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60261B1 -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Zapping Time in Digital Broadcasting Through Prediction of Channel Changing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Zapping Time in Digital Broadcasting Through Prediction of Channel Chang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0261B1
KR101160261B1 KR1020050056596A KR20050056596A KR101160261B1 KR 101160261 B1 KR101160261 B1 KR 101160261B1 KR 1020050056596 A KR1020050056596 A KR 1020050056596A KR 20050056596 A KR20050056596 A KR 20050056596A KR 101160261 B1 KR101160261 B1 KR 101160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preferred
channels
channel switching
curr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65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00925A (en
Inventor
박승권
김홍익
김태웅
김수경
임준순
신재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6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0261B1/en
Publication of KR20070000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092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0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0261B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4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fitting data in a restricted space on the screen, e.g. EPG data in a rectangular gr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3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 H04N21/4384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involving operations to reduce the access time, e.g. fast-tuning for reducing channel switching lat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defining user preferences, e.g. favourite actors or gen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 스트림 처리가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특정 채널로부터 다른 채널로 전환하는 빈도 성향을 파악하여 확률이 높은 채널들에 대해 미리 디코딩 하여 채널 전환 속도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채널 전환 예측을 통한 디지털 방송 채널 전환 시간 축소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현재 시청 채널로에서의 채널 전환 이력으로부터 현재 채널의 적어도 하나의 전환 선호 채널을 결정하고, 결정된 선호 채널들에 대해 OSD(On Screen Display) 형태의 화면 디스플레이를 수행하는 한편, 결정된 선호 채널들에 대한 디코딩 또한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선호 채널들을 쉽게 파악하고 채널 전환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capable of reducing the channel switching speed by identifying the frequency tendency of switching from one channel to another channel in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capable of multi-stream processing to decode the high probability channels in advance can reduce the channel switching speed. 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broadcast channel switching time, the method comprising: determining at least one switching preference channel of a current channel from a channel switching history in a current viewing channel, and displaying the on-screen display (OSD) type for the determined preferred channels. By performing the screen display, while also performing decoding on the determined preferred channels, the user can easily identify the preferred channels and reduce the time required for channel switching.

Description

채널 전환 예측을 통한 디지털 방송 채널 전환 시간 축소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Zapping Time in Digital Broadcasting Through Prediction of Channel Changing}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Zapping Time in Digital Broadcasting Through Prediction of Channel Changing}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시스템의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 1 is a block diagram of a digital broadcast receiving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호 채널 테이블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2 illustrates a preferred embodiment of a preferred channel tabl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호 채널 테이블을 OSD를 이용해 화면에 디스플레이 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3 is a view showing a mode of displaying a preferred channel table on a screen using an OS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별 선호 채널들을 OSD 형태로 디스플레이 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4 is a view illustrating a display of preferred channels for each user in OSD 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선호 채널을 위한 버튼을 추가한 경우의 디지털 방송 시청을 위한 사용자 입력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user input device for viewing digital broadcasting when a button for a favorite channel is add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선호 채널 전환 모드 상에서의 디지털 방송 수신 시스템의 동작 흐름을 나타낸 도면.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flow of a digital broadcast receiving system in a preferred channel switching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0 : 디지털 방송 수신 시스템 110 : 튜너100: digital broadcast receiving system 110: tuner

120 : 복조부 130 : 역다중화부120: demodulation unit 130: demultiplexer

140 : MPEG 디코더 150 : 그래픽 모듈140: MPEG decoder 150: graphics module

160 : 수신제한 처리부 170 : 제어부160: reception limit processing unit 170: control unit

180 : 저장부 200 : 선호 채널 테이블180: storage 200: preferred channel table

300 : 선호 채널용 OSD 510 : 선호 채널용 버튼300: OSD for favorite channel 510: Button for favorite channel

511 : 채널 전환용 버튼511: Channel switch button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에 있어서의 채널 전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멀티 스트림 처리가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특정 채널로부터 다른 채널로 전환하는 빈도 성향을 파악하여 확률이 높은 채널들에 대해 미리 디코딩하여 채널 전환 속도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채널 전환 예측을 통한 디지털 방송 채널 전환 시간 축소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channel switching in digital broadcasting. More specifically, in a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capable of multi-stream processing, the frequency propensity to switch from a specific channel to another channel is determined and decoded in advance for high probability channels. 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digital broadcast channel switching time through channel switching prediction for reducing channel switching speed are provided.

디지털 방송은 MPEG 부호화 규격 등에 근거하여 각 채널별 프로그램 데이터를 고능률로 압축하고, 각 전송 매체별 디지털 변조 방식에 근거해 다수의 채널에 대응하는 프로그램들을 다중화 하여 전송한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에서와 같이 다량의 중계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수십 내지 수백 개의 채널들을 방송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주파수 이용의 효율성을 대폭 향상시킴으로써 방송 채널 부족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Digital broadcasting compresses program data for each channel with high efficiency based on the MPEG encoding standard, and multiplexes and transmits program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channels based on a digital modulation method for each transmission medium. Due to this characteristic, digital broadcasting can broadcast dozens or hundreds of channels without using a large amount of repeaters as in analog broadcasting. In other words, digital broadcasting has the advantage of eliminating the shortage of broadcasting channels by significantly improving the efficiency of frequency use compared to analog broadcasting.

또한 전문 유료 방송, 양방향 서비스 방송 소프트웨어의 다원적 이용이 가능해져 방송 산업이 복합 미디어 산업으로 발전할 계기를 확보할 수 있는 이점도 지닌다. In addition, multi-use of professional paid broadcasting and interactive service broadcasting software is possible, which has the advantage that the broadcasting industry can be developed into a composite media industry.

이러한 여러 가지 이유들로 인해 디지털 방송은, 위성 방송을 필두로 한 케이블 및 지상파 방송까지 확대 실시되고 있으며, 차세대 방송 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For these reasons, digital broadcasting is being expanded to cable and terrestrial broadcasting, including satellite broadcasting, and is emerging as a next generation broadcasting technology.

디지털 방송이 가지는 여러 가지 장점에도 불구하고,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몇 가지 단점을 가짐을 인정할 수밖에 없는데, 그 중 하나가 채널 전환(또는 재핑(Zapping)) 시간이다. Despite the many advantages of digital broadcasting, it has to be acknowledged that there are some disadvantages compared to analog broadcasting, one of which is channel switching (or zapping) time.

채널 전환 시간이란 재핑을 시작한 시각부터 완전한 재핑이 이루어지기까지 소요된 시간을 말한다. 아날로그 방송에서는 채널 전환 시간이 거의 없는 데 반해, 디지털 방송에서는 1 내지 2 초의 채널 전환 시간이 발생한다. 1 내지 2초 정도의 시간이라고 하나, 아날로그 방송에 익숙한 시청자들에게는 상당히 큰 불만 사항으로 부각될 수 있다. Channel switching time refers to the time taken from the time of zapping to the complete zapping. In analog broadcasting, there is little channel switching time, whereas in digital broadcasting, a channel switching time of 1 to 2 seconds occurs. It's about a second or two, but it can be a big complaint for viewers who are used to analog broadcasting.

채널 전환 시간은 디지털 케이블, 지상파, 위성 방송을 막론하고 발생하는 데, 특히 디지털 케이블 방송의 경우에는 다른 방송 매체에 비해 더 취약한 채널 전환 시간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Channel switching time occurs regardless of digital cable, terrestrial and satellite broadcasting. In particular, digital cable broadcasting is known to have a weaker channel switching time than other broadcasting media.

현재 채널 전환 시간의 주요 원인으로는, 명령 처리(Command Processing), 망 지연(Network Delay), STB 계층 지연(STB Layer Delay), STB 지터 버퍼 지연(STB Jitter Buffer Delay), MPEG 디코더(MPEG Decoder) 시간 등을 꼽을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컨텐츠 보호를 위한 수신제한 장치(Conditional Access System)와 프로세스에서의 지연 시간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main causes of current channel switching time include command processing, network delay, STB layer delay, STB jitter buffer delay, and MPEG decoders. The time can be mentioned. Among them, the latency limit in the conditional access system and the process for the content protection was found to be a big factor.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다수 개의 방송정보 처리부 및 버퍼를 이용하여 멀티 스트림을 디코딩 할 수 있는 방송 수신 시스템을 생각해 볼 수 있으나, 모든 채널을 미리 디코딩 하여 버퍼에 저장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또 현재 제시되고 있는 방법 중 하나인 현재 시청하는 채널의 전후 채널만을 미리 디코딩 하는 방법은 채널 검색의 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As a solution to this problem, a broadcast reception system capable of decoding a multi-stream using a plurality of broadcast information processing units and buffers can be considered. However, there is a limit in decoding all channels in advance and storing them in a buffer. In addition, the method of pre-decoding only the front and rear channels of the currently viewed channel, which is one of the currently proposed methods, has a problem in that the efficiency of channel search is inferior.

여기서, 보다 효율적으로 채널 검색을 수행하고 그에 따라 채널 전환 시간을 축소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Here, a need arises for a method of performing channel search more efficiently and thus reducing channel switching time.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별 선호 채널을 파악해 OSD 형태로 디스플레이 함과 동시에 선호 채널에 대한 디코딩을 미리 수행하도록 하는 채널 전환 예측을 통한 디지털 방송 채널 전환 시간 축소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digital broadcast channel switching time through channel switching prediction for identifying a preferred channel for each user and displaying the same in OSD form and decoding the preferred channel in advance are provided.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i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채널 전환 예측을 통한 디지털 방송 채널 전환 시간 축소 방법은, 현재 시청 채널에서의 채널 전환 이력으로부터 현재 채널의 적어도 하나의 전환 선호 채널을 결정하는 단계와 결정된 선호 채널들에 대해 OSD(On Screen Display) 형태의 화면 디스플레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accordance with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reducing digital broadcast channel switching time through channel switching prediction may include determining at least one switching preference channel of a current channel from channel switching history in a current viewing channel, and determining determined preference channels. Performing a screen display in the form of an On Screen Display (OSD).

상기 디스플레이 수행 단계는 상기 결정된 선호 채널들에 대한 디코딩 수행 단계를 포함한다. The performing of the display includes performing decoding on the determined preferred channels.

상기 OSD 형태는 현재 채널을 중심으로 하여 적어도 하나의 선호 채널들이 방사형으로 위치한다. In the OSD form, at least one preferred channel is positioned radially with respect to the current channel.

상기 채널 전환 이력은, 사용자별 2차원 테이블의 형태로 관리되며, 상기 2차원 테이블은, 현재 채널을 중심으로 하여 결정된 선호 채널들이 상, 하, 좌, 우에 위치한다. The channel switching history is managed in the form of a user-specific two-dimensional table, and in the two-dimensional table, preferred channels determined based on the current channel are located on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sides.

상기 선호 채널 결정 단계는, 현재 채널로부터 목적 채널로 전환이 이루어진 시점부터 또 다른 채널로의 전환이 이루어지는 시점까지 목적 채널에 고정된 시간을 계산하고, 계산된 시간에 비례하도록 현재 채널에 대해 목적 채널이 가지는 선호 카운트를 설정하는 단계; 와 상기 현재 채널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목적 채널들이 가지는 선호 카운트에 따라 상기 목적 채널들을 순차적으로 배열하고,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수에 해당하는 상위 선호 채널들을 선호 채널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determining of the preferred channel may include calculating a fixed time for the target channel from the time point at which the current channel is switched to the destination channel to the time point at which the channel is switched to another channel, and for the current channel in proportion to the calculated time. Setting a preference count of the branch; And sequentially arranging the destination channels according to a preference count of at least one destination channel for the current channel, and determining upper preference channel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set by the manager as the preference channel.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채널 전환 예측을 통한 디지털 방송 채널 전환 시간 축소 장치는, 현재 시청 채널에서의 채널 전환 이력으로부터 현재 채널의 적어도 하나의 전환 선호 채널을 결정하고, 결정된 선호 채널들에 대해 OSD(On Screen Display) 형태의 화면 디스플레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In accordance with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pparatus for reducing digital broadcast channel switching time through channel switching prediction determines at least one switching preferred channel of a current channel from a channel switching history in a current viewing channel, and displays OSD for the determined preferred channels. (On Screen Display) includes a control unit for performing a screen display.

상기 채널 전환 예측을 통한 디지털 방송 채널 전환 시간 축소 장치는, 각 사용자별 채널 전환 기록에 관한 이력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pparatus for reducing digital broadcast channel switching time through the channel switching prediction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unit for storing a history of channel switching records for each user.

상기 장치는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된 선호 채널들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하는 디코더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선호 채널에 대한 OSD 형태의 디스플레이를 수행하는 그래픽 모듈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decoder configured to perform decoding on the displayed preferred channels, wherein the graphic module performs an OSD type display on the determined at least one preferred channel according to a command of the controller. It may further include.

한편, 상기 제어부는, 현재 채널로부터 목적 채널로 전환이 이루어진 시점부터 또 다른 채널로의 전환이 이루어지는 시점까지 목적 채널에 고정된 시간을 계산하고, 계산된 시간에 비례하도록 현재 채널에 대해 목적 채널이 가지는 선호 카운트를 설정하고, 상기 현재 채널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목적 채널들이 가지는 선호 카운트에 따라 상기 목적 채널들을 순차적으로 배열하고,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수에 해당하는 상위 선호 채널들을 선호 채널로 결정한다. Meanwhile, the controller calculates a fixed time for the target channel from the time point at which the current channel is switched to the destination channel to the time point at which the channel is switched to another channel, and the target channel is set for the current channel to be proportional to the calculated time. It sets the preference count, and sequentially arranges the destination channels according to the preference count of the at least one destination channel for the current channel, and determines the top preference channel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set by the administrator as the preferred channel.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채널 전환 예측을 통한 디지털 방송 채널 전환 시간 축소 장치는, 각 사용자별 채널 전환 이력을 저장하는 저장부, 역다중화를 거쳐 입력되는 신호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하는 디코더, 상기 디코더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는 그래픽 모듈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채널 전환 이력으로부터 현재 채널의 적어도 하나의 전환 선호 채널을 결정하고, 결정된 선호 채널들에 대해 디코딩을 수행하도록 상기 디코더를 제어하고, OSD(On Screen Display) 형태의 화면 디스플레이를 수행하도록 상기 그래픽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In accordance with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pparatus for reducing digital broadcast channel switching time through channel switching prediction includes a storage unit for storing a channel switching history for each user, a decoder for decoding a signal input through demultiplexing, and A graphic module for displaying a signal input through the decoder on the screen and the channel switching history stored in the storage unit determines at least one switching preference channel of the current channel, and controls the decoder to perform decoding on the determined preferred channels.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graphic module to perform an on-screen display (OSD) type screen display.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시스템은, 선호 채널로의 전환을 위한 명령을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 장치와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로부터 선호 채널 모드로의 진입이 선택된 경우, 현재 시청 채널로부터의 채널 전환 기록에 관한 이력으로부터 현재 채널의 적어도 하나의 전환 선호 채널을 결정하고, 결정된 선호 채널들에 대해 OSD(On Screen Display) 형태의 화면 디스플레이를 수행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igital broadcasting system, when a user input device for inputting a command for switching to a favorite channel and entry into the preferred channel mode from the user input device are selected, channel switching from the current viewing channel is selected. And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for determining at least one switching preference channel of the current channel from the history of recording, and performing a screen display in the form of an OSD on the determined preference channels.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는, 선호 채널 모드로의 진입 및 해제를 위한 선호 채널용 버튼과 상기 디스플레이 된 OSD 형태의 선호 채널들 중 하나로의 채널 전환 수행을 위한 채널 전환용 버튼을 포함한다. The user input device may include a button for channel switching for entering and releasing a favorite channel mode and a channel switch button for performing channel switching to one of the displayed favorite channels of the OSD typ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살펴보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시스템의 블록 구성을 나타낸다. 1 shows a block configuration of a digital broadcast receiving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디지털 방송 수신 시스템은, 아날로그 형태로 수신되는 방송 신호로부터 원하는 채널을 튜닝하는 튜너(110), 튜닝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복조(demodulate)하는 복조부(120)를 포함한다. 복조부(120)는 수신 제한 관련 데이터, 즉 키 정보 및 프로그램별 시청 권한 정보를 수신제한 처리부(160)로 전송한다. The digital broadcast reception system includes a tuner 110 for tuning a desired channel from a broadcast signal received in an analog form, and a demodulator 120 for demodulating the tuned analog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The demodulator 120 transmits the reception restriction related data, that is, the key information and the viewing authority information for each program, to the reception restriction processing unit 160.

수신제한 처리부(CAS : Conditional Access System)(160)는 가입자가 프로그램 채널을 선택하면, 프로그램별 시청 권한 정보에 따라 해당 가입자가 해당 프로그램 채널에 대한 시청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시청 권한이 있는 경우 키 정보에 따라 암호화된 방송 데이터가 복호(descramble) 되도록 한다. When the subscriber selects a program channel, the conditional access system (CAS) 160 checks whether the subscriber has the right to view the corresponding program channel according to the viewing right information for each program, In this case, the encrypted broadcast data is descrambled according to the key information.

수신제한 처리부(160)를 통해 복호된 신호를 수신한 역다중화부(130)는 디지털 신호 형태로 변환된 방송 데이터를 역다중화(demux)하여, MPEG 방식의 방송 데이터로 변환한다. 이 때, 역다중화부(130)로부터 출력되는 방송 데이터 중 비디오 데이터는 MPEG 2 형태가 되고, 오디오 데이터는 MPEG 1 형태가 된다.The demultiplexer 130, which has received the decoded signal through the reception limit processing unit 160, demultiplexes the broadcast data converted into the digital signal form and converts the broadcast data into the MPEG type broadcast data. At this time, video data of the broadcast data output from the demultiplexer 130 is in the MPEG 2 form, and audio data is in the MPEG 1 form.

MPEG 디코더(140)는 역다중화부(13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MPEG 방식에 따라 압축 해제하여 방송 신호로 변환하고, 그래픽 모듈(150)은 변환된 방송 신호를 디지털 TV에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조작한다. 조작된 방송 신호는 인코더(미도시)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 형태로 변환하여 디지털 TV로 전송된다.The MPEG decoder 140 decompresses the data output from the demultiplexer 130 into a broadcast signal by decompressing it according to the MPEG method, and the graphic module 150 manipulates the converted broadcast signal to be displayed on a digital TV. . The manipulated broadcast signal is converted into an analog signal form by an encoder (not shown) and transmitted to the digital TV.

한편, 제어부(170)는 MPEG 디코더(140), 그래픽 모듈(150), 수신제한 처리부(160) 등과 연동하고 있으며, 각 채널별 선호 채널 선정을 위한 알고리즘 수행 및 그 결과로 생성된 선호 채널 테이블을 저장부(180)에 저장한다. 또한, 저장된 선호 채널 테이블에 따라 현재 채널에서의 선호 채널들을 OSD 형태로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도록 그래픽 모듈(150)을 제어하고, 결정된 선호 채널들에 대해서 미리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도록 MPEG 디코더(14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선호 채널들이 디지털 TV 화면의 OSD 상에 현재 채널을 중심으로 하여 상, 하, 좌, 우로 배치되는 형상을 띠도록 그래픽 모듈(150)을 제어한다. Meanwhile, the controller 170 is interworking with the MPEG decoder 140, the graphics module 150, the reception limiting processor 160, and performs an algorithm for selecting a preferred channel for each channel and generates a preferred channel table generated as a result. Store in the storage unit 180. In addition, the MPEG module 140 may be controlled to display the preferred channels of the current channel on the screen in OSD form according to the stored preferred channel table, and to decode the determined preferred channels in advance. To control. In addition, the controller 170 controls the graphic module 150 such that the preferred channels have a shape arranged up, down,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current channel on the OSD of the digital TV screen.

저장부(180)는 사용자 별로 선호하는 채널을 저장한다. 사용자별 선호 채널의 저장 형태 중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구체적인 실시예는 2차원 테이블의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선호 채널 저장을 위한 2차원 테이블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The storage unit 180 stores a preferred channel for each user. A specific embodiment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among the storage forms of the preferred channel for each user may be represented in the form of a two-dimensional table. Details of the 2D table for storing the preferred channe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디지털 방송 수신 시스템은 상기 구성 요소 외에도 네트워크를 통하여 프로그램의 안내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digital broadcast reception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network interface for a function of receiving guide information of a program through a network in addition to the above components.

도 1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 주요 역할을 담당하는 것을 주로 하여 도시한 것뿐이며, 도시된 것 외에 여러 부가 기능 블록들이 추가될 수 있다. In FIG. 1, only the main ro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llustrated, and various additional function blocks may be added in addition to those illustrated.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호 채널 테이블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2 illustrates one preferred embodiment of a preferred channel tabl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선호 채널을 위한 테이블(200)은 사용자의 사용 이력에 따라 그 구성이 달라지게 되며, 초기부터 도 2와 같은 형태를 띠는 것은 아니다. 즉, 사용자에 의해 채널 전환이 이루어진 적이 없는 디지털 TV 사용 시작 시점에서는 채널을 가로 또는 세로로 순차적으로 배치하여 테이블(200)을 초기화한다. The configuration of the table 200 for the preferred channel varies depending on the user's usage history, and does not take the form of FIG. 2 from the beginning. That is, the table 200 is initialized by sequentially arranging channels horizontally or vertically at the start point of digital TV use in which channel switching has not been made by the user.

사용자의 채널 전환 이력이 축적되면서 선호 채널 테이블(200)의 구조가 변경되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채널을 중심으로 하여 현재 채널로부터의 전환 기록이 있는 모든 채널에 관한 리스트 중 상위 4번째까지의 채널을 현재 채널의 상, 하, 좌, 우에 배치한다. 사용자가 채널을 전환할 때마다 변경한 채널에 해당하는 선호 채널 4 가지도 변경되는 경우가 대부분일 것이므로, 선호 채널 테이블의 구조는 사용자의 채널 전환 시마다 수시로 변경될 것이다. As the channel change history of the user is accumulated, the structure of the preferred channel table 200 is changed. As shown in FIG. 2, the top 4 of the list of all channels having a change record from the current channel centered on the current channel are shown. Position the first channel up, down, left, and right of the current channel. Since four preferred channels corresponding to the changed channel are also changed every time the user switches channels, the structure of the preferred channel table will change every time the user switches channels.

현재 채널에서 전환 가능성이 높은 선호 채널들을 결정하는 방법을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자면 다음과 같다.The method of determining preferred channels that are highly convertible in the current channel is as follows.

예를 들어, 채널 1에서 채널 2로의 채널 전환이 발생한 경우를 생각해 보자. 채널 1에서 채널 2로의 전환이 이루어진 시점부터 채널 2로부터 다른 채널로의 전환이 이루어지기 전까지 채널 2에 고정된 시간을 계산하고, 계산된 시간이 길수록 선호 채널 결정을 위한 카운트를 증가시킨다. 이렇게 결정된 채널 2의 카운트는 채널 1의 선호 채널 리스트에서의 위치를 정하는 기준이 된다. 사용자가 디지털 TV를 사용하는 동안, 채널 1로부터 여러 채널로의 전환이 행해질 것이고, 다수의 채널들 각각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채널 1로부터의 전환 확률에 따른 카운트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일정 시간 사용 이력이 쌓이게 되면, 채널 1로부터 전환이 이루어질 확률이 많은 선호 채널을 위한 리스트가 작성되고 그 중 제일 큰 카운트를 가지는 4개의 채널이 채널 1의 선호 채널들로 결정된다.  For example, consider the case of channel switching from channel 1 to channel 2. The fixed time is calculated in channel 2 from the time point at which channel 1 is switched to channel 2 until the time is changed from channel 2 to another channel, and as the calculated time is longer, the count for determining a preferred channel is increased. The count of the channel 2 thus determined serves as a reference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in the channel 1's preferred channel list. While the user is using digital TV, switching from channel 1 to several channels will be done,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channels will have a count according to the switching probability from channel 1, as described above. In this way, when a certain period of use history is accumulated, a list for a preferred channel having a high probability of switching from channel 1 is prepared, and four channels having the largest count are determined as the channel 1 preference channel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호 채널 테이블을 OSD를 이용해 화면에 디스플레이 한 모습을 나타낸다. 3 shows a preferred channel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ed on the screen using the OSD.

도 3은 도 2의 선호 채널 테이블(200)을 디지털 TV 화면에 표시하는 하나의 형태로 OSD가 사용될 수 있음을 나타내고자 한 것이다. OSD(On Screen Display)는 디지털 방송에서 각 채널에 대한 안내 정보로 제공되는 것으로, 현재 채널의 방송 화면 위에 겹쳐지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3 illustrates that the OSD can be used as a form of displaying the preferred channel table 200 of FIG. 2 on a digital TV screen. On Screen Display (OSD) is provided as guide information for each channel in digital broadcasting, and may be provided in a form overlapping the broadcast screen of the current channel.

본 발명에 따른 선호 채널용 OSD(30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은 형태로 제공되는데, 디스플레이 형태가 선호 채널 테이블(200)의 형태를 그대로 차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현재 채널 99인 상태에서 선호 채널 테이블(200)의 주변을 살펴보면, 채널 99의 선호 채널이 채널 72, 채널 91, 채널 129, 채널 102임을 알 수 있다. 디지털 TV 화면상의 선호 채널용 OSD(300)는 현재 시청 채널 99가 MTV이고 현재 진행 중인 프로그램이 인기가요임을 알려주고 있다. 이와 함께, 채널 99의 선호 채널들에 대한 정보도 모두 표시해 주어 사용자가 전환할 확률이 높은 채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도 3을 살펴보면, 채널 72는 KBS 1로 현재 9시 뉴스가 방송되고 있고, 채널 91은 SBS로 현재는 토지가 방송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채널 129는 현재 오늘의 스포츠를 방송 중인 MBC임을, 채널 102는 스타리그를 방영 중인 온게임 넷임을 알려주고 있다. The preferred channel OSD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a form as shown in FIG. 3, and it can be seen that the display form borrows the form of the preferred channel table 200 as it is. As shown in FIG. 3, when looking at the periphery of the preferred channel table 200 in the current channel 99 state, it can be seen that the preferred channel of the channel 99 is channel 72, channel 91, channel 129, and channel 102. The OSD 300 for the preferred channel on the digital TV screen indicates that the current viewing channel 99 is MTV and the current program is popular. In addition, all the information on the preferred channels of the channel 99 is also displayed to provide information on channels that are more likely to be switched by the user. Referring to FIG. 3, it can be seen that channel 72 is currently broadcasting KBS 1 at 9:00, and channel 91 is broadcasting SBS at present. In addition, channel 129 is currently MBC broadcasting today's sports, and channel 102 is an on-game net that is broadcasting a star leagu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별 선호 채널들을 OSD 형태로 디스플레이 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4 is a view showing a display of preferred channels for each user in OSD 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별로 선호 채널들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도 2와 같은 선호 채널 테이블이 사용자별로 관리되어야 한다. 도 4는 선호 채널이 설정된 사용자가 여러 명인 경우에 있어서의 각각의 사용자에 대한 디지털 TV 화면상의 선호 채널용 OSD(301, 302)를 나타내고 있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 1의 경우, MTV로부터의 선호 채널은 KBS1, SBS, MBC, 온게임넷인 반면, 사용자 2의 경우에는 현재 채널이 사용자 1과 동일한 MTV라 하더라도 선호 채널이 iTV, SBS 스포츠, MBC, CGV로 사용자 1과는 상이한 것을 알 수 있다. 즉, 선호 채널은 사용자별, 현재 시청하고 있는 채널별로 구분되어 관리되어진다. In order to manage preferred channels for each user, the preferred channel table shown in FIG. 2 must be managed for each user. Fig. 4 shows the preferred channel OSDs 301 and 302 on the digital TV screen for each user in the case where there are several users whose preferred channels are set. As shown in FIG. 4, in the case of user 1, the preferred channels from MTV are KBS1, SBS, MBC, and on-gamenet, whereas in case of user 2, even if the current channel is the same MTV as user 1, preferred channels are iTV, SBS sports, It can be seen that MBC and CGV are different from User 1. That is, the preferred channel is managed by user and channel currently viewed.

한편, 선호 채널 모드가 아닌 일반 화면(400) 상에서는 보통 현재 채널의 앞/ 뒤 채널을 화면상의 OSD에 나타내 준다. 즉, 현재 시청 채널이 78인 경우, 시청 가능한 채널 중 78의 바로 앞에 위치하는 채널, 바로 뒤에 위치하는 채널이 현재 시청 채널의 좌, 우로 배치되어 표시된다. 즉, 일반 모드에서는 자신이 선호하는 채널과 상관없이 현재 채널과 관련된 순차적인 채널만을 디스플레이 해준다. On the other hand, on the normal screen 400 that is not the preferred channel mode, the front and rear channels of the current channel are usually displayed in the OSD on the screen. That is, when the current viewing channel is 78, the channel located immediately before 78 and the channel immediately following the viewable channel are arranged left and right of the current viewing channel. That is, in normal mode, only the sequential channels related to the current channel are displayed regardless of the channel that the user prefers.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선호 채널을 위한 버튼을 추가한 경우의 디지털 방송 시청을 위한 사용자 입력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5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a user input device for viewing digital broadcasting when a button for a favorite channel is add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가 리모콘과 같은 사용자 입력 장치(500) 상의 선호 채널용 버튼(510)을 선택하면 선호 채널 전환 모드로 진입하고, 일단 선호 채널 전환 모드로 진입하게 되면 사용자는 현재 채널에서 선호 채널로 결정되어진 4개의 채널로만 채널 전환이 가능하게 된다. 즉, 도 3과 같은 경우, 현재 채널 99인 상태에서 선호 채널용 버튼(510)을 누르고 선호 채널 전환 모드로 진입하게 되면, 현재 채널로부터 전환할 수 있는 채널이 채널 72, 채널 91, 채널 129, 채널 102로 제한된다. When the user selects the button 510 for the favorite channel on the user input device 500 such as a remote controller, the user enters the favorite channel switching mode, and once the user enters the favorite channel switching mode, the user determines the preferred channel from the current channel. Channel switching is possible with only two channels. That is, in the case of FIG. 3, when the button 510 for the preferred channel is pressed in the state of the current channel 99 and enters the preferred channel switching mode, channels 72, channel 91, channel 129, which can be switched from the current channel, are entered. Limited to channel 102.

전환하고자 하는 채널의 선택은 일반적인 사용자 입력 장치 상의 채널 전환 및 볼륨 조절 버튼을 이용해 구현할 수 있다. 일반 모드에서는 채널 전환 및 볼륨 조절에 사용되는 4개의 버튼이 선호 채널 전환이, 선호 채널 전환 모드에서는 채널 전환용 버튼(511)으로 사용되어지는 것이다. 이로써, 별도의 채널 전환용 버튼을 마련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이 있다. The channel to be switched can be selected by using a channel switch and a volume control button on a general user input device. In the normal mode, four buttons used for channel switching and volume control are used as the preferred channel switching, and in the preferred channel switching mode, the channel switching button 511 is used. As a result, there is a convenience in that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 separate channel switching button.

선호 채널에 따른 채널 전환을 위한 모드로의 진입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별도의 선호 채널용 버튼(510)을 마련하는 경우 외에도 사용자 입력 장치의 메뉴 버튼을 통해 일반 메뉴 내에서 다시 선호 채널을 선택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 경우에는 선호 채널 모드로의 진입에 몇 번의 선택 과정이 추가되므로, 도 2에서 제시하는 바와 같은 실시예가 사용자 편의성 차원에서는 보다 바람직한 형태라 할 수 있을 것이다. Entering the mode for channel switching according to the preferred channel, as shown in Figure 2, in addition to providing a separate favorite channel button 510 as shown in Figure 2 through the menu button of the user input device to select the preferred channel again in the general menu It can also be set to However, in this case, since a few selection processes are added to the entry into the preferred channel mode, the embodiment as shown in FIG. 2 may be more preferable in terms of user convenience.

도 2 내지 도 5에서 제시한 실시예에서는 선호 채널을 4개로 설정하고 있으나, 선호 채널이 반드시 4개일 필요는 없다. 본 실시예에서 4개의 선호 채널을 설정한 이유는 일반적인 리모콘의 볼륨 업-다운 버튼과 현재 채널의 앞 뒤 채널로의 전환을 위한 버튼이 모두 4개인 것을 이용해 기존의 리모콘의 형태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이 가장 쉽고 바람직한 형태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선호 채널을 2, 3개 혹은 5개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 또한 가능하며, 적절한 선호 채널 수를 선택하는 것은 시스템 관리자의 몫이다. In the embodiments shown in FIGS. 2 to 5, four preferred channels are set, but the four preferred channels are not necessarily four. The reason why four preferred channels are set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conventional remote controller by using a volume up-down button of a general remote controller and four buttons for switching to the front and rear channels of the current channel. This is the easiest and most desirable form to do. Therefore, it is also possible to set two, three or five or more preferred channels, and it is up to the system administrator to choose the appropriate number of preferred channels.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선호 채널 전환 모드 상에서의 디지털 방송 수신 시스템의 동작 흐름을 나타낸다.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digital broadcast reception system in a preferred channel switching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가 도 5의 사용자 입력 장치(500) 상의 선호 채널용 버튼(510)을 선택하고 선호 채널 전환 모드로 진입하고(S601) 사용자명을 입력하면, 제어부(170)는 저장부(180)에 저장된 해당 사용자용 선호 채널 테이블을 검색한다(S602). 제어부(170)는 저장부(180)로부터 가져온 선호 채널 테이블에서 현재 채널의 위치를 파악하고, 현재 채널의 상, 하, 좌, 우에 위치하는 선호 채널을 검색한다(S603). 선호 채널이 검색되면, 검색된 모든 채널에 대해 디코딩을 시작한다(S604). 그와 동시에 선호 채널을 OSD의 형태로 TV 화면에 디스플레이 한다(S605). 여기서, 단계 S604와 단계 S605는 도시의 편의상 순차적으로 배치한 것뿐이며, 그 순서가 상호 역전되어도 무방하여, 두 절차가 병렬적으로 진행되어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  When the user selects the button 510 for the preferred channel on the user input device 500 of FIG. 5 and enters the preferred channel switching mode (S601), and inputs a user name, the controller 170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80. The preferred channel table for the corresponding user is searched (S602). The controller 170 detects the position of the current channel in the preferred channel table obtained from the storage unit 180 and searches for the preferred channel located at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urrent channel (S603). If the preferred channel is found, decoding is started for all the found channels (S604). At the same time, the preferred channel is displayed on the TV screen in the form of OSD (S605). Here, steps S604 and S605 are merely arranged sequentially for the sake of illustration, and the order may be reversed, and the two procedures may proceed in parallel.

사용자가 OSD상에 디스플레이 된 선호 채널을 보고 하나의 채널로의 전환을 선택하면(S606), 제어부(170)는 다시 선호 채널 검색 단계(S603)로 돌아가 전환한 채널을 현재 채널로 하여 선호 채널을 파악하고, 파악된 선호 채널에 대한 디코딩 과정(S604)과 OSD 화면으로의 디스플레이 과정(S605)을 반복한다. When the user views the preferred channel displayed on the OSD and selects switching to one channel (S606), the controller 170 returns to the preferred channel search step (S603) and sets the preferred channel using the converted channel as the current channel. Then, the decoding process (S604) and the display process on the OSD screen (S605) for the identified preferred channel are repeated.

이러한 과정은 사용자가 선호 채널 전환 모드를 해제(S607)하기까지 반복되며, 사용자가 여러 명인 경우에는 채널 전환 여부에 대한 체크 뿐 아니라 사용자 변경에 대한 체크 단계가 추가되어야 할 것이다. 이 경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This process is repeated until the user releases the preferred channel switching mode (S607), and in the case of several users, a check step for changing the user as well as checking whether the channel is switched should be added. The description of this case will be omitted.

본 발명은, 사용자별 선호 채널을 OSD 형태로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 입력 장치의 버튼을 이용해 선호 채널로 이동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현재 채널에서의 선호 채널을 쉽게 파악하도록 함과 동시에 신속한 선호 채널로의 채널 전환을 수행케 하는 이점을 가진다. The present invention, by displaying the user-specific preferred channel in the OSD form and moving to the preferred channel by using the button of the user input device, the user can easily identify the preferred channel in the current channel and at the same time quickly switch the channel to the preferred channel Has the advantage of performing

Claims (16)

디지털 방송의 채널 전환 시간 축소 방법에 있어서,In the channel switching time reduction method of digital broadcasting, 현재 시청 채널에서의 채널 전환 이력으로부터 현재 채널의 적어도 하나의 전환 선호 채널을 결정하는 단계; 와Determining at least one transition preference channel of the current channel from the channel transition history in the current viewing channel; Wow 결정된 선호 채널들에 대해 OSD(On Screen Display) 형태의 화면 디스플레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Performing on-screen display in the form of an OSD on the determined preferred channels; 상기 디스플레이 수행 단계는, 상기 결정된 선호 채널들에 대한 디코딩 수행 단계를 포함하는 채널 전환 예측을 통한 디지털 방송 채널 전환 시간 축소 방법.The performing of the display includes performing decoding on the determined preferred channels.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OSD 형태는 현재 채널을 중심으로 하여 적어도 하나의 선호 채널들이 방사형으로 위치하는 채널 전환 예측을 통한 디지털 방송 채널 전환 시간 축소 방법.The OSD type is a method of reducing the digital broadcast channel switching time by channel switching prediction in which at least one preferred channel is located radially around the current channel.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채널 전환 이력은,The channel switching history is 사용자별 2차원 테이블의 형태로 관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전환 예측을 통한 디지털 방송 채널 전환 시간 축소 방법.A method for reducing digital broadcast channel switching time through channel switching prediction, which is managed in the form of a two-dimensional table for each user.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2차원 테이블은, The two-dimensional table, 현재 채널을 중심으로 하여 결정된 선호 채널들이 상, 하, 좌, 우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전환 예측을 통한 디지털 방송 채널 전환 시간 축소 방법.A method for reducing digital broadcast channel switching time through channel switching prediction, wherein the preferred channels determined based on the current channel are located at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sides.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선호 채널 결정 단계는, The preferred channel determination step, 현재 채널로부터 목적 채널로 전환이 이루어진 시점부터 또 다른 채널로의 전환이 이루어지는 시점까지 상기 목적 채널에 고정된 시간을 계산하고, 계산된 시간에 비례하도록 현재 채널에 대해 목적 채널이 가지는 선호 카운트를 설정하는 단계; 와Calculate the fixed time on the target channel from the current channel to the target channel to another channel, and set the preference count of the current channel to be proportional to the calculated time. Making; Wow 상기 현재 채널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목적 채널들이 가지는 선호 카운트에 따라 상기 목적 채널들을 순차적으로 배열하고,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수만큼의 상위 선호 채널들을 선호 채널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채널 전환 예측을 통한 디지털 방송 채널 전환 시간 축소 방법.Sequentially arranging the destination channels according to a preference count of at least one destination channel for the current channel, and determining as many channels as the preferred channel by the administrator as the preferred channel. How to reduce digital broadcast channel switching time. 디지털 방송의 채널 전환 시간 축소 장치에 있어서,In the apparatus for reducing channel switching time of digital broadcasting, 현재 시청 채널에서의 채널 전환 이력으로부터 현재 채널의 적어도 하나의 전환 선호 채널을 결정하고, 결정된 선호 채널들에 대해 OSD(On Screen Display) 형태의 화면 디스플레이를 수행하는 제어부; 및 A control unit which determines at least one switching preference channel of the current channel from the channel switching history in the current viewing channel, and performs an on-screen display (OSD) type display on the determined preferred channels; And 상기 디스플레이 된 선호 채널들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하는 디코더를 더 포함하는 채널 전환 예측을 통한 디지털 방송 채널 전환 시간 축소 장치.And a decoder configured to perform decoding on the displayed preferred channels. 제 7항에 있어서,8. The method of claim 7, 각 사용자별 채널 전환 이력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채널 전환 예측을 통한 디지털 방송 채널 전환 시간 축소 장치.The apparatus for reducing digital broadcast channel switching time through channel switching prediction further comprising a storage unit for storing a channel switching history for each user. 제 8항에 있어서,9.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채널 전환 이력은,The channel switching history is, 사용자별 2차원 테이블의 형태로 관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전환 예측을 통한 디지털 방송 채널 전환 시간 축소 장치.Device for reducing digital broadcast channel switching time through channel switching predi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is managed in the form of a two-dimensional table for each user. 제 9항에 있어서,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2차원 테이블은, The two-dimensional table, 현재 채널을 중심으로 하여 결정된 선호 채널들이 상, 하, 좌, 우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전환 예측을 통한 디지털 방송 채널 전환 시간 축소 장치.The apparatus for reducing digital broadcast channel switching time through channel switching prediction, wherein the preferred channels determined based on the current channel are located at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sides. 삭제delete 제 7항에 있어서,8. The method of claim 7, 상기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선호 채널에 대한 OSD 형태의 디스플레이를 수행하는 그래픽 모듈을 더 포함하는 채널 전환 예측을 통환 디지털 방송 채널 전환 시간 축소 장치. And a graphic module configured to display an OSD form of the determined at least one preferred channel according to a command of the controller. 제 7항에 있어서,8. The method of claim 7, 상기 제어부는, The control unit, 현재 채널로부터 목적 채널로 전환이 이루어진 시점부터 또 다른 채널로의 전환이 이루어지는 시점까지 목적 채널에 고정된 시간을 계산하고, 계산된 시간에 비례하도록 현재 채널에 대해 목적 채널이 가지는 선호 카운트를 설정하고, 상기 현재 채널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목적 채널들이 가지는 선호 카운트에 따라 상기 목적 채널들을 순차적으로 배열하고,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수에 해당하는 상위 선호 채널들을 선호 채널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전환 예측을 통한 디지털 방송 채널 전환 시간 축소 장치.Calculate the fixed time on the destination channel from the current channel to the destination channel transition to another channel, and set the preference count of the destination channel for the current channel to be proportional to the calculated time. And sequentially arranging the destination channels according to a preference count of at least one destination channel with respect to the current channel, and determining the upper preference channel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set by the manager as the preferred channel. Device for reducing the time of digital broadcast channel switching through the. 디지털 방송의 채널 전환 시간 축소 장치에 있어서,In the apparatus for reducing channel switching time of digital broadcasting, 각 사용자별 채널 전환 이력을 저장하는 저장부;A storage unit which stores a channel switching history for each user; 역다중화를 거쳐 입력되는 신호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하는 디코더;A decoder configured to decode a signal input through demultiplexing; 상기 디코더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는 그래픽 모듈; 및A graphic module for displaying a signal input through the decoder on a screen; And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채널 전환 이력으로부터 현재 채널의 적어도 하나의 전환 선호 채널을 결정하고, 결정된 선호 채널들에 대해 디코딩을 수행하도록 상기 디코더를 제어하고, OSD(On Screen Display) 형태의 화면 디스플레이를 수행하도록 상기 그래픽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채널 전환 예측을 통한 디지털 방송 채널 전환 시간 축소 장치.Determine at least one transition preference channel of the current channel from the channel transition history stored in the storage, control the decoder to perform decoding on the determined preference channels, and perform an on-screen display (OSD) type screen display.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graphics module to reduce the digital broadcasting channel switching time through channel switching prediction. 디지털 방송에 있어서,In digital broadcasting, 선호 채널로의 전환을 위한 명령을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 장치; 와A user input device for inputting a command for switching to a favorite channel; Wow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로부터 선호 채널 모드로의 진입이 선택된 경우, 현재 시청 채널로부터의 채널 전환 기록에 관한 이력으로부터 현재 채널의 적어도 하나의 전환 선호 채널을 결정하고, 결정된 선호 채널들에 대해 OSD(On Screen Display) 형태의 화면 디스플레이를 수행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를 포함하되, If entry into the preferred channel mode from the user input device is selected, at least one transition preference channel of the current channel is determined from a history of channel transition recording from the current viewing channel, and OSD (On Screen) for the determined preference channels is determined. Display) digital display receiving apparatus for performing a screen display of the form,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선호 채널들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하는 디코더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includes a decoder for decoding the displayed preferred channels. 제 1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는, The user input device, 선호 채널 모드로의 진입 및 해제를 위한 선호 채널용 버튼; 과A button for a favorite channel for entering and releasing a favorite channel mode; and 상기 디스플레이 된 OSD 형태의 선호 채널들 중 하나로의 채널 전환 수행을 위한 채널 전환용 버튼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And a channel switching button for performing channel switching to one of the displayed preferred channels of the OSD type.
KR1020050056596A 2005-06-28 2005-06-28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Zapping Time in Digital Broadcasting Through Prediction of Channel Changing Expired - Fee Related KR1011602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6596A KR101160261B1 (en) 2005-06-28 2005-06-28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Zapping Time in Digital Broadcasting Through Prediction of Channel Chang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6596A KR101160261B1 (en) 2005-06-28 2005-06-28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Zapping Time in Digital Broadcasting Through Prediction of Channel Chang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0925A KR20070000925A (en) 2007-01-03
KR101160261B1 true KR101160261B1 (en) 2012-06-26

Family

ID=37868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6596A Expired - Fee Related KR101160261B1 (en) 2005-06-28 2005-06-28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Zapping Time in Digital Broadcasting Through Prediction of Channel Chang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026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0331A (en) * 2007-01-26 2008-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Channel switching apparatus and method in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US20080263578A1 (en) * 2007-03-28 2008-10-23 Google Inc. Forecasting TV Impressions
KR101920646B1 (en) 2011-12-15 2018-11-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of streaming progressive video data based vision recogni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9771A (en) * 2001-10-10 2003-04-16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Displaying On Screen Display of Channel
KR20030059559A (en) * 2001-12-29 2003-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Television having multi-tuner and channel select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9771A (en) * 2001-10-10 2003-04-16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Displaying On Screen Display of Channel
KR20030059559A (en) * 2001-12-29 2003-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Television having multi-tuner and channel select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0925A (en) 2007-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14649B2 (en) Method of performing time-shift function and television receiver using the same
EP1796385B1 (en) Time-shift function
KR100747532B1 (en) Method for displaying the time shift progress bar and the broadcast receiver implementing the same
KR100793801B1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TV program guide
KR100710339B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its broadcasting information display method
US20090265739A1 (en) Method and system for channel selection in a digital broadcast reception terminal
US8839335B2 (en) Method of processing multi-mode service broadcast signal and digital television receiver using the same
US8646003B2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electronic program guide
KR10116026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Zapping Time in Digital Broadcasting Through Prediction of Channel Changing
EP1874049A2 (en) Method of controlling a television receiver and television receiver using the same
KR101019258B1 (en) Device and method for changing channel of digital TV
KR20080057925A (en) Channel switching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KR100659232B1 (en) Mosaic Phiji System and Method
KR100761172B1 (en) Channel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Image Display Equipment
KR100710265B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its broadcasting information display method
KR100785991B1 (en) How to edit memo using time shift in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equipped with HDD
KR10042610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n auxiliary mosaic EPG video in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EP1631077B1 (en) Digital multimedia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1242758B1 (en) Recording state checking method in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KR101194824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channel changing on digital broadcast system
KR100753110B1 (en) Set Top Box for Digital Broadcast Signal Processing
KR100248745B1 (en) How to operate menu screen of satellite broadcasting receiver
KR100747527B1 (en)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and data broadcasting expression method
KR20070002722A (en) Digital broadcasting channel switching time reduc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in mosaic EPS system
KR20120057673A (en) Display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7062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70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