)라고 한다. The battery supplies the charged current by discharging and discharges until the internal voltage reaches the set minimum voltage as the discharge proceeds, and a voltage drop occurs inside the discharge. It is called a secondary battery or a storage battery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battery) because the process of recharging again before the minimum voltage is reached and supplying current by discharging is repeated for an allowed number of times.

배터리는 양극과 음극 및 전해질로 사용되는 재료에 의하여 다양한 종류로 분류되고 납과 황산을 사용하는 납 배터리가 가장 일반적이다. Batteries are classified into various types by materials used as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and electrolytes, and lead batteries using lead and sulfuric acid are the most common.

납 배터리는 크게 양극판, 양극 극주, 음극판, 음극 극주, 격리판, 케이스, 양극과 음극 터미널 및 전해액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Lead batteries largely comprise a positive electrode, a positive pole, a negative plate, a negative pole, a separator, a case, a positive electrode and a negative terminal, and an electrolyte.

양극판은 이산화납과 묽은 황산으로 반죽하여 만든 페이스트를 납판에 도포하여 판 형태로 성형하고 건조시켜 제조된 것으로 결정성 미립자의 집합체이고 다공성이므로 전해액의 확산 침투가 양호하지만 결합력이 약하며, 오래 사용함에 따라 극판에서 조금씩 떨어져 나가므로 성능이 계속 저하된다.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is made by applying paste made of lead dioxide and dilute sulfuric acid to the lead plate, forming it into a plate shape and drying it. It is an aggregate of crystalline fine particles and porous, so it has good diffusion penetration of electrolyte solution but weak binding power. The performance continues to deteriorate as it moves away from the plate.

양극 극주는 다수의 양극판을 주물 금형을 이용하여 물리적으로 연결하고 전기적으로 접속한 것이며 양극판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입출력 단자의 양극이 되며 최대 출력전류의 용량에 비례하여 굵기가 굵어진다. Anode poles are physically connected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lurality of anode plates using a casting mold. The anode poles ar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anode plate, become anodes of input / output terminals, and become thick in proportion to the capacity of the maximum output current.

음극판은 납 분말을 묽은 황산으로 반죽하여 만든 페이스트를 납판에 도포하고 판 형태로 성형하며 건조시켜 다공성이고 화학 반응이 잘 이루어지는 해면상 납으로 제조한 것으로 양극판 보다 강한 결합력을 보이고, 오래 사용함에 따라 다공성이 점차 상실되어 용량이 계속 저하한다.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is made of spongy lead which is made by kneading lead powder with dilute sulfuric acid on the lead plate, molded into a plate shape, and dried to make it porous and chemically reacting. Gradually lost, the capacity continues to fall.

양극판이 음극판 보다 화학적 활성도가 높으므로 단위 전압을 출력하는 셀 단위로 음극판을 양극판보다 1 장 더 많게 구성하여 화학적 평형을 유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Since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has higher chemical activity than the negative plate, it is common to configure one more negative plate in the unit of cell outputting unit voltage than the positive plate to maintain chemical equilibrium.

음극 극주는 다수의 음극판을 물리적으로 연결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한 것이고 음극판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입출력 단자의 음극이 되고 최대 출력전류의 용량에 비례하여 굵기가 굵어진다. Cathode poles are electrically connect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negative plates physically, and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negative plate, and become negative poles of the input / output terminals, and become thick in proportion to the capacity of the maximum output current.

격리판은 두께가 2 mm 정도의 부도체로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 설치되어 극판이 단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정도의 기계적 강도가 있어야 한다. The separator shall be non-conductor about 2 mm thick and be placed between the positive and negative plates to have a mechanical strength to prevent short circuits.

격리판은 과산화납의 탈락(또는 부식)을 방지하고 전해액의 확산이 잘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홈이 있는 면을 양극판 쪽이 되도록 설치하며 비전도성이고, 전해액의 확산이 잘 되며 극판에 좋지 않은 물질을 내뿜지 않고 전해액의 확산을 위하여 다공성이며 부식되지 않는 재질이고 일례로, 강화 섬유, 다공성 고무, 합성 섬유, 합성수지, 유리섬유 매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In order to prevent the fallout (or corrosion) of lead peroxide and to spread the electrolyte well, the separator is provided with the grooved side facing the anode plate, and it is non-conductive, has good diffusion of electrolyte, and emits a bad substance on the electrode plate. For the diffusion of the electrolyte solution is not porous and corrosion-resistant material, for example, reinforcing fibers, porous rubber, synthetic fibers, synthetic resins, glass fiber mats and the like can be used.

케이스는 합성수지류 또는 에보나이트로 이루어지고, 충격과 내산성이 크며 음극판, 양극판, 격리판을 각각 다수 구비하고 전해액을 포함하여 하나의 셀 단위로 구분하고 다수의 셀로 구성된다. The case is made of synthetic resin or ebonite, has a high impact and acid resistance, and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negative electrode plates, positive electrode plates, and separator plates, each of which is divided into one cell unit including an electrolyte, and composed of a plurality of cells.

터미널은 단자 또는 포스트(이하, ‘터미널’이라고 한다.)라고 하며 음극 극주에 성형되는 음극(-) 터미널과 양극 극주에 성형되는 양극(+) 터미널이 있고, 황동, 스테인리스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합금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Terminals are called terminals or posts (hereinafter referred to as 'terminals') and have negative (-) terminals formed on the cathode poles and positive (+) terminals formed on the anode poles. It is usually made of lead.

용량이 큰 대형 납 배터리의 터미널은 극주 위에 주조(casting)와 냉간 단조 방식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성형한다. The terminals of large lead-acid batteries with high capacities are molded on the poles by either casting or cold forging.

차량용 배터리의 터미널은 극주, 부싱, 터미널 및 케이스를 포함하여 터미널 시스템을 구성한다. The terminals of the vehicle battery make up the terminal system, including poles, bushings, terminals and cases.

터미널 시스템의 부싱(bushing)에 관련된 선행기술로 국내 특허등록 제10-0879532호(2009. 01. 13.)에 의한 ‘배터리용 터미널’이 있다.
A prior art related to the bushing of the terminal system is a 'battery terminal' according to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879532 (2009. 01. 13.).

도 1 은 종래 기술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배터리의 부싱에 대한 구성 상태 도시도 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bushing of a vehicle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ior ar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종래 기술에 의한 부싱(C)은 내부 중앙에 관통된 중공(11)을 형성하고, 몸체(10), 돌기부로 구성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bushing (C) according to the prior art forms a hollow 11 penetrated in the inner center, and consists of a body 10, a projection.

돌기부는 환형으로 돌출 형성되어 인서트 사출로 배터리의 케이스에 결합되는 것으로 밑봉돌기(20)와 토크저항돌기(30)를 포함한다. Protruding portion is formed in an annular protruding to be coupled to the case of the battery by insert injection, and includes a bottom bar protrusion 20 and the torque resistance projection (30).

밑봉돌기(20)는 배터리 케이스와의 결합력을 높이면서 전해액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The bottom bar protrusion 20 prevents leakage of the electrolyte while increasing the bonding force with the battery case.

토크저항돌기(30)는 다수의 요철을 형성하여 외부로부터 터미널에 인가되는 회전력에 강하게 저항한다. Torque resistance protrusion 30 forms a plurality of irregularities to strongly resist the rotational force applied to the terminal from the outside.

그러나 차량용 터미널은 KS C 8504 규격이 정하는 기준에 의하여 17 mm 의 높이를 유지하여야 하므로 부싱(C)에 성형작업을 부가하여 터미널을 완성한다. However, since the vehicle terminal must maintain the height of 17 mm according to the standard prescribed in KS C 8504 standard, the molding is added to the bushing (C) to complete the terminal.

터미널의 성형작업에 의하여 터미널을 완성하는 방식에는 냉간단조방식과 주조(casting)방식이 있다. There are two methods of completing the terminal by forming the terminal: cold forging and casting.

터미널을 냉간단조 방식으로 성형하는 경우 부싱(c) 주위에 추가 성형되는 부분의 두께가 얇게 되어 크랙(crack)이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대용량 배터리의 경우 부싱의 직경이 더 커지므로 추가되는 부분의 두께는 더욱 얇아지고 결합력이 약해져 불량률이 높으며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If the terminal is formed by cold forging, the thickness of the additionally formed part around the bushing (c) may become thin and cracks may occur.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large capacity battery, the diameter of the additional part is increased because the diameter of the bushing is larger. The thinner and weaker the bonding force is a high defect rat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oductivity is lowered.

냉간단조 방식에서의 문제를 일부 해결하기 위하여 주조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용융상태의 납의 용액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에 의하여 부싱과 케이스의 결합력이 약해지고 약해진 결합력에 의하여 미세한 틈이 형성되며 틈을 통하여 배터리의 전해액이 외부로 누출되는 문제가 있다. In order to solve some of the problems in the cold forging method, the casting method may be used. In this case,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bushing and the case is weakened by the heat generated from the molten lead solution, and a fine gap is formed by the weak coupling forc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lectrolyte of the battery leaks to the outside.

또한, 터미널을 성형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열의 세기가 큰 경우 배터리 케이스를 연화 또는 열화시켜 수명을 단축하는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when the strength of heat generated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terminal is large, there is a problem of reducing the life by softening or deteriorating the battery case.

따라서 주조방식으로 차량용 배터리의 터미널을 성형하는데 있어서, 부싱과 케이스와의 결합력을 높이고 전해액의 누액을 차단하며 특히, 성형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이 케이스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Therefore, in forming a terminal of a vehicle battery by a casting metho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echnique for increasing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bushing and the case, blocking the leakage of electrolyte, and in particular, the heat generated during the molding process is not transferred to the case.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문제점 및 필요성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인서트 사출된 부싱에 주조 방식으로 터미널을 성형하는데 있어서, 주조 과정에서 용융된 터미널용 금속 용액의 열이 케이스에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배터리 터미널 시스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and necessity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 forming a terminal in a casting method in the insert injection bushing, the battery terminal to block the heat of the molten terminal metal solution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case during the casting process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system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은 배터리 터미널의 주조 성형 시간을 단축시켜 생산성을 높이는 배터리 터미널 시스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attery terminal system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hich shorten the molding time of the battery terminal to increase productivity.

한편, 본 발명은 배터리의 터미널을 주조 성형하는 금형을 안전하게 안착시켜 터미널의 성형 불량률을 줄이므로 생산성을 높이는 배터리 터미널 시스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On the other h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attery terminal system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o increase the productivity by reducing the molding failure rate of the terminal by safely seating the mold for casting the terminal of the battery.

또한, 본 발명은 주조 성형이 완료된 배터리의 터미널을 토치를 이용하여 열로 후가공하므로 표면처리하는 과정에서 토치의 용접 열이 케이스에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배터리 터미널 시스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battery terminal system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hich block the welding heat of the torch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case during the surface treatment since the terminal of the battery after casting is completed by heat using a torch. to be.

그리고 본 발명은 터미널과 케이스 사이의 결합력을 높이므로 외력에 의하여 회전되거나 전해액이 누액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배터리 터미널 시스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ttery terminal system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hich increase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case, thereby preventing rotation or leakage of electrolyte due to external for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극주, 부싱, 터미널, 케이스를 포함하는 배터리의 터미널 시스템에 있어서 부싱은, 중앙 내부에 관통홀을 형성하는 부싱상부와, 부싱상부의 하단 외주연에 환형으로 형성되고 부싱상부의 하단 밑의 외주연에서부터 부싱상부의 상단 끝의 외주연까지의 전체 높이 값에 80 % 내지 120 % 범위의 값을 외주연으로부터 환형 끝단까지의 폭 값으로 하는 안착부 및 안착부의 하단에 구비되고 부싱상부의 관통홀을 연장 형성하며 결합부의 하단에 환형으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부를 구비하는 부싱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배터리 터미널 시스템을 제시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ttery terminal system including a pole, a bushing, a terminal, and a casing. The bushing includes: an upper portion of a bushing forming a through hole in a center thereof; A seat formed in an annular shape and having a width ranging from 80% to 120% of the total height value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lower end of the upper bushing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upper end of the upper bushing as the width value from the outer periphery to the annular end. And a bushing lower portion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seating portion, extending through-holes in the upper portion of the bushing, and a bushing lower portion having at least one fixing portion formed in an annular shape at the lower end of the coupling portion.

바람직하게, 부싱하부에 환형으로 돌출하여 형성되나 환형의 직경이 안착부의 직경보다 작고 그 외주연에 다수의 요철을 형성한 하나 이상의 결합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Preferably, the lower portion of the bushing protrudes in an annular shape, but the annular diameter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ating portion, and further includes one or more joining portions having a plurality of irregularitie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thereof.

그리고 하나 이상의 결합부는 그 사이에 배터리 전해액의 누출을 차단하는 차단홈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And one or more coupl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blocking groove for blocking the leakage of the battery electrolyte therebetween.

여기서 케이스는, 안착부의 하단 이하를 인서트 사출하여 안착부가 케이스의 상단 표면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게 함으로써 단턱부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Here, the case is formed by insert injection below the lower end of the seating portion to form the stepped portion by causing the seating portion to protrude upward from the top surface of the case.

또한, 부싱상부의 높이는 안착부 위에 형성된 터미널 전체 높이의 50 내지 60 % 범위의 값으로 이루어진다. In addition, the height of the upper bushing is a value in the range of 50 to 60% of the total height of the terminal formed on the seating portion.

한편, 부싱하부는 관통홀의 개방된 일측단에 모따기부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On the other hand, the bushing is made of a configuration to form a chamfer on one open end of the through-hol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극주, 부싱, 터미널, 케이스를 포함하는 배터리의 터미널 시스템 제조방법에 있어서, 부싱의 안착부 하단과 부싱하부, 결합부, 차단홈, 고정부, 모따기부를 함입하여 배터리의 케이스에 인서트 사출하는 단계와, 부싱의 중앙 내부에 형성된 관통홀에 배터리의 극주를 삽입하는 단계와, 극주가 삽입된 부싱의 안착부 상단에 주조 금형을 안착하고 부싱상부의 외주연과 상측 단면에 합금납 용액을 주입하여 터미널을 성형하는 단계 및 주조 금형을 제거한 터미널의 외주연을 토치로 후가공하여 표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배터리 터미널 시스템의 제조방법을 제시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rminal system of a battery including a pole, a bushing, a terminal, a case, and a seating portion lower portion and a bushing lower portion, a coupling portion, a blocking groove, a fixing portion, Inserting the chamfer to insert the battery into the case, inserting the pole of the battery into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ushing, and seating the casting mold on the top of the seating portion of the bushing into which the pole is inserte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battery terminal system, comprising: forming a terminal by injecting an alloy lead solution into an outer circumferential edge and an upper end surface thereof, and post-process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edge of the terminal from which the casting mold is removed with a torch.

바람직하게, 사출하는 단계는 부싱하부의 내부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에서 모따기부가 함입되도록 일직선으로 연장하여 인서트 사출하고, 후가공하는 단계는 성형된 터미널의 표면을 토치 열로 녹여 표면처리 한다.
Preferably, the step of injecting inserts extending in a straight line so that the chamfer is embedded in the through-hole formed in the inner center of the lower part of the bushing, and the step of post-processing melts the surface of the formed terminal with torch heat to surface-treat.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부싱에 일정한 폭과 두께의 고정턱을 형성하여 용융상태의 터미널 납 용액으로부터 발산하는 열이 케이스에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므로 부싱과 케이스와의 결합력을 유지하여 전해액이 누액되지 않는 산업적 이용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forms a fixed jaw of a predetermined width and thickness in the bushing to block the heat dissipated from the terminal lead solution in the molten state to prevent the transfer to the case to maintain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bushing and the case of electrolyte leakage There is no industrial use effect.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부싱의 높이를 최적으로 높이므로 터미널의 주조 성형시간을 단축하고 생산성을 높이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has an effect that is convenient in use to shorten the casting molding time of the terminal and increase the productivity because the height of the bushing is optimally increased.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부싱의 안착부 폭을 크게 하여 주조 성형용 금형을 안전하게 안착시키므로 터미널 성형의 불량률을 줄이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has a convenient effect in reducing the failure rate of the terminal molding because the seating portion of the bushing to securely seat the casting molding die.

그리고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부싱의 안착부 폭을 크게 하여 성형이 완성된 터미널의 후가공에 의한 표면처리 과정에서 토치로부터 인가되는 용접 열을 차단하여 케이스를 연화 및 열화로부터 보호하는 산업적 이용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industrial use effect of protecting the case from softening and deterioration by blocking the welding heat applied from the torch during the surface treatment process by the post-processing of the completed terminal by increasing the width of the seating portion of the bushing. There is.

무엇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부싱에 하나 이상의 결합부를 형성하여 케이스와의 결합력을 높이고 차단홈, 모따기부를 형성하여 누액의 발생을 차단하며 안착부를 돌출 형성하여 케이스와 터미널의 구분을 명확하게 하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Above all,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above configuration forms one or more coupling parts in the bushing to increase the coupling force with the case, forming a blocking groove and a chamfer to block the occurrence of leakage of liquid, and protruding the seating portion to clearly distinguish between the case and the terminal. There is a convenient effect to use.

도 1 은 종래 기술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배터리의 부싱에 대한 구성 상태 도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부싱의 정면도와 평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여 대용량 배터리의 부싱이 케이스에 인서트 사출된 상태에서 극주를 제공하는 상태 도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여 극주가 제공된 부싱에 금형을 이용하여 터미널을 주조 성형하는 상태 도시도,
그리고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여 성형이 완료된 터미널 시스템의 표면처리를 위하여 토치로 후가공하는 상태 도시도 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bushing of a vehicle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ior art;
2 is a front view and a plan view of a bush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pole in a state in which the bushing of the large capacity battery is inserted into the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tate diagram of casting a terminal by using a mold in a bushing provided with pole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5 is a state diagram of post-processing with a torch for surface treatment of a terminal system in which molding is comple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도면 도시는 생략한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word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to be construed in a conventional or dictionary sense and that the inventor can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a term in order to describe its invention in the best possible way And should be construed in light of the meanings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and drawing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are determined to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인서트(insert) 사출은 합성수지류를 원재료로 하고 사출금형으로 사출하는데 있어서 다른 물체를 함입 상태로 함께 사출하는 방식이다. Insert injection is a method of injecting other objects together in a state of injection into the injection mold using synthetic resins as raw materials.

부싱(bushing)은 전기에서 배선을 위한 관을 표현하고 기계에서는 베어링의 일종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배터리의 극주가 삽입되고 배터리 터미널의 기초가 되는 것을 부싱이라고 한다. Bushing is used to represent a tube for wiring in electricity and is used as a kind of bearing in the machin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e of the battery is inserted and the base of the battery terminal is called a bushing.

배터리는 반복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이(2)차 전지라 하고, 사용되는 전해질 및 양극(+)과 음극(-)으로 사용되는 재료에 의하여 일례로 납(PbO2-Pb), 니켈수소(Ni-MH), 니켈카드늄(Ni-Cd), 리튬이온(LIB), 리튬폴리머(LPB), 리튬이온폴리머(LIPB), 니켈철(NiOOH-Fe), 니켈아연(NiOOH-Zn), 산화은-아연(AgO-Zn), 산화은-카드늄(AgO-Cd), 나트륨-황, 나트륨-금속염화물(FeCl2-Na), 아연-염소(Br2-Zn), 아연-브롬(Be2-Zn), 알루미늄-공기(O2-Al), 니켈-수소(NiOOH-H2), 리튬 2차(고분자-Li) 배터리 등으로 호칭된다. Batteries are called secondary batteries because they can be reused repeatedly. For example, lead (PbO2-Pb) and nickel hydrogen (Ni-MH) may be used depending on the electrolyte and the materials used as the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 Nickel cadmium (Ni-Cd), lithium ion (LIB), lithium polymer (LPB), lithium ion polymer (LIPB), nickel iron (NiOOH-Fe), nickel zinc (NiOOH-Zn), silver oxide-zinc oxide (AgO) -Zn), silver oxide-cadnium (AgO-Cd), sodium-sulfur, sodium-metal chloride (FeCl2-Na), zinc-chlorine (Br2-Zn), zinc-bromine (Be2-Zn), aluminum-air (O2 -Al), nickel-hydrogen (NiOOH-H2), lithium secondary (polymer-Li) batteries and the like.

배터리에서 대용량의 분류 기준은 시간당 6 암페어(A)의 전류를 20 시간(HR) 동안 흘릴 수 있는 120AH/20HR 이상의 용량부터 포함된다. The high-capacity classification criteria for batteries include capacities above 120AH / 20HR that can carry 6 amperes (A) per hour for 20 hours (HR).

한국의 기술표준원에서 KS C 8504 로 정하는 차량용 배터리의 대한민국 표준규격에 의하면 대용량의 양극 터미널은 높이 17.5 +- 0.3 mm, 하부외경의 길이는 19.5 mm, 기울기를 표시하는 테이퍼는 1/9 +- 0.01 범위를 만족하여야 한다. According to the Korean Standard for Vehicle Battery, which KS C 8504 sets in Korea Technical Standards Institute, the large capacity positive terminal is 17.5 +-0.3 mm in height, the outer diameter is 19.5 mm in length, and the taper indicating slope is 1/9 + -0.01 The range must be satisfied.

음극 터미널의 경우는 높이 16.0 +- 0.3 mm, 하부외경의 길이는 17.9 mm, 테이퍼는 1/9 +- 0.01 로 규격화되어 있다. In the case of the negative terminal, the height is 16.0 +-0.3 mm, the lower outer diameter is 17.9 mm, and the taper is standardized as 1/9 +-0.01.

이하의 설명에서는 양극 터미널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positive terminal will be described.

극주는 양극(+) 극주와 음극(-) 극주가 있으며, 양극 극주는 배터리에 내장된 다수의 양극판을 물리적으로 연결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한 것이고, 음극 극주는 다수의 음극판을 물리적으로 연결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한 것이다. The pole is a positive (+) pole and a negative (-) pole, and the positive pole is an electrical connection by physically connecting a plurality of positive plates embedded in the battery, and the negative pole is electrically connected by physically connecting a plurality of negative plates. You are connected.

배터리의 용량이 커짐에 따라 음극 및 양극의 극판에 연결된 극주는 흐르는 전류에 비례하여 굵어야 하고, 표준규격에 의한 터미널을 성형하는 경우, 극주 위에 덧대어지는 터미널의 두께가 얇아지므로 완성된 터미널이 용이하게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As the capacity of the battery increases, the pole connected to the cathode and anode plates should be thicker in proportion to the current flowing.When forming terminals according to standard specifications, the thickness of the terminal padd on the pole becomes thinner, so the finished terminal is easy. There is a problem that is broken.

배터리의 터미널은 합금납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순수한 납의 용융 온도는 섭씨 327 도이고, 합금납의 용융 온도는 섭씨 450 도 전후이다. It is common to use alloy lead as the terminal of the battery, and the melting temperature of pure lead is 327 degrees Celsius, and the melting temperature of alloy lead is around 450 degrees Celsius.

합금납은 용융 온도 450 도를 기준으로 이하의 온도에서 녹는 납은 연(soft) 납이고, 이상의 온도에서 녹는 납은 경(hard) 납으로 구분한다. The alloy lead is classified as soft lead, which is melted at the following temperature based on the melting temperature of 450 degrees, and soft lead is melted at the above temperature.

배터리의 케이스는 합성수지 종류의 폴리프로필렌(PP)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고 폴리프로필렌의 용융온도는 혼합된 물질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섭씨 160 도 내지 290 도 범위에서 용융된다.
The battery case is generally made of polypropylene (PP) of a synthetic resin type and the melting temperature of the polypropylene is melted in the range of 160 to 290 degrees Celsius, depending on the mixed material.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부싱의 정면도와 평면도 이다. 2 is a front view and a plan view of a bush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부싱(1000)은 부싱상부(110), 안착부(120), 결합부(130, 135), 차단홈(140), 부싱하부(150), 고정부(160, 165)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bushing 1000 is the upper bushing 110, the seating portion 120, the coupling portion 130, 135, blocking groove 140, the lower bushing 150, high This configuration includes the governments 160 and 165.

배터리의 터미널 시스템은 극주와 부싱(1000)과 터미널 및 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부싱(1000)은 인서트 사출에 의하여 케이스에 함입 사출되므로 결합되고 고정된다. The terminal system of the battery includes a pole and a bushing 1000 and a terminal and a case, and the bushing 1000 is inserted into the case by insert injection and thus is coupled and fixed.

부싱상부(110)는 KS C 8504 규격에서 정하는 대용량 터미널 높이인 17 mm 의 50 % 내지 60 % 범위의 값에 해당하는 높이로 이루어지고, 중앙 내부에는 일직선으로 관통된 관통홀(115)을 구비한 원통형상이다. The upper bushing 110 has a height corresponding to a value in the range of 50% to 60% of 17 mm, which is a high-capacity terminal height defined in the KS C 8504 standard, and has a through hole 115 penetrated in a straight line inside the center. It is cylindrical.

여기서 부싱상부(110)의 높이는 10 mm 로 형성하고, 두께는 관통홀(115)에 삽입되는 극주의 직경에 적합하게 가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height of the bushing upper portion 110 is 10 mm, and the thickness thereof is preferably variable to suit the diameter of the circumferenc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15.

부싱상부(110)의 높이를 10 mm 로 형성하는 것은 터미널(6000)을 KS C 8504 규격에 의한 17 mm 높이로 성형하기 위하여 합금납 용액을 약 7 mm 만 더 높게 주입하여 성형하면 되고, 그러므로 주조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높이는 장점이 있다. Forming the height of the bushing upper portion 110 to 10 mm may be formed by injecting only about 7 mm of alloy lead solution in order to form the terminal 6000 to a height of 17 mm according to the KS C 8504 standard. It has the advantage of shortening time and increasing productivity.

이때, 부싱상부(110)의 높이가 너무 높으면 터미널(6000)을 성형하기 위하여 주입할 합금납 용액의 용량이 적어지므로 생산성은 증가한다. At this time, if the height of the bushing upper portion 110 is too high, the capacity of the alloy lead solution to be injected to form the terminal 6000 is reduced, the productivity is increased.

그러나 주조 성형된 터미널(6000)과 부싱상부(110) 및 극주(3000)와의 용착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서로 분리되는 불량발생률이 증가하므로 생산성은 오히려 떨어진다. However, the welding of the molded terminal 6000 and the bushing upper part 110 and the pole column 3000 is not made well, so that the incidence of defects separated from each other increases, thus the productivity decreases.

부싱상부(110)의 높이를 터미널(6000) 전체 높이의 50 % 내지 60% 범위로 성형하는 경우 용융된 합금납 용액과 융착이 잘 이루어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When the height of the upper bushing 110 is formed in a range of 50% to 60% of the total height of the terminal 6000, it was confirmed that fusion with the molten alloy lead solution is performed well.

여기서 극주(3000)는 부싱상부(110)의 끝단까지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Here, the pole column 3000 will be described as being formed to the end of the upper bushing 110.

실험에 의하여 전체 17 mm 의 높이 중에서 극주를 포함하는 부싱상부(110)를 10 mm 높이로 하고, 나머지 부분을 용융된 합금납 용액으로 주입하는 경우에도 융착이 잘 이루어지며 성형된 상태에서 불량 발생률이 적고 사용 중에 터미널이 분리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According to the experiment, the upper part of the bushing 110 including the pole is made 10 mm high among the total height of 17 mm, and even when the remaining part is injected into the molten alloy lead solution, the welding is well performed and the defect occurrence rate in the molded state is high.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terminal did not disconnect during use.

안착부(120)는 부싱상부(110)의 외주연에 도넛(doughnut) 모양의 환형으로 돌설 부착한다. The seating part 120 is attach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bushing upper part 110 in a donut-shaped annular shape.

부싱상부(110)의 하단 밑에서부터 상단 끝까지의 높이 값에 80 % 내지 120 % 범위의 값을 부싱상부(110)의 외주연으로부터 돌설된 안착부(120) 환형의 폭 값으로 한다. A value in the range of 80% to 120% in the height value from the lower end to the upper end of the bushing upper portion 110 is set to the width value of the annular portion of the seating portion 120 protruding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bushing upper portion 110.

바람직하게는 부싱상부(110)의 높이 값을 폭 값으로 한다. Preferably, the height value of the upper bushing portion 110 is a width value.

부싱상부(110)는 주조용 금형 또는 용접용 금형(이하, ‘금형’이라 한다.)을 이용하고 용융된 합금납을 주입하여 주조 성형하는 터미널(6000)의 기초가 되는 부분이다. The bushing upper part 110 is a part which becomes the base of the terminal 6000 which casts and molds using a casting die or a welding di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mold”) and injecting molten alloy lead.

즉, 기초가 되는 부싱상부(110)의 상측에 터미널을 주조하여 용착하므로 하나로 접합되도록 성형한다. That is, since the terminal is cast by welding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bushing upper portion 110, which is the foundation, it is molded to be joined together.

터미널은 KS C 8504 규격에서 정하는 바에 의하면 대용량의 경우 하단 외경의 지름이 6.2 mm 이고 외경의 둘레 길이가 19.5 mm 이어야 하며, 1/9 테이퍼를 형성하여야 한다. According to KS C 8504 standard, the terminal should have a diameter of 6.2 mm at the lower diameter and a circumference of 19.5 mm at the outer diameter, and form a 1/9 taper.

그러므로 부싱상부(110)의 외주연을 감싸는 금형을 안착부(120)에 안치하고 금형에 용융된 합금납을 KS C 8504 규격에서 정하는 높이가 되도록 주입한 후 냉각시켜 터미널의 성형을 완료한다. Therefore, the mold surround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bushing upper portion 110 is placed in the seating portion 120 and the molten alloy lead is injected into the mold so as to have a height determined by the KS C 8504 standard, and then cooled to complete molding of the terminal.

이때, 금형의 안치를 용이하게 하고 용융된 합금납의 열이 케이스를 형성하는 합성수지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안착부(120)는 도넛 모양과 같은 환형형상을 하며 폭은 가능한 넓고, 두께는 가능한 두껍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in order to facilitate the settlement of the mold and to prevent the heat of the molten alloy lead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synthetic resin forming the case, the seating portion 120 has an annular shape such as a donut shape, the width of which is as wide as possible, and the thickness of which is as thick as possible. It is preferable.

그러나 안착부(120)의 폭과 두께의 값을 너무 크게 하면 비효율적이며 오히려 불량발생률이 증가하여 생산성이 떨어진다. However, if the value of the width and thickness of the seating portion 120 is too large, it is inefficient and rather, the failure rate increases and productivity is lowered.

본 발명에서는 부싱상부(110)의 높이 값에 80 % 내지 120 % 범위의 값을 안착부의 폭 값으로 하고, 부싱상부(110)의 평균 두께를 안착부(120)의 평균 두께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alue of the range 80% to 120% of the height value of the bushing upper portion 110 is the width value of the seating portion, and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bushing upper portion 110 is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seating portion 120.

부싱상부(110)의 높이 값을 안착부(120)의 폭 값으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It was confirmed that it is preferable to determine the height value of the upper bushing 110 as the width value of the seating part 120.

또한, 안착부(120)는 터미널의 주조 성형이 완성된 상태에서 후가공으로 터미널을 표면처리하는 토치의 불길을 차단하므로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케이스를 열화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seating portion 120 has the advantage of protecting the case made of synthetic resin safe from deterioration because it blocks the flame of the torch to surface treatment the terminal by post-processing in the state in which the casting molding of the terminal is completed.

그리고 안착부(120)는 사출금형에 의하여 배터리의 케이스에 인서트 사출하는 경우, 사출금형으로부터 인가되는 압력에 의하여 부싱(1000)이 변형되지 않도록 하고, 터미널과 케이스를 분리하는 단턱부를 형성하게 한다. In addition, when the insert 120 inserts into the case of the battery by the injection mold, the mounting portion 120 prevents the bushing 1000 from being deformed by the pressure applied from the injection mold, and forms a step portion for separating the terminal from the case.

결합부(130, 135)는 제 1 결합부(130)와 제 2 결합부(1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안착부(120)의 하단에 인접한 상태로 구비되며 다수의 요부와 철부를 포함한다. The coupling parts 130 and 135 include the first coupling part 130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135 and are provided to be adjacent to the bottom of the seating part 120 and include a plurality of recesses and convex parts.

여기서 결합부(130, 135)의 철부는 돌기부(131)를 형성하고 요부는 홈부(132)를 형성하여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케이스에 함입되며 결합력을 높인 상태로 고정된다. Here, the convex portions of the coupling portions 130 and 135 form the protrusions 131, and the recessed portions form the groove portions 132 to be embedded in the case made of synthetic resin and are fixed in a state of increasing the bonding force.

그러므로 부싱(1000)이 케이스와 견고하게 결합하고 회전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에도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한다. Therefore, even when the bushing 1000 is firmly coupled to the case and a rotating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bushing 1000 is firmly maintained without being rotated.

본 발명의 설명에서 제 1 및 제 2 결합부(130, 135)를 구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의하여 제 3 또는 제 4 결합부를 더 구성할 수 있음은 명확하다.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units 130 and 135 have been described as constituting the third or fourth coupling unit.

차단홈(140)은 제 1 및 제 2 결합부(130, 135)의 사이에 형성되고, 배터리의 전해액이 틈새로 유출되거나 외부로부터 이물질 용액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차단한다. The blocking groove 140 is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arts 130 and 135 to block the electrolyte solution of the battery from leaking out of the gap or from introducing foreign matter solution from the outside.

즉, 결합부(130, 135)는 부싱(1000)에 인가되는 외부의 회전력에 대한 저항력을 높이기 위한 것이므로 성형이 완성된 터미널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하고 안착부(120)의 지름보다는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at is, since the coupling parts 130 and 135 are for increasing resistance to external rotational force applied to the bushing 1000, the coupling parts 130 and 135 ar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completed terminal and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ating part 120. desirable.

또한, 제 1 결합부(130) 및 제 2 결합부(135)는 인접한 상태로 형성하고 그 사이에 차단홈(140)을 형성하여 내부의 전해액이 외부로 누출(누액)되거나 외부에서 액체, 기체 등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에 적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first coupling portion 130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35 are formed in an adjacent state and forming a blocking groove 140 therebetween so that the electrolyte inside the leakage (leakage) to the outside or liquid, gas from the outside It is desirable to make it suitable to block the inflow of the back.

부싱하부(150)는 부싱상부(110)의 하단에 구비하고 내부 중심에는 관통홀(115)이 직선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The lower bushing 150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bushing 110 and has a through hole 115 extending in a straight line at an inner center thereof.

이때, 부싱하부(150)의 관통홀(115) 끝단에는 모따기부(155)를 형성하고, 모따기부(155)는 1/8 테이퍼(taper)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chamfer 155 is formed at the end of the through hole 115 of the lower bushing 150, and the chamfer 155 is preferably formed with 1/8 taper.

모따기부(155)는 배터리의 수명이 다할 때까지 전해액에 의한 용액 또는 기체 등이 외부로 누출되지 못하도록 차단한다. The chamfer 155 blocks the solution or gas by the electrolyte from leaking to the outside until the battery life is reached.

여기서 부싱상부(110)와 부싱하부(150)와의 사이에 제 1 및 제 2 결합부(130, 135)를 형성한다. Here,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arts 130 and 135 are formed between the upper bushing 110 and the lower bushing 150.

고정부(160, 165)는 부싱하부(150)의 외주연에 환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제 1 고정부(160)와 제 2 고정부(165)를 포함하는 구성이며, 필요에 의하여 추가로 제 3 또는 제 4 고정부를 더 구성할 수 있다. The fixing parts 160 and 165 are formed in an annular shape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lower bushing 150, and include a first fixing part 160 and a second fixing part 165. Alternatively, the fourth fixing unit may be further configured.

고정부(160, 165)는 부싱(1000)이 외력에 의하여 함입된 케이스로부터 분리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다수인 경우 서로 균일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xing parts 160 and 165 are to prevent the bushing 100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ase in which the bushing 1000 is infiltrated by an external force.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여 대용량 배터리의 부싱이 케이스에 인서트 사출된 상태에서 극주를 제공하는 상태 도시도 이다. 3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pole in the bushing of the large-capacity battery is inserted into the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배터리의 케이스(2000)에 전극으로 사용할 기초가 되는 부싱(1000)을 함입상태로 인서트 사출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re is shown a state in which the insert injection molding the bushing 1000, which is used as an electrode in the case 2000 of the battery made of a synthetic resin in the embedded state.

부싱(1000)의 안착부(120) 하단에는 단턱부(210)가 사출로 형성된다. The stepped part 210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eating part 120 of the bushing 1000 by injection.

단턱부(210)는 터미널과 케이스(2000)를 구분하도록 하는 동시에 액체로 이루어지는 이물질이 배터리의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한다. The stepped part 210 distinguishes the terminal from the case 2000 and prevents foreign substances made of liquid from flowing into the battery.

극주(3000)는 다수의 극판(310)을 연결한 것이고, 부싱(1000)의 모따기부(155)가 형성된 관통홀(115)의 하단으로부터 삽입되어 상단의 끝 부분까지 도달하는 길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ole column 3000 connects a plurality of pole plates 310, and is formed to have a length reach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through hole 115 where the chamfer 155 of the bushing 1000 is formed to reach the end of the upper end. desirable.

여기서 부싱(1000)의 관통홀(115)이 직선으로 연장되는 상태가 되도록 케이스(2000)를 구성하는 합성수지를 사출하므로 1/8 테이퍼를 형성한 모따기부(155)는 케이스(2000)의 사출물에 함입되는 상태가 된다. Here, the synthetic resin constituting the case 2000 is injected such that the through-hole 115 of the bushing 1000 extends in a straight line, so that the chamfered portion 155 having a 1/8 taper is formed on the injection of the case 2000. It is in a state of being included.

모따기부(155)는 배터리의 수명이 다할 때까지 전해액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차단하므로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하는 장점이 있다.
The chamfer 155 has an advantage of extending the life of the battery because it blocks the electrolyte from leaking to the outside until the end of the life of the battery.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여 극주가 제공된 부싱에 금형을 이용하여 터미널을 주조 성형하는 상태 도시도 이다. 4 is a state diagram for casting a terminal by using a mold in a bushing provided with pole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극주(3000)가 제공된 부싱(1000)의 안착부(120)에 금형(4000)을 안착하고 합금 납 용액(5000)을 주입하여 터미널(6000)의 형상으로 주조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mold 4000 is mounted on the seating portion 120 of the bushing 1000 provided with the pole column 3000 and the alloy lead solution 5000 is injected into the terminal 6000. Cast into shape.

차량용 배터리에서 사용되는 부싱(1000), 극주(3000)와 주입하는 납 용액(5000)의 경우에도 모두 합금납을 사용하므로 용융상태에서는 섭씨 450 도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In the case of the bushing 1000, the pole column 3000, and the injecting lead solution 5000 used in the vehicle battery, all alloys are used, so it is common to maintain a range of 450 degrees Celsius in the molten state.

합금 납 용액(5000)으로부터 발생된 열은 부싱(1000) 및 극주(3000)의 해당 표면과 접촉하고 접촉된 표면을 녹인 상태에서 융착하므로 서로 부착되며, 융착된 상태를 냉각하므로 터미널(6000)의 성형이 완료된다. The heat generated from the alloy lead solution 5000 is contacted with each other in contact with the corresponding surfaces of the bushing 1000 and the pole 3000 and melt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reby cooling the welded state. Molding is complete.

여기서 합금 납 용액(5000)의 냉각되기 전까지 포함하는 열이 케이스에 전달되는 경우, 케이스가 연화되어 약해지므로 부싱과 케이스의 결합상태가 느슨하게 될 수 있다. In this case, when the heat including the alloy lead solution 5000 is cooled before being transferred to the case, the case is softened and weakened, so that the coupling state between the bushing and the case may be loosened.

이때, 안착부(120)가 열의 전달을 차단(protect), 지연(delay) 또는 감쇄(attenuation) 시킬 수 있고 그러기 위하여 일정한 폭과 두께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폭이 너무 넓고 두께가 두꺼운 경우, 비효율적이며 불량률을 높이므로 최적의 값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the seating unit 120 may protect, delay, or attenuate heat transfer, and in order to form a constant width and thickness for this purpose, however, if the width is too wide and thick, Since it is inefficient and raises the defective rate, it is desirable to select an optimal value.

본 발명에서는 환형을 하는 안착부(120)의 폭 값을 부싱상부(110)의 외주연으로부터 부싱상부(110)의 높이 값에 80 % 내지 120 % 범위의 값으로 결정하고 바람직하게는 부싱상부(110)의 높이 값과 동일하게 형성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idth value of the annular seating portion 120 is determined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bushing upper portion 110 to a value in the range of 80% to 120% from the height value of the bushing upper portion 110, and preferably the bushing upper portion ( It is formed equal to the height value of 110).

또한, 안착부(120)의 두께는 부싱상부(110)의 평균 두께 값과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seating portion 120 is preferably formed to be equal to the average thickness value of the bushing upper portion (110).

따라서 안착부(120)에 의하여 합금 납 용액(5000)의 열기가 케이스(2000)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부싱(1000)과 케이스(2000)와의 결합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는 장점이 있다.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heat of the alloy lead solution 5000 is not transmitted to the case 2000 by the seating part 120, thereby maintaining a firmly coupled state between the bushing 1000 and the case 2000.

또한, 단턱부(210)에 의하여 형성된 간격은 납 용액(5000)의 열기 전달을 더욱 지연 또는 감쇄하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gap formed by the stepped portion 210 has an advantage of further delaying or attenuating heat transfer of the lead solution 5000.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여 성형이 완료된 터미널 시스템의 표면처리를 위하여 토치로 후가공하는 상태 도시도 이다. 5 is a state diagram of post-processing with a torch for surface treatment of a terminal system in which molding is comple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납 용액을 이용하여 부싱(1000)과 극주(3000)에 용착하도록 주조하고 냉각하여 성형이 완료된 터미널(6000)의 표면은 정밀하게 표면 처리된 금형(4000)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성형된 터미널의 일부 표면은 거칠 수 있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urface of the terminal 6000 is cast and cooled to be welded to the bushing 1000 and the pole 3000 by using a lead solution and the molding is completed, the surface of the mold precisely treated ( Even when 4000) is used, some surfaces of the molded terminals may be rough.

특히, 성형이 완료된 터미널(6000)의 상단은 납 용액(5000)의 온도, 주변온도, 주입 속도 등과 같은 환경에 의하여 표면 형상이 균일하지 않을 수 있으며 금형(4000)의 상태에 따라 측면에 틈새가 있을 수 있고, 이러한 틈새로 납 용액(5000)이 누출되며 식은 상태에서 부분적으로 날카롭거나 모진 부분이 성형 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upper end of the terminal 6000 is completed may be uneven surface shape due to the environment, such as the temperature of the lead solution 5000, the ambient temperature, the injection speed, etc. The gap between the sides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mold 4000 In such a gap, the lead solution 5000 may leak, and a partly sharp or raised portion may be molded in a cooled state.

이러한 터미널(6000)의 표면을 후가공하여 자연스러운 상태로 매끄럽게 표면 처리하기 위하여 가스를 연료로 이용하는 토치(7000)를 사용하며, 토치(7000)로부터 발생된 용접 불꽃의 열에 의하여 합금납으로 이루어지는 터미널의 전체 표면이 약간 녹으면서 다시 냉각되므로 후가공에 의하여 자연스러운 외관으로 표면 처리된 터미널 시스템(8000)이 최종적으로 완성된다. A torch 7000 using gas as a fuel is used to finish the surface of the terminal 6000 to smoothly process the surface in a natural state, and the entire terminal made of alloy lead by the heat of welding spark generated from the torch 7000. As the surface is slightly melted and cooled again, the terminal system 8000 which is surface-treated with a natural appearance by post processing is finally completed.

토치(7000)로부터 발생된 용접 불꽃의 열기는 터미널(6000) 주변의 케이스(2000)에 전달되고 케이스(2000)를 부분적으로 열화 또는 연화시키므로 케이스(2000)와 터미널(6000)의 결합력을 약하게 하여 누액 발생 등의 원인이 될 수 있다. The heat of the welding spark generated from the torch 7000 is transmitted to the case 2000 around the terminal 6000 and partially deteriorates or softens the case 2000, thereby weakening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case 2000 and the terminal 6000. It may cause leakage.

여기서 터미널(6000)은 부싱(1000)과 극주(3000)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한다. In this case, the terminal 6000 is used to mean the bushing 1000 and the pole column 3000.

이때, 안착부(120)는 토치(7000)로부터 발생된 용접 열의 전달을 차단, 지연, 감쇄하므로 케이스(2000)가 연화되거나 열화 되는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다. At this time, the seating part 120 blocks, delays, and attenuates the transmission of welding heat generated from the torch 7000, so that the case 2000 is not softened or deteriorated.

또한, 단턱부(210)에 의하여 형성된 간격은 토치(7000)의 용접 열이 전달되는 것을 더욱 지연 또는 감쇄하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gap formed by the stepped portion 210 has an advantage of further delaying or attenuating transmission of welding heat of the torch 7000.

그러므로 본 발명은 부싱(1000)과 극주(3000)와의 용착을 위하여 주입되는 납 용액(5000)으로부터 발생된 열과 터미널(6000)을 후가공으로 표면처리하는 과정에서 토치(7000)로부터 발생된 용접 열이 안착부(120)에 의하여 지연되고 감쇄된 상태로 케이스(2000)에 전달되므로 케이스(2000)가 연화되거나 열화되지 않는 동시에 터미널(6000)과 케이스(2000)와의 결합력이 약해지지 않는 장점이 있다.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generated from the lead solution 5000 injected for the welding of the bushing 1000 and the pole column 3000 and the weld heat generated from the torch 7000 during the surface treatment of the terminal 6000 are processed. Since the case 2000 is transmitted to the case 2000 in a delayed and attenuated state by the seating part 120, the case 2000 is not softened or degraded, and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terminal 6000 and the case 2000 is not weakened.

또한, 안착부(120)의 충분한 폭에 의하여 금형(4000)이 안정되게 안착하므로 주조에 의한 터미널(6000)의 성형을 용이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mold 4000 is stably seated by a sufficient width of the seating part 120, there is an advantage of facilitating molding of the terminal 6000 by casting.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5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배터리 터미널 시스템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에 의하여 제공되는 부싱을 사출금형을 이용하여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케이스에 함입된 상태로 인서트 사출한다(a). Hereinafter,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attery termin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5, and the bushing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embedded in a case made of synthetic resin using an injection mold. Insert injection in the state (a).

케이스에 함입 상태로 인서트 사출되고 성형된 부싱의 중앙에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함입되는 부분에는 하나 이상의 결합부, 차단홈, 부싱하부, 하나 이상의 고정부 및 모따기부가 포함되며, 관통홀은 직선으로 연장된 상태가 유지된다. The through-hole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ushing formed by insert injection into the case, and the recessed part includes at least one coupling part, a blocking groove, a lower part of the bushing, at least one fixing part, and a chamfering part. The extended state is maintained.

하나 이상의 결합부가 케이스에 함입된 상태로 인서트 사출되므로 결합력이 증가하여 외부의 회전력을 견디고 차단홈에 의하여 내부의 전해액이 유출되거나 외부의 이물질 용액이 유입되지 못하며, 하나 이상의 고정부에 의하여 부싱이 케이스와 분리되지 않고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는 장점이 있다.Since one or more coupling parts are inserted into the case, the insert is injected, so the coupling force is increased to withstand external rotational forces, so that the electrolyte solution does not leak out or foreign substance solution is introduced by the blocking groove, and the bushing is connected to the case by one or more fixing parts. There is an advantage of maintaining a firmly coupled state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특히, 모따기부를 케이스에 함입 사출하므로 내부의 전해액이 배터리의 수명이 다할 때까지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다. In particular, since the chamfered part is injected into the case, the electrolyte inside does not leak to the outside until the life of the battery is reached.

부싱의 관통홀에 다수의 극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극주를 삽입한다(b). Insert pole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 plurality of pole plates to the through-holes of the bushing (b).

극주는 양극과 음극이 있을 수 있으며, 해당 극판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원형 막대 형상을 하며 입출력되는 전류 크기에 따라 굵기가 다른 것이 일반적이다. 즉, 전류가 크면 굵기도 굵어진다.The pole may have a positive pole and a negative pole. The pole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at of the pole plate, have a circular bar shape, and vary in thickness depending on the current input and output. In other words, the larger the current, the thicker the thickness.

극주를 관통홀에 삽입한 부싱의 안착부에 주조용 금형을 안착하고 부싱상부의 외주연과 상단면에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납 용액을 빈틈없이 주조방식으로 주입하며, 주조가 완료된 터미널은 냉각에 의하여 성형이 완성된다(c). The casting mold is placed on the seating part of the bushing where the pole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and the lead solution composed of alloy is injected into the outer periphery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art of the bushing by casting. This is completed (c).

터미널의 냉각이 완료되면 금형을 제거하며, 일반적으로 금형에는 미세한 틈새가 있을 수 있고 특히, 오래 반복 사용하는 경우 틈새는 더욱 커지며, 금형의 표면을 매끄럽게 하는 경우에도 반복 사용에 의하여 거칠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The mold is removed when cooling of the terminal is completed. In general, the mold may have a small gap. In particular, if the mold is used for a long time, the gap becomes larger, and even when the surface of the mold is smooth, it is generally roughened by repeated use. .

그러므로 성형이 완료된 터미널의 외주연 표면에는 부분적으로 날카롭거나 돌출된 부분 및 미세한 요철이 있을 수 있다. Therefor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erminal where the molding is completed may have a partly sharp or protruding portion and minute unevenness.

성형이 완료된 터미널의 외주연 및 상단을 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토치로부터 발생된 불꽃의 용접 열을 이용하여 후가공하므로 깨끗하게 표면처리 한다(d). The outer periphery and top of the molded terminal is post-processed using welding heat of sparks generated from a torch using gas as fuel, so that the surface is cleanly treated (d).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배터리의 터미널 시스템(8000)이 최종적으로 완성된다.
Therefore, the terminal system 8000 of the vehicle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nally completed.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10 : 부싱상부 115 : 관통홀
120 : 안착부 130 : 제1결합부
135 : 제2결합부 140 : 차단홈
150 : 부싱하부 155 : 모따기부
160 : 제1고정부 165 : 제2고정부
210 : 단턱부 310 : 극판
1000 : 부싱 2000 : 케이스
3000 : 극주 4000 : 금형
5000 : 납 용액 6000 : 터미널
7000 : 토치 8000 : 터미널 시스템
110: upper bushing 115: through hole
120: mounting portion 130: first coupling portion
135: second coupling portion 140: blocking groove
150: lower bushing 155: chamfer
160: First Government 165: Second Government
210: step portion 310: electrode plate
1000: bushing 2000: case
3000: Pole 4000: Mold
5000: Lead Solution 6000: Terminal
7000: Torch 8000: Terminal System

Claims (8)

극주, 부싱, 터미널, 케이스를 포함하는 배터리의 터미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부싱은,
중앙 내부에 관통홀을 형성하는 부싱상부;
상기 부싱상부의 하단 외주연에 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부싱상부의 하단 밑의 외주연에서부터 부싱상부의 상단 끝의 외주연까지의 전체 높이 값에 80 % 내지 120 % 범위의 값을 상기 외주연으로부터 환형끝단까지의 폭 값으로 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하단에 환형으로 돌출형성되는 결합부;및
상기 부싱상부의 관통홀을 연장 형성하며 상기 결합부의 하단에 환형으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부를 구비하는 부싱하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배터리 터미널 시스템.
In a terminal system of a battery including a pole, a bushing, a terminal, a case,
The bushing is,
A bushing upper portion forming a through hole in the center;
It is formed in an annular shape on the lower outer periphery of the upper part of the bushing and has a value ranging from 80% to 120% in the total height value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lower end of the upper part of the bushing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upper end of the upper part of the bushing. A seating portion having a width value to an end;
A coupling part protruding in an annular shape at the bottom of the seating part; and
A bushing lower portion extending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bushing and having at least one fixing portion formed in an annular shape at a lower end of the coupling portion; Battery terminal system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부싱하부에 환형으로 돌출하여 형성되나 환형의 직경이 상기 안착부의 직경보다 작고 그 외주연에 다수의 요철을 형성하고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터미널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oupling portion
A battery termina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protruding annularly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ushing but having an annular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ating portion and forming a plurality of irregularities on the outer circumference thereof.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결합부는 그 사이에 배터리 전해액의 누출을 차단하는 차단홈; 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터미널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one or more coupling portion is a blocking groove for blocking the leakage of the battery electrolyte therebetween; Battery termina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안착부의 하단 이하를 인서트 사출하여 상기 안착부가 케이스의 상단 표면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게 함으로써 단턱부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터미널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ase,
And inserting the lower end of the seating portion or less so that the seating portion protrudes upward from the top surface of the case to form a stepped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상부의 높이는 안착부 위에 형성된 상기 터미널 전체 높이의 50 % 내지 60 % 범위의 값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터미널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height of the upper bushing is a battery termina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value in the range of 50% to 60% of the total height of the terminal formed on the seating por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하부는,
상기 관통홀의 개방된 일측단에 모따기부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터미널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bushing lower portion,
Battery termina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configuration to form a chamfer on one open end of the through-hole.
극주, 부싱, 터미널, 케이스를 포함하는 배터리의 터미널 시스템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부싱의 안착부 하단과 부싱하부, 결합부, 차단홈, 고정부, 모따기부를 함입하여 배터리의 케이스에 인서트 사출하는 단계;
상기 부싱의 중앙 내부에 형성된 관통홀에 배터리의 극주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극주가 삽입된 부싱의 안착부 상단에 주조 금형을 안착하고 부싱상부의 외주연과 상측 단면에 합금납 용액을 주입하여 터미널을 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주조 금형을 제거한 터미널의 외주연을 토치로 후가공하여 표면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배터리 터미널 시스템의 제조방법.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terminal system of a battery including a pole, a bushing, a terminal, a case,
Inserting the insert into the case of the battery by incorporating a lower portion of the seating portion of the bushing and a lower portion of the bushing, a coupling portion, a blocking groove, a fixing portion, and a chamfer;
Inserting a pole of the battery into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ushing;
Forming a terminal by seating a casting mold on an upper end of a seating portion of the bushing in which the pole column is inserted, and injecting an alloy lead solution into the outer periphery and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bushing; And
Post-process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terminal from which the casting mold is removed with a torch; Method of manufacturing a battery terminal system comprising a.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하는 단계는 상기 부싱하부의 내부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에서 모따기부가 함입되도록 일직선으로 연장하여 인서트 사출하고,
상기 후가공하는 단계는 상기 성형된 터미널의 표면을 토치 열로 녹여 표면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터미널 시스템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injection may include insert inserts extending in a straight line so that the chamfers are embedded in the through holes formed in the inner center of the lower bushing,
The post-processing step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attery termina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melting the surface of the molded terminal with torch heat.
KR1020100067934A 2010-07-14 2010-07-14 A battery terminal syste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xpired - Fee Related KR10115558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7934A KR101155583B1 (en) 2010-07-14 2010-07-14 A battery terminal syste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7934A KR101155583B1 (en) 2010-07-14 2010-07-14 A battery terminal syste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263A KR20120007263A (en) 2012-01-20
KR101155583B1 true KR101155583B1 (en) 2012-06-19

Family

ID=45612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7934A Expired - Fee Related KR101155583B1 (en) 2010-07-14 2010-07-14 A battery terminal syste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558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2491A (en) * 2020-05-18 2021-11-25 한국앤컴퍼니 주식회사 Sulfuric acid gas leak-proof terminal that can be strengthened and reduced in airtightness by including an improved structure under the standard bush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7194B1 (en) * 2012-05-19 2014-01-06 주식회사 델코 Terminal having electolyte anti leakage structure
JP6213769B2 (en) * 2013-12-18 2017-10-18 株式会社Gsユアサ Lead acid battery
KR101394342B1 (en) * 2014-02-24 2014-05-13 신영식 The terminal attach machine on battery
KR20160038582A (en) 2014-09-30 2016-04-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Rechargeable batter00y
EP3133674B1 (en) * 2015-08-20 2017-11-22 WEGMANN automotive GmbH & Co. KG Battery terminal with internal anti-twist protection
CN113889717B (en) * 2021-09-22 2024-07-05 深圳市科达利实业股份有限公司 Processing method of copper-aluminum composite pole
CN114759316B (en) * 2022-05-07 2024-03-08 浙江天能电池江苏新能源有限公司 Method for removing pole cap and milling pole by one-time centeri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5546A (en) * 2004-11-17 2007-08-27 어큐마 플라스틱 리미티드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lead acid battery terminal, and terminal manufactur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and the manufactur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5546A (en) * 2004-11-17 2007-08-27 어큐마 플라스틱 리미티드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lead acid battery terminal, and terminal manufactur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and the manufacturing apparat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2491A (en) * 2020-05-18 2021-11-25 한국앤컴퍼니 주식회사 Sulfuric acid gas leak-proof terminal that can be strengthened and reduced in airtightness by including an improved structure under the standard bushing
KR102424523B1 (en) * 2020-05-18 2022-07-25 한국앤컴퍼니 주식회사 Sulfuric acid gas leak-proof terminal that can be strengthened and reduced in airtightness by including an improved structure under the standard bush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263A (en) 2012-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5583B1 (en) A battery terminal syste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285966B1 (en) Rechargeable battery
KR100824873B1 (en)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JP4488937B2 (en) Secondary battery
US20050153195A1 (en) Secondary battery
KR101877569B1 (en) Secondary battery
KR102788820B1 (en) pouch-type secondary battery manufacturing method and plasma processing device for pouch-type secondary battery manufacturing
US11450910B2 (en) Secondary battery and insulator for secondary battery
JP4323445B2 (en) Resin molding type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CN103250275A (en) lead battery
KR101094615B1 (en) Battery terminal system
KR100571234B1 (en) Secondary battery
EP3869582A1 (en) Lead storage battery
KR101351733B1 (en) Electrode assembly and rechargeable battery with the same and manufacturing mothod of the same
KR100571236B1 (en) Secondary battery
KR100561304B1 (en) Secondary battery
KR101340020B1 (en) Rechargeable battery
JP2008204772A (en) Lead acid battery
JP2004228013A (en) Lid for control valve type lead-acid battery
JP7068723B2 (en) Battery conductive frame
KR20080036738A (en)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709884B1 (en) Square secondary battery
CN220873722U (en) Battery and terminal
JP3243217U (en) battery conductive holder
CN221978113U (en) A power batt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3060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306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