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3858B1 - Forced evaporation type humidifier for airconditioning - Google Patents
Forced evaporation type humidifier for aircondition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53858B1 KR101153858B1 KR1020110140066A KR20110140066A KR101153858B1 KR 101153858 B1 KR101153858 B1 KR 101153858B1 KR 1020110140066 A KR1020110140066 A KR 1020110140066A KR 20110140066 A KR20110140066 A KR 20110140066A KR 101153858 B1 KR101153858 B1 KR 10115385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air
- humidifier
- injection nozzle
- water tank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with water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제증발식 공조용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강제증발식 공조용 가습기는, 상부면에 배기구가 천공되어 있고, 전면 일측에 흡기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흡기구의 하부에 위치하며,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 상기 흡기구의 상부에 위치한 분사노즐, 상기 물탱크의 물을 상기 분사노즐로 끌어올리는 펌프, 및 상기 펌프에 의해 끌어 올려지는 물이 이동하는 이송관을 포함하는 분사부; 상기 분사노즐의 상부에 위치하고, 하우징의 상기 배기구 측으로 공기를 이송시키는 송풍팬; 상기 흡기구로 유입된 공기가 상향 이동하도록 유체 연통되며, 상기 분사노즐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분사노즐에서 분사된 물이 표면을 따라 흐르도록 형성되는 가습부; 상기 송풍팬과 상기 분사노즐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가습부에서 가습된 습공기에 포함된 물방울의 비산을 방지하는 엘리미네이터; 및 상기 흡기구에 설치된 것으로 유체가 연통 가능하게 형성된 열교환부;를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가습부를 통과하는 물이 상기 열교환부에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가습부와 상기 열교환부를 분리시키는 격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에 따른 강제증발식 공조용 가습기를 사용함으로써, 온도조절된 공기가 가습부를 통과하면서 공기를 직접 가습하기 때문에 온도조절시키고자하는 온도에 맞춰 가습되는 물의 양을 동시에 조절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rced evaporative air-conditioning humidifier, the forced evaporative air-conditioning humid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xhaust port is perforated in the upper surface, the housing formed with an inlet on one side; Loc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inlet port, the water tank for storing water; An injection unit including an injection nozzle locat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intake port, a pump for raising water in the water tank to the injection nozzle, and a transfer pipe to which water drawn by the pump moves; A blowing fan positioned above the injection nozzle and transferring air to the exhaust port side of the housing; A humidifying part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let port, the humidifier being positioned under the injection nozzle so that water injected from the injection nozzle flows along the surface; An eliminator located between the blowing fan and the injection nozzle and preventing scattering of water droplets contained in the humid air humidified by the humidifying unit; And a heat exchange part installed at the intake port to allow fluid to communicate with the housing, wherein a partition wall is formed in the housing to separate the humidification part from the heat exchange part so that water passing through the humidification part does not flow into the heat exchange part. Characterized in that, by using the forced evaporative air-conditioning humid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emperature controlled air directly humidifies the air while passing through the humidifying unit,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adjust the amount of water humidifie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to be controlled have.
Description
본 발명은 강제증발식 공조용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가 일정한 상대습도를 유지하면서 실내에 결로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균일한 습도를 제공하여 실내에 공급되는 공기를 쾌적하게 가습할 수 있는 강제증발식 공조용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rced evaporative air-conditioning humidifier, and more particularly, to maintain a constant relative humidity in the room while preventing condensation from occurring in the room and providing uniform humidity to comfort the air supplied to the room. It relates to a forced evaporative air conditioner humidifier.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생활하는 실내나 일정 온도를 유지해야하는 저장고 등은 내부의 온도뿐만 아니라 습도를 조절함으로써 공조환경을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온도조절과 가습이 별도로 진행되기 때문에 온도조절되는 공기의 온도에 맞춰 가습이 진행되기 어렵다. 즉, 일반적인 가습은 사람들이 생활하는 실내, 및 농산물 등을 저장하는 저장고 내에 물을 미세입자 상태로 분무하여 물이 증발되기 쉬운 상태로 가습하고자 하는 공간 내에 공급하였다. 그러나 원심식 가습기나 초음파식 가습기 등을 이용하여 물을 미세입자로 공급한다 해도 물이 액체 상태이기 때문에 물이 분무되는 위치에서 근접할 경우에만 가습이 진행된다. 또한 물이 액체 상태로 공급되면 물이 아무리 작은 입자상태로 존재한다 해도 무게 때문에 증발되기 전에 일정 위치 이상으로는 퍼져나가기 어렵기 때문에 가습 위치에 따라 가습된 정도가 균일하지 않게 되어 일부분은 건조하면서, 일부분은 과도하게 습해지거나 물방울이 뭉치면서 아예 물이 고이게 된다. 게다가 가습된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할 경우, 가열시에는 상대습도가 원하는 목표량보다 낮아질 수 있고, 냉각시에는 냉각관을 통과하는 공기가 냉각되는 과정에서 결빙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가열 또는 냉각된 공기를 가습할 경우, 여전히 물을 미세입자로 공급하기 때문에 가습정도가 일정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하였다. In general, the room where people live or the storage room to maintain a certain temperature can control the air conditioning environment by controlling not only the internal temperature but also the humidity. However, in this case, since the temperature control and the humidification are performed separately, the humidification is difficult to procee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temperature controlled air. That is, the general humidification was sprayed in the form of particles in the water in the room where people live, and agricultural products, such as fine particles and supplied in the space to be humidified in a state where water is easy to evaporate. However, even if water is supplied to the fine particles using a centrifugal humidifier or ultrasonic humidifier, the humidification proceeds only when the water is sprayed, because the water is in a liquid state. In addition, when water is supplied in a liquid state, even if water is present in the form of small particles, it is difficult to spread beyond a certain position before evaporation due to its weight, so that the degree of humidification is not uniform according to the humidification position. Some become excessively moist or clumps of water, causing water to collect. In addition, when the humidified air is heated or cooled, the relative humidity may be lowered than the desired target amount when heated, and during cooling, freezing occurs while the air passing through the cooling tube is cooled. In addition, when humidifying the heated or cooled air, there is still a problem that the degree of humidification is not constant because water is still supplied to the fine particles.
따라서, 근래에는 공조용으로 가습을 하고자 할 때, 온도조절되는 공기에서 수용할 수 있는 수증기량에 적합한 양만큼 가습이 진행될 수 있는 강제증발식 공조용 가습기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고, 특히 측정위치에 상관없이 일정한 가습도를 제공할 수 있는 강제증발식 공조용 가습기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Therefore, in recent years, when humidifying for air conditioning, there is a need for a forced evaporative air conditioner humidifier that can be humidified by an amount suitable for the amount of water vapor that can be accommodated in the temperature controlled air, and particularly, regardless of the measurement position. There is a need for a forced evaporative air conditioner that can provide a constant humidification without.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온도조절과 가습을 동시에 진행하되, 냉각 또는 가열될 기체의 상태에 적합하게 가습이 진행되어 온도조절하고자 하는 실내 및 저온의 저장고 내에 결로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강제증발식 공조용 가습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ceed with the temperature control and humidification at the same time, to prevent the dew condensation occurs in the room and the low-temperature storage room to be humidified to suit the state of the gas to be cooled or heated. It is to provide a forced evaporative air conditioning humidifier.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부면에 배기구가 천공되어 있고, 전면 일측에 흡기구가 형성된 하우징;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exhaust port is perforated on the upper surface, the housing formed with an inlet on one side of the front;
상기 흡기구의 하부에 위치하며,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Loc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inlet port, the water tank for storing water;
상기 흡기구의 상부에 위치한 분사노즐, 상기 물탱크의 물을 상기 분사노즐로 끌어올리는 펌프, 및 상기 펌프에 의해 끌어 올려지는 물이 이동하는 이송관을 포함하는 분사부;An injection unit including an injection nozzle locat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intake port, a pump for raising water in the water tank to the injection nozzle, and a transfer pipe to which water drawn by the pump moves;
상기 분사노즐의 상부에 위치하고, 하우징의 상기 배기구 측으로 공기를 이송시키는 송풍팬; A blowing fan positioned above the injection nozzle and transferring air to the exhaust port side of the housing;
상기 분사노즐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분사노즐에서 분사된 물이 흐르도록 형성된 몸체면 및 상기 몸체면에 돌출형성된 관 형상의 복수개의 이격구를 포함하는 박판이 횡방향으로 적층된 가습부; 및A humidifying part disposed on a lower side of the injection nozzle and having a thin plate including a body surface formed to flow water injected from the injection nozzle and a plurality of tubular spacers protruding from the body surface; And
상기 송풍팬과 상기 분사노즐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가습부에서 가습된 습공기에 포함된 물방울의 비산을 방지하는 엘리미네이터; 및 An eliminator located between the blowing fan and the injection nozzle and preventing scattering of water droplets contained in the humid air humidified by the humidifying unit; And
상기 흡기구에 설치된 것으로 유체가 연통 가능하게 형성된 열교환부;를 포함하되,And a heat exchanger installed in the intake port so that the fluid can communicate therewith;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가습부를 통과하는 물이 상기 열교환부에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가습부와 상기 열교환부를 분리시키는 격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제증발식 공조용 가습기를 제공한다.The housing provides a forced evaporative air conditioner humidifier, characterized in that a partition wall separating the humidifying part from the heat exchange part is formed so that water passing through the humidifying part does not flow into the heat exchange par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격구는 동일 박판상에서 상하방향으로 서로 어긋나게 배열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pacers are arranged to be offse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same thin plate.
또한, 상기 이격구는 상기 몸체면에 연결형성된 일단과 상기 일단의 반대쪽에 위치한 타단을 포함하고,In addition, the spacer includes one end connected to the body surface and the other end located opposite the one end,
상기 이격구의 타단의 직경은, 상기 이격구의 일단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diameter of the other end of the spacer is preferably formed larger than the diameter of one end of the spacer.
또한, 상기 박판은 상기 이격구가 서로 연통되도록 적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thin plate is preferably laminated so that the spacers communicate with each other.
또한, 상기 가습부는 횡방향으로 적층된 상기 박판의 상기 이격구에 끼워지는 체결관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humidifying unit preferably further includes a fastening tube fitted into the spacer of the thin plate laminat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삭제delete
또한, 상기 박판에는, 수평방향으로 인접한 한 쌍의 상기 이격구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절개된 복수개의 슬릿이 형성되고,In addition, the thin plat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slits cu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etween the pair of spacers adjac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복수개의 슬릿은, 상기 슬릿에 의해 절개된 상기 몸체면의 절개위치가 상기 몸체면의 상부 방향을 향하도록 돌출되는 제1슬릿과 상기 몸체면의 하부 방향을 향하도록 돌출되는 제2슬릿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lurality of slits may include a first slit projecting so that the cutting position of the body surface cut by the slit is directed toward the upper direction of the body surface and a second slit projecting toward the lower direction of the body surface. It is desirable to.
또한, 상기 물탱크에는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가 구비되어 있고, In addition, the water tank is provided with a water supply for supplying water,
물 위에 뜨는 부유구의 위치에 따라 상기 급수부의 개폐를 조절하는 플로팅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floating valve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water supply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loat floating on the water.
또한, 상기 물탱크에는 세균 증식을 억제하고 세균을 제거하는 살균기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water tank is preferably further provided with a sterilizer to suppress the growth of bacteria and remove the bacteria.
또한, 상기 살균기는 상기 물탱크 내에 자외선을 조사(照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terilizer is preferably irradiated with ultraviolet rays in the water tank.
또한, 상기 살균기는 상기 물탱크 내의 전기를 가하여 상기 물탱크 내의 물이 전해수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terilizer is preferably applied to the electricity in the water tank so that the water in the water tank is electrolytic water.
또한, 상기 살균기는 오존가스를 물에 용존시켜 물을 오존수화 하는 오존수 발생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terilizer is preferably an ozone water generator for dissolving ozone gas in water to ozonate water.
또한, 상기 물탱크에는 상기 물탱크 내의 물이 일정 온도를 유지하도록 항온 코일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water tank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constant temperature coil so that the water in the water tank maintains a constant temperature.
또한, 상기 가습부의 상기 박판은 표면이 항균가공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thin plate of the humidifying portion is preferably surface is antibacterial.
또한, 상기 엘리미네이터는, 상기 가습부에서 가습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의 반대쪽에 위치한 배출구, 및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가 수직방향으로 어긋나게 위치하도록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 사이에 구비된 비산방지관을 포함하고,In addition, the eliminator is provided between the inlet through which the humidified air flows in the humidifying unit, an outlet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inlet, and the inlet and the outlet so that the inlet and the outlet are shif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cludes shatterproof pipes,
상기 엘리미네이터의 상기 유입구 및 상기 배출구는 육각형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inlet and the outlet of the eliminator is preferably formed in a hexagon.
또한, 상기 흡기구에는 먼지 제거용 필터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intake port is preferably equipped with a filter for removing dust.
또한, 상기 열교환부에는 제상기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defroster is installed in the heat exchange part.
또한, 상기 열교환부에는 온도조절코일이 형성되고,In addition, a heat regulation coil is formed in the heat exchange unit,
상기 제상기는 일정한 배열로 상기 온도조절코일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efroster is preferably located between the temperature control coils in a constant arrangement.
본 발명에 따르면, 온도조절된 공기가 가습부를 통과하면서 공기를 직접 가습하기 때문에 냉각 또는 가열시키고자하는 온도에 맞춰 가습되는 물의 양을 동시에 조절할 수 있고, 가습부에서 물과 공기의 접촉면적을 극대화하여 물을 기화시키기 때문에 공기 중의 수증기 함유율은 높임과 동시에 가습하고자 하는 장소 내에 물방울이 맺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실내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목적에 따라 습도가 98% 이상인 고습도 상태가 되더라도 수증기에 의해 습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특정 위치에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하여 곰팡이나 세균 등이 증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emperature-controlled air directly humidifies the air while passing through the humidifying part, the amount of humidified water can be simultaneously adjuste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to be cooled or heated, and the contact area between water and air in the humidifying part is maximized. By vaporizing the water, the water vapor content in the air can be increased and water droplets can be prevented from forming in the place to be humidified. Therefore, the indoor environment can be kept comfortable.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purpose, even when the humidity is in a high humidity state of 98% or more, the humidity is increased by the water vapor, thereby preventing the accumulation of water at a specific position, thereby preventing the growth of mold or bacteria.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제증발식 공조용 가습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제증발식 공조용 가습기의 측단면도 및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판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 및 B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판을 따라 유동하는 공기 및 물의 흐름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는 실시예의 상대습도 그래프이다.
도 7는 비교예 1의 상대습도 그래프이다.
도 8은 비교예 2의 상대습도 그래프이다.
도 9은 비교예 3의 상대습도 그래프이다.
도 10은 저장고 내의 상대습도 측정위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rced evaporative air conditioning humid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and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the forced evaporative air conditioning humid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thin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and B of FIG.
Figure 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flow of air and water flowing along the thin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graph of relative humidity of an embodiment.
7 is a graph of relative humidity of Comparative Example 1. FIG.
8 is a graph of relative humidity of Comparative Example 2. FIG.
9 is a graph of relative humidity of Comparative Example 3. FIG.
10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relative humidity measurement position in the reservoir.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xample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however, that these examples are provided to further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은 종래에 물을 미세한 입자상태로 공급하여 간접적으로 가습하던 방식과 달리, 수증기가 함유된 상태의 공기를 공조하고자 하는 장소에 직접 공급하여 가습을 진행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강제증발식 공조용 가습기(100)는, 가습부(200)에서 공기와 물(W)이 지속적으로 접촉하도록 하여 공기중에 함유되는 수증기량이 증가되도록 한다. 따라서, 원심식 가습기나 초음파식 가습기와 달리 물이 공기 중에 수증기 상태로 공급되어 실내에 습공기가 공급되도록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conventional method of indirectly humidifying water by supplying water in the form of fine particles, humidification is performed by directly supplying the air containing the water vapor to a place to be air-conditioned. The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제증발식 공조용 가습기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a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제증발식 공조용 가습기의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b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제증발식 공조용 가습기의 정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orced evaporative air conditioning humid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a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forced evaporative air conditioning humid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b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the forced evaporative air conditioner humid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에 배기구(114)가 천공되어 있고, 전면 일측에 흡기구(112)가 천공된 하우징(110);1 and 2, the
상기 흡기구(112)의 하부측 위치에 위치하며, 물(W)이 저장되는 물탱크(120);Located at the lower side of the
상기 흡기구(112)의 상부측 위치에 위치한 분사노즐(132), 상기 물탱크(120)의 물(W)을 상기 분사노즐(132)로 끌어올리는 펌프(P), 및 상기 펌프(P)에 의해 끌어 올려지는 물(W)이 이동하는 이송관(134)을 포함하는 분사부(130);Injecting
상기 분사노즐(132)의 상부에 위치하고, 하우징(110)의 상기 배기구(114) 측으로 공기를 이송시키는 송풍팬(170); A blowing
상기 분사노즐(132)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분사노즐(132)에서 분사된 물이 흐르도록 형성된 몸체면(212) 및 상기 몸체면(212)에 돌출형성된 관 형상의 복수개의 이격구(214)를 포함하는 박판(210)이 횡방향으로 적층된 가습부(200); 및Loc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상기 송풍팬(170)과 상기 분사노즐(132)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가습부(200)에서 가습된 습공기에 포함된 물방울의 비산을 방지하는 엘리미네이터(150);및 Located between the blowing
상기 흡기구에 설치된 것으로 유체가 연통 가능하게 형성된 열교환부(160);를 포함하되,And a
상기 하우징(110)에는 상기 가습부(200)를 통과하는 물이 상기 열교환부(160)에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가습부(200)와 상기 열교환부(160)를 분리시키는 격벽(119)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상기 강제증발식 공조용 가습기(100)는, 물탱크(120)에 저장된 물(W)을 펌프(P)를 이용하여 분사노즐(132)까지 이송시킨다. 분사노즐(132)에서 분사된 물(W)은 분사노즐(132)의 아래쪽에 위치한 가습부(200)로 떨어진다. 가습부(200)는 얇게 형성된 박판(210)이 복수개 세워져 있기 때문에 물(W)은 공기중에서 수직낙하할 때보다, 박판(210)을 따라 흐를때 물(W)의 표면적이 넓게 펴지게 된다. 또한, 송풍팬(170)은 물탱크(120), 가습부(200), 분사부(130), 및 엘리미네이터(150)보다 상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송풍팬(170)이 하우징(110)의 배기구(114) 측을 향하여 바람이 불도록 구동되면, 송풍기에 의한 강제 대류에 의해 하우징(110) 외부에 있던 공기가 하우징(110)의 흡기구(112)를 통하여 가습부(200)의 박판(210)을 통과하게 된다. 여기서 가습부(200)를 통과하는 물(W) 중에서 일부는 기화되지 않고 물탱크(120)로 낙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액체상태의 물(W)이 물탱크(120)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흡기구(112)로 유입된 공기와 물(W)이 만나게 되면 물(W)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물질이 물에 흡착된다. 따라서, 배기구(114)로 배출되는 습공기는 흡기구(112)로 유입된 공기보다 청정화된 상태로 배출된다. The forced evaporative
또한, 흡기구(112)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먼지가 강제증발식 공조용 가습기 내에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흡기구(112)에 먼지 제거용 필터(113)를 장착할 수 있다. 즉, 공기가 물과 접촉함으로써, 물에 의해 오염물질이 씻겨 내려가도록 할 수도 있지만, 흡기구(112)를 통하여 하우징(110) 내로 유입되는 공기 내의 먼지가 물에 닿기 전에 오염 물질이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흡기구(112) 전 면적에 걸쳐 먼지 제거용 필터(113)를 설치함으로써,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모두 먼지 제거용 필터(113)를 통과한 뒤에 가습이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먼지 제거용 필터(113)로 헤파필터 등을 사용할 경우, 공기가 살균되어 정화되고, 정화된 물이 살균된 공기와 접하면서 살균되지 않은 공기와 접할 때보다 정수된 상태로 분사노즐(132)에 공급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in order to suppress the dust in the air flowing into the
흡기구를 통과한 공기는 열교환부(160)를 통과하면서 온도조절이 진행된다. 따라서, 온도조절이 완료된 공기는 가습부(200)를 통과하면서 직접 가습되기 때문에 공기가 수용할 수 있는 양만큼 물이 수증기로 전환되면서 가습이 진행되는 것이다.The air passing through the intake port passes through the
강제증발식 공조용 가습기(100)에는, 실내에서 순환된 내기 또는 외기와 혼합된 내기가 열교환부(160)에 공급될 수 있는데, 이 과정에서 열교환부(160)에서 냉각이 진행될 경우, 온도조절코일(162)의 온도가 열교환부에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보다 낮아지면서, 온도조절코일(162)에 얼음이 맺힐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강제증발식 공조용 가습기(100)는 적절한 시기에 제상을 수행함으로써, 온도조절코일(162)에 결빙현상이 과다하게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냉각효을 높일 수 있다. 즉, 열교환부(160)에 제상기(165)를 설치함으로써, 온도조절코일(162)의 외부에 얼음결정이 과다하게 형성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상기(165)는 여러가지 방식으로 열교환부(160) 내에 설치될 수 있지만.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조절코일(162) 사이에 봉 형상의 전열선을 형성함으로써, 전기히터식으로 제상기(165)를 설치할 수 있다. The forced evaporative
또한, 열교환부(160)는 원활한 구동을 위하여 분사부(130) 및 가습부(200)와 분리된다. 즉, 냉각이 진행될 때, 분사 노즐(132)을 통하여 분무된 물이 열교환부(160)에 직접 닿을 경우, 열교환부(160)의 표면에 결빙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제상이 진행될 때, 열교환부(160)에 물이 닿으면 전열선으로 구비된 제상기(165)의 전기회로가 누전될 수 있다. 따라서, 열교환부(160)는 가습부(200) 및 분사부(130)로부터 격리시킨다. 즉, 하우징(110)에 격벽(119)을 형성함으로써, 분사부(130)로부터 배출된 물이나, 가습부(200)를 통과하는 물이 상기 열교환부(160)에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흡기구에 형성된 열교환부(160)가 액체 상태의 물과 분리된 상태에서, 공기를 먼저 온도조절한 이후에 공기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가습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강제증발식 공조용 가습기는, 고습도로 가습을 하더라도 결로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열교환부(160)에 분사부(130)나 가습부(200)를 통과하는 물이 닿지 않도록 형성함으로써, 열교환부(160)의 온도조절효과 및 장치의 내구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물과 공기 사이에는 끊임없이 액화와 기화가 일어나고 있다. 즉, 물이 수증기로, 수증기가 물로 변화되는 현상이 계속 발생하는데 이 두 변화가 어떤 비율로 진행되느냐에 따라 얼마나 물이 빨리 증발하는지가 결정된다. 이 비율을 결정해주는 것이 물의 표면에 닿아있는 공기의 상대습도에 따라 결정된다. 여기서 공기의 상대습도는 수증기의 절대량과 공기의 온도와 관계된다. 바람은 기압차에 의해 공기분자들이 이동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바람이 이동하면서 수증기도 같이 이동하게 되는데 바람이 불면 액체와 맞닿아 있던 공기들이 새로운 공기들로 교체된다. 이와 같이 새로 공급된 공기는 액체와 맞닿고 있지 않았기 때문에 액체와 맞닿아 있던 공기에 비해 절대습도가 낮아져 상대습도도 낮아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새로운 공기가 물에 맞닿게 되면 기화가 원활하게 진행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강제증발식 공조용 가습기(100)는, 박판(210)을 따라 흐르면서 표면적이 넓어진 물(W)이 박판(210)을 통과하는 공기와 만나면서 수증기로 증발하게 된다. 따라서, 흡기구(112)로 유입된 공기보다 배기구(114)로 송출되는 공기의 상대습도가 더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There is a constant liquefaction and vaporization between water and air. That is, water continues to change into water vapor and water into water. The rate at which these two changes proceed depends on how quickly the water evaporates. What determines this ratio depends on the relative humidity of the air touching the surface of the water. The relative humidity of air here is related to the absolute amount of water vapor and the temperature of the air. Wind means the movement of air molecules by the pressure difference. As wind moves, water vapor moves along with it. When the wind blows, the air that is in contact with the liquid is replaced with new air. Since the newly supplied air is not in contact with the liquid, the absolute humidity is lowered and the relative humidity is lower than that of the air in contact with the liquid. Therefore, when new air comes into contact with water, vaporization proceeds smoothly. Therefore, the forced evaporative
여기서 상기 송풍팬(170)은 수증기가 증가된 공기를 원활하게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엘리미네이터(150)의 상부에 구비한다. 송풍팬(170)의 경우, 전면과 후면의 풍속이 다르다. 즉, 바람이 배출되는 송풍팬(170)의 전면은 송풍팬(170)의 후면에서 다방향으로 유입된 공기를 모아서 내보내기 때문에 송풍팬(170) 전면의 풍속이 송풍팬(170) 후면의 풍속보다 빠르다. 이러한 송풍팬(170)의 특성을 들어 본 발명에 따른 강제증발식 공조용 가습기(100)에서의 송풍팬(170)의 위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상기 송풍팬(170)이 가습부(200)의 하부에 위치할 경우, 풍속이 빠르기 때문에 박판(210)을 타고 하강하는 물(W)이 공기와 접촉할 수 있는 시간이 짧아 물(W)이 증발될 수 있는 시간이 확보되지 않는다. 게다가 물(W)에 작용하는 중력의 반대방향으로 풍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물(W)이 박판(210)을 따라 이동하면서 표면적이 넓어지는 것을 방해하게 된다. 따라서, 동일한 시간동안 물(W)이 공기에 노출되더라도 표면적이 감소하기 때문에 물(W)의 증발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게다가, 배기구(114)와 송풍팬(170)의 거리가 멀기 때문에 가습된 공기를 원활하게 배출하기 어렵다. Here, the blowing
또한 송풍팬(170)이 분사노즐(132)과 가습부(200) 사이에 위치할 경우, 분사노즐(132)을 통하여 배출된 물(W)의 일부는 가습부(200)로 이동하지 않고 바로 엘리미네이터(150)를 향하여 비산되기 때문에 가습공정이 활발하게 진행되기 어렵다. 또한 이러한 경우 엘리미네이터(150)로 공급되는 물(W)의 양이 증가하기 때문에,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양보다 더 많은 양의 물(W)이 엘리미네이터(150)로 공급되면, 엘리미네이터(150)에 유입된 물(W) 중 일부가 엘리미네이터(150)를 통과하기 때문에 실내에 물(W)이 고이게 된다. 따라서, 가습공정이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함과 동시에 가습된 공기를 실내로 원활히 공급할 수 있도록 송풍팬(170)은 엘리미네이터(150)와 배기구(114)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가습부(200), 분사노즐(132), 및 엘리미네이터(150)가 송풍팬(170)의 후면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공기가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공기의 풍속이 물방울의 이동방향을 상부방향으로 전환시키지 않을 정도의 속도가 되도록 한다. 따라서 가습부(200)를 통과하는 공기는 물(W)의 표면적이 넓어지는 것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표면적이 넓어진 물(W)과 충분히 접촉하여 물(W)이 수증기로 원활하게 증발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when the blowing
또한, 엘리미네이터(150)를 통과하는 공기가 저속이기 때문에 공기 중에 물(W)이 섞여서 엘리미네이터(150)를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공기 중에 물(W)이 섞여있더라도 엘리미네이터(150)의 비산방지관(154)을 이동하는 과정에서 물(W)과 분리된 상태로 공기가 배출될 수 있을 정도로 공기가 저속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송풍팬(170)의 후면에는 수증기만을 포함한 공기가 공급되고, 이렇게 모아진 공기는 배기구(114)를 통하여 하우징(110)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실내에 물(W)이 맺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air passing through the
상기 가습부(200)에는 복수 개의 박판(210)을 설치하게 되는데, 박판(210)의 개수가 많을수록 공기와 접하는 물(W)의 표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만, 몸체면(212) 간의 간격이 너무 조밀하게 설치될 경우, 공기 또는 물이 몸체면(212) 사이를 통과하기 어렵기 때문에 복수 개의 박판(210)이 적절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박판(210)은 몸체면(212) 간의 간격이 1.9mm 내지 2.5mm의 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몸체면(212) 간의 간격이 1.9mm 미만일 경우,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이 너무 협소하여 모세관 현상에 의해 몸체면(212) 사이를 통과하는 바람의 속도가 급속도로 증가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풍속이 너무 빠르기 때문에 물(W)이 수증기로 원활히 증발하기 어렵게 된다. 또한, 모세관 현상이 발생하지 않더라도 공간이 협소하게 되면 공기가 원활하게 유동되기 어렵고, 인접한 몸체면(212) 사이에서 물이 방울상태로 뭉쳐지기 때문에 몸체면(212) 간의 간격은 최소 1.9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박판(210)의 간격이 2.5mm를 초과하는 경우, 가습부(200)를 통과하는 풍량에 비해 공기와 유효 접촉할 수 있는 물(W)의 표면적이 줄어들기 때문에 공기가 원활하게 가습되기 어렵다. 즉, 설치될 수 있는 박판(210)의 개수가 줄어들기 대문에 물(W)의 표면적을 넓힐 수 있는 장소가 감소되어 가습이 어렵다.The
따라서, 박판(210)은 몸체면(212) 간의 간격이 1.9mm 내지 2.5mm의 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the
이와 마찬가지로 몸체면(212)의 두께가 얇을수록 가습부(200)에 설치될 수 있는 박판(210)의 수는 증가하지만, 몸체면(212)이 너무 얇게 형성되면 강도가 저하되어 가습부(200)의 내구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가습부(200)에 적절한 두께의 몸체면(212)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몸체면(212)의 두께는 0.1mm 내지 0.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몸체면(212)의 두께가 0.1mm 미만인 경우, 몸체면(212)의 두께가 얇기 때문에 박판(210)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가 지속적으로 몸체면(212)에 충격을 가하기 때문에 강제증발식 공조용 가습기(100)가 구동될 때 가습부(200)에서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몸체면(212)이 파손되면서 가습부(200)의 내구성이 저하된다. 또한, 몸체면(212)의 두께가 0.5mm를 초과하는 경우, 가습부(200)에서 요구되는 강도에 비해 박판(210)의 강도가 불필요하게 향상되고, 이로 인하여 박판(210)의 설치 공간이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박판(210)의 두께는, 0.1mm 내지 0.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Similarly, the thinner the thickness of the
분사부(130)에 형성된 분사노즐(132)로는 여러 가지가 사용될 수 있지만, 특히, 하우징(110) 내에 유입되는 공기에 먼지가 섞여있어도 분무를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는 나선형태 풀콘 노즐(SPIRAL FULL-CONE NOZZLE)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분사각이 90° 내지 120°인 것을 사용함으로써, 가습부(120)에 물이 골고루 분사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분사노즐(132)의 분사각이 90°미만인 경우, 나사산과 산 사이에 형성된 빈 간격이 커서 가습부(200)에 골고루 물을 분사하기 위해 여러 개의 분사 노즐(132)을 장착하더라도 가습부(200)의 일부 부위에만 물이 분사될 수 있다. 또한, 분사노즐(132)의 분사각이 120°를 초과할 경우, 분사 노즐(132) 간의 물 분사 지역이 과도하게 겹쳐지게 되면서 가습부(200) 내에서의 공기의 흐름을 방해할 수 있다. 또한, 작은 입자로 분사된 물방울들이 서로 합쳐지면서 물방울의 크기가 커지게 되어 공기와의 유효 접촉 면적이 물 분사량에 비해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분사부(130)에 사용되는 분사노즐(132)은 분사각이 90° 내지 120°인 나선형태 풀콘 노즐(SPIRAL FULL-CONE NOZZLE)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variety of
엘리미네이터(150)는 공기 중에 포함된 물방울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입구(152a)와 배출구(152b)가 수직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구비되도록 비산방지관(154)을 형성한다. 따라서, 물(W)을 포함한 공기가 비산방지관(154)을 통과할 경우, 비산방지관(154)의 휘어지는 부분에 물(W)이 부착되면서 공기 및 공기 내에 포함된 수증기만이 엘리미네이터(150)를 통과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동일 면적일 때 엘리미네이터(150)의 비산방지관(154)의 면적을 최대로 하기 위하여 유입구(152a) 및 배출구(152b)를 육각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유입구(152a) 및 배출구(152b) 사이에 구비된 비산방지관(154)이 육각형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공기 중에 포함된 물(W)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The
분사노즐(132)에서 분사되는 물(W)은 하우징(110)의 하부에 위치한 물탱크(120)로부터 공급받는다. 따라서 시간이 지날수록 물탱크(120) 내의 물(W)이 점차적으로 줄어들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물탱크(120) 내에 항상 일정 수량 이상이 공급될 수 있도록 급수부(122)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급수부(122)는 수동으로 물(W)을 공급할 수도 있고, 물탱크(120)에 플로팅 밸브(126)를 구비함으로써, 물탱크(120) 내의 물(W)이 일정량 이하가 되면 급수부(122)를 개방하여 물탱크(120) 내에 물(W)이 유입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물(W) 위에 뜨는 부유구를 포함하는 플로팅 밸브(126)가 부유구의 위치가 하부로 이동하게 되면 급수부(122)를 개방하여 물탱크(120) 내에 물(W)을 공급하고, 어느 정도 높이까지 부유구가 이동하게 되면 플로팅 밸브(126)가 급수부(122)를 폐쇄하여 물탱크(120) 내로 물(W)이 공급되는 것을 멈추는 것이다.
Water W injected from the
또한, 상기 물탱크(120)에는 세균 증식을 억제하고 세균을 제거하는 살균기(124)를 더 구비함으로써, 물(W)이 지속적으로 순환하는 과정을 통하여 공기 중에 함유된 세균이 물(W)과 접촉하면서 물(W)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가습부(200)에서 하강하면서 물탱크(120)로 유입되는 물(W)은, 강제증발식 공조용 가습기(100)내에 유입된 공기의 오염물질을 흡착하면서 물탱크(120)에 유입되는데, 이와 같이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물이 물탱크(120) 내로 유입되더라도 물탱크(120) 내의 물에서 오염물질에 의해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이 증식하는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물을 살균시킴으로써, 박판(210) 사이에 물때가 끼는 것을 방지하여 공기가 장시간동안 가습부(200) 사이를 원활히 유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살균된 물(W)이 분사노즐(132)을 통하여 가습부(200)에 공급되면, 살균된 물(W)에 의해 가습부(200)가 살균되는 것이다. 또한, 살균된 물(W)에 의하여 가습부(200)가 살균되는 것 이외에, 상기 박판(210)의 표면을 항균 가공함으로써, 공기가 가습되는 과정 중에 공기 내에 세균이 흡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여기서 살균기(124)는 여러 가지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지만, 특히, 물탱크(120) 내에 자외선을 조사(照射)하여 물(W)을 살균시킬 수 있는 살균기(124)나, 전기분해에 의해서 상기 물탱크(120) 내의 물이 전해수가 되도록 하여 물(W)을 살균시키는 살균기(124)를 구비할 수 있다. 또는 오존가스를 물(W)에 용존시켜 물을 오존수화 하는 오존수 발생장치를 살균기(124)로 구비함으로써, 물탱크(120) 내의 물(W)을 오존수화할 수 있다. 오존수는, 박테리아와 바이러스를 순식간에 죽이고 곰팡이, 해조포자, 효모균등을 죽이며 중금속과 철, 망간, 페놀 등을 산화하고 색도 제거, THM 생성 억제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강력한 살균력에도 불구하고 인체에 무해하다. 이 외에도 인체에 무해하며 살균력이 있는 용액을 희석하여 함께 공급할 수도 있다.
Here, the
몸체면(212)에 관 형상의 이격구(214)가 구비된 경우, 가습부(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박판(210)과 동시에 결합되는 체결관(248)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체결관(248)은 복수개로 적층된 박판(210)을 서로 흐트러지지 않은 상태로 가습부(200) 위치에 고정되도록 한다. 여기서, 체결관(248)에 물탱크(120)의 물(W)이 순환되도록 할 수 있다. When the
한편, 물탱크(120)에는 항온코일(미도시)을 구비함으로써, 물탱크(120) 내의 물이 일정 온도 이하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물탱크(120) 내의 물이 지속적으로 순환하면서 온도가 떨어지게 되면, 항온코일이 작동하면서 다시 목적 온도로 상승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항온코일을 구비함으로써, 분사노즐(132)로 분사되는 물의 온도가 너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체결관(248) 내부를 유동하는 물의 온도를 유지하여 박판(210)이 동결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체결관(248)은 펌프로부터 물탱크(120)의 물을 직접 공급받는 해빙수관(249)과 유체연통되게 결합된다.
On the other hand, by providing a constant temperature coil (not shown) in the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판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도 3의 A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b에는 도 3의 B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thin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A of FIG. 3, and FIG. 4b is a cross-sectional view B of FIG. 3.
박판(210)에 형성된 이격구(214)는 박판(210)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것 이외에도 박판(210)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로를 연장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공기의 유로를 길게 연장시키기 위하여 상기 이격구(214)는 동일 박판(210) 상에서 상하방향으로 서로 어긋나게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하나의 이격구(214)를 중심으로 그 상부와 하부에 위치한 이격구(214)는 서로 중심이 상하방향으로 어긋나도록 배열되도록 함으로써, 이격구(214)에 의해 유로가 변경되어 공기가 박판(210)의 상하 길이보다 긴 경로로 박판(210) 사이를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같은 양의 공기가 박판(210) 사이를 통과하더라도 가습량을 더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The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수평 방향 열로 이격구(214)가 형성된다고 할 때, 홀수열에 위치한 이격구(214)와 짝수열에 위치한 이격구(214)가 서로 어긋나는 위치에 형성된다. 즉, 홀수열에 위치한 이격구(214) 사이의 상하방향으로 짝수열의 이격구(214)가 위치하는 것이다. 즉 박판(210)이 세워진 상태로 가습부(200)에 구비될 때, 한 이격구(214)는 상하방향에 위치한 다른 이격구(214)와 중심이 서로 어긋나도록 배열되는 것이다. 또한 이격구(214) 사이에는 몸체면(212)이 구비되고, 몸체면(212)에는 그 형상의 모양에 따라 제1슬롯(213a) 및 제2슬롯(213b)으로 구분되는 슬롯(213)이 천공되어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when the
본 발명의 몸체면(212)에 형성된 이격구(214)는, 일단(214a)과 타단(214b)이 구비된다. 이격구(214)의 일단(214a)은 몸체면(212)에 연결형성된 것으로, 이격구(214)가 형성된 위치의 몸체면(212)에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구(214) 형성위치에 관통공(216)이 천공될 수 있다. 이격구(214)는 횡방향으로 적층된 복수개의 박판(210)이 서로 이격된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이격구(214) 타단(214b)의 직경을 이격구(214) 일단(214a)의 직경보다 넓게 형성하며, 인접한 박판(210)의 몸체면(212)이 서로 일정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격구(214)의 일단(214a) 및 타단(214b)의 직경크기를 다르게 형성하는 것 이외에도, 박판(210)의 일 이격구(214) 내에 다른 이격구(214)가 삽입되지 않는 구조라면 어떠한 구조로도 이격구(214)를 형성할 수 있다. The
여기서 수평방향으로 인접한 한 쌍의 이격구(214)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절개된 복수개의 슬릿(213)이 형성된다. 이때 본원 발명은 단순히 슬릿(213)을 천공하는데 그치지 않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릿(213)이 형성된 부위가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공기가 몸체면(212)의 전후방향으로 더욱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복수개의 슬릿(213)은, 상기 슬릿에 의해 절개된 몸체면(212)의 절개위치(212a, 212b)가 몸체면(212)의 상부방향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1슬릿(213a)과 몸체면(212)의 절개위치(212b)가 몸체면(212)의 하부방향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2슬릿(213b)을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에서 제1슬릿(213a)과 제2슬릿(213b)의 설치위치는 목적하는 바에 따라 다양하게 배열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수평방향 열에 제1슬릿(213a)과 제2슬릿(213b)이 동시에 형성되어 있다.
Here, a plurality of
도 5에는 박판을 통과하는 공기 및 물의 이동방향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5 schematically shows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air and water through the thin plate.
박판(210)의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는 공기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구(214)에 의해 이동경로의 길이가 증가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박판(210)의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는 물 역시 이격구(214)에 의해 이동경로의 길이가 증가한다. 즉, 물의 이동경로가 길어지면서 공기와 접촉할 수 있는 물의 표면적이 증가하는 것과 더불어, 공기는 이동경로가 길어지면서 가습부(200)의 박판(210)을 따라 이동하는 물과 접촉할 수 있는 시간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동일한 양의 공기가 유동되더라도 이격구(214)에 의해 공기가 장시간 물과 접촉할 수 있게 되어, 저온에서도 실내를 고습도로 가습할 수 있는 것이다.Air moving from the bottom to the top of the
슬릿(213)은 이격구(214)와 마찬가지로 공기와 물의 유동길이를 증가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격구(214)가 박판(210)의 수직방향 이동경로의 길이를 증가시켰다면, 슬릿(213)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와 물이 몸체면(212)을 관통하여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공기와 물이 몸체면(212)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즉, 제2슬롯(213b)을 통과한 바람이 제1슬롯(213a)을 통과하면서 상부로 이동하고, 제1슬롯(213a)을 통과한 물(W)이 제2슬롯(213b)을 통과하면서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몸체면(212)의 전후방향으로 공기와 물이 유동되어 공기가 장시간 물과 접촉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저온에서도 실내를 고습도로 가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강제증발식 공조용 가습기는 농산물 저장고 이외에도 공조가 필요한 장소라면 어느 곳이든 설치 가능하다. 즉, 사무실, 작업장, 병원, 냉장 창고, 크린 룸 등 어느 장소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The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제증발식 공조용 가습기의 상대습도를 나타낸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비교예에 따른 가열식 가습기의 상대습도를 나타낸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비교예에 따른 원심식 가습기의 상대습도를 나타낸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고, 도 9는 비교예에 따른 초음파식 가습기의 상대습도를 나타낸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고, 도10에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상대습도 측정위치를 나타낸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6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ve humidity of the forced evaporative air conditioner humid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ve humidity of the heated humidifier according to a comparative example, Figure 8 The graph illustrating the relative humidity of the centrifugal humidifier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example is shown, Figure 9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ve humidity of the ultrasonic humidifier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example, Figure 10 shows a relati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the comparative example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humidity measurement location is shown.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저온저장고용 폴리우레탄요철 판넬인 키스톤 판넬로 제작되고, 외부의 길이, 폭, 높이가 각각 5250mm, 3850mm, 및 2850mm 이고, 내부의 길이, 폭, 높이는 각각 5030mm, 3630mm 2630mm의 크기로 형성된 저장고 내에서의 상대습도를 측정한다. 실험은, 전방에 냉각기가 장착된 저장고를 한 시간동안 강제증발식 공조용 가습기를 구동시킨 뒤, 저장고 내의 각 지점에서 각각 측정된 습도를 측정함으로 진행하였다. 상대습도가 측정된 지점은 상층부, 중층부, 하층부 각각 아홉지점에서의 습도값을 구하여 측정한 것으로 하층부는 바닥으로부터 0.6m, 중층부는 바닥면으로부터 1.2m, 상층부는 바닥으로부터 1.8m 지점이고, 9 지점은 강제증발식 공조용 가습기 설치 위치로부터 반대쪽 벽면까지의 면적 내에 균일하게 지점을 설정하여 상대습도를 측정하였다. 상대습도가 측정되는 9 지점은 각각 LF(Front of Left), CF(Front of Center), RF(Front of Right), LM(Middle of Left), CM(Middle of Center), RM(Middle of Right), LR(Rear of Left), CR(Rear of Center), RR(Rear of Right)으로 나눠지고, 상층부, 중층부, 하층부에 위치한 각각 9지점을 측정한 뒤 각 층부의 9지점에서의 상대습도를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또한, 상대습도가 측정되는 각 지점은 도10에 도시되어 있다.
It is made of keystone panel, which is a polyurethane uneven panel for cold storage, and its outer length, width and height are 5250mm, 3850mm and 2850mm, respectively, and its length, width and height are 5030mm and 3630mm 2630mm respectively. Relative humidity is measured.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by operating a forced evaporative air humidifier for one hour in a reservoir equipped with a cooler in front, and then measuring the measured humidity at each point in the reservoir. Relative humidity was measured by measuring humidity values at nine points of upper, middle, and lower layers, respectively, where the lower layer was 0.6m from the bottom, the middle layer was 1.2m from the bottom, and the upper layer was 1.8m from the bottom. The point was measured uniformly within the area from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forced evaporative air conditioner humidifier to the opposite wall surface to measure the relative humidity. The nine points where relative humidity is measured are Front of Left (LF), Front of Center (CF), Front of Right (RF), Middle of Left (LM), Middle of Center (CM), and Middle of Right (RM), respectively. It is divided into LR (Rear of Left), CR (Rear of Center) and RR (Rear of Right) .Measure 9 points located at the upper, middle, and lower levels, and then measure the relative humidity at 9 points of each floor. Shown graphically. In addition, each point at which relative humidity is measured is shown in FIG.
실시예Exampl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판형으로 형성된 가습부가 구비된 강제증발식 공조용 가습기를 사용하고, 노즐은 (주)국제노즐의 STF12 노즐을 선택하였으며, 이때, 노즐의 허용분사각도는 120°이고, 분사 압력은 0.7㎏/㎠이다. 저장고 내에서의 설치위치는, 전방 벽면으로부터 225mm 떨어진 지점 센터이다.
As shown in Figure 2 using a forced evaporative air-conditioning humidifier with a humidifier formed in a thin plate shape, the nozzle was selected STF12 nozzles of International Nozzle Co., Ltd., at this time the allowable spray angle of the nozzle is 120 °, The injection pressure is 0.7 kg / cm 2. The installation position in the reservoir is the point center 225 mm away from the front wall.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비교예 1로는 가열식 가습기를 사용하였고 사용된 가열식 가습기는 독일 HygroMatik 사의 CompactLine 모델을 사용하였다. 저장고 내에서의 설치위치는 실시예와 동일하다.
In Comparative Example 1, a heated humidifier was used, and the heated humidifier used was a CompactLine model of HygroMatik, Germany. The installation position in the reservoir is the same as in the embodiment.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비교예 2로는 원심식 가습기를 사용하였고 사용된 원심식 가습기는 화란인더스사에서 제조된 모델명 HR-25를 사용하였다. 저장고 내에서의 설치위치는 실시예와 동일하다. 원심식 가습기의 경우, 물을 미세입자로 분사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냉각기와 근접한 위치에 설치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강제증발식 공조용 가습기와의 비교를 위하여 실시예에서의 강제증발식 공조용 가습기 설치위치에 설치하였다.
As a comparative example 2, a centrifugal humidifier was used, and the centrifugal humidifier was used a model name HR-25 manufactured by Fever Industries. The installation position in the reservoir is the same as in the embodiment. In the case of the centrifugal humidifier, it is preferable not to be installed in the position close to the cooler because it is a form of spraying water into fine particles, but the forced evaporation type in the embodiment for comparison with the forced evaporative air conditioner humid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was installed at the air conditioner humidifier installation location.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비교예 3으로는 초음파식 가습기를 사용하였고 사용된 초음파식 가습기는 Htech(구.동림엔지니어링)에서 제조된 모델명 DLE-US-06를 사용하였다. 저장고 내에서의 설치위치는 바닥으로부터 2015mm 상부에 위치한 왼쪽 벽면 센터에 설치한다. 초음파식 가습기는 물을 미세입자로 분사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냉각기가 위치한 전방이 아닌 측면에 설치한다. 즉, 저장고 내를 최적으로 가습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한다.
As a comparative example 3, an ultrasonic humidifier was used, and the ultrasonic humidifier used was a model name DLE-US-06 manufactured by Htech (formerly Donglim Engineering). The installation location in the cellar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left wall, 2015mm above the floor. Ultrasonic humidifiers are installed on the side rather than the front where the cooler is located because it sprays water into fine particles. In other words, it is installed in a location that can optimally humidify the inside of the store.
상대습도 측정결과Relative Humidity Measurement Results
실시예 및 비교예 1, 2, 3에 따른 각 지점에서의 상대습도는 표 1 내지 표 4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강제증발식 공조용 가습기는 개발식 강제증발식 공조용 가습기라고 표시하였다. 또한, 표 1의 내용은 도 6에 그래프로 도시하였고, 표 2의 내용은 도 7에 그래프로 도시하였고, 표 3의 내용은 도 8에 그래프로 도시하였으며, 표 4의 내용은 도 9에 도시하였다. Relative humidity at each point according to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1, 2 and 3 is shown in Tables 1 to 4. The forced evaporative air conditioner humid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s marked as a developed forced evaporative air conditioner humidifier. In addition, the contents of Table 1 are shown graphically in FIG. 6, the contents of Table 2 are illustrated graphically in FIG. 7, the contents of Table 3 are illustrated graphically in FIG. 8, and the contents of Table 4 are illustrated in FIG. 9. It was.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들의 상대습도 측정결과를 토대로 볼 때, 실시예에 따른 강제증발식 공조용 가습기는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에 따른 강제증발식 공조용 가습기에 비해 저장고 내부가 고르게 가습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비교예 2에 해당하는 원심식 가습기는 실시예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된데 비해 비교예 3에 해당하는 초음파식 가습기는 가습이 가장 잘 일어나는 최적의 장소에 설치하였다. 즉, 물을 입자상태로 공급하는 강제증발식 공조용 가습기인 비교예 2 및 비교예 3을 각각 실시예의 설치위치 및 최적의 가습 위치에 배치한 뒤, 실시예와 비교하였다. 이러한 실험 결과를 통해 물을 입자상태로 분사하여 공기를 가습하는 경우, 최적의 가습 위치에 구비된다 하더라도, 저장고 내의 위치에 따라 가습되는 정도가 서로 상이할 뿐만 아니라, 물 입자가 냉각기에 결빙되어 저장고 내의 냉각 성능까지 저하시키게 된다. Based on the relative humidity measurement results of the abov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the forced evaporative air conditioner humidif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evenly humidified inside the reservoir compared to the forced evaporative air conditioner humidifier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s 1 to 3. It can be seen that. Here, while the centrifugal humidifier corresponding to Comparative Example 2 is dispos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Example, the ultrasonic humidifier corresponding to Comparative Example 3 was installed at the optimum place where the humidification occurs best. That is, Comparative Example 2 and Comparative Example 3, which are forced evaporative air-conditioning humidifiers supplying water in a particulate state, were placed at the installation position and the optimum humidification position of the examples, and then compared with the examples.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results, when water is sprayed in the form of particles to humidify the air, the degree of humidification differs depending on the location within the reservoir, even if the air is humidified, and the water particles are frozen in the cooler. It also lowers the cooling performance inside.
이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강제증발식 공조용 가습기는 가습용 공기가 습공기 상태로 저장고 내에 공급되기 때문에 저장고 내부를 균일한 습도로 가습할 수 있어 저장고 내의 농산물 상태를 균일하게 장기간 보관할 수 있다.
On the contrary, the forced evaporative air conditioner humid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humidify the inside of the reservoir at a uniform humidity because the humidifying air is supplied into the reservoir in a humid air state, so that the state of agricultural products in the reservoir can be stored uniformly for a long time.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또는 변경은 모두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강제증발식 공조용 가습기 110: 하우징
112: 흡기구 114: 배기구
120: 물탱크 130: 분사부
132: 분사노즐 134: 이송관
150: 엘리미네이터 152a: 유입구
152b: 배출구 154: 비산방지관
160: 열교환부 162: 온도조절코일
165: 제상기 165a: 전열선
170: 송풍팬 200: 가습부
212: 몸체면 213: 슬릿
213a: 제1슬릿 213b: 제2슬릿
214: 이격구 216: 관통공
248: 체결관 P: 펌프
W: 물100: forced evaporative air humidifier 110: housing
112: intake port 114: exhaust port
120: water tank 130: injection unit
132: injection nozzle 134: feed pipe
150: eliminator 152a: inlet
152b: outlet 154: shatterproof pipe
160: heat exchanger 162: temperature control coil
165: defroster 165a: heating wire
170: blowing fan 200: humidifier
212
213a:
214: spacer 216: through hole
248: fastening pipe P: pump
W: water
Claims (18)
상기 흡기구의 하부에 위치하며,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
상기 흡기구의 상부에 위치한 분사노즐, 상기 물탱크의 물을 상기 분사노즐로 끌어올리는 펌프, 및 상기 펌프에 의해 끌어 올려지는 물이 이동하는 이송관을 포함하는 분사부;
상기 분사노즐의 상부에 위치하고, 하우징의 상기 배기구 측으로 공기를 이송시키는 송풍팬;
상기 분사노즐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분사노즐에서 분사된 물이 흐르도록 형성된 몸체면 및 상기 몸체면에 돌출형성된 관 형상의 복수개의 이격구를 포함하는 박판이 횡방향으로 적층된 가습부; 및
상기 송풍팬과 상기 분사노즐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가습부에서 가습된 습공기에 포함된 물방울의 비산을 방지하는 엘리미네이터; 및
상기 흡기구에 설치된 것으로 유체가 연통 가능하게 형성된 열교환부;를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가습부를 통과하는 물이 상기 열교환부에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가습부와 상기 열교환부를 분리시키는 격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제증발식 공조용 가습기.An exhaust hole is perforated on the upper surface, and a housing having an air inlet formed on one side of the front surface thereof;
Loc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inlet port, the water tank for storing water;
An injection unit including an injection nozzle locat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intake port, a pump for raising water in the water tank to the injection nozzle, and a transfer pipe to which water drawn by the pump moves;
A blowing fan positioned above the injection nozzle and transferring air to the exhaust port side of the housing;
A humidifying part disposed on a lower side of the injection nozzle and having a thin plate including a body surface formed to flow water injected from the injection nozzle and a plurality of tubular spacers protruding from the body surface; And
An eliminator located between the blowing fan and the injection nozzle and preventing scattering of water droplets contained in the humid air humidified by the humidifying unit; And
And a heat exchanger installed in the intake port so that the fluid can communicate therewith;
And a partition wall is formed in the housing to separate the humidifying part from the heat exchange part so that water passing through the humidifying part does not flow into the heat exchange part.
상기 이격구는 동일 박판상에서 상하방향으로 서로 어긋나게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제증발식 공조용 가습기.The method of claim 1,
The spacer is forced evaporative air-conditioning humidifier,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on the same thin plate to be shifted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이격구는 상기 몸체면에 연결형성된 일단과 상기 일단의 반대쪽에 위치한 타단을 포함하고,
상기 이격구의 타단의 직경은, 상기 이격구의 일단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제증발식 공조용 가습기.The method of claim 1,
The spacer includes one end connected to the body surface and the other end located opposite the one end,
The diameter of the other end of the spacer, the evaporative air-conditioning humidifi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larger than the diameter of one end of the spacer.
상기 박판은 상기 이격구가 서로 연통되도록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제증발식 공조용 가습기.The method of claim 1,
The thin plate is a forced evaporative air-conditioning humid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pacer is laminated so a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상기 가습부는 횡방향으로 적층된 상기 박판의 상기 이격구에 끼워지는 체결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제증발식 공조용 가습기.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humidifier is forced evaporative air-conditioning humidifi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astening tube fitted into the spacer of the thin plate laminat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상기 박판에는, 수평방향으로 인접한 한 쌍의 상기 이격구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절개된 복수개의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슬릿은, 상기 슬릿에 의해 절개된 상기 몸체면의 절개위치가 상기 몸체면의 상부 방향을 향하도록 돌출되는 제1슬릿과 상기 몸체면의 하부 방향을 향하도록 돌출되는 제2슬릿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제증발식 공조용 가습기.The method of claim 1,
In the thin plate, a plurality of slits cu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re formed between the pair of spacers adjac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plurality of slits may include a first slit projecting so that the cutting position of the body surface cut by the slit is directed toward the upper direction of the body surface and a second slit projecting toward the lower direction of the body surface. Humidifier for forced evaporative air conditioning,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물탱크에는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가 구비되어 있고,
물 위에 뜨는 부유구의 위치에 따라 상기 급수부의 개폐를 조절하는 플로팅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제증발식 공조용 가습기.The method of claim 1,
The water tank is provided with a water supply for supplying water,
And a floating valve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water supply part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loating port floating on the water.
상기 물탱크에는 세균 증식을 억제하고 세균을 제거하는 살균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제증발식 공조용 가습기.The method of claim 1,
The water tank is a forced evaporative air-conditioning humidifier,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provided with a sterilizer to suppress the growth of bacteria and remove the bacteria.
상기 살균기는 상기 물탱크 내에 자외선을 조사(照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제증발식 공조용 가습기.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terilizer is a forced evaporative air conditioning humidifier, characterized in that for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in the water tank.
상기 살균기는 상기 물탱크 내에 전기를 가하여 상기 물탱크 내의 물이 전해수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제증발식 공조용 가습기.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terilizer by applying electricity in the water tank so that the water in the water tank to the electrolytic water, the forced evaporative air conditioner humidifier.
상기 살균기는 오존가스를 물에 용존시켜 물을 오존수화 하는 오존수 발생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제증발식 공조용 가습기.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terilizer is an evaporative air-conditioning humid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ozone water dissolving ozone gas in the water ozone water generator.
상기 물탱크에는 상기 물탱크 내의 물이 일정 온도를 유지하도록 항온 코일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제증발식 공조용 가습기.The method of claim 1,
The water tank is forced evaporative air-conditioning humid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stant temperature coil is provided to maintain a constant temperature of the water in the water tank.
상기 가습부의 상기 박판은 표면이 항균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제증발식 공조용 가습기.The method of claim 1,
The thin plate of the humidifying portion is forced evaporative air conditioning humid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urface is antibacterial.
상기 엘리미네이터는, 상기 가습부에서 가습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의 반대쪽에 위치한 배출구, 및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가 수직방향으로 어긋나게 위치하도록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 사이에 구비된 비산방지관을 포함하고,
상기 엘리미네이터의 상기 유입구 및 상기 배출구는 육각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제증발식 공조용 가습기.The method of claim 1,
The eliminator is provided with an inlet through which the air humidified by the humidifying unit is introduced, an outlet located opposite to the inlet, and scattered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such that the inlet and the outlet are vertically shifted. Including prevention tube,
The inlet and the outlet of the eliminator is forced evaporative air conditioning humidifi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hexagon.
상기 흡기구에는 먼지 제거용 필터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제증발식 공조용 가습기.The method of claim 1,
Humidifier for forced evaporative air condition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inlet is equipped with a filter for removing dust.
상기 열교환부에는 제상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The method of claim 1,
Humid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defroster is installed in the heat exchange unit.
상기 열교환부에는 온도조절코일이 형성되고,
상기 제상기는 일정한 배열로 상기 온도조절코일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The method of claim 17,
The heat regulation coil is formed in the heat exchange unit,
The dehumidifier is a humidifier,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between the temperature control coil in a constant arrangement.
Priority Applications (6)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10140066A KR101153858B1 (en) | 2011-12-22 | 2011-12-22 | Forced evaporation type humidifier for airconditioning |
| EP12832687.3A EP2787295B1 (en) | 2011-09-14 | 2012-09-13 | Forced evaporative humidifier for nanosteam |
| CN201280003412.XA CN103502741B (en) | 2011-09-14 | 2012-09-13 | Utilize the forced evaporation formula humidifier of nano steam |
| PCT/KR2012/007330 WO2013039329A2 (en) | 2011-09-14 | 2012-09-13 | Forced evaporative humidifier using nanosteam |
| US14/345,011 US9518749B2 (en) | 2011-09-14 | 2012-09-13 | Forced evaporative humidifier using nano-vapor |
| JP2014530587A JP5796131B2 (en) | 2011-09-14 | 2012-09-13 | Forced evaporation humidifier using nano vap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10140066A KR101153858B1 (en) | 2011-12-22 | 2011-12-22 | Forced evaporation type humidifier for airconditioning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153858B1 true KR101153858B1 (en) | 2012-06-18 |
Family
ID=46688781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10140066A Active KR101153858B1 (en) | 2011-09-14 | 2011-12-22 | Forced evaporation type humidifier for airconditioning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153858B1 (en) |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3206869A (en) * | 2013-03-28 | 2013-07-17 | 李兵 | Industrial circulating cooling tower |
| WO2014173114A1 (en) * | 2013-04-27 | 2014-10-30 | He Lili | Pm2.5 cold/warm filter-window apparatus |
| WO2014173113A1 (en) * | 2013-04-27 | 2014-10-30 | He Lili | Pm2.5 cold/warm filter-window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910000726Y1 (en) * | 1987-07-27 | 1991-02-08 | 이상운 | Air conditioner |
| KR0136661Y1 (en) * | 1996-07-11 | 1999-03-20 | 이상운 | Air Conditioning Humidifier with Water Purification |
| JPH11316035A (en) * | 1998-04-30 | 1999-11-16 | Kimura Kohki Co Ltd | Heat exchange coil for air conditioner |
| KR20090011278U (en) * | 2008-04-30 | 2009-11-04 | 휴미텍코리아(주) | Installation structure for preventing pollution of vaporized humidifier |
-
2011
- 2011-12-22 KR KR1020110140066A patent/KR10115385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910000726Y1 (en) * | 1987-07-27 | 1991-02-08 | 이상운 | Air conditioner |
| KR0136661Y1 (en) * | 1996-07-11 | 1999-03-20 | 이상운 | Air Conditioning Humidifier with Water Purification |
| JPH11316035A (en) * | 1998-04-30 | 1999-11-16 | Kimura Kohki Co Ltd | Heat exchange coil for air conditioner |
| KR20090011278U (en) * | 2008-04-30 | 2009-11-04 | 휴미텍코리아(주) | Installation structure for preventing pollution of vaporized humidifier |
Cited By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3206869A (en) * | 2013-03-28 | 2013-07-17 | 李兵 | Industrial circulating cooling tower |
| WO2014173114A1 (en) * | 2013-04-27 | 2014-10-30 | He Lili | Pm2.5 cold/warm filter-window apparatus |
| WO2014173113A1 (en) * | 2013-04-27 | 2014-10-30 | He Lili | Pm2.5 cold/warm filter-window |
| CN105264297A (en) * | 2013-04-27 | 2016-01-20 | 张云章 | Pm2.5 cold/warm filter-window apparatus |
| CN105264297B (en) * | 2013-04-27 | 2017-12-05 | 郑燕梅 | PM2.5 changes in temperature filtering window devices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JP5796131B2 (en) | Forced evaporation humidifier using nano vapor | |
| KR101403960B1 (en) | Natural vaporizing humidifier | |
| KR20160042864A (en) | Humidifying unit for a hvac system | |
| US10247431B2 (en) | Fan coil apparatus including a humidification unit and a humidification unit | |
| US10168063B2 (en) | Fan coil apparatus including a humidification unit and a humidification unit | |
| CN202675465U (en) | Upright cabinet type air-conditioner | |
| KR102041255B1 (en) | All-in-one wet air clean conditioning apparatus | |
| KR101153858B1 (en) | Forced evaporation type humidifier for airconditioning | |
| JP2016031163A (en) | Vaporization type humidifier in air conditioner | |
| US10107512B2 (en) | Fan coil apparatus including a humidification unit and a humidification unit | |
| US20180172298A1 (en) | Fan coil apparatus including a humidification unit and a humidification unit | |
| JP2000317248A (en) | System for removing gas impurity | |
| US10782038B2 (en) | Fan coil apparatus including a humidification unit and a humidification unit | |
| KR20190059105A (en) | unit for filtering and humidification having function of air cleaning and dust removal | |
| KR20090127454A (en) | Improved cold and hot air fan | |
| CA3045523A1 (en) | Fan coil apparatus including a humidification unit and a humidification unit | |
| US20180172299A1 (en) | Fan coil apparatus including a humidification unit and a humidification unit | |
| KR101565067B1 (en) | Heat-transfer type air-circulation device having a humidifier function | |
| KR101957703B1 (en) | Gas filtering apparatus | |
| KR100530387B1 (en) | Air-conditioner recycling heat of condensation | |
| JP4367865B2 (en) | Humidifier for refrigerator and cold storage | |
| JP2009014226A (en) | Air conditioning system | |
| KR101153855B1 (en) | Forced evaporation type humidifier | |
| KR101902788B1 (en) | Evaporation humidifier | |
| CN104879840B (en) | Cabinet air-conditione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22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2022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2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3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523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5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6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6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5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16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5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5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5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4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32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