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8378B1 - Hybrid diversity pad antenna using coupling - Google Patents
Hybrid diversity pad antenna using coupl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68378B1 KR101168378B1 KR1020100131124A KR20100131124A KR101168378B1 KR 101168378 B1 KR101168378 B1 KR 101168378B1 KR 1020100131124 A KR1020100131124 A KR 1020100131124A KR 20100131124 A KR20100131124 A KR 20100131124A KR 101168378 B1 KR101168378 B1 KR 10116837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ntenna
- pad
- coupling
- disposed
- pcb substr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28—Combinations of substantially independent non-interacting antenna units or system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52—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 H01Q1/521—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reducing the coupling between adjacent antennas
- H01Q1/523—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reducing the coupling between adjacent antennas between antennas of an array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6—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 H01Q21/061—Two dimensional planar arrays
- H01Q21/065—Patch antenna array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01Q9/0414—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in a stacked or folded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구조 다이버시티 안테나는 다층 구조로 형성되는 PCB 기판; 상기 다층 구조의 PCB 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안테나 패드; 및 상기 PCB 기판 상의 상기 안테나 패드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안테나 패드와의 커플링을 위해 일정 간격 떨어지게 배치되는 안테나를 포함한다.Hybrid structure diversity antenna using a coupl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CB substrate formed of a multi-layer structure; An antenna pad disposed between the multilayer PCB substrate; And an antenna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antenna pad on the PCB substrat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for coupling with the antenna pad.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패드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커플링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구조 다이버시티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pad antenna, and more particularly, to a hybrid structure diversity antenna using a coupling.
이동통신 시스템과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 등의 급속한 보급과 기존의 다양한 무선 방송과 무선 기술들의 혼재로 인하여 최근 다양한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는 무선 수단들에 대한 요구가 급증하고 있으며, 휴대를 위한 무선 수단들의 소형화 요구 또한 급증하고 있다.Due to the rapid spread of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and wireless data communication systems and the mixing of various existing wireless broadcasting and wireless technologies, the demand for wireless means capable of operating in various frequency bands is increasing rapidly. Their demand for miniaturization is also skyrocketing.
특히, 디지털 컨버전스(Digital Convergence)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면서 하나의 제품을 구매하여 여러 가지 욕구를 충족시키고자 하는 사용자의 취향이 일반화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어떠한 휴대 장치에서도 기본적인 통신을 이용하여 방대한 자원을 이용하거나 통신 연결성을 보장받으려 하는 요구 또한 일반화되고 있다. 이는 언제 어디서나 어떠한 기기를 통해서도 네트워크 접속이 가능한 유비쿼터스 환경을 지향하는 추세와도 일맥상통하고 있다.In particular, as the interest in digital convergence has increased rapidly, the taste of users who want to purchase a single product to satisfy various needs is not only generalized, but also uses a large amount of resources using basic communication in any mobile device. Or the need to ensure communication connectivity is also becoming common. This is in line with the trend toward a ubiquitous environment where any device can access the network anytime, anywhere.
또한, 차세대 통신방식으로 등장한 Wimax, 802.11x 또는 LTE와 같은 광대역 및 모바일 무선통신 방식은, 유선통신과 무선통신 간의 차이를 줄이기 위하여 복수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대역 범위와 신뢰성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복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원하는 통신 환경을 조절하는 스마트 안테나(Smart Antenna) 등의 다차원적 신호를 이용하고 있다.In addition, broadband and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Wimax, 802.11x, or LTE, which have emerged as the next generation communication method, use multiple antennas (MIMO) to simultaneously improve bandwidth range and reliability by using a plurality of antennas to reduce the difference between wired communic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Multidimensional signals such as an input multiple output) and a smart antenna for controlling a desired communication environment using a plurality of antennas are used.
이러한 차세대 광대역 무선통신 방식에서는 복수의 안테나를 이용하고 있어 안테나가 차지하는 공간이 증가하게 되고, 복수 통신 방식의 통합에 의해 다중 대역 지원을 위해 추가적인 안테나가 필요하게 되는 등 안테나 설계와 배치가 점차 어려워지고 있다.In the next-generation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 plurality of antennas are used to increase the space occupied by the antennas, and it becomes more difficult to design and deploy antennas such as an additional antenna is required for multi-band support by the integration of the multiple communication methods. have.
이러한 복수 안테나의 통합 배치는 안테나 사이의 간섭을 발생시켜 안테나들이 인접할수록 커플링에 의한 문제로 인해 원하는 안테나 성능을 만족시킬 수 없게 된다.
The integrated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antennas generates interference between the antennas, so that the closer the antennas are, the less the antenna performance can be satisfied due to the coupling problem.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PCB 기판 상에 안테나와 안테나 패드가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배치함으로써, 안테나와 안테나 패드 사이에 커플링이 일어나도록 하는, 커플링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구조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제공한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ybrid structure diversity antenna using a coupling, by which the antenna and the antenna pad ar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from the PCB substrate, so that coupling occurs between the antenna and the antenna pa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oblem (s) mentioned above, and other object (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구조 다이버시티 안테나는 다층 구조로 형성되는 PCB 기판; 상기 다층 구조의 PCB 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안테나 패드; 및 상기 PCB 기판 상의 상기 안테나 패드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안테나 패드와의 커플링을 위해 일정 간격 떨어지게 배치되는 안테나를 포함한다.Hybrid structure diversity antenna using a coupl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CB substrate formed of a multi-layer structure; An antenna pad disposed between the multilayer PCB substrate; And an antenna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antenna pad on the PCB substrat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for coupling with the antenna pa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구조 다이버시티 패드 안테나는 다층 구조로 형성되는 PCB 기판; 상기 다층 구조의 PCB 기판 상에 일부가 삽입되어 배치되는 안테나 패드; 상기 안테나 패드 상에 부착되는 테이프; 및 상기 안테나 패드와의 커플링을 위해 상기 테이프 상에 배치되는 안테나를 포함한다.Hybrid structure diversity pad antenna using a coupl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CB substrate formed of a multi-layer structure; An antenna pad in which a part is inserted and disposed on the multilayer PCB substrate; A tape attached to the antenna pad; And an antenna disposed on the tape for coupling with the antenna pa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구조 다이버시티 패드 안테나는 다층 구조로 형성되는 PCB 기판; 상기 다층 구조의 PCB 기판 상에 일부가 삽입되어 배치되는 안테나 패드; 상기 안테나 패드 상에 인쇄되는 인쇄층; 및 상기 안테나 패드와의 커플링을 위해 상기 인쇄층 상에 배치되는 안테나를 포함한다.Hybrid structure diversity pad antenna using a coupl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CB substrate formed of a multi-layer structure; An antenna pad in which a part is inserted and disposed on the multilayer PCB substrate; A printed layer printed on the antenna pad; And an antenna disposed on the printed layer for coupling with the antenna pad.
상기 안테나는 상기 안테나 패드와 0.02 ~ 1.6mm 내에서 서로 떨어지게 배치될 수 있다.The antennas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in 0.02 to 1.6 mm from the antenna pad.
상기 안테나는 상기 안테나 패드와 0.1 ~ 0.2mm 범위 내에서 서로 떨어지게 배치될 수 있다.The antennas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in the range of 0.1 to 0.2 mm with the antenna pad.
상기 PCB 기판은 0.8 ~ 1.6mm 범위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The PCB substrate may have a thickness in the range of 0.8 ~ 1.6mm.
상기 테이프는 비전도성 재질의 테이프로 형성되고, 상기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 패드가 일정 간격 떨어지도록 상기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 패드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tape may be formed of a non-conductive material, and may be disposed between the antenna and the antenna pad such that the antenna and the antenna pa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인쇄층은 비전도성 재질의 잉크로 형성되고, 상기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 패드가 일정 간격 떨어지도록 상기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 패드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printed layer is formed of ink of a non-conductive material, and may be disposed between the antenna and the antenna pad so that the antenna and the antenna pa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안테나는 전력을 공급 받는 복수의 급전부; 상기 급전부 각각에 연결되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부; 상기 급전부 각각의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부에 의해 유기되는 전류가 우회하여 정합되도록 하는 연결 선로부; 상기 연결 선로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그라운드부; 상기 안테나 소자부 각각을 서로 브랜치 라인(Branch Line)을 통해 연결하여, 상기 급전부 각각을 통해 공급되는 상기 전력을 상기 안테나 소자부에 균등하게 배분하는 다이렉트 커플링부; 및 상기 안테나의 튜닝 및 성능 개선을 위해 상기 안테나 소자부 각각에 연결되는 복수의 매칭바를 포함할 수 있다.The antenna includes a plurality of feeders receiving power; A plurality of antenna element units connected to each of the feed units; A connection line part connecting each of the power feeding parts to bypass and match currents induced by the plurality of antenna element parts; A ground part extending from the connection line part; A direct coupling unit which connects each of the antenna element units to each other through a branch line, and evenly distributes the power supplied through each of the feed units to the antenna element unit; And a plurality of matching bars connected to each of the antenna element units to improve tuning and performance of the antenna.
상기 다이렉트 커플링부는 직선, 곡선, 또는 요철 중 어느 하나의 구조를 포함하는 임의의 기하학적 형태의 브랜치 라인을 통해, 선로 간의 커패시턴스(Capacitance) 값을 강화시킬 수 있다.
The direct coupling unit may enhance capacitance between lines through branch lines of any geometric shape including any one of a straight line, a curved line, and an uneven structure.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Specific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Advantages and / or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is capable of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PCB 기판 상에 안테나와 안테나 패드가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배치함으로써, 안테나와 안테나 패드 사이에 커플링이 일어나도록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enna and the antenna pad are arranged on the PCB substrate so as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coupling occurs between the antenna and the antenna pad.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 패드 안테나에 비해 게인 성능, 아이솔레이션 성능이 향상되었으며, 높은 주파수 회로 설계 시 안테나 피딩(Ant Feeding) 길이가 길어져 특성 구현이 어려운 제품 개발에 유리한 조건을 제공할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ain performance and isolation performance are improv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pad antenna, and antenna feeding length is increased when designing a high frequency circuit, which provides an advantageous condition for product development that is difficult to implement characteristics. can d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구조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구조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구조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적용되는 안테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기존 패드 안테나의 메인 안테나와 다이버시티 안테나의 동작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패드 안테나의 메인 안테나와 다이버시티 안테나의 동작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기존 패드 안테나의 전체적인 동작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패드 안테나의 전체적인 동작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hybrid structure diversity antenna using a coupl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hybrid structure diversity antenna using coupl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hybrid structure diversity antenna using a coupl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ntenna applied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diagrams illustrating operation characteristics of a main antenna and a diversity antenna of a conventional pad antenna.
7 and 8 are diagrams illustrating operation characteristics of a main antenna and a diversity antenna of a pad antenna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overall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a conventional pad antenna.
10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the pad antenna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구조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hybrid structure diversity antenna using a coupl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구조 다이버시티 안테나(100)는 PCB 기판(110), 안테나 패드(120), 및 안테나(13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a hybrid
상기 PCB 기판(110)은 다층 구조로 형성된다. 예컨대, 상기 PCB 기판(1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4개의 층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PCB 기판(110)은 0.8 ~ 1.6mm 범위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안테나 패드(120)는 상기 다층 구조의 PCB 기판(110) 사이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상기 안테나 패드(1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PCB 기판(110)의 상부로부터 첫 번째 층과 두 번째 층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The
이러한 안테나 패드(120)는 상기 안테나(130)와의 커플링을 위한 이격 거리를 고려하여, 상기 PCB 기판(110) 내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The
상기 안테나(130)는 상기 PCB 기판(110) 상에 배치되되, 상기 안테나 패드(120)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는 상기 안테나(130)와 상기 안테나 패드(120) 사이에 커플링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상기 안테나(130)는 상기 안테나 패드(120)와의 커플링을 위해 일정 간격 떨어지게 배치된다. 예를 들어, 상기 안테나(130)는 상기 안테나 패드(120)와 0.02 ~ 1.6mm 범위 내에서 서로 떨어지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테나 패드(120)와 0.1 ~ 0.2mm 범위 내에서 서로 떨어지게 배치될 수 있다.The
상기 안테나(130)와 상기 안테나 패드(120)가 0.02mm 미만으로 떨어져 배치되는 경우, 상기 안테나(130)와 상기 안테나 패드(120) 간에는 서로 접촉(Contact)이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테나(130)와 상기 안테나 패드(120)가 1.6mm를 초과하여 떨어져 배치되는 경우, 상기 안테나(130)와 상기 안테나 패드(120) 간에는 서로 커플링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When the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안테나(130)와 상기 안테나 패드(120) 간에 0.02 ~ 1.6mm 범위에서 적정한 이격 거리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안테나(130)는 상기 안테나 패드(120)와 0.2mm 떨어져 배치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Therefor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have an appropriat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구조 다이버시티 패드 안테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hybrid structure diversity pad antenna using coupl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구조 다이버시티 안테나(200)는 PCB 기판(210), 안테나 패드(220), 테이프(230) 및 안테나(24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hybrid
상기 PCB 기판(210)은 다층 구조로 형성된다. 예컨대, 상기 PCB 기판(2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4개의 층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PCB 기판(210)은 0.8mm ~ 1.6mm 범위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안테나 패드(220)는 상기 다층 구조의 PCB 기판(210) 상에 일부가 삽입되어 배치된다. 즉, 상기 안테나 패드(220)는 상기 다층 구조의 PCB 기판(210) 중 최상부 층의 위에 그 일부가 삽입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The
상기 테이프(230)는 상기 안테나 패드(220) 상에 부착된다. 이때, 상기 테이프(230)는 상기 안테나 패드(220)의 전면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안테나 패드(220)의 면적보다 큰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이러한 테이프(230)는 일면에 접착성 물질이 도포된 형태로 형성되고,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상기 안테나 패드(220) 위에 부착될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테이프(230)는 기계 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상기 안테나 패드(220) 위에 부착될 수도 있다.The
상기 테이프(230)는 비전도성 재질의 테이프로 형성되어 상기 안테나 패드(220)와 직접적으로 전기적 접촉(Contact)이 발생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이프(230)는 후술하는 안테나(240)와 상기 안테나 패드(2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안테나(240)와 상기 안테나 패드(220)가 일정 간격 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상기 안테나(240)는 상기 테이프(230) 상에 배치된다. 상기 안테나(240)는 상기 비전도성의 테이프(230)에 의해 상기 안테나 패드(220)와 일정 거리 이격됨으로써, 상기 안테나 패드(220)와 커플링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여기서, 상기 안테나(240)는 상기 안테나 패드(220)와 0.02 ~ 1.6mm 범위 내에서 서로 떨어지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테나 패드(220)와 0.1 ~ 0.2mm 범위 내에서 서로 떨어지게 배치될 수 있다.Here, the
상기 안테나(240)와 상기 안테나 패드(220)가 0.02mm 미만으로 떨어져 배치되는 경우, 상기 안테나(240)와 상기 안테나 패드(220) 간에는 서로 전기적으로 접촉(Contact)이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테나(240)와 상기 안테나 패드(220)가 0.4mm를 초과하여 떨어져 배치되는 경우, 상기 안테나(240)와 상기 안테나 패드(220) 간에는 서로 커플링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When the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안테나(240)와 상기 안테나 패드(220) 간에 0.02 ~ 1.6mm 범위의 이격 거리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곧 상기 테이프(230)의 두께가 0.02 ~ 0.4mm 범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Therefor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have a separation distance in the range of 0.02 to 1.6 mm between the
참고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테이프(230)는 0.1mm 두께의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안테나(240)는 상기 안테나 패드(220)와 0.1mm 떨어져 배치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For referenc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구조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hybrid structure diversity antenna using a coupl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구조 다이버시티 안테나(300)는 PCB 기판(310), 안테나 패드(320), 인쇄층(330) 및 안테나(34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3, a hybrid
상기 PCB 기판(310)은 다층 구조로 형성된다. 예컨대, 상기 PCB 기판(3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4개의 층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PCB 기판(310)은 0.8mm~ 1.6mm 범위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안테나 패드(320)는 상기 다층 구조의 PCB 기판(310) 상에 일부가 삽입되어 배치된다. 즉, 상기 안테나 패드(320)는 상기 다층 구조의 PCB 기판(310) 중 최상부 층의 위에 그 일부가 삽입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The
상기 인쇄층(330)는 상기 안테나 패드(320) 상에 인쇄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인쇄층(330)는 상기 안테나 패드(320)의 전면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안테나 패드(320)의 면적보다 큰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printed
상기 인쇄층(330)는 비전도성 재질의 잉크로 이루어져 상기 안테나 패드(320)와 직접적으로 전기적 접촉(Contact)이 발생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인쇄층(330)은 소정의 인쇄 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상기 안테나 패드(320) 위에 인쇄될 수 있다.The
상기 인쇄층(330)은 후술하는 안테나(340)와 상기 안테나 패드(3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안테나(340)와 상기 안테나 패드(320)가 일정 간격 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인쇄층(330)은 상기 안테나(340)와 상기 안테나 패드(320) 사이에 커플링 작용이 일어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printed
상기 안테나(340)는 상기 인쇄층(330) 상에 배치된다. 상기 안테나(340)는 상기 비전도성의 인쇄층(330)에 의해 상기 안테나 패드(320)와 일정 거리 이격됨으로써, 상기 안테나 패드(320)와 커플링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여기서, 상기 안테나(340)는 상기 안테나 패드(320)와 0.02 ~ 1.6mm 범위 내에서 서로 떨어지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테나 패드(320)와 0.1 ~ 0.2mm 범위 내에서 서로 떨어지게 배치될 수 있다.Here, the
상기 안테나(340)와 상기 안테나 패드(320)가 0.02mm 미만으로 떨어져 배치되는 경우, 상기 안테나(340)와 상기 안테나 패드(320) 간에는 서로 전기적으로 접촉(Contact)이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테나(340)와 상기 안테나 패드(320)가 1.6mm를 초과하여 떨어져 배치되는 경우, 상기 안테나(340)와 상기 안테나 패드(320) 간에는 서로 커플링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When the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안테나(340)와 상기 안테나 패드(320) 간에 0.02 ~ 0.4mm 범위의 적정 이격 거리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곧 상기 인쇄층(330)의 두께가 0.02 ~ 1.6mm 범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Therefor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참고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인쇄층(330)은 0.05mm 두께의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안테나(340)는 상기 안테나 패드(320)와 0.05mm 떨어져 배치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For referenc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nted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적용되는 안테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ntenna applied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적용되는 안테나(400)는 제1 및 제2 급전부(410, 420), 제1 및 제2 안테나 소자부(430, 440), 연결 선로부(450), 그라운드부(460), 다이렉트 커플링부(470), 및 제1 및 제2 매칭바(480, 49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4, the
상기 제1 급전부(410)는 도 1 내지 도 3의 안테나 패드(120, 220, 320)와 연결된 메인 포트를 통해 안테나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메인 포트를 통해 상기 안테나 회로부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는다.The
상기 제2 급전부(420)는 상기 안테나 패드와 연결된 다이버시티 포트를 통해 상기 안테나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다이버시티 포트를 통해 상기 안테나 회로부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는다.The
상기 제1 안테나 소자부(430)는 상기 제1 급전부(410)에 물리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 안테나 소자부(430)는 상기 제1 급전부(410)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아 메인 안테나 소자부로서 동작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안테나 소자부(430)는 미모(MIMO: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안테나로 동작하는 다이버시티 안테나 소자부(제2 안테나 소자부(140))와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다.The
상기 제2 안테나 소자부(440)는 상기 제2 급전부(420)에 물리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2 안테나 소자부(430)는 상기 제2 급전부(120)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아, 미모(MIMO) 안테나로 동작하는 다이버시티 안테나 소자부로서 동작할 수 있다.The second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 소자부(430, 440)는 서로 기하학적 대칭성을 가지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 소자부(430, 440)는 모든 통신 주파수를 사용 가능하며, 특히 와이맥스(Wi-Max), 엘티이(LTE), 와이브로(Wibro), 또는 와이파이(Wi-Fi) 및 모바일 중 적어도 둘 이상의 대역을 지원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상기 연결 선로부(450)는 상기 제1 급전부(410)와 상기 제2 급전부(420) 사이를 연결하여, 인접한 제1 및 제2 안테나 소자부(430, 440)에 의해 유기되는 전류가 우회하여 정합되도록 한다.The
이로써, 상기 연결 선로부(450)는 인접 배치된 제1 및 제2 안테나 소자부(430, 440) 사이의 격리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좁은 공간에 복수의 안테나가 밀집하여 배치되더라도 각 안테나의 성능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상기 연결 선로부(450)는 직선, 곡선, 요철 구조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기하학적 형태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격리 대역폭과 임피던스 대역폭을 나타내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상기 그라운드부(460)는 상기 연결 선로부(450)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그라운드부(460)는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 소자부(430, 440)를 접지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상기 다이렉트 커플링부(470)는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 소자부(430, 440)를 서로 브랜치 라인(Branch Line)을 통해 연결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다이렉트 커플링부(470)는 상기 제1 및 제2 급전부(410, 420)를 통해 공급되는 전류를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 소자부(430, 440)에 균등하게 배분하는 역할을 한다.The
상기 다이렉트 커플링부(470)는 직선, 곡선, 요철 구조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기하학적 형태의 브랜치 라인을 통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이렉트 커플링부(470)는 상기 다양한 형태의 브랜치 라인을 통해 선로 간의 커패시턴스(Capacitance) 값을 강화시킴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 소자부(430, 440)에 균등하게 전류를 배분할 수 있다.The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적용되는 안테나(400)는 기존 안테나에 비해 게인(Gain) 성능 및 아이솔레이션(Isolation) 성능이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하며 개발 기간 및 비용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멀티 안테나 적용 시 특성 개발에 유리한 조건을 제공할 수 있다.Therefore, the
상기 제1 및 제2 매칭바(480, 490)는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 소자부(430, 440) 각각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매칭바(480, 490)는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 소자부(430, 440) 각각과의 전기적 연결을 통해 상기 안테나(400)의 튜닝 및 성능 개선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matching bars 480 and 490 extend from the first and second
도 5 및 도 6은 기존 패드 안테나의 메인 안테나와 다이버시티 안테나의 동작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패드 안테나의 메인 안테나와 다이버시티 안테나의 동작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5 and 6 are diagrams illustrating operation characteristics of a main antenna and a diversity antenna of a conventional pad antenna, and FIGS. 7 and 8 illustrate operation characteristics of a main antenna and a diversity antenna of a pad antenna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iagram showing.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패드 안테나는 기존 패드 안테나에 비해서 메인 안테나 및 다이버시티 안테나의 동작 특성이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5 to 8, it can be seen that the pad antenna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improved ope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main antenna and the diversity antenna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pad antenna.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패드 안테나는 기존 패드 안테나에 비해 게인 성능, 아이솔레이션 성능이 향상되었으며, 높은 주파수 회로 설계 시 안테나 피딩(Ant Feeding) 길이가 길어져 특성 구현이 어려운 제품 개발에 유리한 조건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at is, the pad antenna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improved gain performance and isolation performanc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pad antenna, and has a favorable condition for product development that is difficult to implement due to a long antenna feeding length when designing a high frequency circuit. It can be seen that it has.
도 9는 기존 패드 안테나의 전체적인 동작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패드 안테나의 전체적인 동작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9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the conventional pad antenna, Figure 10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the pad antenna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패드 안테나는 2.5 ~ 2.7 GHz 범위의 주파수에 대해 약 -12 ~ -11 dB의 격리 특성을 보였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패드 안테나는 2.5 ~ 2.7 GHz 범위의 주파수에 대해 약 -16 ~ -12 dB의 격리 특성을 보였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패드 안테나는 높은 격리 특성을 보임을 알 수 있다.
As shown in FIG. 9 and FIG. 10, the conventional pad antenna has an isolation characteristic of about -12 to -11 dB for a frequency in the range of 2.5 to 2.7 GHz, and the pad antenna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2.5. Isolation characteristics of about -16 to -12 dB for frequencies ranging from 2.7 GHz.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pad antenna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high isolation characteristics.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Whil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so far,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claims below,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hich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odifications are possible.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only in accordance with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equivalents or equivalent variations thereof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210, 310: PCB 기판
120, 220, 320: 안테나 패드
130, 240, 340, 400: 안테나
230: 테이프
330: 인쇄층
410: 제1 급전부
420: 제2 급전부
430: 제1 안테나 소자부
440: 제2 안테나 소자부
450: 연결 선로부
460: 그라운드부
470: 다이렉트 커플링부
480: 제1 매칭바
490: 제2 매칭바110, 210, 310: PCB board
120, 220, 320: antenna pad
130, 240, 340, 400: antenna
230: tape
330: printed layer
410: first feeder
420: second feeder
430: first antenna element
440: second antenna element
450: connecting line part
460: ground portion
470: direct coupling part
480: First matching bar
490: second matching bar
Claims (10)
상기 다층 구조의 PCB 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안테나 패드; 및
상기 PCB 기판 상의 상기 안테나 패드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안테나 패드와의 커플링을 위해 일정 간격 떨어지게 배치되는 안테나
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는
전력을 공급 받는 복수의 급전부;
상기 급전부 각각에 연결되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부;
상기 급전부 각각의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부에 의해 유기되는 전류가 우회하여 정합되도록 하는 연결 선로부;
상기 연결 선로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그라운드부;
상기 안테나 소자부 각각을 서로 브랜치 라인(Branch Line)을 통해 연결하여, 상기 급전부 각각을 통해 공급되는 상기 전력을 상기 안테나 소자부에 균등하게 배분하는 다이렉트 커플링부; 및
상기 안테나의 튜닝 및 성능 개선을 위해 상기 안테나 소자부 각각에 연결되는 복수의 매칭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구조 다이버시티 안테나.
PCB substrate formed of a multilayer structure;
An antenna pad disposed between the multilayer PCB substrate; And
An antenna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antenna pad on the PCB substrat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for a coupling with the antenna pad;
Including,
The antenna is
A plurality of feeders receiving electric power;
A plurality of antenna element units connected to each of the feed units;
A connection line part connecting each of the power feeding parts to bypass and match currents induced by the plurality of antenna element parts;
A ground part extending from the connection line part;
A direct coupling unit which connects each of the antenna element units to each other through a branch line, and evenly distributes the power supplied through each of the feed units to the antenna element unit; And
A plurality of matching bars connected to each of the antenna element for improving the tuning and performance of the antenna
Hybrid structure diversity antenna using a coupling,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상기 다층 구조의 PCB 기판 상에 일부가 삽입되어 배치되는 안테나 패드;
상기 안테나 패드 상에 부착되는 테이프; 및
상기 안테나 패드와의 커플링을 위해 상기 테이프 상에 배치되는 안테나
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는
전력을 공급 받는 복수의 급전부;
상기 급전부 각각에 연결되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부;
상기 급전부 각각의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부에 의해 유기되는 전류가 우회하여 정합되도록 하는 연결 선로부;
상기 연결 선로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그라운드부;
상기 안테나 소자부 각각을 서로 브랜치 라인(Branch Line)을 통해 연결하여, 상기 급전부 각각을 통해 공급되는 상기 전력을 상기 안테나 소자부에 균등하게 배분하는 다이렉트 커플링부; 및
상기 안테나의 튜닝 및 성능 개선을 위해 상기 안테나 소자부 각각에 연결되는 복수의 매칭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구조 다이버시티 안테나.
PCB substrate formed of a multilayer structure;
An antenna pad in which a part is inserted and disposed on the multilayer PCB substrate;
A tape attached to the antenna pad; And
An antenna disposed on the tape for coupling with the antenna pad
Including,
The antenna is
A plurality of feeders receiving electric power;
A plurality of antenna element units connected to each of the feed units;
A connection line part connecting each of the power feeding parts to bypass and match currents induced by the plurality of antenna element parts;
A ground part extending from the connection line part;
A direct coupling unit which connects each of the antenna element units to each other through a branch line, and evenly distributes the power supplied through each of the feed units to the antenna element unit; And
A plurality of matching bars connected to each of the antenna element for improving the tuning and performance of the antenna
Hybrid structure diversity antenna using a coupling,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상기 다층 구조의 PCB 기판 상에 일부가 삽입되어 배치되는 안테나 패드;
상기 안테나 패드 상에 인쇄되는 인쇄층; 및
상기 안테나 패드와의 커플링을 위해 상기 인쇄층 상에 배치되는 안테나
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는
전력을 공급 받는 복수의 급전부;
상기 급전부 각각에 연결되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부;
상기 급전부 각각의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부에 의해 유기되는 전류가 우회하여 정합되도록 하는 연결 선로부;
상기 연결 선로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그라운드부;
상기 안테나 소자부 각각을 서로 브랜치 라인(Branch Line)을 통해 연결하여, 상기 급전부 각각을 통해 공급되는 상기 전력을 상기 안테나 소자부에 균등하게 배분하는 다이렉트 커플링부; 및
상기 안테나의 튜닝 및 성능 개선을 위해 상기 안테나 소자부 각각에 연결되는 복수의 매칭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구조 다이버시티 안테나.
PCB substrate formed of a multilayer structure;
An antenna pad in which a part is inserted and disposed on the multilayer PCB substrate;
A printed layer printed on the antenna pad; And
An antenna disposed on the printed layer for coupling with the antenna pad
Including,
The antenna is
A plurality of feeders receiving electric power;
A plurality of antenna element units connected to each of the feed units;
A connection line part connecting each of the power feeding parts to bypass and match currents induced by the plurality of antenna element parts;
A ground part extending from the connection line part;
A direct coupling unit which connects each of the antenna element units to each other through a branch line, and evenly distributes the power supplied through each of the feed units to the antenna element unit; And
A plurality of matching bars connected to each of the antenna element for improving the tuning and performance of the antenna
Hybrid structure diversity antenna using a coupling,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상기 안테나는
상기 안테나 패드와 0.02 ~ 1.6mm 범위 내에서 서로 떨어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구조 다이버시티 안테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antenna is
Hybrid structure diversity antenna using the coupl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antenna pad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in a range of 0.02 ~ 1.6mm.
상기 안테나는
상기 안테나 패드와 0.1 ~ 0.2mm 범위 내에서 서로 떨어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구조 다이버시티 안테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antenna is
Hybrid structure diversity antenna using the coupl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antenna pad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in the range of 0.1 ~ 0.2mm.
상기 PCB 기판은
0.8 ~ 1.6mm 범위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구조 다이버시티 안테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PCB board is
Hybrid structure diversity antenna using a coupling, characterized in that having a thickness in the range of 0.8 ~ 1.6mm.
상기 테이프는
비전도성 재질의 테이프로 형성되고, 상기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 패드가 일정 간격 떨어지도록 상기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 패드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구조 다이버시티 안테나.
The method of claim 2,
The tape is
And a hybrid structure diversity antenna using a coupling formed of a non-conductive material and disposed between the antenna and the antenna pad such that the antenna and the antenna pad are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인쇄층은
비전도성 재질의 잉크로 형성되고, 상기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 패드가 일정 간격 떨어지도록 상기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 패드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구조 다이버시티 안테나.
The method of claim 3,
The print layer is
The hybrid structure diversity antenna using a coupling formed of ink of a non-conductive material and disposed between the antenna and the antenna pad so that the antenna and the antenna pad are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interval.
상기 다이렉트 커플링부는
직선, 곡선, 또는 요철 중 어느 하나의 구조를 포함하는 임의의 기하학적 형태의 브랜치 라인을 통해, 선로 간의 커패시턴스(Capacitance) 값을 강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구조 다이버시티 안테나.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direct coupling part
A hybrid structure diversity antenna using a coupling, characterized in that a capacitance value between lines is strengthened through branch lines of any geometric shape including any one of a straight line, a curved line, or an uneven structure.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00131124A KR101168378B1 (en) | 2010-12-21 | 2010-12-21 | Hybrid diversity pad antenna using coupl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00131124A KR101168378B1 (en) | 2010-12-21 | 2010-12-21 | Hybrid diversity pad antenna using coupling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20069815A KR20120069815A (en) | 2012-06-29 |
| KR101168378B1 true KR101168378B1 (en) | 2012-07-24 |
Family
ID=46687802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00131124A Active KR101168378B1 (en) | 2010-12-21 | 2010-12-21 | Hybrid diversity pad antenna using coupling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168378B1 (en)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3069330A (en) | 2001-06-15 | 2003-03-07 | Hitachi Metals Ltd | Surface-mounted antenna and communication apparatus mounting the same |
-
2010
- 2010-12-21 KR KR1020100131124A patent/KR10116837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3069330A (en) | 2001-06-15 | 2003-03-07 | Hitachi Metals Ltd | Surface-mounted antenna and communication apparatus mount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20069815A (en) | 2012-06-29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0819013B2 (en) | Antenna structure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 same | |
| US10103449B2 (en) | Antenna array | |
| JP6607260B2 (en) | Antenna including an array of dual radiating elements and a power divider for wireless electronics | |
| KR101609665B1 (en) | Antenna of mobile communication station | |
| US8786497B2 (en) | High isolation multiband MIMO antenna system | |
| KR101293660B1 (en) | MIMO/diversity antenna with high isolation | |
| US7411554B2 (en) | MIMO antenna operable in multiband | |
| KR101217469B1 (en) | Multi-Input Multi-Output antenna with multi-band characteristic | |
| KR102138841B1 (en) | Antenna device | |
| KR101102650B1 (en) | MIO antennas for improved isolation | |
| CN110635238A (en) | Wireless electronic device | |
| US9954275B2 (en) |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antenna, system and mobile terminal | |
| US9577338B2 (en) | Antenna for achieving effects of MIMO antenna | |
| US10431876B2 (en) | Broadband antenna module for LTE | |
| CN114846695B (en) | Dual polarization antenna array | |
| KR101161207B1 (en) | Unified antenna for vehicle | |
| KR101173015B1 (en) | Mimo/diversity antenna improving isolation for the specific frequency band | |
| US10784592B2 (en) | Isolated ground for wireless device antenna | |
| KR101168378B1 (en) | Hybrid diversity pad antenna using coupling | |
| CN109586019B (en) | PCB coupling antenna structure and mobile terminal thereof | |
| JP6202746B2 (en) | MIMO antenna device | |
| KR101516418B1 (en) | A Tuneable Antenna System using the Tuneable coupling Antenna | |
| JP6865072B2 (en) | Antenna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n antenna device | |
| KR100922230B1 (en) | Multilayer antenna | |
| WO2009078677A1 (en) | Intenna having multi-layered dielectric for decreasing human-effect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 P16-X000 | Ip right document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6-nap-X000 |
|
| Q16-X000 | A copy of ip right certificate issu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6-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20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15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 P16-X000 | Ip right document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6-nap-X000 |
|
| Q16-X000 | A copy of ip right certificate issu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6-nap-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3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