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81951B1 - Color shift compensation filte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olor shift compensation filte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1951B1
KR101181951B1 KR1020090081243A KR20090081243A KR101181951B1 KR 101181951 B1 KR101181951 B1 KR 101181951B1 KR 1020090081243 A KR1020090081243 A KR 1020090081243A KR 20090081243 A KR20090081243 A KR 20090081243A KR 101181951 B1 KR101181951 B1 KR 101181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lter
color shift
substrate
refractive index
patter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12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23389A (en
Inventor
박성식
Original Assignee
삼성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1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1951B1/en
Publication of KR20110023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338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1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1951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의 디스플레이모듈의 전방에 구비되어 컬러시프트를 저감하는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터로서, 기재와, 적어도 2 이상의 굴절률을 갖고, 상기 기재에 분산되어 상기 기재와의 굴절률 차이에 의하여 광을 산란시키는 이방성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방성물질의 광축은 상기 광학필터의 법선 방향을 따른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방성물질의 정상 굴절률(ordinary refractive index)은, 상기 기재의 굴절률과 동일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방성물질의 이상 굴절률(extraordinary refractive index)은 상기 기재의 굴절률과 다르며, 빛이 상기 법선 방향과 더 큰 각을 이루며 입사할수록 기재와 이상광선(extraordinary wave)이 입사할 때 이방성물질의 굴절률 차이가 증가한다. 바람직하게, 백그라운드와 상기 백그라운드에 깊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광흡수패턴을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백그라운드와 상기 백그라운드에 깊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광산란패턴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lor shift reduction optical filter provided in front of a display module of a display device to reduce color shift, and has a substrate and at least two refractive indices, and is dispersed in the substrate so that optical It provides a color shift reducing optical filter comprising an anisotropic material for scattering. Preferably, the optical axis of the anisotropic material is along the normal direction of the optical filter. Preferably, the normal refractive index of the anisotropic material is the same as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ubstrate. Preferably, the extraordinary refractive index of the anisotropic material is different from the refractive index of the base material, and when light enters at a greater angle with the normal direction, the base material and the extraordinary wave enter the extraordinary wave. Th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increases. Preferably, the light absorbing pattern may be provided to have a background and a depth in the background. Preferably, the light scattering pattern may be provided to have a background and a depth in the background.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color shift reduction optical filter.

Description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장치{COLOR SHIFT COMPENSATION FILTE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Color shift reduction optical filter and display device having same {COLOR SHIFT COMPENSATION FILTE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방성물질을 이용하여 컬러 시프트를 개선하는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lor shift reducing optical filter and a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lor shift reducing optical filter for improving color shift using an anisotropic material and a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현대 사회가 고도로 정보화 되어감에 따라서 이미지 디스플레이(image display) 관련 부품 및 기기가 현저하게 진보하고 보급되고 있다. 그 중에서,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텔레비전 장치용, 퍼스널 컴퓨터의 모니터장치용, 등으로서 현저하게 보급되고 있으며, 대형화와 박형화가 진행되고 있다. As the modern society is highly informationized, image display-related components and devices have been remarkably advanced and widespread. Among them, display apparatuses for displaying images are widely used as television apparatuses, monitor apparatuses for personal computers, and the like, and are being enlarged and thinned.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는 액정(Liquid Crystal)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평판 표시 장치의 하나로써,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비해 얇고 가벼우며, 낮은 구동전압 및 낮은 소비전력을 갖는 장점이 있어, 산업 전반에 걸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In general, a liquid crystal display is a flat panel display that displays an image using liquid crystal, and is thinner and lighter than other display devices, and has a low driving voltage and low power consumption. It is widely used throughout the industry.

도 1은 LCD의 기본 구조와 구동 원리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종래의 VA 모드 LCD를 예로 들면, 두 개의 편광필름(110, 120)의 광축이 서로 수직이 되도록 부착되어 있다. 투명 전극(140)이 코팅된 두 개의 투명 기판(130) 사이에 복굴절 특성을 보이는 액정분자(150)가 삽입, 배열된다. 구동 전원부(180)에 의해 전기장이 인가되면, 액정분자가 전기장에 수직으로 움직여 배열된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the basic structure and driving principle of an LCD. For example, the conventional VA mode LCD is attached so that the optical axes of the two polarizing films 110 and 120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150 exhibiting birefringence are inserted and arranged between the two transparent substrates 130 coated with the transparent electrode 140. When the electric field is applied by the driving power supply unit 180,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are arranged to move perpendicular to the electric field.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나오는 빛은 제1 편광필름(120)을 통과한 후 선편광이 되고, 도 1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off 상태인 경우 액정은 기판에 대해 수직 배향되어 있으므로, 선편광된 빛은 그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어 제1 편광필름(120)과 수직인 제2 편광필름(110)을 통과하지 못하게 된다. The light emitted from the backlight unit becomes linearly polarized light after passing through the first polarizing film 120. When the light is off, as shown in the left side of FIG. 1, the liquid crystal is vertically aligned with respect to the substrate. Is maintained as it is so as not to pass through the second polarizing film 110 perpendicular to the first polarizing film 120.

한편 도 1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on 상태인 경우 액정은 전기장에 의해 기판과 평행한 방향으로 두 직교 편광필름(110, 120)의 광축 사이에 수평 배향되어 있어서 제1 편광필름을 통해 선편광된 빛은 액정분자를 통과하면서 제2 편광필름에 도달하기 직전에 편광 상태가 90도 회전된 선편광, 원편광 또는 타원편광 상태로 변화하여 제2 편광필름을 통과하게 된다. 전기장의 세기를 조절하면 액정의 배열 상태가 수직 배향에서 점차 수평 방향으로 배향 각도가 변화하며 이때 나오는 빛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on state as shown on the right side of FIG. 1, the liquid crystal is horizontally oriented between the optical axes of the two orthogonal polarizing films 110 and 120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ubstrate by an electric field, and thus linearly polarized through the first polarizing film. While the light passes through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the light is changed to a linearly polarized, circularly or elliptically polarized state in which the polarization state is rotated by 90 degrees immediately before reaching the second polarizing film, thereby passing through the second polarizing film. By adjusting the intensity of the electric field, the alignment angle of the liquid crystal is gradually changed from the vertical alignmen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intensity of light emitted from the liquid crystal can be adjusted.

도 2는 시야각에 따른 액정의 배향 상태와 광투과도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lignment states and light transmittances of liquid crystals according to viewing angles.

화소(220) 내에 액정분자가 일정한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경우, 시야각에 따라 배열 상태가 다르게 보이게 된다. When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are arrang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in the pixel 220, the arrangement state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viewing angle.

정면에서 우측 방향(210)에서 볼 때, 액정분자의 배열 상태는 거의 수평 배향(212)으로 보이게 되며, 화면이 상대적으로 밝게 보이게 된다. 화면의 정면에서 볼 때(230), 액정분자의 배열 상태(232) 화소(220) 내의 액정분자의 배열과 동일하 게 보인다. 정면에서 좌측 방향(250)에서 볼 때, 액정분자의 배열 상태는 수직 배향(252)으로 보이게 되며, 화면이 상대적으로 어둡게 보이게 된다. When viewed from the front side in the right direction 210,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appears to be almost horizontally aligned 212, and the screen appears relatively bright. When viewed from the front of the screen 230,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232, it looks the same as the arrangement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in the pixel 220. When viewed from the front in the left direction 250,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appears in the vertical alignment 252, and the screen appears relatively dark.

따라서, LCD는 시야각 변화에 따른 빛의 세기와 색의 변화가 발생하며 자발광 디스플레이에 비해 시야각이 크게 제한된다. 따라서, 시야각 개선을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Therefore, the LCD generates light intensity and color change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viewing angle, and the viewing angle is greatly limited compared to the self-luminous display. Therefore, much research has been conducted for improving the viewing angle.

도 3은 시야각에 따른 명암비 변화 및 컬러 시프트를 개선하기 위한 종래 기술의 일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prior art for improving the contrast ratio change and color shift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도 3을 참조하면, 화소를 두 개의 부분 화소, 즉 제1 화소부(320)과 제2 화소부(340)로 분할하여 각 화소부의 액정 배열 상태가 서로 대칭이 되도록 한다. 시청자가 보는 방향에 따라 제1 화소부(320)에서의 액정의 배열 상태와 제2 화소부(340)에서의 액정의 배열 상태가 동시에 보이게 되며, 시청자에게 보이는 빛의 세기는 각각의 화소부의 빛의 세기의 합이 된다. Referring to FIG. 3, the pixel is divided into two partial pixels, that is, the first pixel portion 320 and the second pixel portion 340 so that the liquid crystal arrangement of each pixel portion is symmetrical to each other. According to the viewing direction, the arrangement of the liquid crystals in the first pixel unit 320 and the arrangement of the liquid crystals in the second pixel unit 340 are simultaneously seen, and the intensity of light visible to the viewer is determined by the light of each pixel unit. It is the sum of the strengths of.

즉, 정면에서 우측 방향(310)에서 볼 때, 제1 화소부(320)의 액정은 수평 배향(312)으로 보이고 제2 화소부(340)의 액정은 수직 배향(314)으로 보이게 되며, 제1 화소부(320)에 의해 화면이 밝게 보일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정면에서 좌측 방향(350)에서 볼 때, 제1 화소부(320)의 액정은 수직 배향(352)으로 보이고 제2 화소부(340)의 액정은 수평 배향(354)으로 보이게 되며, 제2 화소부(340)에 의해 화면이 밝게 보일 수 있게 된다. 정면에서 볼 때(330)는 각 화소부의 배열 상태와 동일하게 보이게 된다. 이에 따라 시청자가 볼 때 화면의 밝기는 시야각이 변함에 따라 동일 또는 유사해지며 화면에 대한 수직 방향을 중심으로 대칭이 된다. 따라서, 시야각 변화에 따른 명암비 변화 및 색변화 정도가 개선될 수 있게 된다.That is, when viewed from the front side in the right direction 310, the liquid crystal of the first pixel portion 320 is shown as the horizontal alignment 312 and the liquid crystal of the second pixel portion 340 is shown as the vertical alignment 314. The screen may be made bright by the one pixel unit 320. Similarly, when viewed from the front in the left direction 350, the liquid crystal of the first pixel portion 320 is shown in the vertical alignment 352, and the liquid crystal of the second pixel portion 340 is shown in the horizontal alignment 354. By the two pixel unit 340, the screen can be seen brightly. When viewed from the front (330) is the same as the arrangement state of each pixel portion. Accordingly, the brightness of the screen when viewed by the viewer becomes the same or similar as the viewing angle changes, and becomes symmetric about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creen. Therefore, the change in contrast ratio and the degree of color change according to the change of viewing angle can be improved.

도 4는 시야각에 따른 명암비 변화 및 컬러 시프트를 개선하기 위한 종래 기술의 다른 일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the related art for improving the contrast ratio change and color shift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도 4를 참조하면, 복굴절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그 특성이 LCD 패널에서 화소(440) 내의 액정분자와 동일하며, 액정분자의 배열 상태와 대칭이 되는 광학필름(420)이 추가된다. 시청자가 보는 방향에 따라 화소(440) 내의 액정의 배열 상태와 광학필름(420)의 복굴절 특성으로 인해, 시청자에게 보이는 빛의 세기는 각각에 의한 빛의 세기의 합이 된다. Referring to FIG. 4, an optical film 420 having a birefringence characteristic, the characteristic of which is the same as that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in the pixel 440 in the LCD panel, and which is symmetric with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is added. Due to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liquid crystal in the pixel 440 and the birefringence characteristic of the optical film 420 according to the viewing direction, the light intensity seen by the viewer is the sum of the light intensities.

즉, 정면에서 우측 방향(410)에서 볼 때, 화소(440) 내의 액정은 수평 배향(414)으로 보이고 광학필름(420)에 의한 가상 액정은 수직 배향(412)으로 보이게 되며, 빛의 세기는 각각의 합이 된다. 마찬가지로, 정면에서 좌측 방향(450)에서 볼 때, 화소(440) 내의 액정은 수직 배향(454)으로 보이고 광학필름(420)에 의한 가상 액정은 수평 배향(452)으로 보이게 되며, 빛의 세기는 각각의 합이 된다. 정면에서 볼 때(430)는 화소(440) 내의 액정분자의 배열 상태와 광학필름(420)의 복굴절된 배열 상태가 각각 동일하게 보이게 된다(432, 434). That is, when viewed from the front to the right direction 410, the liquid crystal in the pixel 440 is shown in the horizontal alignment 414, the virtual liquid crystal by the optical film 420 is shown in the vertical alignment 412, the light intensity is Each sum. Similarly, when viewed from the front in the left direction 450, the liquid crystal in the pixel 440 is shown in the vertical alignment 454 and the virtual liquid crystal by the optical film 420 is shown in the horizontal alignment 452, the light intensity is Each sum. In the front view 430,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in the pixel 440 and the birefringent arrangement state of the optical film 420 appear to be the same (432 and 434).

그러나 상기 기술에 의하더라도,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전히 시야각에 따른 컬러 시프트(color shift)는 존재하여 시야각이 증가함에 따라 색변화가 일어나는 문제점을 가진다. However, even with the above technique, as shown in FIG. 5, there is still a color shift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and thus there is a problem that a color change occurs as the viewing angle increases.

본 발명은 상기한 배경하에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야각 증가에 따른 컬러 시프트 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 광학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under the above-described background,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ptical filter and a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that can improve a color shift phenomenon caused by an increase in viewing angle.

아울러, 투과율 손실을 최소화하여 우수한 휘도 특성을 제공하는 컬러 시프트 저감 광학필터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lor shift reducing optical filter and a display device which provide excellent luminance characteristics by minimizing transmission los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의 디스플레이모듈의 전방에 구비되어 컬러시프트를 저감하는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터로서, 기재와, 적어도 2 이상의 굴절률을 갖고, 상기 기재에 분산되어 상기 기재와의 굴절률 차이에 의하여 광을 산란시키는 이방성물질(anisotropic material)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터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lor shift reduction optical filter provided in front of the display module of the display device to reduce the color shift, a substrate, having a refractive index of at least two or more, and dispersed in the sub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lor shift reducing optical filter comprising an anisotropic material that scatters light due to a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from a substrate.

바람직하게, 상기 이방성물질의 광축은 상기 광학필터의 법선 방향을 따른다. Preferably, the optical axis of the anisotropic material is along the normal direction of the optical filter.

바람직하게, 상기 이방성물질의 정상 굴절률(ordinary refractive index) 은, 상기 기재의 굴절률과 동일하다. Preferably, the normal refractive index of the anisotropic material is the same as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ubstrate.

바람직하게, 상기 이방성물질의 이상 굴절률(extraordinary refractive index)은 상기 기재의 굴절률과 다르며, 빛이 상기 광학필터의 법선 방향과 더 큰 각을 이루며 입사할수록 기재와 이상광선(extraordinary wave)이 입사할 때 이방성물질의 굴절률 차이가 증가한다. Preferably, the extraordinary refractive index of the anisotropic material is different from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ubstrate, and when light enters at a greater angle with the normal direction of the optical filter, the substrate and the extraordinary wave are incident.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of the anisotropic material increases.

바람직하게, 백그라운드와 상기 백그라운드에 깊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광흡 수패턴을 구비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light absorbing pattern may be provided to have a background and a depth in the background.

바람직하게, 백그라운드와 상기 백그라운드에 깊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광산란패턴을 구비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light scattering pattern may be provided to have a background and a depth in the backgroun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color shift reduction optical filter.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시야각 증가에 따른 컬러 시프트 현상을 최소화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야각을 확보하고 화질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securing the viewing angle of the display device and improving the image quality by minimizing the color shift phenomenon caused by the viewing angle increase.

아울러, 정면 투과율 손실을 최소화하여 우수한 휘도 특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ovide excellent luminance characteristics by minimizing the front transmittance loss.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학필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7 및 도 8은 각각 도 6의 광학필터에 사용 가능한 이방성물질(20)의 일 예들을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이다.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optical filt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7 and 8 are enlarged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examples of the anisotropic material 20 usable for the optical filter of FIG. 6, respectively.

도시한 바와 같이, 도 6의 광학필터는 기재(10)와 이방성물질(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s shown, the optical filter of FIG. 6 includes a substrate 10 and an anisotropic material 20.

기재는 광을 투과시키는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재는 고분자 수지 또는, 예컨대 자외선 경화성 수지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substrate may be made of a resin that transmits light. The substrate may be formed of a polymer resin or, for example, an ultraviolet curable resi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이방성물질은 기재에 분산되어 형성된다. 이방성물질은 적어도 2 이상의 굴절률을 갖는다. 이방성물질은 기재와의 굴절률 차이에 의하여 광을 산란시켜, 시야각에 따른 컬러 시프트를 보상한다. The anisotropic material is formed by being dispersed in the substrate. The anisotropic material has at least two refractive indices. The anisotropic material scatters light by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with the substrate, thereby compensating for the color shift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바람직하게 이방성물질의 광축은 광학필터의 법선 방향을 따른다. 이방성물질의 정상 굴절률 n은 바람직하게 기재의 굴절률과 동일하다. Preferably the optical axis of the anisotropic material follows the normal direction of the optical filter. Normal refractive index n of the anisotropic material is preferably the same as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ubstrate.

이방성물질의 이상 굴절률 n//은 상기 기재의 굴절률과 다르다. The abnormal refractive index n // of the anisotropic material is different from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ubstrate.

도 7은 정상 굴절률이 기재의 굴절률과 동일하고 이상 굴절률이 기재의 굴절률보다 큰, 양의 단축(positive uniaxial) 이방성 물질(또는 액정 분자)이 필름 안에 구형으로 형성된 구조 안에 광축이 광학필터의 법선 방향으로 배열된 경우이다.7 shows an optical axis in the normal direction of an optical filter in a structure in which a positive uniaxial anisotropic material (or liquid crystal molecules) is spherical in a film in which the normal refractive index is the same as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ubstrate and the abnormal refractive index is larger tha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ubstrate. If arranged as

도 8은 정상 굴절률은 기재의 굴절률과 동일하고 이상 굴절률이 기재의 굴절률보다 작은, 음의 단축(negative uniaxial) 이방성 물질(또는 액정 분자)이 필름 안에 구형으로 형성된 구조 안에 광축이 광학필터의 법선 방향으로 배열된 경우이다.8 shows an optical axis in the normal direction of an optical filter in a structure in which a negative uniaxial anisotropic material (or liquid crystal molecules) is spherical in a film, in which the normal refractive index is the same as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ubstrate and the abnormal refractive index is smaller tha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ubstrate. If arranged as

광학필터의 법선 방향, 즉 이방성물질의 광축과 일정각도(θ)를 이루며 정상광선(ordinary wave)이 입사할 때의 굴절률은 n로 기재의 굴절률과 동일하지만 이상광선(extraordinary wave)이 입사할 때의 굴절률 n(θ)는 다음과 같다.The refractive index of the optical filter in the normal direction, that is, at an angle θ with the optical axis of the anisotropic material, and when the normal wave is incident is n , which is the same as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ubstrate. The refractive index n (θ) when an extraordinary wave is incident is as follows.

n(θ) = nn///(n// 2cos2θ+ n 2sin2θ)1/2 n (θ) = n n // / (n // 2 cos 2 θ + n 2 sin 2 θ) 1/2

이상광선이 입사할 때의 이방성물질의 굴절률 n(θ)은, 빛이 광학필터의 법 선 방향과 더 큰 각을 이루며 입사할수록, 즉 입사각(θ)이 커질수록 기재의 굴절률과 더 큰 차이를 갖는다. 빛이 광학필터 면에 수평으로 입사하는 경우, 즉 입사각 θ = 90도인 경우, 굴절률 n(θ)은 최대가 되며 n//의 값을 갖는다. The refractive index n (θ) of the anisotropic material when the extraordinary ray is incident is larger tha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ubstrate as light enters at a larger angle with the normal line direction of the optical filter, that is, as the incident angle θ becomes larger. Have When light is incident on the optical filter plane horizontally, that is, when the incident angle θ = 90 degrees, the refractive index n (θ) is maximum and has a value of n // .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 도 6의 광학필터에 수직으로 입사(입사각 θ = 0도)한 화면광은 광축 방향으로 입사하게 되므로, 기재의 굴절률 및 정상광선의 굴절률과, 그리고 이상광선의 굴절률이 동일하여, 산란이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정면 투과율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Since the screen light incident from the display module perpendicularly to the optical filter of FIG. 6 (incident angle θ = 0 degrees) is incident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ubstrate an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normal light an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abnormal light are the same, This does not happen. Therefore, the front transmittance loss can be minimized.

반면, 광학필터에 경사지게 입사한 화면광은, 이상광선의 굴절률이 기재의 굴절률 및 정상광선의 굴절률과 달라지게 되어, 산란이 일어난다. 시야각이 증가함에 따라, 굴절률 차이는 커져 디스플레이모듈에서 나오는 빛을 더 많이 고르게 확산시킴으로써, 색혼합(color mixing)을 유도하여 컬러 시프트를 저감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screen light incident obliquely to the optical filter, the refractive index of the abnormal light is different from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ubstrate an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normal light, so that scattering occurs. As the viewing angle increases, th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becomes larger to diffuse more light evenly from the display module, thereby inducing color mixing and reducing color shift.

입사각 90도에서의 이상광선의 굴절률과 기재의 굴절률은 크면 클수록 바람직하며, 그 굴절률 차이가 적어도 0.0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larger the refractive index of the extraordinary ray at the incident angle of 90 degrees and the larger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ubstrate is, the more preferable it is. Th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is preferably at least 0.01 or mor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이방성물질은 0.01㎛ 이상의 구형 미세 입자 구조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addition, the anisotropic material preferably forms a spherical fine particle structure of 0.01 μm or mor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이러한 이방성물질의 미세 입자 구조는 도 7 및 도 8과 같이 전기장에 의해 광축이 광학필터의 법선 방향으로 배열된 액정 분자(21)들이 필름 안에 구형으로 형성된 구조로 형성 가능하다.As shown in FIGS. 7 and 8, the fine particle structure of the anisotropic material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21 in which the optical axis is arranged in the normal direction of the optical filter are spherical in the film.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학필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9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optical filter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광학필터는 기재를 지지하는 백킹(backing)(30)을 포함할 수 있다. 백킹은 자외선 투과성을 갖는 투명한 수지 필름이 바람직하다. 백킹의 재질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염화비닐,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백킹의 굴절률은 기재의 굴절률과 일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s shown, the optical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acking 30 for supporting the substrate. As for backing, the transparent resin film which has ultraviolet permeability is preferable. As the material of the backin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carbonate, polyvinyl chloride, or the like can be use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backing preferably matches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ubstrat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기재에 이방성물질의 미세 입자를 분산 형성하는 방법은, 먼저 백킹의 일면에 자외선 경화성 수지와 이방성물질을 혼합하여 분산시킨 뒤, 전기장을 걸어 이방성물질을 배열시키면서,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켜 완성할 수 있다. The method of dispersing and forming fine particles of anisotropic materials on a substrate may be completed by first dispersing an ultraviolet curable resin and anisotropic material on one surface of the backing, and then irradiating and curing ultraviolet rays while arranging the anisotropic material through an electric field. have.

이때 액정을 이방성물질로 사용하는 경우는, 자외선 경화성 수지와 액정의 상분리가 일어나 구형 미세 입자 구조를 이룰 수 있도록 적절한 비율로 혼합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this case, when the liquid crystal is used as the anisotropic material, the UV curable resin and the liquid crystal may be phase-separated and mixed at an appropriate ratio to form a spherical fine particle structure, and the temperature may be adjusted as necessar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광학필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10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optical filter according to a thir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도 9의 광학필터가 투명기판(예컨대, 글라스 기판), 반사방지층, 안티-글레어층, 하드코팅층, 안티-포그층, 등의 다른 기능성층(40)을 가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FIG. 10 shows that the optical filter of FIG. 9 may have other functional layers 40 such as transparent substrates (eg, glass substrates), antireflective layers, anti-glare layers, hard coating layers, anti-fog layers, and the like.

본 발명의 광학필터를 구성하는 각 구성층은, 점착제 또는 접착제를 사용하 여 점착 또는 접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재료로서, 아크릴계 접착제, 실리콘계 접착제, 우레탄계 접착제, 폴리비닐부티랄 접착제(PMB), 에틸렌-아세트산비닐계 접착제(EVA), 폴리비닐에테르, 포화무정형 폴리에스테르, 멜라민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Each component layer constituting the optical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hered or adhered using an adhesive or an adhesive. Specific examples of the material include acrylic adhesives, silicone adhesives, urethane adhesives, polyvinyl butyral adhesives (PMB), ethylene-vinyl acetate adhesives (EVA), polyvinyl ethers, saturated amorphous polyesters, melamine resins, and the like.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광학필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1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optical filter according to a fourth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도 11의 광학필터는 백그라운드(50) 및 광흡수패턴(60)을 포함한다. As shown, the optical filter of FIG. 11 includes a background 50 and a light absorption pattern 60.

백그라운드는 광을 투과시키는 물질이 층을 이루어 형성된다. 백그라운드는 자외선 경화성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The background is formed by layering materials that transmit light. The background may be formed of an ultraviolet curable resin.

광흡수패턴은 백그라운드에 형성되어 광을 흡수한다. 광흡수패턴은 백그라운드에 깊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경사 입사하는 입사광의 특정 파장 영역을 흡수하여 컬러시프트를 저감한다. The light absorption pattern is formed in the background to absorb light. The light absorption pattern is formed to have a depth in the background, thereby absorbing a specific wavelength region of obliquely incident incident light to reduce color shift.

기재(10) 및 이방성물질(20)은 백그라운드(50) 및 광흡수패턴(60) 모두에 포함되도록 형성된다. The substrate 10 and the anisotropic material 20 are formed to be included in both the background 50 and the light absorption pattern 60.

이 밖에도, 광흡수패턴(60)은 다음과 같은 광흡수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i) 카본 블랙과 같은 백색광 흡수 물질을 포함하거나, ii) 그린 파장 영역 흡수 물질을 포함하거나, iii) 그린 파장 영역 흡수 물질과 함께 시안 파장 영역 흡수 물질 및 오렌지 파장 영역 흡수 물질을 포함하거나, iv) 그린 파장 영역 흡수 물질과 함께 카본 블랙과 같은 백색광 흡수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ight absorption pattern 60 may include the following light absorbing materials. i) comprising a white light absorbing material, such as carbon black, ii) comprising a green wavelength range absorbing material, or iii) comprising a cyan wavelength range absorbing material and an orange wavelength range absorbing material together with the green wavelength range absorbing material, or iv) Along with the green wavelength range absorbing material, it may include a white light absorbing material such as carbon black.

백색광 흡수물질을 포함하는 광흡수패턴Light absorption pattern including white light absorbing material

광흡수패턴에 카본 블랙과 같은 백색광 흡수물질(가시광선 전파장영역 흡수물질)을 포함시켜 컬러 시프트를 개선할 수 있다. The color shift may be improved by including a white light absorbing material (visible light field absorbing material) such as carbon black in the light absorbing pattern.

높은 그레이 레벨에서는 시야각이 증가할수록 휘도가 감소하나, 낮은 그레이 레벨에서는 시야각이 증가할수록 휘도가 증가하는 현상이 컬러 시프트를 악화시키는 원인이다. 따라서, 시야각이 증가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나오는 빛을 더 많이 흡수하도록 하여 그레이 레벨에 관계 없이, 시야각에 따라 휘도가 감소하도록 함으로써 컬러 시프트를 개선할 수 있다. At higher gray levels, the luminance decreases as the viewing angle increases, but at low gray levels, the luminance increases as the viewing angle increases, which causes the color shift to worsen. Therefore, as the viewing angle increases, the color shift can be improved by allowing more light to be emitted from the display panel to be absorbed so that the luminance decreases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regardless of the gray level.

카본 블랙을 첨가하여 광흡수패턴을 형성하는 경우, 정면에서 무채색으로 보이기 때문에, 별도로 무채색으로의 색보정의 필요가 없어, 구조가 간단하고 생산비 절감 효과가 있다. When carbon black is added to form a light absorption pattern, since it appears achromatic in front, there is no need for color correction to achromatic color separately, so that the structure is simple and the production cost is reduced.

그린 파장 영역 흡수 물질을 포함하는 광흡수패턴Light absorption pattern including green wavelength region absorbing material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업계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평가기준으로 보통 13가지 혼색(White, Red, Blue, Green, Skin, Sony Red, Sony Blue, Sony Green, Cyan, Purple, Yellow, Moderate Red, Purplish Blue)으로 평가한다. In general, the display industry evaluates 13 mixed colors (White, Red, Blue, Green, Skin, Sony Red, Sony Blue, Sony Green, Cyan, Purple, Yellow, Moderate Red, and Purplish Blue). .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방출되는 백색광이 높은 계조에서 방출될 때는 시야각이 증가함에 따라 모든 파장 영역에서 휘도가 감소하고 상대적으로 블루 파장 영역이 가장 빨리 감소하지만, 낮은 계조에서 방출될 때는 시야각이 증가함에 따라 모 든 파장 영역에서 휘도가 증가하고 상대적으로 그린 파장 영역이 가장 빨리 증가한다.When the white light emitted from the display panel is emitted at high gradation, the luminance decreases in all wavelength ranges and the blue wavelength range decreases most rapidly as the viewing angle increases. The luminance increases in the wavelength region and the green wavelength region increases relatively quickly.

따라서, 광흡수패턴에 그린 파장 영역 흡수 물질을 충진시켜,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방출되는 빛이 시야각이 증가함에 따라 전체 파장 영역에서 빛의 흡수가 점차 증가하도록 하고 510~560nm의 그린(Green) 파장 영역의 빛의 흡수가 상대적으로 크게 증가되도록 하여 시야각 증가에 따른 혼색 색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다.Therefore, the light absorption pattern is filled with the green wavelength region absorbing material, so that the absorption of light from the display panel increases gradually as the viewing angle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display panel increases and the green wavelength region of 510 to 560 nm is increased. The absorption of light is relatively increased, thereby minimizing mixed color change due to an increase in viewing angle.

여기에서, 그린 파장 영역 흡수물질은 510~560nm의 그린 파장의 빛을 흡수할 수 있는 무기물 및 유기물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고, 핑크(Pink) 색소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린 파장 영역 흡수물질로는 핑크(Pink) 색소 외에 그린 파장의 빛을 흡수할 수 있는 어떠한 물질도 사용될 수 있다.Here, the green wavelength region absorbing material may be any one of an inorganic material and an organic material capable of absorbing light of the green wavelength of 510 ~ 560nm, it is preferable that a pink pigment is used. In addition to the pink dye, any material capable of absorbing green wavelength light may be used as the green wavelength region absorbing material.

그린 파장 영역 흡수 물질, 시안 파장 영역 흡수 물질 및 오렌지 파장 영역 흡수 물질을 포함하는 광흡수패턴Light absorption pattern including green wavelength region absorbent material, cyan wavelength region absorbent material and orange wavelength region absorbent material

LED와 달리 CCFL 백라이트의 경우 490nm 부근의 시안(cyan) 파장 영역과 590nm 부근의 오렌지(orange) 파장 영역에서 강한 피크(peak)가 존재한다. Unlike the LED, the CCFL backlight has strong peaks in the cyan wavelength region near 490 nm and orange wavelength region near 590 nm.

이러한 시안 및 오렌지 파장 영역의 피크는 색재현 면적을 줄이고 컬러 시프트를 악화시키는 원인이 된다. These peaks in the cyan and orange wavelength ranges cause color reproduction areas and worsen color shift.

LED와 CCFL의 백라이트로 구성된 LCD의 컬러 시프트 결과를 보면 CCFL의 경우가 좋지 못함을 알 수 있다.The color shift results of the LCD, which consists of LEDs and the backlight of the CCFL, show that the CCFL is not good.

따라서, 시야각에 따른 컬러 시프트에 악영향을 미치는 시안 파장 영역 및 오렌지 파장 영역의 피크를 시야각이 증가함에 따라 더 많이 흡수하도록 하면 시야각 증가에 따른 혼색 색변화를 더욱 최소화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peaks of the cyan wavelength region and the orange wavelength region which adversely affect the color shift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are absorbed more as the viewing angle increases, the mixed color change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may be further minimized.

이러한 역할을 하기 위해 광흡수패턴에는 510~560nm의 그린 파장 영역을 흡수할 수 있는 그린 파장 영역 흡수 물질 뿐만 아니라, 480~510nm의 시안 파장 영역 흡수 물질, 570~600nm의 오렌지 파장 영역 흡수 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그 결과,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나오는 빛 중 그린 파장 영역을 시야각이 증가함에 따라 더 많이 흡수하며, LCD의 스펙트럼에서 시야각에 따른 컬러 시프트에 악영향을 미치는 시안 파장 영역 및 오렌지 파장 영역의 피크를 시야각이 증가함에 따라 더 많이 흡수한다. 이를 통하여, 시야각 증가에 따른 색변화를 최소화하고 블루 혼색 계열과 레드 혼색 계열을 비롯한 모든 혼색에서 색변화를 최소화하여 시야각 개선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To this end, the light absorption pattern includes not only the green wavelength region absorbing material capable of absorbing the green wavelength region of 510-560 nm, but also the cyan wavelength region absorbing substance of 480-510 nm and the orange wavelength region absorbing substance of 570-600 nm. Can be. As a result, the green wavelength region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display panel is absorbed more as the viewing angle increases, and the peak angles of the cyan wavelength region and the orange wavelength region which increase the viewing angle adversely affect the color shift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in the spectrum of the LCD are increased. Absorbs more along.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rease the viewing angle improvement effect by minimizing the color change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the viewing angle and minimizing the color change in all the mixed colors including the blue mixed color series and the red mixed color series.

백그라운드 또는 백킹에는 적색(R), 녹색(G), 청색(G)의 양을 감소시키거나 조절하여 색균형을 변화시키거나 조정하는 색보정 색소가 포함될 수 있다. The background or backing may include color correction pigments that change or adjust the color balance by reducing or adjusting the amount of red (R), green (G), and blue (G).

디스플레이 정면에서 나오는 빛이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터를 투과할 때 광흡수패턴에 의해 디스플레이의 이미지 색이 변화하기 때문에 백그라운드 또는 백킹에 색보정 색소로 그린 파장 영역, 오렌지 파장 영역 및 시안 파장 영역 이외의 파장 영역을 흡수하는 색소, 예컨대 레드(Red) 파장 영역 흡수 색소와 블루(Blue) 파장 영역 흡수 색소를 적절하게 포함하여 정면에서 원래의 색과 가깝게 색보정할 수 있다. 이는 별도의 층 또는 필름으로 구비되지 않고 백그라운드 또는 백킹에 색보정 색소를 추가하여 형성하기 때문에 광학필터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제조 공정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light from the front of the display passes through the optical filter for display device, the image color of the display is changed by the light absorption pattern. Therefore, wavelengths other than the wavelength region, orange wavelength region, and cyan wavelength region drawn with color correction dye in the background or backing are changed. A color absorbing region, for example, a red wavelength range absorbing dye and a blue wavelength range absorbing dye may be appropriately included and color corrected close to the original color from the front. It is not provided as a separate layer or film, it is formed by adding a color correction pigment to the background or the backing can simplify the structure of the optical filter and shorten the manufacturing process.

물론, 상기 색보정 색소는 백그라운드 또는 백킹 외에도 점착층에 포함될 수 있고, 더 나아가 다른 기능성 필름에 포함될 수도 있을 것이다. Of course, the color correction pigment may be included in the adhesive layer in addition to the background or backing, and may also be included in other functional films.

광흡수패턴은 쐐기단면 스트라이프 패턴, 쐐기단면 물결 패턴, 쐐기단면 매트릭스 패턴, 쐐기단면 벌집 패턴, 사각형단면 스트라이프 패턴, 사각형단면 물결 패턴, 사각형단면 매트릭스 패턴 및 사각형단면 벌집 패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스트라이프 패턴의 경우에도, 수평 스트라이프 패턴, 수직 스트라이프 패턴, 등 다양한 패턴을 가질 수 있다. The light absorption pattern may be any one of a wedge cross-section stripe pattern, a wedge cross-section wave pattern, a wedge cross-section matrix pattern, a wedge cross-section honeycomb pattern, a cross-section stripe pattern, a cross-section wave pattern, a cross-section matrix pattern and a cross-section honeycomb pattern. Also, for example, the stripe pattern may have various patterns such as a horizontal stripe pattern, a vertical stripe pattern, and the like.

광흡수패턴은 바람직하게는, 쐐기단면부가 백그라운드의 일면에 일정한 주기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열된다. The light absorption pattern is preferably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wedge end surface portion spaced at regular intervals on one surface of the background.

광흡수패턴은 그 바닥면이 시청자를 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그라운드의 양면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다. The light absorption pattern may be formed so that the bottom surface thereof faces the viewer, may be formed to face the display panel, or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ground.

도 11에서는 광흡수패턴이 백그라운드에 대하여 음각으로 형성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양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11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the light absorption pattern is engraved with respect to the background,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embossed.

광학필터를 제조하는 방법은, 백킹의 일면에 자외선 경화성 수지를 도포한 후, 광흡수패턴 성형용 롤과 접촉시켜 자외선 경화성 수지에 음각홈을 형성한다. 그 후, 자외선 경화성 수지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최종적으로 쐐기단면 음각홈이 형성된 백그라운드를 완성한다. 그리고, 그 음각홈에 예컨대, 그린 파장 영역 흡수 물질과 이방성물질이 혼합된 자외선 경화성 수지를 충진한다. 그리고 전기장을 걸어준 상태에서, 자외선을 조사하여 광흡수패턴을 완성한다.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optical filter, after applying the ultraviolet curable resin on one surface of the backing, it is contacted with the roll for forming the light absorption pattern to form a negative groove in the ultraviolet curable resin. Thereafter, the ultraviolet curable resin is irradiated with ultraviolet rays to complete the background on which the wedge cross-sectional recesses are finally formed. The engraved groove is filled with, for example, an ultraviolet curable resin in which the green wavelength region absorbing material and the anisotropic material are mixed. In the state where the electric field is applied, ultraviolet light is irradiated to complete the light absorption pattern.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한 열프레스법이나,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를 충전하여 성형하는 사출 성형법, 등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제2백그라운드의 음각홈을 얻을 수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intaglio groove of the second background can be obtained by various methods such as a heat press method using a thermoplastic resin, an injection molding method of filling a thermoplastic resin or a thermosetting resin by molding.

도 11의 광학필터는 이방성물질에 의한 컬러 시프트 저감 효과와 광흡수패턴에 의한 컬러 시프트 저감 효과를 동시에 얻어, 컬러 시프트를 크게 저감 시킬 수 있다. The optical filter of FIG. 11 simultaneously obtains the color shift reduction effect by the anisotropic material and the color shift reduction effect by the light absorption pattern, thereby greatly reducing the color shift.

도 12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광학필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1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optical filter according to a fifth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내지 도 11에서는 광학필터의 전면적에 걸쳐 기재 및 이방성물질이 포함되는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6 to 11 illustrate embodiments in which a substrate and an anisotropic material are included over the entire area of the optical filter.

이에 반하여, 도 12에서는, 이방성물질이 광흡수패턴에 포함되지 않고, 백그라운드에만 포함될 수도 있음을 보여준다. In contrast, FIG. 12 shows that the anisotropic material is not included in the light absorption pattern but may be included only in the background.

도 13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광학필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1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optical filter according to a sixth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의 광학필터는 백그라운드(50)와 광산란패턴(70)을 포함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이방성물질은, 광산란패턴에만 포함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The optical filter of FIG. 13 includes a background 50 and a light scattering pattern 70. As shown, the anisotropic material can be included only in the light scattering pattern.

여기서, 광산란패턴(70)은, 이방성물질을 반드시 포함하는 대신 광흡수물질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는 점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광흡수패턴(60)과 유사하다. 물론, 또 다른 실시예로서, 광산란패턴은 이방성물질과 광흡수물질을 모두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Here, the light scattering pattern 70 is similar to the light absorption pattern 60 described above, except that the light scattering pattern 70 may not include the light absorbing material instead of necessarily including the anisotropic material. Of course, as another embodiment, the light scattering pattern may include both an anisotropic material and a light absorbing material.

도 14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광학필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1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optical filter according to a seventh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도 13의 광학필터가 투명기판(80), 반사방지층(90)과 같은 기타 기능성층을 포함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FIG. 14 shows that the optical filter of FIG. 13 may include other functional layers, such as transparent substrate 80 and antireflective layer 90.

도 15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1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ighth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는 백라이트(600), 디스플레이모듈(100) 및 광학필터(7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s shown, the display device includes a backlight 600, a display module 100, and an optical filter 700.

광학필터는 디스플레이모듈의 전방에 구비된다. The optical filter is provided in front of the display module.

이상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LCD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RGB를 구현하는 PDP, OLED, FED, 등의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 PDA, 소형 게임기 표시창, 휴대폰 표시창, 등의 소형 모바일 디스플레이 장치 및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등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In the abov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LCD of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applied to a large display device such as PDP, OLED, FED, etc. that implements RGB, a small mobile display device such as a PDA, a small game machine display window, a mobile phone display window, and a soft display device.

도 1은 LCD의 기본 구조와 구동 원리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the basic structure and driving principle of an LCD.

도 2는 시야각에 따른 액정의 배향 상태와 광투과도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lignment states and light transmittances of liquid crystals according to viewing angles.

도 3은 시야각에 따른 명암비 변화 및 컬러 시프트를 개선하기 위한 종래 기술의 일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prior art for improving the contrast ratio change and color shift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도 4는 시야각에 따른 명암비 변화 및 컬러 시프트를 개선하기 위한 종래 기술의 다른 일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the related art for improving the contrast ratio change and color shift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도 5는 본 발명의 광학필터를 장착하지 않은 상태의 LCD의 시야각에 따른 컬러 시프트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5 is a graph showing a color shift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of the LCD without the optical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학필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ptical filt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6의 광학필터에 사용 가능한 이방성물질의 일 예를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이다. 7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anisotropic material usable in the optical filter of FIG. 6.

도 8은 도 6의 광학필터에 사용 가능한 이방성물질의 또 다른 일 예를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이다. 8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the anisotropic material usable in the optical filter of FIG. 6.

도 9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내지 제7실시예에 따른 광학필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9 to 14 are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showing optical filters according to second to seven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5)

디스플레이장치의 디스플레이모듈의 전방에 구비되어 컬러시프트를 저감하는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터로서,A color shift reducing optical filter provided in front of a display module of a display device to reduce color shift, 기재와,Materials and 적어도 2 이상의 굴절률을 갖고, 상기 기재에 분산되어 상기 기재와의 굴절률 차이에 의하여 광을 산란시키는 이방성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An anisotropic material having at least two refractive indices and dispersed in the substrate and scattering light by a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with the substrate, 상기 이방성물질의 이상 굴절률(extraordinary refractive index)은 상기 기재의 굴절률과 다르며, 빛이 상기 광학필터의 법선 방향과 더 큰 각을 이루며 입사할수록 기재와 이상광선(extraordinary wave)이 입사할 때 이방성물질의 굴절률 차이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터.The extraordinary refractive index of the anisotropic material is different from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ubstrate, and when light enters at a greater angle with the normal direction of the optical filter, the substrate and the extraordinary wave enter the extraordinary wave. Color shift reduction optical fil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increases.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방성물질의 광축은 상기 광학필터의 법선 방향을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터. The optical axis of the anisotropic material is a color shift reduction optical filter, characterized in that along the normal direction of the optical filte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이방성물질의 정상 굴절률(ordinary refractive index)은, 상기 기재의 굴절률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터. The normal refractive index of the anisotropic material (ordinary refractive index), color shift reduction optical fil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ame as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ubstra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방성물질은 입자 형태로 상기 기재에 분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터. The anisotropic material is a color shift reduction optical filter, characterized in that dispersed in the substrate in the form of particles.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방성물질은 액정이고, 상기 기재와 상분리되어 분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터. The anisotropic material is a liquid crystal, color shift reduction optical filter, characterized in that dispersed in phase with the substrate.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기재는 고분자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터. The substrate is a color shift reducing optical fil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olymer resin.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전면적에 걸쳐 상기 기재 및 상기 이방성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터.Color shift reducing optical filter comprising the substrate and the anisotropic material over the entire area.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백그라운드와 상기 백그라운드에 깊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광흡수패턴을 구비하고, A light absorption pattern formed to have a background and a depth in the background, 상기 기재 및 상기 이방성물질은 상기 백그라운드에 충진되고, The substrate and the anisotropic material are filled in the background, 상기 광흡수패턴은, 510~560nm의 그린 파장 영역을 흡수하는 그린 파장 영역 흡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터. The light absorption pattern, the color shift reduction optical filt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green wavelength region absorbing material for absorbing the green wavelength region of 510 ~ 560nm.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백그라운드와 상기 백그라운드에 깊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광산란패턴을 구비하고, A light scattering pattern formed to have a background and a depth in the background, 상기 기재 및 상기 이방성물질은 상기 광산란패턴 내에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터. And the substrate and the anisotropic material are filled in the light scattering pattern. 제11항에 있어서, 12. 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광산란패턴은 쐐기단면-스트라이프 패턴, 쐐기단면-물결 패턴, 쐐기단면-매트릭스 패턴, 쐐기단면-벌집 패턴, 사각형단면-스트라이프 패턴, 사각형단면- 물결 패턴, 사각형단면-매트릭스 패턴 또는 사각형단면-벌집 패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터. The light scattering pattern is a wedge section-stripe pattern, wedge section-wavy pattern, wedge section-matrix pattern, wedge section-honeycomb pattern, rectangle section-stripe pattern, rectangle section-wave pattern, rectangle section-matrix pattern or rectangle section-honeycomb Color shift reduction optical filter characterized by having a pattern. 제11항에 있어서, 12. 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광산란패턴은, 510~560nm의 그린 파장 영역을 흡수하는 그린 파장 영역 흡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터. The light scattering pattern, the color shift reduction optical filt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green wavelength region absorbing material absorbing the green wavelength region of 510 ~ 560nm. 제11항에 있어서, 12. 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기재는 자외선 경화성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터. The substrate is a color shift reduction optical fil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ultraviolet curable resin. 제1항의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A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color shift reducing optical filter of claim 1.
KR1020090081243A 2009-08-31 2009-08-31 Color shift compensation filte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Expired - Fee Related KR10118195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1243A KR101181951B1 (en) 2009-08-31 2009-08-31 Color shift compensation filte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1243A KR101181951B1 (en) 2009-08-31 2009-08-31 Color shift compensation filte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3389A KR20110023389A (en) 2011-03-08
KR101181951B1 true KR101181951B1 (en) 2012-09-11

Family

ID=43931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1243A Expired - Fee Related KR101181951B1 (en) 2009-08-31 2009-08-31 Color shift compensation filte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195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1470B1 (en) * 2011-05-27 2013-01-11 삼성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Optical film for reducing color shift and lcd device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3389A (en) 2011-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7267B1 (en) Optical filter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having same
KR101195849B1 (en) Optical filter for compensating color shift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1200770B1 (en) Optical film for reducing color shift and lcd device having the same
KR101200772B1 (en) Optical filter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1221470B1 (en) Optical film for reducing color shift and lcd device having the same
KR101200769B1 (en) Optical film for reducing color shift and lcd device having the same
KR20120082172A (en) Optical film for reducing color shift and lcd device having the same
KR101195850B1 (en) Optical filter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1181951B1 (en) Color shift compensation filte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1200768B1 (en) Optical film for reducing color shift and lcd device having the same
KR101200771B1 (en) Color shift compensation filte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1221469B1 (en) Color compensation optical film for display device and optical filter for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1208637B1 (en) Color compensation optical film for display device and optical filter for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1182108B1 (en) Optical filter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1094406B1 (en) Color-compensated polarizing optical filter and display device having same
KR101206220B1 (en) Film for reducing color shift,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1195848B1 (en) Optical filter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1181952B1 (en) Lcd device with low color shif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5090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50906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