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6411B1 - Cleaning device with function of checking defecation position for evacuating apparatus for pet - Google Patents
Cleaning device with function of checking defecation position for evacuating apparatus for pe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76411B1 KR101176411B1 KR1020120026371A KR20120026371A KR101176411B1 KR 101176411 B1 KR101176411 B1 KR 101176411B1 KR 1020120026371 A KR1020120026371 A KR 1020120026371A KR 20120026371 A KR20120026371 A KR 20120026371A KR 101176411 B1 KR101176411 B1 KR 10117641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et
- unit
- bowel
- injection
- defec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 Removal of manure from stabl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는, 복수의 통공을 구비하여 애완동물을 착지시키는 네트 및, 상기 네트를 지지하면서 애완동물의 배변을 수용하는 배변 받이와, 상기 배변 받이의 측부, 바닥부, 둘레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위치에 형성되어 배변 받이 내로 물을 분사하는 분사부 및, 애완동물의 중량을 감지하여 애완동물이 네트에 안착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중량 감지 센서와 애완동물의 배변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 센서로 이루어진 센서부를 포함하는 배변기; 상기 분사부에 연결된 공급관을 매개로 물을 공급하는 물탱크와, 상기 공급관의 분기 지점에 형성되어 상기 공급관을 개폐하는 체크 밸브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센서부의 감지 신호를 통해 애완동물의 배변 유무 및 배변 위치를 파악하여, 상기 배변 위치에 근접한 분사부를 선택하여 해당 분사부로 물이 공급되도록 상기 체크 밸브를 개폐 제어하는 컨트롤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Pet defecation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holes for landing the pet, a defecation receiving receiving the defecation of the pet while supporting the net, and the side, the bottom of the defecation receiving , The injection unit which is formed at one or more positions of the circumference and sprays water into the bowel support, and the weight detection sensor and the bowel position of the pet to detect whether the pet is seated on the net by detecting the weight of the pet A toilet including a sensor unit configured to detect a position sensor; A main body including a water tank supplying water through a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injection unit, and a check valve formed at a branch point of the supply pipe to open and close the supply pipe; And a controller for determining whether the pet is defecated and the defecation position through the detection signal of the sensor unit, selecting an injection unit close to the defecation position, and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heck valve to supply water to the injection unit. .
Description
본 발명은 배변 위치 확인 기능을 구비한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센서의 센싱에 의해 애완동물이 배변기 주변 또는 배변기에 위치한 지점을 포착하여 포착 지점 중심으로 물을 분사하여 배변기의 배변 지점을 근거로 청소를 수행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애완동물의 배변 후 주인의 음성을 출력하도록 하는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t toilet cleaning device having a bowel position determination function, and more specifically, by capturing the location of the pet around the toilet or the toilet by sensing the sensor to spray the water to the center of the capture point toile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t toilet cleaning device that can perform cleaning based on the bowel movement point of the dog and further output the voice of the owner after the pet's bowel movement.
애완동물을 위하여 배변기가 출시되었는바, 이는 한국 공개 특허 제 10-2008-0123970호, 한국 특허 제 751225호 등과 같은 기술들이 게시되어 있다.A toilet has been released for pets, which discloses technologies such as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8-0123970, Korean Patent No. 751225, and the like.
이러한 기술을 살펴보면, 애완동물이 착지하여 배변을 하는 네트와 배변을 수용하는 저장부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Looking at this technology, it can be seen that the pet is made up of a landing net for defecation and a storage unit for defecation.
그런데 애완동물이 주인의 의도와 달리 정확히 네트에 착지하여 배변을 하는 것이 아니라 배변기 주변에서 배변을 하여 배변기 주변이 더러워지는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되어 청소의 어려움과 위생적인 환경을 유지하는데 애로 사항이 있었다.However, unlike the owner's intention, the pets do not just land on the net and defecate. Instead, they have a problem of defecation around the toilet so that the toilet is dirty. .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배변기에 음식을 구비하거나 아니면 야광 물질을 설치하여 애완동물을 유도하는 기술이 게시되어 있지만, 번번이 음식물을 배변기에 설치하는 것이 쉽지 않을 뿐 아니라 더 나아가 야광 물질을 애완동물이 무시하는 경우도 많아 실질적인 해결 방식을 제시하지 못하였다.In order to prevent this, there is a technique for inducing pets by having food in the toilet or installing luminous material. However, it is not easy to install food on the toilet, and the pet ignores the luminous material. Many did not present a practical solution.
따라서 배변기에 정확히 배설을 하지 않은 경우 배변 지점을 타겟으로 청소를 수행할 뿐 아니라 배변기로 애완동물을 적절하게 유도하여 정확한 위치에서 배변을 하도록 하는 신규하고 진보한 배변기의 기술이 제시될 필요성이 대두되는 현실이다.
Therefore, when the defecation is not correctly excreted in the defecation, the necessity of presenting a new and advanced defecation technology that not only cleans the defecation point but also leads the pet to the defecation properly and defecates in the correct position is emerging. It is a reality.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애완동물의 배변 지점을 전자식으로 포착하여 해당 포착 지점을 중심으로 집중적으로 물을 분사하여 배변기 청소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배변기 청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above technology, to provide a toilet cleaning device for capturing the defecation point of the pet electronically to perform a toilet cleaning by spraying water intensively around the capture point. The main purpose is to.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물을 분사하는 분사 노즐이 회동될 수 있도록 하여 배변기 구석구석을 보다 청결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the spray nozzle for spraying water to be rotated to clean more every corner of the toile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애완동물의 배변 후 미리 녹음된 주인의 음성을 출력하여 애완동물의 심리적 안정감을 찾거나 보다 안정적인 배변을 촉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utput a voice of a pre-recorded owner after defecation of the pet to find a psychological stability of the pet or to promote more stable defecation.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배변이 이루어진 이후 청소를 주기적으로 시행하여 보다 깨끗하고 청결한 배변기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eriodically perform cleaning after the defecation is made to maintain a cleaner and cleaner toile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는, 복수의 통공을 구비하여 애완동물을 착지시키는 네트 및, 상기 네트를 지지하면서 애완동물의 배변을 수용하는 배변 받이와, 상기 배변 받이의 측부, 바닥부, 둘레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위치에 형성되어 배변 받이 내로 물을 분사하는 분사부 및, 애완동물의 중량을 감지하여 애완동물이 네트에 안착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중량 감지 센서와 애완동물의 배변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 센서로 이루어진 센서부를 포함하는 배변기; 상기 분사부에 연결된 공급관을 매개로 물을 공급하는 물탱크와, 상기 공급관의 분기 지점에 형성되어 상기 공급관을 개폐하는 체크 밸브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센서부의 감지 신호를 통해 애완동물의 배변 유무 및 배변 위치를 파악하여, 상기 배변 위치에 근접한 분사부를 선택하여 해당 분사부로 물이 공급되도록 상기 체크 밸브를 개폐 제어하는 컨트롤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toilet bowl cleaning device for pe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holes for landing the pet, and receiving the bowel movement of the pet while supporting the net, and the It is formed at any one or more of the side, bottom, and circumference of the defibrillation receiving unit for spraying water into the defecation receiving, and a weight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pet is seated on the net by detecting the weight of the pet A toilet including a sensor unit configured to detect a position of a pet in a position sensor; A main body including a water tank supplying water through a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injection unit, and a check valve formed at a branch point of the supply pipe to open and close the supply pipe; And a controller for determining whether the pet is defecated and the defecation position through the detection signal of the sensor unit, selecting an injection unit close to the defecation position, and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heck valve to supply water to the injection unit. .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체크 밸브의 개폐 상태를 파악하여 물 분사 여부를 판단하는 분사 확인부 및, 애완동물을 기르는 사용자의 음성을 수록한 음성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분사 확인부를 통해 물 분사가 이루어진 것을 판단한 이후 상기 음성 데이터베이스의 사용자 음성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출력부로 이루어진 음성 출력 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the injection confirmation unit to determine whether the water injection by checking the opening and closing state of the check valve, a voice database containing the voice of the user raising the pet, and the water injection is made through the injection confirmation unit And further comprising a voice output module configured to output a user voice of the voice database through a speaker after the determination.
더불어, 상기 분사부는, 각각의 모터 구동에 의해 상기 분사 노즐을 수평 회동시키는 수평 회동부와, 상기 분사 노즐을 수직 회동시키는 수직 회동부 및 분사 방향과 분사압을 제어하는 분사 노즐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센서부에서 판단한 배변 위치에 따라 상기 수평 회동부와 수직 회동부를 구동하는 각각의 모터의 회전수를 차등 제어하여 상기 분사 노즐을 분사각을 제어하는 분사 노즐 회동 제어 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jection unit further includes a horizontal rotating unit for horizontally rotating the injection nozzle by each motor driving, a vertical rotating unit for vertically rotating the injection nozzle, and an injection nozzle for controlling the injection direction and the injection pressure; The controller may further include: a spray nozzle rotation control module configured to control the spray angle of the spray nozzle by differentially controlling the rotation speeds of the respective motors driving the horizontal pivot unit and the vertical pivot unit according to the defecation position determined by the sensor uni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추가적으로, 상기 컨트롤러는, 단위 시간 기준으로 애완동물의 배변 시간과 배변 회수를 포함한 배변 패턴 정보를 생성하는 배변 패턴 정보 생성부 및, 상기 배변 패턴 정보에 따라 청소 주기를 차등 설정하여 청소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체크 밸브의 개폐 제어를 실행하는 배변주기 연동 청소부를 구비한 배변주기 별 자동 청소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ntroller may further include: a bowel patter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configured to generate bowel pattern information including a bowel time and a bowel movement time of the pet on a unit time basis, and generate a cleaning signal by differentially setting a cleaning period according to the bowel pattern information; And an automatic cleaning control module for each bowel cycle having a bowel movement interlocking cleaning unit for executing the opening and closing control of the check valve.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에 의하면,According to the pet toilet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배변 받이를 청소할 수 있는 분사부를 복수 개로 설치함과 동시에 애완동물의 배변 위치를 파악하여 해당 배변 위치를 중심으로 집중적으로 청소할 수 있도록 하여 배변기의 청결함과 물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1) It has the advantage of saving the cleanliness and water of the toilet by installing a plurality of spraying parts to clean the bowels, and at the same time grasping the location of the bowel of the pet to concentrate on the location of the bowel. ,
2) 애완동물의 배변 후 주인의 음성을 출력하여 편리하게 애완동물의 배변 습관을 학습시킬 수 있으며,2) After the pet's bowel movement, the owner's voice can be output to conveniently learn the bowel habit of the pet,
3) 배변 사이의 인터벌에 따라 중간 청소 주기를 설정하여 자동 청소를 수행함으로써 악취 제거 및 청결함을 강조할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3) Automatic cleaning is performed by setting an intermediate cleaning cycle according to the interval between bowel movements, thereby providing an effect that odor removal and cleanliness can be emphasiz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의 개략적인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에서 네트를 개방한 배변받이 및 본체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러의 구체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사 노즐이 회동식으로 형성된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컨트롤러의 먹이 공급 모듈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1 is a schematic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pet toilet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fecation receiving the net and a part of the main body in the toilet for cleaning toilet p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a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spray nozz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rotationally.
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feeding module of a controll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drawn to scale and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various drawings refer to like elements.
본 발명에서 애완동물은 가정 등에서 키우는 다양한 동물을 지칭하는 것으로 특정 동물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배변기에 올라와 배변을 할 수 있는 동물, 예를 들어 애완견 내지 고양이를 주요 대상으로 한다고 설명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et refers to various animals raised at home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animal. Preferably, the pet may be described as being a target animal, for example, a dog or a cat that can be defecated.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의 개략적인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에서 네트를 개방한 배변받이 및 본체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schematic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pet toilet bowl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fecation receiving the net and a part of the body in the pet toilet bowl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배변기 청소장치는 애완동물이 착지하여 배변을 보고 이 배변을 수집하는 배변기(100)와, 상기 배변기(100)에 청소용 물을 분사하는 본체(200) 및, 본체(200)에서 물을 분사하는 기능을 제어하는 컨트롤러(300)로 구성되어 있다.As can be seen from Figures 1 and 2, the toilet bowl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oilet landing to collect the bowel movements to see the bowel movements and the body to spray the cleaning water to the toilet (100) 200 and a
본 발명에 따른 배변기(100)는 애완동물의 배변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배변을 저장하고 본체(200)의 물을 받아 청소가 이루어지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애완동물이 안착되어 배변을 하는 곳인 네트(110)와, 애완동물의 배변을 임시 저장하는 배변 받이(120), 배변 받이의 둘레부 및 바닥부, 측부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 개로 형성되어 있는 분사부(130), 애완동물의 배변 상태 내지 배변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부(140)로 구성이 되어 있다.The toile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defecation of the pet is made and at the same time to store the bowel and receive the water of the
우선, 네트(110)는 공지의 배변기(100)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으로 복수 개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얇은 패널 형태로 이루어져 배변 받이(120)의 상부에 탈착 방식으로 장착이 되는 것이다.First, the
즉, 네트(110)는 애완동물이 올라와 배변을 할 수 있는 편평하고 넓은 공간을 제공함과 아울러 배변, 특히 소변이 배변 받이(120)로 전달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통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더불어, 배변 받이(120) 내의 배변을 수거하거나 청소하기 위하여 네트(110)는 배변 받이(120)에서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이 된다.That is, the
배변 받이(120)는 상기 네트(110)의 통공을 통해 애완동물의 배변(주로 소변)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네트(110) 하부에 일정한 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배변 및 후술할 본체(200)에서 분사되는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121)이 형성되어 있다.Bowel receiving 120 is to perform the function of storing the pet's bowel (mainly urine) through the through-hole of the
더불어, 배변 받이(120)는 레그(128)에 의해 바닥에서 지지가 되는데, 배출의 편의성을 위하여 배출공(129)이 형성된 지점으로 청소 후의 물이 적절히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공(129)이 형성된 측의 레그(128)가 다른 측의 레그보다 낮게 형성되어 배출공(128)으로 물이 모일 수 있도록 한다. 아니면 배변 받이(120)의 배변부를 깔때기 형상으로 구성하고 배출공(128)을 깔때기 형상의 배변부에 형성하여 이 지점으로 청소 후의 물이 집중되도록 한 다음 배출관(121)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분사부(130)는 본체(200)에서 공급된 물을 배변기(100)에 분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이러한 분사부(130)는 본체(200)와 접한 배변기(100)의 측부 또는 본체(200)에 배변기(100)가 접해 있는 일 측면, 배변 받이(120)의 측부 둘레 부위 중 복수의 지점(도 2에 도시), 배변 받이(120)의 바닥부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즉, 본 발명의 특성에 의하여 본체(200)의 물탱크(210)에 저장된 물을 효율적으로 절약함과 동시에 배변 지점에 보다 집중적인 청소를 수행할 수 있도록 물을 분사하는 분사부(130)가 배변 받이(120)의 여러 지점에 형성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That is, the
분사부(130)가 본체(200)의 측부(또는 배변 받이의 측부)에 형성된 경우는 애완동물이 네트(110) 상에서 배변하였을 때 네트(110) 및 배변 받이(120)의 거의 전반 부위를 청소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고, 분사부(130)가 배변 받이(120)의 바닥부에 형성된 경우는 네트(110)를 제외하고 배변 받이(120)의 내부 공간을 집중적으로 청소하기 위함이며, 분사부(130)가 배변 받이(120)의 측부 둘레에 형성된 경우는 애완동물이 네트(110) 상에 위치하지 못하고 네트(110)에 한 발을 걸쳤거나 아니면 네트(110) 주변에서 배변기(100)를 향해 배변을 한 경우 네트(110) 둘레 및 배변 받이(120)의 내측 둘레를 효율적으로 청소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는 것이다.When the
이러한 분사부(130)는 설치 위치에 관계없이 각각 공급관(150)을 통해 물탱크(210)와 연결이 되어 물을 공급받을 수 있는 기반을 가지고, 물탱크(210)는 각각의 분사부(130)에 1:1로 대응이 되어 복수 개로 설치되거나 아니면 체크밸브(220)에 의해 하나의 물탱크(210)에서 복수 개의 공급관(150)으로 분기될 수도 있다.The
분사부(130)가 복수 개로 형성이 되는 경우에는, 배변 받이(120)에서 물이 제대로 공급되지 않는 사각 지점이 발생하거나 애완동물이 배변한 위치와 상관없이 획일적인 지점에서 물을 공급하게 되어 물 낭비가 이루어지거나 청소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방지하는 기반을 제공한다.When the
또한, 분사부(130)는 분사 노즐(131)을 포함하는바 분사 노즐(131)은 특정 방향을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분사 방향이 세팅되어 있고 더 나아가 분사압도 결정할 수 있다. 즉, 분사 노즐(131)은 공급관(150)에서 분사부(130)로 진입한 물이 외부로 토출되는 단부 지점에 설치되어 분사 방향 내지 분사압을 조절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In addition, the
본 발명의 센서부(140)는 애완동물이 본 발명에 따른 청소 장치에 착지하거나 접근한 상태를 감지하는 것으로, 배변기(100) 일 측에 형성되며 도 1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본체(120)의 외부 일 측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센서부(140)는 중량 감지 센서(141)를 기본으로 하되 추가적으로 위치 감지 센서(142)를 포함할 수 있다.The
중량 감지 센서(141)는 네트(110)에 착지한 애완동물의 중량을 감지하는 것으로, 다시 말해 애완동물의 중량을 구체적으로 측정한다기보다 애완동물이 네트 상에 착지하였는지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이러한 중량 감지 센서(141)는 네트(110) 및 배변 받이(120)의 일 측(이 경우는 배변 받이(120)에 압박되는 네트(110)의 중량까지 포함하여 측정)에 형성되어 네트(110)에 착지한 애완동물의 존재를 감지하는바, 이 때 애완동물의 한 발만 네트(110)에 안착되거나 애완동물 신체 전체가 네트(110) 상에 올라온 경우를 모두 감지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는 중량 감지 센서(141)에서 유의미한 센싱 신호를 발생할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는 기준 중량을 어느 정도의 중량 수치에 세팅하는지 여부를 결정한 다음 이 기준 중량과 측정 중량을 비교하는 방식에 의해 실현할 수 있으며 중량 감지 센서(141)의 기준 중량을 사용자(주인)가 세팅할 수 있도록 하거나 아니면 특정값으로 초기 세팅을 한 상태에서 출시할 수도 있다.The
즉 중량 감지 센서(141)는 기준 중량보다 측정 중량이 큰 경우 일명 '네트 안착 정보'를 생성하여 후술할 컨트롤러(300)에 해당 네트 안착 정보의 발생 여부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at is, the
더불어, 중량 감지 센서(141)는 무게의 편중 현상, 즉 과압/감압 지점을 측정할 수도 있는바 다시 말해 애완동물이 네트(110)의 특정 지점에 안착하였을 때 해당 지점에 중량이 편중되기 때문에 애완동물의 네트(110) 상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과압/감압 지점 감지 기능도 겸비할 수 있고 이 경우 중량 감지 센서(141)는 배변 받이(120)의 바닥부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배변 받이(120)의 바닥부는 과압/감압 감지판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이러한 중량 감지 센서(141)는 네트(110) 상에 애완동물이 위치/안착하였는지 여부는 물론 더 나아가 네트(141) 상의 어느 지점에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이러한 정보를 컨트롤러(300)에 전송하는 역할을 담당한다.The
센서부(140)에 추가로 구비될 수 있는 위치 감지 센서(142)는 특정 물체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 내지 이격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 감지 센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카메라 내지 초음파 탐지 센서와 같은 것으로 구성이 될 수 있고, 배변기(100)의 외부 일 측 지점 또는 본체(200)의 일 측에 형성될 수 있다.The
이러한 위치 감지 센서(142)는 내부에 기 설정(기 저장)된 기준 거리 이내에 애완동물이 진입하여 애완동물이 머물러 있는 시간 정보까지 측정할 수 있는 것으로 다시 말해 애완동물이 배변기(100)에 근접한 다음 근접 시간을 측정하여 이를 기준 거리 및 기 저장된 기준 시간(즉, 배변 시간으로 인정할 수 있는 시간)과 비교한 다음 일명 근접 정보를 형성하여 이를 후술할 컨트롤러(30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즉, 이러한 위치 감지 센서(142)는 애완동물이 네트(110) 상에 안착하지 않고 배변기(100) 근처에서 배변기 방향으로 배변을 한 경우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현재 잘 알려진 근접 센서의 종류에 따라 근접 여부 및 근접 시간은 물론 근접 방향에 대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고, 기준 거리 및 기준 시간은 센서부(140)에 별도로 마련된 저장부 내지 컨트롤러(300)에 저장될 수 있다.That is, the
다시 말해, 이러한 센서부(140)는 애완동물이 배변기(100)에 안착하였는지 아니면 근접하였는지 여부 및 머무른 시간을 통해 애완동물이 배변을 하였는지 여부는 물론 어느 위치에서 배변을 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역할을 한다.In other words, the
더불어, 이러한 세부 구성을 포함한 배변기(100)는 본체(200)에 일체적으로 부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체(200) 및 배변기(100) 일 측에 마련된 결합부를 매개로 본체(200)에 탈부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다시 도 1,2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본체(200)는 물을 공급하는 물탱크(210)를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분사 기능을 제어하는 컨트롤러(300)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한 바, 본체의 외관 형상을 결정하는 하우징 내에 이러한 세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As can be seen again from Figures 1 and 2, the
본 발명의 물탱크(21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내에 장착되어 사용자(애완동물의 주인)가 물을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물탱크(210)를 본체에 구비하지 않고 별도의 체크밸브를 매개로 외부의 물 공급원(주로 수도관 내지 별도의 정수기)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필요 시(애완동물이 배변하였음을 감지한 경우)에 배변기(10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0) 내에 물탱크(210)가 구비된 경우에는 물탱크(210)가 배변기(100)의 분사부(130)와 공급관(150)을 매개로 연결이 되어 있고,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물탱크(210)는 복수의 분사부(130)와 1:1 로 매칭되어 복수 개로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나, 하나의 물탱크(210)에서 복수 개의 공급관(150)이 개별적으로 각각의 분사부(130)와 연결될 수 있으며 후자의 경우 공급관(150)의 각각의 분기 지점에 체크 밸브(220)를 구비하도록 한다.As shown in the figure, when the
체크 밸브(220)는 후술할 컨트롤러(300)의 제어에 의해 복수 개의 공급관(15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해당 공급관(150)에만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각각의 공급관(150)의 내경 부위를 개폐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현재 공지된 전자식 또는 기계식 체크 밸브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The
더불어 물탱크(220)와 공급관(150) 사이, 즉 물탱크(220)의 바닥 면에는 공지의 화장실 양변기에서와 같은 플러시 밸브(flush valve)(145)가 설치되어 물탱크에 저장된 물이 플러시 밸브(145)의 개방을 통해 공급관(150)으로 자연스럽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고, 플러시 밸브(145)의 개방은 센서부(140)에 의한 감지 여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고 이러한 플러시 밸브(140) 역시 공급관(150) 별로 복수 개로 형성이 될 수 있다.In addition, between the
도 2를 참조하면, 1개의 플러시 밸브(145)에서 하부로 배출된 물이 체크밸브(220)를 매개로 다수의 공급관(150)에 공급될 수 있는 것을 도시하였다. 이 때, 컨트롤러(300)가 구비된 컨트롤 박스에는 모터(미도시)가 내장되어 모터 구동에 의해 플러시 밸브(145)를 자동 개폐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water discharged downward from one flush valve 145 may be supplied to the plurality of
물탱크(210) 하측에는 이러한 다수의 공급관(150)이 지나갈 수 있는 공간인 공급관 수용부(215)를 구비하고 체크밸브(220)의 개폐 제어에 의하여 특정 공급관(150)으로만 물이 흐르도록 한다. The
공급관(150)을 따라 흐른 물은 배변 받이(120)에까지 이르러 브랜치 공급관(155)으로 분기될 수 있고, 이 브랜치 공급관(155)은 배변 받이(120)의 측벽 내지 바닥 면에 일정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된 스페이스(125)를 통해 연장되다가 분사부(130)까지 이르러 분사 노즐(131)을 통해 최종적으로 배변 받이 내부 공간(배변부)로 분사한다.The water flowing along the
이와 같이, 본체 내지 배변 받이에 복수 개로 마련된 분사 지점 중 애완동물의 배변 위치에 따라 분사 지점을 선택하여 자동으로 물 분사를 하여 배변 받이를 청소할 수 있어 오염 지점에 대한 보다 집중적인 청소가 이루어질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As such, by selecting the injection point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pet bowel position of the plurality of injection points provided in the body or the bowel movements can be automatically sprayed with water spraying to clean the bowel movements can be made more intensive cleaning of the contamination point Properties can be provided.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러의 구체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a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러(300)는 본체(200)의 상단에 형성된 컨트롤박스에 수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술한 센서부(140)의 신호를 입력받아 물탱크(210)와 공급관(150) 사이에 설치된 체크 밸브(220)의 개폐를 조절하는 제어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기본적으로 센서 신호 판단 모듈(310) 및 체크 밸브 제어 모듈(320)로 이루어져 있으며, 추가적으로 음성 출력 모듈(330), 자동 청소 제어 모듈(340) 및 배변 주기 별 자동 청소 제어 모듈(350)과 분사 노즐 회동 제어 모듈 및 먹이 공급 모듈을 포함한다.The
우선 센서 신호 판단 모듈(310)은 상기 센서부(140)에서 생성한 센서 신호를 전송받아 해당 센서 신호가 애완동물이 본 발명의 청소장치 자체 또는 이 주변에서 배변을 하였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First, the sensor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센서부(140) 자체에서 기준 데이터(기준 중량, 기준 거리)를 구비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센서부(140)는 센싱한 정보만을 센서 신호 판단 모듈(310)에 전송을 하고 이 센서 신호(즉, 측정 데이터)를 기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기준 데이터와 비교 처리하여 최종적으로 센서 신호 판단 모듈(310)에서 배변 여부를 판별하도록 한다.As mentioned above, the
특히, 센서 신호 판단 모듈(310)은 배변 자체 여부만을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중량 유무, 기준 거리와의 이격 거리 편차, 중량이 특정 부위에 쏠리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애완동물의 배변 위치를 판단하는 기능을 포함한다.In particular, the sensor
체크 밸브 제어 모듈(320)은 상기 센서 신호 판단 모듈(310)에서 애완동물이 배변을 함과 동시에 배변 위치를 판단하였을 때 해당 배변 위치 주변에 설치된 분사부(140)를 선택하여 해당 분사부(130)에 연결된 공급관의 개폐를 담당하는 체크밸브(220)를 개방하고 나머지 분사부(130)를 폐쇄 처리하여 해당 공급관(150) 및 분사부(140)에 물이 공급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When the check
즉, 체크 밸브 제어모듈(320)은 배변 위치에 가까운 분사부(130)를 선택하여 체크 밸브(220)의 개폐 제어를 통해 해당 분사부(130)로 물이 집중될 수 있도록 하며, 이 때 반드시 어느 하나의 분사부(130)에만 물이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2,3개와 같이 배변 위치에서 가까운 복수 개의 분사부(130)를 선택하여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That is, the check
음성 출력 모듈(330)은 분사 확인부(331), 음성 데이터베이스(332), 출력부(333)로 이루어지고 추가적으로 녹음부를 구비할 수 있는바, 즉 사용자(애완동물의 주인)의 육성을 녹음부에 의해 녹음을 직접 하거나 아니면 데이터 파일로 저장된 사용자 음성을 USB 등의 방식에 의해 저장한 음성 데이터베이스(332)를 구비하여 애완동물이 배변을 한 후 스피커를 구비한 출력부(333)를 통해 해당 사용자의 음성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분사 확인부(331)는 상기 분사부(130)에서 물이 분사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는 체크 밸브 제어모듈(320)과 연동되어 체크 밸브(220)가 개방된 시점을 인식한 다음 이로부터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출력부(333)에서 사용자의 음성을 출력하도록 한다.The
예를 들어, 애완동물이 배변한 다음 "잘했어!"와 같은 음성을 출력부(333)에서 출력하여 애완동물이 배변기(100)에 배변을 할 수 있는 학습 기능을 제공하고 아니면 배변기(100)에 근접한 상태를 센서부(130)에서 인식하고, 이 때 사용자의 음성을 출력부(333)로 출력하여 애완동물의 배변을 촉진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after the pet defecation outputs a voice such as "Good job!" From the
자동 청소 제어 모듈(340)은 배변 후 청소가 실행된 이후 장시간이 흘러 배변기(100)에 잔여 오물이 남거나 악취가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스위치 연동부(341), 자동 청소부(342)로 구성이 되어 있다.The automatic
스위치 연동부(341)는 사용자가 애완동물이 배변을 하지 않았을 때에도 배변기(100)의 별도 청소를 실행하기 위하여 본체(200)에 별도로 구비된 스위치를 누를 때 이 스위치와 연동이 되어 타이밍 신호를 발생한 다음 이를 자동 청소부(342)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자동 청소부(342)는 타이머를 구비하여 타이밍 신호를 받은 이후 일정 시간(예를 들어, 최종 청소 이후 1시간 경과)이 소요되었을 때 자동으로 청소 실행 신호를 생성하여 체크 밸브(220)를 개방 제어함으로 분사부(130)에 물이 공급되어 청소를 실행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배변주기 별 자동 청소 제어 모듈(350)은 애완동물의 배변 주기 별로 청소 주기를 자동으로 설정하여 분사부(130)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체크 밸브(220)를 개폐 제어하여 청소를 실행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배변 패턴 정보 생성부(351), 배변주기 연동 청소부(352)로 구성이 되어 있다.Automatic
즉, 배변주기 별 자동 청소모듈(350)은 애완동물이 배변을 한 정도와 빈도에 따라서 청소주기를 설정하도록 한 것으로 예를 들어 배변주기가 잦은 경우에는 물탱크(210)에 저장된 물의 순환이 그만큼 빠를 것이기 때문에 배변주기가 낮은 경우보다 배변주기가 길어져도 무방하다는 이유에 따른 것이다.That is, the
배변 패턴 정보 생성부(351)는 단위 시간을 기준으로 상기 체크밸브 제어 모듈(320)에서 체크 밸브(220)의 회수와 시간대를 수록한 일명 '배변 패턴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defecation pattern
즉, 배변 패턴 정보는 배변 시간은 물론 특정 단위 시간(1시간, 1일 단위) 이내 배변을 한 회수, 최종적으로 배변이 이루어진 시간 등의 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the defecation pattern information may record not only the defecation time, but also information such as the number of times the defecation has been performed within a specific unit time (1 hour, 1 day unit), the time when the defecation was finally made.
배변주기 연동 청소부(352)는 상기 배변 패턴 정보에 따라 청소 주기를 차등 설정하여 분사부(130)에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체크 밸브(220)를 개폐 제어하는 기능을 제공하는바, 예를 들어 배변패턴 정보에서 1일 7회로 배변을 한 경우 1일 단위로 2회 청소, 1일 5회 배변한 경우에는 1일 단위로 3회 청소, 2일 1회로서 배변을 한 경우 1일 단위로 1회 청소와 같이 단위 시간 별로 배변 회수의 고저에 따라 청소 주기를 차등 설정하여 청소 주기 별로 배변 받이(120)를 청소할 수 있도록 체크 밸브(220)를 개폐 제어한다. 이 때, 분사부(130)는 특정 분사부(130)를 지정하거나 아니면 순환식으로 분사부(130)의 순번을 설정하여 순번별로 분사부(130)를 선택하여 선택된 분사부(130)에 물이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bowel movement
즉,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사용자가 반드시 스위치를 누르는 것과 같은 수동식 방법을 취하지 않아도 일정 주기 내지 청소 시간 경과 여부, 배변 회수에 따라서 자동으로 청소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편의성을 제공한다.
That is, 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even if a user does not necessarily take a manual method such as pressing a switch, it provides convenience for automatically cleaning according to whether a certain period or cleaning time has elapsed and the number of bowel movements.
분사 노즐 회동 제어 모듈(360)은 상기 분사부(130)의 분사 노즐(131)의 회동각을 제어하는 기능을 담당하는바, 이 때 분사부(130)는 분사 노즐(131)을 회동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해야 하는 전제가 따르고 이는 도 4에서 설명되어 있다.
The injection nozzl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사 노즐이 회동식으로 형성된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spray nozz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be pivotal.
상술한 바와 같이 분사 노즐(131)에 의하여 물의 분사 방향과 분사압이 세팅된 상태에서 배변 받이(120) 내 특정 부위에 물을 토출할 수도 있으나, 수압을 우선적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분사각을 좁혀 수압을 높인 다음 분사 노즐(131)이 회동되도록 하여 높은 수압을 제공하면서도 배변 받이(120) 부위에서 보다 넓은 내부 부위를 청소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water may be discharged to a specific portion of the
이를 위해, 도 4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분사부(130)에서 분사노즐(131)로 연결된 공급관(150)(브랜치 공급관(155)일 수 있음)에는 수평 회동부(160)와 수직 회동부(170)가 커버되어 있다. 즉, 주로 고무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공급관(150)을 이보다 강한 재질로 이루어진 수평 회동부(160)와 수직 회동부(170)가 감싸고 있어 이들의 회동에 의하여 더불어 공급관(150)이 회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To this end, as can be seen from Figure 4 in the
분사 노즐(131)이 장착된 공급관(150) 측은 다른 공급관(150) 상에서 수평축으로 회동 가능한 수평 회동부(160)와 수직축으로 회동 가능한 수직 회동부(170)에 의하여 수평 방향 기준으로 설치 각도를 변경할 수가 있음과 더불어 수직 방향으로 일정 각 회동 가능한 특성을 갖게 되고, 결과적으로 분사 노즐(131) 역시 수평 및 수직 회동을 하게 된다.The
하기에서는 브라켓(180)에 연결된 상태를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브라켓(180)에 의해 연결부(175)와 수직 회동부(17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이 브라켓은 배변 받이(120)에서 분사 지점으로 설정된 일 측에 부착되어 있는 것이 가능하다.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state connected to the
수직 회동부(170)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이 되어 있는 상태를 가지는 힌지와 유사한 개념이라 할 수 있으나, 공지의 힌지와 달리 자연적인 힘에 의하여 회동 상태를 가지는 것이 아니라 반드시 구동 모터의 회전에 의해서만 회전될 수 있도록 브라켓(180)과의 연결 부위에 스토퍼(stopper)를 구비할 수 있고 마찰계수를 증가하도록 하는 구성(가령, 브라켓 주변에 마련된 미세 돌기와, 이 미세 돌기와 요철 결합을 하는 수평 회동부 주변에 마련된 홈과 같은 구성)로서 설치할 수가 있다. 이는 자연적인 힘(예를 들어 중력 등)에 의하여 불필요하게 공급관(150) 내지 분사 노즐(131)이 회전이 되는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The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수직 회동부(170)는 구동 모터(정밀 회전 제어를 위한 스텝 모터 등)와 연결이 되어 구동 모터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됨으로 이에 연결되어 있는 분사 노즐(131)을 수평 기준에서 일정 각을 가지고 회동을 시키게 된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vertical
더불어, 수직 회동부(160)의 일 측에서는 공급관(150)의 내부 연장 공간과 평행하게 수직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수평 회동부(160)와 연결되어 있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수평 회동부(160)는 공급관(150)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수평 회동부(160)의 구동을 위해 마련된 구동 모터와 별개의 모터(미도시)에 연결되어 이 모터의 회전에 의하여 수평 회동부(160)를 수평 방향 기준으로 회동시킨다.The horizontal
이로 인하여, 공급관(150)의 일부는 수평 회동부(160)의 회동에 따라 평면을 기준으로 하여 이론적으로 360도 회동이 가능하고, 결과적으로 공급관(150)과 연결되어 있는 분사 노즐(131) 역시 그러하다.For this reason, a part of the
이 때, 수평 회동부(160)와 수직 회동부(170)는 공지의 기계 부품인 유니버셜 조인트를 통해 구현하는 것도 가능한바, 예를 들어 공급관(150)의 일부에 유니버셜 조인트를 장착하고 이 주변 부위를 실링 처리하여 물이 새어나가지 않도록 한 다음 이러한 유니버설 조인트에 회전력을 직접 전달할 수 있는 별도의 구동 모터를 적어도 2개 장착(별도 샤프트를 매개로 구동 모터와 연결하는 것 내지 수평 회동부의 양 측부 중 어느 하나의 측부에 기어를 구비하고 이에 접하는 동력 전달 기어를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시키는 것도 가능)하여 분사 노즐(131)이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horizontal
이와 같이, 분사 노즐(131)을 수직/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가 있기 때문에, 분사 노즐(131)을 통해 물이 분사될 때 모터의 회전속도와 RPM을 조절하여 분사 노즐(131)의 회동각 내지 회동 패턴을 자유로이 설정하여 배변 받이(120)의 구석구석 내부 또는 보다 넓은 부위를 청소할 수 있도록 하는 특성을 제공하고, 이로써 분사 노즐(131)의 분사각을 좁게 설정하여 분사압을 강하게 하면서도 배변 받이(120)의 내부 전체 내지 상대적으로 넓은 부위를 청소할 수 있도록 하는 특성을 부여한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다시 도 3의 분사 노즐 회동 제어 모듈(360)을 설명하면, 이러한 분사 노즐 회동 제어 모듈(360)은 상술한 수평 회동부(160)와 수직 회동부(170)의 회동각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회동식으로 이루어진 분사 노즐(131)의 원활한 구동을 도모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Referring again to the spray nozzle
도 5는 컨트롤러의 먹이 공급 모듈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feeding module of a controller.
먹이 공급 모듈(370)은 본 발명의 장치에 추가로 구비된 먹이 공급부(372)를 구비하여 분사부에서 물이 분사된 시점 직후 내지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먹이공급부(372)에서 먹이를 토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즉, 먹이 공급부(372)는 본체(200)의 일 측에 배치/부착되어 공지의 자동판매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먹이(374)를 보관하는 먹이 보관부(373)와 그 하부에 설치된 개폐 밸브(375), 개폐 밸브(375)의 개방에 의하여 토출된 먹이(374)를 수납하는 먹이통(376)으로 구성이 되어 있는바, 분사부에서 물이 분사된 이후에 먹이 공급부(372)의 개폐 밸브(375)를 자동으로 개방하여 먹이(374)를 토출하여 먹이통(376)으로 보냄으로써 애완동물이 먹이를 먹을 수 있도록 한다.That is, the
이 때, 먹이 공급 모듈(370)은 위치 확인부(371)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가능한데, 네트에 안착한 애완동물의 위치를 파악하여 위치 여부에 따라 먹이 공급부(372)의 개폐 밸브(375)의 개방 여부를 차등 제어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즉, 미리 결정한 소정 위치에 애완동물이 위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먹이를 공급하지 않고 소정 위치에 안착하였다는 것을 위치 확인부가 위치 감지 센서를 통해 확인한 경우에만 먹이 공급부의 개폐 밸브를 개방하여 애완동물에게 먹이를 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At this time, the
다시 말해 애완동물이 네트의 정 위치에 안착하여 배변을 하였을 경우에만 먹이를 공급하여 애완동물의 배변 습관을 학습시킬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haracteristic that can be learned by feeding the pet's bowel habits only when the pet is seated in the net position to bowel movement.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As described so fa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et toilet bowl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expressed in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but this is merely described for exampl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배변기 110: 네트
120: 배변 받이 121: 배출관
128: 레그 129: 배출공
130: 분사부 131: 분사 노즐
140: 센서부 141: 중량 감지 센서
142: 위치 감지 센서 145: 플러시 밸브
150: 공급관 155: 브랜치 공급관
160: 수평 회동부 170: 수직 회동부
180: 브라켓 200: 본체
210: 물탱크 220: 체크밸브
300: 컨트롤러 310: 센서 신호 판단 모듈
320: 체크 밸브 제어 모듈 330: 음성 출력 모듈
331: 분사 확인부 332: 음성 데이터베이스
333: 출력부 340: 자동 청소 제어 모듈
341: 스위치 연동부 342: 자동 청소부
350: 배변주기 별 자동 청소 제어 모듈
351: 배변 패턴 정보 생성부 352: 배변주기 연동 청소부
360: 분사 노즐 회동 제어 모듈
370: 먹이 공급 모듈 371: 위치 확인부
372: 먹이공급부100: toilet 110: net
120: defecation receiving 121: discharge pipe
128: leg 129: discharge hole
130: injection unit 131: injection nozzle
140: sensor unit 141: weight detection sensor
142: position sensor 145: flush valve
150: supply pipe 155: branch supply pipe
160: horizontal rotating part 170: vertical rotating part
180: bracket 200: main body
210: water tank 220: check valve
300: controller 310: sensor signal determination module
320: check valve control module 330: voice output module
331: injection confirmation unit 332: voice database
333: output unit 340: automatic cleaning control module
341: switch interlocking unit 342: automatic cleaning unit
350: automatic cleaning control module for each bowel movement
351: defecation patter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352: defecation cycle interlocking cleaning unit
360: spray nozzle rotation control module
370: feeding module 371: positioning unit
372: feeding section
Claims (6)
복수의 통공을 구비하여 애완동물이 배변을 위해 안착되는 네트 및,
상기 네트를 지지하면서 애완동물의 배변을 수용하는 배변 받이와,
상기 배변 받이의 측부, 바닥부, 둘레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위치에 형성되어 배변 받이 내로 물을 분사하는 분사부 및,
애완동물의 중량을 감지하여 애완동물이 네트에 안착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중량 감지 센서와 상기 배변 받이를 기준으로 애완동물의 배변한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 센서로 이루어진 센서부를 포함하는 배변기;
상기 분사부에 연결된 공급관을 매개로 물을 공급하는 물탱크와,
상기 공급관의 분기 지점에 형성되어 상기 공급관을 개폐하는 체크 밸브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센서부의 감지 신호를 통해 애완동물의 배변 유무 및 배변 위치를 파악하여, 상기 배변 위치에 근접한 분사부를 선택하여 해당 분사부로 물이 공급되도록 상기 체크 밸브를 개폐 제어하는 컨트롤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As a pet toilet bowl cleaning device,
Net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holes for the pet seated for defecation, and
Defecation receiving the defecation of the pet while supporting the net;
An injection unit which is formed at any one or more positions of the side, bottom, and circumference of the bowel support and sprays water into the bowel support;
A toilet including a sensor unit configured to detect a weight of the pet and detect whether the pet is seated on the net and a sensor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pet on the basis of the bowel receiving;
A water tank for supplying water through a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injection unit;
A main body formed at a branch point of the supply pipe and including a check valve to open and close the supply pipe;
A controller for determining whether the pet is defecated and the defecation position through the detection signal of the sensor unit, selecting an injection unit close to the defecation position, and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heck valve to supply water to the injection unit; , Toilet bowl cleaning device for pets.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체크 밸브의 개폐 상태를 파악하여 물 분사 여부를 판단하는 분사 확인부 및, 애완동물을 기르는 사용자의 음성을 수록한 음성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분사 확인부를 통해 물 분사가 이루어진 것을 판단한 이후 상기 음성 데이터베이스의 사용자 음성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출력부로 이루어진 음성 출력 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ler,
The injection confirm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water injection by checking the opening and closing state of the check valve, a voice database containing the voice of the user raising the pet, and after determining that the water injection is made through the injection confirmation unit of the voice database And a voice output module including an output unit configured to output a user's voice through the speaker.
상기 분사부는,
각각의 모터 구동에 의해 상기 분사 노즐을 수평 회동시키는 수평 회동부와, 상기 분사 노즐을 수직 회동시키는 수직 회동부 및 분사 방향과 분사압을 제어하는 분사 노즐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센서부에서 판단한 배변 위치에 따라 상기 수평 회동부와 수직 회동부를 구동하는 각각의 모터의 회전수를 차등 제어하여 상기 분사 노즐을 분사각을 제어하는 분사 노즐 회동 제어 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injection unit
And a horizontal rotating unit for horizontally rotating the spray nozzle by each motor drive, a vertical rotating portion for vertically rotating the spray nozzle, and an injection nozzle for controlling the spraying direction and the spray pressure,
The controller,
And a spray nozzle rotation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spray angle of the spray nozzle by differentially controlling the rotation speeds of the respective motors driving the horizontal pivot and the vertical pivot according to the defecation position determined by the sensor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pet toilet bowl cleaning device.
상기 컨트롤러는,
추가적으로 구비된 스위치가 눌러진 경우 타이밍 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치 연동부와, 상기 타이밍 신호를 받은 이후 특정 단위 시간 이후 자동으로 청소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체크 밸브의 개폐 제어를 실행하는 자동 청소부를 구비한 자동 청소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ler,
In addition, an automatic cleaning unit having a switch interlocking unit for generating a timing signal when the additionally provided switch is pressed and an automatic cleaning unit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 cleaning signal after a specific unit time after receiving the timing signal and executing opening / closing control of the check valve Cleaning module for pet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상기 컨트롤러는,
단위 시간 기준으로 애완동물의 배변 시간과 배변 회수를 포함한 배변 패턴 정보를 생성하는 배변 패턴 정보 생성부 및, 상기 배변 패턴 정보에 따라 청소 주기를 차등 설정하여 청소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체크 밸브의 개폐 제어를 실행하는 배변주기 연동 청소부를 구비한 배변주기 별 자동 청소 제어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ler,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heck valve by generating a cleaning signal by differentially setting the cleaning period according to the bowel pattern information, and a bowel patter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 bowel pattern information including the bowel time and the number of bowel movements on a unit time basis And a bowel movement cleaning device for each bowel cycle having a bowel movement interlocking cleaning unit for executing the bowel movement.
상기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는,
먹이 보관부에 보관된 먹이를 상기 먹이 보관부의 하부 면에 형성된 개폐 밸브의 개방에 따라 중력 방향으로 토출하여 먹이통에 수납하는 먹이 공급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분사부에서 물이 분사된 시점에 상기 먹이 공급부의 개폐 밸브를 개방하는 먹이 공급 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et toilet bowl cleaning device,
And a food supply part configured to discharge the food stored in the food storage part in the direction of gravity according to the opening of the on / off valv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ood storage part, and to receive the food in the food container.
The controll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ood supply module for opening the opening and closing valve of the food supply unit when the water is injected from the injection portion, pet toilet cleaning device.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026371A KR101176411B1 (en) | 2012-03-15 | 2012-03-15 | Cleaning device with function of checking defecation position for evacuating apparatus for pe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026371A KR101176411B1 (en) | 2012-03-15 | 2012-03-15 | Cleaning device with function of checking defecation position for evacuating apparatus for pet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176411B1 true KR101176411B1 (en) | 2012-08-28 |
Family
ID=46887689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20026371A Expired - Fee Related KR101176411B1 (en) | 2012-03-15 | 2012-03-15 | Cleaning device with function of checking defecation position for evacuating apparatus for pet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176411B1 (en) |
Cited By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00000751U (en) * | 2018-10-04 | 2020-04-14 | 박병욱 | Defecation plate cleaning device for pet |
| RU2732153C2 (en) * | 2018-11-29 | 2020-09-11 | Ярослав Витальевич Шенцов | Automated toilet for domestic animals (versions) |
| WO2020238591A1 (en) * | 2019-05-28 | 2020-12-03 | Qingshan Li | An intelligent pet potty based on liquid detection and water pump |
| KR20220049145A (en) * | 2020-10-14 | 2022-04-21 | 최윤자 | Automatic Defecation Plate for Pet |
| KR20230108522A (en) * | 2022-01-11 | 2023-07-18 | 하재우 | Flush Cycloid Defecation Treatment Device For Pets |
| KR102746837B1 (en) | 2024-01-04 | 2024-12-31 | 강필식 | pet defecation plate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2142597A (en) | 2000-11-16 | 2002-05-21 | Inax Corp | Toilet for pet |
| JP2010154830A (en) | 2008-12-30 | 2010-07-15 | Toshio Miyake | Flush litter for cat |
-
2012
- 2012-03-15 KR KR1020120026371A patent/KR10117641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2142597A (en) | 2000-11-16 | 2002-05-21 | Inax Corp | Toilet for pet |
| JP2010154830A (en) | 2008-12-30 | 2010-07-15 | Toshio Miyake | Flush litter for cat |
Cited By (10)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00000751U (en) * | 2018-10-04 | 2020-04-14 | 박병욱 | Defecation plate cleaning device for pet |
| KR200492146Y1 (en) | 2018-10-04 | 2020-08-18 | 박병욱 | Defecation plate cleaning device for pet |
| RU2732153C2 (en) * | 2018-11-29 | 2020-09-11 | Ярослав Витальевич Шенцов | Automated toilet for domestic animals (versions) |
| WO2020238591A1 (en) * | 2019-05-28 | 2020-12-03 | Qingshan Li | An intelligent pet potty based on liquid detection and water pump |
| KR20220049145A (en) * | 2020-10-14 | 2022-04-21 | 최윤자 | Automatic Defecation Plate for Pet |
| KR102495541B1 (en) | 2020-10-14 | 2023-02-06 | 최윤자 | Automatic Defecation Plate for Pet |
| KR20230108522A (en) * | 2022-01-11 | 2023-07-18 | 하재우 | Flush Cycloid Defecation Treatment Device For Pets |
| KR102765004B1 (en) * | 2022-01-11 | 2025-02-07 | 하재우 | Flush Cycloid Defecation Treatment Device For Pets |
| KR102746837B1 (en) | 2024-01-04 | 2024-12-31 | 강필식 | pet defecation plate |
| KR20250107109A (en) | 2024-01-04 | 2025-07-11 | 강필식 | pet defecation plate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176411B1 (en) | Cleaning device with function of checking defecation position for evacuating apparatus for pet | |
| KR101157038B1 (en) | Toilet for pet | |
| KR101178799B1 (en) | Module type cleaning device for evacuating apparatus for pet | |
| CN101039575B (en) | Animal feeding apparatus and method | |
| US20050224003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ining and feeding an animal using positive reinforcement techniques | |
| KR101572631B1 (en) | An excrement prop for a pet | |
| KR102145998B1 (en) | Sterilizer apparatus for toilet bowl | |
| US9713318B1 (en) | Automatic bird cage | |
| US11516991B2 (en) | Kennel including a communication system, cleaning system, sanitizing system, bathroom system, or a combination thereof | |
| KR101617338B1 (en) | Apparatus for automatic excrement of pet | |
| KR20200091627A (en) | Automatic feeder for pets | |
| KR20110055911A (en) | Pet waste treatment device | |
| KR101761359B1 (en) | Insulating automatic watering system for cattle | |
| KR102630565B1 (en) | Apparatus for disposing of pet’s defecation | |
| CN113287531B (en) | Pet sanitation system | |
| KR101282200B1 (en) | Eco-friendly cleaning device for evacuating apparatus for pet | |
| KR102308380B1 (en) | Automatically Adjustable Water Drinker for Livestock | |
| KR102185540B1 (en) | Location-moveable Feeder Device | |
| CN101601371A (en) | Feeder for automatically feeding pets at regular time and quantity | |
| KR102007945B1 (en) | Smart toliet bowl | |
| CN109566451B (en) | Animal behavior detection equipment based on distance measuring sensor | |
| KR20230126995A (en) | Automatic cleaning smart water dispenser | |
| KR200362961Y1 (en) | Water pail apparatus for Livestock born | |
| KR102274176B1 (en) | Companion animal house | |
| KR101016716B1 (en) | Pet toilet seat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S14-X000 | Exclusive voluntary licens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S10-S14-lic-X000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5081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7-oth-X000 |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7-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50818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