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4954B1 - Wig craft - Google Patents
Wig craf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74954B1 KR101174954B1 KR1020090043453A KR20090043453A KR101174954B1 KR 101174954 B1 KR101174954 B1 KR 101174954B1 KR 1020090043453 A KR1020090043453 A KR 1020090043453A KR 20090043453 A KR20090043453 A KR 20090043453A KR 101174954 B1 KR101174954 B1 KR 10117495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wig
- wing
- present
- effec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16—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additional lift from hydrodynamic forces
- B63B1/18—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additional lift from hydrodynamic forces of hydroplane typ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V—AIR-CUSHION VEHICLES
- B60V1/00—Air-cushion
- B60V1/08—Air-cushion wherein the cushion is created during forward movement of the vehicle by ram effec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32—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 B63B1/322—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using aerodynamic elements, e.g. aerofoils producing a lifting for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B—LIGHTER-THAN AIR AIRCRAFT
- B64B1/00—Lighter-than-air aircraft
- B64B1/005—Arrangements for landing or taking-off, e.g. alighting gea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B—LIGHTER-THAN AIR AIRCRAFT
- B64B1/00—Lighter-than-air aircraft
- B64B1/06—Rigid airships; Semi-rigid airships
- B64B1/20—Rigid airships; Semi-rigid airships provided with wings or stabilising surfa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B—LIGHTER-THAN AIR AIRCRAFT
- B64B1/00—Lighter-than-air aircraft
- B64B1/68—Water flotation gea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3/00—Influencing air flow over aircraft surfa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23/06—Influencing air flow over aircraft surfa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generating vortices
- B64C23/065—Influencing air flow over aircraft surfa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generating vortices at the wing tips
- B64C23/069—Influencing air flow over aircraft surfa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generating vortices at the wing tips using one or more wing tip airfoil devices, e.g. winglets, splines, wing tip fences or raked wingti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5/00—Flying-boats; Seaplanes
- B64C35/001—Flying-boats; Seaplanes with means for increasing stability on the water
- B64C35/003—Flying-boats; Seaplanes with means for increasing stability on the water using auxiliary floats at the wing ti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5/00—Flying-boats; Seaplanes
- B64C35/006—Flying-boats; Seaplanes with lift generat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5/00—Flying-boats; Seaplanes
- B64C35/008—Amphibious sea pla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9—Asymmetrical aircr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체의 양측에 마련된 날개 및 상기 날개의 끝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플레이트를 포함함으로써, 선체의 운행 고도에 따라 지면효과 또는 유도항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그선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g ship,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und effect or induced drag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operating altitude of the hull by including wing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hull and a plate rotatably installed at the end of the w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위그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면효과와 운행의 안정성을 모두 고려하여 운행하거나 지면효과가 미비할 정도의 고도에서는 유도항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위그선에 대한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g l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wig line that can reduce induced drag at high altitudes in consideration of both the ground effect and the stability of the driving, or the ground effect is insufficient.
위그선은 수면 위에서 낮은 고도를 유지하며 뜬 상태에서 최고시속 550㎞까지 운행할 수 있는 초고속선으로, 일반 항공기나 선박과 비교할 때 수송 효율이 훨씬 높고 수륙양용으로 운행할 수도 있으며, 시속 100~550㎞의 빠른 속도를 낼 수 있어 일찍부터 차세대 해양 운송 수단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The Wig ship is a super high speed ship that can operate up to 550 km / h on the surface while maintaining low altitude above sea level.It is much more efficient and can be used for amphibious operations compared to general aircraft or ships. Its high speed has attracted attention as the next generation of marine transportation.
이때, 위그(WIG)는 영문의 'Wing In Ground'의 머리글자를 딴 것으로, 양력(揚力)이 급증하는 해면효과를 이용해 해수면 가까이 떠서 달리는 비행체, 즉 날아다니는 배라는 뜻에서 우리말로는 해면효과익선(海面效果翼船) 또는 줄여서 익선이라고도 한다.At this time, WIG is an acronym for 'Wing In Ground' in English, and it is a flying ship that floats near the sea surface using a rapidly rising sea effect, that is, a flying ship in Korean. (海面 效果 翼 船) or for short it is also called pterosaur.
즉, 위그선은, 물 위를 빠른 속도로 치고 나가는 초고속 선박 기술과 수면에 서 뜬 상태로 이동하는 항공 기술을 접목해 만든 첨단 선박으로, 배의 날개를 수면 가까이에 있게 해 날개 밑의 공기가 갇히는 해면효과가 일어나도록 함으로써 양력이 커지는 원리를 이용한다.In other words, the Wig ship is a high-tech ship that combines the high speed ship technology that hits the water at high speed and the aviation technology that floats on the surface of the water, and keeps the wing of the ship near the water and traps the air under the wing. Use the principle that lift is increased by causing the sponge effect to occur.
따라서 날개의 형상 및 구조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해면효과(항공학에서의 지면효과)를 최대한으로 끌어올리느냐를 결정한다. 따라서 오늘날 위그선의 날개의 형상 및 구조에 대하여 다양한 방안들이 모색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Therefore,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wing determines whether to maximize the sea surface effect (ground effect in aeronautical engineering). Therefore, various methods are being sought for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wing of the Wig ship today.
그 중에서도 날개의 일부를 수직하향시켜 물 속으로 들어가게 함으로써, 낮은 고도로 운행시 지면효과를 크게 올리는 방안이 모색되고 있는데, 낮은 고도에서 벗어나는 경우 이러한 날개의 구조는 오히려 위그선의 운행의 안정성을 해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Above all, some of the wings are vertically downward to enter the water, and a plan to increase the ground effect when driving at low altitudes is being sought, and when the altitudes are lowered, the structure of the wings would rather impair the stability of the operation of the wig line. There is a problem.
본 발명은, 날개의 일부를 변경하거나 새로운 구성요소를 추가함으로써 낮은 고도로 운행시 지면효과를 올리면서도 운행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위그선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g ship that can maintain the stability of the operation while increasing the ground effect when operating at low altitude by changing a portion of the wing or adding a new component.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above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위그선의 일실시예는, 선체의 양측에 마련된 날개 및 상기 날개의 끝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지면효과 또는 유도항력을 조절하는 플레이트를 포함한다.One embodiment of the wig w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technical problem as described above includes a wing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hull and a plate rotatably installed on the end of the wing to adjust the ground effect or induced dra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위그선의 일실시예는, 상기 날개의 끝단에 상기 선체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의 중심을 갖는 회전축이 마련되며, 상기 플레이트의 일단은 상기 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타단은 수직하방, 수직상방, 수평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wig w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rotary shaft having a center of rotation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hull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blade, one end of the plate is rotatably coupled to the rotary shaft The other end of the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dicates at least one direction of the vertical down, vertical up, horizontal direc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위그선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회전축에 수직되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단면이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Wig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section is formed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axis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axi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위그선의 일실시예는, 상기 플레이트의 타단이 수직하방을 지시하도록 조절함으로써, 지면효과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one embodiment of the wig w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increasing the ground effect by adjusting the other end of the plate to indicate the vertical dow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위그선의 일실시예는, 상기 플레이트의 타단이 수직상방 또는 수평방향을 지시하도록 조절함으로써, 유도항력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one embodiment of the wig w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reducing the induced drag by adjusting the other end of the plate to indicate the vertical upward or horizontal direc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위그선의 일실시예는, 상기 플레이트를 둘 이상 장착하여 각 플레이트의 타단의 지시방향을 달리함으로써, 지면효과 또는 유도항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wig w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mounting two or more plates, characterized in that by controlling the ground effect or induced drag by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other end of each plat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위그선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플레이트는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를 구비하되, 상기 제1플레이트의 일단 및 상기 제2플레이트의 일단은 동일한 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플레이트의 타단은 수평방향을 지시하며, 상기 제2플레이트의 타단은 수직하방을 지시함으로써, 유도항력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지면효과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wig w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te has a first plate and a second plate, one end of the first plate and one end of the second plate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ame axis of rotation, The other end of the first plate indicates a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plate indicates a vertical downward direction, thereby reducing induced drag and increasing ground effec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위그선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플레이트는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를 구비하되, 상기 제1플레이트의 일단 및 상기 제2플레이트의 일단은 동일한 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플레이트의 타단은 수직상방을 지시하며, 상기 제2플레이트의 타단은 수평방향을 지시함으로써, 유도항력을 감 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wig w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te has a first plate and a second plate, one end of the first plate and one end of the second plate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ame axis of rotation, The other end of the first plate indicates vertical upwards,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plate indicates a horizontal direction, thereby reducing induced drag.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위그선에 의하면, 날개의 끝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운행되는 고도에 맞추어 상기 플레이트의 배치를 달리함으로써, 지면효과와 운행의 안정성을 모두 고려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wig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by varying the arrangement of the plate in accordance with the altitude driven by using the plate rotatably installed on the end of the wing, both the ground effect and the stability of the operation can be consider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위그선에 의하면, 지면효과가 미비할 시에는 상기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유도항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Wig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ground effect is insufficien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induced drag can be reduced by using the plate.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In this process, the size or shap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위그선의 플레이트에 대하여 작동 상태별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 또는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위그선의 제1플레이트 및 제2플레이트에 대하여 작동 상태별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위그선의 플레이트의 다양한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a 또는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위그선의 플레이트의 다양한 형상을 도시한 단면도이다.1 to 3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plate of the Wig w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or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of the Wig w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operation state to be. 6A to 6C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various shapes of the plate of the wig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A or 7B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various shapes of the plate of the wig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위그선의 일 실시예는 선체의 양측에 마련된 날개(100) 및 상기 날개(100)의 끝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플레이트(2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s 1 to 7b, one embodiment of the wig w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날개(100)는 선체의 양측에 마련되는 것으로, 위그선이 운행될 때 수면 가까이에 위치함으로써,상기 날개(100) 밑의 공기를 가두어 수면효과를 일으킨다. 이때, 수면효과는 비행기에서의 지면효과(ground effect)와 같은 원리로서, 항력의 증가 없이 양력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즉, 위그선이 수면에 근접해서 낮은 고도로 운행하게 되면, 날개(100) 주위의 기류의 수직분력이 지면에 제한을 받기 때문에, 위그선 주의에 형성되는 3차원 기류경로가 변화를 일으켜 날개의 상향류(Up Wash), 하향류(Down Wash)와 익단와류(Vortex)를 변경시킨다. 특히, 하향류가 클수록 날개가 공기를 밑으로 밀어내기는 더 어려워지고 하향류가 작을수록 공기를 밑으로 밀어내기는 쉬우므로, 하향류가 감소되는 지면효과 내에서는 양력이 커지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wig line moves at a low altitude near the surface of the water, since the vertical component of the air flow around the
이러한 날개(100)의 형상은 전술한 바와 같은 효과를 발생시키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상을 갖더라도 무방하다. 다만, 선체의 균형을 위하여 양측에 마련되는 날개(100)는 서로 대칭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며, 후술할 플레이트(200)가 결합될 회전축(110)이 날개(100)의 끝단에 상기 선체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의 중심을 갖도록 마련된다.The shape of the
한편, 플레이트(200)는, 이러한 날개(100)의 효과를 증가시키거나 날개(100)가 갖는 유도항력을 줄여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날개(100)의 끝단에 마련된 회전축(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즉, 플레이트(200)의 일단은 회전축(1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플레이트(200)의 타단은 수직하방, 수직상방, 수평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을 지시한다.That is, one end of the
이때, 플레이트(200)의 타단의 지시방향은 본 발명에 따른 위그선의 운행타입에 의하여 결정된다.At this time, the direction of the other end of the
여기서 위그선의 운행타입은 크게 A, B, C 타입으로 나뉘는데, A타입은 지면효과 내에서 운행되는 형태로 낮은 고도를 계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을 말하고, B타입은 지면효과를 가지며 운행하다가 아주 짧은 순간 지면효과를 벗어나 150미터 이하의 고도에서 운행되는 것을 말하며, C타입은 지면효과를 가지며 운행하다가 지면효과를 완전히 벗어나 150미터 이상의 고도에서 운행되는 것을 말한다.Here, the Wig line's driving types are largely divided into A, B, and C types. A type is a type that operates within the ground effect, and maintains a low altitude continuously, while a B type has a ground effect and operates a very short moment. It means to operate at an altitude of less than 150 meters away from the effect, and type C is to operate at an altitude of more than 150 meters while having a ground effect and completely out of the ground effect.
이하에서는, 위그선의 운행타입과 플레이트(200)의 타단의 지시방향과의 상관 관계를 각 운행타입 별로 나누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unning type of the wig line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other end of the
위그선의 운행타입이 A타입인 경우에는, 플레이트(200)의 타단은 수직하방을 지시하여, 지면효과를 증가시킨다.When the running type of the wig line is A type, the other end of the
특히, 위그선은 선체가 수면 위로 완전히 떠오르기 전까지는 동체의 일부(hull)가 배와 같이 물속에 잠겨 hydrodynamic drag(hull drag, drag of wing, its flaps and end-plates)으로 인한 큰 항력을 갖게 된다.In particular, the Wig ship has a large drag due to hydrodynamic drag (hull drag, drag of wing, its flaps and end-plates) until the hull fully floats above the surface and the hull is submerged like a ship. .
그러므로 플레이트(200)의 타단을 수직하방을 지시함으로써 지면효과를 증가시키는 것은, 이러한 항력을 극복하기 위하여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Therefore, increasing the ground effect by pointing down the other end of the
이때, 플레이트(200)에 의한 양력의 증가(Cyep)는 다음과 같은 식들로부터 구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crease of lift (C yep ) by the
[식 1][Formula 1]
[식 2][Formula 2]
[식 3][Equation 3]
여기서, h는 고도, hep는 수직하방을 지시하는 플레이트(200)의 길이, λ는 플레이트(200)의 가로세로비를 의미한다.Here, h is the height, h ep is the length of the
즉, 수직하방을 지시하는 플레이트(200)의 길이의 크기(무차원)가 [식 1]과 같은 경우에, [식 2]를 이용하여 γep를 구하고, 이로부터 증가된 양력(Cyep)을 구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size (dimensionless) of the length of the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200)가 없는 경우를 나타내는 [식 4]를 이용하여 구한 Cy 와 비교함으로써, [식 5] 및 도 9에 도시된 그래프와 같이 수직하방을 지시하는 플레이트(200)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And by comparing with C y obtained using [Equation 4] showing the case where there is no
[식 4][Equation 4]
[식 5][Equation 5]
일 실시예로, h/λ=0.1, λ=1, hep/hλ=0.85이면, 양력의 비는 약 1.8이 된다. 즉, 수직하방을 지시하는 플레이트(200)에 의해 양력이 약 1.8배 늘어나게 된다. In one embodiment, if h / λ = 0.1, λ = 1, and h ep / h λ = 0.85, the lift ratio is about 1.8. That is, the lifting force is increased by about 1.8 times by the
한편, 위그선의 운행타입이 B타입 또는 C타입인 경우에는, 플레이트(200)의 타단은 수평방향 또는 수직상방을 지시하여, 위그선의 운행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유도항력을 감소시킨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running type of the Wig line is a B type or C type, the other end of the
즉, 위그선의 운행타입이 B타입 또는 C타입인 경우에는 플레이트(200)의 타단이 수직하방을 지시한다고 하더라도 지면효과에 의한 양력 증가의 효가가 미비하며, 오히려 운행의 안정성을 해치게 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플레이트(200)의 타단이 수평방향 또는 수직상방을 지시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날개의 길이가 길어지는 효과를 볼 수 있거나, 윙렛(winglet)에 의한 효과를 볼 수 있는 동시에 운행에도 안정성을 기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running type of the wig line is B type or C type, even if the other end of the
다시 말해서, 플레이트(200)의 타단은 수평방향을 지시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날개의 길이가 길어지는 효과를 볼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other end of the
이러한 날개의 길이가 길어지는 효과는 결과적으로 유도항력을 줄이는 효과를 가져오는데, 그 원리는 [식 6] 또는 [식 7]을 통해 알 수 있다.This effect of longer wings length results in the effect of reducing induced drag, the principle of which can be seen from [Equation 6] or [Equation 7].
[식 6][Equation 6]
[식 7][Equation 7]
[식 6]에서, λ는 날개(100)의 가로세로비를 나타내고, CL은 유도항력계수를 나타내는 한편, CDi는 유도항력(induced drag)을 나타낸다. 또한, [식 7]에서, ε은 유도각(induced angle)을 나타낸다.In Equation 6, λ represents the aspect ratio of the
따라서, 플레이트(200)의 타단이 수평방향을 지시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λ가 커지게 되고, 유도항력(CDi) 또는 유도각(ε)이 작아지게 된다.Therefore, when the other end of the
한편, 플레이트(200)의 타단이 수직상방을 지시하는 경우에는 윙렛(winglet)에 의한 효과를 볼 수 있다. 상기 윙렛에 의한 효과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항력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도 8은 비행기에 대하여 윙렛에 의한 효과를 도시한 것으로 날개의 좌우측을 비교하면 날개의 우측이 유도항력이 작음이 잘 나타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other end of the
이와 같은 작용을 하는 플레이트(200)는, 도 7a 또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10)에 수직되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단면이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된다. 이는 플레이트(200)의 형상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양력을 줄이기 위함이다.As shown in FIG. 7A or 7B, the
또한, 플레이트(200)는 항력을 줄일 수 있도록 타원형이나 대칭되는 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뿐만 아니라, 플레이트(200)는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200)의 크기를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때, 플레이트(200)의 크기를 작게 함으로써 구조적인 문제를 줄일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위그선의 일 실시예로, 플레이트(200)를 제1플레이트(210)와 제2플레이트(220)를 구비하여 각 플레이트의 타단의 지시방향을 달리함으로써, 지면효과 또는 유도항력을 복합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one embodiment of the wig w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플레이트(210)의 일단 및 상기 제2플레이트(220)의 일단은 동일한 회전축(1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플레이트(210)의 타단은 수평방향을 지시하며, 상기 제2플레이트(220)의 타단은 수직하방을 지시함으로써, 유도항력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지면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플레이트(200)의 위치는 위그선의 운행타입이 A타입 또는 B타입인 경우에 적합하다.That is, as shown in FIG. 4, one end of the
그러나 위그선의 운행타입이 B타입 또는 C타입으로 변경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1플레이트(210)와 제2플레이트(220)가 동시에 회전하여, 상기 제1플레이트(210)의 타단은 수직상방을 지시하며, 상기 제2플레이트(220)의 타단은 수평방향을 지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플레이트(210)와 제2플레이트(220)의 지시방향을 변경함으로써, 하나의 플레이트(200)를 이용할 때보다 유도항력을 더 많이 감소시킬 수 있다.However, in the case where the running type of the wig line is changed to the B type or the C type, the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 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illustrated in the drawing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by the matters set forth in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change and chang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various forms. Accordingly, such improvements and modifications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they ar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위그선의 플레이트에 대하여 작동 상태별로 도시한 단면도이다.1 to 3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plate of the wig w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또는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위그선의 제1플레이트 및 제2플레이트에 대하여 작동 상태별로 도시한 단면도이다.4 or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of the wig w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위그선의 플레이트의 다양한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6A to 6C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various shapes of the plate of the wig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a 또는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위그선의 플레이트의 다양한 형상을 도시한 단면도이다.7A or 7B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various shapes of the plate of the wig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비행기에 대하여 윙렛에 의한 효과를 도시한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8 is a front view and a plan view showing the effect of the winglet on the plane.
도 9는 본 발명에 다른 위그선의 수직하방을 지시하는 플레이트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9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the effect of the plate indicating the vertical down of the wig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0 : 날개 110 : 회전축100: wing 110: axis of rotation
200 : 플레이트200: plate
210 : 제1플레이트 220 : 제2플레이트210: first plate 220: second plate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90043453A KR101174954B1 (en) | 2009-05-19 | 2009-05-19 | Wig craf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90043453A KR101174954B1 (en) | 2009-05-19 | 2009-05-19 | Wig craft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00124447A KR20100124447A (en) | 2010-11-29 |
| KR101174954B1 true KR101174954B1 (en) | 2012-08-17 |
Family
ID=43408647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90043453A Expired - Fee Related KR101174954B1 (en) | 2009-05-19 | 2009-05-19 | Wig craft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174954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30079566A (en) | 2021-11-29 | 2023-06-07 | 정종찬 | WIG car ( Wing In Ground car )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6990918B2 (en) | 2003-04-05 | 2006-01-31 | Markie William J | Retractable airfoil vessel |
-
2009
- 2009-05-19 KR KR1020090043453A patent/KR101174954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6990918B2 (en) | 2003-04-05 | 2006-01-31 | Markie William J | Retractable airfoil vessel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30079566A (en) | 2021-11-29 | 2023-06-07 | 정종찬 | WIG car ( Wing In Ground car )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00124447A (en) | 2010-11-29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0441112B1 (en) | Trimaran type wig effect ship with small waterplane area | |
| US8115329B2 (en) | Water turbine with bi-symmetric airfoil | |
| RU2537218C2 (en) | System to up amphibian dihedral stability (versions) | |
| KR20110083998A (en) | Marine Duct | |
| US10711761B2 (en) | Hydrokinetic power source | |
| US20220212756A1 (en) | Retractable hydrofoil on vessel | |
| KR101205355B1 (en) | Rudder for vessel | |
| WO2014039636A1 (en) | Multicant winglets | |
| CN101161549A (en) | Rotor type ground effect aircraft | |
| KR101383823B1 (en) | The Fixed Type Fin stabilizer Utilizing the Coanda Effect | |
| KR101174954B1 (en) | Wig craft | |
| KR200463768Y1 (en) | A vessel | |
| CN202991336U (en) | Self-regulating water turbine device | |
| CN113247250B (en) | Ferry airship | |
| KR20120063246A (en) | Marine Duct Structure | |
| CN114851790B (en) | Drag-reducing flying wing structure of amphibious vehicle | |
| CN1182005C (en) | Effectively power-boosting ground effect aircraft | |
| JPH04502138A (en) | Asymmetric hydrofoil propulsion method and its equipment | |
| CN102933456A (en) | boat with adjustable panels at the bow | |
| CN106275302A (en) | A kind of double flute road water surface is combined speedboat | |
| US20120027526A1 (en) | Method and structure for reducing turbulence around and erosion of underwater structures | |
| KR102250863B1 (en) | WIG Ship | |
| KR100433598B1 (en) | Apparatus of a vertical pre-swirl for low-speed full ships | |
| RU2615585C1 (en) | Wing termination of amphibian aircraft or seaplane | |
| CN221394084U (en) | A new type of three-body hybrid wing water-air reconnaissance and surveillance amphibious aircraft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AMND | Amendment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AMND | Amendment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St.27 status event code: N-2-6-B10-B15-exm-PE0601 |
|
| PE0801 | Dismissal of amend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2-nap-PE0801 |
|
| AMND | Amendment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J0201 |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3-3-V10-V11-apl-PJ0201 |
|
| PB0901 |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St.27 status event code: A-6-3-E10-E12-rex-PB0901 |
|
| B701 | Decision to grant | ||
| PB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St.27 status event code: A-3-4-F10-F13-rex-PB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804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04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03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1081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1081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