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8331B1 - Method for verifying optical proximity correction - Google Patents
Method for verifying optical proximity correc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68331B1 KR101168331B1 KR1020060037343A KR20060037343A KR101168331B1 KR 101168331 B1 KR101168331 B1 KR 101168331B1 KR 1020060037343 A KR1020060037343 A KR 1020060037343A KR 20060037343 A KR20060037343 A KR 20060037343A KR 101168331 B1 KR101168331 B1 KR 10116833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rification
- patterns
- area
- corrected
- patter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1/00—Originals for 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masks, photo-masks, reticles; Mask blanks or pellicles therefor;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Preparation thereof
- G03F1/36—Masks having proximity correction features; Preparation thereof, e.g. optical proximity correction [OPC] design processe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70—Microphotolithographic 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70483—Information management; Active and passive control; Testing; Wafer monitoring, e.g. pattern monitoring
- G03F7/70491—Information management, e.g. software; Active and passive control, e.g. details of controlling exposure processes or exposure tool monitoring processes
- G03F7/705—Modelling or simulating from physical phenomena up to complete wafer processes or whole workflow in wafer produc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30—Circuit design
- G06F30/39—Circuit design at the physical lev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eparing Plates And Mask In Photomechanical Process (AREA)
Abstract
광 근접 보정 검증 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목표 패턴들의 목표 레이아웃을 설정하고, 목표 패턴들에 대한 광 근접 효과 보정(OPC)을 수행한 보정된 패턴들의 레이아웃을 얻고, 보정된 레이아웃의 전체 영역을 보정된 패턴들을 각각 포함하는 검증 영역들로 분할한 후, 검증 영역들을 영역별 상호 간에는 서로 다른 크기이되 영역 내에서는 일정한 크기인 픽셀(pixel)들로 분할 설정한다. 픽셀들 각각에 대해서 보정된 패턴들에 대한 시뮬레이션(simulation) 검증을 수행한다. An optical proximity correction verification method is presen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arget layout of the target patterns is set, the layout of the corrected patterns obtained by performing optical proximity effect correction (OPC) on the target patterns is obtained, and the entire area of the corrected layout includes the corrected patterns, respectively. After dividing the verification areas into the verification areas, the verification areas are divided into pixels having different sizes from each other but constant pixels within the areas. Simulation verification is performed on the corrected patterns for each of the pixels.
OPC, 모델 베이스, 룰 베이스, 픽셀, 시뮬레이션 OPC, Model Base, Rule Base, Pixel, Simulation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광 근접 보정(OPC) 검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레이아웃(layout) 도면이다. 1 is a layout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ventional optical proximity correction (OPC) verification metho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근접 보정 검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레이아웃(layout) 도면이다. FIG. 2 is a layout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tical proximity correction verifying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근접 보정 검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3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tical proximity correction ver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포토 마스크(photo mask) 제작 시 광 근접 보정(OPC: Optical Proximity Correction) 검증 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miconductor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verifying optical proximity correction (OPC) when fabricating a photo mask.
반도체 소자의 집적도가 증가함에 따라 소자에 요구되는 패턴의 크기가 급격히 축소되고 있다. 이에 따라,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리소그래피(lithography) 과정에 100㎚ 이하의 해상력이 요구되고 있다. 패턴 형상의 크기가 감소됨에 따라 패턴을 전사(transfer)하는 과정에서의 왜곡(distortion) 현상이 극심해지고 있다. 따라서, 리소그래피 과정의 제약을 극복하여 디자인 룰(design rule)의 복잡성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일 방법으로, 광 근접 효과를 보정(OPC)하여 해상력을 증가시켜 하는 기술(RET; Resolution Enhancement Technology)들이 제시되고 있다. As the degree of integration of semiconductor devices increases, the size of patterns required for the devices is rapidly reduced. Accordingly, a resolution of 100 nm or less is required for a lithography process for forming a pattern. As the size of the pattern shape decreases, distortion in the process of transferring the pattern becomes severe. Accordingly, as a method for more effectively coping with the complexity of the design rule by overcoming the limitation of the lithography process, Resolution Enhancement Technologies (RET) that increase the resolution by correcting the optical proximity effect (OPC) Is being presented.
OPC는 광 근접 효과(OPE)를 고려하여 웨이퍼 상에 전사하고자 하는 목표 패턴(target pattern)의 레이아웃을 보정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OPC는 룰 베이스(Rule-based) 접근 방식과 모델 베이스(Model-based) 접근 방식으로 대별될 수 있다. OPC may be understood to correct the layout of a target pattern to be transferred onto the wafer in consideration of the optical proximity effect (OPE). Such OPC can be roughly divided into a rule-based approach and a model-based approach.
룰 베이스 접근 방식은, 예컨대, 패턴 형상의 크기 및 이에 연관된 환경들을 고려하여 미리 작성한 룰(rule)들의 리스트(list)에 의존하여 패턴을 이루는 세그먼트(segment)들을 재배치(replacement)하는 접근 방식으로 이해될 수 있다. 모델 베이스 접근 방식은, 패턴 전사 과정의 모델(model)을 준비하고, 이러한 모델을 이용하여 웨이퍼 상에 실제 인쇄(print)될 이미지(image)를 시뮬레이션(simulation)하고, 이러한 시뮬레이션된 이미지를 원하는 웨이퍼 이미지와 비교 매칭(matching)시키는 방식으로 이해될 수 있다. The rule base approach is understood as an approach to replace segments that make up a pattern, for example,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pattern shape and its associated environments. Can be. The model-based approach prepares a model of the pattern transfer process, uses this model to simulate an image to be actually printed on the wafer, and desired wafer for such simulated image. It can be understood in a manner of comparative matching with an image.
또한, OPC 수행 후 얻어진 결과에 대해 OPC가 적정하게 수행되었는 지 여부를 검증하는 기술 또한 OPC 기술과 함께 중요한 기술로 인식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OPC된 레이아웃을 검증하는 과정은 디자인 룰 체크(DRC: Design Rule Check)와 같이 지정된 룰에 의하여 검증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룰 베이스 검증 과정으로는 웨이퍼 상에 발생되는 비정상적인 현상을 설명하기가 어려워, 모 델 베이스(model-based) 접근 방식으로 검증하는 방법이 점차 사용되고 있다. In addition, a technique for verifying whether or not OPC is properly performed on the results obtained after performing OPC is also recognized as an important technique along with the OPC technique. In general, a process of verifying an OPC layout is based on a method of verifying by a specified rule such as a design rule check (DRC). However, it is difficult to explain abnormal phenomena occurring on the wafer in such a rule base verification process, and a method of verifying using a model-based approach is gradually being used.
도 1은 종래의 광 근접 보정(OPC) 검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레이아웃(layout) 도면이다. 1 is a layout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ventional optical proximity correction (OPC) verification method.
도 1을 참조하면, OPC된 레이아웃 데이터(data)는 다수의 서로 다른 크기 또는 형상의 패턴(10)들, 예컨대, 상대적으로 작은 선폭의 라인 패턴(11), 상대적으로 큰 선폭의 패턴(13) 및 더 큰 크기의 고립된 패턴(15)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Referring to FIG. 1, the OPC layout data includes a plurality of
이러한 OPC된 데이터에 대한 모델 베이스 접근 방식은 먼저 검증할 칩(chip) 크기 전체 영역을 일정한 크기의 분할 영역 또는 픽셀(pixel: 20) 영역들로 분할하고, 이러한 픽셀(20)들에 대해 픽셀(20) 내의 패턴을 대표하는 해당 모든 포인트(point)들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실시하고 있다. 이러한 시뮬레이션은 모델 베이스 접근 방식(또는 픽셀-베이스 접근 방식) 또는 그리드 베이스(grid-based) 접근 방식에 따라, 원하는 목표 패턴의 레이아웃, 즉, 원본 레이아웃(original layout)에 대해서 시뮬레이션한 레이아웃을 비교하는 과정으로 이해될 수 있다. This model-based approach to OPC data first divides the entire chip size area to be verified into regions of constant size or pixels (pixels) of 20, and then the pixels (or pixels) for these pixels (20). 20) All the corresponding points representing the pattern in the simulation are simulated. This simulation compares the simulated layout against the desired target pattern's layout, ie the original layout, according to the model-based approach (or pixel-based approach) or the grid-based approach. It can be understood as a process.
이때, 픽셀(20)들은 실제 패턴(10)의 존재 유무에 무관하게 모두 같은 크기(21)로 설정되고 있다. 따라서, 모든 픽셀(20)들에 대해서 시뮬레이션이 수행되므로, 시뮬레이션할 데이터(data)의 양이 크게 증가하고 이에 따라, 시뮬레이션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되고 있다. In this case, th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보다 짧은 시간 내에 광 근접 효과 보정 결과를 검증하는 방법을 제시하는 데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verifying optical proximity effect correction results in a shorter time.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은, 목표 패턴들의 목표 레이아웃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목표 패턴들에 대한 광 근접 효과 보정(OPC)을 수행한 보정된 패턴들의 레이아웃을 얻는 단계, 상기 보정된 레이아웃의 전체 영역을 상기 보정된 패턴들을 각각 포함하는 검증 영역들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검증 영역들을 영역별 상호 간에는 서로 다른 크기이되 영역 내에서는 일정한 크기인 픽셀(pixel)들로 분할되게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픽셀들 각각에 대해서 상기 보정된 패턴들에 대한 시뮬레이션(simulation) 검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 근접 효과 보정 검증 방법을 제시한다.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setting a target layout of the target patterns, obtaining a layout of the corrected patterns that performed optical proximity effect correction (OPC) for the target patterns, Dividing the entire area of the corrected layout into verification areas each including the corrected patterns, and dividing the verification areas into pixels having different sizes from each other but having a constant size within the areas. And a step of performing a simulation verification on the corrected patterns for each of the pixels.
상기 검증 영역들은 상기 보정된 패턴들 사이의 영역을 일정 폭의 경계 영역으로 설정하여 분할되게 설정될 수 있다. The verification areas may be set to be divided by setting an area between the corrected patterns as a boundary area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상기 경계 영역은 인근하는 상기 검증 영역 내의 상기 보정된 패턴의 크기 또는 노광 조명계 조건에 따른 광 근접 효과 범위 보다 큰 폭으로 설정될 수 있다. The boundary region may be set to a width larger than the optical proximity effect rang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orrected pattern or the exposure illumination system condition in the adjacent verification region.
상기 경계 영역을 지나는 가상의 검증 라인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검증 라인 상에 원하지 않은 패턴의 존재 유무를 시뮬레이션 검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setting a virtual verification line passing through the boundary area, and simulating and verify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unwanted pattern on the verification line.
상기 검증 영역 내에서의 상기 픽셀의 크기는 상기 검증 영역 내에 위치하는 상기 보정된 패턴의 크기에 비해 대략 1/2 내지 1/10 배로 설정될 수 있다. The size of the pixel in the verification area may be set to about 1/2 to 1/10 times the size of the corrected pattern located in the verification area.
본 발명에 따르면, 보다 짧은 시간 내에 광 근접 효과 보정 결과를 모델 베 이스 접근 방식으로 검증하는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thod for verifying the optical proximity effect correction result in a model base approach within a shorter time.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로 인해 한정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t should not be construe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preferably to be interpreted as being provid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more fully describe the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OPC 결과를 검증할 때 픽셀-베이스 시뮬레이션이 모든 영역에 걸쳐 일정하게 지정된 픽셀 크기를 기준으로 모든 포인트에 대해서 수행되는 점을 개선하여, 패턴들이 존재하는 영역만을 선택하여 이러한 영역에 대해서 픽셀들을 적절한 크기로 설정하여 검증 시뮬레이션을 수행한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verifying the OPC results, the pixel-based simulation is improved for all points based on a constant pixel size uniformly across all regions, thereby selecting only the regions where patterns exist. Verification simulation is performed by setting the pixels to the appropriate size for the region.
이때, 선택된 영역들 상호 간에는 패턴 크기에 의존하여 픽셀의 크기를 설정하여 검증 정확도(verification accuracy)를 향상시키고 또한 검증 시간을 보다 효과적으로 감소를 구현한다. 패턴이 존재하지 않은 영역에서 비정상적인 현상, 예컨대, 불량 패턴이 존재할지 여부를 검증하기 위해서, 가상의 검증 라인(line)을 중심 부분을 지나게 설정하고, 이러한 검증 라인을 따라 발생되는 신호(signal)를 분석하여 비정상 유무를 검출한다. 이러한 검증 라인은 실질적으로 분할된 영역들의 경계선(boundary line)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size of the pixel is set depending on the pattern size between the selected areas to improve the verification accuracy and to more effectively reduce the verification time. In order to verify whether there is an abnormal phenomenon in a region where no pattern exists, for example, whether or not a bad pattern exists, a virtual verification line is set past a center portion, and a signal generated along the verification line is set. Analyze and detect abnormalities. Such a verification line may be understood as a boundary line of substantially divided regions.
이와 같이 패턴의 크기 등에 연관하여 다수의 영역들로 분할한 후, 각각의 검증 영역에 대해 각기 다른 크기의 시뮬레이션을 위한 픽셀들을 설정함으로써, 종래의 패턴 유무에 관계없이 모든 영역에 대해 시뮬레이션을 실시하는 경우에 비해 보다 효율적으로 검증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After dividing the data into a plurality of areas in relation to the size of the pattern, and setting pixels for simulation of different sizes in each verification area, simulation is performed for all areas regardless of the conventional pattern. Verification simulation can be performed more efficiently than in the cas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근접 보정 검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레이아웃(layout)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근접 보정 검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FIG. 2 is a layout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tical proximity correction verifying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tical proximity correction ver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PC 검증 방법은, 설정된 픽셀 크기를 기준으로 패턴의 레이아웃을 대표하는 포인트(point)들에 대해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픽셀-베이스(혹은 그리드 베이스) 시뮬레이션으로 수행된다. 이때, OPC 검증은 설계자가 설계하여 그린 초기 패턴, 즉, 원본 설계 패턴과 시뮬레이션 컨투어(contour)를 비교하여 OPC 보정이 적절하게 또한 효과적으로 이루어졌는 지를 검증한다. 2 and 3, an OPC ver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ixel-base (or grid) that performs simulation on points representing a layout of a pattern based on a set pixel size. Base) simulation. At this time, the OPC verification compares the initial pattern designed and drawn by the designer, that is, the original design pattern and the simulation contour, and verifies whether the OPC correction is appropriately and effectively performed.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웨이퍼 상에 전사하여 구현하고자하는 목표 패턴들의 목표 레이아웃을 설계 설정하고(도 3의 301), 목표 패턴들에 대한 광 근접 효과 보정(OPC)을 수행한 보정된 패턴들(도 2의 100)의 레이아웃을 얻는다(도 3의 303). OPC된 레이아웃 데이터(data)는 도 2에 제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서로 다른 크기 또는 형상의 패턴(100)들, 예컨대, 상대적으로 작은 선폭의 라인 패턴(101), 상대적으로 큰 선폭의 패턴(103) 및 더 큰 크기의 고립된 패턴(105) 등을 포함하게 된다. In more detail, the corrected patterns for designing and setting the target layout of the target patterns to be transferred and implemented on the wafer (301 of FIG. 3) and performing optical proximity effect correction (OPC) on the target patterns ( A layout of 100 in FIG. 2 is obtained (303 in FIG. 3). OPC layout data (data) is a plurality of different size or
이러한 OPC된 데이터에 대한 검증은 먼저, 예컨대, 픽셀 베이스(또는 모델 베이스) 또는 그리드 베이스 접근 방식은, 검증할 칩(chip) 크기 전체 영역(200)을 보정된 패턴들(100)을 각각 포함하는 검증 영역들(210, 230, 250)로 분할한다. 이 러한 검증 영역들(210, 230, 250)들을 각각 서로 다른 패턴들(101, 103, 105)을 포함하는 영역들로 분할 설정한다(도 3의 305). Verification of such OPC data may first include, for example, a pixel-based (or model-based) or grid-based approach, each of which includes
예컨대, 검증 영역들(210, 230, 250)들은 보정된 패턴들(101, 103, 105) 사이의 패턴이 위치하지 않는 영역을 일정 폭의 경계 영역(boundary region; 201)으로 설정하여 분할되게 설정된다. 이러한 설정은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수행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이러한 경계 영역(201)은 인근하는 검증 영역들(210, 230, 250) 내에 각각 위치하는 OPC된 패턴들(101, 103, 105)의 크기 또는 패턴들(101, 103, 105)을 실제 노광할 노광 조명계 조건, 예컨대, 개구수(NA) 또는 노광 장비 등에 따른 광 근접 효과 범위(OPE range) 보다 큰 폭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금지 피치(forbidden pitch) 크기 등에 따라 이러한 경계 영역(201)은 설정될 수 있다. This
즉, OPC에서 고려되는 OPE 범위 보다 큰 폭으로 이러한 경계 영역(201)은 설정됨에 따라, 검증 영역들(210, 230, 250) 내의 검증이 상호 간에 영향을 배제한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검증 영역(210, 230, 250)들을 분할 설정하는 것은 경계 영역(201)과 같이 패턴이 실질적으로 위치하지 않는 부분에 대해서 검증 시뮬레이션이 실질적으로 수행되지 않도록 하여, 검증에 요구되는 소요 시간(run time)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That is, as the
경계 영역(201) 내에는 패턴들이 형성되지 않는 영역으로 설정되지만, 이러한 경계 영역(201) 내에 원하지 않는 비정상적인 현상에 의해서 원하지 않는 패턴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비정상적인 현상의 발생을 보다 간단히 효과적으로 감 지하기 위해서, 검증 영역(210, 230, 250)들 사이의 경계 영역(201)의 바람직하게 중심부를 지나는 가상의 검증 라인(205)을 설정한다(307). Although it is set as an area where no patterns are formed in the
이러한 검증 라인(205)을 따라 검증 라인(205) 상에 원하지 않은 패턴의 존재 유무를 시뮬레이션 검증함으로서, 간단히 경계 영역(201) 내에 비정상적인 현상의 발생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도 3의 313). 즉, 검증 라인(205)을 따라 이러한 검증 라인(205) 상에 발생하는 신호(signal)를 분석함으로써, 비정상 유무를 검출할 수 있다. By simulating the existence of an unwanted pattern on the
한편, 분할된 검증 영역들(210, 230, 250) 내를 영역별 상호 간에는 서로 다른 크기이되 영역 내에서는 일정한 크기인 픽셀들(211, 231, 251)들로 분할되게 설정한다(도 3의 309). 이와 같이 검증 영역들(210, 230, 250) 별로 픽셀들(211, 231, 251)을 다른 크기로 설정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시뮬레이션 소요 시간의 감소를 구현할 수 있다. Meanwhile, the divided
이때, 각각 검증 영역들(210, 230, 250) 내에 해당 픽셀들(211, 231, 251)의 크기는 검증 영역들(210, 230, 250) 내에 위치하는 패턴들(101, 103, 105)의 크기에 의존하여 달리 설정된다. 예컨대, OPC된 패턴들(101, 103, 105)의 크기에 비해 대략 1/2 내지 1/10 배, 바람직하게는 1/3 내지 1/5 배의 크기로, 각각의 연관된 픽셀들(211, 231, 251)의 크기가 설정된다. 즉, 100㎚의 크기의 패턴인 경우 시뮬레이션 픽셀 크기는 대략 20 내지 35㎚ 정도가 적절하다. In this case, the sizes of the
이와 같이 설정된 픽셀들(211, 231, 251) 각각에 대해서 OPC 보정된 패턴들(101, 103, 105)에 대한 원본 레이아웃과의 비교 검증 시뮬레이션을 수행한다(도 3의 311). 이때, 픽셀들(211, 231, 251) 크기가 패턴들(101, 103, 105)의 크기에 의존하여 다르게 지정되므로, 패턴들(101, 103, 105)의 검증이 보다 정확해질 수 있으며, 또한, 시뮬레이션 시간 또한 줄어들 수 있다. For each of the
이러한 픽셀에 대한 시뮬레이션 검증은 픽셀들에 대해 픽셀 내의 패턴을 대표하는 해당 모든 포인트들에 대한 시뮬레이션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시뮬레이션은 모델 베이스 접근 방식(또는 픽셀-베이스 접근 방식) 또는 그리드 베이스(grid-based) 접근 방식에 따라, 원하는 목표 패턴의 레이아웃, 즉, 원본 레이아웃(original layout)에 대해 시뮬레이션한 레이아웃을 비교하는 과정으로 이해될 수 있다. Simulation verification for such a pixel may consist of simulation of all the corresponding points representing a pattern within the pixel for the pixels, which simulation may be a model-based approach (or a pixel-based approach) or a grid-based approach. Depending on the approach, it can be understood as the process of comparing the layout of the desired target pattern, that is, the simulated layout against the original layout.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is invention was demonstrated in detail through the specific Example,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It is clear that the deformation | transformation and improvement are possible by the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in the technical idea of this invention.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패턴이 위치하는 영역에 대해서만 선택적으로 일정한 경계를 설정한 후, 이러한 경계 내에의 검증 영역에 대해서만 바람직하게 픽셀 베이스 시뮬레이션을 수행한다. 또한, 각각의 패턴 크기별로 서로 다른 픽셀 크기를 적용하여 검증의 정확도 또는/ 및 소요 시간의 향상을 구현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fter selectively setting a constant boundary only for the region where the pattern is located, pixel-based simulation is preferably performed only for the verification region within this boundary. In addition, by applying different pixel sizes for each pattern siz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n improvement in accuracy of verification and / or time required.
또한, 지정된 경계와 경계 사이의 영역, 즉, 경계 영역에서의 비정상적인 현상을 검출할 수 있도록, 경계 영역 내에 가상의 중심 라인(center line)을 적용하고, 이러한 가상의 중심 라인(또는 검증 라인)에서의 신호를 분석하여 비정상 유무 를 검출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검증의 정확도 또는/ 및 소요 시간의 향상을 구현할 수 있다. In addition, a virtual center line is applied within the boundary area so that abnormal phenomena in the boundary area, that is, the boundary area, can be detected. Analyze the signal to detect abnormality.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n improvement in accuracy and / or time required for verification.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60037343A KR101168331B1 (en) | 2006-04-25 | 2006-04-25 | Method for verifying optical proximity correc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60037343A KR101168331B1 (en) | 2006-04-25 | 2006-04-25 | Method for verifying optical proximity correction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70105200A KR20070105200A (en) | 2007-10-30 |
| KR101168331B1 true KR101168331B1 (en) | 2012-07-24 |
Family
ID=38818795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60037343A Expired - Fee Related KR101168331B1 (en) | 2006-04-25 | 2006-04-25 | Method for verifying optical proximity correction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168331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70128719A (en) * | 2016-05-13 | 2017-11-23 | 삼성전자주식회사 |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415583B1 (en) * | 2017-06-30 | 2022-07-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Method for optimizing OPC mod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using the same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2333700A (en) * | 2001-05-10 | 2002-11-22 | Sony Corp | Method of evaluating rule base opc and method of evaluating simulation base opc model |
| US20060005154A1 (en) * | 2000-06-13 | 2006-01-05 | Mentor Graphics Corporation | Integrated OPC verification tool |
-
2006
- 2006-04-25 KR KR1020060037343A patent/KR10116833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060005154A1 (en) * | 2000-06-13 | 2006-01-05 | Mentor Graphics Corporation | Integrated OPC verification tool |
| JP2002333700A (en) * | 2001-05-10 | 2002-11-22 | Sony Corp | Method of evaluating rule base opc and method of evaluating simulation base opc model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70128719A (en) * | 2016-05-13 | 2017-11-23 | 삼성전자주식회사 |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
| KR102675303B1 (en) | 2016-05-13 | 2024-06-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70105200A (en) | 2007-10-30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0423062B2 (en) | Method for correcting target patterns and mask having corrected target patterns | |
| CN106468853B (en) | OPC for perceiving surroundings | |
| US8788983B2 (en) | Method for correcting layout pattern and mask thereof | |
| US8541147B2 (en) | System and method of selective optical pattern enhancement for semiconductor manufacturing | |
| KR102185558B1 (en) | Method for optical proximity correction | |
| CN106707681B (en) | A method of enhancing OPC processing accuracy | |
| CN110119062B (en) | Optical proximity correction method, mask manufacturing method and patterning process | |
| US10866506B2 (en) | Photo mask data correction method | |
| CN105045946B (en) | Method for IC manufacturing | |
| CN106950795A (en) | The forming method of secondary graphics | |
| CN108009316A (en) | OPC modification methods | |
| CN106338883B (en) | Optical proximity correction method | |
| CN102117010B (en) | Optical adjacent correcting method | |
| KR20090091713A (en) | Simulation site placement for lithography processing models | |
| CN109543330A (en) | A kind of optical adjacent correction method pixel-based and system of Self Matching | |
| US20090281778A1 (en) |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weak points in an integrated circuit design | |
| KR100924335B1 (en) | Optical proximity correction method using multi dose simulation | |
| KR101168331B1 (en) | Method for verifying optical proximity correction | |
| CN106033172B (en) | Method for optical proximity correction repair | |
| KR100655428B1 (en) | Optical proximity effect correction system and method | |
| US8910090B2 (en) | Methods involving pattern matching to identify and resolve potential non-double-patterning-compliant patterns in double patterning applications | |
| US9159557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mitigating print-out defects | |
| US7275225B2 (en) | Correcting design data for manufacture | |
| CN105842979B (en) | Method for post-optical proximity correction repair | |
| KR101143622B1 (en) | Method for verifying optical proximity correction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23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21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20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80719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80719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