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4923B1 - Earmicrophone - Google Patents
Earmicropho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94923B1 KR101194923B1 KR1020110036156A KR20110036156A KR101194923B1 KR 101194923 B1 KR101194923 B1 KR 101194923B1 KR 1020110036156 A KR1020110036156 A KR 1020110036156A KR 20110036156 A KR20110036156 A KR 20110036156A KR 101194923 B1 KR101194923 B1 KR 10119492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gnal
- microphone
- filter
- electrical signal
- output sig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05—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combining the signals of two or more microphone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5—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 G10K11/178—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4—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correcting frequency response
- H04R3/06—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correcting frequency response of electrostatic transduc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10/00—Microphones
- H04R2410/05—Noise reduction with a separate noise microphon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이어마이크로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이크의 출력 신호에서 상기 이어마이크로폰의 내부로 유입된 외부 잡음에 의한 잡음 신호를 제거할 수 있는 이어마이크로폰에 관한 것이다.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 microph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ar microphone capable of removing a noise signal due to external noise introduced into the ear microphone from an output signal of a microphone.
일반적으로 이어마이크로폰은 일반적인 이어폰과 같이 음향의 청취와 통신을 위해 음향기기나 휴대폰과 같은 외부기기에 결합된 상태로 사용자의 귀에 착용되어 사용되는 것이다.In general, the ear microphone is used to be worn on the user's ear while being coupled to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sound device or a mobile phone for listening and communication of sound like a general earphone.
도 1은 종래 이어마이크로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다.Figure 1 shows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ear microphone.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이어마이크로폰은 외부 기기(1)와 결합되는 커넥터(10) 및 사용자의 귀에 착용되는 본체(20)로 구성된다. 본체(20)는 사용자의 귀속으로 들어가도록 된 형상이면서, 사용자의 귀와 대향되는 면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22)와 상기 사용자의 외이도를 통해 전달되는 음성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커넥터(10)로 출력하기 위한 마이크(23)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ear microphone includes a
그러나, 상기 이어마이크로폰의 경우, 외부 잡음이 상기 이어마이크로폰의 내부로 유입되어 음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외부 잡음이 상대방에게 전달되는 음성 신호에 포함되어 음질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ear microphone, external noise is introduced into the ear microphone, so that the sound quality is degraded. That is, the external noise is included in the voice signal transmitted to the counterpart, thereby degrading sound quality.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마이크의 출력 신호에서 이어마이크로폰의 내부로 유입된 외부 잡음에 의한 잡음 성분을 제거할 수 있는 이어마이크로폰에 관한 것이다.Therefore,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 microphone capable of removing noise components caused by external noise introduced into the ear microphone from an output signal of a microphon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어마이크로폰은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제1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제1 마이크, 외부 잡음 신호를 제2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제2 마이크, 및 상기 제1 전기 신호 및 상기 제2 전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전기 신호에 포함된 잡음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신호 처리기(signal processor)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ar microphone includes a first microphone for converting a user's voice signal into a first electrical signal, a second microphone for converting an external noise signal into a second electrical signal, and the first electrical signal and the first microphone. And a signal processor for receiving an electrical signal and removing a noise signal included in the first electrical signal using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상기 제2 전기 신호의 위상은 상기 외부 잡음 신호의 위상과 반대일 수 있다.The phase of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may be opposite to the phase of the external noise signal.
또한, 상기 제2 마이크는 상기 이어마이크로폰의 하우징을 관통하는 홀을 통해 상기 외부 잡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microphone may receive the external noise signal through a hole passing through the housing of the ear microphone.
또한, 상기 신호 처리기는 상기 제1 전기 신호와 상기 제2 전기 신호를 가산하기 위한 가산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signal processor may also include an adder for adding the first electrical signal and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상기 제1 마이크는 백-홀을 포함하는 캐패시터 마이크로 구현될 수 있다.The first microphone may be implemented as a capacitor microphone including a back-hole.
또한, 상기 신호 처리기는 상기 가산기의 출력 신호를 필터링하기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ignal processor may further include a filter for filtering the output signal of the adder.
또한, 상기 신호 처리기는 상기 제1 전기 신호를 필터링하기 위한 제1 필터, 상기 제2 전기 신호를 필터링하기 위한 제2 필터, 상기 제1 필터의 출력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기, 및 상기 증폭기의 출력 신호와 상기 제2 필터의 출력 신호를 가산하기 위한 가산기를 포함한다.The signal processor may further include a first filter for filtering the first electrical signal, a second filter for filtering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an amplifier for amplifying an output signal of the first filter, and an output of the amplifier. And an adder for adding a signal and an output signal of the second filter.
상기 신호 처리기는 상기 가산기의 출력 신호를 필터링하기 위한 제3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ignal processor may further include a third filter for filtering the output signal of the adder.
또한, 상기 신호 처리기는 상기 증폭기의 상기 출력 신호 및 상기 제2 필터의 상기 출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필터의 상기 출력 신호의 크기와 상기 증폭기의 상기 출력 신호에 포함된 잡음 신호의 크기가 같도록 상기 증폭기의 이득을 제어하는 이득 조절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ignal processor receives the output signal of the amplifier and the output signal of the second filter, the magnitude of the output signal of the second filter and the magnitude of the noise signal included in the output signal of the amplifier It may further include a gain regulator for controlling the gain of the amplifier to be equal.
또한, 상기 신호 처리기는 상기 제1 필터의 상기 출력 신호 및 상기 제2 필터의 상기 출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필터의 상기 출력 신호의 크기와 상기 증폭기의 상기 출력 신호에 포함된 잡음 신호의 크기가 같도록 상기 증폭기의 이득을 제어하는 이득 조절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ignal processor may further receive the output signal of the first filter and the output signal of the second filter, and determine the magnitude of the output signal of the second filter and the noise signal included in the output signal of the amplifier. It may further include a gain adjuster for controlling the gain of the amplifier to be equal in magnitud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어마이크로폰은 마이크의 출력 신호에 포함된 잡음 신호를 제거함으로써, 상대방에게 전달되는 음성 신호의 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Ear micro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voice signal transmitted to the counterpart by removing the noise signal included in the output signal of the microphone.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상세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종래 이어마이크로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어마이크로폰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어마이크로폰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방음 부재의 좌측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이어마이크로폰에 포함된 일부 구성의 블럭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신호 처리기의 일 실시 예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1 필터의 회로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제3 필터의 회로도이다.
도 9는 도 5에 도시된 신호 처리기의 다른 실시 예이다.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신호 처리기의 또 다른 실시 예이다.
도 11은 도 5에 도시된 신호 처리기의 또 다른 실시 예이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In order to more fully understand the drawings recit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each drawing is provided.
Figure 1 shows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ear microphone.
2 illustrates a configuration of an ear micro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the ear microphone shown in FIG. 2.
4 is a left side view of the soundproof member shown in FIG. 2.
5 is a block diagram of some components included in the ear microphone shown in FIG. 2.
FIG. 6 is an embodiment of the signal processor shown in FIG. 5.
FIG. 7 is a circuit diagram of the first filter illustrated in FIG. 6.
FIG. 8 is a circuit diagram of the third filter illustrated in FIG. 6.
FIG. 9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signal processor shown in FIG. 5.
FIG. 10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signal processor shown in FIG. 5.
FIG. 11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signal processor shown in FIG. 5.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Specific structural to functional descriptions of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inventive concept disclosed herein are merely illustrat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inventive concept. It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or in the application.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Embodiments in accordance with the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forms, so that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is specification or applica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particular forms of disclosure,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and / or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in accordance with the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ement may be termed the second element,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it may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present in between.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neighboring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 or" having ", or the like, specify that there is a stat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s a matter of principl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construed i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ressly defined herein. Do not.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어마이크로폰의 구성을 도시한다.2 illustrates a configuration of an ear micro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이어마이크로폰(1000)은 외부기기와 결합되는 커넥터(10) 및 사용자의 귀에 착용되는 형상의 본체(100)를 포함한다. 이때, 커넥터(10)와 본체(100)는 케이블(C)을 통해 전기적으로 결합된다.Referring to FIG. 2, the
본체(100)는 상기 사용자의 귀속으로 들어갈 수 있는 크기를 갖는 하우징(110)을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일측이 절곡된 비직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0)의 외이도 대향면에는 그 중앙부분에 음성 신호를 입출력하기 위한 개방부(111)가 형성된다. 하우징(110)의 내측에는 스피커(120), 제1 마이크(130), 및 제2 마이크(135)가 위치한다.The
제1 마이크(130)의 출력 라인 및 제2 마이크(135)의 출력 라인은 신호 처리기(170)의 입력단에 접속되고, 신호 처리기(170)의 출력단은 커넥터(10)에 접속된다. The output line of the
스피커(120)는 커넥터(10)를 통해 외부 기기, 예컨대 이동 전화기로부터 제공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스피커(120)의 출력단(121)으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신호는 방음 부재(140)의 제1 관통홈(143), 하우징(110)의 개방부(111), 및 덮개(160)의 개방홈(161)을 통해 외이도로 전달된다. 이때, 하우징(110)의 개방부(111)는 제1 관통홈(143), 제2 관통홈(144), 및 제3 관통홈(145) 각각에 대응되는 다수의 홈들로 구현될 수 있다.The
제1 마이크(130)는 상기 외이도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신호 처리기(170)로 출력한다. The
실시 예에 따라, 제1 마이크(130)는 백-홀(back hole; 134)을 포함하는 캐패시터 마이크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마이크(130)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제1 마이크(130)가 백-홀(134)을 포함함으로써, 제1 마이크(130)는 양방향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제1 마이크는 잡음에 강한 특성을 갖는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스피커(120)와 제1 마이크(130)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스피커(120)와 제1 마이크(130)는 이들을 지지하기 위한 방음 부재(140)에 의해 하우징(110)의 내측에 고정 지지된다. 이때, 스피커(120)의 출력단(121)과 제1 마이크(130)의 입력단(131)이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즉, 스피커(120)는 출력단(121)이 하우징(110)의 개방부(111)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제1 마이크(130)는 입력단(131)이 하우징(110)의 개방부(111)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스피커(120)는 출력단(121)이 외이도의 대향면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제1 마이크(130)는 입력단(131)이 상기 외이도의 대향면을 향하도록 배치된다.The
도 2에 도시된 방음 부재(140)는 단일층이나, 실시예에 따라 소음 차폐를 위한 방음 부재(140)는 다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방음 부재(140)는 이어마이크로폰(1000)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다수 개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또한, 이어마이크로폰(1000)은 하우징(110)의 외이도측 외부에 이어마이크로폰(1000)이 사용자의 귀속에 밀착되도록 하기 위한 덮개(160)를 구비한다. 덮개(160)는 하우징(110)의 외이도측 일부를 감싸면서 그 외측에는 다수의 돌기들(162)이 형성되고 그 중앙 부분에는 하우징(110)의 개방부(111)와 연통되는 개방홈(161)이 형성된다. 이때, 덮개(160)는 사용자의 귀속에 밀착되므로, 부드러운 촉감을 갖고 밀착성이 있는 재질, 예컨대 실리콘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제2 마이크(135)는 외부 잡음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제2 마이크(135)는 하우징(110)의 개방부(111) 반대측에 위치한다. 또한, 하우징(110)의 측면에는, 상기 외부 잡음 신호를 제2 마이크(135)로 제공하기 위하여, 외부 관통홈(112)이 구비된다. 제2 마이크(135)는 입력단이 외부 관통홈(112)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외부 관통홈(112)을 통해 전달되는 상기 외부 잡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2 마이크(135)의 좌측면, 즉 외이도 대향면은 방음 부재(140)로 둘러 쌓여있어, 상기 외부 잡음 신호가 방음 부재(14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며, 제2 마이크(135)는 방음 부재(140)에 의해 고정 지지된다.The
제2 마이크(135)는 상기 외부 잡음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전기 신호를 신호 처리기(170)로 전송한다. 이때, 제2 마이크(135)의 출력 신호의 위상은 상기 외부 잡음 신호의 위상과 반대일 수 있다.The
따라서, 사용자의 음성 신호는 외이도를 통해 덮개(160)의 개방홈(161), 하우징(110)의 개방부(111), 및 방음 부재(140)의 제2 관통홈(144)을 통해 제1 마이크(130)의 입력단(132)으로 제공된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상기 음성 신호는 제3 관통홈(145)을 통해 제1 마이크(130)의 백-홀(134)로 제공된다.Accordingly, the voice signal of the user may be transmitted through the
신호 처리기(170)는 제1 마이크(130)의 출력 신호와 제2 마이크(135)의 출력 신호를 수신하고, 제2 마이크(135)의 상기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제1 마이크(130)의 상기 출력 신호에 포함된 잡음 신호를 제거할 수 있다.The
이어마이크로폰(1000)은 블루투스(bluetooth) 기술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어어마이크폰(1000)은 커넥터(10)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The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어마이크로폰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방음 부재의 좌측면도이다. 즉, 도 4는 외이도측에서 본 방음 부재(140)의 외관 형상을 도시한다.3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the ear microphone illustrated in FIG. 2, and FIG. 4 is a left side view of the soundproof member illustrated in FIG. 2. That is, FIG. 4 shows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방음 부재(140)는 원통 형상으로 단차(계단형태) 형성되어 구성되면서, 내측에 스피커(120)를 배치하기 위한 스피커 수납홈(141) 및 제1 마이크(130)를 배치하기 위한 제1 마이크 수납홈(142)을 구비한다. 여기서, 스피커 수납홈(141)과 제1 마이크 수납홈(142)은 외부 충격으로 인한 진동이나 본체(100) 내부의 기구에서 발생되는 기계적 진동을 최소화하기 위해 스피커(120)와 제1 마이크(130)를 고정시킨다.2 to 4, the
그리고 스피커 수납홈(141)의 좌측면, 즉 외이도 대향면의 중앙부분에는 스피커(120)로부터 출력된 음성 신호가 외이도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제1 관통홈(143)이 형성된다. 또한, 제1 마이크 수납홈(142)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제2 관통홈(144)이 형성된다. 제1 마이크(130)는 제2 관통홈(144)을 통해 외이도로부터 전달되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In addition, a first through
실시 예에 따라, 제1 마이크(130)는 백-홀(134)을 포함하는 캐패시터 마이크일 수 있다. 제1 마이크(130)의 백-홀(134)은 제1 마이크(130)의 입력단(132)의 반대측면에 위치한다. 이때, 방음 부재(140)에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제1 마이크(130)의 백-홀(134)로 제공하기 위한 제3 관통홈(145)이 형성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제3 관통홈(145)은 제1 관통홈(143)과 제2 관통홈(144) 사이에 위치하나, 본 발명이 제3 관통홈(145)의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3 관통홈(145)은 복수 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제3 관통홈(145)은 스피커 수납홈(141)과 연통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2 through 4, the third through
또한, 도 4에 도시된 제1 마이크(130)는 사각 형상으로 구현되나, 제1 마이크(130)의 형상은 원형 또는 다각 형상일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이어마이크로폰의 일부 구성들의 블럭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of some components of the ear microphone shown in FIG. 2.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이어마이크로폰(1000)은 제1 마이크(130), 제2 마이크(135), 및 신호 처리기(170)를 포함한다.2 to 5, the
제1 마이크(130)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제1 마이크(130)의 출력 신호는 음성 신호(s(t))와 잡음 신호(n1(t))를 포함한다.The
제2 마이크(135)는 외부 잡음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제2 마이크(135)의 출력 신호(-n2(t))의 위상은 상기 외부 잡음 신호의 위상과 반대이다. The
신호 처리기(170)는 제1 마이크(130)의 상기 출력 신호 및 제2 마이크(135)의 출력 신호(-n2(t))를 수신하고, 제2 마이크(135)의 출력 신호(-n2(t))를 이용하여 제1 마이크(130)의 상기 출력 신호에 포함된 잡음 신호(n1(t))를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신호 처리기(170)는 제1 마이크(130)의 상기 출력 신호에 포함된 음성 신호(s(t))만을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신호 처리기(170)는 K배 만큼 증폭된 음성 신호(K*s(t))를 출력할 수 있다.The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신호 처리기의 일 실시예이다.FIG. 6 is an embodiment of the signal processor shown in FIG. 5.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신호 처리기(171)는 가산기(186)를 포함한다. 신호 처리기(171)는 제1 필터(180), 제2 필터(182), 및 제3 필터(188)를 더 포함할 수 있다.2 to 6, the
제1 필터(180)는 제1 마이크(130)의 출력 신호를 필터링하고, 제2 필터(182)는 제2 마이크(135)의 출력 신호를 필터링한다.The
가산기(186)는 제1 필터(180)의 출력 신호와 제2 필터(182)의 출력 신호를 가산한다. 제1 필터(180)의 상기 출력 신호에 포함된 잡음 신호(n1(t))는 제2 필터(182)의 상기 출력 신호에 의해 상쇄된다. 따라서, 가산기(186)는 음성 신호(s(t))만을 포함하는 출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The
제3 필터(188)는 가산기(186)의 출력 신호를 필터링한다. The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1 필터의 회로도이다.FIG. 7 is a circuit diagram of the first filter illustrated in FIG. 6.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제1 필터(180)는 입력단(180-1)과 출력단(180-2)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 제1 캐패시터(C1), 제1 저항(R1), 및 제2 저항(R2)를 포함한다. 또한, 제1 필터(180)는 제1 저항(R1)과 제2 저항(R2)의 공통 노드(180-3)와 접지단 사이에 접속된 제2 캐패시터(C2) 및 제1 필터(180)의 출력단(180-2)과 접지단 사이에 접속된 제3 캐패시터(C3)를 더 포함한다.2 to 7, the
제1 필터(180)는 제1 캐패시터(C1)를 이용하여 제1 마이크(130)의 출력 신호에 포함된 직류 성분을 제거하고, 제2 캐패시터(C2) 및 제3 캐패시터(C3)를 이용하여 제1 마이크(130)의 상기 출력 신호에 포함된 고주파 잡음 신호를 제거할 수 있다.The
또한, 제1 필터(180)는 제1 마이크(130)와 가산기(186) 사이에 접속되어 임피던스 매칭(impedance matching)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제2 필터(182)의 구조 및 작동 방식은 제1 필터(180)의 구조 및 작동 방식과 동일하다.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제3 필터의 회로도이다.FIG. 8 is a circuit diagram of the third filter illustrated in FIG. 6.
도 2 내지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3 필터(188)는 입력단(188-1)과 출력단(188-2) 사이에 접속된 제3 저항(R3) 및 출력단(188-2)과 접지단 사이에 접속된 제4 캐패시터(C4)를 포함한다.2 to 6 and 8, the
제3 필터(188)는 제4 캐패시터(C4)를 이용하여 가산기(186)의 출력 신호에 포함된 고주파 잡음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제3 필터(188)는 가산기(186)와 커넥터(10) 사이에 접속되어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The
도 9는 도 5에 도시된 신호 처리기의 다른 실시 예이다.FIG. 9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signal processor shown in FIG. 5.
도 2, 도 5, 및 도 9를 참조하면, 신호 처리기(172)는 증폭기(184), 및 가산기(186)를 포함한다. 신호 처리기(172)는 제1 필터(180), 제2 필터(182), 및 제3 필터(188)를 더 포함할 수 있다.2, 5, and 9, the
증폭기(184)는 제1 필터(180)의 출력 신호를 증폭한다. 즉, 증폭기(184)는 제1 필터(180)의 출력 신호를 K배 증폭시킨다. 증폭기(184)의 출력 신호는 음성 신호(K*s(t))와 잡음 신호(K*n1(t))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K는 미리 결정된 값을 가질 수 있고, 또는 사용자에 의해 조절되는 값을 가질 수 있다. The
결과적으로, 증폭기(184)의 상기 출력 신호에 포함된 잡음 신호(K*n1(t))의 크기(또는, 진폭)는 제2 필터(182)의 출력 신호(-n2(t))의 크기(또는, 진폭)와 같게 된다.As a result, the magnitude (or amplitude) of the noise signal K * n1 (t) included in the output signal of the
가산기(186)는 증폭기(184)의 상기 출력 신호와 제2 필터(182)의 출력 신호(-n2(t))를 가산한다. 증폭기(184)의 상기 출력 신호에 포함된 잡음 신호(K*n1(t))의 크기는 제2 필터(182)의 출력 신호(-n2(t))의 크기와 같고, 그 위상은 반대이므로, 상기 잡음 신호(K*n1(t))는 제2 필터(182)의 출력 신호(-n2(t))에 의해 상쇄된다. 따라서, 가산기(186)의 출력 신호는 음성 신호(K*s(t))만을 포함한다.The
제3 필터(188)는 가산기(186)의 출력 신호를 필터링한다.The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신호 처리기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FIG. 10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signal processor shown in FIG. 5.
도 2, 도 5, 및 도 10을 참조하면, 신호 처리기(174)는 증폭기(184), 이득 조절기(189), 및 가산기(186)를 포함한다. 신호 처리기(174)는 제1 필터(180), 제2 필터(182), 및 제3 필터(188)를 더 포함할 수 있다.2, 5, and 10, the
이득 조절기(189)는 증폭기(184)의 출력 신호 및 제2 필터(182)의 출력 신호(-n2(t))를 수신하고, 제2 필터의 출력 신호(-n2(t))의 크기와 증폭기(184)의 상기 출력 신호에 포함된 잡음 신호(K*n1(t))의 크기가 같도록 증폭기(184)의 이득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이득 조절기(189)는 잡음 신호(K*n1(t))의 진폭과 제2 필터(182)의 출력 신호(-n2(t))의 진폭이 동일하도록 상기 K의 값을 조절할 수 있다.The
도 11은 도 5에 도시된 신호 처리기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FIG. 11 is yet another embodiment of the signal processor shown in FIG. 5.
도 2, 도 5, 및 도 11을 참조하면, 신호 처리기(176)는 증폭기(184), 이득 조절기(189), 및 가산기(186)를 포함한다. 신호 처리기(176)는 제1 필터(180), 제2 필터(182), 및 제3 필터(188)를 더 포함할 수 있다.2, 5, and 11, the
이득 조절기(189)는 제1 필터의 출력 신호 및 제2 필터(182)의 출력 신호(-n2(t))를 수신하고, 제2 필터(182)의 출력 신호(-n2(t))의 크기와 증폭기(184)의 출력 신호에 포함된 잡음 신호(K*n1(t))의 크기가 같아지도록 증폭기(184)의 이득(K)을 제어할 수 있다.The
상기 기술 과정 중, 중복되는 기재는 생략되었다.In the above description, duplicated descriptions are omitted.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 : 외부 기기 10 : 커넥터
20 : 본체 22 : 스피커
23 : 마이크 100 : 본체
110 : 하우징 120 : 스피커
130 : 제1 마이크 135 : 제2 마이크
140 : 방음 부재 160 : 덮개
170 : 신호 처리기 180 : 제1 필터
182 : 제2 필터 184 : 증폭기
186 : 가산기 188 : 제3 필터
189 : 이득 조절기 1000 : 이어마이크로폰1: external device 10: connector
20: body 22: speaker
23: microphone 100: body
110: housing 120: speaker
130: first microphone 135: second microphone
140: soundproof member 160: cover
170: signal processor 180: first filter
182: second filter 184: amplifier
186: adder 188: third filter
189: gain regulator 1000: ear microphone
Claims (11)
상기 제2 전기 신호의 위상은 상기 외부 잡음 신호의 위상과 반대인 이어마이크로폰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기는 상기 제1 전기 신호와 상기 제2 전기 신호를 가산하기 위한 가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마이크로폰.A first microphone for converting a user's voice signal into a first electrical signal; A second microphone for converting an external noise signal into a second electrical signal; And a signal processor configured to receive the first electrical signal and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and to remove a noise signal included in the first electrical signal by using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In the ear microphone of the phase of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is opposite to the phase of the external noise signal,
And said signal processor comprises an adder for adding said first electrical signal and said second electrical signal.
상기 제2 전기 신호의 위상은 상기 외부 잡음 신호의 위상과 반대인 이어마이크로폰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이크는 백-홀(back hole)을 포함하는 캐패시터 마이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마이크로폰.A first microphone for converting a user's voice signal into a first electrical signal; A second microphone for converting an external noise signal into a second electrical signal; And a signal processor configured to receive the first electrical signal and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and to remove a noise signal included in the first electrical signal by using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In the ear microphone of the phase of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is opposite to the phase of the external noise signal,
The first microphone is a microphone microphone, characterized in that the capacitor microphone including a back hole (back hole).
상기 신호 처리기는 상기 가산기의 출력 신호를 필터링하기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마이크로폰.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ignal processor further comprises a filter for filtering the output signal of the adder.
상기 제2 전기 신호의 위상은 상기 외부 잡음 신호의 위상과 반대인 이어마이크로폰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기는,
상기 제1 전기 신호를 필터링하기 위한 제1 필터;
상기 제2 전기 신호를 필터링하기 위한 제2 필터;
상기 제1 필터의 출력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기; 및
상기 증폭기의 출력 신호와 상기 제2 필터의 출력 신호를 가산하기 위한 가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마이크로폰.A first microphone for converting a user's voice signal into a first electrical signal; A second microphone for converting an external noise signal into a second electrical signal; And a signal processor configured to receive the first electrical signal and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and to remove a noise signal included in the first electrical signal using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In the ear microphone of the phase of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is opposite to the phase of the external noise signal,
The signal processor,
A first filter for filtering the first electrical signal;
A second filter for filtering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An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output signal of the first filter; And
And an adder for adding the output signal of the amplifier and the output signal of the second filter.
상기 신호 처리기는 상기 가산기의 출력 신호를 필터링하기 위한 제3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마이크로폰.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ignal processor further comprises a third filter for filtering the output signal of the adder.
상기 신호 처리기는,
상기 증폭기의 상기 출력 신호 및 상기 제2 필터의 상기 출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필터의 상기 출력 신호의 크기와 상기 증폭기의 상기 출력 신호에 포함된 잡음 신호의 크기가 같도록 상기 증폭기의 이득을 제어하는 이득 조절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마이크로폰.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ignal processor,
A gain of the amplifier such that the output signal of the amplifier and the output signal of the second filter are received and the magnitude of the output signal of the second filter is equal to the magnitude of the noise signal included in the output signal of the amplifier Ear microphone further comprises a gain adjuster for controlling the.
상기 신호 처리기는,
상기 제1 필터의 상기 출력 신호 및 상기 제2 필터의 상기 출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필터의 상기 출력 신호의 크기와 상기 증폭기의 상기 출력 신호에 포함된 잡음 신호의 크기가 같도록 상기 증폭기의 이득을 제어하는 이득 조절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마이크로폰.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ignal processor,
The amplifier receiving the output signal of the first filter and the output signal of the second filter, and the amplitude of the noise signal included in the output signal of the amplifier equal to the magnitude of the output signal of the second filter Ear microphone further comprises a gain adjuster for controlling the gain of the.
상기 제1 마이크는 백-홀을 포함하는 캐패시터 마이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마이크로폰.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irst microphone is a microphone, characterized in that the capacitor microphone including a back-hole.
Priority Applications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10036156A KR101194923B1 (en) | 2011-04-19 | 2011-04-19 | Earmicrophone |
| PCT/KR2011/007720 WO2012144706A1 (en) | 2011-04-19 | 2011-10-18 | Ear microphon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10036156A KR101194923B1 (en) | 2011-04-19 | 2011-04-19 | Earmicrophone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194923B1 true KR101194923B1 (en) | 2012-10-25 |
Family
ID=47288779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10036156A Expired - Fee Related KR101194923B1 (en) | 2011-04-19 | 2011-04-19 | Earmicrophon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194923B1 (en) |
Cited By (1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744507B1 (en) * | 2015-09-09 | 2017-06-09 | 주식회사 사운드브릿지 | Bluetooth earset with ear canal microphone |
| KR101744503B1 (en) * | 2015-09-09 | 2017-06-09 | 주식회사 사운드브릿지 | Bluetooth earset with ear canal microphone |
| KR101936849B1 (en) * | 2018-02-28 | 2019-01-11 | 주식회사 지에스지 |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cavity to non-contact type |
| KR102002784B1 (en) * | 2018-07-27 | 2019-07-23 | 주식회사 파인테크닉스 | Microphone embedded earphone |
| KR102225124B1 (en) * | 2020-07-20 | 2021-03-09 | 주식회사 블루콤 | Hybrid active noise cancellation earphone |
| KR102238423B1 (en) * | 2020-02-06 | 2021-04-09 | 주식회사 이엠텍 | Receiver module with pressure equilibrium structure |
| US11336983B1 (en) | 2021-03-18 | 2022-05-17 | Em-Tech Co., Ltd. | Receiver module having pressure equilibrium structure |
| US12183341B2 (en) | 2008-09-22 | 2024-12-31 | St Casestech, Llc | Personalized sound management and method |
| US12249326B2 (en) | 2007-04-13 | 2025-03-11 | St Case1Tech, Llc | Method and device for voice operated control |
| US12256188B2 (en) | 2018-03-09 | 2025-03-18 | Earsoft, Llc | Eartips and earphone devices, and systems and methods therefore |
| US12289576B2 (en) | 2007-07-12 | 2025-04-29 | St Tiptech, Llc | Expandable sealing devices and methods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5531807A (en) | 2002-06-28 | 2005-10-20 | フィテック システムズ リミテッド | Noise canceling system and headphones therefor |
-
2011
- 2011-04-19 KR KR1020110036156A patent/KR101194923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5531807A (en) | 2002-06-28 | 2005-10-20 | フィテック システムズ リミテッド | Noise canceling system and headphones therefor |
Cited By (1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12249326B2 (en) | 2007-04-13 | 2025-03-11 | St Case1Tech, Llc | Method and device for voice operated control |
| US12289576B2 (en) | 2007-07-12 | 2025-04-29 | St Tiptech, Llc | Expandable sealing devices and methods |
| US12183341B2 (en) | 2008-09-22 | 2024-12-31 | St Casestech, Llc | Personalized sound management and method |
| US12374332B2 (en) | 2008-09-22 | 2025-07-29 | ST Fam Tech, LLC | Personalized sound management and method |
| KR101744507B1 (en) * | 2015-09-09 | 2017-06-09 | 주식회사 사운드브릿지 | Bluetooth earset with ear canal microphone |
| KR101744503B1 (en) * | 2015-09-09 | 2017-06-09 | 주식회사 사운드브릿지 | Bluetooth earset with ear canal microphone |
| KR101936849B1 (en) * | 2018-02-28 | 2019-01-11 | 주식회사 지에스지 |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cavity to non-contact type |
| US12256188B2 (en) | 2018-03-09 | 2025-03-18 | Earsoft, Llc | Eartips and earphone devices, and systems and methods therefore |
| KR102002784B1 (en) * | 2018-07-27 | 2019-07-23 | 주식회사 파인테크닉스 | Microphone embedded earphone |
| KR102238423B1 (en) * | 2020-02-06 | 2021-04-09 | 주식회사 이엠텍 | Receiver module with pressure equilibrium structure |
| KR102225124B1 (en) * | 2020-07-20 | 2021-03-09 | 주식회사 블루콤 | Hybrid active noise cancellation earphone |
| US11336983B1 (en) | 2021-03-18 | 2022-05-17 | Em-Tech Co., Ltd. | Receiver module having pressure equilibrium structure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194923B1 (en) | Earmicrophone | |
| EP3588982B1 (en) | A hearing device comprising a feedback reduction system | |
| CN101681617B (en) | Communication device with ambient noise reduction | |
| US10075783B2 (en) | Acoustically summed reference microphone for active noise control | |
| KR101194904B1 (en) | Earmicrophone | |
| CN103503477B (en) | The method and apparatus using paired microphone suppression noise | |
| EP3550858B1 (en) | A head-wearable hearing device | |
| EP0412902B1 (en) | Electroacoustic device for hearing needs including noise cancellation | |
| US9167337B2 (en) | Ear microphone and voltage control device for ear microphone | |
| CN104754436B (en) | Active noise reduction method and noise reduction earphone | |
| JP2011013403A (en) | Ambient noise removal device | |
| US20200074995A1 (en) | System and Method for Relative Enhancement of Vocal Utterances in an Acoustically Cluttered Environment | |
| CN204046798U (en) | A Noise Canceling Headphone and Its Driving Circuit Combining Feedforward and Feedback | |
| CN206713027U (en) | Denoising device and earphone | |
| WO2011161496A1 (en) | Arranging an audio signal based on the number of loudspeakers | |
| US11540043B1 (en) | Active noise reduction earbud | |
| GB2510354A (en) | ANC-enabled earphones with ANC processing performed by host device | |
| EP3479373A1 (en) | Hearing augmentation systems and methods | |
| EP3840402B1 (en) | Wearable electronic device with low frequency noise reduction | |
| KR20080072323A (en) | Ear microphone | |
| CN115004717B (en) | Wireless Headset with Improved Wind Noise Immunity | |
| KR101149981B1 (en) | Earmicrophone | |
| CN101312602A (en) | Hearing device with highly reliable earpiece control and corresponding method | |
| KR101082372B1 (en) | Ear microphone | |
| KR101169885B1 (en) | Hearing aid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29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81020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81020 |