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86613B1 - A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 Google Patents

A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6613B1
KR101186613B1 KR1020100064768A KR20100064768A KR101186613B1 KR 101186613 B1 KR101186613 B1 KR 101186613B1 KR 1020100064768 A KR1020100064768 A KR 1020100064768A KR 20100064768 A KR20100064768 A KR 20100064768A KR 101186613 B1 KR101186613 B1 KR 1011866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upport unit
vacuum cleaner
coupling
wheel assembl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47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04103A (en
Inventor
서진욱
박상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4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6613B1/en
Publication of KR20120004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10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6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6613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09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 A47L9/0063External storing devices; Stands, casings or the like for the storage of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8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9Carrying-vehicles; Arrangements of trollies or wheels; Means for avoiding mechanical obsta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청소기의 하중압력을 분산시켜 사용자의 육체적 부담을 저감할 수 있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바퀴 어셈블리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피청소면에 대한 배치 각도가 변화가능하게 마련되는 본체와; 상기 바퀴 어셈블리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본체를 지지하여 상기 본체의 하중압력을 분산하되, 피청소면에 대한 상기 본체의 배치각도 변화에 따라서 피청소면에 대한 그 배치각도가 변화가능하게 마련되는 지지유닛과;상기 지지유닛과 연결되고 사용자의 가압작용에 의해 동작가능하게 마련되어 사용자의 가압작용 여부에 따라서 상기 지지유닛과 상기 바퀴어셈블리간의 결합상태 유지 또는 상대운동이 가능하게 하여 상기 지지유닛의 배치각도를 조절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which can reduce a physical load of a user by dispersing a load pressure of a cleaner.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rotatably coupled to the wheel assembly and provided with a variable arrangement angle with respect to the surface to be cleane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wheel assembly, the support for supporting the main body to distribute the load pressure of the main body, the support angle is provided so that the arrangement angle with respect to the surface to be cleaned is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in the arrangement angle of the body to the surface to be cleaned Unit and connected to the support unit and is operable by the user's pressing action is possible to maintain the coupled state or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support unit and the wheel assembly according to the user's pressing action, the placement angle of the support unit It provides a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comprising a control member for adjusting the.

Description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An upright type vacuum cleaner}Upright type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청소기의 하중압력을 분산시켜 사용자의 육체적 부담을 저감할 수 있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which can reduce a physical load of a user by dispersing a load pressure of a cleaner.

진공청소기는 본체에 마련되는 진공모터의 흡입동작에 의하여 피청소면의 먼지를 흡입하여 집진하는 가전제품이다.The vacuum cleaner is a household appliance that collects and collects dust on a surface to be cleaned by a suction operation of a vacuum motor provided in a main body.

진공청소기는 그 형태에 따라서 흡입노즐과 본체가 분리되어 있는 캐니스터형 진공청소기와, 흡입노즐이 본체에 장착되어 있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로 분류된다. Vacuum cleaners are classified into canister vacuum cleaners in which the suction nozzle and the main body are separated, and upright vacuum cleaners in which the suction nozzles are mounted on the main body.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경우, 피청소면에 대하여 직립상태 또는 일정 각도만큼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방에 마련되고 본체에 연결되는 흡입노즐 및, 본체에 마련되는 핸들을 구비한다. The upright vacuum cleaner includes a main body capable of maintaining an upright state or an inclined state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surface to be cleaned, a suction nozzle provided in front of the main body and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a handle provided in the main body. .

사용자가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를 이용하여 청소하는 경우, 청소의 편의를 위하여 본체를 직립상태로 움직이기보다는 일정각도만큼 기울여서 움직이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사용자는 핸들을 잡고 본체를 지지하고, 본체를 움직여가면서 피청소면을 청소한다.When the user cleans using a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the user often moves the body by tilting it at an angle rather than moving the body upright for convenience of cleaning. In this case, the user grabs the handle and supports the body, Clean the surface to be cleaned as you move.

그런데, 본체가 기울여진 상태가 되는 경우, 본체의 하중압력이 하방으로 향하고, 이때, 그 하중압력이 핸들을 잡고 있는 사용자의 팔에 가해지기 때문에 힘이 약한 여성이나 노약자의 경우 본체를 지지하면서 움직이는 것에 대한 육체적인 부담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By the way, when the main body is in an inclined state, the load pressure of the main body is directed downward, and at this time, the load pressure is applied to the arm of the user holding the handle, so that the female or the elderly who have weak force move while supporting the main body. There was a problem with the physical burden on things.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체에 대한 하중 압력을 분산시켜 사용자의 육체적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is problem, it is an object to provide a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that can reduce the physical burden of the user by distributing the load pressure on the body.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바퀴 어셈블리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피청소면에 대한 배치 각도가 변화가능하게 마련되는 본체와; 상기 바퀴 어셈블리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본체를 지지하여 상기 본체의 하중압력을 분산하되, 피청소면에 대한 상기 본체의 배치각도 변화에 따라서 피청소면에 대한 그 배치각도가 변화가능하게 마련되는 지지유닛과;상기 지지유닛과 연결되고 사용자의 가압작용에 의해 동작가능하게 마련되어 사용자의 가압작용 여부에 따라서 상기 지지유닛과 상기 바퀴어셈블리간의 결합상태 유지 또는 상대운동이 가능하게 하여 상기 지지유닛의 배치각도를 조절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wheel assembly,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changeable arrangement angle with respect to the surface to be cleane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wheel assembly, the support for supporting the main body to distribute the load pressure of the main body, the support angle is provided so that the arrangement angle with respect to the surface to be cleaned is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in the arrangement angle of the body to the surface to be cleaned Unit and connected to the support unit and is operable by the user's pressing action is possible to maintain the coupled state or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support unit and the wheel assembly according to the user's pressing action, the placement angle of the support unit It provides a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comprising a control member for adjusting the.

또한, 본 발명은 피청소면에 대한 배치 각도가 변화가능하게 마련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본체의 하중압력을 분산하되, 피청소면에 대한 상기 본체의 배치각도 변화에 따라서 피청소면에 대한 그 배치각도가 변화가능하게 마련되는 지지유닛과; 상기 지지유닛과 연결되고 사용자의 가압작용에 의해 동작가능하게 마련되어 사용자의 가압작용 여부에 따라서 상기 지지유닛과 상기 본체 간의 결합상태 유지 또는 상대운동이 가능하게 하여 상기 지지유닛의 배치각도를 조절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in body is provided so that the arrangement angle to the surface to be cleaned is changeable; A support unit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distributing a load pressure of the main body, the support unit being provided such that the arranging angle of the main body to be changed is changed in accordance with a change in the main unit's position of the main body to be cleaned; Adjusted to be connected to the support unit and operable by the user's pressing action to maintain the coupled state or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support unit and the main body according to the user's pressing action to adjust the placement angle of the support unit It provides an upright vacuum cleaner comprising a member.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여, 본체를 기울여서 청소하는 경우에 지지유닛에 본체의 하중압력이 분산되어 본체의 하중압력이 사용자의 손에 전해지는 정도가 경감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body is inclined to clean the load pressure of the main body is dispersed in the support unit can be reduced to the extent that the load pressure of the main body is transmitted to the user's hand.

따라서, 사용자의 육체적 피로도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reduce the physical fatigue of the user.

또한, 페달형태로 마련되는 조절부재를 가압하면서 상기 본체의 자세를 변화시키며, 조절부재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면 자동적으로 상기 바퀴어셈블리에 마련되는 결합부와 상기 지지유닛의 결합돌기부가 상호 결합되어 변화된 상기 본체의 자세가 유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osture of the main body is changed while pressing the control member provided in the form of a pedal, and when the pressure on the control member is released, the coupling unit provided in the wheel assembly and the coupling protrusion of the support unit are mutually changed. The posture of the main body can be maintained.

따라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본체의 자세를 변화시킬 수 있으면서도, 그 변화된 자세가 확실하게 유지될 수 있어서 사용자 편의성 및 제품의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다. Therefore, while the user can easily change the posture of the main body, the changed posture can be reliably maintained to provide user convenience and safety of the product.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지지유닛 및 조절부재의 결합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에서 보호커버를 구비하는 지지유닛 및 조절부재의 결합사시도이다.
도4와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본체의 직립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6과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에서 결합부와 결합돌기부의 결합상태가 해제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8과 도9는 본 발명에 의한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본체가 비스듬히 기울어진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에 의한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본체가 비스듬히 기울어진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에 의한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본체의 누운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에 의한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upright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support unit and the adjusting member of the upright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support unit and the adjusting member having a protective cover in the upright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at the upright vacuum cleaner of the main body of the upright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intained.
6 and 7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at the coupling state of the coupling portion and the coupling protrusion in the upright typ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eleased.
8 and 9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at the main body of the upright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clined obliquely.
10 is a side view showing that the main body of the upright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clined obliquely.
Fig. 11 is a side view showing that the lying state of the main body of the upright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intained.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n upright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하겠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The sizes and shap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하부 양측에 마련되는 바퀴어셈블리(20)와, 상기 바퀴어셈블리(20)가 장착되는 장착축(23)에 연결되는 흡입노즐(30)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 the upright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 a wheel assembly 20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10, and the wheel assembly 20. And a suction nozzle 30 connected to the mounting shaft 23.

상기 바퀴어셈블리(20)는 커버부재(21)와, 상기 커버부재(21)의 테두리에 마련되어 회전운동을 하는 바퀴부재(22)를 포함한다. The wheel assembly 20 includes a cover member 21 and a wheel member 22 provided on an edge of the cover member 21 to rotate.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21)에는 지지유닛(100)이 설치되는데, 상기 지지유닛(100)은 상기 커버부재(21)의 외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본체(10)를 지지하여 상기 본체(10)의 하중압력을 분산하는 역할을 한다. In addition, a support unit 100 is installed on the cover member 21, and the support unit 100 is rotatably coupl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cover member 21, and supports the main body 10 to support the main body. It distributes the load pressure of (10).

즉, 본체(10)의 하중압력이 상기 바퀴어셈블리로(20)만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That is, the load pressure of the main body 10 serves to prevent the wheel assembly 20 from being concentrated.

상기 본체(10)가 기울어져서 상기 본체(10)의 배치 각도가 피청소면에 대하여 변화되는 경우에, 상기 본체(10)의 하중 압력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상기 지지유닛(100)의 배치각도 또한 달라지게 되어 상기 본체(1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When the main body 10 is inclined so that the mounting angle of the main body 10 changes with respect to the surface to be cleaned, the positioning angle of the support unit 100 is also changed so as to disperse the load pressure of the main body 10. And serves to support the main body 10.

상기 바퀴어셈블리(20)는 상기 본체(10)의 양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유닛(100)은 각각의 바퀴어셈블리(20)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된다. The wheel assembly 20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0, the support unit 100 is rotatably disposed on each of the wheel assembly (20).

상기 지지유닛(100)은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지지유닛(100)들은 페달형태로 마련되는 조절부재(200)에 의하여 연결된다. The support unit 100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support unit 100 is connected by a control member 200 provided in the form of a pedal.

여기서, 사용자가 발을 이용하여 상기 조절부재(200)에 대하여 가압작용을 하게 되면, 상기 지지유닛(100)은 상기 바퀴어셈블리(20)와의 결합이 해제되는 상태가 되어 상기 본체(10) 또는 상기 바퀴어셈블리(20)에 대하여 상대회전운동을 한다.Here, when the user presses the control member 200 by using the foot, the support unit 100 is in a state in which the coupling with the wheel assembly 20 is released to the main body 10 or the The relative rotational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wheel assembly 20.

그리하여, 상기 지지유닛(10)의 피청소면에 대한 배치각도가 달라지게 되는 것이다. Thus, the arrangement angle with respect to the surface to be cleaned of the support unit 10 will be different.

도2는 상기 지지유닛(100)과, 상기 조절부재(200), 그리고, 상기 바퀴어셈블리(20) 간의 결합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2 illustrates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support unit 100, the adjustment member 200, and the wheel assembly 20.

여기서, 상기 바퀴어셈블리(20)의 커버부재(21)의 외측면에는 상기 지지유닛(100)이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원통형의 결합부(40)가 마련된다. 상기 결합부(40)의 외주면에는 상호 이격되는 복수의 결합홈(41)이 마련된다.Here,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 member 21 of the wheel assembly 20 is provided with a cylindrical coupling portion 40 to which the support unit 100 is selectively couple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4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41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결합부(40)의 내부공간에는 토션스프링 형태로 마련되는 탄성복원부재(43)가 마련되는데, 상기 탄성복원부재(43)는 상기 결합부(40)의 내부공간에 마련되는 원형의 걸림턱(42)에 결합된다. An elastic restoring member 43 is provid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oupling part 40 in the form of a torsion spring, and the elastic restoring member 43 is a circular locking jaw provid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oupling part 40. Coupled to (42).

이때, 상기 탄성복원부재(43)의 일단부는 상기 걸림턱(42)에 걸리게 되고, 상기 탄성복원부재(43)의 타단부는 상기 지지유닛(100)의 보호커버(도3참조,150)에 결합된다.At this time, one end of the elastic restoring member 43 is caught by the locking jaw 42,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restoring member 43 is in the protective cover (see Fig. 3, 150) of the support unit 100 Combined.

따라서, 상기 지지유닛(100)이 상기 결합부에 대하여 상대 회전운동을 하는 경우, 그 회전운동의 반대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여 상기 지지유닛(100)을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support unit 100 makes a relative rotational motion with respect to the coupling part, a restoring force is appli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rotational motion to return the support unit 100 to its original position.

상기 지지유닛(100)은 상기 조절부재(200)와 연결되고, 상기 조절부재(200)에 대한 가압작용에 따라서 상기 결합부(40)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링크 부재(101)와, 상기 링크부재(101)를 연결하고 , 상기 조절부재(200)와 결합하여 상기 조절부재(200)의 회동운동의 중심이 되는 회동축(140)을 포함한다. The support unit 10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member 200, the link member 101 and the link member selectively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40 in accordance with the pressing action on the control member 200, the link member It is connected to the 101, in combination with the adjustment member 200 includes a rotation shaft 140 which is the center of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adjustment member 200.

상기 링크부재(101)는 일단부가 상기 조절부재(200)의 양단부에 연결되며 절곡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조절부재(200)의 동작에 따라서 사선방향으로 움직이되 전후왕복 운동을 하는 제1링크부재(110)와, 상기 제1링크부재(110)와 연결되고 상기 제1링크부재(110)의 운동에 따라서 상기 결합부(40)와 결합되거나 또는 결합해제되는 제2링크부재(120)를 포함한다.The link member 101 has a shape in which one end portion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adjustment member 200 and is bent, and moves in an oblique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adjustment member 200, but performs a forward and backward reciprocating motion. A second link member 120 connected to the member 110 and the first link member 110 and coupled to or disengaged from the coupling part 40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rst link member 110. Include.

상기 제2링크부재(120)는 상기 커버부재(21)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제1링크부재(110)가 후진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결합부(40)의 반대방향으로 움직여서 상기 결합부(40)와 결합해제 된다.The second link member 120 is rotatably provided on the cover member 21, and when the first link member 110 moves backward, the second link member 120 move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coupling portion 40 to move the coupling portion 40. ) Is decoupled.

그리고, 결합해제 된 상태에서 상기 제1링크부재(110)가 전진운동을 하는 경우에는 상기 결합부(40) 방향으로 움직여서 상기 결합부(40)에 마련되는 결합홈(41)에 결합된다.When the first link member 110 moves forward in the disengaged state, the first link member 110 moves toward the coupling part 40 to be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41 provided in the coupling part 40.

상기 제2링크부재(120)에는 상기 결합홈(41)에 끼워지게 되는 결합돌기부(121)가 마련된다. The second link member 120 is provided with a coupling protrusion 121 to be fitted into the coupling groove 41.

상기 조절부재(200)는 발로 밟을 수 있는 페달형태로 마련된다. The adjusting member 20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pedal that can be stepped on.

상기 조절부재(200)의 구체적인 구성을 보면, 플레이트 형태로 마련되는 가압부(210)와, 상기 회동축(140)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조절부재(200)의 회동운동의 중심이 되는 회동중심부(220)와, 상기 회동중심부(220)와 상기 가압부(210)를 연결하는 연결부(230)를 포함한다. Looking at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adjustment member 200, the pressing portion 21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plate, the rotational shaft 140 is coupled rotatably, the center of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adjustment member 200 Rotating center portion 220, and the connecting portion 230 for connecting the rotation center portion 220 and the pressing portion 210.

상기 회동축(140)은 상기 지지유닛(100)의 외측을 커버하는 보호커버(도3참조, 150)에 고정결합되는 상태를 유지하되, 상기 회동중심부(220)를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The pivot shaft 140 is maintained to be fixed to the protective cover (see FIG. 3, 150) covering the outer side of the support unit 100, but is disposed to penetrate the pivot center portion 220.

즉, 상기 회동중심부(220)에는 상기 회동축(140)이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도록 삽입공이 형성된다. 상기 회동중심부(220)는 상기 연결부(230)에 의하여 상기 가압부(210)와 연결되는데, 상기 연결부(230)는 상기 가압부(210)의 양 옆에 배치되어, 회동중심부(220) 또는 상기 회동축(140)방향으로 연장된다. That is, an insertion hole is formed in the rotation center 220 so that the rotation shaft 140 may be disposed therethrough. The rotation center portion 220 is connected to the pressing portion 210 by the connection portion 230, the connection portion 230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pressing portion 210, the rotation center portion 220 or the It extends in the rotation shaft 140 direction.

상기 회동축(140)이 상기 보호커버(150)에 고정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회동축(140)의 내측에는 걸림돌기(141)가 마련된다. 상기 걸림돌기(141)가 상기 보호커버(150)의 내측에 결합되어 걸림으로써 상기 회동축(140)의 고정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A locking protrusion 141 is provided inside the pivot shaft 140 so that the pivot shaft 140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protective cover 150. The locking protrusion 141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protective cover 150 to be locked so that the fixed state of the pivot shaft 140 can be maintained.

상기 연결부(230)의 테두리 상측에는 상기 조절부재(200)와 상기 제1링크부재(110)의 일단부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체결부(250)가 마련된다. A fastening part 250 is rotatab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ntrol member 200 and the first link member 110 at an upper side of the edge of the connection part 230.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가압부(210)에 대하여 가압동작을 수행하면, 상기 가압부(210)는 상기 회동중심부(220) 및 상기 회동축(140)을 중심으로 하여 하방으로 회동을 한다. 그렇게 되면, 상기 체결부(250)도 회동을 하되, 후방으로 이동한다.Therefore, when the user performs a pressing operation with respect to the pressing unit 210, the pressing unit 210 rotates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center 220 and the rotating shaft 140. If so, the fastening part 250 also rotates, but moves backward.

그에 따라서, 상기 제1링크부재(110)가 뒤로 이동을 하고, 연속적으로 상기 제2링크부재(120)도 뒤로 이동을 하여, 상기 결합부(40)와 결합해제가 되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first link member 110 moves backwards, and the second link member 120 also moves backwards, thereby disengaging from the coupling part 40.

그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본체(도1참조, 10)를 뒤로 잡아당기면, 상기 본체(10) 및 상기 커버부재(21), 그리고 상기 결합부(40)가 회동 운동을 하게 되어, 상기 본체(10)와 피청소면간의 배치각도가 변하게 되는 것이다. When the user pulls back the main body (see Fig. 1, 10) in this state, the main body 10 and the cover member 21, and the engaging portion 40 is rotated, the main body 10 ) And the placement angle between the surface to be cleaned will change.

한편, 상기 회동축(140)과 상기 가압부(210)에는 각각 탄성부재(240)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연결되는데, 이는 상기 가압부(210)에 대한 가압작용시에는 늘어났다가, 가압작용 해제시에는 원상태로 복귀하여 상기 가압부(210)가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복원안내 작용을 한다. On the other hand,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member 240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140 and the pressing portion 210, respectively, which is increased during the pressing action on the pressing portion 210, the pressing action When released, it returns to its original state and functions to restore the pressing unit 210 to its original position.

상기 탄성부재(240)는 상술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코일 스프링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elastic member 240 is preferably provided in the form of a coil spring to perform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한편, 상기 가압부(210)의 양 옆에는 보조바퀴(130)가 마련되는데, 상기 보조바퀴(130)는 상기 가압부(210)에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보호커버(도3참조, 150)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피청소면과 접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ide of the pressing portion 210 is provided with auxiliary wheels 130, the auxiliary wheel 130 is not coupled to the pressing portion 210, the protective cover (see Fig. 3, 150) It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to maintain the surface to be cleaned and grounded.

도3은 상기 보호커버(150)를 포함한 상기 지지유닛(100)과 상기 조절부재(200)를 도시한 것이다. 3 illustrates the support unit 100 and the adjustment member 200 including the protective cover 150.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보조바퀴(130)는 상기 보호커버(150)의 내측 하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auxiliary wheel 13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inner lower end of the protective cover 150.

상기 한쌍의 지지유닛(100)은 상기 회동축(140)에 의하여 연결되어 같이 회동운동을 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한쌍의 보호커버(150)의 내측 하단부에 장착된 상기 보조바퀴(130)도 동시에 피청소면에 접지된 상태에서 회전운동을 할 수 있다. The pair of support units 100 are connected by the pivot shaft 140 to rotate together, so that the auxiliary wheel 130 mounted on the inner lower end of the pair of protective covers 150 is also at the same time. Rotational movement can be performed while grounded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상기 제1링크부재(110)와, 상기 제2링크부재(120)는 상기 보호커버(150) 내측공간에 수용되어 있으며, 그 내측공간은 상기 제1,2링크부재(110,120)의 운동이 가능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갖는다. The first link member 110 and the second link member 120 is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protective cover 150,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and second link members (110, 120) can be moved. It is as large as it can be.

상기 보호커버(150)내측 상부에는 상기 결합부(도2참조, 40)에 삽입되어 끼워지는 삽입부(151)가 마련되는데, 상기 삽입부(151)에 상기 탄성복원부재(43)의 타단부가 끼워진다.An inner portion of the protective cover 150 is provided with an insertion portion 151 inserted into and fitted into the coupling portion (see FIG. 2 and 40), and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elastic restoring member 43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151. Is fitted.

즉, 상기 탄성복원부재(43)는 상기 결합부(도2참조, 40)에 그 일단부가 고정되고, 그 타단부는 상기 삽입부(151)에 고정된다. That is, one end of the elastic restoring member 43 is fixed to the coupling part (see FIG. 2, 40),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fixed to the insertion part 151.

따라서, 상기 지지유닛(100) 움직임에 의하여 상기 탄성복원부재(43)가 변형되면 상기 탄성복원부재(43)는 상기 지지유닛(100)의 반대방향으로 상기 지지유닛(100)을 복귀시키려는 복원력을 제공한다. Therefore, when the elastic restoring member 43 is deformed by the movement of the supporting unit 100, the elastic restoring member 43 has a restoring force for returning the supporting unit 100 to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supporting unit 100. to provide.

다만, 상기 제2링크부재(120)의 결합돌기부(121)가 상기 결합부(도2참조, 40)의 결합홈(도2참조, 41)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상기 탄성복원부재(43)의 복원력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지지유닛(100)이 움직이지는 않을 것이고, 상기 결합돌기부(121)가 상기 결합홈(41)에서 빠진 상태가 되어야 상기 탄성복원부재(43)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지지유닛(100)이 원상태로 돌아갈 수 있을 것이다. However,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restoring member 43 when the coupling protrusion 121 of the second link member 120 is fitted into the coupling groove (see FIGS. 2 and 41) of the coupling portion (see FIGS. 2 and 40). Even if this action is performed, the support unit 100 will not move, and the support unit 100 may be remov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restoring member 43 when the coupling protrusion 121 is removed from the coupling groove 41. Will return to its original state.

도4와 도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40)의 외주면에는 결합홈(41)이 상호 이격된 상태로 복수개가 마련되어 있다. 편의상 최하단부에 있는 결합홈을 제1결합홈(41a), 그 위에 배치된 결합홈을 제2결합홈(41b), 최상단부에 있는 결합홈을 제3결합홈(41c)라고 하겠다.4 and 5,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41 are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40 in a state in which the coupling grooves 4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For convenience, the coupling groove at the lowermost end will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upling groove 41a, the coupling groove disposed thereon to be the second coupling groove 41b, and the coupling groove at the top end will be referred to as the third coupling groove 41c.

상기 본체(10)가 피청소면에 대하여 90도 각도로 직립한 상태에서는 상기 제2링크부재(110)에 마련되는 결합돌기부(121)가 상기 제1결합홈(41a)에 삽입되어 결합상태를 유지한다. In a state where the main body 10 is upright at an angle of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surface to be cleaned, a coupling protrusion 121 provided in the second link member 110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upling groove 41a to maintain a coupling state. do.

이때, 상기 제1링크부재(110)와 상기 제2링크부재(120) 간의 배치각도는 θ1이 된다. At this time, the arrangement angle between the first link member 110 and the second link member 120 is θ 1 .

도6과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조절부재(200)의 가압부(210)를 밟거나 눌러서 P로 표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가압부(210)는 상기 회동중심부(220) 및 상기 회동축(140)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을 하면서 그 단부가 하강운동을 한다. 6 and 7, when the user presses or presses the pressing portion 210 of the adjusting member 200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dicated by P, the pressing portion 210 is the rotation center portion ( 220) and the end is a downward movement while rotating about the rotation shaft 140.

위와 같은 상기 가압부(210)의 운동에 따라서 상기 가압부(210)와 상기 회동축(140)을 연결하는 탄성부재(240)의 길이는 늘어난다.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ressing unit 210 as described above, the length of the elastic member 240 connecting the pressing unit 210 and the pivot shaft 140 increases.

한편, 상기 체결부(250)는 후방으로 이동을 하고, 그에 따라서 상기 제1링크부재(110)가 뒤로 당겨져 후진운동을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fastening part 250 moves to the rear, and accordingly the first link member 110 is pulled back to perform the backward movement.

상기 제1링크부재(110)의 후진운동에 따라서 상기 제2링크부재(120)도 그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을 하면서 상기 제1링크부재(110)와 연결된 부분이 후방으로 이동한다. In response to the backward movement of the first link member 110, the second link member 120 also rotates about its rotation axis, and a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link member 110 moves backward.

상기 제1링크부재(110)와 상기 제2링크부재(120)가 위와 같이 운동을 하게 되면, 상기 제1링크부재(110)와 상기 제2링크부재(120)간에 형성되었던 배치각도 θ1 은 더 커져서 θ2가 된다. When the first link member 110 and the second link member 120 is moved as described above, the arrangement angle θ 1 formed between the first link member 110 and the second link member 120 is It becomes larger and becomes θ 2 .

상기 제2링크부재(120)의 후방이 뒤로 이동함에 따라서 상기 제2링크부재(120)에 있는 상기 결합돌기부(121)가 상기 제1결합홈(41a)으로부터 이탈되어, 그 결합상태가 해제된다. As the rear side of the second link member 120 moves backward, the coupling protrusion 121 in the second link member 120 is separated from the first coupling groove 41a, and the coupling state is released. .

한편, 이와 같이, 상기 결합부(40)의 제1결합홈(41a)과 상기 결합돌기부(121)간의 결합상태가 해제된 경우, 상기 본체(10)를 뒤로 잡아당기면, 상기 본체(10)가 피청소면에 대하여 비스듬한 자세로 배치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is way, when the coupling state between the first coupling groove 41a of the coupling portion 40 and the coupling protrusion 121 is released, when the main body 10 is pulled back, the main body 10 is It may be arranged in an obliqu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surface to be cleaned.

그리고, 상기 조절부재(200)의 가압부(210)에 대한 가압상태를 해제하면, 상기 가압부(210)는 상기 가압부(210)와 상기 회동축(140)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240)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원상태로 복귀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pressing state of the pressing unit 210 of the adjusting member 200 is released, the pressing unit 210 is an elastic member 240 disposed between the pressing unit 210 and the pivot shaft 140. It is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그리고, 상기 가압부(210)가 원상태로 복귀하게 되면, 상기 체결부(250)와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1링크부재(110)가 앞으로 이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서 상기 제2링크부재(120)도 앞으로 이동하게 된다. When the pressing unit 210 is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the first link member 110 connected to the fastening unit 250 moves forward, and accordingly, the second link member 120 also moves. Will move forward.

이때, 상기 본체(10)가 직립상태에서 소정 각도만큼 비스듬하게 기울어지면, 그에 따라서 상기 바퀴어셈블리(20)의 커버부재(21)와 상기 커버부재(21)에 마련되는 상기 결합부(40)도 상기 본체(10)의 기울어진 각도만큼 기울어진다.At this time, when the main body 10 is inclined obliquely by a predetermined angle in an upright state, accordingly, the coupling part 40 provided on the cover member 21 and the cover member 21 of the wheel assembly 20 is also accordingly. It is inclined by the inclined angle of the main body 10.

따라서, 상기 제2결합홈(41b) 또는 제3결합홈(41c)이 상기 아래로 이동하여,도8또는 도9와 같이 상기 결합돌기부(121)와 결합가능하게 된다.Therefore, the second coupling groove 41b or the third coupling groove 41c is moved downward, so that the coupling protrusion 121 can be coupled with each other as shown in FIG. 8 or 9.

만약에, 상기 결합돌기부(121)가 상기 제2결합홈(41b) 또는 제3결합홈(41c)과 결합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40)의 외주면과 접촉된 상태라면, 사용자가 상기 본체(10)의 핸들을 위아래로 움직이면, 상기 결합돌기부(41)가 상기 제2결합홈(41b) 또는 제3결합홈(41c)과 결합하게 된다.If the coupling protrusion 121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40 in a state in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121 is not engaged with the second coupling groove 41b or the third coupling groove 41c, the user may contact the main body. When the handle of (10) is moved up and down, the coupling protrusion 41 is coupled to the second coupling groove (41b) or the third coupling groove (41c).

상기 탄성부재(240)가 상기 가압부(210)를 원상태로 복귀시키려는 힘이 상기 제1,2링크부재(110, 120)에도 적용되기 때문에 상기 결합돌기부(121)는 전방으로 이동하려는 경향을 갖게 된다. Since the elastic member 240 is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link members 110 and 120 to restore the pressing unit 210 to its original state, the coupling protrusion 121 has a tendency to move forward. do.

상기 결합돌기부(121)와 상기 결합부(40)의 외주면간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돌기부(121)의 위치에 상기 제2결합홈(41b) 또는 제3결합홈(41c)이 오게 되면, 상기 결합돌기부(121)가 전진이동하여 상기 제2결합홈(41b) 또는 제3결합홈(41c)에 삽입되어 끼워지게 되는 것이다.When the second coupling groove 41b or the third coupling groove 41c comes to the position of the coupling protrusion 121 in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upling protrusion 121 and the coupling portion 40, the The coupling protrusion 121 is moved forward to be inserted into the second coupling groove 41b or the third coupling groove 41c.

사용자가 상기 본체(10)를 상기 피청소면에 대하여 45도 각도 또는 그에 가까운 각도로 비스듬히 기울인 상태라면 상기 결합돌기부(121)가 상기 제2결합홈(41b)과 결합될 것이고, 그 결합으로 인하여, 상기 본체의 비스듬히 기울어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을 것이다. If the user tilts the main body 10 at an angle of 45 degrees to or close to the surface to be cleaned, the coupling protrusion 121 will be engaged with the second coupling groove 41b. The obliquely inclined state of the main body may be maintained.

이와 같은 상태가 유지되면, 상기 본체(10)의 하중은 상기 바퀴어셈블리(20) 뿐만 아니라, 상기 지지유닛(100)으로 분산되고, 그에 따라서 사용자가 핸들을 잡아도 핸들을 통해서 하중압력이 전해지는 정도가 미미하므로 사용자의 신체적 피로도를 절감할 수 있다. When such a state is maintained, the load of the main body 10 is distributed not only to the wheel assembly 20 but also to the support unit 100, whereby the load pressure is transmitted through the handle even if the user grasps the handle. As a result, the physical fatigue of the user can be reduced.

즉, 도6과 같이 사용자가 상기 조절부재(200)의 가압부(210) 를 밟아서 상기 결합돌기부(121)와 상기 결합부(40)와의 결합상태를 해제시킨 상태에서, 도10과 같이 상기 본체(10)를 후방으로 기울여서, 상기 본체(10)가 상기 피청소면에 대하여 소정 각도만큼 기울어진 상태에는 상기 지지유닛(100)과 상기 바퀴어셈블리(20)의 커버부재(21)간의 결합된 부분도 뒤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한다.That is, as shown in FIG. 6, when the user releases the coupling state between the coupling protrusion 121 and the coupling part 40 by stepping on the pressing part 210 of the adjustment member 200, the main body as shown in FIG. 10. When the main body 10 is inclined by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surface to be cleaned by tilting (10) backward, a combined portion between the support unit 100 and the cover member 21 of the wheel assembly 20 is also shown. Go back a certain distance.

그리고, 상기 피청소면과 상기 보조바퀴(130)간의 접지부분도 뒤로 이동하여 상기 본체(10)를 지지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ground portion between the surface to be cleaned and the auxiliary wheel 130 is also moved backward to support the main body 10.

이와 같이 상기 지지유닛(100)과 상기 바퀴어셈블리(20)의 커버부재(21)간의 결합된 부분 및 상기 피청소면과 상기 보조바퀴(130)간이 접지부분이 뒤로 이동하는 이유는 상기 본체(10)가 뒤로 기울어지게 되면, 그만큼 상기 본체(10)의 무게중심점도 후방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균형을 맞추기 위해서 그러한 것이다. As such, the combined portion between the support unit 100 and the cover member 21 of the wheel assembly 20 and the ground portion between the surface to be cleaned and the auxiliary wheel 130 move backward because of the main body 10. Is tilted backwards,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main body 10 also moves backwards, so as to balance.

직립상태를 유지하는 경우에는 도2에서 처럼 상기 제1결합홈(41a)에 상기 결합돌기부(121)가 삽입되어 결합상태를 유지한다. In the case of maintaining the upright state, as shown in FIG. 2, the coupling protrusion 121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upling groove 41a to maintain the coupling state.

그러나, 도6에서처럼 상기 가압부(210)를 밟아서 상기 결합부(40)의 제1결합홈(41a)과 상기 결합돌기부(121)간의 결합상태를 해제시키면, 도 10에서 처럼 상기 본체(10)를 직립상태로부터 후방으로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상태로 바꿀 수 있다. However, as shown in FIG. 6, when the user presses the pressing part 210 to release the coupling state between the first coupling groove 41a of the coupling part 40 and the coupling protrusion 121, the main body 10 as shown in FIG. 10. Can be changed from the upright state to the obliquely backward position.

그리고, 그러한 상태에서 상기 도8 또는 도9에서 처럼 상기 가압부(210)에 대한 가압상태를 해제하면, 상기 제2결합홈(41b)에 상기 결합돌기부(121)가 삽입되어 결합상태를 유지한다. In such a state, when the pressing state of the pressing unit 210 is released as in FIG. 8 or 9, the coupling protrusion 121 is inserted into the second coupling groove 41b to maintain the coupling state. .

도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가 상기 피청소면에 대해서 거의 수평상태에 가까운 상태가 되도록 사용자가 상기 조절부재(도6참조, 200)의 가압부(도6참조, 210)를 누른 상태에서 상기 본체(10)를 눕힌 경우에는 상기 바퀴어셈블리(20)의 커버부재(21)와 상기 지지유닛(100)의 결합부 및 상기 보조바퀴(130)와 상기 피청소면이 접지부분이 도10상태에서보다 더 후방으로 이동한다.As shown in FIG. 11, the user pushes the pressing portion (see FIG. 6, 210) of the adjusting member (see FIG. 6, 200) such that the main body 10 is almost in a horizontal state with respect to the surface to be cleaned. When the main body 10 is laid down while being pressed, the cover member 21 of the wheel assembly 20 and the coupling part of the support unit 100 and the auxiliary wheel 130 and the surface to be cleaned are grounded. Move further back than in the 10 state.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의 무게 중심의 이동을 반영하여 본체의 하중을 적절하게 분산하기 위함이다. This is to properly distribute the load of the main body to reflect the movement of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main body as described above.

상기 본체(10)가 누운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결합돌기부(도8참조, 121)가 상기 제3결합홈(도8참조, 41c)에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가 되어야 한다.In order to maintain the main body 10 in the lying state, the coupling protrusions (see FIGS. 8 and 121) should be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third coupling grooves (see FIGS. 8 and 41c).

도12는 상기 지지유닛(100)이 도1과 같이 상기 바퀴어셈블리(20)에 장착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본체(10)의 양 측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FIG. 12 shows that the support unit 100 is not mounted to the wheel assembly 20 as shown in FIG. 1, but is rotatab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0.

도1의 경우와 같이 상기 지지유닛(100)이 상기 바퀴어셈블리(20)에 장착되는 경우에는 상기 지지유닛(10)이 장착되는 커버부재(21)는 회전하지 않고, 상기 커버부재(21)의 테두리에 설치된 바퀴부재(22)만이 회동한다.As shown in FIG. 1, when the support unit 100 is mounted to the wheel assembly 20, the cover member 21 on which the support unit 10 is mounted does not rotate, and the cover member 21 is not rotated. Only the wheel member 22 installed on the rim rotates.

그러나 도12와 같이, 상기 지지유닛(100)이 상기 본체(10)의 양측면에 장착이 되면, 상기 바퀴어셈블리(20) 전체가 회동하게 되어, 이동이 보다 원활해 질 수 있다. However, as shown in Figure 12, when the support unit 100 is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0, the entire wheel assembly 20 is rotated, the movement can be more smooth.

상기 지지유닛(100)의 장착위치가 상기 바퀴어셈블리(20)가 아닌 상기 본체의 양측면이라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지지유닛(100) 및 상기 조절부재(200)의 구성,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상태 변화에 따른 상기 지지유닛(100)의 상태 변화 등은 상기 도1내지 도11에서 도시한 바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겠다. Configuration of the support unit 100 and the adjustment member 200, and the main body 10, except that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support unit 100 is both sides of the main body rather than the wheel assembly 20 The change in the state of the support unit 100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state is the same as shown in Figures 1 to 11 will be omitted a detailed description.

10; 본체 20: 바퀴어셈블리
21: 커버부재 22: 바퀴부재
30:흡입노즐 40: 결합부
41: 결합홈 43: 탄성복원부재
100: 지지유닛 101: 링크부재
110: 제1링크부재 120: 제2링크부재
121: 결합돌기부 130: 보조바퀴
140: 회동축 150: 보호커버
200: 조절부재 210: 가압부
220: 회동중심부 230: 연결부
240: 복원부재 250: 체결부
10; Body 20: wheel assembly
21: cover member 22: wheel member
30: suction nozzle 40: coupling part
41: coupling groove 43: elastic restoring member
100: support unit 101: link member
110: first link member 120: second link member
121: engaging projection 130: auxiliary wheel
140: rotating shaft 150: protective cover
200: adjusting member 210: pressing portion
220: center of rotation 230: connection
240: restoration member 250: fastening portion

Claims (15)

바퀴 어셈블리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피청소면에 대한 배치 각도가 변화가능하게 마련되는 본체와;
상기 바퀴 어셈블리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본체를 지지하여 상기 본체의 하중압력을 분산하되, 피청소면에 대한 상기 본체의 배치각도 변화에 따라서 피청소면에 대한 그 배치각도가 변화가능하게 마련되는 지지유닛과;
상기 지지유닛과 연결되고 사용자의 가압작용에 의해 동작가능하게 마련되어 사용자의 가압작용 여부에 따라서 상기 지지유닛과 상기 바퀴어셈블리간의 결합상태 유지 또는 상대운동이 가능하게 하여 상기 지지유닛의 배치각도를 조절하는 조절부재와;
상기 바퀴어셈블리에 마련되어 상기 지지유닛과 상기 바퀴어셈블리 간의 결합상태가 선택적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조절부재의 동작에 따라서 상기 지지유닛과 결합 또는 결합해제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바퀴어셈블리 및 상기 조절부재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조절부재의 동작에 따라서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거나 또는 결합해제되는 링크부재와;
상기 바퀴 어셈블리에 배치되는 링크부재를 연결하고 상기 조절부재와 결합하여 상기 조절부재의 회동중심이 되는 회동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A main body rotatably coupled with the wheel assembly and provided with a variable arrangement angle with respect to the surface to be cleane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wheel assembly, the support for supporting the main body to distribute the load pressure of the main body, the support angle is provided so that the arrangement angle with respect to the surface to be cleaned is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in the arrangement angle of the body to the surface to be cleaned A unit;
It is connected to the support unit and is operable by the user's pressing action to maintain the coupled state or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support unit and the wheel assembly according to the user's pressing action to adjust the placement angle of the support unit Adjusting member;
A coupling part provided in the wheel assembly to engage or disengage with the support uni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adjustment member to selectively maintain a coupling state between the support unit and the wheel assembly;
The support unit may include a link member rotatably coupled to the wheel assembly and the adjustment member and coupled to or released from the coupling par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adjustment member;
Uplink type vacuum cleaner comprising a rotating shaft which is connected to the link member disposed on the wheel assembly and combined with the adjusting member to be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adjusting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의 일단부에 마련되되 지면과 접촉가능하게 마련되는 보조바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
A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further comprising an auxiliary wheel provided at one end of the support unit to be in contact with the groun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 어셈블리는 상기 본체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본체 양측에 배치되는 바퀴 어셈블리에 각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wheel assembly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body,
The support unit is a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each provided on the wheel assembly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조절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조절부재의 동작에 의하여 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링크부재와;
상기 바퀴어셈블리 및 상기 제1링크부재의 타단부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링크부재의 동작에 의하여 상기 결합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거나 결합해제되는 제2링크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link member may include a first link membe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adjustment member and provided to be movable by an operation of the adjustment member;
And a second link member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wheel assembly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link member, and selectively coupled to or released from the coupling unit by an operation of the first link member. Upright vacuum clean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어셈블리는 상기 본체에 고정되며 상기 본체의 움직임을 따라 움직이는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의 테두리에 마련되어 구름운동을 하는 바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커버부재에 마련되되, 그 외주면에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본체와 상기 지지유닛의 배치각도 변화에 따라서 상기 복수개의 결합홈과 순차적으로 결합하거나 결합해제되는 결합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wheel assembly is fixed to the main body and the cover member moving along the movement of the main body; It includes a wheel member provided on the edge of the cover member to perform a rolling motion,
The coupling part is provided in the cover member, and includes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he link member is a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upling protrusion which is sequentially coupled to or released from the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arrangement angle of the main body and the support uni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는 페달 형태로 마련되되,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회동축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조절부재의 회동운동의 중심이 되는 회동중심부와,
상기 결합부와 연결되며 사용자의 가압작용이 가해져서 상기 가압작용에 따라서 상기 회동중심부에 대하여 회동운동을 하는 가압부와;
상기 회동중심부와 상기 가압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adjusting member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pedal, the adjusting member is pivotally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and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adjusting member and the rotational center,
A pressing part connected to the coupling part and configured to rotat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rotation according to the pressing action by a pressing action of the user;
Upright type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necting portion for connecting the center of rotation and the pressing por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플레이트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호 이격되어 상기 가압부의 양측부로부터 일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회동중심부는 연결부의 단부에 마련되되, 상기 회동축이 삽입되는 삽입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pressing portion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plate,
The connecting portion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re provided to extend in one direction from both sides of the pressing portion.
The pivot center portion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the upright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rotation shaft is inserte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 마련되어 상기 링크부재와 회동가능하게 체결되는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nd a fastening part provided on the connection part and rotatably fastened to the link memb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축과 상기 가압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가압부에 대한 가압작용시 탄성적으로 연장되고, 상기 가압부에 대한 가압작용 해제시 탄성적으로 축소되어 상기 가압부를 가압작용 전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Coupled to the pivot shaft and the pressing unit,
An elastic member extending elastically during the pressing action against the pressing portion, and elastically contracting upon the release of the pressing action against the pressing portion to return the pressing portion to a position before the pressing action. Vacuum clean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결합부와, 상기 링크부재 및 상기 회동축과, 상기 조절부재의 외측부에 마련되어 이들을 외부로부터 커버하는 보호커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결합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동축과 고정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support unit further includes a protective cover provided at the outer portion of the coupling portion, the link member and the rotation shaft, and the adjustment member to cover them from the outside,
The protective cover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and the upright type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fixed to the rotation shaf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바퀴는 상기 보호커버의 내측 하단부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0,
The auxiliary wheel is a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is provided to be rotatable in the inner lower end of the protective cov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에 장착되고 상기 보호커버의 내측부와 연결되어 상기 지지유닛의 회전이동시 상기 결합부에 대하여 상기 보호커버의 회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복원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0,
And an elastic restoring member mounted to the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o an inner part of the protective cover to provide an elastic restoring forc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protective cover when the support unit rotates. Upright vacuum cleaner.
피청소면에 대한 배치 각도가 변화가능하게 마련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본체의 하중압력을 분산하되, 피청소면에 대한 상기 본체의 배치각도 변화에 따라서 피청소면에 대한 그 배치각도가 변화가능하게 마련되는 지지유닛과;
상기 지지유닛과 연결되고 사용자의 가압작용에 의해 동작가능하게 마련되어 사용자의 가압작용 여부에 따라서 상기 지지유닛과 상기 본체 간의 결합상태 유지 또는 상대운동이 가능하게 하여 상기 지지유닛의 배치각도를 조절하는 조절부재와;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지지유닛과 상기 본체 간의 결합상태가 선택적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조절부재의 동작에 따라서 상기 지지유닛과 결합 또는 결합해제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본체 및 상기 조절부재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조절부재의 동작에 따라서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거나 또는 결합해제되는 링크부재와;
상기 본체에 배치되는 링크부재를 연결하고 상기 조절부재와 결합하여 상기 조절부재의 회동중심이 되는 회동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A main body provided with a variable arrangement angle with respect to the surface to be cleaned;
A support unit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distributing a load pressure of the main body, the support unit being provided such that the arranging angle of the main body to be changed is changed in accordance with a change in the main unit's position of the main body to be cleaned;
Adjusted to be connected to the support unit and operable by the user's pressing action to maintain the coupled state or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support unit and the main body according to the user's pressing action to adjust the placement angle of the support unit Absence;
A coupling part provided on the main body to engage or disengage with the support uni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adjustment member to selectively maintain a coupling state between the support unit and the main body,
The support unit may include a link member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the control member, the link member being coupled to or released from the coupling par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member;
Uplink type vacuum cleaner comprising a rotating shaft which is connected to the link member disposed on the main body and combined with the adjusting member to be the rotating center of the adjusting member.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의 일단부에 마련되되 지면과 접촉가능하게 마련되는 보조바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3,
A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further comprising an auxiliary wheel provided at one end of the support unit to be in contact with the ground.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본체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support unit is an upright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KR1020100064768A 2010-07-06 2010-07-06 A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Expired - Fee Related KR1011866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4768A KR101186613B1 (en) 2010-07-06 2010-07-06 A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4768A KR101186613B1 (en) 2010-07-06 2010-07-06 A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103A KR20120004103A (en) 2012-01-12
KR101186613B1 true KR101186613B1 (en) 2012-09-27

Family

ID=45610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4768A Expired - Fee Related KR101186613B1 (en) 2010-07-06 2010-07-06 A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661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0311B1 (en) 2014-04-09 2020-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Vacuum cleaner and gravity compensation apparatus thereof
KR20240068467A (en) * 2022-11-10 2024-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Clea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2663A (en) * 2001-09-28 2003-04-08 Amano Corp Floor cleaning cleaner
JP2009061285A (en) 2007-09-08 2009-03-26 Dyson Technology Ltd Surface treatment equipm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2663A (en) * 2001-09-28 2003-04-08 Amano Corp Floor cleaning cleaner
JP2009061285A (en) 2007-09-08 2009-03-26 Dyson Technology Ltd Surface treatment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103A (en) 2012-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6764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sting pivot motion of a handle in a floor treatment device
JP5723017B2 (en) Steering assembly for surface cleaning device
KR101390924B1 (en) Upright Vacuum Cleaner having Steering Unit
EP1985218B1 (en) Vacuum cleaner
KR101199397B1 (en) A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US20080295270A1 (en) Suction brush for vacuum cleaner
KR20110106883A (en) Floor finish applicator
KR101186613B1 (en) A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CN103200852B (en) Floor cleaning machine with pivotable waste collector
CN109982623A (en) Scavenging machine and the clearing apparatus for having this
CN119012952A (en) Floor treatment device comprising a guide member with an engagement assembly
US20160353958A1 (en) Scrubber machine
US9232878B2 (e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EP2765894B1 (en) Steering assembly for surface cleaning device
US20060213026A1 (en) Suction attachment for a vacuum cleaner
JP5901331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KR20120016810A (en) Upright vacuum cleaner
KR101187078B1 (e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US20060101613A1 (en) Control handle assembly
US8720003B2 (e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EP4098165A1 (en) Vacuum cleaner nozzle
KR102326654B1 (en) vacuum cleaner nozzle
AU2010358610A1 (en) Aspiration nozzle of vacuum cleaner and vacuum cleaner having same
TWI825624B (en) Cleaner
KR100525376B1 (en) A height adjustment device for wheels in a suction nozzle assembly of vacuum clean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9092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909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