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85170B1 - 터널 형태의 혈관용 풍선 - Google Patents

터널 형태의 혈관용 풍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5170B1
KR101185170B1 KR1020100071526A KR20100071526A KR101185170B1 KR 101185170 B1 KR101185170 B1 KR 101185170B1 KR 1020100071526 A KR1020100071526 A KR 1020100071526A KR 20100071526 A KR20100071526 A KR 20100071526A KR 101185170 B1 KR101185170 B1 KR 101185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oon
tunnel
blood
blood vessel
blood vessel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1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0658A (ko
Inventor
김효준
Original Assignee
(재)예수병원유지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예수병원유지재단 filed Critical (재)예수병원유지재단
Priority to KR1020100071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5170B1/ko
Publication of KR20120010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06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5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5170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4Balloon catheters used for angioplas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9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 A61F2/958Inflatable balloons for placing stents or stent-graf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18Balloon inflating or inflation-control devices
    • A61M25/10184Means for controlling or monitoring inflation or deflation
    • A61M25/10187Indicators for the level of inflation or defl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해결하려는 과제는 혈관용 풍선이 팽창된 상태에서도 혈관에서 혈류가 흐를 수 있도록 하는 터널 형태의 혈관용 풍선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터널 형태의 혈관용 풍선은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며 혈관용 풍선의 중심부는 혈류가 흐를 수 있도록 터널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터널 형태의 혈관용 풍선이 팽창된 경우에 혈류를 차단하지 않으므로 혈류를 차단할 경우에 발생하는 피검자의 일시적인 불쾌감, 어지럼증과 무력감, 의식 저하, 운동 기능 마비등의 부작용을 초래하지 않는다. 아울러, 혈전의 생성을 유발하지 않으므로 말초 혈관의 폐색이 발생하지 않아 영구적인 뇌경색등의 합병증을 초래하지 않는다. 또한, 외부에서 터널 형태의 혈관용 풍선의 위치와 팽창 여부를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를 하여 정확한 위치에 터널 형태의 혈관용 풍선을 삽입할 수 있고 팽창 여부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어 시술시에 용이하다.

Description

터널 형태의 혈관용 풍선 { TUNNEL TYPE BALLOON }
본 발명은 풍선 카테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혈관에 삽입되어 혈관의 협착 부위 또는 혈관 스텐트를 팽창시키는 풍선 카테터의 혈관용 풍선에 있어서 상기 혈관용 풍선을 터널 형태로 구성하여 팽창된 혈관용 풍선을 관통하여 혈류가 흐를 수 있도록 형성된 터널 형태의 혈관용 풍선에 관한 것이다.
풍선 카테터는 협착, 또는 폐색된 혈관을 치료하기 위한 혈관성형술(풍선 확장술), 스텐트 삽입술에 사용된다.
혈관 성형술(풍선 확장술)이란 첨단 영상장비를 이용한 혈관의 검사 및 치료로서, 체외에서 카테터(catheter)라는 얇은 관을 환자의 혈관 내부에 삽입하고 조영제를 주입하여 엑스선을 이용하여 혈관의 협착, 또는 폐색된 부분를 찾고 이를 확장하는 시술이다. 협착, 또는 폐색된 부분으로 2~3mm의 가느다란 혈관용 풍선이 내장된 관을 혈관에 2mm 정도의 구멍을 내고 삽입한다. 혈관용 풍선이 협착, 또는 폐색된 부분에 도달하며 혈관용 풍선을 팽창하여 좁아진 혈관을 확장하게 된다.
혈관을 확장 시키는데 사용하는 기구는 국수가락과 같은 얇은 관에 풍선이 달려 있는 풍선 카테터를 이용하여 좁은 혈관을 확장할 수 있다. 또한 유사한 방식으로 풍선 카테터를 이용하여 혈관을 효과적으로 확장할 수 없는 경우에 ‘스텐트’라고 하는 금속으로 만든 기구를 사용하기도 한다. 이 경우 혈관의 좁아진 부분에 스텐트를 삽입하여 혈관을 확장할 수 있고 삽입된 스텐트를 풍선 카테터를 이용하여 팽창시켜 혈관을 확장할 수 있다.
시술방법은 서혜부(사타구니)에 위치한 대퇴동맥을 통하여 카테터(catheter)라고 하는 약 2~3mm 정도의 가는 관을 삽입하여 하지의 혈관으로 접근한다. 카테터가 다리동맥에 들어가면 혈관조영제를 주사하면서 다리동맥에 대한 조영 사진을 얻어 협착이나 폐색의 위치, 협착 정도 및 혈류 양상 등 치료에 필요한 정보를 얻는다.
치료 방침이 정해지면 약 2~3mm 정도 굵기의 관을 이용하여 협착 또는 폐색된 동맥의 위치로 혈관용 풍선을 이동시킨다. 혈관용 풍선이 협착 또는 폐색된 혈관에 위치하면 풍선을 팽창시켜 혈관을 확장한다. 혈관성형술(풍선확장술)로 해결할 수 없는 혈관 협착이나 폐색은 스텐트(stent)를 삽입하여 혈관을 확장한다. 스텐트는 만성 완전 혈관폐색, 길고 복잡한 폐쇄 병변, 풍선 혈관 성형술 후 혈류 장애 등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한다.
도 6은 종래 풍선 카테터에 의해 혈관이 확장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협착, 또는 폐색된 혈관(15)을 발견하면 얇은관을 이용하여 혈관용 풍선(16)을 협착, 또는 폐색된 혈관으로 이동시킨다. 혈관용 풍선(16)이 협착, 또는 폐색된 혈관(15)에 위치하면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입관(11)을 사용하여 혈관용 풍선(16)에 조영제를 주입하여 혈관용 풍선(16)을 팽창시켜 좁아진 혈관을 확장 시킨다.
종래의 풍선 카테터를 이용하여 혈관을 확장시키는 경우 팽창된 혈관용 풍선에 의해 혈관에서의 혈류의 흐름이 차단되어 피검자에게 일시적인 불쾌감, 어지럼증과 무력감, 의식 저하, 운동 기능 마비등의 부작용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혈관에서의 혈류의 흐름이 차단되어 혈전의 생성을 유발하여 말초 혈관의 폐색이 발생하므로 영구적인 뇌경색등의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종래 풍선 카테터를 이용한 혈관성형술(풍선확장술)의 시술에서 외부에서 풍선의 위치와 팽창 여부를 인식하기 어려워 정확하고 신속한 시술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하려는 과제는 협착 또는 폐색된 혈관을 확장시키기 위한 터널 형태의 혈관용 풍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하려는 과제는 혈관용 풍선이 팽창된 상태에서도 혈관에서 혈류가 흐를 수 있도록 하는 터널 형태의 혈관용 풍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하려는 과제는 터널 형태의 혈관용 풍선이 삽입된 위치와 팽창 여부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터널 형태의 혈관용 풍선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터널 형태의 혈관용 풍선은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며 혈관용 풍선의 중심부는 혈류가 흐를 수 있도록 터널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터널 형태의 혈관용 풍선의 외측에 수축, 팽창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 스텐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터널 형태의 혈관용 풍선에 조영제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주입관은 조영제를 주입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입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터널 형태의 혈관용 풍선에 방사선에 의해 식별 가능한 표시를 더 포함하여 외부에서 터널 형태의 혈관용 풍선의 위치와 팽창 여부를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터널 형태의 혈관용 풍선을 방사선에 의해 식별 가능한 재질로 구성하여 외부에서 터널 형태의 혈관용 풍선의 위치와 팽창 여부를 인식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터널 형태의 혈관용 풍선이 팽창된 경우에 혈류를 차단하지 않으므로 혈류를 차단할 경우에 발생하는 피검자의 일시적인 불쾌감, 어지럼증과 무력감, 의식 저하, 운동 기능 마비등의 부작용을 초래하지 않는다. 아울러, 혈전의 생성을 유발하지 않으므로 말초 혈관의 폐색이 발생하지 않아 영구적인 뇌경색등의 합병증을 초래하지 않는다.
또한, 외부에서 터널 형태의 혈관용 풍선의 위치와 팽창 여부를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를 하여 정확한 위치에 터널 형태의 혈관용 풍선을 삽입할 수 있고 팽창 여부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으므로 시술시에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 터널 형태의 혈관용 풍선이 팽창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터널 형태의 혈관용 풍선이 수축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터널 형태의 혈관용 풍선에 스텐트가 더 포함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터널 형태의 혈관용 풍선이 혈관에 삽입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터널 형태의 혈관용 풍선이 혈관에 삽입되어 팽창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6a는 종래 풍선 카테터가 혈관에 삽입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6b는 종래 풍선 카테터를 사용하여 혈관을 확장시키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 터널 형태의 혈관용 풍선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터널 형태의 혈관용 풍선이 팽창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터널 형태의 혈관용 풍선이 수축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터널 형태의 혈관용 풍선에 스텐트가 더 포함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터널 형태의 혈관용 풍선이 혈관에 삽입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터널 형태의 혈관용 풍선이 혈관에 삽입되어 팽창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6a는 종래 풍선 카테터가 혈관에 삽입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6b는 종래 풍선 카테터를 사용하여 혈관을 확장시키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터널 형태의 혈관용 풍선(10)에 조영제가 주입되지 않아 수축된 상태를 나타내며 수축된 상태에서 협착 또는 폐색된 혈관(15)에 터널 형태의 혈관용 풍선(10)을 삽입한다. 도 1은 터널 형태의 혈관용 풍선(10)에 조영제가 주입되어 팽창된 상태를 나타내며 협착 또는 폐색된 혈관(15)의 위치에 터널 형태의 혈관용 풍선(10)이 도달한 경우 조영제를 주입하여 팽창시킨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발명 터널 형태의 혈관용 풍선(10)은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며 원통의 중심부는 혈류가 관통하여 흐를 수 있도록 터널 형태로 형성된다. 터널 형태의 혈관용 풍선(10)은 주입관(1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주입관(11)의 일단은 조영제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기(12)와 결합되며, 주입관(11)의 타단은 터널 형태의 혈관용 풍선(10)의 외측부분을 관통하여 결합되며 터널 형태의 혈관용 풍선(10)에서 연장되어 돌출되어 있다. 상기 돌출된 부분을 돌출주입관(11a)이라 한다. 터널 형태의 혈관용 풍선(10)의 외측부분을 관통하여 결합된 주입관(11) 부분은 조영제를 터널 형태의 혈관용 풍선(10)에 주입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입구(13)가 형성되어 있다.
주입관(11)과 돌출주입관(11a)은 마이크로선(18)이나 조영제가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머, 주입관(11)의 직경은 돌출주입관(11a)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즉, 주입관(11)의 직경은 마이크로선(18)을 삽입하고도 조영제가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고, 돌출주입관(11a)의 직경은 삽입된 마이크로선(18)에 의해 막혀 조영제가 통과할 수 없는 크기로 형성된다. 마이크로선(18)을 삽입한 후 주입기(12)와 주입관(11)에 의해 조영제를 주입하면 돌출주입관(11a)은 마이크로선(18)에 의해 막혀 있으므로 조영제가 유입되지 않으며, 주입관(11)에는 조영제가 유입되므로 주입관(11)에 형성된 주입구(13)를 통해 터널 형태의 혈관용 풍선(10)에 주입된다.
상기 돌출주입관(11a)은 유연성을 가진 재질로 구성되며, 돌출주입관(11a)은 마이크로선(18)과 유연성의 차이가 크지 않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주입관(11)에서 터널 형태의 혈관용 풍선(10)을 고정하는 방법에 접착에 의하여 고정하는 방법과 융착에 의하여 고정하는 방법이 있다. 접착에 의한 방법은 접착제층이 존재하여 주입관(11)부분의 유연성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으므로 융착에 의한 방법으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터널 형태의 혈관용 풍선에 스텐트가 더 포함된 모습을 도시한 것으로, 터널 형태의 혈관용 풍선(10)이 협착 또는 폐색된 혈관(15)에 도달하여 팽창한 경우 팽창을 용이하게 하고 팽창된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터널 형태의 혈관용 풍선(10)의 외측에 수축, 팽창이 가능하며 유연성을 가진 재질의 스텐트(17)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스텐트(17)는 터널 형태의 혈관용 풍선(10)의 수축, 팽창에 대응하여 수축, 팽창한다.
터널 형태의 혈관용 풍선(10)은 수축, 팽창이 용이하도록 유연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된다. 즉, 좁고 굴곡된 혈관을 통과하여 협착 또는 폐색된 혈관(15)에 도달하기 위해 터널 형태의 혈관용 풍선(10)은 높은 유연성을 가지고 얇은 두께를 가지는 재질을 사용한다. 또한, 협착 또는 폐색된 혈관(15)을 확장하는 경우 터널 형태의 혈관용 풍선(10)에 고압을 가하는 경우에 혈관벽이 과확장되어 손상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해 확장압력에 대한 직경방향의 신장율을 한정한 재질을 사용한다.
또한, 혈관에 삽입된 터널 형태의 혈관용 풍선(10)의 위치와 수축, 팽창 여부를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터널 형태의 혈관용 풍선(10)과 주입관(11)이 결합되는 부분에 방사선에 의해 식별 가능한 표시(14)를 할 수 있으며, 터널 형태의 혈관용 풍선(10)의 재질을 외부에서 방사선에 의해 식별 가능한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이상, 터널 형태의 혈관용 풍선(10)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하 터널 형태의 혈관용 풍선(10)이 혈관에 삽입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은 본 발명 터널 형태의 혈관용 풍선(10)이 협착 또는 폐색된 혈관(15)에 삽입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 터널 형태의 혈관용 풍선(10)이 협착 또는 폐색된 혈관(15)에 삽입되어 주입기(12)와 주입관(11)에 의해 조영제가 주입되어 팽창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동맥을 통하여 카테터라고 하는 약 2~3mm 정도의 가는 관을 삽입하여 하지의 혈관으로 접근한다. 카테터가 동맥에 삽입되면 혈관 조영제를 주입하면서 동맥에 대한 조영 사진을 획득하여 혈관의 협착이나 폐색의 위치, 협착 정도 및 혈류 양상 등 치료에 필요한 정보를 얻는다. 상기 정보를 기초로 하여 협착 또는 폐색된 혈관(15)에 터널 형태의 혈관용 풍선(10)을 삽입한다.
터널 형태의 혈관용 풍선(10)이 협착 또는 폐색된 혈관(15)의 위치에 정확하게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외부에서 방사선을 통해 확인하고 정확한 위치에 삽입된 경우 주입기(12)와 주입관(11)을 이용하여 조영제를 터널 형태의 혈관용 풍선(10)에 주입한다. 조영제가 주입되어 충분히 팽창되었는지 여부를 외부에서 방사선을 통해 확인하고 터널 형태의 혈관용 풍선(10)이 충분히 팽창한 경우 조영제의 주입을 중지한다.
터널 형태의 혈관용 풍선(10)의 외측에 스텐트(17)가 구비된 경우는 터널 형태의 혈관용 풍선(10)이 수축된 경우에 스텐트는 터널 형태의 혈관용 풍선(10)에 대응하여 수축되어 있으며 터널 형태의 혈관용 풍선(10)이 팽창된 경우에 스텐트(17)는 터널 형태의 혈관용 풍선(10)에 대응하여 팽창되며 상기 스텐트(17)는 팽창된 터널 형태의 혈관용 풍선(10)의 형상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터널 형태의 혈관용 풍선(10)은 팽창된 경우에도 터널 형상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혈류가 흐를 수 있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종래 혈관성형술(풍선확장술)에 있어서 혈류의 차단으로 발생하는 피검자의 일시적인 불쾌감, 어지럼증과 무력감, 의식저하, 운동기능 마비등의 부작용을 초래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10...터널 형태의 혈관용 풍선
11...주입관
11a...돌출주입관
12...주입기
13...주입구
14...방사선에 의해 식별 가능한 표시
15...협착 또는 폐색된 혈관
16...혈관용 풍선
17...스텐트
18...마이크로선

Claims (5)

  1. 풍선 카테터에 사용되는 혈관용 풍선에 있어서,
    상기 혈관용 풍선은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며 혈관용 풍선의 중심부는 혈류가 흐를 수 있도록 터널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터널 형태의 혈관용 풍선의 외측에 수축, 팽창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 스텐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터널 형태의 혈관용 풍선에 조영제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주입관은 조영제를 주입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입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형태의 혈관용 풍선.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 형태의 혈관용 풍선에 방사선에 의해 식별 가능한 표시를 더 포함하여 외부에서 터널 형태의 혈관용 풍선의 위치와 팽창 여부를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형태의 혈관용 풍선.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 형태의 혈관용 풍선을 방사선에 의해 식별 가능한 재질로 구성하여 외부에서 터널 형태의 혈관용 풍선의 위치와 팽창 여부를 인식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형태의 혈관용 풍선.
KR1020100071526A 2010-07-23 2010-07-23 터널 형태의 혈관용 풍선 Expired - Fee Related KR101185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1526A KR101185170B1 (ko) 2010-07-23 2010-07-23 터널 형태의 혈관용 풍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1526A KR101185170B1 (ko) 2010-07-23 2010-07-23 터널 형태의 혈관용 풍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0658A KR20120010658A (ko) 2012-02-06
KR101185170B1 true KR101185170B1 (ko) 2012-09-24

Family

ID=45835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1526A Expired - Fee Related KR101185170B1 (ko) 2010-07-23 2010-07-23 터널 형태의 혈관용 풍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51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43109B (zh) * 2016-03-29 2024-07-30 深圳信立泰医疗器械股份有限公司 不阻断血流的球囊导管
CN110430915A (zh) 2016-11-02 2019-11-08 斯特姆普莱特公司 用于递送细胞疗法的方法和设备
KR102222395B1 (ko) * 2019-05-21 2021-03-03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벌룬의 확장이 가능한 배액용 카테터
KR102296255B1 (ko) * 2019-10-10 2021-08-31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풍선 카테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86507A1 (en) * 1998-09-10 2004-09-23 Percardia, Inc. Stent delivery system and method of use
US20050215885A1 (en) * 2001-09-19 2005-09-29 Lee Jeong S MRI visible catheter ballo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86507A1 (en) * 1998-09-10 2004-09-23 Percardia, Inc. Stent delivery system and method of use
US20050215885A1 (en) * 2001-09-19 2005-09-29 Lee Jeong S MRI visible catheter ballo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0658A (ko) 2012-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90633B2 (en) Left atrial appendage occluder device
EP2522307B1 (en) Device for delivery of medical devices to a cardiac valve
JP6659726B2 (ja) 成形送達シース及び方法
US6458151B1 (en) Ostial stent positioning device and method
US20090131785A1 (en) Variable occlusional balloon catheter assembly
US20080208307A1 (en) Treatment of Vascular Bifurcations
US11278707B2 (en) Balloon catheter assembly for insertion and positioning therapeutic devices within a vascular system
US20060167538A1 (en) Inflatable biliary stent
JP2014124264A (ja) カテーテル用バルーン、カテーテル及びカテーテル用バルーンを作製する方法
JP5578489B2 (ja) 子カテーテル
JP2016503330A (ja) バルーンカテーテル及びその使用方法
JP2015521922A (ja) 凝血除去により後調整するための方法、デバイス、およびシステム
JP2004249070A (ja) 大動脈の又は大動脈腸骨の内腔内移植片における内腔内漏出の内腔内修復のための、バルーンを先端に有する、複数内腔カテーテル
JP2007512077A (ja) インフレーション・チューブを使用したステントの位置決め
JP2005507707A (ja) グラフト
CN105120798A (zh) 具有整体式栓子滤器的经皮腔内血管成形术设备
KR101185170B1 (ko) 터널 형태의 혈관용 풍선
KR20200016190A (ko) 확장 보조 전달 와이어에 의한 스텐트 전달
JP2021192807A (ja) 分岐部での血管の処置のためのバルーンカテーテル
EP1557193B1 (en) Balloon catheter
JPWO2006092903A1 (ja) バルーンカテーテル
US20150257782A1 (en) Adjustable Catheter System
KR102296255B1 (ko) 풍선 카테터
JP2007510491A (ja) 血管分岐部の治療方法
KR101416524B1 (ko) 자기 확장 스텐트의 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1091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10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